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179B1 -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179B1
KR102658179B1 KR1020230177711A KR20230177711A KR102658179B1 KR 102658179 B1 KR102658179 B1 KR 102658179B1 KR 1020230177711 A KR1020230177711 A KR 1020230177711A KR 20230177711 A KR20230177711 A KR 20230177711A KR 102658179 B1 KR102658179 B1 KR 102658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draw
support
rotat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7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준
권혁
박현준
전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브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브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브로스
Priority to KR1020230177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이 안착되는 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에 안착된 컵을 인출시키는 인출부; 및 상기 인출부의 저부에 설치되고, 지지홀이 형성되어, 상기 컵이 상기 안착홀과 상기 지지홀을 차례로 관통되며, 상기 인출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컵을 인출시키도록 상기 인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컵은 상기 안착홀과 상기 지지홀이 동일 선상에 위치 시에 상기 인출부에 안착되고, 상기 인출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컵이 상기 안착홀에서 상기 지지홀로 차례로 통과되면서 낙하되는 것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Automatic or manual cup extractor}
본 발명은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포개진 상태의 컵 열의 최하단부의 컵을 순차적으로 인입 및 인출할 수 있고, 원하는 경우, 스택(Stack)되어 있는 컵 전체를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는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 인출장치는 컵을 쌓아 놓고, 중력을 통해 수직으로 포개진 컵 열의 최하단부로부터 컵을 인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컵 인출장치의 경우 소진된 컵을 다시 채워넣기 위해서는 수직으로 포개진 컵 열의 상단부에 직접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컵 열의 상단부가 컵 인출장치의 공간의 최상단부에 위치하게 되면, 컵 인출장치 공간의 제약 등으로 인해, 컵 열의 상단부로 접근이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 :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7480호(자판기의 컵자동인출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으로 포개진 상태의 컵 열의 최하단부의 컵을 순차적으로 인입 및 인출할 수 있고, 원하는 경우, 남아있는 컵 또는 스택(Stack)되어 있는 컵 전체를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는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는, 컵이 안착되는 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에 안착된 컵을 인출시키는 인출부; 및 상기 인출부의 저부에 설치되고, 지지홀이 형성되어, 상기 컵이 상기 안착홀과 상기 지지홀을 차례로 관통되며, 상기 인출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컵을 인출시키도록 상기 인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컵은 상기 안착홀과 상기 지지홀이 동일 선상에 위치 시에 상기 인출부에 안착되고, 상기 인출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컵이 상기 안착홀에서 상기 지지홀로 차례로 통과되면서 낙하된다.
상기 인출부는, 내측 둘레면 중 양 측면의 제1 면에, 소정의 길이로 상기 컵의 몸체보다 더 긴 둘레를 형성하는 상기 컵의 상부 둘레면이 안착되도록 단 턱을 형성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부는, 상기 제1 면과 나란히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면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인출부의 전방을 향하도록 일부 관통되어 돌출되고, 상기 인출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개방된 제2 면의 개방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2 면의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동시에 회동되되, 상기 인출부의 전방을 향하도록 관통되어 돌출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전축과 회동부의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인출부의 전방을 향하도록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과 회동부의 사이에서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되, 비 회전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중앙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개방부를 개폐시키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는, 상기 인출부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시, 상기 회전축과 동시에 회동되면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상기 날개부를 통해 상기 개방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개방부가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컵은 상기 안착부에서 탈락되어, 상기 안착홀 및 상기 지지홀을 차례로 통과되면서 낙하되며, 상기 회동부는, 상기 컵이 낙하되면 자동으로 상기 회전축과 동시에 회동되면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상기 날개부를 통해 상기 개방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인출부가 상지 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인출된 상기 컵을 상기 지지홀을 통해 인입 시, 외부 인력으로 인해 인가된 상기 컵의 상부 둘레면 일측이 상기 날개부를 상기 개방부의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상기 컵이 상기 지지홀로 인입되고, 낙하된 상기 컵이 상기 지지홀에 인입 시, 상기 날개부가 개방되면서 턱을 형성하여, 상기 컵의 상부 둘레면 일측이 상기 날개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날개부가 상기 개방부를 폐쇄 시, 상기 회동부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고정부의 돌기홈에 상기 회동부의 돌기가 맞물려, 상기 개방부의 폐쇄 상태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날개부가 상기 개방부를 개방 시, 상기 회전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고정부의 돌기홈에 맞물린 상기 회동부의 돌기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인출부는, 상기 개폐부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제1 면에 내장되는 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 시, 평탄하게 슬라이딩되기 위해, 평탄화를 유지시키면서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ㄷ' 형상으로, 상기 인출부와 상기 지지부의 이격 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안내부에서 절곡되어 수직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인출부의 상부면의 일부를 감싸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판기에서 컵을 인출할 때 하나씩 인출되어야 하지만, 상호 밀착되어 있는 컵이 여러개 한꺼번에 인출되고, 결과적으로 음식물이 유입된 컵을 제외한 다른 종이컵은 대부분 버려지고 있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개의 컵이 인출 시, 전력에 의존하지 않고 인력에 의하여 수직으로 포개진 상태의 컵 열의 최하단부 컵으로 인입할 수 있어,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의 인출부에 안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의 인출부에 안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의 날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의 날개부가 개방 시, 고정부의 돌기홈에 맞물린 회동부의 돌기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의 날개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의 날개부가 폐쇄 시, 고정부의 돌기홈에 회동부의 돌기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에서 안착부에 컵의 상부 둘레면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C) 인출장치(10)는, 인출부(100) 및 지지부(200)를 포함한다.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C) 인출장치는 자판기에 장착되어, 인출부(100) 및 지지부(200)로 적층된 컵(C)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컵(C)은 종이컵(C), 플라스틱 컵(C) 등일 수 있다.
