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768B1 - 고속고효율의 곡물종자발아방법 - Google Patents

고속고효율의 곡물종자발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768B1
KR100373768B1 KR10-2001-0008347A KR20010008347A KR100373768B1 KR 100373768 B1 KR100373768 B1 KR 100373768B1 KR 20010008347 A KR20010008347 A KR 20010008347A KR 100373768 B1 KR100373768 B1 KR 100373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rmination
water
seed
brown ric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8101A (ko
Inventor
심명수
Original Assignee
심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명수 filed Critical 심명수
Priority to KR10-2001-0008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768B1/ko
Publication of KR20020068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7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1/00Planting
    • Y10S111/90Methods of planting seeds and miscellaneous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1/00Planting
    • Y10S111/905Seed treating seed planter

Abstract

본 발명은 부패율이 극히 낮으면서 단시간에 발아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킨 현미, 율무등과 같은 곡류종자 발아방법에 관한 것이다.
율무, 보리, 현미등과 같은 곡물을 발아처리하여 새순이 15㎜이하로성장한 것은 각종 무기물과 비타민 그리고 섬유소가 다량 함유된 반면에 비만의 원인이 되는 탄수화물성분이 최소화되어 건강식이나 다이어트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의 일반적인 발아처리법은 수침하에 발아처리하거나 고온 다습 상태의에서의 최적 상태에서 발아 하여도 약 20내지 30%정도가 부패하며 일반적인 발아 방법으로는 약 50%정도가 부패되어 부지불식간에 부패한 발아곡류를 섭취하는 경향이 비일비재하다.
본 발명은 발아과정에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발아를 촉진하면서 부패미생물의 침투를 근본적으로 차단가능하게 하는 천연의 피틱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한 발아용수를 사용하여 발아 과정에서 박테리아로부터 침해를 받아 부패하는 현상을 막고 피틱 액시드는 잔존 농약과 반응하여 피틱산의 금속염으로 침전시켜 제거되므로 잔존농약도 화학적으로 제거되어 청결한 발아 현미 및 발아곡류를 얻을수 있게 하였다.
또한 마지막 반응에서 과량의 잔존 피틱산은 칼슘염의 형태로 반응처리하여 일부 잔류가 된다고 하여도 인체에 유익한 성분으로 섭취토록 한 새로운 현미 및 곡류의 발아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속고효율의 곡물종자발아방법{Effective germination method for various grain seeds}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천연에 존재하는 성분을 이용하여 발아중에 부패가 없으면서 고속발아가 가능한 곡물종자발아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선종(選種)단계에서 다양한 염류를 이용하여 비중의 정확히 조절이 된 비중수를 사용하여 가장 최적의 상태를 지닌 우수종을 선별한 다음, 천연의 피틱산이나 그염을 첨가한 발아수를 사용하도록 하여 고온다습의 조건하에서 장시간 발아처리하여도 거의 부패없이 최고의 발아율을 보이는 동시에 발아후의 생육도 초단시간에 가능하도록 구성한곡물종자발아방법 및 그 발아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미, 율무, 콩, 보리, 밀, 옥수수등은 다양한 성분을 갖고 있다. 특히 현미는 백미보다 우수한 건강식품으로 인정되어오고 있으나 소화흡수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대부분의 곡물종자는 변형이 없이 원형그대로 섭취하면 가장 이상적인 영양섭취의 방법이기 때문에 현미, 보리등을 그대로 섭취하려고 하나 소화흡수에 문제가 있다.
이같은 단점을 개선하기위하여 이들 곡물종자를 단순 섭취하기 보다는 발아 배양을 통하여 다양한 가공품으로 섭취하고자 분말차, 과자류등으로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그중에서 현미를 발아처리하여 그대로 섭취하거나 여러가지 가공품으로 섭취하는 방법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제247686호 에서는 볍씨를 수세처리하고, 선종방법으로 소금물을 이용하여 볍씨를 선별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수세처리 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중금속이나 농약성분의 완벽한 제거가 어려움은 물론이고 양호한 볍씨의 선별 방법으로 70-100%의 소금물을 이용한다 하였다.
그러나 소금은 포화용해도가 40%에 못미치기 때문에 소금농도가 100%이상을 갖추는 경우에도 비중1.22정도에 머물러 밀도가 높은 곡물의 경우에는 선별할 능력이 없는 것이다.
또한 수경재배시 유기물의 분해 박테리아의 침식등으로 실제 시험에서 박피현미의 경우 50%이상 발아 과정에서 부패해 버린다. 이같은 발아율의 저조함을 제거하고자 여러가지 방부제를 은연중에 사용하고 있어 단순한 수경재배식이나 고온 고습 발아법은 한계를 갖고 있는 것이다.
또다른 방법으로 현미가 아닌 볍씨를 선별하여 자연건조처리를 하거나 50℃미만의 온도에서 열풍 건조하여 보관하다가 필요시 선별건조한 볍씨를 현미로 도정하여 도정된 현미를 발아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도정중에 왕겨의 껍질이 완전히 벗겨지게 도정을 할때는 발아의 눈의 10-15%가 도정과정에서 이탈하여 버려 발아가 불가능 하므로 진정한 발아현미로 인정하기 어려운 것이다.그외에 발아를 위한 물을 황토침전수를 일부 첨가하여 발아를 촉진한다 하나 실제 시험에서 황토침전수를 사용하므로서 유의할만한 수준의 부패방지효과는 얻기 어려웠다.
