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633B1 -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633B1
KR100483633B1 KR10-2003-7009595A KR20037009595A KR100483633B1 KR 100483633 B1 KR100483633 B1 KR 100483633B1 KR 20037009595 A KR20037009595 A KR 20037009595A KR 100483633 B1 KR100483633 B1 KR 100483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r
balance weight
balance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9220A (ko
Inventor
아야노히데끼
이나바히로미
야마또이꾸오
모리가즈히사
나구라히로까즈
야마모또고오끼
호까리사다오
후지노아쯔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69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6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풀리(13)를 거쳐서 현수된 카(12) 및 균형 추(11)와, 상기 카(12) 및/또는 상기 균형 추(11)에 설치된 전지(111, 121)와, 상기 카(12)가 특정된 층상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전지(111, 121)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전력을 공급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조건을 충족하였을 때, 상기 카(12)를 상기 특정한 층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였다.
이에 의해, 카(12) 또는 균형 추(11)에 탑재된 전지(111, 121)에 적절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ELEVATOR}
본 발명은, 전지를 카 또는 균형 추에 탑재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로서 일본 특허 공개 소57-121568호 공보가 있다.
이 종래 기술은, 균형 추에 선형 전동기, 인버터, 전지, 충전기를 탑재하여 균형 추가 바닥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에 충전기, 전지, 인버터를 거쳐서 선형 전동기에 급전하는 것이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이용 상황에 따라서는 균형 추가 바닥 위치에 정지하지 않는 경우가 고려되고, 이 경우에는 균형 추에 탑재된 전지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분야는 아니지만, 일본 특허 공개 평7-8428호 공보에는 자주식 청소 로봇의 전지가 소모되면, 청소 로봇이 충전 장치를 향해 이동하여 충전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일본 특허 공개 평7-8428호 공보와 같은 종래 기술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7-23151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4-813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83125호 공보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호기 제어 장치(2A)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호기 제어 장치의 처리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호기 제어 장치의 처리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군관리 제어 장치(1)의 블럭도이다.
도6은 군관리 제어 장치(1)의 처리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7은 표시 장치(10)의 표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제3 실시예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11은 균형 추측 급전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카 급전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충전기 접속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 또는 균형 추에 탑재된 전지에 적절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면은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카 및 균형 추와,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에 설치된 전지와, 상기 카가 특정된 층상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전력을 공급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조건을 충족하였을 때 상기 카를 상기 특정한 층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지가 끊어지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군관리 제어 장치(1), 이 군관리 제어 장치의 하위 제어 장치인 호기 제어 장치(2A 내지 2C), 이 호기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1 내지 3 호기(3A 내지 3C)를 구비하고 있다.
호기 제어 장치(2A 내지 2C)는, 각 호기(3A 내지 3C)의 정보를 군관리 제어 장치(1)로 송신하고, 군관리 제어 장치(1)는 이 송신된 정보를 기초로 호기 제어 장치(2A 내지 2C)를 제어한다.
각 호기의 승강로측에는 상용 전원(41 내지 44), 이 상용 전원의 전력을 직류 또는 교류로 변환하는 충전기(51 내지 54), 이 충전기(51 내지 54)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61 내지 64), 급전자(71 내지 74), 위치 센서(81 내지 84)로 구성되는 충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센서(81 내지 84)는 이동 부재[균형 추(11) 또는 카(12)]가 소정 위치 즉 충전 가능한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소정 위치에 있을 때, 충전 개시 신호를 상기 제어 회로(61 내지 64)에 출력한다. 제어 회로(61 내지 64)는 이 신호를 받아 충전기(51 내지 54)를 제어하여 급전자(71 내지 74)를 거쳐서, 상기 이동 부재측에 전력을 공급한다.
위치 센서(81 내지 84)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가 소정 위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검지하였을 때, 제어 회로(61 내지 64)는 충전기(51 내지 54)의 기능을 정지시킨다.
균형 추측의 승강로에 설치된 충전 장치는, 기준층과 최하층에 배치되어 카측의 승강로에 설치된 충전 장치는 최상층과 기준층에 배치되어 있다.
각 층의 홀측에는, 홀 호출 버튼(9)과 표시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 장치(10)에는 균형 추(11)의 전지(111) 또는 카(12)의 전지(121) 상태가 표시된다.
각 호기(3A 내지 3C)에는 균형 추(11)와 카(12)가 풀리(13)를 거쳐서 현수되어 있다.
균형 추(11)에는 전지(111), 이 전지(111)에 접속된 인버터(112), 이 인버터(112)의 교류측에 접속되고, 인버터(112)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113), 수전자(114), 전지(111)의 잔량을 검출하는 전지 상태 검출 장치(115), 신호 송수신 장치(116)가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113)에 풀리(117)가 접속되어 모터가 구동됨으로써 풀리(117)가 회전하여, 균형 추(11)를 상하로 구동한다. 인버터(112)는 호기 제어 장치(2A)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제어 신호는 신호 송수신 장치(115)가 무선으로 수신되어 인버터(112)에 출력한다.
