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476B1 -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476B1
KR100423476B1 KR10-2001-0082185A KR20010082185A KR100423476B1 KR 100423476 B1 KR100423476 B1 KR 100423476B1 KR 20010082185 A KR20010082185 A KR 20010082185A KR 100423476 B1 KR100423476 B1 KR 100423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goods
stopper
sale
e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100A (ko
Inventor
우스끼히로아끼
니시야마다까시
후지모또히데끼
Original Assignee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의 로딩시에, 상품을 가득하게 수납할 수 있는 동시에, 상품의 품절을 신속하고도 또한 간단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판매 상품(S1)을 지지하는 동시에, 판매시에 판매 상품(S1)의 지지를 해제함으로써, 판매 상품(S1)을 불출하는 스톱퍼(4)와, 다음 판매 상품(S2)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허용 위치와, 이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젝터(6)와, 이젝터(6)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7)와, 이젝터(6)보다도 상방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의 상품(S)의 유무를 검출하는 상품 검출 수단과, 상품 검출 수단에 의해 상품(S)이 없다고 검출되고 있을 때에, 이젝터(6)를 저지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상품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가 상품(S)이 없는 상태에서 있는 상태로 변화한 때에, 이젝터(6)를 저지 위치로부터 허용 위치로 구동하도록 구동 장치(7)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 {COMMODITY RECEIVING AND PAYING OUT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상방으로부터 로딩된 복수의 상품을 가로로 쓰러뜨려 상하 방향으로 겹겹이 쌓여진 상태에서 상품 통로에 수납하는 동시에, 판매시에 상기 상품 통로에 수납된 상품 중 최하위의 판매 상품을 하방으로 불출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종류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를,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평11-33659호에 있어서 이미 제안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상품 수납 불출 장치(5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통로(52)와, 이 상품 통로(52)의 하단부에 설치된 상품 불출 장치(5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품 불출 장치(53)는 판매해야 할 상품(S)의 크기나 형상에 관계없이, 무조정으로 판매 상품(S)을 불출할 수 있는 타입인 것으로, 상품 통로(52)의 하단부를 개폐함으로써, 판매 상품(S)의 지지 및 불출을 행하는 스톱퍼(54)와, く형상의 가이드 홈(55)에 따라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고, 판매 상품(S)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다음 판매 상품을 지지하는 이젝터(56)와, 이 이젝터(56)를 슬라이드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도시 생략)와, 스톱퍼(54)가 판매 상품(S)을 지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57) 등을 구비하고 있다. 스톱퍼(54)는 기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전방 상승의 약간 경사진 대기 위치(도5의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와, 전방 하향의 약간 경사진 폐쇄 위치(도5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와, 전방 하향의 크게 경사진 개방 위치(도5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에서 회전한다. 또, 이 스톱퍼(54)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대기 위치에 압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품 수납 불출 장치(51)는 자동 판매기 내에 복수 내장되어 있으며, 각 상품 수납 불출 장치(51)에서는 통상 자동 판매기의 공장 출하시에, 이젝터(56)가 가이드 홈(55)의 하한 위치까지 슬라이드한 상태(도5에 도시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자동 판매기를 설치 장소에 설치한 후 상품을 로딩하는 경우, 우선 자동 판매기의 정면의 메인 도어를 개방하여, 수납해야 할 다수의 상품을 품목마다 각 상품 수납 불출 장치(51)의 상품 통로(52)에 투입한다. 처음에 투입된 상품(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제1 상품」이라 함)은 이젝터(56)와 이에 대향하는 통로벽(52a)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지지된다. 또한, 제1 상품 이외의 상품은 하측의 상품에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차례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품 통로(52)에 수납된다. 그리고, 모든 상품 수납 불출 장치(51)로의 상품의 로딩이 완료한 후, 메인 도어를 폐쇄하면, 각 상품 수납 불출 장치(51)의 구동 모터가 차례로 작동하고, 이젝터(56)가 도5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젝터(56)가 상품(S)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위치, 즉 통로벽(52a)과 이젝터(56) 하단부와의 거리가 제1 상품(S)의 직경보다도 큰 위치(이하「허용 위치」라 함)까지 슬라이드하면, 제1 상품(S)은 스톱퍼(54) 상으로 낙하하고, 대기 위치의 스톱퍼(54)가 제1 상품(S)의 자중에 의해 폐쇄 위치로 회전 구동된다. 이 경우, 폐쇄 위치로 회전한 스톱퍼(54)에 의해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어, 이에 의해 스톱퍼(54)가 상품(S)을 지지하고 있다고 판별된다.
