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272A -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272A
KR20150139272A KR1020140067655A KR20140067655A KR20150139272A KR 20150139272 A KR20150139272 A KR 20150139272A KR 1020140067655 A KR1020140067655 A KR 1020140067655A KR 20140067655 A KR20140067655 A KR 20140067655A KR 20150139272 A KR20150139272 A KR 20150139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medium
reference line
printing
guide portion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영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7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9272A/ko
Priority to US14/724,189 priority patent/US20150346669A1/en
Publication of KR20150139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1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2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234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by inverting and refeeding the image receiving material with an image on one face to the recording member to transfer a second image on its second face, e.g. by using a duplex tray; Details of duplex trays or inver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17Post-fixing device
    • G03G2215/0043Refeeding path
    • G03G2215/00438Inverter of refeeding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8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duplex m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일면인쇄 또는 양면인쇄시 현상장치로 인쇄매체를 공급함에 있어서, 여러 종류의 인쇄매체에 대해 호환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인쇄매체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인쇄매체의 크기와 무관하게 일면인쇄와 양면인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PRINTING MEDIUM SUPPL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종류의 인쇄매체가 호환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는 인쇄매체의 공급을 위한 인쇄매체공급장치가 마련된다. 통상적으로 인쇄매체공급장치는 적재된 인쇄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여 현상장치로 공급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일면인쇄와 더불어 양면인쇄가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면인쇄와 양면인쇄시에는 일정기준선을 가지고 현상장치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인쇄매체에 정렬된 화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인쇄매체공급장치에서의 인쇄매체의 공급과,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양면인쇄장치에서의 인쇄매체의 공급의 기준선이 상이하여 문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여러 종류의 인쇄매체가 호환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장치를 갖는 본체; 인쇄매체를 정렬하는 인쇄매체정렬장치를 갖고, 상기 현상장치로 인쇄매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인쇄매체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매체정렬장치는, 인쇄매체의 일단을 가이드하는 고정가이드부;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함께 진퇴이동하거나,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마련되며, 인쇄매체의 타단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가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가이드부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정렬장치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니언부재; 상기 고정가이드부가 배치되는 고정랙기어부재와, 상기 가변가이드부가 배치되는 가변랙기어부재를 갖고, 상기 피니언부재와 연동하는 한 쌍의 랙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변가이드부는, 상기 가변랙기어부재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랙기어부재는, 인쇄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위치를 달리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공급장치는 제 1 동작모드와 제 2 동작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매체정렬장치는, 상기 제 1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상기 가변가이드부의 중앙이 제 1 기준선을 지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가변가이드부가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가변가이드부와 상기 고정가이드부의 중앙이 상기 제 1 기준선과 일치하거나 상기 제 1 기준선과 이격되는 제 2 기준선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동작모드는, 인쇄매체의 일면인쇄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동작모드는, 인쇄매체의 양면인쇄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정렬장치는, 인쇄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2 기준선의 위치를 가변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공급장치는, 적재된 인쇄매체를 순차적으로 상기 현상장치로 공급하고, 그 중심이 상기 제 1 기준선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상장치에서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를 그 이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인쇄매체의 측면을 상기 제 1 기준선과 이격된 고정된 측면기준선으로 정렬하여 상기 현상장치로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양면인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양면인쇄장치는, 인쇄매체의 측면이 상기 측면기준선으로 정렬하도록 상기 측면기준선으로 인쇄매체를 사행이동시키는 스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큐유닛은, 인쇄매체가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사행이동을 하도록 상기 측면기준선을 향해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정렬롤러와 상기 제 1 기준선사이의 거리를 D라 할 때, 인쇄매체의 폭(W)이 2D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기준선이 상기 정렬롤러와의 거리가 D가 되도록 상기 제 2 기준선의 위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준선은, 상기 제 1 기준선과 상기 측면기준선 사이에 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 상기 현상장치로 인쇄매체를 공급하되, 제 1 동작모드에서 인쇄매체의 중앙이 제 1 기준선을 따라 공급하는 인쇄매체공급장치로서, 제 2 동작모드에서 인쇄매체의 중앙이 상기 제 1 기준선과 일치하거나 상기 제 1 기준선과 이격되는 제 2 기준선을 따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인쇄매체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동작모드는, 인쇄매체의 일면인쇄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동작모드는, 인쇄매체의 양면인쇄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공급장치는, 상기 제 1 동작모드와 상기 제 2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선과 상기 제 2 기준선을 형성하도록 인쇄매체를 가이드하는 인쇄매체정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정렬장치는, 인쇄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2 기준선의 위치를 가변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공급장치는, 적재된 인쇄매체를 순차적으로 상기 현상장치로 공급하고, 그 중심이 상기 제 1 기준선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현상장치에서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를 그 이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인쇄매체의 측면을 상기 제 1 기준선과 이격된 고정된 측면기준선으로 정렬하여 상기 현상장치로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양면인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양면인쇄장치는, 인쇄매체의 측면이 상기 측면기준선으로 정렬하도록 상기 측면기준선으로 인쇄매체를 사행이동시키는 스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큐유닛은, 