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774B1 - 화상 판독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판독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774B1
KR100397774B1 KR10-2000-0079766A KR20000079766A KR100397774B1 KR 100397774 B1 KR100397774 B1 KR 100397774B1 KR 20000079766 A KR20000079766 A KR 20000079766A KR 100397774 B1 KR100397774 B1 KR 100397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image
original
read
optica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594A (ko
Inventor
아사카와데츠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37427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5393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1006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6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capable of performing non-simultaneous scanning at more than one scann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4Moving a scanning element into cooperation with a calibration element, e.g. a grey-wedge mounted on the document support,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이트 통과 방식에 의해 화상을 판독할 때에 음영 동작을 고안함으로써 스루풋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영 동작이나 판독 동작에 필요한 동작 매개 변수를 세트하고(S901), 음영 동작을 수행한다(S902). 음영 동작 후, 판독 동작을 개시하고(S903), 판독 종료를 기다린다(S904). 판독 종료 후(S905), 음영 동작을 수행한다(S906). 음영 동작이 종료하고(S907), 다음의 판독 준비가 되면(S908), 동작 매개 변수를 설정하고(S909), 판독 동작을 개시하며(S910), 판독 종료를 기다린다(S911). 판독 종료 후(S912), 음영 동작을 행한다(S913). 이것에 의해 복수 매를 연속 판독하는 스루풋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화상 판독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METHOD AND APPARATUSES FOR IMAGE READING AND IMAGE FORMING WITH INCREASED THROUGHPUT}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에 사용되는 시이트 통과(sheet-through) 타입의 원고 판독 기능을 마련한 화상 판독 유닛 및 이와 같은 종류의 화상 판독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시이트 통과 타입의 판독 유닛에서는 백판(白板) 판독 동작(음영 동작)을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백판까지의 스캐너 왕복대 이동에 의한 시간 낭비가 이전부터 지적되어 있었다. 판독의 스루풋(throughput)을 높이기 위해서는 음영 횟수를 줄이는 것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음영 파형은 램프의 점등(點燈) 시간에 따라 변화하므로 원고를 판독할 때마다 음영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한 것으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8-9116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9-247395호 등에 개시된 발명이 알려져 있다.
상기 특허 공개 공보 평8-9116호에는 백 기준판을 2개 마련하고, 적재 원고를 판독하는 제1 원고 판독 모드와 이송 원고를 판독하는 제 2 원고 판독 모드로 판독한 원고 화상을 광전 변환 소자를 이용하여 광 신호로부터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고, 제1 원고 판독 모드시에는 제1 백 기준판을 판독하여 얻은 음영 파형을 이용하여 음영을 보정하며, 제2 원고 판독 모드시에는 제2 백 기준판을 판독하여 얻은 데이터에 근거하여 보정한 음영 파형을 이용하여 음영을 보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공개 공보 평9-247395호에는 제 2매 이후의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수행하는 밀착형 판독 수단에 의한 백 기준판 판독을 앞 원고의 후단이 백기준판과 밀착형 판독 수단의 사이로부터 떨어진 후의 소정 타이밍, 또는 원고의 선단이 백 기준판에 맞붙기 전의 소정 타이밍으로 수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평8-9116호에는 백 기준판을 2개 마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만, 백 기준판을 2개 마련하면 그만큼 부품수가 많아져 조립 공정수도 증가한다. 또 상기 평9-24739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밀착형 판독 센서를 사용한 화상 판독 유닛에서는 판독 위치가 이동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통상의 복사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이트 통과와 압판 판독의 양자로 원고를 판독하는 방식의 것에는 적용할 수 없다.
판독 동작과 화상 출력 동작과의 동기(同期)에 관해서는, 예컨대 복사기에서는 판독 원고와 전사지의 동기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며, 전사지와 원고의 준비가 되어 비로서 판독과 기록 동작이 개시된다. 그 외, FAX의 경우는 FAX의 응용(application) 준비와 판독 원고의 동기 등, 판독 동작과 동기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어쨌든 스루풋을 높이는 데는 동기를 취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동시에 양호한 품질의 화상을 얻기 위하여 적절한 음영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이용자가 복수 매의 원고를 판독시킬 때에는 판독 종료시에 음영 데이터를 취득하지만, 도중에 화상 품질을 전환하거나 하는 등 경우에는 다음의 판독 직전에 화상 품질을 전환하여 음영 데이터를 고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에 감안하여 된 것으로, 시이트 통과와 압판 판독의 양자로 판독을 행할 수 있는 화상 판독 유닛의 스루풋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시이트 통과 방식에 의하여 원고를 판독한 직후에 음영 동작을 행함으로써 스루풋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한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화상 품질 모드의 전환이나, 바탕 제거 모드의 전환 등 경우에, 스루풋을 희생하더라도 음영 데이터를 고칠 수 있는 화상 판독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복사기에 마련된 원고 공급 유닛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복사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이트 통과 음영 동작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복사기 본체의 하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복사기의 시스템 소프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복사기의 화상 처리를 중심으로 한 하드 구성과 화상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판독 원고와 전사지와의 동기를 취하기 위한 타이밍을 설정하는 처리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캐너 모터 구동에 따른 음영 동작과 음영 데이터의 취득 기간과 화상 유효 범위의 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영 동작의 제어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영 동작의 노광 램프가 꺼졌을 때의 제어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회(前回)의 음영 동작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의 음영 동작 제어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품질 모드 전환/바탕 제거 모드 전환이 발생했을 때의 스캐너 모터 구동에 따른 음영 동작과 음영 데이터의 취득 기간과 화상 유효 범위의 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품질 모드 전환이 발생했을 때의 음영 동작의 제어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바탕 제거 모드 전환이 발생했을 때의 음영 동작의 제어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지털 복사기
2, 607 CPU
10 시스템 제어기
20 응용 층
21 복사 응용
30 시스템 제어층
40 장치 제어층
100 원고 공급 유닛
132 원고 판독 위치
140 음영 판(기준 백판)
200 화상 판독 유닛
201 노광 램프
202 미러
203 CCD
204 스캐너 구동 모터
205 주행체(스캐너 왕복대)
300 화상 형성 유닛
400 급지 유닛
500 메모리 유닛
603 음영 보정 회로
604 화상 처리부
605 음영 데이터 기억 메모리
606 화상 보정 메모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유닛은 압판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를 판독하는 노광 광학계와, 판독한 화상 정보의 백(白)의 기준을 보정하기 위한 음영 판과, 상기 노광 광학계로 상기 음영 판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계의 판독 위치를 이동시키는 주행체와, 원고 판독 전후에 각각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로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기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유닛은 압판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를 판독하는 노광 광학계와, 판독한 화상 정보의 백의 기준을 보정하기 위한 음영 판과, 상기 노광 광학계로 상기 음영 판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계의 판독 위치를 이동시키는 주행체와, 앞 원고 판독 종료 후에 상기 주행체를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한 경우는, 다음 원고 판독 전에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지 않고 원고를 판독시키며, 판독 종료 직후에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고, 재차 판독 위치로 주행체를 이동시키는 제어기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유닛은 청구항 2에 있어서,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노광 램프가 꺼졌을 때에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고, 재차 판독 위치로 주행체를 이동시키는 제어기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유닛은 청구항 2에 있어서, 다음 원고를 판독하는 동작까지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고, 재차 판독 위치로 주행체를 이동시키는 제어기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유닛은 압판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를 판독하는 노광 광학계와, 판독한 화상 정보의 백의 기준을 보정하기 위한 음영 판과, 상기 노광 광학계로 상기 음영 판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계의 판독 위치를 이동시키는 주행체와,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로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기를 마련하며, 상기 제어기는 복수 매 원고일 때, 다음 원고의 판독 개시까지 앞 원고의 화상 품질 모드에 대하여 전환이 행해진 경우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화상 품질 설정을 한 후에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유닛은 압판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를 판독하는 노광 광학계와, 판독한 화상 정보의 백의 기준을 보정하기 위한 음영 판과, 상기 노광 광학계로 상기 음영 판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계의 판독 위치를 이동시키는 주행체와,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각각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로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기를 마련하며, 상기 제어기는 복수 매 원고일 때, 다음 원고의 판독 개시까지 앞 원고의 바탕 제거 설정에 대하여 전환이 행해진 경우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바탕 제거 설정을 한 후에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하였다.
