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208B1 - 인출기구 및 이 인출기구를 이용한 컵홀더 유닛 - Google Patents
인출기구 및 이 인출기구를 이용한 컵홀더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13208B1 KR100413208B1 KR10-2001-0058673A KR20010058673A KR100413208B1 KR 100413208 B1 KR100413208 B1 KR 100413208B1 KR 20010058673 A KR20010058673 A KR 20010058673A KR 100413208 B1 KR100413208 B1 KR 1004132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guide
- holder member
- slide
-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컵류를 유지하는 홀더 등의 인출체를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인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인출한 인출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적은 부품수로 조립작업도 용이하고 저가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하우징(1)에 형성된 직선형상의 제 1 가이드 홈(14)과 사행부(151)를 가지는 제 2 가이드 홈(15)의 2개의 가이드 홈에, 홀더부재(2)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돌기(27)와 제 2 가이드 돌기(28)를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고,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28)가 제 2 가이드 홈(15)의 사행부(151)에 가이드 됨으로써, 홀더부재(2)가 제 1 가이드 돌기(27)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며, 홀더부재(2)가 소정각도 회동된 상태로 하우징(1)의 전단면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한 인출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내장품의 컵홀더 유닛 등에 호적하게 이용되는 인출기구 및 이 인출기구를 이용한 컵홀더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의 센터 콘솔이나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캔 음료 등의 컵을 유지시키기 위한 컵홀더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경우 이와 같은 컵홀더로서는, 좁은 자동차 실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자동차 내장의 벽면에 하우징을 조립해 넣고, 이 하우징으로부터 홀더를 수시로 인출하여 사용하는 인출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인출식 컵홀더를 자동차의 인스트러먼트 패널 등에 조립하는 경우, 설치개소에 따라서는 시프트레버나 암 레스트 등이 홀더의 인출동작에 장해가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들 장해물을 피해서 홀더를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된 홀더를 스윙 가능하게 설계하거나, 홀더의 인출궤적을 일측방향으로 사행(斜行)시키거나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 설치개소에 따라서는 운전석측으로 홀더가 끌어 당겨지도록 하는 등,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상기와 같은 설계를 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3-167037호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a)의 상하벽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홈(b)을 형성함과 아울러, 홀더(c)에, 상기 슬라이드 홈(b)에 슬라이드 및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슬라이드 돌기(d)를 형성하고, 홀더(c)를 상기 슬라이드 홈(b)을 따라서 진퇴시킴과 아울러, 하우징(a)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돌기(d)를 중심으로 스윙시킬 수 있게 설계된 컵홀더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컵홀더는, 하우징(a)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홀더(c)가 스윙 가능하기 때문에, 컵류를 유지한 상태에서도 좌우로 요동하기 쉽고, 특히 자동차 내에서는 흔들림이나 진동이 상시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시의 안정성이 불충분하다. 이 경우, 인출된 홀더(c)를 소정각도 스윙시킨 상태에서 로크하는 로크수단을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와 같은 로크수단을 형성하는 경우, 부품수가 많아짐은 물론 조립작업도 번잡해져서 코스트를 향상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a) 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체(e)를 형성함과 아울러, 전단(前端)측이 일측방향으로 사행된 가이드 홈(b)을 형성하고, 홀더(c)에는 상기 가이드 홈(b)에 삽입되는 제 1 가이드 돌기(d)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체(e)에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 홈(f)에 삽입되는 제 2 가이드 돌기(g)를 형성하여, 홀더(c)를 하우징(a)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서 인출하도록 구성한 컵홀더도 제안되어 있다. 즉, 상기 컵홀더는, 도 8(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홀더(c)를 하우징(a)으로부터 인출하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체(e)가 홀더(c)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며, 홀더(c)의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d)가 상기 가이드 홈(b)의 사행부에 가이드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g)가 슬라이드체(e)의 슬라이드 홈(f)에 가이드 되어, 홀더(c)가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상태로 인출되는 것이다.
