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797B1 -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797B1
KR100260797B1 KR1019970074677A KR19970074677A KR100260797B1 KR 100260797 B1 KR100260797 B1 KR 100260797B1 KR 1019970074677 A KR1019970074677 A KR 1019970074677A KR 19970074677 A KR19970074677 A KR 19970074677A KR 100260797 B1 KR100260797 B1 KR 100260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ilm
mixture
methyl meth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4800A (ko
Inventor
김규석
정태형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1019970074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79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4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7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06Cover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Strippable coversheets
    • G03G7/002Organic components thereof
    • G03G7/002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 G03G7/004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29C55/14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first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eed and then transversely theret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수용성으로서 우수한 토우너 접착력 및 도막강도를 나타내는 열가소성 중합체와 열경화성 중합체 및 분자내에 가교구조가 도입된 내블로킹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을 투명 또는 반투명 중합체 필름 개재의 적어도 한쪽면에 직접 도포함으로서 유기용매 사용시에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복사시 블록킹현상에 의한 이송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혼합 중합비를 40중량부 내지 80중량부 : 20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로 혼합하고 물을 용제로 사용하여 공중합시키는 과정에서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산의 단독 또는 혼합물을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 부틸아크릴레이의 혼합물 중량의 1내지 10wt%로 첨가하여 공중합 반응시킨 열가소성 중합체와,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아민기, 아미드기 또는 수용성불록화이소시아테이트기로부터 선택되는 작용기가 분자내에 둘이상 구성되어 있는 열경화성 중합체 5내지 40중량부와를 혼합하여 제조한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중합체 필름기재의 연신제막공정 중 또는 연신제막공정후 도포하고 건조"하는 방법의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으로서의 용도를 갖는다.

Description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투명 또는 반투명 중합체 필름기재의 적어도 한쪽면에 양호한 토우너 접착력과 도막강도를 갖는 열가소성 중합체 및 열경화성 중합체와 내블로킹제 등으로 제조된 수용성 도포액을 필름기재에 도포하여서 된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 알려진 바와 같이 통상의 전자사진식 복사기에 의한 토우너 화상형성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다섯단계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1. 세레늄(Selenium)과 같은 광도전 물질로 도포된 드럼(Drum)이 암실내에서 일련의 코로나(Corona) 방전심을 통과함으로써 기기 종류에 따라 그 표면상에 양 또는 음의 정전기적 전하를 띄게된다.
2. 재생된 이미지를 갖는 렌즈에 드럼이 노광됨으로써 표면사에 정전기적 잠재화상을 형성한다. 즉, 하전된 드럼표면이 노광되면 광이 닿는 드럼 표면부분의 전하는 도전성 지지체를 통해 산재되어 버리고 광이 닿지 않는 부분의 전하는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3. 반대의 전하로 하전된 토우너 미립자가 드럼 표면과 접착하게 되면 하전된부분(이미지 부분)에서는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토우너 미립자가 드럼 표면에 달라 붙게 된다.
4. 이미지를 수용하는 필름이 드럼과 전사 코로나 방전심 사이를 통과하면 토우너 미립자는 드럼으로부터 필름매체로 전사된다.
5. 전사된 토우너 미립자는 열, 압력, 또는 열과 압력에 의해 필름매체에 융착된다.