인쇄매체가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사행이동을 하도록 상기 측면기준선을 향해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정렬장치는 상기 정렬롤러와 상기 제 1 기준선사이의 거리를 D라 할 때, 인쇄매체의 폭(W)이 2D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기준선이 상기 정렬롤러와의 거리가 D가 되도록 상기 제 2 기준선의 위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준선은, 상기 제 1 기준선과 상기 측면기준선 사이에 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정렬장치는, 상기 제 1 기준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니언부재; 상기 피니언부재와 연동하여, 인쇄매체의 폭에 따라 조정되는 한 쌍의 랙기어부재; 상기 한 쌍의 랙기어부재에 각각 마련되어 인쇄매체의 양단을 가이드하며 상기 제 1 기준선 또는 상기 제 2 기준선을 형성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 기준선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다른 하나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는, 상기 한 쌍의 랙기어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게 마련되어, 인쇄매체의 일단을 가이드하는 고정가이드부; 상기 한 쌍의 랙기어부재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인쇄매체의 타단을 가이드하는 가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변가이드부는, 상기 다른 하나의 랙기어부재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랙기어부재는, 인쇄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위치를 달리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인쇄매체공급장치는 현상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공급장치로서, 제 1 인쇄모드시 인쇄매체의 중앙이 제 1 기준선을 지나도록 인쇄매체를 정렬하는 인쇄매체정렬장치로서, 제 2 인쇄모드시 인쇄매체의 중앙이 제 1 기준선과 일치하거나 이격되는 제 2 기준선을 지나도록 인쇄매체를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인쇄매체정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인쇄모드는, 인쇄매체의 일면인쇄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쇄모드는, 인쇄매체의 양면인쇄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정렬장치는, 인쇄매체의 일단을 가이드하는 고정가이드부;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제 1 기준선 또는 제 2 기준선을 형성하는 가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여러종류의 인쇄매체가 호환가능한 인쇄매체공급장치를 통해, 인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공급장치와 양면인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공급장치와 양면인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양면인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공급장치와 양면인쇄장치의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S1)가 공급되는 경우 인쇄매체공급장치의 상부정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S1)가 공급되는 경우 양면인쇄장치의 상부정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S2)가 공급되는 경우 인쇄매체공급장치의 상부정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S2)가 공급되는 경우 양면인쇄장치의 상부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정렬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정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정렬장치의 일부구성에 대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가이드부의 이동에 관한 도면.
도 12a, 12b, 12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정렬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정렬장치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정렬장치의 상부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정렬장치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정렬장치의 상부정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공급장치(100), 현상장치(30), 배지장치(40), 양면인쇄장치(140) 및 정착장치(60)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공급장치(100)는 인쇄매체(S)를 현상장치(30)로 공급한다. 인쇄매체공급장치(100)는 인쇄매체(S)가 적재되는 적재트레이(21)와, 적재트레이(21)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한 장씩 순차적으로 픽업하는 픽업롤러(108)와, 픽업된 인쇄매체를 현상장치(3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1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현상장치(30)는 인쇄매체공급장치(100)로부터 이송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현상한다. 현상장치(30)는 광주사장치(6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31), 감광체(31)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32), 감광체(31)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33) 및 감광체(31)의 토너화상이 인쇄매체에 전사되도록 인쇄매체를 감광체(31) 쪽으로 가압하는 전사롤러(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착장치(60)는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인쇄매체에 고정시킨다. 정착장치(60)에는 정착롤러(62)가 마련되어, 정착장치(60)를 지나는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매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킨다.
배지장치(40)는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1배지롤러(41)와 제2배지롤러(42)를 구비하여 정착장치(60)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양면인쇄장치(140)는 인쇄매체의 양면을 모두 인쇄할 수 있도록 한쪽 면이 인쇄된 인쇄매체를 다시 현상장치(30)의 상류로 이송한다. 양면인쇄장치(140)는 양면인쇄경로(P2)를 형성하는 양면인쇄트레이(142)와, 양면인쇄경로(P2) 상에 설치되어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일련의 양면인쇄롤러들(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양면인쇄 시에는 일면이 인쇄된 인쇄매체가 제2배지롤러(42)에 의해 배지되다가 특정 시점에서 반전되어 양면인쇄경로(P2)로 이송되고, 양면인쇄롤러들(160)에 의해 다시 현상장치(30)로 이송되어 현상장치(30) 및 정착장치(60)를 차례로 거치면서 나머지 일면이 인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공급장치와 양면인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공급장치와 양면인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인쇄매체공급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현상장치로 인쇄매체(S)를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인쇄매체공급장치(100)는 적재트레이(102)와, 녹업플레이트(104), 이송롤러(109), 인쇄매체정렬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트레이(102)는 본체(10)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되어, 인쇄매체(S)를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적재트레이(102)의 내부에는 인쇄매체(S)가 적재되는 적재공간(102a)을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재트레이(102)가 카세트타입으로 마련되나, 본체(10)의 측면에서 회전축을 가지고 사용시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타입(20)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재트레이(102)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되어, 개방된 부분으로 인쇄매체(S)가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적재트레이(102)에서 인쇄매체(S)의 이동방향에 대해 후술하는 녹업플레이트(104)보다 하류에는 이송롤러(109)가 마련될 수 있다. 이송롤러(109)는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녹업플레이트(104)에서 픽업롤러(108)에 의해 픽업되는 인쇄매체(S)를 현상장치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녹업플레이트(104)는 적재트레이(102)에 마련될 수 있다. 녹업플레이트(104)는 적재트레이(102)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마련되어, 적재트레이(102)에 적재된 인쇄매체(S)를 픽업롤러(108)를 향해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적재트레이(102)에서 인쇄매체(S)가 공급되는 방향의 하류에 마련되어, 적재된 인쇄매체(S)를 상승시켜 픽업롤러(108)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적재트레이(102)와 녹업플레이트(104) 사이에는 플레이트탄성부재(105)가 마련되어, 녹업플레이트(104)를 승강할 수 있게 된다.
