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300B1 -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 - Google Patents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300B1
KR100399300B1 KR10-2000-7000890A KR20007000890A KR100399300B1 KR 100399300 B1 KR100399300 B1 KR 100399300B1 KR 20007000890 A KR20007000890 A KR 20007000890A KR 100399300 B1 KR100399300 B1 KR 100399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creen
gear case
lower open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2311A (ko
Inventor
이시가키에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시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시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시가키
Publication of KR20010022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3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1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having means to prevent foreign material from clogging fluid passage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63H11/04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 B63H11/08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of rota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63H11/1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having means for deflecting jet or influencing cross-section thereof
    • B63H11/107Direction control of propulsive fluid
    • B63H11/11Direction control of propulsive fluid with bucket or clamshell-type rever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63H11/1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having means for deflecting jet or influencing cross-section thereof
    • B63H11/107Direction control of propulsive fluid
    • B63H11/113Pivoted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63H11/04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 B63H11/08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of rotary type
    • B63H2011/081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of rotary type with axial flow, i.e. the axis of rotation being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1)에는 케이싱 부재(50), 프레임(10), 모터(11), 기어 케이싱(13), 수직 구동축(12), 수평 종동축(14), 동력전달기구(15), 및 임펠러(5)가 제공된다. 케이싱 부재(50)는 전방 단부 흡수구(3a), 후방 단부 분사구(6a), 흡수구(3a)로부터 경사지게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내부 공간(51), 및 제1 내부 공간(51)의 후방 단부로부터 분사구(6a)까지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 내부 공간(52)을 갖는다. 프레임(10)은 케이싱 부재(5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선체(2)에 장착된다. 프레임(10) 상에는 모터(11)가 장착된다. 기어 케이스(13)는 제2 내부 공간(52)의 전방에 횡방향으로, 그리고 흡수구(3a)의 상부에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된다. 수직 구동축(12)은 모터(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기어 케이스(13) 내에 삽입된다. 수평 종동축(14)은 제2 내부 공간(52)으로부터 횡방향 전방으로 연장되어 기어 케이스(13) 내에 삽입된다. 기어 케이스(13)의 내부에는 동력전달기구(15)가 제공되며, 수직 구동축(12)과 수평 종동축(14)을 서로 연결한다. 제2 내부 공간(52)의 내부에는 임펠러(5)가 배치되며, 수평 종동축(14)에 의해 회전되어 흡수구(3a)로부터 물을 흡입한 뒤 가압하며, 분사구(6a)를 통해 상기 물을 분사시킨다.

Description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 {WATER JET PROPULSION TYPE OUTBOARD MOTOR}
일본특허출원 공개번호 9-309492호에는, 수중으로부터 흡입된 물을 임펠러(impeller)로 가압하여 수면상에 분사함으로써 추진력을 얻는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는, 상기 선외기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이 있어, 선박의 무게중심이 선미(船尾; stern of the ship)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선박은 선수(船首; bow)가 상승되는 상태로 되기 쉽다. 그러므로, 고속 주행시 직진성이 떨어지고 사행(蛇行; meandering)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주행 안정성이 나빠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일본특허출원 공개번호 9-309492호에 개시된 상기 선외기에는, 선미에서 발생하는 수류(水流)가 트랜섬 보드(transom board)와 선외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로 유입되므로 주행 저항이 발생한다. 또한, 수류는 상기 선회기의 하부 측면 상에도 부딪쳐서 저항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저항은 조타성(操舵性)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일본실용신안출원 공개번호 5-65795에는, 흡수구(吸水口)의 전후에 전진 및 후진하는 스크린을 구비하는 분사수 추진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흡수구로 쓰레기 등과 같은 부유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크린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스크린에 의해 포획된 부유물들은 수류에 의해 제거된다.
그러나, 상기 스크린의 폐쇄를 위한 이동 시간이 긴 경우, 부유물이 상기 흡수구로 유입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개방된 후방 스크린의 내측은 주행중에 수류를 받기 쉬우므로, 부유물이 부착되기 쉽다. 상기 후방 스크린의 내측에 부유물이 부착된 채로 폐쇄되는 경우, 상기 부유물은 흡수구를 통해 유입된다. 또한, 폐쇄를 위한 전방 스크린의 이동은 자신과 후방 스크린 사이에 부유물을 밀어넣기 쉽다. 따라서, 상기 선박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 상기 스크린에 부착되어 있는 부유물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噴射水 推進式 船外機; water jet propulsion type outboard motor)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외기가 장착된 선박의 개략측면도.
