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880B1 - 크롤러식이동농기계에있어서주행전동장치 - Google Patents

크롤러식이동농기계에있어서주행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880B1
KR100476880B1 KR1019970021296A KR19970021296A KR100476880B1 KR 100476880 B1 KR100476880 B1 KR 100476880B1 KR 1019970021296 A KR1019970021296 A KR 1019970021296A KR 19970021296 A KR19970021296 A KR 19970021296A KR 100476880 B1 KR100476880 B1 KR 100476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clutch
crawler
m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5257A (ko
Inventor
히사유키 사토지
마사카즈 히로세
다카히코 우에무라
에이이치 우에무라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7002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880B1/ko
Publication of KR19980085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8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2Hand levers
    • B62D1/14Tillers, i.e. hand levers operating on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Abstract

3방향의 선회를 실행하는 트랜스미션으로서는, 스핀 턴 및 마일드 턴을 실행하는 기어 및 전동축을 조립해 넣기 위해, 트랜스미션의 케이스가 대형화하고 있다.
제어축(38)에 브레이크(39)를 구비하고, 제어축(38)에 스핀 마일드축(56)의 일단을 연결하며, 스핀 마일드축(56)의 타단에 클러치(62)를 구비한다. 클러치(62)에 의한 기어박스(55)로부터의 스핀 턴 혹은 마일드 턴의 동력을 제어축(38)에 전달한다. 제어축(38)의 중앙부에 좌우의 조(爪) 클러치(40, 41)를 배설하고, 제8전동기어(42)와 제9전동기어(43)를 각각 조 클러치(40, 41)의 수동측(受動測)에 고정설치한다. 제어축(38)은 제8전동기어(42)와 제9전동기어(43)을 거쳐 출력기어(48, 49)에 연결한다. 그래서, 제어축(38)은 브레이크(39)에 의해 제동하여 피봇 턴을 실행하고, 클러치(62)로부터 입력되어 역회전된 동력에 따라 스핀 턴을 실행하며, 클러치(62)로 부터 입력되어 감속정회전 되는 동력에 의해 마일드 턴을 실행한다. 3방향의 선회모드가 제어축(38)에 따라 실행되므로 트랜스미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크롤러식 이동 농기계에 있어서 주행전동장치
본 발명은, 크롤러에 의해 주행하는 콤바인이나 하베스터(harvester)와 같은 이동 농기계의 주행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크롤러식의 이동 농기계의 진로를 변경하는 데에는, 3가지 방법이 있다. 좌우 크롤러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선회상태(스핀 턴)와, 한쪽 방향의 크롤러에 제동을 거는 선회상태(피봇 턴)와, 한 쪽의 크롤러를 다른 쪽의 크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하여 그것보다 저속으로 구동하는 선회상태(마일드(miled) 턴)가 있다.
본 출원인은, 이들 3가지 선회상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주행전동장치를 연구개발하고, 이것을 일본 특원평 6-261937호 로서 출원하였다.
이하에서, 그 주행장치를 제14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102는, 정유압식(靜油壓式) 무단변속장치(HST)의 모터로서, 이 모터의 출력 쪽을 미션의 입력축(103)에 바로 연결한다.
입력축(103)의 좌우에 저속기어(104)와 고속기어(105)를 유동가능하게 끼우고, 양 기어의 중간에 증속(增速)클러치(106)를 설치한다. 증속클러치(106)는 디스크형식의 클러치로서, 입력축(103)의 회전을 저속기어(104) 또는 고속기어(105)로 전한다.
107은 중간축으로서, 그 좌우에 고정설치한 제1전동기어(108)와 제2전동기어(109)에, 저속기어(104)와 고속기어(105)가 각각 항상 맞물리도록 한다.
110은 변속축으로서, 여기에 작업속도 변환기어(111)와 주행속도 변환기어(112)를 유동가능하게 끼움과 동시에, 작업속도 변환기어(111)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마일드 전동기어(113)와 주행속도 변환기어(112)의 중간에, 슬라이더(114)를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스플라인(spline) 결합한다. 작업속도 변환기어(111)는 중간축(107)에 고정설치한 제3전동기어(115)에 항상 맞물리도록 하고, 또 주행속도 변환기어(112)는 제1전동기어(108)에 항상 맞물리도록 한다.
Il6은 클러치 브레이크축으로서, 그 좌우에 사이드클러치 브레이크(117, 118)를 설치한다. 클러치 브레이크축(116)에 유동가능하게 끼운 제4전동기어(119), 제5전동기어(120)를 사이드클러치 브레이크(117, 118)에 연결한다. 제4전동기어(119)와 제5 전동기어(120) 사이에서, 제6전동기어(121)를 클러치 브레이크축(116)에 고정설치한다. 제6전동기어(121)에는 일체로 회전하는 제7전동기어(122)를 고정설치하고, 제7 전동기어(122)는, 변속축(110)에 고정된 제8전동기어(123)에 항상 맞물려 있다.
124는 제2전동축으로서, 그 좌우에 마일드 구동기어(125)와 역회전기어(126)를 유동가능하게 끼우고, 마일드 구동기어(125)와 역회전기어(126) 사이에 전환기어(127)를 배치한다. 그리고, 마일드 구동기어(125), 역전기어(126), 전환기어(127)와 서로 이(齒) 맞물림을 형성한다. 전환기어(127)는, 스핀 마일드 출력기어(128)에 항상 맞물리고, 스핀 마일드출력기어(128)는 스핀 마일드축(129)에 고정설치한다.
스핀 마일드축(129)에는, 전환클러치(130, 131)를 고정설치하고, 또한 전환클러치(130, 131)의 출력 측에 제7전동기어(132) 및 제8전동기어(133)을 각각 유동가능하게 끼운다. 전동기어(132, 133)에는, 일체로 회전하는 제9전동기어(134) 및 제10전동기어(135)를 고정설치한다. 제9전동기어(134)는 제4전동기어(119)에 연결하고, 제10전동기어(135)는 제5전동기어(120)에 연결한다. 또, 제7전동기어(132)에 항상 맞물리는 제11전동기어(136)를 출력축(138)에 고정설치하고, 제8전동기어(133)에 항상 맞물리는 제12전동기어(137)를 출력축(139)에 고정설치한다. 출력축(138, 139)에 의해 크롤러축(140, 141)을 거쳐 크롤러가 회전된다.
