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453B1 - 인쇄 및 복사용 다층 고분자 필름 - Google Patents

인쇄 및 복사용 다층 고분자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453B1
KR101030453B1 KR1020090046807A KR20090046807A KR101030453B1 KR 101030453 B1 KR101030453 B1 KR 101030453B1 KR 1020090046807 A KR1020090046807 A KR 1020090046807A KR 20090046807 A KR20090046807 A KR 20090046807A KR 101030453 B1 KR101030453 B1 KR 101030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polymer film
group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426A (ko
Inventor
정태형
최광수
매리 엘리자베스 클리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6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45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5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및 복사용 다층 고분자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충진제를 0 내지 1000ppm 및 50 내지 3000ppm의 양으로 각각 함유하는 적층된 A층과 B층으로 이루어진 이중충 고분자 기재 필름(상기 A층은 충진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B층 보다 적은 양의 충진제를 함유한다); 상기 고분자 기재 필름의 A층 표면 상에 코팅된 이미지 수용층; 및 상기 고분자 기재 필름의 B층 표면 상에 코팅된 대전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수용층이 코팅된 A층 및 상기 대전방지층이 코팅된 B층 각각의 평균 표면조도(Ra)값이 10 내지 60nm 및 50 내지 150n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의 필름은 주행성, 인쇄성, 광학특성(헤이즈), 대전방지성, 저마찰계수 특성 및 내블록킹성 등이 우수하여 오버헤드 프로젝터(OHP)용 필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 및 복사용 다층 고분자 필름 {MULTI-LAYER POLYMER FILM FOR PRINTING AND COPYING}
본 발명은 주행성 및 인쇄성이 우수하여 오버헤드 프로젝터(OHP)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인쇄 및 복사용 다층 고분자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인쇄된 이미지를 갖는 오버헤드 프로젝터(OHP)용 필름은, 일반적으로 롤 상태의 필름을 절단하여 원하는 사이즈로 시트화한 후 그 시트의 한 면에 이미지를 복사 내지는 인쇄하고 필요에 따라 다이(die)-절단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인쇄 및 복사용 필름은 이미지 인쇄를 위한 토너 접착성(인쇄성), 필름 기재 표면에서의 정전기 누적에 의한 연속 복사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대전방지성, 연속 복사시 여러 장의 필름이 함께 이송되거나 필름이 복사기에 끼어서 복사가 중단되는 현상(jamming)을 최소화하기 위한 저마찰계수 특성 및 내블록킹성, 및 스크래치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고속으로 시트화하거나 복사기에 끼지 않으면서 고속으로 복사하기 위한 주행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특히, 고속 시트화 및 고속 복사에 필요한 주행성은 OHP용 필름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 중요한 물성이다.
따라서, 이제까지 개발된 인쇄 및 복사용 필름은 그 필름의 도막 내에 토너 수용 바인더, 대전방지제, 슬립제 또는 촉매 등을 포함하는데 (미국 특허 제3,854,942호, 제4,071,362호, 제4,415,626호, 제4,489,122호 및 제5,310,591호 참고), 이들 성분은 필름 간의 블록킹 현상을 유발하여 원활한 연속 복사를 어렵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필름의 주행성을 개선하기 위해 필름 표면조도(roughness)를 적절한 수준으로 높여주는 충진제(filler)를 필름 제조시 첨가하는데, 필름에 요구되는 광학특성, 즉 헤이즈(haze) 규격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필름에 첨가할 수 있는 충진제의 양에 한계가 있어서 원하는 표면조도를 설계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기존의 필름 제품들은 인쇄기 및 복사기 내에서 원활하게 이송되기 위해서 간지(paper)가 부착되어 이송되고 있으나 ("tipped 또는 paperback 형태", 필름만 이송되는 경우는 "untipped 또는 bareback 형태"라고 함), 이러한 간지의 사용은 가격상승은 물론 폐품처리의 문제 등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주행성, 인쇄성, 광학특성(헤이즈), 대전방지성, 저마찰계수 특성 및 내블록킹성 등이 우수하여 오버헤드 프로젝터(OHP)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인쇄 및 복사용 고분자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충진제를 0 내지 1000ppm 및 50 내지 3000ppm의 양으로 각각 함유하는 적층된 A층과 B층으로 이루어진 이중충 고분자 기재 필름(상기 A층은 충진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B층 보다 적은 양의 충진제를 함유한다);
