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890B1 - 작동정지,삼중층배터리격리판 - Google Patents

작동정지,삼중층배터리격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890B1
KR100388890B1 KR1019950051954A KR19950051954A KR100388890B1 KR 100388890 B1 KR100388890 B1 KR 100388890B1 KR 1019950051954 A KR1019950051954 A KR 1019950051954A KR 19950051954 A KR19950051954 A KR 19950051954A KR 100388890 B1 KR100388890 B1 KR 100388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battery separator
battery
layer
micro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1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005A (ko
Inventor
유 웨이-칭
Original Assignee
셀가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가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셀가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6002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8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23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 B01D67/0025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mechanical treatment, e.g. pore-stretching
    • B01D67/0027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mechanical treatment, e.g. pore-stretching by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6Three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01D71/261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01D71/262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2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0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laying up of th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4Characteristic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4Mechanical properties, e.g.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32B2038/0028Stretching, elon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6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0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51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by fo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2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laminating of indefinite length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4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adhesively bo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정지, 삼중층 배터리 격리판에 관한 것이다. 격리판은 제 2 미공질 막이 사이에 낀 제 1 및 제 3 미공질 막을 갖는다. 제 1 및 제 3 막은 제 2 막보다 더욱 큰 파괴 강도를 갖는다. 제 2 막은 제 1 또는 제 3 막보다 더욱 낮은 융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작동정지, 삼중층 배터리 격리판{SHUTDOWN, TRILAYER BATTERY SEPARATOR}
본 발명은 작동정지(shutdown) 배터리 격리판에 관한 것이다.
작동정이 배터리 격리판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 4,650,730; 4,731,304; 5,240,655; 5,281,491 호; 및 일본 공개 번호 6-20671를 참고하며, 이들 각각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배터리에서, 어노드 및 캐쏘드는 격리판에의해 서로 분리된다. 오늘날, "리튬 배터리" 는 높은 에너지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리튬 배터리 시장은 두개의 부류, 즉, "일차" 리튬 배터리와 "이차" 리튬 배터리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일차 리튬 배터리는 일회용 배터리이며, 이차 리튬 배터리는 재충전가능 배터리이다. 이차 리튬 배터리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단락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열이 빠르게 방출되므로서 단락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열의 빠른 방출은 배터리의 폭발을 초래한다. 따라서, 작동정지 배터리 격리판을 개발했다.
일반적으로 작동정지 배터리 격리판은 중합체적으로 다르고 나란히 놓인 2개의 미공질 막으로 구성된다. 미공질 막 중 하나는 비교적 융점이 낮은 것으로 선택하고, 다른 하나는 비교 강도가 큰 것으로 선택한다. 예를 들면, 융점이 낮은 막은 폴리에틸렌 물질일 수 있고, 강한 막은 폴리프로필렌 물질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 미공질 막은 대략 130℃ - 135℃ 의 융점을 가지며, 이 온도는 리튬 배터리 내에서 단락이 일어나는 경우에 발생된 열이 폴리에틸렌을 녹여서 작동정지시키거나 또는 격리판의 공극을 채움으로써 회로가 단락될 가능성을 없애거나 방지할 정도로 충분히 낮다. 실제로 보다 높은 융점, 대략 160℃ 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막은 격리판을 강하게하여 단락이 되는 경우에도 격리판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만든다.
미합중국 특허 제 4,650,730; 4,731,304; 5,240,655; 및 5,281,491 호 및 일본 공개 6-20671에서, 종래 유형의 작동정지 배터리 격리판이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650,730 및 4,731,304 호의 실시예에서, 두께가 3-4 mil 인 이중층 격리판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 6-20671 에서, 작동정지, 이중층 배터리 격리판은 약 1 내지 2 mil 의 두께를 갖는다.
미합중국 특허 제 5,240,655 및 5,281,491 호에는 다중 격리판이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5,240,655 호의 실시예 2 및 3 에는, 폴리에틸렌-에틸렌 부텐 공중합체-폴리에틸렌 삼중층 격리판이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5,281,491 호와 실시예 4 에는 폴리에틸렌-에틸렌 부텐 공중합체-폴리에틸렌 삼중층 격리판이 기재되어 있다. 종래 각각의 격리판은 동시압출, 추출, 스트레칭 공정에의해 제조된다.