제14도의 장치에서 피봇 턴 하는 경우의 동력전달 경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축(103)의 동력이, 저속기어(104) 혹은 고속기어(105)를 거쳐 중간축(107)으로 전달되고, 다시 중간축(107)으로부터 제3전동기어(115)를 지나 작업속도변환기어(111)로, 또는 중간축(107)으로부터 제1전동기어(108)를 경유하여 주행속도변환기어(112)로 전달된다.
마일드 전동기어(113)는 작업속도 변환기어(111)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114)가 마일드 전동기어(113)에 걸어 맞추어지면, 변속축(110)이 회전한다. 그 회전이, 변속축(110)의 제8전동기어(123)로부터 제7전동기어(122)를 거쳐 클러치 브레이크축(116)으로 전달된다.
여기에서 오른쪽으로 선회하려고 하는 경우, 선회 내측(內側)의 오른쪽의 사이드클러치 브레이크(118)를 작동하고, 클러치 브레이크축(116)으로부터 전동기어(120)로의 동력의 전달을 차단해서, 전동기어(120)에 제동을 가한다. 이것에 의해 제10전동기어(135), 제8전동기어(133), 제12전동기어(137), 출력축(139) 및 크롤러축(141)에 제동력이 전달되어 우측의 크롤러(141)를 제동한다.
또, 선회 외측(外側)에 있어서는, 클러치 브레이크(116)로 전달된 동력이, 왼쪽의 사이드클러치 브레이크(117)로부터 제4전동기어(119), 제9전동기어(134), 제7전동기어(132), 제11전동기어(136), 출력축(138) 및 크롤러축(140)으로 전달된다.
다음은, 스핀 턴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러치 브레이크축(116)에 전달된 동력을 제6전동기어(121), 역전기어(126)로 전달하고, 전환기어(127)를 전환해서, 스핀 마일드 출력기어(128)를 거쳐 스핀 마일드 축(129)으로 전달한다. 이 동력은 선회 외측의 동력에 대해서 역회전하고 있는 동력이다.
스핀 마일드축(129)으로 전달된 역회전 동력은, 전환클러치(130, 131)를 거쳐 제7전동기어(132) 또는 제8전동기어(133)로 전달된다. 이 역회전 동력이 제11전동기어(136) 혹은 제12전동기어(137) 및 출력축(138) 혹은 출력축(139)을 거쳐 크롤러축(140 또는 141)을 회전시켜 선회 내측의 크롤러를 역회전시킨다.
다음에 마일드 턴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봇 턴과 마찬가지로 중간축(107)으로부터 제3전동기어(115)를 거쳐 작업속도변환기어(111)로 동력이 전달된다. 동력은 작업속도 변환기어(111)와 일체의 마일드전동기어(113)로부터 마일드 구동기어(125)를 거쳐 전환 클러치(130, 131)로 도달한다. 거기서 조향레버(스티어링 레버)를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조작해서, 선회 내측의 전환 클러치(130 또는 131)를 접속시킴에 따라, 출력축(138 또는 139)을 다른 쪽의 출력축(138 또는 139)보다도 저속으로 회전시켜, 기계본체를 마일드 턴시킨다.
이와 같이, 제14도의 장치에서는, 피봇 턴의 경우, 클러치 브레이크축(116)에 사이드클러치 브레이크(117, 118)를 구비하며, 클러치 브레이크축(116)으로부터 제4전동기어(119) 혹은 제5전동기어(120)와 크롤러 출력축(138, 139)을 지나 선회 내측의 크롤러축(140, 141)에 제동을 건다.
또, 스핀 턴의 경우, 스핀 마일드축(129)에 전환클러치(130, 131)를 구성하고, 클러치 브레이크축(116)으로 부터 제2전동축(124), 스핀 마일드축(129), 출력축(138, 139), 크롤러축(140, 141)을 거쳐 선회 내측의 크롤러를 역회전시킨다
또, 마일드 턴의 경우, 마일드 구동기어(125), 제2전동축(124), 스핀 마일드축(129), 출력축(138, 139), 크롤러축(140, 141)을 거쳐 선회내측의 크롤러를 저속 정회전시킨다.
이상과 같이 3종류의 진로 변경을 하는 데에는, 입력축(103), 중간축(107), 클러치 브레이크축(116), 제2전동축(124), 스핀 마일드축(129) 및 출력축(138, 139)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미션을 소형화하기 곤란하므로, 중량이 증대되어 제조비용도 상승한다.
또, 3종류의 진로 변경을 실행할 때는, 축에 걸리는 부하가 크기 때문에, 클러치 브레이크축(116)과 스핀 마일드축(129)을 두텁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3종류의 선회상태가 가능한 이동 농기계에 있어서, 그 미션을 가능한 한 소형화하고, 미션의 중량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좌우 어느 한 쪽의 크롤러에 제동을 거는 선회상태(피봇 턴), 좌우의 크롤러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선회상태(스핀 턴) 및 한 쪽의 크롤러를 다른쪽의 크롤러와 같은 방향으로 저속으로 구동하는 선회상태(마일드 턴) 중에서, 임의의 선회상태를 선택하는 크롤러식 이동 농기계에 있어서, 입력축의 회전을 저속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변환하고, 그 어느 한 쪽의 회전을 스핀 마일드 전환클러치를 경유해서 제어축으로 전달하며, 제어축에는 브레이크와 좌우 한 쌍의 사이드클러치를 부착하고, 제어축의 회전을 사이드클러치를 거쳐 클러치축의 좌우 한 쌍의 출력기어로 각각 전달하며, 좌우 한 쌍의 출력기어를 클러치축의 직진기어와 맞물림과 풀림이 자유롭게 접속하여, 입력축의 회전을 직진기어로 전달함과 동시에, 제어축의 회전을 출력기어를 거쳐 크롤러의 회전축으로 접속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11은 콤바인의 크롤러로서, 12L, 12R는 좌우의 크롤러 구동축을 나타낸다. 13은 벼베기부, 14는 탈곡부이다(제1도 참조)
제2도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의 동력을 좌우의 크롤러(11, 11)로 전달하는 트랜스미션의 전개횡단면도이고, 또 제3도는, 트랜스미션의 기어접속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엔진의 동력을 입력풀리(15)를 거쳐 정유압식 무단 변속장치(HST)의 펌프(16)에 입력하고, HST모터(17)를 HST펌프(16)에 병렬 설치한다. HST펌프(16)는 HST모터(17)를 구동한다.
