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075B1 - 둘 이상의 단위 물품 더미를 포함하는 포장물과, 이 포장물 형성 기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둘 이상의 단위 물품 더미를 포함하는 포장물과, 이 포장물 형성 기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075B1
KR100438075B1 KR10-1999-7005455A KR19997005455A KR100438075B1 KR 100438075 B1 KR100438075 B1 KR 100438075B1 KR 19997005455 A KR19997005455 A KR 19997005455A KR 100438075 B1 KR100438075 B1 KR 100438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ling
rods
loop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9531A (ko
Inventor
코크케르스볼드토르
옴달브야르네
군데르게이르빅토르
옌센옌스베이레가르드
외스테르가르드벤트
Original Assignee
노르스크 히드로 아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르스크 히드로 아에스아 filed Critical 노르스크 히드로 아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00069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0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8Band-type slings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ackag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 고정식 적하 슬링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1쌍 이상의 단위 물품 더미(A, B)로 이루어지는 포장물과, 이러한 포장물 형성 기구와, 그 포장물 형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슬링은 상기 더미(A, B)의 폭과 실질적으로 폭이 동일한 벨트(2)의 폐루프 형태로, 중앙의 루프(14)가 모아져 리프팅 아이(15)가 형성되어 벨트(2)의 상측 부분의 중앙 개구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벨트의 단부들이 겹쳐져, 바느질, 아교, 핫멜트 등에 의해 영구적으로 함께 고정된다. 포장물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봉(5)을 구비한 1쌍의 봉(4) 위와,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판(8)에 조여진 봉(8b) 위에서 벨트(2)를 잡아당긴 다음, 그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봉(7)을 구비한 1쌍의 제2 봉(6) 위에서 벨트(2)를 잡아당김으로써 소정 길이의 벨트(2)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포장물이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벨트(2)의 단부가 고정 장치(3)에 고정된 다음, 봉(5, 7)이 벨트(2)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되고 판(8)은 상방으로 이동되어 봉(8a)이 벨트(2)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한편, 롤 조립체(10a, 10b)는 벨트(2)가 그 위에 얹혀질 때까지 벨트(2)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되며, 소정 길이의 벨트(2)가 잡아당겨지면 벨트 공급원(1)은 정지된다. 장치는 벨트(2)에 주름을 형성하며 이 주름진 부분(27)을 슬리브(22)로 둘러싸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구는 중앙부(27)가 슬리브(22)에 의해 둘러싸여 주름이 영구적으로 함께 유지되는 주름진 부분을 포함하는 조립식 루프형 벨트(2)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둘 이상의 단위 물품 더미를 포함하는 포장물과, 이 포장물 형성 기구, 방법 및 장치 {PARCELS COMPRISING AT LEAST TWO STACKS OF UNITS OF GOODS; MEANS,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AID PARCELS}
단위 물품 또는 백(bags)의 운송 및 저장은 이들이 보통 잎 모양의 플라스틱 시트로 덮여져 이 시트에 의해 보호/고정되는 팰릿(pallet)에 적층됨으로써 대규모로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대개 팰릿의 재사용, 수선, 보수 및 운송 등에 드는 비용으로 인해 다소 값비싼 방법이다.
이러한 팰릿 대신에 슬링을 사용하여 전술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제안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WO 88/06554호에는, 인접하게 배치된 백 더미들과, 이 백 더미들을 가로질러 백 더미들을 에워싸는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는 2개의 스트랩(strap)으로 백 포장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기계가 공지되어 있는데, 상기 스트랩의 하측 부분이 백 더미 사이에서 상방으로 연장하여 포장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중앙의 현수(懸垂) 루프(suspension loop)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1쌍의 스트랩을 사용하게 되면 후크 또는 트럭 포크와 같은 리프팅 장치에 2개의 현수 루프가 걸려야 하기 때문에 포장물의 취급이 복잡해진다. 또한, 이러한 포장물은 그 안정성에 문제의 소지가 있으며, 스트랩의 폭이 좁기 때문에 취급 중에 많은 종류의 물품이 손상된다. 현수 루프가 통과하여 빠져 나오게 되어 있는 스트랩에 마련된 개구 또한 그 취급을 복잡하게 하는 것으로, 취급 중에 스트랩의 단부들이 함께 유지되도록 고정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제어가 요구된다.
백 더미를 다루기 위한 유사한 장치가 영국 특허 제1,463,055호 및 제1,409,24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2세트의 루프형 스트랩이 백을 둘러싸고 있지만, 백 포장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공통의 현수 루프가 스트랩 단부들이 고정되어 있는 링을 통해 끼워 넣어져 있다. 이 장치는 전술한 장치보다 더 복잡하다. 전술한 WO 제88/06544호와 마찬가지로 안정성 및 백 손상 가능성과 관련된 단점들이 있다.
본 발명은 자기 고정식 슬링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1쌍 이상의 단위 물품 더미(stacks)로 이루어진 포장물(包裝物;parcel)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포장물을 형성하는 조립식 슬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자기 고정식 적하 슬링(self-clamping load sling)을 포함하는 상기 포장물 형성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자기 고정식 슬링에 의해 둘러싸인 2개의 단위 물품 더미로 이루어진 포장물 제조 단계 중 맨 처음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소정 길이의 슬링 형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제1 단위 물품이 슬링을 형성하는 벨트에 적층되는 제조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마지막 단위 물품이 슬링에 적층되는 제조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벨트의 2개의 단부를 접합하여 슬링을 형성하는 제조의 마지막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벨트형 슬링에 수동으로 백을 채우는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소정 길이의 벨트 재료를 잡아당기는 별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벨트에 포장물의 제1 더미가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현수 루프의 형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벨트 내측에 배치되는 더미들 중 2개의 더미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벨트 단부들이 함께 접합되기 직전의 벨트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포장물의 2개의 더미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현수 루프 부분에 주름을 형성하고 이 주름진 부분 둘레에 슬리브를 형성하는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팰릿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공지된 백 취급용 슬링 장치에 관련된 단점이 없는 단위 물품 또는 백의 안전하면서도 경제적인 취급 방법을 달성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통상 사용되는 리프팅 장치로 취급하는 백 더미로 이루어진 포장물에 대한 안정성과 안전성에 관한 요건에 부합하는 리프팅 및 저장 장치에 백을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보다 효율적인 슬링 형성 방법으로 슬링 장치 자체를 개선하는 것이다.
