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1543B1 -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1543B1
KR100441543B1 KR10-2002-0025671A KR20020025671A KR100441543B1 KR 100441543 B1 KR100441543 B1 KR 100441543B1 KR 20020025671 A KR20020025671 A KR 20020025671A KR 100441543 B1 KR100441543 B1 KR 100441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uide
feed
uni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771A (ko
Inventor
최동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5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543B1/ko
Priority to US10/393,244 priority patent/US6987525B2/en
Priority to JP2003111200A priority patent/JP3627059B2/ja
Publication of KR20030087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는 인쇄용지의 이면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해 제 1 용지 이송경로상에 위치한 현상유니트 및 정착유니트에 의해 일면인쇄가 완료되어 배지유니트로 이송된 용지를 다시 현상유니트로 재진입시키는 양면인쇄 유니트를 포함하며, 이 양면인쇄 유니트는 제 1 용지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용지이송 가이드의 일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타면과 협력하여, 일면인쇄가 완료되어 배지유니트에 이송된 용지를 반전된 상태로 현상유니트로 재진입시키는 제 2 용지 이송경로를 형성하도록 용지이송 가이드의 타면에 설치된 보조 이송가이드, 제 2 용지 이송경로를 통해 용지를 이송하도록 용지이송 가이드의 타면과 보조 이송가이드 사이에 설치된 역이송롤러 어셈블리, 및 픽업유니트에 의해 픽업된 용지 뿐 아니라 역이송롤러 어셈블리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를 이송시키도록 제 1 용지 이송경로와 제 2 용지 이송경로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된 용지이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많은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양면인쇄를 위한 용지이송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for duplex printing}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앞·뒤 양면 모두를 용지 이송면으로 사용하는 용지 이송가이드를 갖는 양면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면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예를 들면 레이저 프린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15)를 적재한 급지 카세트(10), 급지 카세트(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용지(15)를 픽업하는 픽업롤러(20), 픽업롤러(20)에 의해 픽업된 용지(15)를 가이드하는 제 1 용지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용지 이송가이드(22), 용지 이송가이드(22)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의 일면에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유니트(30), 현상유니트(30)를 통과한 용지(15)의 일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정착하기 위한 정착유니트(40, 41), 정착유니트(40, 41)를 통과한 용지(15)를 이송하는 이송롤러(50), 이송롤러(50)의 상측에 배치되어 용지(15)를 배출하는 배지롤러(60), 양면인쇄 모드시 용지의 타면을 인쇄하기 위해 배지롤러(60)를 통해배출되는 용지(15)를 용지 이송가이드(22)로 재진입시키는 제 2 용지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용지 역이송 가이드(62), 및 용지 역이송 가이드(62)를 통해 용지를 역이송하는 제 1 및 제 2 역이송 롤러(70, 90)로 구성된다.
현상유니트(30)는 화상신호에 따라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laser scanning unit: LSU)(36)로부터 레이저 빔과 같은 광신호를 받아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32), 및 정전잠상을 형성한 감광드럼(32)에 토너를 부착하여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현상유니트(30)의 감광드럼(32)의 하측에는 감광드럼(32)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용지(15)로 전사하는 전사롤러(34)가 설치된다.
정착유니트(40, 41)는 용지(15)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열과 압력으로 용지에정착하기 위한 히팅롤러(41)와 정착롤러(40)로 이루어진다.
또한, 배지롤러(60)가 위치한 용지 이송가이드(22)와 용지 역이송 가이드(62) 사이에는 양면인쇄 모드시 용지(15)를 용지 역이송 가이드(62)로 가이드하는 수직 아암으로 이루어진 용지 반전가이드(42)가 탄성적으로 힌지 고정되어 있다. 용지 반전가이드(42)에는 용지가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용지감지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레이저 프린터(1)의 양면인쇄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급지카세트(10)에 적재된 용지(15)는 픽업롤러(20)에 의해 픽업된 후, 용지 이송 가이드(22)를 따라 현상유니트(30)로 이동된다.
이 때, 현상유니트(30)의 감광드럼(32)에는 화상신호에 따라 LSU(36)로부터방출된 레이저 빔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감광드럼(32)에 현상된 정전잠상은 현상롤러에 의해 토너가 부착되어 가시화상 형태의 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감광드럼(32)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용지(15)가 용지 이송가이드(22)를 따라 현상유니트(30)로 이송되어 올 때, 전사롤러(34)에 의해 용지(15)의 일면, 예를 들면 상면 위에 전사되고, 용지(15)의 상면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착유니트를 구성하는 히팅롤러(41)와 정착롤러(40)에 의해 용지(15)의 상면에 정착된다.
히팅롤러(41)와 정착롤러(40)를 통과한 용지(15)는 이송롤러(50)에 의해 배지롤러(60)로 진입한다. 이 때, 용지(15)는 이송롤러(50)의 회전력에 의해 용지 반전가이드(42)를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용지감지 센서는 용지(15)가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이 때, 프린터가 단면인쇄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용지(15)는 배지롤러(60)를 통해 용지 배지대(59)로 배출된다.
그러나, 양면인쇄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배지롤러(60)는 용지(15)의 후단부가 용지 반전가이드(42)를 통과한 후 발생하는 용지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별도의 정·역회전 구동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역회전하도록 구동된다. 그 결과, 용지(15)는 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용지 역이송가이드(62)로 진입하게 된다. 이 때, 용지 반전가이드(42)는 도 1의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되어 있음으로, 용지(15)는 용지 반전가이드(42)에 의해 가이드되어 용지 역이송 가이드(62)로 쉽게 진입될 수 있다.
용지 역이송가이드(62)에 도착한 용지(15)는 제 1 역이송롤러(70)에 의해 정렬 롤러(80)로 이송된다. 정렬 롤러(80)는 약 5도 정도 틀어지게 설치되어 있음으로, 용지(15)의 선단부는 정렬롤러(80)에 의해 밀려 정렬된다.
