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576A -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576A
KR20160042576A KR1020140136678A KR20140136678A KR20160042576A KR 20160042576 A KR20160042576 A KR 20160042576A KR 1020140136678 A KR1020140136678 A KR 1020140136678A KR 20140136678 A KR20140136678 A KR 20140136678A KR 20160042576 A KR20160042576 A KR 20160042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art
circuit breaker
branch circuit
arc gas
fro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9707B1 (ko
Inventor
이관희
이재일
Original Assignee
이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희 filed Critical 이관희
Priority to KR1020140136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70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2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락전류의 차단에 의해 방출되는 도전성 아크가스의 차단을 위한 차단수단이 형성된,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분기차단기는, 전면에 형성된 전면 케이스부; 및 자선부스바가 상측에 각각 접속되고 전원분배를 위한 전원선이 하측에서 각각 접속되도록 상하 측으로 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부와 착탈되는 후면 케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케이스부는,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접속단자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면케이스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상부면으로 연장되는 상부 아크가스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단락전류 차단 시 발생하는 전도성 아크가스가 인접한 분기차단기 측에 연결된 자선부스바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BRANCHING CIRCUIT BREAKER FORMED CUTTING PARTITION PART FOR CUTTING ARC GAS}
본 발명은 분기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락전류의 차단에 의해 방출되는 도전성 아크가스의 차단을 위한 차단수단이 형성된,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베이스 패널에 주전원차단기와 보조전원차단기 및 누전차단기 등의 각종 차단기가 설치되고 그 차단기들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장치로서, 건물 등의 배선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여 건물의 각 요소로 재공급함과 동시에 전력공급을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분전반에는 단자와 단자 사이를 접속하기 위하여 동판과 같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진 부스바(Bus bar)가 사용된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은 대한민국 등록번호 10-0996857호로서, 선행기술문헌은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3상의 부스 바와; 상기 3상의 부스 바에 플러그식으로 결합하는 MCCB 장착대; 및 상기 MCCB 장착대에 플러그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부스 바와 전기적 접속을 하는 배선용 차단기;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을 개시한다.
이러한 배전반은 10회선 정도의 소형분전반용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설치 판넬의 대형화로 인해 분기회로수가 약 40회선으로 약 4배 정도가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분기차단기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분기차단기의 단락전류 차단 시 발생하는 아크가 인접된 분기 차단기의 단자로 유입되는 것에 의해 연속적인 단락전류 차단이 발생하여 사고 여파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분기차단기의 도전성 아크가스에 의한 사고 여파의 확산을 방지할 것이 요구되고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을 포함하는 종래기술에서는 분기차단기의 단락전류 차단에 의해 발생하는 도전성 아크가스를 용이하게 차단하는 것이 어려운 구성을 가진다.
또한 종래기술은 도전성 아크가스가 인접 분기차단기로 인입되어 단락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에 설치된 분전반의 분기차단기에 별도의 가공 없이 인접 분기차단기로의 도전성 아크가스를 차단하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분기차단기의 단락전류 차단에 의해 발생하는 도전성 아크가스를 용이하게 차단하고, 기존에 설치된 분전반의 분기차단기에 별도의 가공 없이 인접 분기차단기로의 도전성 아크가스를 차단하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허번호: 대한민국 등록번호 10-0996857호 특허명칭: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분기차단기의 단락전류 차단에 의해 발생하는 도전성 아크가스를 용이하게 차단하여 이웃한 분기차단기로의 확산을 방지하고, 기존의 분기차단기에 용이하게 장착되는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는, 전면에 형성된 전면 케이스부; 및 자선부스바가 상측에 각각 접속되고 전원분배를 위한 전원선이 하측에서 각각 접속되도록 상하 측으로 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부와 착탈되는 후면 케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케이스부는,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접속단자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면케이스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상부면으로 연장되는 상부 아크가스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아크가스 차단부는, 상기 분기차단기의 적어도 두 개의 자선부스바를 둘러싸도록 각각의 사이에 상기 자선부스바들이 각각 위치하는 3개 이상의 상부 격벽;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격벽들은, 상기 전면케이스부의 상부면 중 전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경사부가 형성된 후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격벽들은, 상기 전면케이스부의 상부면 중 전면으로부터 일 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후면 케이스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케이스부는,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접속단자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면케이스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하부면으로 