KR100485970B1 - 승객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970B1
KR100485970B1 KR10-2002-7008809A KR20027008809A KR100485970B1 KR 100485970 B1 KR100485970 B1 KR 100485970B1 KR 20027008809 A KR20027008809 A KR 20027008809A KR 100485970 B1 KR100485970 B1 KR 100485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guide rail
auxiliary roller
rear wheel
trea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4472A (ko
Inventor
오기무라요시오
기쿠치다카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74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6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 B66B23/18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for carry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 B66B23/147End portions, i.e. means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arry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6Driving gear with a drive or carrying sprocket wheel located at end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다수의 디딤판(33)을 연결하는 좌우 한쌍의 디딤판 체인(32)을 디딤판 스프로켓(30)에 의해 구동하여, 디딤판의 왕로부(43a)와, 귀로부(43b)와, 상기 왕로부와 귀로부의 양단부의 방향 전환부를 디딤판(33)이 순환 이동하도록 한다. 디딤판(33)의 앞부분 좌우 측면에는 전륜(39)이 디딤판 체인(32)을 접속하는 축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고, 디딤판(33)의 후부에 후륜(40)이 부착되어 있다. 디딤판(33)은 왕로부에서 전륜(39)을 지지 안내하는 전륜 안내 레일(44)과, 후륜(40)을 지지 안내하는 후륜 안내 레일(45)에 의해 안내되나, 방향 전환부에서 디딤판이 반전할 때에는, 후륜(40) 대신에 디딤판에 부착된 보조 롤러(41)와 보조 롤러 안내 레일(46)로 이루어진 디딤판 보조 안내수단에 의해, 후륜이 디딤판 스프로켓(30)의 연결축(30a)에 근접하여 이동하도록 디딤판(33)의 자세를 제어한다. 방향 전환부에서의 메인 프레임의 깊이 방향 치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 장치{PASSENGER CONVEYOR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디딤판(움직이는 보도의 팔레트를 포함)을 가져 2점간 수송을 행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의 플로어 면에 수납하는 기체 부분의 깊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한 승객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사회의 도래를 배경으로 하여 에스컬레이터 또는 움직이는 보도의 설치가 급속하게 추진되고 있다. 특히, 철도 등의 공공 교통기관에서는 불특정인의 이용이 전제이고, 차량과 사람의 동선이 교차하는 수송을 위해 건물 구조의 기능적 관계상 사람의 상하 이동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에 있으며, 일시적으로 대량 수송이 필요하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는 당연히 설비되고 있다.
도 13은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역사(驛舍)에 종래의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한 예의 측면도이다. 참조부호 1은 에스컬레이터, 2a는 상부 메인 프레임, 2b는 하부 메인 프레임, 2c는 중간 메인 프레임이며, 이들 상부 메인 프레임(2a), 하부 메인 프레임(2b), 중간 메인 프레임(2c)은 일체로 되어 메인 프레임(2)을 구성하여, 메인 프레임(2)의 양단에 설치된 지지 쇠장식(3a, 3b)에 의해 건물(4)에 매달려 있다. 도면 중의 치수 A, B 및 C는 각각 상부 메인 프레임(2a), 하부 메인 프레임(2b), 중간 메인 프레임(2c)의 깊이 치수이다.
일반적으로 역사에서는 에스컬레이터가 계단과 병설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기설(旣設)된 역사에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할 경우에는 사람의 동선에 이미 계단(5)이 설치되어 있고, 계단(5)과는 다른 장소에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할 공간이 없거나, 공간은 있어도 사람의 동선으로 될 수 없는 등의 이유 때문에, 기존의 계단(5) 및 플랫폼 또는 중앙 광장 등의 일부를 해체 또는 개조하여 계단(5) 병설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존 계단(5) 부분에는 상부에 지붕(6)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나, 에스컬레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깊이 방향 치수를 가진 메인 프레임(2)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설치할 경우, 지붕(6)과 소정의 상하 클리어런스 K를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존의 계단(5) 및 플랫폼(7)에 상기 메인 프레임(2)을 수납할 수 있는 크기의 개구부를 천설하여, 이 부분에 메인 프레임(2) 부분을 넣는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통례였다. 도 13에 있어서, 해칭으로 표시한 범위가 이 개구부 천설 공사 부분에 해당한다.
메인 프레임(2)의 깊이 방향 치수 A, B, 및 C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로 디딤판의 폴딩(folding), 왕복 기구의 구조체의 수납 공간에 의해 결정된다.
도 14는 상부 메인 프레임(2a)의 측단면도이며, 참조부호 10은 후부에 라이저(riser)(10a)를 갖는 디딤판, 11은 다수의 디딤판(10) 상호를 폭방향 양측부에서 연결하여 견인 구동하는 디딤판 체인, 12 및 13은 디딤판(10)을 지지하는 전륜 및 후륜, 14는 디딤판(10)의 양측부에 배치된 상기 디딤판 체인(11)을 감아 디딤판(10)을 반전시키는 디딤판 스프로켓, 14a는 상기 좌우에 배치된 디딤판 스프로켓(14)을 연결하는 연결축, 15 및 16은 상기 전륜(12) 및 후륜(13)을 지지 안내하는 전륜 안내 레일 및 후륜 안내 레일이다.