상기한 방법의 전자사진법을 이용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 기재상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많은 종류의 복사기가 있으며, 이와같은 방식의 복사기용 필름은 기본적으로 필름기재층과 이미지수용층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이미지수용층의 경우 양호한 토우너에 대한 접착성 및 도막강도가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특허 제 3854942호에서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필름기재에 아크릴과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을 도포하여 이미지수용층을 구성함으로서 토우너에 대한 접착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한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미국특허 제 4370379호에서는 아크릴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등을 혼합한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을 도포한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있으나, 이들 선행 기술은 모두 토우너 접착력에 있어서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고온에서 연속적으로 복사하는 경우 만족할 만한 토우너 접착력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이와함께 미국 특허 제 4873135호에서는 필름기재에 폴리비닐아세테이트와 폴리에스테르를 적절히 배합한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을 도포한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 또한 다양한 종류의 토우너에 대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접착력을 나타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미지수용층과 필름기재와의 접착력에 있어서도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므로 이미지수용층의 표면 및 이미지수용층과 필름기재와의 접착면에 별도의 프라이머 처리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의 종래 기술은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의 제조시 사용되는 화합물의 용해를 위하여 유기용매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들 유기용매는 대부분 유독성이며 가연성인 관계로 작업시의 화재위험 및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과 함께,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필름의 이미지수용층을 형성하는 도막에는 토우너 수용 바인더 수지 이외에도 대전방지제, 슬립제, 기타 반응촉매 등이 첨가되는데 이들은 필름간의 블로킹 현상을 유발하여 연속복사시에 다중이송(여러장의 필름매체가 포개진채 동시에 이송되는 현상)이나 이송고장(복사중 필름매체가 복사기에 끼어서 복사가 중단되는 현상)같은 현상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미국특허 제 3618752호에서는 복사시 필름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간지를 부착하고 있는데, 이러한 간지는 필름 표면상에 전하증강을 억제하여 상기한 바의 이송고장을 일부 해결할 수 있으나 생상 원가의 상승 및 자원낭비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성으로서 우수한 토우너 접착력 및 도막강도를 나타내는 열가소성 중합체와 열경화성 중합체 및 분자내에 가교구조가 도입된 내블로킹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을 투명 또는 반투명 중합체 필름 기재의 적어도 한쪽면에 도포함으로서 유기용매 사용시에 나타나는 환경문제 및 제조시 화재 발생의 우려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프라이머 처리 없이 필름 기재의 제막 공정상에서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을 곧바로 도포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복사시 블록킹현상에 의한 이송불양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 부틸아크릴레이의 혼합 중합비를 40중량부 내지 80중량부 : 20중량부 내지 60중량부로 혼합하고 물을 용제로 사용하여 공중합시키는 과정에서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산의 단독 또는 혼합물을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의 혼합물중량의 1 내지 10wt%로 첨가하여 공중합 반응시킨 열가소성 중합체와,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수지 또는 수용성 블록화 디이소시아네이트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중합체 5내지 40중량부와, 가교폴리실록산 0.05 내지 1.0 중량부와를 혼합하여 제조한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중합체 필름기재의 연신제막공정중 또는 연신제막공정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방법의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필름기재로는 유연성과 열안정성이 있는 고분자 물질로서 오버헤드 프로젝션용으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투명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가시광선에 투명 해야하며 복사시의 열에 의한 이미지 융착작용을 견딜 수 있도록 120 내지 200℃에서 충분한 열안정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용도에 적당한 필름기재로는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술폰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등이 있으나 열안정성 등의 물성측면에서 고려할 때 2축 배향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선호되며, 50 내지 200㎛ 두께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한 필름기재의 표면에 구성되는 이미지수용층 또한 가시광선에 투명해야 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토우너 접착력 및 양호한 도막강도가 요구되는데 본 발명에서 이미지수용층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중합체 에멀션의 주성분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부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서 각종 토우너와의 친화성이 매우 양호한 바인더이며, 분자량은 50000에서 500000사이이다.
