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886B1 -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886B1
KR100445886B1 KR10-2001-7014448A KR20017014448A KR100445886B1 KR 100445886 B1 KR100445886 B1 KR 100445886B1 KR 20017014448 A KR20017014448 A KR 20017014448A KR 100445886 B1 KR100445886 B1 KR 100445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blocking unit
case
circuit breaker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2489A (ko
Inventor
다카하시스스무
후시미마사히로
호소가이세쓰오
야마가타신지
하야시미치히로
스즈키료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1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35Contacts and the arc extinguishing space inside individual separate cases, which ar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5Constructional details of housings or casings not concerning the mounting or assembly of the different internal parts
    • H01H71/0257Strength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09Interconnected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64Mountings or coverplates for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e.g. snap mounting in panel
    • H01H71/0271Mounting several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together

Landscapes

  • Breakers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각 차단유닛간에 상간블럭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단락전류 같은 대전류가 흐른 경우에, 접점간에 발생하는 아크가스의 폭풍의 유동에 의해, 차단유닛을 구성하는 케이스가 파괴하기 힘든 회로차단기를 얻게 된다.
가동접촉자(18)와 고정접촉자(17)로된 접촉자기구와 이 접촉자기구를 개폐동작시키는 개폐기구(30)와 접촉자기구가 개리했을때 발생하는 아크를 소정방향으로 유인하는 소호장치(59)와, 각 기구 및 장치를 수납하도록 형성된 광체(10)를 소유하는 회로차단기에서, 접촉자기구 및 소호장치를 절연재료제의 케이스(51),(52)을 구성하는 동시에 단극의 차단유닛을 상호밀착해서 다수병설하고 다극회로차단기를 구성한다.

Description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
도 12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원평 11-221501호 명세서에 표시된 선행하는 기술의 당사의 회로차단기를 일부 절결한 단면도이고 폐로상태를 표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선(XⅢ)-(XⅢ)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표시하는 회로차단기가 전자반발 동작해서 가동접촉자가 개리한 상태를 표시한다. 도 15는 도 12에 표시한 회로차단기가 트립동작한 상태를 표시한다. 도 16은 도 12에 표시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유닛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10은 광체이고, 베이스(11)와 커버(12)와 보조커버(13)로 구성되어 있고, 어느 것이나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14는 같은 재료로 형성된 핸들이다. 35는 크로스바이고, 합성수지재료로된 로터부(15)와 연결핀(16)으로 이루어지고, 다수극의 로터부(15)가 연결핀(16)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핀(16)은 후술하는 개폐기구(30)에 연결되어 있다. 17은 고정접촉자이고, 고정접점(17a)을 가지고 있다. 18은 가동접촉자이고, 가동접점(18a)을 가지며, 축(19)주변에 로터부(15)에 회전이 가능하게 보존되어 있다.
이 가동접촉자(18)는 가동자스프링(21)에 의해 화살표 C방향으로 작동되고 있다. 즉, 가동자스프링(21)은 비틀림스프링이고, 일단이 로터부(15)의 외주부에 걸어맞춰지고, 타단을 가동접촉자(18)에 걸어맞춤으로써 가동접촉자(18)가 화살표 C방향으로 작동되고 있다. 따라서 가변접촉자(18)는 로터부(15)에 관계없이 가동자스프링(21)에 반대해서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가동접촉자(18)는 크로스바(35)의 회동동작에 연동하는 것이다. 즉, 후술하는 개폐기구(30)의 동작에 의해 크로스바(35)의 로터부(15)가 회동하면 그 회동에 가동접촉자(18)가 종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한 구성에서 고정접촉자(17), 가동접촉자(18) 및 크로스바(35)등에 의해 접촉자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20은 가동자홀더이고, 한쌍의 접속도체(20a)(도 13에 표시한다)가 가동접촉자(18)의 양측면을 양측에서 끼고, 가동자스프링(21)에 압압되어 전기적접촉을 보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22는 트립바이고, 과전류트립장치(도시않음)의 동작에 연동해서 회동된다. 트립퍼(22)가 축(28)을 지점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했을때 개폐기구(30)가 작동된다. 이 작동에 의해 크로스바(35)를 회동시켜서 가동접촉자(18)를 고정접촉자(17)로부터 개리시키고 자동차단(트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핸들(14)에 의해 개폐기구(30)를 작동할 수 있는 것을 주지하는 바와 같다.
23은 접촉자기구 및 소호장치 등에 의해 구성된 차단유닛이다.
즉, 도 13 표시한 바와 같이 23a는 제 1의 케이스, 23b는 제 2의 케이스이고, 어느 것이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접촉자(17)와 가동접촉자(18)와, 축(19)과, 가동자홀더(20)와, 가동자스프링(21)과, 크로스바(35)로 구성되는 접촉자기구와, 소호장치(도시않음)가 수납되고 있다. 상기 제 1의 케이스(23a)와 제 2의 케이스(23b)는 다수의 리벳(24)(도 12에 표시)으로 결합해서 유닛화되어 있다. 또,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중앙극과, 이 중앙극에 인접하는 제 1의 케이스(23a)의 측벽에는 제 1의 케이스관통공(23c)이 중앙극과, 이 중앙극에 인접하는 제2의케이스(23b)의 측벽에는 제2의 케이스관통공(23d)이 뚫려있다. 크로스바(35)의 로터부(15)의 한쌍의 측벽에는 로터관통공(15a)이 뚫려있다.
