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921B1 -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볏짚-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볏짚-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921B1
KR100405921B1 KR10-2000-0053766A KR20000053766A KR100405921B1 KR 100405921 B1 KR100405921 B1 KR 100405921B1 KR 20000053766 A KR20000053766 A KR 20000053766A KR 100405921 B1 KR100405921 B1 KR 10040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germination
straw
brown ric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0539A (ko
Inventor
배병택
Original Assignee
(주)자연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연나라 filed Critical (주)자연나라
Priority to KR10-2000-0053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921B1/ko
Publication of KR20020020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볏짚-왕겨 추출수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발아 공정을 거쳐 효과적으로 현미를 발아시킴으로써, 조리가 용이하고, 부드럽고 맛이 좋으며, 잔류 농약이 없을 뿐만 아니라, 종자 발아시 생성되는 각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의 함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아 현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볏짚-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GERMINATED BROWN RICE AND FOR PRODUCING THE EXTRACTS OF RICE STRAW AND HULLS USED THEREIN}
본 발명은 발아 현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본 발명은 백미에 비해 현미가 가지고 있던 기존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는 발아 현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미에는 식물성 섬유질을 비롯한 각종 효소, 미네랄 등 무기질영양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고 혈액의 산독화를 막아주며 알칼리성 혈액을 만들어 주므로 노화방지 및 장내 기능 강화에 유용한 식품임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미가 갖는 이러한 뛰어난 효능에도 불구하고 식이 섬유의 보고인 속껍질까지 벗긴 백미를 주식으로 하고 있는 이유로는, 부드럽게 씹히지 않고 꺼칠하여 입맛에 맞지 않다는 점, 취반이 용이하지 않다는 점, 소화가 잘 안 된다는 점, 현미에 비해 백미에 농약이 적게 잔류한다는 점 등이 있다.
따라서, 백미에 비해 현미가 갖는 이러한 불리한 점들을 해결한다면 현미식은 거부감 없이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식물 종자는 발아하는 순간부터 무수한 영양소 및 각종 미네랄 성분 등 우리 인체에 유익하고 필요한 성분의 활성도가 증대하게 되는 데, 이는 식물 종자 스스로가 자생 및 번식에 필요한 모든 성분들을 만들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도정하지 않은 상태의 식물 종자를 소정의 발아 조건에 맞춰 적절하게 발아시키게 되면, 발아된 종자에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이 상당량 포함되게 된다. 그러므로, 발아시키지 않은 종자에 비해 발아 종자를 섭취하는 경우, 이러한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을 추가로 섭취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정의 발아 공정을 거쳐 효과적으로 현미를 발아시킴으로써, 조리가 용이하고, 부드럽고 맛이 좋으며, 잔류농약이 없을 뿐만 아니라, 종자 발아시 생성되는 각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의 함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아 현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1) 적합한 현미를 선별하는 단계, (2) 수세 단계, (3) 현미를 볏짚-왕겨 추출수를 사용하는 소정의 조건하에서 발아 대기시키는 발아 대기 침지 단계, (4) 소정의 발아 조건하에서 대기 중에서의 발아와 볏짚-왕겨 추출수 공급을 연속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정상 발아 단계, (5) 정상적으로 발아된 현미를 선별하기 위한 수세 단계, 및 (6)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발아 현미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아 현미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볏짚 및 왕겨의 재를 소정의 비율로 포함하여 제조한 볏짚-왕겨 추출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하기 도면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아 현미 제조 방법을 각 단계별로 보여주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될 현미를 선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선별기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발아 대기 침지 단계가 수행될 수 있는 장치의 한 예를 보여주는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상 발아 단계가 수행될 수 있는 발아실의 한 예를 보여주는 개요도.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아 현미 제조 방법은 (1) 적합한 현미를 선별하는 단계, (2) 수세 단계, (3) 현미를 볏짚-왕겨 추출수를 사용하는 소정의 조건하에서 발아 대기시키는 발아 대기 침지 단계, (4) 소정의 발아 조건하에서 대기 중에서의 발아 및 볏짚-왕겨 추출수 공급을 연속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정상 발아 단계, (5) 정상적으로 발아된 현미를 선별하기 위한 수세 단계, 및 (6) 건조 단계를 포함한다.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단계(현미 선별 단계)는 미숙된 또는 파손된 불량 종자를 제거하는 공정으로서, 만약 이러한 불량 종자들이 발아 진행과정중에 포함되게 되면, 이들로 인해 정상적으로 발아가 진행되는 다른 현미에 심각한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불량 종자들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제1 단계에서 사용되는 선별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자 선별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발아 현미 제조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대량 생산을 위해 진동 모터를 구비한 선별기의 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선별기는 현미가 빠지지 않을 크기의 스테인레스 망(2mm×2mm)을 사각틀에 부착하고 진동 모터를 설치하여, 이 사각틀을 흔들어 주어 미숙하거나 깨진 불량한 현미를 선별하는 장치이다. 이 때, 발아에 사용될 적합한 현미는 제1단 배출구를 통해 수집한다.
