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509B1 - 소형모터 - Google Patents

소형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509B1
KR100412509B1 KR10-2000-0064122A KR20000064122A KR100412509B1 KR 100412509 B1 KR100412509 B1 KR 100412509B1 KR 20000064122 A KR20000064122 A KR 20000064122A KR 100412509 B1 KR100412509 B1 KR 100412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xternal connector
small motor
motor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340A (ko
Inventor
나가이아츠시
키타자와토미오
와다류헤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10051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1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 H02K37/1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37/14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강한 인발방향의 힘이 가해져도 쉽게 외부커넥터가 빠지지 않는 구조로 함과 동시에 외부커넥터의 연결시에는 극히 스무스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 소형모터(1)는 모터케이스(11)의 일부를 잘라내어 절개부를 형성하고, 이 절개부에 모터코일(9)(10)에 통전하기 위한 외부커넥터가 연결되는 커넥터부(24)를 갖는 커넥터부재(6)가 고정되고 있다. 그리고 절개부를 피복하는 커버부(25)를 배치함과 동시에 이 커버부(25)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뻗어배치한 암부(22e)와, 커넥터부(24)에 외부커넥터가 연결된 후 이 연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부(22f)를 갖는 계지부재(22a)를 커넥터부재(6)와는 별개로 배치하고, 이 계지부재(22a)는 커넥터부(24)에 외부커넥터가 연결될 때 암부(22e)가 휘어 외부커넥터와의 연결을 허용함과 동시에 외부커넥터가 커넥터부(24)에 연결되면 암부(22e)의 휨이 복원되어 외부커넥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소형모터{A SMALL 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배치된 커넥터 하우징에 통전을 행하기 위한 외부커넥터를 감합시켜 전기적 접합을 행하도록 하는 소형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에어콘디셔너의 공기분출구에 배치되는 루버를 구동하는 기어가 있는 스텝핑모터 등의 소형모터가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소형모터의 구동코일로의 전류공급에 있어서는 리드선을 단자에 직접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으로는 소형모터의 핸들링시에 리드선이 방해가 되기 쉽고 잘못하면 리드선에 무리한 힘이 걸려 접속이 불완전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소한 것으로서 일본국 특개평 10-14170호에서 개시되는커넥터용 하우징을 모터본체에 부착하는 소형모터가 알려져있다. 이 일본국 특개평 10-14170호에 도시되는 소형모터의 개요를 도 10에 도시한다.
이 소형모터(201)의 코일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단자부(202)는 2개의 코일(203)(204)의 중간에 배치되는 단자핀(205)과, 이 단자핀(205)을 고착하는 홀더부재(206)와, 이 홀더부재(206)에 고정되는 회로기판(207)과, 이 회로기판(207)에 전기적 접속하는 커넥터 하우징(208)과, 이들의 부재를 피복하는 커버(209)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의 소형모터(201)에서의 단자부(202)의 조립을 설명한다. 우선 홀더부재(206)의 회로기판 삽입공에 회로기판(207)을 삽입하고, 홀더부재(206)에 접촉시킨다. 이어서 코일보빈(211)(212)에 고착된 단자핀(205)이 홀더부재(206)와 회로기판(207)을 관통하도록 홀더부재(206)와 회로기판(207)을 코일보빈(211)(212)에 대해 조립한다. 그 후 커넥터 하우징(208)을 홀더부재(206)에 조립하고, 커넥터하우징(208)의 접속단자를 회로기판(207)에 고착시킨다. 그리고 회로기판(207)과 단자핀(205)의 납땜을 행하고, 마지막으로 커버(209)를 부착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커버(209)는 원통상 케이스(213)의 절개부(도시생략)에 감합함과 동시에 평판상 케이스(214)에 결합하며, 소형모터(201)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커버(209)는 커넥터 하우징(208)의 외측의 커버가 됨과 동시에 이 소형모터(201)의 케이스로서의 기능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형모터(201)를 부착한 제품이 시장의 유통과정을 경유하고 있는 동안 어떠한 진동 등의 힘이 가해져, 소형모터(201)에 부착한 외부커넥터가 빠져서는 안된다. 그러나 종래의 소형모터(201)에서는 특별한 탈락방지기능이 없어 외부커넥터에 빠지는 방향의 강한 힘이 가해지거나 계속적인 진동 등의 힘이 가해지면 그 감합이 풀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지는 것으로 강한 인발력 방향의 힘이 가해져도 외부커넥터가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로 함과 동시에 외부커넥터의 연결시에는 스무스한 작업이 가능한 소형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소형모터의 측면단면도.
