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263B1 - 상품 반출 장치 - Google Patents

상품 반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263B1
KR102204263B1 KR1020167005560A KR20167005560A KR102204263B1 KR 102204263 B1 KR102204263 B1 KR 102204263B1 KR 1020167005560 A KR1020167005560 A KR 1020167005560A KR 20167005560 A KR20167005560 A KR 20167005560A KR 102204263 B1 KR102204263 B1 KR 102204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product
link
storage passage
produc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2384A (ko
Inventor
노리오 나카지마
요시오 야사카
미치히코 마키노
츠토무 이와코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03755A external-priority patent/JP62099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48215A external-priority patent/JP64177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6031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6038660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5039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5105157A1/ja
Publication of KR20160102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상품 수납 통로(13)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하페달(29) 및 상페달(28)과, 이들을 연계하는 페달 링크(35)를 구비하고, 대기 상태에서는, 페달 링크(35)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품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구동하는 경우에는, 페달 링크(35)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최하위의 상품을 아래쪽으로 반출하는 상품 반출 장치(20a)에 있어서, 웜 기어(441)를 통해 모터(43)에 연계되고, 또한 상기 기어(441)를 통해 전달되는 모터(4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출력 기어(443)와, 출력 기어(443)에 설치된 캠부(443a)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에는, 페달 링크(35)를 상방향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하고, 캠부(443a)와의 슬라이딩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페달 링크(35)가 하방향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링크 레버(4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상품 반출 장치{PRODUCT-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상품 반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캔 음료나 페트병 음료 등의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 적용되고, 상품 수납 통로에 수납된 상품을 적절하게 반출하는 상품 반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컨대 캔 음료나 페트병 음료 등의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서는, 자동판매기 본체인 본체 캐비닛의 내부의 상품 수용고에 상품 수납 랙이 설치된다. 상품 수납 랙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품 수납 통로와, 상품 수납 통로의 하부에 설치된 상품 반출 장치를 갖고 있다.
상품 반출 장치는 하페달과 상페달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하페달 및 상페달은, 링크를 통해 액추에이터인 AC 솔레노이드에 연계되어 있고, AC 솔레노이드가 통전 상태가 됨으로써 각각 상품 수납 통로로 적절하게 진퇴 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품 반출 장치에서는, 대기 상태에서, 상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한 상태에 있는 한편, 하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한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하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에 수납되는 최하위의 상품에 접촉하여, 상품 수납 통로에 수납된 상품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상품의 반출 지령이 주어진 경우, 해당하는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수납 통로의 하부의 상품 반출 장치에서는, AC 솔레노이드가 통전 상태가 됨으로써 링크를 통해 상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하여, 최하위에서 2번째의 상품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상품, 그리고 이 상품보다 위쪽에 수납된 상품이 아래쪽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또한, 상기 AC 솔레노이드가 통전 상태가 됨으로써 하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하여, 최하위의 상품이 유일하게 아래쪽을 향해 반출되고, 상품이 하페달을 빠져나오면 하페달이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한다. 그 후, AC 솔레노이드의 통전 상태가 해제되어 비통전 상태가 되면,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한 하페달이 퇴행 이동이 규제된 상태가 되어 상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한 상태가 됨으로써, 전술한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88953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상품 반출 장치에서는, 액추에이터로서 AC 솔레노이드가 이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AC 솔레노이드가 통전 상태가 됨으로써 링크를 위쪽을 향해 이동시켜 상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하고 있는 도중에, 즉 상페달이 진출 이동하고 있는 도중에 정전 등에 의해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면, AC 솔레노이드는 비통전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링크는 아래쪽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상페달도 퇴행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링크의 아래쪽을 향한 이동이 완료되는 동안, 즉 하페달이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하여 퇴행 이동이 규제된 상태가 되는 동안, 복수의 상품이 반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상품 반출시에 정전 등에 의해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상품이 반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상품 반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반출 장치는, 투입된 상품을 상하 방향을 따라 수납하는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베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하페달과, 상기 하페달보다 상측 영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상기 베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페달과, 상기 하페달과 상기 상페달을 연계하는 페달 링크를 구비하고,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페달 링크를 하방향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페달을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시키면서 상기 하페달을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시켜 상품이 아래쪽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페달 링크를 상방향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페달을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시켜 최하위에서 2번째의 상품에 접촉시키면서 상기 하페달을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시켜 최하위의 상품을 아래쪽을 향해 반출하는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자체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웜 기어를 통해 구동원에 연계되고, 또한 상기 웜 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출력 기어와, 상기 베이스에 자체의 축심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출력 기어에 설치된 캠부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에는, 위쪽을 향해 회동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페달 링크를 상방향을 향해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한편, 상기 캠부와의 슬라이딩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상기 페달 링크가 하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링크 레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 레버는, 상기 캠부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 상기 캠부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면이 자체의 축심과 상기 출력 기어의 축심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직류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 레버는, 자체에 형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걸림부가 소정 부위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캠부와의 슬라이딩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의 자세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링크 레버의 축심으로부터 이격된 기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가 접촉하는 소정 부위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 레버는, 압박 수단에 의해 상기 캠부와의 슬라이딩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의 자세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페달보다 상측 영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선단부가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압박 수단에 의해 압박되어 선단부가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하는 한편, 상기 상품 수납 통로를 통과하는 상품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하는 레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 기어가 베이스에 자체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웜 기어를 통해 구동원에 연계되고, 또한 웜 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링크 레버가 베이스에 자체의 축심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출력 기어에 설치된 캠부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에는, 위쪽을 향해 회동한 상태로 유지되어 페달 링크를 상방향을 향해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상페달을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시켜 최하위에서 2번째의 상품에 접촉시키면서 하페달을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시켜 최하위의 상품을 아래쪽을 향해 반출하도록 하고, 캠부와의 슬라이딩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페달 링크가 하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상페달을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시키면서 하페달을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시켜 상품이 아래쪽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는, 구동중에 있어서 정전 등에 의해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 있어서도, 출력 기어와 구동원 사이에 웜 기어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원이 구동 정지하여도 출력 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버리지 않게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페달 링크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페달을 진출 이동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AC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종래 기술과 같이, 정전 등에 의해 전력의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AC 솔레노이드가 비통전 상태가 되어 페달 링크가 아래쪽을 행해 이동해 버리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상품 반출시에 정전 등에 의해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상품이 반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상품 반출 장치가 적용된 자동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끝단면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품 불출 장치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품 불출 장치를 우측 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품 불출 장치를 우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상품 반출 장치를 우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상품 반출 장치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상품 반출 장치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상품 반출 장치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상품 반출 장치의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베이스에 부착된 베어링부 및 하니스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품절 링크 및 제2 품절 링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 내지 도 4에서의 상품 불출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하페달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가 된 경우에 있어서의 제1 품절 링크와 제1 품절 검지 스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상품 반출 장치를 구성하는 회동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하페달이 퇴행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1 품절 링크와 제1 품절 검지 스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1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의 구동 유닛의 주요부를 나타낸 것으로, 우측 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1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의 구동 유닛의 주요부를 나타낸 것으로, 좌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2 상품 반출 장치를 우측 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2 내지 도 4, 도 18에 도시된 제2 상품 반출 장치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제2 상품 반출 장치의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베이스에 부착된 베어링부 및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품 불출 장치의 특징적인 제어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3은 제1 상품 반출 장치를 우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불출 제어부가 실시하는 불출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5는 제1 상품 반출 장치를 우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6은 구동 유닛의 주요부의 동작을 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7은 구동 유닛의 주요부의 동작을 후방 정면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8은 도 24에 도시된 불출 제어 처리에 있어서의 재시행 처리(1)의 처리 내용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9는 도 24에 도시된 불출 제어 처리에 있어서의 재시행 처리(2)의 처리 내용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0은 구동 유닛의 변형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상품 불출 장치의 변형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2는 구동 유닛의 다른 변형례의 주요부를 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주요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4는 도 32에 도시된 주요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5는 상품 불출 장치의 다른 변형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제1 상품 반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7은 도 36에 도시된 제1 상품 반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8은 도 35에 도시된 제2 상품 반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제2 상품 반출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반출 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상품 반출 장치가 적용된 자동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끝단면 측면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판매기는, 상품을 냉각 혹은 가열한 상태로 판매하는 것으로, 본체 캐비닛(1), 외부 도어(2) 및 내부 도어(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본체 캐비닛(1)은, 복수의 강판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앞면이 개구된 직방체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내부에 단열 구조의 상품 수용고(4)를 갖고 있다. 외부 도어(2)는, 본체 캐비닛(1)의 앞면 개구를 덮기 위한 것으로, 본체 캐비닛(1)의 한쪽 가장자리부에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외부 도어(2)의 앞면에는, 디스플레이 윈도우, 상품 선택 버튼, 지폐 삽입 관통구, 주화 투입구, 반환 레버, 일체 표시기, 주화 반환구, 상품 배출구(2a) 등등, 상품을 판매할 때에 필요해지는 것이 형성된다. 내부 도어(3)는, 상품 수용고(4)의 앞면 개구를 덮기 위한 상하 2분할된 단열 도어이며, 외부 도어(2)보다 안쪽이 되는 위치에서 상부 단열 도어(3a)는 외부 도어(2)의 한쪽 가장자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 단열 도어(3b)는 본체 캐비닛(1)의 한쪽 가장자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내부 도어(3)에 있어서의 하부 단열 도어(3b)의 하측부에는, 상품을 상품 수용고(4)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상품 반출구(3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동판매기에는, 상품 수용고(4)의 내부에 상품 슈트(chute)(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상품 슈트(5)보다 아래쪽이 되는 영역(이하, 「열 교환 영역」이라고도 함)에 온도 조절 유닛(6)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품 슈트(5)보다 위쪽이 되는 영역(이하, 「상품 수납 영역」이라고도 함)에 상품 수납 랙(10)이 설치된다.
상품 슈트(5)는, 상품 수납 랙(10)으로부터 반출된 상품을 내부 도어(3)의 상품 반출구(3c)로 안내하기 위한 플레이트형 부재이며, 전방측을 향해 점차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양태로 설치된다.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이 상품 슈트(5)에는, 열 교환 영역과 상품 수납 영역 사이를 연통시키는 통기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다수 뚫려 있다.
온도 조절 유닛(6)은, 상품 수용고(4)의 내부 분위기를 원하는 온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6a), 전열 히터(6b) 및 송풍 팬(6c)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 온도 조절 유닛(6)에서는, 예컨대 냉동 사이클을 운전한 상태에서 송풍 팬(6c)을 구동하면, 증발기(6a)에서 냉각된 공기가 상품 슈트(5)의 통기 구멍을 통하여 위쪽으로 송급되기 때문에, 상품 수납 영역을 저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전열 히터(6b)에 통전한 상태에서 송풍 팬(6c)을 구동하면, 전열 히터(6b)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품 슈트(5)의 통기 구멍을 통하여 위쪽으로 송급되기 때문에, 상품 수납 영역을 고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냉동 사이클의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 밸브는,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모두 상품 수용고(4)의 외부가 되는 기계실(7)에 설치된다.
상기 상품 수납 랙(10)은, 전후 3열로 늘어서도록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베이스 측판(11) 사이에 통로 구성 요소(12)가 설치됨으로써 상하 방향을 따라 사행형으로 구성된 복수(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상품 수납 통로(13)를 구비하고, 이들 상품 수납 통로(13)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품을 옆으로 눕힌 자세로 수납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로 구성 요소(12)는, 상품 수납 통로(13)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적절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베이스 측판(11)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각 상품 수납 랙(10)에서는, 2개의 상품 수납 통로(13)가 서로 전후로 인접하는 양태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상품 수납 랙(10)에 있어서, 전방측의 상품 수납 통로(13)를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라고도 부르고, 후방측의 상품 수납 통로(13)를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라고도 부르기로 한다.