정렬 롤러(80)의 의해 정렬된 용지(15)는 제 2 역이송 롤러(90)를 지나, 다시 용지 이송 가이드(22)로 이송되며, 용지(15)의 타면, 즉 하면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인쇄과정을 거친 후 외부의 용지 배지대(59)로 배출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레이저 프린터(1)는 용지 이송가이드(22)와 용지 역이송가이드(62)가 서로 별도로 분리되어 있을 뿐 아니라, 제 1 및 제 2 용지이송 경로를 구성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다량의 부품, 예를 들면 3개의 상면 가이드판과 4개의 하면 가이드판을 각각 필요로 함으로, 제작 코스트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들 부품을 조립하기 위해 번거롭고 시간이 소요되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레이저 프린터(1)는 기기의 가로폭 전체에 걸쳐 용지이송 경로를 형성하고 있음으로, 양면인쇄시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인쇄효율(양면인쇄속도/단면인쇄속도)이 떨어질 뿐 아니라, 용지걸림, 용지 기울어짐 등과 같은 문제발생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용지이송 경로가 길어짐에 따라 용지를 용지 이송 가이드(22)로 이송하기 위한 롤러의 수도 더 많이 소요 된다. 예를들면, 용지 역이송 가이드(62)에는 제 1 역이송롤러(70), 정렬롤러(80), 제 2 역이송 롤러(90) 등 3쌍의 롤러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롤러들(70, 80, 90)이 축고정링, 동력전달 벨트, 벨트용 풀리, 부싱 등과 같은 다량의 부품들을 사용하여 복잡한 구성으로 조립됨으로, 조립작업이 어려울 뿐 아니라 불량 발생가능 및 조립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제 1 역이송롤러(70)와 정렬롤러(8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력전달을 위한 아이들기어 어셈블리(95)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된다. 아이들기어 어셈블리(95)는 제 1 역이송 롤러(70)의 샤프트의 일단부에 형성된 기어부(도시하지 않음)와 맞물리도록 용지 역이송 가이드(62)에 고정된 제 1 보스(96a)에 제 1 축 고정링(99a)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제 1 아이들기어(97a), 제 1 아이들 기어(97a)와 맞물리도록 용지 역이송 가이드(62)에 고정된 제 2 보스(96b)에 제 2 축 고정링(99b)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제 2 아이들 기어(97b), 및 제 2 아이들기어(97b)와 정렬롤러(80)의 기어부(도시하지 않음)와 맞물리도록 용지 역이송 가이드(62)에 고정된 제 3 보스(96c)에 제 3 축 고정링(99c)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 제 3 아이들 기어(97c)로 이루어 진다.
정렬롤러(80)와 제 2 역이송 롤러(90)는 서로 멀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역이송롤러(90)의 샤프트(91)의 일측에 E형 링(94)으로 고정된 벨트용 풀리(93), 정렬롤러(80)의 샤프트에 상응하게 형성된 벨트용 풀리(도시하지 않음), 및 이들 풀리들을 연결하는 동력전달 벨트(93a)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각각의 롤러(70, 80, 90)들, 예를 들면 제 2 역이송 롤러(9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91)를 기어부 및 벨트용 풀리(93)와 별도로 형성할 뿐 아니라, 샤프트(91)에 롤러부(92)를 몰드성형 하는 등 복잡한 제작공정을 통해 제작된다.
또한, 이들 롤러들은 부싱(98, 98')들을 사용하여 용지 역이송 가이드(62)에 고정됨으로,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추가 조립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레이져 프린터(1)는 양면인쇄를 위해 많은 부품과 복잡한 제작공정을 필요로 하는 긴 용지이송 경로를 사용함으로, 제작 코스트 증가, 인쇄효율 저하, 용지잼(jam)발생 가능성 증가,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 이송가이드의 전·후 양면이 용지 이송경로를 구성하는 용지 이송안내면으로 사용되도록 하여 양면인쇄를 위한 용지 이송경로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양면인쇄시 인쇄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롤러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지 이송가이드의 전·후 양면이 다수의 리브를 갖도록 하여 용지걸림, 용지 기울어짐 등과 같은 문제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쇄시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현상유니트로 급지하는 이송롤러의 구경을 확대하여 현상유니트로의 급지 뿐 아니라 양면인쇄시 인쇄용지를 현상유니트로 재진입시키는데에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용지걸림은 줄이는 반면 이송효율은 높일 수 있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품들의 형태 및 조립방법을 개선함으로써 사용부품의 수를 줄이고 제작 코스트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양면인쇄 가능한 종래의 레이저 프린터의 단면도.
도 2 는 도 1에 도시한 레이저 프린터의 역이송롤러들 사이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아이들기어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3 은 도 1에 도시한 레이저 프린터의 한 역이송롤러의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양면인쇄 가능한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도.
도 5 는 도 4에 도시한 레이저 프린터에서 커버가 오픈된 상태를 예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6 은 도 4에 도시한 레이저 프린터의 용지 이송가이드와 양면인쇄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7 은 도 4에 도시한 레이저 프린터의 양면인쇄 유니트가 설치되는 용지 이송가이드의 배면구성을 예시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8 은 도 4에 도시한 레이저 프린터의 용지 이송가이드와 양면인쇄 유니트의 부분 사시도.
도 9 는 도 4에 도시한 레이저 프린터의 용지 이송가이드에 결합되는 프론트그라운드부의 종단면도.
도 10 은 도 4에 도시한 레이저 프린터의 용지 이송가이드에 결합되는 전사롤러 및 전사롤러 홀더의 종단면도.
도 11 은 도 4에 도시한 레이저 프린터의 용지 이송가이드에 결합되는 메인 그라운드의 종단면도.
도 12a 및 도 12b 는 도 4에 도시한 레이저 프린터의 양면인쇄 유니트의 역이송롤러와 고정부재를 각각 예시하는 측면도.
