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373B1 -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 - Google Patents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373B1
KR100390373B1 KR10-1999-0001635A KR19990001635A KR100390373B1 KR 100390373 B1 KR100390373 B1 KR 100390373B1 KR 19990001635 A KR19990001635 A KR 19990001635A KR 100390373 B1 KR100390373 B1 KR 100390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cutter body
pin mirror
attachment
attachm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025A (ko
Inventor
사에키유키히로
다키구치쇼지
호리케노부카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68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26Securing milling cutters to the driving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08Disc-type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0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 B23C5/223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fitted on a ring or ring seg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50Cutting inserts
    • B23C2210/503Cutting inserts mounted internally on th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68Whir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5Rotary broa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08Face or end mill
    • Y10T407/191Plural simultaneously usable separable tools in common seat or common clamp actuator for plural simultaneously usable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26Plural simultaneously usable separable tools in common seat or common clamp actuator for plural simultaneously usable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52Having peripherally spaced teeth
    • Y10T407/1956Circumferentially stagger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19Lathe for crank or crank p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19Lathe for crank or crank pin
    • Y10T82/192Portable lathe for crank p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25Lathe
    • Y10T82/2527Lathe having hollow cutter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핀미러커터의 가공기로의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강성저하를 초래함이 없이 정밀하고 확실하게 중심맞춤을 실시하고, 더욱이는 커터부착부의 회전토크를 커터본체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핀미러커터(21)의 부착기구에 있어서, 커터본체(22)의 외주부를 커터부착부(23)의 내주부에 걸어 맞추는 상태로 삽입하여 부착시킨다. 여기서, 커터본체(22)에 형성한 테이퍼부(24)의 경사면(24a)과 커터부착부(23)에 형성한 테이퍼부(25)의 경사면(25a)은 서로 면접촉하고, 그 접촉면은 커터부착부(23)에 대한 커터본체(22)의 삽입방향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축소하고 있다. 더욱이, 이들 경사면(24a),(25a)은, 정팔각추면을 이루도록 복수의 평탄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MOUNTING MECHANISM FOR A PIN MIRROR CUTTER}
본 발명은, 왕복이동식 내연기관의 크랭크샤프트를 가공하는 핀미러커터에 관한 것이고, 특히 핀미러커터의 커터본체를, 가공기에 설치한 커터부착부에 착탈하기 위한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왕복이동식 내연기관의 크랭크샤프트를 가공하는 공구로서, 예컨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핀미러커터가 있다.
이 핀미러커터(1)는, 둥근 환형을 이루는 커터본체(2)의 내주부에, 복수의 칩(3)이 각각의 절삭날(4)을 커터본체(2)의 내주면에서 돌출시킨 상태로 볼트(5)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핀미러커터(1)는, 도 4에 나타내듯이, 가공기(6)에 설치된 커터부착부(7)에 그 축선을 주축(도시생략)과 일치시켜져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가공기(6)에 설치된 척(9),(10)에는, 핀미러커터(1)의 내측 공동부를 관통하여 피삭재인 크랭크샤프트(도시생략)가 걸쳐져 있다.
그리고, 구동시에는, 핀미러커터(1)는 주축에 의해 자신의 축선 주위에 일정방향(도 3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된다.
게다가, 고정유지된 크랭크샤프트에 대하여, 핀미러커터(1)는 스스로 회전하면서 공전하여 축방향으로 적당히 이동되므로써, 크랭크샤프트는 핀미러커터(1)의 절삭날(4)에 의해 소정형상으로 가공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핀미러커터(1)를 사용한 크랭크샤프트의 가공방법은, 핀미러커터(1)의 축선과 가공기(6) 주축의 회전축선과의 동축도(同軸度)가 가공정밀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가공기(6)의 커터부착부(7)의 내주부에 주축과 동축을 일루는 원형의 계단부(11)를 형성함과 아울러, 핀미러커터(1)의 커터본체(2) 외주부에 환형의 플랜지(12)를 형성하여 이들을 서로 끼워 맞추고, 또한, 계단부(11)의 지름방향 중심측을 향하는 벽면(11a)에 오목부(13)를 형성하고, 이 벽면(11a)으로부터 돌출하는 4개의 키부재(14: 도면에서 1개는 생략되어 있다)를 끼워 결합시켜 설치하고 있다.
