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598B1 - 헤들탑재레일용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헤들탑재레일용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598B1
KR100453598B1 KR1019970003241A KR19970003241A KR100453598B1 KR 100453598 B1 KR100453598 B1 KR 100453598B1 KR 1019970003241 A KR1019970003241 A KR 1019970003241A KR 19970003241 A KR19970003241 A KR 19970003241A KR 100453598 B1 KR100453598 B1 KR 100453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lider
rail
hea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110A (ko
Inventor
프란츠 메틀러
한스 바우만
Original Assignee
그로브 호르겐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브 호르겐 아게 filed Critical 그로브 호르겐 아게
Publication of KR970062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08Construction of frame parts
    • D03C9/0616Horizontal upper or lower rods
    • D03C9/0633Heald bars or their connection to other frame par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83Arrangements or means for the linking to the driv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30Dovetail-lik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Woven Fabric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재 바아(1) 및 측부 지지 부재(2)로 구성된 직조 샤프트에 헤들 탑재 레일(3)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부재(5)가 헤들 탑재 레일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 이상의 부재(11)가 직조 샤프트에 배치되는 2개 이상의 부재로 구성된다. 양쪽 부재는 직조 샤프트의 평면에서 재분리 가능하게 서로 끼워 넣어지는 방식으로 서로에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들 탑재 레일용 고정 장치
본 발명은 탑재 바아 및 측부 지지 부재로 구성된 직조 샤프트에 헤들 탑재 레일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와, 이 장치를 구비한 직조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위 슬라이더 시스템(slider system)을 구비하는 직조 샤프트를 채용한 직물 공장에서의 경험으로부터 출발한 것이다. 세계의 많은 지역에 있는 직물 공장에서는 날실 내지 부품의 교환시 직조 샤프트 전부를 직조기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헤들 탑재 레일만을 직조 헤들과 함께 분리한다. 이러한 작업 방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헤들 탑재 레일은 소위 슬라이더에 의해 직조 샤프트의 프로파일 부재에 고정된다. 이러한 슬라이더는 한편으로 헤들 탑재 레일을 에워싸며, 다른 한편으로 직조 샤프트의 프로파일 부재에 고정된 홀더에 끼워 넣어진다. 이러한 시스템은 매우 오래된 것이고, 어느 정도 효과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특히 신속하게 작업하는 직조기에서는 매우 확연한 단점을 가진다. 즉, 슬라이더와 더불어 헤들 탑재 레일을 확실하게 고정하는 작업이 반복적으로 시도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시도에는 한계가 있는데, 그 이유는 슬라이더의 조립을 위해서는 슬라이더가 측방으로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필요한 헤들 탑재 레일과의 틈새로 인해, 현재의 통상적인 직조기 회전수에서도 진동에 의해 매우 신속한 슬라이더의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것은 다시 직물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가져오고, 슬라이더를 자주 교체하게 만든다. 또한, 통상적으로 이 슬라이더 시스템을 이용해서는 최상의 품질을 가진 직물을 제조하기란 매우 어렵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것은 슬라이더가 소위 날실 흔적(warp marks)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즉, 이것은 헤들 탑재 레일 상에 헤들을 등간격으로 분포시키는 것이 슬라이더의 존재에 의해 방해를 받는 것에 기인한다. 이러한 위험을 가능한 한 낮추기 위해, 슬라이더를 세팅할 때 극히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에 따른 시간 손실은 상대적으로 길고도 값비싼 장착 시간에 의해 생길 것임은 자명하다.