또한, 이 상품 수납 불출 장치(51)에는 상품 통로(52) 내의 상품(S)의 교환시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S)을 상품 통로(52)로부터 한꺼번에 불출하기 위한 일괄 불출 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일괄 불출 기구는 이젝터(56)가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또한 소정 위치를 넘어서 슬라이드하는 데 연동하여 스톱퍼(54)를 폐쇄 위치로 강제적으로 회전 구동하는 동시에, 로크 샤프트(54a)에 의한 폐쇄 위치에서의 스톱퍼(54)의 로크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품 수납 불출 장치(51)에 있어서의 상품의 품절 검출은 상기 스위치(57)의 온/오프 절환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우선, 판매시에 판매 상품(S)이 불출된 후, 구동 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이젝터(56)를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스위치(57)가 온 상태가 된 때에 구동 모터를 정지시킨다. 이 경우, 스위치(57)의 오프로부터 온으로의 절환이 스톱퍼(54) 상으로 상품(S)이 낙하함으로써, 스톱퍼(54)가 폐쇄 위치로 회전함에 따른 것인지, 혹은 상기의 일괄 불출 기구에 의한 스톱퍼(4)의 강제 회전에 따른 것인지가 불명확하므로, 구동 모터를 다시 작동시켜 이젝터(56)를 화살표와 반대 방향으로 약간 슬라이드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젝터(56)를 슬라이드시켜도, 스위치(57)가 온 상태로 유지되고 있을 때에는 상품(S)이 스톱퍼(54) 상으로 낙하함으로써, 스톱퍼(54)가 폐쇄 위치에 보유 지지되고 있다고 하여 상품이 품절이 아니라고 판별된다. 반대로, 스위치(57)가 오프 상태로 절환된 때에는 일괄 불출 기구에 의한 스톱퍼(54)의 강제 회전이 해제됨으로써, 스톱퍼(4)가 스프링에 의해 대기 위치로 회전 구동되었다고 하여, 상품이 품절이라고 판별된다.
이와 같은 상품 수납 불출 장치(51)를 내장한 자동 판매기에, 상품을 처음 수납하는 경우에는 모든 상품 수납 불출 장치(51)에 있어서의 제1 상품이 하한 위치의 이젝터(56)와 통로벽(52a)으로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스톱퍼(54)와 이젝터(56)와의 사이가 무효 공간이 되어, 자동 판매기로의 상품의 로딩 완료시에는 모든 상품 수납 불출 장치(51)의 각각에 수납된 상품이, 본래의 최대 수납 가능수에 비해 1개분 적어져 버린다. 즉, 자동 판매기 내에 실제로 수납된 상품수가 상품 수납 불출 장치(51)에서는 판매시마다, 상품의 판매후, 상기와 같은 품절 검출 동작을 실행하고 있으므로, 그 동안은 상품을 판매할 수 없다. 게다가, 그와 같은 판매 검출 동작을 위해, 본래의 상품 판매 이외에 구동 모터를 작동시켜야만 하므로, 구동 모터의 내구성이 저하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점에 있어서, 이 상품 수납 불출 장치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상품의 로딩시에 상품을 가득하게 수납할 수 있는 동시에, 상품의 판매를 신속하면서도 또한 간단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를 상품 불출 장치를 중심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2의 (a)는 스톱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b)는 그 측면도.
도3은 각형 페트병 상품의 불출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4는 도3에 이은 각형 페트병 상품의 불출을 순서대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5는 종래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를, 상품 불출 장치를 중심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품 수납 불출 장치
2 : 상품 통로
2a : 통로벽
3 : 상품 불출 장치
4 : 스톱퍼(제1 스톱퍼)
6 : 이젝터(제2 스톱퍼)
7 : 구동 장치(구동 수단)
11 : 스톱퍼 본체
19 : 판매 상품 검출 스위치(판매 상품 검출 수단)
21 : 이젝터 본체
31 : 구동 모터
40 : 상품 검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는 상방으로부터 로딩된 복수의 상품을 가로로 쓰러뜨려 상하 방향으로 겹겹이 쌓여진 상태에서 상품 통로에 수납하는 동시에, 판매시에 상품 통로에 수납된 상품 중 최하위의 판매 상품을 하방으로 불출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로서, 판매 상품을 지지하는 동시에, 판매시에 판매 상품의 지지를 해제함으로써, 판매 상품을 불출하는 제1 스톱퍼와, 이 제1 스톱퍼의 상방에 배치되어 판매 상품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다음 판매 상품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허용 위치와, 이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 스톱퍼와, 이 제2 스톱퍼를 허용 위치와 저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제2 스톱퍼보다도 상방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의 상품의 유무를 검출하는 상품 검출 수단과, 이 상품 검출 수단에 의해 상품이 없다고 검출되고 있을 때에, 제2 스톱퍼를 저지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상품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가 상품이 없는 상태로부터 있는 상태로 변화한 때에, 제2 스톱퍼를 저지 위치로부터 허용 위치로 구동하도록,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품이 전혀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상태가 상품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됨으로써, 제2 스톱퍼가 상기 저지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상품이 로딩되면 그들의 상품은 저지 위치의 제2 스톱퍼에서 하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겹겹이 쌓여진 상태에서 상품 통로에 수납된다. 