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161B1 - 전자복사용 투명필름 - Google Patents

전자복사용 투명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161B1
KR940005161B1 KR1019910020290A KR910020290A KR940005161B1 KR 940005161 B1 KR940005161 B1 KR 940005161B1 KR 1019910020290 A KR1019910020290 A KR 1019910020290A KR 910020290 A KR910020290 A KR 910020290A KR 940005161 B1 KR940005161 B1 KR 940005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transparent film
film
powder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624A (ko
Inventor
유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하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하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1002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161B1/ko
Publication of KR93001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1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8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 G03G15/6591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recording material, e.g. plastic material, OHP, ceramics, tiles, text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2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3/28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J23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J23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443Copy medium
    • G03G2215/00493Plastic
    • G03G2215/00502Transparent film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복사용 투명필름
본 발명은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성 및 중송도(重送度)가 개선된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은 플라스틱 필름을 기재층으로 하고 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토우너(toner) 수령층으로서 매트(mat) 제분말입자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층을 도포하여 제조된다.
종래에는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이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소 51-34734호, 일본국 특개소 57-42050호, 57-190955호 및 58-9574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공소 51-34734호에는 내열온도 100℃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의 한 표면 또는 양표면 상에 매트제를 함유하고 유기용매에 가용성인 수지층을 도포하여 이루어진 전자복사용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소 57-42050호에는 기재의 한 면에, 푸마르산 존재하의 공중합 반에 의해 제조한 분자량이 18,000<MW≤100,000이고 또 2차 전이점이 10 내지 80℃범위 내인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를 도포하여 제조된 전자복사용 전자시이트가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국 특개소 57-190955호에는 필름 시이트의 한면 또는 양면에, 평균 입경 40μm 이하의 결정 셀룰로오스 미분말을 플라스틱 재료에 배합하여된 플라스틱 코팅 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복사기용 필름 시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소 58-95747호에는 중합체 필름 기재층의 한 표면 또는 양표면에 매트제 입자를 함유하는 결합제 수지를 도포한 토우너 수령층으로 이루어진 전자복사용 필름에 있어서, 결합제 수지는 유기용매에 불용성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또는) 아크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매트제 입자가 입경 0.01μm 내지 10μm이고 결합제 수지에 대해 0.05%중량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용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은 투명도와 중송도의 면에서 완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여리에서 중송도란 전자복사기를 사용하여 투명필름을 복사할 때 동시에 2장 이상이 맞물려 들어가는 현상을 말한다.
본 발명자는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이 갖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매트제로서 사용되는 분말입자를 종래에는 한 종류만을 사용했던 것을 서로 다른 크기의 두 종류의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투명도와 중송현상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을 기초로 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도가 높고 중송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유기용매, 고분자 수지, 제전제, 매트제 분말입자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된 전자복사용 푸명필름에 있어서,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자크기 x, y를 갖는 두 종류의 매트제 분말입자 X, Y를 각각 0.001 내지 0.2중량부와 0.001 내지 4.0중량부로 사용하고 입자크기 x, y는 하기식 (I), (II), 및 (III)를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을 제공한다.
0.5μm x+y 10μm ………………………… (I)
0.01μm x 3.0μm ………………………… (II)
0.5μm y 10.0μm ………………………… (III)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매트제 분말입자로서는 탄산칼슘, 멜라민 수지, 이산화규소,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입자 X의 사용량이 0.0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중송현상의 개선효과가 발휘되지 않으며, 2.0중량부를 초과하는 때에는 투명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분말입자 Y의 사용량이 0.0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도 역시 중송현상의 개선효과가 발휘되지 않고, 4.0중량부 초과에서는 투명도가 저하된다.
분말입자 X의 입자크가 x가 0.01μm 미만인 경우에는 중송현상의 개선효과가 저하되며, 3.0μm 초과에서는 투명도가 저하된다. 또한, 분말입자 Y의 입자크기 y가 0.5μm 미만인 경우에 역시 중송현상의 개선효과가 저하되고 10.0μm 초과시에는 투명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범위내의 입자 크기와 사용량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가 없다.
본 발명에 유기용매로는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에틸아세테이트, 테트라클로로에탄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고분자 수지로서는 예컨대 염소화 폴리프로필렌과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제전제로는 도데실인산나트륨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두 종류의 분말입자를 일정비율로 혼합 사용함으로써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의 투명도와 중송현상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비교예를 기재한다.
[실시예 1]
하기 물질들을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을 100μm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양면에 건조 후 두께가 1μm가 되도록 도포하여,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을 제조하였다.
메틸에틸케톤 50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500중량부
염소화폴리프로필렌 30중량부
스티렌 아크릴 공중합체 70중량부
도데실인산나트륨 1중량부
멜라민 수지(평균입경 0.1μm) 0.2중량부
멜라민 수지(평균입경 0.6μm) 0.1중량부
[실시예 2]
하기 물질들은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을 100μm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양면에 건조 후 두께가 1μm가 되도록 도포하여,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을 제조하였다.
메틸에틸케톤 50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500중량부
염소화폴리프로필렌 30중량부
스티렌 아크릴 공중합체 70중량부
도데실인산나트륨 1중량부
멜라민 수지(평균입경 0.1μm) 0.2중량부
멜라민 수지(평균입경 6.0μm) 0.4중량부
[실시예 3]
하기 물질들은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을 100μm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양면에 건조 후 두께가 1μm가 되도록 도포하여,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을 제조하였다.
메틸에틸케톤 50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500중량부
염소화폴리프로필렌 30중량부
스티렌 아크릴 공중합체 70중량부
도데실인산나트륨 1중량부
이산화 규소(평균입경 0.1μm) 0.2중량부
이산화 규소(평균입경 6.0μm) 0.7중량부
[비교예 1]
하기 물질들은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을 100μm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양면에 건조 후 두께가 1μm가 되도록 도포하여,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을 제조하였다.
메틸에틸케톤 50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500중량부
염소화폴리프로필렌 30중량부
스티렌 아크릴 공중합체 70중량부
도데실인산나트륨 1중량부
멜라민 수지(평균입경 0.6μm) 0.3중량부
[비교예 2]
하기 물질들은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을 100μm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양면에 건조 후 두께가 1μm가 되도록 도포하여,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을 제조하였다.
메틸에틸케톤 50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500중량부
염소화폴리프로필렌 30중량부
스티렌 아크릴 공중합체 70중량부
도데실인산나트륨 1중량부
탄산 칼슘(평균입경 6.0μm) 0.6중량부
[비교예 3]
하기 물질들을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을 100μm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양면에 건조 후 두께가 1μm가 되도록 도포하여,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을 제조하였다.
메틸에틸케톤 50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500중량부
염소화폴리프로필렌 30중량부
스티렌 아크릴 공중합체 70중량부
도데실인산나트륨 1중량부
이산화규소(평균입경 1.5μm) 0.9중량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투명도 및 중송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투명도]
일본전색공업(주)사의 헤이즈 측정장치(Haze Meter) MDH-1001 DP를 사용하여 전광선 투과도(%)와 헤이즈(%)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투명도를 평가하였다.
[중송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을 신도리코(주)사 FT5830 복사기를 이용하여 각 필름 25장을 쌓아 놓고 연속 복사하는 동안에 동시에 2장 이상이 맞물려 들어간 장수를 헤아려 중송도를 나타내었다.
[표 1]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은 서로 다른 크기 및 비율의 두 종류의 분말입자를 사용함에 의해, 한 종류의 분말입자만을 사용하는 종래의 전자복사용 투명필름보다 투명도가 우수하고 중송현상이 월등히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유기용매, 고분자 수지, 제전제, 매트제 분말입자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되는 전자복사용 투명필름에 있어서,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자크기 x, y를 갖는 두 종류의 매트제 분말입자 X, Y를 각각 0.001 내지 2.0중량부와 0.001 내지 4.0중량부로 사용하고 입자크기 x, y는 하기식 (I), (II) 및 (III)을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복사용 투명필름.
    0.5μm ≤ x+y ≤ 10μm ……………………… (I)
    0.01μm ≤ x ≤ 3.0μm ……………………… (II)
    0.5μm ≤ y ≤ 10.0μm ……………………… (III)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매트제 분말입자는 탄산칼슘, 멜라민 수지, 이산화규소,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크릴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복사용 투명필름.
KR1019910020290A 1991-11-14 1991-11-14 전자복사용 투명필름 KR940005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290A KR940005161B1 (ko) 1991-11-14 1991-11-14 전자복사용 투명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290A KR940005161B1 (ko) 1991-11-14 1991-11-14 전자복사용 투명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624A KR930010624A (ko) 1993-06-22
KR940005161B1 true KR940005161B1 (ko) 1994-06-11

