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992B1 - 세포분석장치 - Google Patents

세포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992B1
KR100395992B1 KR1019950022190A KR19950022190A KR100395992B1 KR 100395992 B1 KR100395992 B1 KR 100395992B1 KR 1019950022190 A KR1019950022190 A KR 1019950022190A KR 19950022190 A KR19950022190 A KR 19950022190A KR 100395992 B1 KR100395992 B1 KR 100395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receiving
scattered
receiving sensor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2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303A (ko
Inventor
다까라다가오루
사까다다까시
효사요시히로
고우쓰끼지히로
Original Assignee
시스멕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멕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스멕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08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15/1456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without spatial resolution of the texture or inner structure of the particle, e.g. processing of pulse signals
    • G01N15/1459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without spatial resolution of the texture or inner structure of the particle, e.g. processing of pulse signals the analysis being performed on a sample strea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15/1434Optical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1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biological cells, e.g. blood cells
    • G01N2015/016White blood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2015/1477Multi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2015/1486Counting the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021/4704Angular selective
    • G01N2021/4711Multiangle measurement
    • G01N2021/4716Using a ring of sensors, or a combination of diaphragm and sensors; Annular sens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세포의 분류 및 계수를 행하는 세포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반도체레이저로부터 발사된 레이저광을 세류화된 세포에 조사하여 2종류의 산란광을 적어도 2개로 분할된 수광센서부에서 검출하는 소형이면서 값싼 세포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세포를 정렬시켜서 홀리는 플로우셀(3)과, 이 플로우셀(3)내를 흐르는 세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광조사수단(1)과, 세포에 의해 산란된 2종류의 산란광을 각각 검지할 수 있는 적어도 2개로 분획된 수광센서부를 갖는 수광수단(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분석장치이다.
4.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세류로서 흐르는 세포에 광을 조사하여 그 살좌광을 검출하므로써 분석을 행하는 세포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포분석 장치
본 발명은 세포의 분류 및 계수를 행하는 세포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세류로서 흐르는 세포에 광을 조사하여 그 산란광을 검출하므로써 분석을 행하는 세포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상검사분야에 있어서, 환자의 전체 혈액을 사용하여 혈액 중의 백혈구나 망상 적혈구 등을 분류 계수하는 것은 각종의 질병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이것을 목적으로 많은 분석장치가 발표되어 있다.
이들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RF신호강도 [고주파에 있어서의 전기 임피던스의 변화에 기초한 신호], DC신호강도 [직류에 있어서의 전기 임피던스(전기저항)의 변화에 기초한 신호], 형광강도, 산란광강도, 흡광도, 편광해소산란광 등의 파라미터를 측정하므로써, 백혈구의 부집단(림프구, 단구,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를 분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석장치에 있어서, 시료홉인부로부터 혈액시료를 홉인시키면 장치내에서 자동적으로 시료의 전처리가 이루어져 검출부로 도입되고,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를 계수 해석하므로써 소정의 세포 수나 함유량이 출력된다.
플로사이트미터는 그 일례이며, 혈액시료에 희색, 염색처리를 시행하여 시료액으로 하고, 그 시료액을 플로우셀 중앙부에 세류로서 흘린다.
광원으로부터의 가늘게 조인 광을 세류부분에 조사하므로써 검출부를 형성하고, 혈구가 그 검출부를 1개씩 통과할 때마다 발생하는 산란광이나 형광의 변화를 광검출기로 검출한다.
검출된 신호로부터 예를 들면, 산란광강도와 형광강도를 2축으로 한 2차원 분포도를 작성하여, 그 2차원 분포도에 분획선을 설정하므로써 세포의 분류, 계수를 행하는 것이다.
도10에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분석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광원(101)에는 Ar레이지, 또는 He-Ne레이저가 사용된다.
광원(101)으로부터 발광된 광은 렌즈(102)에 의해 집광되어서 플로우셀(103)의 중앙부에 세류로서 흐르는 세포에 조사된다.
세포에 조사된 광은 산란되어, 측방산란광은 렌즈(107)에 의해 집광되어서 광전자증배관(PMT)(108)에 조사된다.
또, 광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산란된 전방산란광은 렌즈(105)에 의해 집광되어 포토다이오드(PD)(106)에 조사된다.
여기에서, 104는 광원으로부터의 직접광이 PD(106)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빔스토퍼이다.
직접광이란, 입자에 산란되는 일이 없이 플로우셀을 그대로 투과하는 광이다.
이상과 같이, 측방산란광 및 전방산란광을 검출하여, 그 신호강도 등을 계측하므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세포의 분류가 실현된다.
예를 들면, 도10에 나타낸 분석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측방산란광과 전방산란광의 광감도 신호에 의해 염색하지 않은 백혈구세포의 부집단을 3개 이상의 집단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11에 측방산란광과 전방산란광의 광강도신호를 2축으로 한 산포도의 예를 나타낸다.
가로축이 측방산란광의 강도이고, 세로축이 전방산란광의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의하면 백혈구가 림프구, 단구 및 과립구의 3가지로 분류되어 있는것을 알 수 있다.
도12에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세포분석장치의 별도의 예를 나타낸다.
이것은 전방산란광, 측방산란광 및 형광을 검출하므로써 분석하는 장치지만, 이것을 이용하면 예를 들어, 백혈구 세포집단을 4가지 이상으로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2의 장치는 도10에 나타낸 것에 추가하여, 핀홀(111), 광의 파장을 선별하기 위한 다이크로익 필터(113), 밴드패스 필터(114) 및 형광을 검출하기 위한 광전자증배관(PMT)(109),(110),(115)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형광을 검출하기 위하여 백혈구세포를 형광염색하기 위한 시약을 첨가할 필요가 있다.
또 일본국 특개소 60-260830호에는 반도체레이저와 후래쉬램프의 2가지의 광원을 사용하는 세포 자동분석장치에 있어서의 세포조사광원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반도체레이저를 세포에 조사하여, 그 전방산란광을 계측하므로써 세포의 통과타이밍을 검출하고, 이 타이밍에 동기시켜서 후래쉬램프를 발광시켜고 세포에 램프의 광을 조사시켜서 세포로부터 발사되는 형광을 검출하는 것이다.
