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532B1 - 의모고정구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의모고정구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532B1
KR100459532B1 KR10-1999-7010856A KR19997010856A KR100459532B1 KR 100459532 B1 KR100459532 B1 KR 100459532B1 KR 19997010856 A KR19997010856 A KR 19997010856A KR 100459532 B1 KR100459532 B1 KR 100459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ig
scalp
double
sided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2890A (ko
Inventor
이토마사타카
마키노마사히로
세키마사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Publication of KR2001001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 A41G5/002Fastening thereof by threading with the remaining hair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 A41G5/0033Fastening thereof by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Prostheses (AREA)
  • Toy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Adornment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두부로의 가발의 장착을 확실하고, 또한 안정되게 행할 수 있으며, 착탈도 용이하고 두피에서의 습진, 피부병 등의 악영향도 없고, 작업성도 용이한 의모고정구와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의모고정구(1)는 네트형상 기초재(2)의 표리 좌우의 4구분(A측,B측,C측,D측)으로 분리되고, 각각의 구분에는 양면테이프 (3)(A1,B1,C1,D1) 및 보호테이프(4)(A2,B2, C2,D2)가 점착된다. B측의 B1이 가발 (7)의 가소성 띠형상부재(9)의 둘레가장자리부(13)에 점착되고, 두피(10)의 자모 (12)는 관통구멍(6)을 통하여 C1과 B1에 의해 끼워 부착되어 고정된다. 자모(12)의 뿌리 근방까지 의모고정구(1)의 관통구멍(6)으로 삽입함으로써 자모(12)의 고정지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의모고정구 및 그 사용방법{WIG FIXING MEMB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의모가 심어져 있는 가발이나 의모를 다발로 묶은 부착모발을 두부에 고정하기 위한 의모고정구나 그 사용방법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많은 것들이 있었다.
예컨대, 의모가 이식된 가발을 두부에 고정하는 것으로서는, 가발 이면(裏面)에 부착된 다수의 빗살을 갖는 스톱퍼에 자모(自毛)를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가발을 고정하는 것이나, 접착제를 가발 혹은 두부에 도포함으로써 고정하는 방법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가발에 슬릿 혹은 돌기 등을 형성하여 이곳으로 자모를 끌어내고, 슬릿 혹은 돌기의 끌어낸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가발을 두부에 고정하는 방법도 채택되고 있다.
이들 종래의 가발 고정방법 중, 스톱퍼를 사용하는 것은 가발의 착탈이 용이하다는 점에서는 우수하지만, 스톱퍼 자체에 두께가 있으므로 장착된 느낌이 부자연스럽고, 더구나 스톱퍼가 수지 또는 금속제이기 때문에, 두피(頭皮)에 항상 접촉감을 주게 되므로 장시간의 사용에는 부적당하며, 더구나 장착된 채로 잠을 잔 경우에는, 두피로의 자극이 강해져서, 때로는 견딜 수 없는 통증을 수반하게 된다. 또한 자모를 빗살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가발을 고정하는 것이므로, 심한 운동을 한다든지 오래 장착하는 경우에는, 가발이 비뚤어지고, 그 때문에 스톱퍼에 걸려 고정되어 있는 머리카락이 잡아 당겨져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결점이 있다.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가발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심한 운동에 의해서도 가발이 비뚤어지는 경우가 적으며, 더구나 장착한 채로 취침하더라도 두피에 압박감을 주는 일이 없고, 장착된 느낌도 자연스럽다는 등의 많은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 장착 작업시에 가발이 비뚤어지기 쉽기 때문에, 그 고정에는 숙련을 요하며, 더구나 장착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두피에 피부병이나 습진을 일으키기 쉽고, 더우기 가발을 떼어낼 때에 접착제의 제거에 손이 많이 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발이나 부착모발의 장착고정이 용이하고 그 작업 중에 가발 등이 비뚤어지는 경우도 없으며, 또한 그 두부에의 고정강도도 충분하고, 두부에 접착제가 부착되어 있거나 남아 있지 않으므로, 그에 따른 습진, 피부병 등의 우려가 없는 안전하고 또한 위생적인 의모고정구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의모(義毛)가 심어져 있는 가발 혹은 의모를 다발로 한 부착모발을 두부(頭部)에 고정시키기 위한 의모고정구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모고정구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의 모식적 단면도,