상기 컵홀더는, 인출된 상태의 홀더가 비교적 안정된 자세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도 7의 컵홀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나, 상기 슬라이드체(e)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지고, 또 슬라이드체(e)와 홀더(c)를 연결시킨 상태로 하우징(a) 내에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번잡해진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 이것이 조립효율(제조효율)을 저하시켜서, 코스트를 향상시키는 결과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컵류를 유지시키는 홀더 등의 인출체를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인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인출된 인출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 적은 부품수로 조립작업도 용이하며 코스트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인출기구 및, 상기 인출기구를 이용한 컵홀더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인출기구를 구비한 컵홀더 유닛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A)의 B-B선 단면도, (C)는 (A)의 C-C선 단면도
도 2는 상기 컵홀더 유닛의 홀더부재(인출체)를 인출할 때의 중간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
도 3은 상기 컵홀더 유닛의 홀더부재(인출체)를 인출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
도 4는 상기 컵홀더 유닛을 구성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A)의 B-B선 단면도
도 5는 상기 컵홀더 유닛을 구성하는 홀더부재(인출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A)의 B-B선 단면도
도 6은 상기 컵홀더 유닛을 구성하는 바닥면 지지암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A)의 B-B선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컵홀더 유닛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컵홀더 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A)는 격납상태(비 사용시), (B)는 인출상태(사용시)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우징 12 - 슬라이드 홈
14 - 제 1 가이드 홈 15 - 제 2 가이드 홈
151 - 사행부 2 - 홀더부재(인출체)
23, 24 - 슬라이드 돌조 27 - 제 1 가이드 돌기
28 - 제 2 가이드 돌기 3 - 바닥면 지지암
h - 캔 음료(컵류)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단면(前端面)이 개방된 상자형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된 인출체를 구비하며, 상기 인출체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인출하는 것에 의해, 이 인출체가 상기 하우징의 전단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인출기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또는 인출체 중 어느 일측에, 직선형상의 제 1 가이드 홈과 적어도 일부에 일측방향으로 사행되는 사행부를 가지는 제 2 가이드 홈을 전후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형성함과 아울러, 타측에 상기 제 1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가이드 돌기와 상기 제 2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 가이드 돌기를 돌출형성하며, 상기 인출체를 인출할 때에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돌기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홈 내를 슬라이드하고,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 2 가이드 홈의 사행부를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서 인출체가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인출되며, 상기 인출체가 소정각도 스윙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전단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기구 및,
전단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하우징과, 컵류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를 갖추고상기 하우징 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된 홀더부재를 구비하며, 사용시에 상기 홀더부재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상기 홀더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전단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컵홀더 유닛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홀더부재간에 상기 인출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출기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 또는 인출체 중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직선형상의 제 1 가이드 홈과 사행부를 가지는 제 2 가이드 홈의 2개의 가이드 홈에, 하우징 또는 인출체 중의 어느 타측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돌기와 제 2 가이드 돌기를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고, 상기 인출체를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할 때에 상기 제 1, 제 2 양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홈을 슬라이드하고, 이 때 제 2 가이드 돌기가 제 2 가이드 홈의 사행부에 가이드 되는 것에 의해서, 인출체가 제 1 가이드 돌기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하고, 인출체가 소정각도 회동된 상태로 하우징의 전단면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출기구에 의하면, 제 1 가이드 돌기와 제 1 가이드 홈과의 걸어맞춤점 및 제 2 가이드 돌기와 제 2 가이드 홈과의 걸어맞춤점의 2점에 의해서 인출체의 스윙각도가 규제되며, 이 때문에 하우징의 전단면으로부터 인출된 인출체의 스윙각도가 소정각도로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좌우방향의 흔들림이나 덜컹거림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더욱이, 하우징과 인출체에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홈 및 제 