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129B1 - 제전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전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129B1
KR100416129B1 KR1019960028511A KR19960028511A KR100416129B1 KR 100416129 B1 KR100416129 B1 KR 100416129B1 KR 1019960028511 A KR1019960028511 A KR 1019960028511A KR 19960028511 A KR19960028511 A KR 19960028511A KR 100416129 B1 KR100416129 B1 KR 100416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polyester
antistatic properties
w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8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568A (ko
Inventor
심창섭
안경열
김병식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19960028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6129B1/ko
Publication of KR980009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ntistatic; electrically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11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heated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LDRY-CLEANING, WASHING OR 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1/00Dry-cleaning or was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 D06L1/12Dry-cleaning or was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using aqueous solvents
    • D06L1/16Multi-step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34Material containing ester groups
    • D06P3/52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전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에 관한 것임.
본 발명은 분할형 폴리에스테르복합사와 고수축사를 공기교락시킨 극세혼섬사를 사용하여 능직 또는 주작직으로 제직하되 제전사를 총 경, 위사본수의 10% ∼ 40%가 되도록 배열하여 제직한후 정련, 열처리하고 염색한 다음에 폴리우레탄수지로 처리하는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임.

Description

제전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제전성이 우수하면서 반발탄성, 발수성, 촉감등이 개선되어 쾌적한 착용감을 주는 제전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그 우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의류용 뿐만 아니라 산업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전기 저항도가 높고 정전기 발생이 많아 제사, 가공시 작업에 나쁜 영향을 미치며 최종제품의 사용시에도 정전기로 인하여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에 제전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많이 연구되어 왔는데, 그 대표적인 방법이 다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성분을 공중합시키는 방법인바, 이 방법은 열안정성과 내광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방법 이외에도 여러가지 폴리알킬렌글리콜 유도체로 구성된 대전방지제를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하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염색공정상의 문제 또는 세탁견뢰도의 저하로 인한 세탁 후 제전성 상실의 문제 때문에 실용화 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제전성능을 갖기위해 폴리알킬렌옥사이드와 폴리아미드인 나일론 6, 8, 12 등의 호모폴리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코폴리아마이드등을 블록공중합체로 형성시키고 이것이 섬유축을 중심으로하여 동심원상으로폴리에스테르 내부에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는 영구제전사를 제조 사용하며, 한편 폴리에스테르 극세 혼섬사는 분할형 폴리에스테르사와 고수축사를 인터레이스한 것으로서 이것은 극세사 부위가 루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치스킨조의 우수한 촉감을 발현시키는 것이어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폴리에스테르 극세혼섬사는 극세사와 고수축사를 인터레이스한 것이므로 염색시 인터레이스 부위에 흔적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염색가공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할형 폴리에스테르사는 소디움설포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를 전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하여 3 ∼ 5중량%를 사용하고, 물성저하방지제로 이소프탈릭에시드 첨가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유기중합체를 전체에 대하여 0.5 ∼ 2중량% 첨가시킨 개질 공중합체를 250 ∼ 270℃, 2000 ∼ 4000 m/min 으로 방사하여 16 분할 후 섬도가 0.05 ∼ 0.5 데니어인 극세사이며, 