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956B1 - 잉크젯기록용의 수성 잉크 - Google Patents

잉크젯기록용의 수성 잉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956B1
KR100384956B1 KR10-2000-0028277A KR20000028277A KR100384956B1 KR 100384956 B1 KR100384956 B1 KR 100384956B1 KR 20000028277 A KR20000028277 A KR 20000028277A KR 100384956 B1 KR100384956 B1 KR 100384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kyl group
ink
dy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7425A (ko
Inventor
마쯔자키요리아키
오이류
오쿠마타다시
코오고오사무
Original Assignee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7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characterised by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0025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 C09B29/0029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 C09B29/0037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containing a five-membered heterocyclic ring with two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06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coupling components containing amino as the only directing group
    • C09B29/08Amino benzenes
    • C09B29/0805Amino benzenes free of acid groups
    • C09B29/0807Amino benzenes free of acid groups characterised by the amino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주성분으로서 적어도 비수용성 색소, 물 및 수지를 함유하여 에멀션의 형태를 취하는 잉크젯기록용의 수성 잉크에 있어서, 상기 색소가 하기 일반식(1):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는, 특히 내수성이 우수하고, 또, 내광성 및 수지와의 상용성도 우수하므로, 잉크젯기록용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색소를 사용해서 얻어진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수성 잉크는 내광성 및 보존안정성이 우수하다. 특히, 이 잉크를 잉크젯기록방식용의 잉크로서 사용할 경우, 이러한 잉크조성물을 이용하면, 얼룩없는 고품질의 화상의 형성이 가능해지고, 우수한 내수성을 지닌 기록화상의 형성도 가능한 우수한 수성 잉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젯기록용의 수성 잉크{AQUEOUS INK FOR INK JET RECORDING}
본 발명은 잉크젯기록방식에 적합한 잉크젯기록용의 잉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잉크젯기록용의 잉크에 특히 적합한 색소, 이 색소로 착색된 수지미립자, 해당 수지미립자의 수성매체중에의 분산체(dispersion) 및 이것을 이용한 잉크젯기록용의 잉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잉크젯기록방식용의 잉크로서는 수성 잉크가 사용되어 왔다. 수성 잉크는 기본적으로는 색소, 물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지고, 악취나, 인체 및 환경에 대한 안전성을 배려해서 물을 주용매로서 함유한다. 또한, 색소로서는, 일반적으로는, 산성 염료, 염기성 염료, 반응성 염료 및 직접 염료 등의 수용성 염료가 사용된다.
잉크젯기록용 잉크 및 색소에 관해서는, 이하의 각종 특성이 요구된다. 즉:
(1) 점도, 표면장력, 비전도도, 밀도 및 pH 등의 잉크특성이 적합할 것.
(2) 잉크의 장기간 보존안정성이 양호할 것.
(3) 용해성분의 용해안정성이 높아, 노즐의 막힘을 발생시키지 않을 것.
(4) 기록재료에 있어서의 신속한 건조성이 양호할 것.
(5) 기록화상이 선명하고, 내광성 및 내수성이 양호할 것.
그러나, 이들 특성을 모두 충족시키는 색소 및 잉크는 아직 제공되고 있지 않다.