도 2는 도 1의 소형모터의 치차전달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소형모터의 원통상 케이스의 절개부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소형모터에 사용되는 커넥터부재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소형모터에 사용되는 커넥터부재의 저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소형모터의 중지판 부분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소형모터의 측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소형모터의 측면 단면도.
도10은 종래의 소형모터의 측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소형모터 2: 스테이터부
3: 로터부 4. 치차전달기구
5: 출력축 6: 커넥터부재
7,8: 극치 9.10: 모터코일
11: 원통상 케이스(모터케이스) 11a: 절개부
21: 단자핀 22: 받이대
22a: 계지부재 22b: 압입고정부
22c: 단자핀 22d: 선단면
22e: 암부 22f: 계지부
23: 플렉시블기판(통전부재의 일부)
24: 커넥터부 24a: 커넥터핀
25: 커버부 25b: 개구부
25e: 계지용 창 25g: 곡면경사부(경사부)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모터케이스의 일부를 잘라내어 절개부를 형성하고, 이 절개부에 모터코일로 통전하기 위한 외부커넥터가 연결되는 커넥터부를 갖는 커넥터부재가 고정된 소형모터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를 피복하는 커버부를 배치함과 동시에 이 커버부의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뻗어 배치한 암부와, 상기 암부의 선단측에 계지부를 갖는 계지부재를 커넥터부재와는 별도로 배치하며, 이 계지부재는 커넥터부에 외부커넥터가 연결될 때 암부가 휘어 외부커넥터와의 연결을 허용함과 동시에 외부커넥터가 커넥터부에 연결되면 암부의 휘어짐이 복귀되어 외부커넥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터케이스의 절개부에 배치되는 커넥터부재와는 별도로 계지부재가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길이나 휨력을 계지부재에 갖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개구부로 삽입하는 외부커넥터는 계지부재의 암부가 충분히 휘는 것으로 그 삽입작업이 쉬워짐과 동시에 일단 삽입한 외부커넥터는 계지부재의 작용으로 인발할 수 없게 되고 또 빠지는 경우가 없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형모터에 있어서, 암부는 모터코일의 단말과 커넥터부에 고정되는 커넥터핀 사이의 통전부재를 지지하는 받이대로부터 뻗어배치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하면 받이대로부터 뻗어배치되는 암부의 길이가 쉽게 휘어지게 되고, 이 휨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삽입커넥터의 삽입작업이 쉬워지게 되며 또 외부커넥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전부재를 지지하는 받이대에 계지부재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계지부재를 1부품으로서 특별히 배치하거나 케이스부재 등에 따로 고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통전부재로서는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플렉시블 회로기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통전부재로서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플렉시블기판을 이용하면 예를들면 외부로부터의 커넥터를 커넥터핀에 감합시킬 때 힘이 가해져 커넥터핀이나 외부커넥터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신축되어도 그 영향은 단자핀 까지 미치지 않게 되어 접속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플렉시블기판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두께가 있는 회로기판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소형모터의 지름방향의 크기를 작게할 수 있으며, 윤열기구가 되는 치차전달기구의 공간을 크게할 수도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커넥터부를 피메일타입(female type) 커넥터부로 함과 동시에 외부커넥터를 메일타입(male type) 커넥터로 하고, 계지부재는 커넥터부에 외부커넥터가 연결될 때 암부가 휘어 외부커넥터의 진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외부커넥터가 연결되면 소정위치에서 암부의 휨이 복원되어 외부커넥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하면, 개구부로 삽입하는 외부커넥터가 메일타입이기 때문에 커넥터부재로의 삽입과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계지부재의 암부의 휨작용에 의해 그 삽입작업은 더욱 더 쉬워짐과 동시에 일단 삽입한 외부커넥터는 계지부재의 작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 커넥터부의 입구에 외부커넥터를 스무스하게 인도하는 경사부를 형성해 두면 외부커넥터가 경사부를 따라 스무스하게 커넥터부에 감합하게 되어 삽입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외부커넥터가 연결했을 때의 커넥터부의 접촉면을 이 소형모터의 축방향의 중심보다 더욱 외부커넥터의 삽입측에 위치하도록 해 두면 외부커넥터를 약간 꽂아넣으므로써 커넥터부와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연결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9를 기초로 설명한다. 우선 제 1실시예의 소형모터를 도 1 내지 도 7을 기초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포인트가 되는 단자부와 받이대의 구성을 도 1과, 도 4 내지 도 6에 의해 설명한다. 단자부가 되는 커넥터부재(6)는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메일타입의 외부커넥터가 연결되는 피메일타입 커넥터부(24)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외부커넥터부의 받아넣는 공간이 되는 개구부(25b)를 갖는 커버부(25)를 고착 또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화 성형하여 양자를 일체화한 것이다.