연장되는 하부 아크가스 차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아크가스 차단부는, 상기 분기차단기의 적어도 두 개의 분배 전원이 인출되는 전원선들을 둘러싸도록 각각의 사이에 상기 전원선들이 각각 위치하는 3개 이상의 하부 격벽;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격벽들은, 상기 전면케이스부의 하부면 중 전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경사부가 형성된 후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격벽들은, 상기 전면케이스부의 하부면 중 전면으로부터 일 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후면 케이스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윈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분기차단기는 차단격벽이 형성된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함으로써, 분기차단기의 단락전류 차단에 의해 발생하는 도전성 아크가스를 용이하게 차단하고, 이에 의해, 분기차단기가 단락전류를 차단하면서 방출하는 도전성 아크가스가 인접한 분기차단기로 확산되어 대형사고로 번지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궁극적으로 전기누전에 의한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인명과 재산의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 적인 분기차단기가 설치된 분전반을 예를 들어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는 제 1 아크가스 차단부(230)가 구비된 제 1 분기차단기(200)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기차단기 중 제 1 전면 케이스부(210)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는 제 2 아크가스 차단부(330)가 구비된 제 2 분기차단기(300)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기차단기 중 제 2 전면 케이스부의 사시도(310).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르는 제 3 아크가스 차단부(430)가 구비된 제 3 분기차단기(400)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기차단기 중 제 3 전면 케이스부의 사시도(410).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르는 제 4 아크가스 차단부(530)가 구비된 제 4 분기차단기(500)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기차단기 중 제 4 전면 차단기(510)의 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분전차단기에 일체로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여, 단락전류 차단 시 발생하는 아크가스를 차단하되, 상기 아크가스 차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격벽이 형성된다.
여기서 아크가스는 전극을 접촉시켜서 강한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전극의 선단은 접촉저항에 의해 과열되고, 전극이 증발하여 금속의 증기를 발생하여 방전한다. 이 상태를 아크 방전이라 하며, 이 때 발생하는 가스가 아크가스며, 이 아크가스는 도전성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분전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기차단기(100)가 설치된 분전반(A)은 주전원차단기(a), 모선부스바(b), 분기차단기(100), 및 자선부스바(c)를 포함한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전반(A)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입력받는 주전원차단기(a)가 개시된다.
주전원차단기(a)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입력받으며, 상기 분기차단기(100)는 주전원차단기(a)로부터 전원을 분배받아 출력하거나 또는 분배받은 전원을 차단한다. 분기차단기(120)는 주전원차단기(a)로부터 전원을 분배받아 출력하는 보조전원차단기와, 누전 시 분배받은 전원을 차단하는 누전차단기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상기 모선부스바(b)는 주전원차단기(a)에 결합되어 주전원차단기(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자선부스바(c)는 모선부스바(b)와 분기차단기(100)에 각각 결합되어 모선부스바(b)와 분기차단기(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1에서 설명하는 분기차단기(100)는 자선부스바(c)가 2개 연결되는 분기차단기(100)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 자선부스바(c)의 개수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 하, 좌, 우는 도면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실제 분기차단기의 설치 시의 상, 하, 좌, 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는 제 1 아크가스 차단부가 제 1 분기차단기(200)와 체결된 일 예를 보여주는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 1 분기차단기(200)의 제 1 전면케이스부(210)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제 1 분기차단기(200)는 제 1 전면케이스부(210)와 후면 케이스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전면케이스부(210)에는 단락스위치(211)와 테스트스위치(213)가 형성된다. 상기 단락스위치(211)는 분기차단기(200)가 전원을 차단하는 위치에 스위칭된 경우 통전을 위해 선로를 통전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테스트스위치(213)는 모의의 단락 상황을 인가하여 분기차단기(200)가 정상 동작하는지를 판별하기 위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면 케이스부(210)의 전면 상부 및 하부에는 분전반에 분기차단기를 나사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관통된 고정홈(227)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부 및 하부의 고정홈(227)들의 양측에는 자선부스바(C)의 단부가 삽입된 후 압착되어 고정되거나, 외부 전원 인출을 위한 전원선의 단부가 삽입된 후 압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231)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전면 케이스부(210)의 상부면에는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아크가스 차단부(230)가 형성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제 1 아크가스 차단부(230)는 분기차단기(200) 상부의 접속단자(223)들을 각각 차폐하기 위하여 상부 격벽(제 1 내지 제 3 상부 격벽(232a, 232b, 232c))들로 구성되는 제 1 상부 격벽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격벽들은 각각 접속단자(223)들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벽을 이루며 제 1 전면케이스부(210)와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상부 격벽부(232)는 제 1 우측격벽(232a), 제 1 중앙 격벽 (232b), 및 제 1 좌측격벽(232c)을 포함한다.