18은, 트랜스미션의 입력축으로서, HST모터(17)의 출력 측에 접속한다. 입력축(18)에 제1전동기어(19)를 고정설치한다.
20은, 입력축(18)의 아래쪽에 설치한 변속축으로서, 변속축(20)의 외주에 외주통(外周筒)(21)을 회전가능하게 끼워 맞춘다. 외주통(21)에는, 저속기어(22), 중속기어(23) 및 고속기어(24)를 스플라인 결합한다. 저속기어(22), 중속기어(23) 및 고속기어(24)는 일체로 회전하고, 도시하지 않은 포크(fork) 부재에 의해 외주통(21) 위를 옆으로 이동한다. 고속기어(24)는, 제1전동기어(19)에 항상 맞물린다.
외주통(21)에, 고리 모양의 오목홈(凹溝)을 외주에 형성한 시프터(25;shifter)를, 스플라인 결합함과 동시에, 시프터(25)에 대항해서, 변속축(20)의 우단부(右端部)에 벼베기 클러치(26)를 설치하고, 벼베기 클러치(26)의 입력 측과 시프터(25) 사이에 조(爪) 클러치를 형성한다. 벼베기 클러치(26)의 출력 측은 변속축(20)에 연결한다. 28은 시프터(25)를 이동하는 시프터 포크(shifer fork)이다.
또, 변속축(20)의 우단에 풀리(30)를 고정하고, 벼베기 클러치(26)를 지나 이 풀리(30)에 의해 벼베기부로 동력을 전달한다.
31은 제1중간축으로서, 변속축(20)의 아래쪽에 설치하고, 제1중간축(31)에 제2전동기어(32), 제3전동기어(33) 및 제4전동기어(34)를 고정설치한다. 제2전동기어(32)를 저속기어(22)와 맞물리게 하고, 제3전동기어(33)를 중속기어(23)와 맞물리게 하며, 제4전동기어(34)를 고속기어(24)에 맞물리게 한다.
35는 제2중간축으로서, 제1중간축(31)의 아래쪽에 설치한다. 제2중간축(35)의 중앙에 제5전동기어(36)를 고정설치하고, 제2중간축(35)의 우단에 제6전동기어(37)를 고정설치한다. 제6전동기어(37)는 제4전동기어(34)에 항상 맞물리게 한다.
38은 제어축으로서, 제2중간축(35)의 아래쪽에 설치한다. 제어축(38)에는, 좌단에 브레이크(39), 중앙에 좌우 조(爪)클러치(40, 41)를 배치한다. 좌우 조 클러치(40, 41)의 원동측(原動側)을 제어축(38)에 고정설치한다. 수동측(受動側)은 유동가능하게 끼운다. 그리고, 좌우 조 클러치(40, 41)의 수동측에 제8전동기어(42)와 제9전동기어(43)을 각각 고정설치하고, 제8전동기어(42)와 제9전동기어(43)는 조 클러치(40, 41)의 수동측과 일체로 회전시키며, 또 횡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킨다.
또한, 브레이크(39)는 디스크 형식으로서, 브레이크 본체(44)와 브레이크 케이스(45)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본체(44)는 제어축(38)에 고정설치하고, 브레이크 케이스(45)는 미션케이스에 고정설치한다. 브레이크(39)는, 브레이크 본체(44) 측에 일체의 디스크(도시되지 않음)와, 브레이크 케이스 측에 일체의 디스크(도시되지 않음)를 교호(交互)로 배치한 구조이다.
46은 클러치축으로서, 제어축(38)의 아래쪽에 배치한다. 클러치축(46)의 중앙부에 직진기어(47)를 고정설치하고, 좌출력기어(48)와 우출력기어(49)를 클러치축(46)에 유동가능하게 끼운다. 또 좌출력기어(48)와 우출력기어(49)는, 직진기어(47)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직진기어(47)와 걸어 맞추어지는 걸어맞춤 이빨을 각각 형성한다. 여기서, 좌출력기어(48) 및 우출력기어(49)를 스프링에 의해 걸어맞춤 이빨이 맞물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좌출력기어(48)에 제10전동기어(50)를 고정설치하고, 좌출력기어(48)는 제8전동기어(42)에 항상 맞물리도록 해서 함께 횡 이동시킨다. 또, 우출력기어(49)에 제11 전동기어(51)를 고정설치하고, 우출력기어(49)에 제9전동기어(43)를 항상 맞물리도록 하여 함께 횡 이동시킨다.
제10전동기어(50)와 제11전동기어(51)에 홈부를 형성해서, 홈부에 걸어 맞추어지는 핀을 구성한 포크 부재(52L), (52R)를 각각 설치한다. 여기서, 제10전동기어(50)에 제12전동기어(53)를 항상 맞물리도록 하고, 제11전동기어(51)에 제13전동기어(54)를 항상 맞물리도록 한다. 제12전동기어(53)는 좌 크롤러 구동축(12L)에 고정하고, 제13전동기어(54)는 우 크롤러 구동축(12R)에 고정한다.
다음에 스핀 턴, 마일드 턴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진 기어박스(55)를 설명한다.
56은 스핀·마일드축으로서, 제2중간축(35)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고, 스핀·마일드 입력기어(57)를 스핀·마일드축(56)에 스플라인 결합한다. 스핀·마일드 입력기어(57)는 도시하지 않은 포크에 의해 좌우로 이동된다.
58은 마일드 중간축으로서 스핀·마일드축(56)의 아래쪽에 설치하고, 제15전동기어(59), 제16전동기어(60)를 고정설치한다.
