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943B1 - 스피닝릴용로우터제동기구및스피닝릴 - Google Patents

스피닝릴용로우터제동기구및스피닝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943B1
KR100468943B1 KR10-1998-0023927A KR19980023927A KR100468943B1 KR 100468943 B1 KR100468943 B1 KR 100468943B1 KR 19980023927 A KR19980023927 A KR 19980023927A KR 100468943 B1 KR100468943 B1 KR 100468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fishing line
arm
bale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293A (ko
Inventor
준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1999000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피닝 릴에는 릴 몸체(2), 로우터(3), 스풀(4), 및 로우터 제동 기구(9)가 제공되어 있다. 릴 몸체(2)는 핸들(1)을 가지며, 낚시대 상에 설치 가능하다. 로우터(3)는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된 제1 아암부(31)와 제2 아암부(32), 2개의 아암부들의 첨단부에서 낚시줄 권취 위치와 낚시줄 방출 위치 사이를 위치 전환 가능하도록 제공된 베일 아암(25), 및 베일 아암(25)을 낚시줄 권취 위치와 낚시줄 방출 위치에 유지시키고 두 위치들 사이에서 베일 아암(25)을 전환시키며 릴 몸체(2)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일 전환 기구(26)를 가진다. 스풀(4)은 낚시줄을 그 주위에 감기위해 로우터(3)의 앞부분에 배치된다. 로우터 제동 기구(9)는 베일 아암(25)이 낚시줄 방출 위치에 위치할 때 로우터(3)를 제동한다. 상술한 형태에 의해서 로우터의 회전 위상을 유지하고 스피닝 릴에서 베일 아암이 낚시줄 방출 위치로 될 때 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용 로우터 제동 기구 및 스피닝 릴
본 발명은 스피닝 릴에서 연장된 핸들의 회전에 반응하여 스풀 주위를 회전함으로써 스풀 상에 낚시줄을 감을 수 있도록 로우터가 배열되고, 베일 아암이 로우터에 대해 낚시줄 방출 위치로 선회되는 것에 반응하여 로우터 제동 기구가 로우터의 회전을 제동하는 스피닝 링을 위한 로우터 제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 릴은 릴 몸체, 릴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우터, 및 낚시줄이 주위에 감겨지는 스풀을 가진다. 로우터는 회전 축을 조일 수 있도록 서로 대면하여 배치된 제1 및 제2 아암부들, 및 두 개의 아암부들의 첨단부들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베일 아암을 가진다.
베일 아암은 제1 및 제2 아암부들 위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베일 지지 부재들, 베일 지지 부재들 중 하나의 첨단부에 설치된 낚시줄 로울러를 포함하는 낚시줄 안내부, 및 낚시줄 안내부와 다른 하나의 베일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된 베일을 가진다. 베일 아암은 스풀의 외주에 낚시줄을 감기 위해 낚시줄 권취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베일 아암은 낚시줄이 스풀로부터 공급되거나 던져질 때 베일 아암이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낚시줄 권취 위치로부터 경사진 낚시줄 방출 위치로 선회될 수 있다.
또한, 베일 전환 기구는 베일을 낚시줄 권취 위치와 낚시줄 방출 위치에 유지하고, 베일을 두 위치들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도록 로우터 상에 제공되어 있다. 베일 전환 기구는 로우터가 핸들에 의해 회전될 때, 베일은 낚시줄 방출 위치에 유지되는 한편으로 베일을 낚시줄 권취 위치로 자동적으로 귀환시키기 위한 귀환 기구를 가진다.
또한, 스피닝 릴은 로우터를 역방향(낚시줄 공급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회전 방지 기구를 가진다. 역회전 방지 기구가 회전할 때, 로우터는 역방향(낚시줄을 스풀 주위에 감는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스피닝 릴에서, 예를 들어, 로우터의 역회전이 방지된 조건하에서 낚시줄이 식지 손가락의 손바닥 쪽에 의해 걸려진 후, 낚시줄이 던져짐으로써 공급될 때, 베일 아암은 낚시줄 방출 위치로 전환된다. 로우터는 낚시줄 로울러가 쉽게 낚시줄을 걸 수 있게 낚시대 쪽으로 다가가도록 회전된다. 그 다음, 낚시대는 하방으로 선회되고, 낚시줄은 중간에서 식지 손가락으로부터 풀려나고 낚시 장치가 물 표면에 도달될 때를 기다린다. 낚시 장치가 물 표면에 도달한 후, 낚시 장치가 어느 정도 물에 잠길 때, 핸들이 회전되고 베일 아암은 베일 전환 장치의 귀환 기구에 의해 낚시줄 권취 위치로 다시 되돌아간다.
또한, 낚시줄이 던져진 후 또는 낚시배 위에서 낚시 장치의 당기는 힘에 의해 공급될 때, 베일 아암이 낚시줄 방출 위치로 전환된 후에, 손가락의 첨단부에 의해 스풀의 첨단부를 가압하고, 낚시줄이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손가락의 손바닥 쪽을 낚시줄에 접촉시키는 소위 손가락 제동 동작이 수행된다. 이 경우에, 로우터는 베일 지지 부재들이 장애물을 형성하는 위치로 회전된다.