상기 유형의 신규한 작동정지 배터리 격리판을 고안할 때, 작동정지 특징 이외에 몇가지 요소가 중요하다. 여기에는 얇은 정도, 파괴(坡壞) 강도, 및 박리(剝離) 강도가 포함된다. 배터리를 제조할 때, 아주 격리판의 두께가 극히 얇음으로써 배터리의 크기 뿐만 아니라 격리판을 가로지른 전기적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배터리를 제조할 때, 특히 "젤리 로울(jelly roll)" 유형의 배터리를 제조할 때 우수한 파괴강도를 갖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어노드 및 캐쏘드의 표면이 이들이 제조 공정 동안 이러한 매우 얇은 격리판을 파괴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거칠 수 있기 때문이다. 박리 강도가 크면, 격리판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우수한 박리 강도를 갖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배터리 제조시의 손상을 견디기에 충분한 파괴 강도 및 박리 강도를 가진 극히 얇은 작동정지 배터리 격리판을 제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차 리튬 배터리를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우수한 파괴 강도는 특히 중요하다. 이차 리튬 배터리에서 사용되는 어노드 및 캐쏘드는 전형적으로 거친 표면을가진다. 이렇게 표면이 거칠면 배터리를 조합하는 동안 얇은 격리판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시 특별한 주의가 있어야한다. 작동정지 층과 강성 층(strength layer)을 갖는 이중층 배터리 격리판은 제조하는 동안 거친 전극 표면에 의해 작동정지 층(이는 강성 층보다 약하다)에 손상을 입힐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다른 것보다도, 배터리, 예를 들어 이차 리튬 배터리를 제조할 때 부딪치는 거친 측면을 가진 전극을 견딜 수 있는 배터리 격리판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작동정지, 삼중층 배터리 격리판에 관한 것이다. 격리판은 제 2 미공질막이 사이에 낀 제 1 및 제 3 미공질 막을 가진다. 제 1 및 제 3 막은 제 2 막보다 더 강한 파괴 강도를 갖는다. 제 2 막은 제 1 또는 제 3 막보다 더욱 낮은 융점을 갖는다. 제 1 및 제 3 막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막은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 본 발명의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양태가 도시되나; 본 발명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 및 수단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하기 상세한 설명 및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사용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작동정지 배터리 격리판은 특정 경우, 예를 들어 열의 빠른 발생에 대응하여 격리판을 가로지른 이온 이동을 작동정지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는 배터리 격리판을 말한다. 제 1 도에서, 그래프는 작동정지 배터리 격리판의 기능을 설명한다. 작동정지 능력은 저항(ohm)으로 표현되고, 열의 발생은 온도(℃)로 표현된다. 온도가 초기 범위를 넘으면, 저항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온도가 작동정지 층의 융점에 도달하면, 저항값은 급격히 상승한다. 저항값이 급격히 상승한 후에, 저항값은 온도가 강성층의 융점에 도달할 때까지 높은 상태에 있다. 제 1 도의 그래프를 플로팅하는 데 사용할 데이타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작된 삼중층 작동정지 배터리 격리판상에서 테스트함으로써 얻었다. 이러한 삼중층 격리판은 폴리프로필렌(PP) - 폴리에틸렌(PE) - 폴리프로필렌(PP)으로 구성된다. 작동정지 배터리에 대한 부가의 정보는 아마도 미합중국 특허 제 4,640,730; 4,731,304; 5,240,655; 5,281,491 호; 일본 공개 번호 6-20671; "Methods fo Making Cross-Ply Microporous Membrane Battery Separators, and the Battery Separators Made Thereby"의 제목으로 1994년 11월 17일자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제 08/341,239 호; 및 "Shutdown, Bilayer Battery Separator" 의 제목으로 1994년 12월 2일자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제 08/348,630 호로부터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이들 각각은 본원에 참고 문헌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정지 배터리 격리판은 적어도 3개의 층을 갖는다. 물론, 이들 층의 각각은 미공질 막이며, 바람직하게 이는 구분된 미공질 막이다. (예를 들어, Kesting R.E., Synthetic Polymeric Membranes, 제 2판, John Wiley & Sons, New York City NY, (1985) at section 8.2 versus Ibid. 제 7 장 참고로 하며, 상기 문헌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최외각 층은 강도, 특히 예를 들어 거친 전극 표면에의한 파괴에 견디는 강도를 제공한다. 상기 강도 성질은 파괴 강도로서 정량화될 수 있다(하기 정의됨). 상기 최외각 층들 사이의 층은 작동정지 성질을 제공한다.
최외각 층의 파괴 강도는 비교적 안쪽에 있는 작동정지 층의 것보다 크고, 안쪽 작동정지 층의 융점이 비교적 최외각 강성 층의 것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삼중층, 작동정지 배터리 격리판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최외각 층들은 가운데 작동정지 층을 사이에두고 포개어진다.
상기 논의된 최외각 층의 강도 성질은 격리판에 보다 큰 파괴 강도를 제공함으로써 배터리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단락의 경우에 격리판의 통합성을 유지시키는 능력인, 층의 중요한(그러나 필수적으로 고유하지는 않은) 기능이다. 바람직하게, 리튬 배터리에 있어서, 융점이 가장 낮은 전극(예를 들면, 리튬 물질)의 융점정도와 온도 또는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 녹는 물질에의해 강도 용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물질의 예로는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또는 실제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 공중합체로 구성된 블렌드가 있다.
상기 언급된 내부층의 작동정지 성질은 단락의 경우에 격리판의 미공(미세공극)을 닫게 만드는 능력인, 층의 중요한(그러나 필수적으로 고유하지는 않은) 기능이다. 전형적으로 이는 작동정지 층이 어떤 온도에서 녹아서 격리판의 공극을 막음으로써, 격리판을 가로지른 이온의 이동을 방해하여 단락을 종결시킬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리튬 배터리에서, 융점이 가장 낮은 전극(예를 들면, 융점이 약 180℃인 리튬 물질)의 융점보다 적어도 20℃ 이하인 온도에서 녹을 물질로 작동정지 능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물질의 예는 폴리에틸렌 또는 대체로 폴리에틸렌 또는 110℃ 초과의 온도에서 녹는 폴리에틸렌으로 대부분 구성된 공중합체로 구성된 블렌드이다.
격리판의 두께는 3 mil (약 75 미크론)미만이다. 상기 격리판의 두께범위는 0.5 mil (약 12 미트론) 내지 1.5 mil (약 38 미크론)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격리판은 약 1 mil (약 25 미크론)의 두께를 갖는다. 격리판의 총 두께는 대체로 개별적인 층의 합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별적인 층은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상세한 측정법이 하기에 설명된다.