디딤판(10)은 디딤판 스프로켓(14)에 의해 반전하여 순환 이동이 실행되나, 종래의 디딤판(10)은 후륜(13)이 디딤판(10)의 후부 아래쪽으로 연장 돌출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전 시에 디딤판(10) 상호가 근접하는 운동을 했을 때의 치수 D로 나타낸 틈 치수가 작아진다. 따라서, 디딤판(10)은 이보다도 작은 반전 반경으로 회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디딤판(10)의 반전에 필요한 깊이 치수의 결정 인자로 된다. 또한, 디딤판(10)의 후륜(13)은 디딤판(10)의 라이저(10a)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디딤판(10)의 높이 치수는 적어도 라이저(10a)의 높이와 후륜(13) 직경의 합계 이상의 치수가 필요하며, 후륜(13)은 후륜 안내 레일(16)에 지지 안내되어 디딤판 스프로켓 축(14a) 주위를 회동하기 때문에, 왕로(往路)와 귀로 사이에는 적어도 안내 레일(16)의 두께와 디딤판 스프로켓 축(14a) 직경의 합계 이상의 치수가 필요하다. 이들 구조상의 인자에 의해 상부 메인 프레임(2a)의 깊이 방향 치수 A가 결정된다.
상기와 동일하게 도 15는 중간 메인 프레임(2c)의 측단면도이며, 이것의 깊이 방향 치수 C는 디딤판(10)의 라이저(10a) 치수, 후륜(13)의 직경, 및 중간 메인 프레임(2c)의 좌우를 연결하는 빔부재(17)의 치수 등으로부터 결정된다.
하부 메인 프레임(2b)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대략 상부 메인 프레임(2a)과 동일한 구조상의 이유로부터 깊이 방향 치수 B가 결정된다.
이러한 문제에 관하여, 메인 프레임의 깊이 방향 치수를 저감시키는 수단으로서 일본국 특개평11-222370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2000-177964호 공보 등에 개시된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도 16은 일본국 특개평11-222370호 공보에 개시된 메인 프레임의 깊이 치수를 저감시킨 에스컬레이터의 측면도이다. 참조부호 20은 디딤판으로서, 이 디딤판(20)은 발판(20a)과 라이저(20b)가 힌지(21)에 의해 연결되며, 라이저(20b)가 순환 이동의 왕로부를 주행할 때는 수하(垂下) 상태로 되고, 귀로부를 주행할 때는 발판(20a)의 하측으로 회전하여 격납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디딤판(20)은 귀로부 측에서는 디딤판 높이가 작은 상태로 주행하기 때문에, 중간부 메인 프레임(2c)의 치수 C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디딤판(20)은 항상 발판(20a)의 상면이 위를 향하여 주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방향 전환부(22)에서도 디딤판(20)은 반전하지 않고 그대로의 자세를 유지하여 접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에스컬레이터의 디딤판의 방향 전환부(22)를 위쪽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며, 디딤판(20)은 좌우 한쌍의 디딤판 체인(11)에 의해 연결되고, 방향 전환부(22)에 배치된 디딤판 스프로켓(14c, 14d)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좌우의 디딤판 스프로켓(14c, 14d)은 연결축에 의해 일체로 되어 있지는 않고, 좌우가 독립하여 각각 축(14e, 14f)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축(14e, 14f)은 각각 동력 전달 기구(23a, 23b)에 의해 중간축(24)에 연결되고, 그 중간축(24)이 동력 전달 기구(25)를 통하여 구동 모터(26)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에스컬레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 전환부(22)에서 디딤판(20)이 반전하지 않기 때문에, 반전에 의해 발생하는 도 14의 치수 D 상당부가 간섭할 우려가 없고, 좌우의 디딤판 스프로켓(14c, 14d)을 연결하는 축이 없기 때문에, 디딤판(20)이 좌우의 디딤판 스프로켓(14c, 14d) 사이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상부 메인 프레임(2a)의 치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예에서는 디딤판 스프로켓(14c, 14d)이 좌우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디딤판(20)을 구동할 때에 좌우의 동기를 취할 필요가 있고, 이 예에서는 중간축(24)을 이용하여 그것을 실현하고 있다. 즉, 구동 모터(26)의 회전을 동력 전달 기구(25)에 의해 일단 중간축(24)에 전달하고, 중간축(24)의 좌우단으로부터 각각 좌우의 디딤판 스프로켓(14c, 14d)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도 18은 일본국 특개2000-177964호 공보에 개시된 디딤판 방향 전환부의 평면도이다. 이 예에 있어서도, 디딤판 스프로켓은 14c 및 14d와 같이 좌우로 분할되어 있고, 축이 없는 공간을 디딤판(20)이 통과하는 구조이다. 이 예에서도 디딤판 스프로켓(14c, 14d)의 좌우 동기는 구동 모터(26)의 회전을 동력 전달 기구(25)에 의해 중간축(24)을 통하여 좌우로 분배하며, 톱니바퀴 기구(27)에 의해 좌우의 디딤판 스프로켓(14c, 14d)에 전달함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첫째로, 디딤판(20)을 발판(20a)과 라이저(20b)로 나누어 힌지에 의해 가동(可動)으로 하면, 라이저는 디딤판(20)의 순환 이동의 1바퀴에 대해 1회는 개폐 동작을 행하게 되고, 에스컬레이터는 항상 운전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개폐 동작이 반복된다. 따라서, 이 개폐 동작의 반복에 의해 기기의 손모(損耗)가 현저해져, 보수 등의 수고 또는 비용이 증대하는 원인으로 된다. 또한, 개폐 동작에 따른 소음의 문제도 있으며, 부품 수의 증가에 의한 비용 증대의 문제도 있다.