그에 의해, 상품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가 상기 소정 위치에 상품이 없는 상태로부터 있는 상태로 변화하는 데 따라서, 구동 수단에 의해 저지 위치의 제2 스톱퍼가 허용 위치로 구동된다. 그렇게 하면, 처음에 로딩된 상품(제1 상품)은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스톱퍼에 전달되고, 이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품의 로딩 중에 제1 상품이 제1 스톱퍼에 전달되어, 제1 스톱퍼와 제2 스톱퍼 사이의 공간에 제1 상품을 수납할 수 있으므로, 상품의 로딩 완료시에는 상품 수납 불출 장치에 상품을 가득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품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 위치 이상으로 상품이 없어진 것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그 소정 위치를 제2 스톱퍼 부근에 설정함으로써, 상품이 머지않아 곧 품절된다고 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판매 상품의 유무를 검출하는 판매 상품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상품 검출 수단으로 소정 위치에 있어서의 상품의 유무를 검출하는 데다가, 판매 상품 검출 수단에 의해 판매 상품의 유무를 검출하므로, 종래와 달리 판매 시마다 품절 검출 동작이 불필요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품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가 상품이 있는 상태로부터 없는 상태로 변화하기 까지의 동안은 상품이 아직 남아 있어, 품절되지 않은 것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으므로, 품절 검출 동작은 전혀 불필요하다. 또한, 상품 검출 수단에 의해 소정 위치의 상품이 없다고 검출되고, 또한 판매 상품 검출 수단에 의해 판매 상품이 있다고 검출된 때에는 판매 상품이 아직 남아 있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품절 검출 동작은 불필요하다. 또한, 상품 검출 수단에 의해 소정 위치의 상품이 없다고 검출되고, 또한 판매 상품 검출 수단에 의해 판매 상품이 없다고 검출된 때에는 상품 통로 내에는 상품이 전혀 없어, 그 상품 통로의 상품이 품절된 것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도 품절 검출 동작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판매시마다의 품절 검출 동작을 행하지 않는만큼, 상품을 연속하여 판매할 때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구동 수단의 작동 빈도를 적게 할 수 있는 것으로, 구동 수단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를, 상품 불출 장치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상품 수납 불출 장치(1)는, 예를 들어 캔 음료 상품이나 페트병 상품 등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에 복수 조립되어, 다수의 상품을 가로로 쓰러뜨려 상하 방향으로 겹겹이 쌓여진 상태로 수납하는 동시에, 수납된 상품 중 최하위의 판매 상품을 하방으로 불출하는 것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수납 불출 장치(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후(도1에서는 좌우) 2개의 상품 통로(2, 2)와, 각 상품 통로(2)의 하단부에 설치된 상품 불출 장치(3)(도1에서는 1개만 도시)와, 상품 불출 장치(3)를 포함하여 자동 판매기 내의 각종 제어를 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갖는 제어 회로(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품 불출 장치(3)는 판매해야 할 상품의 크기나 형상에 관계없이 무조정으로 판매 상품을 불출할 수 있는 가요성 타입인 것이다. 또한, 상품 불출 장치(3)는 통상 서로 등을 맞대게 한 상태에서, 전후 2개의 상품 통로(2, 2)의 도시하지 않은 구획벽의 하단부에 배치되고(도1에서는 전방측의 상품 불출 장치만 도시), 판매시에 각 상품 불출 장치(3)가 독립하여 작동하여 각 상품 통로(2)의 판매 상품(S)을 불출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품 통로(2)에 수납된 상품(S) 중, 판매 상품 및 그 바로 위에 위치하는 다음 판매 상품에 각각 적절하게「S1」및「S2」의 부호를 붙인다.
상품 불출 장치(3)는 판매시에 상품 통로(2)의 하단부를 개폐함으로서, 상품 통로(2)에 수납되어 있는 판매 상품(S1)을 낙하시켜 하방으로 불출하는 스톱퍼(4)(제1 스톱퍼)와, く형상의 좌우(도1에서는 앞 뒤) 한 쌍의 이젝터 가이드 홈(5, 5)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품 통로(2) 내로 돌출하고, 상품 통로(2)의 대향하는 통로벽(2a)과 협동하여 다음 판매 상품(S2)을 지지하는 이젝터(6)(제2 스톱퍼)와, 판매시에 이젝터(6)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7)(구동 수단)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스톱퍼(4) 및 이젝터(6)는 서로 좌우 방향(도1의 앞 뒤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도시 생략)에 조립 부착되어 있다.