이들 키부재(14)는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되고, 도 3에 있어서의 핀미러커터(1)의 평면에서 보아 90°간격으로 십(十)자 방향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키부재(14)의 폭방향중심선(m)이 지름방향중심(P:축선)에서 교차하도록 정확히 위치결정된 각 오목부(13)에 끼워 맞추어지고, 볼트(15)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커터본체(2)의 외주부에는, 키부재(14)와 동일 폭의 단면이 장방형인 키홈(17 : 도 3참조)이 키부재(14)와 동일한 배치로 형성되고, 이들 키부재(14)에 대하여 키홈(17)을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 커터부착부(7)의 계단부(11)에 대한 커터본체(2)의 지름방향의 이동을 구속하여 동축도를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커터본체(2)를 커터부착부(7)에 장착하기에 있어서는, 커터본체(2)의 플랜지(12)를 커터부착부(7)의 계단부(11)에 끼워 결합하면서, 4개의 키홈(17)을 키부재(14)에 각각 끼워 결합시키는 것으로, 커터본체(2)의 축선이, 계단부(11)의 축선에 일치하도록 커터부착부(7)에 장착된다.
또한, 커터본체(2)의 플랜지(12)와 계단부(11)에는, 대략 반달형상오목부(18a),(18a)(전체로 원형오목부(18)를 구성한다)가 각각 형성되고, 이 원형오목부(18)에 대략 반달형상의 노치부를 가진 클램퍼(19)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클램퍼(19)를, 플랜지(12)의 반달형상오목부(18a) 상에 회전이동시키는 것으로, 커터본체(2)는 커터부착부(7)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핀미러커터(1)의 가공기(6)에의 부착이 완료한다.
그런데, 이런 류의 핀미러커터에 있어서는, 커터본체(2)의 축선과 커터부착부(7)의 축선이 일치하지 않고 어긋난 상태로 부착되어 버리면, 피가공물을 정밀하게 완전한 원형으로 가공할 수 없게 되어 버리므로, 커터본체(2)의 중심맞춤을 정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상술한 부착기구는, 커터부착부(7)의 내주부에 형성한 계단부(11)와, 커터본체(2)의 외주부에 형성한 플랜지(12)를 서로 끼워 결합시킴과 아울러, 계단부(11)의 벽면(11a)에 형성한 오목한 끼움부(13)와 커터본체(2)의 플랜지(12)에 형성한 키홈(17)에 키부재(14)를 끼워 결합시키는 것으로, 커터부착부(7)의 계단부(11)에 대한 커터본체(2)의 지름방향 이동을 구속하고, 동축도를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부착기구는, 커터부착부(7)에 있어서의 계단부(11) 및 커터본체(2)에 있어서의 플랜지(12)의 두께가, 커터본체(2)의 두께의 대략 1/2정도로 되어버리므로, 이들 계단부(11) 및 플랜지(12)의 강성이 저하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플랜지(12)의 두께의 감소에 따라서, 그 플랜지(12)에 형성하는 반달형상오목부(18a)의 깊이도 얕아지지 않을 수 없으므로, 그 반달형상오목부(18a)에 끼워 결합시키는 클램퍼(19)의 두께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클램퍼(19)의 강성저하도 초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가공재의 치수에 맞추어 두께가 너무 얇은 커터본체(2)를 사용하는 경우나, 고속·고이송 절삭 시와 같이 절삭부하가 크게 되는 경우에는, 절삭시에 채터(CHATTER)가 생겨 칩(3)의 손상을 초래하거나, 가공정밀도가 저하한다는 문제가 생겼다.
특히, 두께가 얇은 커터본체(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커터부착부(7)의 회전토크를 커터본체(2)에 전달하는 키부재(14)의 두께도 감소하므로, 토크전달로 제공되는 드라이브면, 즉 키부재(14)와 오목부(13) 및 키홈(17)의 접촉면적이 감소하고, 커터부착부(7)에서 커터본체(2)로의 토크전달이 효율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는 문제도 생기고 있다.
더욱이, 상술한 부착기구는, 커터본체(2)의 부착작업에 있어서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커터본체(2)의 플랜지(12)와 커터부착부(7)의 계단부(11) 사이에 일정한 클리어런스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커터본체(2)와 커터부착부(7)의 축선을 정확히 일치시켜 부착시키는 것이 어렵고, 중심맞춤작업에 수고가 많이 든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된 것으로, 핀미러커터의 가공기로의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강성저하를 가져오지 않고, 정밀하게 중심맞춤이 실시되며, 또한 커터부착부의 회전토크를 커터본체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였다.