나아가, 청구항 7, 8, 9, 10의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청구항 1, 2, 5, 6에 있어서의 화상 판독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하는 화상 처리 유닛과, 이 화상 처리 유닛에 의하여 처리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현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을 마련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청구항 11의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방법은 노광 광학계에 의해 압판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를 판독하는 단계, 음영 판에 의해 판독한 화상 정보의 백의 기준을 보정하는 단계, 주행체에 의해 상기 노광 광학계로 상기 음영 판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계의 판독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원고 판독 전후에 각각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로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2의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방법은 노광 광학계에 의해 압판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를 판독하는 단계, 음영 판에 의해 판독한 화상 정보의 백의 기준을 보정하는 단계, 주행체에 의해 상기 노광 광학계로 상기 음영 판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계의 판독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앞 원고 판독 종료 후에 상기 주행체를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한 경우는, 다음 원고 판독 전에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지 않고 원고를 판독시키며, 판독 종료 직후에 상기 주행체를 음영 판 위치까지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고, 재차 판독 위치로 주행체를 이동시키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3의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방법은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노광 램프가 꺼졌을 때에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고, 재차 판독 위치로 주행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4의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방법은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는 동작까지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고, 재차 판독 위치로 주행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5의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방법은 노광 광학계에 의해 압판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를 판독하는 단계, 음영 판에 의해 판독한 화상 정보의 백의 기준을 보정하는 단계, 주행체에 의해 상기 노광 광학계로 상기 음영 판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계의 판독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로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며, 복수 매의 원고시, 다음 원고의 판독 개시까지 앞 원고의 화상 품질 모드에 대하여 전환이 행해진 경우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화상 품질 설정을 한 후에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6의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방법은 노광 광학계에 의해 압판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를 판독하는 단계, 음영 판에 의해 판독한 화상 정보의 백의 기준을 보정하는 단계, 주행체에 의해 상기 노광 광학계로 상기 음영 판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계의 판독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각각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로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고, 복수 매의 원고시, 다음 원고의 판독 개시까지 앞 원고의 바탕 제거 설정에 대하여 전환이 행해진 경우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바탕 제거 설정을 한 후에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7의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한 화상 판독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단계, 이 화상 처리 단계에서 처리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현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8의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은 상기 청구항 2에 기재한 화상 판독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단계, 이 화상 처리 단계에서 처리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현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9의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은 상기 청구항5에 기재한 화상 판독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단계, 이 화상 처리 단계에서 처리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현상을형성하는 화상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청구항 20의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은 상기 청구항 6에 기재한 화상 판독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단계, 이 화상 처리 단계에서 처리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현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 제1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1.1 화상 형성 장치(디지털 복사기)의 개략적인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복사기에 마련된 원고 공급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또 화상 형성 장치는 일반적으로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등과 같이, 입력된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서 처리하고, 처리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현상을 출력하는 장치(시스템) 전체를 가리키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시스템의 한 가지 기능으로서 화상을 형성하는 부분만, 이른바 프린터 엔진을 가리키고 있다. 이 점에서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한 화상 형성 유닛에 대응하고 있다.
우선, 도 2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복사기(1)는 원고 공급 유닛(100)과, 화상 판독 유닛(200)과, 화상 형성 유닛(프린터 엔진)(300)과, 급지 유닛(400)으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고 공급 유닛(100)에 대하여 도 1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고 공급 유닛은 슬릿(slit)형으로 형성된 고정노광 위치에 노광 광학계를 고정하고, 원고를 일정한 이동 속도로 이송하면서 노광 동작을 행하는 원고 이동형 노광 방식을 사용한 양면 자동 원고 공급 유닛(시이트 통과 양면 ADF)을 사용한다(이하, [ARDF]라고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ARDF(100)는 압판(124)의 위쪽에 원고 공급 트레이(120)와 원고 배출 트레이(123)를 상하 2단으로 배치하고, 원고를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 경로를 마련하기 위하여 반전 트레이(121)를 원고 공급 트레이(120)와 배출 트레이(123)사이에 마련한다. 원고 공급 트레이(120)에는 원고의 세트를 검지하는 원고 세트 센서(193), 원고를 급지구까지 이동시키는 밑판 솔레노이드(192), 급지 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급지 클러치(134)가 마련되어 있다. 원고 세트 센서(193)는 투과형 센서로, 원고에 의해 밀어올려진 필러(feeler)로 원고를 검지한다. 반전 전환톱(130)은 판독 위치(132)로부터 이송되는 원고를 반전 트레이(121)로 이송하는지, 원고 배출 트레이(123)로 배출하는지를 선택하는 기능으로서 존재한다. 반전 전환톱(130)은 솔레노이드로 동작시킨다.
또한, 용지 이송을 제어하기 위하여 센서를 3개 마련하고 있으며, 각각 레지스트레이션 센서(101), 용지 배출 센서(102), 반전 트레이 센서(103)이다. 상기 3개의 센서는 필터가 붙은 반사형 센서이다. 이하의 각 롤러는 각각 2개의 스텝 모터(150)로 구동되는데, 급지 벨트(110), 분리 롤러(111)와 반전 롤러(115)는 반전 급지 모터(정·역 회전 가능)로 구동되고, 풀 아웃(pull out) 롤러(112), 보조 롤러(113)와 용지 배출 롤러(114)는 이송 모터(일방향만)로 구동되고 있다. 반전 롤러(115)에는 토크 리미터가 마련되어 있어 용지가 회전 방향에 거슬러 움직이는 경우에도 대응하고 있다.