Family

ID=1932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0290A KR940005161B1 (ko) 1991-11-14 1991-11-14 전자복사용 투명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1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624A (ko) 199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32183B1 (en) Electrostatic transparencies containing a polyester support
US4480003A (en) Construction for transparency film for plain paper copiers
US4439479A (en) Slippery 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films
JPS61144342A (ja) 抗静電性塗膜をもつフイルム
EP0408197A2 (en) Electrostatic image receiving copy film
GB2177049A (en) Synthetic paper with thermoplastic polymer coatings
TW400360B (en) Polymeric film
US4621009A (en) Tear resistant plastic sheet for use in xerographic copiers
GB2110116A (en) Photographic support
KR20040034416A (ko) 다층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용도
US5709926A (en) Reclaimable transparencies for plain paper copiers
KR940005161B1 (ko) 전자복사용 투명필름
KR100499958B1 (ko) 이미지 수용층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이미지수용층을 구비한 고분자 필름
EP1881048A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thermal transfer sheet
KR950007644B1 (ko) 전자사진용 필름의 제조방법
EP0184028B1 (en) Mat film from a mixture of a polyarylate, a polyester and a styrene resin or an acrylic resin
JPH09324133A (ja) グラフト化カーボンブラック、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半導電性樹脂組成物
WO1995029058A1 (en) Record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e
JPS5895747A (ja) 電子写真用フイルム
KR100252025B1 (ko)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투명 필름
JPH061968A (ja) 熱転写用記録シート
JPH10217379A (ja) 導電性積層フィルム
KR100491245B1 (ko) 토너 부착층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 토너 부착층을 구비한 복사용 고분자필름
KR0148771B1 (ko) 전자사진식 복사기용 ohp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NL1007190C2 (nl)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fotografische film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fotografische film met uitstekend antistatisch vermo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