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303B1 - 래치장치 - Google Patents

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303B1
KR100388303B1 KR10-2001-0014900A KR20010014900A KR100388303B1 KR 100388303 B1 KR100388303 B1 KR 100388303B1 KR 20010014900 A KR20010014900 A KR 20010014900A KR 100388303 B1 KR100388303 B1 KR 100388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r
engaging
locking
engaging por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0513A (ko
Inventor
고바야시야스토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1009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3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s, e.g. cabinets

Abstract

(과제) 통상시에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확보하는 한편, 과대한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래치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걸어맞춤상태에 있어서는, 걸어맞춤체(50)를 통해서 이동자(30)를 압입위치에서 돌출위치를 향해서 압압하는 압압 스프링(18)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를 상기 이동자(30)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래치장치{Latch device}
본 발명은, 걸어맞춤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를 이동자로부터 돌출시켜서 걸림대상물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걸림대상물과의 상대적인격리(隔離)이동을 규제하는 한편, 해제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의 내부로 퇴행(退行)시켜 수납하도록 한 래치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평7-40061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이동자가 하우징(케이스) 내로 압입되면, 이 이동자에 설치된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가 하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한편, 이동자가 하우징의 개구부에서 돌출되면,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가 이동자의 내부로 퇴행하여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과 이동자와의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음과 아울러, 활합(滑合)돌기와 캠의 조합에 의해서 이루어진 이동자의 위치규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은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자를 항시 돌출방향으로 압압하는 것이다. 위치규정수단은 하우징에 대한 이동자의 압입조작에 따라서 활합돌기 및 캠을 적절히 걸어맞추거나 해제하여, 이동자를 하우징의 개구부에서 돌출시키는 돌출위치와 하우징의 내부로 압입시키는 압입위치를 교호로 전환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이 하우징은 문(걸림대상물)에 의해서 개폐되는 상자형상의 본체에 부착된다. 한편, 문의 내면에는 하우징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트라이커가 부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이동자가 돌출위치에 있을 때에 문을 닫으면, 이 문에 의해서 이동자가 하우징 내로 압입됨과 동시에 위치규정수단의 작용에 의해서 압입위치에서 정지된다. 이 때, 이동자의 하부 외측둘레에서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가 하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문에 부착된 스트라이크와걸어맞춰지게 됨으로써, 문을 닫은 그대로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상태에서 문을 닫는 방향으로 재차 압압하면, 위치규정수단의 작용에 의해서 이동자가 돌출위치로 복귀됨으로써 문이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가 이동자의 내부로 퇴행하여 수납되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부가 스트라이크와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문을 열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문을 열었을 때에는 이동자가 돌출위치에 있게 되고,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이동자의 내부로 퇴행하여 수납되게 된다. 따라서,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가 다른 물건과 접촉하여 손상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미관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걸어맞춤체를 이동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이 걸어맞춤체의 후단을 하우징의 가이드홈 내에 위치시키고 있으며, 따라서 하우징에 대한 이동자의 이동에 따른 가이드홈과의 위치변화에 따라서 걸어맞춤체의 후단을 상하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부를 이동자로부터 출몰되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걸어맞춤체의 후단과 하우징의 가이드홈이 항시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자의 이동이 수반되지 않는 한 걸어맞춤부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래치장치의 걸어맞춤부와 문에 부착된 스트라이크가 걸어맞춰진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문을 여는 방향으로 과대한 외력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는, 래치장치나 스트라이크에 직접 그 외력이 작용하여 걸어맞춤부가 파단되는 등의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걸어맞춤체를 용이하게 탄성변형되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즉, 걸어맞춤체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외력을 흡수함으로써 래치장치나 스트라이크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용이하게 탄성변형되는 걸어맞춤체를 적용한 래치장치에서는, 통상의 상태에서도 래치장치의 걸어맞춤부와 문에 부착된 스트라이크와의 사이에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문이 열리는 사태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통상시에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확보하는 한편, 과대한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래치장치의 제공을 해결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래치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걸어맞춤상태에 있는 경우의 일부 파단 단면도, (b)는 걸어맞춤상태에 있는 경우의 측단면도
도 2의 (a)는 해제상태에 있는 경우의 일부 파단 단면도, (b)는 해제상태에 있는 경우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래치장치의 이동자를 하우징에서 떼어낸 상태를 반단면으로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래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의 (a)는 하우징의 정면도, (b)는 하우징의 측단면도
도 6의 (a)는 이동자의 측면도, (b)는 이동자의 평면도, (c)는 이동자를 반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d)는 (a)의 화살표 Ⅵ방향에서 본 도면
도 7의 (a)는 걸어맞춤체의 측면도, (b)는 (a)의 화살표 Ⅶ방향에서 본 도면
도 8의 (a)는 걸림대상물에 형성된 걸림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b)는 그 측단면도
도 9는 래치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래치장치 10 - 하우징
10a - 전면 10b - 후벽
10c - 상벽 10d - 저벽
10e,10f - 좌우벽 11 - 나사삽입구멍
12 - 로켓핀 13 - 슬라이드 구멍