스톱퍼(4)는 평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두꺼운 판으로 이루어지며, 기단부(도1의 우측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스톱퍼 본체(11)와, 이 스톱퍼 본체(11)를 후술하는 폐쇄 위치에 로크하기 위한 로크 샤프트(12)를 갖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스톱퍼 본체(11)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부에 헐겁게 삽입된 회전축(13)을 거쳐서, 좌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부착되어 있다.그리고, 이 스톱퍼 본체(11)는 회전축(13)을 중심으로 전방 상승으로 약간 경사져, 판매 상품(S1)을 지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대기 위치[도1의 2점 쇄선 및 도4의 (c)에 도시한 위치]와, 전방 하향으로 약간 경사져, 판매 상품(S1)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품 통로(2)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도1의 실선 및 도3의 (a)에 도시한 위치]와, 전방 하향으로 크게 경사져 판매 상품(S1)을 불출하기 위해 상품 통로(2)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도1의 2점 쇄선 및 도4의 (b)에 도시한 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톱퍼 본체(11)의 선단부 쪽에는 회전축(13)의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단면이 타원형인 관통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4)에는 스톱퍼 본체(11)를 폐쇄 위치에 로크하기 위한 상기 로크 샤프트(12)가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이 로크 샤프트(12)는 관통 구멍(14)의 타원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관통 구멍(14)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로크 샤프트(12)의 양단부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의 각각에 형성된 1/4 원호형의 가이드 홈(15)에 각각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 홈(15)의 상단부에는 로크 샤프트(12)를 안내하면서 이를 스톱퍼 본체(11)의 기단부측으로 슬라이드시켜 계지(係止)하기 위한 샤프트 계지 홈(1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톱퍼 본체(11)는 로크 샤프트(12)를 거쳐서 양 가이드 홈(15, 15)으로 안내되면서, 대기 위치,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원활하게 회전하고, 로크 샤프트(12)가 각 가이드 홈(15)의 샤프트 계지 홈(16)에 계지됨으로써, 폐쇄 위치에 로크된다.
또한, 스톱퍼 본체(11) 상면의 기단부 쪽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톱퍼 본체(11)로부터 돌출한 돌기(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17)는 측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돌출 높이가, 예를 들어 각형 페트병 상품 등을 그 회전을 방지하면서 불출할 수 있는 적절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이 돌기(17)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일적인 것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상에, 서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것이나 측단면 형상이 반원이나 다각형 등인 것이라도 좋다.
또한, 스톱퍼 본체(11)는 그 기단부 부근에 설치된 인장 스프링(18)에 의해, 도1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압박되어 있다. 이로써, 스톱퍼 본체(11)는 판매 상품(S1)을 지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대기 위치에 보유 지지되고, 반대로 판매 상품(S1)을 지지한 상태에서는 인장 스프링(18)에 저항하여, 판매 상품(S1)의 자중에 의해 밀어 내림으로써 폐쇄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또한, 스톱퍼 본체(11)의 기단부 부근에는 스톱퍼 본체(11)에 판매 상품(S1)이 지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판매 상품 검출 스위치(19)(판매 상품 검출 수단)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판매 상품 검출 스위치(19)는 대기 위치의 스톱퍼 본체(11)가 폐쇄 위치로 회전하는 데 연동하여, 온/오프 절환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젝터(6)는 상기 이젝터 가이드 홈(5, 5)에 따라서, 상하 방향 및 경사 전방 하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고, 통로벽(2a)과 협동하여 다음 판매 상품(S2)을 지지하는 이젝터 본체(21)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젝터 본체(21)를 구동 장치(7)에 연결하는 조인트(22)를 구비하고 있다.
이젝터 본체(2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의 4매의이젝터 플레이트(23)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젝터 플레이트(23)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축 등의 양단부가 이젝터 가이드 홈(5, 5)에 각각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22)는 이젝터 본체(21)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동시에, 구동 장치(7)의 후술하는 구동축(32)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32)의 회전에 수반하여 조인트(22)가 상하 이동하고, 이에 의해 이젝터 본체(21)가 이젝터 가이드 홈(5, 5)에 따라 슬라이드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 판매 상품(S2)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허용 위치와, 이젝터 본체(21)가 판매 상품(S1)에 접촉함으로써 결정되어 다음 판매 상품(S2)을 통로벽(2a)과 협동하여 지지함으로써, 다음 판매 상품(S2)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한다. 또, 이 이젝터 본체(21)의 최대 가동 범위는 이젝터 가이드 홈(5, 5)의 상하 단부 사이이다.