도 13 은 도 4에 도시한 레이저 프린터의 양면인쇄 유니트의 역이송롤러 사이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아이들기어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0: 레이저 프린터 20, 107: 픽업롤러
22, 103: 용지 이송가이드 30, 130: 현상유니트
32, 132: 감광드럼 42: 용지 반전가이드
50, 121: 이송롤러 60, 151: 배지롤러
62: 용지 역이송가이드 70, 90, 181, 183: 역이송롤러
95, 195: 아이들기어 어셈블리 101: 본체
103a: 리브 105, 116: 그라운드부
106: 픽업유니트 114, 115: 메인 그라운드
120: 용지이송부 122, 123, 124, 124, 152: 백업롤러
134: 전사롤러 140: 정착유니트
143: 용지감지 센서 150: 배지유니트
155: 정·역회전 구동제어 부재 160: 양면인쇄 유니트
170: 보조 이송가이드 172, 174, 176: 가이드부
175: 측면가이드부 180: 역이송롤러 어셈블리
182, 184: 텐션롤러 190: 커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의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지 적재유니트, 용지 적재유니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유니트, 용지에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유니트, 용지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가열 압착하여 가시화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유니트, 본체의 프레임과 협력하여 용지를 현상유니트를 통해 정착유니트까지 유도하는 제 1 용지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일면을 갖는 용지이송 가이드, 정착유니트를 통해 가시화상의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지유니트, 및 용지의 이면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해 정착유니트를 통해 배지유니트로 이송된 용지를 현상유니트로 재진입시키는 양면인쇄 유니트를 포함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에 있어서, 양면인쇄 유니트는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과 협력하여, 일면인쇄가 완료되어 배지유니트로 이송된 용지를 반전된 상태로 현상유니트로 재진입시키는 제 2 용지 이송경로를 형성하도록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에 관해 설치된 보조 이송가이드, 제 2 용지 이송경로를 통해 용지를 이송하도록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과 보조 이송가이드 사이에 설치된 역이송롤러 어셈블리, 및 픽업유니트에 의해 픽업된 용지 뿐 아니라 역이송롤러 어셈블리에 의해 제 2 용지 이송경로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를 제 1 용지 이송경로로 이송시키도록 제 1 용지 이송경로와 제 2 용지 이송경로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된 용지이송부를 포함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용지 이송가이드의 일면 및 타면에는 용지가 접촉마찰을 일으키지 않고 쉽게 이송되도록 용지 이송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출리브가 형성된다. 또한, 용지 이송가이드의 일면에는 용지를 그라운드시키기 위한 그라운드 부재들이 고정부에 의해 각각 고정 설치된다. 고정부는 그라운드 부재와 용지이송 가이드 중의 하나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돌기와, 그라운드 부재와 용지이송 가이드 중의 다른 하나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돌기수용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지이송 가이드의 측면에는 그라운드 부재, 전사부재 등을 본체의 회로기판에 연결시키기 위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메인 그라운드가 메인 그라운드 고정부에 의해 각각 고정 설치된다. 메인 그라운드 고정부는 메인 그라운드와 용지이송 가이드 중의 하나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돌기, 및 메인 그라운드와 용지이송 가이드 중의 다른 하나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돌기수용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이송가이드는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용지가이드에 설치되고 본체의 프레임과 협력하여 배지유니트로 이송된 용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제 2 용지 이송경로로 진입시키도록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부,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에 설치되고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과 협력하여 제 2 용지 이송경로의부분을 구성하는 제 2 가이드부, 및 본체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제 2 가이드부를 통해 제 2 용지 이송경로상으로 이송되는 용지를 현상유니트와 정착유니트를 따라 형성된 제 1 용지 이송경로상으로 진입시키도록 안내하는 제 3 가이드부로 구성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 가이드부는 용지 이송가이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의 프레임에 회동할수 있게 설치된 커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이송롤러 어셈블리는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에 고정부재에 의해 설치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역이송롤러, 역이송롤러와 일정압력으로 접촉하는 상태로 맞물리도록 보조 이송가이드의 제 2 가이드부에 설치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텐션롤러, 및 역이송롤러에 구동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역이송롤러의 샤프트의 일단부에 설치된 기어부로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역이송롤러가 각각 샤프트의 일단부에 기어부를 형성한 2개의 롤러로 구성될 때, 두 역이송롤러의 샤프트의 기어부 사이에는 한 역이송롤러로부터 다른 역이송롤러로 동일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아이들기어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아이들기어 어셈블리는 한 역이송롤러의 샤프트의 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용지 이송가이드에 고정된 제 1 보스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면 및 하면 중 한 곳에 일체로 형성된 와셔부를 갖는 제 1 아이들 기어, 제 1 아이들기어와 맞물리도록 용지 이송가이드에 고정된 제 2 보스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면 및 하면 중 한 곳에 일체로 형성된 와셔부를 갖는 제 2 아이들 기어, 및 제 2 아이들기어와 다른 역이송롤러의 샤프트의 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용지 이송가이드에 고정된 제 3 보스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면 및 하면 중 한곳에 일체로 형성된와셔부를 갖는 제 3 아이들 기어로 구성된다. 이 때, 아이들기어들은 각각의 와셔가 서로 엇갈리도록 각각의 보스에 배치되게 하여, 모든 아이들기어를 축고정링으로 고정할 필요 없이 최소한 하나의 아이들기어만 축고정링을 통해 보스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역이송롤러는 일체로 형성된 기어부를 갖는 플라스틱 샤프트, 및 샤프트에 끼워진 파이프 형태의 롤러부로 구성된다.
역이송롤러를 용지이송 가이드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는 용지 이송가이드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의 홀, 및 일단부는 홀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후크를 갖고 및 타단부는 역이송롤러의 샤프트를 수용 및 고정 할 수 있는 C형 개구부를 갖는 샤프트 부싱으로 구성된다.
또한, 용지 이송 가이드의 타면에는 역이송롤러 어셈블리에 의해 용지가 이송될 때, 용지가 스큐되지 않도록 용지의 일측 가장자리를 가이드하기 위한 측면 가이드부가 설치된다. 측면 가이드부는 일단부는 용지의 일측 가장자리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ㄷ자형 레일을 갖고 타단부는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갖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용지이송부는 최소한 제 1 용지 이송경로의 부분과 제 2 용지 이송경로의 부분이 모두 접하도록 용지 이송가이드에 설치된 대구경의 이송롤러, 픽업유니트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제 1 용지 이송경로를 통해 이송하도록 제 1 용지 이송경로를 구성하는 본체의 프레임에 이송롤러와 소정압력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 1 백업롤러, 및 역이송롤러 어셈블리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를 제 1용지 이송경로로 이송시키도록 보조 이송가이드의 제 3 가이드부에 이송롤러와 소정압력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 2 백업롤러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의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레이저 프린터(100)가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 레이저 프린터(100)는 본체(101)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지 카세트(110), 급지 카세트(110)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유니트(106), 용지에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유니트(130), 용지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가열 압착하여 가시화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유니트(140), 본체(101)의 프레임의 부분과 협력하여 용지를 현상유니트(130)를 통해 정착유니트(140)까지 유도하는 제 1 인쇄용지 이송경로(A)를 형성하는 일면을 갖는 용지이송 가이드(103), 정착유니트(140)에 의해 가시화상의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지유니트(150), 및 용지의 이면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해 정착유니트(140)를 통해 배지유니트(150)로 이송된 용지를 현상유니트(130)로 재진입시키는 양면인쇄 유니트(160)를 포함한다.
급지 카세트(110)는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탄성스프링(111)에 의해 지지된 용지 가압판(112)을 통해 용지를 탄성적으로 승강할 수 있게 지지한다.
급지 카세트(110) 상부에는 급지 카세트(110)에 적재된 용지를 1매씩 순차적으로 픽업하기 위한 픽업유니트(106)가 설치되어 있다. 픽업유니트(106)는 용지를픽업하는 픽업롤러(107), 및 픽업롤러(10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08)를 구비한다. 픽업롤러(107)는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의 출력축과 연결된 벨트나 기어(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현상유니트(130)는 본체(101)의 프레임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픽업유니트(106) 위쪽에 설치되며, 화상신호에 따라 LSU(136)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132), 감광드럼(132)을 대전하는 대전롤러(도시하지 않음), 및 감광드럼(132)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부착하여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도시한지 않음)을 구비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제 1 용지 이송경로(A)를 형성하는 일면에는 용지의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프론트 그라운드부(116), 감광드럼(132)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롤러(134), 및 전사롤러(134)를 통과한 용지를 그라운드시키기 위한 리어 그라운드부(105)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그라운드부(116)는 용지와 접촉면을 넓히도록 평편한 표면을 갖는 긴 ㄷ자형 바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프론트 메인 그라운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본체의 인쇄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그라운드부(116)는 용지이송 가이드(103)의 일면에 형성된 제 1 수용부(103')에 프론트 그라운드부 고정부재(103b, 103b'; 116a, 116b)에 의해 스냅-피트(snap-fit) 형태로 고정되어 있다.