또한, 통로 구성 요소(12)에는,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는 플래퍼가 설치된다. 플래퍼는, 상품 수납 통로(13)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통로 구성 요소(12)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플래퍼는, 코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압박되어 정상 상태에서는 상품 수납 통로(13)로 진출 이동한 자세가 된다. 그리고, 상품 수납 통로(13)를 통과하는 상품에 접촉함으로써 자체는 코일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사행형의 상품 수납 통로(13)를 따르도록 퇴행 이동하여 상기 상품의 자세를 수정하는 것이다.
상기 상품 수납 랙(10)에서는, 상품 수납 통로(13)의 상부에 톱 트레이(14)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품 수납 통로(13)의 하부에 상품 불출 장치(20)가 설치된다.
톱 트레이(14)는, 평판형의 판금을 굴곡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점차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양태로 베이스 측판(11)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톱 트레이(14)의 상면은,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상품을 상품 수납 통로(13)까지 안내하는 상품 안내 통로(15)를 구성한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상품 불출 장치(20)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는 우측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우측 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우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불출 장치(20)는, 한쪽의 상품 반출 장치(이하, 제1 상품 반출 장치라고도 부름)(20a)와, 다른 쪽의 상품 반출 장치(이하, 제2 상품 반출 장치라고도 부름)(20b)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와 제2 상품 반출 장치(20b)가 서로 등을 맞대고 결합되어 구성된다. 한편, 이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상품 불출 장치(20)를 구성하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 모두 상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를 우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고, 그 후에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 도 6 내지 도 8도 적절하게 이용하면서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는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적용되는 것이며, 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는, 대향하는 통로 폭 규정판(16)과의 사이에서 상품의 거동을 제어함으로써, 대기 상태에서는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상품을 수납하는 한편, 구동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상품을 하나씩 상품 슈트(5)로 반출하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베이스(21)를 구비한다.
베이스(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에 절삭 가공 및 굴곡 가공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자체의 표면을 통로 폭 규정판(16)에 대향시키는 양태로 마련된다. 이 베이스(21)는, 양측부가 굴곡됨으로써 측벽(21a)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중간부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이 형성된다.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의 주연부는 측벽(21a)과 마찬가지로 굴곡되어 플랜지가 형성된다.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은, 서로 좌우로 늘어서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하 치수가 동일한 크기를 갖고 있다. 이들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은, 제1 삽통 구멍(22)이 제2 삽통 구멍(23)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삽통 구멍(22)의 좌우 폭이 제2 삽통 구멍(23)의 좌우 폭보다 큰 것이다. 또한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은, 서로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관통 개구(후술하는 하페달(28) 및 상페달(29)을 베이스(21) 내에 퇴행시키는 오목부)이며, 제1 삽통 구멍(22)의 상단부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 삽통 구멍(23)의 상단부가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삽통 구멍(22)의 좌측 가장자리부에는 제1 좌측 베어링편(22a)이 설치되고, 또한 제1 삽통 구멍(22)의 우측 가장자리부에는 제1 우측 베어링편(22b)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삽통 구멍(23)의 좌측 가장자리부에는, 제2 좌측 베어링편(23a)이 설치되고, 또한 제2 삽통 구멍(23)의 우측 가장자리부에는, 제2 우측 베어링편(23b)이 설치된다. 한편, 제1 좌측 베어링편(22a) 및 제2 우측 베어링편(23b)은,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의 주연부에 형성한 플랜지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우측 베어링편(22b) 및 제2 좌측 베어링편(23a)은, 후술하는 베어링부(24)를 끼워 맞춰 유지하는 곳의, 베이스(21)에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횡단면 'ㄷ'자형(불연속)으로 형성된 베어링 유지부에 있어서의 'ㄷ'자형의 양 다리편을 이루는 축 삽통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베어링 유지부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으로 이루어지는 큰 관통 개구를 베이스(21)에 형성한 경우에도 베이스(21)의 강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베이스(21)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어링부(24) 및 하니스 가이드(25)가 장착된다. 베어링부(24)는 수지 재료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제1 우측 베어링편(22b)과 제2 좌측 베어링편(23a) 사이에 끼워져 있다.
하니스 가이드(25)는, 베어링부(24)와 마찬가지로 수지 재료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제2 우측 베어링편(23b)에 인접하는 양태로 베이스(21)의 우측의 측벽(21a)을 따라 끼워져 있다. 이 하니스 가이드(25)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의 하니스를 뻗어나가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니스 가이드(25)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와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를 서로 등을 맞대고 결합시킬 때에 가이드 부재로서의 역할을 갖고 있다.
이러한 하니스 가이드(25)에는,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 및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가 설치된다.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는,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와 전후로 늘어서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보다 전방측에 위치한다. 이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는 소위 푸시형 스위치이며,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기립하도록 압박되는 접촉자(26a)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는, 접촉자(26a)가 눌리지 않는 상태에서는, 오프 상태가 되어 후술하는 불출 제어부(110)에 오프 신호를 송출하는 한편, 접촉자(26a)가 눌려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변위하는 경우에는, 온 상태가 되어 불출 제어부(110)에 온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는, 접촉자(26a)가 눌리지 않는 상태에서 오프 상태가 되는 한편, 접촉자(26a)가 눌려 변위하는 경우에 온 상태가 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는, 접촉자(26a)가 눌리지 않는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는 한편, 접촉자(26a)가 눌려 변위하는 경우에 오프 상태가 되는 것이라도 좋다.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는,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보다 후방측에 위치한다. 이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는 소위 푸시형 스위치이며,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기립하도록 압박되는 접촉자(27a)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는, 접촉자(27a)가 눌리지 않는 상태에서는, 오프 상태가 되어 후술하는 불출 제어부(110)에 오프 신호를 송출하는 한편, 접촉자(27a)가 눌려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변위하는 경우에는, 온 상태가 되어 불출 제어부(110)에 온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는, 접촉자(27a)가 눌리지 않는 상태에서 오프 상태가 되는 한편, 접촉자(27a)가 눌려 변위하는 경우에 온 상태가 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는, 접촉자(27a)가 눌리지 않는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는 한편, 접촉자(27a)가 눌려 변위하는 경우에 오프 상태가 되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베이스(21)에는, 제1 요동 지지축(28a) 및 제2 요동 지지축(29a)이 마련된다. 제1 요동 지지축(28a)은,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양태로 제1 좌측 베어링편(22a), 제1 우측 베어링편(22b), 제2 좌측 베어링편(23a), 제2 우측 베어링편(23b) 및 베어링부(24)에 형성된 각 관통 구멍(22a1, 22b1, 23a1, 23b1, 24a)을 관통하여 가설된 축 형상 부재이며, 그 중간부에 하페달(28)을 지지한다.
또한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우측 단부에는 제1 품절 링크(30)가 설치된다. 제1 품절 링크(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품절 기초부(31)와, 제1 품절 접촉부(32)와, 제1 품절 누름부(3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제1 품절 기초부(31)는, 대략 원판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고,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우측 단부를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31a)이 형성된다. 제1 품절 접촉부(32)는, 제1 품절 기초부(31)의 후방측 부분에서 좌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1 품절 누름부(33)는, 제1 품절 기초부(31)의 하측 부분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 품절 기초부(31)에 형성한 관통 구멍(31a)은,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 품절 링크(30)가 제1 요동 지지축(28a)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된다.
제2 요동 지지축(29a)은,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 상측 영역에서,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양태로 제1 좌측 베어링편(22a), 제1 우측 베어링편(22b), 제2 좌측 베어링편(23a), 제2 우측 베어링편(23b) 및 베어링부(24)에 형성된 각 관통 구멍(22a2, 22b2, 23a2, 23b2, 24b)을 관통하여 가설된 축 형상 부재이며, 그 중간부에 상페달(29)을 지지한다.
하페달(28)은 플레이트형 부재이며, 기단부에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이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할 수 있게 되는 양태로 설치된다.
하페달(28)의 선단부는,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지름 바깥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중심축 둘레에서 요동하는 경우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로 진퇴 이동할 수 있다. 즉, 하페달(28)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페달(28)과 베이스(21) 사이에는 하페달 스프링(28b)이 개재된다. 하페달 스프링(28b)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하페달(28)을 진출 이동하는 방향을 향해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페달 스프링(28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페달(28)의 선단부가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페달(28)을 대기 자세(이하, 상품 없음 대기 자세라고도 함)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페달 스프링(28b)은, 하페달(28)의 상면에 상품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페달(28)의 선단부가 제1 요동 지지축(28a)과 동등한 높이 레벨에 위치하도록 하페달(28)을 대기 자세(이하, 상품 있음 대기 자세라고도 함)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페달(28)은,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에는, 상품 있음 대기 자세가 될 때보다 선단부가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하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로 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페달(28)의 기단부가 제1 품절 링크(30)의 제1 품절 접촉부(32)에 접촉하는 결과, 제1 품절 링크(30)는,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 품절 누름부(33)가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의 접촉자(26a)를 누른다. 이에 따라,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에서는, 접촉자(26a)가 눌려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온 상태가 되어, 온 신호를 불출 제어부(110)에 송출하게 된다.
그 한편, 하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페달(28)의 기단부가 제1 품절 링크(30)의 제1 품절 접촉부(32)로부터 이격되는 결과, 제1 품절 링크(30)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에서는, 접촉자(26a)가 스프링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기립한 자세가 되어 오프 상태가 되며, 오프 신호를 불출 제어부(110)에 송출하게 된다. 즉, 자유로운 상태가 된 제1 품절 링크(30)는, 제1 품절 누름부(33)가 접촉자(26a)에 눌림으로써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페달(28)은, 판 형상의 페달 본체부(281)와, 한 쌍의 안내부(282)를 구비한다. 한 쌍의 안내부(282)는, 상기 페달 본체부(281)의 배면측에 마련된다. 각 안내부(282)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 형상 부재이며,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각 안내부(282)의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안내홈(283)이 형성된다.
안내홈(283)은, 하페달(28)을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시킨 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도 6에 나타낸 상태)에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또한 후술하는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이 끼워 넣어지는 감입부(283a)와, 하페달(28)을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가장 퇴행 이동시킨 퇴행 위치에 배치한 상태(도 8에 나타낸 상태)에서, 가장 위쪽에 위치하면서 또한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이 접촉하는 접촉부(283d)와, 이들 감입부(283a) 및 접촉부(283d)가 연속되도록 접속하는 제1 안내부(283b) 및 제2 안내부(283c)를 구비한다.
제1 안내부(283b)는, 하페달(28)을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시킨 위치(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감입부(283a)로부터 베이스(21)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비스듬히 위쪽으로 경사지게 한 후, 베이스(21)에 대하여 근접하도록 비스듬히 위쪽으로 경사지게 하여 접촉부(283d)에 이르는 양태로 안내부(282)에 형성된다.
제2 안내부(283c)는, 하페달(28)을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시킨 위치(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접촉부(283d)로부터 베이스(21)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하여 감입부(283a)에 이르는 양태로 안내부(282)에 형성된다.
이러한 하페달(28)의 제1 요동 지지축(28a)으로부터의 지름 바깥 방향의 길이는,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한 위치(진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통로 폭 규정판(16)과의 사이에 최대 폭이 작은 상품의 최대 폭보다 작은 간극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된다.
상페달(29)은 플레이트형 부재이며, 기단부에 제2 요동 지지축(29a)을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이 제2 요동 지지축(29a)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할 수 있게 되는 양태로 베이스(21)에 설치된다.
상페달(29)의 선단부는, 제2 요동 지지축(29a)의 지름 바깥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제2 요동 지지축(29a)의 중심축 둘레에서 요동하는 경우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로 진퇴 이동할 수 있다. 즉, 상페달(29)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페달(29)과 베이스(21) 사이에는 상페달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된다. 상페달 스프링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상페달(29)이 퇴행 이동하는 방향을 향해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상기 상페달(29)에는, 누름 경사면(291), 오목부(292), 스토퍼 접촉부(293) 및 돌기부(294)가 형성된다. 누름 경사면(291)은, 상페달(29)의 선단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페달(29)을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퇴행 이동시킨 경우에는,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를 향해 점차 낮아지는 양태로 형성된 만곡형의 경사면이다. 오목부(292)는, 상페달(29)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페달(29)의 양측면으로 개구되는 양태로 형성한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1줄의 오목부이다. 스토퍼 접촉부(293)는, 후술하는 스토퍼 핀(34a)이 접촉하는 부위이며, 상페달(29)의 배면에서 오목부(292)의 위쪽으로 경사지는 양태로 형성된다.
