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683B1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683B1
KR100651683B1 KR1020000067463A KR20000067463A KR100651683B1 KR 100651683 B1 KR100651683 B1 KR 100651683B1 KR 1020000067463 A KR1020000067463 A KR 1020000067463A KR 20000067463 A KR20000067463 A KR 20000067463A KR 100651683 B1 KR100651683 B1 KR 100651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heat exchanger
circumferential surface
tube
header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7516A (ko
Inventor
오광헌
안황재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7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6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37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28F9/18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헤더 파이프들을 가지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더파이프를 이루는 제1부재와 제2부재 각각에 대한 격판부재의 결합강도가 증대되므로, 결국 제1부재와 제2부재간의 전체적인 결합강도가 증대되게 되어 제1부재와 제2부재간의 접합부위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열교환기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간의 접합구조의 내구성을 보강해 주기 위해 사용하던 별도의 클램프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되어, 열교환기의 전체적인 조립작업 및 비용이 절감되게 된다.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도 1은 종래 열교환기의 일례의 개략적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개략적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헤더파이프 부위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위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위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열교환기 3...튜브
20...헤더파이프 21...제1부재
211..결합공 22...제2부재
221...돌기삽입공 30...격판부재
31...몸체 32...접촉부
33...튜브삽입공 34...돌출부
본 발명은 두 개의 부재가 상호 브레이즈 접합되어 이루어진 헤더파이프를 가지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헤더파이프를 이루는 부재들간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등에 사용되는 열교환기는, 그 내부의 열교환매체와 외부의 공기가 효과적으로 열교환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그 구조나 열전달 방향 등에 따라 여러종류의 것이 있으며 그 일 예로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에 사용되는 응축기를 제1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열교환기(1)는 한 쌍의 나란한 헤더파이프(10)와, 이 헤더파이프(10)들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튜브(3)를 구비하고 있다. 튜브(3)들 사이에는 열교환을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한 휜(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헤더파이프(10)는 제1부재(11)와 제2부재(12)가 브레이즈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부재(11)에는 튜브(3)들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결합공(111; 도 2참조)들이 형성되어 있다. 헤더파이프(10)들 중 하나에는 열교환매체 유입관(5)이 접속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에는 열교환매체 유출관(6)이 접속되어 있다. 헤더파이프(10)들 내부에는 격판부재(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격판부재(8)는, 열교환기(1) 내부에서 유동하는 열교환매체를 사행(蛇行)시켜서 그 열교환매체 의 유동거리를 연장시키도록, 헤더파이프(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열교환매체의 유동을 소정의 위치에서 차단한다. 제1부재(11)와 제2부재(12)가 헤더파이프(10)를 구성하도록 고온의 브레이징로 내에서 상호 브레이즈 접합될 때, 격판부재(8)의 몸체 테두리부도 제1부재(11)의 내주면 및 제2부재(12)의 내주면에 브레이즈 접합되어 그 헤더파이프(10) 내에 고정되어 지지되게 된다. 참조부호 7은 헤더파이프(10)의 양단을 막아주는 마개이다.
이러한 열교환기(1)에 있어서, 열교환매체 유입구(5)를 통해 들어온 열교환매체는 격판부재(8)들에 의해 화살표(A)로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파이프(10)들 사이를 오가며 유동된 후 열교환매체 유출구(6)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한편, 제1부재(11)와 제2부재(12)의 상호 브레이즈 접합에 의해서만 이루어진 헤더파이프(10)는, 비록 격판부재(8)의 몸체 테두리부가 제1부재(11)와 제2부재(12)에 브레이즈 접합됨으로써 보강이 행해지기는 하나, 그 제1부재(11)와 제2부재(12)의 접합구조의 내구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클램프부재(9)를 사용하여 제1부재(11)와 제2부재(12)를 함께 조여서 밀착시켜줌으로써 그 제1부재(11)와 제2부재(12)의 접합강도를 보강하여 주었다.
