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294B1 - 안전기능을 가지는 로크장치 및 승물용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안전기능을 가지는 로크장치 및 승물용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294B1
KR100460294B1 KR10-2002-0001870A KR20020001870A KR100460294B1 KR 100460294 B1 KR100460294 B1 KR 100460294B1 KR 20020001870 A KR20020001870 A KR 20020001870A KR 100460294 B1 KR100460294 B1 KR 100460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ush
cam
cam groove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2158A (ko
Inventor
사토도모아키
야마모토야스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2006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22Inertia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68Keepers
    • Y10T292/696With movable dog, catch or strik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68Keepers
    • Y10T292/696With movable dog, catch or striker
    • Y10T292/702Pivoted or swin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과제) 부주의한 푸시해제동작의 발생우려를, 간이하고 범용성이 뛰어난 구성에 의해서 방지하는 것에 있다.
(해결수단) 이동체(4)와 하우징(2)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하트형 캠홈(32)이 부착된 캠부(20)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캠홈(22)을 이동하는 트레이스 핀(35)을 가지는 선회체(30)로 이루어지며, 이동체(4)를 탄지수단(6)의 탄지력에 저항하는 푸시조작에 의해서 하우징(2)의 정위치에 걸고, 이 걸림을 다음 푸시조작에 의해서 해제가능케 하는 푸시ㆍ푸시걸림기구로 이루어지는 로크장치(10)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선회체(30)는, 상기 걸림상태에서 충격등의 부주의한 부하를 받았을 때에, 이 부하를 검출하여 상기 트레이스 핀(35)이 상기 캠홈(22)의 걸어맞춤홈(22b)으로부터 해제용 유도캠홈(22c)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가능하게 하는 밸런서(33(36,37등))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안전기능을 가지는 로크장치 및 승물용 수납장치{locking device having safety function and receipt device for moving vehicle}
본 발명은, 로크 장치 중, 특히 이동체를 푸시조작에 의해서 걸고, 다음 푸시조작에 의해서 걸림을 해제하는 푸시ㆍ푸시걸림기구라 칭하는 것을 대상으로 한 안전기능을 가지는 로크장치 및 승물(乘物)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푸시ㆍ푸시걸림기구로 이루어지는 로크장치에는, 이동체와 하우징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하트형 캠홈이 부착된 캠부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캠홈 내를 이동하는 트레이스 핀을 가지는 선회체로 구성되는 것이 있다. 도 10은 그 종래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0의 예는, 수납 트레이인 이동체가 하우징에 대해서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부호 C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폐쇄상태가 되며, 이 탄지력에 의해서 부호 O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방상태가 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선회체(100)는 얇은 판형상의 암으로 이루어지며, 차실 내에 고정되는 하우징에 추축(103)을 통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고, 선단에 트레이스 핀(102)을 가지고 있다. 캠부(104)는 이동체에 형성되어 있으며, 볼록형 캠부(105)의 주위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트형 캠홈(106) 및 입구측의 유도홈(107)을 가지고 있다.
이 걸림작동은 이하와 같다. 도 10(a)는 걸림해제상태를 나타내며, 이동체가 탄지수단에 의해서 화살표 O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개방상태에서, 이동체를 도 10(a)의 화살표 C방향으로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밀어넣는다. 그러면, 트레이스 핀(102)이 우선 유도홈(107)의 걸어맞춤용 유도캠면(107a)과 맞닿아, 선회체(100)가 도 10(a)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슬라이드하여 방향을 바꾸고, 이어서 캠홈(106)의 걸어맞춤용유도캠홈(106a)에 맞닿은 후, 캠부 전측의 스토퍼캠면(104a)과 충돌한다. 이동체는 상기 충돌에 이를 때까지 밀어넣어진다. 그리고, 압력(押力)이 해방되면, 이동체가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되돌아와, 도 10(b)와 같이 트레이스 핀(102)이 캠홈(106)의 걸어맞춤홈(106b)으로 들어가 걸어맞춤된다. 이동체는 상기 걸어맞춤으로 정지(즉, 푸시걸림동작이 완료)되고 폐쇄상태로 유지된다.
개방상태로 하는 경우는, 이동체를 도 10(b)의 화살표 C1방향으로 밀면, 트레이스 핀(102)이 캠부 전측의 스토퍼면용 유도캠면(104b)에 맞닿고, 도 10(c)와 같이 선회체(100)의 슬라이드를 따라서 상기 유도캠면(104b)으로부터 이웃하는 스토퍼캠면(104c)까지 인도된다. 압력(押力)을 풀면, 이동체는,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도 10(a)의 화살표 O방향으로 되돌아와, 트레이스 핀(102)이 스토퍼캠면(104c)로부터 캠홈(106)의 해제용 유도캠(106c), 유도홈(107)측의 해제용 유도캠면(107b)과의 맞닿음을 거쳐서 최초의 위치까지 되돌아오고(즉, 푸시해제동작이 완료) 개방상태가 된다.
