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771B1 -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771B1
KR0148771B1 KR1019950004716A KR19950004716A KR0148771B1 KR 0148771 B1 KR0148771 B1 KR 0148771B1 KR 1019950004716 A KR1019950004716 A KR 1019950004716A KR 19950004716 A KR19950004716 A KR 19950004716A KR 0148771 B1 KR0148771 B1 KR 0148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group
ohp film
electrophotographic
crosslink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4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170A (ko
Inventor
안철홍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안시환
주식회사에스.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시환, 주식회사에스.케이.씨 filed Critical 안시환
Priority to KR1019950004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771B1/ko
Publication of KR960035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7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06Cover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Strippable coversheets
    • G03G7/002Organic components thereof
    • G03G7/002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 G03G7/004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06Cover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Strippable coversheets
    • G03G7/002Organic components thereof
    • G03G7/002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 G03G7/004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재 필름 위에, 열가소성 중합체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열경화성 중합체로서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에스테르, 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및 블럭화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 및 암모늄염, 아질산염 및 황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이미지 수용층이 형성되어 있는 필름은 양호한 토너 접착성, 컬링(curling) 저항성 및 정전기 방지성을 갖고 고속 복사시 이송고장(jam)이 크게 줄어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림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합체 기재 2 : 이미지 수용층
본 발명은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오버헤드 프로젝션(Overhead Projection:이하 OHP)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양호한 토너 접착성, 컬링(curling) 저항성 및 정전기 방지성을 가지며 고속 복사시 이송고장(jam)이 크게 줄어든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사진법을 이용하여 투명 중합체 기재상에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수많은 복사기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들 복사기에 사용되는 필름매체의 이미지 수용층은 양호한 품질의 화상과 토너 접착성, 융착시 고온에 의한 컬링(필름 매체가 플래트니스(flatness)를 잃고 상, 하 방향으로 굴곡을 형성하는 현상) 저항성, 정전기 방지성이 크고, 복사기 내에서의 이송이 잘되는 특성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필름매체의 이미지 수용층은 상기 요구되는 특성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큰 결점이 있기 때문에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필름매체로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즉, 일본특허 공개 소60-6460호 및 소60-13074호에는 토너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명 중합체 기재상에 아크릴 공중합체 또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름은 특정의 복사기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양호한 토너 접착성이 있지만, 토너 종류 및 정착조건이 다른 종류의 전자사진식 복사기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토너 접착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4-348353호에는 토너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토너의 주요 수지와 동종의 수지 즉,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적정비율로 혼용하여 도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름은 각종 복사기에서의 토너 접착성이 개선되었으나, 대전방지성 및 복사기 내에서의 이송성이 좋지 않다.
일반적으로 컬링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연질 수지 바인더를 경화시키는 방법 및 유리전이 온도가 높은 열가소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름은 토너 화상의 접착성이 좋지 않다.
일본 특허 공고 소51-34734호, 미국 특허 제3, 854, 942호 및 4, 489, 122호에는 복사기 내에서의 이송성 향상을 위해 대전방지제를 사용하여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고, 매트제를 사용하여 필름 표면에 돌출부를 형성시켜 필름의 상호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름은 토너 접착성이 저하되어 핸들링 또는 사용시에 있어서 화상이 소실될 수 있고, 적층(stacking)시 대전방지제가 인접한 필름 매체로 전사되어 미복사 영역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4, 480, 003호에는 효과적인 정전기 방지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방법과, 미국 특허 제4, 711, 816호에는 대전방지제가 함유된 프라임(prime)층과 이미지 수용층, 기재의 한쪽면에 2개의 층구조를 갖도록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방법들은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토너 접착성, 컬링 저항성 및 정전기 방지성을 갖고, 고속 복사시 이송이 잘되는 특성을 갖는 이미지 수용층을 갖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설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기재 필름 위에, 열가소성 중합체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열경화성 중합체로서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 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및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 및 암모늄염, 아질산염 및 황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이미지 수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호한 토너 접착성, 컬링 저항성 및 정전기 방지성을 갖고, 고속 복사시 이송시 잘되는 특성을 갖는 이미지 수용층이 형성된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혼합하고;상기 혼합물에 용제를 투입하여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에 가교제, 대전방지제 및 미립자를 첨가함으로서 코팅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액을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설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기재 필름 위에 도포, 건조 및 열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투명 중합체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양호한 토너 접착성을 갖는 열가소성 중합체와 복사시의 열에 의한 컬링에 대해 저항성을 갖는 열경화성 중합체 및 이들 고분자 중합체의 정전기 방지성을 향상시키는 대전 방지제로 구성된 이미지 수용층이 형성된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이 제공된다. 참고로, 제1도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중합체 기재(1) 위에 이미지 수용층(2)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서 필름 기재는 유연성과 열안정성이 있고, OHP용으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투명도가 있어야 한다. 즉, 120 내지 220℃에서 충분한 열안정성이 있어야 하며, 가시광선이 잘 투과해야 한다. 상기 요구조건에 적합한 필름 기재로서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설폰 필름 등이 있다. 바람직한 것은 2축 배향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며, 50 내지 200μm의 두께가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의 열가소성 중합체로서는 각종 토너와의 친화성이 양호한 바인더로서 작용하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며, 그 분자량은 50,000 내지 5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의 접착력이 우수하므로, 프라임 코팅 없이 이미지 수용층이 직접 중합체 기재에 도포될 수 있다. 즉, 기재와 이미지 수용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라임층을 도포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공중합체는 기재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의 접착력이 매우 양호하므로 상기 프라임층이 불필요하다.
