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066B1 -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066B1
KR100482066B1 KR10-2002-0028158A KR20020028158A KR100482066B1 KR 100482066 B1 KR100482066 B1 KR 100482066B1 KR 20020028158 A KR20020028158 A KR 20020028158A KR 100482066 B1 KR100482066 B1 KR 100482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ressure
exhaust brake
valve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0157A (ko
Inventor
전종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8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0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90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4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exhaust conduits
    • F02D9/06Exhaust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동시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주 브레이크 장치와 연동될 수 있도록 하여 제동 성능의 향상을 도모함은 물론,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이외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여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동시 운전자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되는 브레이크 페달(20)과, 이 브레이크 페달(20)의 작동에 따라 주 브레이크 장치(22,24)로 공급되는 작동압을 공유하는 파일럿압 관로(36), 이 파일럿압 관로(36)를 통해 전달되는 작동압을 신호압으로 활용하여 개방이 이루어지는 개폐 밸브(26) 및, 이 개폐 밸브(26)의 개방에 따라 작동압을 배기 브레이크 기구(40)로 공급하는 작동압 인가 관로(3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exhaust brake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동시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과 연동되어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구성의 단순화를 도모함과 더불어 별도의 제어용 전기 회로의 구성을 삭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과 같이 적재되는 화물의 중량이 큰 상용차에는 주 브레이크 장치인 풋 브레이크를 보조하여 비탈길의 하향 주행시나 고속 주행중 감속을 위해 배기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배기 브레이크 장치는 배기 매니폴드와 연통된 배기 파이프의 내부에서 연소후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배기 가스의 배출을 강제적으로 억제시켜 엔진으로 하여금 압축기의 일을 하게 함으로써 제동력을 얻도록 된 것으로, 종래 배기 파이프의 내부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에 있어 고압의 압축 공기를 이용하면서 이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도록 된 전기-공기식 배기 브레이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차량의 탑재 전원인 배터리(1)로부터 배기 브레이크의 작동시 운전자가 조작하도록 된 배기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2)가 연결되고, 이 배기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2)에 주행중 가속시 운전자가 액셀레이터 페달을 가압할 경우 접속이 해제되도록 된 액셀 스위치(3)가 연결되며, 이 액셀 스위치(3)에 주행중 변속시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아 가압할 경우에 접속이 해제되도록 된 클러치 스위치(4)가 연결되는 한편, 이 클러치 스위치(4)에 상기 배터리(1)의 전원이 인가될 경우에 개폐되도록 된 마그네틱 밸브(5)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틱 밸브(5)는 압축기로부터 고압의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이를 내부에 저장하도록 된 공기 저장 탱크(6)와, 압축 공기의 힘을 매개로 하여 작동과 해제가 반복되도록 구성된 파워 챔버(7) 사이를 연결하는 공기 공급 관로(8)상에 설치되고, 상기 파워 챔버(7)는 배기 파이프(9)내에 설치되는 버터플라이 밸브(9a)와 링크 부재(10)를 매개로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 밸브(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저장 탱크(6)와 공기 공급 관로(8)를 매개로 연통되는 입구 포트(5a)와, 상기 파워 챔버(7)와 공기 공급 관로(8)를 매개로 연통되는 출구 포트(5b), 상기 입구 포트(5a)와 출구 포트(5b) 사이에서 이들의 교통을 조절하도록 플런져(5c)의 선단에 장착된 고무재의 개폐 부재(5d) 및, 상기 플런져(5c)에 전자기력을 부여하여 개폐 부재(5d)의 작동을 제어하는 코일(5e)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기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2)는 항시 단락형(Normal Off Type) 스위치인 반면에, 상기 액셀 스위치(3)와 클러치 스위치(4)는 항시 접속형(Normal On Type) 스위치이다.