메일타입의 커넥터부(24)는 후술하는 커버부(25)의 중앙에 커버부(25)와 일체적으로 배치되고, 통전경로를 구성하는 커넥터핀(24a)과 플렉시블기판(23)을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커넥터부(24)는 전체적으로 상술과 같이 피메일타입으로 되어있지만 그 내부에 커넥터핀(24a)을 갖기 때문에 그 커넥터핀(24a)부분에서는 메일타입이 된다.
커버부(25)는 도 1과,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커버부(25)의 양 측에 모터케이스가 되는 원통상 케이스(11)의 절개부(11a)를 피복하여 감합하도록 배치된 홈(25a)과,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외부커넥터의 받아넣는 공간으로서 배치되는 개구부(25b)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외부커넥터를 도입하도록 양측에 배치되어 안내홈이 되는 커넥터 가이드(25c)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외부커넥터의 삽입을 확인하도록 배치되는 2개의 삽입확인창(25d)과, 필요에 따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뻗어배치한 계지부재(22a)를 통과시키도록 배치되는 계지용 창(25e)과, 평판상 케이스(20)와 결합하여 소형모터(1)로부터 풀리지 않도록 상부 2곳에 배치된 결합핀(25f)을 가지며, 내측에는 일체성형에 의해 배치된 커넥터부(24)가 배치되고 있다.
커버부(25)에 배치된 개구부(25b)에는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외부커넥터의 삽입조작을 향상시키도록 입구내부 선단에 모서리가 다듬어진 경사부가 되는 곡면경사부(25g)가 배치되고 있다. 또 커넥터부(24)는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외부커넥터의 삽입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출력축과 반대측의 위치가 되는 축단면 근방에 배치하고 있다. 즉 소형모터(1)의 저면측으로부터 외부커넥터를 약간 꽂아넣음으로써 외부커넥터를 커넥터핀(24a)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외부커넥터가 충돌하는 충돌면(24b)을 소형모터(1)의 축방향 중앙에서 저면측으로 오도록 배치하고 있다.
모터코일의 단말과 상기 커넥터부(24)에 고정되는 커넥터핀(24a)사이의 통전부재를 지지하는 받이대(22)는 도 1와 같이 삽입된 외부커넥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부재(22a)와, 극치(8)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코어(도 1에서 위쪽의 스테이터부(8a))가 압입고정되도록 배치된 압입고정부(22b)와, 모터코일(9)(10)의 단자핀(21)(21)을 받이대(22)로부터 외측으로 통과시키고, 납땜접속이 가능하도록 배치한 관통공이 되는 단자핀 창(22c)이 배치되고 있다.
모터코일(9)(10)로의 통전부재는 모터코일(9)(10)의 단자핀(21)과, 이 단자핀(21)에 납땜됨과 동시에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플렉시블 회로기판(23)과, 이 플렉시블 회로기판(23)과 납땜접속되는 커넥터 핀(24a)으로 구성된다. 플렉시블기판(23)은 편면에 배선이 실시된 편면 플렉시블기판으로 되어있지만 양면에 배선이 실시되고 있는 양면 플렉시블기판으로 해도 좋다.