충전 장치의 급전자(71, 72)와 수전자(114)는 유전율이 높은 금속으로 구성되고, 서로가 직접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충전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수전자(114)를 거쳐서 전지(111)에 공급된다. 여기서, 충전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교류인 경우에는, 수전자(114)와 전지(111) 사이에 정류기를 부착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전지 상태 검출 장치(115)로 검출된 값은, 신호 송수신 장치(116)를 거쳐서 호기 제어 장치(2A)로 송신된다. 호기 제어 장치(2A)에서는 전지(111)의 잔량이 미리 정한 기준치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잔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충전 운전 모드를 자동적으로 기동하는 운전 지령을 출력한다. 여기서, 충전 운전 모드라 함은, 균형 추(11)가 충전 장치 설치층에 정지할 때에, 카(12)가 정지되는 층의「호출」을 발생하는 것이다.
이「호출」은 카 호출 및 홀 호출 중 어느 쪽이라도 좋다.
상기 기준치는 충전 장치 설치층까지 운전할 수 있는 양보다도 커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균형 추(11)는 전지(111)가 완전히 소모되기 전에, 충전 장치 설치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치를 균형 추(11)가 최상층과 최하층 사이를 한 번 왕복할 수 있고, 또한 충전 장치까지 운전할 수 있는 양보다도 커지도록 설정해도 좋다. 이 경우는 승객이 탑승하고 있는 경우에 전지 잔량이 기준치를 하회한 때라도, 승객이 요구하는 층으로 운전할 수 있고, 또한 전지(111)가 완전 소모되기 전에 충전 장치 설치층으로 운전할 수 있다.
또, 전지(111)의 잔량은 전지(111)의 전압 또는 전지에 유출입하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다.
카(12)에는 전지(121), 이 전지(121)에 접속된 인버터(122), 이 인버터(122)에 접속된 공조(空調)(1231), 조명(1232), 조작반(1233), 수전자(123), 전지(121)의 잔량을 검출하는 전지 상태 검출 장치(125) 및 신호 송수신 장치(116)가 탑재되어 있다.
인버터(122)는 호기 제어 장치(2A)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제어 신호는 신호 송수신 장치(125)가 무선으로 수신되어 인버터(122)에 출력한다.
충전 장치의 급전자(73, 74)와 수전자(124)는 유전율이 높은 금속으로 구성되고, 서로가 직접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충전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수전자(124)를 거쳐서 전지(121)에 공급된다. 여기서, 충전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교류인 경우에는, 수전자(124)와 전지(121) 사이에 정류기를 부착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전지 상태 검출 장치(125)에서 검출된 값은, 신호 송수신 장치(126)를 거쳐서 호기 제어 장치(2A)로 송신된다. 호기 제어 장치(2A)에서는 전지(121)의 잔량이 미리 정한 기준치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잔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충전 운전 모드를 자동적으로 기동하는 운전 지령을 출력한다. 여기서, 충전 운전 모드라 함은, 카(12)에 전력을 급전하는 충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층의「호출」을 발생하는 것이다.
이「호출」은 카 호출 및 홀 호출 중 어느 쪽이라도 좋다.
상기 기준치의 설정은 상술한 균형 추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지(121) 잔량의 검출 방법도, 상술한 균형 추와 마찬가지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호기 제어 장치(2A)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구성에 대해, 도3, 도4에 도시한 흐름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균형 추(11) 및 카(12)에 탑재한 전지 상태 검출기(115, 126)로 전지 잔량을 검출하고(스텝 S1), 전지 잔량에 관한 정보가 호기 제어 장치(2A)로 송신된다. 이 송신된 전지 잔량 정보는 전지 상태 표시 회로(23)와 충전/표시/교환 요구 발생부(21)에 입력된다. 전지 상태 표시 회로(23)는 검출된 전지 잔량을 표시 장치(10)에 표시한다(스텝 S2, S3). 충전/표시/교환 요구 발생부(21)에서는 설정치 데이터 기억부(22)에 기억된 기준 전지 잔량과 검출된 전지 잔량을 비교하여, 기준 전지 잔량보다 작으면, 표시 요구와 충전 요구를 발생한다. 기준 잔량보다 크면, 스텝 S1로 복귀한다(스텝 S4, S5, S6). 상기 표시 요구는 전지 상태 표시 회로(23)에 입력되고, 전지 상태 표시 회로는「충전이 필요」하다는 취지를 표시 장치(10)에 표시한다(스텝 S3).
상기 충전 요구가 발생하면 충전층에의「호출」을 발생한다(스텝 S11).
또, 충전층이라 함은, 균형 추의 경우, 균형 추가 충전 장치 설치층에 정지했을 때에 카가 정지되는 층을 말하고, 카의 경우는 충전 장치가 설치된 층을 말한다.
여기서, 충전/표시/교환 요구 발생부(21)는 충전 요구 발생 횟수를 카운트하고 있다(스텝 S7). 이 충전 요구 횟수가 기준치 데이터에 저장된 기준 충전 횟수 이상이 되면 전지(111, 121)의 교환 요구를 발생한다(스텝 S8, S9). 이 교환 요구는 보수 회사로 송신된다(스텝 S10).