파괴 강도는 450 그램을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 파괴 강도는 480 그램을 초과한다. 이는 평균 공극율이 35% 일 때 측정한다. 상세한 측정법이 하기 설명된다.
박리 강도는 1 그램/센티미터(4 그램/인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 박리 강도는 1.5 그램/센티미터(6 그램/인치) 이상이다. 상세한 측정법이 하기 설명된다.
본 발명의 격리판이 제조되는 방법은 대략적으로 제 1 과 제 3 미공질막을 제조하고, 제 2 미공질막을 제조한 뒤, 제 1, 제 2 및 제 3 막을 함께 결합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막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을 말하자면, 공정은 하기 단계를 필요로한다: 중합체를 압출시켜 시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시이트를 어니일링시키는 단계; 및 어니일링된 시이트를 스트레칭시키는 단계. 이와같은 시이트,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하는 특정 방법은 1 mil 을 초과한 두께를 갖는 막의 제조방법을 참고로하여 논의될 것이다.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하기 참고문헌(이들 각각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은 1 mil 을 초과한 두께를 갖는 막을 제조하는 기술의 현황을 설명한다: 미합중국 특허 번호: 3,426,754; 3,588,764;3,679,538; 3,801,404; 3,801,692; 3,843,761; 3,853,601; 4,138,459; 4,539,256; 4,726,989; 및 4,994,335 (이들 각각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이러한 방법들의 지식을 가정하여, 박 막(thin membrane)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표준 필름(1 mil 을 초과한 두께)을 제조하는 선행 업계의 방법과 얇은 필름(1/2 mil의 미만의 두께)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 사이의 차이점을 설명함으로써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압출, 어니일링, 및 스트레칭에 관해 이후에 논의될 차이점은 70 mil 굴대 간격으로 장치된 27" 틀의 틀 구조를 기준으로 한다. 틀 구조가 변하면, 차이도 변할 것이다. 예를 들어 6" 틀이 사용되면, 표준 필름 공정과 얇은 필름 공정 사이의 틀의 온도 차는 더욱 작아진다. 틀 구조를 고려하지 않으면, 얇은 필름은 보다 적은 퀀치 공기를 필요로 한다.
압출 조건에 관해서, 표준 필름 공정은 전형적으로 필름 공정보다 보다 낮은 압출 온도 및 더욱 강한 퀀치 공기 조건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표준 필름 공저에 대한 관련있는 퀀치 조건은 약 15 cm(6") H2O 의 공기압; 10/64 에소 15/64 인치 범위인 공기 고리 간격; 및 1 내지 2 인치의 공기 고리 높이를 포함하는 한편, 얇은 필름 공정에 대한 관련 퀀치 조건은 약 0.6-3.0" H2O 의 공기압; 5/64 에서 10/64 인치 범위인 공기 고리 간격; 및 약 1 내지 2 인치의 공기 고리 높이를 포함한다 (예로서 Exxon's Escorene PP4292 수지를 사용하는)표준 필름 공정에 대한 관련 압출 조건은 191-198℃ 범위의 틀 온도 및 200-250℃ 의 배럴 온도를 포함하는한편,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는)얇은 필름 공정에 대한 관련 압출 조건은 210℃(0.5 mil 최종 생산물에 대해)-224℃(0.33 mil 최종 생산물에 대해)의 범위의 틀 온도 및 210℃ 의 배럴 온도를 포함한다.
어니일링 및 스트레칭 조건에 관하여, 이들을 벗겨낼 때 각각의 층이 찢어지지(즉, 파열되지) 않도록, 각각의 층의 층간의 부착정도(박리 강도로서 측정됨)는 표준 공정의 것보다 낮아야한다. 분리에대한 저항력은 층의 두께에 비례한다. 따라서, 층이 (부착시키기 위해) 함께 고정되고 점착성이 분리 저항성보다 크다면, 층은 찢어지지 않고는 분리될(벗겨질) 수 없다. 예를 들면, 약 1 mil 의 두께를 갖는 층의 부착력은 약 15 그램/인치 미만이며, 0.5 mil 층에 대한 부착력은 약 8 그램/인치 미만이며, 0.33 mil 층에 대해서는 약 5 그램/인치 미만이다. 부착 값을 낮추기 위해서, 본 발명 공정에 대한 어니일링/스트레칭 온도는 표준 공정에 대한 것보다 낮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대한 어니일링/스트레칭 온도는 140-150℃(표준 공정)의 범위에 비해 120∼125℃ (본 발명의 공정)의 범위일 것이며, 폴리에틸렌 필름에 대한 온도는 약 115℃ (표준 공정)인데 비해 약 110℃ (발명된 공정 )이다.
주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손질된 2개층 필름을 삼중층 격리판이 형성될 때까지 처리한다. 필름의 벗김 구조는 제 2도에 도시된다. 제 2 도에서, 벗김 및 삼중층 형성 스킴(10)이 도시된다. 스킴(10)에는 바닥층 레이아웃(12) 및 상층 레이아웃(14)이 포함된다. 레이아웃(12 및 14))은 동일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공간을 사용하기 위해) 상층 레이아웃(12)에 관해서만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레이아웃(12)는 3개의 풀림 스테이션(16, 18, 및 20)으로 구성된다. 스테이션(16 및 20)은 폴리프로필렌 미공질 막의 로울을 지탱하며, 스테이션(18)은 폴리에틸렌 미공질 막(즉, 하나의 로울-2개 층)의 로울을 지탱한다.