14 - 스프링 지지핀 15 - 레버 지지부
16 - 스토퍼용 안내구멍 17 - 가이드 리브
17a - 수납 규정부 17b - 경사부
18 - 압압 스프링 19 - 캠 레버
19a - 기단부 19b - 암부
19c - 캠 종동부 20 - 스토퍼면
21 - 도입 안내홈 22 - 슬라이드 리브
23 - 슬라이드 가이드 30 - 이동자
31 - 수납 오목부 31a - 이동자측 제 1 작용면
32 - 스프링 삽입구멍 33 - 스토퍼 돌기
34 - 도피홈 34a - 후단부
34b - 전단부 35 - 축받이 구멍
36 - 캠 기구부 37 - 전단면
38a,38b - 사다리꼴형상 캠부 39a,39b - 하트형상 캠부
40 - 도입 테이퍼면 50 - 걸어맞춤체
51 - 본체부 52 - 암부
53 - 스프링 받이시트 54 - 걸어맞춤부
54a - 걸어맞춤체측 제 1 작용면 54b - 퇴행(退行)작용면
54c - 걸어맞춤체측 제 2 작용면 55 - 스프링 받이핀
56 - 축부 57 - 가이드 핀
58 - 경사면 59 - 사다리꼴형상 지지부
60 - 걸림구 61 - 걸림삽입구멍
61a - 후벽 62 - 나사삽입구멍
63 - 걸림오목부 64 - 걸림단부
64a - 걸림구측 제 2 작용면 65 - R부
A - 힌지 B - 문
C - 캐비닛 D - 본체 상벽
E - 위치결정구멍 F - 오목부
본 출원의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서는, 걸어맞춤상태에 있을 경우에,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를 이동자로부터 돌출시켜서 걸림대상물의 걸림구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걸림대상물과의 상대적인 격리이동을 규제하는 한편, 해제상태에 있을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의 내부로 퇴행시켜 수납하도록 한 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상태에 있을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에 대하여 퇴행가능하게 돌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본 출원의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서는, 하우징에 대하여 진퇴가능하게 설치한 이동자와; 선단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가 상기 이동자의 외측둘레에서 출몰하는 형태로 상기 이동자에 이동가능하게 지지시킨 걸어맞춤체와; 상기 이동자가 소정의 제 1 위치로 이동하였을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로부터 돌출시켜서 걸어맞춤상태로 하는 한편, 상기 이동자가 소정의 제 2 위치로 이동하였을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의 내부로 퇴행시켜 수납하는 해제상태로 하는 작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를 걸림대상물의 걸림구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걸림대상물과의 상대적인 격리이동을 규제하도록 한 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으로서, 상기 걸어맞춤상태에 있을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에 대하여 퇴행가능하게 돌출시키는 것을 적용하고 있다.
본 출원의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서는,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탄성수단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본 출원의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서는, 상기한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걸어맞춤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걸어맞춤체를 통해서 상기 이동자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를 향해서 항시 압압하는 압압 스프링과; 상기 이동자를 상기 압압 스프링의 압압력에 저항하면서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압압한 경우에 상기 이동자를 상기 제 1 위치에 정지시켜고, 또한 상기 제 1 위치에서 같은 방향으로 압압한 경우에 상기 압압 스프링의압압력에 의해서 상기 이동자를 상기 제 2 위치로 복귀시키는 위치규정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압압 스프링의 압압력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본 출원의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에서는,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에, 상기 걸어맞춤부가 돌출된 상태에서 서로 격리된 상기 이동자와 상기 걸림대상물을 근접 이동시킨 경우에 상기 걸림구와 맞닿고, 또한 상기 걸림구와 누름접촉시킨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를 퇴행이동시키는 퇴행작용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본 출원의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에서는, 상기한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에 대하여 상기 걸어맞춤체를 상기 이동자의 진퇴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본 출원의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에서는,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와 상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이동자가 돌출된 상태에서 양자를 서로 누름접촉시킨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를 돌출방향으로 지지하는 제 1 작용면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에, 상기 걸림대상물의 걸림구와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구와 누름접촉시킨 경우에 상기 제 1 작용면에 의한 지지력에 저항하면서 상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를 퇴행이동시키는 제 2 작용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본 출원의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에서는,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어느 한 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체와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기구에 의해서, 상기 해제상태에 있을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에 대하여 퇴행시켜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래치장치의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래치장치(1)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A)에 의해서 개폐되는 문(걸림대상물)(B)을 구비한 캐비닛(C)에 적용한 것으로서, 하우징 (10), 이동자(30) 및 걸어맞춤체(5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의 양측이 각각 측방으로 돌출된 블록형상의 부재로서,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POM)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성형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나사삽입구멍(11)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후단부에 로켓핀(12)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10)에는 그 하단부에 슬라이드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구멍(13)은 그 횡단면이 장방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그 일단이 하우징(10)의 전면(10a)에서 개구되고, 그 타단이 하우징(10)의 후벽(10b)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구멍(13)에는 스프링 지지핀(14), 레버 지지부(15), 스토퍼용 안내구멍(16) 및 가이드 리브(17)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핀(14)은 하우징(10)의 후벽(10b)의 내면에 형성된 원기둥형상의부분으로서, 슬라이드 구멍(13)의 축중심보다도 하측이 되는 위치에서 슬라이드 구멍(13)의 개구부측을 향해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핀(14)에는 그 외주부에 압압 스프링(18)이 장착된다. 압압 스프링(18)은 스프링 지지핀(14)보다도 충분히 긴 길이를 가지는 금속제의 코일 스프링이다.
