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920B1 - 에스컬레이터장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920B1
KR100446920B1 KR10-2004-7001242A KR20047001242A KR100446920B1 KR 100446920 B1 KR100446920 B1 KR 100446920B1 KR 20047001242 A KR20047001242 A KR 20047001242A KR 100446920 B1 KR100446920 B1 KR 100446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chain
stairs
front wheel
stair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4674A (ko
Inventor
우츠노미야히로후미
사이토츄이치
오지마가즈히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빌딩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빌딩 시스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40014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6Driving gear with a drive or carrying sprocket wheel located at end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 B66B23/147End portions, i.e. means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arrying surface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무단형상의 체인(8)에 다수의 계단(2)을 연결하여 이동하는 에스컬레이터 (1)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 양쪽 끝부(11, 12)에서 체인(8)이 원호를 그림으로써 단축하고자 하는 인접하는 2개의 계단(2) 의 각 전륜(23) 사이의 직선거리를 에스컬레이터 양쪽 끝부(11, 12)에서 신장하도록 안내하는 전륜안내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또 에스컬레이터 양쪽 끝부(11, 12)에 있어서의 계단 전륜(23)의 회전궤적 (23a)을 체인(8)의 회전궤적(8a)보다 에스컬레이터의 끝부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양쪽 끝부(11, 12)에 있어서의 계단(2)의 회전지름을 작게 하여도 인접하는 계단(2) 사이의 간섭은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계단(2)의 회전지름을 종래보다 작게 할 수 있어 에스컬레이터(1)의 두께치수 (H)를 작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장치{ESCALATOR}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에스컬레이터 승강구 바닥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 본체 하부까지의 두께치수를 얇게 한 에스컬레이터장치를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49-80790호 및 특개소48-5508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장치의 기본구성은, 다수의 계단을 무단형상 체인에 연결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에 의하여 계단 위의 승객을 수송한다. 이 에스컬레이터의 구성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 승강구 바닥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 본체 하부까지의 두께치수는 에스컬레이터 양쪽 끝에서의 계단의 회전지름에 의해 결정된다.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장치에 있어서의 각 치수의 일례를 나타내면 에스컬레이터 승강구 바닥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 본체 하부까지의 두께치수는 100Omm, 계단의 발판의 길이는 408mm, 계단의 최대 두께는 360mm, 계단의 높이는 335mm, 계단 후륜의 회전지름은 264mm, 상하의 안전거리는 각각 2Omm 정도이었다. 또 구동 스프로킷의 지름은 654.36mm, 톱니수는 30톱니이며, 인접하는 전륜축 사이의 체인의 피치수는 6피치이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에스컬레이터 양쪽 끝부에서의 계단의 회전지름을 작게 할 수 없어 에스컬레이터 승강구 바닥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 본체 하부까지의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이하,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라 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를 작게 한 에스컬레이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계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르는 상층 평탄부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따르는 상층 평탄부를 상부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상층 평탄부에 있어서의 체인(8)과 계단 전륜(23)의 회전궤적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층 평탄부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상층 평탄부에 있어서의 체인(8)과 계단 전륜(23)의 회전궤적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층 평탄부의 확대도,