1, 제 2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도 8의 컵홀더와 같은 슬라이드 가이드체(e)를필요로 하지 않고, 또 인출체를 소정의 스윙각도로 로크하는 로크기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적은 부품수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하우징 내에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홈과 제 1, 제 2 가이드 돌기가 걸어맞춰지도록 인출체를 세트하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시의 작업공정을 적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효율좋게 조립작업을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조 코스트를 효과적으로 삭감하여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하우징의 양 측벽의 내면 또는 상기 인출체의 양 측면 중 어느 일측에, 전후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양 측벽의 내면 또는 상기 인출체의 양 측면 중 어느 타측에, 상기 슬라이드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조를 돌출형성하고, 또 인출체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 홈 또는 슬라이드 돌조의 적어도 일부에, 이 인출체의 상기 회동운동에 대응시킨 만곡부(彎曲部) 또는 경사부를 형성하여, 인출체를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하거나 하우징 내에 격납할 때에, 상기 슬라이드 돌조가 상기 슬라이드 홈 내를 슬라이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인출체의 상하의 덜컹거림을 확실하게 방지하며, 인출체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사용상태에서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인출체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 홈 또는 슬라이드 돌조의 적어도 일부에, 이 인출체의 상기 회동운동에 대응시킨 만곡부 또는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출체가 격납상태로부터 완전히 인출될 때까지의 동안, 및 인출상태로부터 완전하게 격납될 때까지의 동안, 항상 슬라이드 돌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드 홈 내에 삽입된 상태가유지되므로, 인출조작 및 격납조작 시에도 상하의 덜컹거림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지극히 안정적으로 인출조작 및 격납조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제 1 및 제 2, 양 가이드 홈은, 상기 하우징의 전단 개방면 또는 상기 인출체의 후단에 개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에 의해, 하우징으로의 인출체의 조립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어서, 조립작업을 보다 간편화할 수 있다.
즉, 통상은 하우징의 상단벽 또는 하단벽을 본체와 별체로 형성하며, 인출체를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기가 걸어맞춰지도록 하우징 내에 세트하고 상기 상단벽 또는 하단벽을 하우징 본체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통상은 하우징에 인출체를 조립할 필요가 있으나,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양 가이드 홈을, 상기 하우징의 전단 개방면 또는 상기 인출체의 후단에 개구시킴으로써, 상단벽 및 하단벽을 가지는(예를 들어 이들을 일체로 성형한) 하우징의 전단 개방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양 가이드 홈의 개구단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도록, 인출체를 삽입하여, 하우징에 인출체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극히 간편하게 인출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출기구에 의하면, 인출체를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서 인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인출한 인출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 적은 부품수로 조립작업도 용이하고 코스트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인출기구를 이용한 본 발명의 컵홀더 유닛은, 시프트레버나 암 레스트 등의 장해물을 피하기 위해, 혹은 편리성을 고려하여 홀더부재를 스윙시킨상태로 인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흔들림이나 덜컹거림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컵류를 유지할 수 있고, 게다가 적은 부품수로 효율적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인출기구를 이용한 컵홀더 유닛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컵홀더 유닛은, 하우징(1)과, 하우징(1) 내로 인출가능하게 수용된 홀더부재(인출체)(2)와, 바닥면 지지암(3)을 구비한다.
하우징(1)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면이 개방된 대략 상자형의 케이스로서, 그 상단벽은, 하우징(1)의 앞부분에 형성되며 후단측의 중앙부가 사다리꼴형상으로 절결된 형상의 윗벽 전부(前部)(111)와, 하우징(1)의 후단부의 일측에 형성된 윗벽 후부(後部)(112)로 나뉘며, 하우징(1) 상면의 중앙부에서부터 후단부의 타측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의 윗벽 전부(111)의 후단부의 약간 일측방향에는 제 1 로크구멍(113)이 뚫려져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윗벽 후부(112)의 타측방향에도 제 2 로크구멍(114)이 뚫려져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1)의 양 측벽의 내면에는, 전부와 중간부의 약간 후측에 각각 레일돌기(121)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레일돌기(121)와 하단벽(13)과의 사이에 슬라이드 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의 하단벽(13)의 내면에는, 전후방향을 따라서 제 1 가이드홈(14)과 제 2 가이드홈(15)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홈(14)은,하우징(1)의 후부의 약간 전방에서부터 전단(前端)에 걸쳐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의 전단면에 개구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가이드 홈(15)은 하우징(1)의 후단부에서부터 전단(前端)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중간부에는 일측 방향(제 1 가이드 홈(14)과 반대측)으로 사행되는 사행부(151)가 형성되고, 다시 타측 방향으로 사행되어 작은 산형상을 형성한 뒤, 직선적으로 하우징(1)의 전단까지 형성되며 하우징(1)의 전단면에 개구되어 있다.