녹업플레이트(104)는 인쇄매체(S)가 적재되는 플레이트바디(106)와, 플레이트바디(106)가 회동가능하게 하는 플레이트회동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회동부(107)는 플레이트바디(106)의 일측에 마련되고, 플레이트바디(106)의 타측은 플레이트탄성부재(105)에 의해 승강되어 인쇄매체(S)의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픽업롤러(108)는 공급트레이의 적재된 인쇄매체(S)의 선단부 상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픽업롤러(108)의 회전에 의해 공급트레이의 적재된 인쇄매체(S)중 최상단의 인쇄매체(S)가 1매씩 픽업된다. 픽업롤러(108)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S)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109)를 통해 이송되어, 현상장치로 공급된다.
픽업롤러(108)는 인쇄매체(S)의 진행방향에 대해 인쇄매체(S)의 중앙이 지나도록 인쇄매체공급장치(1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픽업롤러(108)가 복수개가 마련되는 경우 그 중심이 인쇄매체공급장치(100)의 중앙을 지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인쇄매체(S)의 중앙을 픽업하여 공급하게 되므로 인쇄매체(S)의 종류가 다르더라도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이 없어도 현상장치로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인쇄매체공급장치(100)는 인쇄매체정렬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매체정렬장치(110)는 적재트레이(102)에 적재되는 인쇄매체(S)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인쇄매체(S)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모드에 따라 그 중앙이 제 1 기준선(C1)과, 제 1 기준선(C1)과 이격된 제 2 기준선(C2)을 따라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기준선(C1)은 적어도 하나의 픽업롤러(108)나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의 중심이 지나도록 마련되는 가상선이다. 제 1 기준선(C1)은 픽업롤러(108)나 이송롤러에 의해 인쇄매체(S)의 중앙을 지나도록 구성되므로 고정된 가상선으로 정의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양면인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공급장치와 양면인쇄장치의 단면도이다.
양면인쇄장치(140)는 인쇄매체(S)의 양면을 모두 인쇄할 수 있도록 일면이 인쇄된 인쇄매체(S)를 다시 현상장치(30)의 상류로 이송한다. 양면인쇄장치(140)는 양면인쇄경로(P2)를 형성한다. 양면인쇄시에는 일면이 인쇄된 인쇄매체(S)가 제 2 배지롤러에 의해 배지되다가 특정 시점에서 반전되어 양면인쇄경로(P2)로 이송되고, 양면인쇄롤러들(160)에 의해 다시 현상장치(30)로 이송되어 현상장치(30) 및 정착장치(60)를 차례로 거치면서 나머지 일면이 인쇄된다.
양면인쇄장치(140)는 양면인쇄트레이(142)와, 양면인쇄정렬장치(144)를 포함한다.
양면인쇄트레이(142)는 현상장치(30)에 의해 일면이 인쇄된 인쇄매체(S)를 현상장치로 다시 이송되게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양면인쇄트레이(142)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고, 일면이 인쇄된 인쇄매체(S)가 재이송되어 현상장치(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양면인쇄경로(P2)상에 마련되면 양면인쇄트레이(142)의 배치를 만족한다. 양면인쇄트레이(142)에는 양면인쇄경로(P2)를 형성하는 양면인쇄가이드면(142a)이 형성된다.
양면인쇄정렬장치(144)는 양면인쇄트레이(142)를 지나는 인쇄매체(S)를 정렬하도록 마련된다. 양면인쇄정렬장치(144)는 피딩유닛(146)과, 스큐유닛(152)을 포함한다.
피딩유닛(146)은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S)가 현상유닛으로 이동하도록 인쇄매체(S)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피딩유닛(146)은 양면인쇄트레이(142)의 상부에 마련되어, 양면인쇄트레이(142) 상부를 지나는 인쇄매체(S)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피딩유닛(146)에는 피딩롤러(148)가 마련되어 인쇄매체(S)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피딩롤러(148)의 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쇄매체(S)의 진행방향을 따라 두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피딩유닛(146)은 양면인쇄트레이(14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피딩유닛몸체(147)와, 피딩유닛몸체(147)상에서 인쇄매체(S)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피딩롤러(148)와, 적어도 하나의 피딩롤러(148)의 회전중심에 각각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149)과, 피딩롤러(148)와 회전축(149)을 사이에 두고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풀리(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피딩롤러(148)가 복수개가 마련되므로, 회전축(149)과 풀리(150)도 각각 복수개가 마련된다.
복수의 풀리(150)는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풀리(150)에는 벨트를 이용하여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모터(미도시)는 복수의 풀리(150) 중 어느 하나에 직접 축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스큐유닛(152)은 인쇄매체(S)의 틀어짐을 방지하고, 인쇄매체(S)를 정렬하도록 마련된다. 스큐유닛(152)은 피딩유닛(146)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양면인쇄트레이(142)에는 인쇄매체(S)가 정렬하는 측면기준선(CS)이 마련되고, 스큐유닛(152)은 일면이 인쇄된 인쇄매체(S)의 일측면이 측면기준선(CS)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인쇄매체(S)의 진행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기울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스큐유닛(152)은 인쇄매체(S)가 측면기준선(CS)으로 정렬되도록 인쇄매체(S)를 사행이동되게 마련될 수 있다.