제 1 우측격벽(232a)과 제 1 중앙격벽(232b)의 사이에는 하나의 접속단자(223)가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중앙격벽(232b)과 제 1 좌측격벽(232c)의 사이에도 하나의 접속단자가 위치된다. 이에 의해 두 개의 접속단자(223)들에서 발생하는 아크 가스들은 제 1 중앙격벽(232b)에 의해 차폐되고, 제 1 우측격벽(232a)와 제 1 좌측격벽(232c)에 의해 인접되는 분기차단기(200)로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된다.
또한, 상기 제 1 상부 격벽(제 1 내지 제 3 상부 격벽(232a, 232b, 232c))들은 외부의 접촉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아크가스가 인접된 분기차단기가 아닌 방향으로 신속히 배출될 수 있도록 제 1 전면 케이스부(210) 측에 일정 경사로 형성되는 경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는 제 1 우측격벽(232a)에는 제 1 우측경사부(233a)로 형성되고, 제 1 중앙격벽(232b)에는 제 1 중앙경사부(233b)로 형성되며, 제 1 좌측격벽(232c)에는 제 1 좌측경사부(233c)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들은 상기 제 1 전면케이스부(210)의 상부면 중 전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경사부(233a, 233b, 233c)가 형성된 후 수평으로 접속단자(223)를 지나 후면 케이스부(120)의 상부면까지 연장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후면 케이스부(120)는 내부에 도전체판으로 형성되는 접속단자(223)가 장착되며, 접속단자(223)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하고는 밀봉된 구조를 가진다. 이하, 도 4 내지도 도 8에서 상기 후면 케이스부(12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구조의 제 1 분기차단기(200)는 제 1 상부 격벽부(232)를 구비한 제 1 아크가스 차단부(230)에 의해 상부면의 접속단자(223)들에서 발생하는 아크 가스들이 측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는 제 2 아크가스 차단부(330)가 구비된 제 2 분기차단기(3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기차단기 중 제 2 전면 케이스부의 사시도(310)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분기차단기(300)는 제 2 전면케이스부(310)과 후면 케이스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전면케이스부(310)는 제 1 상부 격벽부(232)와 동일한 구조의 제 2 상부 격벽부(232)와 제 2 상부 격벽부(232)를 수평선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구조를 가지는 제 2 하부 격벽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 2 상부 격벽부(232)는 접속단자(223)들이 감싸는 제 2 우측격벽(332a), 제 2 중앙격벽(332b) 및 제 2 좌측격벽(332c)를 형성하는 상부 격벽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격벽들 또한 제 1 상부 격벽부(232)들 상부 격별들과 동일하게 경사부를 가진다.