이 로터관통공(15a)과 케이스관통공(23c),(23d)의 관계는 개폐기구(30)가 크로스바(35)를 통해서 가동접촉자(18)를 폐로상태로 하고 있을때는 상기 케이스 관통공(23c),(23d)과 로터관통공(15a)이 연통해서 아크가스방출공의 주요부가 형성된다. 이 아크가스방출공은 개폐기구(30)가 크로스바를 통해서 가동접촉자(18)를 개로상태로 했을때는 로터부(15)가 회동되므로 케이스관통공(23c),(23d)과 로터부(15)에 의해 폐쇄된다. 즉, 개구하고 있던 아크가스방출공이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5는 베이스(11) 및 커버(12)의 내부에 형성된 상간블록이고,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판부(25a)와 이 가판부(25a)에서 양측으로 돌출한 격벽(25b)이 형성되고, 중앙극과 그 양측의 인접극간의 소정치수 L를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격벽(25b)과, 차단유닛(23)의 중앙극과, 이 중앙극에 인접하는 제 1의 케이스(23a)의 외벽면(23e)사이에서 제 1의 케이스관통공(23c)과 연통하는 제 1의 통기홈(25c)이 형성되어 있다. 또, 격벽(25b)과 차단유닛(23)의 중앙극과 이 중앙극에 인접하는 제 2의 케이스(23b)의 외벽면(23f)과의 사이에서 제 2의 케이스관통공(23d)을 연통하는 제 2의 통기홈(25d)이 형성되어 있다. 또 로터관통공(15a)과 제 1의 케이스관통공(23c) 및 제 2의 케이스관통공(23d)과, 제 1의 통기홈(25c) 및 제 2의 통기홈(25d)으로 아크방출공의 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26은 트립용 액추에이터이고,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 트립바(22)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26b)와, 타단에 밸브부(26b)가 형성되고, 축(31)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27은 트립용 액추에이터(26)를 반시계방향으로 작동하는 비틀림스프링이고, 보통때는 밸브부(26b)가 제 1의 통기홈(25c) 및 제 2의 통기홈(25d)을 막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다. 도 13에 표시한 40은 중앙극에 내장되는 개폐기구(30)를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로차단기에서는 단락전류 같은 대전류가 흐르면 조기상태에서는 고정접촉자(17) 및 가동접촉자(18)에 흐르는, 서로 역방향의 평행전류 때문에, 고정접촉자(17) 및 가동접촉자(18)가 전자반발 동작해서 도 14에 표시하는 상태가 된다.
이 전자반발에 의해 가동접촉자(18)가 고정접촉자(17)로부터 개리되고, 고정접점(17a)과 가동접점(18a)사이에 아크A가 발생된다. 계속해서, 이 아크A는 가스상태가 되고 주위의 기체를 급격히 팽창시키며, 폭풍이 되어 차단유닛(23)내의 공간전역에 유동한다.
이 아크가스의 폭풍은 도시하지 않은 소호장치에 의해 유도되고 외부로 배출되는 동시에 예를 들면 도 13에 화살표 B로 표시하는 방향에도 유동하고, 로터관통공(15a)에서 케이스관통공(23c),(23d)을 통해서 상간블록(25)의 통기홈(25c), (25d)을 향해 방출된다. 이 통기홈(25c),(25d)을 향해서 방출되는 아크가스의 폭풍에 의해 트립용 액추에이터(26)의 밸브부(26b)가 압압되어 좌방향으로 구동한다. 이로써,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트립용 액추에이터(26)는 축(31)을 지점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트립용 액추에이터(26)의 회동에 의해 걸어맞춤부(26a)가 트립바(22)와 걸어맞춰서 트립바(2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에 의해 주지하는 토글링크기구에 의한 개폐기구(30)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아크A 발생후의 보다 빠른시간에 자동차단(트립)이 되고, 도 15에 표시하는 상태가 된다.
이 같은 다극의 회로차단기를 구성하는데는 다수의 단극의 차단유닛(23)을 적당한 폭의 광체(10)의 내부에 배열한다.