도 3은, 관통구멍을 횡선상에 형성한 의모고정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관통구멍을 횡슬릿형태로 형성한 의모고정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관통구멍을 종선형태로 형성한 의모고정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관통구멍을 종슬릿형태로 형성한 의모고정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종슬릿형태 및 횡슬릿형태의 관통구멍을 혼합하여 형성한 의모고정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의모고정구와 동시에 사용되는 의모를 심어놓은 가발의 개요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B-B선 확대단면도,
도 10∼도 15는, 본 발명의 의모고정구를 사용하여 두부에 가발을 장착하기 위한 의모고정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모식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두피와 가발의 고정부착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모식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의모고정구를 부착모발에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의모가 이식되어 있는 가발 혹은 의모를 다발로 묶은 부착모발을 두부에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의모고정구로서, 상기 의모고정구는 네트형상 기초재를 그의 대략 중앙에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분하여, 그 한쪽의 표리(表裏) 양면 및 다른쪽의 이면에 박리지를 갖는 양면테이프를 점착하고, 또한 두피로의 접촉측으로 되는 그 표면에 박리지 대신에 가늘은 그물망형태의 네트형상부재를 붙인 양면테이프를 점착함과 동시에 자모를 끌어내기 위한 관통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통구멍이, 대략 십자형의 구멍, 횡선군, 종선군, 횡슬릿군, 종슬릿군이나 이들의 혼합군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의모고정구에 의해 의모를 심어놓은 가발을 두부에 고정함에 있어서, 표리 양면에 박리지를 갖는 양면테이프가 점착된 쪽 표면의 박리지를 벗겨내고 가발 이면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점착고정한 후, 그 이외 쪽에서 두피와 접촉하는 표면측에서 자모를 관통구멍을 통해 이면쪽으로 끌어냄과 동시에, 그 이면을 두피쪽으로 누르면서, 상기 이면 및 표리 양면에 박리지를 갖는 양면테이프가 붙여진 쪽의 이면측 박리지를 벗기고, 이들을 서로 점착하여 자모를 고정함으로써 가발을 두부에 장착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의모고정구와 그 사용방법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의모고정구에 의해 두부에 고정되는 가발의 일예를 도 8 및 도 9에 의해 설명한다.
가발(7)은 네트형상부재(8)와 가소성 띠형상부재(9)로 이루어진다. 가소성 띠형상부재(9)는 두피(10)의 가발 장착위치의 형상에 맞는 바깥윤곽을 가지는 가는 폭의 띠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바깥윤곽과 거의 서로 비슷한 형상인 내륜부에는 네트형상부재(8)의 바깥윤곽부가 중합하여 점착된다. 네트형상부재(8) 및 가소성 띠형상부재(9)에는 다수의 의모(11,11 ···)가 심어져 있다.
또, 도면에 있어서는, 의모(11)와 자모(12)를 구별하기 위하여 의모(11)는 점선으로, 자모(12)는 실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의모고정구(1)는,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는 가소성 띠형상부재(9)의 둘레가장자리부(13)에 적절한 간격으로 여러개 점착된다.
의모고정구(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각형이며, 수100μ의 아주 얇은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의모고정구(1)를 표면과 이면 좌우로 거의 같은 면적인 4부분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의 표면영역을 B측, 좌측의 이면영역을 D측, 우측의 표면영역을 A측, 우측의 이면영역을 C측으로 한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것이나, 각 구성부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모식적으로 확대 표시하고 있다.
의모고정구(1)는 한매의 네트형상 기초재(2)와, 그 A측, B측, C측, D측의 각각에 점착되는 양면테이프(3)와, 양면테이프(3)의 표면에 점착되는 보호테이프(4)로 이루어진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A측, B측, C측, D측의 양면테이프(3)를 각각 A1, B1, C1, D1으로 하고, 또 A측, B측, C측, D측의 보호테이프(4)를 각각 A2, B2, C2, D2로 한다.