구동 장치(7)는 구동 모터(31)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구동 모터(31)에 의해 축선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32)과, 이 구동축(32)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품 통로(2) 내의 상품(S)의 교환시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S)을 상품 통로(2)로부터 한꺼번에 불출하기 위한 불출축(도시 생략)과, 구동 모터(31)의 동력을 구동축(32)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박스(33)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판(34)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축(32)에는 기어 박스(33)보다도 상방 부분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나사가 상기 조인트(22)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이젝터본체(21)가 판매 상품(S1)에 접촉하여, 조인트(22) 하방으로의 이동이 정지한 후도 구동축(32)이 회전 구동되면, 이 구동축(32)은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구동축(32)의 하단부는 스톱퍼 본체(11)를 폐쇄 위치에 로크하는 도시하지 않은 로크 기구에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축(32)이 상기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그 로크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32)의 상단부의 베어링(35) 내에는 구동축(32)을 하방으로 압박하는 압축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32)이 상방으로 구동됨으로써, 압축 스프링을 압축하여 구동축(32)의 상방으로의 구동이 해제되면, 압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구동축(32)이 하방으로 구동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불출축은 상기 구동축(32)에 대해, 표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는 구동축(32)과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단, 불출축의 상부에는 이젝터 본체(21)가 허용 위치를 넘어서 다시 상방으로 이동한 때에, 조인트(22)에 하측으로부터 압박되는 피압박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 피압박부가 조인트(22)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불출축이 상방으로 구동되고, 이에 의해 스톱퍼 본체(11)를 폐쇄 위치로 강제적으로 회전 구동하는 동시에, 로크 샤프트(12)에 의한 폐쇄 위치에서의 스톱퍼 본체(11)의 로크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 한 쌍의 측판 사이의 연결판(34)에는 이젝터(6)보다도 상방의 소정 위치, 구체적으로는 상품 불출 장치(3)의 상부 부근에 상품(S)이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상품 검출 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품 검출 수단(40)은 상품 검출 스위치(41)와, 이 상품 검출 스위치(41)를 온/오프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 절환 레버(42)를 갖고 있다. 스위치 절환 레버(42)는 좌우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폭을 갖고, 평면 형상이 세로로 긴 직사각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절환 레버(42)는 그 상단부가 연결판(3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품 통로(2) 내에 전방 하향으로 경사져 돌출하는 돌출 위치(도1의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와, 상품 통로(2)로부터 퇴피하는 퇴피 위치(도1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또한, 스위치 절환 레버(42)의 상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스위치 절환 레버(42)가 돌출 위치에 압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품 검출 수단에서는 돌출 위치의 스위치 절환 레버(42)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저항하여 상품 통로(2) 내의 상품(S)에 의해 퇴피 위치로 압박됨으로써, 상품 검출 스위치(41)가 온/오프 절환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품 수납 불출 장치(1)에 있어서, ① 상품이 전혀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로의 상품의 로딩, ② 판매시에 있어서의 상품의 불출 및 ③ 상품의 품절 검출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① 상품 수납 불출 장치로의 상품의 로딩