도 9는 반전부에 있어서의 전후륜의 안내레일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으로는, 무단형상의 체인에 다수의 계단을 연결하여 이동하는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 양쪽 끝부에 있어서의 계단과 체인과의 연결부의 회전궤적을 체인의 이동궤적보다 에스컬레이터의 끝부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는, 양쪽 끝부에서 체인의 이동궤적이 원호를 그리도록 체인을 안내하는 수단과, 이 원호를 그림으로써 단축하고자 하는 인접하는 2개의 계단의 상기 체인의 연결부 사이의 직선거리를 에스컬레이터 양쪽 끝부에서 신장하도록 안내하는 계단 안내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양쪽 끝부에 있어서의 계단의 회전지름을 작게 하여도 인접하는 계단 사이의 간섭은 생기기 어렵다. 이 때문에 계단의 회전지름을 종래보다 작게 할 수 있어 상기한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를 계단의 높이방향 치수의 2배 이상이고, 또한 발판의 진행방향길이의 2배 이내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를 작게 한 에스컬레이터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장치의 일반 에스컬레이터와 공통하는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에스컬레이터장치(1)는 다수의 계단(2)을 무단형상으로(endlessly) 연결하여 이동시켜 상층바닥(31)과 하층바닥(32) 사이에서 승객을 수송하고 있다. 이 승객의 안전을 위해 계단(2)과 동기하여 이동하는 핸드레일(4)과, 이 핸드레일(4)을 지지하는 난간(41)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계단(2)과 핸드레일(4) 및 난간(41) 등은 주 프레임(5)에 지지되고, 이 주 프레임(5)의 양쪽 끝부는 건축집측의 상층바닥(31) 및 하층바닥(32)에 고정되어 있다. 에스컬레이터장치(1)에는 각각 승객이 승강하는 상층 평탄부(11), 하층 평탄부(12)와, 이들 사이를 연락하여 수송하는 경사부(13)가 있다. 이 상층 평탄부(11)의 상층 기계실(6)에는 구동기 (61)가 설치되어 구동 스프로킷(62)을 구동하고 있다. 다른쪽 하층 평탄부(12)의 하층 기계실(7)에는 종동 스프로킷(71)이 설치되고, 이들 상하의 구동 스프로킷 (62)과 종동 스프로킷(71) 사이에는 무단형상의 체인(8)이 감겨져 에스컬레이터 양쪽 끝부에서 방향전환한다. 이 체인(8)에는 상기한 다수의 계단(2)이 연결되어 있다. 이들 계단(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판(21)과 라이저(riser)(22) 및 전륜(23)과 후륜(24)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 계단(2)의 발판(21)의 연행방향의 길이(Ls)[이하, 발판(21)의 길이라 함], 후륜(24)의 접지면으로부터 라이저(22)의 정점부까지의 치수를 계단(2)의 최대두께(hs), 발판(21)으로부터 후륜(24)까지의 높이방향치수(hh) [이하, 계단(2)의 높이라 함]라 정의한다.
다음에 상층 평탄부(11)에 있어서의 계단(2)과 체인(8)의 구성을 도 3,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상층 평탄부(11)에서의 단면도로서, 좌우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부의 부품에 대해서는 그 좌측 위 절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계단(2)은 전륜축(231)과 후륜축(241)을 구비하고, 이들 전륜축(231)과 후륜축(241)의 양쪽 끝에 각각 좌우 한 쌍의 전륜(23) 및 후륜(24)을 구비하고 있다. 전륜(23)은 후륜(24)에 대하여 바깥쪽(도 3의 좌우 양쪽 끝측)에 위치하고, 계단(2)의 왕로(위쪽)에 있어서 후륜(24)보다도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륜축(231)은 체인(8)에 연결되어 체인(8)의 이동에 의해 계단(2)을 이동시킨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단 전륜(23)은 후륜(24)에 대하여 바깥쪽에 배치된 전륜 안내레일(91) 위를 회전하고 있다. 또 후륜(24)은 체인(8)보다도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후륜 안내레일(92) 위를 전동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H)는 에스컬레이터 양쪽 끝부에 있어서의 계단(2)의 회전지름으로 결정된다. 즉 이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 (H)는 스프로킷의 지름과, 이것의 둘레를 돌아 반전하는 계단(2)의 바깥 둘레 궤적및 그 상하에 확보된 안전거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에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H)를 작게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에스컬레이터장치(1)의 반전부(14)(도 1참조)에서의 체인(8)과 계단 (2)의 개략구조도이고, 도 6은 동일 반전부(14)에서의 체인(8)의 이동궤적(8a)과 계단 전륜(23)의 주행궤적(23a)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구동 스프로킷(62)에 감긴 체인(8)은 다수의 체인링크(81)로 이루어지고, 이들 체인링크(81)에는 각각 2개의 핀구멍(82, 83)과, 인접하는 체인링크를 연결하도록 핀구멍 사이에 삽입되는 링크핀(84)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2개의 핀구멍의 간격이 체인 1피치의 길이(P)이다. 이 피치의 길이(P)는 인접하는 계단의 전륜축간 거리를 전륜축 사이의 피치수로 나눈 길이가 된다.
일반적으로 전륜축 사이에서의 체인피치수는 짝수로 되어 있다. 왜냐하면 체인은 다른 구조의 체인링크가 교대로 바깥쪽, 안쪽, 바깥쪽의 순으로 연결되어 있고(도 4참조), 동일구조의 체인링크에 전륜축을 연결시키고 싶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4, 6, 8, 10, 12 등의 짝수피치가 생각된다.
