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438B1 -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438B1
KR100649438B1 KR1020000069064A KR20000069064A KR100649438B1 KR 100649438 B1 KR100649438 B1 KR 100649438B1 KR 1020000069064 A KR1020000069064 A KR 1020000069064A KR 20000069064 A KR20000069064 A KR 20000069064A KR 100649438 B1 KR100649438 B1 KR 100649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upling hole
ring
ribs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9151A (ko
Inventor
오광헌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9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438B1/ko
Publication of KR2002003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5Other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e.g. internal filling means or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19Arrangements for sealing end plates into casing or header box; Header box sub-elements
    • F28F9/0224Header boxes formed by sealing end plates into covers
    • F28F9/0226Header boxes formed by sealing end plates into covers with resilient g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56Arrangements for coupling connectors with flow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28F9/162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by using bonding or sealing substances, e.g. adhes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30/00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기계적 구조로 열교환기에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프 연결작업이 손쉬울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는, 헤더 탱크(1)에 설치되는 결합공(11)과; 상기 결합공에 하단부가 삽입되고 외주면에 헤더 탱크 외면에 접하는 오형 비드(75)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다수 개의 지지돌기(77)가 코킹에 의하여 형성되는 커넥터 파이프(7)와; 상기 결합공의 리브 상부에 배치되는 오링(6)과; 그리고, 상기 커넥터 파이프 및 오링을 통하여 결합공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상기 오링 및 지지돌기 사이에 협지되는 오형 비드(51)를 가진 파이프(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결합공(11)에 파이프(5)가 결합된 상태로 열교환기의 브래이징을 행하면 별도로 파이프(5)를 용접할 필요가 없다.
열교환기, 파이프연결, 파이프결합

Description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PIPE CONNECTING STRUCTURE OF HEAT EXCHANG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구성하는 결합공과 커넥터 파이프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조에 의하여 열교환기에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 파이프 연결구조에 의하여 열교환기에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교환기의 헤더 탱크, 5 : 파이프,
6 : 오링, 7 : 커넥터 파이프,
11 : 결합공, 12, 72 : 리브,
13, 73 : 노치부, 51, 74, 75 : 오형 비드,
53 : 링홈, 65 : 가압링,
77 : 지지돌기, 701 : 대경부,
703 : 굴곡부, 705 : 테이퍼진 내경부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이프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에 사용되는 열교환기는 특정 유로내를 순환하는 열교환매체(냉매 또는 냉각수)와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송풍공기사이에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인 열교환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두 개의 헤더 탱크(1,1)와; 상기 두 헤더 탱크가 상호 연통하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튜브(2)와; 상기 튜 브들 사이에 각각 적층되는 다수의 전열핀(3)과; 그리고, 상기 두 헤더 탱크중 소정의 위치에 열교환매체를 각각 유입하고 배출하도록 연결되는 두 개의 파이프(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조부호 4는 튜브(2)들 및 전열핀(3)들을 보강하기 위한 사이드 플레이트(4)를 나타낸다. 이러한 형태의 열교환기로는 응축기, 증발기 및 히터 코어 등을 들 수 있으며,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의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송풍공기의 열교환을 제어하는 공기조화케이스에는 이들중 증발기 및 히터 코어가 내장된다.