레버 지지부(15)는 캠 레버(19)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하우징(10)의 후벽 (10b)에 있어서 스프링 지지핀(14)보다도 상측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 레버(19)는 기단부(19a)와 1쌍의 암부(19b)를 가지는 것으로서, 금속 선재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19a)는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슬라이드 구멍(13)의 폭보다도 약간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다. 1쌍의 암부(19b)는 기단부(19a)의 양단에서 각각 동일한 방향을 향해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각 암부(19b)의 선단부는 서로 내측을 향해서 직각으로 굴곡되어 각각 캠 종동부(19c)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캠 레버(19)는, 1쌍의 암부(19b)가 슬라이드 구멍(13)의 개구부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기단부(19a)가 레버 지지부(15)에 지지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1쌍의 암부(19b)가 각각 기단부(19a)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된다.
스토퍼용 안내구멍(16)은 슬라이드 구멍(13)의 상벽(10c) 및 저벽(10d)에 형성된 폭이 좁은 절결부로서,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 있어서 슬라이드 구멍(13)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각 스토퍼용 안내구멍(16)은 슬라이드 구멍(13)의 상벽(10c) 및 저벽(10d)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단부에 스토퍼면 (20)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면부호 21은 상벽(10c)의 내면 및 저벽(10d)의 내면에 형성된 도입 안내홈이다. 상기 도입 안내홈(21)은 슬라이드 구멍(13)의 개구부측에 있어서 각 스토퍼용 안내구멍(16)의 연장선상에 각각 위치하고 있으며, 각각의 후단부는 후방을 향하여 갈수록 점차 내측으로 만곡되는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 리브(17)는 슬라이드 구멍(13)의 좌벽(10e)의 내면 및 우벽(10f)의 내면에서 각각 내측을 향해서 돌출형성된 부분이다. 각 가이드 리브(17)는 수납 규정부(17a)와 경사부(17b)를 가지고 있으며, 슬라이드 구멍(13)에 있어서 스프링 지지핀(14)의 돌출단부보다도 개구부측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 규정부(17a)는 슬라이드 구멍(13)의 축중심보다도 하측이 되는 위치에서 이 축중심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경사부(17b)는 각 수납 규정부(17a)의 후단부에서 후방을 향하여 갈수록 점차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속되어 있다.
또한, 도면부호 22는 슬라이드 구멍(13)의 상벽(10c)의 내면 및 저벽(10d)의 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리브이다. 각 슬라이드 리브(22)는 그 횡단면이 반원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볼록부로서, 슬라이드 구멍(13)의 축중심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또, 도면부호 23은 슬라이드 구멍(13)의 좌벽(10e)의 내면 및 우벽(10f)의 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이다. 각 슬라이드 가이드(23)는 가이드 리브(17)보다도 돌출폭이 크고, 각 가이드 리브(17)의 수납 규정부(17a)보다도 하측이 되는 위치에서 슬라이드 구멍(13)의 축중심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이동자(30)는, 도 1, 도 3,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는 상기 하우징(10)의 슬라이드 구멍(13)에 끼워맞출 수 있는 횡단면을 가진 사각기둥형상의 부재로서,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PA66)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이동자(30)의 길이는, 하우징(10)의 슬라이드 구멍(13)에 압입되었을 때에도 그 전단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구멍(13)의 길이보다도 길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자(30)에는 그 내부에 수납 오목부(31) 및 스프링 삽입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 오목부(31)는 이동자(30)의 전단부 하면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이다. 수납 오목부(31)의 앞벽의 내면은,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단부가 하측을 향하여 갈수록 점차 전방측으로 약간 경사지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이 이동자측 제 1 작용면(31a)을 구성하고 있다.
스프링 삽입구멍(32)은 이동자(30)의 후단면에서 그 축중심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며, 그 전단부가 상기 수납 오목부(31)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삽입구멍(32)은 하우징(10)의 스프링 지지핀(14)에 장착된 압압 스프링(18)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을 가지며, 스프링 지지핀(1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이동자(30)에는 스토퍼 돌기(33), 도피홈(34), 축받이 구멍(35) 및 캠 기구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돌기(33)는 이동자(3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돌출형성된 부분이다. 각 스토퍼 돌기(33)는 하우징(10)의 스토퍼용 안내구멍(1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단면(37)이 직각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후단면이 후방을 향하여 갈수록 점차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도피홈(34)은 이동자(30)의 후단에서 양 측면에 걸친 부위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으로서, 하우징(10)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17) 및 슬라이드 가이드(23)를 수용하여 상기 이동자(30)의 슬라이드 구멍(13)으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각 도피홈(34)은, 각각의 후단부(34a)가 가이드 리브(17) 및 슬라이드 가이드(23) 모두를 수용하기 위해서 비교적 넓은 상하폭을 가지는 한편, 각각의 전단부(34b)가 가이드 리브(17)의 수납 규정부(17a)만을 수용하기 위해서 비교적 좁은 상하폭을 가지고 있다. 이들 도피홈(34)은 스프링 삽입구멍(32)보다도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단부(34b)가 상기 수납 오목부(31)와 연통되어 있다.
축받이 구멍(35)은 이동자(30)의 축중심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상기 이동자(30)의 양 측면에 있어서 도피홈(34)의 전단부(34b)보다도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축받이 구멍(35)은 이동자(30)의 양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수납 오목부(31)와 연통되어 있다.
캠 기구부(36)는 상기 캠 레버(19)의 캠 종동부(19c)를 안내하기 위해서 형성된 일련의 홈 캠으로서, 이동자(30)의 양 측면에 있어서 도피홈(34)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각 캠 기구부(36)는 좌우에 각각 형상이 다른 사다리꼴형상 캠부 (38a,38b)와 하트형상 캠부(39a,39b)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캠부(38a,38b,39a, 39b)와 캠 레버(19) 및 상기한 압압 스프링(18)과의 협동에 의해서 하우징(10)에 대한 이동자(30)의 정지위치를 규정하는 것이다.