그러나 전륜축 사이가 4피치에서는 1피치당 간격이 커져 반전부에서 원활한 이동을 할 수 없고, 또 10, 12피치에서는 1피치당 간격이 짧아져 체인과 스프로킷의 톱니와의 맞물림 강도가 약해져 버린다.
따라서 전륜축 사이의 체인은 6피치 또는 8 피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륜축 사이의 체인피치수는 6피치로 하고 있다. 그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구동 스프로킷의 톱니수는 전륜축 사이의 체인피치수의 배수로 결정되기 때문에 6피치일 때는 12, 18, 24, 30 톱니, 8피치일 때에는 16, 24, 32, 40 톱니의 구동 스프로킷의 톱니수가 생각된다.
이하, 구동 스프로킷의 톱니수가 전륜축 사이의 체인피치수의 배수로 결정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도시 생략하나, 종래의 체인은 체인의 이동궤적과 동일 궤적 위에 계단의 전륜축과의 연결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종래의 구동 스프로킷은 이 연결부와 만나는 스프로킷의 톱니에는 연결부와의 간섭을 피하는 특수한 톱니(이하, 특수톱니라 함)가 필요하였다. 전륜축에 연결하는 체인링크가 상기 특수톱니에 대응시켜 맞물리게 하기 위해서는 이 특수톱니는 6톱니에 1톱니, 또는 8톱니마다에 1톱니가 있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구동 스프로킷의 톱니수는 전륜축의 체인피치수의 배수로 결정되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6 피치일 때는 12, 18, 24, 30톱니, 8 피치일 때에는 16, 24, 32, 40 톱니의 구동 스프로킷의 톱니수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스프로킷의 톱니수는 18톱니, 전륜축 사이의 체인피치수는 6피치의 조합으로 하였다. 그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구동 스프로킷의 톱니수가 24톱니 이상일 때는, 구동 스프로킷의 지름이 커져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구동 스프로킷의 지름보다는 작으나,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를 실현할 수는 없다.
또 6피치에서 12톱니 및 8피치에서 16톱니에 대해서는 구동 스프로킷의 지름이 너무(극단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인접하는 계단끼리의 간섭이 크고, 이 간섭을 없애어 계단을 반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찾아낼 수는 없다.
다음에 전륜축 사이 6피치와 구동 스프로킷의 톱니수 18톱니의 조합에 대하여 검토하면, 역시 인접하는 계단 사이에 약간의 간섭을 일으키나, 체인과 계단의 전륜축과의 연결부의 궤적을 체인의 이동궤적보다도 바깥쪽으로 통하게 함으로써 인접하는 계단 사이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이하, 이 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구조상의 개량점을 말하면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단(2)의 전륜축과의 연결부에 삼각형형상의 체인링크(85)를 설치함으로써 이것을 달성하고 있다. 즉 체인(8)의 링크 중 6개에 1개는 삼각형상의 특정링크(85)이다. 연결부에 있어서 삼각형상의 특정링크(85)에도 각각 2개의 핀구멍(86, 87)이 설치되고, 이들 2개의 핀구멍에 대하여 3각형의 정점을 이루는 위치에 또 하나의 핀구멍(88)이 설치되어 있고, 이 부가된 핀구멍(88)에 의해 계단(2)의 전륜축(231)(도 3 또는 도 4는 참조)은 체인(8)에 연결되어 있다. 즉 2개의 링크핀의 바깥쪽에 계단(2)의 상기 전륜축과의 연결부를 설치하고 있다. 계단전륜(23) 및 후륜(24)은 체인(8)의 이동에 따라 각각 전륜안내레일(91) 및 후륜안내레일(92) 위를 전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단(2)의 전륜축의 주행궤적(23a)이 에스컬레이터 전 영역에 걸쳐 체인(8)의 이동궤적(8a)보다 바깥쪽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계단 사이의 간섭이 없어지는 이유를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인(8)이 구동 스프로킷(62)의 지름(R)을 둘레 회전하여 원호를 그리기 때문에 수평부(15)에서의 6 피치 사이의 직선거리 (L21)는 반전부(14)에서의 6 피치 사이의 직선거리(L22)로 단축한다. 이 때문에 체인(8)의 링크에 계단(2)의 전륜축을 직접 연결시킨 경우, 체인(8)의 이동궤적 (8a)이 원호를 그림으로써 인접하는 계단의 전륜축 사이의 직선거리도 마찬가지로 짧아진다.
