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032B1 - 소형프린터 - Google Patents

소형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032B1
KR100398032B1 KR1019960054674A KR19960054674A KR100398032B1 KR 100398032 B1 KR100398032 B1 KR 100398032B1 KR 1019960054674 A KR1019960054674 A KR 1019960054674A KR 19960054674 A KR19960054674 A KR 19960054674A KR 100398032 B1 KR100398032 B1 KR 100398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int data
drive
logic circui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958A (ko
Inventor
신지 누레키
시게오 이즈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7298340A external-priority patent/JP3081986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2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 B41J2/3551Block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 B41J2/3555Historic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8Preheating, i.e. heating to a temperature insufficient to caus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감열식 프린터의 동적 분할 구동이 간략화되어 신호라인의 수를 감소하며, 이력 제어 구동(history control drive)이 효율적으로 되어 데이터의 전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킨다. 상기 감열식 프린터는 프린팅을 위해 블럭으로 분할되며, 한 라인에 배열된 복수의 히팅 어레이, 다른 블럭에서 분리적으로 상기 히팅 어레이의 블럭을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유니트 및 상기 구동유니트를 제어하는 논리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논리회로는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블럭선택 데이터(BDAT)에 따라 연산되는 하나의 구동 유니트 또는 둘 이상의 구동 유니트를 지정하는 블럭 지정수단을 구비한다. 단지 지정된 구동 유니트 만이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단일의 스트로브 신호(DST)에 따라 연산된다. 또한 상기 논리회로는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프린트 데이터(HDAT)에 의거하여 내부적으로 이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데이터 연산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논리회로는 상기 각각의 히팅 어레이의 이력 제어 구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력 데이터 및 프린트 데이터(HDAT)를 상기 각각의 구동 유니트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전달제어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소형 프린터{small printer}
본 발명은 서멀헤드(thermal head)를 장착하고 있는 소형의 시리얼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라인에 배열된 히팅 어레이를 구동하는 구동회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형의 감열식 프린터는 예를 들면 POS 금전 등록기 또는 팩시밀리의 프린팅 메카니즘의 출력단자에 적용할 수 있다.
종래의 감열식 프린터의 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 간단히 나타낸다. 상기 히팅 어레이(101)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된다. 구동 유니트(102)는 각각의 블럭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구동 유니트(102)는 예를 들면 원칩(one-chip) 드라이버 IC를 구비한다. 각각의 구동 유니트(102)는 입력단자(SI, CK, DST, LSTX 및 DSTX) 그리고 출력단자(SO)를 구비한다. 프린트 데이터(HDAT)는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입력단자(SI)로 입력된다. 상기 프린트 데이터(HDAT)는 상기 히팅 어레이(101)에 포함되는 도트사이에서 통전되는 도트를 지정한다. 클럭신호(HCLK)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단자(CK)로 입력되며, 상기 구동 유니트(102)는 상기 클럭신호(HCLK)와 동기적으로 내부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시리얼 프린트 데이터(HDAT)를 순차적으로 기억한다.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입력단자(DST)로 스트로브 신호(DST)가 입력된다. 구동유니트(102)는 상기 스트로브신호(DST)에 따라서 그리고 상기 프린트 데이터(HDAT)에 의거 상기 히티 어레이(101)를 구동한다. 래치신호(LATCH)는 상기 입력단자(LSTX)로 입력되며, 상기 구동 유니트(102)는 상기 래치 신호(LATCH)에 응답하여 내부의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래치 레지스터로 프린트 데이터(HDAT)를 전달한다. 구동 유니트(102)는 상기 래치 레지스터에 래치된 프린트 데이터(HDAT)에 의거 상기 히팅 어레이(101)를구동한다. 입력단자(DSTX)는 접지되며, 출력단자(SO)는 상기 입력된 시리얼 프린트 데이터(HDAT)를 후속 스테이지의 입력단자(SI)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히팅 어레이를 가지는 통상의 소형 시리얼 프린터에 따르면 서멀 헤드를 이루는 히팅 어레이(101)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되며, 복수의 구동유니트(드라이버 IC)(102)가 각각의 블럭에 대응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소위 "동적 분할 구동"이라는 것이 채용된다. 하나 또는 2 이상의 구동 유니트(102)가 선택되며 히팅 어레이(101)의 대응하는 블럭이 한 프린팅 동작에서 구동된다. 히팅 어레이(101)를 동시에 구동하기보다는 상기 히팅 어레이(101)를 분할하고 블럭을 개별적으로 구동하므로써 하나의 프린팅 동작에서 이송되는 전류량이 제한된다. 이로써 상기 감열식 프린터의 내장 전원의 용량을 유지할 수 있다. 