특히, 필름기재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어 별도의 프라이머층이 없이도 이미지수용층을 바로 중합체 필름기재에 도포할 수 있는데, 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이미지수용층 도막의 형성시에 도막을 필름기재에 단단하게 유지 시켜주어 도막강도를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한편, 부틸아크릴레이트의 경우 토우너에 대한 접착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한 두 단량체의 적절한 양을 조합하여 공중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양이 과다할 경우에는 도막 강도가 우수한 반면에 토우너 접착력은 원하는 정도에 못미치게 되며 부틸아크릴레이트의 양이 과다할 경우에는 도막강도가 약화되어 장기간 보관시에 필름간의 블로킹 현상을 유발하거나 연속복사시에 다중이송등의 문제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두 단량체의 공중합시에 가장 적당한 배합비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 부틸아크릴레이의 혼합 중합비를 40중량부 내지 80중량부 : 20중량부 내지 60중량부로 하는 것인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 부틸아크릴레이의 혼합 중합비를 50중량부 내지 60중량부 : 40중량부 내지 50중량부로 하여 공중합 반응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부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시에 첨가되는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나 아크릴산은 차후에 첨가되는 열경화성중합체와 가교구조를 형성하여 도막의 강도를 크게 높이고 토우너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그 첨가량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부틸아크릴레이트 혼합물 중량의 lowt%이하로 첨가하되,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7wt%로 첨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첨가되는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나 아크릴산은 친수성을 띄므로 공중합 반응 초기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아크릴레이트와 함께 투입하여도 반응시 형성되는 마이셀(Micelle)의 외부로 배향하여 차후 첨가되는 열경화성중합체와의 가교반응에 참가하게되어 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공중합반응 후기에 첨가하여 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마이셀의 외부로 배 향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 첨가되는 열경화성 중합체는 상기한 열가소성중합체 에멀션과 가교형성이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열경화성 중합체는 상술한바와 같이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아민기, 아미드기 또는 수용성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기중 적어도 하나를 분자구조상에 둘 이상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이 적당하며, 이러한 열경화성 중합체의 예로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수지, 수용성 블록화 디이소시아네이트수지 등이 있다.
이러한 열경화성 중합체의 사용량은 분자량, 관능기의 수에 따라 5 내지 40 중량부 이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다른 열경화성 중합체와 비교하여 우수한 수용성을 나타내며 상기의 열가소성 중합체 에멀젼과 반응하여 양호한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의 경우 열가소성 중합체의 20 내지 25wt%로 첨가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열가소성 중합체 에멀젼과 열경화성 중합계간의 가교반응을 더욱 촉진시키기 위하여 반응 촉매를 첨가할 수 있는데, 열경화성 중합체로서 멜라민-포를 알데히드 수지나 우레아-폴름알데히드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산 또는 블록화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용성 블록화디이소시아네이트수지를 열경화성 중합체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주석 화합물이나 유기망간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한 촉매의 투입량은 제막조건 또는 건조조건(건조온도, 건조시간 및 통풍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이미지수용층코팅액에 함유된 전체 고형분 함량의 0.01 내지 lwt% 정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예외적으로 제막조건 또는 건조조건이 가혹한 경우에는 상기의 촉매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라도 열경화성 중합체 단독으로 원하는 바의 가교구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블로킹제로 첨가되는 가교폴리실록산은 중합공정 중에 다관능성 실록산 단량체를 혼합시킴으로서 분자구조내에 가교구조가 도입 구성된 것이며, 이렇게 하여 제조된 가교폴리실록산은 구형 입자의 모양을 하며 외력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는 경도를 지니게 된다.
