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115B1 - 화상형성기기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115B1
KR101395115B1 KR1020070090291A KR20070090291A KR101395115B1 KR 101395115 B1 KR101395115 B1 KR 101395115B1 KR 1020070090291 A KR1020070090291 A KR 1020070090291A KR 20070090291 A KR20070090291 A KR 20070090291A KR 101395115 B1 KR101395115 B1 KR 101395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unit
sheet
rolle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434A (ko
Inventor
김민재
정진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115B1/ko
Priority to US12/184,396 priority patent/US8433234B2/en
Publication of KR20090025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25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between two sets of roll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3Inverting
    • B65H2301/3332Tri-roller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65H2403/514Cam mechanisms involving eccen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50Gripping means
    • B65H2405/51Gripping means oscillating in arcuate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87Handling details
    • G03G2215/007Inverter not for refeeding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38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 recording medium carried by a transport belt
    • G03G2215/014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 recording medium carried by a transport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ver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가 인쇄면이 하부를 향한 상태로 배출되는 배지경로에서 배지속도를 빨리하는 경우에도 배지장치상에 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화상형성기기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기는 용지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장치와, 상기 인쇄장치를 통과한 용지를 반전시키는 배지전환유닛과, 상기 배지전환유닛에 의해 반전된 용지를 상기 용지배출구로 이송하는 배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지전환유닛은 상기 인쇄장치를 통과한 용지를 상기 배지유닛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를 승, 하강시키는 승하강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화상형성기기{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매체의 이송경로가 개선된 화상형성기기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기기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인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화상형성기기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기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그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상기 정전잠상에 토너를 투입하여 토너화상으로 현상한 후, 이를 급지되는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한다. 이와 같은 인쇄 과정을 마친 용지는 일련의 롤러들 에 의해 화상형성기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화상형성기기는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공급유닛과, 공급유닛에서 공급된 인쇄매체에 글자나 그림 등의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과, 인쇄된 인쇄매체를 배출시키는 배지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각종 화상형성기기는 공급유닛, 인쇄유닛 및 배지유닛의 각 구조와, 이들 구성장치의 배치에 따라 인쇄매체의 이송경로 형상이 바뀐다. 화상형성기기의 인쇄매체 이송경로는 그 형상에 따라 L타입, C타입, S타입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화상형성기기는 인쇄매체의 공급 및 배출 방향에 따라 FIFO(Front In Front Out)타입과, FISO(Front in Side Out)타입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화상형성기기는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가 그 인쇄면이 상부를 향한 채로 배출대로 배출된다. 따라서, 인쇄되는 문서가 여러 페이지로 이루어진 경우, 문서의 페이지가 거꾸로 정렬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페이지를 다시 정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지유닛은 화상형성기기의 전방에 마련되는 인쇄유닛으로부터 인쇄된 용지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제1배지롤러와, 제1배지롤러로부터 이송되는 용지의 이동방향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전환하는 역전롤러와, 이동방향이 전환된 인쇄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배지롤러로 이루어져,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의 인쇄면이 하부를 향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FIFO 타입의 화상형성기기는 인쇄매체 공급카세트에서 픽업된 인쇄매체가 후방으로 픽업되어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인쇄된 후 전방의 배출대로 배출됨으로써, 인쇄매체의 보충 및 인출이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상형성기기는 한 장의 인쇄 용지가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기 위해서는 역전롤러가 정역회전을 순차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배지가 이루어져야 할 경우, 두번째 배지되는 인쇄용지는 첫번째 배지되는 용지가 적어도 역전롤러를 완전히 빠져나갈 때까지는 대기해야 하여야 하고, 배지속도를 빠르게 하는 경우 배지유닛상에 잼(jam)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2배지롤러를 구동하는 모터와 별개로 역전롤러를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배지유닛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가 인쇄면이 하부를 향한 상태로 배출되는 배지경로에서 배지속도를 빨리하는 경우에도 배지장치상에 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화상형성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의 모터를 이용하여 배지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화상형성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 크기가 콤팩트한 화상형성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기는 용지배출구가 형 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장치와, 상기 인쇄장치를 통과한 용지를 반전시키는 배지전환유닛과, 상기 배지전환유닛에 의해 반전된 용지를 상기 용지배출구로 이송하는 배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지전환유닛은 상기 인쇄장치를 통과한 용지를 상기 배지유닛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를 승, 하강시키는 승하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상의 용지가 상기 안내부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용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지유닛은 