상기 홀더부재(2)는, 도 5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전단부(도 5 중의 하측단부)에 손잡이부(21)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전단부에 원형의 유지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길이방향 중간부의 양측부가 내측으로 절결되어서 가운데 부분이 잘록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홀더부재(2)의 양 측면의 전부 및 후부에는 각각 슬라이드 돌조(23,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면의 후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돌조(24,24)의 일측은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음과 아울러, 타측은 상기 잘록한 부분을 따라서 절곡되어 있다.
또, 상기 홀더부재(2)의 상면 후단부에는, 단면 직각삼각형의 걸림 볼록부(25)가 비스듬하게 돌출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걸림볼록부(25)와 인접한 부분에 정상부가 구면형상으로 둥그스룸한 원뿔꼴형상의 볼록부(26)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부재(2)의 하면의 후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제 1 가이드 돌기(27) 및 제 2 가이드 돌기(28)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부호 291은, 홀더부재(2)의 상면측에 형성된 보강리브이며, 부호 292는 홀더부재(2)의 하면측에 형성된 보강리브이다.
이어서, 상기 바닥면 지지암(3)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형의 본체(31)의 전단(前端)(도 6 중 좌측단)에 폭확대부(32)를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이 폭확대부(32)에 대략 반원형의 관통구멍(321)을 형성하고, 또한 본체(31) 후단의 중앙부에 하강하며 경사지면서 후측으로 연장되는 회동걸림편(33)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바닥면 지지암(3)의 본체(31) 후단부의 양 측면에는, 축돌기(311,311)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관통구멍(321)의 직선형상의 전단벽은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바닥받침면(322)을 이루고 있다.
상기 바닥면 지지암(3)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축돌기(311,311)가 상기 홀더부재(2)의 하면측에 형성된 보강리브(292,29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홀더부재(2)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 지지암(3)이 부착된 상기 홀더부재(2)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 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홀더부재(2)의 제 1, 제 2 가이드 돌기(27,28)가 각각 하우징(1)의 제 1, 제 2 가이드 홈(14, 15)에 삽입되어 있음과 아울러, 홀더부재(2)의 슬라이드 돌조(23,24)가 하우징(1)의 슬라이드 홈(12) 내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홀더부재(2)의 상기 걸림 볼록부(25)가 하우징(1)의 윗벽 전부(111)보다 후측에 형성된 상면 개구 내에 위치하고, 그 선단부는 하우징(1)의 상단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컵홀더 유닛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컵홀더 유닛은, 상기 하우징(1)을 자동차의 인스트러먼트 패널 등의 내측에 조립하여 자동차 내에 설치되며, 통상은 도 1에 나타낸 홀더부재(인출체)(2)가 하우징(1) 내에 격납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사용시에, 도 2, 3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홀더부재(2)를 하우징(1)으로부터 인출해서, 상기 홀더부재(2)에 캔 음료 등의 컵류(h)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즉, 통상은, 도 1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홀더부재(2)의 거의 전부가 하우징(1) 내에 격납되며, 홀더부재(2)의 손잡이부(21)가 하우징(1)의 전단 개방면을 폐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홀더부재(2)의 볼록부(26)가 하우징(1)의 윗벽 후부(112)에 형성된 제 2 로크구멍(114)에 끼워 맞춰져서, 헐겁게 로크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 또, 바닥면 지지암(3)은, 상방으로의 회동범위 내에 있고, 홀더부재(2)의 하면에 밀착되어서 절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컵홀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부(21)를 잡고, 홀더부재(2)를 하우징(1)의 전단 개방면으로부터 인출한다. 이것에 의해서, 하우징(1)의 윗벽 후부(112)가 상측으로 휘어지고 상기 로크 볼록부(26)가 제 2 로크구멍(114)으로부터 빠져나와서 로크상태가 해제되며, 홀더부재(2)가 하우징(1) 내를 앞측으로 슬라이드한다. 