이상의 푸시ㆍ푸시걸림기구는, 트레이스 핀(102)이 부착된 선회체(100)와 캠부(104)로 구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평5-91946호등에 기재되는 쌍을 이루는 걸림편으로 타측의 걸어맞춤 돌기를 걸림 및 걸림해제하는 타입에 비해서 전용 스프링부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하며, 또, 걸림 및 걸림해제시의 발생음이 작아서 질감등이 우수하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도10(b)의 이동체를 걸리도록 한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주행시에 급정차했을 때나 추돌 등, 비정상적인 부하(이 부하는 이동체를 탄지수단의 탄지압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미동시키거나, 선회체(100)를 슬라이드하도록 하는 부주의한 부하이다)를 받으면, 푸시해제조작과 동일한 사태가 발생해서 트레이스 핀(102)이 유도캠면(104b)에 맞닿고, 스토퍼캠면(104c)으로부터 캠홈(106)의 해제용 유도캠홈(106c), 유도홈(107)측의 해제용 유도캠면(107b)으로 이행되기 쉬워서, 부주의한 푸시해제동작의 발생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오조작은 제품의 성능품질을 손상시킨다. 종래의 대책으로서는, 예를 들어 걸어맞춤홈(106b)을 트레이스 핀(102)과 강하게 걸어맞춰지도록 형상적으로 고안하거나, 탄지수단의 탄지압 설정등에 의해서 대처하고 있으나, 어느 것에 의하더라도 작동성능을 희생시키기 쉬워 아직 충분하게 만족할 수 없는 상태이다. 또, 종래기술에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7-266996호와 같이 걸림기구적으로 다소 다르기는 하지만, 이상과 같은 부주의한 푸시해제동작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구조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캠홈을 형성한 캠부재를 스프링부재에 의해서 일측방향으로 선회시켜 탄지해 두는 것으로서, 스프링부재를 필수로 하며 부재수가 많고 복잡해지며, 스프링부재의 탄지압설정이 제품마다 문제가 되어 범용성도 결핍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트형 캠부 및 선회체를 필수로 한 푸시ㆍ푸시걸림기구에 있어서, 부주의한 푸시해제동작의 발생우려를, 간이하고 범용성이 우수한 구성에 의해서 해소한다. 그리고, 안전기능을 가지는 로크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그 로크장치의 용도를 각종 수납장치를 포함하여 보다 확대토록 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 중에서 순차적으로 분명히 해 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수납장치의 개략적인 외관도
도 2는 도 1의 수납장치를 덮개체의 폐쇄상태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수납장치를 덮개체의 개방상태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로크장치의 주부재인 슬라이더의 세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로크장치의 주부재인 선회체의 세부도
도 6은 상기 슬라이더와 선회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상기 로크장치의 작동을 도 10과 대응시켜서 나타내는 작동도
도 8은 상기 선회체의 다른 형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상기 선회체의 또 다른 형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종래의 로크장치의 모식작동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물용 수납장치
2 - 하우징(2a는 부착편부, 2b는 앞유지부, 2c는 뒷유지부)
3 - 덮개체(3a는 연결용 리브)
4 - 슬라이더(이동체)
5a, 5b, 5c - 추축
6 - 탄지수단
9 - 댐퍼수단(9a는 기어)
10 - 로크장치(푸시ㆍ푸시걸림기구)
14 - 링크편
20 - 캠부
22 - 캠홈(22b는 걸어맞춤홈, 22c는 해제용 유도캠홈)
23 - 유도홈
30, 30A, 30B - 선회체
31 - 부착부(31a는 추축구멍과, 38은 탄성날개편부)
32 - 제 1 암(32a는 절결오목소, 32b는 장착구멍)
33, 33A - 제 2 암
35, 35A - 트레이스 핀
36 - 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6과 도 7의 원리예와 같이, 이동체(4)와 하우징(2)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하트형 캠홈(22)이 부착된 캠부(20)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캠홈(22)을 이동하는 트레이스 핀(35)을 가지는 선회체(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체(4)를 탄지수단(6)의 탄지력에 저항한 푸시조작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2)의 정위치에 걸고, 이 걸림을 다음 푸시조작에 의해서 해제가능케 하는 푸시ㆍ푸시걸림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회체(30)는, 상기 걸림상태에서 충격등의 부주의한 부하를 받았을 때, 이 부하를 검출하여 상기 트레이스 핀(35)이 상기 캠홈(22)의 걸어맞춤홈(22b)에서 해제용 유도캠(22c)측으로 이행하는 것을 저지가능케 하는 밸런서(33(36,37 등))를 가지고 있는 것에 있어서,상기 선회체(30)는, 상기 하우징(2) 또는 이동체(4)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추축용 부착부(31)과, 상기 부착부(31)에 연결되며 상기 트레이스 핀(35)을 돌출시키고 있는 제 1 암(32)과, 상기 제 1 암(32)과 90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부착부(31)에 연결되며 상기 밸런서(36)를 형성하고 있는 제 2 암(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충격등의 부주의한 부하를 받았을 때」라는 것은, 예를 들어 주행시에 급정차했을 때나 추돌 등, 혹은 과대한 진동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받아서, 이동체(4)가 탄지수단의 탄지압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미동하거나 선회체(30)가 요동된다는 의미이다. 「부하를 검출」한다는 것은, 선회체(30)가 상기 부하를 받아서 자동적으로 또는 그 자체로 트레이스 핀(35)이 캠홈(22)의 걸어맞춤홈(22b)으로부터 해제용 유도캠홈(22c)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가능하게 하도록 작동한다는 의미이다. 또, 「하트형 캠홈이 부착된 캠부」는, 형태예와 같이 캠부(20)의 구성으로서 적어도 볼록형 캠부(21)의 주위에 하트형에 가까운 캠홈(22)을 가지고 있는 타입을 의미하고 있다.
