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597B1 - 차량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597B1
KR100423597B1 KR10-2001-0004202A KR20010004202A KR100423597B1 KR 100423597 B1 KR100423597 B1 KR 100423597B1 KR 20010004202 A KR20010004202 A KR 20010004202A KR 100423597 B1 KR100423597 B1 KR 100423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e
movable
fixed
reflector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8147A (ko
Inventor
오시오히로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1007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92Shields, i.e. screens not creating an image meant to be projec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Discharge light sources
    • F21S41/172High-intensity discharg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21S41/435Hoods or cap-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은, 쉐이드 구동 유닛이 방전 벌브 아래쪽에 설치되고, 가동 쉐이드를 덮는 고정 쉐이드는 가동 쉐이드의 전방 측면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쉐이드 구동 유닛의 쉐이드 이동 기구를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게 한다. 또한, 고정 쉐이드의 쉐이드 레그부는 리플렉터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 쉐이드 레그부 부착용 돌기부에 그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되어 그 설치 구조물이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 쉐이드 레그부 부착용 돌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직벽이 리플렉터 아래쪽에 형성된다. 따라서, 쉐이드 이동 기구는, 시점을 램프 정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옮긴 경우에도, 고정 쉐이드의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VEHICULAR HEADLAMP}
본 발명은 등기구의 배광(配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전조등은,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켜 로우빔(low beam) 또는 하이빔(high beam)을 조사한다. 일반적으로, 로우빔 및 하이빔 사이에서 빔을 전환하기 위하여 2개의 광원 또는 2개의 광원 벌브가 사용된다.
그러나, 빔을 전환하는데 단일 광원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특히 이는 단일 방전 벌브를 사용한 2등식 전조등에서 그러하다.
단일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차단하는 가동 쉐이드가 로우빔 및 하이빔 사이에서 빔을 전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쉐이드는 쉐이드 구동 유닛에 의해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어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상이한 각도로 차단한다.
상기 쉐이드 구동 유닛으로 이루어진 쉐이드 이동 기구는, 쉐이드 구동 유닛을 광원의 아래쪽에 설치하고, 가동 쉐이드의 전방 영역에 인접하게 고정 쉐이드를 설치함으로써 다소 그 모습이 감추어진다. 이 쉐이드 이동 기구는 전조등 리플렉터의 하부에 쉐이드 장착 레그를 고정시킴으로써 더 그 모습이 감추어진다.
그러나, 쉐이드 이동 기구의 상당 부분은, 시점을 램프의 정면에서 측방으로 옮긴 경우에 고정 쉐이드의 양 측면으로부터 보여질 수도 있다.
또한, 리플렉터에 전방으로부터 나사 체결된 상기 쉐이드 장착 레그 구조도 램프 외부에서 보여질 수 있다. 또한, 고정 쉐이드는 램프의 외관을 떨어뜨린다.
전술한 문제들은 광원으로부터 빛을 차단하는데 가동 쉐이드가 사용되는 모든 경우에서 일반적으로 실제 발생하는 문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쉐이드를 이동시켜 전조등의 배광을 변화시키는 동시에 램프의 외관을 개선시키도록 설계된 차량용 전조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신규한 리플렉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은 광원과, 이 광원으로부터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으로부터 리플렉터에 입사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기 위해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는 가동 쉐이드와, 차폐 정도가 상이한 2개 이상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가동 쉐이드를 이동시키는 쉐이드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쉐이드 구동 유닛은 광원의 아래쪽에 설치된다. 가동 쉐이드를 덮는 고정 쉐이드는 가동 쉐이드 전방 부근에 설치된다.
고정 쉐이드 레그부 부착용 돌기부 및 이 돌기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직벽이 리플렉터 및 광원 아래쪽에 형성된다.
상기 광원은 임의의 특정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원은 방전 벌브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할로겐 벌브 등과 같은 백열 벌브일 수 있다.
상기 가동 쉐이드는 광원 벌브로부터 리플렉터에 입사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것일 수 있다. 그 구체적 구성은 제한되지 않는다.