스큐유닛(152)은 스큐유닛몸체(153)와, 스큐유닛몸체(153)상에 마련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롤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정렬롤러(154)는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딩롤러(148)와 상하로 배치되어, 정렬롤러(154)와 피딩롤러(148)사이로 인쇄매체(S)가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양면인쇄경로가 피딩롤러(148)와 정렬롤러(154)사이를 지나도록 형성된다.
정렬롤러(154)는 가압탄성부재(155)에 의해 피딩롤러(148)측으로 가압탄성력이 가해지도록 마련된다. 가압탄성부재(155)는 인쇄매체(S)의 두께에 대응하여 정렬롤러(154)의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서 두께가 상이한 인쇄매체(S)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정렬롤러(154)는 인쇄매체(S)의 진행방향에 대해 측면기준선(CS)을 향해 사행이동 할 수 있도록 소정각도 기울도록 마련된다.
피딩유닛(146)의 피딩롤러(148)와, 스큐유닛(152)의 정렬롤러(154)는 양면인쇄롤러라고 통칭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S1)가 공급되는 경우 인쇄매체공급장치의 상부정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S1)가 공급되는 경우 양면인쇄장치의 상부정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S2)가 공급되는 경우 인쇄매체공급장치의 상부정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S2)가 공급되는 경우 양면인쇄장치의 상부정면도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S)의 일면에만 화상이 형성되는 일면인쇄모드와, 인쇄매체(S)의 양면에 화상이 형성되는 양면인쇄모드를 동작할 수 있다. 일면인쇄모드에서는 인쇄매체공급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인쇄매체(S)가 현상장치를 통해 인쇄매체(S)의 일면에만 화상이 형성된다. 즉 인쇄매체(S)는 일면인쇄경로(P1)를 지나면서 인쇄매체(S)의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양면인쇄모드에서는 인쇄매체공급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인쇄매체(S)가 현상장치를 통해 인쇄매체(S)의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양면인쇄장치(140)를 통해 가이드되어 현상장치(30)를 재차 거치면서 인쇄매체(S)의 배면에도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즉 인쇄매체(S)는 양면인쇄경로(P2)를 지나면서 인쇄매체(S)의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일면인쇄모드에서는 적재트레이(102)에 적재되는 인쇄매체(S)는 그 중앙이 적어도 하나의 픽업롤러(108)나,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109)의 중심을 지나는 제 1 기준선(C1)을 따라 이동하게 마련된다.
양면인쇄모드에서는 제 1 기준선(C1)을 따라 공급되는 인쇄매체(S)가 이후 양면인쇄장치(140)에서 인쇄매체(S)의 측면이 측면기준선(CS)에 정렬되게 된다. 그러나 인쇄매체(S)의 폭이 작은 경우에는 상술한 양면인쇄정렬장치(144)에 의해 가이드되지 않게 되어, 화상형성이 어긋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인쇄매체정렬장치(110)는 이를 위해 양면인쇄모드시에 인쇄매체(S)의 종류에 따라 인쇄매체(S)의 중앙이 제 1 기준선(C1)과 일치하거나, 제 1 기준선(C1)과 측면기준선(CS)사이에 배치되는 제 2 기준선(C2)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마련된다. 즉, 인쇄매체정렬장치(110)는 일면인쇄모드에서 인쇄매체(S)의 중앙이 제 1 기준선(C1)을 따라 공급하고, 양면인쇄모드에서는 인쇄매체(S)의 중앙이 제 1 기준선(C1)과 일치하거나, 제 1 기준선(C1)과 이격되는 제 2 기준선(C2)을 따라 공급되도록 인쇄매체(S)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인쇄매체정렬장치(110)의 조작을 통해 제 2 기준선(C2)은 인쇄매체(S)의 종류에 따라 위치를 가변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면인쇄모드는 제 1 동작모드로 명명할 수 있고, 양면인쇄모드는 제 2 동작모드로 명명할 수 있다.
인쇄매체정렬장치(110)는 정렬롤러(154) 또는 정렬롤러(154)를 지나는 가상선(CR)과, 제 1 기준선(C1)사이의 거리가 D일 때, 인쇄매체(S)의 폭(W)이 2D보다 작은 경우, 제 2 기준선(C2)이 정렬롤러(154) 또는 정렬롤러(154)를 지나는 가상선(CR)과, 거리가 D가 되도록 제 2 기준선(C2)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이렇게 제 2 기준선(C2)의 위치를 가변하여 측면기준선(CS)측으로 인쇄매체(S)의 중심을 바이어스 시킴으로서, 인쇄매체(S)의 폭이 작아 양면인쇄장치(140)에서 양면인쇄정렬장치(144)에 의해 정렬이 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a와 도 6b는 인쇄매체(S1)의 폭(W)이 2D보다 큰 경우로서, 제 2 기준선(C2)의 조정이 없어도 인쇄매체(S1)는 양면인쇄장치(140)를 지날 때, 정렬롤러(154)에 의해 인쇄매체(S1)의 측면이 측면기준선(CS)에 정렬된다. 그러므로 인쇄매체정렬장치(110)는 제 2 기준선(C2)이 제 1 기준선(C1)에 일치하도록 인쇄매체(S1)를 정렬하게 된다.