받이대(22)는 압입고정부(22b)의 깊이를 크게할 수 있도록 판 두께로 구성되고 있다. 또 단자핀 창(22c)은 단자핀(21)을 통과시킬 뿐만 아니라 단자핀(21)을 고정하는 코일보빈(9a)의 단자핀 지지부(9b)도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받이대(22)는 모터코일(9)(10)의 감김면 근방까지 근접시킬 수 있게 되고, 소형모터(1)의 지름방향의 크기를 작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터코일(9)(10)의 감김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받이대(22)에 배치되는 계지부재(22a)는 도 1과 같이 받이대(22)의 아래쪽에서 또한 단자핀 창(22c)을 둘러싸는 부분으로부터 옆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계지부재(22a)는 받이대(22)의 평면부로부터 수직으로 즉 축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입설된 암부(22e)와, 그 선단이 직각으로 구부러져 축방향임과 동시에 삽입방향인 커넥터 핀(24a)측을 향하도록 된 계지부(22f)를 갖고 있다.
계지부재(22a)는 외부커넥터를 삽입할 때 도 1의 화살표 A로 나타내는 힘을 받게 되지만 그 화살표 A방향으로 휠 수 있는 탄성력을 갖고 있다. 외부커넥터가 커버부(25)의 개구부(25b)에 감합하고, 커넥터핀(24a)과 연결되면 계지부재(22a)는 원래로 복원하며, 외부커넥터의 뒷면과 계지부재(22a)의 선단면(22d)이 대향하고, 외부커넥터는 분리되지 않게 된다. 즉 강한 힘으로 외부커넥터를 인발하고자 해도 외부커넥터의 뒷면이 선단면(22d)에 충돌하여 인발할 수 없다.
외부커넥터를 인발할 경우에는 계지부재(22a)를 다시 도 1의 화살표 A방향의 힘으로 휘게하면서 외부커넥터를 인발하면 된다.
통전부재로서의 플렉시블기판(23)은 도 1과 같이 커넥터핀(24a)과의 접속부로부터 커넥터부(24)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뻗고, 그 후 직각으로 아래쪽으로 절곡되며, 계지부재(22a)의 근방에서 다시 직각으로 구부러지며, 그 후 받이대(22)를 따라 위쪽으로 다시 직각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그리고 단자핀(21)과 단자핀 창(22c)의 부분에서 납땜된다.
이와같이 플렉시블기판(23)은 여러번 절곡되고, 여유를 갖는 형상으로 단자핀(21)이나 커넥터핀(24a)과 접속되므로 외부커넥터를 커넥터핀(24a)에 감합시킬 때 힘이 가해져 커넥터핀(24a)이나 커넥터부(24)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신축되어도 그 영향은 단자핀(21)의 납땜부까지 미치지 않아 단자핀(21)의 접속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플렉시블기판(23)을 도 1과 같이 구부리고 있기 때문에 편면에만 회로가 형성된 편면 플렉시블 회로기판을 채용할 수 있게 되고, 편면에만 납땜작업이 행해진다. 또한 플렉시블기판(23)의 이용에 따라 종래와 같은 두께의 두꺼운 회로기판(207)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소형모터(1)의 지름방향의 크기를 작게할 수 있게 된다. 또 받이대(22)의 도 1위쪽부분에 공간이 생겨 윤열기구가 되는 치차전달기구(4)의 공간을 크게할 수 있다.
이 커넥터부재(6)는 그 개구부(25b)가 소형모터(1)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 즉 도 1에서 바로 아래쪽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기울기 아래쪽을 향하는 구성에 비해 소형모터(1)의 지름방향의 크기를 작게할 수 있다. 또 커넥터부(24)가 종래에 비해 저면측에 배치되는 것과 플렉시블기판(23)을 사용하는 것으로 커넥터부(24)의 위쪽 공간(S)이 넓어지고, 커넥터핀(24a)과 플렉시블기판(23)과의 납땜작업이 쉬워지게 된다.
이 소형모터(1)는 도 1과 같이 스테이터부(2)와, 로터부(3)와, 감속기어윤열이 되는 치차전달기구(4)와, 출력축(5)과, 커넥터부재(6)로 구성되는 스텝핑모터이다. 그리고 스테이터부(2)와 치차전달기구(4)는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있는 모터이다.