프론트 그라운드부 고정부재(103b, 103b'; 116a, 116b)는 용지이송 가이드(103)의 수용홈(103')의 측벽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돌기(103b, 103b'), 및 프론트 그라운드부(116)의 양측부(116')에 상응하는 간격을 두고 형성된 돌기 수용홀들(116a, 116b, 116a', 116b'; 도 6)로 구성된다.
전사롤러 메인 그라운드(114)를 통해 본체(101)내의 인쇄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전사롤러(134)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으로 샤프트(135)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공지의 홀더(136)의 측벽 외면에 형성된 돌기들(137)을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일면에 형성된 제 2 수용부(103")에 형성된 수용홀(103d)에 삽입함으로써 고정된다.
리어 그라운드부(105)는 용지 이송방향으로 그 일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리브(105a; 도 5), 다수의 리브(105a)를 연결하는 톱니 브라켓(102), 톱니 브라켓을 고정하는 홀더 브라켓(104), 및 홀더 브라켓(104)을 인쇄회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리어 메인 그라운드(115)를 구비한다.
프론트 그라운드부(116)의 일단부, 전사롤러(134)의 샤프트(135)의 일단부 및 리어 그라운드부(105)의 일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프론트 메인 그라운드, 전사롤러 메인 그라운드(114), 및 리어 메인 그라운드(115)와 같은 메인 그라운드들은 메인 그라운드 고정부재에 의해 용지 이송 가이드(103)의 측면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메인 그라운드(115)는 메인 그라운드 고정부재(103c', 103c; 115a, 115b)에 의해 용지 이송 가이드(103)의 일면에 인접한 측면에 고정된다. 메인 그라운드 고정부재(103c', 103c; 115a, 115b)는 용지 이송 가이드(103)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103c')와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 수용홈(103c), 및 리어 메인 그라운드(115)의 두 측벽(115') 단부에 각각 형성된 돌기 수용홈(115a)과 돌출부(115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프론트 및 리어 그라운드부(116, 105), 전사롤러(134), 메인 그라운드(114, 115) 등을 용지 이송가이드(103)에 고정할 때,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용되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스냅-피트 형태로 고정함으로써, 조립이 간단해질 뿐 아니라 조립시간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및 리어 그라운드부(116, 105)와 전사롤러(134)가 배치되지 않은 용지이송 가이드(103)의 일면의 나머지 부분에는 인쇄용지가 접촉마찰을 일으키지 않고 쉽게 이송되도록 용지이송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출리브(103a; 도 5)가 형성된다. 이 리브(103a)는 용지와 마찰되는 면적을 최소화시켜 용지 이송시에 발생할 수 있는 잼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전사롤러(134)에 의해 감광드럼(132)으로부터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가압하여 정착하기 위한 정착유니트(140)는 가압롤러(142)와 히팅롤러(141)를 구비한다. 정착유니트(140)의 제 1 용지 이송경로(A)의 하류 쪽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배지 및 양면인쇄를 제어하기 위해 용지의 통과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용지감지 센서(143)가 제 1 용지 이송경로(A)상에 설치되어 있다.
용지감지 센서(143)는 용지와의 접촉에 의해 회동할 수 있도록 리미트 스위치나 솔레노이드 등에 연결된 회동축에 지지된 회동레버의 형태를 갖는다. 이 용지감지 센서(143)는 용지와 접촉하여 회동하게 됨에 따라 용지의 이송위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함으로써 제어부가 용지를 배지하거나 용지를 역방향으로 이송시켜 제 2 용지 이송경로(B)로 진입시킬수 있도록 하는 센서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100)의 인쇄과정에 있어서, 이러한 용지감지 센서는 정착유니트(140)의 제 1 용지 이송경로(A)의 하류 뿐 아니라, 픽업유니트(106)의 픽업롤러(107)와 후술하는 용지이송부(120)의 이송롤러(121) 사이, 및 배지유니트(150)의 배지롤러(151)와 후술하는 역이송롤러 어셈블리(180)의 역이송롤러(181) 사이 또는 이송롤러(121)와 역이송롤러 어셈블리(180)의 역이송롤러(183) 사이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 용지와 접촉하는 시점에 따라 용지감지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가 용지를 제 1 및 제 2 용지 이송경로(A, B)를 따라 시퀀스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정착유니트(140)에 의해 토너화상의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외부의 용지 배지대(159)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배지유니트(150)는 서로 대응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배지롤러(151)와 백업롤러(152)를 구비한다. 배지 유니트(150)는 용지를 외부의 용지 배지대(159)로 배출시킬 뿐 아니라, 용지감지 센서(143)의 용지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는 배지롤러(15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력에 의해 용지를 역이송시킬 수도 있다.
인쇄모드의 종류에 따라 배지롤러(151)를 정·역회전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양면인쇄 유니트(160)는 배지유니트(15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일반적으로 공지된정·역회전 구동제어 부재(155)를 구비한다. 정·역회전 구동제어 부재(155)는 일반적으로, 배지롤러(151)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기어열(도시하지 않음)과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기어열(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동력전달 기어부(158), 동력전달 기어부(158)의 정방향 구동기어열과 역방향 구동기어열 사이의 맞물림을 절환하는 스윙기어열(157), 및 스윙기어열(157)을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부(156)로 구성된다.
정착유니트(140) 근처의 제 1 용지 이송경로(A) 상에는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구속하여 그 배출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공지의 용지 반전가이드(도시하지 않음)가 회동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용지 반전가이드는 용지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공용의 회전축에 다수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용지의 선단부를 원하는 이송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용지 반전가이드는 도 1 에 관하여 설명한 종래의 용지 반전가이드(42)와 같이 정착유니트(140) 부근에 설치된 용지감지 센서(143)와 연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양면인쇄 유니트(160)는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타면과 협력하여, 정착유니트(140)에 의해 일면인쇄가 완료되어 배지유니트(150)로 이송된 용지를 반전상태로 현상유니트(130)로 재진입시키는 제 2 용지 이송경로(B)를 형성하도록 용지이송 가이드(103)의 타면에 관해 설치된 보조 이송가이드(170), 제 2 용지 이송경로(B)를 통해 용지를 이송하도록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타면과 보조 이송가이드(170) 사이에 설치된 역이송롤러 어셈블리(180), 및 픽업유니트(106)에 의해 픽업된 용지 뿐 아니라 역이송롤러 어셈블리(180)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를 제 1 용지이송경로(A)로 이송시키도록 제 1 용지 이송경로(A)와 제 2 용지 이송경로(B)가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된 용지이송부(120)를 더 포함한다.
