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411B1 - 전자 복사용 매트 필름 - Google Patents

전자 복사용 매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411B1
KR100425411B1 KR1019970024060A KR19970024060A KR100425411B1 KR 100425411 B1 KR100425411 B1 KR 100425411B1 KR 1019970024060 A KR1019970024060 A KR 1019970024060A KR 19970024060 A KR19970024060 A KR 19970024060A KR 100425411 B1 KR100425411 B1 KR 100425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at
parts
weight
si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912A (ko
Inventor
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70024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411B1/ko
Publication of KR1999000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7Additives being an antistatic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주행성, 복사 특성, 대전 특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보관성, 내구성 및 내후성이 뛰어난 건식 전자 복사용 매트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두께가 3 내지 12 ㎛인 도포층을 매트충으로서 가지며, 매트층은 (A) 20 내지 70 중량부의 실리카, (B) 30 내지 80 중량부의 고분자 수지 결합제 및 (C) 적당량의 대전방지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복사용 매트 필름은, 1회 도포에 의해 매트층을 형성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기존 필름보다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전자 복사용 매트 필름
본 발명은 건식 전자 복사용 매트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성, 필기성, 복사특성, 내열성 및 대전특성이 특히 개선되고 보관성, 내구성 및 내후성 등 기타 물성도 우수한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매트 필름은 연필이나 잉크를 이용한 제도용 필름으로 종이에 비해 탁월한 내구성 및 내후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복사기, 플로터(plotter), 프린터 등의 사무용 기기에 대해서도 종이 대신 사용하여 종이 이상의 성능을 발현한다.
종래, 설계도면의 복사는 디아조 필름을 주로 이용하여 왔으나, 디아조 필름은 노광, 현상 등의 별도 장치를 필요로 하여 간단하지 않을 뿐 아니라 현상 조건이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여 현재는 거의 그 수요를 찾을 수 없다.
이러한 디아조계 필름의 대체물로서 전자복사기용 매트 필름이 주목받아 왔으며 매트 필름의 많은 진보로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이 시장에 출시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 매트 필름은 복사 후의 성능이 디아조 필름에 못 미치고, 내열성 부족으로 복사시 거치는 고온 드럼에 의한 변형이 많아 개선의 여지가 많았다. 또한 연속 고속 복사시에 1 매 이상의 시이트가 복사기로 이송되어 복사기 에러를 발생시키는 주행성의 문제를 갖는 것들도 많아 이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어 왔다.
한국 특허 공고 제 95-11867 호에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경이 서로 다른 유,무기계 입자 및 계면활성제를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 공중합체로 결합시킨 매트층과 대전방지제와 수용성 아크릴수지로 구성된 표면처리층(탑층)을 구비하여 제조되는 전자복사용 매트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기술로 얻어지는 매트 필름은 매트층이 무경화 수지에 의한 것이고 실제 매트층의 표면은 연질의 수용성 아크릴수지와 대전방지제로 덮여 있으므로 경화수지에 비해 표면경도가 떨어져 연필이나 잉크류의 필기 특성(지우기 특성)은 극히 불량하므로 복사 후 도면상에 연필이나 잉크를 이용한 문자나 그림의 제작 및 수정이 불량하다. 