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944B1 - 산약의분할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산약의분할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944B1
KR100462944B1 KR1019970008905A KR19970008905A KR100462944B1 KR 100462944 B1 KR100462944 B1 KR 100462944B1 KR 1019970008905 A KR1019970008905 A KR 1019970008905A KR 19970008905 A KR19970008905 A KR 19970008905A KR 100462944 B1 KR100462944 B1 KR 100462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ing
powder
arc
plate
shap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5349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다케시 이나모리
히로야스 하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970065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5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8Controlling escape of air or dust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8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 B65B37/12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of centrifug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약분할을 할 때 산약 성상의 종류, 분배접시에의 산약의 살포퇴적상황, 혹은 분배접시에 대한 퍼내기판의 퍼내기 방향 어긋남에 기인하는 분할오차의 발생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분할장치의 분배접시(2)를 그 아크형상의 홈(2R)의 경사각을 60℃ 이상의 기립상으로 하여 고속 회전시키고, 아크형상의 홈(2R)에 산약 성상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 형상으로 산약을 균일하게 살포퇴적하고, 퍼내기 장치(3)의 퍼내기판(33)이 산약을 외주방향으로 퍼낼때에 아크형상의 홈(2R) 상연을 이반하는 부근에서 퍼내기판(33)을 감속하여 확실하게 호퍼(4)에 낙하시킨다. 분배접시(2)는 설정분할수로 분할된 구간의 아크형상의 홈상의 산약 퍼내기량이 모두 동일해지도록 역회전, 정회전에 의해 회전시켜 분할오차를 최소한으로 억제한다.

Description

산약의 분할제어장치{CONTROLLING APPARATUS FOR DIVIDING POWDERED MEDICINE}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산약을 1복용분씩 포장하기 위하여 분배접시상에서 산약을 균일하게 분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분배접시를 이용하여 산약을 균일하게 분할하는 방법으로서, 공급기에서 산약을 살포하고 외주에 원호상의 아크형상의 홈을 갖는 원형상 분배접시를 이송하면서 분배접시의 아크형상의 홈에 균일하게 살포된 산약을 퍼내기판으로 분배접시의 반경방향으로 퍼내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같은 산약분할방법을 실시할 경우 처리속도가 빨라, 고효율이고 또한 분할오차가 적은 산약분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 두 조건은 서로 상반된 성질이므로 두 조건을 조화시킨 해결책이 요망되고 있다. 분할오차는 직접적으로는 분배접시에서 퍼내기판으로 퍼낼때에 퍼내기량이 균일한지의 여부에 따라 생기고, 간접적으로는 분배접시의 아크형상의 홈에 사전에 균일하게 산약이 살포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도 생긴다.
퍼내기판으로 산약을 퍼낼때의 분할오차는 퍼내기판에 의한 퍼내기 방향과 대응하는 퍼내기 영역을 벗어남으로써 생기고, 또 퍼내기폭과 이에 대응하는 분할수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서도 생긴다. 가령, 퍼내기폭에 대응하는 최대분할수(아크형상의 홈 원주를 퍼내기 폭으로 나눈 값)와 동일한 분할수를 설정하면, 최초와 최후의 분할량에 오차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설정분할수로서 최대분할수 보다 1∼2만큼 작은 분할수를 설정하고, 퍼내기폭의 피치보다 약간 큰 피치로 분배접시를 보내어 분할하고 있다. 가령, 퍼내기폭이 19mm이고 최대분할수가 64인 경우는 설정분할수를 63으로 하고 퍼내기폭 19mm에 19/63mm를 가한 피치로 분배접시를 보내어 최초와 최후의 오차를 적게 하고 있다.
한편, 상기 분배접시에서 산약을 퍼낼때의 퍼내기 오차를 아무리 작게 하여도 그것만으로는 완전히 분할오차를 0으로 할 수는 없고, 분배접시의 아크형상의 홈에 사전에 산약을 균일하게 살포할 필요가 있으나, 그 한가지 방법으로서 산약공급기의 공급불균일에 의한 영향을 평균화하도록 산약을 살포할때에는 분배접시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이 있다.
분배접시의 아크형상의 홈의 경사각(rake angle)은 일반적으로는 20∼25°정도이고, 이때의 분배접시의 외주속도는 가령 분배접시 외주지름을 650mm??로 하여 700mm/s 이하이다. 이 이상의 주속으로 하면, 산약이 아크형상의 홈에서 비산하여 산약회수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산약을 균일하게 살포하기 위해서는 분배접시를 상기의 2배이상, 가령 1500mm/s 정도의 고속회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는 분배접시의 아크형상의 홈의 경사각을 적어도 60°이상으로 하는 것이 전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분배접시를 고속회전시켜 산약을 균일하게 살포하는 방법을 채용한 분할장치의 1예로서 일본특원평 6-223320호가 있다. 이 분할장치는 분배접시를 고속회전시킴과 동시에, 퍼내기장치에 의한 퍼내기 방향을 분배접시 안쪽방향으로 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상기 분배접시에 있어서 퍼내기시에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분할오차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앞서 일본특원평 7-166914호에 의한 산약분할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분할방법을 제안할 때에 지적된 종래의 분할방법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분할수가 63인 분배접시를 이용하여 그 최대분할수 63으로 산약을 분할할 경우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분배접시의 아크형상의 홈에 링모양으로 균일하게 살포된 산약을 63등배하는 방사선(L1,L2…L63)과, 산약 반경(r1)의 내주 및 반경(r2)의 외주와의 교점을 각각 a1,a2…a 63, b1,b2…b63으로 한다. 또, 분할된 각 부분「1」,「2」…「63」은 분배접시가 R방향으로 분할수 상당 피치(p)씩 회전하여 퍼내기 위치에 온 시점에서 퍼내기폭(w)으로 퍼내지게 한다.
최초에 분할되는 부분「1」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a2'b2b 1으로 둘러싸인 영역이고, 그 면적(S1)은 a1a2b2b1으로 둘러싸인 이론분할면적(S)보다 a2a2'b2로 둘러싸인 대략 3각형상의 과잉 퍼내기부분의 면적(△S)만큼 크기 때문에 다음 수학식 1로 표시된다.