단일-층 형태의 막(즉, PP 또는 PE 막 중 하나)은 약 1/3 mil 정도로 얇다. 상기 두께 필름의 막은 주름지거나 자국을 남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두겹 형태(약 2/3 mil 두께)로 취급된다(가능한한 많은 겹). 폴리프로필렌 필름(24) 및 폴리에틸렌 필름(26)온 이들 로울러로부터 풀리고, 가이드 로울러(22)의 보조로 몇가지 경우 벗겨지고나서, 다시 겹쳐져서 삼중층 프리커서(28)을 형성한다. 스킴(10)으로부터, 4개의 삼중층 프리커서(28)이 형성된다. 적어도 4개의 삼중층 프리커서가 주름지는 문제점을 방지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경제적인 이유에서) 장치를 사용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삼중층 프리커서의 최소치가 적어도 2개인 것이 공정의 경제적인 면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프리커서(28)는 결합 스테이션(30)(도시되지 않음)으로 진행한다.
막을 서로 결합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에 있어서, 몇가지 결합 방법이 고려된다. 대략적으로, 결합 방법에는 캘린더링, 점착제에의한 부착, 및 용접법이 포함된다.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공기 분무법, 그리비야(gravure)/스크린 프린팅, 수압식 분무, 및 초음파 분무법이 있다. 점착제의 선택 및 점착제 적용 속도는 격리판의 다공성이 역효과를 받지 않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용접 기술은 열 용접 및 초음파 용접을 포함한다. 용접 절차 및 용접의 방식에대한 에너지의 양은 다른 것들 중에, 격리판의 다공성이 역효과를 받지 않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125-130℃ 범위의 온도에서 약 2 내지 10 분의 체류시간 동안 폐쇄된 닙(nip)으로 캘리더링시킴으로써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시킨 후, 삼중층 작동정지 배터리 격리판은 당 분야에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배터리, 특히 이차 리튬 배터리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다시 감긴다.
본 발명에 대한 부가의 정보는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원에 언급된 테스트 방법이 하기에 설명된다.
테스트 방법
Gurley ASTM-D726(B)
Gurley 는 Gurley 덴소미터(densometer)(예로서 모델 4120)로 측정된 공기 흐름에 대한 저항성이다. Gurley 는 12.2 인치의 수압하에 생산물의 제곱 인치를 통해 공기 10cc 가 통과하는데 필요한 시간(초)이다.
두께를 재는 방법 : T411om-83 는 the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의 도움으로 개발되었다. 7개의 PSI 에서 샘플과 접촉하는 1/2 인치 직경인 원형 슈(shoe)가 구비된 정밀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두께를 결정한다. 샘플의 너비를 따라 측정된 10개의 각각의 마이크로미터 측정치를 평균낸다.
다공성 ASTM D-2873
밀도 ASTM D-792
파괴 강도 스트레칭된 생산물의 너비를 따라 10번 측정하고 평균낸다. Mitech Stevens LFRA Texture Analyzer 를 사용한다. 니들은 0.5 mm 반경이며, 직경 1.65 mm 이다. 강하 속도는 2 mm/초이며, 휜 정도는 6 mm 이다. 11.3 mm 의 중심 구멍을 가진 클램핑 기구내에 필름을 꼭맞게 고정시킨다. 니들이 관통한 필름의 이동정도(mm)을 데스팅된 필름에의해 개발된 저항력(그램 력(force))에 대해 기록했다. 최대 저항력은 파괴 강도이다.
박리 강도 결합된 막의 2개의 1인치 폭 부분을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그램)을 결정하는 인장 및 압착 테스트기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박리 속도는 6인치/분이다. 웹(web)을 가로질러 3번 측정하고 평균낸다.
용융 지수 ASTM D 1238;
PE: 190℃/2.16 Kg; PP: 230℃/2.16 Kg
실 시 예
상기 공개된 바와 같이 작동정지 삼중층 배터리 격리판을 하기 방식으로 제조했다: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수지를 표 1 과 2 에 수록하였다:
표 1
폴리프로필렌 (PP 단일 중합체)
* 항차단제를 함유함
표 2
폴리에틸렌 (HDPE)
압출기 장치는 표 3 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배치되었다.
표 3
압출기
표 4 에 설명된 바와 같이 수지를 압출시켜 표 4 에 설명된 바와 같은 관형 프리커서 필름(대조군)을 형성했다:
표 4
프리커서 필름을 8-층 필름으로 어니일링 시켰다. 프리커서 필름이 팽창된 튜브로서 압출되기 때문에, 이들이 부딪칠 때, 이는 2-층 필름을 형성했다. 이와같은 4개의 2-층 필름은 함께 감겨서 8-층 필름으로 제조된다. 어니일링 조건은 하기 표 5 에 설명된다:
표 5
어니일링 조건
어니일링 프리커서 필름은 스트레칭되어 미공질막을 형성한다. 어니일링된 프리커서 필름은 16-층 필름으로 스트래칭되었다(방출된 원형 프리커서로부터 2 층 필름의 8개 로울). 대안적으로, 어니일링된 프리커서 필름은 8-층 필름 또는 24-층 필름으로 스트레칭될 수 있다. 스트레칭 조건은 표 6 에 설명된다:
표 6
16-층 필름인 미공질막을 2-층 필름으로 벗겨낸다. 2-층 필름을 개별적으로, 떼어낸 층들로 분리시킴으로써 2-층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손질한다. PP 층은 PE 층보다 넓은 0.5 인치로 손질한다.
결합 온도에서 약 5-10 분의 잔류 시간 동안, 25 feet/분의 선 속도로, 128℃ 에서 캘린더링시킴으로써 삼중층 프리커서를 함께 결합시켰다.