이상의 구조특징은, 상기한 부주의한 부하를 받으면, 트레이스 핀(35)과 걸어맞춤홈(22b)이 상대적으로 위치를 벗어나 걸림해제(걸어맞춤해제와 같음)되려고 하지만, 이와 같이 위치가 벗어나는 것은 선회체(30)의 밸런서(33(36,37 등))의 밸런스 조정작용에 의해서 수복(修復)되고, 트레이스 핀(35)과 걸어맞춤홈(22b)이 다시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움직여서 걸림해제될 우려를 막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 용도의 예인 청구항 5의 승물용 수납장치는, 특히, 상기한 부하를 받기 쉬운 자동차, 전차, 선박, 비행기 등에 호적인 것으로서, 종래와 같은 오작동의 우려를 없애고 제조비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제품작동품질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암(33)은, 제 1 암(32)과 90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7(b)의 걸림상태에 있어서, 선회체(30)의 슬라이드 방향을 규제하여 오로지 도 7(c)의 방향으로 작동하도록(밸런스 조정) 함에 있어서 최적한 형태가 된다.이상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밸런서(33(37등))는, 상기 부하에 기인하여 슬라이드되는 상기 선회체(30)를 상기 트레이스 핀(35) 및 상기 탄지수단(6)의 탄지력과 협동하여 원래의 상기 걸어맞춤홈(22b)으로 돌아가도록 작용하는 추(36)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상기한 밸런스 조정작용을 보다 명확하게 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 추(36)는, 예를 들어, 도 7(c)의 상태에 있어서, 선회체(30)의 요동방향을, 트레이스 핀(35)이 걸어맞춤용 스토퍼캠면(26a)측으로 이동하도록 규제한다. 그 후, 탄지수단(6)은 이동체(4)를 도 7(b)와 같은 상태로 이동시킨다. 트레이스 핀(35)은, 이동체(4)의 이동에 의해서 걸어맞춤홈(22b)과 다시 걸어맞춤 걸림상태가 되도록 움직인다. 본 발명은 이들 일련의 움직임을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회체(30)는 수지성형품으로서, 상기 제 2 암(33)이 추용 금속재를 적어도 일부에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선회체(30)가 밸런스 조정작용을 가지기 위해서, 예를 들어 소형화함은 물론 추로 이용하기 위한 하중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이 형태로서는, 금속재를 밸런서(36)에 인서트하는 구성, 제 2 암(33) 자체를 금속재로 구성하는 형태등이 있으며, 어느 것이라도 좋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시킨 로크장치를 조립해 넣은 수납장치를 나타내며, 도 4와 도 5는 푸시ㆍ푸시걸림기구의 구성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푸시ㆍ푸시걸림기구가 걸림해제상태일 때의 슬라이더와 선회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며, 도 7은 푸시ㆍ푸시걸림기구의 작동을 나타내고 있다. 도 8과 도 9는 선회체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우선 본 발명의 로크장치를 사용한 수납장치를 개설한 후, 이 로크장치에 대해서 상술하고 작동특징 및 이점을 분명히 한다.
(수납장치)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로크장치를 적용시킨 수납장치의 개략적인 외관도, 도 2는 푸시ㆍ푸시걸림기구가 걸림상태일 때의 요부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모식구성도, 도 3은 푸시ㆍ푸시걸림기구기 걸림해제상태일 때의 요부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모식구성도이다. 실시형태의 수납장치(1)는, 하우징(2)이 개구부를 가지며, 이 개구부가 대응 덮개체(3)에 의해 개폐된다. 덮개체(3)의 개폐작동은, 하우징(2)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4), 덮개체(3)를 개방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6), 슬라이더(4)의 이동속도를 제동하는 댐퍼수단(9), 캠부(20) 및 선회체(30)로 이루어지는 푸시ㆍ푸시걸림기구(본 발명의 로크장치)에 의해서 행해진다. 또, 이 수납장치(1)는, 차실 내의 계기판(DP)(의 오목개소)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개발되었으나, 계기판(DP) 이외라도 좋고, 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센터 콘솔등의 일부에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2)은, 전측에 개구부를 갖는 용기형상를 이루며, 본 발명과의 관계에있어서, 덮개체(3)의 부착부 및 슬라이더(4), 탄지수단(6), 댐퍼수단(9), 선회체(30)의 부재배치부가 중요하며 내부 및 외관적으로는 임의이다. 덮개체 부착부는, 도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2)의 개구부 부근에 있어서, 위쪽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된 쌍을 이루는 부착편부(2a)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체(3)는, 양 부착편부(2a)에 대해 내측의 대응부가 추축(5a)을 통해서 부착되며, 도 2와 같이 하우징(1)의 개구부를 막는 폐쇄위치와, 도 3과 같이 상기 개구부를 전개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부재배치부는, 하우징(2)의 외측면을 따라서 형성되며, 앞에서부터 대략 중간에 위치하고 탄지수단(6)의 단(端)부분과 슬라이더(4) 및 댐퍼수단(9)을 배치하고 있는 앞유지부(2b), 앞유지부(2b)보다 약간 후측에 위치하고 선회체(30)를 배치하고 있는 뒷유지부(2c)등으로 이루어진다.
앞유지부(2b)는, 앞쪽 상측에 형성된 돌기부(2h),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 구멍부(11)와, 이 가이드 구멍부(11)를 구획하고 있는 외측면에 형성된 오목형상부(12)와, 가이드 구멍부(11)의 후측에 형성된 걸림단면부(13)등을 가지고 있다. 이 중, 돌기부(2h)는 탄지수단(6)의 일단부를 위치규제하는 개소이다. 즉, 탄지수단(6)은, 본체부분이 추축(5a) 주위에 유지된 스프링부재로서, 일단이 덮개체(3)의 내면에 걸리고 타단이 돌기부(2h)등으로 위치규제되어 있으며, 덮개체(3)를 개방위치방향으로 항상 탄지하고 있다. 또, 덮개체(3)의 배면측에는,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와 연결되는 연결용 리브(3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부(11)는, 슬라이더(4)의 종단면에 대략 대응하고 있으며, 내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더(4)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있다. 또, 슬라이더(4)의 상세한 바은 후술하겠지만, 슬라이더(4)의 전측과 연결용 리브(3a)와의 사이가 링크편(14)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링크편(14)은, 전단(前端)이 도 3과 같이 리브(3a)에 대해 축부(실시예에서는 링크편(14)과 일체화되어 있는 축부분)(5b)에 의해, 후단이 슬라이더(4)의 전측에 대해 축부(5c)에 의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체(3)의 개방위치에서는, 슬라이더(4)가 링크편(14)을 통해서 최전방위치(이 위치는 걸림단면부(13)에 의해 규제된다)까지 이동된다. 덮개체(3)의 폐쇄위치에서는, 슬라이더(4)가 링크편(14)을 통해서 최후방위치(이 위치는 덮개체(3)의 회동종점으로서, 캠부(20) 및 선회체(30)에 의한 걸림상태가 된다)까지 이동된다.