이러한 슬라이더의 세팅은 특히 다수의 직조 샤프트가 사용될 경우 매우 힘이 드는 수작업이 된다. 슬라이더 시스템을 소위 슬라이더 없는 시스템으로 대체하지 못하는 이유는, 한편으로 슬라이더 없는 시스템의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며, 다른 한편으로 샤프트의 수가 적은 경우 날실 교환에 따른 시간 이득은 별로 없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경우, 슬라이더 없는 시스템의 추가 비용은 직물 품질에 따른 이득에 의해 어느 정도 보상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상이 모든 경우에 가능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술한 결점에도 불구하고 현재 범세계적으로 매우 다양한 슬라이더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슬라이더 시스템의 단점을 회피하고, 직물 공장에서의 매우 짧은 교환 시간 및 필요한 부품의 저렴한 구성에 의해 슬라이더 없는 시스템에 소요되는 추가 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청구항 1에 따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더 없는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공지의 형태의 헤들 탑재 레일을 상응하는 헤들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제안된다.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헤들 탑재 레일의 새로운 형태의 구성에 의해, 그리고 직조 샤프트의 탑재 바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신속한 체결 기구에 의해 전혀 새로운 방식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슬라이더가 설치된 직조 샤프트에서와 같이, 본래의 직조 샤프트는 직조기에 체류한다. 헤들이 설치된 헤들 탑재 레일은 가장 간단한 조작에 의해 소정 지점에서 직조 샤프트의 탑재 바아에 고정된다. 힘들고 시간 소모적인 슬라이더의 설치는 완전히 생략되며, 이에 의해 날실 내지 부품을 교환할 때 매우 많은 시간이 절감된다. 슬라이더가 사용되지 않음으로써 헤들이 헤들 탑재 레일의 전체 길이에 걸쳐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품질이 떨어지는 날실 흔적이 완전히 방지된다.
이러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는 여러 가능한 해결 방안이 특허 문헌들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특히, 미국 특허 제2,047,511호와, 여러 후속 특허, 예컨대 미국 특허 제2,386,690호 및 제2,511,822호 등에는 헤들 탑재 레일이 직조 샤프트의 탑재 샤프트에 있는 홀더 장치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측부로 이동되어야만 한다는 사실에 전적으로 기초한 해결 방안이 개시되어 있다. 직조기에서 이러한 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한, 이 해결 방안은 수용할 만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직조기 자체에서 이 작업은 수행하기 곤란한 것에 불과하다. 직조 샤프트는 매우 조밀하게 병렬 배치되고 가이드에서 측부로 정확히 안내되기 때문에, 개개의 헤들 탑재 레일의 접근 또는 헤들 탑재 레일의 샤프트 바아에 대한 고정은 거의 불가능하다. 게다가, 헤들 탑재 레일을 직조 샤프트의 탑재 샤프트에 고정시키는 방안으로 이들 특허에 제시된 것은 현재의 직조기 회전수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더 이상 견딜 수 없다.
스위스 특허 제353 313호, 독일 특허 제1,143,458호, 미국 특허 제2,472,772호, 제2,560,512호, 제2,619,991호, 제2,708,455호, 제2,769,461호, 제2,796,083호, 제3,154,109호, 제3,220,441호, 제3,362,437호 및 제4,036,264호에 개시된 또다른 해결 방안도 역시 직조 샤프트에 있는 탑재 바아의 홀더 장치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헤들 탑재 레일을 측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결합 장치를 포함하거나, 아니면 헤들 탑재 레일을 직조 샤프트로부터 신속하게 분해하고 직조 샤프트에 신속하게 재조립하는 것을 방해하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나사식 결합 장치 또는 소켓식 결합 장치를 포함하는 것들이다. 헤들 탑재 레일을 정면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해결 방안이 스위스 특허 제331 474호 및 독일 특허 제1 115 64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직조기에 체류하는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직조 샤프트 사이의 간격은 좁기 때문에, 이곳에서 이러한 헤들 탑재 레일은 역시 분리될 수 없다. 이러한 작업은 직조기 외부에서 수행되어야 하므로, 이 해결 방안도 역시 설정된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단점을 방지하고 직조기에 체류하는 직조 샤프트에서 헤들 탑재 레일을 간단하고 시간 절감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핵심은 헤들 탑재 레일을 헤들과 함께 분리할 경우, 직조 샤프트로부터 헤들 탑재 레일을 분리시키기 위해 헤들 탑재 레일을 측부로 이동시키거나 샤프트의 평면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헤들 탑재 레일을 직조 샤프트의 탑재 바아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헤들 탑재 레일은 직조 샤프트의 평면에서 그 중심쪽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시, 헤들은 2개의 헤들 탑재 레일에 대해 가지는 틈새보다 그리 크지 않은 적은 이동만으로도 분리에 충분하다. 이에 의해,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단점을 야기하는 일없이 헤들 탑재 레일 및 헤들을 직조 샤프트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헤들 탑재 레일 및 헤들을 직조 샤프트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헤들 및 헤들 탑재 레일의 교환을 위한 작업 시간이 슬라이더를 구비한 직조 샤프트에 대한 작업 시간보다 길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 방식은 종래의 슬라이더 없는 직조 샤프트를 채용한 다수의 직물 공장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이와 같이 작업 시간이 단축됨에도 불구하고, 전체 직조 샤프트가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브라켓을 구비한 헤들 탑재 레일만이 교환재로서 소비되기 때문에, 재료비도 보다 저렴해진다.