둘째로, 좌우의 디딤판 스프로켓(14c, 14d)을 독립으로 하고, 별도로 설치한 중간축(24)에 의해 동기를 취하는 구조는, 중간축(24)으로부터 디딤판 스프로켓까지의 전달계에 존재하는 기계적인 이상, 또는 중간축(24) 및 축(14e, 14f)에 설치한 전달용 톱니바퀴류의 위상의 미묘한 어긋남의 존재에 의해, 좌우의 위상을 완전하게 맞추는 것은 불가능하여, 어느 정도의 좌우 어긋남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에스컬레이터의 디딤판(20)은 발판(20a)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승강구에 이것과 서로 맞물리는 빗살부를 갖고 있으나, 이 맞물림의 좌우 틈 치수는 1㎜ 정도이기 때문에 디딤판(20)의 좌우 어긋남은, 디딤판(20)의 일반적인 긴 쪽 치수 400㎜로부터 1/400=0.0025 정도로 되고, 좌우 디딤판 스프로켓의 간격이 1400㎜라고 하면, 0.0025×1400=3.5㎜ 정도로 된다. 또한, 최근의 에스컬레이터의 이용 형태를 살펴보면, 디딤판(20)의 한쪽에 정지하여 타고, 빈 쪽을 걸어서 타는 습관이 일반화되고 있어, 기기에 대한 하중으로부터 보면 정지 탑승에 비하여 보행 탑승은 배 이상의 하중 작용으로 되며, 이것은 좌우의 디딤판 체인의 시간 경과적인 신장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서, 이러한 시간 경과적 변화도 고려한 상태에서 좌우 차를 항상 3.5㎜ 이하로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지만, 강성을 크게 취하기 위해 구조가 대형화하거나, 보수의 빈도가 높아지는 등, 비용면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문제를 다수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부터 영업하고 있는 기존의 역사에 새롭게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할 경우, 건물 일부를 대폭으로 개조하거나, 반입을 위한 건물 일부의 일시적인 해체 등, 막대한 비용 및 공사 기간이 필요하다. 특히, 디딤판에 에스컬레이터를 병설할 경우, 디딤판 및 플랫폼 등의 플로어 부분에 메인 프레임의 일부를 넣기 위한 큰 개구부를 천설하는 공사가 필요하여, 건물 측의 공사 부담이 매우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디딤판의 하부에 강도부재 등이 존재할 경우는, 그 강도부재를 제거하는 대신에 다른 강도부재를 새롭게 설치해야만 하는 등 더 대폭적인 개조가 필요하게 되어, 비용 증대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이들 건물 측의 개조 공사의 대규모화는 공사 기간의 장기화를 초래하게 되고, 영업중인 역사에서의 공사이기 때문에 공사 범위의 울타리 또는 양생 등의 안전대책 등의 확대, 또는 이용객에 대하여 불편을 강요하는 기간의 확대 등 손실이 매우 커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들은 에스컬레이터의 메인 프레임의 깊이 방향 치수가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며, 이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에서의 큰 과제의 하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상부 메인 프레임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상부 메인 프레임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디딤판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디딤판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디딤판의 상부 방향 전환부의 작용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디딤판의 하부 방향 전환부의 작용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상부 방향 전환부에서의 디딤판의 작동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상부 방향 전환부에서의 디딤판의 작동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디딤판부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디딤판부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건물에 대한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종래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건물에 대한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종래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상부 방향 전환부의 측면도.
도 15는 종래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중간부 메인 프레임의 측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종래의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디딤판의 방향 전환부의 평면도.
도 18은 종래의 다른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디딤판의 방향 전환부의 평면도.