황토침전수가 갖는 다양한 무기물성분과 필터링에 의한 잡균의 제거로 예견되는 부패방지 효과와 영양공급효과는 인정할만 하나 그같은 효과는 침전수가 아닌 자연생수의 사용에서도 당연히 예측되는 결과일 뿐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단순한 종자 발아처리법으로는 발아중 발생하는 부패현상을 막을 수 없으며, 부패를 방지하고 발아를 촉진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인공 화학 농약의 일종인 성장촉진제 혹은 발근제등을 하용하지 아니하면서 효과적인 발아촉진을 이루기 위하여, 식물의 종자내에 천연적으로 함유된 피틱산 및 그의 염을 이용하여 발아를 위한 발아수내에 일정량을 함유시킨 발아수로 종자의 발아처리를 유도하였다. 여기서 피틱산은 주변의 각종 미생물이 접촉하는 경우 약리작용에 의하여 미생물 번식을 방지하므로서 부패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여러가지 중금속이함유된 잔존 농약과 반응하여 염 형태로 분리되어 제거토록하고, 볍씨를 발아할 경우에는 99%이상의 발아율과 무공해 발아현미를 생산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곡류의 발아 생육 단계에서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산소의 원활한 공급을 하고,온도의 평형을 유지하며,유기물의 부착을 방지하여 생육도가 일정하고 품질이 균등한 발아 곡류 특히 발아현미를 생산하고자 하는 것이다.이것은 기존의 발아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씨앗의 표피나 배아의 눈에 존재하는 천연의 생장 촉진재이며 방부성을 갖는 피틱산이나 피틱산의 염은 수용성 물질로서 과량의 물에 아주 낮은 농도로 용해되어서 사실상 박테리아로 부터의 침해를 막을수 없기 때문에 발아도중 부패해 버린다.다만 토양 재배를 할 경우에는 토양의 자정 작용과 씨앗 자체의 내재된 피틱 화합물의 방어기전으로 부패하지 않고 싹이 트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콩을 이용하여 콩나물과 같은 발아식품의 경우에도 무공해천연항암성분인 피틱산이나 그염을 이용하므로서 150mm이상의 성장이 되어도 부패되는 것이 없으며, 성장속도도 일반적인 성장홀몬의 투여에 의한 재배와 유사한 효과를 발휘토록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수수,조,보리,율무과같은 영양건강식물종자들도 부패함이 없이 고속고효율로 발아재배하여 식용으로 이용하고자하는 것이다.
또한 일부부패 혹은 변패한 발아식품을 그대로 건조분말화한 경우 부지불식간에 부패곡물을 섭취하는 문제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발아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공정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발아장치의 측면구성도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발아조 3:기공 6:에어노즐 7:조절밸브 8:에어공급관 9:배수밸브 10:배수구 11:분무 노즐 12:공급밸브 15:습도센서 16:온도센서
본 발명은 현미, 율무와 같은 종자를 발아시킴에 있어서 선종(選種)을 보다 정밀하게 가능하도록 하여 발아에 사용될 가장 우량한 종자로 선발토록 하고, 선종된 종자를 발아시킴에 있어 식물종자내에서 미생물의 침해로 부터 방어기전으로 작용하는 천연의 피틱산 혹은 그 염을 사용하므로서 발아율을 현저하게 상승시키면서 고속발아가능한 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또한 피틱산의 사용량이 과다한 경우라하여도 피틱 산나 그 염은 수용성 물질로써 과량의 맑은 물로 세척할 경우에 맑은물에 용해 세척되어 버리고 또한 피틱산을 칼슘염으로 전환처리하거나 다공질필터로 세척처리하여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도록 하는 새로운 발아현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틱 산 및 그염을 이용하여 발아 과정에 부패되지 않은 발아 씨앗 및 현미를 만들어 활성 영양소를 극대화하고 당분이 감당된 저당의 발아현미를 만들거나 또는 발아된 씨앗을 이용하여 당뇨병이나 비만등의 성인 병을 예방하고 각종 활성 영양소를 얻는데 있으며 특히 잔존 농약을 인체에 무해한 피틱산 및 그 염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발아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발아 씨앗의 부패를 막아 청결하고 오염 되지 않은 발아현미 및 발아 곡물을 얻는데 있다.
본 발명은 볍씨나 일반 곡류의 선별 과정을 염화칼슘,염화 나트륨,염화 마그네슘,염화칼륨등의 이온성 무기물을 이용해서 그 비중이 1.03-1.25로 적당한 선별 비중으로 만들어서 선별 하나 현미와 같이 밀도가 높은 곡물은 전기와 같이 이온성 무기물을 이용하여 그 비중이 1.18-1.25로 만들어서 미숙된 현미를 선별 하고 기타의 부스러지거나 발아에 적절치 못한 이물질을 선별한다.그리고 이러한 상기 두 방법으로 적당하게 선정된 염수에 볍씨 곡류 현미를 담그어 수분이 25%이상 충분이 흡수되게 30-60분간 흔들어서 부유되는 볍씨나 씨앗을 걷어내고 침전된 볍씨나 씨앗을 선별하여 세척후에 발아를 시키거나 또는 일차 선별건조후에 현미로 도정하여 발아 시키는 방법이 있다.이때 현미로 도정하여 발아를 시키는 방법에는 볍씨를 도정할때 왕겨가 100% 벗겨지게 도정하지 않고 95-99%만 왕겨가 벗겨지게 도정한 다음 비중이 1.18-1.25의 이온성 염수로 성숙된 현미를 선별할 경우에는 현미의 배아 눈이 도정중에 거의 이탈 되지 않고 그대로 부착되며 왕겨가 벗겨지지 않은 볍씨는 100% 상층 부위에 부유되어 성숙된 현미를 선별할수 있다.