본 발명에서의 열경화성 중합체는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사용하는데, 상기 중합체는 이미지 수용층을 매우 견고(hard)하게 하며 컬링 저항성, 블러킹 저항성 및 내스크래치성도 우수하게 한다.
본 발명에는 필름매체에 우수한 토너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를 사용하며, 컬링 저항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열경화성 중합체를 사용하는데, 첨가량은 사용하는 각 중합체가 만족스런 효과를 나타내도록 적절히 조절되어야 한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 상기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에스테르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중량비는 50:1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열경화성 중합체의 가교형성 반응을 위해 가교제를 첨가하는데, 가교제의 양과 종류는 양호한 토너 접착성을 부여하는 이미지 수용층 내의 열가소성 중합체의 성능에 악 영향을 주지 않고, 본 발명의 복사 매체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조절될 필요가 있다.
적절한 가교제의 선택 및 그 사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는 열경화성 중합체내에 존재하는 관능기의 종류, 가교형성 반응에 촉매를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 및 그 사용량, 이미지 수용층에 대한 원하는 경화시간과 경화온도 등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가교제로서는 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등과 같은 알데히드류, 이소시아네이트,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다. 바람직한 가교제로서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가 있는데, 상기 수지는 중합체 기재에 대한 이미지 수용층의 접착력 향상에도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첨가되는 가교제의 양은 열경화성 중합체의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6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가교제의 양이 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가교형성 반응이 미미하고, 6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한 부적인 영향이 증대하여 토너 접착성이 불량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의 용제로서는 에스테르, 케톤, 방향족 화합물, 글리콜, 에테르, 아세테이트, 염소화 탄소화합물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가교형성반응의 개시를 촉진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촉매는 코팅 조성물의 전 고형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중량%가 바람직하다. 적절한 촉매로는 알데히드가 가교제인 경우에는 산 또는 블록화 산, 특히 시트르산(citric aicd), 포름산, 염화아연,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가 가교제인 경우에는 유기 주석 화합물이 일반적이나,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가교제 자체적으로 원하는 가교형성 반응을 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전방지제로서 아질산염, 황산염, 암모늄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4급 지방산 아민 에톡시레이트가 바람직한데, 상기 물질은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 내에서 우수한 정전기 방지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제의 첨가량은 코팅 조성물 내의 전고형분에 대해 5 내지 40중량%로 하는데, 이는 5중량% 미만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효과가 미미하고, 40중량%를 초과하면 열안정성이 약하기 때문이다.
또한 필름 상호간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슬라이딩(sliding)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립자를 사용하는데, 적절한 미립자의 선택은 도포되는 중합체 기재 및 원하는 결과에 의해 좌우되며, 그 양은 전고형물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가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미립자는 평균입경 0.5 내지 20μm의 실리카이다.
상기 고분자 중합체, 대전방지제, 가교제, 미립자 등으로 구성된 코팅 조성물을 종래부터 사용되는 여러 가지 기법으로 기재상에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면 코팅시 2회 도포의 불필요한 공정을 제거하여 2헤드 3롤 리버스 코팅 방식으로 1면 1회 코팅하여 중합체 기재의 적어도 1면 상에 0.2 내지 4.0g/m2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한다. 이어 100 내지 140℃의 온도에서 0.5분 정도 건조 후, 160℃의 온도에서 0.2분간 열고정하여 본 발명의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을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의 물성 평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하였다.