가동 쉐이드는 로우빔 또는 하이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위치 외의 다른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쉐이드 이동 유닛은 2개 이상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쉐이드 이동 유닛은 솔레노이드(solenoid) 또는 펄스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쉐이드 이동 유닛은 쉐이드를 선회 또는 직선 이동시킨다. 그 외의 동작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돌기부는 상기 고정 쉐이드의 장착 레그를 장착 가능한 것이면, 특정 크기 또는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수직벽도 상기 돌기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이면, 특정 크기 또는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한 차량용 전조등의 측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 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III 방향에서 본 상세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II 부분의 상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II 부분의 경사 사시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용 전조등
16 : 리플렉터 유닛
18 : 방전 벌브
18a : 방전광 발광부
20 : 리플렉터
20a : 반사면
20b : 후방 상단 개구부
20c : 보스
20d : 직사각형 개구부
20e : 저면벽
20f : 고정 쉐이드 레그부 장착용 돌기부
20g : 수직벽
22 : 가동 쉐이드
22A : 쉐이드 본체
22B : 쉐이드 레그부
22Ba : 슬릿
22Bb : 제1 돌기부
22Bc : 제2 돌기부
24 : 쉐이드 구동 유닛
26 : 벌브 지지 베이스
26b : 역 U자형 홈
26c : 지지 브래킷부
26d : 보스
26e : 스토퍼 핀
28 : 고정 쉐이드
28A : 쉐이드 본체
28B : 쉐이드 레그부
30 : 선형 스프링
32 : 변위 규제 부재
32A : 나사 체결 안착부
32B : 위치 결정 안착부
32C, 32D : 탄성편
34 : 솔레노이드
36 : 가동 철심
38 : 리턴 스프링
40 : E-링
42 : 샤프트 부재
44 : 핀
46 : 나사
48 : 환형 스페이서
A : 선회 축선
Ax : 광축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전조등(10)은 투명 커버(12) 및 램브 본체(14)로 형성되는 등실 내에서 조준 기구(도시 생략)를 통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틸팅(tilting) 가능한 리플렉터 유닛(16)을 포함한다.
상기 리플렉터 유닛(16)은 방전 벌브[메탈 할라이드(metal halide) 벌브 : 18], 리플렉터(20), 가동 쉐이드(22), 쉐이드 구동 유닛(24), 벌브 지지 베이스(26) 및 고정 쉐이드(28)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 커버(12)는 유리로 제조된다. 리플렉터 유닛(16)은 배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리플렉터(20)는 방전 벌브(18)의 방전광 발광부(18a)(광원)로부터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20a)을 구비한다. 상기 리플렉터 반사면(20a)은 빛을 확산 또는 편향시켜 예정된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방전 벌브(18)는 벌브 지지 베이스(26)를 통해 리플렉터(20)에 고정 지지된다. 상기 벌브 지지 베이스(26)는 다이 캐스팅으로 형성되고, 리플렉터의 후방에서 리플렉터(20)의 후방 상단 개구부(20b)에 삽입된다. 상기 베이스(26)를 리플렉터(20)의 배면에 고정시키는데, 나사를 구비한 복수 개의 보스(20c : boss)가 사용된다. 방전 벌브(18)는 와이어 스프링(30)에 의해 벌브 지지 베이스(26)에 고정 지지된다. 방전 벌브(18)의 방전광 발광부(18a)는 리플렉터(20)의 광축(Ax) 상에 배치된다.