상기 고분자 기재 필름의 A층 표면 상에 코팅된 이미지 수용층; 및
상기 고분자 기재 필름의 B층 표면 상에 코팅된 대전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수용층이 코팅된 A층 및 상기 대전방지층이 코팅된 B층 각각의 평균 표면조도(Ra)값이 10 내지 60nm 및 50 내지 150nm 범위인 다층 고분자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고분자 필름은 주행성, 인쇄성, 광학특성(헤이즈), 대 전방지성, 저마찰계수 특성 및 내블록킹성 등이 우수하여 간지(paper) 없이도(bareback 형태로) 원활한 연속 복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속 시트화 및 고속 복사가 모두 가능하므로 경제적으로 제조되어 오버헤드 프로젝터(OHP)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고분자 필름은, 충진제를 서로 상이한 양으로 함유하는 적층된 A층(부드러운 층)과 B층(거친 층)의 고분자 기재 필름, 상기 A층 표면 상에 코팅된 이미지 수용층, 및 상기 B층 표면 상에 코팅된 대전방지층을 포함하며, 이때 이미지 수용층이 코팅된 A층 및 대전방지층이 코팅된 B층 각각의 평균 표면조도(Ra)값이 10 내지 60nm 및 50 내지 150n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다층 고분자 필름의 단면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필름을 구성하는 A층/B층 고분자 기재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설폰, 셀룰로오스 트리비닐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고분자 기재 필름은 30 내지 2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A층 및 B층은 각각 기재 필름 총 두께의 50 내지 95% 및 5 내지 5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층은 충진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1000ppm 이하이면서 B층 보다 적은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ppm의 양으로 함유하고, B층은 충진제를 50 내지 3000ppm,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500ppm의 양으로 함유한다. 즉, A층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충진제를 포함하면서 두꺼운 두께를 갖는 부드러운 층이고, B층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충진제를 포함하면서 얇은 두께를 갖는 거친 층으로서, 이러한 조합을 통해 본 발명의 필름은 원하는 표면조도를 가지면서도 OHP 용도로서의 헤이즈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충진제로는 실리카, 탄산칼슘, 카올린, 티타니아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는데, A층은 평균 입경 1.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의 충진제를 포함하고, B층은 평균 입경 2 내지 8㎛,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의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A층 표면 상에 두께 50 내지 1000nm,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nm의 이미지 수용층 코팅층을 가지며, 이러한 이미지 수용층은 일명 인쇄용 접착층이라 지칭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수용층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잔기와 부틸아크릴레이트 잔기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공중합체 25 내지 85 중량%, 상기 열가소성 공중합체와 가교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열경화성 중합체 3 내지 12 중량%, 반응형 실리콘계 슬립제(slipping agent) 0.01 내지 10 중량%, 불소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0.01 내지 10 중량%, 블록킹 방지제(anti-blocking agent) 0.5 내지 20 중량% 및 대전방지제(antistatic agent) 3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수용층은 각종 토너 및 기재 필름과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바인더 수지 성분으로서 상기 열가소성 공중합체와 열경화성 중합체의 조합을 사용하며, 기존의 이미지 수용층과 비교해 볼 때 이러한 바인더 수지 성분과 대전방지제 의 비율이 비교적 낮아 공정성 및 광학특성 등을 향상시킨다.