보조 이송가이드(170)는, 정착 유니트(140) 근처에서 본체(101)의 프레임에 고정된 곡선형 리브 가이드(144)와 대향하게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타면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용지 이송가이드(103)에 설치되고 배지유니트(150) 까지 이송된 용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제 2 용지 이송경로(B)로 진입시키도록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부(172),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타면에 형성된 고정보스(174a', 174b', 174c', 174d'; 도 7)에 고정 브라켓(174a, 174b, 174c, 174d; 도 6)을 통해 나사 고정되고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타면과 협력하여 제 2 용지 이송경로(B)의 부분을 구성하는 제 2 가이드부(174), 및 제 2 가이드부(174)를 통해 제 2 용지 이송경로(B)상으로 이송되는 용지를 현상유니트(130)와 정착유니트(140)를 따라 형성된 제 1 용지 이송경로(A)상으로 진입시키도록 본체(101)의 프레임에 설치된 제 3 가이드부(176)로 구성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 가이드부(172, 174)는 용지 이송가이드(103)과 함께 개폐될 수 있도록 본체(101)의 프레임에 힌지(192)를 통해 회동할수 있게 설치된 커버(190)에 지지 고정된다.
도 6, 도 12a 및 도 1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이송롤러 어셈블리(180)는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타면에 각각 고정부(103f, 103f'; 185, 186, 185', 186')에 의해 고정된 두개의 역이송롤러(181, 183), 역이송롤러(181, 183)와 소정압력으로 접촉한 상태로 맞물리도록 보조 이송가이드(160)의 제 2 가이드부(174)에 설치된 두개의 텐션롤러(182, 184), 및 역이송롤러(181, 183)에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역이송롤러(181, 183)의 샤프트(181b, 183b)의 일단부에 설치된 기어부(181a, 183a)로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역이송롤러(181, 183)의 샤프트(181b, 183b)의 기어부(181a, 183a) 사이에는 한 역이송롤러(183)로부터 다른 역이송롤러(181)로 동일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아이들기어 어셈블리(195)가 설치된다. 아이들기어 어셈블리(195)는 한 역이송롤러(183)의 샤프트(183b)의 기어부(183a)와 맞물리도록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고정 브라켓(117)에 고정된 제 1 보스(196a)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면 또는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 1 와셔부(198a)를 갖는 제 1 아이들 기어(197a), 제 1 아이들기어(197a)와 맞물리도록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고정 브라켓(117)에 고정된 제 2 보스(196b)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면 또는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 2 와셔부(198b)를 갖는 제 2 아이들 기어(197b), 및 제 2 아이들기어(197b)와 다른 역이송롤러(181)의 샤프트(181b)의 기어부(181a)와 맞물리도록 용지이송 가이드(103)의 고정 브라켓(117)에 고정된 제 3 보스(196c)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면 또는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 3 와셔부(198c)를 갖는 제 3 아이들 기어(197c)로 구성된다. 이 때, 아이들기어들(197a, 197b, 197c)은 상면 또는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와셔부들(198a, 198b, 198c)이 서로 엇갈리게 각각의 보스(196a, 196b, 또는 196c)에 배치되게 하여, 제 2 아이들 기어(197b)만 축고정링(199)에 의해 고정보스(196b)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아이들러 기어 어셈블리(95)보다 2개의 축고정링(199)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역이송롤러(181, 또는 183)는 일체로 형성된 기어부(181a, 또는 183a)를 갖는 플라스틱 샤프트(181b, 또는 183b), 및 샤프트(181b, 또는 183b)의 고정홈(181d, 또는 183d)에 끼워진 파이프 형태의 롤러부(181f, 또는 183f)로 구성된다. 이러한 역이송롤러(181, 또는 183)의 구성은, 기어부 및 벨트용 풀리(93)와 별도로 형성된 샤프트(91) 및 샤프트(91)에 몰드성형된 고무롤러부(92)로 구성된 종래의 롤러(90)에서와 같이 추가 조립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2b에 도시한 바와같이, 역이송롤러(181, 183)를 용지이송 가이드(103)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03f, 103f'; 185, 186, 185', 186')는 용지 이송가이드(103)에 형성된 고정홀(103f, 103f'), 및 각각 일단부는 고정홀(103f, 또는 103f')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후크(186b, 또는 186b')를 갖고 타단부는 역이송롤러(181, 183)의 샤프트(181b, 또는 183b)의 수용부(181e, 또는 183e)를 수용 및 고정 할 수 있는 C형 개구부(186a, 또는 186a')를 갖는 다수의 샤프트 부싱(185, 186, 185', 186')으로 구성된다. 각 샤프트 부싱(185, 186, 185', 또는 186')의 후크(186b, 또는 186b')와 C형 개구부(186a, 또는 186a') 사이에는 후크(186b, 또는 186b')와 C형 개구부(186a, 또는 186a')를 서로 연결하고 고정부재를 용지이송 가이드(103)에 지지하는 연결부(186c, 또는 186c')가 배치된다. 따라서, 역이송롤러(181, 183)는 용지 이송가이드(103)에 고정될 때, 종래와 같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용되는 부싱와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스냅-피트(snap-fit)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조립이 간단해질 뿐 아니라 조립시간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두개의 텐션롤러(182, 184)는 제 2 가이드부(174)의 내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회전축(182a, 184a)상에 배치되어, 역이송롤러(181, 183)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타면에는 역이송롤러 어셈블리(180)에 의해 용지가 이송될 때, 용지가 스큐되지 않도록 용지의 일측 가장자리를 가이드하기 위한 측면 가이드부(175)가 설치된다. 측면 가이드부(175)는 일단부는 용지의 일측 가장자리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ㄷ자형 레일(176)을 갖고 타단부에는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77)를 갖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용지이송부(120)는 제 1 용지 이송경로(A)와 제 2 용지 이송경로(B)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 용지 이송가이드(103)에 설치된 대구경의 이송롤러(121), 픽업유니트(106)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제 1 용지 이송경로(A)를 통해 이송하도록 제 1 용지 이송경로(A)를 구성하는 본체(101)의 프레임에 이송롤러(121)와 소정압력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된 두개의 제 1 백업롤러(122, 123), 및 역이송롤러 어셈블리(180)에 의해 제 2 용지 이송경로(B)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를 제 1 용지 이송경로(A)로 이송시키도록 보조 이송가이드(170)의 제 3 가이드부(176)에 이송롤러(121)와 소정압력으로 접촉하도록 두개의 제 2 백업롤러(124, 125)를 구비한다.
