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644B1 - 휴대폰 에이징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에이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644B1
KR100448644B1 KR10-2002-0020079A KR20020020079A KR100448644B1 KR 100448644 B1 KR100448644 B1 KR 100448644B1 KR 20020020079 A KR20020020079 A KR 20020020079A KR 100448644 B1 KR100448644 B1 KR 100448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oading
test
mobile phone
tes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721A (ko
Inventor
윤재필
정기현
정백운
Original Assignee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644B1/ko
Publication of KR20030081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에이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용 PCB 기판을 자동화 공정에 의해 에이징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에이징 장치는, 에이징 챔버(100)와, 상기 에이징 챔버에 테스트 기판(P)을 하나씩 상승시켜 적재하는 로딩수단(200)과, 상기 로딩 수단에 의해 로딩되는 테스트 기판을 한 단계씩 하강시키는 엘리베이터수단(300)과, 상기 엘리베이터수단에 의해 하강된 테스트 기판을 한 단계씩 상승시킨 후 배출되도록 하는 언로딩수단(400)과, 상기 로딩수단을 통해 최상단으로 로딩된 테스트 기판을 그 다음 단계인 엘리베이터수단으로 이송/상기 엘리베이터수단에 의해 최하단으로 하강된 테스트 기판을 언로딩수단으로 이송하는 피딩수단과, 상기 각 단계별 로딩수단, 엘리베이터수단 및 언로딩수단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히터(H)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폰 에이징 장치{Apparatus for Aging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에이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용 PCB(Printed Circuit Board, 이하 피씨비라 칭함)를 자동화 공정에 의해 에이징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에이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그 제조과정에 있어서, 소정 온도가 유지되는 에이징 챔버내에 장입되어 일정시간동안 에이징 테이스를 거치게 된다. 상기 에이징 테스트는, 예컨대 소정 온도범위 내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휴대폰의 작동 특성이 변화하는지를 시험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챔버 내에서 휴대폰 세트에 전원을 인가하였을 때, 휴대폰의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점등이 되는지를 확인하여 정상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 에이징 장치는, 히터 유니트에 의해 그 내부가 소정온도 범위로 유지되는 챔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챔버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는 출입문이 마련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는 챔버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윈도우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휴대폰의 에이징 테스트를 실시할 때에는, 먼저 작업자가 테스트 할 휴대폰을 가지고 상기 출입문을 통해 챔버 내부로 들어가서, 그 챔버 내부에 마련된 선반에 휴대폰을 안착시킨다. 이후, 상기 히터 유니트를 가동하여 챔버 내부로 더운 공기를 송풍하면서 에이징 테스트를 수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에이징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테스트 할 휴대폰을 일일이 직접 운반하여 챔버 내부에 안착시켜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될 뿐 아니라, 약 35℃∼50℃의 고온이 유지되는 챔버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야 하므로 작업조건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에이징 테스트 공정을 자동화하여, 인-라인(in-line)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에이징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휴대폰 에이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에이징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에이징 장치에 적용된 기판 로딩수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에이징 장치에 적용된 기판 엘리베이터수단 및 언로딩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에이징 장치에 적용된 기판 피딩수단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에이징 장치에 적용된 에이징 챔버의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에이징 장치에 적용된 로딩수단의 작동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에이징 장치에 적용된 엘리베이터수단의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에이징 챔버, 120 : 냉각팬
200 : 로딩수단, 210,410 : 컨베이어
220, 420 : 기판 적재수단, 221, 421 : 기판 적재포스트
222, 422 : 기판 적재래치, 230, 430 : 푸셔
240, 440 : 기판 상승수단, 241, 441 : 승강 로드
242, 442 : 기판 상승래치, 243, 443 : 실린더
244, 444 : 연결부재, 245, 445 : 승강 안내로드