즉, 수평부(15)에서는 인접하는 발판은 사람을 나르는 안전상, 최소의 간극을 가지고 이동하고 있다. 반전부(14)에 있어서 이 인접하는 발판의 최소의 간극이 단축됨으로 인접하는 계단끼리가 간섭하여 기구적으로 성립되지 않게 된다.
이 단축이 생겨도 인접하는 계단끼리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직선거리의 단축을 다음과 같이 하여 경감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단(2)의 전륜(23)의 주행궤적(23a)은 체인(8)의 삼각형상의 특정링크(85)에 의해 체인(8)의 이동궤적(8a)보다도 ΔR1만큼 들어 올려져 있다. 수평부(15)에서는 인접하는 계단의 전륜축간 거리(L11)와 체인(8)의 인접하는 2개의 특정링크간 거리(L21)는 모두 동일거리이다.
그러나 반전부(14)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계단의 전류축간 거리(L12)는 체인 (8)의 특정링크간 거리(L22)와 비교하여, 반경이 ΔR1만큼 커진 분의 원주 연장분 (ΔL)만큼 길어져 L12 = L11 + ΔL 이 된다. 그 결과 인접하는 계단 사이의 간섭은 없어진다.
따라서 인접하는 계단 사이에서 간섭을 일으키는 일은 없어 종래보다 작은 구동 스프로킷(62)을 사용할 수 있어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H1)를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에스컬레이터장치의 반전부(14)에서의 체인(8)과 계단(2)의 개략구조도이고, 도 8은 반전부(14)에서의 체인(8)의 이동궤적(8a)과 전륜(23)의 주행궤적(23a)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구동 스프로킷(62)에 감긴 체인(8)의 체인링크 (81), 핀구멍(82, 83) 및 링크핀(84)의 구성은,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인(8)과 계단(2)의 전륜축(231)과의 연결부에 상기와는 다른 핀구멍을 가지는 삼각형상의 특정링크(89)을 설치하고 있다. 이 연결부에 있어서 삼각형상의 특정링크(89)에는 각각 2개의 핀구멍(891, 892)이 설치되는 점은 상기와 동일하나, 이 특정링크(89)의 중심부에는 에스컬레이터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긴 핀구멍(893)(이하, 긴 구멍이라 함)이 설치되어 있고, 이 부가된 긴 구멍(893)에 의해 계단(2)의 전륜축(2311) 체인(8)에 연결되어 있다.
이 긴 구멍(893)은 수평부(15)와 반전부(14)에서 체인(8)과 연결되어 있는 계단(2)의 전륜축(231)을 변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변위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계단 전륜(23)이 전륜안내레일(91)에 의해 안내되는 이동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이하, 전륜(23)의 주행궤적(23a)과 체인(8)의 이동궤적(8a)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단 전륜(23)을 안내하는 전륜안내레일(91)은, 계단(2) 전륜축(231)의 주행궤적(23a)이 도 5, 도 6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주행궤적과 동일한 궤적을 그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평부(15)에서는 계단 전륜(23)은, 체인(8)의 이동궤적(8a)과 동일 직선상의 궤적으로 전륜안내레일(91) 위를 전동하고 있다. 이 때 연결부에서는 계단(2)의 전륜축(231)은 상기 긴 구멍(893)의 최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반전부(14)에 도달하면 계단 전륜(23)의 회전궤적(23a)은 상기 안내레일의 안내에 의해 체인(8)의 이동궤적(8a)과 다른 궤적을 그리기 시작한다. 이 때 연결부에서는 계단(2)의 전륜축(231)은 상기 긴 구멍(893)의 위쪽으로 점차로 이동한다. 그리고반전부(14)의 가장 끝에서는 계단(2)의 전륜축(231)은 상기 긴 구멍(893)의 최상부(이 위치에서는 가로방향이 된다)에 연결되고, 이 후 서서히 원래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반전부(14)에서는 계단 전륜의 주행궤적(23a)을 체인(8)의 이동궤적 (8a)보다도 에스컬레이터의 끝부방향으로 어긋나게(deviated) 하고 있으므로 인접하는 계단 사이에서 간섭을 일으키는 일은 없어 종래보다 작은 구동 스프로킷(62)을 사용할 수 있어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H2)를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발판(21)의 길이(Ls)(도 2참조)와 체인(8)의 회전지름(R)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 스프로킷(62) 전체의 톱니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18톱니 이고, 그 원주는 18 피치의 길이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구동 스프로킷(62)의 지름(R)은 R = 18/π≒ 5.73 피치길이이다. 한편 발판(21)의 길이(Ls)는 전륜축 사이의 길이와 같게 6 피치길이이다. 따라서 체인(8)의 회전지름(R)은 발판(21)의 길이(Ls)보다 짧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체인(8)의 왕복로 사이에서의 간격을 반전부(14)보다도 수평부(15)에서 넓히고 있고, 그 이유를 이하에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전부(14)에서는 구동 스프로킷(62)의 지름(R)이 그대로 체인(8)의 회전지름이 되고, 한편 수평부(15)에서는 체인(8)의 왕복로 사이의 간격을 R + 2ΔR2로 넓히고 있다. 이것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H2)는 반전부(14)에서 결정되어 있고, 수평부(15)에서는 상하에 여유가 있기 때문이다. 즉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H2)는 계단 후륜(24)의 회전지름(r)과, 반전부(14)에서의 계단(2)의 최대 두께(hs) 및 상하의 안전거리(h21, h22)로 결정되어 있고(H2 = r + 2hs + h2l + h22), 수평부(15)에는 반전부(14)에 비하여 상하에 각각 여유가 있다.