도 7a와 도 7b는 인쇄매체(S2)의 폭(W)이 2D보다 작은 경우로서, 제 2 기준선(C2)의 조정이 없으면 인쇄매체(S2)가 양면인쇄장치(140)를 지날 때, 정렬롤러(154)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인쇄매체(S2)의 측면이 측면기준선(CS)에 정렬되지 않게 된다. 즉, 인쇄매체(S2)의 양면인쇄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양면인쇄장치를 지날 때 정렬롤러(154)를 지날 수 있도록 가변가이드부(122)를 이동시킴으로서 제 2 기준선(C2)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즉, 인쇄매체정렬장치(110)는 제 2 기준선(C2)이 제 1 기준선(C1)과 이격되도록 가변가이드부(122)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제 2 기준선(C2)을 따라 공급된 인쇄매체(S2)는 양면인쇄장치(140)에서 그 측면이 정렬롤러(154)에 의해 측면기준선(CS)에 정렬하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인쇄매체(S2)의 양면인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인쇄매체정렬장치(110)의 조작을 통해 인쇄매체(S(S1,S2))의 종류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양면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정렬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정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정렬장치의 일부구성에 대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가이드부의 이동에 관한 도면이다.
인쇄매체공급장치(100)는 인쇄매체정렬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매체정렬장치(110)는 피니언부재(112)와, 랙기어부재(114)와, 가이드부(120)를 포함한다.
피니언부재(112)는 제 1 기준선(C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며, 랙기어부재(114)는 한 쌍이 마련되어, 피니언부재(112)를 중심으로 진퇴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 쌍의 랙기어부재(114) 중 어느 하나는 피니언부재(112)의 일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피니언부재(112)의 타측에 배치되어, 피니언부재(112)에 회전에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랙기어부재(114)의 내측에 마련되는 기어와, 피니언부재(112)의 외측에 마련되는 기어가 맞물리게 되고, 피니언부재(112)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랙기어부재(114)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부(120)는 랙기어부재(114)에 마련되어, 인쇄매체(S)의 측면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부(120)는 한 쌍이 마련되며, 각각 인쇄매체(S)의 양측면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한 쌍의 가이드부(120)는 일면인쇄모드와 양면인쇄모드에 따라 제 1 기준선(C1) 또는 제 2 기준선(C2)을 형성하도록 인쇄매체(S)의 양측면을 가이드하게 된다.
한 쌍의 가이드부(120)는 제 1 기준선(C1)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제 1 방향(W1)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한 쌍의 가이드부(120)는 제 1 방향(W1)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120)의 제 1 방향(W1)으로의 이동은, 상술한 랙기어부재(114)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후술하는 가변가이드부(122)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120)는, 한 쌍의 랙기어부재(114)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게 마련되어, 인쇄매체(S)의 일단을 가이드하는 고정가이드부(121)와, 한 쌍의 랙기어부재(114) 중 다른 하나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인쇄매체(S)의 타단을 가이드하는 가변가이드부(122)를 포함한다. 가변가이드부(122)는 고정가이드부(121)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가변가이드부(122)는 고정가이드부(121)에 대해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자세하게는 가변가이드부(122)는 랙기어부재(114)상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고정된 고정가이드부(121)에 대해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가이드부(121)가 배치되는 랙기어부재(114)를 고정랙기어부재(115)라 하고, 가변가이드부(122)가 배치되는 랙기어부재(114)를 가변랙기어부재(116)라 할 수 있다. 가변랙기어부재(116)에는 이후 설명하는 고정부재(124)가 고정되며, 인쇄매체(S)의 종류에 따라 고정부재(124)가 고정되는 위치를 달리하도록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결합홈(116a)이 마련된다.
고정가이드부(121)와 가변가이드부(122)가 피니언부재(112)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제 2 기준선(C2)이 제 1 기준선(C1)과 동일하도록 배치되나, 가변가이드부(122)가 고정가이드부(121)보다 피니언부재(112)와 가깝게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 2 기준선(C2)은 제 1 기준선(C1)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가변가이드부(122)는 인쇄매체(S)와 접하도록 마련되는 가변가이드몸체(123)와, 가변가이드몸체(123)가 가변랙기어부재(116)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124)를 포함한다.
가변가이드몸체(123)는 인쇄매체(S)의 일측과 접하도록 마련되어, 인쇄매체(S)의 일측을 가이드한다. 가변가이드몸체(123)의 하부에는 가변랙기어부재(116)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홈(123a)이 형성된다. 이동홈(123a)은 가변가이드몸체(123)가 가변랙기어부재(116)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가변랙기어부재(116)가 이동레일의 기능을 하고, 가변가이드몸체(123)가 가변랙기어부재(116)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변랙기어부재(116)가 지나는 홈의 형상으로 마련된다.
고정부재(124)는 가변가이드몸체(123)에 대해 탄성지지되도록 마련되어, 인쇄매체(S)의 종류에 따라 가변가이드부(122)의 위치를 조정한 뒤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고정부재(124)는 고정부재몸체(125)와, 고정부재몸체(125)의 일단에 마련되어 가변랙기어부재(116)의 결합홈(116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26)를 포함한다.
고정부재몸체(125)는 가변가이드몸체(123)에서 슬라이딩이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고정부재몸체(125)에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올록볼록하게 형성되는 조작면(125a)이 형성될 수 있다.
