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424B1 - 문자정보처리장치및문자정보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문자정보처리장치및문자정보처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83424B1 KR100483424B1 KR1019970000051A KR19970000051A KR100483424B1 KR 100483424 B1 KR100483424 B1 KR 100483424B1 KR 1019970000051 A KR1019970000051 A KR 1019970000051A KR 19970000051 A KR19970000051 A KR 19970000051A KR 100483424 B1 KR100483424 B1 KR 1004834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acter
- line
- input
- string
- character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개행이 포함되어져 있지 않은 입력 문자열에서도 균형 좋게 인쇄 또는 표시되도록 한다. 인쇄 영역에 종횡 모두 제약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문자 입력 단계에서 문자 입력의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복잡한 조작을 사용자에게 요구하지 않고, 종횡으로 계약이 있는 인쇄 매체 등에 있어서의 문자열의 비율을 높인다. 입력 문자열의 도트 패턴의 전개 지령시에 있어서, 입력 문자열의 각 행의 길이 정보를 인식하고, 인쇄 매체의 크기에 따라 정해지는 한정 값의 길이를 초과하는 행의 존재를 판별하는 행 길이 판별 수단과, 한정 값을 초과하는 행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 행의 문자열을 2분하여 2행의 문자열로 변경시키는 개행 추가 제어 수단과, 개행이 추가된 후의 문자열을 버퍼에 전개시키는 문자열 전개 수단을 구비한다. 입력 문자열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인쇄 영역의 크기 및 지령된 문자 사이즈에 따라서 각 행의 허용할 수 있는 문자수를 결정하는 행 허용 문자수 결정 수단과, 입력 문자수가 그 행에 허용되어 있는 문자수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 초과하고 있는 문자수 부분과, 초과하고 있지 않은 문자수 부분을 다른 표시 상태로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입력 문자열의 행수가 2행이상인 경우에 각 행에 동일의 문자 사이즈를 할당할 때의 각 행의 길이 정보와 길이 정보의 순서를 얻는 행 길이 산출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소정의 2행의 길이의 비를 1조 이상에 관하여 요구하여 얻어진 비에 기초하여,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조합의 형을 결정하는 사이즈형 결정 수단과, 결정된 형에 기초하여, 각 행의 기본적인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기본 문자 사이즈를 결정 수단과, 각 행에 관하여 그 행의 길이 정보와 기본 문자 사이즈에서 그 행의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문자 사이즈 결정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1행 이상의 문자열을 종횡의 길이에 제약이 있는 인쇄 매체에 전사 또는 인쇄 처리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 수지로 구성된 인면 부재의 입력 문자열에 대응한 부분에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경화시켜(전사시켜) 비경화 부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인장을 작성시키는 인장 작성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 인장 작성의 전문가나 전문 업자이외에도 용이하게 소망의 인장을 작성할 수 있는 인장 작성 장치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평6-27835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 공보 기재의 인장 작성 장치는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1) 소정 파장 성분의 광선(예를 들면 자외선)을 수광한 부분이 다른 부분과 상태가 다르게 되어 있고(예를 들면, 경화한다), 소정 유체와의 작용에 의해 요철면을 형성할 수 있는 수지제 인면 부재와, (2) 인면 부재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모양인 인영 모양의 정보를 정보 처리 수단과, (3) 판독한 인영 모양 정보를 가지는 네가티브 필름을 인쇄 처리를 통하여 작성하는 네가티브 필름 작성 수단과, (4) 작성된 네가티브 필름을 조사 위치에 또는 조사 위치에서 반송하는 네가티브 필름 반송 수단과, (5) 상기 수지계 인면 부재에 상기 소정 파장 성분의 광선을 상기 네가티브 필름을 통하여 조사하는 광선 조사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보는 정보 처리 수단이 판독한 인영 모양 정보에 기초하여, 인면 부재상에 어떻게 하여 요철을 형성시키는가에 관하여는 상술되어 있지만, 인영 모양 정보를 어떻게 판독하였는가에 관하여는 간단히 기재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즉, 인영 모양 정보를 판독한 정보 처리 수단으로서 워드 프로세서나 퍼스날 컴퓨터 등의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서 채용되고 있는, 입력 문자열을 판독하기 위한 수단(키보드 뿐만이 아니라 그것을 처리하는 구성을 포함한다)이나 소위 이미지 스캐너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다.
그러나, 워드 프로세서나 퍼스날 컴퓨터 등의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서 채용되고 있는 입력 문자열을 판독하기 위한 정보 처리 수단은 인영 모양 정보가 인면 부재에 반영되는 것도 고려한 것은 아니다. 즉, 인영 모양 정보가 인면 부재에 반영되는 것을 의도한 특유의 기능 등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문자열로 이루어진 인영 모양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면 부재를 고려하여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거나 행수를 결정하거나 하는(개행을 포함한다) 등, 문자열의 배치에 있어서의 많은 기능을 이용하는 일이 많아 진다. 단순히 문자열을 입력할 뿐이면 조작성의 문제는 적지만, 인영 모양 정보로서의 문자열의 적절한 배치를 위한 조작(특히 개행을 포함시키는 조작)까지 포함시키면 많은 조작이 필요하게 되며, 조작성상 아직 불충분한다.
또한 문자열의 적절한 배치를 위한 조작(예를 들면 개행을 포함시키는 조작)을 잃어버린 경우에는 인면 전체에 대하여 인영 모양 부분의 비율(흑율)이 적은 부자연스러운 인장이 작성되어 버린다.
워드 프로세서에 있어서의 인쇄 매체로서의 용지는 1매에 인쇄할 수 있는 문자수에 제한이 있지만, 이것을 초과하는 문자수가 입력된 경우에는 다른 용지에 인쇄하면 좋고, 기본적으로는 입력 문자열에 대한 제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인영 모양이 반영되는 인면 부재는 종횡의 크기가 정해지는 것이며, 인면 부재에 포함시키는 문자수에는 최소의 문자 사이즈의 것을 적용한다고 하여도 제약이 있고, 이 제약 문자수를 초과한 부분을 다른 인면 부재에 반영시키는 것을 당연히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워드 프로세서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서 채용되고 있는 문자의 입력 방법을 그대로 인장 작성 장치에 적용하는 것은 입력 문자수의 제약의 면에서 가능하지 않다.
그런데, 테이프에 입력 문자열을 인쇄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중에는 입력 문자수에 계약을 설치하고, 제약 문자수를 초과한 입력을 받아들이지 않도록 하여 헛되이 긴 부자연스러운 라벨(인쇄 테이프를 절단한 것)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적용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이 입력 문자수의 제한 기능을 구비한 문자 입력 방법은 인장 작성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인면 부재는 종횡 모두에 제약이 있는 것에 대하여, 테이프는 길이 방향에 관하여는 인쇄에 대한 제약이 없다고 하는 차이점이 있고,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문자 입력 방법을 인장 작성 장치에 단지 적용하여도 층분하지는 않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인쇄나 레이아웃 표시를 기동할 때, 현상의 입력 문자열에서는 인쇄 등이 가능하지 않는 것이 표시되어 비로소 문자 입력이 타당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또한, 인장 작성 장치는 숙어 등록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만, 등록 숙어의 문자수나 그 음독의 문자수에는 제약을 설치하고 있다. 확정 문자가 제약 문자수에 도달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등록 숙어를 확정하여 장치에 등록 격납시키거나, 그 음독을 확정하여 장치에 등록 격납시키거나 하는 조작을 실행하는 단계에서 변환되지 않은 입력 후보문자가 최후미에 남아 있을 때가 있다. 특히 회동하여 입력 후보 문자를 발생하는 선택자 다이얼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실수로 선택자 다이얼을 약간 건드린 경우에도 입력 후보 문자의 출력이 송출되고,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기 쉽다. 상술한 상황에서의 등록 격납 지령에 대하여는 종래 장치는 무반응하며, 원래와 같은 표시를 이행하여 왔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입력 후보 문자를 삭제한 후, 격납 지령을 등록시키는 조작을 이행하여, 격납 지령을 2회나 발생시킬 필요가 있었다.
또한, 문자열의 적절한 배치를 위해 사용자가 행 마다의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문자 사이즈의 결정시에 인영 모양이 인면 부재에 적절히 배치되는지를 사용자가 인식하는 것이 어렵고, 부적정한 문자 사이즈를 설정하는 경우도 많아 진다.
그런데, 입력 문자열을 테이프에 인쇄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중에는 행 마다의 구체적인 문자 사이즈의 결정을 사용자가 이행하지 않아도 장치측에서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평7-125376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테이프는 일반적으로는 테이프의 폭 방향으로는 제약이 있지만,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는 인쇄에 대한 제약이 없고, 종횡 모두 제약이 있는 인장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인장 작성 장치에 테이프 작성 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자동적으로 구체적인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기능을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이상과 같은 각종의 과제가 있기 때문에 인영 모양 정보가 인면 부재에 반영되는 것을 의도한 특유의 기능을 가지는 정보 처리 수단을 구비한 인장 작성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과제는 인면 부재에 요철면을 형성시키는 인장 작성 장치만이 아니라, 잉크가 부분적으로 물들어 인영을 남기도록 인면 부재를 처리하는 인장 작성 장치에도 이와 같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는 인쇄 또는 전사 매체가 인면 부재에 대한 것과 같은 문자열의 배치에 관한 제약 등이 있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도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등에 있어서의 윈도우 표시와 같은 크기가 정해져 있는 표시 영역에 입력 문자열을 전개하여 표시시키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과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인쇄 또는 전사 대상이 인면 부재와 같은 종횡 모두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입력 문자열의 적절한 배치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실현할 수 있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 또는 전사 대상이 인면 부재와 같은 종횡 모두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문자 입력 단계에서 문자 입력의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수에 제한이 있는 문자열을 장치에 격납시키는 경우의 조작성을 향상시킨 문자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문자열의 읽기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영역에 입력 문자열을 전개하는 처리를 이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입력 문자열의 적절한 배치를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실현시킬 수 있는 문자 정보 처리 방법 및 문자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제1의 본 발명은 인쇄 영역 또는 전사 영역의 크기에 맞추어서 입력 문자열의 도트 패턴을 버퍼에 전개하는 처리를 동반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1) 전개 지령시에 있어서, 입력 문자열의 각 행의 길이 정보를 인식하여, 인쇄 영역 또는 전사 영역의 크기에 의해 정해지는 한정 값의 길이를 초과하는 행의 존재를 판별하는 행 길이 판별 수단과, (2) 한정 값의 길이를 초과하는 행의 문자열을 2분하여 2행의 문자열로 변경시키는 개행 추가 제어 수단과, (3) 개정이 추가된 후의 문자열 또는 입력 문자열을 버퍼에 전개시키는 문자열 전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의 본 발명의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버퍼로의 입력 문자열의 전개 지령시에 있어서, 행 길이 판별 수단이 입력 문자열의 각 행의 길이 정보를 인식하고, 인쇄 매체 또는 전사 매체의 크기의 종류에 따라서 정해지는 한정 값의 길이를 초과하는 행의 존재를 판별하며, 개행 추가 제어 수단이 한정 값의 길이를 초과하는 행의 문자열을 2분하여 2행의 문자열로 변경시키고, 문자열 전개 수단은 개행이 추가된 후의 문자열 또는 입력 문자열을 버퍼에 전개시킨다.
또한 제2의 본 발명은 인쇄 영역 또는 전사 영역의 크기에 맞추어서, 입력 문자열의 도트 패턴을 버퍼에 전개하는 처리를 동반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1) 입력 문자열의 총 문자수를 인식하는 문자수 인식 수단과, (2) 인식된 총 문자수에 따라서, 문자 사이즈와, 행수와, 각 행에 있어서의 문자수를 결정하는 문자 배치 결정 수단과, (3) 문자 배치 결정 수단이 결정한 문자 사이즈, 행수, 각행에 있어서의 문자수예 따라서, 입력 문자열을 버퍼에 전개시키는 문자열 전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의 본 발명의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문자수 인식 수단이 입력 문자열의 총 문자수를 인식하여, 문자 배치 결정 수단이 인식된 총 문자수에 따라서 문자 사이즈와, 행수와, 각 행에 있어서의 문자수를 결정한다. 그리고 문자열 전개 수단이 문자 배치 결정 수단이 결정한 문자 사이즈. 행수, 각 행에 있어서의 문자수에 따라서 입력 문자열을 버퍼에 전개시킨다.