상기와 같은 선행하는 기술의 회로차단기에서는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자기구 및 소호장치 등에 의해 구성된 단극의 차단유닛(23)을 3개 병렬로 광체(10)의 내부에 수납하고 3극의 회로차단기를 구성하고 있으나, 회로차단기가 배전패널위에 여러개 인접시켜서 배치되며 급전바 등에 접속되는 경우 접속단자인 각 극의 고정접촉자(17)간을 소정치수(L), 예를 들면 35밀리미터로 확보할 필요가 있고, 각 차단유닛(23)간에 상간블록(25)을 설치하고 있었으나, 상간블록(25)을 통해서 각 차단유닛(23)을 위치결정하므로 전후 좌우 상하의 조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나, 각 차단유닛(23)의 폭치수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각각의 차단유닛(23)은 같은 것을 3개 병렬로 배치하고 있으며 그 제 1의 케이스(23a)의 측벽(23h),(23j)과 제 2의 케이스(23b)의 측벽(23m),(23n)은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극의 차단유닛(23)의 측벽(23h),(23j),(23m),(23n)은 개폐기구(30)를 지지하는 프레임(40)으로 보강되고, 중앙극과 인접하는 좌우극(이하 도 13에서 상측이 좌극, 하측이 우극이라 한다)의 차단유닛(23)의 외측의 측벽(23h),(23j),(23m),(23n)은 광체(10)의 베이스측벽(11a)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나, 좌극의 차단유닛(23)의 케이스(23b) 및 우극의 차단유닛(23)의 케이스(23a)의 중앙극측의 측벽(23m),(23n) 및 (23h),(23j)은 보강이 없고, 얇으며 단락전류 같은 대전류를 차단시에 발생한 아크가스의 폭풍에 의해 파괴하기 쉽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상간블록(25)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차단유닛(23)의 케이스(23a), (23b)의 측벽의 두께에 스스로 제한이 있고, 보다 강도높은 케이스(23a),(23b)를 제공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것으로 각 차단유닛에 상간블록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차단유닛을 구성하는 케이스가 파괴되기 어려운 회로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관한 회로차단기에서는 통전회로에 단락전류가 흘렀을때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사이에서 전자반발이 생기도록 형성된 접촉자기구와, 접촉자기구의 가동접촉자에 크로스바를 통해서 연결함으로써 가동접촉자를 개폐동작시키는 개폐기구와, 통전회로의 전류가 소정치를 초과했을때 트립바를 작동시켜서 개폐기구를 통해서 접촉자기구를 개리시키는 트립기구와 접촉자기구가 개리했을때 발생하는 아크를 소정방향으로 유인하는 소호장치와, 각 기구 및 장치를 수납하도록 형성된 광체를 갖는 회로차단기에서 접촉자기구와 크로스바 및 소호장치를 절연재료제의 케이스에 수납해서 단극의 차단유닛을 구성하는 동시에 단극의 차단유닛을 서로 밀착해서 여러개 병설해서 다수극의 차단유닛을 구성한 것이다.
또, 중앙극의 차단유닛과, 이 중앙극의 차단유닛과 광체에 인접하는 인접극의 차단유닛을 구비하고, 이 인접극의 차단유닛의 케이스의 중앙극에 인접하는 측의 측벽의 두께를 광체에 인접하는 측의 측벽의 두께보다 두껍게 한 것이다.
또, 인접극의 차단유닛에 체결부를 두고, 이 체결부에서, 체결부재로 차단유닛을 광체의 베이스에 고정한 것이다.
또, 중앙극의 차단유닛의 케이스에 설치된 돌출부와 인접극의 차단유닛의 케이스에 설치되고 돌출부와 끼워맞추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다수의 차단유닛을 일체화 한 것이다.
또, 돌출부는 쐐기상태, 오목부는 더브테일홈으로 한 것이다.
또, 중앙극의 차단유닛과, 이 중앙극의 차단유닛과 광체에 인접하는 인접극의 차단유닛을 구비하고, 이 인접극의 차단유닛의 케이스의 광체에 인접하는 쪽의 측벽의 두께를 중앙극에 인접하는 측의 측벽 두께보다 두껍게 한 것이다.
또, 차단유닛의 케이스에 설치된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끼워맞추는 돌출부를 갖는 고정접촉자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접촉자기구 및 소호장치 등이 케이스에 수납된 단극차단유닛에 의해 구성되고, 이 단극차단유닛이 다수 광체에 수납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을 표시하는 회로차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을 표시하는 회로차단기의 평면도.
도 3은 도2의 선(Ⅲ)-(Ⅲ)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을 표시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유닛의 요부평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를 표시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유닛의 요부평면단면도.
도 6은 도 5의 선(Ⅵ)-(Ⅵ)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을 표시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유닛의 요부평면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를 표시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유닛의 요부평면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를 표시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유닛의 요부평면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을 표시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유닛의 도면이고, (a)는 정면단면도, (b)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의 고정접촉자를 표시하는 3면도.
도 12는 선행하는 기술의 회로차단기를 표시하는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선(XⅢ)-(XⅢ)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회로차단기가 전자반발 동작한 상태를 표시하는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
도 15는 도 12의 회로차단기가 트립동작한 상태를 표시하는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
도 16은 선행하는 기술의 회로차단기의 차단유닛을 표시하는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의 형태 1.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 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을 표시하는 회로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로차단기으 커버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2의 선(Ⅲ)-(Ⅲ)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차단유닛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0)내지(22),(24),(28),(30),(35),(40)은 상기 선행기술의 장치와 같은 것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표시하는 회로차단기는 합성수지재료 등의 절연재료로 형성된 베이스(11)와 커버(12)와 보조커버(13)로 되는 광체(10)의 내부에 후술하는 차단유닛(50),(53),(56)이 수납되어 있다. 도 4에서 50은 중앙극(이하 C극이라함)의 차단유닛, 53은 중앙극과 인접하는 좌극(이하 L극이라함)의 차단유닛, 56은 중앙극과 인접하는 우극(이하 R극이라함)의 차단유닛이다.