가변랙기어부는 고정부재몸체(125)의 일단에서 돌출형성되며, 결합홈(116a)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결합홈(116a)은 인쇄매체(S)의 종류별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인쇄매체(S)의 종류에 따라 결합돌기(126)가 삽입되는 결합홈(116a)을 달리함으로서, 제 2 기준선(C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고정부재(124)는 탄성지지돌기(127)를 포함한다. 탄성지지돌기(127)는 고정부재몸체(125)의 타단에 마련되어, 고정부재몸체(125)와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탄성부재(128)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다. 결합탄성부재(128)의 타단은 고정부재몸체(125)에 고정되어, 고정부재(124)의 결합돌기(126)가 결합홈(116a)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가변가이드부(122)의 이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가변랙기어부재(116)에는 인쇄매체(S)의 종류에 따라 제 2 기준선(C2)을 가변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복수의 결합홈(116a)이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변가이드부(122)의 위치를 이동전의 위치인 제 1 위치와, 이동 후의 위치인 제 2 위치로 정의한다.
제 1 위치에서 가변가이드부(122)의 고정부재(124)에 외력을 가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고정부재(124)의 결합돌기(126)가 결합홈(116a)으로부터 이탈되어, 가변가이드몸체(123)는 가변랙기어부재(116)를 따라 제 1 방향(W1)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이후 가변가이드몸체(123)를 해당 인쇄매체(S)의 종류에 대응되도록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 2 위치로 가변가이드몸체(123)가 위치하게 되면, 고정부재(124)에 대한 외력을 해제한다. 고정부재(124)에 대한 외력을 해제함으로서, 고정부재(124)는 결합탄성부재(128)의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고정부재(124)의 결합돌기(126)는 제 2 위치에 대응되는 결합홈(116a)에 삽입되어, 가변가이드몸체(123)가 가변랙기어부재(116)에 고정되게 된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a, 12b, 12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정렬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인쇄매체정렬장치(110)의 동작을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인쇄매체정렬장치(110)의 제 1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a와 같이 인쇄매체정렬장치(110)의 제 1 동작은 한 쌍의 랙기어부재(114)가 제 1 기준선(C1)을 중심으로 진퇴이동하는 동작이다. 인쇄매체(S)의 폭(W)이 제 1 기준선(C1)과 정렬롤러(154)사이와의 거리인 D에 대해,
W ≥ 2D 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인쇄매체정렬장치(110)가 형성하는 제 2 기준선(C2)을 제 1 기준선(C1)과 일치시켜, 인쇄매체(S)의 중심이 제 1 기준선(C1)을 따라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쇄매체정렬장치(110)의 제 2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b, 12c와 같이 인쇄매체정렬장치(110)의 제 2 동작은 가변가이드부(122)가 고정가이드부(121)와 다른 변위를 가지고 제 1 방향(W1)으로 이동하는 동작이다. 인쇄매체(S)의 폭(W)이 제 1 기준선(C1)과 정렬롤러(154)사이와의 거리인 D에 대해,
W < 2D 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제 1 기준선(C1)을 따라 공급되는 인쇄매체(S)는 양면인쇄시 양면인쇄정렬장치(144)에 의해 정렬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인쇄매체정렬장치(110)를 제 2 동작으로 조작하여, 한 쌍의 가이드부(120)가 형성하는 제 2 기준선(C2)을 제 1 기준선(C1)으로부터 측면기준선(CS)을 향해 이동시켜, 인쇄매체(S)의 중심을 제 1 기준선(C1)으로부터 바이어스되어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정렬장치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정렬장치의 상부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인쇄매체정렬장치(210)의 구성을 달리한다.
인쇄매체정렬장치(210)는 적재트레이(102)에 적재되는 인쇄매체(S)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인쇄매체(S)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모드에 따라 그 중앙이 제 1 기준선(C1)과, 제 1 기준선(C1)과 이격된 제 2 기준선(C2)을 따라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기준선(C1)은 적어도 하나의 픽업롤러(108)나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의 중심이 지나도록 마련되는 가상선이다. 제 1 기준선(C1)은 픽업롤러(108)나 이송롤러에 의해 인쇄매체(S)의 중앙을 지나도록 구성되므로 고정된 가상선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인쇄매체정렬장치(210)는 피니언부재(212)와, 한 쌍의 랙기어부재(214)와, 한 쌍의 가이드부(220)와, 보조정렬장치를 포함한다.
피니언부재(212)는 제 1 기준선(C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며, 랙기어부재(214)는 한 쌍이 마련되어, 피니언부재(212)를 중심으로 진퇴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 쌍의 랙기어부재(214) 중 어느 하나는 피니언부재(212)의 일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피니언부재(212)의 타측에 배치되어, 피니언부재(212)에 회전에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랙기어부재(214)의 내측에 마련되는 기어와, 피니언부재(212)의 외측에 마련되는 기어가 맞물리게 되고, 피니언부재(212)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랙기어부재(214)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부(220)는 랙기어부재(214)에 마련되어, 인쇄매체(S)의 측면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부(220)는 한 쌍이 마련되며, 각각 인쇄매체(S)의 양측면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한 쌍의 가이드부(220)는 일면인쇄모드와 양면인쇄모드에 따라 제 1 기준선(C1) 또는 제 2 기준선(C2)을 형성하도록 인쇄매체(S)의 양측면을 가이드하게 된다.
한 쌍의 가이드부(220)는 제 1 기준선(C1)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제 1 방향(W1)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제 1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한 쌍의 가이드부(220)는 한 쌍의 랙기어부재(214)에 각각 고정되어, 한 쌍의 랙기어부재(214)의 동작에 따라 한 쌍의 가이드부(220)가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즉, 한 쌍의 가이드부(220)는 한 쌍의 랙기어부재(214)의 동작에 의해 제 1 기준선(C1)으로부터 동일한 변위를 가지고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인쇄매체정렬장치(210)는 보조정렬장치(230)를 포함한다.