이송롤러(121)는 제 1 백업롤러(122, 123)와 맞물려 픽업롤러(107)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현상유니트(130)로 이송할 뿐만 아니라, 제 2 백업롤러(124, 125)와맞물려 제 2 용지 이송경로(B)를 통해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현상유니트(130)로 재진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체(101)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롤러(121)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도시하지 않음)는 이송롤러(121) 하나만 구동하도록 구성하면 됨으로, 구성이 간단해 진다.
또한, 용지가 제 1 용지 이송경로(A)로 터언하는 지점에서 대구경의 이송롤러(121)가 설치됨으로써, 이송롤러(121)와 용지와의 접촉면적이 크게되어 용지잼 발생가능성이 낮아지고, 또 용지 이송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용지 이송경로(B)를 형성하는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타면에는 제 1 용지 이송경로(A)를 형성하는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일면과 마찬가지로 용지가 잼을 일으키지 않고 쉽게 이송되도록 용지이송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출리브(103a)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이저 프린터(100)는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양면 모두가 제 1 및 제 2 용지 이송경로(A, B)를 구성하는 데 사용됨으로써 용지 이송경로를 감소시켜 양면인쇄시 인쇄효율을 높일수 있을 뿐 아니라,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롤러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양면이 돌출리브(103a)를 가짐으로, 용지걸림, 용지 기울어짐등과 같은 문제발생 가능성이 감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양면인쇄 가능한 레이저 프린터(100)의 작용을 도 4 내지 도 13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용지가 적재된 급지 카세트(110)를 본체(101)에 장착한 상태에서, 픽업유니트(106)의 픽업롤러(107)는 컴퓨터 명령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용지와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 구동된다. 이에 따라, 1매의 용지가 픽업롤러(107)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롤러(121)와 제 1 백업롤러(121, 123) 사이로 이송 된다.
이송롤러(121)와 제 1 백업롤러(121, 123) 사이로 이송된 용지는 이송롤러(121)와 제 1 백업롤러(121, 123)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제 1 용지 이송경로(A)를 구성하는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일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현상 유니트(130) 쪽으로 이송된다. 이 때, 현상 유니트(130) 앞쪽에 위치한 프론트 그라운드부(116)의 표면은 용지와 접촉하여 토너화상을 용지에 전사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정전기를 제거한다.
한편, LSU(136)는 화상신호에 따라 코로나(corona) 방전 등에 의해 대전된 감광드럼(132)의 표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감광드럼(132)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감광드럼(132)과 대향하여 회전하는 도시하지 않은 현상롤러에 의해 토너입자가 부착 되어 가시상 형태의 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그 후, 프론트 그라운드부(116)에 의해 정전기가 제거된 용지가 이송롤러(121)와 제 1 백업롤러(122, 123)에 의해 계속 이송되어 감광드럼(132)을 통과하게 될 때, 감광드럼(132)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감광드럼(132)과 전사롤러(134)의 압착작용과 전사롤러(134)에 인가된 토너와 반대극성인 고 전압에 의해 용지의 일면상으로 전사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된 후, 용지가 정착유니트(140)에 도착하면, 용지의 일면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히팅로울러(142)와 정착로울러(141)의 가열압착에 의해 프린트된 화상으로 정착된다.
이와 같이, 원하는 화상이 프린트된 용지는 히팅로울러(142), 정착로울러(141) 등에 의해 계속 이송되어 용지감지 센서(143)를 밀면서 지나가게 되고, 이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 또는 솔레노이드와 연결된 회동축에 고정된 용지감지 센서(143)는 용지와 접촉하여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용지감지 센서(143)는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는 배지유니트(150)의 배지롤러(151)를 구동하여 용지를 외부의 용지 배지대(159) 쪽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 때, 레이저 프린터(100)가 단면인쇄 모드를 수행하고 있을 경우, 제어부는 배지유니트(150)의 배지롤러(151)를 계속 구동하여 용지를 외부의 용지 배지대(159) 까지 배출한다.
그러나, 양면인쇄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는, 용지의 후단부가 용지감지 센서(143)을 통과하여 일정거리 만큼 더 이송된 후 용지를 역방향으로 이송시켜 제 2 용지 이송경로(B)로 진입시킬수 있도록 배지 유니트(150)를 역회전 구동하게 된다.
이 때, 배지 유니트(150)의 역회전 구동은 배지 유니트(15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역회전 구동제어 부재(155)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정·역회전 구동제어 부재(155)의 솔레노이드부(156)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윙기어열(157)이 배지롤러(151)를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동력전달 기어부(150)의 역방향 구동기어열과맞물리도록 스윙기어열(157)을 절환하도록 동작함으로써 모터의 구동력이 배지롤러(151)에 역회전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용지가 역방향으로 이송될 때, 정착유니트(140) 근처의 제 1 용지 이송경로(A) 상에 위치한 용지 반전가이드는 역방향으로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구속하여 제 1 용지 이송경로(A)로 이송되지 못하도록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인쇄용지의 후단부를 제 2 용지 이송경로(B)로 가이드하게 된다.
제 2 용지 이송경로(B)로 가이드되는 용지는 배지롤러(151)의 회전력에 의해 보조 이송가이드(160)의 제 1 가이드부(172)와 정착유니트(140) 근처의 곡선형 리브 가이드(144)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그 후, 용지가 계속 이송되어 제 2 용지 이송경로(B)의 부분을 형성하는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타면에 형성된 돌출리브(103a)와 제 2 가이드부(174) 사이의 공간에 도착하게 되면, 제어부는 제 2 가이드부(174) 근처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용지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텐션롤러(182, 184)와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는 상태로 맞물려 있는 역이송롤러(181, 183)를 동작하도록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게 된다.
도시하지 않은 동력전달부 및 기어부(187)를 통해 한 역이송롤러(183)에 전달된 구동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은 아이들기어(197a, 197b, 197c)에 의해 다른 역이송롤러(181)로 동일방향의 회전력, 예를 들면 시계방향의 회전력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용지가 역이송롤러(183, 184)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될 때, 용지는 그 일측 가장자리가 제 2 가이드부(174)의 일측에 설치된 측면가이드부(175)에의해 정렬되면서 용지 이송가이드(103)의 타면에 형성된 돌출리브들(103a)에 의해 가이드 됨으로, 스큐되거나 용지걸림 또는 잼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 2 용지 경로(B)에서 용지의 잼이 발생하더라도, 커버(190)가 본체(101)의 프레임에 힌지(192)를 통해 회동할수 있게 설치되어 있음으로, 제 1 및 제 2 가이드부(172, 174)와 용지이송 가이드(103)를 개방하도록 커버(19)를 오픈하면, 용지의 잼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용지가 역이송롤러(181, 183)에 의해 계속 이송되어 용지이송부(120)에 도착하면, 도시하지 않은 본체(101) 내의 동력전달부에 의해 구동되는 용지이송부(120)의 이송롤러(121)는 제 2 용지 이송경로(B)에서 제 3 가이드부(176)에 위치한 제 2 백업롤러(124, 125)와 소정압력으로 맞물리면서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에 따라, 용지는 제 3 가이드부(176)를 따라 반전되어 제 1 용지 이송경로(A)에 위치한 제 1 백업롤러(122, 123) 쪽으로 이송된다.