따라서 체인(8)의 왕복로 사이의 간격을 상하로 넓히고, 수평부(15)에서 체인(8)의 왕복로 사이에 생기는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스페이스를 넓히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또 반대로 좁히는 것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인(8)은 반전부(14)에서 구동 스프로킷(62)의 약 절반 둘레분, 즉 9피치로 구동 스프로킷(62)과 맞물려 이동하고 있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부(15)에서 체인(8)의 에스컬레이터 왕복로 사이의 간격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체인(8)과 구동 스프로킷(62)의 맞물림을 에스컬레이터 왕복로 사이에서 각각 상하에서 각 1 톱니씩 증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인접하는 계단의 각 전륜 사이에 존재하는 체인 피치수를 N으로 하였을 때 반전부(14)에서 구동 스프로킷(62)과 맞물리는 체인피치수는 1.5N ±2이고, N = 6인 경우, 최대 11 피치, 최소 7 피치가 된다.
다음으로 도 9는 전륜 안내레일(91)과 후륜 안내레일(92)의 구성도이고, 계단 전륜의 회전궤적(23a)의 중심(23b)을 계단 후륜의 회전궤적(24a)의 중심(24b)보다도 에스컬레이터 끝부방향으로 D만큼 어긋나게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부(15)에서의 전륜 안내레일(91)과 후륜 안내레일(92)과의 간격(S1)은 에스컬레이터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간격이다. 반전부(14)에서의 전륜 안내레일(91)과 후륜 안내레일(92)과의 에스컬레이터 수평방향의 간격(S2)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간격(S1)보다 커져 있다. 이는 계단(2)이 바로 앞의 계단과 간섭하지 않도록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전부(14)에서 계단 전륜의 회전궤적(23a)의 중심(23b)을 계단 후륜의 회전궤적(24a)의 중심(24b)보다 D만큼 에스컬레이터 끝부방향으로 어긋나도록 전륜 안내레일(91)로 안내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계단 전륜(23)의 회전궤적(23a)이 체인(8)의 회전궤적(8a)보다 에스컬레이터 끝부방향으로 어긋나 있으면, 계단 전륜(23)의 회전궤적(23a)은 반원형상일 필요는 없어 타원형상 또는 2개의 지름이 다른 원호(더블커브)의 조합이어도 좋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체인(8)과 계단(2)의 전륜축과의 연결부는 구동 스프로킷(62)의 톱니의 바깥 둘레부의 궤적보다도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바깥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체인(8)과 계단의 연결부는 구동 스프로킷(62)의 톱니와의 간섭을 피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구동 스프로킷(62)에 상기한 특수톱니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구동 스프로킷(62)의 톱니수는 반드시 전륜축 사이의 체인 피치수의 배수로 정할 필요는 없고, 에스컬레이터의 소망의 두께치수(H)를 만족하는 18톱니 이상, 24톱니 미만의 범위이면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
다음에 에스컬레이터로서의 치수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계단(2)의 치수를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발판(21)의 길이(Ls)는 381mm, 계단(2)의 최대 두께(hs)는 270mm, 계단(2)의 높이(hh)는 240mm이다. 구동스프로킷(62)의 지름(R)은 R = 368.56mm가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 스프로킷 (62)의 지름(R)은 발판(21)의 길이(Ls)보다도 짧다.