스텝 S11에서 발생한「호출」은 속도 지령 발생부(24)에 입력되고, 속도 지령 발생부(24)는 충전층으로 저속 운전하는 지령을 균형 추(11)에 탑재된 인버터(112)에 출력한다(스텝 S12). 이 지령을 받아, 인버터(112)는 모터(113)를 구동하여 저속으로 급전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킨다.
충전층에 도착하면, 공급 장치로부터 균형 추(11) 또는 카(12)측으로 전력을 공급한다(스텝 14). 충전량은 제어 회로(61 내지 6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충전량 계산 회로(27)에서 계산된다(스텝 S15). 이 계산된 충전량은 분산 대기 0R 기준층 귀착 지령 발생부(26)에 입력되고, 이 지령 발생부(26)에서 충전 완료라 판단되면, 분산 대기 또는 기준층 귀착 지령을 속도 지령 발생부(24)에 출력한다(스텝 S16). 속도 지령 발생부(24)는 이 지령에 의거하여, 인버터(112)에 지령을 송신하고, 엘리베이터를 분산 대기 또는 기준층으로 귀착시킨다.
다음에, 손님이 홀 호출 버튼을 누른 경우의 흐름에 대해 도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손님이 홀 호출 버튼을 누른 경우(스텝 S18), 운전 판단 회로(25)에서 충전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9). 또, 운전 판단 회로(25)는 상기 충전량 계산 회로(61 내지 64)로부터 충전량을 입력하고 있다. 충전 중이 아니면, 운전 판단 회로(25)는 요구층으로의「호출」을 발생하고(스텝 S21), 이「호출」에 의거하여 속도 지령 발생부(24)는 상기 인버터(112)에 지령을 송신하고, 엘리베이터를 요구층으로 이동시킨다(스텝 S22).
스텝 19에서 충전 중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충전량 계산 회로(27)로부터 얻게 되는 충전 정보와「호출」이 발생한 층의 정보로부터, 운전 판단 회로(25)에서 운전이 가능하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가능한 경우는 요구층으로의「호출」을 발생하여(스텝 S21), 전술한 스텝 22로 이행한다.
운전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는 전지 상태 표시 회로(23)에 지령을 보내어, 표시 장치(10)에「충전 중」인 취지를 표시한다(스텝 S23).
다음에 군관리 제어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5는 군관리 제어 장치(1)의 블럭도이다.
군관리 제어 장치(1)는 홀 호출 버튼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집하는 홀 호출 수집부(52), 각 호기를 거쳐서 전지 정보를 수집하는 전지 정보 수집부(51), 각 호기를 거쳐서 카 호출 및 카 위치 등의 카 정보를 수집하는 카 정보 수집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할당부(54)에서는 전지 정보 수집부(51), 홀 호출 수집부, 카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정보에 의거하여, 서비스하는 카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전지 잔량이 적은 호기의 카보다도, 전지 잔량이 큰 호기의 엘리베이터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군관리 제어 장치(1)는 충전 모드 예측부(55), 제1 기준치 기억부(56), 제2 기준치 기억부(57), 충전/표시 요구 발생부(58), 표시 회로(59)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기준치 기억부에 저장된 제1 기준치는, 도2에 도시한 설정치 기억부(22)에 저장된 기준치와 동일한 데이터이며, 이 기준치보다도 전지 잔량이 작아지면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제2 기준치 기억부(57)에 저장된 제2 기준치는 상기 제1 기준치보다도 큰 값이다.
충전 모드 예측부에서는 전지 잔량 수집부(51)로부터 입력되는 전지 잔량의 정보와, 제1 기준치 기억부(56)에 저장된 제1 기준치 및 제2 기준치 기억부(57)에 저장된 제2 기준치를 비교하여, 곧 충전 모드로 돌입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된 결과는 충전/표시 요구 발생부(58)에 입력된다. 복수 호기가 곧 충전 모드로 돌입하는 것이 예측된 경우는, 충전/표시 요구 발생부(58)는 충전층의「호출」을 발생시키고, 곧 충전 모드로 돌입하는 복수 호기 중 하나의 호기의 호기 제어 장치에 이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충전/표시 회로(59)의 신호에 의거하여, 곧 충전 모드로 돌입하는 것을 표시한다. 또는, 충전 모드로 돌입하는 것을 표시한다.
다음에, 군관리 제어 장치(1)의 처리 흐름에 대해, 도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지 잔량 수집부(51), 홀 호출 수집부(52), 카 정보 수집부(53)에 의해, 전지 정보, 홀 호출 정보, 카 정보가 수집된다(스텝 S61). 다음에, 「홀 호출」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홀 호출」이 없으면 스텝 61로 이행하고,「홀 호출」이 있으면 스텝 S63으로 이행한다. 할당부(54)에서는 스텝 S61에서 수집한 정보에 의거하여「홀 호출」에 대해 서비스해야 할 가장 적합한 호기를 선택한다(스텝 S63).