또한 제3의 본 발명은 종횡의 크기에 제약이 있는 인쇄 영역에 입력 문자열을 인쇄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1) 입력 문자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2) 인쇄 영역의 크기 및 지정된 문자 사이즈에 따라서 각 행의 허용할 수 있는 문자수를 결정하는 행 허용 문자수 결정 수단과, (3) 입력 문자수가 그 행에 허용되어 있는 문자수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 초과하고 있는 문자수 부분과, 초과하고 있지 않은 문자수 부분을 다른 표시 상태로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의 본 발명의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각 행 마다에 허용할 수 있는 문자수를 결정하여, 입력 문자수가 그 행에 허용되어 있는 문자수를 초과하고 였는 경우, 초과하고 있는 문자수 부분과, 초과하고 있지 않은 문자수 부분을 다른 표시상태로 표시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사용자는 인쇄나 레이아웃 표시를 기동하기 전의 문자 입력 단계에 있어서, 문자 입력의 타당성을 알 수 있고, 개행 조작 등의 적절한 대응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제4의 본 발명은 입력 문자수에 제한이 있는 문자열을 장치에 등록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이고, 입력 후보 문자를 입력시키는 후보 문자 입력 수단과, 확정된 문자수가 제한 문자수 이하일 때에 입력된 입력 후보 문자의 접수를 인식하는 문자수 제한 수단과, 입력 문자열의 등록을 지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등록 지령 수단을 가지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1) 등록 지령 수단에서 출력 신호가 송출된 경우에 있어서, 문자열의 입력 상황이 입력된 확정 문자수가 제한 문자수와 같고, 확정 문자열의 가장 끝에 입력 후보 문자가 존재하는 상황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2) 이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가 입력된 확정 문자수가 제한 문자수와 같고, 확정 문자열의 가장 ㄲ에 입력 후보 문자가 존재하는 상황이라고 하는 결과일 때, 그 입력 후보 문자를 제외한 입력 완료의 확정 문자열을 등록시키는 등록 실행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의 본 발명의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입력된 확정 문자수가 제한 문자수와 같고, 확정 문자열의 가장 끝에 입력 후보 문자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등록 지령이 주어진 경우에 그 입력 후보 문자를 입력 완료의 확정 문자열을 등록시키도록 하였으므로, 필요한 문자열을 제한 문자수까지 입력 후에 사용자가 실수로 입력 후보 문자를 입력시켜도 이것을 삭제하고 나서 등록 지령을 발생시키는 조작을 실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5의 본 발명은 문자열의 읽기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영역에 입력 문자열을 전개하는 처리를 동반하는 문자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1) 입력 문자열의 행수가 2행 이상인 경우에 각 행의 문자 사이즈로서 동일의 문자 사이즈를 할당할 때의 각 행의 길이 정보를 얻음과 함께, 길이 정보의 순서를 얻는 행 길이 산출 처리와, (2) 소정 2행의 길이의 비를 1조 이상의 2행의 조합에 관하여 요구하여, 얻어진 1이상의 비에 기초하여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조합의 형을 결정하는 사이즈형 결정 처리와, (3) 결정된 형에 기초하여 각 행의 기본적인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기본 문자 사이즈 결정 처리와, (4) 각 행의 각각에 관하여 그 행의 길이 정보와 기본 문자 사이즈와에서 그 행의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문자 사이즈 결정 처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6의 본 발명은 문자열의 읽기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영역에 입력 문자열을 전개하는 처리를 동반하는 인쇄 매체의 종횡의 크기에 맞추어서 입력 문자열의 도트 패턴을 버퍼에 전개하는 처리를 동반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1) 입력 문자열의 행수가 2행 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 각 행의 문자 사이즈로서 동일의 문자 사이즈를 할당한 때의 각 행의 걸이 정보를 얻음과 함께, 길이 정보의 순서를 얻은 행 길이 산출 수단과, (2) 소정 2행의 길이 비를 1조이상의 2행 조합에 관하여 요구하여, 얻어진 1이상의 비에 기초하여, 각행의 문자 사이즈의 조합에 형을 결정하는 사이즈형 결정 수단과, (3) 결정된 형에 기초하여 각 행의 기본적인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기본 문자 사이즈 결정 수단과, (4) 각 행의 각각에 관하여 그 행의 길이 정보와, 기본 문자 사이즈와 에서 그 행의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문자 사이즈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의 본 발명의 문자 정보 처리 방법 및 제6의 본 발명의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입력 문자열의 행수가 2행 이상인 경우에 각 행의 문자 사이즈로서 동일 문자 사이즈를 할당할 때의 각 행의 길이 정보를 얻음과 함께, 길이 정보의 순서를 얻고, 또한 소정의 2행의 길이의 비를 1조 이상의 2행의 조합에 관하여 요구하여, 얻어진 1이상의 비에 기초하여,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조합의 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형에 기초하여 각 행의 기본적인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며, 그 후, 각 행의 각각에 관하여 그 행의 길이 정보와 기본 문자 사이즈에서 그 행의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도록 하였음으로, 복잡한 조작을 사용자에게 요구하지 않고, 종횡으로 제약이 있는 인쇄 매체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문자열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제1 및 제2의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정보 처리 장치를 인장 작성 장치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이 실시예의 인장 작성 장치는 크게는 도1에 도시한 전기적 구성부(정보 처리부나 인영 전사 제어부 등)와 도2에 도시한 기구적 광학적 구성부(인쇄부나 광선조사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2는 인장 본체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3에는 당해 인장 작성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이 실시예의 전기적 구성부를 도1의 블록도 및 도3의 사시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전기적 구성부는 주로 인영 모양 정보를 판독하여 기구적 광학적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일종의 정보 처리 장치에 해당하는 것이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같이 크게는 입력부(10), 제어부(20) 및 출력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20)는 입력부(10)에서의 정보나 그 시점에서의 처리 단계 등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며, 그 처리 결과 등에 따라서 출력부(30)를 통하여 기구적 광학적 구성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입력부(10)는 누름 키부(11A)나 다이얼키부(11B) 등을 구비한 키입력부(11)와, 장치의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12)와, 각종의 검출 센서군(13)으로 구성되어 있다.
키입력부(11)는 제어부(20)에 주는 문자 코드 데이터나 각종의 제어 데이터를 발생하는 것이다. 키입력부(11)의 다이얼키부(11B)는 문자 입력을 위한 일반적인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며, 누름키부(11A)는 문자 입력 이외의 기능에 있어서의 조작 신호나, 입력 문자의 삭제나 기호 문자 입력 등의 문자 입력을 위한 특수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다이얼키부(11B)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선택 개행 키(80)와, 그 외주의 커서 이동키(81)∼(84)와, 또한 그 외주의 선택자 다이얼(85)로 구성되어 있다. 도4는 다이얼키부(11B)에 있어서의 문자 할당이나 문자 입력 기능의 할당을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4는 도면의 도면의 표기상 간편하게 원형, 둥근 고리 모양을 직사각형으로 도시하고 있다.
선택자 다이얼(85)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며, 예를 들면 둘레 방향으로 54분할된 각도를 단위각으로 하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자 다이얼(85)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에는 「あいうえお…」가 내주에는 「ABCDE…」이 인쇄되어 있고, 문자 지정 마크(86)가 지향하는 위치의 문자 신호를 제어부(20)에 송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동일 단위각으로 할당되어 있는 예를 들면 「あ」및 「A」에 관한 문자 신호는 같으며, 제어부(20)는 그 시점에서 내부에 유지하고 있는 문자 종류 신호에 따라서 「あ」가 입력되었는지 「A」가 입력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커서 상방이동키(81)는 누름키로 되어 있고, 이 커서 상방이동키(81)에는 「↑」및 「무변환」이라는 문자가 인쇄되어 있다. 제어부(20)는 이 커서 상방이동키(81)에서의 조작 신호가 커서의 상방 방향의 이동도, 가확정 문자에 대한 무변환 동작도 받아들일 수 없는 상황에서 주어지면 경고를 발생하고, 커서의 상방이동의 이동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상황에서 주어지면 무변환 동작을 실행하며, 그 밖의 상황에서 주어지면 커서의 상방 방향의 이동을 이행한다.
이와 같이 커서 좌방이동키(82), 커서 하방이동키(83), 커서 우방이동키(84)도 커서 이동키뿐만이 아니라, 다른 동작으로도 대응되어지고 있고, 제어부(20)는 이 키에서의 조작 신호가 주어진 때의 문자 입력 상태에 따라서 어느쪽의 동작이 지시되는가를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서 이동 이외의 동작으로서는 커서 좌방이동키(82)에는 소문자 변환이나 소문자 입력으로의 전환(대문자 입력으로의 복귀를 포함한다)이 할당되어 있고, 커서 하방이동키(83)에는 가나 한자 변환이 할당되어 있으며, 커서 우방이동키(84)에는 히라가나 입력, 카타카나입력, 알파벳 입력을 전환하는 「あアA」 변환 동작이 할당되어 있다.
선택 개행키(80)에는 개행 기능 및 선택 기능이 할당되어 있고, 제어부(20)는 이 키에서의 조작 신호가 주어진 때의 문자 입력 상태에 따라서 개행 동작 또는 선택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전환 스위치(12)는 예를 들면 다이얼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고, 전원 온(on), 전원 오프(off), 인장 본체(인면 부재)로의 노광 기동, 인장 본체를 수용하는 공간부의 뚜껑(65)의 개방을 지시하거나 한 것이다. 검출 센서로서는 인장 종류를 검출하는 것이나, 잉크 리본의 장착을 검출하는 것, 후술하는 제판 시트의 장착이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인장의 종류로서는 인면 부재가 거의 정방형의 「사각 모양 인장」이나, 성명인으로서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크기의 인면 부재가 직사각형 형상의 「성명인」 이나, 주소인으로서 적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크기의 인면 부재가 직사각형 형상의 「주소인」 이나, 비지니스 상의 각종의 문자열을 포함하는 인장에 적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크기, 즉 성명인과 주소인의 중간 크기의 인면 부재인 직사각형 형상의 「비지니스 인장」등이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비지니스 인장」으로서 크기가 다른 2종류의 것이 준비되어 있다. 이들의 인장 종류를 변별시킬 수 있는 센서(13)가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
출력부(30)는 후술하는 기구적 광학적 구성부의 각 부를 구동 제어하는 기구적 광학적 구성부 구동 회로군(31)과, 표시 장치(33)의 구동 회로(32)로 구성되어 있고, 각 구동회로(31), (32)는 제어부(20)의 제어하에서 대응하는 구성 부분을 구동한다.
표시 장치(33)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6 문자 표시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33A)와, 이 액정 디스플레이(33A)의 주위에 배치된 LED로 이루어진 복수의 인디케이터(33B-1)∼(33B-n)으로 구성되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33A)에는 사용자에 대한 가이던스 메시지(guidance message)나 사용자가 입력하고 있는 문자열(인영 모양 정보)가 표시된다. 각 인디케이터(33B-1), …, (33B-n)에 관련한 장치의 표면에는 그 인디케이터에 할당되어 있는 속성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33C-1), …, (33C-n)이 인쇄되어 있고, 대응하는 인디케이터(33B-1), …, (33B-n)의 점등, 소등, 점멸에 의하여 현재의 속성이나 상태의 내용을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문자 입력시의 표시 화면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액정 디스플레이(33A)의 5번째의 문자 표시 위치(33A-5)에 커서를 고정 표시하는 커서 고정 표시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또한 선택자 다이얼(85)이 지시하고 있는 입력 후보 문자의 표시 위치는 액정 디스플레이(33A)의 6번째의 문자 표시 위치(33A-6)로 결정되어 있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33A)에 대한 각 문자의 표시 상태로서는 「포지티브 표시」와, 「네가티브 표시」와 이들을 반복하는 「점멸표시」가 있다. 「포지티브 표시」는 확정 문자나 준 확정 문자의 표시 상태이며, 「네가티브 표시」 는 가확정 문자의 표시 상태이고, 「점멸 표시」는 선택자 다이얼(85)이 지시하고 있는 입력 후보 문자의 표시 상태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포지티브 표시」대상의 확정 문자(이들 이상 변화하는 일이 없는 문자)나 준확정 문자(히라가나 및 카타카나 사이의 변환만이 인정 되고 있는 문자)를 「포지티브 문자」 라 하고 「네가티브 표시」대상의 가확정 문자(한자로의 변환이 허용되어 있는 히라가나 문자)를 「네가티브 문자」라 하고, 「점멸 표시」대상의 입력 후보 글자(선택자 다이얼(85)이 지시하고 있는 문자)를 「점멸 문자」라 한다.
기구적 광학적 구성부 구동 회로군(31)을 여러 가지의 구동 회로로 이루어져 있지만, 여기에서는 종합하여 도시하고 있다. 기구적 광학적 구성부의 요소 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 제어가 필요한 구성 요소가 여러 가지 있고, 실제상은 그 각 구성 요소마다에 구동 회로는 존재한다.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CPU(21), ROM(22), RAM(23), 캐릭터 제너레이터 ROM(CG-ROM) (24), 입력 인터페이스(25) 및 출력 인터페이스(26)가 시스템 버스(27)을 통하여 접근되어 구성되어 있다.
ROM(22)에는 CPU(21)가 실행하는 인장 작성을 위한 각종의 처리 프로그램(도8, 도13 참조)이나 가나 한자 변환용 사전 데이터나 문자 사이즈 결정을 위한 데이터(도14 참조) 등의 고정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RAM(23)은 CPU(21)에 의해 워킹 메모리로서 이용되는 것이며, 또한 사용자 입력에 있어서의 고정 데이터가 격납되는 것이다. RAM(23)은 전원 오프시에도 백 업(back up)되고 있다.
CG-ROM(24)은 당해 인장 작성 장치에 준비되어 있는 문자나 기호의 도트 패턴(폰트)을 격납하고 있는 것이며, 문자나 기호를 측정하는 코드 데이터가 주어진 때에 대응하는 도트 패턴을 출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표시용과 인영용에서 개별의 CG-ROM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실시예의 정부, CG-ROM(24)에 격납되어 있는 폰프 정보는 비트 맵 폰트(bit map pont)로 한다. 또는 CG-ROM(24)에는 장치가 허용하고 있는 전체의 문자 사이즈의 도트 패턴을 격납하여 둘 필요가 없고, CG-ROM(24)에 준비되어 있지 않은 문자 사이즈인 것은 필요에 따라서 준비되어 있는 문자 사이즈의 도트 패턴을 확대, 축소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5)는 입력부(10) 및 제어부(2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이행하는 것이며, 출력 인터페이스(26)는 출력부(30) 및 제어부(20)사이의 인터 페이스를 이행하는 것이다.
CPU(21)는 입력부(10)에서의 입력 신호나 그 때의 처리 단계에 따라서 정해지는 ROM(22)내의 처리 프로그램을 RAM(23)을 워킹 에어리어로서 이용하면서 또한 필요하면 ROM(22)이나 RAM(23)에 격납되어 있는 고정 데이터를 적절히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이며, 그 처리 상황이나 처리 결과 등을 표시 장치(33)에 표시시키거나, 기구적 광학적 구성부(도2)의 각 부를 구동하여 인장을 작성시키거나 한다.