발명자는 백의 운송/저장을 위해 팰릿을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방법을 찾기 시작하면서, 공지된 자기 고정식 슬링이 그 단점이나 결점에도 불구하고 유망한 개념인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따라서, 개선된 슬링 유형의 백 리프팅 장치를 개발할 것을 결정하였다. 우선 폭이 좁은 스트랩의 사용과 관련된 문제를 연구하여, 폭이 좁은 스트랩을, 예를 들어 백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폭이 동일한 폭 넓은 벨트 또는 천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해결책은 여러 가지 새로운 문제들을 초래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무엇보다도 벨트의 수명 동안, 즉 여러 번의 리프팅 작동 동안 리프팅 강도와 관련한 요건에 부합할 만큼 충분히 강력한 접합부에 이 폭 넓은 벨트의 단부들을 접합하는 것이 문제이다. 다른 문제는 폭 넓은 벨트를 하나로 모아 백 더미를 들어올리기 위한 현수 루프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루프형 벨트의 리프팅 강도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리프팅 루프용의 개구를 벨트에 마련하여야 한다. 이 나중 문제는 2개의 자기 고정식 백 더미 바로 위 영역에서 벨트에 개구를 단순히 슬릿 가공함으로써 매우 간단하게 해결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벨트 단부용의 강력한 접합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벨트에 적합한 재료와, 적절한 접합부 형성 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벨트는 필요한 강도를 갖춘 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재료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황마 등이 있으며 심지어 종이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바느질, 다양한 종류의 아교 및 핫멜트(hot melt) 등의 사용이 고려된다. 벨트 단부들은 또한 암·수 부재로 이루어진 고정 장치에 의해 접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벨트 단부들이 각 암·수 부재가 함께 체결될 때까지 그 암·수 부재 둘레에 겹쳐진다. 용접 가능한 재료는 또한 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강력한 접합부와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마지막 방안은 그 내부에 백이 적층된 상태로 루프형 벨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고려한 해결책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루프형 벨트에 백을 배치하기 위한 신규의 방법 및 장치가 개발되어야 한다. 경제적으로 유용한 해결책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벨트에 백을 적층하기 위한 장치 설계 문제와 벨트의 단부들 사이의 고정 및 영구적인 접합부 달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물품 또는 백 더미의 자기 고정식 적하 슬링의 포장물 형성 방법은 더미의 가로 폭과 실질적으로 폭이 동일한 벨트 형태의 슬링을 포장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현수 루프를 포함하는 폐루프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의 소정의 길이는 일차적으로 벨트 공급원에서부터 형성되는 것이며, 그 후 둘 이상의 단위 물품 더미가 벨트에 배치되어, 벨트가 더미를 둘러싸고 이 더미들 사이에서 윗 방향으로 연장하여 중앙의 현수 루프가 형성된다. 이 루프를 통과시켜 잡아당겨 루프와 리프팅 수단 또는 리프팅 아이(lifting eye)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가 벨트에 마련된다. 벨트의 2개의 단부가 함께 접합되어 벨트의 폐루프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방법의 별법이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이 별법의 주 특징은 중앙의 현수 루프를 형성하고 이 루프 둘레에 슬리브를 배치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슬링을 형성하기 위한 특정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것은 적어도 방사 또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함께 접합되어야 하는 벨트 부분에서의 벨트 재료의 처리를 포함하고 있다. 벨트 재료에 아교 또는 핫멜트를 부착시키면 강도가 상당히 증가된다. 이 해결책은 리프팅 중에 포장물에 가해지는 변형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을 벨트 접합부에 부여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접합부는 비교적 고온에서의 리프팅 동안에도 충분히 강하였다. 또한, 슬리브를 현수 루프 둘레에 사용하는 경우 슬리브 재료는 코로나 처리된 베이스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 재료를 슬리브에 접합하기 위해 아교 또는 핫멜트를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직물과 같은 유사한 재료가, 재료의 여러 부분을 접합하는 데 사용하는 것을 대신하여 예를 들어 가요성의 중간 벌크 용기 제조에 보통 사용되는데, 이것은 코로나 방전 처리될 수 있고 아교와 핫멜트가 접합부에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단위 물품의 포장물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은, 단위 물품 더미의 폭과 실질적으로 폭이 동일한 소정 길이의 벨트를 이 벨트를 가로지르는 4개의 봉(16a, 16b, 16c, 16d) 위에 배치하고, 중앙의 현수 루프를 형성한 다음 이 벨트를 다른 4개의 봉(17a, 17b, 17c, 17d) 세트 둘레에 배치하여 벨트의 2개의 단부를 폐쇄형 슬링 형태로 접합함으로써 폐루프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현수 루프를 통과시켜 잡아당기며 루프를 모아 리프팅 아이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가 벨트의 상측 부분에 마련된다. 단위 물품이 벨트에 적층되고 이어서 폐쇄형 슬링이 형성된다.