돌기부(294)는, 상페달(29)의 기단부에 있어서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를 향해 돌출된 양태로 형성된다.
이 상페달(29)은, 상기 상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로 퇴행 이동하도록 눌리고 있는데, 상기 오목부(292)에 스토퍼 핀(34a)이 접촉함으로써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퇴행 이동한 상태로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이러한 상페달(29)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한 위치(진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도 8에 나타낸 상태)에서, 제2 요동 지지축(29a)을 통과하는 수직면에 대하여 앞으로 기운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페달(29)의 제2 요동 지지축(29a)으로부터의 지름 바깥 방향의 길이는, 전술한 앞으로 기운 상태에서, 통로 폭 규정판(16)과의 사이에 최대 폭이 작은 상품의 최대 폭보다 작은 간극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된다.
상기 베이스(21)에서, 베어링부(24)와 제2 우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스토퍼 핀(34a), 페달 스토퍼 핀(34b) 및 스토퍼축(34c)이 가설된다.
스토퍼 핀(34a)은, 베어링부(24)와 제2 우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된 축 형상 부재이며, 일단부가 제2 우측 베어링편(23b)의 스토퍼 핀 삽통 구멍(23b3)에 삽입 관통되고, 타단부가 제2 좌측 베어링편(23a)으로부터 노출된 베어링부(24)의 스토퍼 핀 삽통 구멍(24c1)에 삽입 관통된다. 이 스토퍼 핀(34a)은, 페달 링크(35)에 결합되어 있고, 이 페달 링크(35)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 핀 삽통 구멍(23b3, 24c1)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른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 핀(34a)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페달(29)의 오목부(292)에 접촉한다.
페달 스토퍼 핀(34b)은, 베어링부(24)와 제2 우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된 축 형상 부재이며, 일단부가 베어링부(24)의 페달 스토퍼 핀 지지홈(24c2)(스토퍼 핀 삽통 구멍(24c1)과 마찬가지로 상하로 연장되는 긴 홈이며, 참조 부호 24c1의 인출 부위인 홈 바닥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도 6에서는 보이지 않음)에 삽입 관통되고, 타단부가 제2 우측 베어링편(23b)의 페달 스토퍼 핀 지지홈(23b4)에 삽입 관통된다. 한편, 제2 좌측 베어링편(23a)에는 페달 스토퍼 핀 지지홈(24c2)이 노출되도록 삽통 홈(23a4)이 형성된다. 이 페달 스토퍼 핀(34b)은 페달 링크(35)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 페달 링크(35)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페달 스토퍼 핀 지지홈(23b4, 24c2)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른 이동이 가능하다. 이 페달 스토퍼 핀(34b)의 둘레면은, 페달 링크(35)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페달 스토퍼 핀 지지홈(23b4, 24c2)의 홈 내부를 슬라이딩하게 된다.
스토퍼축(34c)은, 베어링부(24)와 제2 우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된 축 형상 부재이며, 그 일단이 베어링부(24)의 스토퍼축 삽통 구멍(24c3)에 삽입 관통되고, 타단부가 제2 우측 베어링편(23b)의 관통 구멍(23b5)에 삽입 관통된다. 한편, 제2 우측 베어링편(23b)에는 스토퍼축(34c)의 삽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스토퍼축(34c)은 그 중간부에 회동 스토퍼(36)를 지지한다.
회동 스토퍼(36)는, 기단부의 삽통 구멍에 스토퍼축(34c)을 삽입 관통시키고, 또한 이 스토퍼축(34c)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할 수 있게 되는 양태로 베어링부(24)와 제2 우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설치된다.
회동 스토퍼(36)의 선단부는, 스토퍼축(34c)의 지름 바깥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스토퍼축(34c)의 중심축 둘레에서 요동하는 경우에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로 진퇴 이동할 수 있다.
이 회동 스토퍼(36)는, 선단부의 관통 구멍(36a)을 페달 조작축(361)이 관통하는 것인 상기 페달 조작축(361)을 갖고 있다. 페달 조작축(361)은,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된 축 형상 부재이며, 그 양단부를 상기 하페달(28)의 안내홈(283)에 끼워 넣고 있다.
상기 회동 스토퍼(36)와 베이스(21) 사이에는 페달 조작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된다. 페달 조작 스프링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회동 스토퍼(36)를 진출 이동시키는 방향을 향해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조작 스프링에 의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출 이동하는 방향을 향해 압박되어, 상기 회동 스토퍼(36)의 패임부(36b)에 페달 스토퍼 핀(34b)이 진입하여 그 페달 스토퍼 핀(34b)에 접촉함으로써 퇴행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고,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상태에서의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하페달(28)이 하페달 스프링(28b)에 의해 압박되기 때문에,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조작축(361)의 양단이 안내홈(283)의 감입부(283a)에 위치하고 있고, 하페달(28)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위치에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회동 스토퍼(36)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배면측, 즉 패임부(36b)의 배면측에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평판형의 가림부(36c)가 마련된다. 이 가림부(36c)는, 페달 스토퍼 핀(34b)의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와 반대쪽의 부분을 덮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림부(36c)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페달 스토퍼 핀(34b)의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와 반대쪽의 부분을 덮는 것이다.
상기 페달 링크(35)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판 형상 부재이며, 상부가 전방을 향해 굴곡된 후에 위쪽을 향해 연장된다. 이 페달 링크(35)의 상부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된 후에 비스듬히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접촉편(351)이 설치됨과 더불어, 링크 스프링(35a)을 거는 걸림부(352)가 마련된다. 이 링크 스프링(35a)은, 페달 링크(35)와 베이스(21) 사이에 개재하는 것으로, 페달 링크(35)를 아래쪽을 향해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페달 링크(35)가 링크 스프링(35a)에 의해 압박되어 아래쪽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스토퍼 핀 삽통 구멍(23b3, 24c1)의 하단부에 스토퍼 핀(34a)이 배치되고, 또한 페달 스토퍼 핀 지지홈(23b4, 24c2)의 하단부에 페달 스토퍼 핀(34b)이 배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토퍼 핀(34a)에, 퇴행 위치에 배치된 상페달(29)의 오목부(292)가 접촉한다. 더구나 페달 스토퍼 핀(34b)에 진출 위치에 배치된 회동 스토퍼(36)가 접촉하고 있어, 회동 스토퍼(36)의 퇴행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진출 위치에 배치된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은 상기 하페달(28)의 감입부(283a)에 끼워 넣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진출 위치에 배치된 하페달(28)의 퇴행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대하여 링크 스프링(35a)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페달 링크(35)가 위쪽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핀 삽통 구멍(23b3, 24c1)의 상단부에 스토퍼 핀(34a)이 배치되고, 또한 페달 스토퍼 핀 지지홈(23b4, 24c2)의 상단부에 페달 스토퍼 핀(34b)이 배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 핀(34a)에 상페달(29)의 스토퍼 접촉부(293)가 접촉함으로써, 상페달(29)의 퇴행 이동이 규제되고, 상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페달(29)이 진출 이동하여 진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스토퍼 핀(34b)에 의한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되기 때문에, 스토퍼축(34c)을 중심으로 하여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된다. 여기서, 회동 스토퍼(36)에는 이 회동 스토퍼(36)에 의해 진출 위치에 유지된 하페달(28)에 접촉한 상품의 하중이 걸리고, 회동 스토퍼(36)의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됨으로써 회동 스토퍼(36)는 퇴행 이동을 시작한다. 회동 스토퍼(36)의 퇴행 이동이 시작되면 페달 조작축(361)이 하페달(28)의 감입부(283a)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하페달(28)은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중심으로 하여 퇴행 이동이 허용되어 상품의 하중에 의해 하페달 스프링(28b)의 탄성 압박력에 대항하여 퇴행 이동하게 된다(도 8 참조).
그리고, 이와 같이 하페달(28)이 퇴행 이동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페달(28)의 기단부가 제1 품절 링크(30)의 제1 품절 접촉부(32)로부터 이격되는 결과, 제1 품절 링크(30)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에서는, 접촉자(26a)가 스프링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기립한 자세가 되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즉, 하페달(28)이 퇴행 이동하는 경우도 상품 있음 대기 자세와 마찬가지로, 제1 품절 링크(30)가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의 접촉자(26a)를 누르지 않는다.
그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는, 상기한 구성 외에 구동 유닛(40)을 구비한다.
도 16 및 도 17은 각각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서의 구동 유닛(40)의 주요부를 나타낸 것이며, 도 16은 우측 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7은 좌측 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구동 유닛(40)은 베이스(21)의 배면측 상부의 중앙 영역에 설치된다. 이 구동 유닛(40)은, 베이스(21)의 배면에 부착되는 유닛 베이스(41)를 구비한다.
유닛 베이스(41)는, 예컨대 수지재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뒷면이 개구된 상자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유닛 베이스(41)는, 수지제의 유닛 커버(42)가 부착됨으로써 뒷면의 개구가 폐색되어, 유닛 커버(42)와의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유닛 베이스(41)와 유닛 커버(42)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는, 모터(43), 기어 부재(44), 캐리어 스위치(45) 및 링크 레버(46)가 수납된다.
모터(43)는 구동원이 되는 것이며, 후술하는 불출 제어부(110)로부터 주어지는 지령에 따라 구동하는 정역회전 가능한 직류 모터이다. 이 모터(43)는, 유닛 베이스(41)의 모터 유지부(41a)에 유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기어 부재(44)는, 웜 기어(441), 중간 기어(442) 및 출력 기어(44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웜 기어(441)는 웜(441a)과 웜 휠(441b)을 갖고 있다.
웜(441a)은 원통형의 형태를 이루어, 모터(43)의 출력축(43a)에 부착된다. 웜 휠(441b)은 원판형의 제1 웜 휠(441b1)과 원판형의 제2 웜 휠(441b2)을 갖고 있다.
제1 웜 휠(441b1)은 중심 부분에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축형상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둘레면에 복수의 톱니로 이루어지는 기어부가 형성된다.
제2 웜 휠(441b2)은, 제1 웜 휠(441b1)의 앞면 측에 위치하고 있고, 자체의 중심축이 제1 웜 휠(441b1)의 축형상부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축형상부가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양태로 형성된다. 이 제2 웜 휠(441b2)의 둘레면에도 복수의 톱니로 이루어지는 기어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웜 휠(441b)은, 제1 웜 휠(441b1)의 기어부가 웜(441a)에 맞물린 상태에서 축형상부가 유닛 베이스(41) 및 유닛 커버(42)의 오목부(41b, 42b)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축형상부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중간 기어(442)는, 원판형의 제1 중간 기어(442a)와, 원판형의 제2 중간 기어(442b)를 갖고 있다. 제1 중간 기어(442a)는 중심 부분에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축형상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둘레면에 복수의 톱니로 이루어지는 기어부가 형성된다.
제2 중간 기어(442b)는, 제1 중간 기어(442a)의 뒷면 측에 위치하고 있고, 자체의 중심축이 제1 중간 기어(442a)의 축형상부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축형상부가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양태로 형성된다. 이 제2 중간 기어(442b)의 둘레면에도 복수의 톱니로 이루어지는 기어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중간 기어(442)는, 제1 중간 기어(442a)의 기어부가 제2 웜 휠(441b2)의 기어부에 맞물린 상태로 축형상부가 유닛 베이스(41) 및 유닛 커버(42)의 오목부(41c, 42c)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축형상부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출력 기어(443)는, 웜 휠(441b)이나 중간 기어(442)에 비하여 지름이 확장되는 원판형을 이루고 있다. 이 출력 기어(443)의 둘레면에도 복수의 톱니로 이루어지는 기어부가 형성된다. 또한, 출력 기어(443)의 중심 부분에는 전후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축형상부가 형성된다. 더욱이, 출력 기어(443)는, 앞면에 캠부(443a)가 형성되고, 또한 뒷면에 누름편(443b)이 형성된다.