즉,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는, 둥근 환형을 이루면서 내주부에 절삭날이 배열된 커터본체가 가공기의 회전구동하는 커터부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축선주위에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된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에 있어서,
상기 커터본체는, 그 외주부를 상기 커터부착부의 내주부에 끼워 결합한 상태로 삽입하여 부착되고,
상기 커터본체의 외주면과 상기 커터부착부의 내주면은, 서로 대향하여 면접촉하면서 커터부착부에 대한 커터본체의 삽입방향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축소하는 경사면으로 되고, 또한 이들 내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는, 커터부착부의 내주부에 커터본체의 외주부를 삽입할 때, 커터부착부의 내주면에 커터본체의 외주면이 맞닿으면서 상기 내주면을 따라 상기 외주면이 안내되면서 결합된다.
이 때, 이들 내주면과 외주면이 전체둘레에 서로 면접촉하면서 위치결정되므로, 커터본체와 커터부착부 상호의 축선이 일치하여 중심이 일치된다.
게다가, 이들 커터부착부와 커터본체의 상호결합이, 커터본체의 삽입방향으로 지름이 축소하는 경사면에 의한 것으로서, 종래와 같이 두께방향으로 절단된 단차부(段差部)끼리의 결합이 아니므로, 강성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
더욱이, 커터부착부의 내주면 및 커터본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이들 커터부착부 및 커터본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방향에 연장하는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키결합에 의한 것이 아니고, 커터부착부에 대한 커터본체의 회전방지가 된다.
따라서, 커터본체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가공기의 커터부착부 측의 회전(절삭)토크를 커터본체에 전달하기 위한 드라이브면인, 커터부착부 내주면에 있어서의 평탄면과 커터본체 외주면에 있어서의 평탄면이 충분히 확보되고, 커터부착부로부터 커터본체로의 토크의 전달이 확실하게 되면서, 그 전달력도 높게 된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 기재의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는, 둥근 환형을 이루면서 외주부에 절삭날이 배열된 커터본체가 가공기의 회전구동하는 커터부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축선주위에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에 있어서,
상기 커터본체는, 그 내주부를 상기 커터부착부의 외주부에 끼워 결합한 상태로 삽입하여 부착되고,
상기 커터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커터부착부의 외주면은, 서로 대향하여 면접촉하면서 커터부착부에 대한 커터본체의 삽입방향으로 향하여 점차 지름이 확대되는 경사면으로 되고, 또한 이들 내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커터부착부의 외주면과 커터본체의 내주면이 전체둘레에 상호 면접촉하면서 위치결정되므로, 커터본체와 커터부착부 서로의 축선이 일치되어 중심이 맞추어지고, 게다가, 이들 커터부착부와 커터본체와의 상호결합이, 종래와 같이 모두 두께방향으로 절단된 단차부끼리의 결합이 아니므로, 강성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
더욱이, 커터부착부의 내주면 및 커터본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이들 커터부착부 및 커터본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것에서, 키결합에 의하지 않고, 회전방지가 이루어지며, 커터본체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 있어서도 드라이브면이 충분히 확보되며, 커터부착부에서 커터본체로의 토크전달이 확실하게 되면서 그 전달력도 높게 된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 기재의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에 있어서,
서로 면접촉하는 상기 커터본체 및 상기 커터부착부의 주면(周面)이, 전체 둘레에 상호 복수의 상기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에서는, 커터부착부의 회전토크를 커터본체에 전달하는 드라이브면의 면적이 커지면서, 복수의 드라이브면에 의해 토크가 전달되므로, 커터부착부에서 커터본체로의 토크전달이 보다 확실하게 실시됨과 아울러, 그 전달력도 보다 한층 높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핀미러커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Y-Y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핀미러커터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핀미러커터가 부착된 가공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의 X-X선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21 … 핀미러커터,
22 … 커터본체,
23 … 커터부착부,
24a, 25a … 경사면.
이하, 본 발명의 적절한 일실시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상술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부호 21은 핀미러커터이고, 22는 커터본체, 23은 커터부착부, 24, 25는 테이퍼부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핀미러커터(21)의 커터본체(22)와 커터부착부(23)는, 커터본체(22)의 외주부에 형성된 테이퍼부(24)와 커터부착부(23)의 내주부에 가공기(6)의 주축과 동축을 이루는 테이퍼부(25)를 서로 끼워 맞추어 부착하고 있다.