그래서, 본 발명은 디딤판과 그 반전 시의 안내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메인 프레임의 깊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 제안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의 깊이 방향 치수를 저감시킨 에스컬레이터에서의 가동식 디딤판의 신뢰성, 보수성 및 비용면에서의 문제와, 디딤판 스프로켓의 좌우 분리 구동에 의한 동기 정밀도 확보상의 문제를 해결한 제조성, 보수성이 우수한 메인 프레임의 깊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륜 및 후륜을 갖는 복수의 디딤판과, 상기 복수의 디딤판을 무단(無端) 형상으로 연결하는 한쌍의 디딤판 체인과, 상기 한쌍의 디딤판 체인이 각각 감기고, 상기 디딤판 체인을 통하여 상기 디딤판을 반전(反轉)시켜 순환 이동시키는 한쌍의 디딤판 스프로켓과, 상기 한쌍의 디딤판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한쌍의 디딤판 스프로켓을 구동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디딤판의 순환 이동의 왕로부(往路部) 및 귀로부(歸路部)에서 각각 상기 디딤판을 지지 안내하는 안내 레일과, 상기 디딤판의 순환 이동의 방향 전환부에서 상기 디딤판의 후륜을 지지 안내하지 않고 상기 디딤판 스프로켓의 연결축에 근접하도록 상기 디딤판의 반전 자세를 제어하는 디딤판 보조 안내수단을 갖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딤판 보조 안내수단은, 디딤판의 양측부에 설치된 보조 롤러와, 그 보조 롤러가 결합 안내되는 보조 안내 레일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승객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이 왕로부에서는 전륜과 후륜에 의해 안내되고, 방향 전환부에서는 디딤판 스프로켓과 보조 롤러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안내 레일은, 방향 전환부에서는 외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과 내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외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이 귀로부 내에 연장되며, 귀로부에서 보조 롤러를 안내하는 귀로부 보조 롤러 안내 레일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왕로부에서의 후륜 안내 레일의 단부와 내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의 단부 사이에는 측면에서 보아 서로 상하 방향으로 겹치는 랩부(wrap部)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 랩부에서는 후륜 안내 레일의 단부에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후륜의 간격은 상기 디딤판의 폭보다 좁게 할 수 있다.
상기 후륜은 상기 디딤판의 라이저의 하단보다 약간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롤러는 상기 전륜과 상기 후륜 사이에 설치되고, 그 회전 중심을 후륜의 회전 중심보다도 상기 디딤판의 발판 측으로 이동시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롤러는 부착 스테이(stay)를 통하여 상기 디딤판의 외측부에 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객 컨베이어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에스컬레이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메인 프레임(2)은, 위층에 설치된 상부 메인 프레임(2a)과 아래층에 설치된 하부 메인 프레임(2b)과 양자를 연결하는 중간 메인 프레임(2c)으로 구성된다. 상부 메인 프레임(2a) 및 하부 메인 프레임(2b)에는, 각각 한쌍의 디딤판 스프로켓(30, 31)이 설치되어 있다. 양 디딤판 스프로켓(30, 31)에 각각 디딤판 체인(32)이 감아 장착되고, 디딤판 체인(32)에 다수의 디딤판(33)이 장착되어 있다. 디딤판(33)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륜(39) 및 후륜(40)이 설치되어 있고, 그 전륜(39) 측에 디딤판 체인(32)이 연결되어 있다.
디딤판 스프로켓(30)을 구동하면, 디딤판 체인(32)을 통하여 디딤판(33)이 순환 이동한다. 디딤판(33)은 에스컬레이터의 왕로부(상면 측의 이동 경로를 의미함)를 이동하고, 상부 디딤판 스프로켓(30) 또는 하부 디딤판 스프로켓(31)의 위치(즉, 방향 전환부)에 도달하면, 그곳에서 반전하여 귀로부(하면 측의 이동 경로를 의미함)에 이행하여, 귀로부를 왕로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는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메인 프레임(2a)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와 동일한 부위를 위쪽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상부 메인 프레임(2a) 내에는 연결축(30a)에 의해 연결된 좌우 한쌍의 디딤판 스프로켓(30, 30)이 설치되어 있다. 각 디딤판 스프로켓(30, 30)에는 각각 디딤판 체인(32)이 감아 장착되어 있다. 이들 좌우 한쌍의 디딤판 체인(32)에 각각 각 디딤판(33)의 폭방향 양측부의 앞쪽 부분이 축(3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메인 프레임(2a) 내에는 그 단부에 디딤판 스프로켓(30, 30)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35)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모터(35)의 구동력은 전달 조인트(36), 감속(減速) 기구(37) 및 구동 체인(38)을 통하여 디딤판 스프로켓(30)의 축(30a)에 부가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딤판(33)을 디딤판 체인(32)에 연결하는 축(34)은 디딤판 체인(32)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그 선단에 전륜(39)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34)은 전륜(39)의 회전축과 겸용되고 있으나, 별개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디딤판(33)의 후부에는, 디딤판 후부의 라이저(33b) 근방 위치에 라이저(33b)의 하단보다도 적은 양 h만큼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좌우 한쌍의 후륜(40)이 부착되어 있다. 후륜(40)끼리의 간격 w1은 디딤판(33)의 발판(33a)의 폭 w2보다도 좁다. 후륜(40)의 돌출량 h는, 후술하는 왕로부 후륜 안내 레일(45)에 라이저(33b)의 하단이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가 적당하며, 실제로는 5∼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딤판(33)의 폭방향 양측부에는, 후륜(40)보다 앞쪽으로서 후륜(40)의 위쪽 위치에 보조 롤러(41)가 부착 스테이(42)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왕로부(43a)에는 전륜(39)을 지지 안내하는 왕로부 전륜 안내 레일(44) 및 후륜(40)을 지지 안내하는 왕로부 후륜 안내 레일(45)이 설치되어 있다. 왕로부 전륜 안내 레일(44) 및 왕로부 후륜 안내 레일(45)은 전륜(39) 및 후륜(40)의 위치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으로 편위되어 있고, 왕로부의 경사부에서는 측면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것과 같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왕로부 전륜 안내 레일(44) 및 왕로부 후륜 안내 레일(45)의 양단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향 전환부 근방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왕로부 전륜 안내 레일(44)은 왕로부 후륜 안내 레일(45)보다 위쪽에 위치하며, 인접하는 디딤판(33, 33)의 발판(33a, 33a)이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방향 전환부에서 디딤판(33)을 반전시키면서 방향 전환할 때에 디딤판(33)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해, 보조 롤러(41)와 결합하는 보조 안내 레일(46)이 방향 전환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보조 안내 레일(46)은, 디딤판 스프로켓(30)의 연결축(30a)을 둘러싸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외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46a) 및 내측 보조 롤러 안내 레일(46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향 전환부에 있어서는, 보조 롤러(41)는 외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46a) 및 내측 보조 롤러 안내 레일(46b)의 사이에 형성되는 U자 형상의 통로를 따라 이동한다. 외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46a)의 하측 단부는, 귀로부(43b) 내에 연장되는 귀로부 보조 롤러 안내 레일(47)에 접속되어 있다.