도 2는 도 1의 선외기의 일부를 종단면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선외기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선외기의 동력전달기구를 종단면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선외기의 임펠러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외기의 일부를 종단면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주요 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외기의 종단면을 도시하는 측면도.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종래 기술에 대한 단점의 관점에서 보게되는 것이며, 따라서 그 목적은 직진 주행성이 뛰어난 소형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박이 주행중일 때에도 상기 스크린에 부착된 부유물이 제거될 수 있는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는 전단 하부 개구부, 후단 횡방향 개구부, 상기 하부 개구부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횡방향 개구부까지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싱 부재; 상방으로 연장되어 선체에 장착되는 프레임―상기 프레임 상에는 모터가 장착됨―; 제2 내부 공간의 횡방향 전방 및 상기 하부 개구부 위에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기어 케이스(gear case); 상기 제2 내부 공간으로부터 횡방향 및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어 케이스 내에 삽입되는 종동(從動) 횡축(following transverse shaft); 상기 기어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구동 종축 및 종동 횡축을 연결하는 동력전달기구(power transmission mechanism); 상기 종동 횡축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하부 개구부로부터 물을 흡입하고 가압하여 상기 횡방향 개구부를 통해 분사하는 임펠러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모터로부터 연장되는 구동 종축 및 상기 임펠러 회전용 종동 횡축이 상기 기어 케이스 내의 동력전달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기어 케이스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횡방향 전방 및 상기 하부 개구부 위에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종동 횡축은 단축될 수 있고, 선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선외기의 돌출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의 무게중심이 선미로 이동되고 선수가 상승되는 상태가 되기 어려워지며, 이로 인해 주행시 직진성 및 고속 활주시 주행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기어 케이스에 고정되는 상기 구동 종축을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 상기 구동 종축의 하부 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베벨기어, 상기 기어 케이스에 고정되는 횡방향 종동축의 전방 단부를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횡방향 베어링, 및 상기 횡방향 종동축에 고정되는 상부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횡방향 베벨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횡방향 종동축의 전방 단부는 상기 횡방향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횡방향 종동축의 지지 강도가 증가되어 상기 횡방향 종동축에서 흔들림(wobbling)이 발생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선외기이며, 상기 하부 개구부의 전방 단부에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상기 하부 개구부를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하부 개구부로부터 하방으로 이동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폐쇄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한 바이어스 부재, 상기 케이싱 부재에 전후 방향 회전식으로 지지되는 조작 샤프트(operating shaft), 상기 스크린과 함께 이동되는 제1 결합부(engaging portion), 및 상기 조작 샤프트와 함께 이동되는 제2 결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조작 샤프트가 전방의 제1 위치로부터 후방의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와 맞물려 상기 스크린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조작 샤프트가 제2 위치를 넘어가는 경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해제되므로 상기 스크린은 바이어스 부재에 의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상기 조작 샤프트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의 제2 결합부의 이동 영역이 상기 스크린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의 제1 결합부의 이동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박이 쓰레기 등과 같은 부유물이 많은 장소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에 부유물이 부착될 가능성이 증대된다. 이 때문에, 상기 조작 샤프트는상기 제1 위치로부터 주행 후방 방향으로 적절히 경사지게 이동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은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바이어스 부재의 편향력(biasing force)에 대항하여 개방되도록 이동되어 상기 하부 개구부가 개방된다. 이 때, 상기 스크린은 자신의 후방으로부터 개방된다. 상기 조작 샤프트가 상기 제2 위치를 넘어가는 경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바이어스 부재의 편향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폐쇄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조작 샤프트가 주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고 난 후, 상기 조작 샤프트가 재차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스크린은 상기 하부 개구부를 개방한다. 그러므로, 상기 스크린은 상기 하부 개구부를 천천히 개방한 후, 재빨리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성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이 개방되기 위해 천천히 이동하는 동안, 상기 스크린에 부착되어 있는 부유물은 수류에 의해 완전히 씻겨나가게 되고 상기 스크린은 세정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재빨리 복귀하므로, 상기 스크린이 폐쇄 이동되는 동안 상기 하부 개구부로 부유물이 유입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스크린의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재빨리 복귀하는 성향으로 인해 상기 스크린에 부착된 부유물을 털어내는 효과가 증대되어, 상기 스크린의 세정이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개폐 조작을 여러 번 반복함으로써 상기 스크린의 세정 효과는 한층 향상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작은 부유물은 넓은 임펠러를 통과하여 가압된 물과 함께 배출된다.
