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644B1 - 전자사진용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사진용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644B1
KR950007644B1 KR1019920027434A KR920027434A KR950007644B1 KR 950007644 B1 KR950007644 B1 KR 950007644B1 KR 1019920027434 A KR1019920027434 A KR 1019920027434A KR 920027434 A KR920027434 A KR 920027434A KR 950007644 B1 KR950007644 B1 KR 950007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sin
polyester
fine particles
p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664A (ko
Inventor
김광태
김춘영
서정기
Original Assignee
제일합섬주식회사
박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합섬주식회사, 박홍기 filed Critical 제일합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644B1/ko
Publication of KR94001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005Silver halide emulsions; Preparation thereof; Physical treatment thereof; Incorporation of additives therein
    • G03C1/06Silver halide emulsions; Preparation thereof; Physical treatment thereof; Incorporation of additives therein with non-macromolecular additives
    • G03C1/08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 G03C1/10Organic substances
    • G03C1/12Methine and polymethine dyes
    • G03C1/26Polymethine chain forming part of a heterocyclic 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사진용 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전자사진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수지로 표면처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유기용제 가용성 수지 및 상기 유기용제에 불용성인 무기 또는 플라스틱의 매트제를 함유시킨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층상의 표면 고유저항치가 1×109Ω/Sq~1×1012Ω/Sq의 범위내에 있도록 하는 전자사진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사진용 필름은 단순히 내열온도 100°C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 위에 스틸렌과 부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도포하여 제조되어 왔으나 복사기에서 복사후의 토너 접착력이 부족하여 화상의 농도도 낮고 정전기에 의한 먼지 부착이 많았다. 또한, 국내에서는 내열온도 100°C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위에 아크릴수지를 인라인 코팅(IN-LINE-COATING)한 것도 사용되어 왔으나 이 또한 화상의 농도가 낮고 토너의 접착력이 부족하며 표면에 정전기가 많아서 먼지의 부착이 많으며 잔자복사기에서 한번에 수십매 연속 복사시에 급지용 트레이에서 연속복사(중송)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 전자사진용 복사기에서 복사할때 화상의 농도가 높고 토너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필름표면에 정전기에 의한 먼지부착이 되지 않으며 한번에 수십매 연속사용하여도 급지용 트레이에서 걸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전자사진용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뿐만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아클릴수지로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주성분이며 유리전이온도가 40°C 이상인 것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에 0.01μm~1.0μm의 두께로 도포한 필름 위에 유기용제 가용성 수지 및 상기 유기용제에 불용성인 무기 또는 플라스틱의 매트제를 함유시킨 조성물을 코팅하므로서 화상의 농도가 높고 토너 접착력이 우수하고 필름의 표면에 정전기에 의한 먼지 부착이 되지 않으며 한꺼번에 수십매 연속복사시에 급지용 트레이에서 중송성이 우수한 전자사진용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아크릴수지로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주성분이며 유리전이온도가 40°C 이상인 것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에 0.01μm~1.0μm의 두께로 도포한 필름 위에 유기용제에 가용성인 수지로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또는 공중합 아크릴 수지를, 무기미립자로서는 입경이 0.05μm~10.0μm인 이산화규소, 산화티탄 등을 사용하고 대전방지제로 지방족 제4급 아민화합물을 혼합한 조성물을 도포하여 표면고유저항치가 1×109Ω/Sq~1×1012Ω/Sq인 필름을 제조하므로써 전자사진용 복사기에서 복사될 때 화상의 농도가 높고 복사기에서 한번에 수십매 계속 사용하여도 급지용 트레이에서 걸림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메틸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크릴수지로 처리된 열수축성이 낮은 저수축형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이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일반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했을 때에 비해서 컬발생을 줄이고, 중송을 가능하게 하는데는 효과가 있지만, 이때 필름 표면처리용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40°C 이하이면 블로킹성이 나빠지므로 유리전이온도가 적어도 40°C 이상이어야 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도포되는 아크릴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리전이온도가 40°C 이상이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 모두가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미립자는 이산화규소, 산화티탄, 카올린,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나 등의 미립자이다. 무기미립자는 평균입경이 0.05μm ~10.0μm인 것이 적합하며, 평균 입경이 0.05μm이하이면 급지용 트레이에서 중송이 잘 되지 않는 반면에 10.0μm 이상이면 필름의 투명성이 나빠진다.