한 프린팅 동작에서 선택된 구동 유니트(102)의 수 및 그 조합은 프리트 데이터(HDAT)의 내용에 따른다. 외부 프린터 제어회로부터 입력된 스트로브 신호(DST1 내지 DST6)에 의해 구동 유니트(102)가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같이 스트로브 신호(DST1)이 입력되면 제1 및 제2 구동 유니트(102)가 연산된다. 상기 스트로브 신호(DST2)가 입력되면 제3 및 제4 구동 유니트(102)가 선택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구동 유니트(102) 중 나머지의 구동 유니트는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되며, 스트로브 신호(DST)(6)가 입력되면 최종 구동 유니트 및 그 다음 번째의 구동 유니트가 선택적으로 동작된다. 종래의 감열식 프린터에 있어서 두 개의 구동 유니트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단일의 스트로브 신호가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구동 유니트(102)에 대한 스트로브 신호는 상기 서멀헤드의 내측에 함께 입력되며 이로써 프린터가 스트로브 신호를 수용할 수 있는데 그 스트로브 신호의 수는 내장 드라이버 IC의 수와 같거나 그 이하이다. 다시 말하면 내측의 복수의 구동 유니트(102) 사이의 스트로브 신호를 공유하므로써 외부 프리터 제어회로로 이어지는 포트의 수를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효율적인 동적 분할 구동을 이루기 위해서 각각의 구동 유니트(102)의 동작이 제어되어야 한다. 상기 서멀 헤드에 스트로브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라인의 수는 증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결합 케이블의 단자 수(폴 수) 및 프린터 커넥터의 단자 수가 늘어나고 회로의 출력 신호라인의 수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의 감열식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동적 분할 구동 이외에 프린터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소위 "이력 제어 구동"이 이용된다. 이에 따라 첫째로 상기 히팅 어레이(101)에 포함된 도트를 예비 통전시키도록 상기 구동 유니트(102) 각각에 이력 데이터가 공급되며 상기 프린트 데이터가 상기 도트를 정규로 통전시키도록 공급된다. 상기 이력 데이터는 전에 통전되지 않았고 이번에 통전될 도트를 지정하는 데이터이며, 상기 도트를 첫째로 예비 통전하고 현재의 프린트 데이터에 의거 상기 도트를 정규 통전하므로써 도트 전체에 걸쳐서 프린팅의 불균형이 억제된다. 달리 말하면 전번에 통전되지 않고 이번에 통전될 도트의 온도는 전번에 통전되었고 이번에도 통전되는 도트의 온도보다 낮으므로 전번에 통전되지 않았고 이번에 통전되는 도트는 온도차를 보상하도록 예비통전된다. 이러한 이력 제어구동은 첫째로 래치 레지스터에 이력 데이터를 전달해서 예비 통전하고 정규 통전을 위해 상기 래치 레지스터에 프린트 데이터를 전달하므로서 행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감열식 프린터에 의하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래치 레지스터 사이에 데이터의 전달을 제어하는 래치신호(LATCH)가 모든 구동 유니트(102)에 의해 공유된다. 환언하면 상기 서멀헤드는 단지 래치신호(LATCH)만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동적분할구동 및 이력 제어구동이 혼합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구동 유니트와 관련하여 프린트 동작이 행해지는 매시간마다 데이터의 전달이 행해져야 하며 상기 서멀헤드의 구동이 상당히 부담이되는 문제가 생긴다. 즉, 한 라인에 대한 이력 데이터 및 프린트 데이터는 프린트 동작이 한 라인이 분할되는 블럭 수에 대응하는 회수만큼 행해지는 매 시간 마다 각각의 구동 유니트에 입력되어야 한다. 또한 종래의 프린터에 따르면 상기 프린트 데이터로부터 분리적으로 상기 외부 프린터 제어회로가 이력 데이터를 발생시켜서 프린터측에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프린터 제어회로측의 부하가 증가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필요시간이 길어져서 프린팅 속도가 아주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여 동적 분할 구동을 얻는데 있어서 상기 서멀헤드와 접속되는 입력신호라인의 수를 가능한 한 대폭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다른 목적은 동적 분할 구동과 연계하여 이력 제어구동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으며, 서멀헤드의 사이즈와 무관하게 일정 수의 신호라인(포함된 도트의 수)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감열식의 소형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하의 수단을 강구하였다. 본 발명의 소형 감열식 프린터는 프린팅을 위해 블럭으로 분할되며, 한 라인에 배열된 복수의 히팅 어레이, 다른 블럭과 분리적으로 상기 히팅 어레이의 블럭을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 유니트 및 상기 구동 유니트를 제어하는 논리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인 상기 논리회로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블록 선택 데이터에 따라 동작되는 하나의 구동 유니트 및 둘 이상의 구동 유니트를 지정하는 블럭지정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단지 지정된 구동 유니트만이 상기 히팅 어레이의 대응 블럭을 구동시키도록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된 단일의 스트로브 신호에 따라 일시에 가동된다. 이로써 단일의 구동신호로서 동적 분할 구동을 할 수 있다. 양호하게 각각의 구동 유니트는 금번에 통전될 도트를 지정하는 프린트 데이터 및 전회에 지정되지 않고 대응 히팅 어레이 중 이번에 통전될 데이터를 지정하는 이력 데이터를 기억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래치 레지스터를 구비한다. 이 경우 논리회로는 모든 구동 유니트의 시프트 레지스터에서 일정시간 동안 이력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이력 데이터 그대로를 상기 래치회로에 수집적으로 전송하며, 모든 구동 유니트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기억하고, 지정된 구동 유니트에 대해서만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래치 레지스터로 프린트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전송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정 구동 유니트는 상기 래치 레지스터에 래치된 이력 데이터에 의거 대응 히팅 어레이의 도트를 첫째로 예비통전하고 이어서 상기 래치 레지스터에 선택적으로 전송된 프린트 데이터에 의거 대응 히팅 어레이의 도트를 정규 통전한다. 