제2 단계(수세 단계)는 상기 제1 단계에서 제거되지 않은 종자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깨끗한 물로 수회 세척하여 양질의 현미를 선별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제1 및 제2 단계를 통해,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없는 불량한 현미 및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한다.
제3 단계(발아 대기 침지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단계를 거쳐 선별된 현미를 볏짚-왕겨 추출수에 7 내지 8시간 동안 담그고, 발아 대기실의 평균 온도를 30 내지 32℃로 유지시키면서 발아 대기시키는 발아 대기 침지 단계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발아 현미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볏짚-왕겨 추출수"는, 기타의 다른 물(수돗물, 지하수, 생수, 및 황토수)과 비교하여 발아 대기 시간, 발아율, 발아 시간 등 모든 면에서 월등함을 알 수 있다(하기 표 1 및 2 참조). 제3 단계 및 하기에서 설명할 제4 단계에서 사용되는 "볏짚-왕겨 추출수"는 볏짚 추출수와 왕겨의 재를 이용한 추출수를 혼합한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발아 대기 침지 단계에서 사용되는 볏짚-왕겨 추출수 및 침지 대기실의 온도는 발아에 적합한 30 내지 32℃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온도 범위보다 낮으면 발아 대기 시간이 길어지고, 높으면 발아 대기 시간은 짧아지는 대신에 다음의 제4 단계인 정상 발아 단계에서 부패하여 썩는다는 문제점이 있다(참조: 표 1).
본 발아 대기 침지 단계 종료 시점에서의 싹의 길이는 0.5 내지 1mm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며, 0.5mm가 최적의 길이이다.
도 3은 제3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의 한 예에 대한 개요도이다. 일정 크기의 탱크에 선별된 현미를 넣어서 볏짚-왕겨 추출수에 완전히 잠기게 한다. 이 때, 발아 대기실의 평균 온도는 30 내지 32℃로 유지한다. 전체 7 내지 8시간의 발아 대기 시간동안에 약 1시간 간격으로 1회당 5분 정도 상, 하층부가 잘 섞이도록 교반해준다.
사용하는 물의 종류에 따른 현미의 발아 대기 시간의 차이
종류\ 온도 24℃ 26℃ 28℃ 30℃ 32℃ 34℃ 36℃
수돗물 36시간 28시간 24시간 22시간 22시간 20시간 20시간
지하수 24시간 22시간 18시간 14시간 12시간 11시간 11시간
생수 22시간 21시간 16시간 13시간 12시간 11시간 11시간
황토수 20시간 20시간 14시간 12시간 11시간 11시간 11시간
볏짚-왕겨 추출수 12시간 10시간 9시간 8시간 7시간 7시간 7시간
* 상기 분석 자료는 인큐베이터를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차례 반복 실험한 결과이다.