오목형상부(12)는, 가이드 구멍부(11)에 관통된 개구부를 가지며, 댐퍼수단(9)이 위치결정 고정되어 있다. 이 댐퍼수단(9)은, 오일댐퍼 등으로 이루어지며, 작동유의 저항을 받고 있는 회전축측에 장착된 기어(9a)를 가지고 있다. 부착상태에서는, 기어(9a)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가이드 구멍부(11) 내로 돌출되며, 기어(9a)가 후술하는 슬라이더(4)의 래크 톱니(19a)와 이맞물림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댐퍼수단(9)은 슬라이더(4)가 전후로 움직일 때에 항상 제동 가능해진다.
이에 반해, 뒷유지부(2c)는, 본 발명의 로크장치를 구성하는 선회체(30)를 조립해 넣는 개소이다. 본 예에서는 상면이 수평하게 되어 있으며, 선회체(3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통형상 보스부(2d)를 가지고 있다. 단, 요건적으로는, 선회체(30)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을 것, 덮개체(30)의 폐쇄위치에서 슬라이더(4)의 캠부(20)의 바로 아래에 있을 것등이다. 뒷유지부(2c) 위에는, 하우징(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슬라이더(4) 후측의 상면에 접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벽부(2e)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장치) 도 4와 도 5에 있어서, 도 4는 이동체인 슬라이더의 상세예로서, 도 4(a)는 측면도, 도 4(b)는 상면도, 도 4(c)는 하면도, 도 4(d)는 도 4(a)의 A-A선 확대도, 도 4(e)는 도 4(c)의 B부 확대도이다. 도 5는 선회체의 상세예로서, 도 5(a)는 상면도, 도 5(b)는 측면도, 도 5(c)는 도 5(a)의 D-D선 단면도이다. 실시형태의 로크장치(10)는, 슬라이더(4)에 캠부(20)를 형성하고, 상기 뒷유지부(2c)에 선회체(30)를 부설한 예이다. 단, 푸시ㆍ푸시걸림기구적으로는, 선회체(30)를 슬라이더(4)에 부설하고, 캠부(20)를 유지부(2c)등과 유사한 개소에 형성하도록 해도 아무런 지장이 없다.
(캠부) 이 캠부(20)를 형성하고 있는 슬라이더(4)를 여기에서 설명한다. 이 슬라이더(4)는 좁고 긴 봉형상을 이루며, 기능적으로는 전측(17), 후측(18), 중간부(19)로 나뉜다. 전측(17)은 양 편부로 구성되며, 양 편부를 동축(同軸)으로 관통한 부착구멍(17a)과, 양 편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비스듬하게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탄성편(17b)을 가지고 있다. 부착구멍(17a)은, 슬라이더(4)를 상술한 링크편(14)의 후측과 축부(5c)를 통해서 연결하는 구멍이다. 탄성편(17b)은, 링크편(14)과 연결된 상태에서 링크편의 단부(端部)와 압접되어 유극(play)을 흡수한다. 중간부(19)는, 편측에 형성된 래크 톱니(19a)와, 상기한 걸림단면부(13)에 맞닿는 걸림돌조(19b)와, 바닥면측에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오목부(19c)를 가지고 있다. 이 래크 톱니(19a)는, 상기한 댐퍼수단(9)의 기어(9a)와 이맞물림하여 슬라이더(4)의 전후움직임을 제동가능하게 한다. 걸림돌조(19b)는 걸림단면부(13)와 맞닿아서 슬라이더(4)의 최전방위치를 규제한다. 가이드 오목부(19c)는, 상기한 가이드 구멍부(11)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볼록부와 끼워맞춰져 슬라이더(4)의 슬라이드를 양호하게 한다. 후측(18)은 하면측에 캠부(20)를 가지고 있다.
캠부(20)는, 도 4(e)와 같이 볼록형상의 캠부(개략적으로 하트형의 볼록형상의 캠부)(21)에 의해 형성되는 하트형 캠홈(22)과, 캠홈(22)과 연속되어 있는 유도홈(23)으로 이루어진다. 캠홈(22) 및 유도홈(23)은, 양측이 규제벽부(24 및 25)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고 전측이 중간부(19)의 뒷부분(19d)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후단이 외부와 연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캠홈(22)은, 캠부(21)의 외주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걸어맞춤용 유도캠홈(22a), 걸어맞춤홈(22b), 해제용 유도캠홈(22c)등으로 이루어진다. 걸어맞춤용 유도캠홈(22a)은, 하트형의 일측부에 대응하고, 양 규제벽부(24,25)의 사이에 있어서, 규제벽부(25)측에서부터 전측(중간부(19)의 뒷부분(19d))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 경사홈이다. 걸어맞춤홈(22b)은, 하트형의 상측부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며 유도캠홈(22a)의 정상부에서부터 경사진 부분과 유도캠홈(22c)의 정상부와의 사이에 있는 움푹 들어간 캠홈이다. 규제벽부(25)는, 캠홈(22)과 유도홈(23)과의 사이의 개소가 규제벽부(25)의 좌우 중간부근까지 산모양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유도홈(23)의 입구측을 걸어맞춤용 유도캠면(25a), 캠홈(22)측을 해제용 유도캠면(25b)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뒷부분(19d)의 양면측, 즉 캠부(21)의 전측에는 걸어맞춤용 스토퍼캠면(26a), 경사진 유도캠면(26b), 해제용 스토퍼캠면(26c)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종래와 거의 같다.