그리고 세척된 볍씨나 씨앗 및 현미에 피틱 산을 발아에 사용될 수량의 중량에 0.0001-0.5%를 첨가하여 pH를 2-6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피틱 산 염을 0.0001-5% 이내에서
첨가하거나 또는 제시된 첨가량의 비율 범위내에서 적당한 비율로 피틱 산과 그화합물 염을 혼합하여 20-35℃의 배양수 속에서 볍씨나 현미 및 곡물를 발아 배양하며 발아 용기의 하부에 20-35℃로 유지되는 공기를 주입한다. 또한 수경 발아시에는 주입되는 공기에 발아 씨앗 및 현미가 매우 유동되게 1-5일 발아 시킨다.이때 볍씨나 현미 및 곡물들은 초기 발아 과정에서 많은 유기물을 배출 시키며 그 유기물의 분해로 인하여 박테리아로부터 침해를 받기 시작한다.그러므로 배양 초기에는 배양수를 12-24시간 간격으로 신선한 배양수로 교환해 주는 것이 좋다.또한 단백질을 많이 함유한 곡류는 유기물 분해의 속도가 매우 빨라 발아할 곡류를 24시간 수경발아한 후에 발아용수를 배출시키고 10-60분 간격으로 피틱 산 화합물을 함유한 발아 용수의 온도를 20-35℃로 조절하여 3분이내 분무해 준다.
이러한 방법은 피틱 산 및 그염을 주제로하여 발아 용수의 pH를 2-6으로 할때에 항균 작용이 극대화 하며 박테리아 번식을 최대한 억제한다.또한 주입된 신선한 공기는 볍씨나 현미 및 곡물의 생육에 필요한 산소등을 충분히 공급해 주며 주입된 공기압에 의하여 볍씨는 몹시 흔들리므로 그 간격이 멀어지고 공기와의 접촉이 원활하여 호흡이 쉽고 곡물이나 현미의 표피에 발생되는 유기물의 피막 형성을 막아 생육에 해로운 박테리아의 침식을 억제하며 일정한 온도의 영향으로 균등한 생육을 촉진한다.또한 피틱 산 및 그 화합물 들은 용출된 잔존 농약과 반응하여 염으로 되어 세척된다.
그러나 과량의 피틱 산은 소화불량을 유발할수 있으므로 최종 세척 과정에서 활성탄 또는 숯이나 다공질 휠터를 이용하여 흡착 시키고 20%로 희석된 석회수를 2% 이내로 첨가하여 씻어낼 경우에는 잔존 피틱 산은 피틱 칼슘염으로 치환하거나 활성탄이나 숯에 흡착된다.이러한 방법으로 현미를 배아 시켰을때에는 배아잎은 길고 굵으며 뿌리는 150mm이상 자라도 부패되지않았다.
또한 피틱 칼슘염은 일본 보건성에 의하여 천연 물질로 등록 되었으며 미국 FDA가 인정한 무독성 물질이고 우리의 인체의 구성 요소인 장기,뇌,신장등의 인 지질로 형성 되어 있다.이러한 방법으로 볍씨 및 현미 기타의 곡물을 발아 시켜서 건조후에 도정하거나 또는 발아된 곡물이나 현미를 식생활에 이용한다면 우선 99% 이상의 신뢰도 있는 발아된 현미나 곡물을 얻을수 있거나 잔존 농약이 철저히 제거되고 발아 과정에서 부패를 방지한 아주 청결하고 활성 영양소가 듬북한 현미나 발아 곡물을 얻을수 있다.
이상의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1)볍씨의 선별단계
볍씨나 씨앗의 선택은 자연 건조된 것이 가장 좋고 생육이 왕성한 볍씨나 씨앗을 선택하여야 한다.여기서는 곡류를 발아시켜 세척 건조후에 식품화 하거나 볍씨의 왕겨를 벗겨내지 않고 선별하여 발아시켜 세정 건조 하여 도정한 현미 또는 백미로 가공하는 공정에 대한 것이다.
볍씨나 곡류의 선택은 자연 건조한 것이 가장 좋으나 부득히 인공 열풍 건조한 볍씨나 씨앗을 선택할 경우에는 50℃ 미만에서 건조한 볍씨나 씨앗을 선택 하여야 한다.
이것은 50℃ 이상에서 건조한 볍씨나 씨앗은 발아의 생육이 늦을뿐만 아니라 건조 과정에서 고열에 의해 씨앗의 눈이 익어버린 볍씨나 씨앗을 선택할수도 있으므로 볍씨나 씨앗의 선별에 세심한 주위를 갖여야 한다.또한 생육이 미약한 볍씨나 씨앗을 선택할 경우에는 선별 수율이 매우낮야 경제성이 없다.이때 모든 곡류나 현미는 열풍 건조할 경우에는 45℃ 이하에서 열풍 건조한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선정된 볍씨나 씨앗은 염화칼슘이나 염화칼륨,염화나트륨,염화마그네슘등의 이온성무기염을 이용하여 선별에 사용될 사용 수량에 적당량 투입하여 녹인후의 그 비중이 1.03-1.25로 맞추어서 여기에 선별할 볍씨나 곡물을 투입한후에 30분-60분 동안 볍씨나 곡물을 휘저어 볍씨나 곡물의 함수율이 25%이상 되게 한다음 상층부에 부유되는 볍씨나 곡물을 걷어낸다.