상술한 통상적인 스피닝 릴에서, 베일 아암이 낚시줄 방출 위치에 유지될 때, 역회전이 역회전 방지 기구에 의해 방지된다면, 로우터가 낚시줄 공급 방향으로 회전될 가능성은 없다. 그러나, 로우터가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할 가능성은 있다. 최근의 스피닝 릴 모델들에서, 로우터는 매우 가벼운 재료로 만들어지며, 회전 균형은 높은 권취 효율을 얻기 위해 향상되어 있으므로 쉽게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회전 균형이 향상된 스피닝 릴에서, 로우터는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것같다. 로우터가 회전될 때, 로우터가 줄던지기 또는 모지로 다루기(thumbing)에 적합한 회전 위상으로 회전된 경우에도, 로우터의 회전 위상은 쉽게 바뀌어진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베일 아암이 낚시줄 방출 위치로 전환되었을 때, 로우터의 회전이 잠겨지는 종래 기술이 있다. 그러나, 로우터의 회전이 잠겨지면, 릴 하우징에 대한 로우터의 회전 위상 또는 위치를 재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같은 이유에서, 낚시줄 던지기와 모지로 다루기를 위해 베일 지지 부재들의 위치를 변화시켜 회전 위상을 수정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회전 위상을 재조정하기 위해 매번 베일 아암을 낚시줄 권취 위치로 되돌려야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닝 릴에서 릴 하우징에 대한 로우터의 회전 위상을 유지하고, 베일 아암이 낚시줄 방출 위치에 있을 때 로우터의 회전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라, 스피닝 릴을 위한 로우터 제동 기구는 릴 몸체, 및 상기 릴 몸체에서 연장된 핸들의 회전에 반응하여 회전하도록 릴 몸체 상에 지지된 로우터를 포함한다. 베일 아암은 로우터 상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베일 아암은 낚시줄 권취 위치와 낚시줄 방출 위치 사이에 로우터의 일부 위에 한정된 선회 축 주위를 선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제동 부재는 링 형상을 가지며, 로우터의 일부에 인접한 릴 몸체에 형성된 요홈에 배치되어 있다. 이동 기구는 로우터의 일부 내에 지지되며, 상기 이동 기구는 이동 기구가 낚시줄 방출 위치에서 제동 부재를 베일 아암에 맞물리게 하도록, 베일 아암의 이동에 반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우터 제동 기구에 있어서, 베일이 낚시줄 권취 위치에서 낚시줄 방출 위치로 선회될 때, 이동 기구는 선회 동작과 협동하여 이동되어, 제동 부재와 접촉하게 되며 이에 의해 로우터를 제동시킨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베일 아암이 낚시줄 방출 위치에 있을 때, 로우터는 제동되어 있으며, 결코, 우발적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아울러, 이동 기구는 탄성 부재로 만들어진 제동 부재와 접촉하게 되어 로우터를 제동시키지만 로우터를 잠그지는 않으므로, 로우터가 수동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도 로우터를 쉽게 회전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낚시줄 던질 때 또는 모지로 다룰 때, 이에 적절한 회전 위상에 일단 로우터가 설정되면, 위상을 유지하는 것과 설정된 위상에서 다른 위상으로 로우터를 쉽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우터의 회전 위상을 필요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기구는 제2 위치에서는 레버 부재의 일부가 제동 부재를 접촉하고 제1 위치에서는 레버 부재가 제동 부재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선회 이동이 가능하도록 로우터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 기구는 베일 아암이 낚시줄 권취 위치에서 낚시줄 방출 위치로 선회할 때, 베일 아암의 선회 동작과 협동하여 레버를 제2 위치로 선회시키기 위한 협동 기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레버 부재의 첨단부는 제동 부재와의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레버 부재가 그 주위를 선회하는 선회 축에 대하여 궁형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일 전환 기구는 적어도 로우터에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전환 기구는 릴 몸체에 대한 로우터의 회전에 반응하여 베일 아암을 낚시줄 방출 위치에서 낚시줄 권취 위치로 선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협동 기구는 적어도 베일 전환 기구의 일부를 한정하며, 이동 기구는 낚시줄 권취 위치와 낚시줄 방출 위치에 베일 아암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라, 스피닝 릴은 핸들의 회전에 의해 낚시줄을 권취하도록 낚시대 상에 설치 가능하다. 스피닝 릴은 핸들을 갖는 릴 몸체를 포함하며, 릴 몸체는 낚시대 상에 설치 가능하다. 로우터의 반대되는 원주 측에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된 제1 아암부와 제2 아암부를 갖는 로우터는 릴 몸체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일 아암은 제1 및 제2 아암부들의 첨단부들에 지지되며, 상기 베일 아암은 제1 및 제2 아암부들의 첨단부들 사이에 연장되는 축 주위로 선회 가능하다. 베일 아암은 낚시줄 권취 위치와 낚시줄 방출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다. 스풀은 낚시줄을 권취하기 위해 로우터의 앞부분에 가까운 릴 몸체 상에 지지된다. 더욱이, 베일 아암이 낚시줄 방출 위치에 위치할 때, 로우터를 제동시키기 위한 로우터 제동 기구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우터는 베일 전환 기구를 더 포함하며, 이 베일 전환 기구는 베일 아암을 낚시줄 권취 위치와 낚시줄 방출 위치에 유지하고, 릴 몸체에 대한 로우터의 회전에 반응하여 베일 아암을 낚시줄 방출 위치로부터 낚시줄 권취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베일 아암은 제1 및 제2 아암부들의 첨단부들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제2 베일 지지 부재, 및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들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베일을 가진다. 베일 전환 기구는 토글 기구를 포함하며, 이 토글 기구는 베일 아암이 낚시줄 권취 위치와 낚시줄 방출 위치 중에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베일 아암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베일 전환 기구는 릴 몸체 상에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이 돌출부는 베일 아암이 낚시줄 방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토글 기구가 돌출부와의 접촉에 반응하여 베일 아암을 낚시줄 방출 위치로부터 낚시줄 권취 위치를 향하여 밀도록, 토글 기구의 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우터 제동 기구는 토글 기구의 일부에 의해 한정되며, 로우터 제동 기구는 릴 몸체에 배치된 제동 부재에 의해 더 한정된다. 제동 부재는 베일 아암이 낚시줄 방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로우터를 제동하기 위해 토글 기구의 일부와 접촉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라, 스피닝 릴은 낚시대에 설치 가능한 릴 몸체, 및 외주면 상의 반대쪽에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된 제1 아암부와 제2 아암부가 형성된 로우터를 포함한다. 베일 아암은 제1 및 제2 아암부들의 첨단부들 사이에 연장된다. 베일 아암은 낚시줄 권취 위치와 낚시줄 방출 위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로우터는 릴 몸체의 일부 상에 지지된다. 베일 전환 기구는 적어도 일부가 로우터 내에 배치되며, 낚시줄 권취 위치와 낚시줄 방출 위치에 베일 아암을 유지시키는 역할과 릴 몸체 상의 로우터의 회전에 반응하여 베일 아암을 낚시줄 방출 위치로부터 낚시줄 권취 위치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스풀은 로우터의 앞부분에 인접한 릴 몸체 상에 지지되며, 낚시줄을 감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스피닝 릴은 베일 아암이 낚시줄 방출 위치에 위치할 때 로우터를 제동하기 위한 로우터 제동 기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일 아암은 제1 및 제2 아암부들의 첨단부들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제1 베일 지지 부재, 및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들 사이에 연장되는 베일을 가진다. 베일 전환 기구는 베일 아암이 낚시줄 권취 위치와 낚시줄 방출 위치 중의 어느 한 위치에 있는 베일 아암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토글 기구를 포함한다. 