다음으로 기구적 광학적 구성부 및 인장 본체의 구성을 도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인장 본체(40)는 막대 모양의 나무 받침대(목제가 아니어도 좋다) (41)과, 이 나무 받침대(41)의 일단부에 장착된 압날시에 압압력이나 압압항력을 흡수하여 인면 부재 볼록부와 지면과의 친숙함을 높이기 위한 스폰지 부재(43)와, 이 스폰지 부재(43)의 표면에 설치된 평판상의 인면 부재(42)로 구성되어 있다. 인면 부재(42)는 자외선에 무반응한 베이스층(42A)과, 자외선 경화 수지층(42B)으로 구성되어 있고, 자외선 경화 수지층(42B)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외선 경화 수지층(42B)의 두께는 인면의 인주가 부착하는 볼록부에 요구되어지고 있는 돌기량으로 선정되고 있다. 자외선 경화 수지층(42B)은 경화한 부분이외가 소정의 액체(예를 들면 물:기체이어도 좋다)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인장 본체(40)의 나무 받침대(41)의 일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비관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돌기와 이들 비관통 공이 끼워 조립됨으로써 인장 본체(40)가 장치에 장착된다. 또한 인장 본체(40)의 나무 받침대(41)의 인면 부재(42)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측의 단면에는 인장 종류를 규정하는 구멍 등의 물리적인 식별요소가 설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인장 종류의 검출 센서(13)는 이 물리적인 식별 요소을 읽어 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기구적 광학적 구성부는 크게는 인쇄 구성과 자외선 조사 구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쇄 구성은 열전사 방식에 따르는 것이며, 고정형 인쇄 헤드(50)와, 플라텐롤러(51)와, 잉크 리본(52)과, 공급릴(53)과, 감기릴(54)과, 잉크 리본(52)의 진행 방향 변환용의 롤러(5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판 시트(도(6)참조)의 삽입공(56)이나, 제판 시트의 배출공(57)이나, 제판 시트의 삽입공(56)에서 삽입된 제판 시트를 인쇄 위치에 안내하는 안내 부재(제판 시트의 장착이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를 포함한다) (58)나, 인쇄 위치에서 주행되어 온 잉크 리본(52) 및 제판 시트를 분리하고, 분리된 제판 시트를 배출공(57)에 안내하는 분리 기구(59)를 구비하고 있다.
제판 시트(60)는 도6에 사각 모양 인장용의 것을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시트 본체(62)와, 그 배면에 설치되어 있는 박리지(61)로 구성된다. 제판 시트(60)는 인장의 종류에 관계없이, 같은 크기이며, 인쇄 개시 위치의 기준을 부여하는 투공(63A), (63B)가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시트 본체(62)는 인장의 종류에 따라 다른 인면 부재(42)의 외형과 같은 형상의 부분(62A)과, 그 밖의 부분(62B)으로 커터에 의해 잘리어 분리되며, 부분(62A)만을 벗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판 시트(60)가 삽입공(56)에서 끼워 넣어질 때에는 이 제판 시트(60)의 단부와 잉크 리본(52)가 서로 포게어져, 인쇄 헤드(50) 및 플라텐 롤러(51)사이의 인쇄 위치에 위치한다.
인쇄 헤드(50)는 제어부(20)에서의 제어하에서 발열 구동 회로(도1 부호(31) 참조)가 구동 동작된 때에 발열하여 잉크 리본(52)의 제판 시트(60)에 전사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열 전사 방식의 잉크 리본(52)에 있어서는 전사된 부분은 잉크가 없어져 투명하게 된다. 즉, 전사후의 잉크 리본(52)은 자외선을 투과할 수 있는 부분(잉크가 제거된 부분)과 자외선의 투과를 저지하는 부분(잉크가 남아 있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영 모양을 인쇄 처리하고, 인영 모양에 따른 부분이 투명해진 전사후의 잉크 리본(52)을 네가 티브 필름으로서 이용하기로 하였다. 이와 같이 네가티브 필름의 작성에 인쇄 대상의 시트가 이용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판 시트하 하고, 또한 인쇄하는 것을 이 명세서에서는 제판이라 한다.
제판시에 있어서, 인쇄 헤드(50) 및 플라텐 롤러(51)로 이루어진 인쇄부를 통과한 서로 겹쳐진 상태의 잉크 리본(52) 및 제판 시트(60)는 플라텐 롤러(51) (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롤러)에 의해 분리 기구(59)에 도달되고, 이 분리 기구(59)에 의해 잉크 리본(52) 및 제판 시트(60)가 분리된다.
분리된 제판 시트(60)는 배출공(57)으로 송출된다. 한편, 분리된 잉크 리본(52)은 인장 본체(40)의 자외선 경화 수지층(42B)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판시에 있어서 주행된 잉크 리본(52)은 감기릴(54)에 의해 감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출공(57)에서 배출된 제판 시트(60)에 있어서의 인쇄 부분(62A)을 벗기어 인장 본체(40)의 정부(꼭대기)에 붙임으로써 당해 인장 본체(40)가 어떠한 인면을 가지는 것인지를 눈으로 확인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자외선 조사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형광등 구성의 자와선 조사 공원(예를 들면 포물 거울을 가진다)(70)이 예를 들면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제어부(20)에 의해 점등 및 소등이 제어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진퇴동 기구에 의해 진퇴동하는 투명판(71)이 잉크 리본(52)을 끼우고, 인면 부재(42)의 자외선 경화 수지층(42B)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자외선 조사 광원(70)에서 사출된 자외선이 투명판(71) 및 잉크 리본(네가티브 필름)(52)을 통하여 자외선 경화 수지층(42B)에 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투명판(71)은 진동 위치(앞으로 나아간 위치)(전환 스위치(12)가 노광 기동을 지시하고 있을 때의 위치)에서 네가티브 필름으로서 기능하는 잉크 리본(52)과 자외선 경화 수지층(42B)자의 밀착성을 높이고 퇴동 위치(뒤로 나아간 위치)에서 잉크 리본(52)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투명판(71)의 잉크 리본(52)의 진행 방향의 양단부는 예를 들면 둥글려져 있어, 접촉시에 있어서 잉크 리본(52)을 상처입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투명판(71)의 둥글려져 있는 양단부는 일반면보다 약간 돌출되어 있고, 투명판(71)이 진동하여 잉크 리본(52)을 인면 부재(42)와 접촉시킬 때에 인장(tension)을 높여 밀착성을 증가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인장 본체(40)의 장착 구조에도 의하지만, 잉크 리본(52)에는 큰 압압력이 가하여지므로, 일반적인 잉크 리본의 시트 부재의 재질에 의해 수직 방향의 압압력에 대한 내성이 높은 시트 부재에 의해 잉크 리본(5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7을 참조하면서 이 실시예의 인장 작성장치를 이용하여 인장을 작성시키는 사용자가 이행하는 일반적인 순서 흐름을 설명한다.
순서1: 사용자는 전환 스위치(12)를 조작하여 전원을 온(on)한 후, 키입력부(11)의 각종의 키를 조작하여 인영 모양 정보를 입력시킨다. 인영 모양 정보의 입력은 인영을 구성하는 문자열의 입력뿐만이 아니라, 문자의 서체나 종서 횡서, 문자 사이즈 등의 각종의 속성의 입력도 동반한다(속성의 입력이 없어도 데폴트의 속성 값은 정해져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인장 작성 장치에서는 인장본체(40)가 장치에 장착되어 있을 때만 인영 모양 정보의 입력을 인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장착되어 있는 인장 본체(40)의 종류에 따라, 입력을 받아들이는 행수나 각 행에서의 허용할 수 있는 최대 문자수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순서2: 사용자는 인영 모양 정보의 입력이 종료하면, 일반적으로 키입력부(11)의 레이아웃 표시키를 조작하여 레이아웃 표시를 실행시키고, 인영이 소망하는 것인지 아니지를 인식한다. 인장 작성 장치의 CPU(21)는 레이아웃 표시키가 조작된 때에는 입력 문자열에 있어서의 각 종의 속성에 따라서 입력 문자열을 RAM(23)상의 표시버퍼로 전개하는 것을 통하여 인영의 레이아웃 표시를 이행한다.
순서3: 레이아웃 표시에 의해 인영의 타당성을 확인한 사용자는 제판 시트(60)를 삽입공(56)에서 부딪칠 때까지 삽입한 후, 키입력부(11)의 제판키를 조작하고 제판 처리를 실행시키며 잉크 리본(52)에 네가티브 필름을 작성시킨다. 인장 작성 장치의 CPU(21)는 제판키가 조작된 때에는 입력 문자열에 있어서의 각 종의 속성에 따라서 입력 문자열을 RAM(23)상의 인쇄 버퍼로 전개한 후, 인쇄 헤드(50)이나 플라텐 롤러(51)등을 구동하여 인쇄를 실행시켜 네가티브 필름을 작성하며, 그 네가티브 필름을 인면 부재(42)의 대향위치까지 반송시킨다.
순서4: 제판 처리가 종료하면, 사용자는 전환 스위치(12)를 조작하여 노광을 지시한다. 이 때, 인장 작성 장치의 CPU(21)는 노광을 실행하는지를 묻는 확인 메시지를 액정 디스플레이(33A)에 표시시키고, 그것에 따라서 키입력부(11)의 실행키가 조작되면, 자외선 조사 광원(70)을 기동하여 자외선을 인면 부재(42)에 조사시키고, 이 때 장작되어 있는 인장 본체(40)의 종류에 따라서 정해지는 조사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조사를 계속시키며 조사중에 있어서는 바 그래프 표시 등에 의해 남은 시간을 표시하며, 소정의 조사 시간의 경과시에 노광 종료 메시지를 표시시킴과 함께 자외선 조사 광원(70)에서의 자외선의 조사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광원 처리에 의해 인면 부재(42)의 자외선 경화 수지층(42B)은 인영 모양에 따른 부분만이 경화한다.
순서5: 노광이 종료하면, 사용자는 전환 스위치(12)를 조작하여 뚜껑(65)의 개방을 지시하고 뚜껑(65)이 개방되면, 노광 완료의 인장 본체(40)를 꺼낸다. 그 후, 소정 액체(예를 들면 물)를 수용하고 있는 용기, 바람직하게는 그 가운데에 브러쉬를 담고 있는 용기에 꺼낸 인장 본체(40)의 인면 부재(42)를 침지시키고, 왕복운동시켜 씻음으로써 비경화 부분을 제거시켜 인면 부재(42)에 요철을 형성시킨다. 그 후, 수건 등으로 소정 액체를 인장 본체(40)에서 닦아냄으로써 인장을 완성시킨다.
이러한 제1 및 제2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장 작성 장치에 있어서의 가장 큰 특징은 레이아웃 표시 또는 제판의 지령시에 인영 모양 정보를 구성하는 입력 문자열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개행 코드를 제판 또는 레이아웃 표시 처리가 일관하여 자동적 또는 사용자의 지령에 의해 발생시켜 제판 또는 래이아웃 표시를 이행하는 점에 있다.
이러한 제판 또는 레이아웃 표시 처리가 일관하여 개행 코드를 발생시키는 경우로서는 (1) 문자가 다수의 행이 존재하는 경우(제1의 본 발명에 해당한다)와, (2) 사각 모양 인장의 폼 입력이 지시되고 있는 경우(제1의 본 발명에 해당한다)가 있고, 이하에서는 이들의 경우에 있어서의 CPU(21)의 처리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차례로 설명한다.
입력 문자열이 표시되어 있는 상황에서 제판키 또는 레이아웃 표시키가 조작되면,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우선 입력 방법이 통상의 입력 방법인지 폼 입력 방법인지를 판별한다. 이 판별의 결과, 통상의 입력 방법인 경우에는 도1에 도시한 서브 루틴으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폼 입력 방법으로는 인장 특유의 용도의 인면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 특수한 입력 환경에서의 입력 방법을 말한다. 구체예를 들면 성명인에 관한 폼 입력 방법은 성의 입력 폰트와 이름의 입력 폰트를 구별하여 표시시켜 성의 문자열과 이름의 문자열을 분리하여 판독하는 방법이고, 이 경우에는 제판시나 레이아웃 표시시에 성의 문자수나 이름의 문자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문자의 배열(성과 이름 부분과의 균형이 잡힌 배열)이 결정된다. 이것에 대하여 통상의 입력 방법에서 성명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성명의 문자열을 입력할 뿐만이 아니라, 사용자가 성과 이름 부분과의 균형이 잡힌 배열을 고려하여, 성과 이름과의 구분을 나타내도록 한 스페이스를 일부러 입력하지 않으면 안된다.
도8에 도시한 서브 루틴으로 들어가면, CPU(21)는 입력 문자열에 관련하여 지정되어 있는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지정 방법을 판별한다(스텝(100)).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지정 방법으로서는 사용자가 구체적인 문자 사이즈를 지정하는 방법과, 구체적인 문자 사이즈의 결정을 당해 장치에 맡기는 지정 방법이 있다. 구체적인 문자 사이즈의 결정은 당해 장치에 맡기는 지정방법은 또한 행수 및 가장 긴 행의 길이에 기초하여 전체의 행에 같은 문자 사이즈의 할당하는 제 1의 방법과, 행수나 각 행의 길이의 차이 등을 기초로 하여 인면에서의 각 행의 길이가 가능한한 같도록 각 행의 문자 사이즈를 할당하는 제2의 방법이 있다.
사용자가 구체적인 문자 사이즈를 지정하는 방법이면, 사용자에 의한 지정을 존중하여 후술하는 스텝(110)으로 곧장 진행한다.
이것에 대하여 구체적인 문자 사이즈의 결정을 당해 장치에 맡기는 지정 방법이면 CPU(21)는 각 행의 길이 정보를 산출하고, 가장 긴 행을 인식한다(스텝(101)). 예를 들면, 각 행의 기본적인 문자 사이즈를 가장 작은 문자 사이즈로 가정하여 각 행에서 필요로 하는 도트수를 각 행의 길이 정보로 한다.
그 후, 입력 문자열의 행수와, 장착되어 있는 인장 종류를 키로 하여, 개행을 재촉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한 한정값(예를 들면 ROM(22)에 테이블로서 격납되어 있다)을 취출한다(스텝(102)). 그리고 가장 긴 행의 길이와 한정값를 대소 비교한다(스텝(103)).
가장 긴 행의 길이가 한정값 이하이면, 개행을 재촉할 필요가 없으므로, 후술하는 스텝(110)으로 곧장 진행한다.
이것에 대하여 가장 긴 행의 길이가 한정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개행을 재촉하는 메시지를 액정 디스플레이(33A)에 표시시키고, 사용자가 개행을 지시하는 지 그대로의 상태를 지시하였는지를 판별한다(스텝(104), (105)).
사용자가 그대로의 상태를 지시한 경우에는 개행 추가를 이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후술하는 스텝(110)으로 곧장 진행한다.
한편, 사용자가 개행을 지시한 경우에는 CPU(21)는 가장 긴 행을 2분한 때의 후측의 문자열의 선두 문자의 위치를 인식한다(스텝(106)). 그리고 이렇게 하여 스텝(106)에서 인식된 선두의 문자의 위치의 근방에 모드 마크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107)).