이들 보호테이프 중 B2, C2, D2는 박리지로 이루어지고, A측의 보호테이프 A2는 가늘은 그물망의 네트형상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B측이 가발(7)의 둘레가장자리부(13)에 점착되는 것이며, A측이 두피(10)측에 위치하고, 또한 C측 및 D측이 서로 접착된다.
이상의 구조로 이루어진 의모고정구(1)는, B측 및 D측과 A측 및 C측과의 경계선을 절곡부(5)로 하여, 자유롭게 접어 구부릴 수 있게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측 및 C측의 두피(10)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부분에는,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략 십자형의 관통구멍(6)을 적당하게 뚫어 형성한다.
이 관통구멍(6)은 자모(12)가 통과 가능한 크기로 한다.
그리고, 도 1에서 나타내어져 있는 대략 십자형의 관통구멍(6)은 십자형을 형성하는 각 4변에서, 자모(12)를 끼워서 지지지할 수 있는 형상,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구멍(6)으로서는 도 1에 나타낸 대략 십자형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모(12)가 통과하고, 또한 빠지기 어려운 형상인 것이면 좋다.
그 형상으로서 생각할 수 있는 것을 도 3∼도 7에 나타낸다.
도 3의 의모고정구(1a)는 횡선형태의 관통구멍(6a)을 형성하는 것이며, 도 4의 의모고정구(1b)는 옆으로 길죽한 슬릿형태의 관통구멍(6b)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도 5의 의모고정구(1c)는 종선형태의 관통구멍(6c)을 형성하는 것이며, 도 6의 의모고정구(1d)는 세로로 길죽한 슬릿형태의 관통구멍(6d)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의 의모고정구(1e)의 관통구멍(6e)은 이들 슬릿형태의 관통구멍을 적절히 조합시킨 것이다.
뚫린 관통구멍은 자모(12)가 통과가능한 크기를 가지며, 또한 자모가 빠지기 어려운 형상인 것이면 족하기 때문에, 반드시 직선형상일 필요는 없고, 구부러진 것, 만곡된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도 1, 도 2에 나타낸 의모고정구(1)를 사용하여 가발(7)을 두피(10)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도 10∼도 16에 의해 설명한다.
도 10은, 두피(10)에 대한 가발(7)의 위치 및 양자 사이에 부착되는 의모고정구(1)의 배치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가발(7)은 두피(10)의 소정위치에 세트된다. 의모고정구(1)는 가발(7)의 두피(10)측 내면의 둘레가장자리부(13)에 점착된다. 이 경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모고정구(1)의 B측 및 A측은 둘레가장자리부(13)로 향하고, C측과 D측이 두피(10)측으로 향하게 된다.
도 10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우선 B측의 보호테이프인 B2를 벗겨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면(B1)을 가발(7)의 둘레가장자리부(13)에 점착한다. 또한 B측 이외의 보호테이프(4), 즉 A2, C2, D2는 붙여진 채로 한다.
이상이 청구항 4에 기재된 제 1 순서이다.
다음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발(7)의 둘레가장자리부(13)를 넘겨 젖히면, 의모고정구(1)는 절곡부(5)로부터 자연스럽게 구부러져, A측 및 C측이 두피(10)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이 청구항 4에 기재된 제 2 순서이다.
다음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측의 보호테이프인 C2를 벗김과 동시에, 두피(10)의 자모(12)를 A측에서 C측으로 관통구멍(6)을 통과시켜 끌어낸다.
이것이 청구항 4의 제 3 순서이다.
이 관통구멍(6)으로부터의 자모의 끌어냄은, 갈고리형상의 끌어냄기구를 사용하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측을 밀어 눌러 A측의 A2를 두피(10)에 긴밀히 접속시킴과 동시에, 자모(12)를 가볍게 잡아 당겨, A측이 자모(12)의 뿌리 가까이에 확실하게 위치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예리한 가는 막대 등을 사용하여 C1측에서 관통구멍(6)을 밀어붙이면, 자모(12)의 인출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것이 청구항 4의 제 4 순서이다.