상기 조작 샤프트에 케이블(cable)을 연결하고, 상기 케이블을 운전석까지 연장시켜서 운전석으로부터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조작 샤프트를 조작할 수 있는 구조가 성취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스크린의 개폐 조작은 상기 운전석으로부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상기 제1 양태 및 제2 양태에 따른 선외기이며, 상기 임펠러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주위 표면에 근접한 외측 외주 에지부(outer peripheral edge portion), 및 제1 내부 공간 쪽으로 연장되는 외측 선단부(outer distal end portion)를 갖는 스파이럴 블레이드(spiral blade)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스파이럴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내부 공간 쪽으로 연장되는 외측 외주 선단부를 가지므로, 상기 임펠러의 흡입부가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부유물은 상기 임펠러에 부착되기 어려우며, 상기 횡방향 개구부를 통해 가압된 물과 함께 용이하게 배출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따른 선외기이며, 선체에 프레임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선체의 트랜섬 보드의 하부 단부와 밀착되는 전방 접촉벽, 및 상기 전방 접촉벽의 하부 단부와 상기 하부 개구부의 전방 외주 에지 사이에 형성되는 연속면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전방 접촉벽의 외면에는 상기 트랜섬 보드와 접촉하는 밀착판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주행시 상기 선미에서 발생하는 수류는 상기 선체의 트랜섬 보드와 선외기 사이에 유입되지 못하므로, 별도의 주행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생하는 수류가 상기 선외기의 외주에 부딪히기 어려우므로, 이렇게 부딪혀서 발생되는 와류의 발생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선박 바닥의 하부에 난류가 발생하지 않고, 주행시 직진성이 향상되며, 상기 선박의 조종 조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바닥에서 수류가 상기 하부 개구부 아래로 원활하게 유동되므로, 상기 하부 개구부로의 물 흡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하부 개구부는 상기 선체에 프레임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선체의 후방 바닥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하부 개구부 아래의 상기 선박의 바닥에서의 수류가 보다 원활해지므로, 직진성 및 상기 하부 개구부로의 물 흡입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따른 선외기이며, 상기 하부 개구부의 외주 에지에는 플랜지 형상을 갖는 정류판(整流板; rectifying plate)가 제공되고, 상기 정류판은 상기 선박의 후방 바닥면으로부터 이동하여 올라오는 수류를 억누른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정류판에 의해, 주행시에 수류가 상기 선외기의 하부 측면에 부딪히지 않게 되며, 상기 하부 개구부 아래의 수류는 더욱 정류화된다(rectified). 따라서, 직진성 및 상기 하부 개구부로의 물 흡입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정류판은 상기 선외기가 선체에 장착되어 물에 잠길 때 상기하부 개구부를 수면에 밀착시키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따른 선외기이며, 상기 프레임은, 암나사 구멍을 가지며 선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클램프, 및 나사결합 방식으로 상기 암나사 구멍과 맞물리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식으로 결합되는 잭 볼트(jack bolt)에 의해 상기 선체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선외기의 수직 위치는 상기 선체의 자세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즉, 주행시에 상기 선박 바닥에서의 수류가 원활하게 유동되어, 상기 선외기는 물이 효율적으로 흡입될 수 있는 위치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의 수류 저항의 발생 및 캐비테이션(cavitation)의 발생이 방지되므로 상기 선박이 효율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용어 "전방"은 선박이 주행하는 쪽 방향을 의미하고, 용어 "후방"은 상기 선박이 주행하는 방향의 뒤쪽 방향을 의미한다.
제1 실시예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1)는 선박(2)의 선미에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외기(1)는 케이싱 부재(50), 모터(11), 기어 케이스(13), 수직 구동축(구동 종축; 12), 수평 종동축(종동 횡축; 14), 동력전달기구(15), 및 임펠러(5)를 포함한다.
케이싱 부재(50)는 흡입 케이싱(3), 펌프 케이싱(4), 및 토출 케이싱(6)으로 구성된다. 흡입 케이싱(3)의 일단부에는 흡수구(하부 개구부; 3a)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펌프 케이싱(4)이 일체형으로 제공된다. 펌프 케이싱(4) 내에는 흡수구(3a)로부터 상부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내부 공간(51)이 형성된다. 토출 케이싱(6)의 일단부는 펌프 케이싱(4)과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분사구(jetting outlet; 6a)가 형성된다. 케이싱(4, 6) 모두의 내부에는 제1 내부 공간(51)으로부터 분사구(6a)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 내부 공간(52)이 형성된다. 펌프 케이싱(4) 내부에는 임펠러(5)가 제공된다.
흡입 케이싱(3) 아래의 물은 흡수구(3a)로부터 흡입되어 제1 내부 공간(51)을 통과하고, 펌프 케이싱(4) 내에서 임펠러(5)에 의해 가압된 후 토출 케이싱(6)의 분사구(6a)를 통해 분사된다. 선체(2)는 상기 가압된 물의 분사에 의해 추진된다.
제2 내부 공간(52) 내에 있는 임펠러(5)의 후방에는 임펠러(5)에 의해 가압된 선회류(spiral flow)를 직선류(linear flow)로 정류하기 위한 안내 블레이드(7)가 제공된다. 분사구(6a)의 외측에는 주행 방향 전환용 디플렉터(deflector; 8)가 설치되고, 디플렉터(8)의 외측에는 후진용 리버서(reverser; 9)가 설치된다. 흡입 케이싱(3)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자 형상의 프레임(10)이 제공된다. 프레임(10)의 상부 단부 상에는 모터(11)가 장착된다. 프레임(10)의 전방 단부 및 상부 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고정 부재에 의해 선체의 선미에 고정된다.