이 실시예의 인장 작성 장치에 있어서는 입력 문자열에 대한 속성으로서 입력 문자열 전체에 대한 속성(예를 들면, 외곽 붙임이나 횡서·종서 등)과, 문자 단위의 속성(예를 들면 서체나 백발 문자 등)이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후자의 문자 단위의 속성인 것을 모드라 하고 있다. 사용자가 모드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각 문자에 대하여 장치가 준비되어 있는 기본 모드가 설정되지만, 사용자가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는 그 설정된 문자의 전에 (텍스트 데이터 상에서), 그 직전의 문자열의 모드와 다른 것이 나타나는 모드 마크가 추가된다. 물론, 이 모드 마크에 대응하는 모드(속성)의 내용도 격납된다. 상술한 스텝(107)에서는 이러한 모드 마크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또한, 후측의 문자열의 선두의 문자의 근방에 모드 마크가 존재하는지를 예를 들면 모드 마크보다 전의 문자열의 길이 정보와 모드 마크 보다 후의 문자열의 길이 정보의 비를 이용하여 판별한다. 구체예를 들면, 상술한 비가 7.5 대 3.5에서 3.5 대 7.5의 범위에 있을 때에, 후측의 문자열의 선두의 문자의 근방에 모드 마크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후측의 문자열의 선두의 문자의 근방에 2개 이상의 모드 마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장 근방의 모드 마크 만이 존재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스텝(108)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근방의 가운데에서 가장 전방의 모드 마크만이 존재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스텝(108)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또한 후측의 문자열의 선두의 문자의 근방에는 모드 마크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 후술하는 스텝(109)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스텝(107)에서 긍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CPU(21)는 모드 마크의 직전에 개형 코드를 삽입한다(스텝(108); 후술하는 도(10) 및 도(11)참조).
이것에 대하여 스텝(107)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CPU(21)는 가장 긴 행을 2분한 위치(문자수가 홀수인 경우와 같이 완전히 2분 될 수 없는 경우에는 전측의 문자열의 길이를 길게 한다)에 개행 코드를 삽입한다(스텝(109)). 또한 스텝(109)의 경우에 있어서도, 개행 대상의 후측의 문자열에 설정되어 있는 전체의 모드 정보는 개행된 후측의 문자열에 그대로 인계된다(후술하는 도12 참조).
이러한 개행의 추가를 위해 일련의 처리(스텝(100)∼(108), 또는 (100)∼(109))후, 제판을 위해 인쇄 버퍼에 전개하거나, 또는 레이아웃 표시를 위해 표시 버퍼에 전개하거나 한다(스텝(110)).
그리고, 스텝(108) 또는 (109)에 의해 추가된 개행 코드는 제판이 종료하며 또는 레이아웃 표시가 종료하며, 통상의 입력 화면에 복귀한 경우에도 문자열 정보 중에 그대로 남는다.
도9(A)에는 입력된 문자열 정보(모드 마크 없음)를 그대로 제판한 결과를 도시하였고, 도9(B)에는 자동 개행을 재촉하여 사용자가 자동 개행을 선택한 경우의 제판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의 비교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문자수가 많은 행은 자동 개행시키므로써 인영 모양으로서는 보다 바람직한 것이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판을 지시하기 전에 자발적으로 개행을 지시하는 것으로 도9(B)에 도시한 인영 모양을 실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개행의 지시를 하는 것을 잊어버려도 상술한 자동 개행 기능에 의해 도8(B)에 도시한 인영 모양을 실현할 수 있다.
도10(A)는 1행 10문자의 입력 문자열이고, 5문자째 이하에 관하여는 백발 문자를 지시하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텍스트 에어리어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전체의 문자의 문자 사이즈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검은 삼각형이 모드 마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입력 문자열에 대하여 사용자가 자동 개행을 선택한 경우에는 이 입력 문자열의 길이 정보를 2분한 후측의 선두 문자 「」의 전방의 근방에 모드 마크가 존재하므로(모드 마크보다 앞의 문자열의 길이 정보와, 모드 마크보다 후의 문자열의 길이 정보의 비가 4 대 6.3이며, 상기 근방 조건을 만족하므로), 도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드 마크의 전후에서 입력 문자열이 2행으로 되도록 텍스트 에어리어 데이터가 변경되며, 그 제판 결과는 도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그리고 백발 문자는 통상의 문자보다도 5% 커지므로 6문자의 백발 문자의 문자열의 길이 정보로서는 6.3이 된다.
도 11(A)는 1행 10문자의 입력 문자열이고, 7문자째 이하에 관하여는 백발 문자를 지시하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텍스트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전체의 문자의 문자 사이즈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입력 문자열에 대하여 사용자가 자동 개행을 선택한 경우에는 이 입력 문자열의 길이 정보를 2분한 후측의 선두 문자 「定」의 후방의 근방에 모드 마크가 존재하므로(모드 마크보다 전의 문자열의 길이 정보와 모드 마크보다 후의 문자열의 길이 정보의 비가 6대 4.2이며, 상기 근방 조건을 만족하므로), 도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드 마크의 전후에서 입력 문자열이 2행으로 되도록 텍스트 데이터가 변경되며, 그 제판 결자는 도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도12(A)는 1행 12문자의 입력 문자열이고, 5문자째 이하에 관하여는 백발 문자를 지시하는 모드가 설정되며, 또한 11문자째 이하에 관하여는 백발 문자가 아닌 통상 문자를 지시하는(통상 문자로 복귀시킨다)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텍스트 데이터틀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전체의 문자의 문자 사이즈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입력 문자열에 대하여 사용자가 자동 개행을 선택한 경우에는 이 입력 문자열의 길이 정보를 2분한 후측의 선두 문자 「裝」의 근방에는 모드 마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전측의 모드 마크에 관한 비가 4대 8.3이며, 후측의 모드 마크에 관한 비가 10.3 대 2이며, 모두 상기 근방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도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측의 선두 문자 「裝」 이하가 2행째가 되며, 게다가 2행째의 문자열이 자동 개행전의 모드를 유지하도록 입력 문자열의 텍스트 데이터가 2행의 텍스트 데이터로 변경되며, 그 제판 결과는 도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다음으로 사각 모양 인장에 관한 폼 입력이 이루어진 상태에 있어서 제판 키 또는 레이아웃 표시키가 조작된 경우의 CPU(21)의 처리를 도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입력 문자열이 표시되어 있는 상황에서 제판 키 또는 레이아웃 표시키가 조작되면, 도시는 생략하지만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방법이 통상의 입력 방법인지 폼 입력 방법인지를 판별한다. 이 판별의 결과, 폼 입력 방법인 경우에는 도13에 도시한 서브 루틴으로 진행한다.
도13에 도시한 서브 루틴으로 들어가면, 폼 입력에 있어서의 인장 종류를 판별한다(스텝(200)). 사각 모양 인장 이외의 경우에는 그 인장 종류에 따른 처리를 이행한다(스텝(201)). 여기에서 사각형 인장에 대한 처리에 특징을 가지므로 그 밖의 인장 종류에 대한 처리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폼 입력에 있어서의 인장 종류가 사각 모양 인장이면, CPU(21)는 사각형 인장에 관한 어떤 폼 입력 형식이 선택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스텝(202)).
사각 모양 인장에 관한 폼 입력 형식으로서는 이 실시예의 경우, 테두리인, 장서인, 음각인, 평가인의 4종류가 준비되어 있다. 테두리인은 사용자가 개행을 입력하지 않고, 허용되어 있는 문자수(예를 들면 16자)이내의 문자수를 단순히 입력하는 폼 입력 형식이며, 작성전 인장에는 테두리가 부여되는 것이다. 장서인은 「장서」라 하는 문자열을 미리 포함하는 입력 필드를 표시시켜 사용자에게 문자열을 입력시키는 폼 입력 형식이며,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개행을 입력할 필요가 없고, 또한 「장서」를 포함하여 문자수의 제한이 동일하게 존재한다. 음각인은 문자열 부분이 오목부가 되는 인장을 작성시키는 폼 입력 형식이고, 문자열의 입력에 관하여는 테두리인과 같다. 평가인은 「아주 잘 했습니다」 등의 평가 종류를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고, 그 평가에 있어서의 문자열(예를 들면 「아주 잘 했습니다」)을 미리 포함하는 입력 필드를 표시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추가하는 문자열을 입력하게 하는 폼 입력 형식이며,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개행을 입력할 필요는 없고, 또한 문자수의 제한이 있다. 평가인에서는 인영은 그림 기호와 평가에 있어서의 문자열로 구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사각 모양 인장에 관한 폼 입력 형식이 테두리인, 장서인 또는 음각인에 관한 것인 경우에는 CPU(21)는 문자수를 인식하고, 인식한 문자수를 키로 하여 문자 사이즈와 행수와 각 행에서의 문자수의 정보를 ROM(22)에 미리 준비되어 있는 테이블에서 취출한다(스텝(203), (204)). 그리고 취출한 정보 및 그 밖의 속성 정보(예를 들면 서체나 종서·횡서 등)에 따라서 입력 문자열을 인쇄 버퍼(제판시) 또는 표시 버퍼(레이아웃 표시시)에 전개한다(스텝(205)).
도14는 이 때에 이용하는 테이블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H」 , 「G」 , 「M」은 각각이 순서로 작아져 가는 문자 사이즈이며, 「축소H」 , 「축축소G」는 각각 「H」, 「G」를 부주사 방향으로 2단계 축소한 문자 사이즈를 나타내고 있고, 「축소M」은 「M」을 부주사 방향으로 1단계 축소한 문자 사이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입력 문자수가 9문자이면 3문자씩의 3행에서 문자 사이즈 「M」으로 버퍼 전개 처리가 실행되는 것이다. 즉, 버퍼 전개시에 자동적으로 개행 처리가 실행된다.
이것에 대하여 사각 모양 인장에 관한 폼 입력 형식이 평가인에 관한 것이면, CPU(21)는 문자수를 인식하고, 인식한 문자수예 따라서 입력 문자열을 2행으로 나누는 위치를 결정한다(스텝(206), (207)). 그리고 결정한 분할 위치 정보나 그 밖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입력 문자열이나 평가를 나타내는 그림 기호를 인쇄 버퍼 또는 표시 버퍼로 전개한다(스텝(205)).
이상과 같이, 사각 모양 인장의 폼 입력에 있어서의 문자열은 사용자가 개행을 입력하지 않고, 문자수에 따른 행수에서 버퍼 전개가 실행된다.
제1 및 제2의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문자열의 입력에 있어서 개행을 입력하지 않아도 문자수가 많은 경우나, 사각 모양 인장의 폼 입력의 경우에는 제판시나 레이아웃 표시시의 도트 패턴으로의 전개시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또는 자동적으로 개형이 있도록 처리하도록 하였으므로, 문자열 입력시에 있어서의 조작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최종적으로 작성되어진 인장의 인영 모양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관하여는 문자수가 많은 경우에 개행을 재촉하는 행이 문자수가 한정값을 초과하는 가장 긴 행의 1행인 것을 도시하였지만, 문자수가 한정값을 넘기는 전체의 행을 개행을 재촉하는 행으로 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문자수가 한정값을 초과하는 행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개행을 실행하는지 아닌지를 묻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사용자에게 확인하게하지 않고, 개행의 자동 삽입(문자열의 2분)을 이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텍스트 데이터에 모드 마크를 포함시켜 격납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문자 단위의 속성(모드)을 텍스트 데이터 이외의 격납 에어리어에서 관리하는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모드가 변경(설정)되어 있는 위치에 따라서 개행의 추가 제어를 실행하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동 개행 처리를 이행하는 경우가 사각 모양 인장의 폼 입력시의 경우만이었지만, 다른 종류의 인장의 폼 입력시도 자동 개행 처리를 이행하는 경우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폼 입력시 이외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인면 부재의 영역을 복수의 직사각형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구분 영역 마다에 입력 문자열을 판독하도록 한 경우에도 1이상의 구분 영역에 관하여 총 문자수에 따른 자동 배치를 이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입력 문자열에 개행이 있어도 그 개행을 무시하여 총 문자수에 따른 문자의 자동 배치를 이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폼 입력시에 있어서 결정할 것을 요구하는 문자 사이즈, 행수, 각 행에서의 문자수의 정보를 기억 테이블에서 취출하는 것을 니타내었지만, 소정의 연산식을 준비하여 연산에 의해 결정하는 것이도 좋다. 또한 행수, 각 행에서의 문자수는 테이블에서 취출하여, 문자 사이즈는 연산으로 정해지도록 하는 방법을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면 부재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인장 작성 장치 제1 및 제2의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인면 부재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잉크가 부분적으로 물들어 용지에 인영을 남기도록 인면 부재를 처리하는 인장 작성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레이아웃 표시시뿐만이 아니라, 잉크가 부분적으로 묻어 나와 인영을 남기도록 인면 부재를 처리하는 것이 요구될 때에 도8 또는 도13에 도시한 처리를 최초로 이행하는 것을 요구한다. 또한 인쇄 또는 전사 매체가 인면 부재에 대한 같은 문자열의 배치에 관한 제약 등이 있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도 제1 및 제2의 본 발명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테이프 인쇄 장치의 경우, 인쇄 매체가 테이프이므로 일반적으로 행수의 제한은 있고, 각 행의 문자수의 제약은 없지만, 테이프의 길이가 결정되어 있어 문자열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각 행의 문자수가 제한되며, 이 경우에는 상술한 제1 및 제2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및 제4의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정보 처리 장치를 인장 작성 장치에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이 실시예의 인장 작성 장치에 있어서도 전기적 구성부(정보 처리부나 인영 전사 제어부 등)는 상술한 도1에 도시한 것과 같으며, 기구적 광학적 구성부(인쇄부나 광선 조사부 등) 및 인장 본체의 구성은 상술한 도2에 도시한 것과 같고, 당해 인장 작성 장치의 외관은 도3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다이얼키부(11B)의 상세도 상술한 도4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며, 표시 장치(33)의 상세도 상술한 도4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고, 제판 시트(60)의 구성도 상술한 도6에 도시한 것과 같다. 또한 인장을 작성시키는 사용자가 이행하는 처리 순서도 상술한 도7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그 때문에 그 상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개술한 도면의 부호를 적절히 이용한다.