본 발명의 보다 양호한 이해를 위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탑재 바아(1), 측부 지지 부재(2) 및 슬라이더 없는 직조 샤프트에서 혼히 사용되는 바와 같은 평강 프로파일 부재로 된 헤들 탑재 레일(3)를 구비하는 직조 샤프트를 도시하고 있다. 이 헤들 탑재 레일(3) 상에는 본 실시예에서 C자형 단부 아이릿(eyelet)을 가진 필요한 수의 슬라이더 없는 직조 헤들(4)이 정렬되어 있다. 헤들 탑재 레일(3)과 이 헤들 탑재 레일(3)의 평면에 평행하게 놓인 부분(6) 사이에는 이 헤들 탑재 레일(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직조 헤들(4)이 지지 브라켓(5) 상을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는 간격이 존재하도록 지지 브라켓(5)이 헤들 탑재 레일(3)에 고정된다. 이 지지 브라켓(5)의 자유 단부(7)도 직조 헤들(4)이 지지 브라켓(5) 상을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도록 헤들 탑재 레일(3)과 소정 간격을 둔 상태로 헤들 탑재 레일(3)의 직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자유 단부(7)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개구부(9) 및 센터링 돌출부(12)를 구비한다. 이 자유 단부(7)는 헤들 탑재 레일(3)을 샤프트 바아(1)에 고정시키기 위해 수납 홀더 장치 내지 홀더(11)에 끼워 넣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유 단부(7)를 홀더(11)에 끼워 넣는 작업이 직조 샤프트의 평면에서 직조 샤프트의 중심축(34) 방향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은 중요하다. 홀더(11)는 센터링 돌출부(12)가 결속되는 홈(13)을 구비한다. 따라서, 지지 브라켓(5)의 자유 단부(7)는 물론, 이에 따라 헤들 탑재 레일(3)도 역시 정확히 재현 가능하게 직조 샤프트의 탑재 바아(1)에 위치 조정된다.
홀더(11)에 있는 슬라이더(15)는 안내 개구부(14) 내로 안내되고, 지지 브라켓(5)이 홀더(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 브라켓(5)의 자유 단부(7)의 개구부(9)내로 측부에서 끼워 넣어지며, 이 개구부(9)를 통과하여 완전히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홀더(11)에 있는 또 다른 안내 개구부(16) 내에 결속된다. 이에 의해, 헤들 탑재 레일(3)과 탑재 바아(1)의 정확하고 견고한 결합이 달성된다.
또한, 도 1에는 현수 장치 내지 홀더 장치(25) 및 홀더 브라켓(26)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구성 요소는 도 5 및 6에 의해 상세하게 후술된다.
구체적으로 실시함에 있어서, 지지 브라켓(5)과 홀더(11)로 구성되는 쌍의 수는 도 1에 도시된 수에 상응하는 것이 아니라, 직조 샤프트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것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것은 홀더 장치(25)와 홀더 브라켓(26)으로 구성되는 쌍의 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브라켓(5)의 단면도이다. 이 지지 브라켓(5)과 헤들 탑재 레일(3)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어서 자유 단부(7)에 있는 개구부(9) 및 센터링 돌출부(12)도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헤들 탑재 레일(3)의 전체 길이에 걸쳐 헤들(4)이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간격(8, 10)도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브라켓(5)의 자유 단부(7)에 있는 센터링 돌출부(12) 및 개구부(9)의 위치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위치는 헤들 탑재 레일(3)의 대칭축(29)에 평행하게 놓여 있다.