슬링에 의해 둘러싸인 둘 이상의 단위 물품 더미의 포장물 형성 장치는 벨트나 천 형태의 루프 재료 공급원을 포함하며, 이 루프 재료는 더미의 포장물 제조 중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2세트의 봉 위를 통과한다. 이러한 각 봉 세트는 이들 봉 사이에 배치된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봉을 구비하며, 2개의 봉이 고정되어 있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판과 함께 소정 길이의 벨트를 제공한다. 벨트의 외측 단부는 적층 작동의 전과정 동안 고정 장치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적층 작동 말기에, 고정 장치는 벨트의 외측 단부가 벨트의 다른 단부에 접합되도록 벨트의 외측 단부를 적소에 배치하기 위하여 벨트 더미 위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포장물 형성 장치는 슬링에 적층될 단위 물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벨트에 물품 또는 백을 배치하고 이어서 그 백 위에 물품 또는 백을 배치하기 위한 적당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적당한 장치는 적층 작동 중에 소정 길이의 벨트가 얹혀 있는 둘 이상의 롤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들 롤 조립체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물은 루프형 슬링에 의해 둘러싸인 1쌍 이상의 단위 물품 더미를 포함하며, 슬링은 상기 단위 물품 더미 사이에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중앙의 현수 루프를 포함한다. 슬링은 더미의 가로 폭과 실질적으로 폭이 동일한 벨트의 폐루프 형태로, 중앙의 루프가 하나로 모아져 리프팅 아이를 형성하며, 이 루프는 선택적으로 적당한 재료의 슬리브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벨트 단부는 그 단부 폭 전체에 걸쳐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느질, 아교, 핫멜트 등에 의해 함께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대응하는 포장물은 단순히 소정 길이의 벨트를 8개의 봉 위에 배치하고 단위 물품 또는 백의 더미 상면에서 벨트의 2개의 단부를 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백은 벨트에 수동으로 적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그 구체적인 특징들을 도면 및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더욱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적하 슬링을 형성하게 될 연속적인 벨트(2)의 공급원(1)이 도시되어 있다. 벨트(2)는 2개의 횡방향 봉(4)과, 봉(8a, 8b)을 구비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판(8) 및 1쌍의 횡방향 봉(6) 위를 통과하며, 상기 2개의 횡방향 봉(4) 사이에는 그 위쪽으로 간격을 두고 봉(5)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1쌍의 횡방향 봉(6) 사이에는 그 위쪽으로 간격을 두고 봉(7)이 배치되어 있다. 벨트(2)의 단부는 고정 장치(3)에 고정된다. 벨트(2) 아래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2개의 롤 조립체(10a, 10b)가 배치되어 있다. 벨트(2) 위에는 공정 중에 제거될 수 있는 횡방향 봉(9)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봉(9) 위에는 세 개의 격벽(11)이 마련되어 있어 이들 사이에 단위 물품이 적층된다. 적층시킬 단위 물품을 공급하는 적하 장치(12)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12)는 벨트(2)에 의해 형성되는 슬링에 의해 둘러싸인 단위 물품 더미를 형성하는 장치에 그 단위 물품을 공급하기에 적당한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나이프(18)가 벨트 공급원(1)에 근접하게 벨트(2)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슬링 형성 작동 시작시 나이프(18)가 수직 방향으로 상승되어 벨트(2)에 중앙 슬릿을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5의 좌측 하부 코너에는 단위 물품의 연속적인 작동과 관련하여 소정 각도에서 본 벨트(2)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벨트(2)가 소정 길이로 신장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봉(5)과 판(8) 그리고 봉(7)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단위 물품을 적층하기 위한 그 출발 위치에 롤 조립체(10a, 10b)를 배치함으로써 달성되며, 이렇게 하여 벨트를 소정 길이로 신장시킬 수 있다. 각 롤 조립체(10a, 10b) 위에 얹혀져 그 위치에 고정된 벨트 부분은 각 백(13) 더미용 슬링의 바닥 부분을 형성한다. 이 때 벨트 공급원(1)은 백 더미로 이루어진 포장물의 제조가 완료될 때까지 정지된다. 이와 같은 소정 길이의 벨트(2)의 형태가 도 2의 좌측 하부 코너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그 후, 단위 물품 또는 백(13)이 격벽(11)들 사이에 계속해서 적하되어 봉(9) 위에서 선행 백(13) 상으로 하강된다.
도 3은 백 더미로 이루어진 포장물 제조의 다음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봉(9)이 제거되어 있고 백이 롤 조립체(10a, 10b) 상의 벨트(2) 위에 얹혀 있다. 판(8)은 봉(8b)에 의해 봉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되어 이 부분의 벨트(2)가 롤 조립체(10a, 10b) 사이에 위치된다.
도 4는 백의 적층이 완료된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벨트(2)가 백(13)의 2개의 더미의 양 측면과 바닥을 둘러싸고 있다. 2개의 더미 사이에 벨트(2)의 루프(14)가 형성되어 봉(8b)에 의해 적소에 유지된다. 벨트(2)의 이 부분은 횡방향으로 함께 가압되며, 루프(14)를 소망하는 형태로 보다 용이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그 겹친 부분에 아교가 분무될 수도 있다. 롤 조립체(10a, 10b)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위치보다 하측 위치로 하방으로 이동되어 있으며, 벨트(2)가 2개의 백 더미 둘레로 신장되어 있다.