300 : 엘리베이터수단, 400 : 언로딩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에이징 장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이 구비된 에이징 챔버와; 에이징 챔버의 입구측에 설치되며 테스트 기판을 다단으로 적재하는 기판 로딩수단; 상기 기판 로딩수단에 적재된 테스트 기판을 이송하는 피딩수단과; 상기 피딩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테스트 기판을 하강시키는 엘리베이터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수단에 의해 하강되는 테스트 기판을 이송시키는 피딩수단과; 상기 피딩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테스트 기판을 다단으로 적재하는 기판 언로딩수단과; 상기 기판 로딩수단, 엘리베이터수단 및 기판 언로딩수단의 사이에 테스트 기판의 적재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에이징 챔버 내를 일정 온도로 승온/강온시키는 복수개의 히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딩/언로딩수단은, 테스트 기판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을 다단으로 적재하는 적재수단과;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테스트 기판을 상기 적재수단의 최하단으로 상승시키는 푸셔와; 상기 푸셔에 의해 상승된 테스트 기판을 상기 적재수단에 다단으로 상승시켜 적재되도록 하는 기판 상승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딩/언로딩수단의 적재수단은 기판의 이송방향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입설되는 적재포스트와; 상기 적재포스트에 그 선단부가 내측을 향하면서 상측으로 젖혀지도록 설치되어 기판이 지지되는 기판적재래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딩/언로딩수단의 기판 상승수단은, 상기 테스트 기판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을 매개로 하여 상기 기판적재래치의 1피치 내에서 승강하는 승강 로드와; 상기 승강 로드에 그 선단부가 내측을 향하면서 상측으로 젖혀지도록 설치되어 기판을 그 윗 단의 기판적재래치로 상승시키는 기판상승래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엘리베이터수단은,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입설되며 탄성부재를 매개로 하여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지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마주보는 면에 동일 높이이면서 다단으로 설치되는 기판 안착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기판안착수단과;
상기 포스트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제1,2포스트의 외측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단부에 상기 롤러와 접촉되는 곡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로드와, 상기 포스트에 근접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판 안내로드와, 상기 기판 안내로드에 상기 기판 안착플레이트보다 낮게 다단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2포스트가 벌어질 때 기판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기판 안착핀으로 이루어진 기판 하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딩 수단은, 테스트 기판의 일측에 걸리는 다수의 걸림핀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피딩 로드와; 상기 피딩 로드를 직선 이동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피딩 로드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이징 장치는,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에이징 챔버(100)와, 에이징 챔버(10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로딩수단(200), 엘리베이터수단(300) 및 언로딩수단(400), 테스트 기판을 다음 단계로 이송하는 피딩수단(500), 에이징 챔버(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히터(H)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테스트 기판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휴대폰용 피씨비가 다수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로딩수단(200)은 에이징 챔버(100)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테스트 기판을 이송하는 컨베이어(210)와, 컨베이어(210)에 의해 이송되는 테스트 기판이 다단으로 적재되는 기판 적재수단(220)과, 컨베이어(210)에 의해 이송되는 테스트 기판을 기판 적재수단(220)의 최하단에 정렬시키는 푸셔(230)와, 푸셔(230)에 의해 공급되는 테스트 기판(P)을 기판 적재수단(220)에 적재하는 기판 상승수단(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판 적재수단(2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전후방 4개소에 각각 세워지는 기판 적재포스트(221)와, 기판 적재포스트(221)에 다단이면서 그 선단부가 상측으로 젖히도록 설치되는 기판 적재래치(222)로 이루어진다. 4개의 기판 적재포스트(221)는 길이방향 양측에 전후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2개가 한 셋트로 이루어진다.
기판 상승수단(240)은, 기판 적재수단(220)에 1피치(래치사이의 간극) 내에서 상승/하강되도록 설치되어 기판 적재수단(220)에 적재된 테스트 기판을 1피치씩 상승시키는 것으로, 길이방향 양측의 기판 적재포스트(221)의 안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입설되는 승강 로드(241)와, 승강 로드(241)에 다단이면서 그 선단부가 상측으로 젖히도록 설치되는 기판 상승래치(242)와, 상단부가 실린더(243)에 연결되면서 연결부재(244)를 매개로 하여 각각 승강 로드(241)에 연결되어 이를 승강시키는 승강안내로드(245)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244)는 각각 가이드로드(246)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기판 적재포스트(221)는 테스트 기판의 폭에 맞출 수 있도록 폭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예컨대, 길이방향 일측의 기판 적재포스트(221)는 고정시키고, 타측의 기판 적재포스트(221)는 폭조절수단(250)을 통해 폭 조절 가능하게 설치할 수있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수단(300)은, 기판 지지수단(310)과, 기판 지지수단(310)에 적재되는 테스트 기판을 한 단계씩 하강시키는 기판 하강수단(320)으로 이루어진다.