* 36℃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경우, 발아 대기 시간은 단축되는 반면에 정상 발아 과정 중에 부패되기 쉽다.
사용하는 물의 종류에 따른 발아율의 차이
종류 발아율(%)
수돗물 55%
지하수 68%
생수 70%
황토수 75%
볏짚-왕겨 추출수 95%
* 발아 대기 완료후 24시간 경과 후 측정된 값이다.
* 32℃의 동일 온도에서 측정된 값이다.
제4 단계(정상 발아 단계)는 발아 대기 침지 단계가 종료되는 시점으로부터 정상 발아시키는 공정으로서, 대기 중에서 현미를 발아시키면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볏짚-왕겨 추출수를 공급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원하는 크기의 발아 현미를 수득하는 단계이다.
제4 단계에서는, 발아실의 평균 온도를 30 내지 32℃로 유지시키는 한편, 약 2시간 간격으로 상기 볏짚-왕겨 추출수를 충분히 공급하여 수분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시간 간격을 두고 볏짚-왕겨 추출수를 공급하는 것은, 발아에 필요한 적정한 수분을 공급하고, 발아가 진행되는 과정에 발아층 내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되는 데 이 때 볏짚-왕겨 추출수 공급을 통해 발아실 평균 온도를 30 내지 32℃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반복 과정을 거쳐 총 48시간 동안의 정상 발아 단계를 마침으로써,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발아 현미를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최종 발아 길이는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제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발아실의 한 예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4에서 예시된 발아실에는 발아통이 설치된 발아대, 온도 유지 장치, 시간별 급수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발아실 내의 온도는, 증기 보일러를 가동하여 얻어진 증기를 발아실 내의 온도 유지 장치에 보내져서 방열판을 통하여 적정 온도로 유지된다. 상기 온도 유지 장치에 온도 감지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최저 및 최고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조절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시간별 급수 장치는 발아대 쪽에 설치하여 급수 배관에 연결된 모터에 타이머를 부착하여 원하는 시간 및 급수 시간을 조절하여 물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이를 통해 원하는 시간에 일정량의 볏짚-왕겨 추출수를 발아통 속의 현미에 공급할 수 있다. 급수 파이프(노즐 장치)는 좌에서 우로, 우에서 좌로 수회 반복해서 움직이면서 발아통에 볏짚-왕겨 추출수를 골고루 살포한다. 또한, 발아실 내에 환기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데, 이러한 환기 장치를 통해 발아시에 발생하는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여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제5 단계(수세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4단계를 거쳐 발아 완료된 현미를 건조시키기 전에 깨끗한 물로 수회 세척하여 미발아 및 불안전한 종자를 선별하여 양질의 현미를 수득하기 위한 마지막 선별 단계이다.
제6 단계(건조 단계)는 발아 완료된 현미를 건조시키는 단계로서, 본 발명의 발아 현미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마지막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발아 현미의 평균 수분 함량이 13 내지 14%가 되도록 건조시킨다. 이러한 건조 단계는, 발아 진행 과정에서 볏짚-왕겨 추출수 공급과 세척 과정에서의 물 사용으로 인해 발아 현미의 평균 수분 함량이 50% 이상 올라가게 되는 데, 이를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발아가 계속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건조시켜 평균 수분 함량이 13 내지 14%가 되게 되면 발아가 정지되어, 유통 및 저장에 알맞다. 이러한 건조 단계는 통상의 곡물 건조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열풍 건조 등 통상적으로 곡물을 건조시키는 데에 사용하는 여러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단계에서 사용되는 "볏짚-왕겨 추출수"는, 볏짚 추출수와 왕겨의 재를 이용한 추출수를 혼합한 것이다. 바람직한 볏짚-왕겨 추출수는 볏짚 추출수:왕겨의 재를 이용한 추출수를 8:2의 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아 현미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볏짚-왕겨 추출수"는 기타의 다른 물(수돗물, 지하수, 생수, 및 황토수)과 비교하여 발아 대기 시간, 발아율, 발아 시간 등 모든 면에서 월등하며(표 1 및 2 참조), 이는 하기 표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일반적인 물과 비교하여, 기타 여러 유기, 무기 및 미네랄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음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분석 항목 분석 결과