61은, 스핀·마일드 제어축으로서, 스핀·마일드축(56)의 아래쪽에 설치해서 제어축(38)과 일체로 연결된다. 스핀·마일드제어축(61)에 클러치(62)를 설치하고, 클러치(62)는 디스크 형식으로서 클러치 본체와 클러치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클러치(62)는, 클러치 본체 측에 일체의 디스크와 클러치 케이스 측에 일체의 디스크를 교호로 배치한 구조로 한다. 클러치 본체를 스핀·마일드제어축(61)에 스플라인 결합하고, 클러치 케이스에 제17전동기어(63)를 연결한다. 제17전동기어(63)는 스핀·마일드제어축(61)에 유동가능하게 끼운다.
기어박스(55)를 장착한 트랜스미션에서는, 제어축(38)의 좌단에 브레이크(39)를 배치하고, 스핀·마일드축(56)의 우단에 클러치(62)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트랜스미션의 양단부에 배치하면, 브레이크(39)와 클러치(62)를 빼내어 수리가 가능하다.
또, 기어박스(55)는, 트랜스미션으로부터 분할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피봇 턴만이 가능한 미션과 기어박스(55) 이외의 기구가 공통이 되어, 부품을 공용할 수 있으므로, 미션의 사양에 따른 생산이 용이해져 트랜스미션의 생산 효율을 올릴 수 있다. 동시에, 기어박스(55)만을 빼내어 클러치(62)의 보수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콤바인이 직진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엔진의 동력이 HST펌프(16)와 HST모터(17)를 거쳐 입력축(18)으로 전달되어,제1전동기어(19)와 고속기어(24)가 회전한다. 그리고, 고속기어(24)의 회전과 함께 저속기어(22)와 중속기어(23)가 회전하고, 도시하지 않은 시프터 포크에 의해 저속, 중속, 또는 고속으로 전환되는 것에 의하여, 제2전동기어(32) 또는 제3전동기어(33)또는 제4전동기어(34)를 통하여 제1중간축(31)이 회전한다.
제1중간축(31)의 회전이 제4전동기어(34)로부터 제6전동기어(37)를 거쳐 제2중간축(35)이 회전하고, 제2중간축(35)의 회전에 의해 제5전동기어(36), 직진기어(47)가 회전한다. 그리고, 직진기어(47)에 좌출력기어(48)와 우출력기어(49)가 결합하여, 좌 출력기어(48)로부터 제10전동기어(50), 제12전동기어(53)를 통하여 좌측의 크롤러축(12L)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우출력기어(49)로부터 제11전동기어(51) 및 제13전동기어(54)를 통하여 우측의 크롤러(12R)를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좌우크롤러(11)(11)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여 기계본체가 직진하게 된다.
또, 스핀·마일드축(56)이 회전할 때, 스핀·마일드 입력기어(57)는 제15전동기어(59)나 제17전동기어(63)에 맞물리며, 어느 경우에도 제17전동기어(63)가 회전하지만, 클러치(62)가 떨어진 상태에 있으므로, 제17전동기어(63)는 공회전만 하며, 스핀·마일드축(56)의 회전은 스핀·마일드제어축(61)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다음에, 좌방향의 피봇 턴을 설명한다.
좌 포크부재(52L)에 의해 직진기어(47)로부터 좌출력기어(48)가 떨어지게 되어, 좌측의 사이드클러치(40)가 넣어진 상태로 된다. 이때 우측의 사이드클러치(41)는 떨어져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좌 브레이크(39)가 작동됨에 따라 제어축(38)을 제동하고, 좌 사이드클러치(40), 제8전동기어(42), 좌출력기어(48), 제10전동기어(50), 제12전동기어(53) 및 좌측 크롤러축(12L)을 통하여 좌측 크롤러(11)를 제동한다.
다음에, 좌방향 스핀·턴을 설명한다.
이 경우, 제2중간축(35)까지는 직진 시와 마찬가지로, 제1중간축(31)의 회전이 제4전동기어(34), 제6전동기어(37)를 거쳐 제2중간축(35)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우측크롤러(11)의 동력전달 경로는 직진 시와 같다. 한편 좌측 크롤러(11)의 동력의 전달은, 제2중간축(35)과 일체로 스핀·마일드축(56)이 회전해서, 도시하지 않은 시프터 포크에 의해 스핀·마일드 입력기어(57)와 제17전동기어(63)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클러치(62)를 통하여 제어축(38)을 회전시킨다.
이 때, 왼쪽의 사이드클러치(40)를 넣어지도록 하고, 오른쪽의 사이드클러치(41)를 떨어지게 함으로써, 제어축(38)의 회전에 의해 좌 사이드클러치(40)와 제8전동기어(42)를 통하여 좌출력기어(48)를 회전시킨다. 좌출력기어(48)는 직진기어(47)로부터 떨어지게 해 두고, 좌출력기어(48)의 회전을 제10전동기어(50), 제12전동기어(53)를 거쳐 좌 크롤러축(12L)으로 전달한다.
좌방향의 스핀 턴의 경우, 좌측 크롤러(11)의 동력전달경로는, 우측 크롤러(11)의 동력전달경로에 비교해서, 제어축(38)이 개재(介在)되어 있기 때문에, 우측 크롤러(11)의 회전에 대해서 역회전하고 있다.
한편, 우측 크롤러(11)는, 직진 시와 동일하게 회전하기 때문에 기계본체는 좌방향으로 선회한다.
다음에, 좌방향의 마일드 턴을 설명한다.