이때 사용 수량의 비중이 1.15이상일 때 밀도가 낮은 볍씨나 곡물은 부유되는 것이많아서 아주 비경제적이므로 사전에 분류된 비중 이온수에 침지시켜서 육안으로 상태를 파악한 다음 적당한 비중으로 맞추어서 곡물의 밀도에 맞는 염수로 선별 하여야 한다.
이때 왕겨를 벗겨낸 현미와 같이 밀도가 높은 곡류는 그 비중이 1.18-1.25로 만들어서 선별 하여야 한다.그리고 하부에 침전된 볍씨는 맑은 물로 3-4회 세척하여 무기 이온수를 완전히 제거 한다음 하부로부터 10cm정도 떨어진 구멍이 많은 금속판에 올려 놓아 물기를 제거한 다음 건조 시킨다.
1-2)선별된 볍씨를 건조하여 왕겨를 벗겨내고 현미로 만들어서 발아 시킬 경우에는 1-1단계 과정에서 세척된 볍씨를 자연 건조 시키거나 원심분리기에 넣고 50℃ 미만의 열풍을 원심 분리기안으로 통과되게 하여 함수율이 14-16%이내로 될때까지 건조 시킨다.이때의 온도는 44-45℃가 가장 좋다. 또한 자연 건조 시킬 경우에는 볍씨의 함수율이 14-16%가 될 때까지 건조 시킨 후에 현미로 도정하고 1변이 2-2.5mm의 체에 체가름 한 후에 체 상부에 남아 있는 현미를 발아 촉진 단계로 옮긴다.여기서 체가름에 통과한 현미는 몸체가 부서지면서 배아의 눈이 이탈하여 발아가 되지 않으며 오히려 발아의 수율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2)발아 촉진단계
발아 용기에 투입될 수량은 피틱 산을 사용 수량의 중량에 0.0001-0.5%를 첨가하여 그 수량의 pH가 2-6.5가 되게 하거나 피틱 산 소다등 피틱 산 염을 사용 수량 중량부에 0.0001-5%를 첨가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피틱 산과 피틱 산 염을 지정 사용 범위에서 혼합하여 사용 수량에 첨가하여 피틱 산이 첨가된 물로 발아 용수로 사용한다.좋기로는 pH4-5가 발육에 가장좋다.
피틱 산 화합물을 첨가한 물로 선별된 볍씨나 현미 또는 씨앗이 담겨져 있는 용기의 8부능선까지 물을 채우고 하부의 공기 주입구에 볍씨가 심하게 흔들릴 정도로 공기를 주입한다.이때 사용수나 주입 공기의 온도는 20-35℃로 맞추어서 사용한다. 이때 발아의 촉진이 가장 좋은 온도는 30-32℃가 발아의 촉진이 가장 좋다.이때 발아의 작업 공간의 온도는 20-35℃로 맞추어야 하고 습도는 상대습도 85%이상 유지 되어야 한다.이때의 실내 온도는 사용 수의 온도와 같을때에 발육이 가장좋고 상대 습도는 90%이상이 가장 좋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24-48시간 유지하면 볍씨는 발아를 시작하며 유기물을 분해하기 시작한다.유기물을 지나치게 분해하여 놓으면 12-24시간 간격으로 발아용수를 맑은 피틱 산 화합물이 첨가된 용수로 교환하여 준다.
3)생육단계
볍씨나 현미 및 곡물씨앗은 피틱산이나 그 화합물이 첨가된 물을 배양조의 높이의 80%선 까지 채우고 물의 온도 20-35℃ 발아용수속에 완전히 침지 시킨후에 배양조의 하부에 압력 0.1∼3kg/㎠ 이상으로 20-35℃의 공기를 주입하여 배양조에 있는 현미나 곡물 또는 볍씨가 상하로 움직이게 공기의 주입 압력을 조절한다.이때에도 발아실의 온도는 20-35℃로 맞추어 주나 좋기로는 30-32℃가 가장 좋고 상대 습도는 가급적 90%이상이 가장 좋다.
이때 여기서 싹이 1mm 이상 자라는데는 24시간 이상 소요되나 사용 목적에 따라서 120시간 이상 발아 시키며 각 용도에 맞는 길이로 자라면 잔존 농약 처리 단계로옮긴다.
그러나 유기물의 배출이 심한 단백질 함량이 많은 곡류는 발아 수조의 배양액을 배출 시킨 상태에서 배양기 하부에서 20-35℃의 공기를 가하며 상기와 같이 피틱 산 화합물이 첨가된 신선한 배양액을 10-60분 간격으로 3분 이내로 24-120시간 분무해 준다.
4)잔존 오염물 제거단계
잔존 오염물로는 각종 중금속, 유기부패물등이 표면에 잔류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피틱산은 과량 복용시 약간의 소화불량요인이 될수 있으므로 이것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장 대표적으로 알칼리성의 석회수를 사용하도록 하며, 이외에도 인체에 무해한 다양한 알칼리성 화합물이 사용가능하다. 발아조에 있는 종자가 모두 침지될 정도로 청정수를 채우고 사용 수량의 중량의 1-5%의 다공성필터체을 넣고 또한 20∼30%의 희석 석회수 1-2%를 배양 용기에 넣는다. 그리고 하부의 공기 주입구에 공기를 숯이 심하게 흔들리게 30-120분간 주입한다.공기의 주입을 끝내고 배양 용기의 숯을 걷어내고 배수 시킨다. 본 발명에서 다공성 필터체란 가장 범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활성탄이 가장 범용으로 사용되며, 그외에도 세라믹재질이나 기타의 다공체등의 사용도 가능하다.