51은 C극의 제 1의 케이스, 52는 C극의 제 2의 케이스, 54는 L극의 제 1의 케이스, 55는 L극의 제 2의 케이스, 57은 R극의 제 1의 케이스, 58은 R극의 제 2의 케이스이고 어느 것이나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료로 형성되고, 고정접촉자(17)와 가동접촉자(18)와, 축(19)과, 가동자홀더(20)와, 가동자스프링(21)과 크로스바(35)로 구성되는 접촉자기구와, 소호장치(59)(도 3에 표시함)가 수납되고, 차단유닛 (50) ,(53),(56)이 각각 다수의 리벳(24)으로 결합해서 유닛화되어 있다.
또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C극의 제 1의 케이스(51)의 측벽(51a)과 제 2의 케이스(52)의 측벽(52a)은 같은 두께, 제 1의 케이스(51)의 측벽(51b)과 제 2의 케이스(52)의 측벽(52b)은 같은 두께이고, 선행기술의 장치와 같은 두께이다.
L극의 제 1의 케이스(54)의 측벽(54a)과 C극의 제 1의 케이스(51)의 측벽 (51a)은 같은 두께, L극의 제 1의 케이스(54)의 측벽(54b)과 C극의 제 1의 케이스 (51)의 측벽(51b)의 두께는 같은 두께이나, L극의 제 2의 케이스(55)의 측벽(55a)의 두께는 L극의 제 1의 케이스(54)의 측벽(54a)보다도 두껍게 형성되고, L극의 제 2의 케이스 (55)의 측벽(55b)의 두께는, L극의 제 1의 케이스(54)의 측벽(54b)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 R극의 제 2의 케이스(58)의 측벽(58a)과 C극의 제 2의 케이스(52)의 측벽(52b)은 같은 두께, R극의 제 2의 케이스(58)의 측벽(58b)과 C극의 제 2의 케이스(52)의 측벽(52b)은 같은 두께이고, 선행기술의 장치와 같은 두께가 얇으나, R극의 제 1의 케이스(57)의 측벽(57a)의 두께는 R극의 제 2의 케이스(58)의 측벽(58a)보다도 두껍게 형성되고, R극의 제 1의 케이스(57)의 측벽(57b)의 두께는 R극의 제 2의 케이스(58)의 측벽(58b)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로차단기에서는 단락전류와 같은 대전류가 흐르면 초기상태에서는 고정접촉자(17) 및 가동접촉자(18)에 흐르는 서로 역방향의 평행전류 때문에 고정접촉자(17) 및 가동접촉자(18)가 전자반발한다. 이 전자반발에 의해 가동접촉자(18)가 고정접촉자(17)에서 개리되고, 고정접점(17a)와 가동접점(18a)사이에 아크A(도 3에 표시한다)가 발생한다.
계속해서, 이 아크A는 가스상태가 되고 극위의 기체를 급격하게 팽창시키며 폭풍이 되어 차단유닛(50)내의 공간전역에 유동한다.
이후의 동작은 과전류 트립장치(도시않음)의 동작에 연동해서 트립바(22)가 회동하고, 주지의 토글링크기구에 의한 개폐기구(30)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아크 발생후의 보다 빠른시간에 자동차단(트립)이 된다.
이 실시의 형태 1의 구성에 의하면 접촉자기구와 크로스바(35) 및 소호장치 (59)를 절연재료제의 케이스에 수납해서 단극의 차단유닛을 구성하는 동시에 단극의 차단유닛을 상호밀작해서 여러개 병설해서 다수극의 차단유닛을 구성하였으므로 선행하는 기술의 회로차단기와 같은 각 극의 고정자접촉자(17)간의 소정치수 L를 확보하기 위해 각 차단유닛간에 설치된 상간블록(25)이 불필요하게 되며 값싸고 소정치수 L를 확보하기 쉬우며, 또 차단유닛을 폭넓게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고정접촉자(17)등을 폭넓게 할 수 있고, 고정격차단용량의 회로차단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L,R극의 차단유닛(53),(56)의 중앙극측, 즉 L극의 제 2의 케이스(55)의 측벽(55a),(55b)의 두께 및 R극의 제 1의 케이스(57)의 측벽(57a),(57b)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고, 측벽(55a),(55b),(57a),(57b)의 외단면을 C극의 측벽(51a),(51b),(52a),(52b)과 접촉시키며, 소정치수 L를 확보하도록 하였으므로 측벽강도가 높여지고, 단락전류 같은 대전류를 차단시에 발생한 아크가스에 의한 폭풍에 의해 케이스 (55) ,(57)가 파괴되기 힘들게 된다.