스텝 64에서는, 어느 한 호기에 있어서, 전지 잔량이 제1 기준치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충전 운전을 개시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어느 한 호기에 있어서, 전지 잔량이 제1 기준치 이하라고 판단되면, 그 호기는 충전 운전을 개시한다. 이 충전 운전은 군관리 제어 장치(1)의 충전/표시 요구 발생부(58)로부터「호출」을 발생시키고, 이「호출」신호를 그 호기 제어 장치의 속도 지령 발생부로 송신하여 행한다(스텝 67).
또한, 어느 한 호기에 있어서도, 전지 잔량이 제1 기준치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스텝 65로 이행한다.
스텝 65에서는, 복수 호기의 전지 잔량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제2 기준치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복수대의 호기가 충전을 동시에 개시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스텝 65).
복수 호기의 전지 잔량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제2 기준치 이하인 경우는, 동시에 복수 호기가 충전되지 않도록, 어느 한 쪽의 호기에 대해 충전 운전을 개시한다. 이 충전 운전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군관리 제어 장치(1)의 충전/표시 요구 발생부(58)로부터「호출」을 발생시키고, 이「호출」신호를 그 호기 제어 장치의 속도 지령 발생부로 송신하여 행한다(스텝 66).
복수 호기의 전지 잔량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제2 기준치 이하가 아닌 경우는, 스텝 61로 이행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10)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의 (a)는, 도1에 도시한 층 부분의 상세도이다. 엘리베이터 도어(72), 엘리베이터 도어(2)의 정보에 설치되어, 동기 층상 운전 방향을 나타낸 표시 장치(71) 및 전지 상태를 나타낸 표시 장치(1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장치(10)에는 전지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 전지의 정보는, 도1에 도시한 신호 송수신 장치(116, 126)로부터 호기 제어 장치에 입력되고, 이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호기 제어 장치의 전지 상태 표시 회로(23)가 표시 장치(10)에 전지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지가 충전 중인 경우에는 도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에 "조정 중", "충전 중", "준비 중" 등, 충전 동작 중인 것을 의미하는 표시를 행한다.
또한, 도2에 도시한 충전/표시/교환 요구 발생부(21)에서, 전지의 교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도3에 도시한 스텝 S9)는, 전지 상태 표시 회로(23)는 도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에 "전지 교환요" "전지를 교환해 주십시오" 등의 전지 교환을 재촉하는 표시를 행한다.
또한, 군관리 제어 장치(1)에서 복수 호기의 전지 잔량이 제1 기준치 이상이고 제2 기준치 이하라 판단된 경우는, 표시 회로(59)가 표시 장치(10)를 제어하고, 도7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 임박" "이제 곧 충전을 개시합니다" 등, 곧 충전 운전을 개시하는 것을 의미하는 표시를 행한다.
또한, 군관리 제어 장치에 있어서도, 전지 잔량이 제1 기준치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 표시 장치(10)는 도7의 (b)에 나타낸 표시를 행한다.
또, 도7의 (a) 내지 도7의 (d)에 나타낸 표시를 표시 장치(71)에 행해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은 표시를 행함으로써, 이용객의 불안 및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데다가, 전지 교환 정보를 표시하는 등의 보수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전지 상태 표시 장치를 동기 층상이나 운전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 장치와 일체화하거나, 혹은 홀 호출 버튼 장치와 일체화해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표시에 의해, 이용객은 충전 중인 것을 인식할 수 있어 불안감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충전 중은 동기 층상이나 운전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 장치(71), 혹은 표시 장치(10)의 표시를 꺼 버림으로써, 충전 중이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도7에 나타낸 표시는 이용객이 홀 호출 버튼을 눌렀을 때에만 반응하는 것이라도 좋고, 이 경우에는 소비 전력이 작아진다. 또한, 만일의 경우를 상정하여 카실의 표시 기기에 표시하거나, 혹은 표시뿐만이 아니라 음성에 의한 전달 수단을 병용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전지 잔량이 기준치 이하가 되었을 때, 급전층의「호출」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호출」이라 함은, 통상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사람이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용자가 존재하는 층을 명시하고, 아울러 승차 후의 운전 방향이나 정지 희망층 등을 나타내는 운전 예약이다. 즉, 다른 층으로의「호출」에 대한 운전 동작 중에 특정층으로의「호출」이 발생해도, 즉시 특정층을 향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층으로의 운전 동작을 종료시킨 후에 특정층으로의 운전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객이 발생하는 것과는 다른「호출」을 전지 잔량에 기인하여 발생시키고 있으므로, 강제적으로 급전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키는 것에 비교하여, 이용객에게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급전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 내의 전원 및 균형 추로의 전원으로서 전지를 사용하고, 그 전지로의 급전을 특정층에서 급전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전원용의 테일 코드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어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데다가, 테일 코드의 동요에 수반하는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리 부착 승강로에 있어서는 외관이 아름답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에 의거하여 전력 공급을 행하고 있으므로, 전력 공급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장치를 기준층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급전 기회를 많이 얻을 수 있어 전지의 완전 소모가 되기 어려운 데다가, 전지의 대폭적인 충방전이 억제되므로, 전지의 수명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균형 추측으로 급전하는 충전 장치를 하층에 배치하고, 카측으로 공급하는 충전 장치를 상층에 설치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균형 추측으로 급전하는 충전 장치를 최하층에 배치하고, 카측으로 공급하는 충전 장치를 최상층에 설치하고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승객이 탑승 또는 적은 경우는, 카는 상층으로, 균형 추는 하층으로 이동하는 쪽이 작은 구동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만원이 되어 운전하는 기회보다도 소수인의 승객으로 운전하는 기회 쪽이 많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은 충전 장치의 배치로 함으로써, 충전 운전시의 소비 전력을 줄여 전지의 완전 소모가 될 가능성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에「전지 잔량」을 표시하기 때문에, 빌딩 관리인은 각 호기의 전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에「충전 중」이라고 표시하므로, 엘리베이터가 기동하고 있지 않아도 이용객에게 고장인지의 여부의 불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대의 엘리베이터가 충전 운전이 되는 경우, 미리 1대의 엘리베이터를 충전 운전시키므로, 복수대 동시의 충전 운전을 피할 수 있어 동시 충전에 의한 운반 효율의 현저한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균형 추(11) 및 카(12)의 전지(111, 121)의 전지 잔량을 직접 검출하고 있었지만, 제2 실시예는 운행 데이터로부터 전지 상태를 추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실시예에 운행 이력 기억부(81)와 전지 상태 연산부(82)를 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운행 이력 기억부(81)는 속도 지령 발생부(24)보다 운행 횟수 및 운행 거리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한다. 또한, 카(12)로부터 적재 중량의 정보를 입력하고, 그 정보를 기억한다.