복수의 배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안내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가 승강할 때,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용지배출구측으로 용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배지롤러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고정부는 상기 안내부재상의 용지가 상기 안내부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용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내부재를 승, 하강시키는 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지유닛은 복수의 배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복수의 배지롤러를 구동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소정위치에서 아이들링상태를 유지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제2기어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또한, 상기 배지전환유닛은 상기 제2기어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유닛을 더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단속유닛은 상기 제2기어의 회전을 단속하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는 승,하강을 원활하게 하도록 상기 캠부에 대응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지고정부는 상기 안내부재상의 용지가 상기 안내부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지를 가압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인쇄유닛의 하류측에 마련되어 용지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지전환유닛상의 용지의 선단을 수용하기 위한 용지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수용부는 용지의 진행방향을 하방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은 본체와,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인쇄장치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를 구비하며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를 이송하기위한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의 상기 롤러의 제1부분으로 인쇄매체를 받아 상기 롤러의 제2부분측으로 향하게 하는 배지전환유닛과, 상기 롤러의 제2부분으로 상기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배지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상기 배지전환유닛은 축부와 상기 축부에서 상기 롤러측으로 연장된 안내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축부와 결합된 제1부분과, 상기 롤러의 제1부분과 제2부분사이에서 운동하는 제2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패스와, 상기 제2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패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2패스는 상기 롤러의 중심과 상기 축부를 연결하는 라인에 대해 마주보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안내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지전환유닛은 상기 인쇄매체의 이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롤러의 제1,2부분사이에서 상기 안내롤러의 운동을 제어하는 캠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전면에 배치된 용지배출구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은 전면부에 위치하는 용지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와,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인쇄장치와, 상기 인쇄장치로부터 상기 인쇄매체를 받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의 제1부분을 통해 패스한 후 개구를 통해 상기 인쇄매체의 선단을 수용하기 위한 용지수용부와, 상기 이송롤러의 제2부분을 통해 상기 인쇄매체를 패스하여 상기 인쇄매체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용지배출구쪽으로 상기 인쇄매체의 이동을 반전시키기 위한 배지전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지전환유닛은 상기 인쇄매체의 이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캠부와, 상기 캠부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기는 용지고정부를 마련하여 안내부재상의 용지가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안내부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모터를 사용하여 배지유닛과 배지전환유닛을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어부와 캠부를 이용하여 안내부재를 승하강시킴으로써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배지전환유닛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지수용부를 마련하여 용지의 진행방향이 반전되기 전에 용지의 선단이 진행하기 위한 공간을 작게 만들기 때문에 전체적인 크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일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는 본체(10)와, 인쇄매체인 용지(A)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장치(20)와, 현상유닛(30a)과 전사유닛(30b)을 통해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장치(30)와, 인쇄장치(30)에 의해 인쇄된 화상을 용지에 고착시키는 정착장치(40)와, 용지의 양면 인쇄를 위한 양면인쇄장치(50)와,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되어 문서를 스캐닝하는 스캐닝장치(60)와, 본체(10)의 전방에 형성된 용지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의 전방에는 본체(10)의 전면(10a)을 개폐시키는 전면커버(11)가 설치된다. 전면커버(11)의 하부에는 힌지부(12)가 구비되어서 전면커버(11)는 힌지부(12)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부에는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가 배출되면서 적재되는 배출대(13)가 구비된다. 배출대(13)의 후방에는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가 본체(10) 외부의 배출대(13) 쪽으로 빠져 나가는 용지배출구(14)가 구비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용지가 이동하는 용지이송경로(14)가 정의되는데, 용지이송경로(14)는 용지가 현상유닛(30a)과 전사유닛(30b)을 지나면서 인쇄 동작이 수행되는 인쇄경로(14a)와, 양면 인쇄가 가능하도록 일면의 인쇄가 끝난 용지를 다시 인쇄장치(30)의 상류측으로 순환시키는 양면인쇄 순환경로(1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지장치(20)는 인쇄매체인 용지(A)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21)를 가지는 급지카세트(22)와,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된 용지(A)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 러(23)와, 픽업된 용지를 인쇄장치(30) 쪽으로 이동시키는 급지이송롤러(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지카세트(22)는 본체(10)의 전면(10a)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인쇄장치(30)의 현상유닛(30a)은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30Y, 30M, 30C, 30K)로 구성된다. 각각의 현상기(30Y, 30M, 30C, 30K)에는 노광유닛(7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31)가 구비된다. 노광유닛(70)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인쇄 신호에 따라 각 현상기의 감광체(31)에 조사한다.