상기 열가소성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잔기와 부틸아크릴레이트 잔기를 분자 구조의 90 몰% 이상으로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부틸아크릴레이트 잔기를 분자 구조의 20 내지 60 몰%로 포함한다. 이외에도, 열가소성 공중합체는 그 분자 구조 중에 아크릴아미드 잔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잔기 및 아크릴산 잔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잔기를 1 내지 10 몰%로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 내지 5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공중합체와 가교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상기 열경화성 중합체는 그 분자 구조 중에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시아노기 및 수용성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반복단위 당 적어도 1개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열경화성 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수용성 블록화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공중합체와 열경화성 중합체 사이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서, 이미지 수용층은 티오시안산암모늄, 질산암모늄 및 염화암모늄과 같은 반응촉매를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킹 방지제로는 내부 가교 결합된 아크릴 비드(예: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실리카, 탄산칼슘, 카올린, 티타니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블록킹 방지제는 2 내지 10㎛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평균 입경 2 내지 10㎛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입경을 갖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종류의 입자(다분산 입자)를 3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미지 수용층을 구성하는 상기 슬립제는 공액 이중 결합, 실리콘과 결합된 자유수소기(Si-H), 아미노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반응형 실리콘계 화합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미지 수용층을 구성하는 상기 대전방지제는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및 공액 이중 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미지 수용층을 구성하는 상기 불소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B층 표면 상에 두께 3 내지 100n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nm의 대전방지 코팅층을 가지며, 이러한 대전방지층은 일명 썼다 지웠다 하는 층(write-on and wipe-off layer, WOWO층)이라 지칭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층은 대전방지제 97 내지 100 중량% 및 슬립제 0 내지 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대전방지층은 본 발명의 필름의 표면저항을 1×1012 Ω/□ 이하로 유지시켜 정전기 방지 및 썼다 지웠다 하는 특성을 필름에 효과적으로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대전방지층을 구성하는 상기 대전방지제로는 4급 암모늄염계 화합물이 적합하며, 바람직하게는 2개의 메틸기 및 2개의 C8-12 알킬기를 갖는 4급 암모늄염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전방지층을 구성하는 상기 슬립제로는 폴리우레탄, 실리카, 폴리에스테르계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고분자 필름은 상술한 주성분들 외에 필름의 물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제로서 항산화제, 유기입자, 무기입자, 안료, UV 흡수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첨가제는 통상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물질들이 통상적인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수지와 해당량의 충진제를 각각 혼합하여 A층 칩과 B층 칩을 만들어 용융 혼련하면서 공압출한 후, 공압출된 시트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이축 연신하고 통상적인 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고분자 기재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연신은 총 연신배율이 약 1.5 내지 약 10배가 되도록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 보다는 높으면서 중합체의 연화온도 보다는 낮은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고분자 기재 필름에의 이미지 수용층 및 대전방지층 각각의 코팅은 기재 필름의 제막 공정 중에 또는 제조 후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술한 해당 성분들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기재 필름의 표면에 도포하고 열경화시킴으로써 목적하는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A층 상에 코팅된 이미지 수용층 위에 원하는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고, B층 상에 코팅된 대전방지층 위에 마커(marker) 로 원하는 글자를 쓰고 티슈 또는 천으로 글자를 지울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다층 고분자 필름은 이미지 수용층이 코팅된 A층 및 