또한, 전자복사기용 매트 필름이 가져야 하는 정전기 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해 탑층을 매트층 상부에 재도포하는 방식을 채용하여 한 면에 2회 이상의 도포 단계를 갖는 저생산성의 한계도 동시에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들이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1회 도포로써 매트층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 또한 최적의 물성을 갖는 전자복사용 매트 필름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건식 전자복사용 매트 필름으로서, 제1원도를 다수의 제2원도로 고속복사하는 경우에 사용할 때 주행성, 필기성, 복사특성, 대전특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아울러 보관성, 내구성 및 내후성이 뛰어난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의 매트 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전자복사용 매트 필름이 매트층과 표면처리층(이하 탑층)의 이중구조로 2회 이상의 도포를 필요로 하는 저생산성의 단점을 보완하여 1회 도포로써 기존 필름보다 우수한 특성의 매트 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복사용 매트 필름은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두께가 3 내지 12 ㎛인 도포층을 매트층으로서 가지며, 이 매트층은 (A) 20 내지 70 중량부의 실리카, (B) 30 내지 80 중량부의 고분자 수지 결합제 및 (C) 적당량의 대전방지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기술들의 단점을 극복하는 고성능 및 고생산성의 전자복사용 매트 필름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상기 매트층의 구성 성분(A)인 실리카는 공극 부피가 0.3 내지 0.5 ㎖/g이며, 평균 입경이 3.0 내지 8.0 ㎛이어야 하며, 구성 성분(B)인 고분자수지 물질로는 유리 전이 온도가 50 내지 90 ℃, 수산기가가 10 내지 70 mgkOH/g인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로 제조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매트층의 두께는 3 내지 12 ㎛가 적합하며, 두께가 3 ㎛보다 얇은 경우에는 매트층이 부여하는 내열성이 부족하게 되어 전자복사 후 컬(curl)이나 왜이브(wave) 현상이 많이 발생하여 복사된 시이트의 평면성이 불량하게 되어 좋지 않다. 또한 12 ㎛를 초과하는 두께에서는 기재인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부착성이 약해지며 두께 상승의 이점이 전혀 없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성분(A)인 실리카는 필름의 불투명 정도인 매트화도를 결정하고, 매트 필름의 주행특성, 필기특성 및 표면 거칠기를 좌우하는 요소로 함유량, 사이즈 및 공극부피가 중요한 함수이다.
상기 실리카는 건조 매트층 100 중량부에 대해 20 내지 70 중량부, 유리하게는 30 내지 65 중량부, 더욱 유리하게는 40 내지 60 중량부의 양으로 매트층 내에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평균입경이 3.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7.0 ㎛ 범위내이고 공극부피가 0.3 내지 0.5 ㎖/g,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0.45㎖/g 의 범위내인 실리카를 사용할 때 최적의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실리카의 사용량이 건조 매트층 100 중량부에 대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매트 효과가 미미하고 주행성능이 불량하며 연필 등의 펄기성이 극도로 취약해져 불량하며, 70 중량부 초과시에는 도포액에서 입자 분산이 불량하며 이에 따른 입자 탈락과 기재 부착성 부족 및 과대한 표면 거칠기 등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실리카의 공극 부피가 0.3 ㎖/g보다 작은 경우에는 분산 및 분산 안정성이 극히 불량하여 도포액의 안정성이 불량할 뿐 아니라 매트층에서의 입자탈락이 심해 바람직하지 않고 0.5 ㎖/g보다 큰 경우에는 수지 및 대전 방지제의 입자 내부로의 침투가 용이해져 매트층 표면 특성이 불균일하고 기재와의 부착성 또한 불균일하여 좋지 않다.
상기 실리카에 덧붙여, 필요에 따라 매트 필름에 백색도를 부여하기 위해 산화티타늄을 사용할 수 있으며, 건조 매트층 100 중량부에 대해 대략 10 중량부 또는 그 이상으로 산화티타늄을 첨가하여 백색 매트 필름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리카 외에 유기 또는 무기입자를 소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포액의 점도 조절을 위해 AEROSIL과 같은 일차 입경이 매우 작은(0.1 ㎛ 미만) 실리카를 소량 병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성분이나 구성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성분(B)인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의 혼합물로서, 기재에 도포된 후 건조 공정에서 가교반응을 일으켜 높은 경도의 피막을 생성할 뿐 아니라 기재와의 부착성, 복사 토너와의 밀착성 및 우수한 내열성을 부여하는 전자복사용 매트 필름의 핵심 성분이다.
성분(B) 중에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리 전이 온도가 50 내지 90℃ 범위를 , 수산기가 10 내지 70 (mgKOH/g)범위를 동시에 만족하면, 그 구성성분이나 분자량, 용해도 매개변수 등의 기타 특성은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어떠한 제한도 없다.