도 3은 도면에 일부만 도시된 직조 샤프트의 탑재 바아(1)에 예컨대 2개의 나사(17)에 의해 고정되는 홀더(11)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또한, 이 도면으로부터 슬라이더(15)가 작동 개구부(18)를 구비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이러한 작동 개구부(18)는 이 개구부(18)를 통해 삽입되는 예컨대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의 사용에 의해 지지 브라켓(5)의 분리 및 체결을 위해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샤프트 상에서 다수의 슬라이더(15)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a는 도 3의 상태에 따른 브라켓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특히 지지 브라켓(5)의 센터링 돌출부(12)용 센터링 홈(13)을 잘 확인할 수 있다.
도 4b는 동일한 단면도로서, 2개의 홈(13, 13')용으로 지지 브라켓(5)에 2개의 센터링 돌출부(12, 12')가 설치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이중의 센터링은 지지 브라켓의 횡방향 안정성을 상승시키기 위해 배려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과 관련하여, 돌출부(12)용 센터링 홈(13)이 이중으로 형성되는지, 아니면 하나의 센터링 돌출부(13)와 하나의 홈(12)이 사용되는지의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자명하다. 중요한 것은 지지 브라켓(5)의 홀더(11)에 대한 확동적인 결합이 상호 맞물리는 부재(12, 13)에 의해 지원된다는 점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으나, 직조 작업을 위해 지지 브라켓(5)이 삽입되고, 이 브라켓에 헤들 탑재 레일(3)이 고정되어 있는 체결 구속된 상태에서 홀더(11)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장치를 유리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현수 장치 내지 홀더 장치(25)를 직조 샤프트의 탑재 바아(1)에 설치하고, 지지 브라켓(5)과 유사하게 헤들 탑재 레일(3)에 고정되는 홀더 브라켓(26)을 설치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홀더 브라켓(26)은 홀더 장치(25)에 현수되며, 여기에 헤들 탑재 레일(3) 및 이에 정렬된 헤들(4)을 조립하기에 앞서 임시로 느슨하게 고정시킨다.
도 6에는 현수된 상태의 홀더 장치(25) 및 홀더 브라켓(26)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점선으로 도시된 윤곽선은 도 5에 따른 헤들 탑재 레일(3)이 탑재 바아(1)에 결합된 상태에 대응한다. 이때, 탑재 바아(1)와 헤들 탑재 레일(3) 사이의 간격(28)은 도 5에서의 간격(27)보다 작다. 이것은 중요한 사실로서, 직조 작업중 홀더 장치(25)와 홀더 브라켓(26) 사이의 접촉이 없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각각의 상태, 즉 홀더(11)에서 지지 브라켓(5)이 간격(28)을 두고 고정된 상태와, 지지 브라켓(5)이 간격(27)을 두고 분리된 상태에서 헤들(4)이 헤들 탑재 레일(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도록 홀더 브라켓(26)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 장치(25)는 홀더 브라켓(26)과 함께 전체 시스템을 간단하게 조작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단 한사람이라도 날실의 교환 내지 부품의 교환을 효과적으로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홀더 장치(2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7은 도 2와 기능적으로 동일하지만, J자형 단부 아이릿을 가진 헤들(4')과, 이에 상응하게 형성된 헤들 탑재 레일(3')이 설치된 배열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J자형 단부 아이릿을 가진 헤들(4')을 사용하는 상황에서 도 6과 동일한 배열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지지 브라켓(5')과 슬라이더(15')의 사시도이다. 브라켓의 단부측에는 슬릿(30)이 마련되어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15')에는 절결부(31, 31')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5')의 전방 단부(32)가 홀더(11)의 해당 안내부(16)에 체류하는 경우에도 지지 브라켓(5')이 조립될 수 있다. 점선(3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5')의 양 단부가 단축되어 결합된 경우에도 동일한 작업 방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지 지지 브라켓(5')의 인입 및 인출이 약간 더 간단해진다.