5)세척단계
맑은 물을 발아조에 공급하여 곡물이 모두 침지토록 한다음 하부의 공기 주입구에 공기를 10-30분간 볍씨나 씨앗이 심하게 흔들리게 주입하고 청정수를 배출 시킨다..이러한 방법으로 3-4회 반복 실시한다.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부의 노즐을 통하여 맑은 물을 스프레이 하여 세척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거친 발아 식품중에 장기간 보존을 요하지 않는 발아 식품은 세척후에 곧바로 식품으로 사용할수 있다.
6)건조단계
건조는 자연건조를 시키거나 열풍 건조,또는 냉동 건조처리한다. 열풍 건조는 50℃ 미만의 온도로 온도를 서서히 높이면서 건조시킨다.온도가 일시에 높은 고열로 건조 시킬 경우에는
건조후에 곡류의 맞이 떨어지고 부서 지거나 도정후에 깨어지는 경우있다.또한 건조습도는 내재습도가 14-17%가 되게 건조하나 좋기로는 내재습도 15.5%가 가장 맛이 좋다.
7)도정 및 포장단계
왕겨를 벗기지 않은 발아 볍씨의 도정은 필요에 따라서 분류 도정할수 있고 현미나 백미로 도정하여 사용할수 있다.
이상의 본발명의 현미및 곡물의 발아방법에 따라 특히 적합한 제조장치는 습도를 유지하는 용기내부의 중앙부근에 볍씨등의 종자를 배치하여 발아를 촉진하는 다공성 발아대와,상기한 발아대의 하부측 저면부에 에어공급장치와 배수장치가 설치된 에어공급 및 배수장치부와,
상기한 발아대의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여 다수의 노즐들이 배치되어져 청정수를 분무하도록 하는 급수부와,상기한 발아대, 에어공급및 배수장치부, 급수부를 포괄하면서 내부에 설치된 온도 및 습도센서에 의하여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미도시한 콘트롤 장치에 의하여 급수부의 온.오프와 히터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하는 콘트롤부로 구성되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2 에 실제적인 예를 도시하고 있다.
현미 혹은 볍씨들이 적재되도록 평면구조를 이루면서 다수의 기공(3)들이 상하관통되도록 형성되고 그 외측단들은 발아조(1)의 측면부에 조립되어지도록 구성된 다공성발아대와,상기한 다공성 발아대의 하부측으로 일정한 공간을 갖고 다수의 에어노즐(6)이 형성된 관상구조의
조절밸브(7)형성된 에어공급관(8) 그리고 배수밸브(9)형성된 배수구(10)로 구성된 에어공급 및 배수장치부와,상기한 다공성 발아대의 상부측에 일정한 공간을 갖고 다수의 분무노즐(11)이 형성된 공급밸브(12)설치된 피틱산과 청정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공급부,그리고 상기한 발아조내부의 내부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습도센서(15)와 온도센서(16)가 설치되고 이들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신호에 의하여 조절밸브(7), 배수밸브(9), 공급밸브(12) 그리고 히터(17)에 대한 온오프제어를 위한 콘트롤부로 구성되어져 있다.
미설명부호 30은 환기구로서, 상기한 콘트롤부에 의하여 적절한 온도, 습도를 맞추도록 팬의 회동으로 내부의 공기를 빼주거나 역으로 흡입처리토록 구성되어있다.
본 발명의 발아장치에서 발아조(1)는 외벽전체 혹은 일부를 투명한 구조롤 구성하여 내부에 적재된 현미등의 씨앗의 발아상태를 육안관측하도록 할수 있으며, 내부에 수위조절을 위한 부력이나 센서를 이용한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주어 내부의 수량을 조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수위의 조절은 물보다 가벼운 각종 재질로 구성한 부유기구를 설치하여 수위상승에 따라 부유기구의 상승으로 리미트스위치의 터치신호 혹은 마이크로스위치의 온오프제어에 의하여 물공급을 중단하거나, 역으로 배출처리토록 하는 것이다. 발아조의 상측에 설치된 공급부의 상측에 있는 상면부 혹은 측면부는 조립해체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내부의 발아성장한 곡물을 이곳을 통하여 배출가능한 출구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곡물의 배출은 자동화 대량시스템의 경우에는 내부에 별도의 스크래퍼를 설치하여 곡물을 긁어모으는 방식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발명 특허와는 달리 곡물 씨앗이나 현미 자체를 수용성 무기염의 비중을 정확히 하여 성숙된 씨앗을 정확히 선별하고 인체에 무해하고 항중독 항균 작용이 있으며 씨앗의 생장 촉진제인 피틱 산을 추가 과량 첨가 사용하여 발아 과정에서 부패를 방지하고 잔존 농약을 철저히 제거하며 99%이상의 발아율을 갖일수 있는곡물의 발아 방법으로 현미나 기타 곡물을 발아시키면 신뢰성 있는 발아 식품으로 부패가 방지되고 잔존 농약이 제거된 현미나 기타의 발아 곡물을 얻을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온도의 공기를 주입하여 균일하게 생육을 유지한 발아 식품과 위생상 안전하고 농약으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 할수 있고 또한 최고로 활성된 활성 비타민이나 기타의 활성된 영양소 및 씨앗의 발아 과정에서 발아 촉진에 소모되어 당분의 함량이 적고 식이 섬유소가 풍부한 현미나 곡류를 얻을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현미를 도정의 분도를 높여 탄수화물의 함량이 작은 백미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부패나 잔존 농약으로부터 보호된 발아 음식물은 어린이의 이유식이나 노인의 영양식이나 비만이 심한 성인의 건강식 당뇨병 환자의 영양식 및 기타의 미용식이나 건강식으로 그 유용도가 매우 높을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한 방법과 장치를 이용한 현미 발아결과와 특허제 247686호에 의한 발아결과에 대한 비교표는 다음과 같다.