베일 전환 기구는 릴 몸체 상에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이 돌출부는 베일 아암이 낚시줄 방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돌출부와 귀환 레버의 접촉에 반응하여 베일 아암을 낚시줄 방출 위치로부터 낚시줄 권취 위치를 향하여 밀도록, 토글 기구의 귀환 레버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우터 제동 기구는 토글 기구의 귀환 레버와 릴 몸체에 배치된 제동 부재에 의해 한정되며, 제동 부재는 베일 아암이 낚시줄 방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로우터를 제동하기 위해 토글 기구의 귀환 레버와 접촉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동 부재는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로우터의 일부에 가까운 릴 몸체의 일부를 따라 실제로 링 형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동 부재는 토글 기구가 돌출부에 인접하여 원주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동 부재가 토글 기구의 귀환 레버와 접촉하지 않도록 릴 몸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토글 기구는 토글 기구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중의 한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해 제1 아암부 내에 배치된 토글 스프링 기구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위치는 베일 아암이 낚시줄 권취 위치에 있는 것에 상응하며, 제2 위치는 베일 아암이 낚시줄 방출 위치에 있는 것에 상응한다. 토글 기구는 또한 귀환 레버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중의 한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해 로우터 상에 배치되고 토글 기구의 귀환 레버와 맞물려지는 제2 토글 스프링 기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토글 스프링 기구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일부 내에 보유된 제1단을 가지며 제1 아암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봉; 제1봉의 제2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제1 아암부 내에 설치되며 로우터의 제1 아암부 내에서 제1 아암부에 대해 그 중심부 주위를 선회할 수 있는 제1 슬리브형 부재; 및 제1봉을 제1 베일 지지 부재 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제1 슬리브형 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제1 스프링을 포함한다. 귀환 레버는 제1 슬리브형 부재의 일부와 맞물릴 수 있다. 제2 토글 스프링 기구는 귀환 레버의 일부 내에 보유된 일단을 갖는 제2봉, 내부에 제2봉이 수납되며 로우터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리브형 부재, 및 제2봉을 귀환 레버 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제2 스프링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제1 토글 스프링 기구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일부 내에 보유된 제1단을 가지며 제1 아암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봉; 제1봉의 제2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제1 아암부 내에 설치되며 로우터의 제1 아암부 내에서 제1 아암부에 대해 그 중심부 주위를 선회할 수 있는 제1 슬리브형 부재; 및 제1봉을 제1 베일 지지 부재 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제1 슬리브형 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제1 스프링을 포함한다. 귀환 레버는 제1 슬리브형 부재의 일부와 맞물릴 수 있다. 제2 토글 스프링 기구는 귀환 레버의 일부 내에 보유된 일단을 갖는 제2봉, 내부에 제2봉이 수납되며 귀환 레버의 일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리브형 부재, 및 제2 슬리브형 부재를 귀환 레버 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제2봉과 제2 슬리브형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2 스프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귀환 레버의 접촉부는 제동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부는 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피닝 릴에서, 베일 아암은 낚시줄 던지기 또는 모지로 다루기 시에 낚시줄 방출 위치로 전환된다. 또한, 낚시줄 공급이 중단되거나, 낚시줄이 감겨질 때, 베일 아암은 낚시줄 권취 위치로 되돌아 간다. 낚시줄 권취 위치로 전환되고 로우터가 회전될 때, 낚시줄은 스풀에 의해 안내되어 스풀 주위에 감겨진다. 한편, 베일 아암이 낚시줄 방출 위치에 있을 때, 로우터는 로우터 제동 기구에 의해 제동된다. 따라서, 로우터가 우발적으로 회전할 염려가 없다. 아울러, 제동 기구는 로우터를 제동시킬 뿐이며, 잠그지는 않으므로, 로우터가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경우 로우터를 쉽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일단, 로우터가 낚시줄 던지기 또는 모지로 다루기 시에 적절한 회전 위상으로 설정되면, 그 위상을 유지하는 것과 설정된 위상으로부터 다른 위상으로 로우터를 쉽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필요한 대로 로우터의 회전 위상을 조절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형태에서, 귀환 레버는 베일 전환 기구의 일부이며, 또한, 로우터 제동 기구의 일부이며, 따라서, 작동 부품의 수를 줄이고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로우터 제동 기구는 로우터를 제동시킬 뿐이며 그 위치에 잠그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힘을 가지고 제동력을 거슬러 로우터를 회전시키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일단, 로우터가 낚시줄 던지기 또는 모지로 다루기 시에 적절한 회전 위상으로 설정되면, 그 위상을 유지하는 것과 설정된 위상으로부터 다른 위상으로 로우터를 쉽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필요한 대로 로우터의 회전 위상을 조절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들과 여타의 목적, 특징, 측면 및 이점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가 상응하는 부품들을 일관하여 지시하는 첨부 도면에 관련하여 이루어진 다음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닝 릴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핸들(1)을 갖는 릴 몸체(2), 릴 몸체(2)의 앞부분 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우터(3), 및 낚시줄을 권취하기 위해 로우터(3)의 앞부분에 배치된 스풀(4)을 구비한다.
릴 몸체(2)는 낚시대 상에 스피닝 릴을 설치하기 위한 탑재부(2b)가 그 위에 형성된 상부를 갖는 몸체(2a)를 가진다. 환형 요부(2c)는 몸체(2a)의 앞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2a)의 내부에는 로우터(3)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우터 구동 기구(5), 낚시줄을 스풀(4) 상에 균일하게 감기 위해 회전 중심축 X를 따라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키 위한 진동 기구(6), 로우터(3)의 역회전(낚시줄 공급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역회전 방지 기구(7), 및 로우터(3)의 회전을 제동시키기 위한 로우터 제동 기구(9)가 마련되어 있다.
로우터 구동 기구(5)는 핸들(1)이 고정된 축(10)과 함께 회전하는 면 기어(11), 및 면 기어(11)와 맞물린 피니언 기어(12)를 가진다. 피니언 기어(12)는 슬리브 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부(12a)는 로우터(3)의 중심부를 통해 스풀(4)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나사부는 피니언 기어(12)의 원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열에서, 면 기어(11)와 피니언 기어(12)는 핸들에 의해 회전되며, 피니언 기어(12)에 고정된 로우터(3)도 또한 회전된다.
역회전 방지 기구(7)에서, 로울러형 일방향 클러치가 사용되며, 결과적으로 역회전시에 로우터(3)의 공회전은 이에 의해 제한된다. 역회전 방지 기구(7)는 역회전 방지 위치로부터 역회전 허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작동 레버(8)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다. 작동 레버(8)는 몸체(2a)의 후부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작동 레버(8)에 고정된 작동 축(8a)은 역회전 방지 기구(7)로 연장되어 있다.