인출부(100)는 지지부(200)의 상부에 위치되고, 인출부(100)와 지지부(200)는 상, 하로 각각 위치되되,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인출부(100)는 지지부(200)로부터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인출부(100)는 지지부(200)로부터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인출부(100) 후방면에 슬라이딩이동부(11)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이동부(11)는 지지부(200) 후방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이동부(11)는 리프트, 리프트 업, 가스리프트, 쇼바 등 다양한 슬라이딩 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인출부(100)는, 'ㄷ' 형태로 테두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출부(100)는 컵(C)이 안착되는 안착홀(101)이 형성되고, 안착홀(101)에 안착된 컵(C)을 인출시킨다. 여기서 안착홀(101)은 인출부(100)의 'ㄷ' 형태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공간일 수 있다. 즉, 인출부(100)의 'ㄷ' 형태의 테두리의 내부 공간일 수 있다.
그리고 인출부(100)는 도 2를 기준으로, 내측 둘레면 중 양 측면의 제1 면(110)에, 소정의 길이로 컵(C)의 몸체보다 더 긴 둘레를 형성하는 컵(C)의 상부 둘레면이 안착되도록 단 턱을 형성하는 안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면(110)은 도 2를 기준으로, 인출부(100)의 양 측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안착부(120)의 단 턱은 컵(C)의 본체(C-1)와, 본체의(C-1) 상부 둘레면(C-2)의 둘레 길이 차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면(110)의 가로 길이는 후술할 제2 면(130)부터 고정부(143)까지의 가로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인출부(100)의 내측 둘레면 중 양 측면의 길이에 따라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면(110)과 제2 면(130)은 인출부(100)의 내측 둘레면의 양 측면에서 1:1, 2:1 등의 비율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1 면(110)은 인출부(100)가 지지부(200)로부터 후방으로 슬라이딩 시, 컵(C)의 상부 둘레면이 안착부(120)에 접촉되지 않는 만큼의 안착부(120)의 가로 길이일 수 있다.
또한 인출부(100)는 제1 면(110)과 나란히 위치되도록 제1 면(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면(130)의 내부에 삽입되되, 인출부(100)의 전방을 향하도록 일부 관통되어 돌출되고, 인출부(100)가 지지부(200)로부터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전면이 개방된 제2 면(130)의 개방부(131)를 개폐시키는 개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면(130)은 도 3을 기준으로, 인출부(100)의 양 측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140)는 회전축(141)과, 회동부(142)와, 고정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41)은 제2 면(130)의 개방부(13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141)은 중앙에 결합되어, 회동부(142)의 회동에 따라 개방부(131)를 개폐시키는 날개부(141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141a)는 인출부(100)가 지지부(200)로부터 후방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인출된 컵(C)을 지지홀(201)을 통해 인입 시, 외부 인력으로 인해 인가된 컵(C)의 상부 둘레면 일측이 날개부(141a)를 개방부(131)의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컵(C)이 지지홀(201)로 인입될 수 있다.