도 10은 슬라이더(15')에 의해 홀더(11)에 결합된 도 9에 따른 지지 브라켓(5')의 횡단면도이다. 지지 브라켓(5')은 센터링 돌출부(12)를 가지는 상단부에 전술한 슬릿(30)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도 1-7에 따른 지지 브라켓(5)과 상이하다. 이에 의해, 지지 브라켓(5')을 홀더(11)에 있는 지지 브라켓(5') 삽입용 개구부로부터 완전히 빼낼 필요 없이 지지 브라켓(5')을 슬라이더(15')상에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부재(5, 11, 15, 25, 26)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적합하지만, 이들 부재가 어떤 재료로 제작되는지의 여부는 이들 부재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에 있어 중요한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예컨대 슬라이더(15) 또는 센터링 돌출부(12)가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되는지의 여부도 중요한 것이 아니다. 사용된 부재의 재료 선정 및 제조 방법에 따라, 이러한 형상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침해하지 않는 한 제조 및 재료상의 특유한 사정에 맞춰질 수 있다. 센터링 홈(13) 및 센터링 돌출부(12)의 기계적으로 중요한 형태는 도 2 및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이다. 본 발명의 기능에 있어서, 도시된 슬라이더 없는 헤들 시스템은 슬라이더 없는 시스템이 사용되어야 하는 때에 한해서만 의미가 있는 것이다. 도시된 C자형 단부 아이릿을 가진 헤들 대신, 공지의 J자 형태를 가진 단부 아이릿이 사용될 수 있다.
헤들 단부 소켓 및 헤들 탑재 레일의 횡단면에 대한 현재 통용되고 있는 국제 규격의 치수가 준수되는지, 아니면 중량 절감의 이유로 보다 작은 치수의 헤들 단부 아이릿 및 헤들 탑재 레일이 사용되는지의 여부도 또한 사소한 것이다. 헤들 및 헤들 탑재 레일을 현존 국제 규격 체계에 맞출 수 있다는 관점에서는, 이에 상응하게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하고 치수를 맞추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유한 기능, 즉 헤들 탑재 레일을 헤들과 함께 직조 샤프트의 평면에서 교환하는 기능 및 직조 샤프트를 직조기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없는 기능에 있어서는, 헤들 및 헤들 탑재 레일의 형상 및 치수 조정은 중요하지 않다. 헤들이 헤들 탑재 레일의 전체 길이에 걸쳐 자유롭게 활주되는 모든 시스템, 필요한 경우에는 새로 개발된 시스템에도 본 발명이 채용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5) 및 홀더(11)에 의해 헤들 탑재 레일(3)을 직조 샤프트의 탑재 바아(2)에 고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영향을 받지 않는 한, 헤들 단부 아이릿 및 헤들 탑재 레일의 치수는 보다 넓은 범위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들 형상도 마찬가지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들 탑재 레일용 고정 장치에서는, 헤들이 설치된 헤들 탑재 레일이 가장 간단한 조작에 의해 소정의 장소에서 직조 샤프트의 탑재 바아에 고정된다. 힘들고 시간 소모적인 슬라이더의 설치는 완전히 생략되며, 이에 의해 날실 교환 내지 부품 교환시 매우 많은 시간이 절감된다. 슬라이더가 사용되지 않음으로써 헤들이 헤들 탑재 레일의 전체 길이에 걸쳐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품질이 떨어지는 날실 흔적이 완전히 방지된다.
도 1은 헤들(heddle) 탑재 레일을 구비한 직조 샤프트에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고정 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헤들 탑재 레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지지 브라켓의 횡단면도,
도 3은 직조 샤프트의 탑재 바아에 있는 수납 홀더 장치의 종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지지 브라켓이 홀더 장치에 인입되어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
도 5는 수납 홀더 장치에 인입된 지지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헤들 탑재 레일을 직조 샤프트에 일시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홀더 장치 내지 현수 장치의 횡단면도,
도 7은 지지 브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8은 홀더 장치 내지 현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9는 지지 브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수납 홀더 장치에 설치된 상응하는 슬라이더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상응하는 수납 홀더 장치에 인입되어 유지되는 도 9에 따른 브라켓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탑재 바아
2 : 측부 지지 부재
3 : 헤들 탑재 레일
5 : 브라켓
9 : 개구부
11 : 수납 부재
12, 13 : 위치 설정 및 고정 수단
14, 16 : 안내 개구부
15, 15' : 슬라이더
16 : 작동 개구부
25 : 현수 부재
26 : 홀더 부재
30 : 종방향 홈
31, 31' : 중앙 부분

Claims (10)

  1. 탑재 바아(1) 및 측부 지지 부재(2)로 구성된 직조 샤프트에 헤들 탑재 레일(3)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헤들 탑재 레일용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2개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헤들 탑재 레일에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형 부재(5)가 배치되고, 상기 직조 샤프트에는 상기 브라켓형 부재를 재분리 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갖춘 하나 이상의 수납 부재(11)가 배치되며, 이들 양측의 부재는 직조 샤프트의 평면에서 재분리 가능하게 서로 끼워 넣어지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탑재 레일용 고정 장치.