커터본체(22)에 있어서의 테이퍼부(24)의 외주면 및 커터부착부(23)에 있어서의 테이퍼부(25)의 내주면은, 도 2에 나타내듯이, 서로 대향하여 면접촉함과 아울러 커터부착부(23)에 대한 커터본체(22)의 삽입방향(도면 중의 화살표B)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축소하는 경사면(24a),(25a)으로 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부(24)의 경사면(24a) 및 테이퍼부(25)의 경사면(25a)은, 커터부착부(23)의 축선방향에 대한 경사각도 θ가 각각 1°에서 50°의 범위로 되도록 설정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는, 이 경사각도 θ를 15°로 설정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런 범위로 경사각도 θ를 설정하는 것은, 1°미만일 경우에는, 가공시에 있어서 커터본체(22)를 그 축선방향으로 거는 지지력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고,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테이퍼부(25)의 상기 화살표 B방향의 두께가 감소하여 강성이 저하함과 아울러, 커터본체(22)가 그 지름방향에 어긋나기 쉽게 되어 위치결정 정밀도가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50°를 넘는 경우에는, 커터본체(22)의 외경이 두께에 대하여 너무 크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도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커터본체(22) 및 커터부착부(23)에 있어서의 테이퍼부(24),(25)의 경사면(24a),(25a)이 정팔각추면을 이루고, 또한 이 정팔각추의 각부가, 커터본체(22)에 대해서는 모따기면(31)이 형성되고, 또한, 커터부착부(23)에는 구멍(32)을 이루도록 절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호 면접촉하는 커터본체(22)의 경사면(24a) 및 커터부착부(23)의 경사면(25a)은, 전체 둘레에 서로 커터본체(22)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핀미러커터(21)의 부착기구는, 커터본체(22)에 형성된 테이퍼부(24)의 경사면(24a)과 커터부착부(23)에 형성된 테이퍼부(25)의 경사면(25a)이, 서로 대향하여 면접촉하면서 커터부착부(23)에 대한 커터본체(22)의 삽입방향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축소하므로, 커터부착부(23)에 커터본체(22)를 삽입할 때에는, 경사면(25a)을 따라 경사면(24a)이 안내되면서 끼워 맞추어 지게 된다.
이 때, 커터본체(22)의 경사면(24a) 및 커터부착부(23)의 경사면(25a)은, 커터본체(22) 및 커터부착부(23)의 축선에 각각 일치한 축선을 가지는 정팔각추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모따기면(31) 및 구멍(32)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전체둘레에 걸쳐 면접촉하면서 위치결정되고, 커터본체(22)와 커터부착부(23)의 축선이 일치하여 중심이 맞추어지는 것으로 된다.
게다가, 이들 커터부착부(23)와 커터본체(22)의 상호 결합이, 상술한 종래기술과 같이 두께방향으로 절단된 단차부끼리의 결합이 아니고, 커터본체(22)의 삽입방향으로 점차 지름이 축소하는 경사면(24a),(25a)에 의한 것이므로, 테이퍼부(24),(25)의 강성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커터부착부(23)와 커터본체(22)의 상호결합을 테이퍼부(24),(25)끼리의 끼워 맞춤으로 한 것에 의해, 테이퍼부(24)에 형성되는 원형 오목부(18a)의 깊이(D)가 확보되므로, 그 원형 오목부(18a)에 끼워 맞추어진 클램퍼(19)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클램퍼(19)의 강성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피가공재의 치수에 맞추어 두께가 얇은 커터본체(22)를 사용하는 경우나, 고속·고이송 절삭시와 같이 절삭부하가 크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절삭시에 생길 수 있는 채터(chatter)가 억제되고, 이러한 채터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칩(3)의 손상이나 가공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부착기구는, 커터부착부(23)로부터 커터본체(22)로의 토크전달에 의한 드라이브면인, 커터부착부(23)의 경사면(25a) 및 커터본체(22)의 경사면(24a)이, 이들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평탄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키결합에 의한 것이 아니고, 커터부착부(23)에 대한 커터본체(22)의 회전방지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커터본체(22)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 있어서도, 커터부착부(23)의 회전토크를 커터본체(22)에 전달하는 드라이브면의 면적이 증대하면서 복수의 드라이브면에 의해 토크전달이 되고, 토크의 전달이 보다 확실하게 실시되면서, 그 전달력을 보다 한층 높게 할 수 있다.