도 5는 자기 고정식 적하 슬링의 포장물 형성 방법의 마지막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백의 적층이 완료되면, 고정 장치(3)가 더미의 상면 위에서 벨트(2)의 일단부와 함께 좌측으로 이동되어, 벨트의 연속 공급원으로부터 절단되어 떨어져 있는 다른 단부와 접합된다. 이 단계 동안, 슬릿형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벨트에 의해, 루프(14)의 상측 부분이 벨트(2) 위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루프(14)의 상측 부분이 벨트(2) 위에 배치되기 전에, 루프(14)는 횡방향으로 모아져, 루프(14)의 단부에 리프팅 아이(15)가 형성된다. 벨트(2)의 2개의 단부는 아교, 핫멜트, 바느질 또는 다른 적당한 접합 방법에 의해 접합된다. 아교가 사용되는 경우, 접합 영역 바로 아래로 더미(A)의 상면에 판이 배치되고, 벨트의 2개의 단부 사이에 아교가 공급된 후 이 지점에서 롤이 2개의 단부를 함께 가압하여 영구적인 접합부를 형성한다.
단위 물품 또는 백은 단위 물품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벨트에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취급될 수 있는 물품의 종류로는 백, 상자 등을 들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슬링 형태의 벨트에 적하되어 적층될 수 있는 물품 종류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주요 조건은 벨트의 폭과 단위 물품 더미의 폭이 거의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단위 물품으로 이루어진 포장물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적하되면, 전체 공정이 다시 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한 백 포장물 제조 시간은 단위 물품과 포장물의 크기에 따라 1 내지 3분이다.
도 6은 백을 벨트형 슬링(2)에 수동으로 적층하는 특정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여덟 개의 봉(16a, 16b, 16c, 16d, 17a, 17b, 17c, 17d)이 벨트(2)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2개의 백(13) 더미를 획정한다. 벨트(2)는 봉(16a, 16b, 16c, 16d)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현수 루프(14)를 형성하기 위해 봉(16a)을 통과한 다음 봉(17b)을 지나쳐 아래로 이동하여 추가로 더미(B) 둘레의 봉(17c, 17d, 17a) 둘레를 통과하여 더미(A)를 가로질러 벨트(2)의 다른 단부와 접합된다. 현수 루프용의 중앙 슬릿 또는 개구가 2개의 더미(A, B) 사이의 영역에서 벨트(2)의 상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백(13)은 2개의 벨트 단부가 접합되기 전 또는 후에 벨트 내측에 수동으로 적하될 수 있다.
미리 성형된 벨트를 여덟 개의 봉 조립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조하고, 그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의 현수 리프팅 루프를 구비한 이 벨트에 백을 수동으로 적하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부 판 또는 기부 판 조립체에 의해 추가의 지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조립식 벨트는 주름진 부분(pleated part)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주름진 부분은 주름들을 함께 영구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슬리브 또는 하나 이상의 로프 또는 스트랩에 의해 에워싸인다. 벨트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재료로 제조된 기성(旣成) 루프 형태의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합된 하나의 재료로 제조된 것일 수도 있다.
도 7은 포장물(13)의 제1 더미가 각 롤 조립체(10a, 10b)에 배치되기 이전에, 벨트(2)가 봉(18)에 고정되어 벨트 공급원(1)까지 위쪽으로 이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벨트(2)가 롤 조립체(10a, 10b)의 상면에 배치되고 포장물(13)의 제1 더미(B)가 롤 조립체(10b)에 배치되어 그 우측이 벨트(2)에 의해 덮여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2)는 롤 조립체(10a, 10b) 사이에 배치된 봉(23)에 의해 더미(B)를 따라 상방으로 가압된다. 이렇게 해서 중앙의 현수 루프(15)가 형성되며, 이 루프는 더미(B) 우측으로 도면에 작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되어 함께 겹쳐지거나 주름 형성된 다음 슬리브(22)에 의해 둘러싸여진다(도 9 참조). 이 때, 더미(A)는 조립체(10a)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벨트(2)는 봉(18)을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더미(A)를 따라 배치된다. 그 후, 현수 루프가 위로 감아 올려져 고정 장치(20)에 고정되며, 봉(23)은 해제되어 다시 조립체(10a, 10b) 사이의 처음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봉(19)은 좌측으로 가압되어 벨트(2)의 잘라 내어진 단부가 더미(B) 상면에 배치된다. 도 11에는 벨트의 단부들을 함께 접합하는 제1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아교 또는 핫멜트가 장치(21)에 의해 벨트의 상층에 제공되며, 그 후에 봉(18)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아교가 미리 피복된 벨트의 단부의 상면에 다른 단부를 배치시키고, 2개의 벨트 단부를 함께 가압하여 강력한 접합부를 형성한다. 중앙의 현수 루프(15)를 포함하는 벨트에 의해 둘러싸인 더미(A, B)의 포장물은 이제 장치의 밖으로 운송될 준비가 된 상태이며 새로운 더미의 포장물이 제조될 수 있다. 더미(A, B)는 롤 조립체(10a, 10b)에 배치되기 전에, 예를 들어 종래의 수축 랩핑(shrink wrapping)과 같은 플라스틱 시트 또는 박막에 의해 둘러싸여질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벨트(2)에 주름을 형성하고, 주름이 형성된 루프(15) 둘레에 슬리브(22)를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주름 형성 및 이 주름진 부분의 중앙부 둘레로의 슬리브(22) 배치는 도 9에 도시된 작동 이전에 수행된다. 봉(18, 23)은 동일 높이에 위치하여, 주름 형성 중에 벨트(2)를 수평 상태로 배치한다. 벨트(2)는 우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세트의 안내 바아(24) 사이에 배치된다. 바아(24)는 단부 부재(25a, 25b)에 의해 소정의 거리에 유지되며, 이 거리는 주름진 부분(27)의 높이를 획정한다(도 13 참조). 각 바아(24) 세트는 벨트(2)의 각 측면에 하나씩,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주름 형성 및 슬리브(22)의 배치가 완료되면 벨트 영역 밖으로 이동된다. 바아(24)에는 이 바아(2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부재(26a, 26b)가 위치하며, 부재(26a)가 부재(26b)를 향해 이동되면 벨트(2)에 주름이 형성되며 중앙의 주름진 부분(27)은 슬리브(22)에 의해 둘러싸일 준비가 된다. 이것은 도 14에 더 도시되어 있는데, 슬리브 재료는 공급원(28)으로부터 곡선형의 또는 버클형의 장치(33)로 연장된다. 도 14에는 바아(24)와 주름 형성 부재(26a, 26b)의 각 수평 방향 이동을 위한 압력 실린더(31, 32)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33)는 부재(26b)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폭이 주름진 부분(27)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주름 형성이 시작되기 전에 나이프나 유사한 장치(34)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슬리브 재료에 아교 또는 핫멜트가 공급된다. 주름 형성이 완료되면, 장치(33)가 주름진 부분(27)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도 13 참조). 이 장치(33)는 그 후 부분(27) 둘레를 가압하며, 따라서 이 부분이 슬리브(22)에 의해 에워싸이게 된다.