아크릴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50 내지 90 ℃, 유리하게는 55 내지 85℃, 더욱 유리하게는 60 내지 80 ℃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가 50 ℃ 보다 낮으면, 경화 반응이 일어난 후에도 매트층의 경도가 낮고 내열성이 부족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90 ℃ 초과시에는 기재인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부착성이 불량해져 좋지 않다.
이와 함께, 아크릴 공중합체의 수산기가는 10 내지 70 (mgKOH/g) 범위를, 유리하게는 15 내지 60 (mgKOH/g)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가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와의 부착성 부족, 가교반응성 부족으로 인해 피막경도의 저하 및 복사 토너와의 밀착력 저하가 문제로 되며, 수산기가가 70 초과시에는 도포액의 포트 라이프 감소로 도포액이 빠른 시간에 경화가 진행되어 생산이 불가능해지며 매트 필름의 경시 변화가 심해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한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공중합 물질은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 및 그(들)의 알킬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이며 공중합가능 성분의 예는 다음과 같다: 알킬 아크릴레이트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등 및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메틸디아미노에틸에스테르, 아크릴산에틸디아미노에틸에스테르와 이에 상응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토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비닐아세테이트, 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에테르, 비닐알콜, 무수말레인산 등,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비스페놀 A성분이 결합된 비닐계 단량체 등.
성분(B) 중에서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류라면 그 성분이나 구성에 대한 아무런 제한이 없으나, 경화 후 황변을 일으킬 수 있는 수지와 경화 속도가 너무 빨라 도포액의 포트 라이프를 단축시키는 수지는 상품 가치면이나 생산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외에도, 아미노 수지나 에폭시 수지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소량 병용할 수도 있으며, 경화 촉진제를 소량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염료, 형광 물질, UV 안정제, 밀착성 부여제, 증점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없다.
이소시아네이트 수지의 사용량은 아크릴 공중합체의 수산기가에 따라 좌우되며, 수산기가와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량의 비(OH/NCO)가 0.5 내지 3.0 범위내가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것도 가능하다.
이소시아네이트 수지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량과 수산기가의 등당량 계산식은 하기식(1)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성분(B)인 고분자 수지는 건조 매트층 100 중량부에 대해 30 내지 80 중량부, 유리하게는 35 내지 70 중량부, 더욱 유리하게는 40 내지 60 중량부를 함유함이 바람직하며, 3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실리카 입자에 대한 결합력이 부족하고 표면 경도가 저하되어 좋지 않고, 80 중량부 초과시에는 반대로 입자 표면을 수지가 덮게 되어 매트 효과가 부족하고 제반 특성이 불량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아크릴 공중합체는 용액 중합법으로 제조 사용하였으며, 중합법은 다음과 같다: 냉각기, 온도계, 투입구를 구비한 1000㎖ 중합 반응기를 온도 조절용 수조에 설치하고 질소로 반응기 내부를 치환한 다음, 120 부의 크실렌을 투입하고 80℃로 올린 후, 미리 준비한 단량체 혼합물 200 중량부와 AIBN 1.0 중량부를 투입한다. 동온도에서 200 rpm으로 교반하며 3 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AIBN 3.0 중량부/메틸에틸케톤 50 중량부 용액의 1/3을 투입하고 1 시간 숙성 후 1/3을 투입, 다시 1 시간 숙성 후, 최종 1/3을 투입하고 3 시간 동안 후반응을 진행한 다음, 메틸에틸케톤 20 중량부로 고형분을 50%로 조정한 다음, 냉각하고 토출하여 아크릴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본 발명에서, 성분(C)인 대전 방지제는 필름 표면의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필름의 적층 및 주행시 마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여 원할한 이송을 가능케 한다. 대전 방지제는 도포액 내에서 안정성이 양호한 것으로서 필름의 최종 비저항치를 108 내지 1012 Ω/
Figure pat00007
의 범위를 만족시키면 형상이나 함량에 대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이 분야 숙련인의 기술 범위에 속한다.