고수축폴리에스테르사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에 고수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디카본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반응시켜 제조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디올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 성분을 사용하였으며 디카본산성분과 디올성분을 통상의 방법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행하여 고수축 폴리에스테르를 용융방사하여 제조하였으며, 분할형 폴리에스테르사와 고수축폴리에스테르사를 인터레이스할 경우 인터레이스 부위에 자국이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인터레이스 대신에 에어밍글링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극세혼섬사를 제조하였다.
본발명에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극세혼섬사를 경, 위사로 사용하여 기모 또는 샌딩하기 용이하도륵 능직이나 주자직으로 제직한다.
이때 본발명에서는 제전사를 총경사나 위사본수의 10% ∼ 40% 만큼 경사와 위사로 사용한다.
본발명에서 제전사의 사용본수가 10% 미만이면 제전성이 우수한 직물을 얻을 수 가 없으며 또 40%를 초과하면 외피용으로 사용하는 스웨드조직물을 얻을 수 없다.
종래에는 극세혼섬사의 정련을 로타리와샤나 윈치로 실시하였는바, 로타리와샤를 사용할 경우에는 봉침된 직물의 겉과 속을 균일하게 수축시키기 힘들며, 봉침한 부분의 미어짐 효과가 나타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윈치의 경우에는 로우프 주름이 발생하기 쉽고 아울러 이수축사의 특성을 발현시키기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확폭식 다단정련이 가능한 릴렉서 기기를 이용하여 다단정련하였으며 약제조에 투입하는 조제로서는 알카리 0.5 ∼ 3g/ℓ, 정련제 0.5 ∼ 3g/ℓ, 소다회 0.2 ∼ 2.5g /ℓ 등이며, 수축율차이로 인한 루프발생을 촉진시키고 극세사의 분할을 원할히 하기위해 릴렉스 조에서의 체류시간을 5 ∼ 20분 가량 유지시키고 릴렉스의 상하운동을 20 ∼ 60 rpm 으로 조정하였으며, 수세조의 바이브레이션은 10 ∼ 30 Hz 정도로 하였다. 약제조와 릴렉스조, 수세조의 온도는 각각 60 ∼ 80℃, 70 ∼ 100℃, 60 ∼ 80℃ 로 하여 고수축사의 수축으로 인해 생기기 쉬운 주름을 방지하였다. 릴렉서정련기를 거친 직물은 무장력액류염색기로 다시 재축소를 시키게 되면 감량공정에서 얻을 수 있는 촉감보다 더 양호한 촉감을 루프발현과 촉진된 극세사의 분할로 얻을 수 있다.
정련, 축소가 끝난 직물의 열처리는 직물의 표면효과를 고려하여 150 ∼ 220℃로 열처리하며 이때 위사밀도는 최대가 되어서 슬립이 방지된다.
기모 공정은 단위 인치당 20 ∼ 40개의 침이 있는 기모기로 직물표면에 형성된 루프부분을 0.01 ~ 1mm 가량 일으켜 천연 스웨드와 유사한 기모를 발현시키는 것이며, 샌딩의 경우는 250 ∼ 400 메쉬의 샌딩페이퍼로 직물표면의 루프부위를 가볍게 깍아 내는 것으로서 기모는 또 다른 촉감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기모직물을 염색하는 경우에 미리 충분하게 수세를 실시하여 기모할때 표면에 부착되어 잔류하고 있는 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여야만 염색시 예상되는 불균염 및 기모 뭉침등의 문제를 예방할수있다. 상기 기모직물을 수세 및 염색할때 기존의 액류염색기는 장력이 많이 걸려 염색 불균염 및 주름이 생기거나 릴과의 마찰로 직물표면의 촉감이 딱딱해지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무장력액류염색기를 사용하여 직물을 수세 및 염색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완전 제거하였다.
더우기 염색시 빠른 직물의 순환속도로 인해 물과의 마찰력이 증가하고 이로인해 루프형성이 더욱 양호해진다.
염색된 기모직물을 폴리우레탄으로 처리할때 적당한 수지함유량을 위한 픽업율을 조정 및 건조시 분균일한 수지함유로 인한 염색성의 차이 해결 그리고 촉감의 차이와 기모의 상이한 상태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애서는 수지 처리된 직물의 드라이 공정이전에 미리 강한 적외선으로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는 난터치드라이어가 부착되어 있고, 건조시 장력으로 인한 불균일한 건조를 막을 수 있는 무장력 네트드라이어를 사용하여 수지처리를 하였다.
수지 처리시 맹글의 압력은 1 ∼ 6 kgf /㎠ 이며 함침시간은 5 ∼ 15초 정도이며 PICK-UP 율은 50 ∼ 80% 정도이다. 이와 같이 수지처리가 된 직물은 난터치드라이어의 적외선으로 수분율이 30 ∼ 50%인 상태로 예비건조 되었으므로 무장력네트드라이어에서 건조할때 발생하기 쉬운 주름과 네트 자국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난터치드라이어를 사용하지 않을 때 요구되는 네트드라이어의 장기간 체류 및 고온 처리에서 발생하는 생산성 불량 및 촉각저하, 불균일한 건조 등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난터치드라이어로 건조시에 열원과 직물과의 거리는 20 ∼ 50cm 정도가 적당하다.
무장력네트드라이어 공정에서는 드라이버내의 열풍의 세기가 직물의 촉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본 발명에서는 900 ∼ 1500rpm으로 열풍의 세기를 조정하여 처리하였다.
실시예 1
분할후의 섬도가 0.05 ∼ 0.5 데니어인 분할형 극세사와 고수축사를 에어밍글링한 가공사를 경사 또는 위사로 하여 능직 또는 주자조직을 만들 때 경사, 위사 각각의 본수의 10%의 제전사를 배열하였다. 릴렉스조에서 정련하고 축소 및 프리셋팅을 거쳐 기모 혹은 샌딩하고 무장력액류염색기로 염색을 하며 염색지를 수용성우레탄으로 처리하고 무장력네트드라이어로 건조하여 스피드조의 인공피혁을 제조한 다음 대전압, 제직성, 가공성등을 평가하여 표1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 4 및 비교예 1 ~ 4
실시예 1에 있어서, 원사의 종류, 합사조건, 제전사사용량, 정련조건, 염색 및 건조조건등을 변경한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1 에 나타내었다.
<표1>