이러한 가교폴리실록산은 800℃이상의 고온에서 1 내지 4시간 동안 열처리 하는 방법으로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가교 폴리실록산의 중합과정에서 다관능성 실록산 단량체의 투입량을 늘리는 방법으로도 경도의 증가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가교실록산의 크기는 직경이 0.2 내지 10㎛인 경우에 내블로킹성의 부여에 적당하며 가교실록산의 투입량이 적으면 내블로킹 효과가 떨어지고 투입량이 지나치면 이미지수용층 도포공정에서 가교실록산이 메이어바 사이에 걸려서 필름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이미지수용층콩팅액의 고형분에 대햐여 0.05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의 방법으로 제조된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을 종래부터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중합체 필름기재상에 도포할 수 있다. 즉 필름기재의 제막공정중 종방향 연신전, 종방향 연신과 횡방향 연신 사이, 횡방향 연신과 필름기재의 권취공정 사이 또는 필름기재의 제조공정을 완료한 상태에서 권취된 필름기재를 재권취하는 공정 중간에 상기 제조된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을 필름기재의 한편 또는 양면에 약0.1 내지 2.0g/m3의 밀도로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서 필름기재 위에 이미지 수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한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리플럭스 콘덴서, 교반기, 온도계, 질소투입장치가 장착된 4구 플라스크에 탈이온수 160g과 소듐라우릴설페이트 6.75g을 넣고 질소분위기하에서 교반하면서 온도를 90℃로 유지한 상태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3g과 부틸아크릴레이트 41g과 히드록시메틸메타크릴레이트 7g과 아크릴산 4g을 별도로 혼합한 다음 적가장치를 이용하여 약 13분에 걸쳐 투입한 후, 플라스크의 내부온도가 90℃로 승온되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포타슘퍼설페이트 2% 수용액 20.25g을 적가장치를 이용하여 약 30분에 걸척서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상태에서 탈이온수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반응액 중 고형분 농도를 약 40wt%로 조절하여 열가소성중합체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계속하여 상온에서 탈이온수 868g을 교반하면서 여기에 내블로킹제로 평균입자크기 1.0㎛의 가교실록산필러 0.3g과 상기 제조된 열가소성 중합체 반응액 120g과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12g과 산촉매 0.08g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리플럭스 콘덴서, 교반기, 온도계, 질소투입장치가 장착된 4구 플라스크에 탈이온수 160g과 소듐라우릴설페이트 6.75g을 넣고 질소분위기하에서 교반하면서 온도를 90℃로 유지한 상태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3g과 부틸아크릴레이트 41g을 별도로 혼합한 다음 적가장치를 이응하여 약 13분에 걸쳐 투입한 후, 플라스크의 내부온도가 90℃로 승온시켜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포타슘퍼설페이트 2% 수용액 20.25g을 적가장치를 이용하여 약 30분에 걸쳐서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반응이 발열반응 최고점을 지나 약 1시간이 경과한 다음 히드록시메틸메타크릴레이트 7g과 아크릴산 4g을 별도로 혼합하고 적가장치를 이용하여 약 15분에 걸쳐서 투입한 후, 다시 포타슘퍼설페이트 4%수용액 4g을 적가장치를 이용하여 약 7분에 걸쳐 투입하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상태에서 탈이온수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반응액 중 고형분 농도를 약 40wt%로 조절하여 열가소성중합체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계속하여 상온에서 탈이온수 868g을 교반하면서 여기에 내블로킹제로서 평균입자크기 3.2㎛의 가교실록산필러 0.3g과 상기 제조된 열가소성 중합체 반응액 120g과 우레아-포름알데히드수지 12g과 산촉매 0.08g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리플럭스 콘덴서, 교반기, 온도계, 질소투입장치가 장착된 4구 플라스크에 탈이온수 