무기미립자의 첨가량은 수지 고형분에 대해 0.3중량%~5.0중량%가 적합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3중량%~1.0중량%인 것이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는 입경이 작고 구형일수록 분산성이 좋지만 가격이 비싸므로 본 발명에서는 0.05μm~1.0μm인 무기미립자를 평행밀(HORIZANTAL MILL)에서 분쇄사용하므로서 경제적인 문제와 분산성 문제를 해결하였다. 무기미립자의 첨가량이 수지 고형분에 대해 0.3중량% 이하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5.0중량% 이상이면 필름의 투명성이 나쁘게 된다.
수지는 유기용제에 용해성이 좋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공중합 아크릴 수지가 좋으며, 토너 제조시 사용된 수지와 동일한 수지를 사용하면 열정착에 의해 토너가 강하게 굳어 부착력이 좋아지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유기용제로는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메틸렌클로라이드, 사이클로 헥사논,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에틸알콜, 메틸알콜등을 사용하며,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제를 사용하여도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 도포층은 건조후 0.05μm~5.0μm의 범위에 있는 것이 양호하고, 도포층상의 표면고유저항치가 1.0×109Ω/Sq~1.0×1012Ω/Sq인 것이 적합하다. 표면고유저항치가 1.0×109Ω/Sq 이하이면 화상의 농도가 작게되고, 1.0×1012Ω/Sq 이상이면 필름 취급중에 정전기에 의한 먼지가 부착하기 쉽게되며 중송성도 좋지 않아 전자사진용 필름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 전자사진용 필름은 유기용제에 수지를 녹이고 여기에 무기입자 및 대전방지제를 혼합하여 도포액을 만들어 아크릴 수지로 표면 처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코팅하여 제조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전자사진용 필름은 건식 전자사진용 복사기에서 복사할때 화상의 농도가 높고 토너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한번에 수십매 연속 사용하여도 급지용 트레이에서는 걸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우수한 전자사진용 필름을 얻을 수가 있다.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기전이온도가 61°C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일본합성제, WR-901) 4중량%, 공중합 아크릴수지(삼정동압제, CPR 200) 4중량%, 대전방지제인 지방족 아민제 4급 암모늄화합물(송본유지제, 에프콜 72) 0.25중량%, 이산화규소(촉매화학제, 스피라카 0.5μm품) 0.4중량%을 혼합용제(사이클로헥사논 : 에틸렌아세테이트 : 톨루엔의 비율 4 : 4 : 2)에 용해하여 도포액을 제조한다. 이 도포액을 아크릴수지로 표면처리한 두께 100μm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제일합섬(주), XG-532) 위에 2.0μm의 두께로 도포하고 건조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공중합 폴리에스터 수지(일본합성제, WR-901) 7중량%, 공중합 아크릴수지(삼정동압제, CPR 200) 7중량% 및 지방족 아민제 4급 암모늄 화합물(송본유지제, 에프콜 72) 0.30중량%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공중합 폴리에스터 수지(일본합성제, WR-901) 10중량%, 공중합 아크릴수지 (삼정동압제, CPR 200) 10중량% 및 지방족 아민제 4급 암모늄 화합물(송본유지제, 에프콜 72) 0.32중량%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
공중합 폴리에스터 수지(일본합성제, WR-901) 15중량%, 공중합 아크릴수지 (삼정동압제, CPR 200) 15중량% 및 지방족 아민제 4급 암모늄 화합물(송본유지제, 에프콜 72) 0.33중량%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대비용으로 아크릴 수지로 표면처리하지 않고 도포액을 도포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제일합섬제 XG-500, 두께 100μm)의 특성을 평가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2
유리전이온도가 61°C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대신 유리전이온도가 29°C인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KODAK 29-D)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평가방법
(1)표면저항(Ωm/Sq)
ASTM D4854T에 준하여 극초절연계(TERAOHM METER, MODEL R-503 MEASURING ELECTRODE P-616)로 측정.
