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130Y1 -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130Y1
KR200482130Y1 KR2020120001697U KR20120001697U KR200482130Y1 KR 200482130 Y1 KR200482130 Y1 KR 200482130Y1 KR 2020120001697 U KR2020120001697 U KR 2020120001697U KR 20120001697 U KR20120001697 U KR 20120001697U KR 200482130 Y1 KR200482130 Y1 KR 200482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base
side base
sealing portion
rea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377U (ko
Inventor
구본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1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13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3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1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9/342Venting arrangements for arc chute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방측 베이스와 후방측 베이스의 테두리부에 서로 중첩되도록 제1 밀폐부와 제2 밀폐부를 형성함으로써, 단락 사고시 소호부에서 발생되는 아크와 아크 분진들이 내부 압력을 높이더라도 상기 전방측 베이스와 후방측 베이스의 사이를 제1 밀폐부와 제2 밀폐부로 막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아크와 아크 분진들이 베이스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 케이스가 파손되거나 내전압 전로가 만들어져 절연이 파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락 사고 발생 시 차단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 분진들에 의해 발생되는 내전압이 파괴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정격 전류가 흐를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통전상태를 유지하지만, 이상 상태인 사고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차단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배선용 차단기는 정상 상태에서는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는 항상 폐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이상 상태인 사고전류 발생 시에는 트립부에서 사고전류를 감지하여 기구부에 신호를 주게 되고 상기 기구부가 해지되면서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개극을 하여 사고전류를 안전하게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개극을 할 때 아크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 아크를 배출하고 소호하기 위한 아크 소호부가 기구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크 소호부는 베이스(base)에 감싸져 아크 분진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락 발생 후 내전압의 파괴를 방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배선용 차단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서 단극 차단 유닛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1)의 내부에 3상 교류의 각 상별로 마련되는 3개의 단극 차단 유닛(a,b,c)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극 차단 유닛(a,b,c)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로를 개폐하는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를 갖는 기구부(2)와, 상기 기구부(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구부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아크 소호부(미도시)와, 상기 기구부(2)의 일측에 설치되어 과부하 또는 순시 전류와 단락 전류을 검출하는 트립부(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기구부(2)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및 상기 아크 소호부는 베이스(4)에 의해 감싸져 있다.
상기 베이스(4)는 전방측 베이스(4a)와 후방측 베이스(4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방측 베이스(4a)와 후방측 베이스(4b)가 포개져 상기 기구부(2)를 수용하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측 베이스(4a)와 후방측 베이스(4b)는 그 단면들이 서로 접촉면을 이루면서 맞대기 모양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베이스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측 베이스(4a)와 후방측 베이스(4b)의 각 단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맞대기 결합됨에 따라 단락 사고 발생시 소호부에서 발생되는 아크와 아크 분진들이 순간적인 내부 압력에 의해 전방측 베이스(4a)와 후방측 베이스(4b) 사이를 벌어지게 하고, 그 사이 공간(t)으로 아크압과 분진들이 순간적으로 배출이 되어 케이스를 파손하거나 배출된 아크 분진들이 내전압 전로를 만들어 절연을 파괴하고 부하의 기기를 파손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단락 사고 발생시 소호부에서 발생되는 아크와 아크 분진에 의해 전방측 베이스와 후방측 베이스 사이로 아크압과 아크 분진들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회로를 개폐하는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상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사이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아크 소호부; 및 상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그리고 아크 소호부를 수용하여 아크 또는 아크 분진을 차단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복수 개가 결합되어 그 내부에 상기 기구부를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베이스는 양쪽 끝단이 서로 중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베이스 중에서 적어도 일측 베이스의 테두리부에는 그 테두리부에서 연장되어 타측 베이스와 중첩되도록 제1 밀폐부가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타측 베이스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1 밀폐부와 중첩되도록 제2 밀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는, 전방측 베이스와 후방측 베이스의 테두리부에 서로 중첩되도록 제1 밀폐부와 제2 밀폐부를 형성함으로써, 단락 사고시 소호부에서 발생되는 아크와 아크 분진들이 내부 압력을 높이더라도 상기 전방측 베이스와 후방측 베이스의 사이를 제1 밀폐부와 제2 밀폐부로 막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아크와 아크 분진들이 베이스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 케이스가 파손되거나 내전압 전로가 만들어져 절연이 파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배선용 차단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서 단극 차단 유닛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선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에서 단극 차단 유닛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단극 차단 유닛에서 베이스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따른 단극 차단 유닛에서 베이스를 조립하여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II-II"선단면도,
도 8은 도 6에 따른 제1 밀폐부에 대한 다른 예를 보인 "II-II"선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에서 단극 차단 유닛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단극 차단 유닛에서 베이스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따른 단극 차단 유닛에서 베이스를 조립하여 보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II-II"선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는 케이스(도 1에 도시)(1)의 내부에 3개의 단극 차단 유닛(도 1에 도시)(a,b,c)이 설치된다.
상기 단극 차단유닛(3개의 단극 차단 유닛 중에서, a를 대표예로 살펴본다)(a)은 회로를 개폐하도록 가동접촉자(11a)와 고정접촉자(11b)를 동작시키는 기구부(11)와, 상기 기구부(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구부(11)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 및 배출시키는 아크 소호부(12)와, 상기 기구부(11)의 타측에 설치되어 과부하 또는 순시 전류와 단락 전류을 검출하여 기구부에 전달하는 트립부(도 1에 도시(3)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구부(11)와 아크 소호부(12)는 베이스(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전방측 베이스(21)와 후방측 베이스(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측 베이스(21)와 후방측 베이스(22)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는 테두리부(211)(22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전방측 베이스(21)와 후방측 베이스(22)는 각각의 테두리부(211)(221)가 포개져 상기 기구부(11)와 아크 소호부(12)를 수용하는 내부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측 베이스(21)와 후방측 베이스(22)의 각 테두리부(211)(221)에는 그 테두리부의 일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도록 제1 밀폐부(211a)와 제2 밀폐부(221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전방측 베이스(21)의 테두리부(211)에는 내주측 끝단에서 테두리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밀폐부(211a)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측 베이스(22)의 테두리부(221)에는 내주측 끝단에서 상기 제1 밀폐부(211a)의 높이만큼 홈지게 제2 밀폐부(2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밀폐부(211a)는 전방측 베이스(21)의 테두리부(211) 두께보다 얇게, 대략 절반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단차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밀폐부(221a)는 상기 제1 밀폐부(211a)의 두께와 대응할 수 있도록 후방측 베이스(22)의 테두리부(221) 두께보다 얇게, 대략 절반 정도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 밀폐부(211a)는 전방측 베이스(21)의 테두리부(211)에서 외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밀폐부(221a)는 후방측 베이스(22)의 테두리부(221)에서 외주측 끝단으로부터 제1 밀폐부(211a)만큼 홈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밀폐부(211a)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테두리부(21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지 않고 도 8에서와 같이 테두리부(211)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절곡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밀폐부(221a)는 굳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면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전방측 베이스(21)와 후방측 베이스(22)의 각 단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맞대기 결합되는 경우에는, 단락 사고 발생시 소호부에서 발생되는 아크와 아크 분진들이 순간적인 내부 압력에 의해 전방측 베이스(21)와 후방측 베이스(22) 사이를 벌어지게 하여 그 벌어진 공간으로 아크압과 분진들이 순간적으로 배출이 되면서 상기 케이스를 파손하거나 배출된 아크 분진들이 내전압 전로를 만들어 절연을 파괴하고 부하의 기기를 파손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전방측 베이스(21)와 후방측 베이스(22)의 테두리부(211)(221)에 제1 밀폐부(211a)와 제2 밀폐부(221a)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전방측 베이스(21)와 후방측 베이스(22)의 각 테두리부(211)(221)가 일정 깊이만큼 중첩되도록 결합하게 되면, 단락 사고시 소호부에서 발생되는 아크와 아크 분진들이 내부 압력을 높여 상기 전방측 베이스(21)와 후방측 베이스(22)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t)만큼 벌어지게 되더라도 그 공간이 상기 제1 밀폐부(211a)에 막혀 상기 전방측 베이스(21)와 후방측 베이스(22)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소호부에서 발생되는 아크와 아크 분진들이 배출되는 것을 막아 케이스가 파손되거나 내전압 전로가 만들어져 절연이 파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20 : 베이스 21 : 전방측 베이스
211 : 테두리부 211a : 제1 밀폐부
22 : 후방측 베이스 221 : 테두리부
221a : 제2 밀폐부