로우터(3)는 실린더부(20), 실린더부(20)의 반대되는 쪽에 서로 대면하도록 형성된 제1 아암부(21)와 제2 아암부(22), 및 상기 두 아암부(21)(22)들 사이에 연장되는 베일 아암(25)을 가진다. 베일 아암(25)은 낚시줄 권취 위치와 낚시줄 방출 위치 사이의 두 아암부(21)(22)들 사이에 한정된 축 M 주위로 선회될 수 있다. 로우터(3)는 또한 아래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베일 아암(25)을 낚시줄 방출 위치로부터 낚시줄 권취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베일 전환 기구(26)를 포함한다. 실린더부(20)와 두 개의 아암부(21)(22)들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벽(23)은 실린더부(20)의 앞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보스(23a)는 전벽(23)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은 보스(23a)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와 스풀 축(15)은 관통공을 통과한다. 너트(24)는 전벽(23)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너트(24)는 피니언 기어(12)의 전단에 있는 나사부와 맞물려진다. 스풀 축(1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은 너트(24)의 내주부에 배치되어 있다.
베일 아암(25)은 제1 및 제2 아암부(21)(22)들의 첨단부들에 있는 내주면들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베일 지지 부재(30)와 제2 베일 지지 부재(32)를 포함한다. 베일 아암(25)은 또한 낚시줄 로울러(31)와 베일(33)을 포함한다. 낚시줄 로울러(31)는 낚시줄을 스풀(4)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제1 베일 지지 부재(30)의 첨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베일(33)은 제1 베일 지지 부재(30)의 첨단부에 있는 낚시줄 로울러(31)와 제2 베일 지지 부재(3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일 아암(25)은 회전 중심축 X에 수직이 아니고 오히려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선회축 M 주위를 선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베일 아암(25)은 스풀(4)의 외주로 낚시줄을 안내하기 위해 낚시줄 권취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도 2 참조), 낚시줄이 스풀(4)로부터 풀려지거나 공급될 수 있도록 낚시줄 방출 위치로 수동으로 선회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제, 베일 전환 기구(26)가 설명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일 전환 기구(26)는 제1 아암부(21) 내에 배치된 제1 토글 스프링 기구(40), 로우터(3) 내에 배치된 제2 토글 스프링 기구(41)(도 5), 및 릴 몸체(2)의 환형 요부(2c)의 외면 상에 형성된 스위칭 돌출부(42)를 포함한다. 스위칭 돌출부(42)는 아래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스위칭 부재의 역할을 한다.
제1 토글 스프링 기구(40)는 제1 아암부(21)를 따라 전후로 연장된 제1봉(45), 제1봉(45)의 후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슬리브형 부재(46), 및 제1봉(45)을 전방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제1 스프링(47)을 가진다. 제1봉(4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45a)에서 내측으로 굽어져 있으며, 제1 베일 지지 부재(30) 내에 형성된 구멍(30a)에 맞물린다. 또한, 턱부(45b)는 제1봉(45) 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프링(47)의 전단은 턱부(45b)와 접촉하고 있다. 제1 슬리브형 부재(4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암부에 선회 중심 A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정지부(21a)는 제1 아암부(21)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토글 스프링 기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위치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제1 위치는 베일 아암(25)의 낚시줄 권취 위치에 상응하며, 제2 위치는 베일 아암(25)의 낚시줄 방출 위치에 상응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제1 토글 스프링 기구(40)의 제2 위치는 제1 토글 스프링 기구(40)가 베일 아암(25)을 선회 축 M 주위로 선회하도록 힘을 가할 수 없는 위치이다.
제2 토글 스프링 기구(41)는 실린더부(20)와 제1 아암부(20) 사이의 로우터(3)의 일부의 후면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귀환 레버(50)를 포함한다. 귀환 레버(50)는 스풀 축(15)과 전체적으로 평행인 축 주위를 선회한다. 또한, 제2 토글 스프링 기구(41)는 귀환 레버(50)의 일단에 보유된 제2봉(51), 제2봉(51)이 내부로 수납되며 일단이 로우터(3)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리브형 부재(52), 및 제2봉(51)을 귀환 레버(50) 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제2 스프링(53)을 포함한다. 아울러, 제2봉(51)과 제2 스프링(53)은 스풀 축(15)에 수직이고 따라서 로우터 회전 평면과 평행인 평면에서 이동 가능하다.
리테이너 절제부(50a)는 제1 슬리브형 부재(46)의 후단을 수납하는 귀환 레버(50)에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6 및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 절제부(50a)는 리테이너 절제부(50a) 내로 연장되는 제1 슬리브형 부재(46)의 부분보다 크다. 따라서, 귀환 레버(50)가 제1 슬리브형 부재(46)에 대하여 이동할 때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두 부품은 충돌음을 만들며 서로 충돌한다. 이와 같이, 충돌음은 작동자에게 베일 아암(25)이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절환되었음을 알려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a)의 환형 요부(2c)에 형성된 스위칭 돌출부(42)는 방사상으로 바깥 쪽으로 연장된다. 제2 토글 스프링 기구(41)의 귀환 레버(50)가 로우터(3)와 함께 회전될 때, 스위칭 돌출부(42)는 귀환 레버(50)의 돌출부(50c)와 접촉할 수 있다. 스위칭 돌출부(42)는 귀환 레버(50)의 돌출부(50c)와 원활하게 충돌하며, 귀환 레버(50)의 원활한 회전을 가속시키도록 곡면의 형상을 가진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로우터 제동 기구(9)는 베일 아암(25)이 낚시줄 방출 위치로 이동될 때, 로우터(3)를 제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터 제동 기구(9)는 상술한 귀환 레버(50)의 돌출부(50c), 및 베일 아암(25)이 낚시줄 방출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50c)가 도 7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을 때, 특히, 돌출부(50c)가 로우터의 회전 중심축을 향해 전체적으로 방사상으로 내측을 가르킬 때 돌출부(50c)를 접촉하도록 위치하는 제동 부재(55)를 포함한다. 제동 부재(55)는, 예를 들면, NBR과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 진다. 제동 부재(55)는 몸체(2a)의 환형 요부(2c)의 벽면(2d) 상에 설치되며, 벽면(2d)의 스위칭 돌출부(42)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로우터의 회전 방향을 따라 실제로 링의 형태로 배치된다. 제동 부재(55)의 단면은, 예를 들면, 반원형의 형태이며 베일 아암(25)이 낚시줄 방출 위치에 위치할 때 돌출부(50c)와의 접촉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여기서, 제동 부재(55)는, 로우터(3)가 어떤 회전 위상에 정지되어 있더라도, 베일 아암(25)이 낚시줄 방출 위치로 전환되었을 때, 로우터(3)가 언제나 제동되도록, 실제로 로우터 회전 방향을 따른 링 모양으로 제공된다.