또한 상기 논리회로는 상기 구동 유니트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남아있는 전회의 프린트 데이터 및 상기 이력 데이터를 내부적으로 발생시키도록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된 금회의 프린트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처리하는 데이터 가동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소형의 감열식 프린터는 히팅 어레이 즉 내부에 배열되어 선택적으로 통전될 수 있는 도트, 통전될 도트를 지정하는 프린트 데이터에 의거 상기 히팅 어레이를 구동하는 구동회로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이미 입력된 전회의 프린트 데이터 및 전회에 통전되지 않고 금회에 통전되는 도트를 지정하는 이력 데이터를 내부적으로 발생하도록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이미 입력된 전회의 프린트 데이터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다음으로 입력된 금회의 프린트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처리하는 논리회로를 구비한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형의 감열식 프린터는 외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이력 데이터를 입력받지 않고 내부적으로 상기 이력 데이터를 발생한다. 이 경우 상기 구동회로는 첫째로 내부적으로 발생된 이력 데이터에 의거 지정된 도트를 예비통전하고 이어서 상기 외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금회의 프린트 데이터에 의거 지정된 도트를 정규 통전한다. 따라서 상기 감열식 프린터에 의하면 서멀헤드의 이력 제어동작이 프린트 데이터가 공급되는 경우에만 행해질 수 있다. 상기 히팅 어레이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되며, 상기 구동회로는 각각의 블럭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동 유니트로 분할된다. 또한 상기 논리회로는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된 블록 선택 데이터에 따라 가동되는 하나의 구동 유니트 또는 둘 이상의 구동 유니트를 지정하는 블록 지정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단지 지정된 유니트만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된 단일의 스트로브 신호에 의거 일시에 가동되어 상기 히팅 어레이의 대응 블럭을 구동한다. 또한각각의 구동 유니트는 금회의 이력 데이터 및 프린트 데이터를 순차로 기억하는 래치 레지스터 및 시프트 레지스터를 구비한다. 반면, 상기 논리회로는 모든 구동 유니트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일정시간 동안 이력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이력 데이터 그대로를 상기 래치 레지스터에 수집적으로 전송하며, 모든 구동 유니트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프린트 데이터를 기억하며, 지정된 구동 유니트에 대해서만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래치 레지스터로 프린트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전송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지정 구동 유니트는 상기 래치 레지스터에 래치된 이력 데이터에 의거 도트를 첫째로 예비통전하고 이어서 상기 래치 레지스터에 선택적으로 전송된 프린트 데이터에 의거 도트를 정규 통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열식 프린터의 전기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열식 프린터의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열식 프린터의 기계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감열식 프린터의 일례의 전기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히팅어레이 2 : 구동 유니트
3 : 논리회로 21 : 래치 레지스터
22 : 시프트 레지스터 31 : 블록지정수단
32 : 전동제어수단 33 : 데이터 구동수단
321 : OR 게이트 322 : AND 게이트
323 : AND 게이트 331 : AND 게이트
332 : NAND 게이트
본 발명의 최적의 모드를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감열식 프린터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럭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열식 프린터는 서멀헤드를 구성하는 히팅 어레이(1)를 구비하며, 상기 히팅 어레이(1)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되며 한 라인에 배열된다. 분할된 히팅 어레이(1) 각각은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복수의 도트를 가지며, 예를 들면 서멀헤드는 13블럭으로 분할된 히팅 어레이(1)를 구비하며 분할된 히팅 어레이(1) 각각은 64 도트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서멀헤드는 한 라인에 64 x 13 = 832 도트를 프린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블록 수 및 도트 수와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소형의 감열식 프린터는 상기 히팅 어레이(1)를 구동하는 내장 구동회로를 구비하며, 이 구동회로는 상기 히팅 어레이(1)의 블럭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구동 유니트(2)를 구비한다. 각각의 구동 유니트(2)는 예를 들면 원칩 드라이버 IC를 구비하며, 다른 블럭과 분리적으로 상기 히팅 어레이(1)의 대응 블럭을 구동한다. 상기 구동 유니트(2)는 5 입력단자(SI, CK, DST, LOTX, DSTX) 및 1 출력단자(SO)를 가진다.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프린트 데이터(HDAT) 및 내부적으로 발생된 이력 데이터가 상기 입력단자(ST)에 공급된다. 클럭신호(HCLK)는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단자(CK)로 입력된다. 