(선회체) 이 선회체(30)는, 부착부(31), 제 1 암(32), 제 2 암(33)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성형품이다. 부착부(31)는, 양 암(32,33)의 대략 중간에 형성된 추축구멍(31a)과, 제 1 암(32)과 대략 교차하는 단면(端面)측에 형성되며 선회체(30)의 선회 또는 슬라이드성을 유지하는 쌍을 이루는 탄성 날개편부(38)를 가지고 있다. 제 1 암(32)은 대략 삼각형의 얇은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측에는 경량화용 절결오목소(32a)가 형성되며, 선단에는 장착구멍(32b)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암(33)은 본 발명의 밸런서인 메인부를 이루는 추(36)를 자유단측에 가지고 있다. 즉, 제 2 암(33)은 부착부(31)와 일체화되며 선단에 추(36)를 형성하고 있다. 추(36)는, 수지성형부에 인서트 된 금속재(37)를 가지며, 제 1 암(32)보다 소정치만큼 무겁게 되어 있다. 제 1 암(32)과의 각도는 130∼140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 각도는, 도 5(a)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체(30)가 추축구멍(31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려고 하는 방향을 결정하고 추(36)의 하중 또는 제 2 암(32) 전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트레이스 핀(35)이 도 7(b)의 위치에서 일단 벗어났을 때, 선회체(30)가 도 7(c)의 실선방향으로 오로지 선회하도록, 즉 밸런스 조정으로서 최적인 것으로서 설계된다.
이상의 선회체(30)는, 트레이스 핀(35)이 도 6(b)와 같이 장착구멍(32b)에 고정된다. 트레이스 핀은 금속제 핀으로서, 장착구멍(32b)에 대해 하측으로부터상향으로 압입 및 접착 등을 통해서 고정되며, 선단이 장착구멍(32b) 위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뒷유지부(2c) 위에 선회 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경우, 선회체(30)는, 도 6(b)와 같이 추축구멍(31a) 내에 보스부(2d)를 끼워맞춘 후, 나사(40)를 추축구멍(31a)측에서부터 보스부(2d)에 와셔(41)를 개재하여 나사끼움함으로써 부착한다.
(작동) 이상의 로크장치(10)의 주된 작동을, 수납장치(1)의 덮개체의 개폐동작과 함께 개설한다. 도 3은, 덮개체(3)가 탄지수단(6)의 탄지력에 의해서 윗수평위치까지 전개되어, 하우징(2)의 전면개구를 통해서 하우징(2) 내에 작은 물건류를 출입시킬 수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덮개체의 개방위치상태에 있어서, 이동체(4)는 최전방위치로 이동되며, 걸림돌조(19b)가 걸림단면부(13)에 맞닿고 있다. 로크장치(10)와의 관계에서는, 도 7(a)와 같이 트레이스 핀(35)이 유도홈(23)의 입구측에 위치하고 있다.
덮개체(3)를 폐쇄하는 경우는, 덮개체(3)의 개방선단을 탄지수단(6)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측으로 누르면, 덮개체(3)가 추축(5a)을 지점으로 하여 하향회전되며, 이 덮개체(3)의 움직임이 링크편(14)을 통해서 슬라이더(4)에 전달된다. 그러면, 슬라이더(4)는, 덮개체(3)의 폐쇄방향으로의 이동을 따라서 도 3의 후방으로 댐퍼수단(9)에 의해서 제동된 속도로 이동한다. 로크장치(10)와의 관계에서는, 슬라이더(4)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트레이스 핀(35)이 우선 걸어맞춤용 유도캠면(25a)과 닿는다. 그러면, 선회체(30)는, 도 7(a)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방향을 바꾸고, 계속해서 걸어맞춤용 유도캠홈(22a)에 맞닿은 후, 걸어맞춤용 스토퍼캠면(26a)과 부딪친다. 또한, 덮개체(3)는, 트레이스 핀(35)이 상기 스토퍼캠면(26a)과 맞닿았을 때, 정규의 폐쇄위치를 넘어서 하우징(2)의 개구부측으로 약간 이동되지만, 덮개체(3)에 대한 압력을 해방함과 동시에, 탄지수단(6)의 탄지력에 의해서 정규의 폐쇄위치까지 되돌아간다. 이것은, 트레이스 핀(35)이 도 7(b)와 같이 스토퍼 캠면(26a)으로부터 걸어맞춤홈(22b)과 걸어맞춰져, 푸시조작에 의해서 걸림상태가 되었을 때와 일치한다. 즉, 푸시동작이 완료되고, 덮개체(3)는 도 2의 폐쇄위치로 걸린다.