하부 메인 프레임(2b) 내에서의 방향 전환부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귀로부(43b) 내에는, 귀로부 보조 롤러 안내 레일(47)의 아래쪽에서 귀로부 보조 롤러 안내 레일(47)을 따라 연장되는 귀로부 전륜 안내 레일(48)이 설치되어 있다.
디딤판(33)은 왕로부(43a)에서는, 전륜(39)이 왕로부 전륜 안내 레일(44)에 의해, 후륜(40)이 왕로부 후륜 안내 레일(45)에 의해 각각 지지 안내되어 이동한다. 또한, 귀로부(43b)에서는, 전륜(39)이 귀로부 전륜 안내 레일(48)에 의해, 후륜(40) 대신에 보조 롤러(41)가 귀로부 보조 롤러 안내 레일(47)에 의해 지지 안내되어 이동한다.
도 2에 있어서 디딤판(33)이 왕로부에 있고,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왕로부 내의 위치 F1에 있어서, 왕로부 전륜 안내 레일(44)에 의해 전륜(39)이, 왕로부 후륜 안내 레일(45)에 의해 후륜(40)이 각각 지지 안내된다.
디딤판(33)이 진행되어 위치 F2에 도달하면, 전륜(39)의 축(34)이 디딤판 스프로켓(30)의 외주 톱니부와 결합하고, 디딤판(33)이 반전 운동을 개시한다. 이 때, 후륜(40)은 아직 왕로부 후륜 안내 레일(45)에 지지된 채이다.
또한, 디딤판(33)의 회전이 진행되어 위치 F3에 도달하면, 디딤판(33)은 반전하여 방향을 바꾸고, 디딤판 스프로켓(30)에 의해 전륜(39)의 축(34)이, 보조 안내 레일(46)에 의해 보조 롤러(41)가 각각 지지 안내된다. 이 때, 후륜(40)은 공중에 떠 있어, 어디에서도 지지되어 있지 않다.
이 상태에서, 디딤판(33)은 연이어 반전 운동을 계속하면서 위치 F4에 도달한다. 이 위치 F4에서 디딤판(33)은 반전을 끝내고, 귀로부에 들어간다. 여기서부터는, 전륜(39)이 귀로부 전륜 안내 레일(48)에 의해, 보조 롤러(41)가 귀로부 보조 롤러 안내 레일(47)에 의해 지지 안내된다.
도 6에 디딤판(33)의 반전 시의 이동 궤적을 연속적으로 나타낸다. 도 6에 있어서, 그 자체가 무엇에도 지지 안내되지 않은 후륜(40)의 궤적에 주목한다. 후륜(40)은, 디딤판(33)이 반전을 개시한 직후는, 마치 디딤판 스프로켓(30)의 연결축(30a)과 충돌하는 것과 같은 궤적을 취한다.
디딤판(33)의 반전이 더 진행되면, 후륜(40)은 위쪽으로 그 궤적을 바꾸어, 연결축(30a)을 회피하면서도 연결축(30a)의 근방을 통과한다. 이 후륜(40)의 운동은, 전륜(39)의 축(34)이 디딤판 스프로켓(30)의 외주를 따라 하강하기 시작함으로써, 후륜(40)이 보조 롤러 안내 레일(47)에 의해 지지된 보조 롤러(41)의 축을 지점으로 하여 시소와 같이 들어올려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 후륜(40)의 운동을 보조 롤러(41)를 사용하지 않고 도 6에 나타낸 후륜(40)의 이동 궤적을 따라 설치된 안내 레일에 의해 후륜(40)을 안내함으로써 실현하는 것은 불가능한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디딤판(33)은, 후륜(40)이 위쪽으로의 변위를 개시하는 위치로부터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이것은, 이 때, 디딤판(33)이 전륜(39)의 축(34)의 위치에서 디딤판 체인(32)에 의해 경사 아래쪽(스프로켓(30)의 접선 방향)으로 잡아당겨지고 있기 때문에, 안내 레일에 구속되어 있는 후륜(40)은 전륜(39)의 이동 방향과 상반되는 방향(즉, 경사 위쪽)으로는 이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디딤판(33)의 반전이 더 진행되어 가는 과정에서, 후륜(40)은 연결축(30a)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연결축(30a) 주위를 회전한다. 그 후, 후륜(40)은 다시 연결축(30a)에 근접하게 되어, 연결축(30a)의 아래쪽 근방을 통과한다.