상기 원고 공급 유닛(100)에서는
(ㄱ) 표면 판독을 위한 급지 동작
(ㄴ) 뒷면 판독을 위한 급지 동작
(ㄷ) 레지스트레이션 위치에 있는 원고의 반전 급지 동작
(ㄹ) 화상을 판독한 원고를 재차 레지스트레이션 위치로 공급하는 동작
(ㅁ) 화상을 판독한 후에 원고를 배출하는 동작
(ㅂ) 원고를 레지스트레이션 위치로부터 배출하는 동작
등의 각 동작이 가능하다. 이하, 각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ㄱ) 표면 판독을 위한 급지 동작
원고 공급 트레이(120)에 세트된 원고는 급지 벨트(110)와 분리 롤러(111)에 의해 취득되는 동시에 1매로 분리되어 ARDF내부로 이송된다. 그 후, 풀 아웃 롤러(112)에 의해 이송되며 레지스트레이션 센서(101)가 원고 선단을 검지한 후 정지한다. 이 때, 반전 급지 모터의 회전 방향은 시계바늘 방향이다.
(ㄴ) 뒷면 판독을 위한 급지 동작
원고 공급 트레이(120)에 세트된 원고는 급지 벨트(110)와 분리 롤러(111)에 의해 취득되는 동시에 1매로 분리되어 ARDF내부로 이송된다. 그 후, 풀 아웃 롤러(112) 및 용지 배출 롤러(114)에 의해 이송된다. 그리고 용지 배출 센서(102)가 원고 선단을 검지한 후, 반전 전환 솔레이드를 온(ON) 시키고, 반전 전환톱(130)이 하측으로 전환되며, 이송 패스가 반전 트레이(121)로 열려진다. 이것에 의해 원고는 스위치 백 포인트(switch back point)(131)까지 이송되고, 그 후 정지한다. 이 때, 반전 급지 모터의 회전 방향은 시계 바늘 방향이다.
원고가 스위치 백 포인트(131)에 정지한 후, 반전 급지 모터의 회전 방향을 역시계바늘 방향으로 변경하고, 각각의 롤러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사이에 반전 전환 솔레노이드를 오프(OFF)하고, 반전 전환톱(130)이 상측으로 전환되며, 이송 패스를 재급지 패스(133)로 전환하여 레지스트레이션 센서(101)위치까지 이송한다. 이 때, 반전 급지 모터의 회전 방향은 역시계바늘 방향이다.
(ㄷ) 레지스트레이션 위치에 있는 원고의 반전 급지 동작
레지스트레이션 센서(101) 위치에 정지하여 있는 원고를 원고 판독 위치(132) 방향으로 이송하고, 용지 배출 센서(102)가 원고 선단을 검지한 후, 반전 전환 솔레노이드를 온 하여 반전 전환톱(130)을 하측으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이송 패스가 반전 트레이(121)로 열려지고, 원고 후단을 용지 배출 센서(102)로 검지한 후, 스위치 백 포인트(131)까지 이송하여 정지시킨다. 이 때 반전 급지 모터의 회전 방향은 시계바늘 방향이다.
원고가 스위치 백 포인트(131)에 정지한 후, 반전 급지 모터의 회전 방향을 역시계 바늘 방향으로 바꾸어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사이에 반전 전환 솔레노이드를 오프하고, 반전 전환톱(130)에 의해 이송 패스를 재급지 패스(133)로 전환하여 레지스트레이션 센서(101) 위치까지 이송한다. 이 때, 반전 급지 모터의 회전 방향은 역시계바늘 방향이다.
(ㄹ) 화상을 판독한 원고를 재차 레지스트레이션 위치로 공급하는 동작
레지스트레이션 센서(101) 위치에 정지하여 있는 원고를 원고 판독 위치(132) 방향으로 이송하여 원고 판독 위치(132)에서 노광을 행하고, 용지 배출 센서(102)가 원고 선단을 검지한 후, 반전 전환 솔레노이드를 온하고 이송 전환톱(130)에 의하여 이송 패스가 반전 트레이(121)로 열려지며, 원고 후단을 용지 배출 센서(102)가 검지한 후, 스위치 백 포인트(131)까지 이송하여 정지시킨다. 이 때, 반전 급지 모터의 회전 방향은 시계 바늘 방향이다.
원고가 스위치 백 포인트(131)에 정지한 후, 반전 급지 모터의 회전 방향을 역시계 바늘 방향으로 바꾸어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사이에 반전 전환 솔레노이드를 오프하고, 반전 전환톱(130)에 의해 이송 패스를 재급지 패스(133)로 전환하여 레지스트레이션 센서(101) 위치까지 이송한다. 이 때, 반전 급지 모터의 회전 방향은 역시계바늘 방향이다.
(ㅁ) 화상을 판독한 후에 원고를 배출하는 동작
레지스트레이션 센서(101) 위치에 정지하여 있는 원고를 원고 판독 위치(132) 방향으로 이송하여 원고 판독 위치(132)에서 노광을 행하고, 반전 전환 솔레노이드를 오프하여 반전 전환톱(130)에 의해 이송 패스가 원고 배출 트레이(123)로 열려지고, 배출구까지 이송되어 정지한다. 이 때, 반전 급지 모터의 회전 방향은 시계 바늘 방향이다.
(ㅂ) 화상을 레지스트레이션 위치로부터 배출하는 동작
레지스트레이션 센서(101) 위치에 정지하여 있는 원고를 원고 판독 위치(132) 방향으로 이송하고, 반전 전환 솔레노이드는 오프하고 반전 전환톱(130)에 의해 이송 패스가 용지 배출 트레이(123)로 열려지고, 배출구까지 이송하여 정지시킨다. 이 때, 반전 급지 모터의 회전 방향은 시계바늘 방향이다.
화상 판독 유닛(200)은 광원으로서의 노광 램프(201)를 원고에 조사하고,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미러(202)를 통하여 고체 화상 형성 소자(CCD)(203)로 유도하며, CCD(203)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필요한 화상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한 장치가 사용되어 있다.
1.2 프린터 엔진
화상 형성 유닛(300)은 이 실시예에서는 전자 사진 방식으로 화상 형성을 행하는 프린터 엔진이 채용되어 있지만, 본질적으로는 전기 신호로 보내진 화상을 전자 사진, 감광, 열 전사, 잉크젯 등의 수단에 의해 보통 용지, 감열지 등에 형성하는 유닛이면 충분하다. 전자 사진 방식의 프린터 엔진의 구성은 공지되어 있지만 도 2에 따라 개략적으로 서술한다.
도 2에 있어서, 화상 판독 유닛(200)으로 판독되어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 화상 신호는 LD(레이저 다이오드) 유닛(301)에 가해져 변조되어 레이저 빔으로서 폴리컨 미러(302)로 입사한다. 폴리건 모터(303)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 구동되는 폴리건 미러(302)로 입사한 레이저 빔은 기록 미러(304)에서 반사되어 감광체 드럼(305)으로 입사되어 공지의 전자 사진 기술에 의해 잠상을 형성한다. 형성된 잠상은 현상기(306)에 의해 토너 현상되고, 레지스트레이션 롤러(401) 위치에서 정지하여 있던 용지는 토너 현상화된 화상과 타이밍을 맞추어 송출되어 전사 유닛(307)에서 감광체 드럼(305)위의 토너 화상을 용지위에 전사한다. 전사된 화상은 정착 유닛(308)에서 가열·가압 정착되며, 기내 용지 배출부(402) 혹은 용지 배출 커버(403)를 개방함으로써 형성되는 기외(機外) 용지 배출부로 배출된다. 또 양자의 전환을 위하여 이송 경로 전환 톱(404)이 설치되어 있고, 기내 용지 배출부(402)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이송 롤러(405)에 의해 송출된다.