캠부(443a)는 원호형의 형태를 이루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양태로 형성된다. 이 캠부(443a)는, 그 원호형의 길이가 페달 링크(35)를 위쪽을 향해 이동시킨 후에 그 상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크기가 되도록 형성된다.
누름편(443b)은 대략 V자형을 이루고 있고, 캠부(443a)와 반대쪽의 면이 되는 뒷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양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출력 기어(443)는, 기어부가 제2 중간 기어(442b)의 기어부에 맞물린 상태에서 축형상부가 유닛 베이스(41) 및 유닛 커버(42)의 오목부(41d, 42d)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축형상부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캐리어 스위치(45)는 소위 푸시형 스위치이며, 접촉자(45a)를 구비한다. 이 캐리어 스위치(45)는, 출력 기어(443)가 설치되는 영역보다 약간 위쪽에 유지된 상태로 유닛 베이스(41)에 설치된다. 이 캐리어 스위치(45)는, 접촉자(45a)가 눌리면 온 상태가 되고, 그 취지를 온 신호로서 불출 제어부(110)에 부여하는 것인 한편, 접촉자(45a)가 눌리지 않는 경우는 오프 상태가 되고, 그 취지를 오프 신호로서 불출 제어부(110)에 부여하는 것이다.
링크 레버(46)는, 제1 링크 레버(461) 및 제2 링크 레버(462)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제1 링크 레버(461)는, 예컨대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단부(461a)에 관통 구멍(461a1)이 형성된다. 이 제1 링크 레버(461)는, 선단부(461b)가 기단부(461a)에서 우측으로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에 우측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만곡된 후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1 링크 레버(461)의 기단부(461a)에는 걸림부(461c)가 마련된다. 걸림부(461c)는, 기단부(461a)의 좌측 단부보다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판 형상의 탄성 부재이다.
이러한 제1 링크 레버(461)는, 기단부(461a)의 관통 구멍(461a1)에 유닛 커버(42)에 설치된 제1 링크축(42e)이 삽입 관통함으로써 출력 기어(443)의 전방측에서 제1 링크축(42e)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제1 링크 레버(461)는, 유닛 베이스(41) 및 유닛 커버(42)에 의해 형성되는 우측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관통하고 있고, 선단부(461b)가 유닛 베이스(41) 및 유닛 커버(42)의 외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링크 레버(461)는, 우측 개구의 좌측 가장자리(471)에 걸림부(461c)가 접촉함으로써 정상 상태에서의 자세가 정해진다.
제2 링크 레버(462)는, 예컨대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단부(462a)에 관통 구멍(462a1)이 형성된다. 이 제2 링크 레버(462)는, 선단부(462b)가 기단부(462a)에서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에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만곡된 후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제2 링크 레버(462)의 선단부(462b)는, 제1 링크 레버(461)의 선단부(461b)보다 전후폭이 크게 되어 있다. 더욱이, 제2 링크 레버(462)의 기단부(462a)에는 걸림부(462c)가 마련된다. 걸림부(462c)는, 기단부(462a)의 우측 단부보다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판 형상의 탄성 부재이다.
이러한 제2 링크 레버(462)는, 기단부(462a)의 관통 구멍(462a1)에 유닛 커버(42)에 설치된 제2 링크축(42f)이 삽입 관통함으로써 출력 기어(443)의 전방측에서 제2 링크축(42f)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제2 링크 레버(462)는, 유닛 베이스(41) 및 유닛 커버(42)에 의해 형성되는 좌측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관통하고, 선단부(462b)가 유닛 베이스(41) 및 유닛 커버(42)의 외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링크 레버(462)는, 좌측 개구의 우측 가장자리부(472)에 걸림부(462c)가 접촉함으로써 정상 상태에서의 자세가 정해진다.
도 18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를 우측 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2 내지 도 4, 도 18에 도시된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또한,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는, 대부분의 구성 요소가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구성 요소와 공통되고,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전후의 방향이 다름으로써 좌우 방향이 반대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의 설명에서는, 도시를 적절하게 생략하고,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의 구성 요소 중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구성 요소와 공통되는 것에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서 붙인 부호에 「'」를 붙여 간단히 설명한다.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는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적용되는 것이며, 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는, 대향하는 통로 폭 규정판(17)과의 사이에서 상품의 거동을 제어함으로써, 대기 상태에서는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상품을 수납하는 한편, 구동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상품을 하나씩 상품 슈트(5)로 반출하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베이스(21')를 구비한다.
베이스(21')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에 절삭 가공 및 굴곡 가공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자체의 표면을 통로 폭 규정판(17)에 대향시키는 양태로 설치된다. 이 베이스(21')는, 양측부가 굴곡됨으로써 측벽(21a')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중간부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이 형성된다.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의 주연부는 측벽(21a')과 마찬가지로 굴곡되어 플랜지가 형성된다.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은, 서로 좌우로 늘어서도록 형성되어 있고, 치수가 동일한 크기를 갖고 있다. 이들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은, 제1 삽통 구멍(22')이 제2 삽통 구멍(23')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삽통 구멍(22')의 좌우 폭이 제2 삽통 구멍(23')의 좌우 폭보다 큰 것이다. 또한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은, 서로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관통 개구(후술하는 하페달(28') 및 상페달(29')을 베이스(21') 안으로 퇴행시키는 오목부)이며, 제1 삽통 구멍(22')의 상단부가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 삽통 구멍(23')의 상단부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삽통 구멍(22')의 우측 가장자리부에는 제1 우측 베어링편(22a')이 설치되고, 또한 제1 삽통 구멍(22')의 좌측 가장자리부에는 제1 좌측 베어링편(22b')이 설치되고, 제2 삽통 구멍(23')의 우측 가장자리부에는, 제2 우측 베어링편(23a')이 설치되고, 또한 제2 삽통 구멍(23')의 좌측 가장자리부에는, 제2 좌측 베어링편(23b')이 설치된다. 한편, 제1 좌측 베어링편(22b') 및 제2 우측 베어링편(23a')은,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의 주연부에 형성한 플랜지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좌측 베어링편(22b') 및 제2 우측 베어링편(23a')은, 후술하는 베어링부(24')를 끼워 맞춰 유지하는 곳의, 베이스(21')에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횡단면 'ㄷ'자형(불연속)으로 형성된 베어링 유지부에 있어서의 'ㄷ'자형의 양 다리편을 이루는 축 삽통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베어링 유지부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제1 삽통 구멍(22')과 제2 삽통 구멍(23')으로 이루어지는 큰 관통 개구를 베이스(21')에 형성한 경우에도 베이스(21')의 강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베이스(21')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어링부(24') 및 가이드(48)가 장착된다. 베어링부(24')는, 수지 재료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제1 좌측 베어링편(22b')과 제2 우측 베어링편(23a') 사이에 끼워져 있다. 가이드(48)는, 베어링부(24')와 마찬가지로 수지 재료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제2 좌측 베어링편(23b')에 인접하는 양태로 베이스(21')에 끼워져 있다.
상기 베이스(21')에는, 제1 요동 지지축(28a') 및 제2 요동 지지축(29a')이 마련된다. 제1 요동 지지축(28a')은,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양태로 제1 우측 베어링편(22a'), 제1 좌측 베어링편(22b'), 제2 우측 베어링편(23a'), 제2 좌측 베어링편(23b') 및 베어링부(24')에 형성된 각 관통 구멍(22a1', 22b1', 23a1', 23b1', 24a')을 관통하여 가설된 축 형상 부재이며, 그 중간부에 하페달(28')을 지지한다.
또한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우측 단부에는, 제2 품절 링크(50)가 설치된다. 제2 품절 링크(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품절 기초부(51)와, 제2 품절 접촉부(52)와, 제2 품절 누름부(5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제2 품절 기초부(51)는, 예컨대 2개의 C자형을 이루는 원판형 부위(511, 512)의 하단부끼리를 연결부(513)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각 원판형 부위(511, 512)에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우측 단부를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511a, 512a)이 형성된다. 제2 품절 접촉부(52)는, 제2 품절 기초부(51) 중 좌측의 원판형 부위(512)의 전방측 부분에서 좌측을 향해 연장된다. 이 제2 품절 접촉부(52)는, 제1 품절 링크(30)를 구성하는 제1 품절 접촉부(32)보다 좌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2 품절 누름부(53)는, 제2 품절 기초부(51)의 우측의 원판형 부위(511)의 하측 부분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 품절 기초부(51)에 형성한 관통 구멍(511a, 512a)은,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 품절 링크(50)가 제1 요동 지지축(28a')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요동 지지축(29a')은,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 상측 영역에서,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양태로 제1 우측 베어링편(22a'), 제1 좌측 베어링편(22b'), 제2 우측 베어링편(23a'), 제2 좌측 베어링편(23b') 및 베어링부(24')에 형성된 각 관통 구멍(22a2', 22b2', 23a2', 23b2', 24b')을 관통하여 가설된 축 형상 부재이며, 그 중간부에 상페달(29')을 지지한다.
하페달(28')은 플레이트형 부재이며, 기단부에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이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할 수 있게 되는 양태로 설치된다.
하페달(28')의 선단부는,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지름 바깥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제1 요동 지지축(28a')의 중심축 둘레에서 요동하는 경우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진퇴 이동할 수 있다. 즉, 하페달(28')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페달(28')과 베이스(21') 사이에는 하페달 스프링(28b')이 개재된다. 하페달 스프링(28b')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하페달(28')을 진출 이동하는 방향을 향해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페달 스프링(28b')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페달(28')의 선단부가 제1 요동 지지축(28a')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페달(28')을 대기 자세(이하, 상품 없음 대기 자세라고도 함)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페달 스프링(28b')은, 하페달(28')의 상면에 상품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하페달(28')의 선단부가 제1 요동 지지축(28a')과 동등한 높이 레벨에 위치하도록 하페달(28')을 대기 자세(이하, 상품 있음 대기 자세라고도 함)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페달(28')은, 상품 없음 대기 자세로 되는 경우에는, 상품 있음 대기 자세가 될 때보다 선단부가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하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페달(28')의 기단부가 제2 품절 링크(50)의 제2 품절 접촉부(52)에 접촉하는 결과, 제2 품절 링크(50)는,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 품절 누름부(53)가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의 접촉자(27a)를 누른다. 이에 따라,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에서는, 접촉자(27a)가 눌려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온 상태가 되어, 온 신호를 불출 제어부(110)에 송출하게 된다.
그 한편, 하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하페달(28')의 기단부가 제2 품절 링크(50)의 제2 품절 접촉부(52)로부터 이격되는 결과, 제2 품절 링크(50)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에서는, 접촉자(27a)가 스프링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기립한 자세가 되어 오프 상태로 되어, 오프 신호를 불출 제어부(110)에 송출하게 된다. 즉, 자유로운 상태가 된 제2 품절 링크(50)는, 제2 품절 누름부(53)가 접촉자(27a)에 눌림으로써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페달(28')은, 판 형상의 페달 본체부(281')와, 한 쌍의 안내부(282')를 구비한다. 한 쌍의 안내부(282')는, 상기 페달 본체부(281')의 배면측에 설치된다. 각 안내부(282')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 형상 부재이며,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각 안내부(282')의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안내홈이 형성된다.
안내홈은, 하페달(28')을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시킨 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또한 후술하는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도시하지 않음)이 끼워 넣어지는 감입부와, 하페달(28')을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가장 퇴행 이동시킨 퇴행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가장 위쪽에 위치하면서, 또한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이 접촉하는 접촉부와, 이들 감입부 및 접촉부가 연속되도록 접속하는 제1 안내부 및 제2 안내부를 구비한다.
제1 안내부는, 하페달(28')을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시킨 위치(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감입부로부터 베이스(21')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비스듬히 위쪽으로 경사진 후, 베이스(21')에 대하여 근접하도록 비스듬히 위쪽으로 경사져 접촉부에 이르는 양태로 안내부(282')에 형성된다.
제2 안내부는, 하페달(28')을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시킨 위치(진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접촉부로부터 베이스(21')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경사져 감입부에 이르는 양태로 안내부(282')에 형성된다.