구동 유니트(2)는 클럭신호(HCLK)와 동기하여 상기 시프트레지스터(22)의 시리얼 프린트데이터(HDAT) 및 이력 데이터를 기억하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입력단자(DST)에 단일의 스트로브 신호가 입력되며 LOW레벨에서 액티브 상태에 있는 래치신호(LATCH)가 상기 입력단자(LSTX)로 입력된다. 구동 유니트(2)는 상기 래치신호(LATCH)에 따라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22)로부터 상기 래치 레지스터(21)로 데이터를 전송(래치)한다. 인에이블 신호(ENBL)는 입력단자(DSTX)에 입력된다. 구동 유니트(2)는 LOW레벨에서 액티브 상태에 있는 인에이블 신호(ENBL)가 입력되면 인에이블 상태에 있게 된다. 환언하면 상기 인에이블 신호(ENBL)은 가동될 구동 유니트(2)를 지정하는 선택신호이다. 최종으로 상기 출력단자(SO)는 상기 구동 유니트(2)의 입력단자(SI)로부터 입력된 후 시프트된 데이터를 다음 단의 입력단자(SI)로 연속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상기 소형의 프린터는 내장 논리회로(3)를 가진다. 상기 논리회로(3)는 예를 들면 원칩 IC와 같은 게이트 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논리회로(3)는 블록 지정수단(3)을 구비하며,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 지정수단(31)은 히팅 어레이(1)의 각각의 블럭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D형 플립플롭을 구비한다. 상기 블록 지정수단(31)은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블록 선택 데이터(BDAT)에 따라 가동되는 하나의 구동 유니트 또는 둘 이상의 구동 유니트를 지정한다. 구체적으로 서로 직렬로 접속된 상기 플립플롭은 비트로 이루어진 시리얼 블록 선택 데이터(BDAT)를 순차적으로 래치시키도록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신호(BCLK)에 따라 가동하는데 상기 비트의 수는 블럭의 수에 따른다. 상기 래치된 비트에 따라 각각의 플립플롭은 대응하는 구동 유니트(2)에 구동 유니트의 선택 또는 비선택을 지정하는 인에이블 신호(ENBL)를 공급한다. 상기 플립플롭의 각각의 리세트 단자(R)에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클리어 신호(BCLR)가 입력된다. 예를 들면 전원의 상승시각에 있어서 상기 블록 지정수단(31)을 초기화시키기 위해서 모든 플립플롭이 일시에 리세트된다. LOW 레벨에서 액티브 상태에 있는 인에이블 신호(ENBL)가 입력되는 3 구동 유니트(2)만이 지정된다. 상기 지정된 구동 유니트가 HIGH 레벨에서 액티브 상태에 있으며, 대응 블럭 또는 히팅 어레이(1)를 구동하도록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단일의 스트로브 신호(DST)에 따라 지정된 구동 유니트만이 일시에 가동된다. 각각의 구동 유니트(2)는 대응 히팅 어레이(1)의 금회에 통전될 도트를 지정하는 프린트 데이터(HDAT) 및 전회에 통전되지 않고 금회에 통전되는 도트를 지정하는 이력 데이터를 기억하는 시프트 레지스터(22) 및 래치 레지스터(21)를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논리회로(3)는 전송 제어수단(32)을 구비하며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 제어수단(32)은 직렬로 함께 접속되는 부의 논리회로인 OR 게이트(321) 및 부의 논리회로인 AND 게이트(322) 세트를 구비한다. 상기 전송 제어수단(32)은 부의 논리회로인 다른 AND 게이트(323)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들 OR 게이트(321) 및 AND 게이트(322, 323)는 각기 두 개의 반전 입력단자와 반전 출력단자를 구비한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CRTL)가 LOW 레벨에 있는 경우 상기 전송 제어수단(32)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래치신호(LATCH) 그대로를 상기 AND게이트(323) 및 OR 게이트(321)를 통해서 각각의 구동 유니트의 입력단자(LSTX)에 공급한다. 이에 따르면 모든 구동 유니트(2)의 시프트 레지스터(22)에 미리 기억된 이력 데이터는 상기 래치 레지스터(21)에 그대로 수집적으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모든 구동 유니트(2)의 시프트 레지스터(22)에 기억된다. 그러면 제어신호(CTRL)가 HIGH 레벨로 스위치되면 상기 전송 제어수단(32)이 외부장치로부터 다시 입력되는 래치신호(LATCH)를 대응하는 OR 게이트(321) 및 AND 게이트(322)를 통해 상기 지정 구동 유니트로만 전송한다. 이에 따르면 단지 지정 유니트만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22)로부터 상기 래치 레지스터(21)로 프린트 데이터의 선택적인 전송을 수행한다. 이 결과 지정된 구동 유니트(2)는 상기 래치 레지스터(21)에서 래치된 이력 데이터에 의거 대응 히팅 어레이의 도트를 첫째로 예비 통전하고 상기 래치 레지스터(21)에 선택적으로 전송된 프린트 데이터(HDAT)에 의거 상기 대응 히팅 어레이(1)의 도트를 정규 통전한다.
논리회로(3)는 또한 구동 유니트(2)의 시프트 레지스터(22)에 남아 있는 전회의 프린트 데이터(HDAT) 및 내부적으로 상기 이력 데이터를 발생하도록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금회의 프린트 데이터(HDAT)를 논리적으로 처리하는 데이터가동수단(33)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적으로 발생된 이력 데이터는 후속 및 그 다음 단에서 상기 구동 유니트(2)에 연속으로 전송되는 헤드에서 상기 구동 유니트(2)의 입력단자(SI)에 전송된다. 전회의 프린트 데이터(HDAT)는 전단의 구동 유니트(2)의 출력 단자(SO)에서 상기 데이터 가동수단(33)으로 공급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가동수단(33)은 직렬 접속된 AND 게이트(331) 및 NAND 게이트(332)를 구비한다. 상기 AND 게이트(331)는 두 개의 입력단자와 하나의 출력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NAND 게이트(332)는 두 개의 입력단자와 하나의 반전 출력단자를 구비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신호(CTRL)가 HIGH 레벨에 있는 경우 선행 단의 NAND 게이트(332)가 전단의 구동 유니트에서 전송된 전회의 프린트 데이터를 반전시킨다. 후속 단의 AND 게이트(331)는 금회에 일련으로 입력되는 프린트 데이터(HDAT)와 소정의 이력 데이터를 발생하도록 전회에 반전된 프린트 데이터 사이의 AND 동작을 실행한다. 이러한 논리동작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이력 데이터는 전회에 통전되지 않고 금회에 통전되는 도트를 지정한다. 