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552B1 - 탄성 지지부재의 부착구조를 가지는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탄성 지지부재의 부착구조를 가지는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552B1
KR100427552B1 KR10-2001-0031406A KR20010031406A KR100427552B1 KR 100427552 B1 KR100427552 B1 KR 100427552B1 KR 20010031406 A KR20010031406 A KR 20010031406A KR 100427552 B1 KR100427552 B1 KR 100427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ide plate
opposing
opposing walls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1455A (ko
Inventor
후쿠오카쇼키치
가지카와요시하루
히라노아키오
츠카고시야스아키
야자와아츠시
안도야스히로
나카무라후미아키
하라다히데오
이나가키신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10111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1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 F28F9/002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with fastening means f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코어부(110)를 보강하기 위한 측판(130)을 가지는 본 발명의 열교환기에서, 상기 코어부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부재(140)가 상기 측판의 대향벽들(131, 132) 사이에 삽입된 후에 슬릿부(134)를 가지는 대향벽들의 일부분이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슬릿 둘레의 위치에서 소성변형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오목홈에 구속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향하여 돌출한다. 또한, 상기 슬릿은 상기 측판의 외주단부로 개방됨이 없이 각 대향벽을 관통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측판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한편, 상기 측판이 납땜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성 지지부재의 부착구조를 가지는 열교환기{HEAT EXCHANGER HAVING ATTACHMENT STRUCTURE OF ELASTIC SUPPORT MEMBER}
본 발명은 열 교환기에서 탄성재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의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착구조는 응축기와 같은 차량 열교환기를 위해 적합하게 사용된다.
종래의 응축기에 있어서, 다수의 L형 오목홈부(L-shaped recess portion)는 열교환기의 금속 측판에 제공되며, 다수의 돌출조(protrusion claw)는 탄성부착부재에 제공되며, 상기 부착부가 측판에 부착되도록 상기 돌출조가 상기 L형 오목홈부에 구속된다. 그러나, 상기 각각의 L형 오목홈부가 상기 측판의 외주단부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오목홈부 주변의 측판의 강성이 감소되어 상기 측판의 외주단부가 쉽게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측판이 납땜중에 가열될 때, 상기 L형 오목홈부 주변의 측판이 그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쉽게 변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측판의 변형이 납땜중에 방지되면서 탄성 지지부재가 상기 측판내로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정면도.
도2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측판과 지지부재 나타낸 개략도.
도3은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에서의 측판의 사시도.
도4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상기 측판에 지지부재를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상기 측판을 소성변형시키기위한 코킹지그의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측판과 지지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측판과 지지부재를 나타낸 미조립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지지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지지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지지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지지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에 사용된 측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측판과 지지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열교환기 110: 코어부
111: 튜브 112: 주름진 핀
120: 헤더탱크 130: 측판
131, 132: 대향벽 133: 바닥벽
134: 슬릿 135: 직사각형 편재
140: 지지부재 141: 오목홈부
200: 코킹지그 201: 갈고리부
202: 레버 300: 차량몸체
본 발명에 따르면, 두 유체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코어부 및 상기코어부를 보강시키기 위하여 그의 일단부에 배치된 측판을 구비하는 열교환기에서, 상기 측판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대향벽을 구비하며, 상기 코어부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부재가 상기 측판내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여 상기 측판의 대향벽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부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된 오목홈부를 가지며, 상기 대향벽들은 그들 사이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오목홈부에 구속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는 그의 삽입부가 측판내로 삽입된 후에 상기 대향벽의 일부분을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측판내로 쉽게 압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의 개방 외주단부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상기 납땜중에 상기 측판의 변형이 방지되는 한편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측판내에 쉽게 부착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오목홈부가 지지부재내에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비용이 비교적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대향벽들은 그들 각각을 관통하는 슬릿(slit)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대향벽들 사이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슬릿에 근접하는 위치에서의 대향벽들내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대향벽들의 일부분을 소성변형시킴으로써 간단히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대향벽들 사이에 고정되어지도록 대향벽들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차량몸체에 부착되어지는 설치가이드부 및 상기 삽입부와 설치가이드부 사이의 진동흡수부를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부는 탄성재보다도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부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의 경도를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부가 측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열교환기가 차량에 설치될 경우, 상기 지지부재는 차량으로부터 열교환기로 전달되는 진동을 충분하게 흡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부가 측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및 잇점들은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좀더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부착구조는 일반적으로 차량용 냉동사이클의 열교환기(예를들면, 응축기)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응축기)(100)는 상기 냉매와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열교환 코어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부(110)는 냉매가 통과하도록 하는 다수의 튜브(111)와, 상기 인접한 튜브(111)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인접한 튜브(111)에 납땜되어지는 다수의 주름진 핀(corrugated fin)(112)으로 구성된다.