흡입 케이싱(3)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개구되는 상자 형상의 받침부(pedestal portion; 54)가 제공된다. 받침부(54) 외주벽은 흡수구(3a)의 외주 에지를 감싼다. 받침부(54)의 전방벽(전방 접촉벽; 54a)은 프레임(10)이 선체(2)에 고정된 상태에서 선체(2)의 트랜섬 보드(31)의 하부와 밀착되게 면접촉하고, 전방벽(54a)의 하부 단부는 선체(2)의 후방 바닥면(2a)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도달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받침부(54)의 외주벽과 흡수구(3a)의 외주 에지 사이에는 플랜지 형상의 정류판(37)이 고정된다. 흡수구(3a)는 선체(2)의 후방 바닥면(2a)과 대체로 동일한 면에 위치되고, 정류판(37)의 전방부 외부면은 전방 벽(54a)의 하부 단부와 흡수구(3a)의 전방 외주 에지 사이에 연속면을 형성한다.
기어 케이스(13)는 펌프 케이싱(4)의 횡방향 전방 및 흡수구(3a)의 대체로 바로 상부에 배치된다. 기어 케이스(13)는 흡입 케이싱(3)에 고정된다. 수직 구동축(12)은 대체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기어 케이스(13) 내에 삽입된다. 수평 종동축(14)은 펌프 케이싱(4)의 내부로부터 대체로 수평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흡입 케이싱(3)의 경사진 어깨부(shoulder portion)로부터 돌출되어 기어 케이스(13) 내에 삽입된다. 임펠러(5)는 수평 종동축(14)의 후방 단부에 동축상으로 고정된다. 기어 케이스(13)의 내부에는 수직 구동축(12) 및 수평 종동축(14)이 동력전달기구(15)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터(11)의 구동력은 수직 구동축(12), 동력전달기구(15), 및 수평 종동축(14)을 거쳐 임펠러(5)에 입력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어 케이스(13)는 수평 종동축(14)이 돌출하는 흡입 케이싱(3)의 외주 측벽에 고정된다. 동력전달기구(15)는 상부 베어링(16), 상부 베벨기어(17), 횡방향 베어링(18), 및 횡방향 베벨기어(19)로 구성된다. 상부 베어링(16)은 기어 케이스(13) 내부의 상부에 고정되고, 수직 구동축(12)의 하부는 상부 베어링(16)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상부 베벨기어(17)는 수직 구동축(12)의 하부 단부 상에 끼워져 고정된다. 횡방향 베어링(18)은 기어 케이스(13)의 전방부에 고정되고, 수평 종동축(14)의 전방 단부는 횡방향 베어링(18)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횡방향 베벨기어(19)는 수평 종동축(14)의 전방 단부 근처 부분 상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부 베벨기어(17)는 횡방향 베벨기어(19)와 맞물린다. 또한, 기어 케이스(13)의 최상부 및 후방부에는 각각 상부 보조베어링(55) 및 횡방향 보조베어링(56)이 제공된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임펠러(5)는 수평 종동축(14)의 후방 단부에 동축상으로 고정되는 허브(58) 및 허브(58)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스파이럴 블레이드(59)를 갖는다. 블레이드(59)의 기단부(proximal end portion)는 외주 방향을 따라 서로 위상이 바뀌어(phase-shifted) 허브(58) 상에 장착된다. 블레이드(59)의 외측 외주 에지부(59a)는 임펠러(5)의 용적 효율 및 균형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펌프 케이싱(4)의 내측 외주면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블레이드(59)의 전방(물의 유입 측)의 외측 외주 선단부(59b)는 흡입 케이싱(3)의 방향(전방)으로 연장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넓은 흡수구가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11)로부터 연장되는 수직 구동축(12) 및 임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평 종동축(14)은 기어 케이스(13)의 동력전달기구(15)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기어 케이스(13)는 제2 내부 공간의 전방 및 흡수구(3a)의 대체로 바로 상부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수평 종동축(14)이 단축될 수 있고, 선체(2) 후방의 선외기의 돌출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박은 무게중심이 선미로 이동되어 선수가 상승되는 상황에 놓이기 어렵다. 그러므로, 선체의 주행시 직진성 및 고속 활주시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다.
수평 종동축(14)의 전방 단부는 횡방향 베어링(18)에 의해 지지되므로 수평 종동축(14)의 지지 강도가 증가되어 수평 종동축(14)의 흔들림이 발생되기 어렵다.
받침부(54)의 전방벽(54a)이 선체(2)의 트랜섬 보드(31)의 하부와 밀착되므로 주행시 선미에서 발생하는 수류는 선체(2)의 트랜섬 보드(31)와 선외기(1) 사이로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나친 주행 저항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발생된 수류가 선외기(1)의 외주 부분 상에 부딪히기 어렵고, 이로 인한 와류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흡수구(3a)는 선체(2)의 후방 바닥면(2a)과 거의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고, 전방벽(54a)의 하부 단부와 흡수구(3a)의 전방 외주 에지 사이에는 정류판(37)의 전방부 외측면에 의해 연속면이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하부 개구부 아래의 상기 선박 하부에서의 수류는 보다 원활하게 유동된다. 또한, 정류판(37)에 의해, 주행시의 수류가 선외기(1)의 하부 측면 상에 부딪히기 어렵고, 흡수구(3a) 아래의 수류는 더욱 정류화된다.