한편 상기 제어신호 CTRL가 LOW 레벨로 전환된 후 후속 단에서의 AND 게이트(331)는 연속으로 다시 입력되는 금회의 프린트 데이터(HDAT) 그대로를 상기 서멀 헤드에서 상기 구동 유니트(2)의 입력단자(SI)에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논리회로(3)는 예를 들면 상기 서멀헤드에 장착되는 게이트 어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래치신호 및 인에이블 신호는 각각의 구동 유니트에 공급된다. 클럭과 동기하여 직렬신호로서 각각의 구동 유니트에 대해 래치신호 및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므로써 입력 신호라인의 수가 감소된다. 또한 AND 동작이 직렬신호로서 입력되는 프린트 데이터와 상기 이력 데이터를 발생하도록 상기 구동 유니트에서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된 이전의 도트 라인의 프린트 데이터로부터 반전된 데이터 사이에서 행해진다. 상기 이력 데이터는 상기 서멀헤드에서 상기 구동 유니트의 데이터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또한 각각의 구동 유니트에 대응하는 선택 비트가 래치되고 상기 선택 비트로 지정된 구동 비트만이 상기 스트로브 신호에 따라 가동된다. 또한 상기 래치신호는 상기 선택 비트로 지정된 구동 유니트에만 공급되며 상기 지정 구동 유니트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기억된 데이터가 각각의 래치 레지스터로 전송된다. 상기 블록 선택 데이터(BDAT)와 같은 구동 선택 비트가 클럭 동기 직렬신호의 형태로 상기 클럭신호(BCLK)에 의해 입력된다. 또한 래치신호(LATCH)가 상기 구동 선택 비트로 지정된 구동 유니트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모드와 상기 모든 구동 유니트를 수집적으로 래치하도록 상기 구동 선택 비트에 의한 지정과는 무관하게 일시에 상기 모든 구동 유니트로 공급되는 모드는 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모드의 스위칭은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CTRL)에 따라 행해진다. 또한 이력 데이터 및 프린트 데이터의 상기 구동 유니트로의 전송은 상기 제어신호(CTRL)에 의해 상호 전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브 신호(DST), 클럭신호(HCLK), 및 프린트 데이터(HDAT)에 대한 입력 신호라인 그리고 블록 선택 데이터(BDAT), 클럭신호(BCLK) 및 클리어 신호(BCLR)에 대한 신호라인이 분리적으로 제공되어도 그대신 두 그룹 모두가 공통 신호라인을 통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들이 입력되는 위치가 추가의 제어신호로서 내부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신호라인의 수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멀헤드에 입력된 프린트 데이터가 모두 0 또는 1이고 모두 0 또는 1의 프린트 데이터가 상기 서멀헤드로 전송되며, 클럭의 수가 상기 서멀헤드의 직렬 출력단자(SO)로부터 입력된 모든 데이터가 출력되기까지 카운트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프린터 제어회로에 접속된 프린터의 타입을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서멀헤드의 모든 도트 수가 검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타이밍도를 참조로 도 1에 도시한 프린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로 타이밍 A에서 CTRL이 하이레벨로 되고 이 타이밍에서 프린트 데이터(HDAT)가 입력된다. 상기 프린트 데이터(HDAT)는 이력 데이터를 내부적으로 발생시키도록 상기 데이터 가동수단(33)에 의해 논리적으로 처리된다. 상기 이력 데이터는 HCLK와 동기하여 모든 구동 유니트(2)의 시프트 레지스터(22)에 기억된다. 다음으로 타이밍 B에서 CTRL이 LOW 레벨로 전환되며 LATCH가 LOW 레벨에서 액티브하게 된다. 이로써 모든 구동 유니트(2)의 시프트 레지스터(22)에 이력 데이터는 일시에 상기 래치 레지스터(21)로 전송된다. 타이밍 C에서 CTRL은 LOW 레벨로 유지되는 반면 이 시각의 프린트 데이터(HDAT)가 다시 입력된다. 프린트 데이터(HDAT)는 각각의 구동 유니트(2)의 시프트 레지스터(22)에 기록되도록 처리되지 않고 그대로 상기 데이터 가동수단(33)을 통과한다. 그 후 타이밍 D에서 제어신호(CTRL)은 LOW 레벨에서 HIGH 레벨로 복귀된다. 다음으로 타이밍 E에서 블록 선택 데이터(BDAT)가 논리회로(3)의 블록 지정수단(31)으로 입력되며 상기 클럭 신호(BCLK)와 동기된다. 이로써 첫째 타이밍에 가동되는 블럭의 구동 유니트(2)가 지정된다. 다음으로 타이밍 F에서 스트로브 신호(DST)가 HIGH 레벨에서 액티브 상태로 되며 상기 지정된 구동 유니트(2)가 가동된다. 여기서 타이밍 F의 절반 주기동안 상기 지정 구동 유니트(2)의 래치 레지스터(21)에 래치된 이력 데이터에 의거하여 대응 도트가 예비 여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력 데이터에 의거하여 통전이 완료된 후 타이밍 F의 제2 절반 주기동안 상기 래치신호 LATCH가 LOW 레벨에서 액티브 상태로 된다. 이로써 상기 지정 구동 유니트(2)의 시프트 레지스터(22)에 기억된 프린트 데이터가 상기 래치 레지스터(21)에 선택적으로 전송된다. 상기 전송된 프린트 데이터에 의거하여 대응 도트가 정규 통전된다. 제1 프린팅 동작이 완료되는 시각에서 상기 스트로브 신호(DST)는 LOW 레벨로 복귀된다. 이 결과 지정된 블럭에 관해서만 프린팅 동작이 행해진다. 프린트 내용에 있어서 S로 지정된 부분은 예비통전된 도트를 지정하며 M으로 도시된 부분은 정규 통전된 도트를 지정한다. 그 후 타이밍 G에서 제2 시각의 동적 분할 구동이 개시된다. 환언하면 상기 블록 선택 데이터(BDAT)는 상기 클럭신호(BCLK)와 동기하여 상기 블록 지정수단(31)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타이밍 H의 제 1 절반 주기 동안 정규 통전이 행해지며 이로써 이력 데이터 및 프리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력 제어구동이 행해진다. 최종으로 타이밍 I에서 제3 시각에 대한 동적분할 구동이 개시된다. 다시 말하면 BDAT는 BCLK와 동기하여 상기 블록 지정수단(31)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타이밍 J에서 이력 제어구동이 행해지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한 라인을 프린트하도록 3회의 동적 분할 구동이 행해진다. 이력 제어구동은 동적 분할 구동이 행해지는 시각마다 행해진다. 다음 라인의 프린트 데이터는 타이밍 J에서 LATCH에서의 LOW 펄스 후 입력될 수 있다. 이 시각에 입력된 프린트 데이터(HDAT)는 다음 시각에 이력 데이터를 발생하는데사용된다.