실시의 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를 표시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유닛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Ⅵ)-(Ⅵ)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7) 내지 (21), (50) 내지 (58)은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것이다. 55c 및 55e (체결부(55c)의 하방에 설치된 관통공(57c)에 상당하는 것으로, 도시않음)는 L극의 제 2의 케이스(55)에 형성된 체결부 및 관통공(57c) 및 (57e)은 R극의 제 1의 케이스(57)에 형성된 체결부 및 관통공이고,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부착나사 (60) 및 넛(61)등으로 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차단유닛(53),(56)은 광체(10)의 베이스(11)에 고정되어 있다.
또, 체결부재로서는 부착나사(60) 대신에 탭핀나사(도시않음)를 사용해서 관통공(55e),(57e)이 없는 케이스(55),(57)에 나사로 조이고 베이스(11)에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리벳(도시않음)을 사용해서 베이스(11)에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실시의 형태 2의 구성에 의하면 L,R극의 차단유닛(53),(56)을 체결부재를 사용해서 베이스(11)에 고정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C극의 도체에 흐르는 전류와 L,R극에 흐르는 동방향의 전류에 의해 생기는 전자반발력에 의해 L,R극의 차단유닛 (53) 및 (56)이 C극의 차단유닛(50)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광체(10)인 베이스(11)나 커버(12)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을 표시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유닛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7)내지(21), (50)내지(58)은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것이다. (51d),(51e),(51f),(51g)는 C극의 제 1의 케이스(51)의 측벽 (51a),(51b)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 (52d),(52e),(52f),(52g)는 제 2의 케이스 (52)의 측벽(52a),(52b)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이다.
(55d),(55g)는 L극의 제 2의 케이스(55)의 측벽(55a),(55b)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 (57d),(57g)는 R극의 제 1의 케이스(57)의 측벽(57a),(57b)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이다.
(40a),(40b)는 프레임(40)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이다.
이 실시의 형태 3의 구성에 의하면 C극의 차단유닛(50)의 양측에 L,R극의 차단유닛(53),(56)을 조합해서 3극의 회로차단기의 차단유닛을 구성하는 경우에 다수의 돌출부(51d),(51g) 및 (52d),(52g)가 다수의 오목부(55d),(55g) 및 (57d), (57g)에 끼워맞추고, 다수의 돌출부(51e),(51f),(51e),(52f)가 프레임(40)의 관통공 (40a),(40b)에 끼워맞추므로 다수의 차단유닛(50),(53),(56)을 확실하게 위치결정해서 일체화 할 수 있고, 조립작업이 쉬워진다.
또 C극의 차단유닛(50)과 L,R극의 차단유닛(53),(56)은 서로 축(19)에 직교하는 면에 이동이 규제되므로, 차단시에 1극만의 차단유닛(50),(53),(56)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 돌출부와 이에 끼워맞추는 오목부로된 끼워맞춤부는 각 차단유닛(50),(53),(56)에 적어도 하나 있으면 되나, 실시의 형태 3과 같이 다수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의 형태 4.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를 표시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유닛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단면도이다. 도면에서(17)내지(21),(40),(40a),(40b),(50)내지 (58),(51e),(51f),(52e),(52f)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것이다.
51h,51j는 C극의 제 1의 케이스(51)의 측벽(51a)의 형성된 다수의 쐐기상 돌출부 52h,52j는 제 2의 케이스(52)의 측벽(52a),(52b)에 형성된 다수의 쐐기상 돌출부이다. 55h,55j는 L극의 제 2의 케이스(55)의 측벽(55a),(55b)에 형성된 다수의 도브테일홈, (57h),(57j)는 R극의 제 1의 케이스(57)의 측벽 (57a),(57b)에 형성된 다수의 도브테일홈이다.
이 실시의 형태 4의 구성에 의하면 C극의 차단유닛(50)의 양측에 L,R극의 차단유닛(53),(56)을 조합해서 3극의 회로차단기의 차단유닛을 구성할 때에 다수의 쐐기상 돌출부(51h),(51j) 및 (52h)(52j)가 다수의 도브테일홈(55h),(55j) 및 (57h),(57j)에 끼워맞추므로 다수의 차단유닛(50),(56)이 확실하게 위치결정해서 일체화가 되고, 조립작업이 쉬워진다. 또, C극의 도체에 흐르는 전류와 L,R극에 흐르는 동방향의 전류에 의해 생기는 전자반발력에 의해 L,R극의 차단유닛 (53),(56)이 중앙극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광체(10)인 베이스(11)나 커버(12)가 파괴하는 것을 방지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5.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를 표시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유닛의 요부평면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7)내지(21),(40),(50)내지(58)은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것이다. C극의 제 1의 케이스(51)의 측벽(51a)과 제 2의 케이스(52)의 측벽 (52a)은 같은 두께, C극의 제 1의 케이스(51)의 측벽(51b)과 제 2의 케이스(52)의측벽(52b)은 같은 두께이고, 선행기술의 장치와 같은 얇은 두께이다.