대전방지층이 코팅된 B층 각각에 대해서 10 내지 60nm 및 50 내지 150nm 범위의 평균 표면조도(Ra)값을 가지면서 우수한 인쇄성, 주행성, 광학특성, 대전방지성, 저마찰계수 특성 및 내블록킹성 등을 가지므로, 오버헤드 프로젝터(OHP)용 필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을 1:2 당량비로 혼합한 후, 이 혼합물에 중축합 촉매로서 산화안티몬 0.05 중량% 및 충진제로서의 실리카를 첨가하고 중축합을 완결시켜 극한점도가 0.61dl/gr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73℃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A층 칩과 B층 칩을 각각 제조하였다. A층 칩의 경우에는 2.3㎛의 평균 입경을 갖는 실리카를 50ppm의 양으로 첨가하고, B층 칩의 경우에는 3.5㎛의 평균 입경을 갖는 실리카를 500ppm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이축 압출기에서, 상기에서 제조된 A층 칩과 B층 칩을 피드 블록을 이용한 공압출 다이를 통해 시트를 공압출하였다. 이어, 공압출된 시트를 80℃에서 종방향으로 2.5배로 연신하고, 이를 다시 125℃에서 횡방향으로 2.5배로 연신한 후 230℃에서 열고정하여 이축 연신된 100㎛ 두께의 고분자 기재 필름(A층 두께: 80㎛, B층 두께: 20㎛)을 제조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열가소성 공중합체로서 Primal 3298 (R&H사) 10 중량%, 열경화성 중합체로서 Cymel 303 (Cynamid사) 0.5 중량%, 슬립제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왁스 0.01 중량%, 계면활성제로서 triton GR5M (Dow사) 0.2 중량%, 블록킹 방지제로서 실리카로서의 Nyacol 215 (PQ coopartion)와 내부 가교 결합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로서의 Artpearl (동진화학) 1.0 중량% 및 대전방지제로서 Catanac SN (Cynamid사) 4.0 중량%를 나머지량의 물과 100 중량%가 되도록 균일하게 혼합하여 이미지 수용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블록킹 방지제로서 사용된 실리카와 내부 가교 결합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는 각각 2, 3.5 및 6.5㎛의 입경을 갖는 3종을 2:3:4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대전방지제로서 Unistat 3PN (신영화성) 3.5 중량% 및 슬립제로서 ML160 (Michelman사) 0.05 중량%를 나머지량의 물과 100 중량%가 되도록 균일하게 혼합하여 대전방지층용 수용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메이어 바(#4)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기재 필름의 A층 위에 상기 이미지 수용층용 조성물을 코팅한 후 180℃에서 2분간 열경화시켜 이미지 수용층을 형성하고, B층 위에 상기 대전방지층용 조성물을 코팅한 후 180℃에서 2분간 열경화시켜 대전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목적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였다. 형성 된 이미지 수용층 및 대전방지층 각각의 두께는 150nm 및 20nm 이었다.
실시예 2
이미지 수용층용 조성물 제조시 대전방지제를 7.0 중량%의 양으로 변화시키고, 이미지 수용층의 최종 두께가 100nm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다층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A층 칩 제조시 1.0㎛의 평균 입경을 갖는 실리카를 사용하고, 이미지 수용층의 최종 두께가 300nm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다층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을 1:2 당량비로 혼합한 후, 이 혼합물에 중축합 촉매로서 산화안티몬 0.05 중량% 및 2.3㎛의 평균 입경을 갖는 실리카를 500ppm의 양으로 첨가하고 중축합을 완결시켜 극한점도가 0.61dl/gr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73℃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단일 칩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단일 칩을 용융압출한 후 압출된 시트를 80℃에서 종방향으로 2.5배로 연신하고, 이를 다시 125℃에서 횡방향으로 2.5배로 연신한 후 230℃에서 열고정하여 이축 연신된 100㎛ 두께의 단일 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이미지 수용층용 조성물 제조시 열가소성 공중합체를 20 중량%의 양으로, 열경화성 중합체를 1.0 중량%의 양으로, 블록킹 방지제를 0.8 중량%의 양으로, 그리고 대전방지제를 7.0 중량%의 양으로 변화시키면서 블록킹 방지제로서 실리카를 3.5 및 6.5㎛의 입경을 갖는 2종을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이미지 수용층의 최종 두께가 250nm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이후 공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이축 연신된 단일 기재의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2.3㎛의 평균 입경을 갖는 실리카를 50ppm의 양으로 사용하면서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이축 연신된 100㎛ 두께의 단일 필름을 제조하여 기재 필름으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이축 연신된 단일 기재의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필름들의 성능 평가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그 측정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표면저항 (Ω/□)
미국 데스코(Desco)사의 표면저항 측정기(모델명: 19782)를 사용하여 필름의 이미지 수용층 면의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온도 23℃, 상대습도 60%, 인가전압 100V).