다음으로 동적 분할구동 및 이력 제어구동의 일례를 표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표 1]
상기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째로 타이밍 1에서 한 라인에 대한 이력 데이터 a, b, c, d, e 및 f가 모든 구동 유니트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기록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간략화를 위해 한 라인에 대한 히팅 어레이가 6 블럭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이력 데이터 a, b ,c, d, e 및 f는 각각의 블럭에 할당된 데이터를 지정하며 이는 다음의 설명 전체에 걸쳐서 동일하다. 타이밍 1에서 래치 레지스터는 블랭크이며 이는 문자 x로서 도시된다. 다음으로 타이밍 2에서 이력 데이터 a 내지 f는 한번에 상기 래치 레지스터로 전송된다. 또한 타이밍 3에서 한 라인에 대한 프린트 데이터(A, B, C, D, E 및 F)는 다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 전송된다. 다음으로 타이밍 5에서 제1 동적 분할구동으로 가동되는 블럭이 지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제3 및 제6 블럭이 지정되며 이들 블럭은 부호 *로 지정된다. 또한 타이밍 F의 절반 주기 동안 상기 래치 레지스터에 기억된 이력 데이터(a, c 및 f)에 의거하여 지정된 블럭의 도트가 예비 통전된다. 다음으로 타이밍 6의 제2 절반 주기 동안 프린트 데이터(A, C 및 F)가 지정된 블럭과 관련하여서만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래치 레지스터로 전송된다. 래치된 프린트 데이터(A, B 및 F)에 의거 지정된 블럭의 도트가 정규 통전되며 이러한 절차에 의해 제1 동적 분할 구동이 행해진다. 여기서 이력 데이터 및 프린트 데이터를 이용하는 동적 제어구동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제 동적 분할 구동이 이어진다. 첫째로 타이밍 7에서 다음 블럭의 그룹이 지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내지 제4 블럭이 지정된다. 타이밍 8의 제1 절반 주기 동안 상기 래치 레지스터에 기억된 이력 데이터(b, d)에 의거 예비 통전이 행해진다. 또한 타이밍 8의 제2 절반 주기 동안 래치 레지스터의 내용에 대해 이력 데이터(b, d)가 프린트 데이터(B, D)로 대체된다. 최종으로 제3 동적 분할 구동이 이어진다. 타이밍 9에서 나머지 제5 블럭이 지정된다. 또한 타이밍 10의 제1 절반 주기 동안 상기 래치 레지스터에 남아 있는 이력데이터(10)에 의거 지정된 블럭과 관련하여 예비 통전이 행해진다. 이력 데이터의 제2 절반 주기 동안 상기 래치 레지스터의 이력 데이터(e)가 프린트 데이터(E)로 대체된다. 최종의 나머지 블럭의 정규 통전이 상기 프린트 데이터(E)에 의거 행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력 데이터 및 프린트 데이터가 동적 분할 구동의 수(통전 주기의 수)와 무관하게 초기 타이밍 1, 2, 3에서만 이력 데이터 및 프린트 데이터가 공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력 데이터는 논리회로(3)에서 내부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외부 프린터 제어회로 측에서 연산이 필요치 않게 된다. 상기 프린트 제어회로측은 HIGH 레벨과 LOW 레벨 사이의 제어신호(CTRL)을 전환하고 2회에 걸쳐서 프린트 데이터를 전송하면 된다. CTRL이 HIGH 레벨에 있을 때 상기 이력 데이터는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기억된다. CTRL이 LOW 레벨에 있을 때 프린트 데이터는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기억된다. 한편 기록된 이력 데이터는 미리 상기 래치 레지스터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참조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통상의 프린터로 행해진 이력 제어 구동을 표 2를 참조하여 간략히 기술한다. 도 4에 도시된 통상의 프린터에 따르면 모든 구동 유니트(102)의 데이터의 전송이 하나의 래치 신호 라인을 통해서 제어되므로 실제적으로 이력 제어구동이 아주 복잡하게 된다.
[표 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첫째로 타이밍 1에서 외부장치로부터 6 블럭의 시프트 레지스터로 한 라인의 이력 데이터(a, b, c, d, e 및 f)가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래치 레지스터는 블랭크이다. 다음으로 타이밍 2에서 이런 데이터(a 내지 f)가 래치 레지스터로 전송된 후 그 시각에서 프린트 데이터(A, B, C, D, E 및 F)가 모든 블럭의 시프트 레지스터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지정된 블럭과 관련하여 래치 레지스터에 기억된 이력 데이터(a, b, 및 f)에 의거 예비 통전이 행해진다. 타이밍3에서 그 시각의 프린트 데이터(A 내지 F)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서 래치 레지스터에 기록된다. 상기 래치 레지스터에 기록된 프린트 데이터(A, C 및 F)에 의거 지정된 블럭과 관련하여 정규 통전이 행해진다. 상기의 절차로서 제1 동적 분할 구동이 완료되며 지정된 제1, 3 및 6 블럭과 관련하여 이력 제어구동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타이밍 4에서 모든 라인에 대한 이력 데이터(a 내지 f)가 다시 전송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시프트 레지스터로 입력된다. 다음으로 타이밍 5에서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래치 래지스터에 이력 데이터(a 내지 f)가 기록된다. 또한 모든 라인에 대한 프린트 데이터(A 내지 F)가 다시 전송되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로 입력된다. 그러면 예비 통전이 상기 래치 레지스터에 기록된 이력 데이터(b 및 d)에 의거 지정된 제2 및 제4 블럭과 관련하여 행해지고 다음으로 타이밍 6에서 시프트 레지스터에 기록된 프린트 데이터(A 내지 F)가 상기 래치 레지스터에 기록된다. 상기 기록된 프린트 데이터(B 및 D)에 의거 지정된 블럭과 관련하여 정규 통전이 행해진다. 이러한 절차에 의해 제2 동적 분할 구동이 완료되고 상기 지정된 제2 및 제4 블럭과 관련하여 이력 제어구동이 행해진다. 동일한 방식으로 타이밍 7, 8, 9에서 나머지 제5 블럭과 관련하여 이력 데이터(a 내지 f) 및 프린트 데이터(A 내지 F)가 다시 연속으로 전송되어 제3 동적 분할 구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종래의 프린터에 의하면 이력 데이터에 의거한 예비 통전 후 바로 프린트 데이터에 의거하여 정규 통전이 행해지므로 프린트 데이터는 시프트 레지스터에 이력 데이터는 래치 레지스터에 있어야 한다. 