또한, 도면부호 40은 축받이 구멍(35)의 하측에 형성된 도입 테이퍼면이다. 각 도입 테이퍼면(40)은 이동자(30)의 하면의 양측에서 수납 오목부(31)를 향해서형성된 경사면으로서, 상측을 향하여 갈수록 점차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걸어맞춤체(50)는, 도 3,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51)와 1쌍의 암부(52)를 가지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POM)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걸어맞춤체(50)의 본체부(51)는 상기 이동자(30)의 수납 오목부(31)에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된 것으로서, 스프링 받이시트(53) 및 걸어맞춤부(54)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 받이시트(53)는 상기 하우징(10)의 스프링 지지핀(14)에 장착된 압압 스프링(18)의 선단부가 안착되는 사다리꼴형상의 부분으로서, 본체부(51)의 후단면에서 후방을 향해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스프링 받이시트(53)에는 스프링 받이핀(55)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받이핀(55)은 스프링 받이시트(53)에서 원뿔대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부분으로서, 그 축중심이 후술하는 축부(56)의 축중심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걸어맞춤부(54)는 상기 본체부(51)의 전단부에서 하측을 향해서 거의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이 걸어맞춤부(54)의 전단 상측부는, 상기 본체부(51)의 하면을 기준으로 한 경우에, 하측을 향하여 갈수록 점차 전방측으로 약간 경사지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이 걸어맞춤체측 제 1 작용면(54a)을 구성하고 있다. 이 걸어맞춤체측 제 1 작용면(54a)의 경사각도(θ1)는 상기한 이동자측 제 1 작용면(31a)의 경사각도(θ2)와 거의 동일하다.
또, 걸어맞춤부(54)의 전단 하측부는 하측을 향하여 갈수록 점차 후방으로 만곡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이 퇴행(退行)작용면(54b)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걸어맞춤부(54)의 후단 하측부는 하측을 향하여 갈수록 점차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이 걸어맞춤체측 제 2 작용면(54c)을 구성하고 있다. 이 걸어맞춤체측 제 2 작용면(54c)의 경사각도(θ3)는 상기한 걸어맞춤체측 제 1 작용면 (54a)의 경사각도(θ1)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도 4 및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걸어맞춤체(50)의 본체부(51) 및 걸어맞춤부(54)는 용이하게 탄성변형되는 일이 없도록 충분한 두께 및 폭으로 구성하고 있다.
한편, 걸어맞춤체(50)의 암부(52)는 상기 본체부(51)의 후단부에서 각각 후방을 향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부분이다. 각 암부(52)에는 각각의 후단부의 외표면에 가이드 핀(57)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각의 기단부의 외표면에 축부 (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핀(57)은 원기둥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서, 각각의 선단면의 상호간의 거리가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17)의 상호간의 간격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상기 축부(56)는 상기 이동자(30)에 형성된 축받이 구멍(35)의 상하폭과 동일한 외경을 가진 원기둥형상의 부분이다. 각 축부(56)는 각각의 선단면의 상호간의 거리가 상기 이동자(30)에 형성된 수납 오목부(31)의 폭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이동자(30)의 폭보다도 약간 작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들 축부(56)의 돌출단부에는 각각의 상부에 경사면(5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부호 59는 본체부(51)의 하면에 형성된 사다리꼴형상 지지부이다. 상기 사다리꼴형상 지지부(59)는 하측을 향해서 사다리꼴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서, 그 돌출단면이 본체부(51)의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하우징(10), 이동자(30) 및 걸어맞춤체(50)는 각각 이하의 수순에 따라서 상호 조립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래치장치(1)를 구성한다.
우선,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암부(52)를 각각 수납 오목부(31)에서 도피홈(34)과 연통된 연통부를 통해서 외부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본체부(51)를 수납 오목부(31)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각 축부(56)를 축받이 구멍(35)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체(50)를 상기 이동자(30)에 장착한다. 따라서, 1쌍의 암부(52)의 선단부가 각각 이동자(30)의 도피홈(34)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각 가이드 핀(57)이 각각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게 됨과 동시에, 스프링 받이시트(53)가 이동자(30)의 스프링 삽입구멍(32)과 대향하게 됨으로써 스프링 받이핀(55)이 상기 스프링 삽입구멍(32)의 전단부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한 장착조작에 있어서는, 축부(56)의 경사면(58)이 각각 이동자(30)의 도입 테이퍼면(40)과 합치되기 때문에, 서로 맞닿는 경사면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축부(56)를 상기 축받이 구멍(35)에 끼워맞추는 삽입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이동자(30)에 대하여 걸어맞춤체(50)가 축부(56)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되며,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어맞춤부(54)를 이동자(30)의 하부 외측둘레에서 하측을 향해서 돌출시킬 수 있고,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어맞춤부 (54)를 포함하여 걸어맞춤체(50)의 본체부(51)를 이동자(30)의 수납 오목부(31)에 수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걸어맞춤체(50)의 회전에 따라서 1쌍의 암부(52)가 요동하게 되나 그 회전범위가 상기한 가이드 핀(57)과 도피홈(34)에 의해서 규제되게 된다.