상기 후방 상단 개구부(20b)와 연통되어 있는 직사각형 개구부(20d)는 반사면(20a)의 후방 상단 개구부(20b) 아래에 형성된다. 쉐이드 구동 유닛(24)의 쉐이드 이동 기구는 상기 직사각형 개구부(20d)에 수용된다. 또한, 반사면(20a)의 하단부에 저면벽(20e)이 형성되며, 이 저면벽(20e)에 연관된 직사각형 개구부(20d)의 전방 단부에는 고정 쉐이드 레그부 장착용 돌기부(20f)가 상향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면(20a)에 연관된 직사각형 개구부(20d)의 양 측면 각각에 한 쌍의 수직벽(20g)이 형성된다. 각 수직벽(20g)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는 고정 쉐이드 레그부 장착용 돌기부(20f)와 그 높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각 수직벽(20g)의 후방 단부는 상기 후방 상단 개구부(20b)의 하단부와 그 높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수직벽(20g)의 중간 부분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증적으로 증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가동 쉐이드(22)는 그 후단 가장자리가 복잡한 요철 형상인 원통형 쉐이드 본체(22A)와, 이 쉐이드 본체(22A)의 하단부에서 약간 뒤쪽으로 연장되는 판형 가동 쉐이드 레그부(22B)를 포함한다. 상기 쉐이드 본체(22A)와 쉐이드 레그부(22B)는 리벳으로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쉐이드 구동 유닛(24)은 가동 쉐이드(22)를 이동시켜 로우빔 위치와(실선으로 도시) 하이빔 위치(2점 쇄선으로 도시)를 취하게 한다. 가동 쉐이드(22)가 로우빔 위치에 있는 경우, 방전광 발광부(18a)로부터 리플렉터(20)의 반사면(20a)에 입사하는 빛의 일부가 차단된다. 가동 쉐이드(22)가 하이빔 위치에 있는 경우, 쉐이드 본체(22A)의 위치로 인하여 반사면(20a)에 입사하는 빛의 차단이 감소된다.
상기 쉐이드 구동 장치(24)는 리플렉터(20)의 광축(Ax) 아래쪽에 있는 벌브 지지 베이스(26)에 고정적으로 나사 체결된 솔레노이드(34)와, 이 솔레노이드(34)의 가동 철심(36)에 장착된 리턴 스프링(38)를 포함한다. 이 스프링(38)은 가동 철심(36)을 비여자(non-excited)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힘을 가한다.
가동 철심(36)은 벌브 지지 베이스(26)의 하단부에 형성된 역 U자형 홈(26b)을 통해 삽입되어 전방으로 연장된다. 철심(36)의 중간부에 있는 E-링(40)은 측방향으로 분지된 리턴 스프링의 전방 단부에 접하여 리턴 스프링(38)을 정지시킨다.
가동 쉐이드(22)는 샤프트 부재(42)를 통해 측방으로 연장되는 선회 축선(A)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 브래킷부(26c)는 쉐이드 레그부(22B)의 중간부에 있어서 상기 벌브 지지 베이스(2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쉐이드 레그부(22B)와 지지 브래킷부(26c) 사이에는 환형 스페이서(spacer)(48)가 설치되어 쉐이드 레그부(22B)와 샤프트 부재(42)의 체결을 강화한다.
가동 쉐이드(22)는 쉐이드 레그부(22B)의 하단부에서 핀(44)에 의해 가동 철심(36)의 전방 단부에 체결된다. 쉐이드 레그부(22B)의 전방 단부는 가동 철심(36)의 분지된 전방 단부를 통해 측방으로 클램핑된다. 상기 핀(44)을 측방으로 관통함으로써 가동 쉐이드(22)가 가동 철심의 전방 단부에 고정된다. 쉐이드(22B)의 하단부에는 핀(44) 수납용 슬릿(22Ba)이 형성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동 쉐이드(22)가 선회할 때 핀(44)이 슬릿(22Ba) 내에서 이동하게 함으로써, 샤프트 부재(42)와 핀(44) 사이의 거리의 변화가 흡수된다.
변위 규제 부재(32)는 벌브 지지 베이스(26)의 지지 브래킷부(26c)의 기단부 부근에 장착된다.
이 변위 규제 부재(32)는 금속판의 굽힘 가공품으로서, 각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 체결 안착부(32A)와, 위치 결정 구멍이 형성된 위치 결정 안착부(32B), 그리고 이 위치 결정 안착부(32B)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는 상하 한 쌍의 탄성편(32C, 32D)을 포함한다. 하부 탄성편(32D)은 평판 형태로 전방을 향해 연장된다. 평판형 상부 탄성편(32C)은 전방과 약간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전방 단부는 실질적으로 하향의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으로 돌출한 각 보스(26d)는 벌브 지지 베이스(26)의 정면 상에 있는 지지 브래킷부(26c)의 기단부 부근에 형성된다. 각 보스(26d)를 상기 위치 결정 구멍에 삽입하면, 위치 결정 안착부(32B)는 벌브 지지 베이스(26)에 접하게 된다. 상기 위치 결정 안착부(32B)가 지지 브래킷부(26c)의 측면에 접촉해 있는 상태에서, 각 나사(46)를 지지 브래킷부의 측면에 체결한다.