  2. 탑재 바아(1) 및 측부 지지 부재(2)로 구성된 직조 샤프트에 헤들 탑재 레일(3)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헤들 탑재 레일용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2개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헤들 탑재 레일(3)에는 인접한 탑재 바아쪽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형 부재(5)가 배치되고, 상기 탑재 바아에는 브라켓형 부재쪽으로 정향되어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 부재(11)가 배치되며, 각각의 수납 부재에는 수납 방향을 가로지르는 슬라이더(15)가 배치되며, 각각의 수납 부재 내에 브라켓형 부재가 인입될 때 상기 슬라이더(15)에 의해 수납 부재와 브라켓형 부재가 재분리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어, 상기 수납 부재와 브라켓형 부재는 직조 샤프트의 평면에서 재분리 가능하게 서로 끼워 넣어지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탑재 레일용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 상기 브라켓형 부재를 정확하게 위치 조정하여 안정화하기 위한 수단(12, 13)이 돌출부와 홈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탑재 레일용 고정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형 부재의 단부에는 탑재 레일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납 개구부(9)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 부재(11)에 있는 슬라이더(15)는 상기 수납 개구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안내 개구부(14, 16)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브라켓형 부재와 상기 수납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형 부재에 있는 수납 개구부를 통해 양쪽 안내 개구부에 결속되어 배치되며, 이 양쪽 안내 개구부는 삽입된 상태의 브라켓형 부재의 양측에 슬라이더 운동의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탑재 레일용 고정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단부에는 직조 샤프트의 평면에 수직한 작동 개구부(18)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 개구부(18)는 예컨대 슬라이더의 종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슬라이더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탑재 레일용 고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형 부재(5)는 상기 헤들 탑재 레일 상에 배치된 헤들(4)이 항상 브라켓형 부재 상을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도록 직조 샤프트의 평면에 대해 떨어져 헤들 탑재 레일(3)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탑재 레일용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형 부재의 자유 단부는 수납 부재(11) 내지 홀더 장치에 정확하게 위치 조정하기 위한 돌출부 및 홈과 같은 수단(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탑재 레일용 고정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들 탑재 레일에는 인접한 탑재 바아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현수 부재 내지 홀더 부재(26)가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탑재 바아에는 현수 부재 내지 홀더 부재 쪽으로 정향된 하나 이상의 현가 부재(25)가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현가 부재에는 상기 헤들 탑재 레일을 직조 샤프트에 일시적으로 느슨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홀더 부재가 현수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들 탑재 레일이 조립된 때에는 상기 홀더 부재와 현수 부재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탑재 레일용 고정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5')는 중앙 부분(31, 31')을 따라 부분적인 횡단면 감소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형 부재는 이에 상응하게 단부측에 상기 헤들 탑재 레일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종방향 홈(30)을 구비하며, 상기 종방향 홈(30)은 수납 홀더 장치의 안내 개구부로부터 슬라이더를 완전히 인출할 필요 없이 상기 브라켓형 부재가 상기 슬라이더의 중앙 부분에 끼워 넣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탑재 레일용 고정 장치.
  10. 탑재 바아(1) 및 측부 지지 부재(2)로 구성되며, 헤들 탑재 레일(3)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직조 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헤들 탑재 레일(3)에는 인접한 탑재 바아쪽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형 부재(5)가 배치되며, 상기 직조 샤프트에는 브라켓형 부재쪽으로 정향되어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 부재(11)가 배치되며, 각각의 수납 부재에는 수납 방향을 가로질러 슬라이더(15)가 배치되며, 각각의 수납 부재 내에 브라켓형 부재가 인입될 때 상기 슬라이더(15)에 의해 수납 부재와 브라켓형 부재가 재분리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어, 상기 수납 부재와 브라켓형 부재는 직조 샤프트의 평면에서 재분리 가능하게 서로 끼워 넣어지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샤프트.