그리고, 상기 배기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2)에는 파일럿 전구(11)가 연결되어 있어, 이 배기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2)가 온되면 상기 파일럿 전구(11)는 배터리(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파워 챔버(7)의 작동 로드(7a)에는 상기 배기 파이프(9)에 내장된 버터플라이 밸브(도시안됨)와 연결되어 이의 회동을 도모하여 개폐 동작으로 유도하는 링크 부재(10)가 연결되고, 이 링크 부재(10)에는 작동 해제시 원상태로의 복원을 도모하는 리턴 스프링(1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작동 스위치(2)의 조작에 의해 배터리(1)의 전원이 액셀 스위치(3)와 클러치 스위치(4)를 거쳐 마그네틱 밸브(5)로 인가되는 데, 이때 상기 마그네틱 밸브(5)의 내부에서는 코일(5e)의 자화에 따라 플런져(5c)의 상승이 수반되고, 이 플런져(5c)의 상승에 따라 상기 입구 포트(5a)와 출구 포트(5b) 사이의 통로는 상기 플런져(5c)에 장착된 개폐 부재(5d)의 상승으로 교통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저장 탱크(6)에 저장된 고압의 압축 공기는 공기 공급 관로(8)를 통해 파워 챔버(7)로 전달되어 링크 부재(10)를 매개로 배기 파이프(9)내 버터플라이 밸브(9a)를 폐쇄시킴으로써, 이 배기 파이프(9)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려는 배기 가스의 유동을 강제로 제지시켜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종래의 제동시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은 운전자에 의한 작동 스위치(2)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제동시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 조작과는 별도로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위해 작동 스위치(2)를 조작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배기 브레이크 장치를 주 브레이크 장치와 연동되게 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에 따른 압축 공기의 압을 검출하는 별도의 압력 감지용 스위치가 구비되어야 하며, 이는 배기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 복잡한 전기 회로의 구성을 요구하는 것이므로, 제조 비용이나 조립성을 감안하면 불리한 점으로 작용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동시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주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과 연동될 수 있도록 하여 제동 성능의 향상을 도모함은 물론,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이외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여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동시 운전자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되는 브레이크 페달과, 이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따라 주 브레이크 장치로 공급되는 작동압을 공유하는 파일럿압 관로, 이 파일럿압 관로를 통해 전달되는 작동압을 신호압으로 활용하여 개방이 이루어지는 개폐 밸브 및, 이 개폐 밸브의 개방에 따라 작동압을 배기 브레이크 기구로 공급하는 작동압 인가 관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폐 밸브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시 운전자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되는 브레이크 페달(20)로부터 차체의 전/후방으로 각각 배설된 주 브레이크 장치(22,24)에 공급되는 작동압을 신호압으로 하여, 배기 파이프상에 구비된 버터플라이 밸브(이상 도시안됨)의 회동을 도모하기 위한 작동압을 공급하는 개폐 밸브(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 밸브(26)의 개폐 작동을 도모하는 신호압으로 사용되는 작동압과, 상기 개폐 밸브(26)의 개방시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도모하는 작동압은, 상기 주 브레이크 장치(22,24)의 사양에 따라 각각 공압 내지 유압 등으로 결정되어진다.
즉, 상기 주 브레이크 장치(22,24)가 공압식이면, 상기 개폐 밸브(26)의 개폐 작동을 도모하는 신호압과, 상기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도모하는 작동압은 각각 공압식이고; 상기 주 브레이크 장치(22,24)가 유압식이면, 상기 개폐 밸브(26)의 개폐 작동을 도모하는 신호압과, 상기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도모하는 작동압은 각각 유압식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 브레이크 장치(22,24)가 공압식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는 바, 유압식의 경우도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함은 물론이다.