특히, 통상의 수성 잉크에 있어서는, 수용성 염료를 사용하므로, 기록화상에 물이 번졌을 경우, 염료가 용출되어, 기록화상이 얼룩지거나 소실되어 버린다. 따라서, 내수성에 많은 문제가 있는 바, 현재, 내수성의 향상에 주력한 각종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안료 혹은 유용성(oil-soluble) 염료를 색소로서 사용하는 잉크나, 수용성 염료를 사용하는 수성 잉크에 유기용제나 수지를 첨가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안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분산안정성이 나쁘고, 보존안정성이 불량하여 노즐의 막힘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유용성 염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유기용제를 사용하므로, 악취 등의 환경위생상의 문제를 일으키거나, 현저한 잉크번짐을 일으켜, 화질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첨가제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할 경우에도, 보존안정성이 불량하여, 노즐의 막힘을 일으키고, 또한 잉크점도의 증가로 인해 잉크가 잘 분사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최근,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 1994-340835호에는, 염료 또는 안료로 착색된 폴리에스테르수지를 분산상으로서 함유하는 수성 분산체를 사용하는 잉크가 개시되어 있으나, 안료는 전술한 문제를 여전히 지니고 있다. 또, 염료도 수지와의 상용성이 나쁘므로, 잉크중에 석출물이 나타나, 보존안정성이 나빠져, 노즐의 막힘을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특히 잉크젯기록방식에 사용되는 잉크의 여러 특성은 색소고유의 특성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이들 조건을 충족시키는 색소의 창출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내수성, 내광성 및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색소, 이 색소로 착색된 수지미립자, 그의 수성 분산액(즉, 분산체) 및 이것을 사용한, 내수성, 내광성 및 보존안정성이 우수하고, 잉크젯기록방식에 최적인 잉크젯기록용의 잉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색소가 상기 목적을 충족시키는 것을 발견하고, 이 식견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1] 하기 일반식(1):
[식중, R1은 총탄소수가 4이상인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표시하고,
R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알킬기를 표시하고,
R3은 알킬기, 알콕시기, -COOR6, -CONR7R8, -NHSO2R9또는 -NHCOR10(식중, R6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R7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단, R7및 R8은 동시에 수소원자가 아니며, R9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R10은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아릴옥시기를 표시함)을 표시하며,
R4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아랄킬기를 표시하고, 이들 각 기는 유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용성 색소.
[2] 상기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R1, R4및 R5의 적어도 1개는, 총탄소수가 6이상인 알킬기 또는 총탄소수가 6이상인 알케닐기이고, 이들 기는 유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용성 색소.
[3] 주성분으로서 적어도 비수용성 색소, 물 및 수지를 함유하여 에멀션의 형태를 취하는 잉크젯기록용의 수성 잉크에 있어서, 상기 색소가 하기 일반식(1):
[식중, R1은 총탄소수가 4이상인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표시하고,
R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알킬기를 표시하고,
R3은 알킬기, 알콕시기, -COOR6, -CONR7R8, -NHSO2R9또는 -NHCOR10(식중, R6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R7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단, R7및 R8은 동시에 수소원자가 아니며, R9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R10은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아릴옥시기를 표시함)을 표시하며,
R4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아랄킬기를 표시하고, 이들 각 기는 유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기록용의 수성 잉크.
[4] 하기 일반식(1):
[식중, R1은 총탄소수가 4이상인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표시하고,
R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알킬기를 표시하고,
R3은 알킬기, 알콕시기, -COOR6, -CONR7R8, -NHSO2R9또는 -NHCOR10(식중, R6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R7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단, R7및 R8은 동시에 수소원자가 아니며, R9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R10은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아릴옥시기를 표시함)을 표시하며,
R4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아랄킬기를 표시하고, 이들 각 기는 유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로 표시되는 색소로 착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미립자.
[5] 하기 일반식(1):
[식중, R1은 총탄소수가 4이상인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표시하고,
R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알킬기를 표시하고,
R3은 알킬기, 알콕시기, -COOR6, -CONR7R8, -NHSO2R9또는 -NHCOR10(식중, R6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R7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단, R7및 R8은 동시에 수소원자가 아니며, R9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R10은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아릴옥시기를 표시함)을 표시하며,
R4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아랄킬기를 표시하고, 이들 각 기는 유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로 표시되는 색소로 착색된 수지미립자를 수성 매체중에 분산시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체.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는, 특히 내수성이 우수하고, 또, 내광성 및 수지와의 상용성도 우수하므로, 잉크젯기록용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색소를 사용해서 얻어진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수성 잉크는 내광성 및 보존안정성이 우수하다. 특히, 이 잉크를 잉크젯기록방식용의 잉크로서 사용할 경우, 이러한 잉크조성물을 이용하면, 얼룩없는 고품질의 화상의 형성이 가능해지고, 우수한 내수성을 지닌 기록화상의 형성도 가능한 우수한 수성 잉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주성분으로서 적어도 비수용성 색소, 물 및 수지를 함유하여 에멀션의 형태를 취하는 잉크젯기록용의 수성 잉크에 관해서, 본 발명은, [1] 일반식(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색소인 색소, [2] 일반식(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색소로 착색된 수지미립자, [3] 상기 수지미립자를 수성 매체중에 분산시켜 얻어진 분산체 및 [4] 일반식(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색소로 착색된 수지미립자를 에멀션화하여 분산시킨 분산체로부터 얻어진 에멀션인 잉크젯기록용의 수성 잉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색소, 즉,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수성잉크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색소는, 일반식(1)로 표시되는 색소[이하,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라고도 칭함]이다.