또, 이동자(30)에 장착된 걸어맞춤체(50)는 축받이 구멍(35)의 내부에 있어서의 축부(56)의 위치를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축받이 구멍(35)을 따라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이동자측 제 1 작용면(31a)에 대하여 걸어맞춤체측 제 1 작용면(54a)을 이접(離接)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과 같이, 걸어맞춤체측 제 1 작용면(54a)을 이동자측 제 1 작용면 (31a)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도 걸어맞춤체(50)의 축부(56)가 축받이 구멍(35)의 단부와 맞닿는 일은 없다.
계속해서, 걸어맞춤체(50)가 장착된 이동자(30)를 하우징(10)의 슬라이드 구멍(13)에 삽입하되, 1쌍의 스토퍼 돌기(33)가 각각 대응하는 스토퍼용 안내구멍 (16)과 일치되도록 배치한다. 이 경우, 이동자(30)에 대하여 걸어맞춤체(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로 유지하여, 각 암부(52)에 형성된 가이드 핀(57)이 각각 가이드 리브(17)의 하측에 놓여지도록 위치시킨다. 또, 이동자(30)의 스프링 삽입구멍(32)을 통해서 압압 스프링(18)의 선단부에 걸어맞춤체(50)의 스프링 받이핀 (55)을 삽입하여, 이 압압 스프링(18)의 선단면을 스프링 받이시트(53)와 맞닿게 한다. 또한, 캠 레버(19)의 각 캠 종동부(19c)를 각각 이동자(30)의 캠 기구부(36)에 위치시킨다. 상기한 장착조작에 있어서는, 이동자(30)의 스토퍼 돌기(33)가 각각 하우징(10)의 도입 안내홈(21)과 합치되기 때문에, 서로 맞닿는 만곡면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스토퍼 돌기(33)를 상기 스토퍼용 안내구멍(16)에 끼워맞추는 삽입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압압 스프링(18)의 압압력에 의해서 걸어맞춤체(50)를 통해서 이동자(30)가 하우징(10)에서 항시 돌출되는 방향으로 압압되게 되나,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 돌기(33)의 전단면(37)이 스토퍼용 안내구멍(16)의 스토퍼면(20)에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이동자(30)의 하우징(10)으로부터의 돌출위치(제 2 위치)가 규정되게 된다.
이 때,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암부(52)에 형성된 가이드 핀(57)이 각각 가이드 리브(17)의 수납 규정부(17a)에 맞닿아서 걸어맞춤체(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걸어맞춤부(54)가 이동자(30)의 수납 오목부(31)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한 상태에서 압압 스프링(18)의 압압력에 저항하면서 이동자(30)를 하우징(10)의 슬라이드 구멍(13) 내로 압입하면, 캠 레버(19)의 캠 종동부(19c)가 각각 캠 기구부(36)를 따라서 이동하여 사다리꼴형상 캠부(38a,38b)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이동자(30)의 압입이동에 따라서 걸어맞춤체(50)에 있어서의 암부(52)의 가이드 핀(57)이 가이드 리브(17)의 수납 규정부(17a)를 통과하여 경사부(17b)에 이르게 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체(50)의 시계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이 허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압압 스프링(18)은 걸어맞춤체(50)의 회전중심인 축부(56)보다도 상측에서 상기 걸어맞춤체(50)를 압압하는 것이다. 이 결과, 상기 압압 스프링(18)의 압압력에 의해서 걸어맞춤체(5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가 이동자(30)의 하부 외측둘레에서 하측을 향해서 돌출되게 된다. 또, 이 때, 압압 스프링(18)의 압압력에 의해서 이동자(30)에 대하여 걸어맞춤체(50)가 전방으로 전진하게 됨으로써, 그 걸어맞춤체측 제 1 작용면(54a)이 이동자(30)에 형성된 이동자측 제 1 작용면(31a)에 누름접촉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이동자(30)에 부여되고 있던 압입력을 제거하면, 압압 스프링(18)의 압압력에 의해서 이동자(30)가 다시 하우징(10)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하우징(10)에 대한 이동자(30)의 이동에 따라서 사다리꼴형상 캠부(38a,38b)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던 캠 레버(19)의 캠 종동부(19c)가 각각 하트형상 캠부(39a,39b)의 오목부 내로 이동하여 걸어맞춰지게 됨으로써,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부(52)의 가이드 핀(57)이 가이드 리브(17)의 수납 규정부(17a)에 도달하기 이전의 상태에서 이동자(30)의 이동이 저지되게 된다. 이 결과, 이동자(30)가 하우징(10)의 슬라이드 구멍(13)에 있어서의 압입위치(제 1 위치)에서 유지되고, 또한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가 이동자(30)의 하부 외측둘레에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한 상태에서 재차 이동자(30)를 하우징(10)의 슬라이드 구멍(13)으로 압입하면, 사다리꼴형상 캠부(38a,38b)의 경사면에 의해서 캠 레버(19)의 캠 종동부(19c)가 하트형상 캠부(39a,39b)의 오목부에서 일탈하여 그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결과, 이동자(30)에 부여되고 있던 압입력을 제거하면, 이번에는 압압 스프링(18)의 압압력에 의해서 이동자(30)가 하우징(10)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한 돌출위치에 복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이동자(30)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걸어맞춤체(50)에 있어서의 암부(52)의 가이드 핀(57)이 가이드 리브(17)의 경사부(17b)를 거쳐서 수납 규정부(17a)에 도달하게 되기 때문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가 이동자(30)의 수납 오목부(31)에 수납된 상태로 된다.