용지는 제1 또는 제2의 급지 카세트(406, 407)로부터 급지 롤러(408, 409)에 의해 취득되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401) 위치로 보내진다.
제2 급지 카세트(407)로부터의 경로에는 이송 롤러(410)가 설치되어 용지를 이송한다. 또 상기 급지 카세트(406, 407) 외에 수동으로 용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수동 급지 문(411)이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수동으로 용지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수동 급지 문(411)을 개방하여 여기서부터 용지를 공급할 수 있다.
1.3 용어의 정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복사기의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관하여 오해가 없도록 정의하여 둔다.
(1)[확장 기능], [응용]
이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복사기의 주요한 특징에는 화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판독하고, 전기 신호를 화상 형성 유닛에서 복원할 수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 때에 판독한 전기 신호를 여러가지로 변화, 전달하는 수단을 구비하면, 복사기 이외의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팩스 기능, 프린터 기능 이외에도 스캐너 기능, 파일 시스템 기능 등을 구비하게 함으로써 이들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응용 범위는 아주 넓다. 이들의 확장 기능을 [응용]이라고 표현한다.
(2) [비디오 신호]
전술한 화상 판독 유닛(200)에서 변환된 화상의 전기 신호, 화상 형성 유닛(300)으로 입력되는 화상의 전기 신호 및 화상의 전기 신호와 동기를 취하기 위한 신호를 합쳐서 여기서는 [비디오 신호]라고 표현한다.
(3) [제어 신호], [명령]
또한, 비디오 신호를 화상 판독 유닛(200), 화상 형성 유닛(300) 및 상기 응용 간에서 교환하기 위해서는 유닛 사이에서 정보를 서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 이 수단을 [제어 신호] 또는 [명령] 발행이라고 표현한다.
(4) [시스템], [시스템 제어], [시스템 제어기]
최근의 디지털 복사기에서는 전술한 응용을 하나만 등재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응용을 동시에 등재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자원을 공유하는 디지털 복사기를 [시스템]이라고 표현하며, 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시스템 제어], [시스템 제어기]라고 표현한다.
(5) [자원], [리소스]
복수개의 응용으로부터 공유되는 기능 유닛 단위를 [자원], [리소스]라고 표현한다. 전술한 시스템 제어기는 이 리소스 단위로 시스템 제어를 행하고 있다. 본 건의 디지털 복사기로 관리하고 있는 자원은 [화상 판독 유닛], [화상 형성 유닛], [조작부], [메모리], [주변기(DF = 원고 공급 유닛, 소터 등)]이 있다.
(6) [음영], [음영 데이터], [음영 보정]
백 레벨을 정의하기 위하여 백지 원고를 판독하였을 때의 출력을 주주사 방향의 1라인 분을 유지하고, 통상 이것을 음영 파형, 음영 데이터라고 한다. 이 음영 파형, 음영 데이터는 램프의 환경 온도나 점등 시간, 누적 사용 시간에 의해 변화하는 것이다. 판독한 화상 신호는 음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한다. 이 보정을 함으로써 적절한 화상 신호를 얻고 있다.
1.4 시이트 통과 음영 동작
본 실시예에서 실행되는 시이트 통과 음영 동작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순서로 행해진다. 음영판(140)은 도 1에 있어서, 원고(시이트)의 판독 위치(132)보다도 시이트 이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며, 스캐너 왕복대(205)가 위치A (211)로부터 위치B로 이동하는 동안(스텝 S301)에 백판(음영 판)(140)을 판독하여 음영 데이터를 생성한다(스텝 S302).
그리고, 스캐너 왕복대(205)를 B위치(212)에서 정지시키고(스텝 S303), 나아가 스캐너 왕복대(205)를 B위치(212)로부터 A위치(211)로 복귀시켜 처리를 끝낸다(스텝 S304, 305, 306).
스캐너 왕복대(205)는 도 2에 나타낸 스캐너 구동 모터(204)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스캐너 왕복대(205)에는 전술한 노광 램프(201), CCD(203)로 입광시키기 위한 미러(202)가 구비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시이트 통과 방식에서는 판독 위치가 음영 위치와 상이하므로, 음영 동작에서는 상기 스캐너 왕복대(205)의 이동이 필요하게 된다.
1.5 화상 형성 장치의 하드 구성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복사기의 하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디지털 복사기(1)는 내부에 화상 형성 유닛(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21a)를 마련한 복사 응용 (21)과 시스템 제어기(10)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템 제어기(10)는 화상 메모리(501)를 구비한 메모리 유닛(500), 화상 형성 유닛(300), 화상 판독 유닛(200), 원고 공급 유닛(100), CPU(2), ROM(3), RAM(4) 및 조작부(5)를 제어한다. 복사 응용(21)은 시스템 제어기(10)와 제어 신호선(7)에 의해 서로 제어 신호를 통신하고, 조작부(5)와는 조작부 제어 버스(8)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복사 응용(21), 메모리 유닛(500) 및 화상 형성 유닛(300)에는 화상 형성 신호 버스(9)를 통하여 화상 판독 유닛(200)에서 판독한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며, 각 응용에 따른 처리가 실행된다.
1.6 화상 형성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
도 5에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복사기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이 구성에서는 소프트웨어 구성은 3층, 즉 응용층(20), 시스템 제어층(30), 및 장치 제어층(40)으로 이루어진다. 응용층(20)에는 복사 응용(21)과 다른 응용(22)이 편입되고, 시스템 제어층(30)에는 각자가 시스템 제어기(10)에 접속되어 있는 조작부 제어기(31), 메모리 유닛 제어기(32), 화상 형성 유닛 제어기(33), 화상 판독 유닛 제어기(34), 원고 공급 유닛 제어기(35)가 편입되어 있다. 각 제어기(31∼35)는 조작부(5), 메모리 유닛(500), 화상 형성 유닛(300), 화상 판독 유닛(200), 원고 공급 유닛(100)을 각각 조작하기 위한 제어기이다. 또한 장치 제어층(40)에는 입력 출력 제어(41)가 편입되고, 입력 출력 제어(41)는 상기 각 제어기(31∼35)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디지털 복사기(1)의 경우, 멀티 태스크형의 시스템(multitasking system)을 구성함으로써 복사 응용(21) 외에도 여러가지 응용을 탑재할 수 있다. 복사 응용(21)은 화상 형성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멀티 태스크형의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기능 단위를 리소스로서 취급하고, 하나의 리소스를 복수개의 응용으로 공유하기 위한 관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 관리를 행하는 것이 시스템 제어층(30)이다. 이 시스템 제어층(30)에서는 시스템 제어기(10)가 각 제어기(31∼35), 각 응용 정보의 입력 출력의 전부를 청부 맡고 있다.