이 제3 및 제4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각 행의 입력 문자수(포지티브 문자수)에 제한을 가한 것에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 처리에 있어서의 각종의 처리 프로그램(도15, 도16, 도18 참조)이 ROM(22)에 격납되어 있고, CPU(21)는 이것을 실행한다.
우선, 각 행의 허용 문자수의 결정 처리를 포함하는 일련의 처리를 도15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도15에 도시한 처리로는 전원이 투입된 후, 장착 인장이 바꿔진 직후, 또는 입력 문자열의 전체에 대한 속성(예를 들면, 행마다의 문자 사이즈)의 변경이 실행된 직후에 들어가는 것이다.
CPU(21)는 우선 장착되어 있는 인장 종류를 인식한다(스텝(1100)). 다음으로 인식한 인장 종류에 따라서 정해지는 허용 행수를 인식하여 소정의 버퍼에 격납된다(스텝(1101)). 이 허용 행수는 개행 지령시에 새로운 행운 형성가능한지 아닌지의 판별에 이용된다.
그 후, 그 시점에서 유효하게 되어 있는 입력 문자열의 전체에 대한 속성(전원 투입 직후에서는 데플트의 내용, 속성의 갱신시에 있어서는 갱신된 내용)의 정보에 기초하여 행 마다의 문자 사이즈의 지정 방법을 판별한다(스텝(1102)). 문자 사이즈의 지정 방법으로서는 크게는 사용자가 상대적인 문자 사이즈(대중소)를 지정하는 방법과, 장치가 자동적으로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을 지정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각 행에 관한 지정된 상대적인 문자 사이즈를 인장 종류에 따라서 절대적인 값으로 전환한 기본 문자 사이즈를 부주사 방향으로 축소한 문자 사이즈(인쇄시에 인식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사이즈)의 문자가 문자를 인쇄할 수 있는 에어리어에 몇 개의 문자가 들어가는가를 계산하고, 그 문자수를 대상 행의 허용 문자수로서 격납한다(스텝(1104)).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문자 사이즈의 문자가 인장 종류에서 정하고 있는 문자를 인쇄할 수 있는 에어리어에 몇 개 문자를 넣는가를 산출하여, 그 문자수의 전체의 행의 허용 문자수로서 격납한다(스텝(1105)).
그 후, 커서 위치 포인터가 나타내고 있는 텍스트 에어리어 내의 물자 위치나 입력 완료의 행에 문자수를 나타내는 행간 문자수 포인터나 행 허용 문자수 등에 기초하여 음영으로 표시해야 하는 것, 행 허용 문자수를 초과한 문자(이하, 오버 문자라 한다)의 유무를 인식한다(스텝(1106)). 또한, 커서 위치 포인터가 나타내고 있는 텍스트 에어리어 내의 문자 위치나, 입력 완료의 총 문자수를 나타내는 총 문자수 포인터나, 장치가 고정적으로 정하고 있는 허용 총 문자수 등에 기초하여 문말(문장 끝) 마크가 필요한지 아닌지를 인식한다(스텝(1107)). 그리고 RAM(23)의 도시하지 않은 표시 버퍼를 텍스트 에어리어 등의 격납 내용에 따라서 조작하고, 문자 입력 화면의 표시 상태로 이동한다(스텝(1108)). 이 때에 있어서 오버 문자는 음영을 동반한 포지티브 문자로서 표시되고, 허용 문자수와 같이 순번의 문자가 액정 디스플레이(33A)의 5번째의 표시 위치(커서의 표시 에어리어)(33A-5)에 표시될 때에는 액정 디스플레이(33A)의 6번개의 표시 장치(33A-6)에 문말 마크가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행마다 정해져 있는 허용 문자를 초과한 입력 문자에 대하여는 음영 표시를 이행하여 개행의 지시를 사용자에게 재촉하고 있다.
도16은 텍스트 에어리어에 격납하고 있는 문자수(포지티브 문자수)에 변화를 주는 조작 신호가 주어진 경우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예를 들면, 숫자나 알파벳이 점멸 문자(입력 후보 문자)로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선택키(80)가 조작된 때나, 가나 한자 변환 동작에 있어서 변환 한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80)가 조작된 때나, 네가티브 문자(가확정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무변환키(81)가 조작된 때에 CPU(21)는 도16에 도시한 처리로 들어간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선택자 다이엘(85)에 의한 입력 후보 문자를 도시하는 점멸 문자의 격납 버퍼와 한자로의 변환의 가능성이 있는 네가티브 문자(가확정 문자)의 격납 버퍼와, 변환 후보 한자의 격납 버퍼가 포지티브 문자(확정문자 또는 준확정문자)를 격납하는 텍스트 에어리어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CPU(21)는 우선 총 문자수 포인터를 금회 증가한 포지티브 문자수 만큼 갱신하고(스텝(1200)), 그 값이 허용 총 문자수보다 커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1201)). 허용 총 문자수 이하이면, 당해 문자 정보를 소정의 버퍼에서 텍스트 에어리어에 전송하여 격납한다(스텝(1202)). 허용 총 문자수보다 커지면, 당해 문자 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소정의 버퍼에서 텍스트 에어리어에 전송하여 텍스트 에어리어에 허용 총 문자수 분만큼을 격납시킴과 함께(스텝(1203)), 총 문자수 포인터의 값을 허용 총 문자수로 갱신하다(스텝(1204)). 그 후, 커서 위치 포인터를 텍스트 에어리어에 추가된 문자수 만큼 갱신한다(스텝(1205)).
그리고, 스텝(1203)의 처리에 있어서는 텍스트 에어리어로의 전송 문자의 추가 위치가 가장 끝이면, 전송 문자 중 몇 개 문자인가를 격납하지 않고, 텍스트 에어리어 내의 문자수를 허용 총 문자수와 같게하며, 텍스트 에어리어로의 전송 문자로의 추가 위치가 이미 격납되어 있는 문자열의 도중이면 (삽입 동작이면), 전송 문자를 모두 격납시키고, 그것에 동반하여 텍스트 에어리어 내의 가장 끝측의 몇 개 문자인가를 텍스트 에어리어에서 몰아내어, 텍스트 에어리어 내의 문자수를 허용 문자수와 같게 한다.
다음으로 커서 위치 포인터가 나타내고 있는 텍스트 에어리어 내의 문자 위치나 입력 완료의 행내 문자수를 나타내는 행내 문자수 포인터나 행 허용 문자수 등에 기초하여, 음영으로 표시해야하거나, 행 허용 문자수를 초과한 오버 문자의 유무를 인식한다(스텝(1206)). 또한, 커서 위치 포인터가 나타내고 있는 텍스트 에어리어 내의 문자 위치나, 입력 완료의 총 문자수를 나타내는 총 문자수 포인터나 장치가 고정적으로 정하고 있는 허용 총 문자수 등에 기초하여, 문말 마크의 표시가 필요하지 아닌지를 인식한다(스텝(1207)). 그리고 RAM(23)의 도시하지 않은 표시 버퍼를 텍스트 에어리어 등의 격납 내용에 따라서, 조작하여 문자 입력 화면의 표시 상태를 갱신시킨다(스텝(1208)).
이상과 같이 포지티브 문자수가 변경할 때마다, 포지티브 문자에 대한 음영 표시의 실행 유무나, 문말 마크의 표시의 실행 유무가 인식된다.
그리고, 대상행의 문자수를 변화시키는 처리로서 개행이 있지만, 이 경우에도 상술과 거의 동일하며, 포지티브 문자에 대한 음영 표시의 실행 유무나, 문말 마크의 표시의 실행 유무가 인식된다. 즉, 흐름도의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행 문자수 포인터를 초기값으로 한 후, 새로운 행에 관하여 스텝(1205)∼(1208)과 거의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도17은 입력 문자수와 표시 내용과 관계예의 설명도이다. 도17(a)는 행 허용 문자수와 같은 문자(포지티브 문자)를 입력한 직후의 표시 내용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17(a)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선택자 다이얼(85)이 조작되고 「Z」가 입력 후보 문자가 된 후, 선택키(80)가 조작되면, 이 문자 「Z」는 행 허용 문자수를 초과한 문자이므로, 도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영표시된다. 본래는 여기에서 개행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7(b)에 도시한 상태에서 개행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차례로 문자가 입력되며, 허용 총 문자수-1의 문자가 입력되며, 도17(c)에 도시한 표시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히라가나 입력 모드로 변경되며, 「あいうえ」의 4문자가 네가티브 문자로서 입력된 것으로 한다. 이 4문자를 포함시키면, 허용 총 문자수를 넘지만 「あいうえ」 는 1문자로 이루어진 한자로의 변환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받아들여지고, 도1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가티브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무변환키(81)가 조작되면 「あいうえ」를 포지티브 문자로 변환하지만, 이 경우에는 허용 총 문자수를 초과하는 것을 확인하고, 도1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용 총 문자수를 초과한 「いうえ」를 삭제하고 문말 마크를 표시한다.
이 도17(e)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는 선택과 다이얼(85)에서의 입력 후보 문자의 입력 지시는 무시하고, 문말인 것을 강하게 사용자에게 인식시킨다. 그리고, 커서를 상대적으로 왼쪽에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입력 총 문자수가 허용 총 문자수와 같아져도 입력 후보 문자의 지시를 받아들이고 그것이 포지티브 누자로 변환한 때에 문말측의 포지티브 문자를 오버플로우(overflow)시킨다.
이상, 총 문자수 및 행 문자수예 대한 제약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였지만, 입력 문자수출 제약하는 처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숙어 등록에 있어서의 등록할 수 있는 문자수(예를 들면 5문자)나, 그 읽기에 허용되어 있는 문자수(예를 들면 16문자)는 정해져 있다. 또한 특정 용도의 인장 작성에 편리한 폼 입력이 준비되어 있지만, 폼 입력시에도 문자수가 제한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성명 인장 작성용의 폼 입력에서는 성의 입력 문자와 이름의 입력 문자를 별개로 판독하도록 되어 있고, 각각 허용되어 있는 문자수가 정해져 있다. 이러한 입력 문자수에 제한이 있는 경우의 입력시에 있어서는 「「」 및 「」」를 표시시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필드를 명확히 하고 있다.
도18은 이러한 입력 문자수에 제한이 있는 경우의 입력시에 있어서, 점멸 문자(입력 후보 문자)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선택키(80)가 조작된 때에 실행되는 처리용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CPU(21)는 이미 입력되어 있는 문자수(포지티브 문자수)가 허용되어 있는 문자수와 같은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1300)). 여기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CPU(21)는 이 점멸 문자의 위치가 가장 끝인지 아닌지, 바꿔 말하면, 문자열의 도중에 대한 삽입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위치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1301)). 여기에서도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 점멸 문자를 삭제한 문자열을 소정의 에어리어에 격납하고(스텝(1302)), 다른 입력 화면으로 표시를 바꾼다(스텝(1303)).
예를 들면 등록 숙어의 입력시에 있어서, 스텝(1302)의 긍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등록 숙어의 격납 에어리어(작업 에어리어는 아니다)에 점멸문자를 제외한 문자열을 격납하고, 그 등록 숙어의 읽기를 판독한 입력 화면을 표시시킨다.
상술한 스텝(1300) 및 (1301)에서 부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입력 문자 열을 판독하고 있는 작업 에어리어에 점멸 문자를 포지티브 문자 또는 네가티브 문자로 변환하여 격납하고, 표시를 갱신시킨다(스텝(1304)). 그리고 이때에 있어서 포지티브 문자로의 변환이 실행된 경우에는 문자수를 갱신시킨다(단, 허용 문자수가 상한이 된다). 또한 포지티브 문자로의 변환에 의해 허용 문자술를 초과하게 된 포지티브 문자를 입력 문자열에서 소거한다.
문자수가 허용 문자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선택자 다이얼(85)에서의 입력 후보 문자의 입력을 인식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허용 문자수가 되어도 도중에서의 삽입을 인식하고, 가장 끝측을 소거하는 것이 실제적이다. 이러한 경우, 처리 프로그램의 구성상, 허용 문자수가 되어도 중도인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선택자 다이얼(85)에서의 입력 후보 문자(점멸 문자)를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장 끝으로의 추가는 허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가장 끝의 점멸 문자가 최종적으로 포지티브 문자로 변환되어도 삭제되기 때문에) 그래서 선택시에는 입력 후보 문자의 선택이 아니라, 확정하고 있는 포지티브 문자열의 등록 선택으로서 처리하기로 하였다.