예 1
이 예는 아교 또는 접착제에 의해 벨트의 2개의 단부를 접합하는 바람직한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이 예는 또한 이러한 접합부의 강도를 평가하는 데 바람직한 시험을 포함하고 있다.
100 cm 폭의 폴리프로필렌 천으로 된 시편을 방사(코로나) 처리하고, 천의 2개의 단부 영역의 약 15 cm가 겹치도록 하였다. 4 mm 스트립의 폴리우레탄과 같은 열경화성 접착제를 천의 일 단부에 천을 가로질러 4개 내지 6개를 부착하였다. 접착제의 온도는 그 융점 이상이었다. 시험 중에 접착제의 온도는 180℃이었다. 스트립들 간의 거리는 30 mm로 하였다. 접착제 부착 직후, 천의 이 부분을 다른 부분의 상면에 배치하고 이들을 함께 약 10초 동안 가압하였다. 그 후, 이 접합부를 60℃에서 200 mm/min의 인장률로 인장 시험하였다. 파열될 때까지 이 시험을 여러 번 수행하였다. 천이 파열되어도 접착제 스트립은 휘어지거나 파열되지 않았다. 다양한 열경화성 접착제를 시험하였는데, 모든 접착제는 인장 강도 시험을 7:1의 안전 계수를 가지고 통과하였으며, 즉 1600 kg 중량의 포장물은 접합부나 천이 파열되는 일이 없이 11200 kg 이상의 인장력에 견딜 수 있었다. 천 직물에 코로나 처리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아교 접합부는 시험을 통과하지 못했다. 이 시험에 근거하면 폭이 100 cm이고 코로나 처리된 현수 벨트는 열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안전하게 접합될 수 있었다. 벨트의 단부 영역은 5 내지 10 cm 정도 겹칠 수 있었으며 2 내지 6개의 접착제 스트립이면 충분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발명자들은 안전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취급될 수 있는, 현수 루프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단위 물품 더미로 이루어진 포장물의 개발에 성공하였다. 이러한 경제적인 면을 기본으로 하는 포장물 형성 장치도 개발되었으며, 사용될 벨트를 형성하며 하나로 접합하는 바람직한 방법이 그 상업성을 결정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Claims (14)

  1. 단위 물품의 더미(A, B) 사이에서 상방으로 연장하여 슬링의 상측 부분에 마련된 중앙 개구를 통과하는 중앙의 현수(懸垂) 루프(14)를 포함하는 자기 고정식 적하 슬링(self clamping load sling)에 의해 둘러싸인 1쌍 이상의 단위 물품 더미(A, B)를 포함하는 포장물(parcel)로서,
    상기 슬링은 상기 더미(A, B)의 가로 폭과 실질적으로 폭이 동일한 벨트(2)로 된 폐루프 형태이며, 상기 중앙의 루프(14)는 모아져 리프팅 아이(15)를 형성하고, 상기 벨트 단부들은 겹쳐져 바느질, 아교, 핫멜트 등에 의해 영구적으로 함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2. 단위 물품(13)의 더미(A, B) 사이에서 상방으로 연장하여 슬링의 상측 부분에 마련된 중앙 개구를 통과하는 중앙의 현수 루프(14)를 포함하는 자기 고정식 적하 슬링에 의해 둘러싸인 1쌍의 단위 물품 더미(A, B)를 포함하는 포장물 형성 기구로서,
    상기 자기 고정식 적하 슬링은, 중앙부가 주름진 부분을 영구적으로 함께 유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로프 또는 스트랩을 구비하는 슬리브에 의해 둘러싸인 주름진 부분(pleated part)을 포함하는 조립식 루프형 벨트(2)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형성 기구.