질소 0.02%
인산(P2O5) 50.09ppm
가리(K2O) 312.52ppm
구리(Cu) 0.11ppm
아연(Zn) 0.23ppm
망간(MnO) 1.14ppm
칼슘(CaO) 8.47ppm
철(Fe2O3) 0.34ppm
몰리브덴(Mo) 1.56ppm
붕소(B2O3) 0.03ppm
규산(SiO2) 643.77ppm
염소(Cl-) 0.01%
말토스 0.02%
글루코스 0.04%
락트산 144.34ppm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볏짚-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사용될 볏짚 추출수의 제조 방법은, (1) 이물질 및 부패된 볏짚을 제거하여 적합한 볏짚을 선별하는 단계, (2) 흐르는 깨끗한 물에 세척하는 단계, (3) 볏짚을 2 내지 3cm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4) 절단된 볏짚이 빠지지 않는 여과 망에 넣고 묶는 단계, (5) 이렇게 얻은 볏짚과 물을 추출 탱크에 넣고, 100℃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3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6) 추출수와 볏짚을 분리하면서 여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추출수와 볏짚을 분리하는 상기 마지막 단계를 거친 후, 여과된 추출수를 열교환기를 통하여 105℃의 온도로 5초간 순간 살균 후 냉각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은, (1) 이물질을 제거하여 적합한 왕겨를 선별하는 단계, (2) 선별된 왕겨를 소각로에 넣고 가열하여 완전히 태워 재를 얻는 단계, (3) 이렇게 얻은 재를 배합탱크에 넣고 약 3 내지 4시간 동안 희석 교반하여 추출수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렇게 수득한 왕겨 추출수를 여과하여 열교환기를 통해 105℃의 온도로 5초간 순간 살균 후 냉각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 제조한 볏짚 추출수와 왕겨 추출수를, 물 100ℓ당 볏짚 2kg에서 얻은 볏짚 추출수와 물 100ℓ당 왕겨 2kg에서 얻은 재를 이용해서 얻은 추출수를 8:2의 비율로 혼합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볏짚-왕겨 추출수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아 현미 제조 방법을 통해, 조리가 용이하고, 부드럽고 맛이 좋으며, 잔류 농약이 없을 뿐만 아니라, 종자 발아시 생성되는 각종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는 발아 현미를 제공할 수 있다(표 4 및 5 참조).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발아 현미의 잔류농약 분석
분석 항목 분석 결과
파라치온 불검출
펜치온 불검출
페니트로치온 불검출
말라치온 불검출
디클로르보스 불검출
클로르피리포스메틸 불검출
피리미포스메틸 불검출
펜토에이트 불검출
다이아지논 불검출
비에치씨 불검출
DDT 불검출
헵타크롤 불검출
헵타크롤에폭사이드 불검출
엔드린 불검출
알드린 불검출
디엘드린 불검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발아현미와 일반 백미간의 성분 비교
분석항목 발아현미 백미
수분(%) 11.58 13.33
조단백질(%) 7.64 6.48
조지방(%) 2.28 0.52
조섬유(%) 2.01 0.36
조회분(%) 0.86 0.62
탄수화물(%) 77.64 79.05
식이섬유(%) 4.22 0.94
열량(Kcal/kg) 362 347
칼륨(mg/100g) 116.13 87.60
칼슘(mg/100g) 11.85 3.62
인(mg/100g) 200.72 89.03
마그네슘(mg/100g) 66.76 26.22
비타민 B1(mg/100g) 0.35 0.11
비타민 B2(mg/100g) 0.23 0.04
γ-오리자놀(mg/100g) 22.10 2.49
β-시토스테롤(mg/100g) 25.07 4.99
아밀라제(U/kg) 350 불검출
아플라톡신(Kcal/kg) 불검출 불검출

Claims (8)

  1. (1) 적합한 현미를 선별하는 단계;
    (2) 수세 단계;
    (3) 상기 현미를 볏짚-왕겨 추출수에 7 내지 8시간 동안 담그고, 발아 대기실의 평균 온도를 30 내지 32℃로 유지시키면서 발아 대기시키는 발아 대기 침지 단계;
    (4) 상기 발아 대기 침지 단계 종료후, 2시간 간격으로 볏짚-왕겨 추출수를 공급하고 발아실의 평균 온도를 30 내지 32℃로 유지하면서 48시간 동안, 대기 중에서의 발아 및 볏짚-왕겨 추출수 공급을 연속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정상 발아 단계;