각각의 현상기(30Y, 30M, 30C, 30K)는 감광체(31)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32), 감광체(31)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33) 및 현상롤러(33)에 토너를 공급하여 부착하는 공급롤러(34)를 가진다.
인쇄장치(30)의 전사유닛(30b)은 감광체(31)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용지로 전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광체(31)에 접촉되어 순환 주행하는 전사벨트(35)와, 전사벨트(35)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36)와, 전사벨트(35)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텐션롤러(37)와, 감광체(31)에 현상되어 있는 토너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기 위한 4개의 전사롤러(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착장치(40)는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전사되어 있는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것으로서, 토너가 전사된 용지에 열을 가해주기 위한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41)와, 가열롤러(41)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가열롤러(41)와의 사이에 일정한 정착 압력이 유지시키는 가압롤러(42)를 구비한다.
양면인쇄장치(50)는 용지의 양면을 모두 인쇄할 수 있도록 한쪽 면이 인쇄된 용지를 다시 인쇄장치(30)의 상류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면인쇄 순환경로(14b)를 형성하는 가이드프레임(51)과, 양면인쇄 순환경로(14b) 상에 설치되어 용지를 이송하는 일련의 양면인쇄 이송롤러(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캐닝장치(60)은 본체(61)의 상부에 설치된다. 스캐닝장치(60)은 이미지센서(미도시)를 비롯한 각종 전장품이 설치되는 몸체(61)와, 몸체(61)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62)를 포함한다. 상부커버(62)는 제1힌지장치(63)에 의해 몸체(61)에 결합되고, 제1힌지장치(63)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몸체(61)의 상부를 개폐시킨다.
스캐닝장치(60)의 몸체(61)와 본체(10) 상부의 배출대(13)의 사이에는 인출공간(15)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인쇄 완료되어 배출대(13) 위에 적재되는 용지를 인출공간(15)을 통해 인출할 수 있다. 스캐닝장치(60)은 제2힌지장치(64)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스캐닝장치(60)을 젖히면 배출대(13) 위의 용지를 더욱 쉽게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쇄장치(30), 정착장치(40), 인쇄경로(14a) 및 양면인쇄 순환경로(14b)는 본체(10)의 전면(10a)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본체(10)의 전면(10a)은 위와 같은 부품(30, 40)이나 용지이송경로(12a, 12b)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인쇄장치(30)나 정착장치(40)를 구성하는 각종 소모품들을 교체할 때나 용지이송경로(12a, 12b)에 걸린 용지를 제거할 때 화상형성기기의 전방에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이 증대된다. 뿐만 아니라 화상형성기기의 주변에 위와 같은 교체 작업이나 잼제거 작업을 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게 되며, 사용자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인쇄장치(30), 정착장치(40) 및 용지이송경로(12a, 12b)가 본체(10)의 전면(10a)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면, 정착장치(40)를 통과한 용지의 이동 방향이 본체(10)의 후면(10b)을 향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 배지장치(100)는 본체(10)의 후면(10b)을 향해 이동하는 용지를 반전시킨 후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배지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장치(100)는 정착장치(40)를 지난 용지를 본체(10)의 후면(10b)을 향해 이송하는 이송유닛(110)과, 이송유닛(110)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반전시켜 이송하는 배지전환유닛(120)과, 배지전환유닛(120)의 후방에 마련되어 배지전환유닛(120)상의 용지의 전단을 수용하는 용지수용부(130)와, 배지전환유닛(120)과 용지배출구(14) 사이에 배치되어 배지전환유닛(120)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본체(10) 상면의 배지대(13)로 배출하는 배지유닛(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송유닛(110)은 용지의 배지 시에는 정착장치(40)를 지난 용지를 배지전환유닛(120)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원(미도시)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이송롤러(111)와, 이송롤러(111)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이송아이들롤러(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롤러(111)와 이송아이들롤러(112) 사이를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제1패스라 할 수 있다.