도 7은 하부의 방향 전환부에서의 디딤판 이동을 연속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의 방향 전환부에 있어서도, 상부 방향 전환부에서의 후륜(40)의 움직임과 동일한 궤적으로 후륜(40)이 디딤판 스프로켓(31)의 연결축(31a) 주위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딤판(33)에 보조 롤러(41)를 설치하여 이것을 보조 롤러 안내 레일(46)에 의해 안내시킴으로써, 후륜(40) 및 디딤판(33)의 뒤쪽 하단부를 연결축(30a, 31a)을 회피시키면서 그 근방을 통과시킬 수 있다. 특히, 스프로켓(30, 31)의 연결축(30a, 31a)의 직상부(直上部) 근방 및 직하부 근방에서의 후륜(40)과 연결축(30a, 31a)의 간격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디딤판(33)의 반전에 필요한 공간의 상하 방향 길이를 작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에 의해, 메인 프레임(2)의 깊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기존의 역사 등에 설치할 경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2)의 아래쪽으로부터의 치수 Y 부분만의 계단 부분에 개구부를 마련하는 공사를 행하는 것이 좋으며, 건물 측의 공사 부담을 대폭으로 경감시킬 수 있어, 공사 기간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또한, 디딤판(33)은, 왕로부에서는 전륜(39)이 왕로부 전륜 안내 레일(44)에 의해, 후륜(40)이 왕로부 후륜 안내 레일(45)에 의해 각각 지지 안내되어 이동하고, 귀로부에서는 전륜(39)이 귀로부 전륜 안내 레일(48)에 의해, 보조 롤러(41)가 귀로부 보조 롤러 안내 레일(47)에 의해 지지 안내되어 이동한다. 즉, 귀로부 측에서도 보조 롤러(41)에 의해 디딤판(33)을 지지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후륜(40)과 보조 롤러(41)의 지지 전환을 상하 방향 전환부의 앞쪽의 1개소에서만 행하면 된다. 또한, 보조 롤러(41)를 방향 전환부뿐만 아니라 귀로부 측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 그만큼 후륜(40)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후륜(40) 및 보조 롤러(41)를 전륜(39)에 비하여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디딤판(33)이 반전할 때의 후륜(40) 및 보조 롤러(41)와 디딤판 스프로켓(30, 31)의 연결축(30a, 31a)과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귀로부에서도 보조 롤러(41) 대신에 다시 후륜(40)에 의해 지지 안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왕로부 후륜 안내 레일(45)이 후륜(40)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내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46b)이 보조 롤러(41)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로 전환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왕로부 후륜 안내 레일(45)의 단부와 내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46b)의 왕로부측 단부가 측면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상하 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 중복하여 배치되어 있는 랩 구간 L이 존재한다. 이 랩 구간 L에 있어서는, 왕로부 후륜 안내 레일(45)의 안내면은 단부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내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46b)의 왕로부측 단부도 약간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
도 8에 있어서, 디딤판(33)이 오른쪽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는 상태를 상정하면, 이 위치에서는 후륜(40)이 왕로부 후륜 안내 레일(45) 위에 위치하여 하중을 지탱하여 회전되고 있는 반면, 보조 롤러(41)는 내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46b)과 접하고 있지 않아 하중도 지탱하지 않는다. 또한, 이 상태에서 디딤판(33)이 도 9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이번에는 보조 롤러(41)가 내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46b) 위에 위치하여 하중을 지탱하여 회전되고, 후륜(40)은 왕로부 후륜 안내 레일(45)로부터 떠올라 하중을 지탱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왕로부 후륜 안내 레일(45) 및 내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46b)의 단부가 겹치고, 각각의 단부가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음으로써, 차륜 및 롤러의 안내 레일로부터의 이간(離間) 및 안내 레일에 대한 접촉이 원활하게 실행되며, 원활한 하중의 수수(授受)가 실행되어,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륜(40) 사이의 간격이 발판(33a)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음으로써, 보조 롤러(41)를 설치하여도 메인 프레임(2)의 폭을 대폭으로 넓힐 필요가 없다. 또한, 후륜(40)은 그 하단면이 디딤판(33)의 라이저(33b)의 하단보다도 약간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그 라이저(33b)에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디딤판(33)의 상하 방향 치수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디딤판(33)의 반전 초기에서의 후륜(40)의 위쪽에 대한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고, 디딤판 스프로켓(30, 31)의 연결축(30a, 31a)에 대한 간섭 회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딤판(33)의 순환 이동의 왕로부에는, 디딤판(33)의 폭방향 양쪽에 스커트 가이드(50)가 설치되어 있으나, 인접하는 디딤판(33) 사이에 단차가 생기는 에스컬레이터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판과 라이저의 교차 부분 K에 도달할 때까지, 디딤판(33)의 양측은 스커트 가이드(50)에 의해 덮여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스커트 가이드(50)의 하단(50a)은 디딤판(33) 라이저(33b)의 하단 근방까지 있게 되고, 스커트 가이드(50)가 장해로 되어 보조 롤러(41)를 디딤판(33) 측부의 가장 적당한 위치에 직접 부착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조 롤러(41)는 스커트 가이드(50)의 하단(50a)을 회피하도록 L자 형상으로 구성한 부착 스테이(42)에 의해 디딤판(33)에 부착했다. 이것에 의해, 스커트 가이드(50)에 의한 안전 확보는 종래대로 할 수 있으며, 보조 롤러(41)의 최적 위치에 대한 배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디딤판 사이에 단차가 생기는 에스컬레이터에 한정되지 않고, 디딤판 사이에 단차를 갖지 않는 「이동 보도」라고 불리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전륜 및 후륜을 갖는 복수의 디딤판과,