S1 = S + △S
두 번째로 분할되는 부분「2」는,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2a3' b3b2로 둘러싸인 영역이나, 그 면적(S2)은 최초에 분할된 부분「1」의 면적(S)보다 과잉 퍼내기부분(a2a2'b2)의 면적(△S)만큼 감소하고, 다음 수학식 2로 표시된다.
S2 = S1 - △S = S
동일하게, 세 번째 이상으로 분할되는 부분 「3」,「4」… 는 다음 수학식 3로 표시된다.
S3, S4 … = S
최후에 분할되는 부분「63」은,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a63a1' b1b63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나, 이 영역의 과잉퍼내기 부분(a1a1' b1)은 미리 최초에 퍼내져서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최후에 분할되는 부분「63」의 면적(S63)은 a63a1b1b63으로 둘러싸인 이론분할면적(S)에서 62번째로 분할된 부분「62」의 과잉 퍼내기 부분(a63a63' b63)의 면적(△S)만큼 감소하고, 다음 수학식 4로 표시된다.
S63 = S - △S
따라서, 「1」에서 「63」까지의 분할면적 관계는 다음 수학식 5로 표시된다.
S1 > S262 > S63
따라서, 모든 분할부분에 대한 분할면적을 같게 하는 데는, 최초에 분할되는 부분「1」중, 과잉 퍼내기 부분의 면적(△S)에 상당하는 부분을 최후에 분할되는 부분「63」으로 나누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퍼내기폭에 대응하는 최대분할수와 동일 또는 그것을 초과하는 분할수를 설정할 때는 최초의 퍼내기시에 소정폭각도 피치만큼 퍼내기위한 분배접시의 정회전방향과 반대로 역회전시킨다.
최대분할수 이하일 때는 최초의 퍼내기시에 분할수 상당피치에서 분할수 상당 피치내에서 과잉으로 퍼내는 부분의 면적에 상당하는 각도분만큼 감하여 분배접시를 보내고, 그 후는 분할수 상당 피치로 보내어 산약을 퍼내어 분할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퍼내기시의 분할방법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고, 분할접시의 아크형상의 홈의 경사각은 24.5°정도의 일반적 각도를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분배접시의 아크형상의 홈에 산약을 살포할 때 분배접시를 고속으로 회전시킬수 없어 주속이 700mm/s 이하인 일반적 속도로 밖에 구동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퍼내기폭에 대응하는 최대분할수와 동일, 또는 그것을 초과하는 분할수, 혹은 그 이하의 분할수의 3가지의 경우, 각 분할수 설정 케이스마다의 이론적 분할오차를 해소하는 방법에 대하여 새로이, 산약 종류가 다를 때 마다 산약의 성질, 성상을 고려한 분배접시의 회전제어방법을 채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같은 산약의 성질, 성상을 고려하여 분할수 설정 케이스마다 회전제어방법을 변화시키는 것은 제어방법이 매우 복잡해지고, 또 그 제어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결국 분할오차가 생기게 되어, 분할오차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없다. 또, 산약종류가 다르면 각각의 안식도가 다르고, 이들 안식도가 제각각인 것을 통일된 것으로 하여 분할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하는 방법 또는 장치를 제안한 예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산약의 분할 방법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약 종류의 상위가 있더라도 산약의 퇴적 상황이 동일하여 균일하게 퇴적되고, 퍼내기판에 의한 퍼내기 방향이 이론분할영역의 방향과 엇갈리는 것에 따른 분할오차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정확한 분포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분할방법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또, 분배접시의 회전속도를 종래보다 약간 크게 하고 또한 산약종류의 상위가 있더라도 안식도 특성의 영향을 받지 않고 분할할 수 있는 분할방법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분배접시를 회전시켜 외주의 아크형상의 홈에 산약을 균일하게 살포퇴적시키고, 이 분배접시를 일정 피치로 이송하면서 산약을 퍼내기 장치로 아크형상의 홈에서 퍼내어 산약을 분할하는 산약의 분할방법에 있어서, 분배접시는 종래보다 고속회전 시킨 때에 산약이 원심력으로 비산하지 않도록 기립시킨 아크형상으로 하고, 퍼내기장치에 있어서 분할설정수(N)가 퍼내기폭에 대응하는 최대분할수(N0)와 동일 또는 초과하는 분할수로 설정되면, 산약의 최초의 퍼내기시에 분할수 상당 피치의 퍼내기량보다 과잉이 되는 과잉 퍼내기량에 상당하는 각도만큼 분배접시를 분할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하여 산약을 퍼내고, 그다음 피치에서 분할수 상당 피치로 분배접시를 정회전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산약을 퍼내어 분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산약의 분할제어장치로 한 것이다.
혹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설정수(N)가 최대분할수(N0)이하로 설정되면, 산약의 최초의 퍼내기시에 분할수 상당 피치와 퍼내기폭의 차에서, 분할수 상당 피치의 퍼내기량 보다 과잉이 되는 과잉 퍼내기량에 상당하는 각도만큼 감소한 이송량으로 분배접시를 분할이송방향으로 이송하여 퍼내고, 그 다음의 피치에서 분할수 상당 피치로 분배접시를 정회전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산약을 퍼내고, 분할수의 최후의 피치에서는 분할수 상당 피치에 상기 과잉 퍼내기량 상당 각도분을 가한 정회전방향의 이송량을 이송하여 산약을 퍼내어 분할하도록 제어하는 산약 분할제어장치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발명에서는, 상기 퍼내기 장치는 퍼내기판이 아크형상의 홈 구간내를 이동하는 중에는 감속회전시키면 된다.
또한,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산약의 살포퇴적시에 공급위치를 아크형상의 홈의 최하점 위치보다 내경측에 설정하고, 분배접시를 종래보다 소정 이상의 회전속도로 회전시켜도 산약이 원심력으로 비산하지 않는 아크형상의 홈의 경사각을 기립시킨 것으로 하고, 제어부는 분배접시를 종래보다 소정 이상의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퇴적형상이 미립형상 또는 분말형상이어도 안식각이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발명 모두, 분배접시는 아크형상의 홈의 경사각을 종래의 2배 이상의 고속도로 회전시켜도 산약비산이 없는 60°이상, 또한 고속회전시키는 것이 전제이다. 고속회전시키면 산약 종류가 과립상이건 유동성이 나쁜 분말상이건 아크형상의 홈에 퇴적되는 산약의 퇴적형상이 일정하게 되기 때문이고, 또 고속 회전시키면 아크형상의 홈에서 산약이 비산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크형상의 홈의 경사각을 크게 기립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고속회전이란 분배접시의 외주직경 650mm??이고 700mm/s의 주속회전을 기준으로 하여 그 2배이상의 고속회전을 의미한다. 또한, 경사각은 60°± 10°정도가 가장 좋으나, 90°정도까지 기립시켜도 된다. 경사각이 60°이하인 경우는, 고속회전이라도 산약비산이 없게 하기 위하여 제4발명과 같이 산약의 공급장치를 설정한다.