기판 지지수단(310)은, 테스트 기판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전후로 배치되면서 코일스프링(311)을 매개로 하여 탄지되면서 폭방향으로 모아지거나 벌어지도록 설치되는 지지포스트(312)와, 각각 지지포스트(312)의 서로 마주보는 곳에 동일 높이이면서 다단으로 설치되는 기판 안착플레이트(313)로 이루어진다. 지지포스트(312)에 동일 높이로 설치되는 기판 안착플레이트(313)에 테스트 기판의 양측이 안착되는 것이다.
기판 하강수단(320)은 기판 지지수단(310)의 하측에 설치되는 롤러(314)와, 실린더(350)를 매개로 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단부에 롤러(314)를 따라 승강하는 곡선부(321a)가 형성되어 곡선부(321a)를 따라 구르는 롤러(314)에 의해 기판 지지수단(310)의 지지포스트(312)를 벌리거나 모으는 폭조절 로드(321)와, 기판 지지수단(310)의 지지 포스트(312)에 근접하는 4개소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판 안착플레이트(313)와 마찬가지로 테스트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 안착핀(322a)이 다단으로 고정된 기판 안내로드(323)로 이루어진다.
기판 로딩수단(200)에 적재된 테스트 기판(P)은 피딩수단(500)에 의해 하나씩 엘리베이터수단(300)으로 이송된다. 도 1과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피딩수단(500)은,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기판 걸림부(511)(512)(513)이 구비된 피딩로드(510)와, 피딩로드(510)에 래크와 피니언을 통해 연결되어 피딩 로드를 직선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수단(520)과, 피딩로드(51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엘리베이터 수단(300)의 하측으로 이송된 테스트 기판은 그 좌측에 설치된 모터(370)를 구동함에 의해 랙바(372)가 동작하여 가이드(380)를 따라서 상기 테스트 기판을 우측으로 밀어서 언로딩수단(400)의 입구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테스트 기판은 언로딩수단(400)의 입구측에 설치된 스토퍼(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테스트 기판이 정지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딩수단(400)은 로딩수단(20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언로딩수단(400)은 엘리베이터수단(300)의 하단과 연결되어 피딩수단(미도시)에 의해 피딩된 테스트 기판을 이송하는 컨베이어(410)와, 컨베이어(410)에 의해 이송되는 테스트 기판이 다단으로 적재되는 기판 적재수단(420)과, 컨베이어(410)에 의해 이송되는 테스트 기판을 기판 적재수단(420)의 최하단에 정렬시키는 푸셔(430)와, 푸셔(230)에 의해 공급되는 테스트 기판을 기판 적재수단(420)에 적재하는 기판 상승수단(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판 적재수단(4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전후방 4개소에 각각 세워지는 기판 적재포스트(421)와, 기판 적재포스트(421)에 다단이면서 그 선단부가 상측으로 젖히도록 설치되는 기판 적재래치(422)로 이루어진다. 4개의 기판 적재포스트(421)는 길이방향 양측에 전후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2개가 한셋트로 이루어진다.