양측의 제1 및 제2 헤더탱크(120)는 상기 튜브(111)와 연통하도록 각 튜브(111)의 양측 길이방향 단부에 배치된다. 도1에서 우측의 제1 헤더탱크(120)는 냉동사이클의 압축기로부터 상기 튜브(111)내로 토출되는 냉매를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해 배치되며, 도1에서 좌측의 제2 헤더탱크(120)는 열교환을 수행한 후에 상기 튜브(111)로부터 냉매를 수집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코어부(110)의 보강부재로서 사용되는 양측 측판(130)은 상기 튜브(111)와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상기 코어부(110)의 상하 양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측판(130)은 납땜에 의해 상기 코어부(110)와 제1 및 제2 헤더탱크(120)에 접합되는 한편, 상기 코어부(110)와 헤더탱크(120)는 납땜에 의해 용접된다.
각각의 측판(130)은 대략 U-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130)은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대향벽(131, 132)과 상기 대향벽(131, 132)에 연결된 바닥벽(133)을 가진다. 즉, 상기 대향벽들(131, 132)은 상기 바닥벽(133)의 표면에 대략적으로 수직되도록 바닥벽(133)으로부터 돌출한다. 탄성재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40)는 상기 열교환기(100)의 코어부(110)를 지지하도록 상기 측판(130)의 대향벽들(131, 132) 사이에 삽입되어 부착된다. 상기 탄성재는 EPDM(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 rubber)과 같은 탄성변형재이다. 상기 양측 지지부재(140)는 각 측판(130)의 양단측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140)의 전체 수는 4개이다. 여기서, 상기 측판(130)에 부착되는 지지부재(140)중 하나의 부착구조가 설명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부(관통홀부)(134)는 대략 U자형상으로 상기 대향벽들(131, 132) 각각에 형성된다. 상기 슬릿부(134)는 상기 측판(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 슬릿과, 상기 연장 슬릿의 단부로부터 상기 연장 슬릿에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면슬릿을 가진다.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편재(직사각형 편재)(135)는 각각의 대향벽(131, 132)에 상기 슬릿부(134)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대향벽(131, 132)에서의 측판(130)의 주변단부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측판(130)은 슬릿부(134)가 프레스 가공으로 펀칭된 후에, 프레스 가공에 의해 대향벽(131, 132)과 바닥벽(133)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지지부재(140)는 인접한 바닥벽(133)의 위치에서 상기 대향벽(131, 132)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대향벽(131, 132) 사이의 폭치수(W)를 가진다. 상기 지지부재(140)의 폭치수(W)는 오목홈부(recess portion)(141)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140)의 직사각형 편재(135)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감소된다. 그러므로, 상기 오목홈부(141)가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140)는 폭치수(W)보다 작은 폭치수(Wo)를 가진다.
상기 직사각형 편재(135)는 상기 지지부재(140)가 측판(130)의 대향벽들(131, 132) 사이에 삽입된 후에, 상기 오목홈부(141)내로 압입되어 그에 구속되도록 상기 오목홈부(141)측으로 돌출되게 소성변형된다. 즉, 상기 대향벽(131, 132)의 직사각형 편재(135)는 상기 오목홈부(141)를 코킹하기 위해 소성변형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140)가 상기 측판(130)에 고정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기 열교환기(100)의 코어부(110)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판(130)과 차량몸체(30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측판(130)내에 고정되어지도록 상기 대향벽들(131, 132) 사이에 삽입된 고정부(140a)와, 상기 차량몸체(300)의 홀에 삽입된 실질적으로 원추형상의 설치가이드부(140c) 및 차량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원통형 진동감소부(140b)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차량에서, 진동감소부(140b)의 경도(H)는 Hs50 < H ≤ Hs70의 범위내에서 설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140a), 진동감소부(140b) 및 설치가이드부(140c)는 약 경도 Hs60을 가지는 탄성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지지부재(140)의 부착방법을 설명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40)의 고정부(140a)는 슬릿부(134)가 대향벽(131, 132)에 형성된 상기 측판(130)의 대향벽(131, 132)내에 삽입된다. 다음에, 상기 직사각형 편재(슬릿부(134)의 주변부분)(135)는 도5에 도시된 코킹지그(20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대향벽(131, 132)의 직사각형 편재(135)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홈부(141)를 향하여 소성변형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200)는 상기 직사각형 편재(135)를 접촉시키고 프레스가공하여 상기 직사각형 편재(135)를 소성변형시키기 위한 갈고리부(claw portion)(201) 및 상기 갈고리부(201)와 작동되게 연결된 레버(202)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202)가 도5에서 쇄선으로 표시된 하부위치에서 도5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상부위치로 작동할 때, 상기 갈고리부(201)는 상기 오목홈부(141)를 코킹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편재(135)를 가압한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202)는 수동으로 동작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레버(202)는 에어실린더나 오일압축실린더등을 사용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사각형 편재(135)는 상기 대형벽(131, 132)의 일부분을 소성변형하여 상기 지지부재(140)의 오목홈부(141)내로 압입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기 대향벽(131, 132)의 외주단부에 개방된 개방오목홈을 형성하지 않고도 상기 측판(130)내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측판(130)이 납땜되는 동안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140)는 대향벽(131, 132)의 일부분을 소성변형시키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상기 측판(13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슬릿부(134)는 직사각형 편재(135)에 상응하는 대향벽(131, 132)의 부분들을 쉽게 변형시키기 위하여 상기 측판(130)의 대향벽(131,132)내에 제공된다. 