용지가 제 1 백업롤러(122, 123)에 진입하면, 이송롤러(121)는 제 1 백업롤러(122, 123)와 소정압력으로 맞물려 용지를 현상유니트(132) 쪽으로 재진입시키게 된다. 그 후, 반전된 용지는 앞에서 설명한 일면인쇄시와 같은 방법으로 그 이면에 토너화상을 전사하여 정착시킨 후, 외부 용지 배지대(159)로 배출되고, 양면인쇄 과정을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면인쇄 가능한 레이저 프린터는 용지이송 가이드의 양면 모두가 용지 이송경로를 구성하는 데 사용됨과 동시에리브를 구비함으로써 양면인쇄를 위한 용지 이송경로를 감소시켜 양면인쇄시 인쇄효율을 높이고, 용지걸림, 용지 기울어짐등과 같은 문제발생 가능성 및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롤러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저 프린터는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인쇄용지를 현상유니트로 급지하는 이송롤러의 구경을 확대하여 용지를 현상유니트로 급지시키는 것 뿐 아니라 양면인쇄시 용지를 현상유니트로 재진입시키는데에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용지걸림은 줄이는 반면 이송효율은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저 프린터는 그라운드부, 역이송롤러 등을 용지 이송가이드에 고정할 때,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용되는 스크류 또는 부싱과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스냅-피트 형태로 고정함으로써, 조립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을뿐 아니라 조립시간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저 프린터는 역이송롤러를 일체로 형성한 기어부를 갖는 플라스틱 샤프트로 구성함으로써 기어부를 별도로 샤프트에 조립하는 종래의 롤러와 같이 번거로운 추가 조립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위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4)

  1. 본체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용지 적재유니트, 상기 용지 적재유니트에 적재된 인쇄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유니트, 용지에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유니트, 용지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가열 압착하여 가시화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유니트, 상기 본체의 상기 프레임과 협력하여 용지를 상기 현상유니트를 통해 상기 정착유니트까지 유도하는 제 1 용지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일면을 갖는 용지이송 가이드, 상기 정착유니트를 통해 가시화상의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지유니트, 용지의 이면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정착유니트를 통해 상기 배지유니트로 이송된 용지를 상기 현상유니트로 재진입시키도록 안내하는 양면인쇄 유니트를 포함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면인쇄 유니트는,
    상기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과 협력하여, 일면인쇄가 완료되어 상기 배지유니트로 이송된 용지를 반전된 상태로 상기 현상유니트로 재진입시키는 제 2 용지 이송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에 관해 설치된 보조 이송가이드;
    제 2 용지 이송경로를 통해 용지를 이송하도록 상기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과 상기 보조 이송가이드 사이에 설치된 역이송롤러 어셈블리; 및
    상기 픽업유니트에 의해 픽업된 용지 뿐 아니라 상기 역이송롤러 어셈블리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를 제 1 용지 이송경로로 이송시키도록 제 1 용지 이송경로와 제 2 용지 이송경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되고, 최소한 제 1 용지 이송경로의 부분과 제 2 용지 이송경로의 부분이 모두 접하도록 상기 용지이송 가이드에 설치된 대구경의 이송롤러를 구비하는 용지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이송가이드의 일면 및 타면에는 용지가 접촉마찰을 일으키지 않고 쉽게 이송되도록 용지 이송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출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이송 가이드의 일면에는 용지를 그라운드시키기 위한 최소한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부재가 고정부에 의해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그라운드 부재와 상기 용지이송 가이드 중의 하나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돌기, 및 상기 그라운드 부재와 상기 용지이송 가이드 중의 다른 하나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돌기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이송 가이드의 측면에는 상기 그라운드 부재, 상기 전사부재 등을 본체의 회로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메인 그라운드가 메인 그라운드 고정부에 의해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메인 그라운드 고정부는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상기 용지이송 가이드 중의 하나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돌기, 및 상기 메인 그라운드와 상기 용지이송 가이드 중의 다른 하나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돌기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이송가이드는,
    상기 본체의 프레임과 협력하여 제 2 용지 이송경로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상기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용지 이송가이드에 설치되고 상기 배지유니트로 이송된 용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제 2 용지 이송경로로 진입시키도록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부;
    상기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과 협력하여 제 2 용지 이송경로의 부분을 구성하는 제 2 가이드부; 및
    상기 본체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를 통해 제 2 용지 이송경로상으로 이송되는 용지를 상기 현상유니트와 상기 정착유니트를 따라 형성된 제 1 용지 이송경로상으로 진입시키도록 안내하는 제 3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용지 이송가이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기 프레임에 회동할수 있게 설치된 커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역이송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에 고정부재에 의해 설치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역이송롤러;
    상기 역이송롤러와 소정압력으로 접촉한 상태로 맞물리도록 상기 보조 이송가이드의 상기 제 2 가이드부에 설치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텐션롤러; 및
    상기 역이송롤러에 구동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역이송롤러의 샤프트의 일단부에 설치된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역이송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에 고정부재에 의해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두개의 역이송롤러, 상기 역이송롤러와 소정압력으로 접촉한 상태로 맞물리도록 상기 보조 이송가이드의 상기 제 2 가이드부에 설치된 두개의 텐션롤러, 및 상기 역이송롤러에 구동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각각의 상기 역이송롤러의 샤프트의 일단부에 설치된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 역이송롤러의 상기 샤프트의 상기 기어부 사이에는 한 역이송롤러로부터 다른 역이송롤러로 동일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아이들기어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한 역이송롤러의 상기 샤프트의 상기 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용지 이송가이드에 고정된 제 1 보스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면 및 하면 중 한곳에 일체로 형성된 와셔부를 갖는 제 1 아이들 기어, 상기 제 1 아이들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용지 이송가이드에 고정된 제 2 보스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면 및 하면 중 한곳에 일체로 형성된 와셔부를 갖는 제 2 아이들 기어, 및 상기 제 2 아이들기어와 상기 다른 역이송롤러의 상기 샤프트의 상기 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용지 이송가이드에 고정된 제 3 보스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상면 및 하면 중 한곳에 일체로 형성된 와셔부를 갖는 제 3 아이들 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아이들기어들은 상기 와셔들이 서로 엇갈리도록 상기 보스에 각각 배치되게 하여, 상기 아이들기어 모두를 축고정링으로 고정할 필요 없이 최소한 하나의 아이들기어만 축고정링에 의해 상기 보스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역이송롤러는,
    일체로 형성된 기어부를 갖는 플라스틱 샤프트; 및
    샤프트에 끼워진 파이프 형태의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역이송롤러를 상기 용지이송 가이드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는,
    상기 용지이송 가이드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의 홀; 및
    일단부는 상기 홀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후크를 갖고 타단부는 상기 역이송롤러의 상기 샤프트를 수용 및 고정 할 수 있는 C형 개구부를 갖는 샤프트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인쇄 유니트는 상기 역이송롤러 어셈블리에 의해 용지가 이송될 때, 용지가 스큐되지 않도록 상기 용지이송 가이드의 타면에 설치된 용지의 일측 가장자리를 가이드하기 위한 용지측면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이드부는, 일단부는 용지의 일측 가장자리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ㄷ자형 레일을 갖고 타단부는 상기 용지 이송가이드의 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갖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이송부는,
    상기 픽업유니트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제 1 용지 이송경로를 통해 이송하도록 제 1 용지 이송경로를 구성하는 상기 본체의 상기 프레임에 상기 이송롤러와 소정압력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 1 백업롤러; 및