제1 돌기부(22Bb)는 상기 탄성편(32C, 32D) 사이에 위치하도록, 쉐이드 레그부(22B)의 후방 하부 모서리면에서 뒤쪽을 향하게 형성된다. 제1 돌기부(22Bb)의 상부 모서리면은 하향 연장된다. 쐐기 형태인 그 하부 모서리면은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탄성편(32D)은 로우빔 위치에 있을 때 제1 돌기부(22Bb)의 하부 모서리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반면에, 탄성편(32C)은 하이빔 위치에 있을 때 제1 돌기부(22Bb)의 상부 모서리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러한 식으로, 쉐이드 구동 유닛(24)의 쉐이드 이동 기구에 있어서의 백래시(backlash), 즉 쉐이드 레그부(22B)와 샤프트 부재(42) 간의 연결부에서의 백래시, 쉐이드 레그부(22B)와 솔레노이드(34)의 가동 철심(36) 간의 연결부에서의 백래시, 또는 가동 철심(36) 자체에서의 백래시가 감소된다. 또한, 구성 부재에 있어서 치수의 변동도 조정된다. 따라서, 가동 쉐이드(22)가 로우빔 위치 또는 하이빔 위치로부터 그 선회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될 수 있다. 또한, 탄성편이 접촉될 때 발생되는 소리도 최소화된다.
제2 돌기부(22Bc)는 쉐이드 레그부(22B)의 후방 상부 모서리면에서 뒤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벌브 지지 베이스(26)의 전방에 있는 환형 지지부(26a)의 하단부에는 스토퍼 핀(26e : stopper pin)이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가동 쉐이드(22)가 로우빔 위치에 있는 동안에는, 스토퍼 핀(26e)의 전방 모서리면이 제2 돌기부(22Bc)의 후방 모서리면과 약간의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예를 들어, 쉐이드 구동 유닛(24)의 고장 등으로 인해, 가동 쉐이드(22)가 로우빔 위치를 지나쳐 과잉 선회한다고 가정해보자. 이러한 선회 동작은 제2 돌기부(22Bc)가 스토퍼 핀(26e)에 접함으로써 저지된다.
가동 쉐이드(22)를 덮는 고정 쉐이드(28)는 가동 쉐이드(22)의 전방에 설치된다. 이 고정 쉐이드(28)는 캡(cap)형 쉐이드 본체(28A)와 일체로 형성된다. U형 단면을 갖는 쉐이드 레그부(28B)는 쉐이드 본체(28A)의 하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며, 후방을 향해 오프셋 되어 있는 중간부를 구비한다. 또한, 고정 쉐이드(28)는 상기 쉐이드 레그부(28B)의 하단부에서 리플렉터(20)의 고정 쉐이드 레그부 장착용 돌기부(20f)의 뒷면에 나사로 단단히 고정된다. 쉐이드 레그부(28B)는 리플렉터(20)의 직사각형 개구부(20d)와 그 폭이 거의 유사하다. 쉐이드 레그부(28B)는 직사각형 개구부에 삽입되며 양 수직벽(20g) 사이에서 클램핑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10)은 2가지 위치 사이에서 가동 쉐이드(22)를 선회시키는 쉐이드 구동 유닛(24)을 갖추고 있다. 가동 쉐이드(22)는 방전 벌브(18)의 방전광 발광부(18a)로부터 리플렉터(20)의 반사면(20a)에 입사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쉐이드 구동 유닛(24)은 방전 벌브(18)의 아래쪽에 설치되며 가동 쉐이드(22)의 전방 측면 부근에는 가동 쉐이드(22)를 덮는 고정 쉐이드(28)가 설치된다. 따라서, 쉐이드 구동 유닛(24)의 쉐이드 이동 기구[예를 들어, 솔레노이드(34)의 가동 철심(36), 리턴 스프링(38), 샤프트 부재(42), 핀(44), 변위 규제 부재(32) 등]는 램프의 외부에서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고정 쉐이드(28)의 쉐이드 레그부(28B)는 리플렉터(20)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 쉐이드 레그부 장착용 돌기부(20f)의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된다. 따라서, 장착 구조를 형성하는 나사 등이 램프의 외부에서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램프의 외관이 개선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수직벽(20g)은 고정 쉐이드 레그부 장착용 돌기부(20f)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리플렉터(20) 아래쪽에 형성된다. 또한, 쉐이드 이동 기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을 측방으로 옮긴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 수직벽(20g)은 고정 쉐이드 레그부 장착용 돌기부(20f)와 일체로 형성된다. 쉐이드 이동 기구를 수용하는 직사각형 개구부(20d)가 리플렉터(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정 쉐이드(28) 및 리플렉터(20) 자체가 충분히 지지될 수 있다.