또 일본국 특개평 3-233344호 공보에는 반도체레이저와 할로겐램프 등의 램프형식의 광원을 2종류 구비한 광학식 입자분석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산란광과 형광을 검출하므로써 입자의 분류, 또는 계수를 행하는 것이다.
또 일본국 특개평 1-502533호 공보에서는 산란광강도, RF신호 및 DC신호를 측정하므로써 백혈구세포를 식별하는 분석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측정되는 산란광은 광축에 대해 0.5° ∼2° 의 저각산란광과, 10° ∼ 70° 의 중각산란광이며, 이들의 필요한 각도 이외의 광을 차광하는 것과 같은 차광장치를 통과시킨 후 포토다이오드(PD)에 의해 전기신호로서 검출된다.
또 이와 같은 세포분석장치에 있어서는 광을 플로우셀 중을 흐르는 세류에 집중시키고, 더욱이 산란된 광이 알맞게 광전자증배관상에 상을 만들도록 렌즈나 빔스토퍼등의 광학계 부품을 이동시켜서 광축을 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에는 측정전에 표준샘플을 흘리면서 조작자 자신이 광선을 눈으로 보면서 수동으로 이들의 조정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도10 및 도12에 나타내고 있는 세포분석장치에서는 전방산란광에 비교하여 대단히 미약한 측방산란광을 검출하는 것 및 형광을 발생시키는 비교적 단파장의 청색영역의 광을 여기광으로서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대부분 광원으로서 고가의 Ar레이저나 He-Cd레이저가 사용되었다.
이들 광원은 고가일뿐 아니라, 레이저발생장치 본체의 점유용적이 크고, 레이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등의 주변기기도 큰 것이 필요하게 되고, 더욱이 장치전체로서 전력소비량도 크고, 유지보수비용도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측방산란광을 집광하는 집광렌즈(107)와 고가의 광전자증배관(PMT)도 필요하고, 또 도12의 분석장치에서는 파장을 선택하여 형광을 검출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필터류를 다수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장치가 복잡하고 대규모가 된다.
또 일본국 특개소 60-26830호 공보의 것은 2종류의 광원을 사용하여 산란광 및 형광을 검출하고, 또 후래쉬램프의 형광의 타이밍을 조정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하고 고가의 것이 된다.
또 종래의 눈으로 보는 것에 의한 광학계의 조정은 조작이 번잡하고, 조작자의 숙련을 필요로 하며, 더욱이 조작자에 의한 개인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장치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정확한 광학계의 위치조정을 행하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며 이루어진 것으로서, 반도체레이저로부터 발사된 레이재광을 세류화된 세포에 조사하여 2종류의 산란광을 적어도 2개로 분할된 수광센서부에서 검출하는 소형이면서 값싼 세포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상기한 세포분석장치를 사용하여 2종류의 산란광을 검출, 분석하므로써 백혈구의 분류 및 계수를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2종류의 산란광을 검출하는 복수의 분획된 수광면를 구비한 수광소자를 사용하므로써 광학계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세포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포를 정렬시켜서 흘리는 플로우셀과, 이 플로우셀내를 흐르는 세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광조사수단과, 세포에 의해 산란된 2종류의 산란광을 각각 검지할 수 있는 적어도 2개로 분획된 수광센서부를 갖는 수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한 수광수단이 원형상을 한 수광면을 갖는 제1수광센서부와, 상기한 제1수광센서부를 끼고 제1축장향에 대칭하게 되는 위치에 반원형상의 2개의 수광면을 갖는 제2수광센서부와, 상기한 제1수광센서부를 끼고 상기한 제1축과 직교하는 제2축방향에 대칭하게 되는 위치에 반원형상의 2개의 수광면을 갖는 제3수광센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제2수광센서부의 2개의 수광면에서 검출된 광의 제1출력차를 측정하고, 상기한 제3수광센서부의 2개의 수광면에서 검출된 광의 제2출력차를 측정하고, 제1출력차 및 제2축력차가 어느쪽이나 최소가 되도록 상기한 빔스토퍼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광조사수단으로서는 소형화인 점에서 특히 반도체 레이저소자등의 반도체 광조사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광수단으로서도 소형화인 점에서 포드다이오드등의 반도체 수광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 본 발명의 기본구성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세포를 정렬시켜서 홀리는 플로우셀(3)과, 이 플로우셀(3)내를 흐르는 세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광조사수단(1)과, 세포에 의해 산란된 2종류의 산란광을 각각 검지할 수 있는 적어도 2개로 분획된 수광센서부를 갖는 수광수단(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광조사수단(1)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을 플로우셀(3)에 집광시키는 제1집광수단(2)과, 세포에 의해 산란된 2종류의 상기한 산란광을 광조사수단(1)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의 광축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집광시키는 제2집장수단(5)과, 상기한 광조사수단(1)으로부터의 직접광의 통과를 저지시키는 빔스토퍼(4)를 구비하고, 상기한 수광수단(6)이 제2집광수단(5)에 의해 광축에 거의 평행으로 된 2종류의 산란광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분석장치를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수광수단(6)이 산란광 중, 광축에 대해 1° 에서 5° 까지의 저각 전방산란광을 수광하는 제1수광센서부(6a)와, 광축에 대해 6° 에서 20°까지의 고각 전방산란광을 수광하는 제2수광센서부(6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광수단(6)은 포토다이오드등이 아주 적당하다.
더욱이 광조사수단(1)이 가시광역의 파장(예를들어, 650mm)을 갖는 레이저광을 발생시키는 반도체레이저소자인 것이 아주 적당하다.