전지 상태 연산부(82)에서는 상기 운행 횟수, 운행 거리, 적재 중량으로부터 전지 잔량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추정 전지 잔량을 K1 × (운행 횟수) + K2 × (운행거리) + K3 × (적재 중량)
(Kl, K2, K3 : 무게 계수)
로서 추정한다.
이 추정된 추정 전지 잔량이 미리 정한 기준치 이하일 때 충전 운전을 행하는 등의 이후의 처리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운행 데이터에 의거하여 전지 잔량을 추정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니켈 수소 전지와 같이 전지 전압의 변화 폭이 작은 전지를 채용해도, 적절하게 충전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지 잔량을 검출하여 그 검출된 값을 무선으로 호기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경우, 균형 추 또는 카의 이동에 의해 호기 제어 장치와의 무선 거리가 길어지거나 또는 짧아지거나 한다. 그로 인해, 무선 거리가 길어짐으로써 호기 제어 장치로 전지 잔량을 파악할 수 없어, 충전 운전을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운행 데이터에 의거하여 전지 잔량을 추정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아, 적절하게 충전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제2 실시예에서는 균형 추(11) 및 카(12)의 전지(111, 121)의 전지 잔량을 검출 또는 추정하고 있었지만, 제3 실시예는 미리 정한 시간에 충전 운전을 개시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실시예에 운전 패턴 데이터 베이스(91), 내부 시계(92), 충전량 사령부(93)를 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미리 매일의 운전 패턴을 알고 있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무실 빌딩에서는 아침 저녁의 출퇴근시와 점심 식사 후의 휴식 시간에는 가동율이 높아지지만, 야간의 가동율은 매우 낮다. 또한, 일요일의 가동율도 다른 요일에 비해 매우 낮다. 또한, 여름철의 가동율은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아진다.
이러한 특징을 데이터 베이스로서, 운전 패턴 데이터 베이스(91)에 구비하고 있다. 즉, 아침 저녁의 출퇴근시의 전, 점심 식사 후의 휴식 시간 전의 시간대, 야간에 충전 운전을 개시하는 운전 패턴을 운전 패턴 데이터 베이스(91)에 저장한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가동율이 높은 낮에는, 전지의 완전 방지를 우선하여 큰 충전 전류로 충전을 행하는 급속 충전 모드로 하고, 가동율이 낮은 야간에는 전지 수명의 연장을 겨낭하여 작은 충전 전류로 충전 동작을 행하는 야간(저속) 충전 모드로 하는 운전 패턴을 운전 패턴 데이터 페이스(91)에 저장한다.
충전/표시/교환 요구 발생부(21)는, 운전 패턴 데이터 베이스(91)의 운전 패턴과 내부 시계(92)로부터 입력된 시간에 의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호출」을 발생시킨다.
충전량 사령부(93)도, 운전 패턴 데이터 베이스(91)의 운전 패턴과 내부 시계(92)로부터 입력된 시간에 의거하여, 충전량, 충전할 때의 전류의 크기, 충전 시간을 결정하여, 이 결정된 사항을 제어 회로(61)로 송신한다. 제어 회로(61)는 송신된 신호에 의거하여 충전을 제어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처리 흐름에 대해, 도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0은 제3 실시예의 처리 흐름도이다.
또, 스텝 S3, S5 내지 S17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101에 있어서, 설정 시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충전 운전을 개시하는 시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표시/교환 요구 발생부(21)가 운전 패턴 데이터 베이스(91)의 운전 패턴과 내부 시계(92)로부터 입력된 시간에 의거하여 판단한다.
설정 시간이 아니면, 다시 스텝 101로 이행한다.