그러나, 이처럼 별도의 클램프부재(9)를 사용하여 헤더파이프(10)의 접합부의 강도 보강을 행하게 되면, 그 클램프부재(9)의 추가로 인하여, 부품수가 증대되어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의 구성을 위한 전체적인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클램프부재 등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파이프헤더를 이루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간의 접합강도가 증대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한 쌍의 헤더파이프와, 그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헤더파이프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며 헤더파이프들간의 열교환매체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튜브와, 각 헤더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헤더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의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몸체를 갖춘 격판부재를 구비하며, 각 헤더파이프는 상기 튜브들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1부재와 그 제1부재에 브레이즈 접합되는 제2부재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제2부재에는 돌기삽입공이 형성되고; 격판부재는 제1부재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접촉부에 형성되며 튜브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튜브삽입공과, 제2부재의 돌기삽입공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몸체에 대해 돌출된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접촉부는 튜브삽입공에 끼워진 튜브 및 제1부재에 브레이즈 접합되고, 결합돌기는 제2부재에 브레이즈 접합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개략적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헤더파이프 부위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위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위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100)도,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의 열교환기(1)와 마찬가지로, 양단부가 한 쌍의 헤더파이프(20)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의 튜브(3)와, 각 헤더파이프(20)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헤더파이프(20)의 길이방향으로의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몸체(31)를 갖춘 격판부재(30)를 구비한다. 그리고, 각 헤더파이프(20)가 상호 브레이즈 접합되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로 이루어진 점, 제1부재(21)에는 튜브(3)들이 끼워지는 결합공(211)이 형성되고 그 제1부재(21)의 결합공(211)에 끼워진 튜브(3)는 브레이즈 접합에 의해 그 제1부재(21)에 고정되는 점 등은 종래 열교환기(1)에 있어서와 다를 바 없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100)에 있어서는, 종래 열교환기(1)와는 달리, 제2부재(22)에 돌기삽입공(221)이 그 제2부재(2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격판부재(30)에는 접촉부(32)와 튜브삽입공(33)과 결합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32)는 제1부재(21)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격판부재(30)의 몸체(31)의 일측면에 대해 만곡된 돌출부위이다. 상기 튜브삽입공(33)은 제1부재(21)의 결합공(211)을 통해 헤더파이프(20) 내로 끼워진 튜브(3)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부(32)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34)는, 제2부재(22)의 돌기삽입공(221)에 끼워지도록 격판부재(30)의 몸체(31)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돌기(34)는, 상기 돌기삽입공(221)을 통해 외부로 즉 제2부재(22)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제2부재(22)의 두께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열교환기(100)에 있어서, 제1부재(21)와 제2부재(22)가 헤더파이프(20)를 구성하도록 고온의 브레이징로 내에서 브레이즈 접합될 때, 격판부재(30)의 몸체(31) 테두리부가 제1부재(21)의 내주면 및 제2부재(22)의 내주면에 브레이즈 접합되는 점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열교환기(1)에 있어서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100)에 있어서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22)가 브레이즈 접합될 때, 상기 격판부재(30)의 접촉부(32)도 그 외주면 및 튜브삽입공(33)의 내주면을 통해 제1부재(21)의 내주면 및 튜브(3)에 브레이즈 접합되며, 제2부재(22)의 돌기삽입공(221)에 끼워진 결합돌기(34)도 그 돌기삽입공(221)의 내주면과 브레이즈 접합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에 있어서는 격판부재(30)가 보다 넓은 영역에서 제1부재(21) 및 제2부재(22)와 브레이즈 접합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부재(21)와 제2부재(22) 간의 접합력도 그 격판부재(30)를 통해 간접적으로 증대되게 된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1)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별도의 클램프부재(9) 등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접합강도가 증대되어 내구성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격판부재(30)의 결합돌기(34)를 상기 돌기삽입공(221)을 통해 제2부재(22)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하면, 상기 결합돌기(34)의 돌출된 단부를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재(22)의 외주면측으로 굽힘가공함으로써, 제2부재(22)에 대한 격판부재(30)의 결합구조를 보다 확고히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접합강도도 더 증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결합돌기(34)의 돌출된 단부를 굽힘가공함으로써 제2부재에 대한 결합돌기의 이탈을 억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부재(30)의 결합돌기(34)의 돌출된 단부에 코킹가공을 행하여 그 결합돌기(34)의 돌출된 단부의 두께 등을 확대시킴으로써, 제2부재에 대한 결합돌기(34)의 이탈이 억제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판부재(30)의 접촉부(32)에 마련된 튜브삽입공(33)의 테두리부 전체에 걸쳐 튜브(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35)를 형성하여 그 스커트부(35)의 내주면이 튜브(3)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브레이즈 접합되도록 하면, 브레이즈 접합면적이 보다 증대되므로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전체적인 결합강도 및 내구성은 더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7의 실시예들에서는 접촉부(32)가 제1부재(21)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32)가 제1부재(21)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하고 그 접촉부(32)에 상술한 바와 같은 튜브삽입공(33)을 형성하는 구성을 가지더라도, 상술한 실시예들처럼 헤더파이프를 이루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전체적인 결합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몇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 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실시예들의 단순한 설계적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서도 본원발명의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열교환기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헤더파이프를 이루는 제1부재와 제2부재 각각에 대한 격판부재의 결합강도가 증대되므로, 결국 제1부재와 제2부재간의 전체적인 결합강도가 증대되게 되어 제1부재와 제2부재간의 접합부위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열교환기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간의 접합구조의 내구성을 보강해 주기 위해 사용하던 별도의 클램프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되어, 열교환기의 전체적인 조립작업 및 비용이 절감되게 된다.