또 상기한 수광수단(6)이 원형상을 한 수광면을 갖는 상기한 제1수광센서부(6a)와, 상기한 제1수광센서부(6a)를 끼고 제1축방향에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반원형상의 2개의 수광면을 갖는 상기한 제2수광센서부(6b)와, 상기한 제1수광센서부(6a)를 끼고 상기한 제1축과 직교하는 제2축방향에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반원형상의 2개의 수광면를 갖는 제3수광센서부(6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광수단(6)에 의해 검지된 2종류의 산란광의 펄스신호를 분석하는 신호분석수단(7)을 구비하고, 백혈구를 상기한 플로우셀(3)에 흘리고, 플로우셀(3)에 의해 세류화된 백혈구에 의해 산란된 2종류의 산란광을 수광수단(6)에 의해 검출하고, 상기한 신호분석수단(7)에 의해 백혈구의 분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한 복수의 수광센서부(6a, 6b, 6c)에 있어서, 검출된 각 광의 출력차이를 측정하는 측정수단(8)과, 측정수단(8)에 의한 측정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수단(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광조사수단(1)으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광을 플로우셀(3)중에 정렬해서 흐르는 세포에 조사하고, 세포에 의해 산란된 2종류의 산란광을 수광수단(6)에 의해 검출한다.
여기에서, 산란된 전방산란광은 집광렌즈를 통과하게 되고, 레이저광의 광축에 거의 평행인 광선이 되도록 집광되어서 수광수단(6)에 입사된다.
수광수단(6)은 산란광을 검출하는 수광센서부가 적어도 2개로 분획되어 있고 제1수광센서부(6a)에서는 광축에 대해 1° 에서 5° 까지의 저각 전방 산란광을 수광하고, 제2수광센서부(6b)에서는 광축에 대해 6° 에서 20° 까지의 고각 전방산란광을 수광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조사수단(1)으로부터 발사된 레이저광을 사용하여 2종류의 산란광을 적어도 2개로 분획된 수광센서부를 구비한 수광수단(6)으로 검출하기 때문에 소형이면서 값싼 세포분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세포를 분석하기 위한 산란광으로서 광축에 대해 1° 에서 5° 까지의 저각 전방산란광과 광축에 대해 6° 에서 20° 까지의 고각 전방산란광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세포분석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더욱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광조사수단(1)으로서 반도체레이저소자를 사용하는 것, 수광수단(6)으로서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하므로써 소형이면서 값싼 세포분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수광수단(6)이 복수의 수광센서부(6a, 6b, 6c)로 분획되어 있기 때문에각각 별도의 수광소자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구성이 간단하며, 위치조정이 불필요하고 정밀도가 높은 산란광의 검출이 가능하다.
또 신호분석수단(7)이 세류화된 백혈구의 흐름에 의해 산란된 2종류의 산란광의 펄스신호를 수광수단(6)으로부터 얻어서 분석하기 때문에 소형이면서 값싼 백혈구 분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수광수단(6)이 분획된 복수의 수광센서부(6a, 6b, 6c)를 구비하고, 측정수단(8)이 이들 각 수광센서부에서 검출된 각 광의 출력차이를 측정하여 표시수단(9)이 그 측정결과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용이하면서 정확한 광축 및 빔스토퍼의 위치조정을 행할 수 있다.
특히 측정수단(8)이 제2수광센서부(6b)의 2개의 수광면에서 검출된 광의 출력차이를 측정하고, 더욱이 상기한 표시수단(9)이 상기한 출력차이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출력차이가 영(0)이 되도록 조정하므로써 용이하면서 정확한 광축 및 빔스토퍼의 위치조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다음에,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를 기초로 하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 및 도3에 본 발명의 1실시예인 세포분석장치의 구성블록도를 나타낸다.
도2는 위쪽으로부터 본 그림이며, 도3은 가로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세포분석장치는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품이 광축에 대해 일적선상에 나란히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 및 도3에 있어서, 21은 반도체레이저(LD)이며, 예를 들면, 도시바제반도체레이저 TOLD9421(광출력 최대 5mW, 출력파장 650nm)을 이용한다.
22는 콜리미터렌즈(L1)이며, 23은 콘덴서렌즈(L2)이며, 레이저광의 광축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렌즈이다.
이들에 의해 반도체레이저로부터 발사된 레이저광은 플로우셀(CELL)(24)의 입자가 흐르는 부분에 집광된다.
플로우셀(24)에는 시약에 의해 처리된 혈액이 세류화되어 흐른다.
도2에서는 지면의 이면으로부터 표면의 방향을 향해서 흐르고, 도3에서는 지면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흐른다.
또 반도체레이저가 위치하는 곳과는 반대의 플로우셀(24)의 후방에는 빔스토퍼(BS)(27)와, 여기에 병설된 콜렉터렌즈(L3)(25)가 배치되고, 또한 조금 떨어져서 수광소자인 포토다이오드(PD)(26)가 1개 배치되어 있다.
빔스토퍼(27)는 플로우셀을 투과해 온 중앙부의 레이저광을 저지시키는 상하방향으로 긴 판이다.
콜렉터렌즈(25)는 플로우셀(24)을 흐르는 세포로 산란된 전방산란광을 광축에 평행하게 되도록 집광하는 렌즈이며, 콜리미터렌즈(22), 콘덴서렌즈(23)와 마찬가지로 광축에 대해 수직으로 놓여진다.
포토다이오드(26)는 전방산란광을 수광하여, 이 광강도를 전기펄스신호로 변환시키는 광전변환소자이다.
여기에서, 수광소자로서 사용되는 포토다이오드(26)는 소형이며, 더욱이 값싸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것 이외의 수광소자를 사용해도 무관하다.
포토다이오드(26)는 콜렉터렌즈(25)에 의해 광축에 평행으로 된 전방산란광을 수광하지만, 산란광 중, 2종류의 산란광을 수광할 수 있는 분획된수광면을 갖는다.
이 포토다이오드(26)의 수광면의 형상을 표시하는 실시예를 도4 및 도5 에 나타낸다.
도4에 나타내는 제1실시예는 중앙부에 원형상의 수광면 (C), 이 수광면(C)을 끼워서 수평방향으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반원형상의 수광면 (B)와(D), 또한 수광면 (C)를 끼워서 수직방향으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반원형상의 수광면 (A)와 (E)의 합계 5개의 수광면을 분획해서 배치한 포토다이오드이다.
도5에 나타내는 제2실시예는 중앙부에 원형상의 수광면(C)과 그 위쪽에 반원형상의 수광면(A)을 갖는 포토다이오드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2종류의 산란광을 사용하지만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축에 대해 1° 에서 5° 까지의 저각의 전방산란광과, 광축에 대해 6° 여서 20° 까지의 고각의 전방산란광을 하나의 포토다이오드(26)로 검출한다.