이제, 베일 전환 작동이 설명된다.
낚시줄이 스풀(4) 주위에 감겨지려할 때, 역회전 방지 기구(7)가 작동 레버(8)에 의해 역회전 방지 위치에 있게 되고 이에 의해 로우터(3)의 역회전이 방지되는 조건하에서 베일 아암(25)은 낚시줄 권취 위치로 전환된다. 이 경우에, 제1 베일 지지 부재(30)와 제2 베일 지지 부재(32)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곧추 선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제1 토글 스프링 기구(40)에서, 제1 슬리브형 부재(4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47)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선회되며, 제1봉(45)은 전진된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제2 토글 스프링 기구(41)에서 귀환 레버(50)는 도 5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제1 위치에 위치하며, 이 조건은 제2 스프링(53)의 편향력 때문에 제2봉(51)에 의해 유지된다. 아울러, 이러한 조건에서 귀환 레버(50)의 돌출부(50c)는 로우터(3)의 외주 쪽으로 후퇴하며, 로우터(3)가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50c)가 스위칭 돌출부(42)와 접촉하게될 염려는 없다.
베일 아암(25)이 이 상태로부터 기울어질 때, 제1 베일 지지 부재(30)와 제2 베일 지지 부재(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줄 방출 위치를 취하도록 후방으로 기울어진다. 베일 아암(25)이 낚시줄 방출 위치로 기울어진 조건에서, 스풀(4)로부터 낚시줄을 쉽게 공급할 수 있다. 이 조건하에서, 제1 토글 스프링 기구(40)에서, 제1봉(45)은 제1 베일 지지 부재(30)의 회전에 의해 도 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2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슬리브형 부재(46)는 선회 중심 A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된다. 제2 토글 스프링 기구(41)에서 제1 슬리브형 부재(46)의 선회 동작에 따라 귀환 레버(50)가 도 5에서 시계 방향으로 선회되며, 실선으로 도시된 제2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귀환 레버(50)는 제2봉(51)과 제2 스프링(53)에 의해 적절한 위치에 유지된다.
귀환 레버(50)가 제2 위치로 선회될 때,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환 레버(50)의 돌출부(50c)는 로우터 회전 중심축을 향해 연장되며, 제동 부재(55)와 탄성 접촉을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로우터(3)는 그 회전 운동이 억제되도록 제동된다. 로우터(3) 상의 귀환 레버(50)는 단순히 제동 부재(55)와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제동 부재(55)와의 마찰 접촉에 의해 제동되므로, 수동으로 로우터(3)를 강제로 회전시키므로써, 또는 핸들(1)에 추가적인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회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베일 아암(25)을 낚시줄 방출 위치에 유지시키면서 핸들(1)의 작동에 의해 로우터(3)가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제2 토글 스프링 기구(41)의 귀환 레버(50)는 로우터(3)와 함께 도 7에 공백의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다음, 귀환 레버(50)의 돌출부(50c)는 릴 몸체(2)의 측방에 고정된 스위칭 돌출부(42)에 충돌하게 된다. 이와 같이, 귀환 레버(50)는 차올려져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제1 위치로 절환된다. 결과적으로, 제1 토글 스프링 기구(40)의 제1 슬리브형 부재(46)는 도 3에 도시된 제2 위치로부터 도 2에 도시된 제1 위치로 절환되며, 제1 베일 지지 부재(30)와 제2 베일 지지 부재(32)는 제1 스프링(47)의 편향력의 도움으로 낚시줄 권취 위치로 절환된다.
이때, 제1 토글 스프링 기구(40)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도 3), 제1봉(45)은 제1 위치(도 2)로의 이동이 제2 토글 스프링 기구(41)로부터의 힘에 덧붙여 작은 힘을 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제로 사점(편향력이 작동될 수 없는 지점)에 있다. 또한, 제2 토글 스프링 기구(41)는 그 위치가 로우터 회전 평면 내에서 회전하는 귀환 레버(50)에 의해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로우터(3)의 회전력은 어떤 감소도 없이 귀환 레버(50)로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핸들의 작동시, 작은 힘으로 베일을 낚시줄 방출 위치로부터 낚시줄 권취 위치로 절환할 수 있다.
또한, 베일 아암(25)이 낚시줄 방출 위치에 있는 경우, 돌출부(50c)는 제동 부재(55)와 접촉하게 되고 로우터(3)는 회전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마찰력에 의해 제동된다. 따라서, 베일 아암(25)이 낚시줄 방출 위치로 될 때 로우터(3)가 회전될 가능성은 없다. 따라서, 낚시줄 던지기 또는 모지로 다루기 시에 로우터(3)의 우발적 회전으로 인한 결함을 극복할 수 있다. 아울러, 로우터(3)는 마찰에 의해서만 제동되므로, 로우터(3)에 힘이 가해진다면, 로우터(3)를 쉽게 회전시키고 회전 위상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 대부분의 구성 요소들과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들, 특징들, 기능들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요홈(2e)이 스위칭 돌출부(42a)와 환형 요부(2c)의 다른 부분에 제공되어 있다. 제동 부재(55a)는 제동 부재(55a)가 요홈(2e)을 통과하도록 D형 링을 한정하도록 설치된다. 제동 부재(55a)는 스위칭 돌출부(42a)의 내주 측에 위치하는 요홈(2e)에서 전체적으로 직선인 부분을 통해 연장된다. 더욱이, 요홈(2e)에서 전체적으로 직선인 부분에서, 제동 부재(55a)는 돌출부(50c)에 의해 접촉될 수 있는 위치로부터 방사상으로 내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돌출부(50c)가 베일 아암이 낚시줄 방출 위치에 있는 도 9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고 더욱이 돌출부(50c)가 돌출부(42a)의 부근에 위치한다면, 돌출부(50c)는 제동 부재(55a)로부터 이격되어진다.