이어서 낙하된 컵(C)이 지지홀(201)에 인입 시, 날개부(141a)가 개방되면서 턱을 형성하여, 컵(C)의 상부 둘레면 일측이 날개부(141a)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141a)는 90도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날개부(141a)의 복원력을 증가시키는 스프링(141b)에 의해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회동부(142)는 회전축(141)과 결합되어, 회전축(141)과 동시에 회동되되, 인출부(100)의 전방을 향하도록 관통되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회동부(142)는 인출부(10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시, 회전축(141)과 동시에 회동되면서, 회전축(141)에 결합된 날개부(141a)를 통해 개방부(131)를 폐쇄시키고, 개방부(131)가 폐쇄됨과 동시에 컵(C)은 안착부(120)에서 탈락되어, 안착홀(101) 및 지지홀(201)을 차례로 통과되면서 낙하될 수 있다.
이어서 회동부(142)는 컵(C)이 낙하되면 자동으로 회전축(141)과 동시에 회동되면서, 회전축(141)에 결합된 날개부(141a)를 통해 개방부(131)를 개방시킬 수 있다.
고정부(143)는 회전축(141)과 회동부(142)의 사이에 위치되되, 인출부(100)의 전방을 향하도록 돌출되고, 회전축(141)과 회동부(142)의 사이에서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되, 비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43)는 날개부(141a)가 개방부(131)를 페쇄 시, 회동부(142)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고정부(143)의 돌기홈(143a)에 회동부(142)의 돌기(142a)가 맞물려, 개방부(131)의 폐쇄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143)는 날개부(141a)가 개방부(131)를 개방 시, 회전축(141)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고정부(143)의 돌기홈(143a)에 맞물린 회동부(142)의 돌기(142a)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축(141)은 회동부(142)에 의해 날개부(141a)와, 회전축(141)이 회동 시, 날개부(141a)의 복원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 면(110) 방향으로 스프링(141b)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141b)은 회전축(141) 외측둘레면에 결합되고, 스프링(141b)의 시작부가 날개부(141a)의 일측과 접촉될 수 있다.
즉, 날개부(141a)를 개방 시, 날개부(141a)의 일측면이 스프링(141b)의 시작부를 밀어내면서 개방부(131)를 개방시키고, 날개부(141a)를 개방 시, 날개부(141a)의 일측면이 스프링(141b)의 시작부를 밀어내면서 개방부(131)를 폐쇄시킬 수 있다.
한편, 인출부(100)는 개폐부(140)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 진동을 흡수하도록 제1 면(110)에 내장되는 흡수부(150)(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흡수부(150)는, 라텍스, 고무 등 다양한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또한 흡수부(150)는 인출부(100)에서 교체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인출부(100)는 제1 면(110)의 길이인 상부면이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탈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탈착부는 뚜껑과 같은 형태로 제작되어, 인출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로 인해 회동으로 뚜껑이 개폐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다양한 방법으로 인출부(100)의 상부면이 인출부(100)에서 개폐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인출부(100)의 저부에 설치되고, 지지홀(201)이 형성되어, 컵(C)이 안착홀(101)과 지지홀(201)을 차례로 관통되며, 인출부(10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컵(C)을 인출시키도록 인출부(100)를 지지한다.
컵(C)은 안착홀(101)과 지지홀(201)이 동일 선상에 위치 시에 인출부(100)의 안착부(120)에 안착된다.
인출부(100)가 지지부(200)로부터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컵(C)이 안착홀(101)에서 지지홀(201)로 차례로 통과되면서 낙하된다.
즉, 인출부(100)가 지지부(200)로부터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안착부(120)에 안착된 컵(C)이 안착부(120)에서 탈락되면서 지지홀(201)로 낙하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C) 인출장치의 인출부(100)에 안내부(3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C) 인출장치의 인출부(100)에 안내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C) 인출장치는, 인출부(100)가 지지부(200)로부터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 시, 평탄하게 슬라이딩되기 위해, 평탄화를 유지시키면서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안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출부(100)는 안내부(300)가 인출부(100)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인출부(100)의 하부면에 가이드홈(1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안내부(300)는 'ㄷ'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안내부(300)는 인출부(100)와 지지부(200)의 이격 공간에 위치되되, 지지부(20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310)와, 안내부(300)에서 상기 지지부(200)의 외측(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수직 연장되는 연장부(320)와, 연장부(320)에서 인출부(100)의 상부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인출부(100)의 상부면의 일부를 감싸는 제2 결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300)는 제1 결합부(310)의 중앙에, 가이드홈(102)에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인출부(100)에서 안내부(300)가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돌기(340)는 가이드홈(102)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310)는 지지부(200)의 상부면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C) 인출장치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C) 인출장치의 날개부(141a)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C) 인출장치의 날개부(141a)가 개방 시, 고정부(143)의 돌기홈(143a)에 맞물린 회동부(142)의 돌기(142a)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C) 인출장치의 날개부(141a)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C) 인출장치의 날개부(141a)가 폐쇄 시, 고정부(143)의 돌기홈(143a)에 회동부(142)의 돌기(142a)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C) 인출장치에서 안착부(120)에 컵(C)의 상부 둘레면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실 제품으로,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C) 인출장치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출부(100)는 상부에 위치되고, 지지부(200)는 인출부(100)의 하부에 위치되며, 인출부(100)와 지지부(200)는 상, 하로 각각 위치되되,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인출부(100)는 지지부(200)로부터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인출부(100)는 지지부(200)로부터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인출부(100) 후방면에 슬라이딩이동부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이동부는 지지부(200) 후방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이동부는 리프트, 리프트 업, 가스리프트, 쇼바 등 다양한 슬라이딩 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인출부(100)의 전방 슬라이딩은 인출부(100)의 안착홀(101)과, 지지부(200)의 지지홀(201)이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를 뜻할 수 있다.