제2중간축(35)까지는 직진 시와 동일하며, 우측의 동력전달경로는 제2중간축(35)의 회전에 의해 스핀·마일드축(56)이 일체로 회전한다. 도시하지 않은 시프터 포크에 의해 스핀·마일드 입력기어(57)와 제15전동기어(59)를 맞물리도록 하고, 마일드중간축(58), 제16전동기어(60), 제17전동기어(63) 및 클러치(62)를 거쳐 제어축(38)을 회전시킨다. 좌 사이드클러치(40)를 넣고 우 사이드클러치(41)를 떨어뜨림으로서, 좌 사이드클러치(40)의 원동측(原動側)의 회전에 의해 수동측(受動側)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8전동기어(42), 좌출력기어(48)을 회전시켜, 스핀 턴과 같이 좌출력기어(48)를 직진기어(47)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이것에 의해 좌출력기어(48)의 회전을 제10전동기어(50), 제12전동기어(53)을 거쳐 좌 크롤러축(12L)으로 전달한다. 마일드 턴의 경우, 우측의 동력전달경로와 좌측의 동력전달경로의 기어 비(比)가 다름에 따라, 좌측의 크롤러(11)가 우측의 크롤러(11)보다도 진행방향은 같지만 느리게 진행하기 때문에, 기계본체는 왼쪽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상에서 좌방향의 선회를 설명했지만 우방항의 선회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제2도의 예에서는, 각 턴을 실행하는 경우, 각각 제어축(38)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사이드클러치(40, 41)에 의해 선회측의 크롤러(11)에 제동을 건다든지, 역회전 시킨다든지 하여, 감속 정회전 시킨다든지 한다. 이 때문에, 제14도의 종래예와 비교해서 클러치·브레이크축(116) 혹은 스핀·마일드축(129)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트랜스미션의 케이스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 스핀 턴과 마일드 턴과같이, 제어축(38)으로부터 클러치축(46)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좌우의 사이드클러치(40, 41)를 제어축(38)의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39) 및 클러치(62)를 포함한 제어축(38)의 폭을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2전동기어(53)와 제13전동기어(54) 사이에 직진기어(47) 및 출력기어(48, 49)를 위치시킬 수 있어 좌우의 사이드클러치(40, 41)의 폭을 좁게 할 수 있고, 제어축(38)의 폭을 좁게 하는데 기여한다.
또, 출력기어(48, 49)의 위쪽에, 좌우의 사이드클러치(40, 41)를 제어축(38)에 설치한다. 그리고, 제어축(38)을 고속회전측(저(低) 토오크 측)으로 하고, 제8전동기어(42)와 제9전동기어(43)를 소형화할 수 있어, 사이드클러치(40, 41)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축(38)이 저 토오크 측에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39)를 작동할 때 소음이 저감된다. 3종류의 방향으로 선회해도 제어축(38)에 부하가 걸리게 되지만, 제어축(38)의 강도를 높이는 것만으로 충분히, 트랜스미션 전체의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어박스(70)(제13도)는 입력축(71)에 제21기어(72)를 유동가능하게 끼우고, 마일드 턴 시에 제21기어(72)와 맞물리는 제22기어(73)를 마일드축(74)에 고정설치하며, 더욱이 제23기어(75)를 마일드축(74)에 고정설치한다. 그리고 입력축(71)의 아래쪽에 클러치축(76)을 설치하고, 클러치축(76)에 제24기어(77)와 클러치(78)를 고정설치한다. 제24기어(77)는 제23기어(75)에 항상 맞물린다. 또, 클러치(78)의 출력 측을 제25기어(79)에 연결하고, 제25기어(79)를 출력축(80)에 고정설치하는 구조로 한다. 이 기어박스(70)는, 스핀 턴할 때 제13도의 실선의 화살표와 같이 전달하고, 마일드 턴할 때는 제13도의 파선의 화살표와 같이 전달한다. 여기서, 스핀 턴 및 마일드 턴의 동력은 제24기어(77)를 거쳐 클러치(78)로 전달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어박스(55)에서는, 클러치(62)의 클러치 케이스에 제1전동기어(63)를 연결하고, 제13도의 제24기어(77)와 출력축(8)이 생략되어 있다. 스핀 턴 및 마일드 턴 어느 쪽도 제17전동기어(63)로 입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기어박스 보다도 축을 한 개 줄일 수 있어 미션의 구조를 간략하게 할 수 있다.
또 종래예는 피봇 턴만을 실행하는 사양(仕樣)(이하 피봇 사양)의 트랜스 미션과 피봇 턴의 스핀 턴 및 마일드 턴도 실행하는 사양(이하 스핀·마일드 사양)의 트랜스미션을 각각 별개로 조립하여 왔다.
제2도의 예에서는, 피봇 사양에 기어박스(55)를 부가하는 것만으로, 스핀·마일드 사양을 결합할 수가 있다. 피봇 사양에서는, 기어박스(55)가 있는 위치의 트랜스미션 측면에 뚜껑(85)(제4도)을 덮는다. 그리고, 제2중간축(35)과 제어축(38)의 일단에 나사홈부를 형성하고, 스핀·마일드축(56)과 스핀·마일드제어축(61)의 각각의 일단을 나사결합한다. 스핀·마일드축(56)의 타단은 기어박스(55)의 박스케이스(86)(제4도)에 축 지지하고, 스핀·마일드제어축(61)의 타단에 클러치(62)를 고정설치한다. 클러치(62)의 편면(片面)은, 클러치 케이스(87)(제4도)에 부착한다. 또, 마일드중간축(58)의 일단은, 트랜스미션 케이스의 나사홈부에 나사결합한다. 타단은, 박스케이스(86)(제4도)에 축 지지한다(제4도참조) 그리고, 박스케이스(86)와 클러치 케이스(87)를 나사(88)에 의해 연결하고, 트랜스미션 측면에 기어박스를 부착한다 (제4도참조).
이와 같이, 제2도의 예에서는, 피봇 사양과 스핀·마일드 사양으로서 기어박스(55) 이외에는 트랜스미션이 공통으로 되어 있으므로, 사양의 변경이 용이하여 부품도 공용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어 부품관리가 쉬운 이점이 있다.
다음에, 제5도를 기준으로 하여 유압회로를 설명한다.
우선, 브레이크본체(44)는, 제어축(38)의 일측에 설치한 복수의 브레이크판에 그 외주에 있는 고정된 기계틀 측의 누름판을 유압에 의하여 압접(壓接)하고 그 제어축(38)에 제동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62)는 상기 제어축(38)의 다른 쪽에 있어서, 제7전동기어(63)와 제어축(38)과의 사이에 유압에 의해서 걸거나 벗겨지게 조작될 수 있게 다단식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전환밸브(250)는, 상술한 브레이크본체(44)와 클러치(62)의 어느 한 쪽으로 유압을 보낼 수 있도록 전환되는 2포지션 형태로서,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HST)의 펌프(16)의 조작레버(251)에 설치된 전환스위치(252)에 의해 전환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전환밸브(250)는, 스위치(252)를 ON 조작하면, 통전된 솔레노이드(253)가 여자(勵磁)되어 전환된 클러치(62)측의 클러치 유로(油路)(254)에 송유(送油)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255는 브레이크 유로를 나타낸다.