일반식(1)에 있어서, R1은 총탄소수가 4이상인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랄킬기 또는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케닐기를 표시하고; R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를 표시하고; R3은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콕시기, -COOR6, -CONR7R8, -NHSO2R9또는 -NHCOR10(식중, R6은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또는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R7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또는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단, R7및 R8은 동시에 수소원자가 아니며, R9는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또는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R10은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콕시기,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 또는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옥시기를 표시함)을 표시하며; R4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케닐기 또는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랄킬기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색소는 수지 또는 용매와의 높은 상용성을 지닐 필요가 있으므로, 친수기는 치환기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할로겐원자의 예로서는,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드원자를 들 수 있다.
일반식(1)로 표시되는 바람직한 색소에 있어서, R1, R4및 R5의 적어도 1개는, 총탄소수가 6이상인 알킬기 또는 총탄소수가 6이상인 알케닐기이며, 이들 기는 유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R1, R4및 R5의 적어도 1개는, 총탄소수가 8이상인 알킬기이다. 또한, R1, R4및 R5의 적어도 2개는, 총탄소수가 6이상인 알킬기 또는 총탄소수가 6이상인 알케닐기이며, 이들 기는 유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1, R4및 R5의 적어도 2개는, 총탄소수가 8이상인 알킬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 R4및 R5는 모두, 총탄소수가 8이상인 알킬기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1은 총탄소수가 8 내지 20인 직선 또는 분기형 알킬기 또는 총탄소수가 6 내지 20인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이며, R3은 총탄소수가 1 내지 10인 -NHSO2R9또는 총탄수소수가 2 내지 10인 -NHCOR10이고, R4및 R5는, 총탄소수가 8 내지 20인 알킬기이다.
일반식(1)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총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선, 분기형 또는 고리형상 알킬기, 또는 총탄소수가 1 내지 20인,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알콕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또는 알킬카르보닐옥시기로 치환된 직선, 분기형 또는 고리형상 알킬기이다.