상기 슬릿부(134)가 상기 측판(130)에서 폐쇄된 외주단부를 가지도록 상기 측판(130)의 대향벽(131, 134)내에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측판(130)의 강성이 크게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140)의 고정부(140a)가 상기 측판(130)의 대향벽(131, 132)들 사이에 삽입된 후에, 상기 직사각형 편재(135)가 소성변형된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부재(140)가 측판(130)내로 삽입될 때, 상기 지지부재(140)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킬 필요가 없으며, 상기 지지부재(140)는 측판(130)의 대향벽(131, 132)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목홈부(141)는 내측 반경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지지부재(140)의 고정부(140a)에 제공되며, 상기 측판(130)의 직사각형 편재(135)는 각각 오목홈부(135)에 구속되어지도록 소성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40)를 형성하기 위한 탄성재는 비교적 감소될 수 있는 한편, 상기 측판(130)과 지지부재(140)의 부착구조는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탄성 지지부재(140)의 경도(H)가 더욱 작게 되는 만큼 상기 지지부재(140)의 진동흡수능력(진동감소능력)은 더욱 크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고정부의 경도(H)가 더욱 작게될 경우, 상기 지지부재(140)는 측판(130)으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140)의 경도보다 더욱 큰 경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경질보강재(142)가 상기 고정부(140a)의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140)의 고정부(140a)내로 삽입되어 압입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40)의 진동감소부(140b)의 경도는 작게될 수 있음과 동시에(예를들어 ≤Hs50), 상기 고정부(140a)의 경도(H)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40)의 진동흡수능력은 증가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140)가 측판(13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경질보강재(142)를 형성하기 위한 재질로서는 나일론(nylon), PPE, PPO 및 PPS와 같은 내열성을 가지는 수지, PP/GF 및 PBT/GF 와 같은 유리섬유를 가지는 수지 또는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상기 경질보강재(142)는 각주(square pillar)로 형성되지만, 원통형상이나 파이프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40)보다 큰 경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링보강판(143)은 가황접합(vulcanization bonding)과 같은 접합방법에 의해 상기진동감소부(140b)에 접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140)의 진동감소부(140b)와 차량몸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보강판(143)을 형성하기 위한 재질로서는, 금속이나 경질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40)의 진동감소부(140b)의 경도가 작게 이루어지는 경우(예를 들면, Hs50보다 작거나 같은)조차도, 상기 보강판(143)이 진동감소부(140b)와 차량몸체(300) 사이의 진동감소부(140b)에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140)가 상기 차량몸체(300)의 홀내에 매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고정부(140b)가 측판(1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판(143)은 상기 지지부재(140)의 진동감소부(140b)에 접합된다. 그러나, 상기 보강부재(143)는 상기 지지부재(140)의 진동감소부(140b)와 차량몸체(300) 사이에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를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40)의 경도보다 큰 경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판(144)이 상기 지지부재(144)의 설치가이드부(140c)내에 매설되어 있다. 상기 보강판(144)을 형성하기 위한 재질로서는, 금속이나 경질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치가이드부(140c)의 경도가 크게 되는 한편, 상기 지지부재(140)의 진동감소부(140b)의 경도는 더욱 작게 될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부재(140)가 상기 차량몸체(300)의 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판(144)은 설치가이드부(140c)의 축방향(지면의상하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핀(pin)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 상기 보강판(144)이 설치가이드부(140c)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설치가이드부(140c)에 매설될 수 있다. 또한, 경질고무링이 설치가이드부(140c)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를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140)는 연질경도(H)(예를 들면, 제5 실시예에서 H < Hs50)를 가지는 연질층(140d)과 경질 경도(예를 들면, Hs50 ≤ H ≤ Hs79)를 가지는 경질층(140e)의 이중합성구조를 가진다.