상기 실시예에따라 제조된 삼중층 격리판은 표 7 에 설명된 특징을 가진다:
표 7
삼중층 격리판 특징
삼중층 배터리 격리판의 특징을 표 8 에서 다른 배터리 격리판(Celgard-형 단일-층 PP; Celgard-형 단일-층 PE; 이중층 PP/PE (1994년 12월 2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08,348,630 호 참고); 및 교호식-층 PE (1994년 11월 11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08,341,239 호 참고)와 비교한다:
표 8
다른 배터리 격리판과 삼중층(PP/PE/PP)의 비교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원리 또는 기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영역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명세서보다는 오히려 청구된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해야한다.
제 1 도는 온더(℃)의 함수인 배터리를 작동정지시킬 수 있는 삼중층 배터리 격리판의 능력(전기 저항(ohm)으로 측정됨)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제 2 도는 벗김 및 삼중층 형성 장치의 도식적인 설명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벗김 및 삼중층 형성 스킴 22 : 가이드 로울러
12 : 바닥층 레이아웃 24 : 폴리프로필렌 필름
14 : 상층 레이아웃 26 : 폴리에틸렌 필름
16, 18, 20 : 풀림 스테이션 28 : 삼중층 프리커서

Claims (18)

  1. 미공질 폴리에틸렌 막이 사이에 낀 제1 및 제3 미공질 폴리프로필렌 막으로 구성되는 작동정지, 삼중층 배터리 격리판.
  2. 제1항에 있어서, 두께가 약 0.5 내지 약 1.5 mil인 배터리 격리판.
  3. 제2항에 있어서 , 두께가 약 1 mil인 배터리 격리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 강도가 약 450그램 이상인 배터리 격리판.
  5. 제4항에 있어서 , 상기 파괴 강도가 약 48그램 이상인 배터리 격리판.
  6. 제1항에 있어서 , 박리 강도가 인치 당 4그램이상인 배터리 격리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강도가 인치 당 6그램 이상인 배터리 격리판.
  8. 제1항의 격리판으로 구성된 배터리.
  9. 약 0.5 mil 내지 약 1.5 mil의 두께; 약 450그램 이상의 파괴 강도; 및 인치당 4그램을 초과하는 박리 강도를 가지며, 미공질 폴리에틸렌 막이 사이에 낀 제1및 제3 미공질 폴리프로필렌 막으로 구성되는 작동정지 배터리 격리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가 약 1 mil인 작동정지 배터리 격리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 강도가 약 480그램 이상인 작동정지 배터리 격리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강도가 인치 당 약 6그램이상인 작동정지 배터리 격리판.
  13. 제9항의 격리판으로 구성된 배터리.
  14. 패리슨(parison)을 압출시키는 단계;
    패리슨을 그 안으로 접어 넣어 2개의 층으로 구성된 평편한 시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평편한 시이트를 어니일링시키는 단계;
    평편한 시이트를 스트레칭시키는 단계; 및
    평편한 시이트를 감는 단계
    로 구성되는 약 0.5 mil 미만의 두께를 갖는 미공질 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2개층 사이의 부착력이 인치당 8그램 미만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약 0.33 mil 이하의 두께를 갖는 미공질 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부착력이 인치당 5그램 미만인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공기압이 물 0.6-0.3 인치 범위인 가스로 압출된 패리슨을 퀀칭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2개층의 미공질 폴리프로필렌 막으로 구성된 제1 및 제3의 평편한 시이트를 마련하는 단계;
    제14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2개층의 미공질 폴리에틸렌 막으로 구성된 제2 평편한 시이트를 마련하는 단계;
    미공질 폴리프로필렌 막의 제1 및 제3 평편한 시이트를 벗겨내는 단계;
    미공질 폴리에틸렌 막의 제2 평편한 시이트를 벗겨내는 단계;
    각각의 층을 겹쳐서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구조물을 결합시켜 삼중층 격리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격리판을 감아올리는 단계로 구성된 삼중층 작동정지 배터리 격리판을 제조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결합시키는 것이 캘린더링하거나 또는 용접 또는 점착제를이용하는 것으로 구성된 방법.