  3. 단위 물품(13)의 더미(A, B) 사이에서 상방으로 연장하여 슬링의 상측 부분에 마련된 중앙 개구를 통과하는 중앙의 현수 루프(14)를 포함하는 자기 고정식 적하 슬링에 의해 둘러싸인 1쌍 이상의 단위 물품 더미(A, B)를 포함하는 포장물 형성 방법으로서,
    우선 벨트 공급원(1)으로부터의 벨트(2)를 소정 길이가 되게 하고 이 벨트(2) 위에 단위 물품을 배치하여 더미(A, B)를 형성하여, 벨트가 상기 더미(A, B)를 둘러싸고 더미(A, B) 사이에서 상방으로 연장하여 중앙의 현수 루프(14)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더미(A, B)의 가로 폭과 실질적으로 폭이 동일한 벨트(2)의 형태인 슬링을 상기 포장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현수 루프(14)를 포함하는 폐루프로 형성하며, 상기 루프(14)를 통과시켜 잡아당겨 루프를 리프팅 아이(15)로 형성하기 위한 개구를 벨트(2)에 마련하고, 벨트(2)의 2개의 단부를 함께 접합하여 벨트(2) 폐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형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봉(5)이 배치된 1쌍의 봉(4) 위에서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판(8)에 고정되어 있는 봉(8b) 위에서 벨트(2)를 잡아당기고,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봉(7)이 배치된 1쌍의 제2 봉(6) 위에서 벨트를 잡아당겨 소정 길이의 벨트(2)를 형성하고, 그 후 벨트(2)의 단부를 고정 장치(3)에 고정시킨 다음, 봉(5, 7)을 벨트(2)에 대해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판(8)을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봉(8a)이 벨트(2)를 아래쪽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하고, 한편 벨트(2)가 롤 조립체(10a, 10b) 위에 얹힐 때까지 롤 조립체(10a, 10b)를 벨트(2)에 대해 위쪽으로 이동시키며, 벨트 공급원(1)은 상기 소정 길이의 벨트(2)가 잡아당겨지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형성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벨트(2)를 벨트 공급원(1)으로부터 처음에는 롤 조립체(10a)에 배치되어 있는 봉(18) 상으로 잡아당겨 상기 소정 길이의 벨트(2)를 형성한 다음, 제1 더미(B)를 롤 조립체(10b) 상에서 벨트(2)에 배치하고, 그 후 롤 조립체(10a, 10b) 사이에 배치된 봉(23)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현수 루프(15)를 형성하며, 그 후 제2 더미(A)를 벨트(2)와 조립체(10a) 위에 배치하고, 그 후 봉(18, 19)을 상기 더미의 상측 부분 위에서 이동시킴에 따라 더미(A, B)가 벨트(2)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형성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코로나 방전 처리된 벨트(2)의 단부 중 하나에 아교 또는 핫멜트를 최종적으로 적용한 후 2개의 벨트 단부를 함께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형성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현수 루프(15)를 형성하는 중에 벨트(2)를 함께 가압하고, 주름을 형성하고 슬리브(22)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형성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아교 또는 접착제를 함유하는 슬리브 재료가 위에 배치되며 주름 형성 장치(26a, 26b)에 장착되는 곡선형 장치(33)에 의해 벨트(2)의 루프(15)의 주름진 부분(27) 둘레에 슬리브(22)를 형성하고, 주름진 부분(27) 둘레에서 상기 장치(33)를 가압하여 슬리브(22)를 현수 루프(15)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형성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벨트(2)를 가로지르는 봉(16a, 16b, 16c, 16d) 위에 벨트(2)를 배치하고 중앙의 현수 루프(14)를 형성한 다음 벨트(2)를 봉(17a, 17b, 17c, 17d) 둘레에 배치하고 벨트(2)의 2개의 단부를 폐쇄형 슬링 형태로 접합함으로써 상기 더미(A, B)의 가로 폭과 실질적으로 폭이 동일한 벨트(2)를 폐루프로 형성하며, 현수 루프(14)를 통과시켜 잡아당기기 위한 개구를 벨트(2)에 마련하고, 현수 루프(14)를 모아 리프팅 아이(15)를 형성하며, 폐쇄형 슬링이 형성된 후에 슬링에 단위 물품(13)을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형성 방법.
  10. 단위 물품(13)의 더미(A, B) 사이에서 상방으로 연장하여 슬링의 상측 부분에 마련된 중앙 개구를 통과하는 중앙의 현수 루프(14)를 포함하는 자기 고정식 적하 슬링에 의해 둘러싸인 1쌍의 단위 물품 더미(A, B)를 포함하는 포장물 형성 방법으로서,
    더미(A, B)의 폭과 실질적으로 폭이 동일한 벨트(2)로부터 제조되고 중앙의 현수 루프(14)용 개구를 포함하는 예비성형 슬링을 봉(17a, 17b 17c, 17d)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봉(16a, 16b, 16c, 16d) 위에 배치하되, 이들 2세트의 봉(16a, 16b, 16c, 16d)과 봉(17a, 17b 17c, 17d) 사이에 현수 루프(14)가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2세트의 봉은 벨트(2)를 가로지르고, 루프(14)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리프팅 아이(15)를 형성하며, 그 후 슬링에 단위 물품(13)을 적하하여 더미(A, 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단위 물품(13)의 더미(A, B) 사이에서 상방으로 연장하여 슬링의 상측 부분에 마련된 중앙 개구를 통과하는 중앙의 현수 루프(14)를 포함하는 자기 고정식 적하 슬링에 의해 둘러싸인 둘 이상의 단위 물품 더미(A, B)를 포함하는 포장물 형성 장치로서,
    루프 재료(1) 공급원과, 적하 슬링을 형성하게 될 벨트(2)의 외측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3) 사이에 2세트의 봉(4, 6)을 배열하며, 이들 2세트의 봉(4, 6) 각각은 이들 사이에 배치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봉(5, 7)을 각각 구비하고, 2쌍의 봉(4, 6) 사이에는 둘 이상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 조립체(10a, 10b)가 봉(a, b)을 구비한 판(8)이 이들 롤 조립체(10a, 10b)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거리로 배치되며, 단위 물품(13) 공급 수단(1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롤 조립체(10a, 10b) 위에서 격벽(11) 사이에 배치된 봉(9) 세트를 포함하며, 적층 동안에 상기 격벽(11) 사이에 단위 물품(13)이 배치되고, 봉(9)은 적층 공정 동안에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형성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롤 조립체(10a, 10b) 사이에 배치되며 현수 루프(15)를 형성하기 위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봉(23)과, 이 현수 루프(15)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형성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벨트(2)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26a, 26b)가 장착된 2세트의 안내 바아(24)를 포함하며, 상기 바아(24)는 형성된 주름진 부분(27)의 높이에 대응하는 거리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현수 루프(15) 둘레에 슬리브(22)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33)가 주름 형성 장치(26b)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 형성 장치.