이하, 상기한 압입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이동자(30)가 하우징(10)에 대하여 돌출위치와 압입위치로 교호로 전환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래치장치(1)를 캐비닛(C)에 적용할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상기 래치장치(1)를 캐비닛(C)의 본체, 예를 들면 본체 상벽(D)의 하면에 부착한다. 이 경우,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전면(10a)이 본체 상벽(D)의 전면과 일치되도록 래치장치(1)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착작업은, 본체 상벽(D)의 하면에 미리 위치결정구멍(E)을 형성하여 두고, 이 위치결정구멍(E)에 하우징(10)의 로켓핀(12)을 끼워맞춘 후, 나사삽입구멍(11)을 통해서 본체 상벽(D)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캐비닛(C)의 문(B)에는 그 내면에 상기 래치장치(1)와 대향하는 부위에 걸림구(60)를 장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림구(60)로서 도 1 및 도 8에 나타낸 것을 적용하고 있다.
즉, 상기 걸림구(60)는 중앙부에 걸림삽입구멍(61)을 가짐과 아울러 그 양측에 각각 나사삽입구멍(62)을 가진 플레이트형상의 부재로서, 폴리아미드(PA66)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성형되어 있다. 상기 걸림삽입구멍(61)은 상기한 이동자(30)의 선단부를 끼워맞출 수 있는 크기의 장방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그 내측이 후벽(61a)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다. 상기 걸림삽입구멍(61)의 안길이는, 이동자(30)를 삽입하여 그 전단면을 후벽(61a)에 맞닿게 하였을 때, 이 이동자(30)에 장착된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가 상기 걸림삽입구멍(61)의 내부에 위치할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다.
또, 상기 걸림구(60)에는 그 걸림삽입구멍(61)의 하벽에 걸림오목부(6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걸림오목부(63)는 상기 걸림삽입구멍(61)의 하벽에 걸림단부 (64)를 구성하기 위해서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걸림삽입구멍(61)의 내측에서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를 삽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단부(64)는 상기 걸림오목부(63)를 향하는 부위가 하측을 향하여 갈수록 점차 내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이것이 걸림구측 제 2 작용면(64a)을 구성하고 있다. 이 걸림구측 제 2 작용면(64a)의 경사각도(θ4)는 상기 걸어맞춤부(54)에 형성된 걸어맞춤체측 제 2 작용면(54c)의 경사각도(θ3)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걸림삽입구멍(61)의 주연부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R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구(60)는, 도 1의 (a)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문(B)의 내면에 형성한 오목부(F)에 걸림삽입구멍(61)의 후벽(61a)부분을 배치한 상태에서 나사삽입구멍(62)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문(B)의 내면에 부착된다.
현재, 상기한 캐비닛(C)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B)이 열려져 있음과아울러, 래치장치(1)의 이동자(30)가 돌출된 상태, 즉 이동자(30)가 상기한 돌출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가 이동자(30)의 수납 오목부(31)에 수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가 다른 물건과 접촉하여 손상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캐비닛(C)의 미관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이 상태에서 문(B)을 닫으면, 걸림구(60)의 후벽(61a)에 의해서 이동자(30)의 전단면이 압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문(B)을 더 닫아서 캐비닛(C)을 폐색하면, 이동자(30)가 상기한 압입위치에서 유지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자(30)의 하부 외측둘레에서 돌출된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가 걸림구(60)의 걸림오목부(63)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체(50)에 있어서의 걸어맞춤부(54)의 후단면과 걸림구(60)에 있어서의 걸림단부(64)의 걸림구측 제 2 작용면(64a)이 서로 대향한 상태로 되어 캐비닛(C)에 대한 문(B)의 개방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상기 문(B)을 닫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상태에서 재차 문(B)을 닫는 방향으로 압압한 후, 이 압압력을 제거하면, 이동자(30)가 돌출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가 이동자(30)의 수납 오목부(31)에 수납되게 됨으로써, 캐비닛(C)의 문(B)을 열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래치장치(1)에 있어서는, 이동자(30)를 직접 손으로 압입하는 등의 조작을 한 경우에는, 문(B)이 열려진 상태에서도 이동자(30)의 하부 외측둘레에서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가 돌출되게 됨으로써, 캐비닛(C)에 대하여 출입하는 물건이 상기 걸어맞춤부(54)에 접촉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래치장치(1)에 의하면, 이동자(30)가 압입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이동자(30)의 하부 외측둘레에서 돌출되는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가 단지 압압 스프링(18)의 압압력에 의해서만 압압되고 있을 뿐이다. 즉, 이동자(30)의 압입위치에서 돌출되는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압압 스프링(18)의 압압력에 저항하면서 상기 걸어맞춤부(54)가 이동자(30)의 수납 오목부(31)를 향해서 퇴행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걸어맞춤부(54)에 물건이 접촉한 경우에도 그 충격력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래치장치(1)의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없다. 이 경우, 걸어맞춤체(50)는 축받이 구멍(35)의 내부에 있어서의 축부(56)의 위치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이동자(30)에 대하여 그 진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걸어맞춤체(50)의 축부(56)에 외력이 집중되어 이것이 손상될 우려도 없다.