선행기술인 한국 특허 공고 제 95-11867 호에서 매트층에 대전방지제를 도입하였을 때 매트층이 연화되거나 블로킹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지적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성분(C)의 수지가 이들 대전방지제의 특성을 충분히 발현시키면서 매트층의 경도와 내열성을 유지하는 조성으로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인 1회 도포에 의한 전자복사용 매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대전방지제의 예를 들면, 아메리칸 시아나미드(American Cyanamid)사의 CYASTAT계, 얼라이드 콜로이드(Allied Colloids)사의 ALCOSTAT계, 제일공업제약(第一工業製藥)사의 RESISTAT계, 삼양화성공업(三洋化成工業)사의 CHEMISTAT계, 케막스(Chemax)사의 CHEMSTAT계 등이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상품이나 물질도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매트 필름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아세톤과 같은 케톤류, 알콜류, 아세테이트류, 테트라히드로푸란, 톨루엔, 알콜류의 모노메틸에테르 등의 단독 또는 혼합 용제에 희석한 성분(B)의 수지 용액과 케톤류에 분산시킨 실리카 슬러리 및 대전 방지제를 충분히 교반 또는 균질혼합(homo-mixing)하여 매트층 도포액을 제조한다. 제조된 도포액에 필요에 따라 산화티탄 밀링액이나 기타 첨가물질을 부가한 후, 충분히 혼합하여 원하는 점도로 조정한 후,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최종 매트 필름을 얻는다. 도포액의 분산 및 여과 등에 대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수 시간 동안 분산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도포 직전에 도포액을 여과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기재 필름인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제한은 없으나, 코로나 처리된 표면에 수성 고분자 수지를 사용한 이접착 인라인 코팅(In Line Coating) 필름을 사용하면 기재와의 부착성이 극도로 향상될 수 있으므로 이접착 인라인 코팅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및 비교예
<성분(A)의 제조>
하기 표 1에 열거된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실리카를 메틸에틸케톤에 첨가하여 25 중량%의 슬러리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2
-실리카의 물성은 제조회사로부터 제공받음.
<성분(B)의 제조>
아크릴 공중합체 및 이소시아네이트 수지의 사용 비율은 하기 표 2와 같으며 35 중량% 톨루엔 희석액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3
-상기 표에서 수지는 아크릴 공중합체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상기의 OH/NCO 비율로 혼합한 용액을 나타냄.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는 NCO 함유량이 20 중량%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DN-980, 애경화학(주) )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실리카(가)의 25 중량% 슬러리 50부와 수지(a) 35 중량% 용액 40부 및 대전방지제( SA-210, 제일공업 제약사, 50 중량% 용액) 3.5 부를 메틸 셀로솔브 10 부와 함께 3 시간 동안 호모믹서기로 3000 rpm으로 균질혼합하여 매트층 도포액을 수득한다. 얻어진 도포액을 메이어바 #20을 이용하여 두께 100㎛의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양면에, 건조 두께가 6 ㎛가 되게 도포하고 140 ℃에서 2 분간 건조하여 매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실리카(다)의 25 중량% 슬러리 30부와 수지(b) 35 중량% 용액 50부, 에틸아세테이트 2 중량%로 밀링(milling)된 산화티타늄 슬러리 10 부 및 대전방지제(SA-310, 제일공업제약사, 50 중량% 용액) 2.0 부를 메틸 셀로솔브 10 부와 함께 3 시간 동안 호모믹서기로 3000 rpm으로 균질혼합하여 매트층 도포액을 수득한다. 얻어진 도포액을 메이어바 #20을 이용하여 두께 100㎛의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양면에, 건조 두께가 4 ㎛가 되도록 도포하고 140 ℃에서 2 분간 건조하여 매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실리카(라)의 25 중량% 슬러리 40부와 수지(c) 35 중량% 용액 40부, 에틸 아세테이트 2 중량%로 밀링된 산화티타늄 슬러리 20 부 및 대전방지제(Cyastat-SN, 시아나미드사, 50 중량% 용액) 3.0 부를 3 시간 동안 호모믹서기로 3000 rpm으로 균질혼합하여 매트층 도포액을 수득한다. 