또한, 이 경우 두부에 남아 있는 자모(12)가 적고 다수의 자모(12)를 끌어내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끌어낸 자모(12)의 C1측의 관통구멍(6) 부근에 접착제를 극소량 도포하면, 의모고정구(1)의 두피(10)로의 고정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다음에, D측의 보호테이프인 D2를 벗겨,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C1와 D1의 사이에서 자모(12)를 끼운 상태로 C1과 D1을 접착한다.
이에 따라 의모고정구(1)는 자모(12)를 통해 두피(10)에 고정되게 된다.
이것이 청구항 4의 제 5 순서에 해당한다.
이상에 의해, 가발(7)은 두부에 일체적으로 장착되게 된다. 도 16은 그 상태를 모식적으로 확대 표시한 것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측은 보호테이프(4)인 A2가 두피(10)에 접촉할 뿐이며, 더구나 A2는 가늘은 그물망의 네트형상부재이기 때문에, 두피(10)는 양면테이프(3)의 접착제가 도포된 면인 A1과는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두피(10)에 접착제가 부착하거나, 가발을 떼었을 때에 접착제가 두피(10)에 남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접착제에 의한 습진, 피부병이 두피에 발생할 우려가 없다.
또한, 가발(7)과 의모고정구(1)는 B1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부착되고, 더우기 자모(12)가 D1과 C1에 의해 끼워져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된 가발이 비뚤어지는 경우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의모고정구를 사용한 가발의 장착은 용이하며, 더욱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 등에서는 관통구멍(6)에 하나의 자모(12)를 통과시킨 것을 나타내었으나, 실제는 다수의 자모를 통과시키게 된다.
다음에, 가발(7)의 제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6의 상태에서 가발(7)의 둘레가장자리부(13)를 바깥쪽으로 넘겨 젖혀서, 둘레가장자리부(13)를 B1에서 벗겨내면, 가발(7)은 두피(10)로부터 제거된다.
다음에, 의모고정구(1)의 B 및 D측을 바깥쪽으로 잡아 당겨서, D1을 C1으로부터 벗겨내면, 자모(12)의 고정이 해방된다.
이 상태에서, 의모고정구(1)를 두부에서 천천히 떼어, 의모고정구(1)를 두피 (10)로부터 제거한다.
이 의모고정구(1)를 두피에서 제거하기 전에, 시판되고 있는 제광액을 스며들게 한 솜 등으로 자모(12) 및 C1면을 가볍게 두드리듯이 하여 제광액을 침투시킨 뒤, 의모고정구(1)의 제거작업을 행하면, 점착성분이 자모(12)에 부착하거나, 자모 (12)가 C1면에 붙어 빠져 버릴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제거시에 자모가 잡아당겨지는 불쾌감도 없고, 또한 짧은 시간에 용이하게 제거작업을 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모고정구(1)의 관통구멍(6)은, 각종 형상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관통구멍(6)의 수 및 형상은, 성별 및 연령에 의한 자모의 굵기 및 양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또한 안정된 가발의 고정이 가능해진다.
이상에 있어서는, 두피 전체면을 덮기 위한 가발의 고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의모고정구(1)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머리카락이 부분적으로 벗겨진 부위만을 덮는 경우나 패션장신구와 같은 부착모발의 고정부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의모고정구(1a)의 두피 접촉면인 A측의 관통구멍(6)으로부터 자모(12)를 통과시켜, 그 반대쪽인 C측으로 끌어 낸 뒤, 보호테이프(C2)를 떼어내고 자모를 접착한다. 이 때 자모(12)를 가볍게 잡아당기면서, C면을 두피측으로 누르면, 의모고정구(1a)는 두피(10)에 확실히 고정되어, 헐거움이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끌어 낸 자모(12)를 의모고정구(1a)의 C면상에 확실히 접착고정시킨 후에, 다수의 의모(11)를 한쪽으로 모아, 다발로 묶은 부착모발(7a)을 C면상에 얹어 놓은 뒤, D면의 보호테이프인 D2를 벗기고, 절곡부(5)에서 구부려서, D1 및 C1을 접착하여, 의모고정구(1a)와 부착모발(7a)을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윗쪽의 자모를 B면상으로 늘어뜨림과 동시에, 빗, 브러시 등에 의해 의모고정구(1a)의 전체를 덮어서 숨기고 자모를 정돈하여, 부착모발(7a)의 부착을 끝낸다.