각 수직벽의 상단 모서리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점증적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고정 쉐이드(28)의 지지 강성 및 리플렉터(20) 자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20)를 용이하게 성형하기 위한 금형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가동 쉐이드(22)가 쉐이드 구동 유닛(24)에 의해 선회 이동될 때에도, 가동 쉐이드와의 간섭이 회피된다. 따라서, 쉐이드 이동 기구는 고정 쉐이드(28)의 양 측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고정 쉐이드 레그부 장착용 돌기부(20f)의 후방측으로부터 쉐이드 레그부(28B)를 장착하는 대신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쉐이드 레그부 장착용 돌기부(20f)의 전방측으로부터 쉐이드 레그부(28B)를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도 좌우 한 쌍의 수직벽(20g)은 고정 쉐이드 레그부 장착용 돌기부(20f)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리플렉터(20)의 아래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시점을 램프의 정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옮긴 경우에도 쉐이드 이동 기구는 고정 쉐이드(28)의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도 후술하는 청구항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은 로우빔 위치와 하이빔 위치 사이에서 가동 쉐이드를 선회시키는 쉐이드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가동 쉐이드는 광원의 전방에 형성되며, 방전 벌브의 방전광 발광부로부터 리플렉터의 반사면에 입사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쉐이드 구동 유닛은 가동 쉐이드를 덮는 고정 쉐이드와 함께 방전 벌브 아래쪽에 설치된다. 쉐이드 구동 유닛의 쉐이드 이동 기구는 실질적으로 전조등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고정 쉐이드의 레그부 장착용 돌기부는 리플렉터와 광원 아래에 형성되며, 이 돌기부의 후방으로 한 쌍의 수직벽이 연장된다. 쉐이드 구동 유닛은 상기 수직벽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쉐이드 구동 유닛에 있어서 쉐이드 이동 기구의 상당 부분은, 시점을 램프의 정면에서 측방으로 옮긴 경우에도 고정 쉐이드의 양 측면으로부터 보이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가동 쉐이드를 이동시켜 배광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차량용 전조등은 램프의 외관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 수직벽은 쉐이드 레그부 장착용 돌기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플렉터 하부에 쉐이드 이동 기구를 수용하기 위한 직사각형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고정 쉐이드의 지지 강성 및 리플렉터 자체의 강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고정 쉐이드의 레그부는 리플렉터 아래에 형성된 고정 쉐이드 레그부 장착용 돌기부의 후방측으로부터 장착되기 때문에, 장착 구조물에 사용되는 나사 또는 그와 동등한 것 등이 실질적으로 램프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램프의 외관이 개선된다.