KR1019970003241A 1996-02-28 1997-02-03 헤들탑재레일용고정장치 KR100453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07532A DE19607532A1 (de) 1996-02-28 1996-02-28 Befestigungssystem für Litzentragschienen
DE19607532.7 1996-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110A KR970062110A (ko) 1997-09-12
KR100453598B1 true KR100453598B1 (ko) 2005-02-23

Family

ID=7786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241A KR100453598B1 (ko) 1996-02-28 1997-02-03 헤들탑재레일용고정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787935A (ko)
JP (1) JP3981169B2 (ko)
KR (1) KR100453598B1 (ko)
CN (1) CN1066501C (ko)
BE (1) BE1011026A5 (ko)
BR (1) BR9701079A (ko)
DE (1) DE19607532A1 (ko)
FR (1) FR2745305B1 (ko)
ID (1) ID15983A (ko)
IT (1) IT1290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9959B4 (de) 2003-05-02 2007-02-01 Groz-Beckert Kg Webschaft für eine Webmaschine
EP1992724B1 (de) * 2007-05-14 2012-01-25 Groz-Beckert KG Zweiteilbarer Webschaft
CN106120076B (zh) * 2016-08-19 2017-12-12 浙江鼎丰纺织器材有限公司 一种新型宽幅织机用综框的加固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1822A (en) * 1950-06-13 Loom harness
US2708455A (en) * 1954-04-01 1955-05-17 Steel Heddle Mfg Co Loom harness
US4036264A (en) * 1976-07-23 1977-07-19 Steel Heddle Manufacturing Company Loom harness
JPS5335252U (ko) * 1976-09-02 1978-03-28
JPS5580381U (ko) * 1978-11-30 1980-06-03
US4503890A (en) * 1983-04-13 1985-03-12 Steel Heddle Mfg. Co. Releasable heddle rod connector
JPS61198283U (ko) * 1985-05-28 1986-12-11
JPH02132682A (ja) * 1988-11-11 1990-05-22 Nec Corp ディスク装置のデータ復調回路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7511A (en) * 1934-10-27 1936-07-14 Steel Heddle Mfg Co Loom harness
US2144158A (en) * 1938-04-07 1939-01-17 Emmons Loom Harness Company Heddle frame
US2386690A (en) * 1944-12-05 1945-10-09 Steel Heddle Mfg Co Loom harness
US2560512A (en) * 1947-04-17 1951-07-10 Steel Heddle Mfg Co Loom harness
US2472772A (en) * 1947-09-27 1949-06-07 Steel Heddle Mfg Co Loom harness
US2819991A (en) * 1952-08-30 1958-01-14 Rca Corp Carburized thoriated tungsten electrode and method of enhancing its emissivity
US2796083A (en) * 1954-06-17 1957-06-18 Steel Heddle Mfg Co Loom harness
DE1143458B (de) * 1955-03-17 1963-02-07 Steel Heddle Mfg Co Webstuhlgeschirrahmen
US2769461A (en) * 1955-07-28 1956-11-06 Steel Heddle Mfg Co Loom harness
DE1115648B (de) * 1955-08-10 1961-10-19 Grob & Co Ag Webeschaft mit abnehmbarer Litzentragschiene
CH331474A (de) * 1955-08-10 1958-07-31 Grob & Co Ag Webschaft mit abnehmbaren Litzentragschienen
CH353313A (de) * 1956-09-25 1961-03-31 Steel Heddle Mfg Co Webschaft
US3154109A (en) * 1962-03-22 1964-10-27 Steel Heddle Mfg Co Loom harness
CH401860A (de) * 1962-09-22 1965-10-31 Wagner Theodor Verstellbarer Litzentragschienenhalter
US3220441A (en) * 1964-01-30 1965-11-30 Steel Heddle Mfg Co Loom harness
CH432415A (de) * 1965-03-01 1967-03-15 Sulzer Ag Webschaft
CH427687A (de) * 1965-04-15 1966-12-31 Grob & Co Ag Webschaft mit einstellbar an hohlen Schaftstäben gehaltenen Litzentragschienen
CH430616A (de) * 1965-09-24 1967-02-15 Froehlich Ag E Vorrichtung zum lösbaren Befestigen der Litzenaufreihschienen eines Webschaftes
US3362437A (en) * 1965-11-29 1968-01-09 Steel Heddle Mfg Co Loom harness
CH435149A (de) * 1965-12-23 1967-04-30 Grob & Co Ag Webschaft
US3412762A (en) * 1966-11-21 1968-11-26 Robert M. Goodman Jr. Heddle frame assembly having an improved heddle rod support
CH539703A (de) * 1971-06-18 1973-07-31 Grob & Co Ag Schiebereiter für Webeschäfte
CH591583A5 (ko) * 1975-04-03 1977-09-30 Grob & Co Ag
BE1005767A4 (nl) * 1992-04-15 1994-01-18 Picanol Nv Werkwijze voor het ondersteunen van weefkaders en weefkader om toegepast te worden bij deze inrichting.