이 때, 홀더부재(2)의 제 1, 제 2 가이드 돌기(27, 28)는 각각 하우징(1)의 제 1, 제 2 가이드 홈(14,15) 내를 슬라이드하고, 또 홀더부재(2)의 양 슬라이드 돌조(23,24)가 하우징(2)의 슬라이드 홈(12,12) 내를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홀더부재(2)의 제 2 가이드 돌기(28)가 제 2 가이드 홈(15)의 사행부(151)로 진입하면,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28)가 이 사행부(151)를 따라서 일측방향으로 사행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홀더부재(2)가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27)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 때, 홀더부재(2)의 후측의 슬라이드 돌조(24,24)가 하우징(1)의 전측의 슬라이드 홈(12,12)으로 이동해서, 상기 전측의 슬라이드 홈(12,12) 내를 슬라이드한다. 또한, 상기 바닥면 지지암(3)은 하우징(1)의 전단면으로부터의 돌출운동에 따라서, 자중(自重)에 의해서 하측으로 회동해 간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홀더부재(2)의 제 2 가이드 돌기(28)가 사행부(151)의 정상부에 도달하면, 걸림 볼록부(25)가 하우징(1)의 윗벽 전부(111)와 맞닿게 됨으로써 전방으로의 이동이 끝남과 아울러, 로크돌기(26)가 하우징(1)의 윗벽 전부(111)의 밑으로 들어가 제 1 로크구멍(113)과 끼워맞춰져 그 상태로 로크된다.
이 때, 홀더부재(2)는,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28)가 가이드 홈(15)의 사행부(151)로 가이드되어 일측방향으로 사행된 정도에 맞춰서 소정각도만큼 타측으로 스윙한 상태로 하우징(1)의 전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유지구멍(22)이 완전히 하우징(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 지지암(3)은, 하측으로 회동하고, 회동 걸림편(33)이 홀더부재(2)의 하측면과 맞닿아서 하측으로의 회동을 제한하게 되어, 하측으로 소정각도 회동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 3(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홀더부재(2)의 유지구멍(22)을 통해서 상기 바닥면 지지암(3)의 바닥받침면(322) 위에 캔 음료 등의 컵류(h)를 얹어 놓음으로써, 이 홀더부재(2)로 컵류(h)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가이드 홈(15)의 사행부(151)는 일단 일측방향으로 사행된 후, 정상부를 통해서 타측으로 사행되는 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부재(2)를 하우징(1)으로부터 완전히 빼내기 위해서는, 일단 일측방향으로 회동된 홀더부재(2)를 다시 타측으로 소정각도 회동시키고, 또한 이 회동 각도를 유지시킨 채로 앞으로 인출한다는, 매우 복작한 동작을 홀더부재(2)에 가해야만 하므로, 사용시에 실수로 홀더부재(2)를 빼내 버리는 일이 없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다시 홀더부재(2)를 하우징(1) 내로 격납하는 경우에는, 상기 홀더부재(2)를 하우징(1) 내로 밀어 넣는다. 이로써, 하우징(1)의 윗벽 전부(111)가 상측으로 휘어지고 상기 로크 볼록부(26)가 제 1 로크구멍(113)으로부터 발출됨으로써 로크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28)가 제 2 가이드 홈(15)의 사행부(151)로 가이드되어서 홀더부재(2)가 인출시와는 역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로크 볼록부(26)가 하우징(1)의 윗벽 후부(112)와 맞닿았을 때, 더욱 강하게 홀더부재(2)를 밀어 넣음으로써, 로크 볼록부(26)가 윗벽 후부(112)의 밑으로 들어가서, 제 2 로크구멍(114)과 끼워맞춰져 로크되어, 도 1에 나타낸 초기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컵홀더는, 하우징(1)에 형성된 직선형상의 제 1 가이드 홈(14)과 사행부(151)를 가지는 제 2 가이드 홈(15)의 2개의 가이드 홈에, 홀더부재(2)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돌기(27)와 제 2 가이드 돌기(28)를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며, 상기 홀더부재(2)를 하우징(1)으로부터 인출할 때에 상기 제 1, 제 2 양 가이드 돌기(27,28)가 상기 제 1, 제 2 양 가이드 홈(14,15)을 슬라이드하고, 이 때 제 2 가이드 돌기(28)가 제 2 가이드 홈(15)의 사행부(151)로 가이드됨으로써, 홀더부재(2)가 제 1 가이드 돌기(27)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고, 홀더부재(2)가 소정각도 회동된 상태로 하우징(1)의 전단면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컵홀더 유닛에서는, 제 1 가이드 돌기(27)와 제 1 가이드 홈(14)과의 걸어맞춤점 및 제 2 가이드 돌기(28)와 제 2 가이드 홈(15)과의 걸어맞춤점의 2점에 의해서 홀더부재(2)의 스윙각도가 규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1)의 전단면으로부터 인출된 홀더부재(2)의 스윙각도가 소정각도로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좌우방향의 흔들거림이나 덜컹거림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의 양 측벽의 내면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홈(12)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홀더부재(2)의 양 측면에, 상기 슬라이드 홈(12)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조(23,24)를 돌출형성함으로써, 홀더부재(2)의 상하의 덜컹거림이 확실하게 방지되기 때문에, 홀더부재(2)가 하우징(1)으로부터 인출된 사용상태에서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후측의 슬라이드 돌조(24,24)에, 홀더부재(2)의 회동운동에 대응시킨 만곡부 