이러한 하페달(28')의 제1 요동 지지축(28a')으로부터의 지름 바깥 방향의 길이는,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한 위치(진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통로 폭 규정판(17)과의 사이에 최대 폭이 작은 상품의 최대 폭보다 작은 간극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된다.
상페달(29')은 플레이트형 부재이며, 기단부에 제2 요동 지지축(29a')을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이 제2 요동 지지축(29a')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할 수 있게 되는 양태로 베이스(21')에 설치된다.
상페달(29')의 선단부는, 제2 요동 지지축(29a')의 지름 바깥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제2 요동 지지축(29a')의 중심축 둘레에서 요동하는 경우에 제1 삽통 구멍(22') 및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진퇴 이동할 수 있다. 즉, 상페달(29')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페달(29')과 베이스(21') 사이에는 상페달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된다. 상페달 스프링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상페달(29')이 퇴행 이동하는 방향을 향해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상기 상페달(29')에는, 누름 경사면(291'), 오목부(292'), 스토퍼 접촉부(293') 및 돌기부(294')가 형성된다. 누름 경사면(291')은, 상페달(29')의 선단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페달(29')을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퇴행 이동시킨 경우에는,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를 향해 점차 낮아지는 양태로 형성된 만곡형의 경사면이다. 오목부(292')는, 상페달(29')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페달(29')의 양측면에 개구되는 양태로 형성한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1줄의 오목부이다. 스토퍼 접촉부(293')는, 후술하는 스토퍼 핀이 접촉하는 부위이며, 상페달(29')의 배면에서 오목부(292')의 위쪽으로 경사지는 양태로 형성된다.
돌기부(294')는, 상페달(29')의 기단부에 있어서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를 향해 돌출된 양태로 형성된다.
이 상페달(29')은, 상기 상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로 퇴행 이동하도록 압박되는데, 상기 오목부(292')에 스토퍼 핀이 접촉함으로써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퇴행 이동한 상태로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이러한 상페달(29')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가장 진출 이동한 위치(진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2 요동 지지축(29a')을 통과하는 수직면에 대하여 앞으로 기운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페달(29')의 제2 요동 지지축(29a')으로부터의 지름 바깥 방향의 길이는, 전술한 앞으로 기운 상태에서, 통로 폭 규정판(17)과의 사이에 최대 폭이 작은 상품의 최대 폭보다 작은 간극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된다.
상기 베이스(21')에서, 베어링부(24')와 제2 좌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스토퍼 핀(도시하지 않음), 페달 스토퍼 핀(34b') 및 스토퍼축(34c')이 가설된다.
스토퍼 핀은, 베어링부(24')와 제2 좌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된 축 형상 부재이다. 이 스토퍼 핀은, 페달 링크(35')에 결합되어 있고, 이 페달 링크(35')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을 따른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 핀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페달(29')의 오목부(292')에 접촉한다.
페달 스토퍼 핀(34b')은, 베어링부(24')와 제2 좌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된 축 형상 부재이다. 이 페달 스토퍼 핀(34b')은, 페달 링크(35')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페달 링크(35')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을 따른 이동이 가능하다.
스토퍼축(34c')은, 베어링부(24')와 제2 좌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된 축 형상 부재이며, 그 중간부에 회동 스토퍼(36')를 지지한다.
회동 스토퍼(36')는, 기단부의 삽통 구멍에 스토퍼축(34c')을 삽입 관통시키고, 또한 이 스토퍼축(34c')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할 수 있게 되는 양태로 베어링부(24')와 제2 좌측 베어링편(23b') 사이에 설치된다.
회동 스토퍼(36')의 선단부는, 스토퍼축(34c')의 지름 바깥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스토퍼축(34c')의 중심축 둘레에서 요동하는 경우에 제2 삽통 구멍(23')을 통하여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로 진퇴 이동할 수 있다.
이 회동 스토퍼(36')는, 선단부의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페달 조작축(361')(도 4 참조)이 관통하는 것인 상기 페달 조작축(361')을 갖고 있다. 페달 조작축(361')은,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된 축 형상 부재이며, 그 양단부를 상기 하페달(28')의 안내홈에 끼워 넣고 있다.
상기 회동 스토퍼(36')와 베이스(21') 사이에는 페달 조작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된다. 페달 조작 스프링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회동 스토퍼(36')를 진출 이동시키는 방향을 향해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조작 스프링에 의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출 이동하는 방향을 향해 압박되어, 상기 회동 스토퍼(36')의 패임부(36b')에 페달 스토퍼 핀(34b')이 진입하여 상기 페달 스토퍼 핀(34b')에 접촉함으로써 퇴행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상태에서의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하페달(28')이 하페달 스프링(28b')에 의해 압박되기 때문에,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조작축(361')의 양단이 안내홈의 감입부에 위치하고, 하페달(28')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위치에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회동 스토퍼(36')에는, 그 배면측, 즉 패임부(36b')의 배면측에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평판형의 가림부(36c')가 마련된다. 이 가림부(36c')는, 페달 스토퍼 핀(34b')의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와 반대쪽의 부분을 덮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림부(36c')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페달 스토퍼 핀(34b')의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와 반대쪽의 부분을 덮는 것이다.
상기 페달 링크(35')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판 형상 부재이며, 상부가 후방을 향해 굴곡된 후에 위쪽을 향해 연장된다. 이 페달 링크(35')의 상부에는, 전방을 향해 연장된 후에 비스듬히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접촉편(351')이 설치됨과 더불어, 링크 스프링(35a')을 거는 걸림부(352')가 마련된다. 이 링크 스프링(35a')은, 페달 링크(35')와 베이스(21') 사이에 개재하는 것으로, 페달 링크(35')를 아래쪽을 향해 항상 압박하는 것이다.
페달 링크(35')가 링크 스프링(35a')에 의해 압박되어 아래쪽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스토퍼 핀에 퇴행 위치에 배치된 상페달(29')의 오목부(292')가 접촉한다. 또한 페달 스토퍼 핀(34b')에 진출 위치에 배치된 회동 스토퍼(36')가 접촉하고 있어, 회동 스토퍼(36')의 퇴행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진출 위치에 배치된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은 상기 하페달(28')의 감입부에 끼워 넣어져 있고, 이에 따라 진출 위치에 배치된 하페달(28')의 퇴행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대하여 링크 스프링(35a')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페달 링크(35')가 위쪽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스토퍼 핀에 상페달(29')의 스토퍼 접촉부(293')가 접촉함으로써, 상페달(29')의 퇴행 이동이 규제되고, 상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페달(29')이 진출 이동하여 진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회동 스토퍼(36')는, 페달 스토퍼 핀(34b')에 의한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되기 때문에, 스토퍼축(34c')을 중심으로 하여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된다. 여기서, 회동 스토퍼(36')에는 상기 회동 스토퍼(36')에 의해 진출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하페달(28')에 접촉한 상품의 하중이 걸리고, 회동 스토퍼(36')가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됨으로써 회동 스토퍼(36')는 퇴행 이동을 시작한다. 회동 스토퍼(36')의 퇴행 이동이 시작되면 페달 조작축(361')이 하페달(28')의 감입부(283a)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하페달(28')은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중심으로 하여 퇴행 이동이 허용되어 상품의 하중에 의해 하페달 스프링(28b')의 탄성 압박력에 대항하여 퇴행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페달(28')이 퇴행 이동하는 경우, 하페달(28')의 기단부가 제2 품절 링크(50)의 제2 품절 접촉부(52)로부터 이격되는 결과, 제2 품절 링크(50)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에서는, 접촉자(27a)가 스프링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기립한 자세가 되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즉, 하페달(28')이 퇴행 이동하는 경우도 상품 있음 대기 자세와 마찬가지로, 제2 품절 링크(50)가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의 접촉자(27a)를 누르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와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를, 하니스 가이드(25)를 가이드 부재로 하여 서로 등을 맞대고 결합시킴으로써 상품 불출 장치(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구동 유닛(40)을 구성하는 제1 링크 레버(461)는, 선단부가 페달 링크(35)의 접촉편(351)의 아래쪽 영역에 위치하고 있고, 제2 링크 레버(462)는, 선단부가 페달 링크(35')의 접촉편(351')의 아래쪽 영역에 위치한다.
도 22는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의 특징적인 제어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불출 장치(20)는 불출 제어부(110)를 구비한다. 불출 제어부(110)는, 메모리(111)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 상품 불출 장치(20)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자동판매기의 판매 동작을 통괄하는 자판기 제어부(100)와 통신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상품 불출 장치(20)에서는, 대기 상태에서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설치된 구동 유닛(40)에서는, 출력 기어(443)의 캠부(443a) 및 누름편(443b)이 가장 위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누름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를 누르고 있다. 이 경우, 캐리어 스위치(45)는 온 상태가 된다.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는, 구동 유닛(40)을 구성하는 제1 링크 레버(461)의 선단부(461b)가 페달 링크(35)의 접촉편(35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고, 제2 링크 레버(462)의 선단부(462b)가 페달 링크(35')의 접촉편(35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다.
그 때문에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서는, 도 5 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링크(35)가 아래쪽에 배치된 상태에 있다. 또한,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투입된 상품에 의해 하페달(28)의 상면에 상품이 배치됨으로써 하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가 되면서, 또한 상페달(29)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서 퇴행 이동한 자세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이기 때문에,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는 접촉자(26a)가 기립한 자세가 되어 오프 상태가 된다.
또한,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에서는, 페달 링크(35')가 아래쪽에 배치된 상태에 있고, 하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되어 있으면서, 또한 상페달(29')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로부터 퇴행 이동한 자세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페달(28')이 상품 있음 대기 자세이기 때문에,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는 접촉자(27a)가 기립한 자세가 되어 오프 상태가 된다.
도 24는 상기 불출 제어부(110)가 실시하는 불출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러한 불출 제어 처리를 설명하면서 상품 불출 장치(2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수납된 상품을 「제1 상품」이라고도 부르고,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수납된 상품을 「제2 상품」이라고도 부르면서 설명한다.
불출 제어 처리에 있어서 불출 제어부(110)는, 자판기 제어부(100)로부터 제1 상품의 반출 지령이 주어진 경우(단계 S101: Yes), 모터(43)를 정회전 구동시킨다(단계 S102).
이와 같이 모터(43)를 정회전 구동시키면, 웜 기어(441) 및 중간 기어(442)를 통해 모터(43)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출력 기어(443)는, 전방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출력 기어(443)가 전방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출력 기어(443)의 누름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로부터 이탈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는 눌린 상태에서 해방되어 오프 상태가 된다.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가 제1 링크 레버(461)의 기단부(461a)에 위쪽에서 접촉하면, 제1 링크 레버(461)는 전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제1 링크 레버(46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선단부(461b)가 위쪽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선단부(461b)가 위쪽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링크(35)의 접촉편(351)에 접촉하여, 링크 스프링(35a)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페달 링크(35)를 위쪽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고, 더구나 캠부(443a)가 기단부(461a)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는 동안은, 페달 링크(35)를 소정 거리만큼 위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링크 레버(461)는, 캠부(443a)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 상기 캠부(443a)와의 슬라이딩 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면(가)이 자체의 중심축(제1 링크축(42e)의 중심축)과 출력 기어(443)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나)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조정된다.
이 페달 링크(35)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 핀(34a)은 스토퍼 핀 삽통 구멍(23b3, 24c1)의 하단부에서 위쪽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페달 스토퍼 핀(34b)은 페달 스토퍼 핀 지지홈(23b4, 24c2)의 하단부에서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스토퍼 핀(34a)이 상페달(29)의 오목부(292)의 가장자리 벽에 접촉하면서 위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페달(29)은, 상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초기 위치로부터 진출 이동한다. 이 상페달(29)의 진출 이동은, 스토퍼 핀(34a)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토퍼 핀(34a)이 스토퍼 핀 삽통 구멍(23b3, 24c1)의 상단부에 도달한 시점에서 스토퍼 접촉부(293)에 접촉하여 상페달(29)의 퇴행을 규제한다.