이는 각 동적 분할 구동의 각 사이클마다 반복되므로 한 라인에 대해 프린팅 동작을 종료하기 위해서 이력 데이터및 프린트 데이터는 외부장치로부터 반복적으로 전송, 입력되야 하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만 많은 시간을 요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서멀헤드의 기계적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반(5) 및 서멀헤드(6)는 한 프레임 내에 통합된다. 프린트될 감온용지(thermosensitive paper)(7)가 상기 압반(5)과 서멀헤드(6)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서멀혜드(6)는 스프링(8)에 의해 상기 압반(5) 쪽으로 구속된다. 회로기판(9)은 상기 서멀헤드(6)에 통합된다. 상술한 히팅 어레이(1) 및 구동 유니트(2)는 회로기판(9) 상에 장착된다. 구동 유니트(2)는 원칩 IC를 구비하며 커버(10)로 커버된다. 외부 장치로 이어지는 가요성 보드(11)는 상기 회로 기판(9)에 접속된다. 상술한 논리회로(3)는 원칩 IC로서 게이트 어레이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논리회로(3)는 이력 데이터 및 프린트 데이터의 효과적인 전송 제어를 행하는 전송 제어수단 및 내부적으로 이력 데이터를 발생하는 데이터 가동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종래의 서멀헤드에 비해서 이력 제어구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이 용이한 소형 프린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논리 회로(3)는 블록 선택 데이터에 의거 가동되는 블럭을 지정하는 블록 지정수단을 구비하며 이로써 단일의 스트로브 신호로서 동적 분할 구동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감열식 프린터에 비해 프린트 데이터 회로 등의 제어 측의 출력포트의 수가 감소된다. 또한 프린터측에서 커넥터 및 가요성 보드의 단자 수(폴 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타입과 무관하게 동일한 핀 배열의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프린터에 따르면 동적 분할 구동이 정밀하게 되려면 스트로브 입력라인의 수가 블럭의 수와 같게 되어 상기 가요성 보드 및 커넥터의 비용에 있어서의 증가를 초래한다. 또한 프린터 제어회로 등의 제어측의 추가의 출력포트가 필요시 되어 많은 포트의 설치가 불가피하게 된다. 또 통상의 감열식 프린터에 따르면 단일의 래치 신호라인이 모든 구동 유니트의 데이터의 전달을 제어한다. 이 경우 동적 분할 구동과 더불어 이력 제어구동이 행해지는 경우 데이터의 전달이 반복적으로 행해져서 이력제어 구동을 행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력 제어 구동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는 경우 스트로브 신호 라인의 수와 같은 래치 신호 라인의 수가 필요시 되어 전 신호 라인의 수가 과도하게 증가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프린터에 따르면 프린터 제어회로 측 상에서 이력 데이터가 가동될 필요가 있어 데이터의 처리 및 그에 따른 프린팅 속도를 낮추는 데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 프린터는 하나의 히팅 어레이 및 하나의 구동 유니트 그리고 하나의 게이트 어레이 등을 구비한 내장 논리회로를 가진다. 상기 논리회로는 블록 지정수단을 구비하며, 단일의 스트로브 신호에 따라 지정된 히팅 어레이가 동시에 기동되며 동적 분할 구동이 실행된다. 단일의 스트로브 신호라인으로 동적 분할 구동이 행해지므로 프린터 제어회로 등의 제어측의 출력 포트의 수가 종래의 출력포트에 비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소형 프린터측에서 커넥터 및 외부 장치로 이어지는 가요성 보드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논리회로는 이력 데이터 및 프린트 데이터의 전송제어를 행하는 전송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프린터 제어회로측에서 감열식 프린터측으로의 데이터의 전송이 효과적으로 행해져서 이력 제어구동이 개선되어 사용이 편리한 소형 프린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논리회로는 데이터 가동수단을 구비하며 이력 데이터는 전회의 프린트 데이터와 금회의 프린트 데이터에 의거 내부적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이력 데이터가 프린터 제어회로측에서 가동될 필요가 없는 경우 데이터의 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되어 그에 따라 프린팅속도가 고속으로 될 수 있다.

Claims (6)

  1. 프린팅을 위해 블럭으로 분할되며 한 라인에 배열된 복수의 히팅 어레이, 블록 단위로 상기 히팅 어레이를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 유니트 및 상기 구동 유니트를 제어하는 논리회로를 구비하는 소형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논리회로는 외부 입력되는 블록 선택 데이터에 따라 동작되는 하나 이상의 구동 유니트를 지정하는 블록 지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니트는 블록 지정수단으로 지정된 것만이 외부 입력된 단일의 스트로브 신호에 응하여 일제히 동작하는 대응하는 블록의 히팅 어레이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동 유니트는 대응하는 히팅 어레이의 금회에 통전되는 도트를 지정하는 프린트 데이터 및 전회에 통전되지 않고 금회에 통전되는 대응 히팅 어레의 도트를 지정하는 이력 데이터를 기억하는 시프트 레지스터 및 래치 레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논리회로는 모든 구동 유니트의 시프트 레지스터에서 일단 이력 데이터를 기억한 후 상기 이력 데이터 그대로를 상기 래치 레지스터에 일괄 전송하며, 모든 구동 유니트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상기 프린트 데이터를 기억하고, 지정된 구동 유니트에 대해서만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래치 레지스터로 프린트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전송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지정된 구동 유니트는 상기 래치 레지스터에 래치된 이력 데이터에 의거, 대응 히팅 어레이의 도트를 먼저 예비 통전하고, 이어서 상기 래치 레지스터에 선택적으로 전송된 프린트 데이터에 의거, 대응 히팅 어레이의 도트를 정규로 통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회로는 상기 구동 유니트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남아있는 전회의 프린트 데이터 및 상기 외부 입력된 금회의 프린트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이력 데이터를 내부적으로 생성하는 데이터 연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프린터.