또, 퇴적형상이 일정하다는 것은, 산약종류가 과립상 또는 분말상이라도 퇴적시의 안식각도가 같거나 거의 같은 것을 말한다. 이 안식각도는 일반적으로 산약종류에 따라 다르나, 분배접시를 회전시켜 어느 소정 이상의 원심력이 작용하는 상태하에서는 일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분배접시를 회전, 또는 이송하면서 퍼내기장치에 의해 산약을 퍼내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분배접시는 퍼내기장치의 퍼내기판의 퍼내기 폭에 대해 임의로 설정되는 분할수로 결정되는 분할폭내의 산약을 퍼내기 시작하여 끝날때까지 항상 같은 퍼내기량이 되도록 회전을 제어한다.
이 경우, 제1발명과 같이 분할설정수(N)가 최대분할수(N0)와 같거나 또는 초과하는 분할수의 경우는 최초의 퍼내기를 하기 전에 칸막이 판을 아크형상의 홈에 맞대어 산약을 칸막이된 초기 위치에서 분배접시의 분할 이송 방향(정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분배접시를 이송하여 최초의 퍼내기시의 분할오차가 없어지도록 긁어모은 위치에서 최초의 퍼내기를 한다.
상기 소정각도는 분할설정수(N)가 최대분할수(N0)와 동일 또는 초과하는 분할수일 때는 분할수 상당 피치의 퍼내기량 보다 과잉이 되는 과잉퍼내기량에 상당하는 각도이다. 이와 같은 과잉퍼내기량이 생기는 이유는 분할설정수(N)로 분할되는 각 영역은 2개의 동심원간의 면적을 부채꼴 부분으로 잘라낸 형상인데 비해, 퍼내기장치의 칸막이판과 안내판이 평행이기 때문에 퍼내기판에 의한 퍼내기 방향이 동심원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엇갈림에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최초의 퍼내기 후에는 동일한 분할수 상당 피치로 이송하면 모든 구획에서 퍼내기량은 동일해진다.
분할설정수(N)가 최대분할수(N0)이하일때는 분할설정수(N)에 대응하는 영역이 퍼내기판에 의한 실제의 퍼내기 폭 보다 크기 때문에, 최초의 퍼내기 전에 소정각도 정회전방향으로 이송하여 퍼내기를 한다. 이 소정각도는 분할설정수(N)에 대응하는 영역분의 산약을 퍼내기폭내에 퍼모으기 위하여 대략은 분할수 상당피치(p)에서 퍼내기폭(w)을 뺀 차(p-w)로도 되나, 그렇게 하면 역시 과잉 퍼내기량이 생기므로 정확하게 분산오차를 없애기 위해서는 상기 차(p-w)에서 과잉 퍼내기량에 상당하는 각도만큼 감소한 이송량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다음의 피치부터는, 소정 분할수 상당 피치로 이송하면 되나, 최후 영역은 그 영역 일부가 최초의 퍼내기시에 과잉 퍼내기량 상당분을 이미 퍼내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부족하게 되므로, 이 부족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소정분할수 상당 피치(p)에 과잉 퍼내기량에 상당하는 각도를 가한 이송량으로 이송하면 퍼내기량이 동일해진다.
아크형상의 홈의 경사각을 기립시키면 산약을 살포할 때는 균일하게 퇴적되나, 퍼내기장치에서 종래와 같이 일정 회전으로 회전시키면 산약을 퍼낼때에 산약이 비산하여 하방에 대기하고 있는 호퍼에 정확하게 낙하하지 않게 되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퍼내기판이 아크형상의 홈내를 이동하고 있는 동안은 감속하여 서서히 퍼내도록 한다. 특히 퍼내기판의 아크형상의 홈 외주연에서 이반할 때, 또는 그 직후 부근에서 퍼내기판 이송이 최저속도가 되게하여 이반시의 산약 비산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산약분할장치의 단면측면도이다. 1은 산약공급기, 2는 분배접시, 3은 퍼내기장치, 4는 호퍼이다. 분배접시(2)는 그 외주에 아크형상의 홈(2R)을 가지며, 또한 그 아크형상의 홈(2R) 외주벽의 경사각(α)을,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60°로 기립상으로 형성하여, 분배접시(2)를 고속회전시켜도 살포된 약제가 비산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경사각(α)은 60°±10°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약공급기(1)는 슈트(1S)와 압전소자(1D)를 구비하고, 압전소자(1D)에 전압을 가하여 진동을 인가하여 산약의 유동성을 촉진하고, 슈트(1S)에서 직접 산약을 분배접시(2)의 아크형상의 홈(2R)에 균일하게 살포퇴적한다. 2M은 펄스모터이고, 분배접시(2)를 설정분할수에 대응하는 각도 피치씩 송출하여 간헐적으로 회전구동시킨다.
퍼내기장치(3)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판(31)과, 이에 평행인 부채꼴 안내판(32)과, 그 사이에 설치되는 퍼내기판(33)으로 구성되고,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X)은 회전구동용 펄스모터(34)에 의해 구동된다.
칸막이판(31)은 분배접시(2)의 아크형상의 홈(2R)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원판이고, 안내판(32)은 칸막이판(31)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부채꼴로서, 칸막이판(31)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X)에 칸막이판(31)에서 일정한 퍼내기폭(W)만큼 떨어진 위치에 칸막이판(31)과 평행으로 부착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퍼내기판(33)은 1매뿐이다.
퍼내기장치(3)는 분배접시(2)의 아크형상의 홈(2R)에서 산약을 퍼낼 때는 아크형상의 홈(2R)에 칸막이판(32)을 맞대고, 또한 퍼내기시 이외의 시간에는 아크형상의 홈(2R)에서 분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지지암(35)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지지암(35)을 회전구동하는 모터는 도시 생략).