따라서, 주행시에 상기 선박의 하부에서 난류의 발생이 방지되고, 주행시 직진성이 향상되므로, 상기 선박의 조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흡수구(3a) 아래 상기 선박의 하부에서 수류가 원활하게 유동되므로, 흡수구(3a)로의 흡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정류판(37)은 상기 선외기(1)가 선체에 장착되어 물에 잠길 때 흡수구(3a)를 수면에 밀착시키는데 유용하다.
또한, 스파이럴 블레이드(59)는 제1 내부 공간(51) 쪽으로 연장되는 외측 외주 선단부(59b)를 가지므로, 임펠러(5)의 흡입부가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수구(3a)를 통해 유입된 부유물은 임펠러(5)에 부착되기 어려우며, 상기 부유물은 가압된 물과 함께 분사구(6a)를 통해 배출된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착되며, 그에 대한 설명은생략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선외기(70)에서는, 흡수구(3a)로의 부유물 유입 방지용 스크린(21)이 제공된다. 스크린(21)은 흡수구(3a)가 폐쇄되는 위치(폐쇄 위치)로부터 개방되는 위치(개방 위치)까지 이동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부(54; 도 2 참조)가 제공되지 않으나, 프레임(60)의 외주벽(단지 전방벽(61) 및 후방벽(62)만 도시됨)의 하부 단부가 흡수구(3a)와 거의 동일한 위치까지 연장된다. 프레임(60) 전방벽(61)의 하부(전방 접촉벽)는 트랜섬 보드(31)와 밀착되게 접촉된다.
도 6 및 도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흡입 케이싱(3)의 흡수구(3a)에는 스크린(21)이 제공된다. 전방벽(61)의 하부에는 지지판(supporting plate; 24)이 고정되고, 지지판(24)에는 회전축(22)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스크린(21)의 전방 에지부 및 조작 샤프트(23)의 기부(基部; proximal portion)는 회전축(22)의 외측 외주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 샤프트가 전후방으로 요동되는 경우, 흡입 케이싱(2)의 흡수구(3a)는 개폐된다. 조작 샤프트(23)와 지지판(35) 사이에는 스프링(바이어스 부재; 25)이 제공된다. 조작 샤프트(23)는 항상 선체 쪽으로 당겨져서 스크린(21)이 흡수구(3a)를 덮는 폐쇄 위치로 편향되도록 한다.
회전축(27)은 흡입 케이싱(3)의 하부 단부 외측벽에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조작 샤프트(26)의 기부는 회전축(27)의 외주에 고정되며, 선체(2)의 전후 방향으로 요동가능하다. 조작 샤프트(26)의 중간부에는 L자 형상의 훅(hook; 28)의 중앙부가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훅(28)의 전방 단부(28a)와 조작 샤프트(26) 사이에는보조스프링(29)이 제공된다. 훅(28)은 조작 샤프트(26)에 대하여 거의 일정한 교차각도로 유지되도록 스프링(29)에 의해 편향된다. 조작 샤프트(26)의 상부에는 푸시-풀 케이블(push-pull cable; 38)이 연결되고, 상기 푸시-풀 케이블(38)은 운전석까지 연장된다.
조작 샤프트(23)의 상부 단부에는 조작 샤프트(23)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30; 제1 결합부)가 제공된다. 조작 샤프트(26)의 요동에 따른 후방 단부면(28b; 제2 결합부)의 이동 영역 및 조작 샤프트(23)의 요동에 따른 돌기(30)의 이동 영역은, 스크린(21)이 상기 폐쇄 위치에 놓일 때 서로 충분히 중첩되며, 상기 중첩부는 서서히 감소된다. 스크린(21)이 충분히 개방되는 개방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돌기(30)는 훅(28)의 후방 단부면(28)의 이동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완전히 해제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작 샤프트(26)가 제1 위치(도 7에 실선으로 도시됨)로부터 주행 방향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이동하는 경우, 돌기(30)는 훅(28)의 후방 단부면(28b)과 맞닿아 눌려지고, 조작 샤프트(23)는 경사지게 이동되며, 스프링(25)의 탄력에 의해 스크린(21)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조작 샤프트(26)의 후방으로 경사지는 이동이 진행되는 경우, 조작 샤프트(26)는 제2 위치(도 7에서 이점 쇄선으로 도시됨)를 지나쳐 이동되고, 돌기(30)는 훅(28)의 상기 이동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와 훅(28)의 후방 단부면(28b)과 돌기(30) 사이의 맞닿는 상태가 해제된다. 동시에, 돌기(30)는 훅(28)의 하부 쪽으로 들어가고, 조작 샤프트(23)는 스프링(25)에 의해 순간적으로 선미 쪽으로 복귀된다. 그 후, 조작 샤프트(26)는 전방의 제1 위치로 재차 잡아당겨지고, 훅(28)의 후방 단면(28b) 쪽 부분은 돌기(30)의 위에 올라타며, 훅(28)은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조작 샤프트(23)를 전후 방향으로 여러 번 요동시킴으로써, 스크린(21)은 흡수구(3a)를 간헐적으로 개폐한다. 스크린(21)의 개폐 속도에 있어서, 개방 속도는 느린 반면에 폐쇄 속도는 빠르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물이 많은 장소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조작 샤프트(26)가 후방으로 적절히 경사지게 이동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크린(21)은 흡수구(3a)가 개방된 후 폐쇄된다. 이 때, 스크린(21)은 흡수구(3a)가 천천히 개방된 후 신속히 폐쇄위치로 이동되는 성향을 갖는다. 따라서, 스크린(21)이 천천히 개방되는 동안, 스크린(21)에 부착된 쓰레기 등과 같은 부유물은 수류에 의해 확실히 밀려 유출되어 스크린(21)이 세정된다. 또한, 스크린(21)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복귀하므로, 스크린(21)이 개방 이동되는 동안 부유물이 흡수구(3a)로 유입되기 어렵다. 또한, 스크린(21)의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재빠른 복귀 성향으로 인해, 스크린(21)에 부착된 부유물을 털어내는 효과가 향상되므로 스크린(21)의 세정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여러 번 개폐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스크린(21)의 세정 효과는 한층 더 향상된다.