기판 상승수단(440)은, 기판 적재수단(420)에 1피치(래치사이의 간극) 내에서 상승/하강되도록 설치되어 기판 적재수단(420)에 적재된 테스트 기판을 1피치씩 상승시키는 것으로, 길이방향 양측의 기판 적재포스트(421)의 안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입설되는 승강 로드(441)와, 승강 로드(441)에 다단이면서 그 선단부가 상측으로 젖히도록 설치되는 기판 상승래치(442)와, 상단부가 실린더(443)에 연결되면서 연결부재(444)를 매개로 하여 각각 승강 로드(441)에 연결되어 이를 승강시키는 승강안내로드(445)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444)는 각각 가이드로드(446)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기판 적재포스트(421)는 테스트 기판의 폭에 맞출 수 있도록 폭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예컨대, 길이방향 일측의 기판 적재포스트(421)는 고정시키고, 타측의 기판 적재포스트(221)는 폭조절수단(450)을 통해 폭 조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이징 챔버(100)의 배출구(110)측에는 커버가 설치되며, 히터(H)(도 1에 도시됨)를 통과하여 가열된 테스트 기판을 상온으로 식히는 냉각팬(12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에이징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6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테스트 기판(P)은 컨베이어(210)를 통해 기판 적재수단(220)의 제1,2 기판 적재포스트(221)(421)(도 2참조)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어서, 도 6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테스트 기판(P)은 그 하부의푸셔(230)에 의해 상승하여 기판 적재포스트(221)의 최하단 기판 적재래치(222a) 및 승강 로드(241)의 최하단 기판 상승래치(242a)에 안착된다.
도 6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승강 로드(241)가 1피치 상승하여 테스트 기판(P)이 기판 적재포스트(221)의 제2단 기판 적재래치(222b)에 올려진다. 그 동작을 설명하면, 승강 로드(241)가 1피치 상승하면 테스트 기판(P)에 의해 기판 적재포스트(221)의 기판 적재래치(222b)의 선단부가 상측으로 젖히면서 테스트 기판(P)이 상승하고, 테스트 기판(P)이 제2단 기판 적재래치(222b)를 통과하면 기판 적재래치(222b)의 선단부가 하강하여 테스트 기판(P)이 제2단 기판 적재래치(222b)에 올려지게 된다.
도 6d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승강 로드(241)가 제1단으로 복귀된다. 승강 로드(241)의 복귀시 제2단 기판 상승래치(242b)가 테스트 기판(P) 하측으로 하강하여 테스트 기판(P)이 제2단 기판 적재래치(222b)와 제2단 기판 상승래치(242b)에 적재된다. 이와 동시에, 도 6a에 도시한 것처럼, 푸셔(230)에 의해 테스트 기판(P)이 제1단으로 올려진다.
도 6c와 도 6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이 반복 수행되면서 테스트 기판(P)이 기판 적재포스트(221)에 다단으로 적재되며, 테스트 기판(P)이 최상단에 적재되면 피딩수단(500)에 의해 테스트 기판(P)이 엘리베이터수단(300)의 기판 지지수단(310)으로 이송된다.
피딩수단(500)의 피딩로드(510)는 이송수단(520)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제1걸림부(511)가 기판 적재포스트(221)의 최상단으로 상승된 테스트 기판을 제2걸림부(512)까지 이송한다. 이어서, 피딩로드(510)가 승강수단(530)에 의해 상승 및 이송수단(520)을 통해 이송되어 제2걸림부(512)가 테스트 기판의 일측으로 이동한 후, 이송수단(520)에 의해 직선 이동되면서 테스트 기판을 엘리베이터수단(300)으로 이송한다.
테스트 기판(P)은 그 길이방향 양측이 기판 안착플레이트(313)에 각각 안착되며, 한 단계씩 하강하게 된다. 테스트 기판(P)의 하강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기판(P)이 상측 기판 안착플레이트(313a)에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테스트 기판(P)이 유입된 상태에서 기판 안내로드(323)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기판 안착핀(322a)이 테스트 기판(P)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후, 기판 안내로드(322)를 액츄에이터(390)의 작동에 의해 상승시켜 테스트 기판(P)을 상측 기판 안착플레이트(313a)로부터 들어올린다.
폭조절 로드(321)가 실린더(350)에 의해 상승하면서 롤러(314)가 곡선부(321a)의 하사점을 따라가게 되는데, 이때, 지지포스트(312)는 코일스프링(311)의 힘에 의해 벌어지게 된다.
기판 안내로드(323)가 하강한 후, 폭조절 로드(321)가 하강하여 곡선부(321a)의 상사점에서 롤러(314)가 배치되면 하측 기판 안착플레이트(313b)가 테스트 기판(P)을 지지할 수 있는 폭으로 모아지게 된다.