그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sec-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tert-펜틸기, sec-펜틸기. 시클로펜틸기, n-헥실기, 1-메틸펜틸기, 2-메틸펜틸기, 3-메틸펜틸기, 4-메틸펜틸기, 1,1-디메틸부틸기, 1,2-디메틸부틸기, 1,3-디메틸부틸기, 2,3-디메틸부틸기, 1,1,2-트리메틸프로필기, 1,2,2-트리메틸프로필기, 1-에틸부틸기, 2-에틸부틸기, 1-에틸-2-메틸프로필기, 시클로헥실기, 메틸시클로펜틸기, n-헵틸기, 1-메틸헥실기, 2-메틸헥실기, 3-메틸헥실기, 4-메틸헥실기, 5-메틸헥실기, 1,1-디메틸펜틸기, 1,2-디메틸펜틸기, 1,3-디메틸펜틸기, 1,4-디메틸펜틸기, 2,2-디메틸펜틸기, 2,3-디메틸펜틸기, 2,4-디메틸펜틸기, 3,3-디메틸펜틸기, 3,4-디메틸펜틸기, 1-에틸펜틸기, 2-에틸펜틸기, 3-에틸펜틸기, 1,1,2-트리메틸부틸기, 1,1,3-트리메틸부틸기, 1,2,3-트리메틸부틸기, 1,2,2-트리메틸부틸기, 1,3,3-트리메틸부틸기, 2,3,3-트리메틸부틸기, 1-에틸-1-메틸부틸기, 1-에틸-2-메틸부틸기, 1-에틸-3-메틸부틸기, 2-에틸-1-메틸부틸기, 2-에틸-3-메틸부틸기, 1-n-프로필부틸기, 1-이소프로필부틸기, 1-이소프로필-2-메틸프로필기, 메틸시클로헥실기, n-옥틸기, 1-메틸헵틸기, 2-메틸헵틸기, 3-메틸헵틸기, 4-메틸헵틸기, 5-메틸헵틸기, 6-메틸헵틸기, 1,1-디메틸헥실기, 1,2-디메틸헥실기, 1,3-디메틸헥실기, 1,4-디메틸헥실기, 1,5-디메틸헥실기, 2,2-디메틸헥실기, 2,3-디메틸헥실기, 2,4-디메틸헥실기, 2,5-디메틸헥실기, 3,3-디메틸헥실기, 3,4-디메틸헥실기, 3,5-디메틸헥실기, 4,4-디메틸헥실기, 4,5-디메틸헥실기, 1-에틸헥실기, 2-에틸헥실기, 3-에틸헥실기, 4-에틸헥실기, 1-n-프로필펜틸기, 2-n-프로필펜틸기, 1-이소프로필펜틸기, 2-이소프로필펜틸기, 1-에틸-1-메틸펜틸기, 1-에틸-2-메틸펜틸기, 1-에틸-3-메틸펜틸기, 1-에틸-4-메틸펜틸기, 2-에틸-1-메틸펜틸기, 2-에틸-2-메틸펜틸기, 2-에틸-3-메틸펜틸기, 2-에틸-4-메틸펜틸기, 3-에틸-1-메틸펜틸기, 3-에틸-2-메틸펜틸기, 3-에틸-3-메틸펜틸기, 3-에틸-4-메틸펜틸기, 1,1,2-트리메틸펜틸기, 1,1,3-트리메틸펜틸기, 1,1,4-트리메틸펜틸기, 1,2,2-트리메틸펜틸기, 1,2,3-트리메틸펜틸기, 1,2,4-트리메틸펜틸기, 1,3,4-트리메틸펜틸기, 2,2,3-트리메틸펜틸기, 2,2,4-트리메틸펜틸기, 2,3,4-트리메틸펜틸기, 1,3,3-트리메틸펜틸기, 2,3,3-트리메틸펜틸기, 3,3,4-트리메틸펜틸기, 1,4,4-트리메틸펜틸기, 2,4,4-트리메틸펜틸기, 3,4,4-트리메틸펜틸기, 1-n-부틸부틸기, 1-이소부틸부틸기, 1-sec-부틸부틸기, 1-tert-부틸부틸기, 2-tert-부틸부틸기, 1-n-프로필-1-메틸부틸기, 1-n-프로필-2-메틸부틸기, 1-n-프로필-3-메틸부틸기, 1-이소프로필-1-메틸부틸기, 1-이소프로필-2-메틸부틸기, 1-이소프로필-3-메틸부틸기, 1,1-디에틸부틸기, 1,2-디에틸부틸기, 1-에틸-1,2-디메틸부틸기, 1-에틸-1,3-디메틸부틸기, 1-에틸-2,3-디메틸부틸기, 2-에틸-1,1-디메틸부틸기, 2-에틸-1,2-디메틸부틸기, 2-에틸-1,3-디메틸부틸기, 2-에틸-2,3-디메틸부틸기, 1,2-디메틸시클로헥실기, 1,3-디메틸시클로헥실기, 1,4-디메틸시클로헥실기, 에틸시클로헥실기, n-노닐기, 3,5,5-트리메틸헥실기, n-데실기, n-운데실기, n-도데실기, n-트리데실기, n-테트라데실기, n-펜타데실기, n-헥사데실기, n-헵타데실기, n-옥타데실기, n-노나데실기 및 n-에이코실기 등의 총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선, 분기형 또는 고리형상 알킬기;
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클로로메틸기, 디클로로메틸기, 트리클로로메틸기, 브로모메틸기, 디브로모메틸기, 트리브로모메틸기, 플루오로에틸기, 클로로에틸기, 브로모에틸기, 트리플루오로에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 테트라클로로에틸기 및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기 등의 총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선, 분기형 또는 고리형상 할로알킬기;
시아노에틸기, 시아노프로필기 및 시아노부틸기 등의 총탄소수가 2 내지 10인 시아노알킬기;
메톡시메틸기, 에톡시메틸기, 메톡시에틸기, 에톡시에틸기, 프로폭시에틸기 및 부톡시에틸기 등의 알콕시알킬기;
메톡시카르보닐메틸기, 에톡시카르보닐메틸기, 프로폭시카르보닐메틸기, 부톡시카르보닐메틸기, 펜틸옥시카르보닐메틸기, 헥실옥시카르보닐메틸기, 헵틸옥시카르보닐메틸기, 옥틸옥시카르보닐메틸기, 노닐옥시카르보닐메틸기, 데실옥시카르보닐메틸기, 메톡시카르보닐에틸기, 에톡시카르보닐에틸기, 프로폭시카르보닐에틸기, 부톡시카르보닐에틸기, 펜틸옥시카르보닐에틸기, 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기, 헵틸옥시카르보닐에틸기, 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기, 노닐옥시카르보닐에틸기 및 데실옥시카르보닐에틸기 등의 총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선 또는 분기형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
페녹시카르보닐메틸기 등의 총탄소수가 8 내지 20인 아릴옥시카르보닐알킬기;
메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에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디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부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디부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펜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디펜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헥실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디헥실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헵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디헵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옥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디옥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노닐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디노닐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데실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디데실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메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에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디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부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디부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펜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디펜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헥실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디헥실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헵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디헵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옥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디옥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노닐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디노닐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데실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및디데실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등의 총탄소수가 3 내지 20인 직선 또는 분기형 알킬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
아세틸옥시에틸기, 에틸카르보닐옥시에틸기, 프로필카르보닐옥시에틸기, 부틸카르보닐옥시에틸기, 펜틸카르보닐옥시에틸기, 헥실카르보닐옥시에틸기, 헵틸카르보닐옥시에틸기, 옥틸카르보닐옥시에틸기, 노닐카르보닐옥시에틸기 및 데실카르보닐옥시에틸기 등의 총탄소수가 3 내지 20인 직선 또는 분기형 알킬카르보닐옥시알킬기;
벤질기 및 페네틸기 등의 총탄소수 7 내지 20의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랄킬기를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콕시기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총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선, 분기형 또는 고리형상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원자, 알콕시기 혹은 알콕시알콕시기로 치환된 총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선, 분기형 또는 고리형상 알콕시기이다.