파워스티레버(256)는, 좌우방향의 기울기 조작에 의해서 ON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257, 257')를 하부의 양측에 설치하고, 사이드클러치장치(40)(41')의 전환밸브(258)를 전환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전환밸브(258)는, 상술한 ON조작에 의해 통전된 솔레노이드(259, 259')의 여자에 의해 전환될 수 있도록 3포지션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변 릴리브밸브(260)는, 상기 파워스티레버(256)의 기울기 조작의 정도에 대응하여 릴리브압이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5도에 나타난 유압회로 중에서 261은 펌프, 262, 262'는 실린더, 263, 263'는 유출구, 264는 압유(壓油)유로(流路)를 나타낸다.
또, 제5도에 나타난 유압회로의 실시예의 있어서, 가변 릴리브밸브(260)에 소정값의 초기압을 설정해둘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 릴리브밸브(260)에 초기압을 설정해서, 전환밸브(250)를 클러치유로(254)로 전환하면, 압유는, 실린더(262, 262')로부터 유출구(263, 263')를 지나 유압유로(264)를 통하여, 클러치유로(254)로부터 클러치(62)에 공급된다. 이 경우, 압유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초기압 이상에 도달하여 비로소 가변 릴리브밸브(260)를 통과해서 탱크로 환류(還流)하므로 제7도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러치(62)을 처음부터 놀리지 않고 신속하게 작동할 수가 있다.
(별도실시예 1)
다음에 제8도에 나타나 있는 별도의 실시예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구성은,전환스위치(252)를 파워스티레버(256)에 설치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제5도 참조), 전환스위치(252)를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HST)의 펌프(16)의 조작레버(251)에 설치한 구성에 의하면, 마일드 턴이나 스핀 턴을 행하는 경우는, 양손을 사용하여 조작해야 하므로, 조작이 번잡했다. 그에 비하여, 별도실시예1의 구성에 의하면, 파워스티레버(256)만으로 각 선회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이므로, 한쪽 손에 의한 집중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안심하고 즐겁게 조작할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별도실시예 2)
다음에 제9도에 나타나 있는 별도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러치(62)는, 다판식(多板式)의 구성으로서, 구동측(제7전동기어(63)측)의 전동판(6a)과 종동측(제어축(38)측)의 수동판(6b)의 매수(枚數)를, 같은 축 상에 설치한 브레이크본체(44)를 구성하고 있는 브레이크판과 누름판의 매수보다 많게 하여 클러치 토오크 용량이 크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클러치 토오크 용량을 증가하는 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전동판(6a)과 수동판(6b)의 매수를 증가시키는 외에, 양자의 압접면적을 증가하는 구성이 고려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면, 클러치(62)는, 브레이크본체(44)에 의해 클러치 토오크가 증대하기 때문에, 스핀 턴을 사용해서 기계본체를 선회시키는 경우에도, 한쪽 방향의 크롤러(11)에 역회전의 동력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다. 또, 브레이크본체(44)는, 클러치(62)보다 브레이크 토오크 용량이 작아도 효과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
(별도실시예 3)
제10도의 블록 회로도에 나타난 별도실시예 3은, 자동방향 제어에 있어서, 종래부터 사용되어온 피봇 턴을 사용한 구성과, 스핀 턴을 사용한 구성을 조합한 것으로서, 모드 전환에 의해 한쪽 방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즉, 콘트롤장치(270)는, 입력 측에 모드전환 스위치(271)와 센서(272)를 연결하고, 출력 측에는 스핀 턴 전환 솔레노이드(273)와 사이드클러치 전환 솔레노이드(274)를 연결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에 따라, 자동방향 제어는, 모드 전환 스위치(271)의 전환 조작에 따라, 피봇 턴을 이용한 제어로 주행하든지, 스핀 턴을 이용한 제어로 주행할 수 있다.
따라서, 크롤러(11)는, 물기가 많은 논에서의 작업에 있어서, 스핀 턴을 이용한 제어로서 주행하게 됨에 따라, 종래부터 크롤러의 미끄러짐이나 기계본체의 침하(沈下)로 인하여 피봇 턴을 사용한 자동방향제어에서 방향수정이 충분하지 않았던 점을 일거에 해소할 수가 있었다.
(별도실시예 4)
다음 제11도, 제12도에 나타나 있는 별도실시예 4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별도실시예 4에 관한 배터리(280)의 탑재구성은, 제1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크롤러(11)의 뒷부분에, 뒤쪽으로 전도(轉倒) 가능하게 힌지결합(A)된 배터리 탑재대(281)에 배터리(280)를 부착한다. 그리고, 배터리커버(282)는, 제1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상부를 힌지결합하여 바로 앞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매달려 있게 설치한다. 따라서, 배터리(280)는, 정비도 제1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롤러(11)의 공간부분을 이용해서 자유로이 탑재할 수가 있다.
다음에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엔진이 시동되면, 회전동력은, 입력풀리(15)로부터 정압식 무단 변속장치(HST)에 전달되고, 펌프(16), HST모터(17)로 전달된 트랜스미션의 입력축(18)을 전동한다. 그 때, HST는, 조작레버(251)를 전진 측으로 하여 작업 속도의 위치로 조작하고, 또, 부변속장치를 저속(저속기어(22)와 제2전동기어(32)가 맞물린 상태) 쪽으로 조작한다. 그러면, 회전동력은, 제1전동기어(19), 고속기어(24), 저속기어(22), 제2 전동기어(32), 제4전동기어(34), 제6전동기어(37)를 전동시켜 제2중간축(35)으로 전동된다. 또, 회전동력은, 제2중간축(35), 제5전동기어(36), 직진기어(47), 좌출력기어(48), 우출력기어(49), 제12전동기어(53), 제13전동기어(54), 좌크롤러 구동축(l2L), 우크롤러 구동축(12R), 구동 스프라켓(247, 247')를 지나서, 좌우 양측의 크롤러(11,11)를 전동한다.