그리고, 진출 이동한 상페달(29)은, 최하위에서 2번째의 제1 상품(이하, 다음 상품이라고도 함)에 접촉하여, 다음 상품이 아래쪽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한편, 회동 스토퍼(36)는, 진출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하페달(28)에 접촉한 상품의 하중이 걸려 있기 때문에, 상기 페달 스토퍼 핀(34b)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됨으로써 회동 스토퍼(36)는 퇴행 이동을 시작한다.
이와 같이 회동 스토퍼(36)가 퇴행 이동을 시작하면, 페달 조작축(361)이 감입부(283a)에서 빠져나와, 상품 자중에 의해 하페달 스프링(28b)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하페달(28)이 퇴행 이동을 시작한다. 감입부(283a)에서 빠져나온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은, 제1 안내부(283b)를 따라가, 제1 안내부(283b)와 제2 안내부(283c)가 교차하는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이후, 최하위 상품의 자중에 의해 하페달(28)이 퇴행 이동하여, 최하위 상품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허용되어, 최하위 상품은 아래쪽으로 반출된다(도 8 참조). 반출된 상품은, 상품 슈트(5)를 통해 상품 반출구(3c)로 안내되고, 또한 상품 추출구(2a)를 통해 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최하위 상품이 하페달(28)을 이탈하면, 하페달(28)은 하페달 스프링(28b)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 진출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동시에, 회동 스토퍼(36)도 페달 조작 스프링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 진출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하페달(28) 및 회동 스토퍼(36)가 진출 위치를 향해 이동하면, 제1 안내부(283b)와 제2 안내부(283c)가 교차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던 페달 조작축(361)이 감입부(283a)를 향해 제2 안내부(283c)를 따라 이동하여, 하페달(28) 및 회동 스토퍼(36)가 진출 위치로 복귀한다.
이 사이, 페달 링크(35)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스토퍼 핀(34a)이 스토퍼 핀 삽통 구멍(23b3, 24c1)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페달 스토퍼 핀(34b)이 페달 스토퍼 핀 지지홈(23b4, 24c2)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와 기단부(462a)의 접촉이 해제되면, 링크 스프링(35a)에 의해 페달 링크(35)는 압박되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 페달 링크(35)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스토퍼 핀(34a)은 스토퍼 핀 삽통 구멍(23b3, 24c1)의 상단부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페달 스토퍼 핀(34b)은 페달 스토퍼 핀 지지홈(23b4, 24c2)의 상단부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페달 스토퍼 핀(34b)이 페달 스토퍼 핀 지지홈(23b4, 24c2)의 하단으로 이동하면, 진출 위치로 복귀한 회동 스토퍼(36)의 배면측의 패임부(36b)에 페달 스토퍼 핀(34b)이 접촉한다. 이에 따라 퇴행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하페달(28)은 하페달 스프링(28b)의 압박력에 의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상품 없음 대기 자세까지 복귀한다.
한편, 상페달(29)은, 상페달 스프링에 의해 압박되고, 스토퍼 핀(34a)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퇴행 이동한다. 이에 따라 다음 상품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그 후 상기 다음 상품은 진출 이동한 하페달(28)에 접촉하여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한편, 하페달(28)은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이행하여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구동 유닛(40)에서는, 출력 기어(443)의 전방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을 따른 회전에 의해, 그 후에 캠부(443a)가 제2 링크 레버(462)의 기단부(462a)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링크 레버(462)는, 걸림부(462c)가 좌측 개구의 우측 가장자리부(472)에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중심축 둘레의 회전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기단부(462a)가 걸림부(462c)에 근접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걸림부(462c)는 탄성 변형하여,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한 캠부(443a)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후에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가 대기 상태의 위치로 되돌아가면, 누름편(443b)가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를 눌러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가 된다. 한편, 누름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를 누른 직후에 캠부(443a)가 제2 링크 레버(462)의 기단부(462a)에서 벗어나고 제2 링크 레버(462)는 걸림부(462c)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 S102에서의 모터(43)의 정회전 구동에서는, 불출 제어부(110)는, 소정 시간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로 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단계 S103, 단계 S104). 즉, 소정 시간 내에 출력 기어(443)가 1 회전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이 결과,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로 되는 경우(단계 S103: Yes, 단계 S104: No), 불출 제어부(110)는, 모터(43)의 정회전 구동을 정지시키고(단계 S105),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반출 지령이 주어진 제1 상품을 양호하게 반출할 수 있다.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로 되지 않는 경우, 즉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지 않는 경우(단계 S103: No, 단계 S104: Yes), 불출 제어부(110)는 재시행 처리(1)를 실시한다(단계 S200).
도 28은 도 24에 도시된 불출 제어 처리에 있어서의 재시행 처리(1)의 처리 내용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재시행 처리(1)에 있어서 불출 제어부(110)는, 모터(43)를 역회전 구동시켜,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로 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단계 S201, 단계 S202, 단계 S203). 이와 같이 모터(43)를 역회전 구동시키면, 웜 기어(441) 및 중간 기어(442)를 통해 모터(43)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출력 기어(443)는, 전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모터(43)를 역회전 구동시킬 때, 적어도 출력 기어(443)의 캠부(443a)가 제2 링크 레버(462)의 기단부(462a)에 접촉한 상태, 즉 캠부(443a)가 기단부(462a)를 통과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모터(43)를 역회전 구동하더라도 제2 링크 레버(462)에 악영향(제2 상품 반출 장치(20b)에서 제2 상품을 반출하는 것)을 미치게 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로 되는 경우(단계 S202: Yes, 단계 S203: No), 불출 제어부(110)는, 모터(43)의 역회전 구동을 정지시키고(단계 S204), 모터(43)를 재차 정회전 구동시킨다(단계 S205). 그리고,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로 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단계 S206, 단계 S207).
그 후,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로 되는 경우(단계 S206: Yes, 단계 S207: No), 즉, 소정 시간 내에 출력 기어(443)가 전방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1 회전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상품이 반출된 것으로 하여, 모터(43)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에 재시행이 성공한 것으로 판정하고(단계 S208, 단계 S209),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재시행 처리(1)를 종료한다.
한편,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로 되지 않는 경우(단계 S206: No, 단계 S207: Yes), 불출 제어부(110)는, 문제점이 생긴 것으로 재시행이 실패한 것으로 판정하고(단계 S210),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재시행 처리(1)를 종료한다. 또한, 단계 S201의 순서에 대하여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로 되지 않는 경우도(단계 S202: No, 단계 S203: Yes), 불출 제어부(110)는, 재시행이 실패한 것으로 판정하고(단계 S210),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재시행 처리(1)를 종료한다.
이러한 재시행 처리(1)를 실시한 불출 제어부(110)는, 재시행이 성공한 경우(단계 S106: Yes),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단계 S107),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불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르면, 새로운 제1 상품의 불출 지령이 주어짐으로써, 제1 상품의 불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재시행이 실패한 경우(단계 S106: No),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의 제1 상품에 관해서는 품절된 것으로 하여 품절 판정을 하고(단계 S108),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르면, 제1 상품은 품절된 것으로 하여 품절 램프등이 점등되고, 이 제1 상품의 판매를 중지로 할 수 있다.
한편, 불출 제어부(110)는, 자판기 제어부(100)로부터 제2 상품의 반출 지령이 주어진 경우(단계 S101: No, 단계 S109: Yes), 모터(43)를 역회전 구동시킨다(단계 S110).
이와 같이 모터(43)를 역회전 구동시키면, 웜 기어(441) 및 중간 기어(442)를 통해 모터(43)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출력 기어(443)는, 전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출력 기어(443)가 전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출력 기어(443)의 누름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로부터 이탈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는 눌린 상태에서 해방되어 오프 상태가 된다.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가 제2 링크 레버(462)의 기단부(462a)에 위쪽에서 접촉하면, 제2 링크 레버(462)는, 전방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제2 링크 레버(46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선단부(462b)가 위쪽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선단부(462b)가 위쪽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페달 링크(35')의 접촉편(351')에 접촉하여, 링크 스프링(35a')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페달 링크(35')를 위쪽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고, 더구나 캠부(443a)가 기단부(462a)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는 동안은, 페달 링크(35')를 소정 거리만큼 위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링크 레버(462)는,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캠부(443a)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 그 캠부(443a)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면이 자체의 중심축(제2 링크축(42f)의 중심축)과 출력 기어(443)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조정된다.
이 페달 링크(35')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 핀은 위쪽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페달 스토퍼 핀(34b')도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스토퍼 핀이 상페달(29')의 오목부(292')의 가장자리 벽에 접촉하면서 위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페달(29')은, 상페달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초기 위치로부터 진출 이동한다. 이 상페달(29')의 진출 이동은, 스토퍼 핀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토퍼 핀이 스토퍼 핀 삽통 구멍의 상단부에 도달한 시점에서 스토퍼 접촉부(293')에 접촉하여 상페달(29')의 퇴행을 규제한다.
그리고, 진출 이동한 상페달(29')은, 최하위에서 2번째의 제2 상품(이하, 다음 상품이라고도 함)에 접촉하여, 다음 상품이 아래쪽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한편, 회동 스토퍼(36')는, 진출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하페달(28')에 접촉한 상품의 하중이 걸려 있기 때문에, 상기 페달 스토퍼 핀(34b')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퇴행 이동의 규제가 해제됨으로써 회동 스토퍼(36')는 퇴행 이동을 시작한다.
이와 같이 회동 스토퍼(36')가 퇴행 이동을 시작하면, 페달 조작축(361')이 감입부에서 빠져나와, 상품 자중에 의해 하페달 스프링(28b')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하페달(28')이 퇴행 이동을 시작한다. 감입부에서 빠져나온 회동 스토퍼(36')의 페달 조작축(361')은, 제1 안내부를 따라가, 제1 안내부와 제2 안내부가 교차하는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이 후, 최하위 상품의 자중에 의해 하페달(28')이 퇴행 이동하여, 최하위 상품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허용되어, 최하위 상품은 아래쪽으로 반출된다. 반출된 상품은, 상품 슈트(5)를 통하여 상품 반출구(3c)에 안내되고, 또한 상품 추출구(2a)를 통해 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최하위 상품이 하페달(28')을 이탈하면, 하페달(28')은 하페달 스프링(28b')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 진출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동시에, 회동 스토퍼(36')도 페달 조작 스프링의 탄성 압박력에 의해 진출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하페달(28') 및 회동 스토퍼(36')가 진출 위치를 향해 이동하면, 제1 안내부와 제2 안내부가 교차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던 페달 조작축(361')이 감입부를 향해 제2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하페달(28') 및 회동 스토퍼(36')가 진출 위치에 복귀한다.
그 후,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와 기단부(462a)의 접촉이 해제되면, 링크 스프링(35a')에 의해 페달 링크(35')는 압박되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 페달 링크(35')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스토퍼 핀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페달 스토퍼 핀(34b')도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페달 스토퍼 핀(34b')이 페달 스토퍼 핀 지지홈의 하단으로 이동하면, 진출 위치로 복귀한 회동 스토퍼(36')의 배면측의 패임부(36b')에 페달 스토퍼 핀(34b')이 접촉한다. 이에 따라 퇴행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하페달(28')은 하페달 스프링(28b')의 압박력에 의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상품 없음 대기 자세까지 복귀한다.