상기 경질층(140e)이 연질층(140d)내에 매설됨으로써, 상기 연질층(140d)은 측판(130)과 차량몸체(300)에 접촉되고, 상기 경질층(140e)은 측판(130)이나 차량몸체(300)와 접촉하는 접촉부로부터 떨어져 위치된다.
상기 지지부재(140)의 양측 연질층(140d)과 경질층(140e)의 이중구조는 공동사출성형(co-injection mold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연질층(140d)과 경질층(140e)은 각각 분리되게 성형된 후에 가황접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질층(140e)은 상기 연질층(140d)과 경질층(140e)이 각각 성형된 후에, 상기 연질층(140d)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경질층(140e)을 형성하기 위한 재질로서는, 상기 연질층(140d)보다 큰 경도를 가지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경질층(140e)은 금속이나 경질 수지로 성형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의 지지부재(140)에서, 상기 진동감소부(140b)는 연질층(140d)만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140a)와 설치가이드부(140c)는 연질층(140d)과 경질층(140e)을 가진 이중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를 도1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량몸체(300)의 홀보다 큰 경(徑)치수를 가지는 우산과 같은 귀(耳)부(140f)가 상기 설치가이드부(140c)의 상단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지지부재(140)가 차량몸체(300)의 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충분히 기술되었을지라도, 여러가지 변경이나 변형이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명백해질 것임이 주지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측판(130)은 양측 대향벽(131, 132)이 대략 바닥벽(133)에 수직하는, 일측이 개방된 직사각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측판(130)은 서로 대향하는 대향벽(131, 132)을 가지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지지부재(140)는 수지와 같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냉매응축기를 위해 사용되지만, 방열기와 같은 다른 열교환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슬릿부(134)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측판(130)의 개방단부측에서 슬릿부(134)로부터 대향벽(131, 132)내부로 위치된 부분들(136)이 상기 지지부재(140)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소성변형된다. 따라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40)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136)는 오목홈부(141)에 구속된다. 또한, 상기 슬릿부(134)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대향벽(131, 132)은 상기 지지부재(140)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상기 오목홈부(141)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소성변형되어 상기 오목홈부(141)에 구속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직사각형 편재(135)가 소성변형된 후에, 상기 지지부재(140)가 탄성변형되면서 양측 대향벽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2 또는 도6에 도시된 각 오목홈부(141)의 단면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질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부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부재가 상기 측판의 대향벽들 사이에 삽입된 후에 슬릿부를 가지는 대향벽들의 일부분을 소성변형시켜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 지지부재의 오목홈부에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측판에 간단하게 부착될 수 있는 한편, 상기 측판이 납땜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3)

  1. 제1유체가 흐르며, 히터코어가 코어부를 통과하는 제1유체 및 제2유체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기 위하여 배치된 코어부(110);
    상기 코어부를 보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코어부의 일단에 배치되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한쌍의 대향벽(131, 132)을 가지는 측판(130); 및
    탄성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판내로 삽입되는 삽입부(140a)를 가지고 상기 측판의 대향벽들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코어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4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부는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홈부(141)를 구비하고;
    상기 대향벽들은 그들 사이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35)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오목홈부에 구속되어지도록 제공되며;
    상기 측판(130)은 상기 대향벽(131, 132) 및 상기 대향벽의 일단들을 연결하는 바닥벽(133)으로 구성되어, 상기 측판의 전장을 따라 상기 대향벽의 타단부에서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부가 측판내로 삽입된 후에, 상기 대향벽의 일부분을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제공되는