160g과 소듐라우릴설페이트 6.75g을 넣고 질소분위기하에서 교반하면서 온도를 90℃로 유지한 상태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3g과 부틸아크릴레이트 41g을 별도로 혼합한 다음 적가장치를 이용하여 약 13분에 걸쳐 투입한 후, 플라스크의 내부온도가 90℃로 승온시켜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포타슘퍼설페이트 2% 수용액 20.25g을 적가장치를 이용하여 약 30분에 걸쳐서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반응이 발열반응 최고점을 지나 약 1시간이 경과한 다음 히드록시메틸메타크릴레이트 7g과 아크릴산 4g을 별도로 혼합하고 적가장치를 이용하여 약 15분에 걸쳐서 투입한 후 다시 포타숨퍼설페이트 4%수용액 4g을 적가장치를 이용하여 약 7분에 걸쳐투입하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상태에서 탈이온수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반응액 중 고형분 농도를 약 40w7%로 조절하여 열가소성중합체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계속하여 상온에서 탈이온수 868g을 교반하면서 여기에 내블로킹제로서 평균입자크기 7.8㎛의 가교실록산필러 0.3g과 상기 제조된 열가소성 중합체 반응액 120g과 디이소시아네이트수지 12g과 산촉매 0.08g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리플럭스 콘덴서, 교반기, 온도계, 질소투입장치가 장착된 4구 플라스크에탈이온수 160g과 소듐라우릴설페이트 6.75g을 넣고 질소분위기하에서 교반하면서 온도를 90℃로 유지한 상태에서, 메틸메타크릴궤이트 90g과 부틸아크릴레이트 45g을 별도로 혼합한 다음 적가장치를 이용하여 약 13분에 걸쳐 투입한 후, 플라스크의 내부온도가 90℃로 승온시켜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포타슘퍼설페이트 2% 수용액 20.25g을 적가장치를 이용하여 약 30분에 걸쳐서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4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상태에서 탈이온수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반응액 중 고형분 농도를 약 40wt%로 조절하여 열가소성중합체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계속하여 상온에서 탈이온수 868g을 교반하면서 상기 제조된 열가소성 중합체 반응액 120g과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12g과 산촉매 0.08g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조된 열가소성중합체 반응액 대신에 네오크릴 비티-62(Neocryl BT-62, Zeneca사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내블로킹제로서 평균입자크기가 0.04㎛인 실리카필러 0.3g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조된 열가소성중합체 반응액 대신에 에이씨 503(AC 503, Rohm & Haas사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내블로킹제로서 평균입자크기가 0.1㎛인 실리카필러 0.3g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으로부터 제조된 각각의 이미지수용 층코팅액을 100㎛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SH7l, (주)SKC제품)에 메이어바 코팅 방식으로 코팅한 후, 약 180℃에서 2분간 건조시켜 건조코팅두께 0.4㎛의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각각의 필름을 하기의 시험방법에 따라 토우너접착력, 내블로킹성, 이송불량횟수 및 도막경도 시험을 수행한 다음 그 결과를 하기한 표 1에 나타내었다.
[토우너 접착력 시험방법]
제록스 비바체 500, 550의 두가지 복사기로 필름의 표면에 토우너화상을 형성한 후에, ASTM D3359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크로스컷 영역을 만들고 셀로판테이프로 접착, 박리하여 미박리 토우너의 형상을 기준표와 대조함으로서 토우너 접착력으 측정한 후, 그 결과가 “매우우수”인 경우는 4+로, “우수”인 경우는 4로, “보통”인 경우는 3으로, “나쁨”인 경우는 2로 “매우나쁨”인 경우는 1로 표시하였다
[내블로킹성시험방법]
양면 도포된 필름 20장을 포갠후에 390kg/m2의 압력을 가하고 80℃에서 48시간동안 가열한 다음 필름을 떼어내면서 블로킹 여부를 관찰하여 한장도 블로킹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양호”, 1장 이상 5장 이하인 경우를 “보통”, 6장이상 브로킹이 발생한 경우를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이송불량횟수시험방법]
25℃, 상대습도 50%의 조건하에서 제록스사의 비바체 550복사기를 사용하여 필름 100장을 연속복사한 후에 다중전송건수와 이송고장건수를 합산하여 기록하였다.
[도막경도시험방법]
일반 면봉을 사용하여 이미지 수용층이 도포된 필름의 표면을 수회 문질러 도막이 벗겨지기 시작한 시점까지의 문지른 횟수를 기록한 후, 그 횟수가 5회 이하인 경우는 x,6-l0회인 경우는 ○,11회 이상인 경우는 ◎로 표시하였다.