정착장치(40)와 이송유닛(110) 사이에는 이송되는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101)가 설치된다.
배지전환유닛(120)은 정착장치(40)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진행하는 용지를 전방으로 반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용지의 이송경로(12) 상 이송유닛(110)의 하류에 설치된다. 즉, 배지전환유닛(120)은 이송유닛(110)의 이송롤러(111)의 일측으로 인쇄매체를 받아 상기 이송롤러(111)의 타측으로 향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상형성기기에 포함되는 배지전환유닛의 분리사시도이다.
배지전환유닛(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장치(40)를 통과한 용지를 가이드하는 안내부재(210)와, 안내부재(210)를 회전시켜 안내부재(210)의 일단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구동부(220)와, 승하강구동부(220)의 동작을 단속하는 단속유닛(230)과, 안내부재(210)상의 용지가 용지수용부(130)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지고정부(150:도1참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내부재(210)의 일단은 축부(211)가 형성되어 안내부재(21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안내부재(210)에는 안내부재(210)의 상승시 후술할 제1배지롤러(141)와 결합하여 안내부재(210)상의 용지를 용지배출구(14)로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롤러(212)가 형성된다. 즉, 안내부재(210)의 일측은 축부(211)와 결합되고, 안내부재(210)의 타측은 이송롤러(111)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서 운동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재(210)의 타단에는 후술할 승하강구동부(220)의 캠부(225)와 접하여 캠부(225)의 회전에 따라 안내부재(210)의 승, 하강이 원활하게 하도록 롤러부(213)가 형성된다.
승하강구동부(220)는 구동모터(221)와, 구동모터(221)와 연결되는 기어부(222,223)과, 기어부(222,223)의 제2기어(223)와 결합하여 제2기어(22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부(224)와, 회전축부(224)에 고정되어 제2기어(223)와 연 동하여 회전하는 캠부(2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동모터(221)와 제1기어(222)사이에는 복수의 기어가 연결될 수 있으며, 비록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구동모터는 배지유닛을 구동하도록 구동모터와 배지유닛사이에 복수의 기어가 연결될 수 있다. 단일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배지유닛의 복수의 배지롤러를 구동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배지롤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에 기어를 연결하여 배지전환유닛을 구동하게 함으로써 단일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배지장치 전체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제2기어(223)의 외주면에는 치차가 형성되는 아니한 아이들링영역(223a)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아이들링영역(223a)에서는 제1기어(222)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제1,2기어(222,223)가 치차결합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제2기어(223)가 회전하지 아니하게 된다.(도 7참조)
캠부(225)는 회전축부(224)에 고정되어 제2기어(22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데, 캠부(225)는 회전축부(224)에 편심 고정되어 캠부(225)가 회전하게 되면 캠부(225)의 외면에 접하는 안내부재(210)의 롤러부(213)가 캠부(225)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안내부재(210)를 승,하강시킨다.
단속유닛(230)은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34)과, 이 브라켓(234)에 의해 지지되는 액츄에이터(232)와, 액츄에이터(232)에 의해 가동되어 제2기어(223)의 치차들 중 어느 하나에 간섭되는 록킹위치와 제2기어(223)의 치차들로부 터 이격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록킹부재(231)를 구비한다. 또 록킹부재(231)의 타단에는 록킹부재(231)가 록킹위치로 이동하도록 록킹부재(231)의 타단을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233)가 연결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232)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력에 의해 록킹부재(231)가 액츄에이터(232) 쪽으로 당겨져서 록킹부재(231)가 제2기어(223)의 치차로부터 이격된다. 반면에 액츄에이터(232)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탄성부재(233)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부재(231)가 제2기어(223)의 치차쪽으로 전진하여 치차에 간섭되므로 제2기어(223)의 회전이 구속된다.