L극의 제 2의 케이스(55)의 측벽(55a)과 C극의 제 2의 케이스(52)의 측벽 (52a)의 두께는 같은 두께, L극의 제 2의 케이스(55)의 측벽(55b)과 C극의 제 2의 케이스 (52)의 측벽(52b)의 두께는 같은 두께이나, L극의 제 1의 케이스(54)의 측벽(54a)의 두께는 L극의 제2의 케이스(55)의 측벽(55a)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형성되고, L극의 제 1의 케이스(54)의 측벽(54b)의 두께는 L측의 제 2의 케이스(55)의 측벽(55b)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 R극의 제 1의 케이스(57)의 측벽(57a)과 C극의 제 1의 케이스(51)의 측벽(51a)은 같은 두께, R극의 제 1의 케이스(57)의 측벽(57b)과, C극의 제 1의 케이스 (51)의 측벽(51b)은 같은 두께이고, 선행기술의 장치와 같은 두께이나, R극의 제 2의 케이스(58)의 측벽(58a)의 두께는 R극의 제 1의 케이스(57)의 측벽(57a)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형성되고, R극의 제 2의 케이스(58)의 측벽(58b)의 두께는 R극의 제 1의 케이스(57)의 측벽(57b)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 51m,51n는 C극의 제 1의 케이스(51)의 측벽(51a),(51b)에서 돌출한 위치결정 돌기, 52m,52n는 C극의 제 2의 케이스(52)의 측벽(52a),(52b)으로부터 돌출한 위치결정 돌기이고, 그 선단부가 각각 인접극의 케이스(55),(57)의 외벽에 접촉해서 소정치수 L가 확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의 형태 5의 구성에 의하면 L극 및 R극의 외측의 케이스(54),(58)의 측벽(54a),(54b) 및 (58a),(58b)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였으므로 측벽(54a),(54b) 및 (58a),(58b)와 인접하는 부분의 베이스측벽(11a)(2점쇄선으로 표시)을 얇게 형성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차단유닛이 수납되는 베이스(11)의 재료로서 강도가 우수한 고가의 것을 채용하는 경우에 베이스측벽(11a)을 얇게 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11)의 재료비가 싸지고 값싼 회로차단기를 얻을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6.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을 표시하는 회로차단기의 차단유닛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단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차단유닛에 조립되는 고정접촉자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측면도이다.
도면에서, (15)내지(21),(24),(50)내지(52)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것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17b는 고정접촉자(17)의 단자부(17c)에 설치된 돌출부이다. 50s는 차단유닛 (50)의 케이스(51),(52)에 설치된 단자인출구이다. 50t는 단자인출구(50s)에 연속해서 설치된 케이스 오목부이고, 단자인출구(50s)에 고정접촉자(11)가 조립되었을때에 돌출부(17b)가 케이스 오목부(50t)에 끼워맞춰진다. 이때, 단자부(17c)의 양단면과 단자인출구(50s)의 측벽(51u),(52u)사이에는 극간 G가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의 형태 6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접촉자(17)에 돌출부(17b)를 설치해서 이 돌출부(17b)가 차단유닛(50)의 케이스(51),(52)의 케이스 오목부(50t)에 끼워맞추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단락전류 차단시나 단자부(17c)에 외부전선을 단자나사 (도시않음)로 체결할때에 단자부(17b)가 회전해도 돌출부(17b)를 통해서 케이스 오목부(50t)에서 회전력을 멈추고, 단자인출구(50s)의 측벽에는 극간(G)이 있으므로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고 케이스 오목부(50t)와 차단유닛(51),(52)의 양단면(51v),(52v)간의 강도가 강한 두꺼운 부분에 회전력이 작용하므로 차단유닛(51),(52)이 파손되기 힘들게 된다.