공기조화장치의 형태는 상기 증발기 및 히터 코어가 공기조화케이스에 내장되는 방식에 따라 여러가지로 나눌 수 있으나, 증발기 및 히터 코어가 일렬로 설치되는 형태의 세미 센터 마운팅(semi-center mounting) 및 센터 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가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세미 센터 마운팅 또는 센터 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파이프(5)의 길이가 점점 길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열교환기를 조립하여 브래이징하기 위한 브래이징 노(爐)의 한정된 크기를 가진 입구(muffler)로 인하여 통상적으로 적층조립된 열교환기를 먼저 브래이징하고 난 후에 이 브래이징된 열교환기에 다시 파이프(5)들을 토치(torch)로 용접(참조부호 50은 용접비드를 나타낸다)하여 열교환기를 완성한다. 이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조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계적 구조로 열교환기에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프 연결작업이 손쉬울 뿐 만 아니라 열교환기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는, 열교환기의 헤더 탱크에 설치되고 안쪽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리브에 의하여 다수의 노치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공의 리브들 및 노치부들과 대응하는 리브들 및 노치부들이 하단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헤더 탱크 외면에 접하는 오형 비드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다수 개의 지지돌기가 코킹에 의하여 형성되는 커넥터 파이프와; 상기 결합공의 리브 상부에 배치되는 오링과; 그리고, 상기 커넥터 파이프 및 오링을 통하여 결합공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상기 오링 및 지지돌기 사이에 협지되는 오형 비드를 가진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는, 열교환기의 헤더 탱크에 설치되고 안쪽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리브에 의하여 다수의 노치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공의 리브들 및 노치부들과 대응하는 리브들 및 노치부들이 하단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결합공의 리브들의 상면에 접하는 오형 비드가 형성되며 상기 오형 비드 상부쪽 내주면에 다수 개의 지지돌기가 코킹에 의하여 형성되는 커넥터 파이프와; 상기 커넥터 파이프의 오형 비드 상부에 배치되는 오링과; 그리고, 상기 커넥터 파이프 및 오링을 통하여 결합공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오링 및 지지돌기 사이에 협지되는 오형 비드를 가진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는, 열교환기의 헤더 탱크에 설치되고 안쪽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리브에 의하여 다수의 노치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공의 리브들 및 노치부들과 대응하는 리브들 및 노치부들이 하단에 형성되고, 하단부는 작은 외경을 가짐과 아울러 상단부는 큰 외경을 가지며, 하단부는 작은 내경을 가짐과 가짐과 아울러 상단부는 상기 작은 내경보다 크고 위로 확대 테이퍼진 내경을 가지며, 상단은 안쪽으로 굴곡된 커넥터 파이프와; 상기 커넥터 파이프의 테이퍼진 내경부에 설치되는 오링과; 그리고, 상기 커넥터 파이프 및 오링을 통하여 결합공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상기 오링과 커넥터 파이프의 상단 굴곡부 사이에 협지되는 오형 비드가 형성된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는, 열교환기의 헤더 탱크에 설치되고 안쪽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리브에 의하여 다수의 노치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공의 리브들 및 노치부들과 대응하는 리브들 및 노치부들이 하단에 형성되고, 하단부는 작은 외경을 가짐과 아울러 상단부는 큰 외경을 가지며, 하단부는 작은 내경을 가짐과 가짐과 아울러 상단부는 상기 작은 내경보다 크고 위로 확대 테이퍼진 내경을 가지며, 상단은 안쪽으로 굴곡된 커넥터 파이프와; 상기 커넥터 파이프의 테이퍼진 내경부에 설치되는 오링과; 상기 커넥터 파이프의 테이진 내경부중 오링과 커넥터 파이프의 상단 굴곡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압링과; 그리고, 상기 커넥터 파이프, 가압링 및 오링을 통하여 결합공에 삽입되는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링 및 가압링과의 사이에 협지되는 오형 비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는, 열교환기의 헤더 탱크에 설치되고 안쪽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리브에 의하여 다수의 