Claims (1)

  1. 분할형 폴리에스테르사와 고수축폴리에스테르사를 에어밍글링시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극세혼섬사를 경·위사로 하고, 제전사를 총경·위사 본수의 10 ∼ 40 % 사용하여 직물을 제직한 다음, 릴렉스조에서 정련을 무장력액류염색기로 염색을, 무장력네트드라이어를 사용하여 건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KR1019960028511A 1996-07-15 1996-07-15 제전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KR100416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511A KR100416129B1 (ko) 1996-07-15 1996-07-15 제전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511A KR100416129B1 (ko) 1996-07-15 1996-07-15 제전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568A KR980009568A (ko) 1998-04-30
KR100416129B1 true KR100416129B1 (ko) 2004-04-13

Family

ID=3731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511A KR100416129B1 (ko) 1996-07-15 1996-07-15 제전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6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989B1 (ko) 2005-10-04 2006-10-11 주식회사 새 한 신축회복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스웨드조 직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680B1 (ko) * 1997-08-20 2005-06-08 주식회사 휴비스 대전방지성과 흡습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KR102067223B1 (ko) * 2018-08-24 2020-01-15 경현물산 주식회사 제전성을 가지며 신축성을 발현하는 직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436A (ja) * 1989-10-12 1991-06-04 Toray Ind Inc セーム皮調ワイピングクロ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108126A (ja) * 1990-08-27 1992-04-09 Toyobo Co Ltd 異収縮混繊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950000952A (ko) * 1993-06-12 1995-01-03 하기주 발포성포지의 제조방법
KR950003497A (ko) * 1993-07-13 1995-02-17 구창남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직물의 제조방법
JPH07102437A (ja) * 1993-10-05 1995-04-18 Kuraray Co Ltd 導電性混繊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436A (ja) * 1989-10-12 1991-06-04 Toray Ind Inc セーム皮調ワイピングクロ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108126A (ja) * 1990-08-27 1992-04-09 Toyobo Co Ltd 異収縮混繊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950000952A (ko) * 1993-06-12 1995-01-03 하기주 발포성포지의 제조방법
KR950003497A (ko) * 1993-07-13 1995-02-17 구창남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직물의 제조방법
JPH07102437A (ja) * 1993-10-05 1995-04-18 Kuraray Co Ltd 導電性混繊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989B1 (ko) 2005-10-04 2006-10-11 주식회사 새 한 신축회복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스웨드조 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568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oadbent Basic principles of textile coloration
US4103054A (en) Suede-like raised woven fabric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US2685120A (en) Fabric having contoured decorative surface
KR100416129B1 (ko) 제전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JPS648098B2 (ko)
KR101131492B1 (ko) 염색견뢰도가 우수한 극세사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고흡수성 의류
JPH04327259A (ja) 立体模様を有する布帛の製造方法
JP2014005574A (ja) ポリアミド繊維織編物
CN108049010A (zh) 纽代尔针织面料及其纺织方法
JPH0778283B2 (ja) 裏 地
KR920005899B1 (ko) 복합 섬유 구조물의 염색가공법
JP3079766B2 (ja) 撥水性、深色性繊維構造物の製造法
Mecklenburgh The setting of nylon fabrics
JP4605616B2 (ja) 起毛織物
KR100211219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
JPH0711566A (ja) 絹様布帛の製造方法
JPH06123072A (ja) 耐光性高伸縮布帛の製造方法
JPS609981A (ja) ポリアミド繊維タフタの染色方法
JPS60239568A (ja) 耐久撥水性ポリエステル織編物の製造方法
JPH05287667A (ja) 起毛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32435B2 (ko)
JPS5944416B2 (ja) 濃色に着色されたスエ−ド調起毛布帛の製造方法
JPH05311567A (ja) 伸縮性布帛の製造法
JPH0551877A (ja) スエード調布帛の製造方法
JP2001279571A (ja) 図柄の付与された顕著な立体形状を具備した伸縮自在の繊維製品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