또, 선행기술의 장치와 같은 상간블록(25)이 없고 차단유닛을 넓은 폭으로 하였으므로 케이스 오목부(50t)도 폭넓게 되어 아주 적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회로차단기에 의하면 접촉자기구와 크로스바 및 소호장치를 절연재료제의 케이스에 수납해서 단극의 차단유닛을 구성하는 동시에 단극의 차단유닛을 서로 밀착해서 여러개 병설해서 다수극의 차단유닛을 구성하였으므로 선행하는 기술의 회로차단기 같은 각 극의 고정접촉자간의 소정치수를 확보하기 위해 각 차단유닛에 설치되는 상간블록이 불필요하게 되며, 값싸고, 소정치수를 확보하기 쉬우며 또, 차단유닛을 폭넓게 할 수 있고, 고정격차단용량의 회로차단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회로차단기에 의하면, 중앙극의 차단유닛과 이 중앙극의 차단유닛과 광체에 인접하는 인접극의 차단유닛을 구비하고 이 인접극의 차단유닛의 케이스의 중앙극에 인접하는 쪽의 측벽의 두께를, 광체에 인접한 쪽의 측벽의 두께보다 두껍게 하였으므로, 측벽강도가 높아지고, 단락전류 같은 대전류를 차단시에 발생한 아크가스에 의한 폭풍에 의해 케이스가 파괴되기 힘들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회로차단기에 의하면 인접극의 차단유닛에 체결부를 설치하고, 이 체결부에서 체결부재로 차단유닛을 광체의 베이스에 고정하였으므로 중앙극의 도체에 흐르는 전류와 인접극에 흐르는 같은 방향의 전류에 의해 생기는 전자반발력에 의해 인접극의 차단유닛이 이동하기 힘들게 되어 광체인 베이스나 커버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회로차단기에 의하면 중앙극의 차단유닛의 케이스에 설치된 돌출부와, 인접극의 차단유닛의 케이스 설치되어 돌출부와 끼워맞추는 오목부를 설치하였으므로 다수의 차단유닛을 확실하게 위치결정해서 일체화 할 수 있고 조립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의 회로차단기에 의하면 돌출부는 쐐기상, 오목부는 도브테일홈으로 하였으므로 다수의 차단유닛을 확실하게 위치결정해서 일체화 할 수 있고, 조립작업이 쉽게되는 동시에 중앙극의 도체에 흐르는 전류와 인접극에 흐르는 동방향의 전류에 의해 생기는 전자반발력에 의해 인접극의 차단유닛이 이동하기 어렵게 되고 광체인 베이스나 커버가 파괴하는 것을 방지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이 회로차단기에 의하면, 중앙극의 차단유닛과 이 중앙극의 차단유닛과 광체에 인접하는 인접극의 차단유닛을 구비하고, 이 인접극의 차단유닛의 케이스의 광체에 인접하는 쪽의 측벽의 두께를 중앙극에 인접하는 측의 측벽의 두께보다 두껍게 하였으므로, 차단유닛이 수납되는 베이스의 재료로서 값비싼 것을 채용하는 경우에, 베이스측벽을 얇게 형성 할 수가 있으므로 베이스의 재료비가 싸지고 값싼 회로차단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회로차단기에 의하면 차단유닛의 케이스에 설치된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끼워맞추는 돌출부를 갖는 고정접촉자를 설치하였으므로 단락전류차단시나 고정자접촉자의 단자부에 외부전선을 접속시에 차단유닛이 파손되기 힘들게 된다.

Claims (8)

  1. 통전회로의 단락전류가 흘렀을때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사이에서 전자반발이 생기도록 형성된 접촉자기구와, 상기 접촉자기구의 가동접촉자에 크로스바를 통해써 연결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촉자를 개폐동작시키는 개폐기구와, 상기 통전회로의 전류가 소정치를 초과했을 때 트립바를 작동시켜서 상기 개폐기구를 통해서 상기 접촉자기구를 개리시키는 트립기구와, 상기 접촉자기구가 개리했을때 발생하는 아크를 소정방향으로 유인하는 소호장치와, 상기 각 기구 및 장치를 수납하도록 형성된 광체를 갖는 회로차단에서 상기 접촉자기구와 상기 크로스바 및 소호장치를 절연재료제의 케이스에 수납해서 단극의 차단유닛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단극의 차단유닛을 상호밀착해서 다수병설하고, 다수극의 차단유닛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중앙극의 차단유닛과, 이 중앙극의 차단유닛과 광체에 인접한 인접극의 차단유닛을 구비하고, 이 인접극의 차단유닛의 케이스의 상기 중앙극에 인접하는 측의 측벽의 두께를 상기 광체에 인접하는 쪽의 측벽의 두께보다 두껍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인접극의 차단유닛에 체결부를 두고, 이 체결부에서 체결부재로 상기 차단유닛을 광체의 베이스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4. 제 1항에 있어서, 중앙극의 차단유닛의 케이스에 설치된 돌출부와 인접극의 차단유닛의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와 끼워맞추는 오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5. 제 4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쐐기상, 오목부는 도브테일홈으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6. 제 1항에 있어서,
    중앙극의 차단유닛과 이 중앙극의 차단유닛과 광체에 인접하는 인접극의 차단유닛을 구비하고, 이 인접극의 차단유닛의 케이스의 상기 광체에 인접하는 쪽의측벽의 두께를 상기 중앙극에 인접하는 쪽의 측벽의 두께보다 두껍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7. 제 1항에 있어서, 차단유닛의 케이스 설치된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끼워맞추는 돌출부를 갖는 고정접촉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8. 제 1항에 있어서, 개폐기구는 유닛케이스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KR10-2001-7014448A 2000-03-17 2000-03-17 회로차단기 KR100445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0/001673 WO2001071750A1 (fr) 2000-03-17 2000-03-17 Disjonc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489A KR20010112489A (ko) 2001-12-20
KR100445886B1 true KR100445886B1 (ko) 2004-08-25

Family

ID=1173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448A KR100445886B1 (ko) 2000-03-17 2000-03-17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87158B1 (ko)
JP (1) JP4232370B2 (ko)
KR (1) KR100445886B1 (ko)
CN (1) CN1196155C (ko)
DE (1) DE60016743T2 (ko)
ES (1) ES2234573T3 (ko)