1) 토너 접착력:제록스 5026, 제록스 비바체 500, 캐논 3030으로 복사하여 필름 표면상에 토너 흡착영역을 형성한다. 이 때의 토너 흡착량을 전흡착량이라 하고, 셀로판 테이프로 접착시켜 박리했을 때의 잔존 토너량을 후흡착량이라 하면, 토너 접착력은 (후흡착량/전흡착량)×100으로 구해진다. 이렇게 하여 측정된 토너 접착력의 수준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된다.
90% 초과 : 매우 양호한 수준
50%∼90% : 양호한 수준
50% 미만 : 불량한 수준
2) 헤이즈:ASTM D 1003에서 정의한 조건하에서 헌터랩(Hunterlab)사의 칼라리미터(Colorimeter) 모델 칼라퀘스트(Color QUEST) II를 사용하여 복사 전, 후의 값을 측정하였다. 이 때 사용한 복사기는 제록스 비바체 500이며, 복사전에 측정한 값을 프리-헤이즈(pre-haze), 복사후에 측정한 값을 포스트-헤이즈(post-haze)라 한다.
3) 컬링 저항성:제록스 5026으로 복사한 필름 매체를 평판상에 위치시켜, 필름과 평판간의 간격을 측정하여 그 때의 최대간극에 대해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5mm 미만 : 양호한 수준
5mm 이상 : 불량한 수준
4) 내블록킹성:이미지 수용층이 형성된 필름을 5cm 정방형 시료 4매를 만들어 각각 2매씩 겹치고, 그 상면, 중간 및 하면에 동일한 크기의 코팅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위치시킨다. 이를 유리판 사이에 놓고 5kg의 하중을 가하며, 78℃에서 30분간 가열한다. 5분간 냉각시킨 후 겹친 시료를 분리시키면서 시료를 관찰한다. 즉, 상호 접착된 정방형 시료간에 스티킹(sticking) 또는 블러킹이 일어나지 않으면 블러킹 저항성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한다.
5) 표면저항:ASTM D 2597-90의 조건하에서 케슬리(Keithley)사 모델 617을 사용하여 23±2℃, 상대습도 55±5%에서 측정하였다.
6) 마찰 계수:ASTM D 1894-78의 조건하에서 헤이든(HEIDON)-14DR를 사용하여 23±2℃, 상대습도 55±5%에서 측정하였다.
7) 이송성:여러가지 종류의 복사기를 사용하여 23±2℃, 상대습도 55±5%의 조건하에서 100매를 복사하였을 경우의 잼 발생수를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이송성 시험을 5회 실시하여 잼 발생매수의 범위를 구하였다.
[실시예1]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에스테르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용제로 용해한 다음,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4급 아민 에톡시레이트를 넣고 용해하여 하기 조성의 코팅액을 준비하였다.
용제 310.0중량부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에스테르 68.1중량부
(50% 고형분)
메틸메타크릴레이트-3.0중량부
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6.0중량부
(80% 고형분)
4급 아민 에톡시레이트 6.8중량부
(90% 고형분)
리버스 코팅 방식으로 상기 조성의 코팅액을 2축 배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용제를 제외한 조성물이 1.5g/m2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이어 140℃에서 42초간 건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필름 매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각 물성을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냈다.
표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OHP용 필름은 표면저항이 낮고, 토너 접착력, 컬링 저항성, 내블록킹성 등이 양호하고, 헤이즈가 1.2로 낮다.
[실시예2-3]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기의 표1과 같은 조성의 코팅액을 사용하여 OHP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하기 조성에서 촉매인 시트르산은 중합체 기재에의 도포 직전에 35%의 수용액 상태로 첨가하였다.
제조된 OHP용 필름의 각 물성을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냈다.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된 필름의 측정된 물성이 양호하며, 특히 실리카를 첨가하면 마찰계수가 낮아진다.
[비교예1-3]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기의 표 2와 같은 조성의 코팅액을 사용하여 OHP용 필름을 제조하여 각 물성을 측정하였다.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필름은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필름과 달리 표면저항, 토너 접착력, 클링 저항성 등에서 어느 한 물성이 좋지 않았다.