또한, 조작 샤프트(26)에 푸시-풀 케이블(38)이 연결되고 푸시-풀 케이블(38)은 선체(2)의 운전석까지 연장되므로, 스크린(21)의 개폐를 용이하게 조작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착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선외기(71)는 선체(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장착된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60)의 전방벽(61)에는 하부 부분(61a), 하부 부분(61a)으로부터 후방으로 위치되는 상부 부분(61c), 및 상부 부분(61a)과 상부 부분(61c) 사이에 굴곡되어 형성되는 대체로 수평인 계단부(61b)가 제공된다. 전방벽(61) 하부 부분(61a)의 외측면 상에는 고무로 만들어진 밀착판(36)이 부착된다. 밀착판(36)은 선체(2)의 트랜섬 보드(31)의 외측면과 밀착되게 면접촉한다.
트랜섬 보드(31)의 상부 단부에는 클램프(32)가 장착 나사(33)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선미 쪽으로 연장되는 클램프(32) 부분에는 암나사 구멍(32a)이 형성되고, 나사결합 방식으로 암나사 구멍(32a)과 맞물리는 잭 볼트(34)는 하방으로 연장된다. 잭 볼트(34)의 하부 단부는 프레임(60) 전방벽(61)의 계단부(61b) 상에 고정되는 베어링(63)과 결합된다. 잭 볼트(34)의 상부 단부는 핸들(35)에 고정된다. 잭 볼트(34)는 핸들(53)을 회전시킴으로써 전체가 상하로 이동되어 매달린 선외기(71)가 선체(2)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선외기(71)의 수직 위치는 선체(2)의 자세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즉, 선외기(71)는 상기 선박의 바닥에서 수류가 원활하게 유동하고 물이 효율적으로 흡입되는 위치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에서의 수류 저항의 발생 또는 캐비테이션의 발생이 방지되므로, 상기 선박은 효율적으로주행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스파이럴 블레이드(59)를 구비하는 임펠러(5)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크루 프로펠러(screw propeller)가 대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동 횡축이 단축될 수 있으며, 선체 후방의 선외기의 돌출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박의 무게중심이 선미 쪽으로 이동되고 선수가 상승되는 상황에 놓이기 어려우며, 주행시 직진성 및 고속 활주시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에 유용하다.