Claims (4)

  1. 회로를 개폐하는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상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사이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아크 소호부; 및
    상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그리고 아크 소호부를 수용하여 아크 또는 아크 분진을 차단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복수 개가 결합되어 그 내부에 상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그리고 아크소호부를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베이스는 양쪽 끝단이 서로 중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베이스 중에서 적어도 일측 베이스의 테두리부에는 그 테두리부에서 연장되어 타측 베이스와 중첩되도록 제1 밀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베이스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1 밀폐부와 중첩되도록 제2 밀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밀폐부와 제2 밀폐부는 각각 해당 베이스와 동일한 두께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밀폐부와 제2 밀폐부의 한 쪽 밀폐부는 다른 쪽 밀폐부와 중첩되도록 절곡되어 결합되는 배선용 차단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20001697U 2012-03-05 2012-03-05 배선용 차단기 KR200482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697U KR200482130Y1 (ko) 2012-03-05 2012-03-05 배선용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697U KR200482130Y1 (ko) 2012-03-05 2012-03-05 배선용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377U KR20130005377U (ko) 2013-09-13
KR200482130Y1 true KR200482130Y1 (ko) 2016-12-20

Family

ID=5243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697U KR200482130Y1 (ko) 2012-03-05 2012-03-05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130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30840T2 (de) * 1999-12-02 2007-03-15 Mitsubishi Denki K.K. Leistungsschalter
WO2001071750A1 (fr) * 2000-03-17 2001-09-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joncte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377U (ko) 201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8711C (zh) 断路器
EP2393095B1 (en) Mold cased circuit breaker
CN105826099B (zh) 低压开关极
KR101986552B1 (ko) 직류용 기중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WO2013127084A1 (zh) 一种带有固定断口的真空灭弧室
KR102558810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KR101522268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1677998B1 (ko) 배선용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EP3358594B1 (en) Single-stage circuit breaker
KR200482130Y1 (ko) 배선용 차단기
KR20130089541A (ko) 배선용 차단기의 소호장치
KR200482131Y1 (ko) 배선용 회로차단기의 상부 커버
JP2006014479A (ja) 回路保護装置
KR101777613B1 (ko) 소형차단기
KR100919208B1 (ko) 배선용 차단기
JP4696665B2 (ja) 漏電遮断器
JP4223988B2 (ja) 電力系統の保護回路
KR200469073Y1 (ko) 절연보강부를 갖는 진공회로차단기
US9583937B2 (en) Low-, medium-, or high-voltage switchgear
KR101916218B1 (ko) 아크 배출 구조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커버
KR200479444Y1 (ko) 배선용 차단기
KR10138658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삼상일체형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
KR102467791B1 (ko) 주회로부 덮개를 갖는 회로 차단기
CN213716825U (zh) 用于浪涌保护器的后备保护器
KR101364633B1 (ko) 차단기의 절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