수직벽의 상부 모서리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그 높이가 점증적으로 높아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 쉐이드의 지지 강성 및 리플렉터 자체의 강성이 더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를 용이하게 성형하기 위한 금형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가동 쉐이드의 종방향 선회 동작시에 상기 가동 쉐이드에 의한 어떤 간섭도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쉐이드 이동 기구는 고정 쉐이드의 양 측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Claims (9)

  1. 광원과,
    이 광원의 후방에 배치되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며, 광원으로부터 리플렉터에 입사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가동 쉐이드와,
    상기 광원 아래쪽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 쉐이드를 2개 이상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쉐이드 구동 유닛과,
    상기 가동 쉐이드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가동 쉐이드를 덮는 고정 쉐이드와,
    상기 쉐이드 구동 유닛의 측면에 형성되며, 쉐이드 가동 유닛을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게 하는 좌우 한 쌍의 수직벽과,
    이 수직벽에 연결되며, 광원 아래에서 고정 쉐이드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쉐이드는, 쉐이드 구동 유닛 방향으로 향해있는 돌기부의 후방측으로부터 돌기부에 대해 장착되며, 이 돌기부는 쉐이드 구동 유닛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쉐이드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 쉐이드 레그부를 더 포함하고, 이 고정 쉐이드 레그부는, 쉐이드 구동 유닛 방향으로 향해있는 돌기부의 후방측으로부터 돌기부에 대해 장착되며, 이 돌기부는 쉐이드 구동 유닛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벽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리플렉터틀 향하여 그 높이가 점증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위치 중 하나의 위치는 하이빔 위치이며, 다른 하나의 위치는 로우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쉐이드는 쉐이드 구동 유닛에 선회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쉐이드에 부착되는 가동 쉐이드 레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쉐이드 레그부는 쉐이드 구동 유닛에 선회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쉐이드 레그부에는 슬릿이 마련되어 있으며, 쉐이드 구동 유닛이 선형 이동할 때, 가동 쉐이드가 선회하도록 쉐이드 구동 유닛이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및 좌우 한 쌍의 수직벽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KR10-2001-0004202A 2000-01-31 2001-01-30 차량용 전조등 KR100423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3051 2000-01-31
JP2000023051A JP3638846B2 (ja) 2000-01-31 2000-01-31 車両用前照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147A KR20010078147A (ko) 2001-08-20
KR100423597B1 true KR100423597B1 (ko) 2004-03-24

Family

ID=1854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202A KR100423597B1 (ko) 2000-01-31 2001-01-30 차량용 전조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74854B2 (ko)
JP (1) JP3638846B2 (ko)
KR (1) KR100423597B1 (ko)
CN (1) CN1128306C (ko)
DE (1) DE1010398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8098B2 (en) * 2001-05-14 2006-03-07 Denso Corporation Vehicle headlamp assembly with lampshade and lighting circuit separately mounted to reflector
JP4008261B2 (ja) * 2001-06-15 2007-11-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3923767B2 (ja) * 2001-09-19 2007-06-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FR2831497B1 (fr) * 2001-10-30 2004-07-09 Valeo Vision Dispositif d'eclairage de type ellipt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JP3967153B2 (ja) * 2002-03-04 2007-08-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US20040219342A1 (en) * 2003-01-07 2004-11-04 Boggs David W. Electronic substrate with direct inner layer component interconnection
US20040213010A1 (en) * 2003-04-22 2004-10-28 Guide Corporation Bi-functional headlamp having a linear shifting sleeve with integral actuator
KR100559381B1 (ko) * 2003-05-29 2006-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하이빔/적외선 일체형 램프
US7290907B2 (en) * 2006-02-24 2007-11-06 Honda Motor Co., Ltd Vehicle headlamp with daytime running light
KR20070094331A (ko) * 2006-03-17 2007-09-20 에스엘 주식회사 복수의 실드 패턴을 제공하는 회전형 램프 실드 구동 장치및 이를 이용한 램프 어셈블리
DE102009041189A1 (de) * 2009-09-14 2011-03-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scheinwerfer
JP5894474B2 (ja) * 2012-03-14 2016-03-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光学ユニット
AT513206B1 (de) * 2012-07-18 2015-04-15 Zizala Lichtsysteme Gmbh Leuchteinheit für einen Scheinwerfer