도19는 등록 숙어의 입력 조작과 표시 내용과의 관계예의 설명도이다. 도19(a)는 등록 숙어로서의 허용 문자수와 같은 수의 문자(포지티브문자) 「あいうえお」가 입력된 직후의 표시 내용을 도시하고 있다. 이 표시 상태에 있어서 선택자 다이얼(85)이 1단위각 만큼 조작되면, 도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か」가 점멸조작된다. 여기에서 선택키(80)가 조작된 경우, 점멸 문자의 네가티브 문자로의 변환으로서 처리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지만, 허용 문자수를 초과하고 있고, 게다가 가장 끝으로의 입력 지령이므로 네가티브 문자로의 변환 지령으로는 취급되지 않고, 등록 숙어의 선택 확정 지령으로서 받아들여지며, 점명 문자 「か」를 제외한 문자열 「あいうえお」를 등록 숙어의 격납 에어리어에 격납시킨 후, 도1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읽기를 입력시키기 위한 화면을 표시시킨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인장 종류 및 지정되어 있는 행마다의 문자 사이즈에 따라서 행 마다에 허용할 수 있는 문자수를 결정하고, 입력 문자수가 그 행에 허용되어 있는 문과수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 초과하고 있는 문자수 부분과, 초과하고 있지 않은 문자수 부분을 다른 표시 상태로 표시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사용자는 인쇄나 레이아웃 표시를 기동하기전의 문자 입력 단계에 있어서, 문자 입력의 타당성을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개행 조작 등의 적절한 대응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등록 숙어를 장치에 격납 등록하도록 한 입력 문자수에 제약이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 입력된 확정 문자수가 제한 문자수와 같고, 확정 문자열의 가장 끝에 입력 후보 문자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문자열의 장치로의 등록 지령이 주어진 때에, 그 입력 후보 문자를 제외한 입력 완료의 확정 문자열을 등록시키도록 하였으므로, 필요한 문자열을 제한 문자수까지 입력 후에 사용자가 실수로 입력 후보 문자를 입력시켜도, 이것을 삭제하고 나서 등록 지령을 발생시키는 조작을 실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3 및 제4의 본 발명의 인장 작성 장치에 적용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제3 및 제4의 본 발명의 적용 장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테이프 인쇄 장치 등의 다른 문자 정보 처리 장치 등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행마다에 문자수의 계약을 가한 기술 사상을 인쇄 영역에 관하여 종횡의 제약이 있는 장치이면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가장 끝의 입력 후보 문자를 삭제하여 제한 문자수와 같은 확정 문자를 등록시키는 기술 사상은 장치에 등록시키는 문자수의 제한이 있는 장치로의 등록기능을 가지는 장치이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문자 입력 구성으로서 선택자 다이얼(선택자 수단)을 구비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선택자 다이얼을 구비하지 않은 문자 입력 구성을 채용하고 있는 장치에 제3 및 제4의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행 마다의 허용 문자수를 연산에 의해 결정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행 마다의 허용 문자수의 테이블을 설치하여 두어, 인장 종류 및 행 마다의 문자 사이즈를 키로 하여 그 테이블에서 행 마다의 허용 문자수를 취출하는 것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제5의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정보 처리 방법 및 제6의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정보 처리 장치를 인장 작성 장치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이 실시예의 인장 작성 장치에 있어서도 전기적 구성분(정보 처리 장치나 인영 전사 제어부)는 상술한 도1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며, 기구적 광학적 구성부(인쇄부나 광선 조사부 등) 및 인장 본체의 구성은 상술한 도2에 도시한 것과 같으며, 당해 인장 작성 장치의 외관은 도3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다이얼키부(11B)의 상세도 상술한 도4에 도시한 것과 같으며, 표시 장치(33)의 상세도 상술한 도4에 도시한 것과 같으며, 제판 시트(60)의 구성도 상술한 도6에 도시한것과 같다. 또한 인장을 작성시키는 사용자가 이행하는 처리 순서도 상술한 도7에 도시한 것과 같다. 그 때문에 그 상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개술한 도면의 부호를 적절히 이용한다.
본 발명은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 방법에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 처리에 있어서의 각종의 처리 프로그램(도(20), 도(21))이나, 고정 데이터(도22 ∼ 도29)가 ROM(22)에 격납되어 있고, CPU(21)가 특징 처리에 있어서의 각종의 처리 프로그램을 적절히 고정 데이터를 이용하면서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에 있어서의 스타일 속성의 설정 처리와 「라꾸라꾸」라는 결정 종류가 선택되고 있을 때의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 처리를 차례로 설명한다.
도20은 키 입력부(11)의 스타일 설정 키가 조작된 때에서 시작되는 CPU(21)는 일련의 스타일 속성의 설정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인면 전체에 대한 장식 효과를 스타일이라 한다. 스타일에 속하는 속성으로서는 각 행의 문자 사이즈와 횡서 및 종서, 각 행의 문자의 배치 관계(각 행의 선두 정렬이나 각 행을 센터링하거나, 각 행의 좌우단의 문자 위치를 정렬하거나 하는 배치 관계)와, 테두리나 도표를 부여하는 것이 준비되어 있고, 이들의 스타일 속성을 설정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입력 문자열의 판독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타일 설정키를 조작한다. 이 때, CPU(21)는 도20에 도시한 처리를 개시한다.
CPU(21)는 우선 표제 「사이즈」와 문자 사이즈의 초기 선택지(여기에서는 「라꾸라꾸」라 한다)를 표제에 커서를 맞추어 액정 디스플레이(33A)에 표시시키고, 선택키(80)가 다음 후보키(83), (84))가 조작되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2100), (2101)). 그리고 초기 선택지는 금희의 입력 문자열에 대한 최초의 스타일 설정이면 장치가 준비하고 있는 것이 되며, 2회째이하의 스타일 설정이면 직전의 설정 내용이 된다.
여기에서 선택키가 조작되면, 커서를 초기 선택지 「라꾸라꾸」로 이행시켜서, 표제 「사이즈」와 문자 사이즈의 초기 선택지 「라꾸라꾸」를 액정 디스플레이(33A)에 표시시키고, 선택키인지 다음 후보키인지를 판별한다(스텝(2102), (2103)). 이 상태에서 선택키가 조작되면,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 종류로서 「라꾸라꾸」가 지정된 것을 격납하여 후술하는 스텝(2110)으로 진행한다(스텝(2104)). 한편, 다음 후보키가 조작된 때는 표제 「사이즈」와 문자 사이즈 외의 선택지 「균등」을 선택지 「균등」에 커서를 맞추어서 액정 디스플레이(33A)에 표시시키고, 선택키가 조작되었는지 또는 다음 후보키가 조작되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2105), (2106)). 이 상태에서 선택키가 조작되면,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 종류로서 「균등」 이 설정된 것을 격납하여 후술하는 스텝(2110)으로 진행하며(스텝(2107)), 한편 다음 후보키가 조작된 때는 인장의 종류를 판별한 후, 사용자가 지정한 행수와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조합을 판독하여 후술하는 스텝(2110)으로 진행한다(스텝(2109)).
스텝(2109)의 처리의 상술은 생략하였지만, 사용자에게 행수를 선택시킨 후, 인장 종류와 행수에서 정해지는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조합의 후보를 차례로 그래픽적으로 표시시켜 선택시킨다.
상술한 「균등」 으로는 제판시나 레이아웃 표시시의 처리에서 행수 및 가장 긴 행의 길이에 기초하여 장치가 자동적으로 전체의 행에 동일 문자 사이즈를 할당하는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 종류이고, 「라꾸라꾸」로는 제판시나, 레이아웃 표기시의 처리에서 행수나 각 행의 길이의 차이 등에 기초하여 인면에서의 각 행의 길이가 가능한 같아지도록 장치가 자동적으로 각 행의 문자 사이즈를 할당하는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 종류이다. 인영 모양으로서 가능한한 문자 부분의 비율(혹율)이 높아 지는 것을 사용자가 바라는 일이 많으며, 그 때문에 장치가 자동적으로 각 행의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종류로서「균등」뿐만이 아니라 「라꾸라꾸」도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스텝(2101)의 판별 결과, 다음 후보키가 조작됐다는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문자 사이즈에 관하여는 초기 선택지 「라꾸라꾸」가 채용되게 된다.
CPU(21)는 스텝(2110)에 있어서는 표제 「횡·종」와 종서, 횡서의 초기 선택지(여기에서는 「횡서」라 함)를 표제에 커서를 맞추어서 액정 디스플레이(33A)에 표시시키고, 스텝(2111)에 있어서 선택키가 조작되었는지 다음 후보키가 조작되었는지를 판별하고, 선택키가 조작된 때에도 스텝(2112)에 있어서 종서, 횡서의 구체적 내용을 판독한다.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각 행의 문자의 배치 관계(표제는 「편집」 )에 관한 속성이나, 테두리나 도표를 부여하는지(표제는 「테두리·도표」)의 속성에 대하여도 같은 설정 처리를 이행한다. 또한 표제의 변경은 다음 후보키가 조작된 때, 또는 1개전의 표제에 있어서의 속성 내용의 설정이 종료된 때에 실행된다.
여기에서 액정 디스플레이(33A)에 표시하는 표제로서 「지정 끝냄」도 있다.
CPU(21)는 표제로서 「지정 끝냄」 을 표시하고 있을 때(스텝(2120)에 의한다)에도 선택키가 조작되었는지 또는 다음 후보키가 조작되었는지를 판별하고(스텝(2121), 후보키가 조작된 때에는 상술한 스텝(2100)으로 되돌아가고, 선택비가 조작되었을 때에는 표시를 입력 문자열의 판독용으로 돌아가서 일련의 스타일 설정 처리를 종료한다(스텝(2122)).
다음으로 이 실시예의 특징 처리인 「라꾸라꾸」 설정시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 처리를 도21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판 지령시나 레이아웃 지령시에는 입력 문자열을 인쇄 버퍼 또는 표시 버퍼에 전개하는 것을 이행하지만, 이러한 버퍼로 전개하기 위하여는 각 종의 속성이 정해져 있지 않으면 안되며,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 종류가 「균등」 이나 「라꾸라꾸」인 경우에는 제판 지령시나 레이아웃 지령시에 버퍼로의 전개를 개시하기 전에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 처리를 이행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라꾸라꾸」 설정시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 처리에 특징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이 「라꾸라꾸」 설정시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 처리를 설명한다. 또한 「라꾸라꾸」 설정시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 처리는 크게 보면 인장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하지만. 자세히는 다르므로 이하에서는 사각 모양 인장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그리고 「균등」 설정시의 처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입력 문자열의 행수를 인식함과 동시에, 가장 긴 행의 길이 정보를 얻어, 행수와 가장 긴 행의 정보를 키로 하고, 그 점에서 장착되어 있는 인장 종류에 독특한 문자 사이즈의 할당 테이블을 액세스하여, 각 행에 공통인 문자 사이즈를 결정한다.
도21은 인장 종류가 사각 모양 인장인 것 「라꾸라꾸」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CPU(21)가 인식한 후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처리는 인장 종류에 의해 정해지는 인면 부재의 크기(면적)에 가능한한 큰 문자 사이즈로 문자를 채워 넣는 방식에 따르며, 바꿔 말하면, 혹율이 가능한한 높아지도록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처리가 되고 있다.
CPU(21)은 도21에 도시한 처리로 진행하면 우선 입력 문자열의 행수를 인식하여, 입력 문자수의 행수를 판별한다(스텝(2200)). 그리고 여기에서의 인식 행수는 확정된 문자가 존재하는 행의 수이며, 개행은 되었지만, 그 행에 확정 문자가 존재하지 않도록 한 행은 계수(층수)에서 제외된다.
입력 문자열의 행수가 1행이면 CPU(21)는 그 길이 정보를 얻은 후(스텝(2201)), 그 길이 정보를 키로 하여 사각 모양 인장에 관한 1행용의 도22에 일례를 나타내는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을 액세스하며 문자 사이즈를 결정한다(스텝(2202)).
행 길이 정보의 정의 방법은 임의이지만, 여기에서는 장치가 전개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문자 사이즈(축소 S사이즈라 한다)를 그 행에 설정한다고 가정한 경우의 도트수로 한다. 그리고 행의 기본 문자 사이즈가 설정되어 있어도, 그 행의 일부의 문자에 다른 문자 사이즈를 설정하는 것(문자 단위의 문자 사이즈의 설정)도 인가하고 있으므로, 문자수를 곧장 그 행의 길이 정보로 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또한, 문자 사이즈로서는 큰 쪽에서 H, U, G, L, M, S가 준비되어 있고, 또한 이들 문자 사이즈를 부주사 방향으로 압축 또는 신장한 문자 사이즈도 준비되어 있다. 도22에 있어서의 축소 S사이즈를 축소한 크기의 문자 사이즈를 나타내고 있고, 늘림 사이즈는 H사이즈를 신장한 크기의 문자 사이즈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인장 종류가 사각 모양 인장이외의 경우에는 스텝(2202)에서 액세스하는 1행용의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이 사각 모양 인장의 경우와 다르며, 이 테이블의 차이를 제외하면, 인장 종류가 사각 모양 인장인 경우와 같은 처리에 의해 1행의 문자 사이즈가 결정된다.
상술한 행수의 판별 결과, 2행인 것을 인식한 CPU(21)는 각 행의 길이 정보를 얻고 긴 행 및 짧은 행을 인식한 후(스텝(2203)), (긴 행의 길이)÷(짧은 행의 길이)의 값을 구하고, 그 값을 키로 하여 전체의 인장 종류에 공통인 2행용의 도23에 일례를 도시한 사이즈형 결정 테이블을 액세스하여 사이즈의 형(문자 사이즈의 조합의 형식)을 결정한다(스텝(2204)).
그 후, 사각 모양 인장인 것 및 결정된 사이즈의 형을 키로 하여 전체의 인장 종류에 공통인 2행용의 도24에 일례를 도시한 각 행의 기본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을 액세스하여 각 행의 기본 문자 사이즈를 결정한다(스텝(2205)). 그리고 도24에 있어서의 2개의 문자 사이즈의 조합(예를 들면 G+L)중, 좌측의 사이즈(G)는 짧은 행의 기본 문자 사이즈를 나타내고 있고, 우측의 사이즈(L)은 긴 행의 기본 문자 사이즈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각 행에 관하여 각각 스텝(2205)에서 얻어진 기본 문자 사이즈와 스텝(2203)에서 얻어진 그 행의 길이 정보를 키로 하고, 사각 모양 인장에 관한 2행~4행으로 공통인 도25에 일례를 도시한 각 행의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을 액세스하여 각 행의 문자 사이즈를 결정한다(스텝(2206)).
그러고, 인장 종류가 사각 모양 인장이외의 경우에는 스텝(2205)에서 액세스하는 2행용의 기본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의 필드나, 스텝(2206)에서 액세스하는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이 사각 모양 인장의 경우와 다르지만, 이들의 점을 제외하면, 인장 종류가 사각 모양 인장의 경우와 같은 처리에 의해, 2행의 문자 사이즈 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행 수의 판별 결과, 3행인 것을 인식한 CPU(21)는 각 행의 길이 정보를 얻어 긴 행(가장 긴 행), 중간 행(2번째 긴행) 및 짧은 행(가장 짧은 행)을 인식한 후(스텝(2207)), (긴 행의 길이) ÷ (중간 행의 길이)의 간 및 (중간 행의 길이) ÷ (짧은 행의 길이)의 값을 구하고, 이들 값을 키로 하며, 전체의 인장 종류에 공통인 3행용의 도26에 일례를 도시한 사이즈형 결정 테이블을 액세스하여 사이즈의 형을 결정한다(스텝(2208)).