먼저, 제동시 운전자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20)에는 이의 작동에 따라 개폐가 조절되는 듀얼 브레이크 밸브(28)가 설치되고, 이 듀얼 브레이크 밸브(28)에는 공압 관로(30)를 매개로 전/후방의 주 브레이크 장치(22,2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듀얼 브레이크 밸브(28)에는 압축기(도시안됨)의 구동에 따라 생성된 고압의 압축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 탱크(32)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듀얼 브레이크 밸브(28)와 후방의 주 브레이크 장치(24) 사이에는 제동시 듀얼 브레이크 밸브(28)의 개방에 따라 유입되는 공압을 파일럿압으로 하여 상기 에어 탱크(32)내에 저장된 고압의 공압을 후방의 주 브레이크 장치(24)로 공급하여 제동을 도모하는 릴레이 밸브(3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듀얼 브레이크 밸브(28)와 후방의 주 브레이크 장치(24) 사이를 연결하는 공압 관로(30)에는 이로부터 분기된 파일럿압 관로(36)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 탱크(32)로부터 릴레이 밸브(34) 사이를 연결하는 공압 관로(30)에는 이로부터 분기된 작동압 인가 관로(3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파일럿압 관로(36)와 작동압 인가 관로(38)에는 상기 파일럿압 관로(36)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압으로 개방이 이루어져, 상기 작동압 인가 관로(38)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압을 배기 파이프상에 구비된 버터플라이 밸브를 회동시켜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도모하는 배기 브레이크 기구(40)로 인가하는 개폐 밸브(2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밸브(2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상에 상기 파일럿압 관로(36)와 연통되는 신호압 포트(26a)와, 상기 작동압 인가 관로(38)와 연통되는 입력 포트(26b) 및, 이 입력 포트(26b)를 통해 전달된 작동압을 상기 배기 브레이크 기구(40)로 전달하도록 이와 연통되는 출력 포트(26c)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밸브(26)의 하우징(H)에는 저면으로 외부와 연통되는 배기 포트(26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 밸브(26)에는 상기 하우징(H)내에서 신호압 포트(26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압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입력 포트(26b)와 출력 포트(26c) 사이를 교통 내지 단절시키도록 작동하는 밸브체와 같은 이동 부재(26e)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 이동 부재(26e)에는 부재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구멍(26f)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부재(26e)의 연통 구멍(26f)에는 상기 하우징(H)의 배기 포트(26d)와 연통되는 보조 연통 구멍(26g)이 분기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부재(26e)는 이의 저면으로 설치된 리턴 스프링(26h)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H)내에 탄발 지지되고, 상기 이동 부재(26e)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H)의 내주면과의 기밀 유지를 위한 제1씰링재(26i)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부재(26e)의 저면에는 상기 하우징(H)의 저면부와의 기밀 유지를 위한 제2씰링재(26j)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H)의 저면부 내측에는 상기 이동 부재(26e)에 형성된 보조 연통 구멍(26g)을 개폐가능하게 하는 돌출부(H')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H')의 양측부에는 상기 제2씰링재(26j)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배기 포트(26d)와 보조 연통 구멍(26g)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켜 주는 돌기부(H")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는 제동시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페달(20)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듀얼 브레이크 밸브(28)가 개방되면서 상기 에어 탱크(32)내에 저장된 작동압이 공압 관로(30)를 통해 전/후방의 주 브레이크 장치(22,24)로 공급되어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파일럿압 관로(36)를 통해 상기 개폐 밸브(26)의 신호압 포트(26a)로 인가된 작동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부재(26e)를 가압하게 되고, 이 결과, 상기 하우징(H)의 입력 포트(26b)와 출력 포트(26c)는 상기 이동 부재(26e)의 연통 구멍(26f)을 매개로 하여 연통 상태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에어 탱크(32)내의 작동압은 상기 작동압 인가 관로(38)를 통해 상기 하우징(H)의 입력 포트(26b)로 전달되고, 이 입력 포트(26b)로 전달된 작동압은 상기 이동 부재(26e)의 연통 구멍(26f)을 통해 출력 포트(26c)를 거쳐 상기 배기 브레이크 기구(40)로 전달되므로, 배기 파이프내 버터 플라이 밸브는 회동되어 배기 파이프를 폐쇄시킴으로써 배기 브레이크의 작동이 상기 주 브레이크 장치(22,24)의 작동과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H)의 저면부에 형성된 돌출부(H')는 상기 이동 부재(26e)의 보조 연통 구멍(26g)을 폐쇄시키게 되어, 상기 연통 구멍(26f)을 통해 