더욱이는, 키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하여 부품수를 절감하고, 커터부착부(23)에 대한 커터본체(22)의 착탈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는, 커터본체(22) 및 커터부착부(23)에 있어서의 경사면(24a) 및 경사면(25a)이 정팔각추면으로 되도록 내외주면을 평탄면으로 형성하지만, 그 외의 다각추면으로 하거나, 원추면의 일부를 절단하듯이 평탄면을 형성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는 커터본체(22)의 내주면에 칩을 장착한, 소위 인터널형의 핀미러커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터본체(22)의 외주부에 절삭날을 돌출시킨 상태로 각 팁을 장착하는, 소위 익스터널형의 핀미러커터여도 좋다.
이 경우, 커터본체의 내주면 및 커터부착부의 외주면에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이들 테이퍼부를 걸어 결합한 상태로 삽입하여 부착시키는 이외에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하면 좋고, 이런 구성에 의하여도, 핀미러커터의 가공기로의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강성저하를 초래함이 없이 정밀도 양호하게 중심을 일치시키면서, 커터부착부의 회전토크를 커터본체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백하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특허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에 의하면, 커터본체의 외주면과 커터부착부의 내주면이, 커터본체의 삽입방향으로 향하여 점차 지름이 축소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커터부착부의 내주면에 커터본체의 외주부를 삽입하면 자연히 위치결정이 되고, 커터본체와 커터부착부의 중심의 일치를 정밀하고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커터본체의 부착시에 있어서의 중심맞춤작업이 용이하게 되면서, 피가공물을 정확한 원으로 가공할 수 있다.
(2) 또한, 커터부착부와 커터본체와의 상호결합이 커터본체의 삽입방향으로 지름이 축소하는 경사면에 의한 것으로서, 종래와 같이 두께방향으로 절단되어 이루어진 단차부끼리의 결합이 아니므로, 이들 결합부의 강성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커터본체의 외주부와 커터부착부의 내주부를 클램프고정하는 클램퍼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그 강성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가공재의 치수에 맞추어 두께가 얇은 커터본체를 사용하는 경우나, 고속절삭시와 같이 절삭부하가 크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절삭시에 생길 수 있는 채터가 억제되고, 이런 채터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탭의 손상이나 가공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3) 더욱이, 커터부착부의 내주면 및 커터본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이들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키결합에 의한 회전방지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하고, 커터본체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 있어서도, 커터부착부에서 커터본체로의 토크전달을 확실하게 실시하며, 그 전달력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키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수를 절감하고, 커터부착부에 대한 커터본체의 착탈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4) 특허청구범위 제2항 기재의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에 의하면, 익스터널형의 핀미러커터에 있어서, 상술한 (1)∼(3)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5) 특허청구범위 제3항 기재의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에 의하면, 커터부착부의 회전토크를 커터본체에 전달시키기 위한 드라이브면의 면적이 증대함과 아울러, 복수의 드라이브면에 의해 토크전달이 되므로, 인터널형 및 익스터널형의 양형식의 핀미러커터에 있어서, 상술한 (1)∼(3)의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둥근 환형을 이루면서 내주부에 절삭날이 배열된 커터본체가 가공기의 회전구동하는 커터부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축선주위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에 있어서,
    상기 커터본체는 그 외주부를 상기 커터부착부의 내주부에 끼워 맞춘 상태로 삽입하여 부착되고;
    상기 커터본체의 외주면과 상기 커터부착부의 내주면은 서로 대향하여 면접촉함과 아울러 커터부착부에 대한 커터본체의 삽입방향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축소하는 경사면으로 되고, 또한 이들 내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면접촉하는 상기 커터본체 및 상기 커터부착부의 주면이 전체 둘레에 걸쳐 복수의 상기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
  3. 둥근 환형을 이루면서 외주부에 절삭날이 배열된 커터본체가 가공기의 회전구동하는 커터부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축선주위에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된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에 있어서,
    상기 커터본체는 그 내주부를 상기 커터부착부의 외주부에 걸어 맞춘 상태로 삽입하여 부착되고;
    상기 커터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커터부착부의 외주면은 서로 대향하여 면접촉하면서 커터부착부에 대한 커터본체의 삽입방향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확대하는 경사면으로 되고, 또한 이들 내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서로 면접촉하는 상기 커터본체 및 상기 커터부착부의 주면이 전체 둘레에 걸쳐 복수의 상기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