2) 광학특성(헤이즈)(%)
가드너(Gardener)사의 XL 211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3)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
ASTM D1894의 방법에 의하여 필름 시편의 표면에 수직 하중을 가하고 이동시키면서 로드셀(load cell)을 통하여 저항력을 측정하여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를 계산하였다.
4) 평균 표면조도 (nm)
DIN 4768 방법에 의하여, 표면조도 측정기(Kosaka Laboratory Ltd의 SE-30D 모델)에 필름 시편을 평행하게 장착한 후 단면 곡선의 중심선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면적을 더하여 측정 길이로 나누어 줌으로써 평균 표면조도 값을 얻었다.
5) 인쇄성 (인쇄 접착력)
필름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 수지(U100, 선경 UCB 제품)를 #3 bar로 코팅한 후 180w UV 램프를 이용하여 10초간 자외선 경화시켜 시편을 제작한 다음, ASTM D3359 방법으로 크로스 컷 영역을 만들고 셀로판 테이프로 접착 박리하였다. 박리되지 않고 필름 표면에 남아있는 프리즘 코팅층의 형상을 기준표와 대조함으로써 인쇄 접착력을 평가하였다. 인쇄 접착력을 0부터 5까지의 정수로 나타내되, 숫자가 클수록 접착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6) 인쇄속도
A4 사이즈의 필름 시편 100매를 일반 복사기에서 복사시 잼(필름이 복사기에 끼어서 복사가 중단되는 현상) 발생 정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 0매
○: 1매 내지 5매
△: 5매 초과
7) 썼다 지웠다 하는 특성(WOWO 특성)
보드 마커(board marker)로 필름 표면에 도포 후 킴터프(Kimtuff)로 닦아 지워지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때, 빛투과율 측정기를 사용하여 도포 전과 지운 후의 빛투과율의 차이로 등급을 설정하였다.
◎: 3% 이하
○: 3% 초과 5% 이하
△: 5% 초과 7% 이하
×: 7% 초과
Figure 112009032190277-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필름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필름에 비해 광학특성(헤이즈), 인쇄성 및 주행성이 우수하고,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필름에 비해서는 주행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다층 고분자 필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0: 다층 고분자 필름
12: 대전방지층
14: 고분자 기재 필름의 B층
16: 고분자 기재 필름의 A층
18: 이미지 수용층

Claims (18)

  1. 충진제를 0 내지 1000ppm 및 50 내지 3000ppm의 양으로 각각 함유하는 적층된 A층과 B층으로 이루어진 이중충 고분자 기재 필름(상기 A층은 충진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B층 보다 적은 양의 충진제를 함유한다);
    상기 고분자 기재 필름의 A층 표면 상에 코팅된 이미지 수용층; 및
    상기 고분자 기재 필름의 B층 표면 상에 코팅된 대전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수용층이 코팅된 A층 및 상기 대전방지층이 코팅된 B층 각각의 평균 표면조도(Ra)값이 10 내지 60nm 및 50 내지 150nm 범위인 다층 고분자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기재 필름이 30 내지 25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층 및 B층이 각각 기재 필름 총 두께의 50 내지 95% 및 5 내지 5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층 및 B층이 각각 충진제를 50 내지 200ppm 및 200 내지 1500ppm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가 실리카, 탄산칼슘, 카올린, 티타니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층 및 B층이 각각 평균 입경 1.0 내지 4.5㎛ 및 2 내지 8㎛의 충진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용층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잔기와 부틸아크릴레이트 잔기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공중합체 25 내지 85 중량%, 상기 열가소성 공중합체와 가교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열경화성 중합체 3 내지 20 중량%, 반응형 실리콘계 슬립제 0.01 내지 10 중량%, 불소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0.01 내지 10 중량%, 블록킹 방지제 0.5 내지 20 중량% 및 대전방지제 3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공중합체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잔기와 부틸아크릴레이트 잔기를 분 자 구조의 90 몰% 이상으로 포함하고, 이들 중 부틸아크릴레이트 잔기를 분자 구조의 20 내지 60 몰%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공중합체가 그 분자 구조 중에 아크릴아미드 잔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잔기 및 아크릴산 잔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잔기를 1 내지 10 몰%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중합체가 그 분자 구조 중에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시아노기 및 수용성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반복단위 당 적어도 1개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중합체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수용성 