배기 브레이크 기구(40)로 공급되는 작동압이 누설을 방지하게 되는 데, 상기 돌출부(H')의 양측부로 형성된 돌기부(H")도 상기 이동 부재(26e)의 저면에 장착된 제2씰링재(26j)와 접촉되어 작동압의 누설을 아울러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페달(20)의 가압을 해지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럿압 관로(36)를 통해 개폐 밸브(26)의 신호압 포트(26a)로 전달되는 작동압이 사라지게 되므로, 상기 개폐 밸브(26)의 하우징(H)내 이동 부재(26e)는 리턴 스프링(26h)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 결과, 상기 하우징(H)의 입력 포트(26b)와, 상기 이동 부재(26e)의 연통 구멍(26f) 사이의 교통은 단절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기 브레이크 기구(40)로 공급되었던 작동압은 상기 하우징(H)의 출력 포트(26c)와 상기 이동 부재(26e)의 보조 연통 구멍(26g) 및 상기 하우징(H)의 배기 포트(26d)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므로, 상기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이 해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에 의하면, 제동시 주 브레이크 장치가 구현하는 제동력을 보완하여 배기 파이프내 배기 가스의 유동을 인위적으로 차단하는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이, 운전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없이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과 연동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배기 브레이크 장치를 주 브레이크 장치와 연동되도록 하기 위해 운전자의 제동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전기 회로의 구성이 배제될 수 있으므로,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에 있어 비용의 절감과 조립성의 간편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그네틱 밸브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폐 밸브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개폐 밸브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개폐 밸브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브레이크 페달 22,24-주 브레이크 장치
26-개폐 밸브 28-듀얼 브레이크 밸브
30-공압 관로 32-에어 탱크
34-릴레이 밸브 36-파일럿압 관로
38-작동압 인가 관로 40-배기 브레이크 기구

Claims (7)

  1. 제동시 운전자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되는 브레이크 페달(20)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20)의 작동에 따라 개방되는 듀얼 브레이크 밸브(28)를 매개로 주 브레이크 장치(22,24)로 공급되는 작동압을 공유하는 파일럿압 관로(36);
    상기 파일럿압 관로(36)를 통해 전달되는 작동압을 신호압으로 활용하여 개방이 이루어지는 개폐 밸브(26) 및;
    상기 개폐 밸브(26)의 개방에 따라 작동압을 배기 브레이크 기구(40)로 공급하는 작동압 인가 관로(38)를 갖추되;
    상기 개폐 밸브(26)는 상기 파일럿압 관로(36)와 연통되는 신호압 포트(26a)와, 상기 작동압 인가 관로(38)와 연통되는 입력 포트(26b), 상기 입력 포트(26b)를 통해 전달된 작동압을 상기 배기 브레이크 기구(40)로 전달하는 출력 포트(26c) 및, 외부와 연통되는 배기 포트(26d)를 각각 갖춘 하우징(H)과;
    상기 신호압 포트(26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압에 따라, 상기 입력 포트(26b)와 출력 포트(26c) 사이를 교통가능하게 하는 연통 구멍(26f)과, 상기 출력 포트(26c)와 배기 포트(26d) 사이를 교통가능하게 하는 보조 연통 구멍(26g)을 갖춘 이동 부재(26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연통 구멍(26g)이 상기 연통 구멍(26f)으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26e)는 상기 하우징(H)내에서 리턴 스프링(26h)을 매개로 탄발지지되고, 이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H)의 내주면과의 기밀 유지를 위한 제1씰링재(26i)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의 저면에는 상기 하우징(H)의 저면부와의 기밀 유지를 위한 제2씰링재(26j)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브레이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H)의 저면부에는 상기 이동 부재(26e)에 형성된 보조 연통 구멍(26g)을 개폐가능하게 하는 돌출부(H')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H')의 양측부에는 상기 제2씰링재(26j)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돌기부(H")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
KR10-2002-0028158A 2002-05-21 2002-05-21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 KR100482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158A KR100482066B1 (ko) 2002-05-21 2002-05-21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158A KR100482066B1 (ko) 2002-05-21 2002-05-21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157A KR20030090157A (ko) 2003-11-28
KR100482066B1 true KR100482066B1 (ko) 2005-04-13

Family