KR1019950051954A 1994-12-20 1995-12-19 작동정지,삼중층배터리격리판 KR100388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977294A 1994-12-20 1994-12-20
US08/359772 1994-12-20
US08/359,772 1994-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005A KR960027005A (ko) 1996-07-22
KR100388890B1 true KR100388890B1 (ko) 2003-09-06

Family

ID=2341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1954A KR100388890B1 (ko) 1994-12-20 1995-12-19 작동정지,삼중층배터리격리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5691077A (ko)
EP (2) EP0718901B1 (ko)
JP (1) JP3960437B2 (ko)
KR (1) KR100388890B1 (ko)
CN (1) CN1088543C (ko)
DE (2) DE69512877T2 (ko)
TW (1) TW2971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97171B (ko) * 1994-12-20 1997-02-01 Hoechst Celanese Corp
JPH08244152A (ja) * 1995-03-15 1996-09-24 Nitto Denko Corp 多孔質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法
JP3381538B2 (ja) * 1996-08-06 2003-03-04 宇部興産株式会社 積層多孔質ポリオレフィンフイルムの製法
JP3210593B2 (ja) * 1997-02-17 2001-09-17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JP3436055B2 (ja) * 1997-03-18 2003-08-11 宇部興産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
US5952120A (en) * 1997-04-15 1999-09-14 Celgard Llc Method of making a trilayer battery separator
US5993954A (en) * 1997-04-29 1999-11-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emperature-sensitive microporous film
JP3260675B2 (ja) * 1997-10-14 2002-02-25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TW420886B (en) * 1997-12-19 2001-02-01 Celgard Inc Penta-layer battery separator
US6180280B1 (en) * 1998-03-12 2001-01-30 Celgard Inc. Trilayer battery separator
US6080507A (en) * 1998-04-13 2000-06-27 Celgard Inc. Trilayer battery separator
US6159634A (en) * 1998-04-15 2000-12-12 Duracell Inc. Battery separator
US6368742B2 (en) * 1998-06-26 2002-04-09 Celgard, Inc. Polypropylene microporous membrane for battery separator
DE19850826A1 (de) 1998-11-04 2000-05-11 Basf Ag Als Separatoren in elektrochemischen Zellen geeignete Verbundkörper
DE19916109A1 (de) 1999-04-09 2000-10-12 Basf Ag Als Separatoren in elektrochemischen Zellen geeignete Verbundkörper
US6346350B1 (en) * 1999-04-20 2002-02-12 Celgard Inc. Structurally stable fusible battery separator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423699B2 (ja) * 1999-05-27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素子及びその作製方法
US6602593B1 (en) 1999-08-30 2003-08-05 Celgard Inc. Battery separators with reduced splitting propensity
US6562511B2 (en) 1999-12-09 2003-05-13 Ntk Powerdex, Inc. Battery separator for Li-Ion and/or Li-Ion polymer battery
CN1239226C (zh) 2000-01-10 2006-02-01 Lg化学株式会社 高结晶聚丙烯微孔薄膜,多组分微孔薄膜及其制备方法
US20020136945A1 (en) * 2000-01-18 2002-09-26 Call Ronald W. Multilayer battery separators
US6432586B1 (en) 2000-04-10 2002-08-13 Celgard Inc. Separator for a high energy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KR100409017B1 (ko) * 2000-06-23 2003-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성분계 복합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TW595035B (en) * 2000-08-30 2004-06-21 Sumitomo Chemical Co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7063917B2 (en) 2001-02-21 2006-06-20 Ahlstrom Mount Holly Springs, Llc Laminated battery separator material
US8007940B2 (en) * 2001-12-11 2011-08-30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High discharge capacity lithium battery
US20050112462A1 (en) 2003-11-21 2005-05-26 Marple Jack W. High discharge capacity lithium battery
US6998193B2 (en) 2001-12-28 2006-02-14 Policell Technologies, Inc. Microporous membrane and its uses thereof
US6815123B2 (en) * 2001-12-28 2004-11-09 Policell Technologies, Inc. Lithium-ion battery using heat-activatable microporous membrane
US6878226B2 (en) * 2002-01-08 2005-04-12 Wei-Ching Yu Continuous methods of making microporous battery separators
US6670071B2 (en) * 2002-01-15 2003-12-30 Quallion Llc Electric storage battery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677076B2 (en) * 2002-01-15 2004-01-13 Quallion Llc Electric storage battery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0238941B4 (de) * 2002-08-24 2013-03-28 Evonik Degussa Gmbh Elektrischer Separator,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in Lithium-Hochleistungsbatterien sowie eine den Separator aufweisende Batterie
AU2003251798A1 (en) * 2003-01-15 2005-10-07 Quallion Llc Battery
US20050031943A1 (en) * 2003-08-07 2005-02-10 Call Ronald W. Battery separa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50233214A1 (en) * 2003-11-21 2005-10-20 Marple Jack W High discharge capacity lithium battery
US8283071B2 (en) 2003-11-21 2012-10-09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High discharge capacity lithium battery
US8124274B2 (en) * 2003-11-21 2012-02-28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High discharge capacity lithium battery
US20050170153A1 (en) * 2004-02-02 2005-08-04 Celgard Inc. Printable thin microporous membrane
US8080329B1 (en) 2004-03-25 2011-12-20 Quallion Llc Uniformly wound battery
US8104625B2 (en) * 2004-05-20 2012-01-31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Microporous membrane made of polyolefins
US7829242B2 (en) 2004-10-21 2010-11-09 Evonik Degussa Gmbh Inorganic separator-electrode-unit for lithium-ion batterie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in lithium batteries