스테이터부(2)는 2개의 스테이터의 선단부가 교대로 들어감으로써 원형상으로 배치되는 극치(7)와, 이 극치(7)와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극치(8)와, 극치(7)의 외주에 감기는 코일(9)(10)과, 스테이터를 겸하는 원통상 케이스(11)로 구성되고 있다. 또한 코일(9)은 코일보빈(9a)을 통해 극치(7)에 감기고, 코일(10)은 코일보빈(10a)을 통해 극치(8)에 감겨진다.
로터부(3)는 고정된 로터축(13)과, 이 로터축(13)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마그네트(14a)를 갖는 로터(14)로 구성된다.
치차전달기구(4)는 도 2와 같이 로터(14)에 형성되는 피니온(14b)으로부터 1번치차(15), 2번치차(16), 3번치차(17), 4번치차(18)를 통해 출력축(5)에 배치된 치차(5a)에 전달되게 된다. 또한 이 치차전달기구(4)는 감속기구가 되고, 피니온(14b)과 각 치차(15)(16)(17)(18)(5a)는 각각 감속하여 회전을 전달하는 구성이 된다.
이 치차전달기구(4)는 1번치차(15), 2번치차(16), 3번치차(17), 4번치차(18)가 스테이터부(8a)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합성수지제의 중지판(19)에 고정된 여러개의 치차지지축(151)(161)(171)(181)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것으로 중지판(19)위에 배치된다. 그리고 2번치차(16)에 프릭션기구(도시생략)가 조립되고 있다.
중지판(19)은 도 7과 같이 로터축(13)을 지나기 위해 중앙에 배치된 원형공(19a)과, 그 원형공(19a)을 둘러싸는 폭이 두껍게 되고 있는 원형받침대(19b)와, 2개의 지지부(19c)(19c)와, 스테이터부(2)와의 위치결정용의 2개의 감합돌기(도시생략)를 일체로 갖고 있다.
또 중지판(19)에는 받이대(22)가 접촉하는 받이대 접촉부(19e)가 중지판(19)의 외주부를 원호상으로 잘라내도록 배치된다. 이 잘라낸 부분에 스테이터부(8a)의 외주부가 노출함과 동시에 그 노출부가 받이대(22)의 압입고정부(22b)에 끼워져 받이대(22)를 고정하고 있다(도 7참조). 또 받이대 접촉부(19e)측의 보빈(10a)의 외주는 이 받이대 접촉부(19e)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절개되고, 받이대(22)에 접촉할 수 있는 직선상이 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받이대(22)를 확실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소형모터(1)의 지름방향의 폭이 커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원형받침부(19b)는 로터부(3)를 둘러싸는 스테이터의 중앙부분의 원형상의 구멍에 끼워짐과 동시에 감합돌기가 스테이터측에 배치된 감합공(도시생략)에 끼워짐으로써 중지판(19)을 위치결정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 원형받침부(19b)는 치차지지축(151)(161)(171)(181) 또 출력축(5)의 일단(5b)의 일부에 걸려 그들의 로터부(3)측으로의 빠짐을 방지하고 있음과 동시에 그 폭이 두꺼운 것으로 고정력을 높이고 있다. 또한 그 일단(5b)의 일부는 원형받침부(19b)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감합배치된 상측의 스테이터부(8a)에도 놓여져 있어 출력축부(5)에 걸리는 힘을 단단히 고정하고 있다.
또 출력축(5)은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고, 치차(5a)가 일체성형으로 성형되고 있다. 그리고 이 출력축(5)의 일단(5b)은 중지판(19)에 배치된 출력축 지지부(19f)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또 출력축(5)의 중앙은 평판상 케이스(20)(도 1참조)에 형성된 지지원통부(20a)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출력축(5)의 타단(5c)은 다른 기기 예를들면 에어콘의 루퍼구동기구 등에 결합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소형모터(1)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커버부(25)의 개구부(25b)로 외부로부터의 커넥터(도시생략)가 들어가게 되고, 외부커넥터가 커넥터핀(24a)에 전기접속된다. 그리고 외부커넥터는 커넥터핀(24a), 플렉시블기판(23), 단자핀(21)을 경유하여 전력이 모터코일(9)(10)로 공급되어 로터(14)가 회전한다. 그러면 그 회전은 피니온(14b)을 포함하는 치차전달기구(4)를 통해 감속되면서 출력축(5)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 출력축(5)의 회전에 의해 외부기기 예를들면 에어콘디셔너나 히터의 루퍼 개폐동작을 행한다.