상기 제 2 하부 격벽부(232)는 제 2 상부 격벽부(332)를 수평선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구조로 상기 제 2 전면 케이스부(310)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구조의 제 2 하부 격벽부(232)는 상부 및 하부의 접속단자(223)들에서 발생하는 단락에 의한 아크 가스들이 상부 및 하부에서 인접된 접속단자들과 인접된 분기차단기(300)들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고 여파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르는 제 3 아크가스 차단부(430)가 구비된 제 3 분기차단기(4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기차단기 중 제 3 전면 케이스부의 사시도(410)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분기 차단기(400)는 제 3 상부 격벽부(432)를 제외하고는 제 1 분기차단기(2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 1 분기차단기(2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 3 상부 격벽부(43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3 상부 격벽부(432)는 제 3 우측격벽(432a), 제 3 중앙격벽(432b) 및 제 3 좌측격벽(43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격벽들은 각각 접속단자(223)들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벽을 이루며 제 3 전면케이스부(4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3 우측격벽(432a), 제 3 중앙 격벽(432b) 및 제 3 좌측격벽(432c)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우측격벽(432a)와 제 3 중앙 격벽 (432b)의 사이에는 하나의 접속단자(223)가 위치된다. 그리고 제 3 중앙 격벽(432b)과 제 3 좌측격벽(432c)의 사이에도 하나의 접속단자(223)가 위치된다. 이에 의해 두 개의 접속단자(223)들에서 발생하는 아크 가스들은 제 3 중앙격벽(432b)에 의해 차폐되고, 제 3 우측격벽(432a)와 제 3 좌측격벽(432c)에 의해 인접되는 분기차단기(400)로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우측격벽(432a), 제 3 중앙 격벽(432b) 및 제 3 좌측격벽(432c)을 포함하는 상부격벽들은 아크가스가 인접된 접속단자(223) 또는 분기차단기(400)로 확산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의 경사부(233a, 233b, 233c)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 3 전면케이스부(410)의 상부면 중 전면으로부터 일 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후면 케이스부(120)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제 3 분기차단기의 상부면에서 발생된 아크가스가 측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더욱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르는 제 4 아크가스 차단부(530)가 구비된 제 4 분기차단기(50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기차단기 중 제 4 전면 차단기(510)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과 같이, 제 4 분기차단기(510)에 구성되는 제 4 아크가스 차단부(530)는, 제 3 아크가스 차단부(430)의 상기 제 3 상부 격벽부(432)와 동일한 구조의 제 4 상부격벽부(532)와, 상기 제 4 상부 격벽부(532)의 수평선에 대한 대칭 구조를 가지는 제 4 하부격벽부(542)를 구비한 제 4 아크가스 차단부(5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 4 아크가스 차단부(532)는, 제 4 우측격벽(532a), 제 4 중앙격벽(532b) 및 제 4 좌측격벽(532c)를 포함하는 상부 격벽들로 형성되는 상기 제 4 상부격벽부(532)와, 제 4 하부 우측격벽(542a), 제 4 하부 중앙격벽(542b) 및 제 4 하부 좌측격벽(542c)를 포함하는 하부 격벽들로 형성되는 상기 제 4 하부격벽부(5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제 4 분기차단기(500)는 상기 제 4 상부격벽부(532)와 제 4 하부 격벽부(542)에 의해 상부 및 하부의 접속단자(223)들에서 발생하는 단락에 의한 아크 가스가 측면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A: 분전반 a: 주전원차단기
b: 모선부스바 c: 자선부스바
100: 분기차단기 100A: 제 2 분기차단기
100B: 제 3 분기차단기 110: 전면 케이스부
120: 후면 케이스부 130: 아크가스 차단부
130UR: 제 2 아크가스 차단부
130URL: 제 3 아크가스 차단부
111: 체결홀 h1: 제1 홀
h2: 제2 홀 h3: 제3 홀
h4: 제4 홀 S: 스위치
Sh: 스위치홀 131: 착탈부
131U: 상부 착탈부 131L: 하부착탈부
132: 상부 격벽부 131a: 삽입부재
131Ua: 상부 삽입부재 131La: 하부 삽입부재
131Sa: 드라이버홈 131Sb: 나사산
131bF: 삽입부재결합홀
131b: 제1 지지대 131c: 제2 지지대
F: 홈 132a: 제1 상부 격벽
132b: 제2 상부 격벽 132c: 제3 상부 격벽
132R: 배면 격벽부 132Ra: 제1 배면 격벽
132Rb: 제2 배면 격벽 132Rc: 제3 배면 격벽
132L: 저면 격벽부 132La: 제1 저면 격벽
132Lb: 제2 저면 격벽 132Lc: 제3 저면 격벽
C: 제1 자선부스바 D: 제2 자선부스바

Claims (8)

  1. 전면에 형성된 전면 케이스부; 및
    자선부스바가 상측에 각각 접속되고 전원분배를 위한 전원선이 하측에서 각각 접속되도록 상하 측으로 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부와 착탈되는 후면 케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케이스부는,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접속단자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면케이스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상부면으로 연장되는 상부 아크가스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아크가스 차단부는,
    상기 분기차단기의 적어도 두 개의 자선부스바를 둘러싸도록 각각의 사이에 상기 자선부스바들이 각각 위치하는 3개 이상의 상부 격벽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격벽들은,
    상기 전면케이스부의 상부면 중 전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경사부가 형성된 후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격벽들은,