또한, 상기 래치장치(1)에 의하면, 걸어맞춤부(54)의 전단 하측부에, 즉 이동자(30)의 하부 외측둘레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걸림구(60)와 맞닿는 부분에 퇴행작용면(54b)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상태에서 문(B)을 닫았을 경우에는, 이 퇴행작용면(54b)과 걸림구(60)가 맞닿게 됨으로써 걸어맞춤부(54)가 일단 압압 스프링(18)의 압압력에 저항하면서 이동자(30)의 수납 오목부(31)에 수납되고, 그 후, 걸림구(60)의 걸림단부(64)가 통과된 시점에서 다시 걸어맞춤부(54)가 돌출되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래치장치(1)의 이동자(30)를 돌출위치로 되돌리는 일 없이, 이동자(30)가 압입위치에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문(B)을 닫더라도 이것을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조작성의 점에서도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이 경우에서도 래치장치(1)에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없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상기 래치장치(1)에 있어서는, 문(B)이 닫혀진 상태에서 이 문(B)을 열려고 하는 외력이 작용하면, 걸림구(60)의 걸림단부(64)가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에 누름접촉되게 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가 걸림구(60)와 이동자(30)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에 휨변형 등을 초래할 우려가 없다. 또, 걸어맞춤체(50)의 걸어맞춤부(54)에 형성된 걸어맞춤체측 제 1 작용면(54a)과 이동자(30)에 형성된 이동자측 제 1 작용면(31a)이 서로 누름접촉되게 됨으로써, 이들 제 1 작용면(54a,31a)에 의한 경사작용에 의해서 걸어맞춤부(54)에 이것을 이동자(30)에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자(30)의 전단부가 걸림구(60)의 걸림삽입구멍(61)에 끼워맞춰져 있기 때문에, 래치장치(1)에 대하여 걸림구(60)가 하측으로 회피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래치장치(1)와 걸림구(60)간에 높은 걸어맞춤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문(B)이 불필요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상태에서 문(B)에 대하여 과대한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걸림구(60)의 걸림단부(64)에 형성된 걸림구측 제 2 작용면(64a)과 걸어맞춤체(50)의걸어맞춤부(54)에 형성된 걸어맞춤체측 제 2 작용면(54c)의 경사작용에 의해서, 상기한 제 1 작용면(54a,31a)에 의한 경사작용에 저항하면서 상기 걸어맞춤부(54)가 이동자(30)의 수납 오목부(31)로 퇴행 이동함으로써 래치장치(1)와 걸림구(60)와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도록 되기 때문에, 래치장치(1)에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없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문을 가진 캐비닛에 적용하는 래치장치를 예시하였으나, 걸림대상물과의 상대적인 격리이동을 규제하는 용도라면 반드시 캐비닛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걸림대상물의 이동형태도 힌지에 의한 것일 필요는 없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래치장치 및 걸림구의 구체적인 재질명은 어디까지나 예시일 뿐이며, 그 외 다른 재질에 의해서 이것들을 성형하여도 된다. 또한, 래치장치의 부착형태도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가 하부 이외의 외측둘레에서 돌출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의 압압력을 이용하여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를 이동자에 대하여 퇴행가능하게 돌출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반드시 스프링의 압압력을 이용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의 경우에 있어서, 걸어맞춤체의 중심위치와 축부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하면, 중력의 작용에 의해서 걸어맞춤체를 이동자에 대하여 퇴행가능하게 돌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스프링 이외의 탄성수단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도 물론 상관없다. 또한, 스프링의 압압력을 이용하는 경우인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자를 항시 압압하기 위한 압압 스프링으로 겸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부품수의 면에서 유리하게 되나, 예를 들면 이동자와 걸어맞춤체와의 사이에 별도의 스프링을 개재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긴 구멍 형상의 축받이 구멍과 이것에 삽입된 축부에 의해서 걸어맞춤체를 이동자에 대하여 그 진퇴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였으나, 돌기와 홈 등 그 외의 방법에 의해서 걸어맞춤체를 이동자에 대하여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긴 구멍 형상의 축받이 구멍과 축부를 적용할 경우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자를 이동자에 형성함과 아울러 후자를 걸어맞춤체에 형성하였으나, 그 반대의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이동자와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에 각각 제 1 작용면을 형성하였으나, 어느 일측에만 형성하여도 된다. 또, 걸림구에도 제 2 작용면을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에만 제 2 작용면을 형성하여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걸어맞춤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걸어맞춤부를 이동자에 대하여 퇴행가능하게 돌출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걸어맞춤체를 용이하게 탄성변형되는 재질로 구성할 필요가 없다. 이 결과, 통상시에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한편, 과대한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걸어맞춤부가 퇴행이동하여 그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걸어맞춤상태에 있을 경우에,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를 이동자로부터 돌출시켜서 걸림대상물의 걸림구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걸림대상물과의 상대적인 격리이동을 규제하는 한편, 해제상태에 있을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의 내부로 퇴행시켜 수납하도록 한 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상태에 있을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에 대하여 퇴행가능하게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2. 