시험실시예1
조건1):항온 항습기 실내온도.20-21℃,상대습도 85-88%,육안 판정으로 성숙된 현미 각 1000개씩 2조 선별.
시험조건 2) 본 발명은 현미를 선별후에 총 72시간 피틱 액시드 pH4.5 발아용수에 침지하며 발아조 하부에 공기 주입.
시험조건 3)특허 247686호 방법으로 황토수에 8시간 침지후에 꺼내서 바구니에 담고 항온 항습기 내에서 습한 수건으로 덥는다.총 72시간 후에 측정한다.
분류 총사용갯수 발아수 미발아수 발아율(%) 발이잎굵기 발아잎길이 부패,이취여부
본발명 1,000 901 99 90.1 평균0.6mm 평균5.5mm 없음
특허247686 1,000 353 647 35.3 평균0.25mm 평균2.2mm 변색,냄새
*도정 과정에서 부서진 것과,발아 과정에서 부서진 것은 제거했음.
*선별 방법은 백상지 위에서 붓으로 선별한 것임.
*부패의 측정은 냄새와 육안판정
시험실시예 2(볍씨의 발아율 측정)
조건 1)염수의 비중을 맞추어서 선별후에 세척후에 본 발명의 조건으로 72시간 발아시킴
조건 2)항온 항습기 온도 20-21℃,상대습도 85-88% 유지,발아수 pH 4.35
볍씨의 갯수 발아성공된것 미발아된것 발아율 발아잎의길이 부패종자 잎의두께
1000 999 1 99.9% 평균5.5mm 없음 평균0.6mm
*부패의 측정은 냄새와 육안 판정함.
이상의 결과에 나타나듯이 기존의 방법을 사용한 경우 발아중 발아가 되지 못하고 부패를 시작한 현미가 종래의 방법은 약 10%에(색상의 변화와 냄새의 유발) 이르나 온도를 32℃에 항온 시키고 습도를 95%로 고정하여 발아 시간을 120시간 유지 할 경우에는 30%이상 부패가 예상된다.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것은 깨끗하게 백색도를 나타난다. 그리고 동일하게 72시간 성장후의 성장율의 차이는 부피비 및 전체 생육도(발아율%,굵기,길이) 비를 측정할 경우에는 약 14배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또한 볍씨의 발아율은 99.9%를 나타내고 있다.
시험실시예3(조건별 발아율 실시예)
시험 조건
1)실내온도:30-34℃ 2)발아수의 온도:30-32℃ 3)습도:85-90%
4)발아시간:72시간 5)공기압력:0.1㎏/㎠ 6)시료 채취방법:3분법
7)선별염수:비중 1.25 8)체의 싸이즈:2.23mm 정사각형
9)배양수의 조건:ph 및 농도 분류
10)무게측정:1일 자연 건조후
발아용수조건 시료채취량(g) 0.5mm이상발아량(g) 배아없는것쪼개진것(g) 미발아(g) 평균발아길이(mm) 발아율(%) 부패정도
pH7.4 100 64.31 5.51 30.18 1.5 64.31 부패시작,냄새심함
pH6.1 100 82.96 5.74 11.3 3.5 82.96 부패없음,냄새약간
pH5.2 100 93.41 5.54 1.05 6.5 93.41 없음
pH3.8 100 93.78 5.45 0.77 6.6 93.78 없음
피틱염0.05% 100 75.79 5.12 19.19 3.1 75.69 부패없음냄새약간
피틱염0.5% 100 77.32 5.37 17.31 3.2 77.32 상동
피틱염1% 100 88.27 5.61 6.12 3.7 88.27 상동
염:액시드=1:1(0.0086%) 100 83.33 5.29 11.38 3.6 83.33 상동
염:액시드=1:2(0.0128%) 100 92.41 5.44 2.15 6.5 92.41 없음
염:액시드=2:1(0.0128%) 100 84.62 5.51 9.87 3.7 84.62 상동
이상의 결과에 나타나듯이 기존의 방법을 사용한 경우 발아중 발아가 되지 못하고 부패를 시작한 현미가 종래의 방법은 약 10%에(색상의 변화와 냄새의 유발) 이르나 온도를 32℃유지시키고 습도를 95%로 고정하여 발아 시간을 120시간 유지 할 경우에는 50%이상 부패가 예상된다.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것은 깨끗하게 백색도를 나타난다. 그리고 동일하게 72시간 성장후의 성장율의 차이는 부피비 및 전체 생육도(발아율%,굵기,길이) 비를 측정할 경우에는 약 52배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볍씨의 발아율은 99.9%를 나타내고 있다.