저각의 전방산란광은 세포의 크기를 반영하는 것이며, 고각의 전방산란광은 세포의 내부형태를 반영하는 것이므로, 이들 산란광으로부터 얻어지는 신호를 분석하므로써 세포의 계수 및 분류가 가능하게 된다.
도4 및 도5의 포토다이오드에 있어서 중심부에 위치하는 원형의 수광면(C)는저각의 전방산란광을 검출하는 것이며, 기타의 반원형의 수광면 (A), (B), (D), 및 (E)는 고각의 전방산란광을 검출하는 것이다.
도4에 나타내는 수광면 (B),(D) 및 (E)는 후술하는 광학계장치의 위치조정에도 사용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수광면 (C)의 직경은 1.5mm, 반원형상의 수광면(A), (E)의 원주부는 직경 6mm 정도의 원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포토다이오드(26)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포토다이오드와 마찬가지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캔형의 용기에 수용되고, 수광면에는 반대측에 수광한 산란광 강도에 대응하는 전기펄스신호를 출력시키는 단자가 몇개 나와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 단자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신호처리부가 접속된다.
이 신호처리부는 증폭회로, 피이크검출회로, A/D변환회로 및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구성된다.
마이크로컴퓨터는 CPU, ROM, RAM, l/O제어기, 타이머등을 구비하고 키보드, 마우스등의 입력장치, LCD 나 CRT등의 표시장치 및 프린터가 필요에 따라 접속된다.
포토다이오드(26)로부터 출력되는 전기펄스신호는 저각의 전방산란광과 고각의 전방산란광의 광강도에 대응하는 2종류의 신호이며, 플로우셀(24)을 통과하는 세포마다에 출력된다.
신호처리부에서는 이상과 같은 전기펄스신호를 수신하여 그 펄스의 피이크치, 필스폭 및 펄스파형의 면적등을 계측하므로써 세포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도출하여 세포의 계수 및 분류를 행한다.
이상이 본 발명의 세포분석장치의 구성이지만, 광원으로서 반도체레이저를 사용하고, 수광소자로서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했기 때문에 장치전체의 소형화와 저가격화가 실현된다.
예를 들면, 종래의 Ar레이저를 사용한 장치보다도 반도체레이저를 사용한 장치쪽이 광원부분의 크기를 1/10 이하로 할 수 있다.
또 수광소자로서 1개의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하고, 그 수광면을 분획한 형상으로 하고 비교적 강도가 큰 2종류의 산란광을 분획한 수광면마다 별도로 수광해서 분석하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 수광소자까지의 부품을 광축에 대해 일직선상에 나란히 되도록 배치할 수 있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종래에 사용하고 있던 측방산란광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측방산란광측정용의 집광렌즈, 핀홀, 필터 및 수광소자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측방산란광을 이용하는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장치의 소형화와 저가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광학계부품의 점수가 적기 때문에 광축조정등의 장치의 유지보수도 용이하게 된다.
또 2종류의 각도가 다른 전방산란광을 수광하기 때문에 그 각도를 규정하는 슬릿을 갖는 차광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포토다이오드의 분획된 수광면의 형상므로 각도를 규정하기 때문에 차광장치의 위치맞춤등의 성가신 조정이 불필요하고, 이것도 장치의 유지보수의 용이함에 기여할 수 있다.
다음에, 이 세포분석장치를 사용해서 백혈구의 분류를 행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우선, 플로우셀(24)에 시약에 의해 약품처리된 혈액을 흘리고, 반도체레이저(21)로부터 발사되는 래이저광을 플로우셀(24)중에 세류화되어서 흐르는 세포에 조사한다.
백혈구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약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조성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성 계면활성제 100∼500mg/l
8-아닐리노-1-나프탈렌 설폰산 Mg염(유기화합물) 2g/l
BC30TX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닛코 케미컬스(주)] 1g/l
HEPES 10mM
메틸알코올 100ml/l
NaOH pH 7.0 이 되는 양
여기에서, 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DTAB)를 750mg/l,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500mg/l, 미리스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를 500mg/l,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100mg/l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한 시약 1ml와 혈액 30μl를 혼합한 액을 흘리고, 30초 후에 저각 전방산란광과 고각 전방산란광을 측정한다.
저각 및 고각의 전방산란광만을 검출하기 때문에 종래에 사용되던 것과 같은 형광을 발광하는데 필요한 시약을 사용해서 백혈구를 염색할 필요가 없다.
즉, 플로우셀(24)에 흐르는 백혈구에 의해 레이저광이 산란되고, 그 중, 전방에 산란된 2종류의 산란광이 포토다이오드(26)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된 산란광의 강도는 전기펄스신호로서 신호처리부로 보내지고, 펄스신호의 피이크치나 펄스파형의 면적등이 계측된다.
그리고, 이 계측치를 이용해서 저각 전방산란광 강도와 고각 전방산란광 강도로 표시되는 산포도를 작성한다.
백혈구의 종류에 의해 저각 전방산란광 강도와 고각 전방산란광 강도의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이 산포도를 보면 백혈구의 분류가 가능해진다.
도6 및 도7에 본 발명의 세포분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한 시약을 사용해서 백혈구 분류를 행했을 때의 산포도의 예를 나타낸다.
도6은 모식도, 도7은 실측도이다.
여기에서, 가로축은 고각 전방산란광 펄스의 강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저각 전방산란광 펄스의 강도를 나타낸다.
동 도면으로 백혈구가 림프구(L), 단구(M), 호산구 이의의 과립구(G) 및 호산구(E)의 4가지로 분류되어 있는 것을 알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세포분석장치와 상기한 바와 같은 시약을 사용하므로써 백혈구를 염색하는 일이 없이 백혈구의 4분류를 단한번에 행할 수 있다.
또 그외에 호영기구(Baso)를 식별할 수 있는 시약을 사용하여 동일한 혈액검사체를 측정하여 상기한 결과를 총합 판단하므로써 결과로서 백혈구의 5분류도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세포분석장치에 있어서 광화계부품을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광학계 부품의 조정은 도4에 나타낸 형상의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한다.