복수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1)를 내장한 자동 판매기에서는 통상 공장 출하시에 모든 상품 수납 불출 장치(1)의 이젝터(6)가 최하 위치에 위치한 상태, 즉 이젝터 본체(21)의 하단부가 이젝터 가이드 홈(5, 5)의 하단부에 접촉 혹은 그 부근에 위치한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것은 자동 판매기의 공장 출하 시점에서는 각 상품 수납 불출 장치(1)의 상품 통로(2)에 어떠한 상품이 수납되는지가 불명확하므로, 자동 판매기의 설치 후에 있어서의 각 상품 수납 불출 장치(1)의 이젝터(6)의 초기 위치의 설정을 수납된 상품에 따라서 적절하게 행하기 위해서 등의 이유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상품 통로(2)에 상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1)에서는 이젝터 본체(21)는 어떠한 상품도 하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스톱퍼 본체(11)는 인장 스프링(18)에 의해 압박되는 것으로, 도1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한편, 스위치 절환 레버(42)는 도시하지 않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압박되는 것으로, 도1의 실선으로 도시한 돌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상품 통로(2)의 상부에 설치된 상품 투입구(도시 생략)로부터 상품(S)이 투입되면, 처음에 투입된 상품(S)(제1 상품)은 상품 통로(2) 내를 구름 이동하면서 낙하하고, 이젝터 본체(21) 및 통로벽(2a)으로 지지된다. 그 후, 다시 상품(S)을 계속해서 투입하면, 제1 상품(S)을 최하위로 하여 그 위에 상품(S)이 차례로 겹겹이 쌓여지도록 상품 통로(2)에 수납되어 간다. 이 경우, 제1 상품(S)의 바로 위의 상품(S)이나 또 다시 그 바로 위의 상품(S) 등에 의해 돌출 위치의 스위치 절환 레버(42)가 퇴피 위치로 압박되고, 이에 의해 상품 검출 스위치(41)가 온/오프 절환된다. 그리고, 이 상품 검출 스위치(41)의 상태에 의거하여 제어 회로에 의해 상품 수납 불출 장치(1)로의 상품(S)의 로딩 개시가 검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품(S)의 로딩 개시가 검출되면, 이젝터 본체(21)를 허용위치로 구동하도록, 구동 모터(31)가 제어 회로에 의해 작동 제어된다. 그리고, 이젝터 본체(21)가 허용 위치에 도달하면, 이젝터 본체(21) 및 통로벽(2a)으로 지지되고 있던 제1 상품은 스톱퍼 본체(11) 상으로 낙하하여, 이에 지지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품 통로(2)에 이미 로딩되어 있던 상품(S)도 상품 1개만큼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1)로의 상품(S)의 로딩 중에, 이젝터 본체(21)가 허용 위치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제1 상품(S)이 스톱퍼 본체(11) 상으로 낙하하고, 이에 의해 스톱퍼 본체(11)와 이젝터 본체(21) 사이의 공간에 제1 상품(S)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수납 불출 장치(1)로의 상품(S)의 로딩 완료시에는 상품 통로(2)에 상품(S)을 가득하게 수납할 수 있다.
② 판매시에 있어서의 상품의 불출
도3 및 도4는, 특히 단면이 직사각 형상인 각형 페트병 상품의 불출을 차례로 도시하고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판매 대기 상태로부터 판매 상태로 이행하면, 우선 구동 모터(31)가 정회전하도록 작동하고, 이에 의해 구동축(32)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렇게 하면, 조인트(22)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이젝터 본체(21)도 저지 위치를 향해 하방으로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젝터 본체(21)가 판매 상품(S1)의 상부에 접촉하여, 저지 위치에 도달하면, 하방으로 이동하고 있던 조인트(22)가 정지한다. 이젝터 본체(21)가 저지 위치에 도달한 후도 구동 모터(31)는 계속 작동하고, 이에 의해 구동축(32)이 정지한 조인트(22)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하면, 폐쇄 위치에서의 스톱퍼 본체(11)의 로크가 해제되고, 이 스톱퍼 본체(11)는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매 상품(S1)의 자중에 의해 개방 위치를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판매 상품(S1)은 스톱퍼 본체(11)에 지지되고 있을 때의 자세나 스톱퍼 본체(11)의 개방 방법 등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도3의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 본체(11) 상의 돌기(17)가 판매 상품(S1) 후방측의 하부에 접촉함으로써, 판매 상품(S1)의 회전이 저지된다. 그리고, 도4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 본체(11)가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판매 상품(S1)은 낙하하면서 상품 통로(2)로부터 하방으로 불출된다.
이 경우, 다음 판매 상품(S2)은 이젝터 본체(21)와 통로벽(2a)과의 협동에 의해 지지되고, 하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한 이 경우, 판매 상품(S1)이 이젝터 본체(21)로부터 떨어져, 판매 상품(S1)으로의 이젝터 본체(21)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방으로 이동하고 있었던 구동축(32)은 도시하지 않은 압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고, 상승하고 있었던 만큼 하방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도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 본체(11)가 대기 위치로 복귀한 것이 검출되면 구동 모터(31)의 작동이 정지한다.