이 부착모발(1a)의 설치는, 의모고정구(1a)의 B면상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의모고정구(1a)의 두피 접촉면인 A측의 관통구멍(6)으로부터 자모(12)를 통과시켜, 그 반대쪽인 C측으로 끌어 낸 뒤, 보호테이프 C2를 떼어내고, 자모를 접착한다. 이 때 자모를 가볍게 잡아당기면서, C면을 두피측으로 누르면, 의모고정구(1a)는 두피(10)에 확실히 고정되어, 헐거움이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끌어 낸 자모(12)를 의모고정구(1a)의 C면상에 확실히 접착고정시킨 후에, 보호테이프 D2를 떼어내고, 또한 D측을 절곡부(5)에서 구부려, D1 및 C1을 접착하고, 의모고정구(1a)를 두피(10)에 고정한 뒤, B측의 보호테이프 B2를 떼어내고, 그 면상에 다수의 의모(11)를 한쪽으로 모아, 다발로 묶은 부착모발(7a)을 접착고정한 뒤, 윗쪽의 자모를 그 위로 늘어뜨리고, 빗, 브러시 등에 의해 자연스럽게 느껴지도록 정돈하면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의모고정구(1a)에 부착모발(7a)을 점착한 것을 나타내었으나, 의모고정구(1a)의 B면에 의모를 직접 심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의모고정구(1a)는 의모고정구(1)와 마찬가지로 수100μ의 아주 얇은 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집게, 커터나이프 등에 의해 용이하게 임의의 형상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머리카락이 부분적으로 벗겨진 부위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필요한 부분의 증모가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의모고정구로서 사각형인 것을 나타내었으나,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원형, 타원형 및 삼각형 등 그 사용부위에 따라 여러가지의 형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관한 의모고정구는, 불과 수100μ의 아주 얇은 가소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가발과 두피사이에 이것을 개재시키더라도 위화감이 없고, 거의 신경이 쓰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착된 가발의 외관도 지극히 자연스럽다.
더구나, 그 고정이 2매의 양면테이프의 접착면에 의해 확실히 고정되고, 사용중에 압박감이나, 잡아당기는 듯한 느낌을 두부에 주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장시간의 사용에도 견딜 수 있으므로, 장착된 채로 취침이 가능하다.
또한, 그 고정이 확실하기 때문에 심하게 두부를 움직이더라도, 가발이 벗겨지거나, 비뚤어질 염려가 없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가발착용시에 있어서의 불안감을 주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운동시에 일부러 이것을 벗어 둘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장착했다는 것이 남에게 알려질 걱정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의모고정구는, 두피의 접촉면에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두피에 있어서의 접착제에 의한 피부병이나 습진이 생길 우려가 없고, 또한 두피에서 발산되는 땀이나 피지(皮脂)에 의해 접착력이 떨어질 우려도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접착제가 원칙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이지만, 관통구멍에서 인출된 자모를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접착제를 사용하였다고 해도, 그것은 극소량이며, 더우기 두피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접착제가 두피에 악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또한, 이 의모고정구는 점착테이프의 표면이 보호테이프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 점착부가 서로 붙어버리는 일이 없어, 그 취급이 용이하다.