또한, 도 2b 또는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내기판(33) 선단에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된 탄성체(33a)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퍼내기판(33) 선단을 아크형상의 홈(2R)에 밀착 슬라이딩시켜 약제를 완전히 퍼내도록 하고 있다. 탄성체(33a)의 형상은 선단이 도 2b와 같이 비스듬히 평평하게 절단된 것, 또는 도 2c와 같이 V자꼴로 잘린 형상을 하여도 된다.
상기 퍼내기장치(3)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종래와 같이 일정회전수로 회전하지 않고, 감속, 가속을 가하여 회전속도가 1회전중에 여러가지로 변화된다. 도 3a와 같이, 퍼내기판(33)의 탄성체(33a)가 원점위치에 정지한 상태로 칸막이판(31)이 아크형상의 홈(2R)에 맞닿으면, 퍼내기장치(3)는 회전구동이 개시되어, 도 3b에 개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33a)가 아크형상의 홈(2R)에 끼워맞춰지기 직전 부근에서 최고속도가 된다.
그리고, 그 후 퍼내기판(33)의 회전은 감속역에서 감속되고, 탄성체(33a)가 아크형상의 홈(2R)의 이반위치 또는 그곳을 통과한 직후 부근에서 속도는 최저속도가 되고, 그 후에는 재차 가속역내에서 가속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약제분할장치를 회전제어하고, 또한 분포장치를 구동제어하는 제어회로의 전체블록도를 도 4에 도시한다. 약제분할장치 및 분포장치는 도시하는 컴퓨터(10)에 의해 제어되나, 이 컴퓨터(10)에는 분할장치에 있어서의 분할수와 약제의 입형에 대한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K)이나 의사에 의한 처방전에 의거한 약제정보를 전송하는 호스트컴퓨터(H)가 접속되어 있다.
컴퓨터(1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시퀀서(11, 12, 13)가 각각 작동하여, 그 지령신호에 의해 약제분할장치나 분포장치가 제어된다. 시퀀서(11)는 산약공급기(1)의 압전소자(또는 진동모터; 1M)나 분배접시(2)의 구동모터인 펄스모터(2M), 또한 퍼내기장치(3)의 펄스모터(3M)의 회전을 제어한다.
시퀀서(12)는 호퍼(4)에서 낙하투입되는 약제를 분포시트(T)에 분포하기 위한 열접착용 모터(4Ma, 4Mb)를 회전제어하고, 시퀀서(13)는 롤상 시트(R)에서 풀려나오는 시트에 인자(印字)하는 인자장치(15)를 제어한다.
이상의 구성으로 한 약제분할장치 및 그 제어회로에 의해 약제분할이 다음과 같이 처리된다. 이하의 작용은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산약분할처리를 함에 있어서, 스텝(S1)에서, 컴퓨터(10)에 입력수단(K)에서 산약의 분배접시(2)에서의 분할수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타를 입력하여 분할수를 설정한다. 이것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제 분할장치에 있어서 동일 기종이라도 여러 분할수가 설정되기 때문이다.
다음에, 스텝(S2)에서, 산약공급기가 작동을 개시했는지를 체크하고, 그 후 분배접시(2)를 회전개시시킨다(S3). 이때, 이 실시형태의 분배접시(2)는 고속으로 회전된다. 이 고속회전은, 종래에 외주경이 650mm??이고 주속이 700mm/s였던 것에 비해, 1500mm/s와 같이 종래의 배 이상의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분배접시(2)의 아크형상의 홈(2R)은 아크형상의 홈 외주에서 산약이 이반하는 위치에서의 경사각(α)이 60°로 크게 기립해 있기 때문에, 분배접시(2)를 종래보다 2배 이상의 고속으로 회전시켜도 산약은 외주에서 밖으로 비산하는 것이 방지된다.
고속회전하는 분배접시(2)의 아크형상의 홈(2R)에는 산약공급기(1)를 진동시켜 산약을 균일하게 살포퇴적시킨다. 이 경우, 산약공급기(1)로부터의 공급량에 다소의 변동이 있어도 분배접시(2)가 고속회전함으로써 균일하게 산약이 살포퇴적된다. 또 산약은 원심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아크형상의 홈내에서 원심력에 조화되도록 경사상으로 살포퇴적된다. 이에 따라 체적표면은 산약이 갖는 안식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거의 평평하게 같은 형상으로 퇴적한다.
상기 산약의 공급상황은 센서(14)에 의해 감시되고 있고, 약제공급기(1)로부터의 산약살포가 없어지면(S4) 분배접시(2)의 회전이 정지된다(S5). 분배접시(2)가 정지하면, 스텝(S6)에서 퍼내기장치(3)가 강하하고, 그 칸막이판(31)이 아크형상의 홈(2R)에 맞닿아 산약을 분리한다.
이렇게 하여 퍼내기장치(3)가 아크형상의 홈(2R)에 맞닿으면, 퍼내기판(33)이 원점위치에서 회전을 시작하고(S7), 가속펄스를 모터에 인가하여 증속하고 상기와같이 가속역을 통과하면(S9) 반대로 감속펄스를 인가하여 감속한다. 퍼내기판(33)이 감속되어 아크형상의 홈(2R)내에 살포퇴적되어 있는 산약의 퍼내기를 시작한다.
퍼내기중에 있어서의 퍼내기판(33) 회전속도는 감속되어 비교적 천천히 회전하므로 아크형상의 홈 외주연(外周緣)의 경사각(α)이 60°로 크게 기립해 있어도 산약이 비산하지 않고 호퍼(4)에 확실하게 낙하한다. 퍼내기판(33)이 도 2b 또는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크형상의 홈(2R) 외주연 부근까지 진행하여 산약 퍼내기를 끝내면 도 3b의 최저속위치에서 퍼내기판(33)은 재차 가속된다(S12).
퍼내기판(33)을 가속하여 원점위치에 접근하면 그 적당한 각도 앞쪽에서 급감속펄스를 인가하여 감속하고(S13), 원점위치를 검출하면 퍼내기판(33)의 회전을 정지시킨다(S15). 퍼내기판(33)이 정지하면 곧 분배접시(2)를 소정의 분배각도만큼 회전시켜 정지시키고, 스텝(S1)에서 설정한 분할수에 대응하는 분할회수의 작용을 행하였는지를 체크하고(S17), 1회째의 분할작용이면 분할은 아직 종료한 것은 아니므로 스텝(S7)의 선두로 돌아가서 그 이후의 작용을 반복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분할작용을 설정된 분할수 회수로 행하면 분배접시(2)의 아크형상의 홈(2R)상의 산약은 모두 퍼나오게 되어 동작은 종료된다.