US5275210A (en) * 1992-08-11 1994-01-04 Steel Heddle Mfg. Co. Nose guide for a heddle frame
EP0620304B1 (de) * 1993-04-16 1998-04-01 Sulzer RàœT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echseln eines Artikel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1822A (en) * 1950-06-13 Loom harness
US2708455A (en) * 1954-04-01 1955-05-17 Steel Heddle Mfg Co Loom harness
US4036264A (en) * 1976-07-23 1977-07-19 Steel Heddle Manufacturing Company Loom harness
JPS5335252U (ko) * 1976-09-02 1978-03-28
JPS5580381U (ko) * 1978-11-30 1980-06-03
US4503890A (en) * 1983-04-13 1985-03-12 Steel Heddle Mfg. Co. Releasable heddle rod connector
JPS61198283U (ko) * 1985-05-28 1986-12-11
JPH02132682A (ja) * 1988-11-11 1990-05-22 Nec Corp ディスク装置のデータ復調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479A (zh) 1998-01-07
FR2745305A1 (fr) 1997-08-29
DE19607532A1 (de) 1997-09-04
ITMI970273A1 (it) 1998-08-11
CN1066501C (zh) 2001-05-30
IT1290294B1 (it) 1998-10-22
ID15983A (id) 1997-08-21
JP3981169B2 (ja) 2007-09-26
KR970062110A (ko) 1997-09-12
BR9701079A (pt) 1998-12-15
FR2745305B1 (fr) 1999-06-04
US5787935A (en) 1998-08-04
JPH09228183A (ja) 1997-09-02
BE1011026A5 (fr)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598B1 (ko) 헤들탑재레일용고정장치
US20050081942A1 (en) Heddle shaft with novel corner connector
US6883554B2 (en) Heddle damping system
US2708455A (en) Loom harness
US4844131A (en) Loom reed with removable dents
CN108342826B (zh) 成圈工具梳栉和成圈工具支架
JP4902882B2 (ja) 綜絖軸のための綜絖引き込み装置
US4088158A (en) Heddle rod hanger assembly
EP1382726B1 (en) Device for attaching return springs in a harness of a jacquard weaving machine
US4503890A (en) Releasable heddle rod connector
US3352329A (en) Heddle frame
EP0792961B1 (en) Giver gripper for a gripper loom
US11959204B2 (en) Full-width temple device for loom
JP2004510893A (ja) 運動伝達要素上にヘルドフレームを連結するための装置、駆動アセンブリ及びそのようなアセンブリを備えた織機
US3434505A (en) Heddle frame for looms
US4658864A (en) Detachable center brace apparatus for loom harness
CZ291017B6 (cs) Pletací stroj
JPH0619583Y2 (ja) 織機のヘルドフレーム
US2796083A (en) Loom harness
CN112543823B (zh) 织物支撑件
US3220441A (en) Loom harness
CN220099305U (zh) 整经机的整经结构
JPH0913250A (ja) テンプルユニット
KR20100006860A (ko) 직기 종광틀의 개구운동 안내구
JPH0913249A (ja) 織機におけるドロッパー支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