Figure kpo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경우 내블로킹성이 모두 “양호”로 나타나 매우 우수한 내마찰성을 나타냄으로서 이송불량 건수에 있어서도 3건이하로 미미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비교예의 모든 경우에서 내블로킹성이 매우 불량하게 나타남으로서 복사시 필름간의 블로킹현상에 의한 이송불량 건수 또한 12 내지 22건으로서 실시예와 대비하여 최대 11배의 이송 불량율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토우너 접착력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우수”이상의 양호한 시험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비교예의 경우 전반적으로 최저등급의 시험결과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도막강도 또한 매우 불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용성으로서 우수한 토우너 접착력 및 도막강도를 나타내는 열가소성 중합체와 열경화성 중합체 및 분자내에 가교구조가 도입된 내블로킹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을 투명 또는 반투명 중합체 필름 기재의 적어도 한쪽면에 직접 도포함으로서 유기용매 사용시에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필름의 정전기 발생 및 경시현상에 의한 토우너 접착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0)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의 혼합 중합비를 40중량부 내지 80중량부 : 20중량부 내지 60중량부로 혼합하고 물을 용제로 사용하여 공중합시키는 과정에서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산의 단독 또는 혼합물을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의 혼합물 중량의 1 내지 l0wt%로 첨가하여 공중합 반응시킨 열가소성 중합체와,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수지 또는 수용성 블록화 다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중합체 5내지 40중량부와, 가교폴리실록산 0.05 내지 1.0 중량부와를 혼합하여 제조한 이미지수용충코팅액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중합체 필름기재의 연신제막공정중 또는 연신제막공정후 도포하고 건조시킴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 부틸아크릴레이의 혼합 중합비가 50중량부 내지 60중량부 : 40중량부 내지 50중량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산의 단독 또는 혼합물의 첨가량이 5 내지 7중량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기재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또는 셀롤로오스 트리비닐아세테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폴리실록산의 평균입자크기가 0.2 내지 10㎛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의 제조방법.
  6. 메틸메타크릴레이트 :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혼합 증합비를 40중량부 내지 80중량부 : 20중량부 내지 60중량부로 혼합하고 물을 용제로 사용하여 공중합시키는 과정에서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산의 단독 또는 혼합물을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의 혼합물 중량의 1 내지 l0wt%로 첨가하여 공중합 반응시킨 열가소성 중합체와,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수지 또는 수용성 블록화 디이소시아네이트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중합체 5내지 40중량부와, 가교폴리실록산 0.05 내지 1.0중량부와를 혼합하여 제조한 이미지수용층코팅액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중합체 필름기재의 연신제막공정중 또는 연신제막공정후 도포하고 건조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의 혼합 중합비가 50중량부 내지 60중량부 : 40중량부 내지 50중량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산의 단독 또는 혼합물의 첨가량이 5 내지 7중량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웅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기재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또는 셀룰로오스 트리비닐아세테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폴리실록산의 평균입자크기가 0.2 내지 10㎛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KR1019970074677A 1997-12-26 1997-12-26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60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677A KR100260797B1 (ko) 1997-12-26 1997-12-26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677A KR100260797B1 (ko) 1997-12-26 1997-12-26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800A KR19990054800A (ko) 1999-07-15
KR100260797B1 true KR100260797B1 (ko) 2000-07-01

Family

ID=1952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677A KR100260797B1 (ko) 1997-12-26 1997-12-26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7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678A (ja) * 1992-05-19 1993-12-03 Toray Ind Inc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678A (ja) * 1992-05-19 1993-12-03 Toray Ind Inc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800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9378B2 (en) Water-based transparent image recording sheet for plain paper copiers
US4968578A (en) Method of non-electrostatically transferring toner
EP0792479B1 (en) Water based toner receptive core/shell latex compositions
EP0805170B1 (en) Photoconductor coating
US4415626A (en) Antistatic composition and elements and processes utilizing same
US4489122A (en) Transparencies for electrostatic printing
JPH05507306A (ja) 架橋導電性ポリマー及びそれを使用する帯電防止層
CA2146762A1 (en) Light blocking transparency assembly
KR100499958B1 (ko) 이미지 수용층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이미지수용층을 구비한 고분자 필름
KR100260797B1 (ko)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3600264B2 (ja) 電子写真用トナー受容性剥離コーティング
KR100260798B1 (ko)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54368B1 (ko)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60799B1 (ko)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US5520993A (en) Record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7507974A (ja) ノンインパクト印刷エレメント
US4517271A (en) Electrophotographic CdS photosensitive member with acrylic resin binder
KR100491245B1 (ko) 토너 부착층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 토너 부착층을 구비한 복사용 고분자필름
KR0148771B1 (ko)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S6210422B2 (ko)
JPH0723020B2 (ja) 光透過性を有する記録用シ−ト
JPH10510062A (ja) 普通紙複写機用水性透明画像記録紙
JP5810828B2 (ja) ブロッキング防止剤
JPH08201980A (ja) 写真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19980022260A (ko)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투명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