    상기 복수의 디딤판을 무단(無端) 형상으로 연결하는 한쌍의 디딤판 체인과,
    상기 한쌍의 디딤판 체인이 각각 감기고, 상기 디딤판 체인을 통하여 상기 디딤판을 반전(反轉)시켜 순환 이동시키는 한쌍의 디딤판 스프로켓과,
    상기 한쌍의 디딤판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한쌍의 디딤판 스프로켓을 구동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디딤판의 순환 이동의 왕로부(往路部) 및 귀로부(歸路部)에서 각각 상기 디딤판을 지지 안내하는 안내 레일과,
    상기 디딤판의 순환 이동의 방향 전환부에서 상기 디딤판의 후륜을 지지 안내하지 않고 상기 디딤판 스프로켓의 연결축에 근접하도록 상기 디딤판의 반전 자세를 제어하는 디딤판 보조 안내수단을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 보조 안내수단은, 상기 디딤판의 측부에 설치된 보조 롤러와, 상기 보조 롤러가 결합 안내되는 보조 안내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은, 상기 왕로부에서는 상기 전륜과 상기 후륜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방향 전환부에서는 상기 디딤판 스프로켓과 상기 보조 롤러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안내 레일은, 상기 방향 전환부에서는 외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과 내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은 상기 귀로부 내에 연장되고, 상기 귀로부에서 상기 보조 롤러를 안내하는 귀로부 보조 롤러 안내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왕로부에서의 후륜 안내 레일의 단부와 상기 내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의 단부 사이에는 측면에서 보아 서로 상하 방향으로 겹치는 랩부(wrap部)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랩부에서는 상기 후륜 안내 레일의 단부(端部)에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안내 레일은, 상기 방향 전환부에서는 외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과 내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은 상기 귀로부 내에 연장되고, 상기 귀로부에서 상기 보조 롤러를 안내하는 귀로부 보조 롤러 안내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왕로부에서의 후륜 안내 레일의 단부와 상기 내측 보조 롤러 반전 안내 레일의 단부 사이에는 측면에서 보아 서로 상하 방향으로 겹치는 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랩부에서는 상기 후륜 안내 레일의 단부에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후륜의 간격은, 상기 디딤판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은, 상기 디딤판의 라이저(riser)의 하단보다 약간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14.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롤러는, 상기 전륜과 상기 후륜 사이에 설치되고, 그 회전 중심이 상기 후륜의 회전 중심보다도 디딤판의 발판 측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15.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롤러는 부착 스테이를 통하여 상기 디딤판의 외측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장치.
KR10-2002-7008809A 2000-11-09 2001-11-09 승객 컨베이어 장치 KR100485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41953 2000-11-09
JP2000341953A JP4688276B2 (ja) 2000-11-09 2000-11-09 乗客コンベ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472A KR20020074472A (ko) 2002-09-30
KR100485970B1 true KR100485970B1 (ko) 2005-05-03

Family

ID=18816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809A KR100485970B1 (ko) 2000-11-09 2001-11-09 승객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59705B2 (ko)
EP (1) EP1338548B1 (ko)
JP (1) JP4688276B2 (ko)
KR (1) KR100485970B1 (ko)
CN (1) CN1251958C (ko)
DE (1) DE60135013D1 (ko)
TW (1) TW593115B (ko)
WO (1) WO20020384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1758B4 (de) * 2001-12-15 2004-11-18 Kone Corp. Einrichtung zur Führung und Umlenkung von Palettenbändern eines Rollsteiges
JP4458770B2 (ja) * 2002-11-25 2010-04-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コンベア装置
KR100522064B1 (ko) * 2003-11-29 2005-10-1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롤러 상승억제장치
JP4304136B2 (ja) * 2004-03-23 2009-07-2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コンベア装置
DE102005058051B3 (de) * 2005-12-06 2007-07-12 Kone Corp. Rolltreppe und Stufe für eine Rolltreppe
ES2573674T3 (es) * 2006-12-21 2016-06-09 Inventio Ag Sistema de accionamiento para un dispositivo de traslación con cadena deslizante
JP4495181B2 (ja) * 2007-03-09 2010-06-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ES2299408B1 (es) * 2007-10-18 2009-06-12 Thyssenkrupp Elevator (Es/Pbb) Ltd. Sistema de guiado autoportante para pasillos rodantes.