인출부(100)가 지지부(200)로부터 전방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컵(C)은 안착홀(101)에 위치되되, 인출부(100)의 안착부(120)에 컵(C)의 상부 둘레면이 안착될 수 있다.
이어서 인출부(10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시, 회동부(142)와 회전축(141)이 동시에 회동되면서, 회전축(141)에 결합된 날개부(141a)를 통해 개방부(131)를 폐쇄시키고, 개방부(131)가 폐쇄됨과 동시에 컵(C)은 안착부(120)에서 탈락되어, 안착홀(101) 및 지지홀(201)을 차례로 통과되면서 낙하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141a)는 개방부(131)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 고정부(143)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43)는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고정부(143)의 돌기홈(143a)에 회동부(142)의 돌기(142a)가 맞물릴 수 있다.
다음으로 컵(C)이 낙하되면 회동부(142)는 자동으로 회전축(141)과 동시에 회동되면서 회전축(141)에 결합된 날개부(141a)를 통해 개방부(13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141a)는 개방부(131)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 고정부(143)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43)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고정부(143)의 돌기홈(143a)에 회동부(142)의 돌기(142a)가 탈락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43)는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기 위해, 내부에 스프링(143b)이 내장될 수 있다. 즉, 스프링(143b)은 회전축(141)의 외부 둘레면에 결합되고, 이는 고정부(143)의 내부 둘레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인출부(100)가 지지부(200)로부터 후방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인출된 컵(C)을 지지홀(201)을 통해 인입 시, 외부 인력으로 인해 인가된 컵(C)의 상부 둘레면 일측이 날개부(141a)를 개방부(131)의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컵(C)이 지지홀(201)로 인입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낙하된 컵(C)이 지지홀(201)로 인입 시, 적층된 컵(C)의 하단부에 끼워짐과 동시에 개방된 날개부(141a)가 턱을 형성하여 컵(C)의 상부 둘레면의 일측이 날개부(141a)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C) 인출장치는 전력에 의하여 수직으로 포개진 상태의 컵(C) 열의 최하단부 컵(C)이 차례로 인출되되, 전력에 의존하지 않고 인력에 의하여 수직으로 포개진 상태의 컵(C) 열의 최하단부 컵(C)으로 인입할 수 있다.
한편, 회동부(142)의 회동 동작은 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어 모터는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11 : 슬라이딩이동부
100 : 인출부
101 : 안착홀
102 : 가이드홈
110 : 제1 면
120 : 안착부
130 : 제2 면
131 : 개방부
140 : 개폐부
141 : 회전축
141a : 날개부
141b : 스프링
142 : 회동부
142a : 돌기
143 : 고정부
143a : 돌기홈
143b : 스프링
200 : 지지부
201 : 지지홀
300 : 안내부
310 : 제1 결합부
320 : 연장부
330 : 제2 결합부
340 : 가이드돌기
C : 컵
C-1 : 본체
C-2 : 상부 둘레면

Claims (10)

  1. 컵이 안착되는 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에 안착된 컵을 인출시키는 인출부; 및
    상기 인출부의 저부에 설치되고, 지지홀이 형성되어, 상기 컵이 상기 안착홀과 상기 지지홀을 차례로 관통되며, 상기 인출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컵을 인출시키도록 상기 인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컵은 상기 안착홀과 상기 지지홀이 동일 선상에 위치 시에 상기 인출부에 안착되고,
    상기 인출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컵이 상기 안착홀에서 상기 지지홀로 차례로 통과되면서 낙하되고,
    상기 인출부는,
    내측 둘레면 중 양 측면의 제1 면에, 소정의 길이로 상기 컵의 몸체보다 더 긴 둘레를 형성하는 상기 컵의 상부 둘레면이 안착되도록 단 턱을 형성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제1 면과 나란히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면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인출부의 전방을 향하도록 일부 관통되어 돌출되고, 상기 인출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전면이 개방된 제2 면의 개방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2 면의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동시에 회동되되, 상기 인출부의 전방을 향하도록 관통되어 돌출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전축과 회동부의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인출부의 전방을 향하도록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과 회동부의 사이에서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되, 비 회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중앙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개방부를 개폐시키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인출부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시, 상기 회전축과 동시에 회동되면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상기 날개부를 통해 상기 개방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개방부가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컵은 상기 안착부에서 탈락되어, 상기 안착홀 및 상기 지지홀을 차례로 통과되면서 낙하되며,