한편, 양면테이프에 사용되는 접착제로서 내수성의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가발을 장착한 채로 세발(洗髮)도 가능하게 되어, 항상 두부를 청결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발장착에 의한 가려움증이 생기는 일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의모고정구를 부착모발로 사용한 경우에는, 머리카락이 벗겨진 부위를 덮거나, 부분적인 증모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모고정구는, 불과 수100μ의 아주 얇은 가소성 부재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집게나 커터나이프 등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크기나 형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가발 고정을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착모발 고정구로서 사용한 경우라도 머리카락이 벗겨진 부위를 효과적으로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모고정구의 사용방법에 의하면, 이 고정구가 절곡부를 중심으로 구부러져, 자모의 관통구멍으로의 삽입이나 인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가발의 장착작업시에 가발을 과도하게 넘겨 젖힐 필요가 없고, 장착시에 가발이 비뚤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장착이 용이하며, 특별한 숙련을 요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장착한 가발을 떼어 내는 것도 용이하다.
즉, 그 떼어내기는 가발의 끝단부를 넘겨 젖히고, 또한 서로 접착되어 있는 양면테이프를 벗겨 내어, 의모고정구를 천천히 들어올리면, 자모는 관통구멍으로부터 부드럽게 미끄러져 빠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 때, 자모의 고정에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닦아내기 위하여 제광액 등을 사용하면, 관통구멍으로부터의 자모의 통과는 보다 부드러워 진다.

Claims (5)

  1. 네트형상 기초재를 그의 대략 중앙에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분하여, 그 한쪽의 표리 양면 및 다른쪽의 이면에 박리지를 갖는 양면테이프를 점착하고, 두피로의 접촉측이 되는 그 표면에 박리지 대신에 가늘은 그물망형태의 네트형상부재를 붙인 양면테이프를 점착함과 동시에 자모를 끌어내기 위한 관통구멍을 뚫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모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이, 대략 십자형의 구멍, 횡선군, 종선군, 횡슬릿군, 종슬릿군이나 이들의 혼합군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모고정구.
  3. 네트형상 기초재를 그의 대략 중앙에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분하여, 그 한쪽의 표리 양면 및 다른쪽의 이면에 박리지를 갖는 양면테이프를 점착하고, 두피의 접촉측이 되는 그 표면에 박리지 대신에 가늘은 그물망형태의 네트형상부재를 붙인 양면테이프를 점착함과 동시에 자모를 끌어내기 위한 관통구멍을 뚫어 형성한 의모고정구에 의해 의모가 심어진 가발을 두부에 고정할 때에, 표리 양면에 박리지를 갖는 양면테이프가 점착된 쪽의 표면의 박리지를 떼어내어 가발 이면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점착고정한 후, 그 이외쪽에서 두피와 접촉하는 표면측에서 자모를 관통구멍을 통해 이면측으로 끌어냄과 동시에, 상기 이면을 두피측으로 누르면서, 이 이면 및 표리 양면에 박리지를 갖는 양면테이프가 붙여진 쪽의 이면측 박리지를 벗겨 내어, 이들을 서로 점착하는 것에 의해 가발을 두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모고정구의 사용방법.
  4. 네트형상 기초재와, 이 네트형상 기초재를 표리 및 좌우의 4구분으로 구획한 영역에 각각 점착되는 양면테이프와, 각 양면테이프의 표면에 점착되는 보호테이프로 이루어지는 의모고정구를 사용하여 의모가 심어져 있는 가발을 두부에 고정하기 위한 사용방법으로서, 상기 4구분의 영역을 좌측의 표면(B측으로 함)과, 좌측의 이면(D측으로 함)과, 우측의 표면(A측으로 함)과, 우측의 이면(C측으로 함)으로 하고, B측, D측, A측, C측의 각각의 양면테이프, 보호테이프를 B1, B2, D1, D2, A1, A2 및 C1, C2로 하며, 먼저 B측의 보호테이프 B2를 떼어내고 B1을 상기 가발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점착함과 동시에, A측 및 C측을 상기 가발의 내부쪽으로 향해 배치하는 제 1 순서와, B1이 점착되어 있는 가발의 둘레가장자리부를 넘겨 젖힘과 동시에, 절곡부에서 구부려서 A측 및 C측을 두피쪽으로 위치시키는 제 2 순서와, C측의 보호테이프 C2를 떼어내고, 상기 두피의 자모를 A측에서 C측으로 관통구멍을 통해서 끌어내는 제 3 순서와, C측을 눌러 A측을 두피쪽으로 접촉시킴과 동시에 끌어낸 자모를 가볍게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자모의 뿌리 근방까지 C측을 밀어누르는 제 4 순서와, 상기 D측의 보호테이프 D2를 떼어내고 D1과 C1의 사이로 상기 자모를 끼워 부착하는 제 5 순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모고정구의 사용방법.