보조정렬장치(230)는 인쇄매체정렬장치(210)가 제 1 기준선(C1)과 일치하거나, 제 1 기준선(C1)으로부터 측면기준선(CS)을 향해 이격되는 제 2 기준선(C2)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보조정렬장치(230)는 인쇄매체(S)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하며, 한 쌍의 가이드부(220) 중 어느 하나와 사이에 제 2 기준선(C2)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보조정렬장치(230)의 형상은 한 쌍의 가이드부(220)중 어느 하나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보조정렬장치(230)는 한 쌍의 랙기어부재(214) 중 어느 하나에서 제 1 방향(W1)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이를 통해 제 2 기준선(C2)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한 쌍의 가이드부(220)와, 한 쌍의 랙기어부재(214)에 의해 인쇄매체(S)의 이동경로인 제 1 기준선(C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보조정렬장치(230)의 제 1 방향(W1)으로의 동작을 통해 제 2 기준선(C2)을 가변할 수 있게 된다.
이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정렬장치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정렬장치의 상부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실시예와 인쇄매체정렬장치(310)의 구성을 달리한다.
인쇄매체정렬장치(310)는 피니언부재(312)와, 한 쌍의 랙기어부재(314)와, 한 쌍의 가이드부(320)와, 보조정렬장치(330)를 포함한다.
보조정렬장치(330)는 한 쌍의 가이드부(320) 중 어느하나에 대해 그 내측에 안착되어, 한 쌍의 가이드부(320) 중 다른하나와 제 2 기준선(C2)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보조정렬장치(330)는 한 쌍의 가이드부(320) 중 어느하나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안착면(332)이 마련되고, 안착면(332)의 배면은 인쇄매체(S)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마련되어, 인쇄매체(S)의 중앙을 지나는 제 2 기준선(C2)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인쇄매체(S)의 일측면은 한 쌍의 가이드부(320) 중 어느하나에 안착되는 보조정렬장치(330)에 의해 가이드되고, 인쇄매체(S)의 타측면은 한 쌍의 가이드부(320) 중 다른 하나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피니언부재(312)로부터의 변위를 달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화상형성장치 10 : 본체
30 : 현상장치 31 : 감광체
32 : 대전롤러 33 : 현상롤러
40 : 배지장치 60 : 정착장치
100 : 인쇄매체공급장치 102 : 적재트레이
102a : 적재공간 104 : 녹업플레이트
105 : 플레이트탄성부재 106 : 플레이트바디
107 : 플레이트회동부 110 : 인쇄매체정렬장치
112 : 피니언부재 114 : 랙기어부재
115 : 고정랙기어부재 116 : 가변랙기어부재
116a : 결합홈 120 : 가이드부
121 : 고정가이드부 122 : 가변가이드부
123 : 가변가이드몸체 123a : 이동홈
124 : 고정부재 126 : 결합돌기
127 : 탄성지지돌기 128 : 결합탄성부재
140 : 양면인쇄장치 142 : 양면인쇄트레이
144 : 양면인쇄정렬장치 146 : 피딩유닛
148 : 피딩롤러 152 : 스큐유닛
154 : 정렬롤러

Claims (30)

  1. 인쇄매체정렬장치를 구비하는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상기 인쇄매체공급장치로부터 인쇄매체를 공급받아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매체정렬장치는,
    인쇄매체의 일단을 가이드하는 고정가이드부;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함께 이동하거나,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하여, 인쇄매체의 타단을 가이드하는 가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가이드부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정렬장치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니언부재;
    상기 고정가이드부가 배치되는 고정랙기어부재와, 상기 가변가이드부가 배치되는 가변랙기어부재를 갖고, 상기 피니언부재와 연동하는 한 쌍의 랙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가이드부는,
    상기 가변랙기어부재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랙기어부재는,
    인쇄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위치를 달리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공급장치는 제 1 동작모드와 제 2 동작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매체정렬장치는,
    상기 제 1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상기 가변가이드부의 중앙이 제 1 기준선을 지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가변가이드부가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가변가이드부와 상기 고정가이드부의 중앙이 상기 제 1 기준선과 일치하거나 상기 제 1 기준선과 이격되는 제 2 기준선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작모드는, 인쇄매체의 일면인쇄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동작모드는, 인쇄매체의 양면인쇄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정렬장치는,
    인쇄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2 기준선의 위치를 가변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공급장치는,
    적재된 인쇄매체를 순차적으로 상기 현상장치로 공급하고, 그 중심이 상기 제 1 기준선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에서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를 그 이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인쇄매체의 측면을 상기 제 1 기준선과 이격된 고정된 측면기준선으로 정렬하여 상기 현상장치로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양면인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인쇄장치는,
    인쇄매체의 측면이 상기 측면기준선으로 정렬하도록 상기 측면기준선으로 인쇄매체를 사행이동시키는 스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유닛은,
    인쇄매체가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사행이동을 하도록 상기 측면기준선을 향해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롤러와 상기 제 1 기준선사이의 거리를 D라 할 때,
    인쇄매체의 폭(W)이 2D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기준선이 상기 정렬롤러와의 거리가 D가 되도록 상기 제 2 기준선의 위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준선은,
    상기 제 1 기준선과 상기 측면기준선 사이에 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
    상기 현상장치로 인쇄매체를 공급하되, 제 1 동작모드에서 인쇄매체의 중앙이 제 1 기준선을 따라 공급하는 인쇄매체공급장치로서, 제 2 동작모드에서 인쇄매체의 중앙이 상기 인쇄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1 기준선과 일치하거나 상기 제 1 기준선과 이격되는 제 2 기준선을 따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인쇄매체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작모드는, 인쇄매체의 일면인쇄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동작모드는, 인쇄매체의 양면인쇄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공급장치는,
    상기 제 1 동작모드와 상기 제 2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 1 기준선과 상기 제 2 기준선을 형성하도록 인쇄매체를 가이드하는 인쇄매체정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정렬장치는,
    인쇄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2 기준선의 위치를 가변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공급장치는,
    적재된 인쇄매체를 순차적으로 상기 현상장치로 공급하고, 그 중심이 상기 제 1 기준선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에서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를 그 이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인쇄매체의 측면을 상기 제 1 기준선과 이격된 고정된 측면기준선으로 정렬하여 상기 현상장치로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양면인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인쇄장치는,