다음 도 8과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동일 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있어 제 1실시예와 다른 주된 점은 커넥터부(24)에 고정되는 커넥터핀(24a)과, 플렉시블 회로기판(23)이다. 이 커넥터핀(24a)은 그 선단부를 90도 구부리고 있다. 그리고 받이대(22)와 대향하고 또한 그 근방부분에서 플렉시블기판(23)에 이 커넥터핀(24a)을 납땜 접속하고 있다. 플렉시블기판(23)과, 커넥터핀(24a)과의 접속이 단자핀(21)에 가까운 위치에서 행해지므로 플렉시블기판(23)의 길이를 제 1실시예에 비해 짧게할 수 있다.
이 커넥터핀(24a)과, 플렉시블기판(23)과의 납땜작업은 절곡된 선단부(24c)가 커넥터부재(6)의 안쪽이 아닌 앞쪽에 배치되고, 납땜부가 앞쪽이 되므로 행하기쉽고 작업성은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절곡된 선단부(24c)가 앞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으로 커넥터부(24)와 커버부(25)로 둘러싸이는 위쪽 공간(S)을 크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도 8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위쪽 공간(S)을 컷트할 수도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 제 1실시예와 다른 주된 점은 커버부(25)의 선단형상과 받이대(22)의 형상이다. 이 커버부(25)는 납땜작업이 쉽도록 감합핀(25f)이 배치되고 있는 상단부(25j)와 커넥터핀(24a)을 고정하는 커넥터부(24)사이에 자유롭게 개폐가능한 덮개부(25h)를 갖고 있다.
한편 받이대(22)는 덮개부(25h)를 닫을 때 상단부(25j)사이에서 덮개부(25h)의 선단을 끼워넣도록 하기 위한 돌출부(22e)가 배치되고 있다. 덮개부(25h)를 갖는 커버부(25)와, 돌출부(22e)를 갖는 받이대(22)를 쌍으로 이용하면 납땜작업이 상당히 쉬워진다. 이는 덮개부(25h)를 연 상태에서의 납땜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모터코일(9)(10)의 단자핀(21)과, 플렉시블 회로기판(23)과의 납땜작업이 완료된 후 원통상 케이스(11)의 절개부(11a)에 커넥터부재(6)를 감합시키고, 평판상케이스(20)를 부착한다. 그런 후 커넥터핀(24a)과, 플렉시블기판(23)과의 납땜이 가능하게 된다. 이 납땜을 종료시켜 덮개부(25h)를 닫으면 덮개부(25h)의 선단은 커버부(25)의 상단부(25j)와 받이대(22)의 돌출부(22e)사이에 끼워져 받이대(22)에 단단히 고정된다.
또한 이 제 3실시예에서는 커넥터부재(6)를 소형모터(1)에 부착한 후에도 커넥터핀(24a)과 플렉시블기판(23)과의 납땜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납땜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의 예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 여러가지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들면 소형모터로서는 스텝핑모터외에 AC소형동기모터, 소형직류모터 등으로 해도 좋다.