JP4815795B2 (ja) * 2004-12-01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4384630B2 (ja) * 2004-12-23 2009-12-16 トーレ・サエハ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二次電池セパレータ用ポリエチレン微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
EP1942000B1 (en) * 2005-10-24 2018-12-12 Toray Industries, Inc.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battery separator
KR100943236B1 (ko) * 2006-02-14 2010-02-18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용융파단 특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미세다공막 및 그제조방법
US20070238017A1 (en) 2006-04-07 2007-10-11 Celgard Llc Multilayer separator exhibiting improved strength and stability
US10003058B2 (en) * 2006-11-17 2018-06-19 Celgard, Llc Method of making a co-extruded, multi-layered battery separator
KR20120025619A (ko) 2007-05-10 2012-03-15 히다치 막셀 에너지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화학 소자
DE102007042554B4 (de) 2007-09-07 2017-05-11 Carl Freudenberg Kg Vliesstoff mit Partikelfüllung
EP2075126B1 (en) 2007-12-26 2014-04-09 SK Innovation Co. Ltd. Microporous polyolefin multi layer film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1437852B1 (ko) 2007-12-26 2014-09-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다층 폴리올레핀계 미세다공막 및 그 제조방법
CN101946344B (zh) 2008-02-20 2014-12-17 卡尔·弗罗伊登伯格公司 具有交联材料的非织造材料
JP5635970B2 (ja) * 2008-04-08 2014-12-03 エスケー イノベーシ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k Innovation Co.,Ltd. 高耐熱性被覆層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系複合微多孔膜の製造方法
WO2009125984A2 (en) * 2008-04-08 2009-10-15 Sk Energy Co., Ltd. Microporous polyolefin composite film with a thermally stable porous layer at high temperature
KR101439478B1 (ko) * 2008-05-16 2014-09-1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2차 전지용 미세다공막
KR101404451B1 (ko) * 2008-06-03 2014-06-1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다층 폴리올레핀계 미세다공막 및 그 제조방법
CN101343374B (zh) * 2008-08-18 2010-11-10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具有温度敏感性的聚丙烯多孔膜及其制法
KR20120002519A (ko) * 2008-10-29 2012-01-05 세람테크 게엠베하 리튬 이온 축전지들 또는 배터리들 내의 애노드 및 캐소드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층
DE102008061746A1 (de) 2008-12-12 2010-06-24 Treofan Germany Gmbh & Co. Kg Einschichtige mikroporöse Folie für Batterien mit Abschaltfunktion
DE102008061748A1 (de) * 2008-12-12 2010-06-24 Treofan Germany Gmbh & Co. Kg Mehrschichtige mikroporöse Folie für Batterien mit Abschaltfunktion
US20100255376A1 (en) 2009-03-19 2010-10-07 Carbon Micro Battery Corporation Gas phase deposition of battery separators
KR101394622B1 (ko) 2009-04-06 2014-05-2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물성과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다층 미세다공막
CN101635373B (zh) * 2009-06-04 2011-04-06 常州市宙纳新能源科技有限公司 锂离子电容电池
JP5680072B2 (ja) * 2009-06-19 2015-03-04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微多孔膜、これらの膜の作製方法、および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としてのこれらの膜の使用
KR101741854B1 (ko) * 2009-06-20 2017-05-30 트레오판 저머니 게엠베하 앤 코. 카게 셧다운 기능을 갖는 전지용 미세다공성 포일
US8568929B2 (en) * 2009-09-02 2013-10-29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eparators having crossing pores and rechargeable battery
EP2523747B1 (en) * 2010-01-13 2017-02-08 Toray Battery Separator Film Co., Ltd. Microporous membranes and methods for producing and using such membranes
KR101269207B1 (ko) 2010-01-25 2013-05-3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내열성이 우수한 다층 다공막
KR20120114342A (ko) * 2010-03-02 2012-10-16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다공 필름,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전지
US9209502B2 (en) * 2011-03-16 2015-12-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vehicle
JP6109467B2 (ja) * 2011-06-28 2017-04-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耐熱絶縁層付セパレータ
KR101268231B1 (ko) 2011-12-21 2013-05-31 삼성토탈 주식회사 셧다운 특성을 갖는 리튬 이차전지용 분리막
KR20220016287A (ko) * 2012-09-20 2022-02-08 셀가드 엘엘씨 박형 배터리 분리막 및 방법
KR102235574B1 (ko) * 2012-11-06 2021-04-05 셀가드 엘엘씨 공중합체 섬유 및 제품
CN103094517A (zh) * 2012-12-13 2013-05-08 深圳中兴创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复合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CN109360927A (zh) 2013-03-15 2019-02-19 赛尔格有限责任公司 用于锂离子二次电池的多层混杂型电池隔板及其制造方法
DE102013218499A1 (de) 2013-09-16 2015-03-19 Robert Bosch Gmbh Separator einer Lithiumbatteriezelle und Lithiumbatterie
CN114122621A (zh) 2015-06-03 2022-03-01 赛尔格有限责任公司 低电阻抗微孔膜、电池隔板、电池单元、电池及相关方法
WO2017023720A1 (en) 2015-07-31 2017-02-09 Celgard, Llc Improved laminated multilayer membranes, separators, batteries, and methods
KR20180045046A (ko) 2015-09-18 2018-05-03 셀가드 엘엘씨 개선된 막, 캘린더링된 미세다공성 막, 전지 분리기, 및 관련 방법
JP6288216B2 (ja) * 2016-02-09 2018-03-07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蓄電デバイス用セパレータフィルム、及び蓄電デバイス
JP7045862B2 (ja) 2017-03-24 2022-04-01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及び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の製造方法
CN109065817B (zh) * 2018-08-22 2022-04-08 深圳市博盛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多孔多层复合隔膜及其制备方法
RU2766873C1 (ru) * 2021-07-28 2022-03-16 СЕЛГАРД ЭлЭлСи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е мембраны, каландрированные микропористые мембраны, аккумуляторные сепараторы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способы
KR20230102009A (ko) * 2021-12-29 2023-07-07 더블유스코프코리아 주식회사 분리막 제조용 연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6754A (en) 1964-06-12 1969-02-11 Celanese Corp Breathable medical dressing
US3558764A (en) 1966-09-06 1971-01-26 Celanese Corp Process for preparing microporous film