그 후, 사각 모양 인장인 것 및 결정된 사이즈의 형을 키로 하여 전체의 인장 종류에 공통인 3행용의 도27에 일례를 도시한 각 행의 기본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을 액세스하여 각 행의 기본 문자 사이즈를 결정한다(스텝(2206)). 그리고 도27에 있어서의 3개의 문자 사이즈의 조합(예를 들면 G+M+S) 중, 좌측 사이즈(G)는 짧은 행의 기본 문자 사이즈를 나타내고 있고, 가장 중간 사이즈(M)는 중간 행의 문자 사이즈를 도시하고 있으며, 우측의 사이즈(S)는 긴 행의 기본 문자 사이즈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각 행에 관하여 각각 스텝(2209)에서 얻어진 기본 문자 사이즈와 스텝(2207)에서 얻어진 그 행의 길이 정보를 키로 하여 사각 모양 인장에 관한 2행∼4행으로 공통인 도25에 일례를 도시한 각행의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을 액세스하여 각 행의 문자 사이즈를 결정한다(스텝(2210)).
그리고, 인장 종류가 사각 모양 인장 이외의 경우에는 스텝(2209)에서 액세스하는 3행용의 기본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의 필드나, 스텝(2210)에서 액세스하는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이 사각 모양 인장의 경우와 다르지만, 이 점을 제외하면, 인장 종류가 사각 모양 인장의 경우와 같은 처리에 의해 3행의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행수의 판별 결과, 4행인 것을 인식한 CPU(21)는 각 행의 길이 정보를 얻어 가장 긴 행 및 2번째 긴 행(이하, 다음 긴 행이라 한다)을 인식한 후(스텝(211)), (가장 긴 행의 길이) ÷ (다음 긴 행의 길이)의 값을 구하고, 이 값을 키로 하며 전체의 인장 종류에 공통인 4행용의 도28에 일례를 도시하는 사이즈형 결정 테이블을 액세스하여 사이즈 형을 결정한다(스텝(2212)).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4행인 경우에 형의 종류가 적으므로 4행이라는 다행의 경우에는 실제상 취할 수 있는 문자 사이즈의 조합 자체가 적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길이의 비로서 가장 긴 행과 그 다음 긴 행의 비만을 요구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 후, 사각 모양 인장인 것 및 결정된 사이즈의 형을 키로 하여 전체 인장 종류에 공통인 4행용의 도29에 일례를 도시한 각 행의 기본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을 액세스하여 각 행의 기본 문자 사이즈를 결정한다(스텝(2213)). 그리고 도29에 있어서의 4개의 문자 사이즈의 조합은 좌측의 것만큼 짧은 행에 대응하고 있다.
다음으로 각 행에 관하여 각각 스텝(2213)에서 얻어진 기본 글자 사이즈와, 스텝(2211)에서 얻어진 그 행의 길이 정보를 키로 하여, 사각 모양 인장에 관한 2행∼4행에 공통인 도25에 일례를 도시한 각 행의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을 액세스하여 각 행의 문자 사이즈를 결정한다(스텝(2214)).
그리고, 인장 종류가 사각 모양 인장 이외의 경우에는 스텝(2213)에서 액세스하는 4행용의 기본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의 필드나, 스텝(2214)에서 액세스하는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이 사각 모양 인장의 경우와 다르지만, 이 점을 제외하면, 인장 종류가 사각 모양 인장인 경우와 같은 처리에 의해, 4행의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각 행의 문자 사이즈가 정해지면, 다른 속성(횡서 · 종서 동)도 고려하여, 입력 문자열의 도트 패턴을 인쇄 버퍼 또는 표시 버퍼에 전개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장치가 자동적으로 행의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종류로서 「라꾸라꾸」를 준비하고 있고, 「라꾸라꾸」가 선택된 때에는 인장 모양에 서의 혹율이 높아지도록 각 행의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도록 하였으므로, 복잡한 조작을 사용자에게 요구하지 않고, 혹율이 높은 인영 모양을 가지는 인장을 작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치로서의 입력할 수 있는 최대 행수(인장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가 4행인 것을 나타내었지만, 3행 이하에서도 5행 이상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문자 사이즈의 조합의 형을 결정하기 위한 길이의 비를 산출하는 행의 조합이 사이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최종적인 문자 사이즈를 결정할 때의 길이(도트수)의 단계도 상기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면 부재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인장 작성 장치에 제5 및 제6의 본 발명을 적영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인면 부재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잉크가 부분적으로 묻어 나와 용지에 인영을 남기도록 인면 부재를 처리하는 인장 작성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레이아웃 표시시 뿐만이 아니라, 잉크가 부분적으로 묻어 나와 용지에 인영을 남기도록 인면 부재를 처리하는 것이 요구된 때에 도1에 도시한 처리를 이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인쇄 또는 전사 매체가 인면 부재에 대하면 이와 같은 문자열의 배치에 관한 제약 등이 있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도 제5 및 제6의 본 발명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테이프 인쇄 장치의 경우, 인쇄 매체의 테이프이므로, 일반적인 행수의 제한은 있지만, 각 행의 문자수의 제한은 없으며, 테이프의 길이가 결정되어 문자열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각 행의 문자수가 제한되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에서 윈도우 표시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그 정해진 영역에 소정 문자수를 표시할 때에도 제5 및 제6의 본 발명에 의한 행 마다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제1의 본 발명의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하면, 버퍼로의 입력문자열의 전개 지령시에 있어서, 행 길이 판별 수단이 입력 문자열의 각 행의 길이 정보를 인식하고, 인쇄 매체 또는 전사 매체의 크기의 종류로서 정해지는 한정 값의 길이를 초과한 행의 존재를 판별하며, 개행 추가 제어 수단이 한정 값을 초과하는 행의 문자열을 2분하여 2행의 문자열로 변경시키며, 문자열 전개 수단이 개행이 추가된 후의 문자열을 버퍼에 전개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문자열의 입력시에 개행을 넣는 일없이, 입력된 문자열을 균형 좋게, 인쇄 버퍼나 표시 버퍼 등에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의 본 발명의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하면, 문자수 인식 수단이 입력 문자열의 총 문자를 인식하고, 문자 배치 결정 수단이 인식된 총 문자수에 따라서 문자 사이즈와, 행수와. 각 행에 있어서의 문자수를 결정하며, 문자열 전개수단이 문자 배치 결정 수단이 결정한 문자 사이즈, 행수, 각 행에 있어서의 문자수에 따라서, 입력 문자열을 버퍼에 전개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문자열의 입력시에 개행을 넣지않고, 입력된 문자열을 균형 좋게, 인쇄 버퍼나 표시 버퍼 등에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의 본 발명의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하면, 행 마다 허용할 수 있는 문자수를 결정하며, 입력 문자수가 그 행에 허용되어 있는 문자수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 초과하고 있는 문자수 부분과, 초과하고 있지 않은 문자수 부분과를 다른 표시 상태로 표시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사용자는 인쇄나 레이아웃 표시를 기동하기 전의 문자 입력 단계에 있어서, 문자 입력의 타당성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며, 개행 조작 등의 적절한 대응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제4의 본 발명의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하면, 입력 된 확정 문자수가 제한 문자수와 같고, 확정 문자열의 가장 끝에 입력 후보 문자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문자열의 장치로의 등록 지령이 주어진 경우에 그 입력 후보 문자를 제외한 입력 완료의 확정 문자열을 등록시키도록 하였으므로, 필요한 문자열을 제한 문자수까지 입력 후에 사용자가 실수로 입력 후보 문자를 입력시켜도, 이것을 삭제하고 나서 등록 지령을 발생시키는 조작을 실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의 본 발명의 문자 정보 처리 방법 및 제6의 본 발명의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하면, 입력 문자열의 행수가 2행이상인 경우에 각 행의 문자 사이즈로서 동일의 문자 사이즈를 할당한 때의 각 행의 길이 정보를 얻음과 함께, 길이 정보의 순서를 얻고, 또한 소정의 2행의 길이의 비를 1조 이상의 2행의 조합에 관하여 요구하며, 얻어진 1이상의 비에 기초하여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조합의 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형에 기초하여 각 행의 기본적인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며, 그 후 각 행의 각각에 관하여 그 행의 길이 정보와 기본 문자 사이즈에서 그 행의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도록 하였으므로, 복잡한 조작을 사용자에게 요구하지 않고, 종횡으로 제약이 있는 인쇄 매체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문자열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장 작성 장치의 전기적 구성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장 작성 장치의 기구적 광학적 구성부를 도시한 배치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장 작성 장치의 외관 구성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다이얼키(11B)의 개략 평면도.
도5는 표시장치(33)의 평면도.
도6은 제판 시트(60)의 설명도.
도7은 인장 작성 순서를 도시한 설명도.
도8은 제1 및 제2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장 작성 장치의 제1 특징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9는 문자 수가 많은 행에 대한 자동 개행 기능의 유용성의 설명도.
도10은 모드 마크 위치에서 개행 처리를 이행시키는 경우에서, 후측의 문자열이 길 때의 텍스트 데이터의 상태와 제판 결과에 관한 설명도.
도11은 모드 마크 위치에서 개행 처리를 이행시키는 경우, 후측의 문자열이 길 때, 텍스트 데이터의 상태와 제판 결과에 관한 설명도.
도12는 모드 마크를 포함하는 가장 긴 행을 단순히 2분한 위치에서 개행 처리를 이행시키는 경우의 텍스트 데이터의 상태와 제판 결과에 관한 설명도.
도13은 제1 및 제2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장 작성 장치의 제2의 특징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14는 사각 모양 인장의 폼 입력에서 입력된 문자열의 버퍼 전개시에 참조되는 테이블(table)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15는 제3 및 제4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장 작성 장치의 행 마다의 허용 문자수의 결정 처리를 포함하는 일련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16은 제3 및 제4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장 작성 장치의 문자 수의 변화시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17은 입력 문자 수와 표시 내용과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도18은 제3 및 제4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장 작성 장치의 점멸 문자 존재시의 문자열의 장치로의 등록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19는 등록 숙어의 입력 상황과 표시 내용과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도20은 제5 및 제6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장 작성 장치의 스타일 속성의 설정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21은 제5 및 제6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장 작성 장치의 각 행 문자 사이즈의 결정 처리의 요부를 도시한 흐름도.
도22는 사가 모양 인장 1행용의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을 도시한 설명도.
도23은 2행용의 사이즈형 결정 테이블을 도시한 설명도.
도24는 2행용의 기본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을 도시한 설명도.
도25는 사각 모양 인장 복수 행용의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을 도시한 설명도.
도26은 3행용의 사이즈형 결정 테이블을 도시한 설명도.
도27은 3행용의 기본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을 도시한 설명도.
도28은 4행용의 사이즈형 결정 테이블을 도시한 설명도.
도29는 4행용의 기본 문자 사이즈 결정 테이블을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입력부, 20: 제어부,
21: CPU, 22: ROM,
23: RAM, 30: 출력부,
40: 인장 본체, 42: 인면 부재,
42B: 자외선 경화 수지층, 50: 인쇄 헤드,
52: 잉크 리본, 60: 제판 시트,
70:자외선 조사 광원
Claims (16)
- 인쇄 영역 또는 전사 영역의 크기에 맞추어서, 입력 문자열의 도트 패턴을 버퍼에 전개하는 처리를 동반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전개 지령시에 있어서, 입력 문자열의 각 행의 길이 정보를 인식하며, 인쇄 영역 또는 전사 영역의 크기에 따라 정해지는 한정 값의 길이를 초과하는 행의 존재를 판별하는 행 길이 판별수단과,한정 값의 길이를 초과하는 행의 문자열을 2분하여 2행의 문자열로 변경시키는 개행 추가 제어 수단과,개행이 추가된 후의 문자열 또는 입력 문자열을 버퍼에 전개시키는 문자열 전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 길이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가 한정 값 길이를 초과하는 행이 존재한다는 결과의 경우에, 적어도 가장 긴 행에 대하여 이행하는지 아닌지를 묻는 메세지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상기 개행 추가 제어 수단이 이 메세지 표시에 대응하여, 개행의 긍정 지시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지시 입력이 있은 행의 문자열을 2분하여 2행의 문자열로 변경시킴과 함께, 상기 메세지 표시에 대응하여, 개행의 부정 지시 입력이 있은 경우에는 전개 지령시의 입력 문자열의 내용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지령이 인쇄 지령 및 레이아웃 표시 지령의 한 쪽이며, 상기 문자열 전개 수단은 전개 지령이 인쇄 지령일 때면, 레이아웃 표시 지령인 때에 전개의 방법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행 추가 제어 수단은 한정 값의 길이를 초과하는 행의 문자열을 구성하는 문자의 길이 정보를 2분할 때, 문자간에서 2분할 수 없는 경우에는 2분한 때에 전측의 문자열에 있어서의 행이 길어지도록 문자열을 2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
- 입력 문자열의 도중에 있어서, 문자 단위의 속성의 변경을 나타내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가 있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한정 값의 길이를 초과하는 행의 문자열을 구성하는 문자의 길이 정보를 2분한 때에 후측의 문자열에 있어서의 행의 선두의 문자의 근방의 위치에 당해 후측의 문자열에 있어서의 모드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개행 추가 제어 수단은 상기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이후의 문자열을 개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
- 입력 문자열의 도중에 있어서, 문자 단위의 속성의 변경을 나타내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상기 개행 추가 제어 수단은 한정 값의 길이를 초과하는 행의 문자열을 구성하는 문자의 길이 정보를 2분하는 경우에, 후측의 문자열에 대하여 입력 문자열에 있어서의 그 후측의 문자열에 설정되어 있는 모드를 유지시키고, 상기 후측의 문자열을 개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
- 인쇄 영역 또는 전사 영역의 크기에 맞추어서, 입력 문자열의 도트 패턴을 버퍼에 전개하는 처리를 동반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입력 문자열의 각 문자의 길이 정보의 총 합을 인식하는 문자열의 길이 정보 인식 수단과,인식된 각 문자의 길이 정보의 총 합에 따라서, 문자 사이즈와, 행수와, 각 행에 있어서의 문자수를 결정하는 문자 배치 결정 수단과,상기 문자 배치 결정 수단이 결정한 문자 사이즈, 행수, 각 행에 있어서의 문자수에 따라서 입력 문자열을 버퍼에 전개시키는 문자열 전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
- 문자열의 입력 모드로서, 개행을 입력하지 않고 인쇄 또는 전사 대상의 전체의 문자열을 입력하는 폼 입력 모드가 설치되어 있는 제7항에 있어서의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상기 문자열의 길이 정보 인식 수단, 상기 문자 배치 결정 수단 및 상기 문자열 전개 수단이 폼 입력 모드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
- 종횡의 크기에 제약이 있는 인쇄 영역에 입력 문자열을 인쇄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입력 문자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각 행의 허용 가능한 문자수를 결정하는 행 허용 문자수 결정 수단과,입력 문자수가 그 행에 허용되는 문자수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 초과하고 있는 문자수 부분과, 초과하고 있지 않은 문자수 부분을 다른 표시상태로 입력 중에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행 허용 문자수 결정 수단은 장치가 자동적으로 문자 사이즈 결정할 수 있는 문자 사이즈의 결정 모드에서는 인쇄 가능한 최소의 문자 사이즈 및 상기 인쇄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각 행의 허용할 수 있는 문자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행 허용 문자수 결정 수단은 행의 문자 사이즈가 지정되어 있을 때는 그 문자 사이즈를 횡 방향으로 축소한 문자 사이즈 및 상기 인쇄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각 행의 허용할 수 있는 문자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
- 입력 문자수에 제한이 있는 문자열을 장치에 등록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이며, 입력 후보 문자를 입력시키는 후보 문자 입력 수단과, 확정된 문자수 이하일 때에 입력된 입력 후보 문자의 접수를 인식하는 문자수 제한 수단과, 입력 문자열의 등록을 지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등록 지령수단을 구비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상기 등록 지령 수단에서 출력 신호가 송출된 경우에 있어서, 문자열의 입력 상황이 입력된 확정 문자수가 제한 문자수와 같고, 확정 문자열의 가장 끝에 입력 후보 문자가 존재하는 상황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이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가 입력된 확장 문자수가 제한 문자수와 같고, 확정 문자열의 가장 끝에 입력 후보 문자가 존재하는 상황이라는 결과일 때, 이 입력 후보 문자를 제외한 입력 완료의 확정 문자열을 등록시키는 등록 실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
- 문자열의 읽기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영역에 입력 문자열을 전개하는 처리를 동반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입력 문자열의 행수가 2행 이상인 경우에, 각 행의 문자 사이즈로서 동일의 문자 사이즈를 할당한 때의 각 행의 길이 정보를 얻음과 함께, 길이 정보의 순서를 얻는 행 길이 산출 처리 수단과,소정의 2행의 길이의 비를 1조 이상의 2행의 조합에 관하여 요구하여, 얻어진 1이상의 비에 기초하여,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조합의 형을 결정하는 사이즈형 결정 처리 수단과,결정된 행에 기초하여, 각 행의 기본적인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기본 문자 사이즈 결정 처리 수단과,각 행의 각각에 관하여 그 행의 길이 정보와 기본 문자 사이즈에서 그 행의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문자 사이즈 결정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처리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입력 문자열의 행수가 2행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함과 함께, 입력 문자열의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 방법의 종류로서, 각 행의 길이가 같아지도록 각 행의 문자 사이즈를 자동 결정하는 자동 결정 종류가 선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상기 행 길이 산출 처리가 자동 결정 종류가 선택되어 있고, 동시에 입력 문자열의 행수가 2행 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 각 행의 문자 사이즈로서 동일의 문자 사이즈를 할당한 때의 각 행의 길이 정보를 얻음과 함께, 길이 정보의 순서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처리 방법.