    인쇄매체의 측면이 상기 측면기준선으로 정렬하도록 상기 측면기준선으로 인쇄매체를 사행이동시키는 스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유닛은,
    인쇄매체가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사행이동을 하도록 상기 측면기준선을 향해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정렬장치는
    상기 정렬롤러와 상기 제 1 기준선사이의 거리를 D라 할 때,
    인쇄매체의 폭(W)이 2D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기준선이 상기 정렬롤러와의 거리가 D가 되도록 상기 제 2 기준선의 위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준선은,
    상기 제 1 기준선과 상기 측면기준선 사이에 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정렬장치는,
    상기 제 1 기준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니언부재;
    상기 피니언부재와 연동하여, 인쇄매체의 폭에 따라 조정되는 한 쌍의 랙기어부재;
    상기 한 쌍의 랙기어부재에 각각 마련되어 인쇄매체의 양단을 가이드하며 상기 제 1 기준선 또는 상기 제 2 기준선을 형성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 기준선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다른 하나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는,
    상기 한 쌍의 랙기어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게 마련되어, 인쇄매체의 일단을 가이드하는 고정가이드부;
    상기 한 쌍의 랙기어부재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인쇄매체의 타단을 가이드하는 가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가이드부는,
    상기 다른 하나의 랙기어부재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랙기어부재는,
    인쇄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위치를 달리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8. 현상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공급장치로서,
    제 1 인쇄모드시 인쇄매체의 중앙이 제 1 기준선을 지나도록 인쇄매체를 정렬하는 인쇄매체정렬장치로서, 제 2 인쇄모드시 인쇄매체의 중앙이 제 1 기준선과 일치하거나 이격되는 제 2 기준선을 지나도록 인쇄매체를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인쇄매체정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공급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모드는, 인쇄매체의 일면인쇄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쇄모드는, 인쇄매체의 양면인쇄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공급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정렬장치는,
    인쇄매체의 일단을 가이드하는 고정가이드부;
    상기 고정가이드부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고정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제 1 기준선 또는 제 2 기준선을 형성하는 가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공급장치.
KR1020140067655A 2014-06-03 2014-06-03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20150139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655A KR20150139272A (ko) 2014-06-03 2014-06-03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14/724,189 US20150346669A1 (en) 2014-06-03 2015-05-28 Printing medium suppl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655A KR20150139272A (ko) 2014-06-03 2014-06-03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272A true KR20150139272A (ko) 2015-12-11

Family

ID=5470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655A KR20150139272A (ko) 2014-06-03 2014-06-03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346669A1 (ko)
KR (1) KR201501392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6911B2 (ja) * 2018-03-20 2022-07-27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記録材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0930A (ja) * 1988-10-04 1990-04-12 Minolta Camera Co Ltd ユニバーサル用紙カセット
US5172903A (en) * 1990-09-28 1992-12-22 Konica Corporation Paper feed cassette
US5574551A (en) * 1994-05-24 1996-11-12 Hewlett-Packard Company Print media supply apparatus with media parameter detection capability
JPH11327216A (ja) * 1998-05-13 1999-11-26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6371474B1 (en) * 2000-09-27 2002-04-16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mechanism and sheet feeding method
JP3883500B2 (ja) * 2002-02-06 2007-02-21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状媒体の幅検知装置
JP2006206281A (ja) * 2005-01-31 2006-08-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182995B2 (ja) * 2006-07-21 2008-11-19 村田機械株式会社 給紙カセット
JP2012188248A (ja) * 2011-03-11 2012-10-04 Brother Industries Ltd 記録媒体保持装置
JP5966610B2 (ja) * 2011-07-29 2016-08-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07222B2 (ja) * 2013-04-30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送装置、給送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9280118B2 (en) * 2013-10-09 2016-03-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46669A1 (en)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4617B2 (en) Sheet stack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459635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632066B2 (en) Paper sheet cassette and image forming device
KR101330736B1 (ko) 화상형성장치
JP2016005986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241530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電子写真装置
US20180118482A1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JP2016124646A (ja) シート給紙装置
US8186669B2 (en) Sheet feed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89262B2 (ja) シート搬送装置と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4036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592974B2 (en) Sheet feeder
KR100467624B1 (ko) 양면 인쇄기의 용지 정렬 장치
KR20150139272A (ko)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6201396B2 (ja) 印刷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95478A (ja) シート状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43096B2 (ja) 給紙装置
JP6641736B2 (ja) 画像形成装置
JP5526263B2 (ja) シート搬送装置と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225979B2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23022910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451201B2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11042455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089896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227087A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