KR10-1999-7005455A 1996-12-18 1997-12-18 둘 이상의 단위 물품 더미를 포함하는 포장물과, 이 포장물 형성 기구, 방법 및 장치 KR100438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965438 1996-12-18
NO965438A NO305160B1 (no) 1996-12-18 1996-12-18 Stabler av enhetsgods i pakke med selvstrammende l°ftestropp og fremgangsmÕte samt apparat for fremstilling av pakken
PCT/NO1997/000346 WO1998026977A1 (en) 1996-12-18 1997-12-18 Parcels comprising at least two stacks of units of goods; means,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aid parc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531A KR20000069531A (ko) 2000-11-25
KR100438075B1 true KR100438075B1 (ko) 2004-07-02

Family

ID=1990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455A KR100438075B1 (ko) 1996-12-18 1997-12-18 둘 이상의 단위 물품 더미를 포함하는 포장물과, 이 포장물 형성 기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3) US6336308B1 (ko)
EP (1) EP0944520B8 (ko)
JP (1) JP4154539B2 (ko)
KR (1) KR100438075B1 (ko)
CN (1) CN1088439C (ko)
AR (1) AR010806A1 (ko)
AT (1) ATE234220T1 (ko)
AU (1) AU730183B2 (ko)
BG (1) BG63252B1 (ko)
BR (1) BR9713956A (ko)
CA (1) CA2275427A1 (ko)
CO (1) CO4761100A1 (ko)
CZ (1) CZ294167B6 (ko)
DE (1) DE69719792T2 (ko)
DK (1) DK0944520T3 (ko)
ES (1) ES2194228T3 (ko)
HU (1) HU223372B1 (ko)
IL (1) IL130446A (ko)
MA (1) MA24428A1 (ko)
NO (2) NO305160B1 (ko)
NZ (1) NZ336295A (ko)
PL (1) PL185936B1 (ko)
PT (1) PT944520E (ko)
RO (1) RO118193B1 (ko)
RU (1) RU2202509C2 (ko)
TR (1) TR199901398T2 (ko)
UA (1) UA51760C2 (ko)
WO (1) WO19980269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9409A1 (de) * 2000-08-11 2002-02-21 Saint Gobain Isover G & H Ag Grossgebinde aus Dämmstoffprodukten, insbesondere Mineralwollprodukten in Form von Platten oder Rollen
NO312948B1 (no) * 2000-11-10 2002-07-22 Norsk Hydro As Fremgangsmåte og anordning for å tildanne og löfte en pakke av minst to stabler eller enheter av gods samt en apparatur for ålage en slik pakke
NO312949B1 (no) * 2000-11-10 2002-07-22 Norsk Hydro As Fremgangsmåte og anordning for å tildanne og löfte en pakke av gods samt en apparatur for å tildanne slik pakke
NO313872B1 (no) * 2001-03-21 2002-12-16 Norsk Hydro As Anordning for tildannelse og löfting av pakker
SE519011C2 (sv) * 2001-05-31 2002-12-2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Anordning för kontinuerlig gruppering av föremål på en transportbana
US20060283360A1 (en) * 2005-06-20 2006-12-21 Columbia/Okura Llc Sling jig assembly for use in loading and transporting bagged and bundled products
NL1033209C2 (nl) * 2006-01-12 2007-12-04 Food Processing Systems Inrichting voor het vullen van dozen of kratten.
US8015781B2 (en) * 2006-03-08 2011-09-13 Seatal Automation Systems LLC. Box loader
US20090266037A1 (en) * 2006-03-08 2009-10-29 Delbert Odman Box loader
ES2335297T3 (es) * 2006-05-26 2010-03-24 M T C - Macchine Trasformazione Carta S.R.L. Dispositivo de alimentacion de papel para una maquina precintadora para bloques de material en hojas.
EP2096037B1 (en) * 2006-11-14 2011-06-15 Ecobiz Co., Ltd. Load fixing device
DE102007015751B3 (de) * 2007-03-30 2008-12-24 Khs Ag Belade- und Palettiervorrichtung für Rollwagen und zugehöriges Verfahren
DE102010024548A1 (de) * 2010-06-22 2011-12-22 Multivac Sepp Haggenmüller Gmbh & Co. Kg Verpackungssystem zum Befüllen eines Sammelbehälters mit Artikeln
US8776678B2 (en) * 2010-08-24 2014-07-15 Cnh Industrial America Llc Bale wrapping system and method for a plant material compactor
CN103547510B (zh) * 2011-06-02 2015-05-20 株式会社石田 装箱装置
US9003747B2 (en) * 2012-04-23 2015-04-14 Alain Cerf Process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stacking strength of film wrapped articles
US9051069B2 (en) * 2012-08-22 2015-06-09 De La Rue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rapping a set of documents
CN103693237B (zh) * 2013-12-05 2015-10-28 张家港市德顺机械有限责任公司 堆码机中的下压止跳装置
RU2634158C2 (ru) * 2016-03-16 2017-10-24 Зульфия Рафаильевна Фесун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груза из ёмкости
US10822128B2 (en) * 2017-05-31 2020-11-03 Nike, Inc. Systems and processes for packing articles of footwear
CN108673951B (zh) * 2018-03-28 2019-11-22 江苏南江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化纸袋穿绳装置及穿绳方法
CN111453088B (zh) * 2018-06-28 2021-06-11 绍兴市逸晨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物流运输用快递包装箱流程化封箱设备及封箱方法
CN110253954B (zh) * 2019-06-13 2020-11-13 安徽世品佳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穿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01520A (en) * 1920-06-10 1921-12-27 Clark Thread Co Article collecting and bundling mechanism
US2910814A (en) * 1952-08-12 1959-11-03 Deluxe Products Corp Method of manufacture of filter mechanism