따라서 록킹부재(231)가 록킹상태에 위치하게 되면 제1기어(222)는 제2기어(223)의 아이들링영역(223a)에 접하면서 공회전을 할 뿐 제1기어(222)의 회전력이 제2기어(223)쪽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록킹부재(231)가 록킹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제1기어(222)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제2기어(223)가 초기회전을 하게 되고, 초기회전후 제1기어(222)와 제2기어(223)의 치차가 맞물림되어 제1기어(222)의 회전력이 제2기어(223)쪽으로 전달되어 제2기어(223)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기어(223)가 1회전하고 아이들링영역(223a)이 다시 제1기어(222)와 접하게 되는 위치에서 액츄에이터(232)가 오프되면 록킹부재(231)가 록킹상태에 위치하게 되면 제2기어(223)의 회전이 구속된다.
이때 제2기어(223)와 연동하여 캠부(225)가 1회전하게 되고, 안내부재(210)는 캠부(225)의 회전에 의해 상승한 후 다시 하강하게 된다.
용지고정부(15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210)상의 용지가 후술할 용지수용부(130)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용지를 가압하는 것으로,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안내부재(210)의 상면과 접하는 고정부재(151)와, 고정부재(151)가 안내부재(210)를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내부재(210)를 통과한 용지는 후단이 이송롤러(111)를 완전히 통과할 때까지 용지가 본체(10)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용지의 선단이 안내부재(210)를 넘어선 상태이기 때문에 용지의 자중에 의해 용지가 안내부재(210)로부터 낙하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 용지고정부(150)는 고정부재(151)가 용지를 안내부재(210)의 상면에 가압함으로써 용지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용지수용부(13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외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용지가 임시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31)을 형성한다. 안내부재(210)을 통과한 용지는 그 후단이 이송롤러(111)를 완전히 통과할 때까지 그 선단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데, 용지수용부(130)는 용지의 선단이 이동할 수 있는 이러한 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용지수용부(130)은 용지의 선반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안내리브(133)가 형성되고, 수용공간(131)을 외부로 드러낼 수 있도록 용지수용부(130)를 개폐하는 커버(132)를 포함한다.
배지유닛(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전환유닛(120)과 용지배출구(14)사이에 마련되어 배지전환유닛(120)에 의해 반전된 용지를 용지배출구(14)를 통해 배출시킨다. 배지유닛(140)은 상기 이송롤러(111)의 타측으로 상기 인쇄매체를 배출한다. 배지유닛(140)은 안내부재(210)의 승강시 안내롤러(212)와 한 쌍을 이루어 용지를 용지배출구(14)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배지롤러(141)와, 이송유닛(110)의 이송롤러(111)와 접하여 회전하는 제1배지아이들롤러(144)와, 용지배출구(14)의 전방에 형성된 제2배치롤러(142) 및 제2배지아이들롤러(143)를 포함한다. 이송롤러(111)와 제1배지아이들롤러(144) 사이를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제2패스라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기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인쇄 동작과 배지 동작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명령이 발생하면 노광유닛(70)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각 현상기의 감광체(31)로 조사하여 감광체(3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각 현상기의 현상롤러(33)는 감광체(31)에 토너를 공급하여 각 감광체(31)의 정전잠상을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토너화상으로 현상한다.
한편 픽업롤러(23)에 의해 픽업된 용지는 전사벨트(35)에 부착되어 전사벨트(35)의 주행 속도와 같은 속도로 이송된다. 이 때 각 감광체(31)에 부착된 토너와 반대되는 극성의 전압이 각 전사롤러(38)에 인가되면서 감광체(31)의 토너화상은 용지로 전사된다. 따라서 용지가 이송됨에 따라 각 감광체(31)에 형성되어 있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토너화상은 순차적으로 용지에 중첩 전사되어 용지에는 완성된 칼라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착장치(40)를 지나면서 용지에 고착되며, 정착장치(40)를 통과한 용지는 도2와 같이 센서(101)를 통과한 후 이송롤러(111)에 의 해 본체(10)의 후방에 마련된 안내부재(210)상으로 이송된다.