상기 최저, 최고속 위치의 중간점 부근의 원점위치에서 퍼내기판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은 종래부터 이 중간점 부근에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분배접시의 설정분할수가 적고 분할각도가 대각도(가령 30°)이면 퍼내기판의 회전을 분할접시의 회전이 따라가지 못하며(종래는 퍼내기판 회전중에 분배접시가 회전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상기 중간점을 원점으로 하여 퍼내기판을 정지시켜 분배접시가 분할설정도수분 회전하는 것을 기다려 다음 퍼내기 동작으로 이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각 회의 분할작용은 모두 도 3b의 최고속위치와 최저속위치 중간의 원점위치에서 퍼내기판(33)을 정지시키고, 또한 이 점을 기준으로 하여 1회, 2회, …로 회수를 카운트하게 되는데, 퍼내기판(33)의 정지는 꼭 상기 원점이 아니라도 가령 상기 도 3b의 최저속위치에 정지시켜도 된다. 이 최저속위치는 종래와 같은 원점위치에서의 정지와 달리, 어디까지나 퍼내기판에 의한 산약퍼내기작용에 있어서 산약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속한 결과 얻어지는 것이므로, 양 작용을 병용시키는 의미에서 이 최저속위치에 정지시켜도 되는 것이다.
이 경우는, 퍼내기판(33)은 분할작용의 최초 이외는 원점위치에 정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최저속위치에 정지한 상태로 분배접시를 분할각도 회전시킨후 곧 퍼내기판(33)을 가속시켜 최고속위치까지 도중정지없이 가속회전시키면 된다. 원점위치의 통과신호는 분할작용의 회수를 카운트하는데 이용된다. 최고속위치를 퍼내기판(33)이 통과한 후의 동작은 제1의 예와 같다.
또, 상기 두 예는 분배접시(2)를 정지시키고 있는 동안에 퍼내기장치(3)를 회전시키고, 또는 퍼내기장치(3)를 정지시키고 있는 동안에 분배접시(2)를 회전시키게 되어 있으나, 도 3b에 도시한 퍼내기판(33)으로 산약을 퍼내기 위하여 감속하는 감속역 이외의 각도범위에서는 퍼내기판(33) 회전중에 분배접시(2)를 동시에 회전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예에서 퍼내기판(33)의 회전은 가속역, 감속역에서 가속, 감속하게 되어 있으나, 이것을 고속역, 저속역으로 하여 고속역에서는 고속일정회전으로, 저속역에서는 저속일정회전으로 회전하게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의 어느 경우도 분배접시(2), 퍼내기장치(3)의 모터는 모두 펄스모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같은 회전제어를 DC 서보모터로 행하여도 된다. 이때, 서보모터는 회전수를 피드백하기 위한 회전수 검출수단을 설치해야 한다.
이상의 예에서 분배접시(2)의 아크형상의 홈(2R)의 경사각(α)은 60°를 전제로 하였으나, 이 경사각(α)은 60°이상 90°부근의 각도까지 기립시켜도 된다. 상기의 어느 경우도 도 1에서는 산약공급기에 의한 산약공급위치를 아크형상의 홈 최하점보다 내경측으로 하고 있으나, 이 위치는 그보다 외경측 가까이로 하여도 된다.
다음에 상기 동작의 스텝(S16)에 있어서 분할각도 분배접시 회전을 행할때의 회전제어에 의해 분할 오차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스텝(S16)에 있어서 분할각도 분배접시를 회전시킴에 대하여, 퍼내기판(33)에 의한 퍼내기폭(w)은 사전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분배접시(2)의 최대분할수(N0)는 퍼내기폭(w)과 분배접시(2)의 아크형상의 홈(2R) 지름(본 실시형태에서는 편의상 아크형상의 홈(2R)의 지름으로서 아크형상의 홈(2R)에 살포된 산약의 외주 반경(r2)을 취한다.)을 이용하여 다음 수학식 6으로 결정된다.
N0 = 2πr2/w
또, 분배접시(2)에 살포된 산약의 분할수(N)는 처방전으로 부터의 산약정보에 의해 설정된다. 분포량을 많이 필요로 할 때는 분할수(N)를 작게 하고, 분포량이 작아도 될 때는 N을 크게 하도록 설정된다. 분할수(N)가 N0 보다 크거나 작을때는 분할영역이 퍼내기판에 의한 퍼내기폭과 상이하게 되므로, 분할영역이 퍼내기폭 보다 클때는 그 영역의 산약을 퍼내기폭내로 끌어모으고, 퍼내기폭 보다 작을때는 분할영역의 피치로 하여 분배접시의 이송량을 조정하고 항상 퍼내기량이 같도록 한다. 상기 최대분할수(N0)와 동일한 분할수(N)가 설정될 경우, 최대분할수(N0)보다 크거나 작은 분할수(N)가 설정될 경우의 각 분할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스텝(S160)에 있어서, 최대분할수(N0)와 동일한 분할수(N)가 설정될 경우, 최초에 분할(N=1)함에 있어서 (S161),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칸막이판(14)에 의해 a0 b0의 위치에서 산약을 갈라넣고, 이 상태로 분배접시(2)를 소정각도(△θ)만큼 분할회전방향(R)과 반대방향(R')으로 역회전시킨다(S162). 상기 각도(△θ)는 도 12의 (A)에서 설명한 △S에 상당하는 각도이다. 이에 따라,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S에 상당하는 산약량이 최후에 분할하는 부분에 끌어모아진다(도면중 솟은 부분 참조). 그리고, 이 역회전한 위치를 스타트 위치로 하여 분할수 상당 피치(P)(=W)에서 분할을 개시한다.
여기서, △θ는 하기에 의해 구해진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배접시(2) 중심(O)과 점(a1,a2,a2')을 연결하고, 각(a, Oa2, a 1, Oa2')을 각각 θ, θ'로 하면 다음 수학식 7 내지 11이 성립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단, S는 a1 a2 b2 b1으로 둘러싸인 면적, △S는 a2 a2' b2로 둘러싸인 면적이다.