    상기 전면케이스부의 상부면 중 전면으로부터 일 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후면 케이스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 케이스부는,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접속단자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면케이스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후면 케이스부의 하부면으로 연장되는 하부 아크가스 차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아크가스 차단부는,
    상기 분기차단기의 적어도 두 개의 분배 전원이 인출되는 전원선들을 둘러싸도록 각각의 사이에 상기 전원선들이 각각 위치하는 3개 이상의 하부 격벽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들은,
    상기 전면케이스부의 하부면 중 전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경사부가 형성된 후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들은,
    상기 전면케이스부의 하부면 중 전면으로부터 일 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후면 케이스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KR1020140136678A 2014-10-10 2014-10-10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KR101639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78A KR101639707B1 (ko) 2014-10-10 2014-10-10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78A KR101639707B1 (ko) 2014-10-10 2014-10-10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576A true KR20160042576A (ko) 2016-04-20
KR101639707B1 KR101639707B1 (ko) 2016-07-14

Family

ID=5591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678A KR101639707B1 (ko) 2014-10-10 2014-10-10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7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613A (ko) * 2019-01-31 2020-08-11 에이치제이산전(주) 도전 방지 구조를 가진 전력량계 일체형 분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634B1 (ko) 2020-01-03 2021-09-13 엘에스일렉트릭 (주) 배선용 차단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5605A (ja) * 1996-03-11 1997-09-19 Fuji Electric Co Ltd 絶縁バリア付き遮断器
KR20060063418A (ko) * 2004-12-07 2006-06-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변형억제부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KR100996857B1 (ko) 2010-01-12 2010-11-26 한석주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KR101386583B1 (ko) * 2012-12-05 2014-04-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삼상일체형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5605A (ja) * 1996-03-11 1997-09-19 Fuji Electric Co Ltd 絶縁バリア付き遮断器
KR20060063418A (ko) * 2004-12-07 2006-06-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변형억제부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KR100996857B1 (ko) 2010-01-12 2010-11-26 한석주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KR101386583B1 (ko) * 2012-12-05 2014-04-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삼상일체형 러그 배리어 및 외함 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명칭: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613A (ko) * 2019-01-31 2020-08-11 에이치제이산전(주) 도전 방지 구조를 가진 전력량계 일체형 분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707B1 (ko)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8653B2 (en) Load center with plug in neutral connections
US6870103B1 (en) Bus joint cover assembly
JP2009017774A (ja) 三相交流電動機のソフトスタートまたはソフトストップ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いわゆるソフトスタータ
KR101639707B1 (ko)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KR101130309B1 (ko) 분전반
CN106935452B (zh) 标准化规格的电气保护装置
KR100672960B1 (ko) 부스바 지지대
KR100712245B1 (ko) 분전반
KR100996857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KR101728496B1 (ko)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JP5339527B2 (ja) ブレーカユニット
JP2007082363A (ja) 配電盤
KR200481620Y1 (ko)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RU232574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т аварийн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дуги системы сборных шин
JP7154702B2 (ja) 配電盤
JP2010206894A (ja) 配電盤
US10218159B2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neutral connection device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JP4469151B2 (ja) 分電盤に用いる接続バーユニットと該接続バーユニットを備えた分電盤
KR20150003105U (ko)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KR200302957Y1 (ko) 분전반
KR20210081719A (ko) 분전반
JP2006166622A (ja) 避雷器付分電盤
JP6433336B2 (ja) 分電盤
JP3165637U (ja) 端子台
KR102310037B1 (ko) 분전반용 부스바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