이 5분할된 수광면으로 검출되는 광강도의 출력차이를 측정하므로써 다음에 기술하는 광축 조정 및 빔스토퍼 조정을 행한다.
우선, 도8에 광축조정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8(a)는 도4에 나타낸 포토다이오드(26)의 수광면의 모식도이며, 상기한 바와같이 5개로 분획된 수광면 (A)∼(E)를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광축조정을 실시하기 전에 도2에 있어서의 빔스토퍼(27)를 떼내어 둔다.
도8(b)는 광축이 맞추어져 있는 경우의 레이저광의 수광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빔스토퍼(27)가 없기 때문에 도면과 같은 타원형의 레이저광이 수광된다.
이때, 수평방향과 대칭인 포토다이오드의 수광면 (B)와 (D)에서의 레이저광 강도는 동일하고, 또 수직방향으로 대칭인 수광면 (A)와 (E)에서의 레이저광 강도는 동일하게 된다.
또 중앙의 수광면 (C)에 있어서의 레이저광 강도는 최대치(Cm)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으로부터 수광면 (A)와 (E), 또한 수광면 (B)와 (D)에 있어서의 레이저광강도의 출력차이를 측정하므로써 광축의 어긋난 방향을 알 수 있다.
도8(c)∼(f)는 광축이 어긋나 있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8(c)는 광축이 위쪽방향으로 어긋난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수광면 (B)와 (D)에서의 레이저광 강도는 동일하지만, 수광면 (A)의 레이저광 강도가 수광면 (E)의 레이저광 강도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수동에 의해 광축조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포토다이오드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신호처리부에 있어서, 이상과 같은 레이저광 강도를 측정하여 각 수광면의 레이저광 강도치, 수광면 (A)와 (E)의 레이저광 강도의 출력차이, 수광면 (B)와 (D)의 레이저광 강도의 출력차이치, 또는 도8(b)~(f)에 나타내는 것과같은 레이저광의 수광위치의 어긋남을 나타내는 모식그래프 표시등을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조정하는 자는 이들 표시를 보면서 광축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렌즈등의 위치를 수동으로 이동시키고 도8(b)의 상태가 되도록 조정한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광축조정을 행하는 경우에도 현재의 조정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눈으로 보면서 광확조정을 행하는 경우보다도 간단하다.
또 광강도 출력차이라는 객관적인 판단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정확한 광축조정이 가늠하다. 또한 조정이 양호하게 행해진 경우에는 음이나 표시의 색에 의해 통보하도록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도8(e)는 광축이 아랫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이며, 래이저광 강도차이(A)-(E)가 부의 값이 된다.
도8(e)는 광축데 좌측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이며, 래데저광 감도의 출력차이 (B)-(D)가 정의 값이 된다.
도8(f)는 광축이 우측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이며, 레이저광 강도의 출력차이(B)-(D)가 부의 값이 된다.
이들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광축조정이 행해진다.
다음에, 도9에 빔스토퍼의 조정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빔스토퍼(27)는 상하방향으로 긴 판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포토다이오드(26)상에서 검출되는 레이저광은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가 빔스토퍼(27)로 저지되고 2개로 분할되어서 수광된다.
도9(a)는 빔스토퍼(27)가 올바른 중심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레이저광 강도의 출력차이는 A-E=0, B-D=0 이 되고, 또 중앙부의 광강도의 출력은 최소(Cmin)가 된다.
도9(b)는 빔스토퍼(27)가 중심보다도 좌측으로 어긋난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레이저광 강도의 출력차이 A-E=0, B-D<0 이 된다.
도9(c)는 빔스토퍼(27)가 중심보다도 우측으로 어긋난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레이저광 강도의 출력차이 A-E=0, B-D>0 이 된다.
따라서, 빔스토퍼(27)의 위치조정은 레이저광 강도의 출력차이 B-D의 값이 영(0)이 되도록 하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수동에 의한 빔스토퍼(27)의 조정은 상기한 바와 같이 광학조정과 마찬가지로 표시장치의 표시를 확인하면서 행하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광축조정과 마찬가지로 레이저광 강도라는 객관적인 판단을 기준으로 하기때문에 정확한 빔스토퍼(27)의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수광되는 광강도는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로서 출력되기 때문에 광학계부품이나 빔스토퍼의 위치조정기구를 구비하고, 이것을 전기적인 구동장치로 구동시키도록 하면 자동적인 광축 및 빔스토퍼의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신호처리부에서 계측되는 소정의 래이저광 강도의 차이가 영(0)이 되도록 구동장치를 구동시켜서 피이드백 제어를 행하므로써 광축조정 및 빔스토퍼조정의 자동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광조사수단을 사용하여 2종류의 산란광을 적어도 2개로 분할된 수광센서부를 구비한 수광수단으로 검출하기 때문에 세포분석장치를 소형화가 되고 저가격화할 수 있다.
또 세류화된 백혈구의 흐름에 의해 산란된 2종류의 산란광의 펄스신호파형을 사용해서 분석을 행하기 때문에 소형, 또한 값싼 백혈구 분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수광수단을 3개의 수광센서부로 분획해서 각 수광센서부에서 검출된 광의 출력차이를 측정하여 그 측정결과를 이용한 표시를 하도록 했기 때문에 용이하고, 또한 정확한 광축 및 빔스토퍼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기본구성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세포분석장치의 1실시예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세포분석장치의 1실시예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토다이오드의 수광면 형상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토다이오드의 수광면 형상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세포분석장치를 사용해서 백혈구분류를 한 경우의 산포도의 예의 모식도.
도7은 본 발명의 세포분석장치를 사용해서 백혈구분류를 한 경우의 산포도의 예의 실측도.
도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축조정 설명도.
도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빔스토퍼 위치조정 설명도.
도10은 종래에 있어서의 세포분석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11은 종래의 분석장치를 사용하여 행한 백혈구분류의 산포도.