  4. 소형 프린트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통전가능한 도트가 정렬한 히팅 어레이;
    통전될 도트를 지정하는 프린트 데이터에 의거 상기 히팅 어레이를 구동하는 구동 유니트; 및
    먼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회분의 프린트 데이터와 다음에 외부로부터 입력된 금회분의 프린트 데이터를 논리처리하여 전회 통전되지 않고 금회 통전되는 도트를 나타내는 이력 데이터를 내부적으로 생성하는 논리 회로를 내장하고 있고,
    상기 구동 유니트는 먼저, 내부적으로 생성된 이력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정된 도트를 예비 통전하고, 다음에, 외부 입력된 금회분의 프린트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정된 도트를 정규로 통전하며,
    상기 히팅 어레이는 복수개의 구동 유니트에 대응하여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논리회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블록 선택 데이터에 따라 동작되는 하나 이상의 구동 유니트를 지정하는 블록 지정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지정된 구동 유니트만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단일의 스트로브 신호에 응하여 일제히 동작하는 대응하는 히팅 어레이의 블록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프린트.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구동 유니트는 이력 데이터 및 금회의 프린트 데이터를 순차 격납하는 래치 레지스터 및 구동 레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논리회로는 모두가 구동 유니트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일단 이력 데이터를 격납한 후 이것을 그대로 래치 레지스터에 일괄 전송하고, 다음에 모든 구동 유니트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프린트 데이터를 격납하고, 또한 지정된 구동 유니트만 프린트 데이터를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래치 레지스터에 선택 전송하는 전송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지정된 구동 유니트는 먼저 래치 레지스터에 유지된 이력 데이터에 의거하여 도트의 예비 통전을 행하고, 다음에 래치 레지스터에 선택 전송된 프린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트의 정규 통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프린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지정수단 및 상기 전송 제어수단의 지시는 시리얼 신호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프린터.
KR1019960054674A 1995-11-16 1996-11-16 소형프린터 KR100398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98340 1995-11-16
JP07298340A JP3081986B2 (ja) 1995-11-16 1995-11-16 小型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958A KR970025958A (ko) 1997-06-24
KR100398032B1 true KR100398032B1 (ko) 2004-03-20

Family

ID=1785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674A KR100398032B1 (ko) 1995-11-16 1996-11-16 소형프린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98032B1 (ko)
DE (1) DE69612058T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6960B2 (en) 2003-11-06 2007-05-15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driving a printhead using a constant current and operating MOS transistor in saturation region
US7344218B2 (en) 2003-11-06 2008-03-18 Canon Kabushiki Kaisha Printhead driving method, printhead substrate, printhead, head cartridge and printing apparatus
US7610326B2 (en) 2002-09-18 2009-10-27 Canon Kabushiki Kaisha Arithmetic circuit for calculating a cumulative value as a result of parallel arithmetic process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0326B2 (en) 2002-09-18 2009-10-27 Canon Kabushiki Kaisha Arithmetic circuit for calculating a cumulative value as a result of parallel arithmetic processing
US7216960B2 (en) 2003-11-06 2007-05-15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driving a printhead using a constant current and operating MOS transistor in saturation region
KR100778157B1 (ko) 2003-11-06 2007-11-2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린트헤드 기판, 기판을 사용하는 프린트헤드, 프린트헤드를 포함하는 헤드 카트리지, 프린트헤드 구동 방법 및프린트헤드를 사용하는 인쇄 장치
US7344218B2 (en) 2003-11-06 2008-03-18 Canon Kabushiki Kaisha Printhead driving method, printhead substrate, printhead, head cartridge and printing apparatus
US7575294B2 (en) 2003-11-06 2009-08-18 Canon Kabushiki Kaisha Printhead substrate, printhead using the substrate, head cartridge including the printhead, method of driving the printhead, and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printhead
US8002374B2 (en) 2003-11-06 2011-08-23 Canon Kabushiki Kaisha Printhead driving method, printhead substrate, printhead, head cartridge, and prin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12058D1 (de) 2001-04-19
KR970025958A (ko) 1997-06-24
DE69612058T2 (de) 200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9214A (en) Thermal printer
JP3254913B2 (ja) 印字ヘッドの制御方法
KR100398032B1 (ko) 소형프린터
JPH081996A (ja) ラインヘッド
JPS5812776A (ja) サ−マルヘツド駆動方法
US5793939A (en) Print controlling apparatus
JPH03193469A (ja) サーマルヘッドの階調制御回路
EP0441188B1 (en) Dot-matrix printer
JP2000151423A (ja) パラレルシリアル変換装置およびパラレルシリアル変換方法
JPH0382562A (ja) サーマルヘッド駆動装置
JP3207259B2 (ja) サーマルプリントヘッド
JPS5812777A (ja) サーマルヘッド駆動装置
JP3062314B2 (ja) 印字素子駆動回路装置及び印字装置
JP2662123B2 (ja) 記録ヘッド駆動装置
JP2772170B2 (ja) サーマルヘッド駆動回路及び印字装置
JP2537394B2 (ja) シリアル・ドット・プリンタの印字制御方式
JPS61109134A (ja) 印字デ−タ伝送方式
JPH0834138A (ja) プリントヘッド駆動回路及びプリントヘッド
JPH08129440A (ja) 画像形成装置
JPH04152150A (ja) 熱履歴制御回路
JPH09224109A (ja) 画像処理装置
JPH0811339A (ja) プリントヘッド駆動ic及びプリントヘッド
JPS6024967A (ja) ドライバ搭載形サ−マルヘツドの駆動回路
JPH03133663A (ja) サーマルヘッド駆動装置
JPH02172761A (ja) サーマル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