장치 제어층(40)은 시스템 제어층(30)으로부터의 명령, 제어 신호 등의 논리적 지시로부터 실제로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클러치, 센서, 모터 등의 기계적 입력 출력을 구동, 입력하는 변환을 수행하고 있다.
원고 공급 유닛(100)에 관해서는 시리얼 통신을 이용하여 명령 제어를 수행하고, 시이트 공급 이송을 동작시키는 방법과, 시스템 제어기(10)의 CPU(2) 제어에 의해 제어하는 방법이 있는데,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원고 공급 유닛(100)에서는 다음 원고의 검지 방법으로서 원고 세트 센서(193)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원고 후단이 레지스트레이션 센서(101)를 통과했을 때에 원고 세트 센서(193)가 온(ON) 인 경우는 다음 원고가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앞 원고가 판독을 종료하기 전에 다음의 판독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1.7 음영 보정에 관한 화상 데이터의 흐름
음영 보정에 관한 화상 데이터의 흐름을 화상 처리를 중심으로 한 하드 구성과 함께 도 6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있어서 CCD(203)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601)는 증폭 후, A/D변환기(602)에서 A/D변환되어 음영 보정 회로(603)에 들어간다. 미리 음영 동작에 의해 취득되어 메모리에 기억된 음영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 처리부(604)에서 화상 처리를 실행하고, 화상 형성부(608)((화상 형성 유닛(300)과 같음)에서 화상이 형성된다. 또 A/D변환기(602), 음영 보정 회로(603), 화상 처리부(604), 화상 형성부(608)는 CPU(607)(도 4의 CPU(2)와 같음)에 의해 제어된다.
디지털 복사기(1)에는 주변 장치(기능)(609)으로서 타이머가 마련되어 있고, 정기적으로 계수기에 의해 계수되며, 그것에 의해 시간 계측을 할 수 있다. 이 시간으로부터 각종 램프의 점등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는 판독 종료 후, 어느 일정 시간 다음의 동작 지시가 없는 경우는 노광 램프(201)를 오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CPU(607)에는 모터나 클러치 등의 부하계(610) 및 센서(611)가 접속되고, 상기 CPU(607)에 의해 제어된다. 또 주변 장치(609), 부하계(610) 및 센서(611) 등은 소프트적으로는 장치 제어층(40)에 편입되어 있다.
1.8 판독 원고와 전사지의 동기
한편, 디지털 복사기(1)에 한하지 않고, 복사기에서는 판독 원고와 전사지의 동기를 취할 것이 필요하며, 그 타이밍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해지도록 하고 있는데, 복사 개시로부터 원고와 용지(전사지)의 준비(스텝 S701∼704)가 되어 비로서 판독과 기록 동작이 개시된다(스텝 S705). 그 외, 팩스의 경우는 팩스의 응용 준비와 판독 동기 등, 판독 동작과 동기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1.9 음영 동작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영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원고를 1매 판독하는 것을 가상하여 예를 든다. 3매 이상의 복수 매라도 제어는 변하지 않는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음영 동작을 행한다는 것은 주행체(스캐너 왕복대)(205)가 원고 판독 위치(132)로부터 기준 백판(음영판)(140) 위치까지 이동하여 음영 데이터를 수집하고, 나아가 주행체(205)를 원고 판독 위치(132)까지 이동시키는 동작을 말한다. 또한 판독 직후에 음영 동작을 행하는 타이밍을 도 8에 나타낸다.
도 8의 타이밍도는 스캐너 모터의 구동(810)에 따른 음영 동작과 음영 데이터의 취득 기간(820)과 화상 유효 범위(830)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제1 매의 원고 판독 개시(803), 제1 매의 원고 판독 종료(805), 제2 매의 원고 판독 개시(808)의 각 타이밍과, 음영 동작(801, 806), 음영 데이터 판독 기간(802, 807) 및 원고의 판독 기간(804, 809)의 타이밍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동작으로서 이하의 4가지 경우가 있다.
1) 제1 매의 판독에 관해서는 판독하기 전에 음영 동작을 행하고, 나아가 판독을 종료 한 후(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직후)에도 음영 동작을 행한다.
도 9의 전반 부는 이 음영 동작의 제어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처리에서는 우선 음영 동작이나 판독 동작에 필요한 동작 매개 변수를 세트하고(스텝 S901), 음영 동작을 행한다(스텝 S902). 음영 동작 후, 판독 동작을 개시하며(스텝S903), 판독 종료를 기다린다(스텝 S904). 판독 종료 후(스텝 S905), 음영 동작을 행한다(스텝 S906).
이와 같이 처리하면, 스캐너 왕복대(205)의 이동을 따른 음영 동작이 필요한 구성의 화상 판독 유닛(100)을 마련한 기기에 있어서, 제1 매의 판독에 관해서는 판독 전에 음영 동작을 행하고, 나아가 판독 종료 후(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직후)에도 음영 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다음 원고가 판독 위치에 오기 전에 다음 원고의 판독을 위한 음영 동작을 행함으로써 복수 매를 연속 판독하는 스루풋이 향상된다.
2) 제 2매는 이미 제1 매의 판독 종료시에 음영 동작을 행하고 있으므로 판독 전에 음영 동작은 행하지 않는다.
도 9의 후반부는 이 음영 동작의 제어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음영 동작이 종료하고(스텝 S907), 다음의 판독 준비가 되면(스텝 S908), 동작 매개 변수를 설정하여(스텝 S909) 판독 동작을 개시하고(스텝 S910), 판독 종료를 기다린다(스텝 S911). 판독 종료 후(스텝 S912), 음영 동작을 행하며(스텝 S913),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914).
이와 같이 처리하면, 제1 매의 원고 판독 직후의 음영 동작이 행해졌을 때에는 다음 원고의 음영 동작을 행하지 않으므로 복수 매 연속 판독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제1 매 판독 종료 후의 음영 동작 후, 전사지의 준비 등으로 다음의 판독 개시까지 시간이 비어 노광 램프(201)를 오프 하는 바와 같은 제어가 있은 경우에,재차 노광 램프(201)를 온 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그 경우는 양호한 화상 품질을 얻기 위하여 재차 음영 동작을 행한다.
도 10은 이 음영 동작의 제어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처리에서는 우선 음영 동작이나 판독 동작에 필요한 동작 매개 변수를 세트하고(스텝S1001), 음영 동작을 행한다(스텝S1002). 음영 동작 후, 판독 동작을 개시하고(스텝S1003), 판독 종료를 기다린다(스텝 S1004). 판독 종료 후(스텝S1005), 음영 동작을 행한다(스텝S1006). 여기까지는 제1 매의 동작이다. 음영 동작이 종료하고(스텝S1007), 다음의 판독 준비가 되면(스텝 S1008), 동작 매개 변수를 설정한다(스텝 S1009). 여기까지는 도 9의 제어 순서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노광 램프(201)가 꺼져 있는지를 판단하고(스텝 S1010), 노광 램프(201)가 꺼져 있는 상태이면, 램프를 온 시켜(스텝 S1011) 음영 동작을 행한다(스텝 S1012). 그 후, 판독 동작을 개시하고(스텝 S1013), 제 2매를 판독한다. 판독 종료를 기다려서(스텝 S1014, S1015) 음영 동작을 행하며(스텝 S1016),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1017).