제2 실시예에서 제동 부재(55a)가 무한형(endless)이므로, O형 링과같이 상점에서 구득할 수 있는 탄성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베일 아암(25)이 낚시줄 방출 위치로 유지되는 조건하에서 로우터(3)가 회전될 때, 돌출부(50c)는 제동이 해제되도록 스위칭 돌출부(42a) 부근의 제동 부재(55a)로부터 분리되므로, 로우터(3)의 회전은 가볍고, 제2 토글 스프링 기구(41)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O형 링이 제동 부재(55a)로 사용되는 경우, O형 링을 설치하기 위한 D형의 요홈을 벽면(2d)에 형성하고 O형 링이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충분하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 대부분의 구성 요소들과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들, 특징들, 기능들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 제1 베일 지지 부재(30')는 제1 아암부(21)의 외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베일 전환 기구(26)의 제1 토글 스프링 기구(40)의 제1봉(45)은 그 첨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외측에서 굽어져 있으며, 제1 베일 지지 부재(30')와 맞물려 있다. 제1 토글 스프링 기구(40)의 다른 구조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같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토글 스프링 기구(41)는 귀환 레버(50'), 일단에서 귀환 레버(50')에 보유된 제2 슬리브형 부재(51a), 일단이 제2 슬리브형 부재(51a) 내에 수용되고 타단이 로우터(3)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2봉(52a), 및 귀환 레버(50') 측에서 제2 슬리브형 부재(52a)를 편향시키기 위한 제2 스프링(53)을 가진다. 귀환 레버(50')는 로우터 회전 평면과 평행인 평면 내에서 로우터(3)의 실린더부(20)와 제1 아암부(21) 사이의 결합부의 후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배열은 제1 실시예의 배열과 다르며, 슬리브형 부재와 봉의 배열은 바뀌어 있다. 아울러, 제2 슬리브형 부재(52a)와 제2 스프링(53)은 로우터 회전 평면(로우터 회전 평면은 스풀 축(15)의 중심축에 수직임)과 평행인 평면 내에서 이동된다.
귀환 레버(50')는 제1 토글 스프링 기구(40)의 제1 슬리브형 부재(46)의 후단을 보유하기 위한 리테이너 절제부(50a'), 제2 슬리브형 부재(51a)를 보유하기 위한 구멍(50b), 및 로우터 회전 중심축을 향해 연장된 돌출부(50c')를 가진다. 갭이 리테이너 절제부(50a')의 표면들과 제1 슬리브형 부재(46)의 후부 사이에 한정되어 그 사이에 상대적 운동이 있을 시 충돌음이 생성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 제동 부재(55b)는 O형 링으로 구성되며, 상술한 두 실시예와는 달리 환형 요부(2c)의 저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50c')의 첨단부는 제동 부재(55b)의 측부보다는 오히려 그 외주부와 접촉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50c')의 첨단부는 귀환 레버(50')의 선회 중심 주위에 궁형으로 형성된다. 돌출부(50c')는 이와 같이 궁형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로우터(3)가 제동시에 회전될 때 귀환 레버(50')가 변위에 의해 어느 정도로 선회된 경우라도 돌출부(50c')가 외주측으로부터 제동 부재(55b)로 언제나 동일한 양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접촉 조건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로우터(3)가 수동으로 회전될지라도, 안정적인 제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제동력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
그와 같은 제2 토글 스프링 기구(41)의 구조에서, 제2 슬리브형 부재(51a)와 제2 스프링(53)이 그 토글링을 돕도록 힘을 가하는 상태에서 귀환 레버(50')는 도 11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제1 위치와 실선으로 도시된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제1 위치는 제1 토글 스프링 기구(40)의 제1 위치 및 베일 아암(25)의 낚시줄 권취 위치와 상응하며, 제2 위치는 제1 토글 스프링 기구(40)의 제2 위치 및 베일 아암(25)의 낚시줄 방출 위치와 상응한다.
스위칭 돌출부(42b)는 제동 부재(55b)의 외주측에 몸체(2a)의 환형 요부(2c)의 벽부에 형성되며, 제동 부재(55b)는 실제로 반지 모양으로 배열된다.
작동 레버(8)의 작동 축(8a)은 O형 링으로 구성된 제동 부재(55b)를 피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부재(55b)가 통과하는 위치에서 삼각형으로 절제된다.
다른 실시예들
상기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더 수정될 수 있으며, 이들은 여전히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a) 베일 전환 기구와 로우터 제동 기구의 배열은 상술한 실시예들에서의 배열에 국한되지 않는다. 베일 전환 기구와 별도로 로우터 제동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글 스프링 기구로 구성된 협동 기구(60)와 협동 기구(60)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 부재(61)는 로우터(3)의 제2 아암부(2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b) O형 링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동 부재로 사용될 수 있지만, 그러나, 제동 부재의 단면은 O형 링과 같이 원형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c) 제1 토글 스프링 기구(40)에서 제1봉(45)과 제1 슬리브형 부재(46) 사이의 위치 관계는 제3 실시예의 제2 토글 스프링 기구(41)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반대의 위치 관계, 즉, 제1 슬리브형 부재(46)가 제1 베일 지지 부재(30)와 맞물려지는 배열일 수 있다.
(d) 귀환 레버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토글 스프링 기구에 의해 작동된다. 그러나, 일본 실용 신안 공고 소 59-13906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토글 스프링 기구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이동 기구의 일례와 같이 귀환 레버를 만들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귀환 레버의 작동 방식은 선회 동작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공고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귀환 레버가 베일 아암의 선회 동작과 협동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면, 어떤 작동 방식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베일 아암이 낚시줄 방출 위치로 간다면, 로우터는 제동되어진다. 따라서, 로우터가 우발적으로 회전될 염려는 없다. 아울러, 로우터는 제동되는 것이지 잠그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제동을 극복하도록 수동으로 추가의 힘을 사용하여 쉽게 로우터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줄 던지기 또는 모지로 다루기 시에 로우터가 일단 최적의 회전 위상에 설정되면, 그 위상을 유지하고, 또한, 설정된 위상에서 다른 위상으로 로우터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로우터의 회전 위상(또는 위치)는 원하는 대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세부 사항들은 발명의 정신이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변화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전술한 설명은 설명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이며,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와 그 동등물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을 제한할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스풀, 로우터 및 베일을 갖는 스피닝 릴의 측단면도,
도 2는 제1 아암부가 베일의 낚시줄 권취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을 때 도 1에 도시된 스피닝 릴의 베일을 지지하는 제1 아암부의 내부의 일부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제1 아암부가 베일의 낚시줄 방출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을 때 도 1에 도시된 스피닝 릴의 베일을 지지하는 제1 아암부의 내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2와 유사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제1 아암부와 관련된 제1 토글 스프링 기구의 일부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1의 V-V 선을 따라 취한 제2 토글 기구의 세부를 보여주는 로우터의 일부에 대한 부분 저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토글 스프링 기구의 레버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도 1의 VII-V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로우터 제동 기구의 확대도,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로우터와 토글 스프링 기구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7과 유사한 부분 단면 입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스풀, 로우터 및 베일을 갖는 스피닝 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1과 유사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글 기구의 세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7과 유사한 부분 단면도,
도 12는 제3 실시예의 상세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8과 유사한 단면도, 그리고,
도 13은 제4 실시예의 세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1과 유사한 측단면도이다.