하우징에 대하여 진퇴가능하게 설치한 이동자와; 선단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가 상기 이동자의 외측둘레에서 출몰하는 형태로 상기 이동자에 이동가능하게 지지시킨 걸어맞춤체와; 상기 이동자가 소정의 제 1 위치로 이동하였을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로부터 돌출시켜서 걸어맞춤상태로 하는 한편, 상기 이동자가 소정의 제 2 위치로 이동하였을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의 내부로 퇴행시켜 수납하는 해제상태로 하는 작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를 걸림대상물의 걸림구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걸림대상물과의 상대적인 격리이동을 규제하도록 한 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걸어맞춤상태에 있을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에 대하여 퇴행가능하게 돌출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탄성수단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로부터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걸어맞춤체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걸어맞춤체를 통해서 상기 이동자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를 향해서 항시 압압하는 압압 스프링과; 상기 이동자를 상기 압압 스프링의 압압력에 저항하면서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압압한 경우에 상기 이동자를 상기 제 1 위치에 정지시켜고, 또한 상기 제 1 위치에서 같은 방향으로 압압한 경우에 상기 압압 스프링의 압압력에 의해서 상기 이동자를 상기 제 2 위치로 복귀시키는 위치규정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압압 스프링의 압압력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로부터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에, 상기 걸어맞춤부가 돌출된 상태에서 서로 격리된 상기 이동자와 상기 걸림대상물을 근접 이동시킨 경우에 상기 걸림구와 맞닿고, 또한 상기 걸림구와 누름접촉시킨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를 퇴행이동시키는 퇴행작용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에 대하여 상기 걸어맞춤체를 상기 이동자의 진퇴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와 상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이동자가 돌출된 상태에서 양자를 서로 누름접촉시킨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를 돌출방향으로 지지하는 제 1 작용면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에, 상기 걸림대상물의 걸림구와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구와 누름접촉시킨 경우에 상기 제 1 작용면에 의한 지지력에 저항하면서 상기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부를 퇴행이동시키는 제 2 작용면을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체와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기구에 의해서, 상기 해제상태에 있을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이동자에 대하여 퇴행시켜 수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KR10-2001-0014900A 2000-03-23 2001-03-22 래치장치 KR100388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81645 2000-03-23
JP2000081645A JP4473403B2 (ja) 2000-03-23 2000-03-23 ラ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513A KR20010090513A (ko) 2001-10-18
KR100388303B1 true KR100388303B1 (ko) 2003-06-19

Family

ID=1859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900A KR100388303B1 (ko) 2000-03-23 2001-03-22 래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73403B2 (ko)
KR (1) KR100388303B1 (ko)
TW (1) TW51351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164A (ko) * 2014-04-24 2015-11-03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래치장치
KR20210066415A (ko) * 2019-11-28 2021-06-07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4329B2 (ja) * 2002-10-17 2008-10-15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装置
ITRM20030171U1 (it) * 2003-10-15 2005-04-16 Salice Arturo Spa Dispositivo di apertura e chiusura per mobile.
JP2007242101A (ja) * 2006-03-07 2007-09-20 Kenwood Corp ディスク装置のスロットローディング機構
JP4889113B2 (ja) * 2007-02-28 2012-03-07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0278A (ja) * 1989-09-25 1991-05-10 Nifco Inc ラッチ方法及びラッチ装置
JPH05340153A (ja) * 1992-06-10 1993-12-21 Nifco Inc ラッチ装置
JPH0754531A (ja) * 1993-08-17 1995-02-28 Nifco Inc ラッチ装置
US5518282A (en) * 1993-11-30 1996-05-21 Koei Sangyo Co., Ltd. Locking device for open-close mechanism of a cabinet
JPH08193450A (ja) * 1995-01-17 1996-07-30 Nifco Inc ラッチ装置
US6250694B1 (en) * 1999-09-02 2001-06-26 Southco, Inc. Push-push latch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0278A (ja) * 1989-09-25 1991-05-10 Nifco Inc ラッチ方法及びラッチ装置
JPH05340153A (ja) * 1992-06-10 1993-12-21 Nifco Inc ラッチ装置
JPH0754531A (ja) * 1993-08-17 1995-02-28 Nifco Inc ラッチ装置
US5518282A (en) * 1993-11-30 1996-05-21 Koei Sangyo Co., Ltd. Locking device for open-close mechanism of a cabinet
JPH08193450A (ja) * 1995-01-17 1996-07-30 Nifco Inc ラッチ装置
US6250694B1 (en) * 1999-09-02 2001-06-26 Southco, Inc. Push-push latch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164A (ko) * 2014-04-24 2015-11-03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래치장치
KR101655667B1 (ko) 2014-04-24 2016-09-07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래치장치
KR20210066415A (ko) * 2019-11-28 2021-06-07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KR102311406B1 (ko) * 2019-11-28 2021-10-1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13513B (en) 2002-12-11
JP2001262915A (ja) 2001-09-26
JP4473403B2 (ja) 2010-06-02
KR20010090513A (ko) 200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7262A (en) Latch device having two tracing members for automatic release
US6668602B2 (en) Flush mounted latch
US7716960B2 (en) Lock device
US8973956B2 (en) Latch device
JP4758565B2 (ja) 工具収容装置
KR20030094092A (ko) 사이드 록크 장치
JP6232336B2 (ja) ラッチ装置
KR100388303B1 (ko) 래치장치
CN107847049B (zh) 用于可动家具部件的推出装置
JP2021529904A (ja) 家具用金具
JP5789438B2 (ja) ラッチ装置
KR20110122845A (ko)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CN113574238B (zh) 开闭体的锁定装置
JP2685712B2 (ja) ハンドルロック
KR100441850B1 (ko) 인출 회전조작형 문용 로크핸들장치
JP2667638B2 (ja) Icソケット
JP3618161B2 (ja) 軸ラッチ装置
JP2014105517A (ja)
WO2021045066A1 (ja) 開閉体の押上げ装置
KR100335471B1 (ko) 인출회전 조작형 문용 잠금핸들장치
KR20040105030A (ko) 힌지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WO2023175432A1 (en) Rigid support and fixing device for furniture shelves
JPH0643402Y2 (ja) 押圧作動型扉用ロック装置
JP6542682B2 (ja) ドアクローザ
JP4149383B2 (ja) 窓等開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