및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홀더부재(2)가 격납상태로부터 완전히 인출될 때까지의 동안 및 인출상태로부터 완전히 격납될 때까지의 동안에, 항상 슬라이드 돌조(23,24)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드 홈(12) 내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인출조작 및 격납조작시에도 상하의 덜컹거림을 발생시키지 않아서 매우 안정적으로 인출조작 및 격납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컵홀더 유닛에서는, 하우징(1)과 홀더부재(2)에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홈(14,15) 및 제 1, 제 2 가이드 돌기(27,28)를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도 8의 컵홀더와 같은 슬라이드 가이드체(e)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 홀더부재(2)를 소정의 스윙각도로 로크하는 로크기구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적은 부품수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하우징(1) 내로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홈(14,15)과 제 1, 제 2 가이드 돌기(27,28)가 걸어맞춰지도록 홀더부재(2)를 세트하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시의 작업공정을 적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효율적으로 조립작업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제조비용을 효과적으로 삭감해서 저렴하게 제조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양 가이드 홈(14,15)이, 상기 하우징(1)의 전단 개방면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1)에 대한 홀더부재(2)의 부착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부착작업을 매우 작업성이 좋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컵홀더 유닛에서는, 하우징(1)의 전단 개방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양 가이드 홈(14,15)의 개구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돌기(27,28)를 삽입하고, 홀더부재(2)를 압입하여, 하우징(1) 내에 홀더부재(2)를 부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단하게 인출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컵홀더 유닛은, 시프트레버나 암 레스트 등의 장해물을 피하기 위해서, 혹은 사용시의 편리성을 고려해서 홀더부재(2)를 스윙시킨 상태로 인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흔들림이나 덜컹거림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컵류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적은 부품수로 효율적으로 조립할 수 있고, 또 저렴하게 제조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인출기구 및 상기 기구를 이용한 컵홀더 유닛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에 제 1, 제 2 가이드 홈(14,15)을 형성하고, 홀더부재(2)에 제 1, 제 2 가이드 돌기(27,28)를 형성했는데, 반대로 홀더부재(2)에 제 1, 제 2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하우징(1)측에 제 1, 제 2 가이드 돌기를 형성해도 된다. 또, 사용시 및 격납시에 홀더부재(2)를 로크하는 기구나 홀더부재(2)에 형성되는 컵류의 유지기구는, 적당히 변경할 수 있고,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적당히 변경해도 지장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인출기구는, 인출식의 컵홀더에 매우 적절히 이용되는 것이지만,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트레이(tray)나 소물함, 그외, 인출식의 기구를 필요로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용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출기구 및 상기 인출기구를 이용한 컵홀더 유닛에 의하면, 컵류를 유지하는 홀더 등의 인출체를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인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인출한 인출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적은 부품수로 조립작업도 용이하고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Claims (5)