즉, 원고 판독 후, 음영 동작을 행하고, 그 후 동기 동작에서의 대기 시간 등에서 노광 램프(201)가 꺼진 경우는 원고 판독 전의 음영 동작을 생략하지 않고 노광 램프(201)를 온 하여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재차 음영 동작을 행함으로써 적절한 음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4) 제1 매 판독 종료 후의 음영 동작 후, 동기 준비 등으로 다음의 판독 개시까지 시간이 비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양호한 화상을 얻기 위하여 음영 동작을 재차 수행한다.
도 11은 이 음영 동작의 제어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처리에서는 우선 음영 동작이나 판독 동작에 필요한 동작 매개 변수를 세트하고(스텝 S1101), 음영 동작을 행한다(스텝 S1102). 음영 동작 후, 판독 동작을 개시하며(스텝 S1103), 판독 종료를 기다린다(스텝 S1104). 판독 종료 후(스텝 S1105), 음영 동작을 행한다(스텝 S1106). 여기까지 제1 매의 동작이다. 음영 동작이 종료하고(스텝 S1107), 다음의 판독 준비가 되면(스텝 S1108), 동작 매개 변수를 설정한다(스텝 S1109). 여기까지는 전술한 도 9 및 도 10의 제어 순서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전 회의 음영 동작으로부터 어떤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110),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음영 동작을 행한다(스텝 S1111).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혹은 스텝 S1111에서 음영 동작이 종료하면, 판독 동작을 개시하고(스텝S1112), 제 2매를 판독한다. 판독 종료를 기다려서(스텝S1113, S1114) 음영 동작을 행하며(스텝S1115), 처리를 끝낸다(스텝S1116).
이와 같이 원고 판독 후, 음영 동작을 행하고, 그 후 동기 동작에서의 대기 시간 등으로 노광 램프(201)의 점등 시간이 긴 경우는 원고 판독 전에 음영 동작을 행함으로써 노광 램프(201)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하는 영향을 쉽게 받지 않게 되어 적절한 음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2. 제2 실시예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복수 매의 원고시에 이용자가 화상 품질 모드를 도중에 전환하는 경우나 바탕 제거 모드를 전환하는 등 경우, 다음의 원고 판독을 위한 음영 데이터를 고치는 것에 관해서는 특히 고려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이 제 2실시예에서는 이들 전환에 대응하여 음영 데이터를 고쳐서 화상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1.1의 [화상 형성 장치(디지털 복사기)의 개략 구성] 내지 1.8의 [판독 원고와 전사지의 동기]까지의 각 구성 및 동작과 동일하므로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 실시예에서 [바탕 제거 모드]는 용지의 바탕 오점이나 바탕이 연한 색 등을 제거하는 모드로, 원고 판독시에 판독한 신호 레벨의 하위에 있는 일정 레벨을 차단함으로써 수행된다. 이것에 의해 스캐너로 판독한 흑점, 오점, 연한 바탕을 제거할 수 있다.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조작부 위에는 [자동 농도], [바탕 제거] 등의 명칭이 붙은 키가 존재한다. 바탕 제거 처리는 취득한 음영 데이터를 가공함으로써 제거된다. 바탕 제거를 위한 음영 데이터 가공, 처리는 현재 기지의 기술이다.
또한, 이용자가 키를 누름으로써 전환되고, 도 4에 나타낸 조작부(5)로부터 누름이 통지되어 [ON], [OFF]가 토글(toggle)에 의해 전환된다.
또한, [화상 품질 모드]는 예컨대 디지털 복사기에 있어서, 도 6의 화상 처리부(604)에서 화상 처리를 행하여 화상 품질을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는 오차 확산 처리, 디더 처리 등 화상 처리를 행한다. 그 선택 방법으로서 통상조작부(5)에는 [문자], [문자 사진], [사진]등 명칭이 붙은 전환 키가 존재한다. 이 전환 키에 의해 바탕 제거 기능 설정도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예를 들면, [문자], [문자 사진]은 바탕 제거 온(ON)으로 하고, [사진]은 바탕 제거 오프(OFF)로 한다. 사진 모드에서는 명암 단계성이 중시되기 때문에 통상 바탕 제거가 행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 설정은 변화시킬 수 있으며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용자가 키를 누름으로써 전환되고, 조작부(5)로부터 눌러짐이 통지되면, [문자]→[문자 사진]→[사진]→[문자]라고 누를 때마다 모드가 변화하여 간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영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원고를 복수 매 판독할 때의 제1 매로부터의 동작을 가상한 예를 든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음영 동작이라고 하는 것은 주행체(스캐너 왕복대)(205)가 판독 위치(132)로부터 기준 백판(음영 판)(140)까지 이동하여 음영 데이터를 수집하고, 나아가 주행체(205)를 판독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동작을 가리킨다.
도 12는 판독 직후에 음영 동작을 하는 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12의 타이밍도는 스캐너 모터의 구동(1210)에 따른 음영 동작과 음영 데이터의 취득 기간(1220)과 화상 유효 범위(1230)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제1 매의 원고 판독 개시(1231), 제1 매의 원고 판독 종료(1233), 제 2매의 원고 판독 개시(1234)의 각 타이밍과, 음영 동작(1211, 1212, 1213), 음영 데이터의 취득 기간(1221, 1222, 1223) 및 원고 판독 기간(1232, 1235)의 타이밍이 표시되어 있다.
이 타이밍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매의 원고 판독 직후(1233)에 음영 동작(1212, 1222)을 행한다. 또한 화상 품질 모드, 바탕 제거 모드의 전환이 판명된 경우, 판독 직후의 음영 동작(1212, 1222) 후에 재차 음영 동작(1213, 1223)을 행한다. 이 타이밍은 전술한 도 8에 나타낸 타이밍에 대하여 제1 매의 판독을 끝낸 직후에 화상 품질 모드 혹은 바탕 모드의 전환이 발생하면, 제2 매를 판독하기 전에 음영 동작(1213, 1223)을 실행하는 처리를 삽입한 것이다.