도12는 종래에 있어서의 세포분석장치의 예를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조사수단
2. 제 1집광수단3. 플로우셀
4. 빔스토퍼
5. 제2집광수단
6. 수광수단
6a. 제1수광센서부
6b. 제2수광센서부
6c. 제3수광센서부
7. 신호분석수단
8. 측정수단
9. 표시수단

Claims (10)

  1. 세포를 정렬시켜서 흘려보내는 플로우셀과 이 플로우셀 내를 흐르는 세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광조사수단과,
    세포에 의해 산란된 2종류의 산란광을 각각 검지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분획된 수광센서부를 갖는 수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광수단이, 상기 수광센서부를 설치하기 위한 원형상의 설치부와 이 설치부의 중심에 설치된 원형상의 수광면을 갖는 제1수광센서부와,
    상기 제1 수광센서부와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반원형상의 수광면을 갖는 제2 수광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분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광센서부가 제1 수광센서부를 사이에 끼고 제1 축방향에 대칭하게 되는 위치에 반원형상의 2개의 수광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분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추가로 제3 수광센서부가 상기 제2 수광센서부를 사이에 끼고 제1축과 직교하는 제2 축방향에 대칭하게 되는 위치에 2개의 수광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포분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수단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을 플로우셀에 잡광하는 제1 집광수단과, 세포에 의해 산란된 2종류의 상기 산란광을 상기 광조사수단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의 광축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집광하는 제2 집광수단과, 상기 광조사수단으로부터의 직접광의 통과를 저지하는 빔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수광수다닝 제2 집광수단에 의해 광축에 거의 평행으로 된 2종류의 산란광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분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광센서부가 산란광 중, 광축에 대해 1° 에서 5° 까지의 저각 전방산란광을 수광하고, 상기 제2 수광센서부가 광축에 대해 6° 에서 20° 까지의 고각 전방산란광을 수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분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수단이 가시광 영역파장을 갖는 레이저광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분석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광센서부의 2개의 수광면에서 검출된 광의 제1 출력차를 측정하고, 상기 제3 수광센서부의 2개의 수광면에서 검출된 광의 제2 출력차를 측정하고,제1 출력차 및 제2 출력차가 어느 쪽이나 최소가 되도록 상기 빔스토퍼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분석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수단에 의해 검지된 2종류의 산란광의 펄스신호를 분석하는 신호분석수단을 구비하고,
    백혈구를 함유하는 액을 상기 플로우셀에 흘려보내고, 플로우셀에 의해 세류화된 함유액 중의 백혈구에 의해 산란된 2종류의 산란광을 상기 수광수단에 의해 검출하고, 상기 신호분석수단에 의해 백혈구의 분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분석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광센서부의 있어서, 검출된 각 광의 출력자를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축정수단에 의한 측정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분석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이, 상기 제2 수광센서부의 2개의 수광면에서 검츨된 광의 제1 출력차를 측정하고, 제3 수광센서부의 2개의 수광면에서 검출된 광의 제2 출력차를 측정하고, 또한 상기 표시수단이 상기 제1 및 제2 출력차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세포분석장치.
KR1019950022190A 1994-08-08 1995-07-26 세포분석장치 KR100395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86148 1994-08-08
JP18614894A JP3375203B2 (ja) 1994-08-08 1994-08-08 細胞分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303A KR960008303A (ko) 1996-03-22
KR100395992B1 true KR100395992B1 (ko) 2003-11-14

Family

ID=1618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190A KR100395992B1 (ko) 1994-08-08 1995-07-26 세포분석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37078A (ko)
EP (1) EP0696731B1 (ko)
JP (1) JP3375203B2 (ko)
KR (1) KR100395992B1 (ko)
CN (1) CN1116708A (ko)
AU (1) AU2832295A (ko)
CA (1) CA2155403A1 (ko)
DE (1) DE69533099T2 (ko)
TW (1) TW29478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863B1 (ko) * 2010-06-28 2012-07-11 삼성전기주식회사 세포 수 계수용 액적 토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9192B1 (en) * 1992-02-24 2003-01-21 Coulter International Corp. Quality control method
US6061131A (en) * 1997-01-08 2000-05-09 Horiba, Ltd. Optical axis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ing equipment
AU752985B2 (en) 1997-01-31 2002-10-03 Xy, Llc. Optical apparatus
EP1396737A3 (en) 1997-03-11 2004-12-29 Nihon Kohden Corporation Particle analyzer and composite lens formed by integrally joining plural lens elements of different focal points
US5917584A (en) * 1997-11-21 1999-06-29 Coulter International Corp. Method for differentiation of nucleated red blood cells
US5874311A (en) * 1997-11-21 1999-02-23 Coulter International Corp. Method for differentiation of reticulocytes in blood
US5874310A (en) * 1997-11-21 1999-02-23 Coulter International Corp. Method for differentiation of nucleated red blood cells
US6149867A (en) 1997-12-31 2000-11-21 Xy, Inc. Sheath fluids and collection systems for sex-specific cytometer sorting of sperm
JP3393817B2 (ja) 1998-10-16 2003-04-07 株式会社堀場製作所 粒径分布測定装置
JP3415475B2 (ja) * 1999-04-16 2003-06-09 株式会社堀場製作所 粒子径分布測定装置
JP3817091B2 (ja) * 1999-07-02 2006-08-30 テルモ株式会社 細胞数測定装置