여기서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H)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단 후륜 (24)의 회전지름(r) 및 에스컬레이터 왕복로에서의 계단(2)의 최대 두께(hs)와 상하의 안전거리(h11, h12)로 결정되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H1)는 H1= r+2hs+(h11+h12)가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계단 후륜(24)의 회전지름(r)은 r = 100mm, 계단(2)의 최대 두께(hs)는 hs = 270mm, 상하의 안전거리(h11, h12)는 각각 20mm로 (h11+h12)=40mm이기 때문에 계산하면 H1=100+(2×270)+40=680mm이 된다. 이 치수 H1=680mm는 계단(2)의 최대 두께(hs)가 복로(復路)에 있어서도 왕로(往路)와 동일한 에스컬레이터의 두께(H1)를 좌우하는 것으로서 계산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복로측에서의 회전지름은 약간 작아도 된다.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H)는 680mm보다 얇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도 5 내지 도 8에 각각 나타내는 상태와 같이 반전부(14)에는 합계 2매의 계단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 (H1 또는 H2)는 반전부(14)에 2개의 계단이 다다른 2개의 포인트(a, b) 사이의 거리에 약간의 안전거리를 가한 치수로 결정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H)는 발판(21) 길이(Ls)의 2매분의 길이를 초과하는 일은 없고, 이 실시예에서도 762mm 미만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보다 작은 구동 스프로킷을 사용할 수 있어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양쪽 끝부에 있어서의 계단과 체인과의 연결부의 회전궤적을 체인의 이동궤적보다 에스컬레이터의 끝부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또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양쪽 끝부에서 체인의 이동궤적이 원호를 그리도록 체인을 안내하는 수단과, 이 원호를 그림으로써 단축하고자 하는 인접하는 2개의 계단의 상기 체인의 연결부 사이의 직선거리를 에스컬레이터 양쪽 끝부에서 신장하도록 안내하는 계단 안내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양쪽 끝부에 있어서의 계단의 회전지름을 작게 하여도 인접하는 계단 사이의 간섭은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계단의 회전지름을 종래보다 작게 할 수 있어 상기한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를 계단의 높이방향 치수의 2배 이상이고, 또한 발판의 진행방향길이의 2배 이내로 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두께치수를 작게 한 에스컬레이터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

  1. 서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를 가지며, 양쪽 끝부에서 방향전환하도록 무단형상으로 구성된 체인과;
    상기 체인과 함께 상기 양쪽 끝부에서 반전하도록 상기 체인에 연결된 다수의 계단과;
    이들 계단군을 구동하는 수단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두께 치수를 상기 계단의 높이 치수의 2배 이상으로 하고, 또한 상기 발판의 진행방향 길이의 2배 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장치.
  2. 서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를 가지며, 양쪽 끝부에서 방향전환하도록 무단형상으로 구성된 체인과;
    발판과 라이저 및 전륜과 후륜을 구비하고, 상기 양쪽 끝부에서 반전하도록 상기 체인에 연결된 다수의 계단과;
    이들 계단군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승강구 바닥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 본체 하부까지의 두께 치수를 상기 계단의 높이 치수의 2배 이상으로 하고, 또한 상기 발판의 진행방향 길이의 2배 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장치.