Claims (15)

  1. 스피닝 릴용 로우터 제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 제동 기구 및 스피닝 릴은,
    릴 몸체;
    릴 몸체로부터 연장된 핸들의 회전에 반응하여 회전하도록 릴 몸체에 지지된 로우터;
    상기 로우터 상에 지지되며, 상기 로우터의 일부에 한정된 선회 축 주위를 낚시줄 권취 위치와 낚시줄 방출 위치 사이를 선회하도록 구성된 베일 아암;
    탄성 재료로 만들어 지고, 링 형태를 가지며, 상기 로우터의 일부에 인접한 상기 릴 몸체에 형성된 요홈 내에 배치되는 제동 부재; 및
    상기 로우터의 일부분 내에 지지되며, 상기 베일 아암이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그 일부가 상기 제동 부재와 맞물리어 상기 베일 아암의 이동에 반응하도록 구성된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스피닝 릴용 로우터 제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제2 위치에서 일부가 상기 제동 부재와 접촉하고 제1 위치에서 상기 제동 부재와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선회 운동하기 위해 상기 로우터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 부재; 및
    상기 베일 아암이 상기 낚시줄 권취 위치로부터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로 선회될 때, 상기 베일 아암의 선회 동작에 협동하여 상기 레버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 선회시키기 위한 협동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용 로우터 제동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의 첨단부가 상기 제동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버 부재가 선회하는 선회 축에 대하여 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용 로우터 제동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로우터 제동 기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로우터 내에 지지되는 베일 전환 기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릴 몸체에 대한 상기 로우터의 회전에 반응하여 상기 베일 아암을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로부터 상기 낚시줄 권취 위치로 선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협동 기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베일 전환 기구의 일부를 한정하며; 그리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낚시줄 권취 위치와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에 베일 아암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용 로우터 제동 기구.
  5. 핸들의 회전에 의해서 낚시줄을 감기 위해 낚시대 상에 설치 가능한 스피닝 릴로서,
    핸들을 가지며, 낚시대 위에 설치 가능한 릴 몸체;
    로우터의 원주 상의 반대쪽에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된 제1 아암부와 제2 아암부를 가지며, 상기 릴 몸체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로우터;
    상기 제1 및 제2 아암부들의 첨단부들에서 지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아암부들의 첨단부들 사이에 연장되는 축 주위로 선회 가능하며, 낚시줄 권취 위치와 낚시줄 방출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한 베일 아암;
    낚시줄을 감기 위해 상기 로우터의 앞부분에 가까운 릴 몸체 상에 지지되는 스풀; 및
    상기 베일 아암이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로우터를 제동하기 위한 로우터 제동 기구를 구비하는 스피닝 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가, 상기 낚시줄 권취 위치와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에 상기 베일 아암을 유지시키고, 상기 릴 몸체에 대한 상기 로우터의 회전에 반응하여 상기 베일 아암을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로부터 상기 낚시줄 권취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베일 전환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 아암이 상기 제1 및 제2 아암부들의 첨단부들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제2 베일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들 사이에 연장되는 베일을 가지며;
    상기 베일 전환 기구가 상기 베일 아암이 상기 낚시줄 권취 위치와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 중의 한 위치에 있는 상기 베일 아암의 위치를 유지하는 토글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일 전환 기구가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일 아암이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토글 기구의 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릴 몸체 상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토글 기구가 상기 돌출부와의 접촉에 반응하여 상기 베일 아암을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로부터 상기 낚시줄 권취 위치로 밀어주며; 그리고,
    상기 로우터 제동 기구가 상기 토글 기구의 일부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로우터 제동 기구는 상기 릴 몸체 상에 배치된 제동 부재에 의해서 더 한정되며, 상기 제동 부재는 상기 베일 아암이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로우터를 제동하기 위해 상기 토글 기구의 일부와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8. 핸들의 회전에 의해 낚시줄을 감기 위해 낚시대 상에 설치 가능한 스피닝 릴로서,
    낚시대 위에 설치 가능한 릴 몸체;
    원주상의 반대쪽에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된 제1 아암부와 제2 아암부가 형성되며, 베일 아암이 상기 제1 및 제2 아암부들의 첨단부들 사이에 연장되는 로우터로서, 상기 베일 아암은 낚시줄 권취 위치와 낚시줄 방출 위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며, 상기 릴 몸체의 일부 상에 지지되는 로우터;
    상기 베일 아암을 상기 낚시줄 권취 위치와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에 유지시키고, 상기 릴 몸체 상의 상기 로우터의 회전에 반응하여 상기 베일 아암을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로부터 상기 낚시줄 권취 위치로 전환시키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로우터 내에 배치된 베일 전환 기구;
    낚시줄을 감기 위해 상기 로우터의 앞부분에 가까운 상기 릴 몸체 상에 지지되는 스풀; 및
    상기 베일 아암이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로우터를 제동하기 위한 로우터 제동 기구를 구비하는 스피닝 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 아암이 상기 제1 및 제2 아암부들의 상기 첨단부들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제2 베일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들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베일을 가지며;
    상기 베일 전환 기구가 상기 베일 아암이 상기 낚시줄 권취 위치와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 중의 한 위치에 있는 상기 베일 아암의 위치를 유지하는 토글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일 전환 기구가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일아암이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귀환 레버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릴 몸체 상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토글 기구가 상기 돌출부와 토글 기구의 귀환 레버 사이의 접촉에 반응하여 상기 베일 아암을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로부터 상기 낚시줄 권취 위치로 밀어주며; 그리고,
    상기 로우터 제동 기구가 상기 토글 기구의 귀환 레버, 및 상기 릴 몸체 상에 배치된 제동 부재에 의해서 한정되며, 상기 제동 부재는 상기 베일 아암이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로우터를 제동하기 위해 상기 토글 기구의 상기 귀환 레버와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는 탄성 재료로 만들어 지며, 상기 로우터의 일부에 가까운 상기 릴 몸체의 일부를 따라 실제로 링의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기구가 상기 돌출부에 근접하여 원주상으로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동 부재가 상기 토글 기구의 상기 귀환 레버와 접촉할 수 없도록 상기 제동 부재가 상기 릴 몸체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기구가
    상기 토글 기구를 각각 상기 베일 아암의 상기 낚시줄 권취 위치와 상기 낚시줄 방출 위치에 상응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중의 한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아암부 내에 배치된 제1 토글 스프링 기구; 및