얻어진 도포액을 메이어바 #20을 이용하여 두께 100㎛의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양면에, 건조 두께가 7 ㎛가 되도록 도포하고 140 ℃에서 2 분간 건조하여 매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실리카(나)의 25 중량% 슬러리 70부와 수지(d) 35 중량% 용액 30부 및 대전방지제(Cyastat-SN, 시아나미드사, 50 중량% 용액) 4.0 부를 3 시간 동안 호모믹서기로 3000 rpm으로 균질혼합하여 매트층 도포액을 수득한다. 얻어진 도포액을 메이어바 #20을 이용하여 두께 100㎛의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양면에, 건조 두께가 11 ㎛가 되게 도포하고 140 ℃에서 2 분간 건조하여 매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건조 도포 두께가 2㎛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실시하여 매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리카(다) 대신에 실리카(마)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실리카(다) 대신에 실리카(바)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수지(d) 대신에 수지(e)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5
수지(d) 대신에 수지(f)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6
대전방지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7
수지(c) 대신에 이소시아네이트 수지가 없는 수지(g)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하기 표 3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7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였으며, 표에서 함유량(%)은 건조 매트층 중량에 대한 각 성분의 중량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표 3
Figure pat00004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한 매트 필름에 대하여 하기 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필름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평가 방법>
1. 기재 부착성
가로, 세로 각 2cm 크기의 시료 부위에 100 개의 정사각 해치(hatch)를 만든 후, 스카치 테이프로 180°박리시킨 후, 박리된 해치의 수로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2. 표면 비저항
상대습도 50%, 실온 20℃에서 일본국 TOA사 Ultra Megohmmeter 모델 SM-8000 시리즈를 사용하여 500 볼트에서 출정한 값(Ω/
Figure pat00008
)의 5회 평균을 산출하여 평가하였다.
3. 표면 경도
독일국 Staedler 사 Lumograph 100 연필을 사용하여 경도별로(HB부터 7H까지) 스크래치를 만들어 스크래치 없이 사용가능한 연필의 경도로 평가하였다.
4. 필기성
독일국 Staedler 사 Lumograph 100 연필 및 Rotring Rapid-eraser B 20 지우개를 사용하여 경도 HB부터 7H까지 쓰기 및 지우기를 실시하여 육안 관찰시 표면에 스크래치나 연필 자국이 남지 않고 깨끗이 지워지는 연필의 경도로 평가하였다.
5. 복사 주행성
매트 필름을 A4 시이트로 제단한 다음에 신도리코 FT-5830 전자 복사기에 50 장을 쌓아 놓고 연속 복사를 실시하여 2장 이상의 시이트가 동시에 몰려 들어간 장수로 평가하였다.
6. 복사후 평면성
매트 필름을 A4 시이트로 제단하여 신도리코 FT-5830 전자 복사기에서 복사한 다음, 평판 위에 복사된 시이트를 올려 놓고 평판에서 가장 들뜬 부분의 높이(mm)를 측정하여 5장의 평균치로 평가하였다.
5. 복사 토너 밀착력
매트 필름을 A4 시이트로 제단한 다음에 신도리코 F7-5830 전자 복사기에서 복사한 다음, 복사된 인자 위에 스카치 테이프로 180° 박리시킨 후 육안 판정으로 평가하였다.
1등급:토너가 테이프에 거의 묻지 않음.
2등급:토너가 테이프에 조금 묻었으나 시이트 상의 인자는 거의 변화 없음.
3등급:토너가 테이프에 많이 묻어 나옴.
4등급: 토너가 테이프에 거의 다 묻어 나와 시이트 상의 인자 확인이 어려움.
8. 유리 전이 온도
아크릴 공중합체를 100℃, 진공 오븐에서 완전히 건조한 후, 미국 퍼킨 엘머(Perkin Elmer)사제의 DSC7 시리즈로 Tg(℃)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9. 수산기가
무수 초산/피리딘(1:3) 혼합액 5ml에 아크릴 공중합체 0.5 g을 100℃, 60 분간 용해시킨 후, 순수 5ml와 50ml의 피리딘을 가하여 아세틸화를 진행한 후, N/2 KOH로 적정하여 하기식으로 산출한다.
Figure pat00005
하기 표4에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한 매트 필름에 대한 평가 결과를 정리하였다.