한편, 상페달(29')은, 상페달 스프링에 의해 압박되어, 스토퍼 핀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퇴행 이동한다. 이에 따라 다음 상품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그 후 상기 다음 상품은 진출 이동한 하페달(28')에 접촉하여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한편, 하페달(28')은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이행하여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구동 유닛(40)에서는, 출력 기어(443)의 전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을 따른 회전에 의해, 그 후에 캠부(443a)가 제1 링크 레버(461)의 기단부(461a)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링크 레버(461)는, 걸림부(461c)가 우측 개구의 좌측가장자리(471)부에 접촉하고 있고, 이로써 중심축 둘레의 회전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기단부(461a)가 걸림부(461c)에 근접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걸림부(461c)는 탄성 변형하여,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한 캠부(443a)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후에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가 대기 상태의 위치로 되돌아가면, 누름편(443b)이 캐리어 스위치(45)의 접촉자(45a)를 눌러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 S110에서의 모터(43)의 역회전 구동에서는, 불출 제어부(110)는, 소정 시간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가 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단계 S111, 단계 S112). 즉, 소정 시간 내에 출력 기어(443)가 1 회전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이 결과,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로 되는 경우(단계 S111: Yes, 단계 S112: No), 불출 제어부(110)는, 모터(43)의 역회전 구동을 정지시키고(단계 S113),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반출 지령이 주어진 제2 상품을 양호하게 반출할 수 있다.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로 되지 않는 경우, 즉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로부터 온 신호가 주어지지 않는 경우(단계 S111: No, 단계 S112: Yes), 불출 제어부(110)는 재시행 처리(2)를 실시한다(단계 S300).
도 29는 도 24에 도시된 불출 제어 처리에 있어서의 재시행 처리(2)의 처리 내용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재시행 처리(2)에 있어서 불출 제어부(110)는, 모터(43)를 정회전 구동시키고,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로 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단계 S301, 단계 S302, 단계 S303). 이와 같이 모터(43)를 정회전 구동시키면, 웜 기어(441) 및 중간 기어(442)를 통해 모터(43)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출력 기어(443)는, 전방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가 되는 경우(단계 S302: Yes, 단계 S303: No), 불출 제어부(110)는, 모터(43)의 정회전 구동을 정지시키고(단계 S304), 모터(43)를 재차 역회전 구동시킨다(단계 S305). 그리고,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로 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단계 S306, 단계 S307).
그 후,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로 되는 경우(단계 S306: Yes, 단계 S307: No), 즉, 소정 시간 내에 출력 기어(443)가 전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1 회전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상품이 반출된 것으로 하여, 모터(43)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에 재시행이 성공한 것으로 판정하고(단계 S308, 단계 S309),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재시행 처리(2)를 종료한다.
한편,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로 되지 않는 경우(단계 S306: No, 단계 S307: Yes), 불출 제어부(110)는, 문제점이 생긴 것으로 재시행이 실패한 것으로 판정하고(단계 S310),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재시행 처리(2)를 종료한다. 또한, 단계 S301의 순서에 대하여 소정 시간 내에 캐리어 스위치(45)가 온 상태로 되지 않는 경우도(단계 S302: No, 단계 S303: Yes), 불출 제어부(110)는, 재시행이 실패한 것으로 판정하고(단계 S310),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재시행 처리(2)를 종료한다.
이러한 재시행 처리(2)를 실시한 불출 제어부(110)는, 재시행이 성공한 경우(단계 S114: Yes),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단계 S115),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불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르면, 새로운 제2 상품의 불출 지령이 주어짐으로써, 제2 상품의 불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재시행이 실패한 경우(단계 S114: No),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의 제2 상품에 관해서는 품절된 것으로 하여 품절 판정을 하고(단계 S116),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르면, 제2 상품은 품절된 것으로 하여 품절 램프 등이 점등되고, 상기 제2 상품의 판매를 중지시킬 수 있다.
그런데, 예컨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서 상품이 없어지면,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의 하페달(28)은, 하페달 스프링(28b)에 의해 압박되어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된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페달(28)의 기단부가 제1 품절 링크(30)의 제1 품절 접촉부(32)에 접촉하는 결과, 제1 품절 링크(30)는,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 품절 누름부(33)가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의 접촉자(26a)를 누른다. 이에 따라,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에서는, 접촉자(26a)가 눌려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온 상태가 되어, 온 신호를 불출 제어부(110)에 송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불출 제어부(110)는, 제1 상품이 품절된 것으로 하여, 품절 램프 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이어서, 예컨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서 상품이 없어지면, 하페달(28')의 기단부가 제2 품절 링크(50)의 제2 품절 접촉부(52)에 접촉하는 결과, 제2 품절 링크(50)는, 제1 요동 지지축(28a')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 품절 누름부(53)가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의 접촉자(27a)를 누른다. 이에 따라,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에서는, 접촉자(27a)가 눌려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변위함으로써 온 상태가 되어, 온 신호를 불출 제어부(110)에 송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불출 제어부(110)는, 제2 상품이 품절된 것으로 하여, 품절 램프 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한편, 불출 제어부(110)는,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 혹은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의 온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되는 경우에 품절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하페달(28)(28')이 판매시마다, 상품 없음 대기 자세로 복귀하는 경우 혹은 하페달(28)이 복귀한 경우의 바운드 등에 의해 생기는 채터링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상품 반출 장치 및 상품 불출 장치(20)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서는,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가, 하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 및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이행할 때에 상태 변화되어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의 제1 상품의 유무를 검지하고,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가, 하페달(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 및 상품 있음 대기 자세로 이행할 때에 상태 변화되어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의 제2 상품의 유무를 검지하기 때문에, 상품 수납 통로(13)에 상품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는 동시에, 상품 판매 기회의 수를 그 상품 수납 통로(13)의 수납 상품의 수와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따르면, 상품의 판매 기회를 늘릴 수 있다.
상기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에서는, 회동 스토퍼(36, 36')가, 페달 스토퍼 핀(34b, 34b')의 상품 수납 통로(13)와는 반대쪽을 덮는 가림부(36c, 36c')를 갖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가림판을 필요로 하지 않아, 부품 점수를 삭감하면서 도난 방지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에 따르면,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도난 방지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서는, 구동 유닛(40)을 구성하는 출력 기어(443)는, 웜 기어(441)를 통해 모터(43)에 연계되면서 또한 상기 웜 기어(441)를 통해 전달되는 모터(4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다. 또 구동 유닛(40)을 구성하는 제1 링크 레버(461) 및 제2 링크 레버(462)는, 출력 기어(443)에 설치된 캠부(443a)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에는, 위쪽을 향해 회동한 상태로 유지되어 페달 링크(35, 35')를 위쪽 방향을 향해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상페달(29, 29')을 상품 수납 통로(13)에 진출 이동시켜 최하위에서 2번째의 상품에 접촉시키면서 하페달(28, 28')을 상품 수납 통로(13)로부터 퇴행 이동시켜 최하위 상품을 아래쪽을 향해 반출하도록 하고, 캠부(443a)와의 슬라이딩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페달 링크(35, 35')가 하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상페달(29, 29')을 상품 수납 통로(13)로부터 퇴행 이동시키면서 하페달(28, 28')을 상품 수납 통로(13)에 진출 이동시켜 상품이 아래쪽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서는, 모터(43)가 구동 중에 정전 등에 의해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도, 출력 기어(443)와 모터(43) 사이에 웜 기어(441)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43)가 구동 정지하더라도 출력 기어(443)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버리지 않게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페달 링크(35, 35')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페달(29, 29')을 진출 이동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AC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종래 기술과 같이, 정전 등에 의해 전력의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AC 솔레노이드가 비통전 상태가 되어 페달 링크가 아래쪽을 향해 이동해 버리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따르면, 상품 반출시에 정전 등에 의해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 복수의 상품이 반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구나, 제1 링크 레버(461) 및 제2 링크 레버(462)는, 캠부(443a)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 캠부(443a)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면(가)이 자체의 축심과 출력 기어(443)의 축심을 포함하는 평면(나)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출력 기어(443)는 회전 방향의 하중을 받는 일이 없어, 페달 링크(35, 35')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따르면, 제1 상품 반출 장치(20a)가, 상기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의 구동원이 되는 모터(43)와, 반출 지령이 주어진 경우에 반출 지령에 따라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모터(43)로부터의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유닛(4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반출 기구의 수에 대하여 구동원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더구나,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모터(43)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4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짝수의 상품 수납 통로(13)가 전후로 늘어서도록 설치된 상품 수납 랙(10)뿐만 아니라, 홀수의 상품 수납 통로(13)가 전후로 늘어서도록 설치된 상품 수납 랙(10)에 대하여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전후로 인접되는 상품 수납 통로(13)의 수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따르면, 구동원인 모터(43)가 직류 모터이기 때문에, 지역 전압이나 주파수 변동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아, 다양한 로케이션에서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따르면,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 및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를 설치했기 때문에,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만을 이용할 수도 있고, 이것에 의해서도 전후로 인접하는 상품 수납 통로(13)의 수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만 전장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하니스를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에 집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따르면, 제1 링크 레버(461) 및 제2 링크 레버(462)가, 자체에 형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걸림부(461c, 462c)가 소정 부위(471, 472)에 접촉함으로써 정상 상태에서의 자세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유닛 베이스(41)에 유닛 커버(42)를 부착하기가 용이한 것으로 된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따르면, 구동 유닛(40)에 의해 택일적으로 선택되어 구동력이 부여된 상품 반출 장치(20a, 20b)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구동하지 않는 경우, 불출 제어부(110)가 상기 상품 반출 장치(20a, 20b)에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하여 상기 상품 반출 장치(20a, 20b)의 상품 수납 통로(13)의 상품이 품절된 것으로 하는 품절 처리를 하기 때문에,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 중 어느 한쪽이 품절 처리에 의해 판매 중지로 되어도 다른 쪽은 상품의 반출을 계속하게 할 수 있어, 상품 수납 통로(13)마다 대응한 세심한 운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품 불출 장치(20)에 따르면,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 및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가 하니스 가이드(25)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상품 반출 장치(20a)와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의 탈착시에 있어서의 하니스 및 품절 검지 스위치(26, 27)를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로 변경을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링크 레버(461) 및 제2 링크 레버(462)는, 자체에 형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걸림부(462c)가 소정 부위에 접촉함으로써 정상 상태에서의 자세가 정해졌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레버(46')를 전방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61)과, 상기 링크 레버(46')를 전방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62)을 개재시킴으로써, 이들 스프링(61, 62)이 토션 스프링으로서 작용하여 그 압박력에 의해 링크 레버(46')의 정상 상태에서의 자세가 결정되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하페달(28, 28')의 제1 요동 지지축(28a, 28a')에 제1 품절 링크(30) 또는 제2 품절 링크(50)를 설치하여 하페달(28, 28')이 상품 없음 대기 자세가 됨으로써 제1 품절 검지 스위치(26) 및 제2 품절 검지 스위치(27)가 온 상태로 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페달(28, 28')의 상측 영역에 상품 수납 통로(13)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요동 가능한 하레버 부재(71)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러한 하레버 부재(71)는, 하페달(28, 28')과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는 레버 스프링에 의해 상품 수납 통로(13)로 진출 이동하는 양태로 압박되고, 상면에 상품이 배치되지 않는 경우는, 선단부가 하페달(28, 28')의 상면보다 이격되는 양태로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자세가 되어, 하레버 부재(71)의 일부가 도시하지 않는 품절 검지 스위치(27)의 접촉자(72)를 누름으로써 상기 품절 검지 스위치(27)가 온 상태가 된다. 한편, 상품 수납 통로(13)에 투입된 상품에 의해 상면이 눌리면, 하레버 부재(71)는, 선단부가 하페달(28, 28')의 상면에 접한 자세가 되어, 품절 검지 스위치의 접촉자(72)를 누르고 있던 부분이 상기 접촉자(27)로부터 이탈하여 품절 검지 스위치(27)가 오프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품 수납 통로(13)에 상품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는 동시에, 상품 판매 기회의 수를 상기 상품 수납 통로(13)의 수납 상품의 수와 일치시킬 수 있어, 상품의 판매 기회를 늘릴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회동 스토퍼(36, 36')에 가림부(36c, 36c')를 설치하여 도난 방지성을 유지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정상 상태에서는 페달 링크의 위쪽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편, 구동 유닛의 구동에 의해 상기 페달 링크를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는, 상기 페달 링크의 상측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페달링크의 이동을 허용하는 도난 방지 링크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도난 방지성을 유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상품 반출 장치(20a)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응하고, 또한 제2 상품 반출 장치(20b)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응하는 것이었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한쪽의 상품 반출 장치가 다른 쪽의 상품 수납 통로에 대응하면서 다른 쪽의 상품 반출 장치가 한쪽의 상품 수납 통로에 대응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인 상품 불출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 레버(461)의 걸림부(461c)는, 제1 링크 레버(461)의 기단부(461a)에 설치되어 있고, 제1 링크 레버(461)의 축심이 되는 제1 링크축(42e)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설치된다. 여기서, 걸림부(461c)에 있어서의 기단부(461a)와의 접속 개소는, 제1 링크축(42e)으로부터 좌측으로 비스듬히 상방측으로 어긋나 있다. 그리고, 걸림부(461c)가 접촉하는 좌측 가장자리부(471')에는, 오목부(471a)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471a)는, 좌측 가장자리부(471')의 하부로부터 위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좌측으로 경사진 후에 위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우측으로 경사져 구성된다.