    (5) 정상적으로 발아된 현미를 선별하기 위한 수세 단계;
    (6) 평균 수분 함량이 13 내지 14%가 되도록 발아 현미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아 현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 대기 침지 단계에서 싹이 0.5 내지 1mm 이하로 발아되도록 하는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싹이 0.5mm가 발아되도록 하는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볏짚-왕겨 추출수가 볏짚 추출수:왕겨 추출수의 혼합 비율이 8:2인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상 발아 단계에서의 최종 발아 길이가 5mm인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6. 삭제
  7. (1) 이물질 및 부패된 볏짚을 제거하여 적합한 볏짚을 선별하는 단계, (2) 흐르는 깨끗한 물에 세척하는 단계, (3) 볏짚을 2 내지 3cm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4) 절단된 볏짚이 빠지지 않는 여과 망에 넣고 묶는 단계, (5) 수득한 볏짚과 물을 추출 탱크에 넣고, 100℃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3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6) 추출수와 볏짚을 분리하면서 여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볏짚 추출수를 수득하는 단계;
    (1') 이물질을 제거하여 적합한 왕겨를 선별하는 단계, (2') 선별된 왕겨를 소각로에 넣고 가열하여 완전히 태워 재를 얻는 단계, (3') 수득한 재를 배합탱크에 넣고 약 3 내지 4시간 동안 희석 교반하여 추출수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왕겨 추출수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볏짚 추출수와 왕겨 추출수를 8:2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아 현미의 제조에 사용되는 볏짚-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단계 (6) 및 (3') 종료 후에, 수득한 볏짚 추출수 및 왕겨 추출수 각각을 열교환기를 통하여 105℃의 온도로 5초간 순간 살균 후 냉각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볏짚-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KR10-2000-0053766A 2000-09-09 2000-09-09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볏짚-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KR10040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766A KR100405921B1 (ko) 2000-09-09 2000-09-09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볏짚-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766A KR100405921B1 (ko) 2000-09-09 2000-09-09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볏짚-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539A KR20020020539A (ko) 2002-03-15
KR100405921B1 true KR100405921B1 (ko) 2003-11-14

Family

ID=1968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766A KR100405921B1 (ko) 2000-09-09 2000-09-09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볏짚-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9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076B1 (ko) 2005-08-11 2007-03-23 (주) 밀다원 감마-아미노부티릭산의 함량이 증가된 기능성 곡물의제조방법
KR101430311B1 (ko) 2012-11-23 2014-08-14 김상훈 쌀의 가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546A (ko) * 2002-05-28 2003-12-03 (주) 해뜰날 천연물을 이용한 발아현미의 제조방법
KR100476656B1 (ko) * 2002-08-14 2005-03-18 김일두 홍국을 이용한 기능성 발아현미 재배방법
KR101329883B1 (ko) * 2010-07-03 2013-11-15 송명섭 발아 곡류를 이용한 누룩의 제조방법