BE758820A (fr) 1969-11-13 1971-05-12 Celanese Corp Procede de production de pellicules microporeuses a cellules ouvertes
US3679538A (en) 1970-10-28 1972-07-25 Celanese Corp Novel open-celled microporous film
US3801404A (en) 1970-10-28 1974-04-02 Celanese Corp Novel open-celled microporous film
US3853601A (en) 1972-04-18 1974-12-10 Celanese Corp Hydrophilic microporous film
US3901958A (en) * 1973-03-23 1975-08-26 Cellu Prod Co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foamed plastic articles
US3843761A (en) 1973-05-30 1974-10-22 Celanese Corp Process for preparing a thermoplastic microporous film involving a cold stretching step and multiple hot stretching steps
US4138459A (en) 1975-09-08 1979-02-06 Celanese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 microporous polymer film
JPS55105968A (en) * 1979-02-05 1980-08-14 Japan Atom Energy Res Inst Manufacturing method of separator for cell
JPS55146873A (en) * 1979-05-01 1980-11-15 Hitachi Maxell Ltd Organic electrolyte battery
JPS56147361A (en) * 1980-04-18 1981-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parator for alkaline battery
ZA832713B (en) * 1982-04-20 1984-08-29 Evans Adlard & Co Glass fibre paper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cells
US4539256A (en) 1982-09-09 1985-09-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Microporous sheet material,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made therewith
US4625395A (en) * 1983-11-14 1986-12-0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Battery plate containing filler with conductive coating
US4640730A (en) 1985-03-22 1987-02-03 Ashland Oil, Inc. Method of adhering roofing materials
US4650730A (en) 1985-05-16 1987-03-17 W. R. Grace & Co. Battery separator
JPS61263043A (ja) * 1985-05-17 1986-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有機電解質電池
JPS61265043A (ja) * 1985-05-18 1986-11-22 株式会社ニチロ 魚介類洗滌装置
JPS62136748A (ja) * 1985-12-10 1987-06-19 Seiko Electronic Components Ltd 平板型リチウム電池の製造方法
FR2595616A1 (fr) * 1986-03-11 1987-09-18 Centre Nat Etd Spatiales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ssemblage de deux films, notamment films de quelques microns d'epaisseur
US4769299A (en) * 1986-06-27 1988-09-06 Gates Energy Products, Inc. High rate sealed lead-acid battery with ultrathin plates
US4726989A (en) 1986-12-11 1988-02-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Microporous materials incorporating a nucleating agent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H01319250A (ja) * 1988-06-17 1989-12-25 Fuji Elelctrochem Co Ltd リチウム電池
US4994335A (en) 1988-09-10 1991-02-19 Ube Industries, Ltd. Microporous film, battery separator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them
US5281498A (en) * 1991-05-23 1994-01-25 Nippon Sheet Glass Co., Ltd. Sheet-like separator and valve regulated lead acid battery
JP2714278B2 (ja) * 1991-08-20 1998-02-16 三井化学株式会社 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装置
US5281491A (en) 1991-12-20 1994-01-25 W. R. Grace & Co. Battery separator
US5240655A (en) 1991-12-20 1993-08-31 W. R. Grace & Co.-Conn. Process of making a battery separator
CA2085380C (en) * 1991-12-27 2005-11-29 Celgard Inc. Porous membrane having single layer structure, battery separator made thereof, preparations thereof and battery equipped with same battery separator
EP0565938B1 (en) * 1992-03-30 1996-09-11 Nitto Denko Corporation Porous film,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JPH0676808A (ja) * 1992-06-29 1994-03-18 Japan Gore Tex Inc 電池用隔膜及び電池
JPH0620671A (ja) 1992-07-03 1994-01-28 Ube Ind Ltd 非プロトン性電解液電池セパレーター
JP3243585B2 (ja) * 1993-06-28 2002-01-07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包装用多層フィルム
KR100242363B1 (ko) * 1994-05-12 2000-02-01 나카히로 마오미 다공성 다층 필름
US5534365A (en) * 1994-06-07 1996-07-09 Gee; Michael A. Battery with fusible solid electrolyte
US5667911A (en) * 1994-11-17 1997-09-16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Methods of making cross-ply microporous membrane battery separator, and the battery separators made thereby
TW297171B (ko) * 1994-12-20 1997-02-01 Hoechst Celanese Corp
US5609947A (en) * 1995-09-27 1997-03-11 Tonen Chemical Corporation Laminated non-woven fabric filtering mediu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18901A1 (en) 1996-06-26
KR960027005A (ko) 1996-07-22
TW297171B (ko) 1997-02-01
DE69512877T2 (de) 2000-04-20
DE69525549T2 (de) 2002-08-29
EP0892448A3 (en) 1999-03-10
DE69525549D1 (de) 2002-03-28
JP3960437B2 (ja) 2007-08-15
JPH08222197A (ja) 1996-08-30
US5691077A (en) 1997-11-25
EP0718901B1 (en) 1999-10-20
US6132654A (en) 2000-10-17
US6057060A (en) 2000-05-02
EP0892448B1 (en) 2002-02-20
DE69512877D1 (de) 1999-11-25
EP0892448A2 (en) 1999-01-20
CN1088543C (zh) 2002-07-31
CN1132946A (zh) 199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890B1 (ko) 작동정지,삼중층배터리격리판
KR100699120B1 (ko) 감소된 분열 성향을 지닌 배터리 격리판
US5565281A (en) Shutdown, bilayer battery separator
KR100512540B1 (ko) 삼층 배터리 분리기의 제조 방법
US9908317B2 (en) Multilayer battery separators
US5667911A (en) Methods of making cross-ply microporous membrane battery separator, and the battery separators made thereby
JP4516796B2 (ja) 電池セパ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311332A (ja) 改良された強度及び安定性を示す多層分離膜
EP0924780B1 (en) Penta-layer battery separator
JP3436055B2 (ja) 電池用セパレータ
KR100371390B1 (ko) 다층구조격리막
KR20160112518A (ko) 강한 층간 접착력을 갖는 다층 복합 분리막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