또 커넥터부(24)와 커버부(50)의 일체화를 수지성형에 의한 일체화외에 양자를 접착제 등으로 고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커넥터부(24)를 전체적으로 메일타입으로 하고, 외부커넥터를 피메일타입 커넥터로 해도 좋다. 이 경우도 계지부재(22a)는 커넥터부(24)에 피메일타입의 외부커넥터가 연결될 때 암부가 휘어져 외부커넥터의 진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외부커넥터가 연결되면 소정위치에서 암부의 휘어짐이 복원되어 외부커넥터의 퇴출을 저지하는 구성이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각 발명은 다음에 열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서는 모터케이스의 절개부에 배치되는 커넥터부와는 별개로 계지부재가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길이나 휨력을 계지부재에 갖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개구부로 삽입하는 외부로부터의 커넥터는 계지부재의 암부가 충분히 휨으로써 그 삽입작업은 쉬워짐과 동시에 일단 삽입된 외부커넥터는 계지부재의 작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서는 받이대로부터 뻗어배치되는 암부의 길이가 휨을 용이하게 발생시키고, 이 휨이 외부로부터의 삽입커넥터의 삽입작업을 쉽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부커넥터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통전부재를 지지하는 받이대에 계지부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계지부재를 1부품으로서 특별히 배치하거나 케이스부재 등에 따로 고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서는 통전부재로서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플렉시블기판을 개재시켰기 때문에 예를들면 외부로부터의 커넥터를 커넥터핀에 감합시킬 때 힘이 가해져 커넥터핀이나 외부커넥터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신축되어도 그 영향은 단자핀까지 미치지 않고 접속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플렉시블기판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두께가 있는 회로기판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소형모터의 지름방향의 크기를 작게하거나 윤열기구가 되는 치차전달기구의 공간을 크게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서는 받이대는 견고한 스테이터코어에 고정되므로 안정된 상태에서 부착됨과 동시에 고정하는 작업도 간단하게 된다.
또 청구항 5기재의 발명에서는 암부의 선단측에 배치한 계지부는 상기 외부커넥터의 진입방향으로 절곡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암부쪽이 상기 계지부보다 길게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암부는 쉽게 휘어짐을 일으키게 된다.
또 청구항 6기재의 발명에서는 개구부로 삽입하는 외부커넥터가 메일타입이므로 커넥터부재에 대한 삽입과 결합을 쉽게 한다. 또 계지부재의 암부의 휨작용에 의해 그 삽입작업은 한층 쉬워짐과 동시에 일단 삽입한 외부커넥터는 계지부재의 작용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또 청구항 7 및 청구항 8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커넥터부재는 상기 피메일타입 커넥터부와, 상기 메일타입 커넥터의 받아들이는 공간이 되는 개구부를 갖는 상기 커버부를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성형하여 구성한 것이므로 구성을 상당한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9기재의 발명에서는 커넥터부는 상기 외부커넥터가 모터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진입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외부커넥터의 커넥터부에 대한 삽입작업도 용이하다.
또 청구항 11기재의 발명에서는 외부커넥터가 경사부를 따라 스무스하게 커넥터부에 감합하게 되어 삽입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청구항 10기재의 발명에서는 커넥터부재와 커버부를 일체성형으로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2기재의 발명에서는 외부커넥터를 연결했을 때 상기 커넥터부의 상기 외부커넥터가 마주닿는 충돌면을 이 소형모터의 축방향의 중심보다 더욱 외부커넥터의 삽입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외부커넥터를 약간만 꽂아넣음으로써 커넥터부와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연결작업이 쉬워지게 된다.

Claims (12)

  1. 모터케이스의 일부를 잘라내어 절개부를 형성하고, 이 절개부에 모터코일에 통전하기 위한 외부커넥터가 연결되는 커넥터부를 갖는 커넥터부재가 고정된 소형모터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를 피복하는 커버부를 배치함과 동시에,
    이 커버부의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뻗어배치한 암부와, 상기 암부의 선단측에 배치한 계지부를 갖는 계지부재를 상기 커넥터부재와는 별도로 배치하고,
    이 계지부재는 상기 커넥터부에 상기 외부커넥터가 연결될 때 암부가 휘어져 상기 외부커넥터와의 연결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외부커넥터가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되면 상기 암부의 휘어짐이 복원되어 상기 외부커넥터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모터코일의 단말과 상기 커넥터부에 고정되는 커넥터핀 사이의 통전부재를 지지하는 받이대로부터 뻗어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재로서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플렉시블 회로기판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대는 상기 모터코일이 감기는 스테이터코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대는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감긴 모터코일에 대해 근접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암부의 선단측에 배치한 계지부는 상기 외부커넥터의 진입방향으로 절곡형성된 것이며,
    상기 암부 쪽이 상기 계지부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를 피메일타입(female type) 커넥터부로 함과 동시에 상기 외부커넥터를 메일타입(male type) 커넥터로 하고,
    상기 계지부재는 상기 암부의 선단측에 배치한 계지부가 상기 메일타입 외부커넥터의 진입방향으로 절곡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재는 상기 피메일타입 커넥터부와, 상기 메일타입(male type) 커넥터를 받아넣는 공간이 되는 개구부를 갖는 상기 커버부를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타입 커넥터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측중앙에 통전경로를 구성하는 커넥터핀과 플렉시블 회로기판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외부커넥터가 모터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진입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의 입구에 상기 외부커넥터를 스무스하게 인도하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재와 상기 커버부를 일체 성형에 의해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형모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넥터가 연결했을 때 상기 커넥터부에 있어 상기 외부커넥터가 충돌하는 충돌면을, 이 소형모터의 축방향의 중심보다 더 외부커넥터의 삽입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터.