안내부재(210)로 유입되는 용지는 도4와 같이 용지의 후단이 이송롤러(111)를 통과할 때까지 본체(10)의 후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용지(A)의 선단은 안내리브(133)와 접하여 진행방향이 하부 방향으로 전환된다. 이렇게 진행방향이 전환된 용지는 수용공간(131)에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용지는 용지고정부(150)의 고정부재(151)에 의해 가압되어 용지의 후단이 이송롤러(111)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용지가 자중에 의해 수용공간(131)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101)에 의해 용지가 배지전환유닛(120)으로 이송되는 것이 감지되면 용지의 후단이 이송롤러(111)를 통과할 정도의 소정시간이 흐른 후에 액츄에이터(232)를 작동시켜 록킹부재(231)를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면 제1기어(222)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제2기어(223)가 초기 회전을 하고 되고, 제2기어(223)의 초기 회전후에 제1,2기어(222,223)가 치차결합하게 되어 제2기어(223)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기어(223)가 회전함에 따라 캠부(225)가 회전하게 된다.
제2기어(223)가 일회전을 하게 되면 캠부(225)의 회전에 따라 안내부재(210)의 롤러부(213)가 캠부(225)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안내부재(210)가 상승한 후 다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안내부재(210)가 상승하게 되면 도5,6과 같이 안내부재(210)의 안내롤러(212)와 제1배지롤러(141)가 접촉하게 되어 안내부재(210)상의 용지(A)는 이송롤러(111)와 제1배지아이들롤러(144)사이를 통과하여 용지배출구(14)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2기어(223)가 일회전을 완료하여 안내부재(210)가 하강하게 되면 액츄에이터(232)를 오프시켜 록킹부재(231)를 제2기어(223)의 치차사이로 이동시켜 제2기어(223)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때 제1기어(222)의 치차는 제2기어(223)의 아이들영역(223a)에 접하게 되므로 제1기어(222)의 회전력은 제2기어(223)에 전달되지 아니하고 공회전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안내부재(210)가 하강하면 후속하는 용지(A)가 안내부재(210)로 유입되어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즉, 안내부재(210)가 상승하여 배지유닛(140)에 용지(A)를 전달한 후 바로 하강하여 후속하는 용지(A)를 안내부재(210)로 진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지유닛(140)에서 용지가 이동함과 동시에 후속하는 용지(A)를 안내부재(210)로 진입시킬 수 있으므로 배지되는 용지(A)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게 되어 용지의 배지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전자사진방식의 컬러 복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특징은 잉크젯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 다른 화상형성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일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기기에 포함되는 배지전환유닛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기기에 포함되는 배지전환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11 : 용지배출구
14 : 배출구 20 : 급지장치
30 : 인쇄장치 40 : 정착장치
60 : 스캐닝장치 100 : 배지장치
110 : 이송유닛 120 : 배지전환유닛
130 : 용지수용부 140 : 배지유닛
141 : 제1배지롤러 150 : 용지고정부
210 : 안내부재 212 : 안내롤러
213 : 롤러부 220 : 승하강구동부
222 : 제1기어 223 : 제2기어
223a : 아이들링영역 225 : 캠부
230 : 단속유닛 231 : 록킹부재
232 : 액츄에이터

Claims (20)

  1. 용지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장치와, 상기 인쇄장치를 통과한 용지를 반전시키는 배지전환유닛과, 상기 배지전환유닛에 의해 반전된 용지를 상기 용지배출구로 이송하는 배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지전환유닛은 상기 인쇄장치를 통과한 용지를 상기 배지유닛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를 승, 하강시키는 승하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전환유닛은 상기 안내부재상의 용지가 상기 안내부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용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유닛은 복수의 배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안내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가 승강할 때,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용지배출구측으로 용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배지롤러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고정부는 상기 안내부재상의 용지가 상기 안내부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용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내부재를 승, 하강시키는 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유닛은 복수의 배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복수의 배지롤러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소정위치에서 아이들링 상태를 유지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제2기어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전환유닛은 상기 제2기어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유닛은 상기 제2기어의 회전을 단속하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승,하강을 원활하게 하도록 상기 캠부에 대응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와 상기 배지전환유닛 사이에는 용지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기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전환유닛상의 용지의 선단을 수용하기 위한 용지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수용부는 용지의 진행방향을 하방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4. 본체와,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인쇄장치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를 구비하며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의 상기 롤러의 일측으로 인쇄매체를 받아 상기 롤러의 타측으로 향하게 하는 배지전환유닛과,
    상기 롤러의 타측으로 상기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배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전환유닛은 축부와 상기 축부에서 상기 롤러측으로 연장된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축부와 결합된 일측과, 상기 롤러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서 운동하는 타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패스와, 상기 타측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패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2패스는 상기 롤러의 중심과 상기 축부를 연결하는 라인에 대해 마주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안내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지전환유닛은 상기 인쇄매체의 이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롤러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서 상기 안내롤러의 운동을 제어하는 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면에 배치된 용지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20. 전면부에 위치하는 용지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와,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인쇄장치와,