다시 덮개체(3)를 개방하는 경우는, 덮개체(3)를 밀면(도 7(b)의 화살표 C1은 그것을 나타내고 있다), 트레이스 핀(35)이 경사유도캠면(26b)에 닿고, 선회체(30)의 회전을 따라서 해제용 스토퍼캠면(26c)까지 유도된다. 압력을 해방하면, 덮개체(3)는 전방으로 되돌아온다. 슬라이더(4)는 이것과 같은 시기에 전방으로 제동되면서 이동한다. 동시에, 트레이스 핀(35)은 해제용 유도캠면(25b)과의 맞닿음을 거쳐서 도 7(a)의 상태까지 되돌아간다. 즉, 다음 푸시동작이 완료되고, 덮개체(3)는 당초의 개방위치로 배치된다. 이것들은 종래의 작동과 거의 같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작동특징은, 덮개체(3)가 폐쇄위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치(1)가 차량의 급정지나 과대한 충격 등에 의해서 전방, 즉 푸시해제조작과 같은 부하를 받았을 때에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선회체(30)는, 추(36)가 부착된 제 2 암(33)에 의한 밸런스 조정기능이 작동한다. 즉, 선회체(30)는, 상기 부하를 받으면, 나사(40)를 중심으로 하여 슬라이드 내지는 회동하려고 한다. 이 회동방향은, 선회체(30)가 추(36)가 부착된 제 2 암(33)의 존재에 의해 일방향, 즉도 7(c)의 화살표방향이 되도록 밸런스 조정된다. 그 결과, 트레이스 핀(35)은, 걸어맞춤홈(22b)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이 벗어나는 방향이 밸런스 조정에 의해서 규제되어, 항상 걸어맞춤용 스토퍼 캠면(26a)측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트레이스 핀(35)은, 상기 부하가 없어지면, 상기한 도 7(a)에서 (b)로의 이행과 동일한 움직임이 된다. 그 후는, 통상의 동작으로 되돌아간다.
(변형예) 도 8과 도 9는 상기 선회체(30)의 2개의 변형예이다. 각 변형예에서는 같거나 유사한 부위에 같은 부호를 붙이고 변경점만을 설명한다. 도 8의 선회체(30A)는 제 2 암(33A)이 단독으로 만들어졌을 때의 일례이다. 즉, 이 제 2 암(33A)은, 선단측에 추(36)를 일체로 형성한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선회체(30A)에 대해서, 부착부(31)의 일부에 형성된 오목소에 제 2 암(33A)의 기단측을 걸어맞춤으로써 일체화시키는 설계이다. 이것은, 이러한 종류의 선회체(30A)는, 원래 크기가 작은 관계로 제 2 암(33A)측의 하중(제 1 암(32)측에 대한 상대적인 무게)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 구성은, 제 2 암(33A)의 하중설계를 용이하게 하고, 제 2 암(33A)의 전체치수를 억제하여 목적으로 한 밸런스조정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에 반해, 도 9의 선회체(30B)는, 하우징(2) 또는 이동체측에 대한 조립구조를 변경한 일례이다. 즉, 이 부착부(31)는, 외측둘레부분에 대해서 탄성걸림부(39)를 가지며, 이 탄성걸림부(39)를 부착부(2f)(여기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삽입방식으로 조립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기 뒷유지부(2c)의 형상이 변경되고 부착부(2f)와 추축(2g)이 부설된다. 요는, 상기한 나사(40)등을 이용하지않고 회동가능토록 부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본 예에서는, 트레이스 핀(35A)이 선회체(30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점을 포함하여 부품수가 감소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청구항기재의 기술요소를 제외하고, 이상의 기본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각종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물론, 이동체(4)로서는, 실시형태의 슬라이더로 한정되지않고, 하우징에 대해 이동되는 수납트레이나 덮개체, 또는 일본국 특허출원 평11-163992호와 같은 슬라이더부재나, 그 외의 것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기능을 가지는 로크장치는, 주행시에 급정차했을 때나 추돌 등, 혹은 과대한 진동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받는 부주의한 부하에 의해서도 걸림상태가 해제될 우려를 없애서, 종래품에 비해 작동품질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종류의 푸시ㆍ푸시걸림기구의 용도를 확대가능하게 한다.
또, 본 발명의 승물용 수납장치는, 종래품에 있어서의 부주의한 걸림해제, 즉 이동체의 오작동, 나아가서는 부주의한 돌출에 기인한 위험요인을 없애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장치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이동체와 하우징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하트형 캠홈이 부착된 캠부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캠홈을 이동하는 트레이스 핀을 가지는 선회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체를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는 푸시조작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의 정위치에 걸고, 이 걸림을 다음 푸시조작에 의해서 해제가능케 하는 푸시ㆍ푸시걸림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회체는, 상기 걸림상태에서 충격 등의 부주의한 부하를 받았을 때, 이 부하를 검출하여 상기 트레이스 핀이 상기 캠홈의 걸어맞춤홈으로부터 해제용 유도캠홈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가능하게 하는 밸런서를 가지고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선회체는, 상기 하우징 또는 이동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추축용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트레이스 핀을 돌출시키고 있는 제 1 암과, 상기 제 1 암과 90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부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밸런서를 형성하고 있는 제 2 암으로 이루어지는 안전기능을 가지는 로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런서는, 상기 부하에 기인하여 슬라이드되는 상기 선회체를 상기 트레이스 핀 및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과 협동하여 원래의 상기 걸어맞춤홈으로 되돌아가도록 작용하는 추로 이루어지는 안전기능을 가지는 로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선회체는 수지성형품으로서, 상기 제 2 암이 추용 금속재를 적어도 일부에 가지고 있는 안전기능을 가지는 로크장치.
  5. 차실 내에 부착되는 물건수납용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에 일단측을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부를 따라서 이동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덮개체의 개방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과, 상기 이동체를 탄지수단의 탄지압에 저항하여 해제가능하게 거는 로크장치를 적어도 구비한 승물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장치로서,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물용 수납장치.