    상기 역이송롤러 어셈블리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를 제 1 용지 이송경로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보조 이송가이드의 상기 제 3 가이드부에 상기 이송롤러와 소정압력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 2 백업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10-2002-0025671A 2002-05-09 2002-05-09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 KR100441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671A KR100441543B1 (ko) 2002-05-09 2002-05-09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
US10/393,244 US6987525B2 (en) 2002-05-09 2003-03-21 Image forming apparatus for duplex printing
JP2003111200A JP3627059B2 (ja) 2002-05-09 2003-04-16 画像形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671A KR100441543B1 (ko) 2002-05-09 2002-05-09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771A KR20030087771A (ko) 2003-11-15
KR100441543B1 true KR100441543B1 (ko) 2004-07-23

Family

ID=2939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671A KR100441543B1 (ko) 2002-05-09 2002-05-09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987525B2 (ko)
JP (1) JP3627059B2 (ko)
KR (1) KR1004415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427B1 (ko) 2008-01-31 2014-07-1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입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0638A (ja) * 2003-08-27 2005-03-17 Ricoh Co Ltd 記録媒体搬送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10946B1 (ko) * 2003-11-14 2006-08-0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용지 수용 장치 및 용지 처리 장치
JP4429856B2 (ja) * 2004-09-29 2010-03-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媒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KR100594807B1 (ko) * 2004-09-06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픽업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7708262B2 (en) * 2005-01-25 2010-05-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handling system
KR100692572B1 (ko) * 2005-05-30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인쇄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US7731184B2 (en) * 2005-07-15 2010-06-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uplexer
JP4569907B2 (ja) * 2006-08-25 2010-10-27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248871B1 (ko) * 2006-09-13 201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원고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8020860B2 (en) * 2006-12-15 2011-09-20 Lexmark Internation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ligning and moving a media sheet within an image forming device
JP4957294B2 (ja) * 2007-03-02 2012-06-2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748711B2 (en) * 2007-10-31 2010-07-06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US7942416B2 (en) * 2008-03-06 2011-05-17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sheet conveying method, and program for sheet conveyance
JP5376923B2 (ja) * 2008-12-05 2013-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110217104A1 (en) * 2010-03-03 2011-09-08 Kabushiki Kaisha Toshiba Parrying structure around sheet junction
JP5605140B2 (ja) * 2010-09-30 2014-10-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669696B2 (ja) * 2011-08-19 2015-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媒体の搬送方法
JP5942575B2 (ja) * 2012-05-10 2016-06-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57350B1 (ja) * 2013-03-06 2013-1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185285B2 (en) * 2016-12-14 2019-01-22 Lexmark International, Inc. Common media redrive system for both belt and hot roll fuser assemblies in an imaging device
JP6838458B2 (ja) * 2017-03-28 2021-03-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KR20190092872A (ko) * 2018-01-31 2019-08-0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형성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5309A (ja) * 1995-12-28 1997-07-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109447A (ja) * 1996-10-03 1998-04-28 Nec Niigata Ltd 両面印刷装置
JPH10268585A (ja) * 1997-03-26 1998-10-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0025979A (ja) * 1998-07-14 2000-01-25 Sharp Corp シート処理装置
KR20000074324A (ko) * 1999-05-20 2000-12-15 윤종용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양면인쇄 장치
KR20020016664A (ko) * 2000-08-26 2002-03-06 윤종용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20030048978A (ko) * 2001-12-13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5646A (ja) * 1989-02-16 1990-08-2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112047A (en) * 1996-03-11 2000-08-2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ubstantially vertical sheet transport path and a relaying mechanism that cooperate to transfer a sheet to a sheet discharge section
JPH11109690A (ja) * 1997-10-03 1999-04-23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0086076A (ja) * 1998-09-17 2000-03-28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5309A (ja) * 1995-12-28 1997-07-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109447A (ja) * 1996-10-03 1998-04-28 Nec Niigata Ltd 両面印刷装置
JPH10268585A (ja) * 1997-03-26 1998-10-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0025979A (ja) * 1998-07-14 2000-01-25 Sharp Corp シート処理装置
KR20000074324A (ko) * 1999-05-20 2000-12-15 윤종용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양면인쇄 장치
KR20020016664A (ko) * 2000-08-26 2002-03-06 윤종용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20030048978A (ko) * 2001-12-13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427B1 (ko) 2008-01-31 2014-07-1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입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87525B2 (en) 2006-01-17
JP3627059B2 (ja) 2005-03-09
US20030209852A1 (en) 2003-11-13
KR20030087771A (ko) 2003-11-15
JP2003327364A (ja) 200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543B1 (ko)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
KR100622401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역전장치
JP3257712B2 (ja) 搬送路切換装置
KR101395115B1 (ko) 화상형성기기
JPH04327447A (ja) 両面印字用の用紙搬送装置
JPH02223964A (ja) コピー用紙ずらし機構を備えた複写機
JP3712075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80052002A (ko) 화상형성장치
JP2004002035A (ja) 画像形成装置の搬送装置
JP2001253622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449092B1 (ko) 용지 중간계류/반전부를 갖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100251945B1 (ko) 양면인쇄기기의 구동단속장치
KR100362386B1 (ko)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JP4007487B2 (ja) 画像形成装置
JP3265261B2 (ja) 画像形成装置
JP3177427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シート処理装置
KR100251953B1 (ko) 양면인쇄장치의 용지 반전 장치
JP392995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02282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150139272A (ko)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940001527Y1 (ko) 전자사진응용기의 앙면프린트용 용지반전장치
KR970002326Y1 (ko) 용지반송장치
KR100263065B1 (ko) 양면인쇄장치에서용지배지시용지정렬방법
JP2926416B2 (ja) 原稿自動送り装置
JP2022065880A (ja) 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