- 전단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된 인출체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체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인출함으로써, 상기 인출체가 상기 하우징의 전단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인출기구에 있어서,상기 하우징 또는 인출체 중 어느 일측에, 직선형상의 제 1 가이드 홈과 적어도 일부에 일측방향로 사행하는 사행부를 가지는 제 2 가이드 홈을 전후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형성함과 아울러, 타측에 상기 제 1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가이드 돌기와 상기 제 2 가이드 홈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 가이드 돌기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인출체를 인출할 때에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돌기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홈 내를 슬라이드하고,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 2 가이드 홈의 사행부를 슬라이드함으로써 인출체가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되면서 인출되며, 상기 인출체가 소정각도 스윙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전단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의 양 측벽의 내면 또는 상기 인출체의 양 측면 중의 어느 일측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타측에 이 슬라이드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조가 돌출형성되며, 또한 인출체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 홈 또는 슬라이드 돌조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인출체의 상기 회동운동에 대응시킨 만곡부 또는 경사부를 가지는 인출기구.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양 가이드 홈이, 상기 하우징의 전단 개방면 또는 상기 인출체의 후단에 개구되어 있는 인출기구.
-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양 가이드 홈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벽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 1 및 제 2 양 가이드 돌기가 상기 인출체의 하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인출기구.
- 전단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하우징과, 컵류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를 갖추고 상기 하우징 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된 홀더부재를 구비하며, 사용시에 상기 홀더부재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이 홀더부재가 상기 하우징이 전단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컵홀더 유닛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홀더부재간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출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287632A JP4488133B2 (ja) | 2000-09-21 | 2000-09-21 | 引出機構及び該引出機構を用いたカップホルダーユニット |
JPJP-P-2000-00287632 | 2000-09-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23666A KR20020023666A (ko) | 2002-03-29 |
KR100413208B1 true KR100413208B1 (ko) | 2003-12-31 |
Family
ID=1877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58673A KR100413208B1 (ko) | 2000-09-21 | 2001-09-21 | 인출기구 및 이 인출기구를 이용한 컵홀더 유닛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575542B2 (ko) |
JP (1) | JP4488133B2 (ko) |
KR (1) | KR100413208B1 (ko) |
TW (1) | TW556688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53405A1 (de) * | 2001-11-22 | 2003-06-18 | Nifco Inc | Auszugvorrichtung |
US20040251746A1 (en) * | 2003-06-12 | 2004-12-16 | Nifco Inc. | Moving device |
FR2858191B1 (fr) * | 2003-07-30 | 2006-01-27 | Faurecia Interieur Ind | Dispositif de rangement |
JP4262123B2 (ja) * | 2004-03-17 | 2009-05-13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電動パネル |
JP4278099B2 (ja) * | 2004-08-04 | 2009-06-10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カップホルダ装置 |
US7624960B2 (en) * | 2006-02-06 | 2009-12-01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Compression rail for sliding cup holder tray |
DE102006045228A1 (de) * | 2006-09-26 | 2008-04-03 |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
KR100767529B1 (ko) * | 2006-11-14 | 2007-10-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수납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하우징 타입 컵 홀더 |
JP2010023786A (ja) * | 2008-07-24 | 2010-02-04 | Nifco Inc | 引出し装置 |
JP5832797B2 (ja) * | 2011-07-05 | 2015-12-16 | 株式会社ニフコ | カップホルダ |
