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583B1 - 배선용 차단기의 삼상일체형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삼상일체형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583B1
KR101386583B1 KR1020120140620A KR20120140620A KR101386583B1 KR 101386583 B1 KR101386583 B1 KR 101386583B1 KR 1020120140620 A KR1020120140620 A KR 1020120140620A KR 20120140620 A KR20120140620 A KR 20120140620A KR 101386583 B1 KR101386583 B1 KR 101386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barrier
case
cover
enclosur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기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0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14Housing or casing lateral walls containing guiding grooves or special mounting facil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64Protective covers f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01H2071/086Low power connections for auxiliary switches, e.g. shunt trip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삼상일체형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상일체형으로 형성된 러그 배리어에 의해 제품 내부 및 러그로 아크가 유기되는 것을 방지하고 절연성능이 향상되며, 각 선단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아크가 신속히 배출될 수 있으며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서 간편하게 조립되는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러그 배리어 및 외함구조는 각 상별로 러그가 구비되고 하부를 이루는 케이스와, 상부를 이루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아크, 가스 등을 차단하는 러그 배리어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외함에 있어서, 상기 러그 배리어는 상기 러그를 모두 포괄하는 넓이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각각 연장 형성되고 상기 러그에 각각 연통되는 다수개의 연장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연장관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삼상일체형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THREE PHASE INTEGRATED LUG BARRIER OF MOLDED CASE CIRCUIT BARRI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삼상일체형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상일체형으로 형성된 러그 배리어에 의해 제품 내부 및 러그로 아크가 유기되는 것을 방지하고 절연성능이 향상되며, 각 선단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아크가 신속히 배출될 수 있으며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서 간편하게 조립되는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송,변전이나 전기회로 등에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접지 혹은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전류를 차단시키는 기기를 말한다. 즉, 배선용 차단기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전기 선로를 개로(OFF) 또는 폐로(ON) 상태로 전환 시키며, 선로에 과부하 및 단락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회로를 차단하여 부하기기 및 선로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도 1에 배선용 차단기의 일반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배선용 차단기는 케이스와 커버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함(1); 외함(1) 내에 구비되는 전원측 단자, 전원측 단자와 연결된 고정접촉자(2), 고정접촉자(2)와 접속 또는 분리되면서 전류를 부하측단자로 통전시키거나 차단시키는 가동접촉자(3)로 이루어지는 전기접속부; 가동접촉자(3)에 접속되어 과전류를 검출하는 과전류검출소자(4); 및 가동접촉자(3)를 고정접촉자(2)에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개폐기구부(5)와 트립장치(7)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는 과전류나 이상전류가 흐를 경우 즉각적으로 고정접촉자로부터 가동접촉자가 분리되어 회로가 차단되도록 하는데, 이 때 열이나 가스, 아크(Arc)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열이나 가스, 아크 등은 단자부나 러그(Lug)에 접촉하여 부식이나 누적층을 형성하여 부품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도록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목적으로 개발된 부품이 러그 배리어(Lug Barrier)이다.
도 2 및 도 3에 종래 기술에 따른 러그 배리어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러그 배리어(30)는 R/S/T 각 상에 조립되어, AEC Base로부터 유출되는 아크가 러그(21)로 유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러그 배리어(30)는 아크 배출구에 마주하는 평면으로 설치되어, 아크의 배출을 방해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배출된 아크가 케이스(9) 내측이나 러그(21) 사이 및 상간으로 유기되어, 절연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러그 배리어(30)에 의해 아크의 신속한 배출이 방해를 받음으로 인해, 제품의 차단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삼상일체형으로 형성된 러그 배리어에 의해 제품 내부 및 러그로 아크가 유기되는 것을 방지하고 절연성능이 향상되며, 각 선단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아크가 신속히 배출될 수 있으며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서 암수형태로 간편하게 조립되는 삼상일체형 러그 배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러그 배리어 및 외함구조는 각 상별로 러그가 구비되고 하부를 이루는 케이스와, 상부를 이루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아크, 가스 등을 차단하는 러그 배리어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외함에 있어서, 상기 러그 배리어는 상기 러그를 모두 포괄하는 넓이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각각 연장 형성되고 상기 러그에 각각 연통되는 다수개의 연장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연장관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러그 배리어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될 때 상기 경사부가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 잇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관은 후면에는 단면이 삼각기둥 형상의 후면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가스 등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는 수직으로 측벽이 형성되어 상기 러그 배리어의 강도를 증대하고 상기 커버와 상기 러그 배리어를 조립시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관의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각 상을 구분하며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커버의 격벽과 이어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의 전단부에는 이중벽이 형성되어 각 상간의 절연거리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중벽은 좌측벽과 우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벽과 상기 우측벽에는 높이 중간부에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측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전단부의 이중벽 하단부 및 상기 케이스 전단부의 이중벽 상단부 에는 각각 요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러그 배리어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커버에 조립될 때 상기 측돌기부와 상기 요홈부가 암수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삼상일체형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에 의하면 삼상일체형으로 형성된 러그 배리어에 의해 제품 내부 및 러그로 아크가 유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현저하고 절연성능이 향상된다.