블록화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 방지제가 내부 가교 결합된 아크릴 비드, 실리카, 탄산칼슘, 카올린, 티타니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 방지제가 평균 입경 2 내지 10㎛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입경을 갖는 3종 이상이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용층이 50 내지 1000n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층이 대전방지제 97 내지 100 중량% 및 슬립제 0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층이 3 내지 100n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1.5 내지 10배의 총 연신배율로 이축 연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오버헤드 프로젝터(OHP)용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KR1020090046807A 2009-05-28 2009-05-28 인쇄 및 복사용 다층 고분자 필름 KR101030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807A KR101030453B1 (ko) 2009-05-28 2009-05-28 인쇄 및 복사용 다층 고분자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807A KR101030453B1 (ko) 2009-05-28 2009-05-28 인쇄 및 복사용 다층 고분자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426A KR20100128426A (ko) 2010-12-08
KR101030453B1 true KR101030453B1 (ko) 2011-04-25

Family

ID=4350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807A KR101030453B1 (ko) 2009-05-28 2009-05-28 인쇄 및 복사용 다층 고분자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4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658B1 (ko) * 2014-12-19 2016-07-22 주식회사 효성 이형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771B1 (ko) * 1995-03-08 1998-12-01 안시환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0248318B1 (ko) 1995-02-27 2000-03-15 야스이 쇼사꾸 적층 필름
KR100252025B1 (ko) 1996-09-20 2000-04-15 장용균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투명 필름
KR100260798B1 (ko) 1997-12-26 2000-07-01 장용균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318B1 (ko) 1995-02-27 2000-03-15 야스이 쇼사꾸 적층 필름
KR0148771B1 (ko) * 1995-03-08 1998-12-01 안시환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0252025B1 (ko) 1996-09-20 2000-04-15 장용균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투명 필름
KR100260798B1 (ko) 1997-12-26 2000-07-01 장용균 전자사진식 복사용 오버헤드 프로젝션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426A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8445B2 (en) Image receptor medium containing ethylene vinyl acetate carbon monoxide terpolymer
AU748330B2 (en) Image receptor medium
JPS632779B2 (ko)
KR20050109447A (ko) 대전 방지성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US8247518B2 (en) Multi-layer polymer film for printing and copying
JP2012207166A (ja)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US6309730B1 (en) Releasing film
JP6010381B2 (ja) 離型フィルム
KR101030453B1 (ko) 인쇄 및 복사용 다층 고분자 필름
US8980415B2 (en) Antistatic films and methods to manufacture the same
JP5346679B2 (ja) 離型フィルム
JP2002079617A (ja) 帯電防止性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21059031A (ja) 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基材用フィルム
JP3144564B2 (ja) ラベル用積層体
JP2015027735A (ja) 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279974B2 (ja) 帯電防止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941404B2 (ja) 電子写真用転写シート
JP4186570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747600A (ja) 白色シンジオタクティックポリスチレン系フィルム
JPH0695420A (ja) ラベル用積層体
JP418656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932463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5013449A (ja) 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205587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8176330A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樹脂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