노치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공의 리브들 및 노치부들과 대응하는 리브들 및 노치부들이 하단에 형성되고, 하단부는 작은 외경을 가짐과 아울러 상단부는 큰 외경을 가지며, 하단부는 작은 내경을 가짐과 가짐과 아울러 상단부는 상기 작은 내경보다 크고 위로 확대 테이퍼진 내경을 가지며, 상단은 안쪽으로 굴곡된 커넥터 파이프와; 상기 커넥터 파이프의 테이퍼진 내경부에 설치되는 오링과; 그리고, 상기 커넥터 파이프, 오링 및 결합공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외주면에 상기 오링이 삽입되는 링홈 및 상기 커넥터 파이프의 상단 굴곡부 아래에 지지되는 오형 비드를 가진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9와 대응하는 부분은 편의상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참조부호 1은 열교환기의 상하로 배치되어 튜브(2)들에 의하여 연결되는 헤더 탱크로서, 상면에 열교환매체를 유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5)를 연결할 수 있도록 결합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11)에는 그 안쪽으로 다수의 리브(12)가 등간격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리브(12)들 사이에는 다수의 노치부(13)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11)의 리브(12)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호형으로 요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결합공(11)의 리브(12)들 상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6)이 배치된다. 결합공(11)의 리브(12)들이 호형으로 각각 요입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오링(6)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참조부호 7은 커넥터 파이프(7)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결합공(11)의 노치부(13)들과 대응하는 리브(72)가 하단에 다수개 아래쪽으로 형성됨에 따라 커넥터 파이프(7)의 리브(72)들 사이에는 결합공(11)의 리브(12)들과 대응하는 노치부(73)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커넥터 파이프(7)의 리브(72)들이 결합공(11)의 노치부(13)들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커넥터 파이프(7)의 노치부(73)들에 결합공(11)의 리브(12)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커넥터 파이프(7)를 결합공(11)에 끼우면 커넥터 파이프(7)의 노치부(73)의 깊이까지 커넥터 파이프(7)가 결합공(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 파이프(7)를 삽입하면 오링(6)은 커넥터 파이프(7)의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열교환기의 조립이 끝난 다음 브래이징시 커넥터 파이프(7)가 헤더 탱 크(1)에 접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커넥터 파이프(7)를 결합공(11)에 끼웠을 때 헤더 탱크(1)의 외면(즉, 상면)에 접촉하는 오형 비드(75)가 커넥터 파이프(7)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넥터 파이프(7)의 내주면중 커넥터 파이프(7)의 노치부(13) 상부쪽 위치에는 다수의 지지돌기(77)가 커넥터 파이프(7)의 외부로부터 안쪽으로 코킹함으로써 더 형성되며, 이 지지돌기(77)는 후술하겠지만 파이프(5)를 결합공(11)에 삽입한 다음 코킹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공(11)에 커넥터 파이프(7)의 하단부가 삽입됨과 아울러 오링(6)이 설치된 상태에서 열교환매체를 유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5)가 커넥터 파이프(7) 및 오링(6)을 통하여 결합공(11)에 결합된다. 이 파이프(5)는 결합공(11)의 리브(12)들의 끝단을 잇는 동심원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그 외주면에 오형 비드(5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파이프(5)는 오형 비드(51)가 오링(6)의 상면에 접촉하는 길이만큼 결합공(11)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코킹작업에 의하여 커넥터 파이프(7)의 내주면에 지지돌기(77)들을 형성하면 파이프(5)의 오형 비드(51)가 오링(6)과 지지돌기(77)들 사이에 협지되어 파이프(5)가 결합공(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조립된 열교환기의 헤더 탱크(1)에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이프(5)를 조립한 다음 브래이징을 행하면 종래와 같이 별도로 토치에 의하여 파이프(5)를 용접할 필요없이 파이프(5)를 접합할 수 있다.
도 3중 미설명 부호 3은 열교환기의 전열핀, 4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각각 나타낸다.