KR10-2002-0001870A 2001-01-19 2002-01-12 안전기능을 가지는 로크장치 및 승물용 수납장치 KR100460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12481A JP4462768B2 (ja) 2001-01-19 2001-01-19 安全機能付ロック装置及び乗物用収納装置
JPJP-P-2001-00012481 2001-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158A KR20020062158A (ko) 2002-07-25
KR100460294B1 true KR100460294B1 (ko) 2004-12-08

Family

ID=1887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870A KR100460294B1 (ko) 2001-01-19 2002-01-12 안전기능을 가지는 로크장치 및 승물용 수납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08214B2 (ko)
JP (1) JP4462768B2 (ko)
KR (1) KR100460294B1 (ko)
GB (1) GB2372068B (ko)
TW (1) TW49192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299B1 (ko) * 2008-06-30 2009-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레이 열림 방지장치
KR101172576B1 (ko) 2008-11-19 2012-08-08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이동체의 로크기구
WO2014178535A1 (en) * 2013-04-30 2014-11-06 Nifco Korea Inc. Cover opening prevention apparatus for a vehicle's tr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2768B2 (ja) * 2001-01-19 2010-05-12 株式会社ニフコ 安全機能付ロック装置及び乗物用収納装置
KR100464010B1 (ko) * 2002-11-19 200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차용 정보재생 장치의 잠금장치
JP4169603B2 (ja) * 2003-01-22 2008-10-22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機構及び可動体の開閉装置
US7097220B2 (en) * 2004-09-23 2006-08-29 Lear Corporation G-force push-push latch
JP2006248357A (ja) * 2005-03-10 2006-09-21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収納装置
TWI294010B (en) * 2005-04-11 2008-03-01 Avision Inc Auto-lock mechanism for an image input/output device
JP2007062462A (ja) * 2005-08-30 2007-03-15 Nifco Inc 多用途収容装置
DE102005052736B8 (de) * 2005-11-04 2007-12-13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n.d.Ges.d. Staates Delaware), Dearborn G-Kraft-Push-push-Verriegelung
US20070120380A1 (en) * 2005-11-17 2007-05-31 Bella Joseph J Pivoting push latch
KR100693512B1 (ko) * 2005-12-20 2007-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트래이 박스의 고정 구조
KR100683206B1 (ko) * 2005-12-21 2007-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트레이 래치구조
US7793995B2 (en) * 2006-07-27 2010-09-14 Illinois Tool Works Inc. Push/push latch
KR100794020B1 (ko) * 2006-10-10 200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장치
ITMC20060150A1 (it) * 2006-11-13 2008-05-14 So Ge Mi Spa Dispositivo di apertura e di chiusura per sportelli.
US20080169741A1 (en) * 2007-01-11 2008-07-17 Compx International Inc. Push to open drawer slide
US20080224370A1 (en) * 2007-03-14 2008-09-18 Calvin Derr Latching rack damper assembly
JP4927026B2 (ja) * 2007-05-22 2012-05-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リッド開閉装置
KR100925825B1 (ko) * 2007-08-06 2009-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트레이용 관성하중 열림방지 장치
KR100836436B1 (ko) * 2007-10-08 2008-06-0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트레이의 열림 방지구조
JP4906706B2 (ja) * 2007-12-26 2012-03-28 株式会社ニフコ 安全装置及び開閉機構
US20090284023A1 (en) * 2008-05-16 2009-11-19 Nifco Korea Inc. Apparatus for preventing opening of a tray cover for an automobile
KR100930797B1 (ko) * 2008-05-16 2009-12-0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 열림 방지장치
KR100901419B1 (ko) * 2008-05-22 200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레이 장치
KR101467368B1 (ko) * 2008-08-18 2014-12-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글로브박스용 도어 걸림 장치
TWM364394U (en) * 2009-04-09 2009-09-01 Quanta Comp Inc Electronic device and its latch device
US20100300000A1 (en) * 2009-05-29 2010-12-02 Luke Liang Single action vent stop
DK2327334T3 (da) * 2009-11-30 2012-07-23 King Slide Works Co Ltd Hjælpepositioneringsindretning til et glideaggregat
IT1400163B1 (it) * 2010-05-19 2013-05-17 Illinois Tool Works Gruppo maniglia con bloccaggio inerziale di sicurezza per una porta di veicolo
US8191953B2 (en) * 2010-07-02 2012-06-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inertial lock and latch for console lid
US8651643B2 (en) * 2010-10-22 2014-02-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cartridge
JP5943741B2 (ja) * 2012-07-03 2016-07-05 株式会社ニフコ 安全装置
CN103850552B (zh) * 2012-11-29 2016-01-2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门锁装置及洗碗机
CN105888382A (zh) * 2014-09-24 2016-08-24 颜胜钢 一种使用方便的新型自动锁
FR3047211B1 (fr) * 2016-01-28 2018-03-02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Dispositif ouvrant comprenant un dispositif de blocage de securite
CN108571241B (zh) * 2017-03-14 2021-08-17 福特环球技术公司 用于推按式闩锁类型车辆抽屉的惯性锁系统
DE102017116742A1 (de) * 2017-07-25 2019-01-31 Minda Ktsn Plastic Solutions Gmbh & Co.Kg Einrastvorrichtung für eine Push-Push-Verriegelung und Verfahren zum Betätigen einer Einrastvorrichtung
DE202017107026U1 (de) * 2017-11-20 2018-12-21 Inteva Products, Llc Stellantrieb für ein Fach für eine Servosicherung
US11872877B2 (en) * 2018-05-30 2024-01-16 Nhk Spring Co., Ltd. Fuel lid opener
DE102018116325A1 (de) * 2018-07-05 2020-01-09 Kiekert Ag 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US11885171B2 (en) 2018-12-04 2024-01-30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US11318892B2 (en) * 2019-04-19 2022-05-03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WO2021194726A1 (en) 2020-03-23 2021-09-30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KR102474822B1 (ko) * 2020-10-22 2022-12-0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트레이커버 잠금장치