설정 시간이면, 스텝 S5, S6, S102로 이행한다.
스텝 S5, S6 이후의 처리 흐름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도3에 도시한 흐름)와 마찬가지므로 생략한다.
스텝 102에서는 충전 형식을 지령한다. 즉, 충전량 사령부(93)가 운전 패턴 데이터 베이스(91)의 운전 패턴과 내부 시계(92)로부터 입력된 시간에 의거하여, 충전량, 충전할 때의 전류의 크기, 및 충전 시간을 결정하고, 이 결정된 사항을 제어 회로(61)로 송신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이용 상태에 따라서 충전할 때의 충전 전류를 작게 하거나 하므로, 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1에 도시한 균형 추측 급전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은, 균형 추측 급전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전 방식을 비접촉 급전 방식으로 하고 있다.
교류 전원(41), 충전기(51), 제어 회로(61), 위치 센서(81), 전지(111), 인버터(112), 모터(113), 전지 상태 검출 장치(115), 신호 송수신 장치(116)는 도1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접촉 급전용 급전자(1101) 및 비접촉 전원용 수전자(1102)를 채용하고, 이 급전자(1101) 및 수전자(1102)는 페라이트 등의 고주파에 의한 에너지 수수가 가능한 자성체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전지(111)와 비접촉 급전용 수전자(1102) 사이에는 정류기(1103)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정류기와 비접촉 급전용 수전자 사이에 컨덴서를 접속해도 좋다.
비접촉 급전용 수전자(1102)와 비접촉 전원용 급전자(1101)가 대향하였을 때에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해, 충전기(51)로부터 전지(111)로 전력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비접촉 급전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수전자 및 급전자의 녹 등에 의한 부식 혹은 마찰 등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어, 접촉에 의한 소음도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도1에 도시한 카측 급전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2는, 카 급전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전 방식을 비접촉 급전 방식으로 하고 있다.
교류 전원(44), 충전기(54), 제어 회로(64), 전지(121), 인버터(122), 공조(1231), 조명(1232), 카내 조작반(1233), 전지 상태 검출 장치(125), 신호 송수신 장치(126)는 도1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접촉 급전용 수전자(1202) 및 비접촉 전원용 급전자(120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전자(1202) 및 급전자(1201)는, 페라이트 등의 고주파에 의한 에너지 수수가 가능한 자성체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전지(121)와 비접촉 급전용 수전자(1202) 사이에는 정류기(1203)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정류기와 비접촉 급전용 수전자 사이에 컨덴서를 접속해도 좋다.
비접촉 급전용 수전자(1202)와 비접촉 전원용 급전자(1201)가 대향하였을 때에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해, 충전기(54)로부터 전지(121)로 전력이 공급된다.
비접촉 급전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수전자 및 급전자의 녹 등에 의한 부식 혹은 마찰 등에 의한 열화를 방지시킬 수 있어, 접촉에 의한 소음도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13은 충전기의 접속법이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각 호기를 위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1에 있어서는, 각 호기의 각 급전자에 대해 하나씩 충전기를 설치하고 있다. 그에 반해 도13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충전을 하나의 충전기로 행하는 예이다.
하나의 충전기(5)에 대해, 1 호기용의 급전자(7a), 2 호기용의 급전자(7b), 3 호기용의 급전자(7c)가 접속되어 있다. 1 호기의 이동 부재(카 또는 균형 추)(1302a)에는 전지(1303a)가 탑재되고, 이 전지(1303a)에는 수전자(11a)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2 호기의 이동 부재(카 또는 균형 추)(1302b)에는 전지(1303b)가 탑재되고, 이 전지(1303b)에는 수전자(11b)가 접속되어 있다. 3 호기의 이동 부재(카 또는 균형 추)(1302c)에는 전지(1303c)가 탑재되고, 이 전지(1303c)에는 수전자(11c)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충전기(5)와 각 급전자(7a 내지 7c) 사이에 절환 스위치(1301a 내지 1301c)를 설치하고, 충전을 행하고 있지 않은 급전자의 회로를 분리하는 기능을 더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의 수에 대해 충전기(5)의 수를 줄일 수 있어, 공간 절약화 및 비용 저감에 효과가 있다.