이렇게 하여, 콤바인은, 주행장치(11)가 구동되어 전진을 개시하고, 벼베기 전(前)처리장치(13)와 탈곡장치(14)의 회전 각 부부분이 전동되어 벼베기 탈곡작업을 행한다. 논밭의 벼포기들은, 기계본체의 전진에 따라 전단 하부의 분초간(分草杆)에 의해 분초작용을 받으며, 이어서 벼포기 일으켜 세움 장치의 작용으로 쓰러져 있는 상태로에서 세워진 상태로 일으켜 세워진다. 그리고, 논밭의 벼포기들은, 벼뿌리 부분이 벼베기장치에 의해 벼베기되어, 벼포기 반송장치에 의해 협지(挾持)되어 위쪽으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볏짚 반송장치의 종단부분에 도달한 볏짚은, 피드체인으로 계속 공급되어 벼뿌리 부분이 꼭 잡혀진 상태에서 반송되면서, 이삭부분이 공급실 내의 급동(扱胴)에 의하여 탈곡된다. 그리고, 탈곡처리물은, 아래쪽의 선별실에 이르러서 선별 바람(風)과 요동 선별장치의 작용을 받아 선별처리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콤바인은, 연속적으로 벼베기 탈곡작업을 행하고, 탈곡 선별한 곡식 알갱이들을 수확해서 곡식탱크에 수집 저장한다.
다음에, 콤바인이 논밭의 끝단에 이르렀을 때 기계본체를 선회하는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보통조건의 논밭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피봇 턴기구를 사용해서 피봇 턴을 한다. 가령, 좌선회 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선회 내측의 크롤러(11)를 정지하고, 선회 외측의 크롤러(11)를 구동하여 선회한다. 이 경우, 먼저 파워스티레버(256)를 좌선회 측으로 조작하면, 스위치(257)가 ON이 되어 전환밸브(258)를 전환할수 있다.
그렇게 하면, 사이드클러치(40)는, 실린더(262)에 펌프(261)로부터 보내진 유압이 전달되어 작동되고 좌출력기어(48)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며, 직진기어(47)의 전동이 끊어지기 때문에 좌측의 크롤러(11)를 정지시켜 좌회전을 개시한다. 그 때, 전환밸브(250)는, 제5도의 상태가 되고, 파워스티레버(256)를 다시 같은 방향으로 조작을 계속하면, 가변 릴리브밸브(260)의 압력이 순차적으로 높아져, 압유 유로(264)를 거쳐 보내져온 유압이 전환밸브(250)를 통해 브레이크유로(255)로부터 브레이크본체(44)로 보내진다. 따라서, 브레이크본체(44)는, 직진기어(47)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좌출력기어(48)에 제동력을 가하게 되어, 정지하고 있는 크롤러(11)에 브레이크를 건다.
그 결과, 기계본체는 선회 내측의 크롤러(11)를 정지시킨 상태로 선회 외측의 크롤러(11)를 구동하므로 좌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기계본체는 실제로는 전진, 후진을 반복하면서 약 90도 혹은 왕복 벼베기를 할 경우에는 180도 선회를 행한다.
다음은 스핀 턴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좌회전 할 경우, 최초에 스핀·마일드 입력기어(57)를 제17전동기어(63)에 맞물리게 한 후, 파워스티레버(256)를 좌선회 측으로 조작하면, 스위치(257')가 ON이 되어 전환밸브(258)를 전환할 수 있다. 그러면, 사이드클러치(40)는, 실린더(262)러펌프(251)로부터의 유압이 보내져 작동하여 좌출력기어(48)를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직진기어(47)와의 전동이 끊어지기 때문에 좌측의 전동을 중지한다. 다음에, 전환밸브(250)는, 전환스위치(252)를 ON으로 조작하면, 통전한 솔레노이드(253)가 여자되어 전환유압유로(264)를 클러치유로(254)에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클러치(62)가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걸어 맞추어진 상태가 되면, 스핀·마일드 입력기어(57)로부터 제17전동기어(63)로 전동되어 있는 회전동력은, 상기 클러치(62)를 거쳐 제어축(38), 제18전동기어(42), 좌출력기어(44), 제12전동기어(53), 좌크롤러 구동축(12L), 구동스프라켓(247)로 전동되어 크롤러(11)에 전동된다.
따라서, 기계본체는 한쪽의 크롤러(11)가 정회전하고 있는데 대하여 다른쪽 크롤러는 역회전하므로, 크롤러(11)를 그 장소에서 스핀 턴할 수 있다. 또, 마일드 턴은 스핀·마일드 입력기어(57)를 제2도와 같이 제15전동기어(59)와 맞물리게 한 후, 스핀 턴과 마찬가지로 조작해도 좋다. 즉, 선회동력은, 스핀·마일드 입력기어(57)로부터 제15전동기어(59), 제16전동기어(60), 제17전동기어(63)에 도달하여, 클러치(62)에 이른다. 따라서, 선회 내측의 크롤러(11)를 외측 크롤러(11) 보다 저속으로 전동시켜 큰 회전반경을 나타내게 되어 완만하게 선회한다.
이상과 같은 선회조작에 있어서, 본 발명은, 비교적 빈번히 행하고, 또한 신속성을 요하는 피봇 턴과 스핀 턴 마일드 턴 사이의 전환을 전기적 수단에 의하여 행하도록 한 구성이므로, 원활하고, 신속한 전환이 가능하다. 또, 스핀 턴과 마일드 턴 사이의 전환은 기계적수단에 의해서 확실하게 전환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좌우 어느쪽인가의 한 쪽의 크롤러에 제동을 거는 선회상태, 좌우의 크롤러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선회상태, 및 한쪽의 크롤러를 다른 쪽의 크롤러와 같은 방향으로 저속으로 구동하는 선회상태를 실행할 경우, 각각 제어축에 동력을 전달하고, 선회측의 크롤러에 제동을 건다든지, 역회전 시킨다든지, 감속정회전 시킨다든지 한다. 그 때문에, 종래와 비교해서 클러치·브레이크축(116) 혹은 스핀·마일드축(129)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트랜스미션 케이스를 소형화 할 수 있다.