US7208265B1 (en) 1999-11-24 2007-04-24 Xy, Inc. Method of cryopreserving selected sperm cells
JP3818867B2 (ja) * 2000-05-12 2006-09-06 リオン株式会社 光散乱式粒子検出器
US6784981B1 (en) * 2000-06-02 2004-08-31 Idexx Laboratories, Inc. Flow cytometry-based hematology system
US6700130B2 (en) * 2001-06-29 2004-03-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Optical detection system for flow cytometry
KR100675103B1 (ko) * 2000-07-18 2007-01-29 주식회사 태산솔루젼스 운반체에 대한 세포의 부착력 측정장치 및 그 방법
US20020028434A1 (en) * 2000-09-06 2002-03-07 Guava Technologies, Inc. Particle or cell analyzer and method
US7713687B2 (en) 2000-11-29 2010-05-11 Xy, Inc. System to separate frozen-thawed spermatozoa into x-chromosome bearing and y-chromosome bearing populations
WO2002043574A2 (en) 2000-11-29 2002-06-06 Xy, Inc. System to separate frozen-thawed spermatozoa into x-chromosome bearing and y-chromosome bearing populations
JP4763159B2 (ja) * 2001-06-15 2011-08-31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フローサイトメータ
DE60218074T2 (de) 2001-03-29 2008-02-07 Sysmex Corp. Durchflusszytometer
JP4659252B2 (ja) * 2001-03-29 2011-03-30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フローサイトメータ
EP1395374B1 (en) * 2001-05-17 2013-04-17 Beckman Coulter, Inc. Flow cytometer with active automated optical alignment system
US6774995B2 (en) 2001-08-03 2004-08-10 Pointsource Technologies, Llc Identification of particles in fluid
US6519033B1 (en) 2001-11-19 2003-02-11 Point Source Technologies, Llc Identification of particles in fluid
US6573992B1 (en) 2001-11-13 2003-06-03 Pointsource Technologies, Llc Plano convex fluid carrier for scattering correction
US6590652B2 (en) 2001-11-02 2003-07-08 Pointsource Technologies, Inc. Flow through light scattering device
US6628386B2 (en) 2001-12-12 2003-09-30 Pointsource Technologies, Llc Particle detection beam
US7057724B1 (en) 2002-03-21 2006-06-06 Institute Of Critical Care Medicine Particulate info to field units
US6930769B1 (en) 2002-03-21 2005-08-16 Pointsource Technologies, Llc Optical sensor module tester
US6972424B1 (en) 2002-04-16 2005-12-06 Pointsource Technologies, Llc High detection rate particle identifier
US7487061B2 (en) 2002-05-23 2009-02-03 Sysmex Corporation Sample analyzer
CA2532376C (en) 2002-08-01 2015-05-12 Colorad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Low pressure sperm cell separation system
US8486618B2 (en) 2002-08-01 2013-07-16 Xy, Llc Heterogeneous inseminate system
MXPA05001654A (es) 2002-08-15 2005-10-18 Xy Inc Citometro de flujo de alta resolucion.
US7169548B2 (en) 2002-09-13 2007-01-30 Xy, Inc. Sperm cell processing and preservation systems
CA3074799C (en) 2003-03-28 2022-12-06 Inguran, Llc Apparatus, methods and processes for sorting particles and for providing sex-sorted animal sperm
US7092078B2 (en) 2003-03-31 2006-08-15 Nihon Kohden Corporation Flow cytometer for classifying leukocytes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tection angle range of the same
US6819421B1 (en) 2003-04-11 2004-11-16 Point Source Technologies, Llc Detection of new species of particles
US20060263829A1 (en) 2003-05-15 2006-11-23 Evans Kenneth M Efficient haploid cell sorting flow cytometer systems
KR100686659B1 (ko) * 2004-02-19 2007-02-27 너스킨 인터어내셔날 인코포레이팃드 바이오 광 피드백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620105B2 (en) * 2004-03-06 2020-04-14 Michael Trainer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from scattered light
US7892725B2 (en) 2004-03-29 2011-02-22 Inguran, Llc Process for storing a sperm dispersion
CN1981187A (zh) * 2004-05-14 2007-06-13 霍尼韦尔国际公司 便携式样本分析仪盒
CA2574499C (en) 2004-07-22 2016-11-29 Monsanto Technology Llc Process for enriching a population of sperm cells
WO2006103920A1 (ja) * 2005-03-29 2006-10-05 Sysmex Corporation 癌・異型細胞および凝集粒子を弁別する方法および細胞分析装置
JP4721338B2 (ja) * 2005-10-20 2011-07-13 リコー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液吐出不良検出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01000306B (zh) 2006-01-09 2010-11-17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细胞分析仪
US8088110B2 (en) 2006-11-17 2012-01-03 Bencha International Group Inc. Automatically retractable safety injector for non-liquid material
CN101236150B (zh) 2007-02-02 2012-09-05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基于流式细胞术的仪器的光电传感器及其照射单元
CN101498646B (zh) * 2008-02-03 2014-06-11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前向散射光信号探测装置与方法及细胞或粒子分析仪
CN102016577B (zh) * 2008-05-09 2015-06-17 希森美康株式会社 血液分析装置,血液分析方法及溶血剂
ITFI20080095A1 (it) 2008-05-15 2009-11-16 Oglio Giorgio Dall Metodo e dispositivo di compensazione per segnali di luce di scattering generati da interazione di luce con particelle o cellule biologiche in movimento in correnti fluide come nella citometria a flusso.