(2)헤이즈(HAZE) 및 투과도
ASTM D1003에 준하여 일본 전색공업(주)의 헤이즈메터(HAZE METER)에 의해 측정.
(3)토너접착력(%)
전자사진의 토너접착력은 반사농도 2.0의 원도를 PPC(PLANE PAPER COPY) 복사기로 필름상에 토너복사한 후 초기농도(D0)를 측정하고, 셀로판테이프로 토너부분을 밀착 박리시킨 후 농도(D1)를 측정하여 D1/D0×100으로 토너접착력을 측정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음. 농도 측정은 맥베스 텐시토메타 TR-924에 의해 측정.
(4)중송성
중송은 복사기(삼성카피맨 5000타입)에서 50매를 겹쳐서 사용한 경우 급지용 트레이에서 1매 이하 걸리는 것을 A로, 2~4매 걸리는 것을 B, 5~10매 걸리는 것을 C, 10매 이상인 것을 D로 평가하였다.

Claims (2)

  1. 에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주성분인 아크릴 수지를 0.01~1.0μm의 두께로 도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유리전이온도가 40°C 이상인 공중합 아크릴 수지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유기용제에 용해하고 여기에 대전방지제로 지방족 아민 4급암모늄 화합물과 무기미립자를 혼합한 도포액을 도포하여 도포층의 표면고유 저항치가 1.0×109Ω/Sq~1.0×1012Ω/Sq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용 필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무기미립자는 이산화규소, 산화티탄, 카올린, 탄산칼슘 또는 산화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것이며, 첨가량은 수지 고형분에 대해 0.3중량%~5.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용 필름의 제조방법.
KR1019920027434A 1992-12-31 1992-12-31 전자사진용 필름의 제조방법 KR950007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434A KR950007644B1 (ko) 1992-12-31 1992-12-31 전자사진용 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434A KR950007644B1 (ko) 1992-12-31 1992-12-31 전자사진용 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664A KR940015664A (ko) 1994-07-21
KR950007644B1 true KR950007644B1 (ko) 1995-07-13

Family

ID=1934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7434A KR950007644B1 (ko) 1992-12-31 1992-12-31 전자사진용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749B1 (ko) * 2005-03-28 2006-12-08 주식회사 코오롱 아크릴 공중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광확산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7491B2 (ja) * 2005-03-08 2010-04-07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鏡胴、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および携帯型情報端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749B1 (ko) * 2005-03-28 2006-12-08 주식회사 코오롱 아크릴 공중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광확산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664A (ko) 199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10781B1 (en) Improved element as a receptor for nonimpact printing
EP0332183B1 (en) Electrostatic transparencies containing a polyester support
EP0474278B1 (en) Dry toner imaging films possessing an anti-static matrix layer
JPS5942864B2 (ja) 投影用原稿の作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静電写真用転写フイルム
EP0588723B1 (en) Water-based transparent image recording sheet for plain paper copiers
CA1107158A (en) Transfer sheet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H0481186B2 (ko)
CA2130036A1 (en) Water based transparent image recording sheet
JPH04218537A (ja) 帯電防止特性を有するシートまたはウエブ材料
US4415626A (en) Antistatic composition and elements and processes utilizing same
US5709926A (en) Reclaimable transparencies for plain paper copiers
EP0514977B1 (en) Antistatic drafting films
KR950007644B1 (ko) 전자사진용 필름의 제조방법
EP1504309B1 (en) Resistivity-controlled image recording sheet
EP0748858A1 (en) Composition for an antistatic layer and a film comprising this layer
US5418042A (en) Electrostatic printing element
KR950001532B1 (ko) 전자사진용 필름의 제조방법
US4517271A (en) Electrophotographic CdS photosensitive member with acrylic resin binder
WO1995029058A1 (en) Record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e
KR950000745B1 (ko) 건식복사용 코팅조성물
KR100425411B1 (ko) 전자 복사용 매트 필름
KR940005161B1 (ko) 전자복사용 투명필름
JPH087451B2 (ja) 電子写真複写用に好適なフィルム
KR930005331B1 (ko) 정전복사용 매트 필름
JP2649612B2 (ja) 圧力定着型画像形成用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