그 후, 구동 모터(31)가 역회전하도록 작동하면, 구동축(32)이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수반하여 조인트(22)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이젝터 본체(21)가 허용 위치를 향해 슬라이드한다. 이젝터 본체(21)가 허용 위치에 도달하면, 다음 판매 상품(S2)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스톱퍼 본체(11) 상으로 낙하한다. 이에 의해, 스톱퍼 본체(11)는 다음 판매 상품(S2)의 자중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 구동되고, 도1이나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 로크된다. 다음 판매 상품(S2)이 스톱퍼 본체(11)로 전달된 것이 판매 상품 검출 스위치(19)에서 검출되면, 구동 모터(31)의 작동이 정지한다. 그리고, 스톱퍼 본체(11) 상의 다음 판매 상품(S2)은 다음 번 판매에 있어서의 판매 상품으로서 준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품 수납 불출 장치(1)에서는 판매시에 이젝터 본체(21)에서 다음 판매 상품(S2)을 지지하는 저지 위치가 상품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또한 무단계로 적절하게 설정되므로, 판매해야 할 상품의 크기나 형상에 관계없이 판매 상품(S1)만을 확실하게 불출할 수 있다. 또한, 판매해야 할 상품이 각형 페트병 등, 단면이 직사각 형상인 것이라도 불출시에 있어서의 판매 상품(S1)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형 페트병 상품 등이 회전함에 따른 상품 통로(2) 내에서의 상품 막힘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품 불출 장치(3)와 통로벽(2a) 사이의 거리를 각형 페트병 상품의 대각 거리보다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 그렇게 함으로써, 상품 수납 불출 장치(1)를 전후 방향으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③ 상품의 품절 검출
상품의 품절 검출은 판매 상품 검출 스위치(19) 및 상품 검출 스위치(41)의 온/오프 상태 등에 의해 검출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스톱퍼 본체(11)가 폐쇄 위치(도1의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 및 대기 상태(도1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판매 상품 검출 스위치(19)가 각각 온 상태 및 오프 상태이다고 하고, 또한 스위치 절환 레버(42)가 퇴피 위치(도1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 및 검출 위치(도1의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품 검출 스위치(42)가 각각 온 상태 및 오프 상태이다고 한다.
상품 통로(2)에 다수의 상품(S)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예를 들어, 3개 이상),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매 상품(S1)이 스톱퍼 본체(11)에 지지됨으로써, 스톱퍼 본체(11)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고, 이에 의해 판매 상품 검출 스위치(19)가 온 상태가 된다. 한편, 다음 판매 상품(S2)의 바로 위의 상품(S) 등이 스위치 절환 레버(42)를 퇴피 위치로 압박함으로써, 상품 검출 스위치(41)가 온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판매 상품 검출 스위치(19)가 온 상태가 되는 데다가, 상품 검출 스위치(41)도 온 상태가 됨으로써, 이들의 스위치(19, 41)의 상태에 의거하여 제어 회로에 의해 상품이 품절이 아니라고 판별한다.
또한, 상품 통로(2)에 수개의 상품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예를 들어, 1개 혹은 2개), 판매 상품(S1)이 스톱퍼 본체(11)에 지지됨으로써, 판매 상품 검출 스위치(19)가 온 상태가 되는 한편, 스위치 절환 레버(42)가 상품(S)에 의해 압박되지 않음으로써 오프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는, 온 상태의 판매 상품 검출 스위치(19)가 스톱퍼 본체(11)에서 판매 상품(S1)을 지지함에 따른 것인지 혹은 도시하지 않은 불출축이 이젝터 본체(21)의 허용 위치로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상방으로 구동한 것에 따른 것인지가 불명확하므로, 다음과 같은 판매 검출 동작을 실행한다. 즉, 구동 모터(31)를 작동시켜, 이젝터 본체(21)를 저지 위치를 향해 약간 슬라이드시킨다.
상품이 수개 남아 있는 본예의 경우에는 스톱퍼 본체(11)가 판매 상품(S1)을 지지함으로써 폐쇄 위치로 유지되므로, 판매 상품 검출 스위치(19)가 온 상태로 계속되어, 이에 의해 상품이 품절이 아니라고 판별한다. 반대로, 상기의 품절 검출 동작을 실행한 경우에, 판매 상품 검출 스위치(19)가 오프 상태가 된 때에는 불출축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폐쇄 위치에 강제적으로 구동된 스톱퍼 본체(11)가 인장 스프링(18)에 의해 대기 위치로 자동 복귀했다고 하여 상품이 품절이라고 판별한다.