수학식 7에서 θ, 수학식 8에서 θ'가 θ에서 얻어지기 때문에, 이들을 수학식 9에 대입하면 △S가 얻어진다. r1,r2는 기지의 값이다. 수학식 10은 △θ에 대응하여 a1 a2 b2 b1을 축소한 것이라 생각하면 △θ에 대해서도 성립된다. 따라서 수학식 11이 얻어진다. 수학식 11에 의해 △θ는 △S를 알고 있으면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같이, 최초에 분할하는 영역 a1 a2' b2 b1은 최종부분에 밀려서 공백으로 되어 있는 a1 a0 b0 b1 의 부분이 과잉 퍼내기 부분 a2 a2' b2의 면적(△S) 부분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론 분할 면적 a1 a2 b2 b1과 같아진다. 또,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S161)에서 2번째(N=1이 아님)로 분할하는 영역 a2a3'b3b2는 최초에 퍼내어진 과잉 퍼내기 부분이 a2 a2' b2와 a3 a3' b3 부분이 같으므로 이론분할면적 a2 a3 b3 b2와 같다. 3번째 이후 (N=1이 아님)도 동일하다. 또한,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후에 분할되는 부분 a63 a1' b1 b63은, 최후에서 2번째로 퍼내어진 과잉 퍼내기 부분 a63 a63' b63이 최초에 끌어 모아진 부분으로 보충되고, 또 a1 a1' b1의 부분은 이미 최초에 퍼내어져 있기 때문에, 이론분할면적 a63 a1 b1 b63과 같다. 따라서, 최초와 최후뿐이 아니라 모든 분할영역에서 퍼내기량이 같아진다.
스텝(S164)에서 최대분할수(N0)를 초과하는 분할수(N)가 설정될 경우(p > w), 가령 최대분할수 63에 대하여 분할수 64가 설정될 경우에는 최초에 분할(N=1)함에 있어서 (S165),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칸막이판(31)에 의해 a0 b0 의 위치에서 산약을 갈라넣고, 이 상태에서 분배접시를 소정각도(△θ+△p)만큼 분할 회전방향(R)과 반대방향(R')으로 역회전시킨다(S166). 상기 각도(△θ)는 도 12의 (A)에서 설명한 △S에 상당하는 각도이고, △p는 상기 수학식 11에서 얻어지는 △p=2/ (r2 2-r1 2)·S'에 의해 구한다. 단, △S'=S-S'이고, S'는 분할수가 N일때의 S에 상당하는 면적으로, 수학식 10에 의해 구해진다. 이에 따라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θ+△p에 상당하는 산약량이 최후에 분할하는 부분에 끌어모아진다. 그리고, 이 역회전한 위치를 스타트 위치로 하여 분할수 상당 피치로 분할을 개시한다(S167).
이에 따라,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에 분할되는 영역의 과잉 퍼내기 부분 a2 a2' b2' b2의 면적(△S+△S')은 △θ+△p의 공백부분에 상당한다. 또,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번째로 분할되는 영역의 과잉 퍼내기 부분 a2 a3' b3' b2의 면적(△S+△S')은, 최초에 분할된 영역의 과잉 퍼내기 부분의 면적(△S+△S')과 같다. 또한, 최후에 분할되는 영역에서는 도 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에 끌어모아진 부분이 최후에서 2번째로 분할된 영역의 과잉 퍼내기 부분의 면적(△S+△S')에 상당한다. 따라서, 모든 분할영역에서의 퍼내기량이 동일해진다.
최대분할수(N0)보다 적은 분할수(N)가 설정될 경우(S164, N0의 경우, p>w), 가령 최대분할수 63에 대하여 분할수 60이 설정될 경우에는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수 상당 피치(p = 2πr2/60)는 퍼내기 폭(w)보다 크게 되기 때문에, 분배접시(2)를 분할방향으로 이동시켜 칸막이 판(31)으로 산약을 어느 정도 끌어모아서 1회로 퍼내게 된다. 또, 분할수가 30이라는 최대 분할수 60의 1/2이하인 경우에는 1분할당 복수회 퍼내게 된다.
이와 같이 분할수가 적을 경우에는 최초에 분할(N=1)하는 영역의 이송피치는,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수 상당 피치(p)와 퍼내기 폭(w)의 차(p-w)보다 △θ만큼 감소하고, 2번째 이후에 분할하는 영역의 이송피치는 도 9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수 상당 피치(p)로 하고, 최후에 분할하는 영역의 이송피치는 도 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수상당 피치(p)보다 △θ만큼 증가한다. 상기 각도(△θ)는 상기 수학식 11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최초의 분할시의 이송피치를 (p-w)보다 △θ만큼 감소시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9의 (B)에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최초의 분할을 위하여 분배접시(2)를 회전시키기 전의 제2분할선 a2 b2는, 만일 이송량으로 (p-w) 이송한다고 하면 b2는 b2'에, b1은 b1'에 온다. 그러나, 이 이송량에 있어서는, 퍼내기 폭이 w이기 때문에, a1' a2' b2' b1'로 둘러싸인 면적상당분의 산약이 퍼내어지게 된다.
이 퍼내기량은 (A)도에 도시된 a1 a2 b2 b1으로 둘러싸인 설정 퍼내기량 보다 a2 a2' b2'로 둘러싸인 면적(△S)분만큼 많아진다. 따라서, 이 △S에 상당하는 면적만큼 적어지도록 b2, b1을 조금 앞쪽까지 △θ감소하는 각도 이동시키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에 분할되는 영역의 과잉 퍼내기 부분의 면적(△S)은 감소된 이송피치(△θ)의 부분에 상당한다. 또,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번째로 분할되는 영역의 과잉 퍼내기 부분의 면적(△S)은 최초에 분할된 영역의 과잉퍼내기 부분의 면적(△S)과 동일하다. 또한, 최후에 분할되는 영역에서는 도 9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미 최후에서 2번째로 분할된 영역의 과잉 퍼내기부분의 면적(△S) 부분이 증가된 이송피치(△θ) 부분에 상당한다. 따라서, 모든 분할 영역에서 퍼내기량이 동일해진다.