Claims (9)

  1. 전방 단부 하부 개구부, 후방 단부 횡방향 개구부, 상기 하부 개구부로부터 경사지게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후방 단부로부터 상기 횡방향 개구부까지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싱 부재(casing member);
    상기 케이싱 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여 선체에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모터;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전방에 횡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하부 개구부의 상부에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기어 케이스(gear case);
    상기 모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어 케이스 내에 삽입되는 구동 종축(driving vertical shaft);
    상기 제2 내부 공간으로부터 횡방향 및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어 케이스 내에 삽입되는 종동 횡축(following transverse shaft);
    상기 기어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종축과 종동 횡축을 결합시키는 동력전달기구(power transmission mechanism);
    상기 제2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종동 횡축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하부 개구부로부터 물을 흡입하고 가압하여 상기 횡방향 개구부를 통해 분사시키는 임펠러;
    상기 하부 개구부의 전방 에지에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상기 하부 개구부를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하부 개구부로부터 하방으로 이동된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상기 폐쇄 위치 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바이어스 부재(biasing member);
    상기 케이싱 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샤프트(operating shaft);
    상기 스크린과 함께 이동하는 제1 결합부(engaging portion); 및
    상기 조작 샤프트와 함께 이동하는 제2 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 샤프트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맞물려 상기 스크린을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조작 샤프트가 상기 제2 위치를 넘어가는 경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스크린이 상기 바이어스 부재에 의해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복귀되는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噴射水 推進式 船外機; water jet propulsion type outboard moto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가 상기 기어 케이스에 고정되는 상기 구동 종축을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 상기 구동 종축의 하부 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베벨기어, 상기 기어 케이스에 고정되는 횡방향 종동축의 전방 단부를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횡방향 베어링, 및 상기 횡방향 종동축에 고정되는 상부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횡방향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샤프트가 상기 선체의 운전석으로부터 조작되는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가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외측 외주 에지부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 쪽으로 연장되는 외측 선단부를 갖는 스파이럴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선체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선체의 트랜섬 보드(transom board)의 하부 단부와 밀착되는 전방 접촉벽; 및
    상기 전방 접촉벽의 하부 단부와 상기 하부 개구부의 전방 외주 에지 사이에 형성되는 연속면
    을 추가로 포함하는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개구부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선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선체의 후방 바닥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
  8. 제1항에 있어서,
    플랜지 형상을 갖는 정류판(rectifying plate)
    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정류판은 상기 하부 개구부의 외주에 배열되며, 상기 선체의 후방 바닥으로부터 나오는 수류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누르는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
  9. 제1항에 있어서,
    암나사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선체에 고정되는 클램프, 및 나사결합 방식으로 상기 암나사 구멍과 맞물리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식으로 결합되는 잭 볼트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상기 선체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되도록 장착되는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
KR10-2000-7000890A 1998-05-28 1998-10-01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 KR100399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644598 1998-05-28
JP98-146445 1998-05-28
JP98-185505 1998-07-01
JP18550598 1998-07-01
JP18550498 1998-07-01
JP98-185504 1998-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311A KR20010022311A (ko) 2001-03-15
KR100399300B1 true KR100399300B1 (ko) 2003-10-10

Family

ID=2731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890A KR100399300B1 (ko) 1998-05-28 1998-10-01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83805B1 (ko)
EP (1) EP1000853A4 (ko)
JP (1) JP3385036B2 (ko)
KR (1) KR100399300B1 (ko)
AU (1) AU746253B2 (ko)
CA (1) CA2295806C (ko)
TW (1) TW572842B (ko)
WO (1) WO19990613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979A (ko) 2022-01-17 2023-07-25 (주)한국알앤드디 보조 프로펠러가 구비된 선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1114B2 (ja) * 2001-02-21 2007-03-14 株式会社石垣 ウオータージェット推進式船外機
US6776674B2 (en) * 2001-08-11 2004-08-17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Axial-flow outboard jet propulsion unit
JP3730163B2 (ja) * 2001-11-29 2005-12-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滑走艇の検査装置
CN2578229Y (zh) * 2002-08-30 2003-10-08 侯洁 设置有水喷式动力装置的艇
US20050159054A1 (en) * 2002-09-16 2005-07-21 Doen Marine Pty Ltd Marine jet propulsion arrangement
AU2002951410A0 (en) * 2002-09-16 2002-09-26 Doen Marine Pty Ltd marine jet propulsion arrangement
US6991499B2 (en) * 2003-09-16 2006-01-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Waterjet propulsion apparatus
US7056168B2 (en) * 2003-09-23 2006-06-06 Roos Paul W Outboard waterjet
US7552551B2 (en) * 2005-12-12 2009-06-30 Kohutko Richard J Suction head for sediment dredge