단, A:프리-헤이즈, B:포스트-헤이즈
마지막으로, 제록스 5026, 캐논 3030, 제록스 비바체 500, 제록스 5075 복사기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필름에 대한 복사기 내에서의 이송정도를 평가하여 표 4에 나타냈다.
상기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코팅 조성물을 중합체의 적어도 1면 상에 도포한 전자사진용 필름 매체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름에 비해 잼 발생 매수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필름은 양호한 토너 접착성, 컬링(curling) 저항성 및 정전기 방지성을 갖고 고속 복사시 이송고장(jam)이 크게 줄어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20)

  1.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설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기재 필름 위에, 열가소성 중합체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열경화성 중합체로서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및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가교제; 및 암모늄염, 아질산염 및 황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이미지 수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이축배향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상기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중량비는 1:50 내지 5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PH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사익 열경화성 중합체에 대하여 5 내지 6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의 첨가량은 상기 이미지수용층의 전 수지 고형분에 대해 5 내지 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4급 지방산 아민 에톡시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용층은 0.2 내지 4.0g/m2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9.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혼합하고;상기 혼합물에 용제를 투입하여 용해시키고;상기 용액에 가교제, 대전방지제 및 미립자를 첨가함으로서 코팅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액을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플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설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기재 필름 위에 도포, 건조 및 열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상기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중량비는 1:50 내지 5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대하여 5 내지 6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의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을 상기 기재 필름에 도포하기 직전에 시트르산, 포름산, 염화아연 및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촉매를 상기 코팅액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의 제조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 및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을 상기 기재 필름에 도포하기 직전에 유기 주석 화합물을 상기 코팅액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의 제조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암모늄염, 아질산염 및 황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의 제조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의 첨가량은 상기 이미지수용층의 전 수지 고형분에 대해 5 내지 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시 복사기용 OHP 필름의 제조 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는 평균입경 0.5 내지 20μm의 실리카이고, 상기 코팅액의 전 수지 고형분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의 제조 방법.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에스테르, 케톤, 방향족화합물, 클리콜,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염소화 탄소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의 제조 방법.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이축배향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9950004716A 1995-03-08 1995-03-08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0148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4716A KR0148771B1 (ko) 1995-03-08 1995-03-08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4716A KR0148771B1 (ko) 1995-03-08 1995-03-08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170A KR960035170A (ko) 1996-10-24
KR0148771B1 true KR0148771B1 (ko) 1998-12-01

Family

ID=1940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4716A KR0148771B1 (ko) 1995-03-08 1995-03-08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453B1 (ko) * 2009-05-28 2011-04-2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인쇄 및 복사용 다층 고분자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453B1 (ko) * 2009-05-28 2011-04-2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인쇄 및 복사용 다층 고분자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170A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0379A (en) Method for preparing original for projection and transfer film for electrostatic photography for use in carrying out said method
AU669378B2 (en) Water-based transparent image recording sheet for plain paper copiers
EP0332183B1 (en) Electrostatic transparencies containing a polyester support
US5885698A (en) Electrophotographic image-receiving film
JPH0440196B2 (ko)
EP0014210A1 (en) ELECTOGRAPHIC METHOD FOR PRODUCING A DIAPOSITIVE AND DIAPOSITIVE PRODUCED BY USING THIS METHOD.
EP1274587B1 (en) Image receptor sheet
EP1504309B1 (en) Resistivity-controlled image recording sheet
KR0148771B1 (ko)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0252025B1 (ko)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투명 필름
JPS62184879A (ja) 透明シ−ト
KR0171630B1 (ko) 열 전사용 기록 시이트
JPH0256665B2 (ko)
JPS5895747A (ja) 電子写真用フイルム
JP2623208B2 (ja) カラー電子写真用受像シート
KR100425411B1 (ko) 전자 복사용 매트 필름
JP2646310B2 (ja) 電子写真用ohpフィルム
JP2542506B2 (ja) 熱転写用ohpシ―ト
JPH0728268A (ja) 電子写真用フィルム
KR100260797B1 (ko)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EP0792319A1 (en) Water-based transparent image recording sheet for plain paper copiers
KR100264704B1 (ko) 전자복사용 투명 ohp 필름
JPH06194858A (ja) 電子写真用透明フィルム
KR100260799B1 (ko)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H043606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