즉, 화상 품질 모드, 바탕 제거 모드의 전환이 판독 도중에 전환된 경우는, 그 시점에서 판독하는 원고에 대해서는 변경이 불가능하지만, 다음의 원고로부터 그 화상 품질 모드, 바탕 제거 모드가 반영된다. 그래서 다음의 원고 판독 개시시에 전 회의 판독시와 비교하여 화상 품질 모드, 바탕 제거 모드의 상태가 다른지 어떤지를 판단하고, 모드가 다른 경우는(화상 품질 모드, 바탕 제거 모드의 전환이 발생) 음영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판독 동작 종료 직후에 음영 동작을 하는 방법의 경우, 화상 품질 모드, 바탕 제거 모드의 변경이 있은 경우는 다음의 판독 개시 동작 전에 재차 음영 동작을 할 필요가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화상 품질 모드 전환 발생], [바탕 제거 모드 전환 발생]이라고 할 때는, 전 회의 판독 개시시의 모드와 다른 설정이 행해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동작을 도 13 및 도 1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1 매의 판독에 관해서는 판독 전에 음영 동작을 행하고, 나아가 판독 종료후(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직후)에도 음영 동작을 행하며, 그 후,화상 품질 모드 전환이 발생한 경우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처리에서는 우선 음영 동작이나 판독 동작에 필요한 동작 매개 변수를 세트하고(스텝 S1301), 음영 동작을 한다(스텝 S1302). 음영 동작 후, 판독 동작을 개시하며(스텝 S1303), 판독 종료를 기다린다(스텝 S1304). 판독 종료 후(스텝 S1305), 음영 동작을 한다(스텝 S1306). 음영 동작이 종료하고(스텝 S1307), 다음의 원고 판독 동작이 되어 있으면(스텝 S1308), 다음의 원고 동작 매개 변수를 설정하고(스텝 S1309), 화상 품질 모드 전환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310). 그리고 화상 품질 모드의 전환이 발생한 경우는 음영 동작을 수행한다(스텝 S1311). 음영 동작이 종료한 후 판독 동작을 개시하고(스텝 S1312), 판독 종료를 기다려서(스텝 S1313, 스텝 S1314) 음영 동작을 수행하고(스텝 S1315),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1316). 나아가, 다음의 원고가 있는 경우는 스텝 S1307의 동작으로부터 반복한다.
도 14는 제1 매의 판독에 관해서는 판독전에 음영 동작을 행하고, 나아가 판독 종료후(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직후)에도 음영 동작을 행하며, 그 후, 바탕 제거 모드 전환이 발생한 경우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도 13에 있어서의 스텝S1310의 화상 품질 모드 전환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대신에 바탕 제거 모드의 전환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스텝 S1310')로 한 것으로, 그 외의 처리 순서는 도 13의 각 처리와 동일하므로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생산성을 고려하여 판독 직후에 음영 동작을 행하는 경우, 화상 품질 모드의 전환이 발생하여도 적절한 음영 동작을 행하므로 이용자의 수요에 알맞는 양호한화상 판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판독 개시 직전에 화상 품질 모드의 변화가 있었는지 어떤지, 혹은 바탕 제거 모드의 변화가 있었는지 어떤지를 판단하기 때문에 판독 직전까지 이용자의 수요에 알맞는 화상 판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판독 종료시에는 이미 음영 동작을 행하고 있어 화상 품질 모드 전환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또한, 바탕 제거 모드 전환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음영 동작을 하지 않고 판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 1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원고 판독 전후로 각각 주행체를 음영 판의 위치로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므로, 다음 원고가 판독 위치에 오기 전에 다음의 원고 판독을 위한 음영 동작이 완료하고, 이것에 의하여 복수 매를 연속 판독하는 스루풋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청구항 2, 1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앞 원고 판독이 종료 후에 주행체를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행한 경우는 다음의 원고 판독 전의 음영 동작을 생략하여 원고를 판독시키고, 판독 종료 직후에 음영 동작을 하게 하므로, 연속하여 같은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복수 매를 연속 판독하는 스루풋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청구항 3, 1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 1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다음 원고 판독전에 노광 램프가 꺼져 있을 때에는 다음의 원고 판독 전에 주행체를 음영 판의 위치로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하게 하므로, 노광 램프가 꺼진 경우에도 적절한 음영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정밀도가 높은 화상 데이터를얻을 수 있다.
청구항 4, 1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 1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다음 원고 판독 동작까지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는 다음 원고 판독 전에 주행체를 음영 판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하게 하므로, 동기 동작에서의 대기 시간 등으로 노광 램프의 점등 시간이 긴 경우에도 적절한 음영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정밀도가 높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5, 1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복수 매의 원고일 때, 다음의 원고 판독 개시까지 앞 원고의 화상 품질 모드에 대하여 전환이 행해진 경우는 다음의 원고 판독 전에 화상 품질 설정을 하여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므로, 이용자의 수요에 알맞는 양호한 화상 판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음 원고의 판독 개시 직전에 화상 품질 모드의 변화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판독 직전까지 이용자의 수요에 알맞는 화상 판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판독 종료시에 이미 음영 동작을 행하고 있어 화상 품질 모드 전환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음영 동작을 재차 하지 않고 판독할 수 있다.
청구항 6, 1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복수 매 원고일 때, 다음 원고 판독 개시까지 앞 원고의 바탕 제거 설정에 대하여 전환이 행해진 경우는 다음 원고의 판독 전에 바탕 제거 설정을 하여 음영 동작을 수행하므로, 이용자의 수요에 알맞는 양호한 화상 판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음 원고의 판독 개시 직전에 바탕 제거 모드의 변화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판독 직전까지 이용자의 수요에 알맞는 화상 판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판독 종료시에 이미 음영 동작을 행하고 있어 바탕 제거 모드 전환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음영 동작을 하지 않고 판독할 수 있다.
청구항 7, 8, 9, 10, 17, 18, 19, 20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2, 5, 6에 기재한 화상 판독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하는 화상 처리 유닛과, 이 화상 처리 유닛에 의하여 처리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현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불필요한 음영 동작을 행하지 않고 정밀도 높은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양호한 품질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Claims (20)

  1. 압판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를 판독하는 노광 광학계와,
    판독한 화상 정보의 백의 기준을 보정하기 위한 음영 판과,
    상기 노광 광학계로 상기 음영 판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계의 판독 위치를 이동시키는 주행체와,
    원고 판독 전후에 각각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로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어기
    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유닛.
  2. 압판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를 판독하는 노광 광학계와,
    판독한 화상 정보의 백의 기준을 보정하기 위한 음영 판과,
    상기 노광 광학계로 상기 음영 판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계의 판독 위치를 이동시키는 주행체와,
    앞 원고 판독 종료 후에 상기 주행체를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한 경우는, 다음 원고 판독 전에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지 않고 원고를 판독시키며, 판독 종료 직후에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고, 재차 판독 위치로 주행체를 이동시키는 제어기
    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노광 램프가 꺼졌을 때에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고, 재차 판독 위치로 주행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유닛.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는 동작까지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고, 재차 판독 위치로 주행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유닛.
  5. 압판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를 판독하는 노광 광학계와,
    판독한 화상 정보의 백의 기준을 보정하기 위한 음영 판과,
    상기 노광 광학계로 상기 음영 판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계의 판독 위치를 이동시키는 주행체와,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로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어기를 마련하며, 상기 제어기는 복수 매 원고시, 다음 원고의 판독 개시까지 앞 원고의 화상 품질 모드에 대하여 전환이 행해진 경우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화상 품질 설정을 한 후에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유닛.
  6. 압판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를 판독하는 노광 광학계와,
    판독한 화상 정보의 백의 기준을 보정하기 위한 음영 판과,
    상기 노광 광학계로 상기 음영 판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계의 판독 위치를 이동시키는 주행체와,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각각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로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어기를 마련하며, 상기 제어기는 복수 매 원고시, 다음 원고의 판독 개시까지 앞 원고의 바탕 제거 설정에 대하여 전환이 행해진 경우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바탕 제거 설정을 한 후에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유닛.