또한, 제2 링크 레버(462)의 걸림부(462c)는, 제2 링크 레버(462)의 기단부(462a)에 설치되어 있고, 제2 링크 레버(462)의 축심이 되는 제2 링크축(42f)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설치된다. 여기서, 걸림부(462c)에 있어서의 기단부(462a)와의 접속 개소는, 제2 링크축(42f)으로부터 우측으로 비스듬히 상방측으로 어긋나 있다. 그리고, 걸림부(462c)가 접촉하는 우측 가장자리부(472')에는, 오목부(472a)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472a)는, 우측 가장자리부(472')의 하부로부터 위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우측으로 경사진 후에 위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좌측으로 경사져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출력 기어(443)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우선 제2 링크 레버(462)를 전방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페달 링크(35')를 위쪽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에서 상품의 반출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링크 레버(462)를 회전시킨 후, 출력 기어의 회전에 의해 캠부(443a)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 레버(461)의 기단부(461a)에 접촉한다. 이 경우, 제1 링크 레버(461)는, 걸림부(461c)가 우측 개구의 좌측 가장자리부(471')에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중심축 둘레의 회전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 레버(461)는, 기단부(461a)가 걸림부(461c)에 근접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탄성 변형하고, 출력 기어(443)의 회전에 의한 캠부(443a)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링크 레버(461)가 탄성 변형할 때, 걸림부(461c)는, 제1 링크축(42e)으로부터 좌측으로 비스듬히 상방측으로 어긋난 개소에서 기단부(461a)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 가장자리부(471')에 대하여 위쪽을 향해 슬라이딩하면서 접하게 된다. 이 좌측 가장자리부(471')에는 오목부(471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링크 레버(461)의 탄성 변형시의 걸림부(461c)의 변형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링크 레버(461)의 탄성 변형시에 있어서의 걸림부(461c)의 변형량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링크 레버(461)에서 생기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사용 수명의 장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1 링크 레버(461)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제2 링크 레버(462)에 관해서도 우측 가장자리부(472')에 오목부(472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사용 수명의 장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35는, 상품 불출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품 반출 장치(20a)는, 레버 부재(80)를 구비하고, 또한 제2 상품 반출 장치(20b)는, 레버 부재(80')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레버 부재(80)는, 베이스(21)의 우측 상단부의 레버 개구(214)를 관통한 상태에서, 제1 상품 수납 통로(13a)에 대하여 진퇴 이동 가능해지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베이스(21)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레버 개구(214)의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레버 걸림편(215)이 형성되어 있고, 레버 부재(80)는,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걸림편(215)에 가설된 축부(81)의 축심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레버 부재(80)와 베이스(21) 사이에는, 축부(81)를 권취하는 양태로 레버 스프링(82)이 개재되어 있고, 이러한 레버 스프링(82)에 의해 압박되어 레버 부재(80)는,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선단부(85)가 제1 상품 수납 통로(13a)로 진출 이동한 자세로 되어 있다.
레버 부재(80')는,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의 우측 상단부의 레버 개구(214')를 관통한 상태에서, 제2 상품 수납 통로(13b)에 대하여 진퇴 이동 가능해지는 양태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베이스(21')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레버 개구(214')의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레버 걸림편(215')이 형성되어 있고, 레버 부재(80')는, 레버 걸림편(215')에 가설된 축부(81')의 축심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레버 부재(80')와 베이스(21') 사이에는, 축부(81')를 권취하는 양태로 레버 스프링(82')이 개재되어 있고, 이러한 레버 스프링(82')에 의해 압박되어 레버 부재(80')는,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선단부(85')가 제2 상품 수납 통로(13b)로 진출 이동한 자세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상품 반출 장치(20a) 및 제2 상품 반출 장치(20b)에 따르면, 상페달(29, 29')보다도 상측 영역에 있어서 상품 수납 통로(13)에 대하여 선단부가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베이스(21, 21')에 설치된 레버 부재(80, 80')가,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레버 스프링(82, 82')에 의해 압박되어 선단부(85, 85')가 상품 수납 통로(13)로 진출 이동하는 한편, 상품 수납 통로를 통과하는 상품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레버 스프링(82, 82')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품 수납 통로(13)로부터 퇴행 이동하기 때문에, 상품 수납 통로(13)를 통과한 상품 자세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1: 본체 캐비닛, 4: 상품 수용고, 10: 상품 수납 랙, 13: 상품 수납 통로, 20: 상품 불출 장치, 20a: 제1 상품 반출 장치, 20b: 제2 상품 반출 장치, 25: 하니스 가이드, 26: 제1 품절 검지 스위치, 27: 제2 품절 검지 스위치, 28: 하페달, 29: 상페달, 35: 페달 링크, 40: 구동 유닛, 41: 유닛 베이스, 42: 유닛 커버, 43: 모터, 44: 기어 부재, 45: 캐리어 스위치, 46: 링크 레버, 110: 불출 제어부

Claims (9)

  1. 투입된 상품을 상하 방향을 따라 수납하는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베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하페달과,
    상기 하페달보다 상측 영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상기 베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페달과,
    상기 하페달과 상기 상페달을 연계하는 페달 링크를 구비하고,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페달 링크를 하방향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페달을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시키면서 상기 하페달을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시켜 상품이 아래쪽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페달 링크를 상방향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페달을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시켜 최하위로부터 2번째의 상품에 접촉시키면서 상기 하페달을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시켜 최하위의 상품을 아래쪽을 향해 반출하는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자체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웜 기어를 통해 구동원에 연계되고, 또한 상기 웜 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출력 기어와,
    상기 베이스에 자체의 축심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출력 기어에 설치된 캠부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에는, 상방을 향해 회동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페달 링크를 상방향을 향해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한편, 상기 캠부와의 슬라이딩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상기 페달 링크가 하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링크 레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반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레버는, 상기 캠부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 상기 캠부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면이 자체의 축심과 상기 출력 기어의 축심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반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직류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반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레버는, 자체에 형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걸림부가 미리 정해진 부위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캠부와의 슬라이딩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의 자세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반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링크 레버의 축심으로부터 이격된 기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가 접촉하는 미리 정해진 부위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반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레버는, 압박 수단에 의해 상기 캠부와의 슬라이딩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의 자세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반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페달보다 상측 영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선단부가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압박 수단에 의해 압박되어 선단부가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하는 한편, 상기 상품 수납 통로를 통과하는 상품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하는 레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반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기어는, 중심 부분에 전후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축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형상부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유닛 베이스 및 유닛 커버의 각각의 오목부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이들 유닛 베이스와 유닛 커버 사이의 수용 공간에서 상기 축형상부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반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링크는, 자체에 걸리는 링크 스프링에 의해 항상 하방향을 향해 압박되며,
    상기 링크 레버는,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페달 링크가 상기 링크 스프링에 의해 하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여, 상기 상페달을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시키면서 상기 하페달을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시키는 한편, 회전하는 상기 출력 기어의 캠부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에는, 상기 링크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기 페달 링크를 상방향을 향해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상페달을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 진출 이동시키면서 상기 하페달을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퇴행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캠부와의 슬라이딩 접촉이 해재되는 경우에는, 상기 페달 링크가 상기 링크 스프링에 의해 하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반출 장치.
KR1020167005560A 2014-01-10 2015-01-08 상품 반출 장치 KR102204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03755 2014-01-10
JPJP-P-2014-003767 2014-01-10
JP2014003767 2014-01-10
JP2014003755A JP6209970B2 (ja) 2014-01-10 2014-01-10 商品搬出装置
JP2014148215A JP6417763B2 (ja) 2014-01-10 2014-07-18 商品払出装置
JPJP-P-2014-148215 2014-07-18
JPJP-P-2014-160313 2014-08-06
JP2014160313A JP2016038660A (ja) 2014-08-06 2014-08-06 商品搬出装置
PCT/JP2015/050398 WO2015105157A1 (ja) 2014-01-10 2015-01-08 商品搬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384A KR20160102384A (ko) 2016-08-30
KR102204263B1 true KR102204263B1 (ko) 2021-01-18

Family

ID=5572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560A KR102204263B1 (ko) 2014-01-10 2015-01-08 상품 반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18252B2 (ko)
KR (1) KR102204263B1 (ko)
CN (1) CN105518753B (ko)
MY (1) MY187239A (ko)
SG (1) SG11201601619V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7861B2 (ja) * 2015-02-27 2019-03-06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JP2017126278A (ja) * 2016-01-15 2017-07-20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搬出装置
CN110419064B (zh) * 2017-01-12 2022-10-04 克兰佩门特创新股份有限公司 增强型自动售货机产品传送系统
JP2019021030A (ja) * 2017-07-18 2019-02-07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CN108091043B (zh) * 2017-12-28 2023-05-16 湖南金码智能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无源旋转式自动售货机出货机构
CN111145445B (zh) * 2019-12-24 2022-07-12 深圳市沐腾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助存取装置的存取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476B1 (ko) 2001-02-22 2004-03-18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
JP2012168829A (ja) 2011-02-16 2012-09-06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6089A (ja) * 1983-04-06 1984-10-22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送出装置
JP2749917B2 (ja) 1989-10-26 1998-05-13 松下電工株式会社 商品搬出装置
JPH0684056A (ja) * 1992-09-03 1994-03-25 Toshiba Corp 自動販売機
JPH06314372A (ja) 1993-04-30 1994-11-08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3719363B2 (ja) 1999-11-26 2005-11-24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払い出し装置
JP2001188953A (ja) 1999-12-28 2001-07-10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3855573B2 (ja) * 1999-12-28 2006-12-13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01351163A (ja) * 2000-06-08 2001-12-21 Sanden Corp 自動販売機
JP2002288732A (ja) * 2001-03-28 2002-10-04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4101065B2 (ja) * 2003-01-08 2008-06-11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KR20060089359A (ko) * 2005-02-04 2006-08-09 주식회사 롯데기공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JP2013196049A (ja) 2012-03-15 2013-09-30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6098484B2 (ja) * 2013-11-14 2017-03-22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KR102207594B1 (ko) * 2014-01-10 2021-01-26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상품 반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476B1 (ko) 2001-02-22 2004-03-18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불출 장치
JP2012168829A (ja) 2011-02-16 2012-09-06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18753A (zh) 2016-04-20
KR20160102384A (ko) 2016-08-30
MY187239A (en) 2021-09-13
US9818252B2 (en) 2017-11-14
SG11201601619VA (en) 2016-04-28
US20160196710A1 (en) 2016-07-07
CN105518753B (zh)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381B1 (ko) 상품 불출 장치
KR102204263B1 (ko) 상품 반출 장치
KR102207594B1 (ko) 상품 반출 장치
KR102197784B1 (ko) 상품 불출 장치
KR102225974B1 (ko) 상품 불출 장치
JP6221755B2 (ja) 商品搬出装置
WO2015105157A1 (ja) 商品搬出装置
KR102446580B1 (ko) 상품 불출 장치
JP6417763B2 (ja) 商品払出装置
JP6610750B2 (ja) 商品払出装置
JP6209970B2 (ja) 商品搬出装置
KR102458023B1 (ko) 상품 불출 장치
JP6485115B2 (ja) 商品払出装置
JP6341297B2 (ja) 商品払出装置
JP6447241B2 (ja) 商品払出装置
JP2017126278A (ja) 商品搬出装置
JP2016038660A (ja) 商品搬出装置
JP6484952B2 (ja) 商品搬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