Claims (3)

  1. 한 쌍의 헤더파이프와, 그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헤더파이프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며 헤더파이프들간의 열교환매체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튜브와, 상기 각 헤더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헤더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의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몸체를 갖춘 격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각 헤더파이프는 상기 튜브들이 끼워져 고정되는 제1부재와 그 제1부재에 브레이즈 접합되는 제2부재로 이루어진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에는 돌기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부재는 상기 제1부재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 형성되 며 상기 튜브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튜브삽입공과, 상기 제2부재의 돌기삽입공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에 대해 돌출된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튜브삽입공에 끼워진 튜브 및 상기 제1부재에 브레이즈 접합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2부재에 브레이즈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재의 결합돌기는 상기 돌기삽입공을 통해 상기 제2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며 그 돌기삽입공으로부터의 이탈이 억제되도록 상기 제2부재의 외주면측으로 굽힘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재의 결합돌기는 상기 돌기삽입공을 통해 상기 제2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며 그 돌기삽입공으로부터의 이탈이 억제되도록 코킹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000067463A 2000-11-14 2000-11-14 열교환기 KR100651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463A KR100651683B1 (ko) 2000-11-14 2000-11-14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463A KR100651683B1 (ko) 2000-11-14 2000-11-14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516A KR20020037516A (ko) 2002-05-22
KR100651683B1 true KR100651683B1 (ko) 2006-11-30

Family

ID=1969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463A KR100651683B1 (ko) 2000-11-14 2000-11-14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029A (ko) * 2012-10-08 2014-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탱크와 코어부의 분리를 통해 재사용이 가능한 라디에이터의 결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029A (ko) * 2012-10-08 2014-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탱크와 코어부의 분리를 통해 재사용이 가능한 라디에이터의 결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516A (ko) 200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1386B2 (ja) 熱交換器の配管コネクタ
EP1239252A1 (en) Stacked-Type, Multi-Flow Heat Exchangers
JPH09126685A (ja) 熱交換器
JP3774017B2 (ja) 熱交換器
KR100336847B1 (ko) 열교환기의헤더및탱크구조
KR100651683B1 (ko) 열교환기
JP2005037037A (ja) 熱交換器
KR100649438B1 (ko)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JPH0336497A (ja) 熱交換器
JP2004301455A (ja) 熱交換器用のヘッダタンク
JP4081883B2 (ja) 熱交換器
KR200276469Y1 (ko) 열교환기
JP2001194088A (ja) 熱交換器
KR200352327Y1 (ko) 결합 플레이트를 구비한 열교환기
KR0133690Y1 (ko) 열교환기
JPH02247498A (ja) 熱交換器
JP4178682B2 (ja) 積層型蒸発器
JPH0783538A (ja) 熱交換器
JP4221188B2 (ja) 熱交換器
KR0139994Y1 (ko) 열 교환기
JPH0639255Y2 (ja) 熱交換器のヘッダ構造
JPH0711332Y2 (ja) 熱交換器
KR0133697Y1 (ko) 열교환기
KR100189828B1 (ko) 열교환기
KR100189826B1 (ko)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