<실시예 2>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에 있어서, 커넥터 파이프(7)의 하단에 결합공(11)의 리브(12)들 및 노치부(13)들과 대응하는 노치부(73)들 및 리브(72)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실시예 1과 같고, 커넥터 파이프(7)의 내주면에는 결합공(11)의 리브(12)의 상면에 접하는 오형 비드(7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 파이프(7)는 상기 오형 비드(74)까지 결합공(1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파이프(7)의 오형 비드(74) 상부에는 오링(6)이 배치된다. 또한, 열교환매체를 유입 및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5)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이 파이프(5)를 커넥터 파이프(7) 및 오링(6)을 통하여 결합공(11)에 끼우면 파이프(5)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형 비드(51)가 오링(6)의 상면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실시예 1과 같이 코킹작업에 의하여 커넥터 파이프(7)의 내주면에 지지돌기(77)들을 형성하면 파이프(5)의 오형 비드(51)가 오링(6)과 지지돌기(77)들 사이에 협지되어 파이프(5)가 결합공(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3에 있어서, 커넥터 파이프(7)의 하단에 결합공(11)의 리브(12)들 및 노치부(13)들과 대응하는 노치부(73)들 및 리브(72)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실시예 1과 같다.
상기 커넥터 파이프(7)는 상단부보다 하단부의 외경이 작게 이루어짐으로써 외주면은 단이 진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 파이프(7)를 결합공(11)에 삽입하면 커넥터 파이프(7)의 대경부(701)의 저면이 헤더 탱크(1)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커넥터 파이프(7)의 내주면중 상단부는 하단부의 내경보다 크고 위로 확대 테이퍼진 내경을 가지고 있고, 커넥터 파이프(7)의 상단은 안쪽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 커넥터 파이프(7)의 상단 굴곡부(703)는 파이프(5)를 결합공(11)에 삽입한 다음 커넥터 파이프(7)의 상단을 안쪽으로 굴곡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파이프(7)의 테이퍼진 내경부(705)에는 오링(6)이 배치된다. 그리고, 열교환매체을 유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5)는 전술한 예들과 마찬가지로 외주면에 오형 비드(51)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 파이프(7) 및 오링(6)을 통하여 결합공(11)에 파이프(5)를 삽입하면 오링(6)의 상면에 파이프(5)의 오형 비드(51)가 접촉하고 이 상태에서 커넥터 파이프(7)의 상단을 안쪽으로 굴곡하면 이 커넥터 파이프(7)의 상단 굴곡부(703)와 오링(6) 사이에 파이프(5)의 오형 비드(51)가 협지되어 파이프(5)가 결합공(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4에 있어서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여기서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4에 있어서, 커넥터 파이프(7)는 실시예 3과 동일하고 이 커넥터 파이프(7)의 테이퍼진 내경부(705)에 오링(6)이 배치되고 상기 오링(6)의 상부에 가압링(65)이 배치된다. 가압링(65)은 쐐기형 또는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열교환매체의 유입 또는 배출을 위한 파이프(5)는 실시예 3과는 달리 외주면에 오형 비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커넥터 파이프(7), 오링(6) 및 가압링(65)을 통하여 파이프(5)를 결합공(11)에 삽입한 후 커넥터 파이프(7)의 상단을 안쪽으로 굴곡하면 굴곡부(703)에 의하여 가압링(65) 뿐만 아니라 오링(6)도 파이프(5)의 외주면에 밀착되므로 파이프(5)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 5>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5의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는 전술한 실시예 4에 있어서 파이프(5)의 외주면에 오링(6) 및 가압링(65) 사이에 협지되는 오형 비드(51)가 더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작용 및 구성이 전술한 실시예 4와 모두 동일하므로 실시예 5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여기서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6>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6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5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보호를 붙여 나타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6에 있어서, 커넥터 파이프(7)의 테이퍼진 내경부(705)에는 오링(6)이 설치된다. 