FR1247293A (fr) * 1960-02-08 1960-11-25 Dispositif permettant le maintien et la manutention d'objets en vrac
GB1409243A (en) 1971-09-07 1975-10-08 Fisons Ltd Sling
BE789642A (fr) * 1971-10-05 1973-02-01 Micheli Rosolino Procede et machine a confectionner automatiquement des charges avec desbandes en materiel thermoretrecissable
GB1463055A (en) * 1973-01-13 1977-02-02 Fisons Ltd Sling
SE7712575L (sv) 1977-11-08 1979-05-09 Berrezouga Ridha Sett for tillverkning av lyftsling med dubbel funktion
DE3313462A1 (de) * 1983-04-14 1984-10-18 Focke & Co, 2810 Verden Verpackung fuer eine mehrzahl von zigaretten-packungen oder dergleichen (zigarettenstange)
US4617784A (en) * 1984-01-05 1986-10-21 Monarch Marking Systems, Inc. Apparatus for stacking and banding tags
FI70868C (fi) * 1985-02-25 1986-10-27 Lassila & Tikanoja Oy Lyft- och ombindningsband av oegleform foer lyftande av tvao huvudsakligen lika stora och lika tunga exempelvis av balar saeckar eller roer bestaoende lass
RU1804426C (ru) * 1986-05-02 1993-03-23 Фераг Аг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матывани в переносной рулон каскадно подводимой печатной продукции и обв зывани полученного рулона
SE468711B (sv) * 1987-01-02 1993-03-08 Andersson Claes Goeran Foerpackning, innefattande ett banderolliknande foerpackningshoelje, jaemte ett foerfarande och en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en dylik foerpackning
FR2611648B1 (fr) * 1987-03-03 1989-06-30 Rochelle Pallice Sica Silo Procede et machine de formation automatique de colis de sacs maintenus par des sangles
US5168989A (en) * 1991-04-22 1992-12-08 Benno Edward L Package member, method for making packages, and packages of multiple container units
US6059181A (en) * 1998-06-04 2000-05-09 Henkel Corporation Packaging system for non-rigid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A24428A1 (fr) 1998-07-01
CA2275427A1 (en) 1998-06-25
EP0944520A1 (en) 1999-09-29
NO314076B1 (no) 2003-01-27
EP0944520B1 (en) 2003-03-12
WO1998026977A1 (en) 1998-06-25
NZ336295A (en) 2000-11-24
DK0944520T3 (da) 2003-07-14
US20020035819A1 (en) 2002-03-28
RU2202509C2 (ru) 2003-04-20
US6481186B2 (en) 2002-11-19
CZ9902079A3 (cs) 2001-02-14
NO992943L (no) 1999-07-28
ES2194228T3 (es) 2003-11-16
CN1240399A (zh) 2000-01-05
UA51760C2 (uk) 2002-12-16
KR20000069531A (ko) 2000-11-25
AU7737498A (en) 1998-07-15
CZ294167B6 (cs) 2004-10-13
US6370845B1 (en) 2002-04-16
AR010806A1 (es) 2000-07-12
BG103559A (en) 2000-02-29
AU730183B2 (en) 2001-03-01
PT944520E (pt) 2003-07-31
NO992943D0 (no) 1999-06-16
IL130446A (en) 2002-03-10
NO965438D0 (no) 1996-12-18
US20020033008A1 (en) 2002-03-21
CN1088439C (zh) 2002-07-31
EP0944520B8 (en) 2003-08-06
HUP0002089A3 (en) 2000-11-28
RO118193B1 (ro) 2003-03-28
PL185936B1 (pl) 2003-09-30
CO4761100A1 (es) 1999-04-27
DE69719792D1 (de) 2003-04-17
DE69719792T2 (de) 2004-03-18
JP2001506567A (ja) 2001-05-22
US6336308B1 (en) 2002-01-08
BG63252B1 (bg) 2001-07-31
BR9713956A (pt) 2000-03-21
PL334302A1 (en) 2000-02-14
IL130446A0 (en) 2000-06-01
ATE234220T1 (de) 2003-03-15
HU223372B1 (hu) 2004-06-28
TR199901398T2 (xx) 1999-11-22
NO305160B1 (no) 1999-04-12
NO965438L (no) 1998-06-19
HUP0002089A2 (hu) 2000-10-28
JP4154539B2 (ja)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075B1 (ko) 둘 이상의 단위 물품 더미를 포함하는 포장물과, 이 포장물 형성 기구, 방법 및 장치
US7421832B2 (en) Supplying a strip of material
EP0246777B1 (en) Cargo bag
US9365345B2 (en) Method of lifting a load using a bag coupled to a lifting sling
RU99116009A (ru) Пакеты, состоящие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из двух комплектов единиц товаров; средство,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акетов
EP0083505A1 (en) Collapsible receptacle with prefabricated lift loops and method of making same
EP1877327A1 (en) Sleeve
US20070158252A1 (en) Sleeve
MXPA99005668A (en) Parcels comprising at least two stacks of units of goods;means,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aid parcels
US20040050018A1 (en) Method and means for forming and lifting parcels or packages comprising at least two stacks or units of goods, and an apparatus for forming such parcels
EP1335876A1 (en) A method and means for forming and lifting parcels of goods and an apparatus for forming such parcels
RU217477U1 (ru) Вкладыш мягкого контейнер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хранения насыпных грузов
EP1695933A2 (en) Method of splicing a strip material and method of forming a package of said strip material
NZ207134A (en) Woolpack of non-woven sheet:block bottom formed by mitre seals
JPS6026527A (ja) 荷降し台
NZ195617A (en) Woolpack formed from non-woven sheet material.top cover flaps defined by terminally reinforced sl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