이상과 같이 퍼내기 장치의 퍼내기판(33)에 의한 퍼내기 폭(w)을 일정하게 하고 분배접시(2)의 이송량을 여러 가지로 변화시킴으로써 퍼내기폭(w)에 대응하는 최대분할수(N0)보다 분할수(N)가 크거나 작거나 또는 동일한 것 중의 어느 한 분할수의 퍼내기를 행할 수 있으나, 이 실시형태의 분할방법은, 산약 종류가 과립상, 분말상 등 어떤 것이든 분배접시(2)의 아크형상의 홈에 퇴적하는 퇴적형상이 일정하기 때문에 산약의 분할처리에 대하여 분할오차를 가져오는 일이 없다.
따라서, 분할수(N)의 최대분할수(N0)와의 대소에 따라 분배접시의 이송을 제어할 때에 분할수(N)의 대, 소, 동일의 3가지 제어 파라미터만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기타 조건, 가령 산약종류가 과립상인지 유동성이 낮은 분말상인지 등의 조건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어느 경우도 분배접시(2)의 경사면은 60°이상의 기립상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산약공급기(1)로 부터의 산약공급위치(공급기 선단부)를 도 1과 같이 아크형상의 홈(2R)의 최하위치보다 분배접시의 내경측에 설치하면 경사각을 35°∼ 60°정도로 하여도 된다. 단, 이 경우는 분배접시의 회전속도는 종래의 일반적 속도의 10% up 이상 2배 이하이다. 이에 따라 산약이 갖는 안식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퇴적시킬수 있다.
또, 퍼내기 장치에 의한 퍼내기 방향은 분배접시의 외주방향만을 도시하였으나, 퍼내기 방향은 분배접시의 내측방향도 좋다. 이 경우는, 호퍼(4)는 아크형상의 홈(2R)의 내경내에 설치되고, 아크형상의 홈(2R)의 내경측의 경사각은 23.5°정도이므로, 퍼내기 장치의 회전은 반드시 감소시킬 필요는 없고, 종래의 일반적 회전속도이고, 또한 일정 회전속도이더라도 좋고, 혹은 아크형상의 홈내를 퍼내기판이 이동하는 중에는 감속시켜도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발명의 분할방법에 있어서는 경사각이 기립상의 아크형상의 홈의 분배접시를 고속회전시켜,분할설정수가 퍼내기폭에 대응하는 최대분할수와 동일 또는 그것을 넘어서 설정되면 최초의 퍼내기시에 과잉 퍼내기량 상당 각도만큼 분배접시를 칸막이 위치에서 역전시켜서 퍼내고, 그 후는 분할수 상당 피치로 이송하도록 했기 때문에, 분배접시에의 산약퇴적이 균일해지고 퇴적시의 산약비산도 방지되며, 산약의 퇴적형상, 산약의 비산에 기인하는 분할오차가 제어되고, 또한 퍼내기판에 의한 퍼내기시에 분배접시의 이송이 제어되므로, 각 분할영역마다의 최초에서 최후까지의 퍼내기량이 항상 같아져 분할오차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제2발명에서는, 분할설정수가 최대분할수 이하일 때, 분할수 상당피치와 퍼내기폭의 차에서 과잉 퍼내기량 상당 각도분 감소시킨 이송량으로 분배접시를 이송하여 최초의 퍼내기를 하고, 다음의 피치에서 분할수 상당 피치로 이송하고, 최후의 피치만은 분할수 상당 피치에 과잉 퍼내기량 상당 각도 부가한 이송량으로 이송하여 퍼내게 했기 때문에, 이 경우도 제1의 발명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3의 발명에서는, 퍼내기판이 아크형상의 홈 구간내를 이동하는 중에는 감속하도록 했기 때문에, 퍼내기시의 산약이 호퍼에 정확하게 낙하하여, 여기에 기인하는 분할오차가 더욱 작아진다.
제4의 발명에서는, 경사각을 35°이상으로 하고, 산약공급위치를 아크형상의 홈 낙하점보다 내경측으로 했기 때문에, 분배접시를 고속회전, 혹은 감속하여도 산약의 퇴적형상은 역시 일정하게 되어 분할오차를 없애는데 유용하다.
도 1은 실시형태의 분할장치의 개략단면 측면도,
도 2는 실시형태의 퍼내기 장치의 개략사시도 및 부분상세 단면도,
도 3은 분할장치의 작동설명도,
도 4는 분할장치 및 분포(分包)장치의 제어회로 블록도,
도 5는 분할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 6은 동상 흐름도의 분배접시회전의 상세한 부분흐름도,
도 7은 퍼내기 폭 대응 최대 분할수(N0)와 동일 분할수(N) 설정시의 분배접시 및 퍼내기 장치의 회로동작설명도,
도 8은 최대분할수(N0)를 넘는 분할수(N) 설정시의 분배접시와 퍼내기 장치의 회전동작설명도,
도 9는 최대분할수(N0)보다 작은 분할수(N) 설정시의 분배접시와 퍼내기장치의 회전동작설명도,
도 10은 이론분할선과 퍼내기판에 의한 퍼내기폭의 기하학 관계설명도,
도 11은 분배접시의 산약분할예 설명도,
도 12는 동상의 분할오차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산약공급기 2: 분배접시 2R: 아크형상의 홈
3: 퍼내기장치 4: 호퍼 31: 칸막이판
32: 안내판 33: 퍼내기판 34: 모터

Claims (4)

  1. 분배접시를 회전시켜 외주의 아크형상의 홈에 산약을 균일하게 살포 퇴적시키고, 이 분배접시를 일정 피치로 이송하면서 산약을 퍼내기 장치로 아크형상의 홈에서 퍼내어 산약을 분할하는 산약의 분할장치에 있어서, 분배접시는 종래보다 고속회전시킨 때에 산약이 원심력으로 비산하지 않도록 기립시킨 아크형상으로 하고, 분할설정수(N)가 퍼내기폭에 대응하는 최대분할수(N0)와 동일 또는 초과하는 분할수로 설정되면, 산약의 최초의 퍼내기시에 분할수 상당 피치의 퍼내기량 보다 과잉이 되는 과잉 퍼내기량에 상당하는 각도만큼 분배접시를 분할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하여 산약을 퍼내고, 그다음의 피치에서 분할수 상당 피치로 분배접시를 정회전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산약을 퍼내어 분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약의 분할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설정수(N)가 최대분할수(N0) 이하로 설정되면, 산약의 최초의 퍼내기시에 분할수 상당 피치와 퍼내기 폭의 차에서, 분할수 상당 피치의 퍼내기량보다 과잉이 되는 과잉 퍼내기량에 상당하는 각도만큼 감소한 이송량으로 분배접시를 분할 이송방향으로 이송하여 퍼내고, 그 다음의 피치에서 분할수 상당 피치로 분배접시를 정회전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산약을 퍼내고, 분할수의 최후피치에서는 분할수 상당 피치에 상기 과잉 퍼내기량 상당 각도분을 가한 정회전방향의 이송량을 이송하여 산약을 퍼내어 분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약의 분할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퍼내기 장치는 퍼내기판이 아크형상의 홈 구간내를 이동하는 중에 감속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약의 분할제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약의 살포퇴적시에 공급위치를 아크형상의 홈의 최하점 위치보다 내경측에 설정하고, 분배접시를 종래보다 소정이상의 회전속도로 회전시켜도 산약이 원심력으로 비산하지 않는 아크형상의 홈의 경사각을 기립시킨 것으로 하고, 제어부는 분배접시를 종래보다 소정 이상의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퇴적형상이 미립형상 또는 분말형상이어도 안식각이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약의 분할제어장치.