러그 배리어의 후단에 형성되는 경사부로 인해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인도하며 연장관 후부의 삼각형태의 후면돌출부로 인해 위 가스를 분리하여 경로를 인도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측벽과 이중벽에 형성된 측돌기부에 의해 커버와 케이스에 러그 배리어를 조립시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력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선용 차단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러그 배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러그 배리어의 작용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러그 배리어 및 외함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정면 위쪽에서 바라본 러그 배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후면 측상부에서 바라본 러그 배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러그 배리어 및 외함구조의 결합상세도이다.
도 9는 측상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러그 배리어 및 외함구조의 결합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는 러그(21)가 구비되고 하부를 이루는 케이스(9)와, 상부를 이루어 상기 케이스(9)에 결합되는 커버(8) 및 상기 케이스(9)와 상기 커버(8)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케이스(9)의 배출구(11)에서 배출되는 아크, 가스 등을 차단하는 러그 배리어(30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러그 배리어 및 외함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정면 위쪽에서 바라본 러그 배리어의 사시도이고, 도 7은 후면 측상부에서 바라본 러그 배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러그 배리어 및 외함구조의 결합상세도이고, 도 9는 측상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러그 배리어 및 외함구조의 결합상세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러그 배리어(300)는 R/S/T 각 상을 모두 포괄하는 면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01)를 갖는다. 베이스 플레이트(301)는 케이스 전면 상부를 가로질러 R/S/T 삼상의 러그(21)를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01)의 양측단에는 측벽(305)이 형성되어 러그 배리어(300)를 조립시 커버(8)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며 러그 배리어(300) 자체강도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측벽(305)의 후단부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연장관(310)이 베이스 플레이트(301)에 수직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연장관(310)은 각 상의 러그(21)에 연통되도록 자리하며 관으로 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01)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때 물론 연장관(310)의 하부면이 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01) 부분은 관통되어 홀이 형성된다. 연장관(310)이 형성됨으로 하여 단자로부터 러그(21)를 거쳐 케이스 상부에 이르기까지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접속부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이러한 접속부를 외부로부터 격리하여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격벽(320)이 연장관(310)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격벽(320)은 R/S/T 각 상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며 케이스(9) 및 커버(8)의 격벽에 이어져 연결된다. 격벽(320)의 중간부에는 높이를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 내부에는 관통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격벽(320)의 전단부는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이중벽(3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선용 차단기의 각 상 간에는 절연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충분한 절연거리가 필요하고 이러한 절연거리는 법규적으로도 규정되어 있으며 제한된 공간 내에서 필요한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이중벽이 선호되고 있다. 이중벽(330)은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형태로서 단면이 호리병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우측벽(331)과 좌측벽(332) 및 볼록홀(3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우측벽(331)과 좌측벽(332)은 높이 중간부에 수평면으로 돌출되는 측돌기부(331a,332a)가 형성된다. 측돌기부(331a,332a)에 대응해 케이스(9) 및 커버(8)의 이중벽에는 요홈부(31a,32a)가 각각 형성되어 조립시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며 암수구조로 맞물리므로 안정적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01)의 후단부는 하향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340)가 형성된다. 경사부(340)는 연장관(310)의 후부로부터 격벽(320)과 측벽(305)의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연장관(310)의 후부로부터 각 격벽(320)의 사이에 형성된다. 경사부(340)는 적절한 경사면과 절곡면으로 이루어져 끝단이 케이스(9)의 배출구(11) 하단부에 이를 수 있도록 한다. 경사부(340)가 형성됨으로 하여 배출구(11)에서 배출되는 아크 등의 가스는 러그(21)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고 베이스 플레이트(301)의 상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연장관(310)의 후면부에는 삼각기둥 형태로 된 후면돌출부(350)가 높이를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된다. 후면돌출부(350)에 의해 배출구(11)에서 배출되는 아크 등의 가스는 연장관(310)의 좌우로 분리되어 쉽게 흐를 수 있도록 분리된다.
커버(8) 전면부 상면에는 연장관(310)에 연통되는 커버홀(41)이 다수개 형성된다. 커버홀(41)은 각 연장관(310)의 위치에 맞닿아 형성된다.
커버(8) 전단부에 있는 이중벽의 하단부에는 러그 배리어(300) 격벽(320) 전단부에 있는 이중벽(330)에 결합되도록 요홈부(32a)가 형성된다. 커버(8)의 요홈부(32a)는 커버(8)의 이중벽이 러그 배리어(300)의 우측벽(331)과 좌측벽(332) 중간부에 형성된 측돌기부(331a,332a)에 얹혀 우측벽(331)과 좌측벽(332)을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한다. 암수구조로 되어 있어 조립시 결합이 용이하며 결합력이 증대된다.