표 4
Figure pat00006
상기 표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복사용 매트 필름은 필기성, 복사특성, 내열성(형태안정성) 및 대전특성이 우수한 매트 필름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매트 필름은 또한, 뛰어난 내열성 및 주행성으로 인해 고속 전자 복사기에 적합하며, 다량의 전자복사기로 복사, 제작된 제2원도의 상태가 제1원도에 비해 떨어지지 않는 성능을 나타내며 반영구적인 보관 안정성으로 인해 기존의 매체와 차별화된 매체로 주목받고 있다.

Claims (5)

  1.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두께가 3 내지 12 ㎛인 도포층을 매트층으로서 가지며, 매트층은 (A) 20 내지 70 중량부의 실리카, (B) 30 내지 80 중량부의 고분자 수지 결합제 및 (C) 적당량의 대전방지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복사용 매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공극 부피가 0.3 내지 0.5 ml/g이며, 평균 입경이 3.0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결합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50 내지 90 ℃이고 수산기가가 10 내지 70 (mgKO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대전 방지제는 최종 필름의 표면 비저항치가 108 내지 1012 Ω/
    Figure pat00009
    을 만족시키는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KR1019970024060A 1997-06-11 1997-06-11 전자 복사용 매트 필름 KR100425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060A KR100425411B1 (ko) 1997-06-11 1997-06-11 전자 복사용 매트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060A KR100425411B1 (ko) 1997-06-11 1997-06-11 전자 복사용 매트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912A KR19990000912A (ko) 1999-01-15
KR100425411B1 true KR100425411B1 (ko) 2005-04-06

Family

ID=3730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060A KR100425411B1 (ko) 1997-06-11 1997-06-11 전자 복사용 매트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094B1 (ko) * 2002-12-11 2006-11-24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649095B1 (ko) * 2002-12-11 2006-11-24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백색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3347A (ja) * 1989-11-10 1991-07-01 Somar Corp マット化フィルム
KR920011723A (ko) * 1990-12-12 1992-07-24 이수환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940000920A (ko) * 1992-06-19 1994-01-10 박홍기 건식복사용 코팅필름 및 코팅조성물
JPH08175090A (ja) * 1994-12-22 1996-07-09 Kimoto & Co Ltd 製図用マット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3347A (ja) * 1989-11-10 1991-07-01 Somar Corp マット化フィルム
KR920011723A (ko) * 1990-12-12 1992-07-24 이수환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940000920A (ko) * 1992-06-19 1994-01-10 박홍기 건식복사용 코팅필름 및 코팅조성물
JPH08175090A (ja) * 1994-12-22 1996-07-09 Kimoto & Co Ltd 製図用マット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912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2734B1 (en) Laminated film for optical use
WO1998002308A1 (fr) Film polyester antistatique et stratifie a film antistatique
WO2004044649A1 (en) Optical film for display devices
KR100425411B1 (ko) 전자 복사용 매트 필름
JP4769990B2 (ja) レンズシート用フィルム
JPH10235820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3128246A (ja) 制電易接着性フイルム、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用いた磁気カード
JPH0931398A (ja) 易接着性水性塗剤及びこれを塗布した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81050B2 (ja) 塗布フィルム
JPH04249156A (ja) 改良された電気浸食印刷プレート
KR100264704B1 (ko) 전자복사용 투명 ohp 필름
JP3279974B2 (ja) 帯電防止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169775B2 (ja) 塗布フィルム
KR0148771B1 (ko)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03071991A (ja) 耐候性に優れた、インク受像層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950007644B1 (ko) 전자사진용 필름의 제조방법
JP2954821B2 (ja) 磁気カード用制電易接着フィルム
KR950001532B1 (ko) 전자사진용 필름의 제조방법
JPS6032657A (ja) マツト化フイルム
JPS58102244A (ja) 電子x線写真用フイルム
JPH09141798A (ja) 積層フイルム
JPS58102245A (ja) 電子x線写真用フイルム
KR100260797B1 (ko)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H0359096B2 (ko)
KR101519386B1 (ko) 필기 및 소거 가능한 코팅조성물 및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