이와 같이, 상품 통로(2)에 남아 있는 상품(S)이 매우 적은 경우에만 품절 검출 동작을 실행하면 되므로, 종래와 달리 판매시마다의 품절 검출 동작을 행하지 않은 만큼 상품을 연속하여 판매할 때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구동 모터(31)의 작동 빈도를 적게 할 수 있는 것으로,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1)에서는 상품 통로(2) 내의 상품(S)의 교환시에 있어서의 일괄 불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설명한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스위치 절환 레버(42)가 다음 판매 상품(S2)의 바로 위의 상품 등에 의해 압박되는 위치에 배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젝터 본체(21)로 지지할 수 있는 상품(S)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는 위치이면 좋다. 또한, 스위치 절환 레버(42)의 치수에 대해서도 그 상하 치수를 보다 길게 하고, 다음 판매 상품(S1)에 의해 압박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판매 상품 검출 스위치(19) 및 상품 검출 스위치(41)가 모두 오프 상태가 됨으로써, 상품(S)을 품절이라고 판별할 수 있으므로, 품절 검출 동작을 전혀 실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품 통로(2)에 남아 있는 상품(S)이 적어지면, 스위치 절환 레버(42)가 상품(S)에 의해 압박되지 않음으로써, 온으로부터 오프로 절환하게 되므로, 상품(S)이 머지않아 곧 품절되는 것을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자동 판매기 내의 상품수를 전화선이나 무선 등을 거쳐서 원격 관리하는 경우에는 상품이 머지않아 바로 품절되는 것을 원격 관리자측에게 보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품 검출 스위치(41) 및 스위치 절환 레버(42) 대신에, 광 센서 등을 이용하여 상품 검출 수단을 구성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상품 수납 불출 장치(1)의 세부 구성 등은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는 상품의 로딩 시에 상품을 가득 수납할 수 있는 동시에, 상품의 품절을 신속하면서도 또한 간단하게 검출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상방으로부터 로딩된 복수의 상품을 가로로 쓰러뜨려 상하 방향으로 겹겹이 쌓여진 상태에서 상품 통로에 수납하는 동시에, 판매시에 상기 상품 통로에 수납된 상품 중 최하위의 판매 상품을 하방으로 불출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로서,
    상기 판매 상품을 지지하는 동시에, 판매시에 상기 판매 상품의 지지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판매 상품을 불출하는 제1 스톱퍼와,
    이 제1 스톱퍼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판매 상품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다음 판매 상품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허용 위치와, 그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 스톱퍼와,
    이 제2 스톱퍼를 상기 허용 위치와 상기 저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제2 스톱퍼보다도 상방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의 상품의 유무를 검출하는 상품 검출 수단과,
    이 상품 검출 수단에 의해 상품이 없다고 검출되고 있을 때에 상기 제2 스톱퍼를 상기 저지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상품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가 상품이 없는 상태로부터 있는 상태로 변화한 때에, 상기 제2 스톱퍼를 상기 저지 위치로부터 상기 허용 위치로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상품의 유무를 검출하는 판매 상품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
KR10-2001-0082185A 2001-02-22 2001-12-21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 KR100423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46171 2001-02-22
JP2001046171A JP2002251656A (ja) 2001-02-22 2001-02-22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払出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100A KR20020069100A (ko) 2002-08-29
KR100423476B1 true KR100423476B1 (ko) 2004-03-18

Family

ID=1890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185A KR100423476B1 (ko) 2001-02-22 2001-12-21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251656A (ko)
KR (1) KR100423476B1 (ko)
CN (1) CN114951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2384A (ko) * 2014-01-10 2016-08-30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상품 반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1816B2 (ja) * 2014-01-10 2018-12-19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KR102458025B1 (ko) * 2014-12-18 2022-10-21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상품 불출 장치
WO2016136070A1 (ja) * 2015-02-27 2016-09-01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CN112150705B (zh) * 2019-06-28 2022-05-31 富士电机株式会社 商品收纳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4056A (ja) * 1992-09-03 1994-03-25 Toshiba Corp 自動販売機
JPH10340376A (ja) * 1997-06-05 1998-12-22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H10340374A (ja) * 1997-06-05 1998-12-22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2001188951A (ja) * 1999-12-28 2001-07-10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4056A (ja) * 1992-09-03 1994-03-25 Toshiba Corp 自動販売機
JPH10340376A (ja) * 1997-06-05 1998-12-22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H10340374A (ja) * 1997-06-05 1998-12-22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2001188951A (ja) * 1999-12-28 2001-07-10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2384A (ko) * 2014-01-10 2016-08-30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상품 반출 장치
KR102204263B1 (ko) 2014-01-10 2021-01-18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상품 반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51656A (ja) 2002-09-06
CN1149518C (zh) 2004-05-12
CN1371080A (zh) 2002-09-25
KR20020069100A (ko) 200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2834A (en) Dispensing mechanism for vending machines
US5967364A (en) Large product vending system
JP2001155235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い出し装置
US4776487A (en) Control device for a vending machine dispensing mechanism
KR100423476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
JP3952579B2 (ja) 自動販売機
KR20080095759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지급장치
JPH10255143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2004288070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US5361938A (en) Automatic vending apparatus adaptable to accommodate different-sized commodity
JP346560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い出し装置
JP2911353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KR970003705B1 (ko) 자동판매기
JP2002358565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H0938328A (ja) 物品投出装置
JP3671710B2 (ja) 移動仕切り装置を備えた自動販売機
JP4360820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KR0132200B1 (ko) 상품반출장치
KR20060089359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US3295716A (en) Reversible motor driven regulator for dispensing mechanism for articles in staggered stacks
JP4113023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2609778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4055354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533677Y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2001167343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い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