    열교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대향벽은 그들을 관통하는 슬릿(134)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대향벽들 사이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슬릿에 근접하는 위치의 대향벽내에 제공되는 열교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지지부재의 삽입부가 측판내로 삽입된 후에 상기 슬릿의 둘레의 대향벽의 일부분을 소성변형시킴으로써 제공되는 열교환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각 대향벽의 타측단 내측에 위치되도록 각 대향벽내에 제공되는 열교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대략 U형상을 가지도록 각 대향벽에 제공되는 열교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슬릿과 상기 연장 슬릿부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연장 슬릿에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양측면 슬릿부를 가지는 열 교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부는 상기 대향벽들 사이의 치수를 가지되, 상기 삽입 치수는 상기 대향벽들 사이의 치수와 대략적으로 같게 되며;
    상기 오목홈부는 외벽면으로부터 상기 대향벽들 사이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되도록 제공된 열교환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대향벽들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삽입부(140a)와, 상기 차량몸체에 부착되는 설치가이드부(140c) 및 상기 삽입부와 설치가이드부사이의 진동흡수부(140b)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부는 탄성재보다 더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부(142)를 가지는 열교환기.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대향벽들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삽입부(140a)와, 상기 차량몸체에 부착되는 설치가이드부(140c) 및 상기 삽입부와 설치가이드부 사이의 진동흡수부(140b)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감소부는 탄성재보다 더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부(143)를 가지되, 상기 보강부(143)는 상기 차량몸체에 대향하여 상기 차량몸체에 근접하는 위치에 제공된 열교환기.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대향벽들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삽입부(140a)와, 상기 차량몸체에 부착되는 설치가이드부(140c) 및 상기 삽입부와 설치가이드부 사이의 진동흡수부(140b)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가이드부는 탄성재보다 더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부(144)를 가지는 열교환기.
  12. 양측 유체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코어부(130)에 접합되며,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대향벽(131, 132)을 가지는 측판(130)내에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4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판들 사이의 측판내에 지지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및
    각 대향벽의 일부분이 상기 지지부재를 향하여 돌출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오목홈부에 구속되도록 지그를 사용하여 각 대향벽의 일부분을 소성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측판(130)은 상기 대향벽(131, 132) 및 상기 대향벽의 일단들을 연결하는 바닥벽(133)으로 구성되어, 상기 측판의 전장을 따라 상기 대향벽의 타단부에서 개구부가 형성되는
    열교환기에 지지부재를 부착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향벽들은 그들 각각을 관통하는 슬릿(134)을 가지며, 상기 슬릿은 각 대향벽에 의해 둘러싸여지도록 각 대향벽의 개방단부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슬릿 둘레의 각 대향벽이 상기 지지부재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135)를 형성하기 위하여 소성변형되어 상기 오목홈부에 구속되는 열교환기에 지지부재를 부착하는 방법.
KR10-2001-0031406A 2000-06-08 2001-06-05 탄성 지지부재의 부착구조를 가지는 열교환기 KR100427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72110 2000-06-08
JP172110/2000 2000-06-08
JP2000256531 2000-08-25
JP256531/2000 2000-08-25
JP2001004025A JP2002139289A (ja) 2000-06-08 2001-01-11 熱交換器
JP4025/2001 2001-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455A KR20010111455A (ko) 2001-12-19
KR100427552B1 true KR100427552B1 (ko) 2004-04-27

Family

ID=2734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406A KR100427552B1 (ko) 2000-06-08 2001-06-05 탄성 지지부재의 부착구조를 가지는 열교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08933B2 (ko)
JP (1) JP2002139289A (ko)
KR (1) KR100427552B1 (ko)
DE (1) DE101277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1489B2 (ja) * 2000-08-30 2003-04-2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ラジエター装置
JP2003130577A (ja) * 2001-10-24 2003-05-08 Denso Corp 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4001286B4 (de) * 2004-01-07 2008-01-03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s Bauteils an einer Karosserie
US7040380B1 (en) * 2004-08-18 2006-05-09 Tripac, Inc. Bracket for motor vehicle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US7287576B2 (en) * 2005-11-02 2007-10-30 O'brien Stephen Universal fan for motor vehicle heat exchanger
JP4830700B2 (ja) * 2006-04-21 2011-12-07 株式会社デンソー クーリングモジュール
US7703566B2 (en) * 2006-05-19 2010-04-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Integrated automotive tie bar and upper condenser, radiator and fan module brackets
JP2009074751A (ja) * 2007-09-21 2009-04-09 Denso Corp 複合型熱交換器