WO2010036736A2 (en) * 2008-09-25 2010-04-01 Varian, Inc Light scattering flow cell device
JP5304456B2 (ja) * 2009-06-10 2013-10-02 ソニー株式会社 微小粒子測定装置
JP5365465B2 (ja) * 2009-10-15 2013-12-11 株式会社リコー 液吐出不良検出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537347B2 (ja) * 2009-11-30 2014-07-02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粒子分析装置
AU2010326180B2 (en) * 2009-12-04 2015-06-18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Apparatuses,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acoustic flow cytometry
JP2012047464A (ja) * 2010-08-24 2012-03-08 Sony Corp 微小粒子測定装置及び光軸補正方法
JP6100658B2 (ja) 2013-03-29 2017-03-22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血球分析装置および血球分析方法
JP6121319B2 (ja) * 2013-03-29 2017-04-26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粒子測定装置、照射光学系および照射位置調整方法
US9513206B2 (en) 2013-03-29 2016-12-06 Sysmex Corporation Particle measuring apparatus
CN103278440A (zh) * 2013-05-14 2013-09-04 桂林优利特医疗电子有限公司 细胞散射光多位置检测方法及细胞分析仪
CN105431728A (zh) * 2013-05-31 2016-03-23 积水医疗株式会社 凝集免疫测定法
JP6600635B2 (ja) 2014-01-10 2019-10-30 グルコビスタ・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物質濃度を測定するための非侵襲的な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7209116B (zh) * 2014-12-23 2020-08-07 苹果公司 包括考虑样本内的光学路径长度的变化的光学检查系统和方法
CN107430263B (zh) 2014-12-23 2020-12-01 苹果公司 具有平均照明路径和平均收集路径的共焦检查系统
CN105434111A (zh) * 2015-04-30 2016-03-30 深圳市远嘉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检测卫生巾
WO2017040431A1 (en) 2015-09-01 2017-03-09 Bribbla Dynamics Llc Reference switch architectures for noncontact sensing of substances
CN105547970B (zh) * 2015-12-22 2018-09-18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一种流式细胞仪激发光源系统及校正方法
AU2017253712B8 (en) 2016-04-21 2019-11-21 Apple Inc. Optical system for reference switching
CN106769805B (zh) * 2017-01-22 2019-06-18 江西特康科技有限公司 细胞计数分类装置
JP7296890B2 (ja) 2017-05-19 2023-06-23 グルコビスタ・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物質濃度nir監視装置及び方法
CN116893160A (zh) 2017-09-29 2023-10-17 苹果公司 路径解析的光学采样架构
EP3752873A1 (en) 2018-02-13 2020-12-23 Apple Inc. Integrated photonics device having integrated edge outcouplers
US10914913B2 (en) 2018-03-30 2021-02-09 Idexx Laboratories, Inc. Flow cytometer, laser optics assembly thereof,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WO2019207988A1 (ja) * 2018-04-25 2019-10-31 ソニー株式会社 微小粒子分取装置及び微小粒子分取方法
CN109357992B (zh) * 2018-11-09 2021-11-02 赛默飞世尔(上海)仪器有限公司 用于对光束进行整形的光学系统及流式细胞仪
US11237095B2 (en) 2019-04-25 2022-02-01 Particle Measuring Systems, Inc. Particle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on-axis particle detection and/or differential detection
CA3182847A1 (en) 2020-06-17 2021-12-23 Garland Christian Misener Flow cytometer and laser optics assembly thereof
EP4176304A1 (en) 2020-09-09 2023-05-10 Apple Inc. Optical system for noise mitigation
EP4278165A4 (en) * 2021-01-13 2024-06-05 Becton Dickinson Co FLOW CYTOMETER WITH LIGHT COLLECTING AMPLIFI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0830A (ja) * 1984-06-07 1985-12-24 Fujisawa Pharmaceut Co Ltd 細胞自動分析装置における細胞照射光源装置
US5125737A (en) * 1987-03-13 1992-06-30 Coulter Electronics, Inc. Multi-part differential analyzing apparatus utilizing light scatter techniqu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95907A5 (ko) * 1972-08-10 1974-03-08 Meric Jean Paul
US4595291A (en) * 1982-10-15 1986-06-17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Particle diameter measuring device
US4596035A (en) * 1983-06-27 1986-06-17 Ortho Diagnostic Systems Inc. Methods for enumerating 3-part white cell differential clusters
EP0172242A1 (en) * 1984-02-29 1986-02-26 Research Corporation Flow cytometers
JP2715604B2 (ja) * 1989-12-18 1998-02-1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レーザ回折・散乱式粒度分布測定装置
JP3049254B2 (ja) 1990-02-08 2000-06-05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2種類の光源を備えた光学式粒子分析装置
US5416580A (en) * 1993-07-07 1995-05-16 General Signa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mall particle size distribution utilizing multiple light beams
JP3467310B2 (ja) * 1994-04-21 2003-11-17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白血球分析用試薬及び白血球の分類方法
US5467193A (en) * 1994-08-08 1995-11-14 Laewen; Arne H. Target device and use thereof for aligning light beams utilizing cross-hair light bea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0830A (ja) * 1984-06-07 1985-12-24 Fujisawa Pharmaceut Co Ltd 細胞自動分析装置における細胞照射光源装置
US5125737A (en) * 1987-03-13 1992-06-30 Coulter Electronics, Inc. Multi-part differential analyzing apparatus utilizing light scatter techniqu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863B1 (ko) * 2010-06-28 2012-07-11 삼성전기주식회사 세포 수 계수용 액적 토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96731B1 (en) 2004-06-02
KR960008303A (ko) 1996-03-22
AU2832295A (en) 1996-02-22
EP0696731A3 (en) 1997-10-15
EP0696731A2 (en) 1996-02-14
DE69533099D1 (de) 2004-07-08
JP3375203B2 (ja) 2003-02-10
CA2155403A1 (en) 1996-02-09
US5737078A (en) 1998-04-07
JPH0850089A (ja) 1996-02-20
DE69533099T2 (de) 2005-01-05
TW294782B (ko) 1997-01-01
CN1116708A (zh) 199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5992B1 (ko) 세포분석장치
US8575568B2 (en) Electrooptic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intended for classifying and counting microscopic elements
JP3049254B2 (ja) 2種類の光源を備えた光学式粒子分析装置
EP0698211B1 (en) Reticulocyte analyzing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light scatter techniques
US73906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latelet measurement
US7477363B2 (en) Flow cytometer
EP2304409B1 (en) Transducer module and method of using the transducer module
US10261080B2 (en) Optical detection system for flow cytometer, flow cytometer system and methods of use
CA3030966A1 (en) Optical detection system for flow cytometer, flow cytometer system and methods of use
CN109916804A (zh) 一种流式细胞分析仪前向散射光信号探测收集系统及其多角度探测方法
CN112485167A (zh) 粒子分析仪的光学系统
CA3074949C (en) Optical flow cytometer for epi-fluorescence measurement
JP2023510615A (ja) 流量測定用電気光学装置
JPH0486546A (ja) 検体検査装置
JPH05322882A (ja) 血液分析装置
JPH0792076A (ja) 粒子解析装置
JPH0660875B2 (ja) フローサイトメータ
CN213301970U (zh) 血细胞分析仪
JPS62153758A (ja) フロ−サイトメ−タによる網状赤血球測定方法
JPS6193932A (ja) 粒子分析装置
JPH02304333A (ja) 流動細胞分析装置
CN114907960A (zh) 一种基于液滴微流控的无标记活细胞筛选系统和方法
JPH04326061A (ja) 血液分析装置
JPH0313847A (ja) 光学式粒子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