또한, 절환 스위치를 설치하여, 충전을 행하고 있지 않은 급전자의 회로를 떼어 냄으로써, 누설 자속을 억제시킬 수 있어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카 및 균형 추와,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에 설치된 전지와,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전력을 공급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조건을 충족하였을 때,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를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공급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2.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카 및 균형 추와,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에 설치된 전지와,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전지 잔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잔량이 소정치 이하일 때,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를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공급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3.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카 및 균형 추와,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에 설치된 전지와,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전력을 공급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설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를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공급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4.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카 및 균형 추와,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에 설치된 전지와,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엘리베이터의 운행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전지 잔량을 추정하는 수단과,
    상기 추정된 잔량이 소정치 이하일 때,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를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공급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수단은 상기 특정 층상의 홀 호출 또는 카 호출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6.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카와 균형 추와,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에 설치된 전지 및 이 전지에 접속된 부하와,
    상기 카가 특정한 층상 또는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전지 상태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7.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카 및 균형 추와,
    상기 카에 설치된 제1 전지와,
    상기 균형 추에 설치된 제2 전지와,
    상기 제1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공급 수단과,
    상기 제1 공급 수단보다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8.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카 및 균형 추와,
    상기 카에 설치된 제1 전지와,
    상기 균형 추에 설치된 제2 전지와,
    상기 카가 최상층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제1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공급 수단과,
    상기 균형 추가 최하층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제2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공급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9. 복수의 층상을 각각 서비스하는 복수의 카와,
    상기 각각의 카와 승강로 상부의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균형 추와,
    상기 균형 추 및/또는 카에 설치된 전지와,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전력을 공급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조건을 충족하였을 때,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를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공급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과,
    홀 호출에 대해 서비스하는 카를, 상기 전지 상태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0.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카와 균형 추와,
    상기 카 또는 상기 균형 추에 설치된 전지와,
    상기 카가 특정된 층상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이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카 또는 균형 추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인위적인 조작에 의한 카 호출 또는 홀 호출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상기 특정층으로 상기 카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 이동시키는 수단은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발생한 카 호출 또는 홀 호출에 의해 이동하는 카의 속도보다 저속으로, 상기 특정층으로 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1.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카 및 균형 추와,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에 설치된 전지와,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전지 잔량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와,
    상기 검출 장치에서 검출된 잔량이 소정치 이하일 때,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를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특정한 층상의 홀 호출 또는 카 호출을 발생시키는 장치와,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와,
    이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위치가 상기 소정의 위치였던 경우에 상기 공급 장치에 충전 개시 지령을 출력하고, 검출된 위치가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는 상기 공급 장치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2. 복수의 층상을 각각 서비스하는 카 및 이 카와 승강로 상부의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균형 추를 갖는 호기를 복수대 구비하고,
    각 호기마다 상기 균형 추 및/또는 카에 설치된 전지와,
    상기 전지 잔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제1 기준치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제1 기준치보다 큰 제2 기준치를 설정하는 수단과,
    복수 호기의 전지 잔량이 상기 제1 기준치 이상이고 상기 제2 기준치 이하일 때, 적어도 한 쪽 호기의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3.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카 및 균형 추와,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에 설치된 전지와,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전력을 공급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조건을 충족하였을 때,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를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가 상기 소정의 위치였던 경우에 상기 공급 수단에 충전 개시 지령을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4.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카 및 균형 추와,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에 설치된 전지와,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전지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전력을 공급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조건을 충족하였을 때,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를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가 상기 소정의 위치였던 경우에 상기 공급 수단에 충전 개시 지령을 출력하고, 검출된 위치가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는 상기 공급 수단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5.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카 및 균형 추와,
    상기 균형 추에 전력을 수전하는 수전 수단, 이 수전한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 및 이 인버터의 교류측에 접속되어 상기 균형 추를 상하로 구동하는 모터를 탑재하고,
    상기 균형 추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수전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전력을 공급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조건을 충족하였을 때, 상기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균형 추를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균형 추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공급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6. 복수의 층상을 각각 서비스하는 복수의 카와,
    상기 각각의 카와 승강로 상부의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균형 추와,
    상기 균형 추에 설치된 전지와,
    상기 균형 추에 설치되어, 상기 전지의 전력에 의해 상기 균형 추를 상하로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잔량이 많은 전지를 설치한 균형 추와 상기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카를, 홀 호출에 대해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7. 복수의 층상을 각각 서비스하는 카 및 이 카와 승강로 상부의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균형 추를 갖는 호기를 복수대 구비하고,