KR1019970008905A 1996-03-19 1997-03-17 산약의분할제어장치 KR100462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63062 1996-03-19
JP06306296A JP3186970B2 (ja) 1996-03-19 1996-03-19 散薬の分割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349A KR970065349A (ko) 1997-10-13
KR100462944B1 true KR100462944B1 (ko) 2005-02-28

Family

ID=13218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905A KR100462944B1 (ko) 1996-03-19 1997-03-17 산약의분할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86970B2 (ko)
KR (1) KR100462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6970B2 (ja) * 1996-03-19 2001-07-1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散薬の分割制御装置
JP4468498B2 (ja) * 1998-08-18 2010-05-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散薬分割装置の調整方法
JP3964730B2 (ja) * 2002-05-02 2007-08-2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JP4249162B2 (ja) * 2005-07-29 2009-04-0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散薬掻出装置
JP5921025B2 (ja) * 2011-11-09 2016-05-24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薬剤分包装置
JP6145786B2 (ja) * 2012-12-27 2017-06-14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粉粒体の分包装置
KR102401482B1 (ko) * 2013-11-22 2022-05-24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불출 장치
KR102215154B1 (ko) * 2013-12-02 2021-02-10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디스펜싱 장치 및 약제 디스펜싱 방법
JP6944637B2 (ja) * 2015-11-02 2021-10-0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し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7203A (ja) * 1988-11-07 1990-05-15 Tokyo Shokai:Kk 粉粒体の分割装置
JPH02127201A (ja) * 1988-11-07 1990-05-15 Tokyo Shokai:Kk 粉粒体の分割装置
JPH03176310A (ja) * 1989-08-08 1991-07-31 Sonobe Hisatoshi 粉粒体の分包機
JPH04352601A (ja) * 1991-02-06 1992-12-07 Sonobe Hisatoshi 回転式分包機における粉粒体分割装置
JPH05213301A (ja) * 1991-03-06 1993-08-24 Sonobe Hisatoshi 回転式分包機
JPH061301A (ja) * 1992-11-14 1994-01-11 Tokyo Shokai:Kk 粉粒体の分割装置
JPH06286701A (ja) * 1993-03-29 1994-10-11 Sonobe Hisatoshi 粉粒体分包機における粉粒体の分割方法
JPH0885502A (ja) * 1994-09-19 1996-04-02 Shoji Yuyama 薬剤の容量分割装置
JPH09254904A (ja) * 1996-03-19 1997-09-30 Yuyama Seisakusho:Kk 散薬の分割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7203A (ja) * 1988-11-07 1990-05-15 Tokyo Shokai:Kk 粉粒体の分割装置
JPH02127201A (ja) * 1988-11-07 1990-05-15 Tokyo Shokai:Kk 粉粒体の分割装置
JPH03176310A (ja) * 1989-08-08 1991-07-31 Sonobe Hisatoshi 粉粒体の分包機
JPH04352601A (ja) * 1991-02-06 1992-12-07 Sonobe Hisatoshi 回転式分包機における粉粒体分割装置
JPH05213301A (ja) * 1991-03-06 1993-08-24 Sonobe Hisatoshi 回転式分包機
JPH061301A (ja) * 1992-11-14 1994-01-11 Tokyo Shokai:Kk 粉粒体の分割装置
JPH06286701A (ja) * 1993-03-29 1994-10-11 Sonobe Hisatoshi 粉粒体分包機における粉粒体の分割方法
JPH0885502A (ja) * 1994-09-19 1996-04-02 Shoji Yuyama 薬剤の容量分割装置
JPH09254904A (ja) * 1996-03-19 1997-09-30 Yuyama Seisakusho:Kk 散薬の分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86970B2 (ja) 2001-07-11
JPH09254904A (ja) 1997-09-30
KR970065349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2944B1 (ko) 산약의분할제어장치
RU218878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порошк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олнения резервуаров порошком
US5624690A (en) Controlled release of metered quantities of finely divided solids with a venturi nozzle and regulated control
KR940009267B1 (ko) 약제의 용량 분할장치
US6197114B1 (en) Power feeding apparatus having an adjustable feed width
KR100760737B1 (ko) 산약 분할 장치
US5356577A (en) Controlled release of metered quantities of finely divided solids with a venturi nozzle and regulated control
KR100458393B1 (ko) 산약의분할방법및장치
KR19990073019A (ko) 분말교차공급오거및방법
JP2731475B2 (ja) 粉末薬剤分配供給装置
JP2019531480A (ja) 粉末材料の一定の微量の分配および供給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HU210701B (en) Glu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gluing method
JP3344840B2 (ja) 薬剤の容量分割装置
JP3474540B2 (ja) パウダ供給システム
CA2047892C (en) A method of applying a substance to an article
JP2809898B2 (ja) 回転式分包機における粉粒体供給方法及び粉粒体供給制御装置
JP3859793B2 (ja) 分包機
JP2022174461A (ja) 薬剤散布機
JPS6312401A (ja) 粉粒体の分割装置
JPH0737846Y2 (ja) 成形材料混合装置
JPH07315583A (ja) 粉体供給装置
JPH03275161A (ja) チューブ圧送式吐出装置の吐出量自動制御システム
JP4276224B2 (ja) 分包機
JPH02241570A (ja) ディスペンサー
JP2000325851A (ja) 粘着剤コーティ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