KR10-2004-7001242A 1999-04-26 1999-04-26 에스컬레이터장치 KR100446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2210 WO2000064799A1 (fr) 1999-04-26 1999-04-26 Escalier roula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080A Division KR100445362B1 (ko) 1999-04-26 1999-04-26 에스컬레이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674A KR20040014674A (ko) 2004-02-14
KR100446920B1 true KR100446920B1 (ko) 2004-09-03

Family

ID=142355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080A KR100445362B1 (ko) 1999-04-26 1999-04-26 에스컬레이터장치
KR10-2004-7001242A KR100446920B1 (ko) 1999-04-26 1999-04-26 에스컬레이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080A KR100445362B1 (ko) 1999-04-26 1999-04-26 에스컬레이터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90270B1 (ko)
EP (2) EP1471031B1 (ko)
JP (1) JP3704363B2 (ko)
KR (2) KR100445362B1 (ko)
CN (1) CN1173877C (ko)
DE (2) DE69940408D1 (ko)
TW (1) TW542820B (ko)
WO (1) WO20000647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2231B2 (ja) * 1999-12-16 2004-09-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路設備
JP4688276B2 (ja) * 2000-11-09 2011-05-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装置
JP2003081567A (ja) * 2001-09-13 2003-03-19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
JP4810030B2 (ja) * 2001-09-26 2011-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傾斜部高速エスカレータ
JP4266128B2 (ja) * 2003-05-06 2009-05-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動道路
JP4495181B2 (ja) * 2007-03-09 2010-06-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FI121783B (fi) * 2008-09-22 2011-04-15 Kone Corp Henkilökuljetin
WO2010045800A1 (zh) * 2008-10-21 2010-04-29 苏州市申龙电梯有限公司 可折叠式自动扶梯下水平端转向机构
US8701861B2 (en) 2009-10-16 2014-04-22 Otis Elevator Company Passenger conveyor with movable lateral panel members
CN102442601A (zh) * 2010-10-08 2012-05-09 苏州帝奥电梯有限公司 自动扶梯的梯级链轮
JP2013538770A (ja) * 2010-10-08 2013-10-1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可動側方パネル部材を備える乗用コンベヤ
CN102442600A (zh) * 2010-10-08 2012-05-09 苏州帝奥电梯有限公司 自动扶梯梯级主轮与梯级链条的连接结构
EP2872434B1 (en) 2012-07-10 2017-03-01 Otis Elevator Company Drive system for passenger conveyor
CN103387174B (zh) * 2013-07-15 2015-05-06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一种扶梯用手扶带分离角轴
DE102017004507A1 (de) * 2017-05-11 2018-11-15 Michael Kollmey Rolltrepp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30022A1 (de) * 1965-08-17 1969-09-25 Rathgeber Ag Waggonfab Jos Rollsteig mit vertikaler Umlenkung
JPS5211833B2 (ko) * 1972-09-29 1977-04-02
US4397096A (en) * 1981-08-14 1983-08-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the drive units of a plural drive escalator
JPS58207207A (ja) * 1982-05-28 1983-12-02 Hitachi Ltd チエン
JPH04358687A (ja) * 1991-06-05 1992-12-11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
JP3398833B2 (ja) * 1997-03-14 2003-04-21 ダイコー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ーのステップの方向転換方法および方向転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1031B1 (en) 2009-02-11
EP1174383A4 (en) 2002-11-06
EP1174383A1 (en) 2002-01-23
CN1173877C (zh) 2004-11-03
WO2000064799A1 (fr) 2000-11-02
US6390270B1 (en) 2002-05-21
CN1337917A (zh) 2002-02-27
TW542820B (en) 2003-07-21
DE69932640D1 (de) 2006-09-14
KR20020006025A (ko) 2002-01-18
DE69940408D1 (de) 2009-03-26
EP1174383B1 (en) 2006-08-02
JP3704363B2 (ja) 2005-10-12
KR100445362B1 (ko) 2004-08-21
KR20040014674A (ko) 2004-02-14
DE69932640T2 (de) 2007-08-09
EP1471031A1 (en) 200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920B1 (ko) 에스컬레이터장치
US4662502A (en) Curved escalator
JPH08217368A (ja) エスカレータ又は動く歩道用のエンドレスベルトを案内する装置
JP2540965B2 (ja) 中間高速エスカレ―タ―
JP2002145568A (ja) 乗客コンベア装置
EP1479640A1 (en) Conveyor device
JP4495181B2 (ja) 乗客コンベア
JP3972143B2 (ja) エスカレーター装置
EP0443039B1 (en) Conveying machine
EP0593787B1 (en) Driving mechanism in coupled conveying apparatus
US7665594B2 (en) Passenger conveyor
JP4326076B2 (ja) マンコンベア
JP2001316066A (ja) 乗客搬送コンベア装置
EP1468951A1 (en) Sloped part high-speed escalator
KR100396610B1 (ko) 맨콘베이어용 핸드레일 구동 장치
JP4067657B2 (ja) 水平循環式動く歩道
JP2001019324A (ja) コンベア装置
JP2001139272A (ja) マンコンベアのガイドレール支持装置
JP2020125199A (ja) マンコンベヤの製造方法
JPH11106170A (ja) 乗客コンベヤ装置
JPH0543180A (ja) マンコンベア
JPH069184A (ja) 連結式搬送機
JPH11278781A (ja) 乗客コンベヤの櫛歯構造
JPS6127887A (ja) 曲線形乗客コンベヤの従動鎖歯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