- 문자열의 읽기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영역에 입력 문자열을 전개하는 처리를 동반하는 인쇄 매체의 종횡의 크기에 맞추어서, 입력 문자열의 도트 패턴을 버퍼에 전개하는 처리를 동반하는 문자 정보처리 장치의 있어서,입력 문자열의 행수가 2행 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 각 행의 문자 사이즈로서 동일의 문자 사이즈를 할당한 때의 각 행의 길이 정보를 얻음과 함께, 길이 정보의 순서를 얻는 행 길이 산출 수단과,소정의 2행의 길이의 비를 1조 이상의 2행의 조합에 관하여 요구하여, 얻어진 1 이상의 비에 기초하여,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조합의 형을 결정하는 사이즈형 결정 수단과,결정된 형에 기초하여, 각 행의 기본적인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가본 문자 사이즈 결정 수단과,각 행의 각각에 관하여, 그 행의 길이 정보와 기본 문자 사이즈와에서 그 행의 문자 사이즈를 결정하는 문자 사이즈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입력 문자열이 행수가 2행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함과 함께 입력 문자열의 각 행의 문자 사이즈의 결정 방법의 종류로서, 각 형의 길이가 같아지도록 각 행의 문자 사이즈를 자동 결정하는 자동 결정 종류가 선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을 구비하고,상기 행 길이 산출 수단이 자동 결정 종류가 선택되어 있고, 동시에 입력 문자열의 행수가 2행 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 각 행의 문자 사이즈로서 동일의 문자 사이즈를 할당한 때의 각 행의 길이 정보를 얻음과 함께, 길이 정보의 순서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정보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00031896A JP3299433B2 (ja) | 1996-01-05 | 1996-01-05 | 文字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
JP8-323 | 1996-01-05 | ||
JP8-324 | 1996-01-05 | ||
JP8-318 | 1996-01-05 | ||
JP32496 | 1996-01-05 | ||
JP8000323A JPH09188025A (ja) | 1996-01-05 | 1996-01-05 | 文字情報処理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58922A KR970058922A (ko) | 1997-08-12 |
KR100483424B1 true KR100483424B1 (ko) | 2005-09-28 |
Family
ID=2727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00051A KR100483424B1 (ko) | 1996-01-05 | 1997-01-04 | 문자정보처리장치및문자정보처리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2) | US6226094B1 (ko) |
EP (1) | EP0783156A3 (ko) |
KR (1) | KR100483424B1 (ko) |
TW (1) | TW32255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26094B1 (en) * | 1996-01-05 | 2001-05-01 | King Jim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haracter information |
EP0911742A1 (en) * | 1997-09-30 | 1999-04-28 | Esselte N.V. |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ixed and automatically sized characters |
JP3562957B2 (ja) * | 1998-05-11 | 2004-09-08 | 株式会社キングジム | 印章作成装置 |
JP2000105762A (ja) * | 1998-09-29 | 2000-04-11 | Canon Inc | 文書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
GB0001913D0 (en) * | 2000-01-27 | 2000-03-22 | Esselte Nv | Printing device |
JP4198343B2 (ja) * | 2001-08-27 | 2008-12-1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文書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文書表示装置 |
JP2005208105A (ja) * | 2004-01-20 | 2005-08-04 | Oki Data Corp |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画像形成方法 |
RU2007100155A (ru) * | 2004-06-08 | 2008-07-20 | Эвери Деннисон Копэрейшн (Us) |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ндивидуализированного изделия,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изготовления наклейки для наклеивания на изделие, изделие с нанесенной на его поверхность наклейкой и наклейка для него |
JP4483425B2 (ja) * | 2004-06-17 | 2010-06-1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印刷/打刻複合装置の印刷処理方法、印刷/打刻複合装置、及びプログラム |
JP4713107B2 (ja) * | 2004-08-20 | 2011-06-29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景観中文字列認識方式および装置 |
JP4384106B2 (ja) * | 2004-09-30 | 2009-12-16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地紋画像生成装置及び地紋画像生成方法 |
JP4696865B2 (ja) * | 2005-11-16 | 2011-06-0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文書処理装置 |
US7734092B2 (en) * | 2006-03-07 | 2010-06-08 | Ancestry.Com Operations Inc. | Multiple image input fo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
JP4702291B2 (ja) * | 2007-01-22 | 2011-06-1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印刷装置 |
GB0706788D0 (en) | 2007-04-05 | 2007-05-16 | Dymo Nv | Tape printing apparatus |
JP4963663B2 (ja) * | 2007-10-25 | 2012-06-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 |
CN102096832B (zh) * | 2009-12-15 | 2013-05-01 |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 基于段块混合方式进行透明页面组装的方法及系统 |
CN103280194A (zh) * | 2011-01-20 | 2013-09-04 |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 一种液晶显示控制器及液晶显示器 |
US9734132B1 (en) * | 2011-12-20 | 2017-08-15 | Amazon Technologies, Inc. | Alignment and reflow of displayed character images |
US9087030B2 (en) | 2012-07-16 | 2015-07-2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Handling excessive input characters in a field |
JP6613654B2 (ja) * | 2015-06-24 | 2019-12-04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印刷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EP3305533B1 (en) * | 2016-10-04 | 2021-02-17 | Canon Production Printing Holding B.V. | Method for processing a web in an apparatus |
JP7131287B2 (ja) * | 2018-10-15 | 2022-09-06 | 株式会社リコー | 原稿サイズ検出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原稿サイズ検出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1987A (ja) * | 1992-07-17 | 1994-02-08 | Chinon Ind Inc | ラベル印字装置 |
JPH0778131A (ja) * | 1993-09-08 | 1995-03-20 | Nec Ic Microcomput Syst Ltd | データ入力方式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87154A (en) | 1981-05-15 | 1982-11-17 | Toyota Motor Corp | Method and device for inspecting quality of product produced by die casting machine |
JPS5817671A (ja) | 1981-07-24 | 1983-02-01 | Toshiba Corp | 電荷転送素子 |
JPH0735116B2 (ja) | 1986-04-30 | 1995-04-19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データ出力装置 |
JPS62271169A (ja) * | 1986-05-20 | 1987-11-25 | Brother Ind Ltd | 文書処理装置 |
JPS63132282A (ja) | 1986-11-25 | 1988-06-04 | 富士通株式会社 | 分割文字表示制御方式 |
JPH02240782A (ja) * | 1989-03-14 | 1990-09-25 | Canon Inc | 図形処理装置 |
US5253334A (en) * | 1991-01-31 | 1993-10-12 | Casio Computer Co., Ltd. | Tape printer |
JP2536322B2 (ja) * | 1991-03-28 | 1996-09-1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テ―プ印字装置 |
JP2556224B2 (ja) * | 1991-09-25 | 1996-11-2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テープ印字装置 |
JP2556231B2 (ja) | 1991-12-26 | 1996-11-2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テープ印刷装置 |
JP2556233B2 (ja) * | 1992-01-07 | 1996-11-2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テープ印字装置 |
EP0790565B1 (en) * | 1992-03-11 | 2000-05-31 | Chinon Industries Inc. | Word processor |
JP2556238B2 (ja) * | 1992-04-30 | 1996-11-2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テープ印字装置 |
JPH061000A (ja) * | 1992-06-17 | 1994-01-11 | Brother Ind Ltd | 印字装置 |
JP3016973B2 (ja) | 1992-10-06 | 2000-03-06 | 株式会社キングジム | テープ印字装置 |
CA2107759A1 (en) * | 1992-10-06 | 1994-04-07 | Masahiko Nunokawa | Tape printing device |
JP3312947B2 (ja) | 1993-03-29 | 2002-08-12 | 株式会社キングジム | 印章作成装置 |
JPH06262820A (ja) | 1993-03-16 | 1994-09-20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 |
JPH0778140A (ja) * | 1993-06-16 | 1995-03-20 | Brother Ind Ltd | 文書処理装置 |
EP0650841B1 (en) * | 1993-11-02 | 2002-07-31 | Casio Computer Co., Ltd. | Printing apparatus |
US5562353A (en) * | 1993-11-02 | 1996-10-08 | Casio Computer Co., Ltd. | Tape printing apparatus that calculates character sizes and line lengths |
JP3130194B2 (ja) * | 1993-11-09 | 2001-01-31 | 株式会社キングジム | テープ印刷装置及び方法 |
JP2879756B2 (ja) * | 1993-12-02 | 1999-04-05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プリンタ装置 |
JP3111442B2 (ja) * | 1993-12-14 | 2000-11-2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文書処理装置 |
DE69421397T2 (de) * | 1993-12-22 | 2000-05-11 | King Jim Co., Ltd. | Streifendrucker |
EP1045311B1 (en) * | 1994-12-07 | 2003-03-26 | King Jim Co., Ltd. | Character information processor for printing characters |
US6226094B1 (en) * | 1996-01-05 | 2001-05-01 | King Jim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haracter information |
-
1996
- 1996-12-26 US US08/774,695 patent/US622609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
- 1997-01-03 EP EP97100068A patent/EP0783156A3/en not_active Withdrawn
- 1997-01-04 KR KR1019970000051A patent/KR10048342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2-18 TW TW086102188A patent/TW322551B/zh active
-
2001
- 2001-01-18 US US09/761,757 patent/US665773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1987A (ja) * | 1992-07-17 | 1994-02-08 | Chinon Ind Inc | ラベル印字装置 |
JPH0778131A (ja) * | 1993-09-08 | 1995-03-20 | Nec Ic Microcomput Syst Ltd | データ入力方式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6226094B1 (en) | 2001-05-01 |
TW322551B (ko) | 1997-12-11 |
EP0783156A3 (en) | 2001-04-25 |
US6657738B1 (en) | 2003-12-02 |
EP0783156A2 (en) | 1997-07-09 |
US20020015167A1 (en) | 2002-02-07 |
KR970058922A (ko) | 1997-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83424B1 (ko) | 문자정보처리장치및문자정보처리방법 | |
KR100420971B1 (ko) | 인쇄를 이행하기 위한 문자정보처리장치 | |
EP0782064B1 (en) | Character input apparatus | |
US5644136A (en) | Seal making device | |
KR100516613B1 (ko) | 문자인쇄장치 | |
EP0632394B1 (en) | Text processing device | |
US5975779A (en) | Character information processor | |
JP3299433B2 (ja) | 文字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 |
KR100449636B1 (ko) | 문자정보처리장치 | |
US5791791A (en) | Character information processor | |
US8714847B2 (en) | Tape printer and tape printer control method | |
JP3475532B2 (ja) | 文字情報処理装置 | |
JPH03177963A (ja) | 漢字分類方法及び漢字分類表及び漢字処理装置 | |
JPH09188025A (ja) | 文字情報処理装置 | |
JPS6315287A (ja) | パタ−ン発生装置 | |
KR100636605B1 (ko) | 화상 작성 방법 및 장치와 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 |
JP3323387B2 (ja) | 文字入力装置 | |
KR100485196B1 (ko) | 문자할당방법,화상작성방법,인장작성방법및그장치 | |
JPH06149217A (ja) | 文字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JPH11232266A (ja) | 画像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その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 |
JP2002244640A (ja) | 文字情報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