    상기 귀환 레버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중의 한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로우터 상에 배치되고 상기 토글 기구의 상기 귀환 레버와 맞물린 제2 토글 스프링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글 스프링 기구는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일부 내에 보유된 제1단을 가지며 상기 제1 아암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봉; 상기 제1봉이 제2단이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 아암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로우터의 제1 아암부 내에 상기 제1 아암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아암부의 중간부 주위를 선회할 수 있는 제1 슬리브형 부재; 및 상기 제1봉을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 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슬리브형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귀환 레버는 상기 제1 슬리브형 부재의 일부와 맞물릴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 토글 스프링 기구는 상기 귀환 레버의 일부 내에 보유된 일단을 갖는 제2봉, 상기 제2봉이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로우터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리브형 부재, 및 상기 제2봉을 상기 귀환 레버 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제2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글 스프링 기구는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일부 내에 보유된 제1단을 가지며 상기 제1 아암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봉; 상기 제1봉의 제2단이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 아암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로우터의 제1 아암부 내에 상기 제1 아암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아암부의 중간부 주위를 선회할 수 있는 제1 슬리브형 부재; 및 상기 제1봉을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 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슬리브형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귀환 레버는 상기 제1 슬리브형 부재의 일부와 맞물릴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 토글 스프링 기구는 상기 로우터의 일부 내에 보유된 일단을 갖는 제2봉, 상기 제2봉이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귀환 레버의 상기 일부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리브형 부재, 및 상기 제2 슬리브형 부재를 상기 귀환 레버 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제2봉과 상기 제2 슬리브형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2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 레버의 접촉부가 상기 제동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
KR10-1998-0023927A 1997-06-24 1998-06-24 스피닝릴용로우터제동기구및스피닝릴 KR100468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67079 1997-06-24
JP16707997 1997-06-24
JP00475998A JP3526200B2 (ja) 1997-06-24 1998-01-13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機構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10-004759 1998-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293A KR19990007293A (ko) 1999-01-25
KR100468943B1 true KR100468943B1 (ko) 2005-05-18

Family

ID=2633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927A KR100468943B1 (ko) 1997-06-24 1998-06-24 스피닝릴용로우터제동기구및스피닝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82542B1 (ko)
EP (1) EP0887016B1 (ko)
JP (1) JP3526200B2 (ko)
KR (1) KR100468943B1 (ko)
DE (1) DE69807593T2 (ko)
ES (1) ES2183291T3 (ko)
MY (1) MY126577A (ko)
SG (1) SG73522A1 (ko)
TW (1) TW4012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3214A (ja) * 1998-06-09 1999-12-24 Nec Corp オンライン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システム
US6090034A (en) * 1998-07-02 2000-07-18 Martin Yale Industries, Incorporated Tabber apparatus with removable shaft and retaining member
KR100487832B1 (ko) 1999-12-15 2005-05-06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정보 처리 시스템
JP3759573B2 (ja) * 2000-04-25 2006-03-2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3635003B2 (ja) * 2000-05-17 2005-03-3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装置
TW474782B (en) 2000-06-23 2002-02-01 Shimano Kk Spinning reel rotor braking device
JP3983018B2 (ja) 2001-03-30 2007-09-2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306032A (ja) * 2001-04-16 2002-10-2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2003189767A (ja) * 2001-12-25 2003-07-0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4307881B2 (ja) * 2002-08-28 2009-08-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4078222B2 (ja) * 2003-02-05 2008-04-2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回転規制装置
JP4266719B2 (ja) * 2003-06-13 2009-05-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4851880B2 (ja) * 2005-09-07 2012-01-1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US9101119B2 (en) * 2011-05-13 2015-08-11 The Bohning Company, Ltd Bowfishing reel
JP2015165784A (ja) * 2014-03-04 2015-09-24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ベール支持機構
JP6457258B2 (ja) * 2014-12-19 2019-01-23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
DE102015012349B3 (de) * 2015-09-22 2016-12-08 Ralf Vosseler KG Angelrolle zur Spinnfischerei
JP7212516B2 (ja) * 2018-12-27 2023-01-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5942A (en) * 1960-05-20 1962-07-24 Herbert O Henze Spinning reel construction
US3627223A (en) * 1967-12-12 1971-12-14 Carpano & Pons Spinning reel with winding drum brake
JPS5436079Y2 (ko) * 1976-06-11 1979-10-31
SE7706721L (sv) * 1977-06-09 1978-12-10 Abu Ab Haspelrulle
FR2462098A1 (fr) * 1979-07-26 1981-02-13 Mitchell Sa Moulinet de peche
US4291846A (en) * 1979-09-17 1981-09-29 Brunswick Corporation Rotor brake for fishing reel
JPS58178876U (ja) * 1982-05-26 1983-11-3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JPS59139069U (ja) 1983-03-10 1984-09-1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FR2664793B1 (fr) * 1990-07-20 1992-10-16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eche a verrouillage de bobine et de recuperateur.
JP2594253Y2 (ja) * 1993-05-14 1999-04-2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8298902A (ja) * 1995-05-09 1996-11-19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姿勢切り換え装置
DE19522835C2 (de) * 1995-06-23 1998-11-26 Kuntze Angelgeraete Dam Angelrolle
JP3256123B2 (ja) * 1995-10-04 2002-02-1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3204492B2 (ja) * 1995-10-16 2001-09-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6577A (en) 2006-10-31
ES2183291T3 (es) 2003-03-16
JP3526200B2 (ja) 2004-05-10
DE69807593D1 (de) 2002-10-10
EP0887016A1 (en) 1998-12-30
KR19990007293A (ko) 1999-01-25
DE69807593T2 (de) 2003-04-30
EP0887016B1 (en) 2002-09-04
TW401272B (en) 2000-08-11
SG73522A1 (en) 2000-06-20
US6382542B1 (en) 2002-05-07
JPH1169931A (ja) 199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943B1 (ko) 스피닝릴용로우터제동기구및스피닝릴
US7607602B2 (en) Reel unit for spinning reel
JP3759573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US6729568B2 (en) Spinning reel bail tripping device
KR920003650Y1 (ko) 낚시용 릴의 스풀제동력 절환장치
JPH09168353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5524832A (en) Spinning reel
JP200318976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200414114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426671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0139290A (ja) 魚釣用リ―ルのロ―タ機構
JP200102898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4365983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457204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3256127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GB2260677A (en) Spinning reel
JP375957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H11187788A (ja) 魚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331011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375341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3240107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596265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H118948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4057141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2002000138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