    상기 회동부는,
    상기 컵이 낙하되면 자동으로 상기 회전축과 동시에 회동되면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상기 날개부를 통해 상기 개방부를 개방시키는 것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인출부가 상지 지지부로부터 후방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인출된 상기 컵을 상기 지지홀을 통해 인입 시, 외부 인력으로 인해 인가된 상기 컵의 상부 둘레면 일측이 상기 날개부를 상기 개방부의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상기 컵이 상기 지지홀로 인입되고,
    낙하된 상기 컵이 상기 지지홀에 인입 시, 상기 날개부가 개방되면서 턱을 형성하여, 상기 컵의 상부 둘레면 일측이 상기 날개부에 안착되는 것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날개부가 상기 개방부를 폐쇄 시, 상기 회동부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고정부의 돌기홈에 상기 회동부의 돌기가 맞물려, 상기 개방부의 폐쇄 상태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날개부가 상기 개방부를 개방 시, 상기 회전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고정부의 돌기홈에 맞물린 상기 회동부의 돌기를 해제시키는 것인,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개폐부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제1 면에 내장되는 흡수부를 포함하는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 시, 평탄하게 슬라이딩되기 위해, 평탄화를 유지시키면서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ㄷ' 형상으로,
    상기 인출부와 상기 지지부의 이격 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안내부에서 절곡되어 수직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인출부의 상부면의 일부를 감싸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KR1020230177711A 2023-12-08 2023-12-08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KR102658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7711A KR102658179B1 (ko) 2023-12-08 2023-12-08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7711A KR102658179B1 (ko) 2023-12-08 2023-12-08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179B1 true KR102658179B1 (ko) 2024-04-18

Family

ID=90844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7711A KR102658179B1 (ko) 2023-12-08 2023-12-08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1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666A (ko) * 2000-09-21 2002-03-2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인출기구 및 이 인출기구를 이용한 컵홀더 유닛
KR20130027480A (ko) 2010-03-02 2013-03-15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세포 지지체 및 골재생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666A (ko) * 2000-09-21 2002-03-2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인출기구 및 이 인출기구를 이용한 컵홀더 유닛
KR20130027480A (ko) 2010-03-02 2013-03-15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세포 지지체 및 골재생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200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출납구조
EP2532996A1 (en) Door basket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KR20170015333A (ko) 가구 부품 또는 가전 제품의 선반용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가구 부품 및 가전 제품
US20130320130A1 (en) Carriage assembly for sequential paper products dispensers
EP2826410A1 (en) Vacuum cleaner
KR20170016366A (ko) 가구 부품 또는 가전 제품의 선반용 슬라이딩-피봇팅 메커니즘, 가구 부품 및 가전 제품
US10694901B2 (en) Roll sheet material dispenser
US20230081684A1 (en) Storage container for a storage and dispensing station
KR102658179B1 (ko) 자동 또는 수동이 가능한 컵 인출장치
KR101905475B1 (ko) 용지 카세트 및 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N101626069A (zh) 电池盖卡锁结构
CN103298384A (zh) 分配器中保持替换材料卷的保持机构、保持系统、分配器及将材料卷插入该保持机构的方法
US20170079429A1 (en) Inclined Shelf Case
WO2014184987A1 (ja) 輸液ポンプ用カセットおよび輸液ポンプ
JP2000313561A (ja) 排紙トレイ装置
JP5579519B2 (ja) 薄葉紙ディスペンサー
WO2015014320A1 (zh) 除湿机及其储水箱组件
US11975880B2 (en) Storage container for a storage and dispensing station
CN216806277U (zh) 一种多次抽拉开启的礼盒
CN207341636U (zh) 可拆卸式咖啡机
KR101752668B1 (ko) 로터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정제카세트 및 정제 카세트 베이스
CN217101459U (zh) 垃圾桶
CN218419718U (zh) 一种基站上可拆卸式的清水箱
CN221204931U (en) Paper cup rack
KR20130000970U (ko) 종이컵 인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