KR10-1999-0001635A 1998-01-22 1999-01-20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 KR100390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82598 1998-01-22
JP98-10825 1998-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025A KR19990068025A (ko) 1999-08-25
KR100390373B1 true KR100390373B1 (ko) 2003-07-07

Family

ID=1176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635A KR100390373B1 (ko) 1998-01-22 1999-01-20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68430A (ko)
KR (1) KR100390373B1 (ko)
DE (1) DE199008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0228B1 (de) * 1995-06-06 2000-07-26 Widia GmbH Verfahren zur spanenden bearbeitung von zylindrischen konturen,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nd schneideinsatz hierzu
JP3472752B2 (ja) * 2000-08-03 2003-12-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それを用いたピンミラーカッタ
US6840522B2 (en) * 2003-05-01 2005-01-11 Thomas Merrifiel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automobile wheel
JP4704202B2 (ja) * 2005-12-08 2011-06-15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ピンミラーカッタのアダプタへの取付構造
DE102007013153B4 (de) * 2007-03-20 2019-01-24 Kennametal Inc. Werkzeug
CN104070219B (zh) * 2014-07-23 2016-05-25 上海现代先进超精密制造中心有限公司 一种具有减重孔平面的扇形工件的加工方法
DE102015102044A1 (de) 2015-02-12 2016-08-18 Kennametal Inc. Fräswerkzeug und Schneideinsatz für ein solches Fräswerkzeug
CN105922081B (zh) * 2016-06-08 2018-05-04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双五轴镜像结构精度检测方法
EP3335821B1 (en) * 2016-12-14 2020-10-07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Internal milling cutter
CN109213070B (zh) * 2018-03-21 2020-08-04 中国航空制造技术研究院 一种镜像铣削过程中加工厚度的在线测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722702A1 (ru) * 1978-09-22 1980-03-25 Kosykh Anatolij Дискова фреза
DE3831397C2 (de) * 1987-09-18 2000-05-25 Mitsubishi Materials Corp Kombination eines Schneidwerkzeugs mit einer Befestigungseinheit zum Befestigen des Schneidwerkzeugs
JPH06206114A (ja) * 1991-10-31 1994-07-26 Toyota Motor Corp ピンミラーカッタの取付機構
JP3010101B2 (ja) * 1992-10-27 2000-02-1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ピンミラーカッタの取付機構
IL104774A (en) * 1993-02-18 1997-01-10 Iscar Ltd Milling cutter
JPH0760529A (ja) * 1993-08-30 1995-03-07 Mitsubishi Materials Corp ピンミラーカッタの取付構造
JPH08257818A (ja) * 1995-03-29 1996-10-08 Mitsubishi Materials Corp ピンミラーカッタの取付機構
IL113698A (en) * 1995-05-11 1998-12-06 Iscar Ltd Cutting tool assembly
JPH09309019A (ja) * 1996-05-27 1997-12-02 Mitsubishi Materials Corp ピンミラーカッタの取付機構
JPH10156617A (ja) * 1996-11-28 1998-06-16 Komatsu Koki Kk ミーリング加工用カッタ装置
JPH10180525A (ja) * 1996-12-26 1998-07-07 Mitsubishi Materials Corp ピンミラーカッタの取付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00857A1 (de) 1999-07-29
US6068430A (en) 2000-05-30
KR19990068025A (ko)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0373B1 (ko)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
KR20110076786A (ko) 콜릿 홀더를 구비한 공구 홀더 및 공구 홀더에서 사용되는 공구 인서트
JP2002113606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US5711642A (en) Front-loading rotary ring cutter
CN107848044B (zh) 自定心紧凑型浮动铰刀刀架
JPS60180740A (ja) 工具部品結合装置
JP3812480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JPH09309019A (ja) ピンミラーカッタの取付機構
JP3278803B2 (ja) ピンミラーカッタの取付機構
JPH10180525A (ja) ピンミラーカッタの取付機構
JP4491997B2 (ja) ピンミラーカッタ
JP2859245B2 (ja) ロータリリングカッタ
JP4221844B2 (ja) ピンミラーカッタ
JP4780827B2 (ja) クランクシャフトミラーのカッタ装置並びにクランクシャフトミラー
JP3446913B2 (ja) ヨークの加工方法
JP5633936B2 (ja) ツールホルダ及びスピンドル装置
JP2003291014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JP4385499B2 (ja) ピンミラーカッタの取付機構
KR20010076270A (ko) 용접 구조
JPH0680509U (ja) サイドロック式工具チャック
JP2001191211A (ja) ピンミラーカッタ
JP2000246521A (ja) 工具ホルダー取付装置
JP2003094224A (ja) ピンミラーカッタの取付機構
JPH0635652Y2 (ja) 切削屑を分断させるステータ半製品のコア押え板
JPH0750120Y2 (ja) 主軸キ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