KR101367730B1 (ko) * 2011-11-04 2014-03-12 (주)씨나락 발아 현미 제조 장치,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및 발아 현미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6976A (ko) * 1986-12-15 1988-08-26 남정호 천연물질을 이용한 콩나물 양성제 제조방법
JPH0662670A (ja) * 1992-08-22 1994-03-08 Tajimaya:Kk 玄米もやしの製造方法
KR19980079624A (ko) * 1997-04-08 1998-11-25 장세순 현미를 발아 시키는 방법
KR19990015959A (ko) * 1997-08-09 1999-03-05 최재옥 약초 추출액 사용 콩나물 재배방법
JPH11192020A (ja) * 1997-11-07 1999-07-21 Yushichi Inaba 発芽玄米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20000074828A (ko) * 1999-05-04 2000-12-15 장세순 현미를 발아시키는 방법 및 발아 현미제품
KR20010095895A (ko) * 2000-04-12 2001-11-07 김영환 현미의 발아방법
KR20020004519A (ko) * 2000-07-06 2002-01-16 장철호 현미의 발아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6976A (ko) * 1986-12-15 1988-08-26 남정호 천연물질을 이용한 콩나물 양성제 제조방법
JPH0662670A (ja) * 1992-08-22 1994-03-08 Tajimaya:Kk 玄米もやしの製造方法
KR19980079624A (ko) * 1997-04-08 1998-11-25 장세순 현미를 발아 시키는 방법
KR19990015959A (ko) * 1997-08-09 1999-03-05 최재옥 약초 추출액 사용 콩나물 재배방법
JPH11192020A (ja) * 1997-11-07 1999-07-21 Yushichi Inaba 発芽玄米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20000074828A (ko) * 1999-05-04 2000-12-15 장세순 현미를 발아시키는 방법 및 발아 현미제품
KR20010095895A (ko) * 2000-04-12 2001-11-07 김영환 현미의 발아방법
KR20020004519A (ko) * 2000-07-06 2002-01-16 장철호 현미의 발아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작물학회지 Vol.41(4) pp.434-44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076B1 (ko) 2005-08-11 2007-03-23 (주) 밀다원 감마-아미노부티릭산의 함량이 증가된 기능성 곡물의제조방법
KR101430311B1 (ko) 2012-11-23 2014-08-14 김상훈 쌀의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539A (ko) 200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40510B (zh) 一种藜麦高产密植栽培方法及藜麦茶的制备方法
CN106699361A (zh) 柑果有机肥及其制作方法
US5862627A (en) Method for germinating dehulled brown rice
CN1745617B (zh) 利用无粉碎茶籽壳栽培茶树菇的方法
KR100405921B1 (ko)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볏짚-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KR101666021B1 (ko) 브로콜리 새싹을 이용한 기능성 차와 그의 제조방법
JP6987408B2 (ja) きのこ培地の製造方法
Fritsche Breeding work
KR102064544B1 (ko)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CN1934969A (zh) 芽豆奶粉
KR20210060918A (ko) 밀싹즙이 포함된 주스의 제조방법
KR101518552B1 (ko)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리차
KR100679848B1 (ko) 상황버섯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발아장치
CN107182763A (zh) 芽苗菜种植法
KR100679847B1 (ko) 오갈피 추출물이 함유된 발아곡물과 곡물의 발아방법 및발아장치
CA1146798A (en) Process for enriching the protein content of food and feedstuff and products thereof
CN105707657A (zh) 一种香榧籽的加工方法
CN109168842A (zh) 一种提高芒果实生苗出苗移栽率的栽培方法
Luh Rice production
KR100373768B1 (ko) 고속고효율의 곡물종자발아방법
KR100663202B1 (ko) 메밀싹 원액을 이용한 곡물 처리방법 및 그 곡물
KR100493434B1 (ko) 발아현미 또는 장단콩을 포함한 발아콩을 이용한 버섯배지 제조방법 및 그 응용방법
CN106664882A (zh) 一种生物有机活体芽苗菜的培育方法
KR20230022286A (ko) 대마 삼싹의 재배 방법
KR100525836B1 (ko) 톱밥발효액을 이용한 두채류의 재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