US9327650B2 (en) * | 2014-07-30 | 2016-05-03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Cup holder assembly with cantilevered support |
GB2548240A (en) * | 2016-03-08 | 2017-09-13 |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djustable cup holder |
KR102658179B1 (ko) * | 2023-12-08 | 2024-04-18 | 주식회사 로브로스 |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55571A (en) | 1989-11-21 | 1990-09-11 | Chivas Products Limited | Dual action cupholder |
US5060899A (en) * | 1990-11-19 | 1991-10-29 | Chivas Products Limited | Nested container holders |
JPH061179A (ja) * | 1992-06-19 | 1994-01-11 | Nissan Motor Co Ltd |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
JPH061178A (ja) * | 1992-06-19 | 1994-01-11 | Nissan Motor Co Ltd |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
JP3287081B2 (ja) | 1992-11-27 | 2002-05-27 | 株式会社ニフコ | 引き出しユニット |
US5618018A (en) * | 1995-06-07 | 1997-04-08 | Manchester Plastics | Cup holder for confined spaces |
DE19534435A1 (de) * | 1995-09-16 | 1997-03-20 | Daimler Benz Ag | Becherhalter mit einem in einem Cockpit eines Personenkraftwagens integrierten Gehäuse |
DE19534840A1 (de) * | 1995-09-20 | 1997-03-27 | Happich Gmbh Gebr | Einbau-Vorrichtung |
DE19636825C2 (de) * | 1996-09-11 | 1998-08-20 | Fischer Artur Werke Gmbh | Haltevorricht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
JPH10236210A (ja) * | 1997-02-27 | 1998-09-08 | Nifco Inc | カップホルダ |
JP4225627B2 (ja) * | 1999-04-28 | 2009-02-18 | 株式会社ニフコ | 車両用引き出し装置 |
DE19944817A1 (de) * | 1999-09-18 | 2001-03-22 | Fischer Artur Werke Gmbh | Haltevorricht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
-
2000
- 2000-09-21 JP JP2000287632A patent/JP448813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
- 2001-08-17 TW TW091221079U patent/TW556688U/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9-06 US US09/946,540 patent/US657554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9-21 KR KR10-2001-0058673A patent/KR10041320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6575542B2 (en) | 2003-06-10 |
KR20020023666A (ko) | 2002-03-29 |
US20020033656A1 (en) | 2002-03-21 |
JP4488133B2 (ja) | 2010-06-23 |
JP2002096670A (ja) | 2002-04-02 |
TW556688U (en) | 2003-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13208B1 (ko) | 인출기구 및 이 인출기구를 이용한 컵홀더 유닛 | |
JP3287081B2 (ja) | 引き出しユニット | |
KR100473501B1 (ko) | 슬라이드 및 회동운동 가이드기구와 상기 가이드기구를이용한 덮개체의 개폐기구 및 상기 개폐기구를 이용한차량 탑재용 내장품 | |
US7240978B2 (en) | Sliding assisting device | |
US20020171018A1 (en) | Cup holder | |
JP4468776B2 (ja) | カツプホルダ装置 | |
US6926331B2 (en) | Structure for locking a rod of a glove box | |
KR100326508B1 (ko) | 음료수용기유지장치 | |
JP2002360377A (ja) | 操作レバー | |
JP2003040023A (ja) | 自動引き出しユニット | |
JP3594045B2 (ja) | カップホルダーユニット | |
KR100204888B1 (ko) | 자동차의 도구수납 박스구조 | |
JP4059866B2 (ja) | カップホルダ装置 | |
KR100389547B1 (ko) | 컵 홀더 유닛 | |
JP2007083928A (ja) | カップホルダ | |
JP2008055950A (ja) |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 |
JP3962314B2 (ja) | カップホルダ | |
KR102506339B1 (ko) | 선반 조립체 | |
JP3340365B2 (ja) | カップホルダ装置 | |
KR100427214B1 (ko) | 차량의 센터콘솔 | |
JP3652876B2 (ja) | 容器保持装置 | |
JP3902607B2 (ja) | 車両用ドリンクホルダ | |
JP3918590B2 (ja) | カップホルダ | |
JP2576748Y2 (ja) | 缶ホルダ | |
KR20020055337A (ko) | 자동차의 듀얼오픈 콘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23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