CN113982374A (zh) * 2021-10-25 2022-01-28 上海影谱科技有限公司 一种分离式反弹器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5416A (en) * 1941-07-23 1943-11-30 Hart Carter Co Adjustable thresher screen
US2372068A (en) * 1943-01-23 1945-03-20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Electric control circuits
US4427768A (en) * 1979-09-18 1984-01-24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of hardening gelatin
EP0561332A1 (en) * 1992-03-16 1993-09-22 Kato Hatsujo Kaisha Ltd. Safety catch for storage box lid
JPH0754531A (ja) * 1993-08-17 1995-02-28 Nifco Inc ラッチ装置
JPH07266996A (ja) * 1994-03-30 1995-10-17 Kato Hatsujo Kaisha Ltd 安全機能付き自動車用収納装置
DE4427768C1 (de) * 1994-08-05 1995-11-09 Sidler Gmbh & Co Verriegelungsvorrichtung
JPH1159281A (ja) * 1997-08-12 1999-03-02 Kojima Press Co Ltd 多段開閉制御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引出し物
US20020096892A1 (en) * 2001-01-19 2002-07-25 Nifco Inc. Locking apparatus and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7554A (en) * 1956-09-13 1957-12-24 Stanley Works Push release latch
US3854784A (en) * 1972-11-29 1974-12-17 Ibm Information media handling system
JPS606650U (ja) * 1983-06-22 1985-0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に設けられる小物収納ボツクス
JPH077225Y2 (ja) * 1989-10-18 1995-02-22 株式会社ニフコ 車載移動体の閉位置係止装置
DE9216892U1 (de) * 1992-12-11 1994-04-14 Fischer Artur Werke Gmbh In ein Fahrzeug einbaubarer Behälter mit Aufnahmefach
US5845954A (en) * 1996-06-25 1998-12-08 Toyota Technical Center, U.S.A., Inc. Glove box assembly including glove box that is positionable in a partially open position
DE19811783C1 (de) * 1998-03-18 1999-09-09 Daimler Chrysler Ag Abdeckbarer Behälter
JP2000132956A (ja) * 1998-10-23 2000-05-12 Pioneer Electronic Corp 車載用機器
US6247733B1 (en) * 1999-08-24 2001-06-19 Southco, Inc. Push-push latch with clicker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5416A (en) * 1941-07-23 1943-11-30 Hart Carter Co Adjustable thresher screen
US2372068A (en) * 1943-01-23 1945-03-20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Electric control circuits
US4427768A (en) * 1979-09-18 1984-01-24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of hardening gelatin
EP0561332A1 (en) * 1992-03-16 1993-09-22 Kato Hatsujo Kaisha Ltd. Safety catch for storage box lid
JPH0754531A (ja) * 1993-08-17 1995-02-28 Nifco Inc ラッチ装置
JPH07266996A (ja) * 1994-03-30 1995-10-17 Kato Hatsujo Kaisha Ltd 安全機能付き自動車用収納装置
DE4427768C1 (de) * 1994-08-05 1995-11-09 Sidler Gmbh & Co Verriegelungsvorrichtung
JPH1159281A (ja) * 1997-08-12 1999-03-02 Kojima Press Co Ltd 多段開閉制御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引出し物
US20020096892A1 (en) * 2001-01-19 2002-07-25 Nifco Inc. Locking apparatus and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JP2002213135A (ja) * 2001-01-19 2002-07-31 Nifco Inc 安全機能付ロック装置及び乗物用収納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299B1 (ko) * 2008-06-30 2009-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레이 열림 방지장치
KR101172576B1 (ko) 2008-11-19 2012-08-08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이동체의 로크기구
WO2014178535A1 (en) * 2013-04-30 2014-11-06 Nifco Korea Inc. Cover opening prevention apparatus for a vehicle's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72068A (en) 2002-08-14
US6808214B2 (en) 2004-10-26
JP2002213135A (ja) 2002-07-31
JP4462768B2 (ja) 2010-05-12
US20020096892A1 (en) 2002-07-25
GB0200959D0 (en) 2002-03-06
KR20020062158A (ko) 2002-07-25
GB2372068B (en) 2004-09-29
TW491926B (en)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294B1 (ko) 안전기능을 가지는 로크장치 및 승물용 수납장치
US8123261B2 (en) Lid lock structure of storing box for vehicle
US7231692B2 (en) Damping mechanism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container holder and automobile door including the same
US7210716B2 (en) Movement prevention device
US7607702B2 (en) Inertia catch for a vehicle latch
US5603540A (en) Swing lid locking mechanism
US4657292A (en) Latching mechanism for a pivotally mounted door
US20070180657A1 (en) Hinge arangement for a cover element
US8840156B2 (en) Handle for a door leaf of an automobile
US6886222B2 (en) Momentum lockout detented-dampened hinge
JP2000052879A (ja) 自動車内へ組み込むための、抜き出し部分を備えた装置
US8109424B2 (en) Tray apparatus
CN106437355B (zh) 车辆用门把手装置
US11639619B2 (en)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DE102004003165A1 (de) Arretierungsmechanismus und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US7156427B2 (en) Safety locking device for a container in a vehicle
US9714531B2 (en) Push-push latch arrangement
KR100946481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핸들
JP3252342B2 (ja) 安全機能付き自動車用収納装置
JP6017333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1234322B1 (ko) 차량용 트레이의 안전장치
JP2009154749A (ja) 車両用収納装置
KR970003596B1 (ko) 잠금장치가 보강된 도어 외측핸들
JP2006248357A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1877668B1 (ko) 차량용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