JP6011915B2 (ja) * 2012-07-18 2016-10-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CN102927512B (zh) * 2012-10-31 2016-01-06 常州市五一灯具有限公司 汽车前照灯
DE102012022281A1 (de) * 2012-11-14 2014-05-15 Volkswagen Ag Leuchteinheit für Fahrzeuge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lichtdurchlässigen Abdeckscheibe an einem Leuchtengehäuse einer Leuchteinheit eines Fahrzeugs
JP6132684B2 (ja) * 2013-07-10 2017-05-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CN104865187A (zh) * 2015-04-24 2015-08-26 上海伯顿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线光谱光路的光门开关装置
TWI651489B (zh) * 2018-01-29 2019-02-21 誠益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智慧頭燈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3406A (en) * 1990-01-30 1993-05-25 Robert Bosch Gmbh Headlamp for power vehicles
JPH10261303A (ja) * 1997-03-19 1998-09-29 Toyota Motor Corp クリアランスランプ一体型ヘッドランプ
US5911502A (en) * 1997-03-14 1999-06-15 Robert Bosch Gmbh Vehicle headlight having low and high beams
JPH11240379A (ja) * 1997-12-24 1999-09-07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00057811A (ja) * 1998-08-03 2000-02-25 Stanley Electric Co Ltd 二輪自動車用前照灯
JP2000149638A (ja) * 1998-11-16 2000-05-30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00200509A (ja) * 1998-10-27 2000-07-18 Ichikoh Ind Ltd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2000207918A (ja) * 1999-01-13 2000-07-28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KR20010040116A (ko) * 1999-10-19 2001-05-15 고지마 류조 차량용 전조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1178A (en) * 1988-10-05 1990-08-21 Koito Manfacturing Co., Ltd. Headlight for motor vehicle
JP3363076B2 (ja) * 1997-09-19 2003-01-0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EP0989357B1 (en) * 1998-09-25 2003-04-02 Stanley Electric Co., Ltd. Headlamp with beam distribution switch mechanism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3406A (en) * 1990-01-30 1993-05-25 Robert Bosch Gmbh Headlamp for power vehicles
US5911502A (en) * 1997-03-14 1999-06-15 Robert Bosch Gmbh Vehicle headlight having low and high beams
JPH10261303A (ja) * 1997-03-19 1998-09-29 Toyota Motor Corp クリアランスランプ一体型ヘッドランプ
JPH11240379A (ja) * 1997-12-24 1999-09-07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00057811A (ja) * 1998-08-03 2000-02-25 Stanley Electric Co Ltd 二輪自動車用前照灯
JP2000200509A (ja) * 1998-10-27 2000-07-18 Ichikoh Ind Ltd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2000149638A (ja) * 1998-11-16 2000-05-30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00207918A (ja) * 1999-01-13 2000-07-28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KR20010040116A (ko) * 1999-10-19 2001-05-15 고지마 류조 차량용 전조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03988B4 (de) 2007-04-19
CN1128306C (zh) 2003-11-19
JP3638846B2 (ja) 2005-04-13
JP2001216812A (ja) 2001-08-10
DE10103988A1 (de) 2001-08-09
US6474854B2 (en) 2002-11-05
US20010028566A1 (en) 2001-10-11
KR20010078147A (ko) 2001-08-20
CN1307204A (zh) 200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597B1 (ko) 차량용 전조등
KR100330940B1 (ko) 자동차용 전조등
KR100445579B1 (ko) 차량용 전조등
JP3638835B2 (ja) 車両用前照灯
US6857768B2 (en) Vehicle headlamp
JP2001118407A5 (ko)
KR20080043232A (ko) 차량용 등기구
JP2001291411A5 (ko)
JP2014007048A (ja) 車輌用前照灯
CN109690177B (zh) 车辆用前照灯
US6981790B2 (en) Two-light headlamp
JP4008261B2 (ja) 車両用前照灯
US6488396B1 (en) Vehicle headlamp
US6641291B2 (en) Vehicle headlamp
US11852314B1 (en) Vehicle lamp having dipped and main beam headlight switching structure
JPS5832164Y2 (ja) 前照灯取付装置
EP0897828B1 (en) Integrated optical assembly comprising a lighting headlight and a direction indicator light for a vehicle
KR100212035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에이밍장치
JP3919416B2 (ja) 車輌用前照灯及び車輌用前照灯の組立方法
JP2544592Y2 (ja) 車幅灯内蔵前照灯
GB2334086A (en) Lamp shade support for vehicle light
JPH0741633Y2 (ja) 車両用灯具
JP2021170509A (ja) 車両用灯具
JP2012190597A (ja) 車輌用前照灯
JPH09171712A (ja) 車両のための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