CN104044722B (zh) * 2014-07-04 2016-03-30 苏州百胜动力机器股份有限公司 舷外机涡流推进器
US10618619B2 (en) * 2016-08-19 2020-04-14 Waimed Enterprises, LLC Closed tunnel system and directional device for outboard jet motors
US11649027B2 (en) * 2016-08-19 2023-05-16 Waimed Enterprises, LLC Acceptor device for outboard jet motors
US10919608B1 (en) 2018-06-29 2021-02-16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Jet propulsion system for a watercraft
US11097821B1 (en) 2019-01-09 2021-08-24 James F. Schultz Debris protective fitting for a jet intake of an outboard jet motor
US11046406B1 (en) 2019-01-30 2021-06-29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Watercraft and venturi unit
TWI700215B (zh) * 2019-04-18 2020-08-01 般若科技股份有限公司 船用推進器
KR102500099B1 (ko) * 2022-06-30 2023-02-16 (주)한국알앤드디 로우워 유닛 회동식 선외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1994A (en) * 1976-05-21 1977-11-26 Yamaha Motor Co Ltd Water jet propul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1799A (en) * 1949-07-01 1953-03-17 Francis A Poulin Adjustable mount for outboard motors
US2928631A (en) * 1957-07-22 1960-03-15 Cletus G Hartman Supporting assembly for outboard motors
US3082732A (en) * 1960-12-29 1963-03-26 Richard C Stallman Water jet motor for boats
US3253567A (en) * 1963-09-04 1966-05-31 Jr Roy A Patton Mechanism for use in conjunction with the intake opening of a water jet propelled vehicle
US3249083A (en) * 1963-12-16 1966-05-03 Outboard Marine Corp Marine jet propulsion
US3207116A (en) * 1964-03-30 1965-09-21 France Arnold Attachment of jet propulsion units to water-borne craft and means for steering the unit
DE1225984B (de) * 1964-05-14 1966-09-29 Willy Rabald Reinigungsvorrichtung fuer ein am Boden eines Wasserfahrzeuges mit Wasserstrahl-Rueckstossantrieb angeordnetes Schutzgitter
US3343368A (en) * 1965-12-27 1967-09-26 Castoldi Luigi Grid for a water intake opening, especially the water intake opening of a water jet propelled boat
US3727574A (en) * 1971-08-30 1973-04-17 Volvo Penta Ab Outboard drive for a boat
US3807344A (en) * 1972-05-15 1974-04-30 Sira Outboard motor having a water jet impellor unit
US4055140A (en) * 1976-01-15 1977-10-25 Kirchhan James J Jet drive boat cover
US4459117A (en) * 1977-04-25 1984-07-10 Jordan Robert L Liquid jet propulsion
FR2416162A1 (fr) * 1978-02-01 1979-08-31 Mouraret Michel Propulseur a jet d'eau pour embarcation
US4437841A (en) * 1981-11-04 1984-03-20 Stallman Richard C Outboard jet drive steering mechanism
US4850909A (en) * 1987-09-24 1989-07-25 Hampton Douglas R Outboard jet foot protector
JP2698091B2 (ja) * 1988-03-17 1998-01-19 三信工業株式会社 ウォータジェット推進船
NO166629C (no) * 1988-04-29 1994-02-04 Ulstein Propeller Anordning ved asimut-propelldrivinnretninger for skip
JPH0565795A (ja) 1991-09-06 1993-03-19 Penta Ocean Constr Co Ltd シールドトンネル掘削機の掘進制御方法
JPH079758Y2 (ja) 1992-02-19 1995-03-08 森田ポンプ株式会社 ウォータージェット推進機における吸水口のゴミ除去装置
JPH0789489A (ja) 1993-09-22 1995-04-04 Sanshin Ind Co Ltd 水噴射推進装置
US5989083A (en) * 1995-04-28 1999-11-23 Ishigaki Company Limited Water jet propulsion device for vessels
JPH09309492A (ja) 1996-05-22 1997-12-02 Fumio Nagata ウォータージェット船外機
US5752863A (en) * 1996-10-10 1998-05-19 Baker; Jeffrey Lowell Outboard motor with improved jet propulsion unit
US5791954A (en) * 1997-06-24 1998-08-11 Johnson, Jr.; Nils V. Vertically adjustable stern mounted marine drive
US5964627A (en) * 1998-07-08 1999-10-12 Detwiler Industries Incorporated Variable height outboard motor mount
US6083063A (en) * 2000-01-13 2000-07-04 Outbound Marine Corporation Pump jet apparatus with articulating weed grate clean-ou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1994A (en) * 1976-05-21 1977-11-26 Yamaha Motor Co Ltd Water jet propuls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979A (ko) 2022-01-17 2023-07-25 (주)한국알앤드디 보조 프로펠러가 구비된 선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311A (ko) 2001-03-15
TW572842B (en) 2004-01-21
WO1999061312A1 (en) 1999-12-02
CA2295806C (en) 2003-11-25
US6283805B1 (en) 2001-09-04
EP1000853A4 (en) 2003-01-02
JP3385036B2 (ja) 2003-03-10
CA2295806A1 (en) 1999-12-02
AU746253B2 (en) 2002-04-18
AU9281598A (en) 1999-12-13
EP1000853A1 (en) 2000-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9300B1 (ko)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
RU2673932C1 (ru) Морская пропульсивная установка
KR100469025B1 (ko) 선외기
JP3334034B2 (ja) 船舶のウォータージェット推進装置
US3064616A (en) Propulsion of outboard engine driven boats or other marine craft
US5700169A (en) Inlet adapter for a personal watercraft
KR20020087106A (ko) 워터 제트 추진식 선외기
JP3767726B2 (ja) 潜水艇
JP4054946B2 (ja) 船舶の船内外機並びに船舶
KR100781348B1 (ko) 수중 추진장치
JPH10167184A (ja) 船舶のウォータージェット推進装置
JP3090303U (ja) 動力舟艇用の推進設備
JP3902424B2 (ja) ウオータージェット推進式船外機
US8961248B2 (en) System for reversing a high mass/low-pressure liquid propulsion device
US20030199212A1 (en) Power boat propulsion system
JPS58139895A (ja) 水ジエツト推進船
JPH04159193A (ja) 水ジェット推進艇の推進装置の構造
JP2000128084A (ja) ウオータージェット推進式船外機
JPH0310155Y2 (ko)
JPH11286297A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船外機におけるジェット水の吸込 口部分のカバー装置
JP2635525B2 (ja) ウオータジェット推進機の後進装置
JPH11286296A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推進船における吸込塵芥の破砕装 置
JP2000168686A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推進式船外機
JPH08175494A (ja) ウオータジェット推進機の後進装置
JPH092388A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推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