케이스(9) 전단부에 있는 이중벽의 상단부에는 러그 배리어(300) 격벽(320) 전단부에 있는 이중벽(330)에 결합되도록 요홈부(31a)가 형성된다. 케이스(9)의 요홈부(31a)는 케이스(9)의 이중벽이 러그 배리어(300)의 우측벽(331)과 좌측벽(332) 중간부에 형성된 측돌기부(331a,332a)에 맞닿아 우측벽(331)과 좌측벽(332)을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한다. 암수구조로 되어 있어 조립시 결합이 용이하며 결합력이 증대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외함 2 고정접촉자
3 가동접촉자 5 개폐기구
7 트립장치 8 커버
9 케이스 11 배출구
21 러그 30 러그 배리어
31a,32a 요홈부 41 커버홀
300 러그 배리어 301 베이스 플레이트
305 측벽 310 연장관
320 격벽 321 관통홀
330 이중벽 331 우측벽
331a,332a 측돌기부 332 좌측벽
333 볼록홀 340 경사부
350 후면돌출부

Claims (7)

  1. 각 상별로 러그가 구비되고 하부를 이루는 케이스와, 상부를 이루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아크, 가스 등을 차단하는 러그 배리어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러그 배리어는,
    상기 러그를 모두 포괄하는 넓이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각각 연장 형성되고 상기 러그에 각각 연통되는 다수개의 연장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연장관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러그 배리어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될 때 상기 경사부가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 잇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은 후면에는 단면이 삼각기둥 형상의 후면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가스 등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는 수직으로 측벽이 형성되어 상기 러그 배리어의 강도를 증대하고 상기 커버와 상기 러그 배리어를 조립시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의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각 상을 구분하며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커버의 격벽과 이어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전단부에는 이중벽이 형성되어 각 상간의 절연거리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은 좌측벽과 우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벽과 상기 우측벽에는 높이 중간부에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측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전단부의 이중벽 하단부 및 상기 케이스 전단부의 이중벽 상단부 에는 각각 요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러그 배리어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커버에 조립될 때 상기 측돌기부와 상기 요홈부가 암수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 구조.
KR1020120140620A 2012-12-05 2012-12-05 배선용 차단기의 삼상일체형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 KR101386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620A KR101386583B1 (ko) 2012-12-05 2012-12-05 배선용 차단기의 삼상일체형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620A KR101386583B1 (ko) 2012-12-05 2012-12-05 배선용 차단기의 삼상일체형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583B1 true KR101386583B1 (ko) 2014-04-18

Family

ID=5065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620A KR101386583B1 (ko) 2012-12-05 2012-12-05 배선용 차단기의 삼상일체형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576A (ko) * 2014-10-10 2016-04-20 이관희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366A (ko) * 2000-12-05 2002-06-15 이종수 배선용차단기의 아크가스 배기장치
KR20040067785A (ko) * 2003-01-22 2004-07-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차단기
KR20120041098A (ko) * 2010-10-20 2012-04-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로 차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366A (ko) * 2000-12-05 2002-06-15 이종수 배선용차단기의 아크가스 배기장치
KR20040067785A (ko) * 2003-01-22 2004-07-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차단기
KR20120041098A (ko) * 2010-10-20 2012-04-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로 차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576A (ko) * 2014-10-10 2016-04-20 이관희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KR101639707B1 (ko) 2014-10-10 2016-07-14 이관희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3245B2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N104637750B (zh) 塑壳断路器
EP2393095B1 (en) Mold cased circuit breaker
JP6454036B2 (ja) 直流配線用遮断器
JP5844872B2 (ja) 配線用遮断器
MX2012010930A (es) Camara de formacion de arco con compresion de arco mejorada disyuntor.
JP5886918B2 (ja) 配線用遮断器
CN111312559B (zh) 配线用断路器
RU2719326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модульном формате
JP6018143B2 (ja) 配線用遮断器
KR10138658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삼상일체형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
US20120125748A1 (en) Fully enclosed electronic trip unit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N105122415A (zh) 漏电检测解扣单元
JP4696665B2 (ja) 漏電遮断器
KR101522270B1 (ko) 차단기
KR101893670B1 (ko) 스위치 기어
KR101364633B1 (ko) 차단기의 절연 장치
KR200496737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JP6984029B2 (ja) 配線用遮断器の電子式トリップ装置
KR20230130265A (ko) 터미널 쇼트 방지를 위한 절연지를 구비한 기중 차단기
KR200482130Y1 (ko) 배선용 차단기
JP2003272510A (ja) 漏電遮断器
KR20170002495U (ko) 단자 커버 및 그를 갖는 차단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