그리고, 열교환매체를 유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5)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링(6)이 삽입되는 링홈(53)이 형성되어 있고, 파이프(5)의 외주면중 상기 링홈(53)의 상부 위치에는 오형 비드(51)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파이프(7) 및 오링(6)을 통하여 파이프(5)를 결합공(11)에 삽입한 후 커넥터 파이프(7)의 상단을 안쪽으로 굴곡하면 커넥터 파이프(7)의 상단 굴곡부(703) 아래에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형 비드(51)가 지지되므로 파이가 결합공(11)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열교환매체를 유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5)를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하여 열교환기의 헤더 탱크(1)에 쉽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기의 조립이 편리하다. 또한, 조립된 열교환기의 헤더 탱크(1)에 파이프(5)를 조립한 다음 브래이징을 행하기만 하면 파이프(5)가 헤더 탱크(1)에 접합되므로 토치에 의하여 파이프를 별도로 용접하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 열교환기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7)

  1. 열교환기의 헤더 탱크(1)에 설치되고 안쪽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리브(12)에 의하여 다수의 노치부(13)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11);
    상기 결합공에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공의 리브들 및 노치부들과 대응하는 리브(72)들 및 노치부(73)들이 하단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헤더 탱크 외면에 접하는 오형 비드(75)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다수 개의 지지돌기(77)가 코킹에 의하여 형성되는 커넥터 파이프(7);
    상기 결합공의 리브 상부에 배치되는 오링(6); 그리고,
    상기 커넥터 파이프 및 오링을 통하여 결합공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상기 오링 및 지지돌기 사이에 협지되는 오형 비드(51)를 가진 파이프(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11)에 형성된 리브(12)들은 상기 오링(6)이 알맞게 안착될 수 있도록 각각 호형으로 요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3. 열교환기의 헤더 탱크(1)에 설치되고 안쪽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리브(12)에 의하여 다수의 노치부(13)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11);
    상기 결합공에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공의 리브들 및 노치부들과 대 응하는 리브(72)들 및 노치부(73)들이 하단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결합공의 리브들의 상면에 접하는 오형 비드(74)가 형성되며 상기 오형 비드 상부쪽 내주면에 다수 개의 지지돌기(77)가 코킹에 의하여 형성되는 커넥터 파이프(7);
    상기 커넥터 파이프의 오형 비드 상부에 배치되는 오링(6); 그리고,
    상기 커넥터 파이프 및 오링을 통하여 결합공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오링 및 지지돌기 사이에 협지되는 오형 비드(51)를 가진 파이프(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4. 열교환기의 헤더 탱크(1)에 설치되고 안쪽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리브(12)에 의하여 다수의 노치부(13)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11);
    상기 결합공에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공의 리브들 및 노치부들과 대응하는 리브(72)들 및 노치부(73)들이 하단에 형성되고, 상단부의 외주면은 대경부(701)로 이루어짐과 상단부의 내주면은 위로 확대 테이퍼진 내경부(705)를 가지며, 상단에는 안쪽으로 굴곡된 굴곡부(703)가 형성된 커넥터 파이프(7);
    상기 커넥터 파이프의 테이퍼진 내경부에 설치되는 오링(6); 그리고,
    상기 커넥터 파이프 및 오링을 통하여 결합공에 삽입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오링과 커넥터 파이프의 상단 굴곡부 사이에 협지되는 오형 비드(51)가 형성된 파이프(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5. 열교환기의 헤더 탱크(1)에 설치되고 안쪽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리브(12)에 의하여 다수의 노치부(13)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11);
    상기 결합공에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공의 리브들 및 노치부들과 대응하는 리브(72)들 및 노치부(73)들이 하단에 형성되고, 상단부의 외주면은 대경부(701)로 이루어짐과 상단부의 내주면은 위로 확대 테이퍼진 내경부(705)를 가지며, 상단에는 안쪽으로 굴곡된 굴곡부(703)가 형성된 커넥터 파이프(7);
    상기 커넥터 파이프의 테이퍼진 내경부에 설치되는 오링(6);
    상기 커넥터 파이프의 테이진 내경부중 오링과 커넥터 파이프의 상단 굴곡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압링(65); 그리고,
    상기 커넥터 파이프, 가압링 및 오링을 통하여 결합공에 삽입되는 파이프(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링(6) 및 가압링(65)과의 사이에 협지되는 오형 비드(51)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7. 열교환기의 헤더 탱크(1)에 설치되고 안쪽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리브(12)에 의하여 다수의 노치부(13)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11);