    각 호기마다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에 설치된 전지 및 이 전지에 접속된 부하와,
    상기 전지 및 상기 부하에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전지 잔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전지 및 상기 부하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제1 기준치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제1 기준치보다 큰 제2 기준치를 설정하는 수단과,
    복수 호기의 전지 잔량이 상기 제1 기준치 이상이고 상기 제2 기준치 이하일 때, 적어도 한 쪽 호기의 상기 전지 및 상기 부하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를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공급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8.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풀리를 거쳐서 현수된 카 및 균형 추와,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에 설치된 전지와,
    승강로에 설치되어 급전자, 충전기 및 이 충전기의 제어 회로로 구성된 충전 장치와,
    전지 상태 검출 장치와,
    상기 전지가 설치된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의 위치 센서를 갖고,
    상기 전지 상태 검출 장치로 검출된 전지 잔량이 소정치 이하일 때, 상기 전지가 설치된 상기 카 및/또는 상기 균형 추를, 상기 전지가 충전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위치 센서로 검출된 위치가 상기 충전 가능 위치였던 경우에 상기 충전기에 충전 개시 지령을 출력하고, 상기 위치 센서로 검출된 위치가 상기 충전 가능 위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는 상기 충전기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KR10-2003-7009595A 2001-01-19 2001-01-19 엘리베이터 KR100483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0341 WO2002057171A1 (fr) 2001-01-19 2001-01-19 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220A KR20030069220A (ko) 2003-08-25
KR100483633B1 true KR100483633B1 (ko) 2005-04-19

Family

ID=1173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595A KR100483633B1 (ko) 2001-01-19 2001-01-19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354837B1 (ko)
JP (1) JP4122973B2 (ko)
KR (1) KR100483633B1 (ko)
CN (1) CN1248944C (ko)
DE (1) DE60134176D1 (ko)
WO (1) WO20020571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876B1 (ko) 2010-01-29 2014-03-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급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88B1 (ko) 2005-04-01 2010-07-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급전 시스템
JP4406442B2 (ja) * 2007-04-13 2010-0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電力制御装置
CN101902081B (zh) * 2010-03-16 2013-10-30 苏州康开电气有限公司 电梯轿厢按楼层非接触式供电装置
JP2012175857A (ja) * 2011-02-23 2012-09-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5777426B2 (ja) * 2011-07-06 2015-09-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JP5800638B2 (ja) * 2011-08-25 2015-10-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5892757B2 (ja) * 2011-09-27 2016-03-2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5800650B2 (ja) * 2011-09-27 2015-10-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接触給電システム
WO2016034759A1 (en) * 2014-09-05 2016-03-10 Kone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group
JP6543210B2 (ja) * 2016-03-31 2019-07-10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US10214387B2 (en) 2016-05-13 2019-02-26 Otis Elevator Company Magnetic elevator drive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0587180B2 (en) 2016-05-13 2020-03-10 Otis Elevator Company Magnetic elevator drive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696406B2 (ja) * 2016-10-31 2020-05-20 株式会社ダイフク 移載機
JP7062399B2 (ja) * 2017-10-16 2022-05-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接触給電エレベーター
JP7095749B2 (ja) * 2018-11-14 2022-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EP3705434A1 (en) * 2019-03-07 2020-09-09 KONE Corporation Elevator call allocation based on charge information and cell imbalance of an energy storage
EP3705436A1 (en) * 2019-03-07 2020-09-09 KONE Corporation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an elevator car, an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energy stora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6146A (en) * 1977-02-01 1978-08-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Power supply device for elevator cage
FR2491045A1 (fr) * 1980-09-30 1982-04-02 Otis Elevator Co Ascenseur automoteur utilisant comme contrepoids un moteur electrique lineaire
JPH019815Y2 (ko) * 1981-05-08 1989-03-17
JPH0613390B2 (ja) * 1981-10-07 1994-02-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JPS5980358U (ja) * 1982-11-25 1984-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つり合おもりの給電装置
SU1703599A1 (ru) * 1990-01-31 1992-01-07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роектный Институт "Южгипрошахт" Шахтна подъемна установка
JPH0484261U (ko) * 1990-11-30 1992-07-22
JPH05294568A (ja) * 1992-04-22 1993-11-09 Hitachi Ltd エレベータ乗かごの電力供給装置
JPH0616356A (ja) * 1992-07-02 1994-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非常時運転装置
JP2996036B2 (ja) * 1993-01-18 1999-12-27 株式会社ダイフク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JP3073634B2 (ja) * 1993-09-17 2000-08-07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JPH08237890A (ja) * 1995-02-28 1996-09-13 Fuji Electric Co Ltd 自動車への非接触式電力供給装置
JPH09227050A (ja) * 1996-02-23 1997-09-02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非常電源装置用バッテリの残存容量測定装置
WO2000053520A1 (fr) * 1999-03-08 2000-09-14 Hitachi, Ltd. Ascenseur
JP2001251775A (ja) * 2000-03-03 2001-09-1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昇降装置用バッテリの充電装置
JP2001302120A (ja) * 2000-04-18 2001-10-3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1302152A (ja) * 2000-04-26 2001-10-3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876B1 (ko) 2010-01-29 2014-03-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급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54837A1 (en) 2003-10-22
DE60134176D1 (de) 2008-07-03
WO2002057171A1 (fr) 2002-07-25
EP1354837B1 (en) 2008-05-21
CN1248944C (zh) 2006-04-05
JP4122973B2 (ja) 2008-07-23
KR20030069220A (ko) 2003-08-25
EP1354837A4 (en) 2004-06-16
CN1482993A (zh) 2004-03-17
JPWO2002057171A1 (ja)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633B1 (ko) 엘리베이터
JP5433050B2 (ja)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電力制御装置
EP1931586B1 (en) Elevator power system
JP4842125B2 (ja) エレベータ用給電システム
EP2323941B1 (en) Elevator and building power system with secondary power supply management
JP5733917B2 (ja) エレベータ電力供給システム
JP5473883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11114887B2 (en) Power system for vertical transportation, method and vertical transportation arrangements
JP2012184117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3431433A2 (en) Elevator car power supply system
CN114174208A (zh) 电梯用无线供电系统以及电梯系统
JP2019156545A (ja) エレベータの非接触給電システム
EP3670417A1 (en) Car to call point wireless power charging
JP4959124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EP3674239B1 (en)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architectures
TW504485B (en) Elevator
CN103863907B (zh) 具备升降机的建筑物的电力系统
WO2022049736A1 (ja)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JP2005324888A (ja) ハイブリッド駆動型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