KR10-2000-0064122A 1999-11-18 2000-10-31 소형모터 KR100412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328482 1999-11-18
JP32848299A JP3731008B2 (ja) 1999-11-18 1999-11-18 小型モ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340A KR20010051340A (ko) 2001-06-25
KR100412509B1 true KR100412509B1 (ko) 2003-12-31

Family

ID=1821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122A KR100412509B1 (ko) 1999-11-18 2000-10-31 소형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31008B2 (ko)
KR (1) KR100412509B1 (ko)
CN (1) CN1190879C (ko)
MY (1) MY1345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6853B2 (ja) 2008-03-18 2012-11-2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ンタクト
JP5636170B2 (ja) * 2009-06-11 2014-12-0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
JP5700634B2 (ja) * 2010-11-05 2015-04-15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KR101672847B1 (ko) * 2010-11-05 2016-11-16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JP5700633B2 (ja) * 2010-11-05 2015-04-15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JP6004642B2 (ja) * 2011-12-20 2016-10-1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
JP6004641B2 (ja) * 2011-12-20 2016-10-1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
JP5912771B2 (ja) 2012-03-30 2016-04-27 Kyb株式会社 レゾルバ
JP6190712B2 (ja) * 2013-12-13 2017-08-30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
JP6018676B2 (ja) * 2015-09-04 2016-11-0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装置
JP6652279B2 (ja) * 2016-06-17 2020-02-19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回転装置及びその回転装置を備える空調システムを有する乗り物
DE112017005930T5 (de) 2016-11-23 2019-08-01 Nidec Corporation Motor und elektrische servolenk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8130B2 (ja) * 1989-05-24 1997-04-0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一体成形コネクタを有したモータの構造
JP2934135B2 (ja) * 1993-10-29 1999-08-16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小型モータのリード線接続装置
JP3218171B2 (ja) * 1995-09-20 2001-10-15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小型モータ
JP3361230B2 (ja) * 1996-06-19 2003-01-07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フリクション機構付き小型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45298A (ja) 2001-05-25
CN1297273A (zh) 2001-05-30
CN1190879C (zh) 2005-02-23
MY134558A (en) 2007-12-31
KR20010051340A (ko) 2001-06-25
JP3731008B2 (ja) 200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2509B1 (ko) 소형모터
US6020660A (en) Dynamoelectric machine
JP3013288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EP2023467A1 (en) Motor with reduction g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9240137A (ja) ブラシホルダ及びブラシホルダの製造方法
JP2008193889A (ja) モータ
JP2020536485A (ja) 小型ギアモータ
KR100412511B1 (ko) 소형모터
KR100338430B1 (ko) 소형모터
KR19980064128A (ko) 모터구동 장치 및 자기센서 고정구조
KR20190114622A (ko) 소형 구동 모터, 이를 이용한 에어 벤트 시스템용 액추에이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78894B1 (ko) 소형 모터
JP2009106100A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JPH076686Y2 (ja) 整流子電動機
JP2009100598A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JP2004007899A (ja) モータ
JP3011245B2 (ja) リード線引き出し構造
JP3558311B2 (ja) ギヤ付き小型モータ
JPH1014154A (ja) 電気機器のリード線の支持装置
JPH07131951A (ja) 小型モータのリード線接続装置
JP2009131111A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CN116182473A (zh) 一种风门装置
JP4840470B2 (ja) クラッチ付き駆動装置
JP2591174Y2 (ja) 小型電動モータにおけるターミナル部構造
JPH10191615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