이어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안내로드(323)가 복수개의 실린더(380)(382)에 의해 90°정도 회전되면 기판 안착핀(322a)에 의해 안착되어있던 테스트 기판(P)이 하측 기판 안착플레이트(313b)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테스트 기판(P)이 낙하된 후, 기판 안내로드(323)가 액츄에이터(390)에 의해 원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테스트 기판(P)이 엘리베이터수단(300)을 따라 한 단계씩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테스트 기판(P)이 최하단의 기판 안착플레이트(313)에 위치되면 피딩수단(미도시)에 의해 언로딩수단(400)으로 이동된다.
언로딩수단(400)에 이송된 테스트 기판(P)은 로딩수단(200)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한단계씩 상승하게 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언로딩수단(400)의 최상단으로 상승된 테스트 기판은 피딩수단(500)의 제3걸림부(513)에 에이징 챔버(10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된다.
에이징 챔버(100)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히터(H)는 고온의 공기를 송풍하여 에이징 챔버(100) 내부 온도를 테스트 환경에 맞는 온도(대략 35℃∼50℃)로 유지하고, 테스트 기판은 지금까지 설명한 과정을 따라 이송되는 중에 히터(H)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다. 복수의 히터(H)는 동일 온도의 공기를 송풍할 수 있고, 또한, 각기 다른 온도의 공기를 송풍할 수도 있다. 즉, 로딩시에는 미열의 공기를 송풍하고, 언로딩부로 갈수록 높은 온도의 공기를 송풍할 수도 있다.
따라서, 테스트 기판이 자동화 공정에 의해 에이징 테스트를 거치게 되어 작업자가 테스트 기판을 테스트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에이징 챔버에 출입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에이징 장치에 의하면, 에이징 테스트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테스트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에이징 챔버 내에 다수의 히터가 설치되어 테스트 환경을 조절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다양한 테스트 환경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테스트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밀폐된 내부 공간이 구비된 에이징 챔버와;
    상기 에이징 챔버의 입구측에 설치되며, 테스트 기판을 다단으로 적재하는 기판 로딩수단과;
    이송되는 테스트 기판을 다단으로 적재하는 기판 언로딩수단과;
    상기 기판 로딩수단 및 기판 언로딩수단의 사이에 테스트 기판의 적재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에이징 챔버내를 일정 온도로 승온/강온시키는 복수개의 히딩수단으로 이루어진 휴대폰 에이징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에이징 장치는
    상기 기판 로딩수단에 적재된 테스트 기판을 이송하는 피딩수단과,
    상기 피딩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테스트 기판을 하강시키는 엘리베이터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수단에 의해 하강되는 테스트 기판을 이송시키는 피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딩/언로딩 수단은, 테스트 기판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을 다단으로 적재하는 적재수단과,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테스트 기판을 상기 적재수단의 최하단으로 상승시키는 푸셔와, 상기 푸셔에 의해 상승된 테스트 기판을 상기 적재수단에 다단으로 상승시켜 적재되도록 하는 기판 상승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판 상승수단은, 테스트 기판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을 매개로 하여 기판적재래치의 1피치 내에서 승강하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 로드에 그 선단부가 내측을 향하면서 상측으로 젖혀지도록 설치되어 기판을 그 윗단의 기판적재래치로 상승시키는 기판상승래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에이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수단은 기판의 이송방향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입설되는 적재포스트와;
    상기 적재 포스트에 그 선단부가 내측을 향하면서 상측으로 젖혀지도록 설치되어 기판이 지지되는 기판적재래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에이징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수단은,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입설되며 탄성부재를 매개로 하여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지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마주보는 면에 동일 높이로 다단으로 설치되는 기판 안착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기판 안착수단과;
    상기 포스트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제1,2 포스트의 외측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단부에 상기 롤러와 접촉되는 곡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로드와, 상기 포스트에 근접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판 안내로드와, 상기 기판 안내로드에 상기 기판 안착 플레이트보다 낮게 다단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2 포스트가 벌어질 때 기판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기판 안착핀으로 이루어지는 기판 하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에이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수단은, 테스트 기판의 일측에 걸리는 다수의 걸림핀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피딩 로드와; 상기 피딩 로드를 직선 이동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피딩 로드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에이징 장치.