Claims (6)

  1. 50℃미만의 온도에서 건조 처리한 종자를 염화칼슘,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의 이온성 무기염으로 비중이 1.03-1.25이 되도록 조정한 이온염수에서 종자를 투입하여 30분-60분 동안 볍씨나 곡류를 와류처리하여 볍씨나 곡물의 함수율이 25%이상되면 상층부에 부유되는 볍씨나 곡류를 제거하고 하부에 침전된 것을 분리하여 3-4회 물로 세척하는 선별하는 종자선별단계;
    피틱산 0.0001∼0.5%, 그의 염 또는 그 혼합물인 경우에는 0.0001-5%를 물의 중량을 기초로 첨가하여 pH2-6로 온도 20∼35℃의 발아용수를 발아조(1)내에 투입하여 종자 전체가 물내부에 침지토록 하되 하부에서 온도 20-35℃의 공기를 종자가 상하로 이동 가능한 0.1∼3.0Kg/㎠의 압력으로 공급하여 12∼48시간 발아를 유도하는 발아촉진단계;
    발아용수의 온도를 20-35℃로 유지하면서 동일 온도의 공기를 배양조 하부에 발아할 물질이 상하로 심하게 진동하는 정도의 공기압으로 공급하여 24∼120시간유지하되 발아조의 발아수를 10-60분 간격으로 3분이내 피틱 화합물을 함유한 배양수를 24-120시간 분무해 주는 생육단계;
    생육단계에서 원하는 정도의 생육이 완료되면 20%농도의 석회수 1∼2%를 사용 수량의 중량에 첨가하여 현미나 곡류를 침지시킨 다음 활성탄 또는 세라믹등 다공성필터체 1-5% 를 사용 수량에 가하여 공기를 30-120분간 주입하여 석회수를 환류처리하여 표면의 오염물과 중화반응하는 동시에 필터에 의하여 잡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잔존오염물제거단계;
    청정수를 발아곡물이 침지할 정도로 채우고 하부의 공기 주입구에 공기를 10-30분간 공급하도록 하여 3-4회를 세척하는 단계;
    50℃미만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내재습도가 14-17%가 되도록 건조처리하는 건조처리단계로 구성되는 곡물의 고속고효율발아방법.
  2. 50℃미만의 온도에서 건조 처리한 종자를 염화칼슘,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의 이온성 무기염으로 비중이 1.03-1.25가 되도록 조정한 이온염수에서 종자를 투입하여 30분-60분 동안 볍씨나 곡류를 와류처리하여 볍씨나 곡물의 함수율이 25%이상되면 상층부에 부유되는 볍씨나 곡류를 제거하고 하부에 침전된 것을 분리하여 3-4회 물로 세척하는 선별하는 종자선별단계;
    선별한 볍씨를 건조후에 95-99%만 도정하여 1변이 2-2.5mm인 체에 체가름 하여 깨어진 현미를 제거하여 2차선별하는 단계;
    피틱산 0.0001∼0.5%, 그의 염 또는 그 혼합물인 경우에는 0.0001-5%를 물의 중량을 기초로 첨가하여 pH2-6로 온도 20∼35℃의 발아용수를 발아조(1)내에 투입하여 종자 전체가 물내부에 침지토록 하되 하부에서 온도는 20-35℃의 공기를 종자가 상하로 이동 가능한 0.1∼3.0Kg/㎠의 압력으로 공급하여 12∼48시간 발아를 유도하는 발아촉진단계;
    발아용수의 온도를 20-35??로 유지하면서 동일 온도의 공기를 배양조 하부에 발아할 물질이 상하로 심하게 진동하는 정도의 공기압으로 공급하여 24∼120시간유지하되 발아조의 발아수를 10-60분 간격으로 3분이내 피틱 화합물을 함유한 배양수를 24-120시간 분무해 주는 생육단계;
    생육단계에서 원하는 정도의 생육이 완료되면 20%농도의 석회수 1∼2%를 사용 수량의 중량에 첨가하여 현미나 곡류를 침지시킨 다음 활성탄 또는 세라믹등 다공성필터체 1-5% 를 사용 수량에 가하여 공기를 30-120분간 주입하여 석회수를 환류처리하여 표면의 오염물과 중화반응하는 동시에 필터에 의하여 잡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잔존오염물제거단계;
    청정수를 발아곡물이 침지할 정도로 채우고 하부의 공기 주입구에 공기를 10-30분간 공급하도록 하여 3-4회를 세척하는 단계;
    50℃미만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내재습도가 14-17%가 되도록 건조처리하는 건조처리단계로 구성되는 곡물의 고속고효율발아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비중이 1.18-1.25의 상기 무기물 이온수에 밀도가 높은 곡물이나 1차선별공정을 거친 건조된 볍씨의 왕겨를 95-99%만 벗긴 현미를 투입하여 상층부에 부유되는 미숙된 현미 또는 볍씨를 골라내고 맑은 물에 3-4회 세척하는 선별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의 고속고효율발아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곡류의 발아가 150mm이하로 발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의 고속고효율발아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곡류가 율무,조,수수,콩,보리중의 어느하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속고효율발아방법.