ID=32383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158A KR100482066B1 (ko) 2002-05-21 2002-05-21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066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3978A (ja) * 1982-05-10 1983-11-11 Nippon Pisuko:Kk 三方向切換弁
JPH0212000A (ja) * 1988-06-28 1990-01-17 Tokkyo Kiki Kk 位置制御用バルブ
KR940026642U (ko) * 1993-05-11 1994-12-09 현대중장비산업주식회사 토건 중장비 브레이크 계통에 있어서 브레이크 마스타 실린더와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한 배기 브레이크 장치
JPH08100684A (ja) * 1994-09-30 1996-04-16 Mitsubishi Motors Corp 排気ブレーキ装置
JPH08100681A (ja) * 1994-09-30 1996-04-16 Mitsubishi Motors Corp 排気ブレーキ装置
JPH08218947A (ja) * 1995-02-08 1996-08-27 Hino Motors Ltd 排気ブレーキ装置及びegr装置を有するエンジン
KR960030985U (ko) * 1995-03-22 1996-10-22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주 브레이크 및 보조 브레이크 연동장치
JPH09280078A (ja) * 1996-04-17 1997-10-28 Jidosha Kiki Co Ltd 排気ブレーキ装置用リリーフ弁
KR19990008357U (ko) * 1997-08-01 1999-03-05 정몽규 배기브레이크장치
KR0138852Y1 (ko) * 1994-09-05 1999-03-20 전성원 브레이크 페달과 동시 작동되는 배기 브레이크
JP2000145996A (ja) * 1998-11-09 2000-05-26 Jkc Truck Brake Systems:Kk クイックリリースバルブ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3978A (ja) * 1982-05-10 1983-11-11 Nippon Pisuko:Kk 三方向切換弁
JPH0212000A (ja) * 1988-06-28 1990-01-17 Tokkyo Kiki Kk 位置制御用バルブ
KR940026642U (ko) * 1993-05-11 1994-12-09 현대중장비산업주식회사 토건 중장비 브레이크 계통에 있어서 브레이크 마스타 실린더와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한 배기 브레이크 장치
KR0138852Y1 (ko) * 1994-09-05 1999-03-20 전성원 브레이크 페달과 동시 작동되는 배기 브레이크
JPH08100684A (ja) * 1994-09-30 1996-04-16 Mitsubishi Motors Corp 排気ブレーキ装置
JPH08100681A (ja) * 1994-09-30 1996-04-16 Mitsubishi Motors Corp 排気ブレーキ装置
JPH08218947A (ja) * 1995-02-08 1996-08-27 Hino Motors Ltd 排気ブレーキ装置及びegr装置を有するエンジン
KR960030985U (ko) * 1995-03-22 1996-10-22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주 브레이크 및 보조 브레이크 연동장치
JPH09280078A (ja) * 1996-04-17 1997-10-28 Jidosha Kiki Co Ltd 排気ブレーキ装置用リリーフ弁
KR19990008357U (ko) * 1997-08-01 1999-03-05 정몽규 배기브레이크장치
JP2000145996A (ja) * 1998-11-09 2000-05-26 Jkc Truck Brake Systems:Kk クイックリリース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157A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1015A (en) Tractor protection control system
US7396089B2 (en) Electro-pneumatic latching valve system
US9180853B2 (en) Automatic release hand brake control system
US5118165A (en) Electro-pneumatic spring and service brake actuator
CA1229111A (en) Electro-pneumatic control for a vehicle fluid pressure braking system
CA2430961C (en) Integrated foot control valve actuator
JPS61253254A (ja) ブレーキブースタ援助ブレーキ装置
KR100482066B1 (ko)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장치
US4211312A (en) Emergency brake system for vehicles
EP1080297B1 (en) Combined valving system for spring brake actuator
JP3552345B2 (ja) クラッチ断続装置
JPS58152616A (ja) 車高調整及びブレ−キ用倍力装置
JP4724276B2 (ja) 作業車用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448775B1 (ko) 자동차의 배기브레이크 장치
KR19990042989A (ko) 유압작동식 배기 브레이크
KR100199750B1 (ko)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KR20070043432A (ko) 자동차 브레이크 부스터의 배력 증대장치
JPS5849551A (ja) 自動車のエア・サ−ビス・ブレ−キ系統
JP2008025779A (ja) ク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クラッチ操作装置
KR100192495B1 (ko) 타이어 펑크시 배기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
KR19990043383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EP0985811A2 (en) Exhaust brake with electromagnetic control
JPH0953659A (ja) クラッチ断続装置
JP2007320347A (ja) 車両用ホイール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9980035547A (ko) 자동차의 클러치 보조작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