EP2072313A1 (en) * 2007-12-22 2009-06-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Radiator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automotive vehicle and method for mounting a radiator assembly on a body structure of an automotive vehicle
KR101151553B1 (ko) * 2009-04-20 2012-06-1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에서 고정판과 유로캡을 브레이징 용접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열교환기
US9618281B2 (en) * 2010-04-22 2017-04-11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eat exchange device
US8672396B2 (en) * 2010-05-31 2014-03-18 Suzuki Motor Corporation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JP5920190B2 (ja) * 2012-11-30 2016-05-18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の固定構造
DE102013202118A1 (de) * 2013-02-08 2014-08-14 Mahle International Gmbh Frischluftanlage
US10048023B2 (en) * 2015-08-27 2018-08-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eat exchanger shroud mount
US20170120742A1 (en) * 2015-11-03 2017-05-04 Resource International, Inc. Radiator mount for vehicles
JP6666704B2 (ja) * 2015-12-08 2020-03-18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株式会社 熱交換器
JP2017107946A (ja) * 2015-12-08 2017-06-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剥離装置
US10107567B2 (en) 2016-01-14 2018-10-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Vehicle heat exchanger air guide
EP3546264B1 (en) * 2018-03-28 2020-09-16 Cikautxo, S. Coop. Radiator support
US11047632B2 (en) * 2019-01-24 2021-06-29 Caterpillar Inc. Support assembly for finned tube type heat exchanger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3170A (en) * 1964-03-03 Radiator with resilient mounting
US1485178A (en) * 1923-02-19 1924-02-26 John C Frank Radiator support
JPS58161616A (ja) * 1982-03-17 1983-09-26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のアイドル運転時の車体振動を減衰するための装置
JPS6011317B2 (ja) * 1982-07-10 1985-03-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ジエ−タの支持装置
JPH077Y2 (ja) 1989-05-19 1995-01-11 安久津 義人 カルチベーターにおける自動高低調節装置
JP2858325B2 (ja) * 1989-09-01 1999-02-17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凝縮器の支持具
JPH07117494A (ja) * 1993-09-06 1995-05-09 Toyoda Gosei Co Ltd ラジエータサポートブラケット
JP3687150B2 (ja) 1995-05-17 2005-08-24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支持装置
US5570738A (en) * 1995-11-13 1996-11-05 Alliedsignal Inc. Radiator assembly for use in a motor vehicle
US5632328A (en) * 1995-12-05 1997-05-27 Ford Motor Company Heat exchanger assembly
GB9609440D0 (en) * 1996-05-04 1996-07-10 Ford Motor Co Radiator and condenser assembly
JPH09323554A (ja) * 1996-06-04 1997-12-16 Denso Corp 車両用熱交換器の防振装置
EP0838651B1 (en) * 1996-10-22 2002-07-03 Denso Corporation Heat exchanger for vehicle
JP4062775B2 (ja) * 1998-02-24 2008-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複式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39289A (ja) 2002-05-17
KR20010111455A (ko) 2001-12-19
US6408933B2 (en) 2002-06-25
DE10127719A1 (de) 2002-01-31
US20020003034A1 (en) 200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552B1 (ko) 탄성 지지부재의 부착구조를 가지는 열교환기
JP4345843B2 (ja) 熱交換器
US9470461B2 (en) Heat exchanger with a tank reinforcement member
KR100325017B1 (ko) 접착제가결합부와코어플레이트를봉입하기위해사용되는납땜없이조립되는열교환기
US6305465B1 (en) Double heat exchanger having condenser core and radiator core
US5785119A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328966B2 (en) Heat exchanger with a baffle reinforcement member
EP1702191B1 (en) Collar rib for heat exchanger tanks
US20150233652A1 (en) Heat exchanger
JP2004301454A (ja) 熱交換器用のヘッダタンク
JPH09126685A (ja) 熱交換器
KR101619553B1 (ko) 무홈 헤더 플레이트
KR100284855B1 (ko) 열교환기및그제조방법
JP3800130B2 (ja) 熱交換器
JP2003130578A (ja) 熱交換器
JP4058825B2 (ja) 複式熱交換器
KR100854963B1 (ko) 자동차 공조기용 열교환기 조립방법
KR100894311B1 (ko) 열교환기 시스템용 필터드라이어
KR100510860B1 (ko) 열교환기헤더어셈블리
KR101130571B1 (ko) 알루미늄 라디에이터의 헤더 탱크 결합구조
LU101721B1 (en) Heat exchanger
US11566846B2 (en) Retained strong header for heat exchanger
JP2008281244A (ja) 大型受液器用フィルタキャップ
KR200282902Y1 (ko) 라디에이터의탱크
KR100651683B1 (ko)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