  7. 청구항 1에 기재한 화상 판독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유닛과,
    이 화상 처리 유닛에 의하여 처리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현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
    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청구항 2에 기재한 화상 판독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유닛과,
    이 화상 처리 유닛에 의하여 처리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현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
    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청구항 5에 기재한 화상 판독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유닛과,
    이 화상 처리 유닛에 의하여 처리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현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
    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청구항 6에 기재한 화상 판독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유닛과,
    이 화상 처리 유닛에 의하여 처리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현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
    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압판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를 노광 광학계에 의해 판독하는 단계,
    판독한 화상 정보의 백의 기준을 음영 판에 의해 보정하는 단계,
    상기 노광 광학계로 상기 음영 판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계의 판독 위치를 주행체에 의해 이동시키는 단계,
    원고 판독 전후에 각각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로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방법.
  12. 압판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를 노광 광학계에 의해 판독하는 단계,
    판독한 화상 정보의 백의 기준을 음영 판에 의해 보정하는 단계,
    상기 노광 광학계로 상기 음영 판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계의 판독 위치를 주행체에 의해 이동시키는 단계,
    앞 원고 판독 종료 후에 상기 주행체를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한 경우는, 다음 원고 판독 전에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지 않고 원고를 판독시키며, 판독 종료 직후에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고, 재차 판독 위치로 주행체를 이동시키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에서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노광 램프가 꺼졌을 때에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고, 재차 판독 위치로 주행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에서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는 동작까지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고, 재차 판독 위치로 주행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방법.
  15. 압판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를 노광 광학계에 의해 판독하는 단계,
    판독한 화상 정보의 백의 기준을 음영 판에 의해 보정하는 단계,
    상기 노광 광학계로 상기 음영 판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계의 판독 위치를 주행체에 의해 이동시키는 단계,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로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고, 복수 매의 원고시, 다음 원고의 판독 개시까지 앞 원고의 화상 품질 모드에 대하여 전환이 행해진 경우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화상 품질 설정을 한 후에 음영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방법.
  16. 압판 위에서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를 노광 광학계에 의해 판독하는 단계,
    판독한 화상 정보의 백의 기준을 음영 판에 의해 보정하는 단계,
    상기 노광 광학계로 상기 음영 판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계의 판독 위치를 주행체에 의해 이동시키는 단계,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각각 상기 주행체를 상기 음영 판의 위치로 이동시켜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고, 복수 매의 원고시, 다음 원고의 판독 개시까지 앞 원고의 바탕 제거 설정에 대하여 전환이 행해진 경우는 다음 원고를 판독하기 전에 바탕 제거 설정을 한 후에 음영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방법.
  17. 청구항 1에 기재한 화상 판독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단계,
    이 화상 처리 단계에서 처리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현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8. 청구항 2에 기재한 화상 판독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단계,
    이 화상 처리 단계에서 처리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현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9. 청구항 5에 기재한 화상 판독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단계,
    이 화상 처리 단계에서 처리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현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20. 청구항 6에 기재한 화상 판독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단계,
    이 화상 처리 단계에서 처리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현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KR10-2000-0079766A 1999-12-28 2000-12-21 화상 판독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397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74270 1999-12-28
JP11374270A JP2001053938A (ja) 1999-05-31 1999-12-28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594A KR20010062594A (ko) 2001-07-07
KR100397774B1 true KR100397774B1 (ko) 2003-09-13

Family

ID=18503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766A KR100397774B1 (ko) 1999-12-28 2000-12-21 화상 판독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06464B2 (ko)
KR (1) KR1003977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1397B2 (en) * 2001-03-12 2004-08-03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reader for use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40156076A1 (en) * 2002-09-17 2004-08-12 Atsushi Togami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and computer product
US7259896B2 (en) * 2002-10-07 2007-08-21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Office automation apparatus with calibration and positioning device for automatic document feeder
US7020429B2 (en) * 2003-06-12 2006-03-28 Nisca Corporation Sheet supply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7663786B2 (en) 2003-09-29 2010-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s in automatic document feeder mode thereof
JP4605386B2 (ja) * 2005-11-30 2011-0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EP1988702B1 (en) * 2007-04-30 2016-01-0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device
JP2009130380A (ja) * 2007-11-19 2009-06-11 Ricoh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07596B2 (ja) * 2008-12-25 2011-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2010245619A (ja) * 2009-04-01 2010-10-28 Canon Inc 原稿読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4551A (ja) * 1996-04-18 1997-10-31 Ricoh Co Ltd 画像読取装置
JPH104487A (ja) * 1996-06-17 1998-01-06 Minolta Co Ltd 画像読取装置
JPH10336444A (ja) * 1997-04-02 1998-12-18 Seiko Epson Corp 画像読み取り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146199A (ja) * 1997-11-10 1999-05-28 Canon Inc 画像読取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2987A (en) * 1985-12-28 1987-10-27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Developing method for electrophotography
GB2206261B (en) * 1987-06-22 1992-02-05 Konishiroku Photo Ind Multicolour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JP2968311B2 (ja) * 1990-05-21 1999-10-25 株式会社リコー 地肌濃度制御複写装置
JPH0568144A (ja) * 1991-05-24 1993-03-19 Ricoh Co Ltd デジタル画像形成装置
JPH07264400A (ja) 1994-03-18 1995-10-13 Nec Corp シェーディング補正回路
JP3275541B2 (ja) 1994-06-16 2002-04-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H09247395A (ja) 1996-03-06 1997-09-19 Ricoh Co Ltd 画像読取装置
JPH10108014A (ja) 1996-09-30 1998-04-24 Canon Inc カラー画像読取り装置
JPH10271279A (ja) * 1997-03-27 1998-10-09 Murata Mach Ltd 画像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4551A (ja) * 1996-04-18 1997-10-31 Ricoh Co Ltd 画像読取装置
JPH104487A (ja) * 1996-06-17 1998-01-06 Minolta Co Ltd 画像読取装置
JPH10336444A (ja) * 1997-04-02 1998-12-18 Seiko Epson Corp 画像読み取り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146199A (ja) * 1997-11-10 1999-05-28 Canon Inc 画像読取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14227A1 (en) 2001-08-16
KR20010062594A (ko) 2001-07-07
US6606464B2 (en) 2003-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7774B1 (ko) 화상 판독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US2012018256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3581472A (zh) 图像形成装置及其控制方法
US5099336A (en) Copying machine capable of copying plural reproduced images from single original on a same copying paper and copying process thereof
JP2001053938A (ja)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10861A (ja) 原稿読取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6094208A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canner motor synchronization
US90919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396269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制御方法
JP2011103635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H1127444A (ja) 原稿読取り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複写装置、ファクシミリ装置、複合装置
JPH07250190A (ja) ファクシミリ機能付複写機
JP2003186355A (ja) 画像形成装置
JP6761451B2 (ja) 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0011879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56573A (ja) 画像形成装置
JP4189238B2 (ja) 画像形成装置
US4805120A (en) Two-color image recorder
JP336615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32012A (ja) 像形成装置
JP2002314801A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により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4713388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H0486759A (ja) 画像記録装置
JPH0937035A (ja) 画像形成装置
JPH107670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