3종류의 방향 선회로도 제어축에 부하가 걸리게 되지만, 제어축의 강도만을 높일 수 있을 뿐아니라, 트랜스미션의 중량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좌우의 크롤러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선회상태, 또는 한 쪽의 크롤러를 다른 쪽의 크롤러와 같은 방향으로 저속으로 구동하는 선회상태로 전환시키는 전환스위치를 신속하게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콤바인의 전체측면도이고,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콤바인의 트랜스미션의 전개 횡단면도이고,
제 3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콤바인의 트랜스미션의 접속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 4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어박스의 분해 측면도이고,
제 5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압회로도이고,
제 6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체의 유압회로도이고,
제 7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을 표시한 그래프이고,
제 8 도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1에 있어서의 유압회로도이고,
제 9 도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2에 있어서의 유압회로도이고,
제 10 도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3에 있어서의 블록회로도이고,
제 11 도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4에 있어서의 작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제 12 도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4에 있어서의 실제사용 상태도이고,
제 13 도는 종래예의 기어박스의 전달경로도이고,
제 14 도는 종래의 트랜스미션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크롤러(crawler) 12L, 12R ... 크롤러 구동축
18 ... 입력축 20 ... 변속축
31 ... 제1중간축 35 ... 제2중간축
38 ... 제어축 39 ... 브레이크
40, 41 ... 좌우의 사이드클러치 46 ... 클러치축
47 ... 직진기어 48, 49 ... 좌우의 출력기어
55 ... 기어박스 62 ... 클러치

Claims (1)

  1. 좌우 어느 한쪽의 크롤러에 제동을 거는 선회상태, 좌우의 크롤러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선회상태 및 한쪽의 크롤러를 다른 쪽의 크롤러와 같은 방향으로 저속구동하는 선회상태 중, 임의의 선회상태를 선택하는 크롤러식 이동 농기계에 있어서,
    입력축의 회전을 저속 정회전이나 역회전으로 변환하고, 그 어느 한쪽의 회전을 상기 좌우의 크롤러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선회상태 또는 한 쪽의 크롤러를 다른 쪽의 크롤러와 같은 방향으로 저속으로 구동하는 선회상태로 전환하는 전환클러치를 경유해서 제어축으로 전달하며, 제어축에는 브레이크와 좌우 한 쌍의 사이드클러치 및 상기 전환클러치를 부착하고,
    제어축의 회전을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러치를 거쳐 아래쪽에 위치하는 클러치축의 좌우 한 쌍의 출력기어로 각각 전달하며,
    좌우 한 쌍의 출력기어를 좌우의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클러치축의 직진기어와 맞물림과 풀림이 자유롭게 접속하여, 입력축의 회전을 직진기어로 전달함과 동시에, 제어축의 회전을 출력기어를 거쳐 크롤러의 회전축으로 접속하게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어축에 부착된 브레이크와 전환클러치의 어느 한 쪽인가의 일측에 압유를 보내도록 전환하는 전환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전환밸브를 주행구동용의 정유압식무단변속장치를 변속조작하는 조작레버에 설치한 전환스위치에 의해서 전환가능하게 구성하며,
    기계본체를 좌우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조향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조향레버의 조작정도에 대응하여 상기 전환클러치로의 송유 압력이 높게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전환스위치를 조작하여 전환밸브를 전환하고 조향레버를 조작하여 압유를 전환클러치 쪽에 공급시킬 때, 그 압유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압력 이상에 도달한 후에 전환클러치에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식 이동 농기 계에 있어서의 주행전동장치.
KR1019970021296A 1997-05-28 1997-05-28 크롤러식이동농기계에있어서주행전동장치 KR100476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296A KR100476880B1 (ko) 1997-05-28 1997-05-28 크롤러식이동농기계에있어서주행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296A KR100476880B1 (ko) 1997-05-28 1997-05-28 크롤러식이동농기계에있어서주행전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257A KR19980085257A (ko) 1998-12-05
KR100476880B1 true KR100476880B1 (ko) 2005-07-18

Family

ID=4366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296A KR100476880B1 (ko) 1997-05-28 1997-05-28 크롤러식이동농기계에있어서주행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8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494A (ko) * 2019-06-10 2022-02-04 미쓰비시 마힌드라 노키 가부시키가이샤 범용 콤바인
JP7100829B1 (ja) 2021-05-27 2022-07-14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7131676B1 (ja) * 2021-08-31 2022-09-06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8011C2 (sv) * 2014-02-03 2016-02-09 Atlas Copco Rock Drills Ab Förfarande, system och datorprogram för styrning av framdrivning av en borrigg jämte borrig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494A (ko) * 2019-06-10 2022-02-04 미쓰비시 마힌드라 노키 가부시키가이샤 범용 콤바인
KR102684668B1 (ko) 2019-06-10 2024-07-15 미쓰비시 마힌드라 노키 가부시키가이샤 범용 콤바인
JP7100829B1 (ja) 2021-05-27 2022-07-14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22181921A (ja) * 2021-05-27 2022-12-08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7131676B1 (ja) * 2021-08-31 2022-09-06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257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880B1 (ko) 크롤러식이동농기계에있어서주행전동장치
JP4988111B2 (ja) コンバイン
JP3612593B2 (ja) クローラ式車両の走行旋回駆動装置
JP4248064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00335439A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2002192972A (ja) 作業機の走行用伝動装置
JP3380966B2 (ja) 移動作業機
JP3658910B2 (ja) コンバインの走行ミッション
JP3543454B2 (ja) 無端帯式走行車両の旋回装置
JP2002187567A (ja) 走行車等のプッシュシリンダ装置
JP3520635B2 (ja) コンバインの走行装置
JP2004073106A (ja) 作業車
JP3747812B2 (ja) 走行装置
JPH0660323U (ja) 刈取収穫機の変速装置
JP2004138166A (ja) 作業車
JPH1024860A (ja) 走行ミッションのサイドクラッチ操作装置
JP2000052966A (ja) クローラ式の走行装置
JP3944925B2 (ja) 車輌の走行伝動装置
JPH0660322U (ja) 刈取収穫機の変速装置
JP3753610B2 (ja) 作業機の走行用伝動装置
JP3474157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H07327468A (ja) 農作業車等の走行伝動装置
JP3668265B2 (ja) 車輛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装置
JPS585671Y2 (ja) 走行作業車における走行動力伝達装置
JP5653981B2 (ja) 農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