  5. 네트형상 기초재를 그의 대략 중앙에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분하여, 그 한쪽의 표면에 의모를 심음과 동시에, 그 이면 및 다른쪽의 이면에 박리지를 갖는 양면테이프를 점착하고, 두피의 접촉측이 되는 그 표면에 박리지 대신에 가늘은 그물망형태의 네트형상부재를 붙인 양면테이프를 점착함과 동시에 자모를 끌어내기 위한 관통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모고정구.
KR10-1999-7010856A 1998-03-23 1998-09-29 의모고정구 및 그 사용방법 KR100459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1498 1998-03-23
JP92214 1998-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890A KR20010012890A (ko) 2001-02-26
KR100459532B1 true KR100459532B1 (ko) 2004-12-14

Family

ID=1404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856A KR100459532B1 (ko) 1998-03-23 1998-09-29 의모고정구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267118B1 (ko)
EP (1) EP0997079B1 (ko)
JP (1) JP3950485B2 (ko)
KR (1) KR100459532B1 (ko)
CN (1) CN1206952C (ko)
AT (1) ATE287221T1 (ko)
AU (1) AU744943C (ko)
CA (1) CA2290632C (ko)
DE (1) DE69828693T2 (ko)
ES (1) ES2235359T3 (ko)
HK (1) HK1027488A1 (ko)
ID (1) ID24391A (ko)
MY (1) MY117172A (ko)
NO (1) NO315103B1 (ko)
TW (1) TW390793B (ko)
WO (1) WO1999048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8315B1 (en) * 2001-11-21 2004-02-10 Hair Addition Studio, Inc. Hair extension system and method
KR20030073732A (ko) * 2002-03-13 2003-09-19 주식회사 에딩헤어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과 그 가발의 부착방법
US7320327B2 (en) * 2003-02-13 2008-01-22 Carol Frazier Hair extension attachment
US7201171B2 (en) * 2004-09-30 2007-04-10 Aderans Co., Ltd. Seamless hair extension system and method of use
JP4560718B2 (ja) * 2004-10-25 2010-10-13 株式会社アデランスホールディングス かつら用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かつら並びに製造方法
DE202006010151U1 (de) * 2006-06-29 2006-10-05 Arcos Die Haarprofis Handels-Gmbh Haarersatz mit Sicherungseinrichtungen und Sicherheitseinrichtung für Haarersatz
CA2688566A1 (en) * 2007-05-30 2008-12-11 Aderans Holdings Co., Ltd. Apparatus for fixing a wig and method for fixing a wig using the apparatus
DE202008001799U1 (de) * 2008-02-08 2009-06-10 Arcos Die Haarprofis Handels-Gmbh Haarband
DE202010000513U1 (de) * 2010-03-31 2010-06-10 Arcos Die Haarprofis Handels-Gmbh Haarersatz mit integrierter Sicherungseinrichtung
IT1402213B1 (it) * 2010-10-05 2013-08-28 Biase Di Estensione per capelli
US20120145174A1 (en) * 2010-12-13 2012-06-14 Frazier Carol W Braid-on wig hair extension
ITRM20110224A1 (it) * 2011-04-29 2012-10-30 David A Gold Estensione di capigliatura e relativo metodo di infoltimento
CN103169185B (zh) * 2011-12-26 2016-02-03 自然艺术公司 假发
JP5778310B2 (ja) * 2014-05-01 2015-09-16 株式会社アートネイチャー かつら
US10058138B2 (en) 2016-01-26 2018-08-28 Gunter Alex Hair band with hair carrying strips without looped hair ends
US10721982B2 (en) * 2017-04-18 2020-07-28 Hairuwear Inc. Hairpiece having perimeter with pass-through openings
DE102022122070A1 (de) 2022-08-31 2024-02-29 Mandy Eigler Haarverlängerungsproduk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384A (en) * 1906-12-18 1907-04-23 William Sleicher Securing wigs in place.