  6. 종자들이 적재되도록 평면구조를 이루면서 다수의 기공(3)들이 상하관통되도록 형성되고 그 외측단들은 발아조(1)의 측면부에 조립되어지도록 구성된 다공성발아대와,
    상기한 다공성 발아대의 하부측으로 일정한 공간을 갖고 다수의 에어노즐(6)이 형성된 관상구조의 조절밸브(7)형성된 에어공급관(8) 그리고 배수밸브(9)형성된 배수구(10)로 구성된 에어공급 및 배수장치부와,
    상기한 다공성 발아대의 상부측에 일정한 공간을 갖고 다수의 분무 노즐(11)이 형성된 공급밸브(12)설치된 청정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공급부와,
    상기한 발아조내부의 내부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습도센서(15)와 온도센서(16)가 설치되고 이들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신호에 의하여 조절밸브(7), 배수밸브(9), 공급밸브(12) 그리고 히터에 대한 온오프제어를 위한 콘트롤부로 구성된 고속고효율의 종자발아장치.
KR10-2001-0008347A 2001-02-20 2001-02-20 고속고효율의 곡물종자발아방법 KR100373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347A KR100373768B1 (ko) 2001-02-20 2001-02-20 고속고효율의 곡물종자발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347A KR100373768B1 (ko) 2001-02-20 2001-02-20 고속고효율의 곡물종자발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101A KR20020068101A (ko) 2002-08-27
KR100373768B1 true KR100373768B1 (ko) 2003-02-26

Family

ID=2769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347A KR100373768B1 (ko) 2001-02-20 2001-02-20 고속고효율의 곡물종자발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388B1 (ko) * 2019-01-02 2019-07-09 신해숙 발아현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아현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613B1 (ko) * 2016-11-17 2018-08-1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장 종자의 발아 촉진 방법
FR3092226B1 (fr) * 2019-01-31 2021-01-22 Eurl Adinatis Procédé de germination de graines de céréales, notamment pour l’obtention de fourrage pour l’alimentation animale, et dispositif pour mettre en oeuvre ce procéd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4067A (en) * 1981-04-20 1982-10-26 K I Kagaku Kk Method for preventing browning and discoloration of fresh vegetable such as lotus root, taro, potato, onion burdock, bean sprout, and bulb of other vegetable, or processed product thereof during distribution using agent for preventing browning and discoloration
KR930001249A (ko) * 1991-06-28 1993-01-16 한형수 고밀도 Mn-Zn 자성체 제조용 매몰분 제조 방법
JPH06237718A (ja) * 1993-02-12 1994-08-30 Hishiyoushiya:Kk 発芽玄米製造装置及び発芽玄米の製造方法
KR100247686B1 (ko) * 1997-04-08 2000-03-15 장세순 현미를 발아 시키는 방법
KR20010082962A (ko) * 2000-02-22 2001-08-31 변국연 곡물 자동 발아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발아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4067A (en) * 1981-04-20 1982-10-26 K I Kagaku Kk Method for preventing browning and discoloration of fresh vegetable such as lotus root, taro, potato, onion burdock, bean sprout, and bulb of other vegetable, or processed product thereof during distribution using agent for preventing browning and discoloration
KR930001249A (ko) * 1991-06-28 1993-01-16 한형수 고밀도 Mn-Zn 자성체 제조용 매몰분 제조 방법
JPH06237718A (ja) * 1993-02-12 1994-08-30 Hishiyoushiya:Kk 発芽玄米製造装置及び発芽玄米の製造方法
KR100247686B1 (ko) * 1997-04-08 2000-03-15 장세순 현미를 발아 시키는 방법
KR20010082962A (ko) * 2000-02-22 2001-08-31 변국연 곡물 자동 발아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발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388B1 (ko) * 2019-01-02 2019-07-09 신해숙 발아현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아현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101A (ko) 200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608B1 (ko) 토하의 인공종묘 대량생산방법
Lee et al. Seed treatments to advance greenhouse establishment of beet and chard microgreens
KR100975312B1 (ko) 싹기름채소 재배장치, 싹기름채소 재배용 발효수 제조방법
CN104486939A (zh) 糙米芽栽培装置和利用该装置的栽培方法及食物制作方法
CN106717910A (zh) 一种谷芽菜的栽培方法
Thuong et al. Effects of growing substrates and seed density on yield and quality of radish (Raphanus sativus) microgreens
KR20200065908A (ko) 삼싹 대량생산 방법
KR100373768B1 (ko) 고속고효율의 곡물종자발아방법
JP2019162141A (ja) 植物体、植物体の製造方法、抵抗性付与方法、トマト、及びトマトの製造方法
CN108668557A (zh) 一种利用发芽玉米富集叶黄素的方法及其产品和应用
CN107593352A (zh) 一种毛豆小拱棚加地膜育苗移栽方法
CN104996359B (zh) 黑豚幼体的养殖方法
KR20160035736A (ko) 밀식수경재배용 식재베드 및 이를 이용한 밀식수경재배장치
KR20000074828A (ko) 현미를 발아시키는 방법 및 발아 현미제품
KR100299955B1 (ko) 생체활성 현미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679848B1 (ko) 상황버섯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발아장치
CN109526298A (zh) 一种百香果种子处理方法及其播种繁殖方法
CN1859840B (zh) 花生芽的生产方法
KR100355618B1 (ko) 활성탄을 함유한 두채식물 재배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두채식물의 재배방법
JP6862111B2 (ja) 大麦の葉部の食用加工物及び大麦の葉部の水耕栽培方法
RU2140137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росших семян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KR0143442B1 (ko) 키토산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법
Lee et al. Germination is enhanced by removal of the funiculus in the halophyte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KR100679847B1 (ko) 오갈피 추출물이 함유된 발아곡물과 곡물의 발아방법 및발아장치
CN110073965A (zh) 花生芽的生产方法和花生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