WO (1) WO20010717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73750A1 (de) * 2003-04-30 2004-11-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omechanisches Schaltgerät
JP4650023B2 (ja) * 2005-02-25 2011-03-16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
AT509250A1 (de) 2008-03-05 2011-07-15 Moeller Gebaeudeautomation Gmbh Schaltgerät
CN101604600B (zh) * 2009-06-05 2012-10-03 上海诺雅克电气有限公司 带辅助支撑件的多极断路器
FR2950476B1 (fr) * 2009-09-18 2011-09-16 Schneider Electric Ind Sas Assemblage d'un dispositif de coupure multipolaire a double enveloppe et disjoncteur le comprenant
FR2950475B1 (fr) * 2009-09-18 2011-09-16 Schneider Electric Ind Sas Entretoise fonctionnelle de separation des ampoules dans un dispositif de coupure multipolaire, et disjoncteur
KR200482130Y1 (ko) * 2012-03-05 2016-12-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ES2694124T3 (es) * 2012-06-11 2018-12-18 Abb Oy Aparato de conmutación de la corriente eléctrica
CN207441642U (zh) * 2017-08-09 2018-06-01 施耐德电气工业公司 漏电断路器
CN109559947B (zh) * 2017-09-27 2020-11-27 常熟开关制造有限公司(原常熟开关厂) 一种多极断路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9446U (ko) * 1987-06-12 1988-12-22
JPH0721897A (ja) * 1993-06-29 1995-01-24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72059A (en) * 1972-01-20 1975-07-29 Kenneth R. Coley Integrated electrical distribution and ground fault protection system
JPS5352603Y2 (ko) * 1973-11-07 1978-12-15
JPS58131625A (ja) * 1982-01-30 1983-08-05 松下電工株式会社 多極型回路遮断器
JPS60250540A (ja) * 1984-05-25 1985-12-11 松下電工株式会社 デアイオンスイツチ
US4680564A (en) * 1984-10-01 1987-07-14 Siemens-Allis, Inc. Multi-pol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a common contact operating crossbar member
US4680562A (en) * 1985-07-29 1987-07-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tegral circuit interrupter with separable modules
FR2621424B1 (fr) * 1987-10-02 1992-12-31 Merlin Gerin Dispositif mecanique d'assemblage avec autocentrage de modules d'appareillage electrique
JPH01265423A (ja) * 1988-04-18 1989-10-23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
JPH01155634U (ko) * 1988-04-19 1989-10-25
JPH06119866A (ja) * 1992-10-06 1994-04-28 Fuji Electric Co Ltd 多極回路遮断器
JPH0741946U (ja) * 1993-12-21 1995-07-21 松下電工株式会社 多極回路遮断器
JPH087741A (ja) * 1994-06-20 1996-01-12 Fuji Electric Co Ltd 電気機器の端子カバ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9446U (ko) * 1987-06-12 1988-12-22
JPH0721897A (ja) * 1993-06-29 1995-01-24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71750A1 (fr) 2001-09-27
CN1196155C (zh) 2005-04-06
DE60016743D1 (de) 2005-01-20
JP4232370B2 (ja) 2009-03-04
EP1187158B1 (en) 2004-12-15
EP1187158A4 (en) 2003-07-09
EP1187158A1 (en) 2002-03-13
KR20010112489A (ko) 2001-12-20
DE60016743T2 (de) 2005-12-01
ES2234573T3 (es) 2005-07-01
CN1350695A (zh) 200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5228B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an instantaneous trip mechanism
KR100988100B1 (ko) 배선용 차단기
US6281459B1 (en) Circuit interrupter having an improved slot motor assembly
KR100445886B1 (ko) 회로차단기
EP0567614A1 (en)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WITH OVER-MOLDED MAGNET AND METAL PLATES.
JP2002519813A (ja) 極部の収容区画内に極軸が配置された高電流強さの低電圧多極回路遮断器
JP4760898B2 (ja) 回路遮断器
JP5845698B2 (ja) 回路遮断器
EP0128676B1 (en) Circuit interrupter
EP3382731B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920003465B1 (ko) 회로차단기
JP3843208B2 (ja) 多極回路遮断器
EP1414057B1 (en) Air circuit breaker
JP4147347B2 (ja) 配線用遮断器
JPS645338Y2 (ko)
JP4428076B2 (ja) 回路遮断器
JPH0133019B2 (ko)
JP4499890B2 (ja) 回路遮断器
US6747532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mploying neutral poles in multipole circuit breakers
JPH0246618A (ja) 回路しゃ断器の付属スイッチ操作装置
JPH0696656A (ja) 3極回路遮断器
JPH0125399Y2 (ko)
JP3418670B2 (ja) 回路遮断器
JP2002208339A (ja) 回路遮断器
JPH0750126A (ja) 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