그 예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 펜톡시기, 1-메틸부톡시기, 2-메틸부톡시기, 3-메틸부톡시기, 1,1-디메틸부톡시기, 1,2-디메틸부톡시기, 2,2-디메틸부톡시기, 1-에틸프로폭시기, 2-에틸프로폭시기, 헥실옥시기, 시클로헥실옥시기, 헵틸옥시기, 메틸시클로헥실옥시기, 옥틸옥시기, 에틸시클로헥실옥시기, 디메틸시클로헥실옥시기, 노닐옥시기, 2-에틸헥실옥시기, 3,5,5-트리메틸헥실옥시기 및 데실옥시기 등의 총탄소수가 1 내지 10인 직선, 분기형 또는 고리형상 알콕시기;
플루오로메톡시기,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 플루오로에톡시기, 트리플루오로에톡시기, 헥사플루오로에톡시기, 플루오로프로폭시기, 트리플루오로프로폭시기, 헥사플루오로프로폭시기, 클로로메톡시기, 트리클로로메톡시기, 클로로에톡시기 및 트리클로로에톡시기 등의 총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선, 분기형 또는 고리형상 할로알콕시기; 및
메톡시메톡시기, 에톡시메톡시기, 프로폭시메톡시기, 부톡시메톡시기, 시클로헥실옥시메톡시기, 메톡시메톡시메톡시기, 메톡시에톡시기, 에톡시에톡시기, 프로폭시에톡시기, 부톡시에톡시기, 시클로헥실옥시에톡시기, 메톡시에톡시에톡시기, 에톡시에톡시에톡시기, 프로폭시에톡시에톡시기, 부톡시에톡시에톡시기, 메톡시메틸에톡시기, 에톡시메틸에톡시기, 프로폭시메틸에톡시기, 부톡시메틸에톡시기, 시클로헥실옥시메틸에톡시기, 메톡시에톡시메틸에톡시기, 에톡시에톡시메틸에톡시기, 프로폭시에톡시메틸에톡시기, 부톡시에톡시메틸에톡시기, 2-[(2'-메톡시)프로폭시]프로폭시기, 메톡시프로폭시기, 에톡시프로폭시기 및 에톡시프로폭시기 등의 총탄소수가 2 내지 20인 직선, 분기형 또는 고리형상 알콕시알콕시기 또는 총탄소수가 3 내지 20인 알콕시알콕시알콕시기를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예로서는, 페닐기, 톨루일기, 크실리딜기, 나프틸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플루오로페닐기 및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옥시기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예로서는, 페녹시기, 메틸페녹시기, 디메틸페녹시기, 메톡시페녹시기, 클로로페녹시기, 브로모페녹시기, 플루오로페녹시기, 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기 및 나프틸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케닐기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총탄소수가 3 내지 20인 직선 또는 분기형 알케닐기, 또는 할로겐원자 혹은 알콕시기로 치환된 총탄소수가 3 내지 20인 직선 또는 분기형 알케닐기이다. 그 예로서는,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펜테닐기, 헥세닐기, 헵테닐기, 옥테닐기, 노네닐기, 데세닐기, 운데세닐기, 도데세닐기, 트리데세닐기, 테트라데세닐기, 펜타데세닐기, 헥사데세닐기, 헵타데세닐기, 옥타데세닐기, 노나데세닐기 및 에이코세닐기 등의 총탄소수가 3 내지 20인, 임의의 위치에 1개의 이중결합을 지닌 알케닐기; 및 총탄소수가 3 내지 20인, 임의의 위치에 2개 또는 3개의 이중결합을 지닌 알케닐기를 들 수 있다.
잉크젯기록용의 바람직한 색소에 관해서는, R1, R4및 R5의 적어도 1개는, 총탄소수가 6이상인 알킬기 또는 총탄소수가 6이상인 알케닐기이며, 이들 기는 유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R1, R4및 R5의 적어도 1개는, 총탄소수가 8이상인 알킬기이다. 또, R1, R4및 R5의 적어도 2개는, 총탄소수가 6이상인 알킬기 또는 총탄수소가 6이상인 알케닐기이며, 이들 기는 유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1, R4및 R5의 적어도 2개는, 총탄소수가 8이상인 알킬기이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R1, R4및 R5는 모두 총탄소수가 8이상인 알킬기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1은 총탄소수가 8 내지 20인 직선 또는 분기형 알킬기 또는 총탄소수가 6 내지 20인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이고, R3은 총탄소수가 1 내지 10인 -NHSO2R9또는 총탄수소가 2 내지 10인 -NHCOR10이고, R4및 R5는 총탄소수가 8 내지 20인 알킬기이다.