    상기 인쇄장치로부터 상기 인쇄매체를 받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의 일측을 통해 패스한 후 개구를 통해 상기 인쇄매체의 선단을 수용하기 위한 용지수용부와,
    상기 이송롤러의 타측을 통해 상기 인쇄매체를 패스하여 상기 인쇄매체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용지배출구쪽으로 상기 인쇄매체의 이동을 반전시키기 위한 배지전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지전환유닛은 상기 인쇄매체의 이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캠부와, 상기 캠부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KR1020070090291A 2007-09-06 2007-09-06 화상형성기기 KR101395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291A KR101395115B1 (ko) 2007-09-06 2007-09-06 화상형성기기
US12/184,396 US8433234B2 (en) 2007-09-06 2008-08-0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291A KR101395115B1 (ko) 2007-09-06 2007-09-06 화상형성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434A KR20090025434A (ko) 2009-03-11
KR101395115B1 true KR101395115B1 (ko) 2014-05-16

Family

ID=4043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291A KR101395115B1 (ko) 2007-09-06 2007-09-06 화상형성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33234B2 (ko)
KR (1) KR1013951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563B1 (ko) * 2009-01-12 2016-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8401458B2 (en) 2009-01-12 2013-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reversing feeding unit
KR102215455B1 (ko) * 2015-05-22 2021-02-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형성장치
KR20160143292A (ko) 2015-06-05 2016-12-14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644323B2 (en) * 2015-09-21 2020-05-05 Lg Chem, Ltd. Metal mesh foil for current collector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2019177959A (ja) * 2018-03-30 2019-10-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1714A (ja) * 1994-09-29 1996-04-09 Canon Inc 原稿自動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060220309A1 (en) 2005-03-17 2006-10-0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device
US20060251453A1 (en) 2005-05-06 2006-11-0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reverse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uch a device
JP2008297085A (ja) 2007-06-01 2008-12-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シート材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695B2 (ja) * 1986-05-30 1996-03-13 日立工機株式会社 両面印刷装置
JPH0539131A (ja) 1991-08-02 1993-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紙装置
US7147217B2 (en) * 2001-07-19 2006-12-12 Krdc Co., Ltd. Paper binding system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1714A (ja) * 1994-09-29 1996-04-09 Canon Inc 原稿自動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060220309A1 (en) 2005-03-17 2006-10-0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device
US20060251453A1 (en) 2005-05-06 2006-11-0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reverse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uch a device
JP2008297085A (ja) 2007-06-01 2008-12-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シート材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434A (ko) 2009-03-11
US8433234B2 (en) 2013-04-30
US20090067909A1 (en) 200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115B1 (ko) 화상형성기기
US7159862B2 (en) Sheet delivery mechanism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83010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user contact prevention
EP2733541B1 (en) Sheet feed apparatus, and documen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429076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245139B1 (ko) 화상형성장치
JP536538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2098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5009978A (ja) 後処理装置
US9309070B2 (en) Paper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101273593B1 (ko) 화상형성장치와 인쇄매체 이송방법
JP2007086628A (ja) 画像形成装置
JP6786220B2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15123854A (zh) 输送装置和图像形成装置
JP2011022331A (ja) 画像形成装置
EP1650613B1 (en) An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an open and close unit
KR20050012022A (ko) 양면 인쇄기
US11655114B2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JP2006126570A (ja) トナー供給装置
JP2022152383A (ja) 手差し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7796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01697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21825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06422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510286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