US2850023A (en) * 1957-06-25 1958-09-02 Dora M P Taylor Toupee
US3662766A (en) * 1971-03-10 1972-05-16 Ralph Maassen Method of attaching a hairpiece
US5033486A (en) * 1990-03-13 1991-07-23 Hairline Creations, Inc. Method for attaching a hairpiece to the scalp
JPH04308207A (ja) * 1991-03-29 1992-10-30 Potsupu House:Kk 増毛方法及び増毛用具
JP3259111B2 (ja) * 1993-05-21 2002-02-25 株式会社美希 かつらの装着方法
JP3866831B2 (ja) * 1997-05-14 2007-01-10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止着用部材、かつら止着用部材のかつら台材への取付け方法並びにかつらの止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35359T3 (es) 2005-07-01
CN1257411A (zh) 2000-06-21
ATE287221T1 (de) 2005-02-15
CA2290632C (en) 2004-12-14
TW390793B (en) 2000-05-21
AU4745599A (en) 2000-01-20
KR20010012890A (ko) 2001-02-26
EP0997079A1 (en) 2000-05-03
CA2290632A1 (en) 1999-09-30
MY117172A (en) 2004-05-31
NO315103B1 (no) 2003-07-14
AU744943C (en) 2002-10-10
WO1999048394A1 (fr) 1999-09-30
EP0997079A4 (en) 2004-03-24
DE69828693D1 (de) 2005-02-24
NO995713L (no) 2000-01-14
US6267118B1 (en) 2001-07-31
HK1027488A1 (en) 2001-01-19
DE69828693T2 (de) 2005-06-16
NO995713D0 (no) 1999-11-22
EP0997079B1 (en) 2005-01-19
JP3950485B2 (ja) 2007-08-01
AU744943B2 (en) 2002-03-07
CN1206952C (zh) 2005-06-22
ID24391A (id) 200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532B1 (ko) 의모고정구 및 그 사용방법
KR100931756B1 (ko) 무이음매 자기부착형 모발연장 시스템
JP3484565B2 (ja) 使い捨て用かつら
JP4009910B2 (ja) 使い捨てかつら
KR100633239B1 (ko) 탈부착과 통풍이 원활한 가발
KR101452682B1 (ko) 스트렙형 붙임머리
JPH1181021A (ja) かつら並びにその止着方法
JP3909503B2 (ja) かつら固定用シート及びかつらの固定方法
JP3185270U (ja) 美容器具
JP4351301B2 (ja) かつら並びにかつらの止着方法
JP2867300B2 (ja) かつらの装着方法、これに使用する固着部材及びかつらベース
JPS6197411A (ja) 増毛法
JP3131989U (ja) 生え際増毛テープ
JPH0532492Y2 (ko)
KR100520977B1 (ko) 부분 탈부착이 용이한 가발 및 부분 모발체
KR20080022323A (ko) 증모용 가발의 부착방법 및 증모용 가발
JP2023058812A (ja) まつ毛カールの施術方法
KR101226521B1 (ko) 가발 고정장치 및 방법
KR940008019Y1 (ko) 가발
JP3023754U (ja) カチューシャと一体化された部分かつら
JPH10317222A (ja) 毛髪整形補助具
JP2010234048A (ja) たるみ矯正具およびたるみ矯正方法
JPH0742007A (ja) かつら
JPH11131315A (ja) 頭飾品固定部材及びこれを使用する頭飾品並びに頭飾品の取付方法
JP2006152523A (ja) かつら用部分品及びかつ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