    상기 결합공에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공의 리브들 및 노치부들과 대응하는 리브(72)들 및 노치부(73)들이 하단에 형성되고, 상단부의 외주면은 대경부(701)로 이루어짐과 상단부의 내주면은 위로 확대 테이퍼진 내경부(705)를 가지며, 상단에는 안쪽으로 굴곡된 굴곡부(703)가 형성된 커넥터 파이프(7);
    상기 커넥터 파이프의 테이퍼진 내경부에 설치되는 오링(6); 그리고,
    상기 커넥터 파이프 및 오링을 통하여 결합공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상기 오링이 삽입되는 링홈(53) 및 상기 커넥터 파이프의 상단 굴곡부 아래에 지지되는 오형 비드(51)를 가진 파이프(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KR1020000069064A 2000-11-20 2000-11-20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KR100649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064A KR100649438B1 (ko) 2000-11-20 2000-11-20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064A KR100649438B1 (ko) 2000-11-20 2000-11-20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151A KR20020039151A (ko) 2002-05-25
KR100649438B1 true KR100649438B1 (ko) 2006-11-24

Family

ID=1970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064A KR100649438B1 (ko) 2000-11-20 2000-11-20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274A (ko) * 2002-07-30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KR100895278B1 (ko) * 2002-12-31 2009-05-06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DE102011076800A1 (de) * 2011-05-31 2012-12-06 Behr Gmbh & Co. Kg Wärmeübertrager
KR101644485B1 (ko) 2015-03-27 2016-08-01 주식회사 태성 이동형 워머 코킹 장치
KR102576032B1 (ko) * 2021-05-28 2023-09-11 주식회사 두원 차량 공조기용 배관연결부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383U (ko) * 1994-11-18 1996-06-1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라디에이터
KR19980032700U (ko) * 1996-12-04 1998-09-05 신영주 열교환기
KR20010055595A (ko) * 1999-12-11 2001-07-04 류정열 자동차용 열교환기의 히터 파이프 고정장치
KR20040061476A (ko) * 2002-12-31 2004-07-07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KR20040073726A (ko) * 2003-02-14 2004-08-21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383U (ko) * 1994-11-18 1996-06-1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라디에이터
KR19980032700U (ko) * 1996-12-04 1998-09-05 신영주 열교환기
KR20010055595A (ko) * 1999-12-11 2001-07-04 류정열 자동차용 열교환기의 히터 파이프 고정장치
KR20040061476A (ko) * 2002-12-31 2004-07-07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KR20040073726A (ko) * 2003-02-14 2004-08-21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151A (ko) 200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6648A1 (en) Heat dissipating fin for use in heat exchanger
JP2007163055A (ja) レシーバタンク付き熱交換器
KR100649438B1 (ko)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JPH06229696A (ja) 熱交換器
KR101970966B1 (ko) 열교환기의 입출구배관 연결용 입출구 부재
JP2005037037A (ja) 熱交換器
KR100895278B1 (ko)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KR200276469Y1 (ko) 열교환기
KR100833484B1 (ko) 일체형의 수액기를 가지는 열교환기와 이의 제조방법
JP3317672B2 (ja) 熱交換器
KR100532187B1 (ko) 증발기
KR100651683B1 (ko) 열교환기
JP4221188B2 (ja) 熱交換器
KR20020025287A (ko) 열교환기용 코어
KR100783011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0531017B1 (ko) 열교환 유동 플레이트의 메니폴드 접합용 브레이징재 및열교환 유동 플레이트의 메니폴드 접합방법
KR0139994Y1 (ko) 열 교환기
JPH0593592A (ja) 熱交換器
KR200372101Y1 (ko) 열교환기
JP2001280884A (ja) 熱交換器
KR19980032700U (ko) 열교환기
KR100189828B1 (ko) 열교환기
JP2008064428A (ja) 多流体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58735Y1 (ko) 열교환기
KR200353561Y1 (ko) 증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