KR10-2002-0020079A 2002-04-12 2002-04-12 휴대폰 에이징 장치 KR100448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079A KR100448644B1 (ko) 2002-04-12 2002-04-12 휴대폰 에이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079A KR100448644B1 (ko) 2002-04-12 2002-04-12 휴대폰 에이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721A KR20030081721A (ko) 2003-10-22
KR100448644B1 true KR100448644B1 (ko) 2004-09-13

Family

ID=3237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079A KR100448644B1 (ko) 2002-04-12 2002-04-12 휴대폰 에이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6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169A (ko) 2015-08-27 2017-03-08 유종현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KR20180090407A (ko) 2017-02-02 2018-08-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빙판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097B1 (ko) * 2007-06-25 2008-03-14 일신하이텍 주식회사 비접촉 급전장치를 포함하는 엘시디 에이징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2341A (ja) * 1985-02-07 1986-08-15 Nec Corp エ−ジング装置
US5179723A (en) * 1989-06-06 1993-01-12 Nec Corporation Mobile telephone device for carrying out an aging operation without interference with a mobile telephone system
JPH1056627A (ja) * 1996-08-09 1998-02-24 Sharp Corp 自己エージング機能付電子機器及びそのエージング方法
KR19980049771U (ko) * 1996-12-30 1998-10-07 김광호 휴대폰 세트 이송용 팔레트
KR19980054269U (ko) * 1996-12-31 1998-10-07 김광호 휴대폰 에이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2341A (ja) * 1985-02-07 1986-08-15 Nec Corp エ−ジング装置
US5179723A (en) * 1989-06-06 1993-01-12 Nec Corporation Mobile telephone device for carrying out an aging operation without interference with a mobile telephone system
JPH1056627A (ja) * 1996-08-09 1998-02-24 Sharp Corp 自己エージング機能付電子機器及びそのエージング方法
KR19980049771U (ko) * 1996-12-30 1998-10-07 김광호 휴대폰 세트 이송용 팔레트
KR19980054269U (ko) * 1996-12-31 1998-10-07 김광호 휴대폰 에이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169A (ko) 2015-08-27 2017-03-08 유종현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KR20180090407A (ko) 2017-02-02 2018-08-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빙판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721A (ko)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461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bstrates
KR101767663B1 (ko) 기판 제조 설비 및 기판 제조 방법
US20080074118A1 (en) Pick-And-Place Mechanism Of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Handling Apparatus And Suc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JPS63133545A (ja) 熱処理装置の基板移載搬送装置
JP3232071B2 (ja) ハンドラーのマルチスタッカ
KR100448644B1 (ko) 휴대폰 에이징 장치
JP4356233B2 (ja) 基板移載装置
JP4992910B2 (ja) 基板検査装置
KR100472984B1 (ko) 박막 디스플레이 에이징테스트 장치
KR200151055Y1 (ko) Lcd모듈 에이징장치
KR19990081673A (ko) 수평식 핸들러의 냉각챔버내에서의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
JP2019194578A (ja) ホルダ搬送装置
JP3792868B2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JP2001062817A (ja) タイルユニット製造ライン並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パレット積上げ・降ろし装置及びタイルユニット剥離・移載装置
KR20070121022A (ko) 전자부품의 픽 & 플레이스 기구, 전자부품 핸들링 장치 및전자부품의 흡착방법
JP4133489B2 (ja) 基板待機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基板処理装置
KR100277539B1 (ko) 모듈 아이씨 핸들러의 챔버
KR100483824B1 (ko) 기판반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처리장치와 기판처리방법
JP2001116464A (ja) 縦型熱処理装置
KR200250122Y1 (ko) 박막 디스플레이 에이징테스트 장치
JPH0762589B2 (ja) 加熱装置
KR100749730B1 (ko) 반도체 테스트장치
JP3303698B2 (ja) 電子部品実装方法
JP2828581B2 (ja) 基板熱処理装置
JPH081216Y2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