FI121783B (fi) * 2008-09-22 2011-04-15 Kone Corp Henkilökuljetin
WO2010045800A1 (zh) * 2008-10-21 2010-04-29 苏州市申龙电梯有限公司 可折叠式自动扶梯下水平端转向机构
CN102471036B (zh) * 2009-07-24 2014-09-17 通力股份公司 用于乘客运输器的动力传递系统
JP5276058B2 (ja) * 2010-06-25 2013-08-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WO2012046091A1 (en) * 2010-10-08 2012-04-12 Otis Elevator Company Passenger conveyor with movable lateral panel members
CN102442600A (zh) * 2010-10-08 2012-05-09 苏州帝奥电梯有限公司 自动扶梯梯级主轮与梯级链条的连接结构
WO2012057766A1 (en) * 2010-10-28 2012-05-03 Otis Elevator Company Collapsible truss
JP5611799B2 (ja) * 2010-12-15 2014-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用の踏段
JP5660624B2 (ja) * 2011-06-27 2015-01-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異常検出装置
JP2013139328A (ja) * 2012-01-06 2013-07-18 Hitachi Ltd 傾斜型乗客コンベア
US20150000194A1 (en) * 2013-06-27 2015-01-01 Luke A. Meerman Hydroponic fodder growing system
US9560853B2 (en) * 2014-12-23 2017-02-07 Aleksandr Taslagyan Return flow conveyor device for heating food items
DE102016014358A1 (de) 2016-11-24 2018-05-24 Ulf Meyer Rolltreppe und Stufe für eine Rolltreppe
CN107265274B (zh) * 2017-07-07 2019-03-08 江苏品尚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人行道
EP3569554B1 (en) 2018-05-16 2021-02-24 Otis Elevator Company Drive system for a people conveyor
EP3736240A1 (en) * 2019-05-06 2020-11-11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Conveying system of an escalator
WO2021174300A1 (en) * 2020-03-03 2021-09-10 Russell Mineral Equipment Pty Ltd Non-linear motion eleva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3693A (en) * 1937-05-20 1939-06-27 Otis Elevator Co Moving stairway
US4064986A (en) * 1976-04-30 1977-12-27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scalator having guide wheels and guide track with cooperative non-flat surfaces
JPS6052487A (ja) * 1983-08-30 1985-03-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タ装置
KR920007805B1 (ko) * 1988-06-09 1992-09-17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휠체어 승용계단이 부가된 에스컬레이터
US4883160A (en) * 1989-03-27 1989-11-28 Otis Elevator Company Curved escalator with fixed center constant radius path of travel
JP2695677B2 (ja) * 1989-05-31 1998-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装置
JP2540965B2 (ja) * 1990-01-16 1996-10-09 三菱電機株式会社 中間高速エスカレ―タ―
US5161668A (en) * 1991-07-18 1992-11-10 Montgomery Electric Company Guide mechanism for passenger conveyors
JP2768223B2 (ja) * 1993-01-13 1998-06-2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装置
JP2663826B2 (ja) * 1993-02-09 1997-10-1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装置
KR0167219B1 (ko) * 1996-05-25 1998-12-01 이종수 에스컬레이터의 터미널레일 구조
KR100259498B1 (ko) * 1996-05-25 2000-07-01 이종수 에스컬레이터의 터미널레일 구조
KR100186368B1 (ko) * 1996-10-22 1999-04-15 이종수 에스컬레이터의 터미널레일 구조
JP4235296B2 (ja) * 1998-12-14 2009-03-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US6390270B1 (en) * 1999-04-26 2002-05-21 Hitachi, Ltd. Esca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59705B2 (en) 2007-01-09
DE60135013D1 (de) 2008-09-04
EP1338548A1 (en) 2003-08-27
JP4688276B2 (ja) 2011-05-25
CN1394189A (zh) 2003-01-29
US20040099503A1 (en) 2004-05-27
EP1338548A4 (en) 2006-06-07
TW593115B (en) 2004-06-21
KR20020074472A (ko) 2002-09-30
WO2002038483A1 (fr) 2002-05-16
CN1251958C (zh) 2006-04-19
EP1338548B1 (en) 2008-07-23
JP2002145568A (ja) 200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970B1 (ko) 승객 컨베이어 장치
US20070007106A1 (en) Conveyer apparatus
EP1454869B1 (en) Passenger conveyor
CN100395168C (zh) 乘客传送装置
KR100402812B1 (ko) 승객 운송 장치
GB2131760A (en) Elevator arrangement
JP2008222341A (ja) 乗客コンベア
JP4982063B2 (ja) 乗客コンベア
JP3318749B2 (ja) 高速エスカレータ装置
JP4848327B2 (ja) 乗客コンベア
JP4326076B2 (ja) マンコンベア
JP4303840B2 (ja) 乗客コンベヤ装置
CN1315714C (zh) 乘客输送设备
JP2653552B2 (ja) 中間加速マンコンベア
JP3978030B2 (ja) 乗客コンベア
JP3811622B2 (ja) 傾斜型乗客コンベア
JP3978031B2 (ja) 乗客コンベア装置
JP2799085B2 (ja) 中間加速マンコンベヤ
JPS6129313B2 (ko)
JP2003212462A (ja)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ー
JPWO2002032802A1 (ja) 乗客コンベア
JP2000203781A (ja) エスカレ―タの設置構造
WO2003074412A1 (fr) Dispositif de transport de passagers
JP2000264562A (ja) エスカレータの設置構造
JP2002316783A (ja) 乗客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