친수기의 수가 많은 치환기는, 내수성이 저감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식(1)로 표시되는 마젠타색소의 구체예를 표 1a 및 표 1b에 표시하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 1a 및 표 1b에 표시된 색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색소번호 구조식
R1 R2 R3 R4 R5
1 C5H11(i) H NHCOC2H5 C2H4OCOCH3 C2H4OCOCH3
2 C4H9(n) H CH3 C2H4OCOC3H7(i) C2H4OCOC3H7(i)
3 C4H9(n) H CH3 C2H4CN C2H4CN
4 C4H9(i) H NHCOC2H5 C2H5 C2H5
5 C4H9(i) H NHSO2C2H5 C2H5 C2H5
6 CH2CH(C2H5)C4H9 H NHCOC2H5 C2H5 C2H5
7 C8H17(n) H NHCOC2H5 C2H5 C2H5
8 CH2CH(C2H5)C4H9 H CH3 C2H5 C2H5
9 시클로헥실기 H NHCOC2H5 C2H5 C2H5
10 CH2COOC3H7(i) H NHCOC2H5 C2H5 C2H5
11 CH2COOC3H7(i) H NHCOC2H5 C2H4OCOCH3 C2H4OCOCH3
12 CH2COOC3H7(i) H NHCOC2H5 C2H4CN C2H4CN
13 CH2COOC4H9 H CH3 CH2CH=CH2 CH2CH=CH2
14 CH2CO0C6H13 H CH3 C2H4OCOC3H7(i) C2H4OCOC3H7(i)
15 CH2OCOC2H5 H NHCOPh C4H9 C4H9
16 CH2OCOC3H7(i) H NHSO2CH3 C2H4OCOC3H7(i) C2H4OCOC3H7(i)
17 C2H4OCOC3H7(i) H NHCOOC2H5 C2H5 C2H5
18 CH2CONHC4H9 H CH3 C2H4OCOCH3 C2H4OCOCH3
19 CH2CON(C4H9)2 H CH3 C2H5 C2H5
20 CH2CH(C2H5)C4H9 H NHCOCH3 C8H17(n) C8H17(n)
21 CH2Ph H CH3 CH2Ph CH2Ph
22 C10H21(n) H NHCOCH3 C8H17(n) C8H17(n)
23 C4H9(i) OCH3 CH3 CH2Ph CH2CH=CH2
24 C4H9(i) Cl NHCOOC2H5 C4H9 C4H9
25 CH2CH(C2H5)C4H9 H NHCOCH3 C2H4OCOC3H7(i) C2H4OCOC3H7(i)
26 CH2CH(C2H5)C4H9 H CH3 C3H6OCOC3H7 C3H6OCOC3H7
27 C4H9(i) H CH3 C3H6OCOC3H7 C2H5
28 C4H9(i) H CH3 C2H4OCOCH3 C2H5
29 CH2COOC4H9 H CH3 C2H4COOC2H4OCH3 C2H5
30 CH2COOC4H9 H CH3 C3H6OCOC3H7 C2H5
색소번호 구조식
R1 R2 R3 R4 R5
31 CH2CH(C2H5)C4H9 H NHCOCH3 C10H21(n) C10H21(n)
32 C8H17(n) H NHCOCH3 C8H17(n) C8H17(n)
33 C10H21(n) H NHCOCH3 C10H21(n) C10H21(n)
34 C12H25(n) H NHCOCH3 C8H17(n) C8H17(n)
35 CH2COOC4H9(t) H NHCOCH3 C8H17(n) C8H17(n)
36 CH2CH(C2H5)C4H9 H NHCOCH3 C10H21(i) C10H21(i)
37 C12H25(n) H NHCOCH3 C12H25(n) C12H25(n)
38 C14H29(n) H NHCOCH3 C8H17(n) C8H17(n)
39 C16H33(n) H NHCOCH3 C8H17(n) C8H17(n)
40 C18H37(n) H NHCOCH3 C8H17(n) C8H17(n)
41 CH2COOC4H9(t) H NHCOCH3 C10H21(n) C10H21(n)
42 C10H21(n) H NHCOCH3 C8H17(n) C8H17(n)
43 C12H25(n) H NHSO2C2H5 C8H17(n) C8H17(n)
44 CH2CO0CH2CH(C2H5)C4H9 H NHCOCH3 C8H17(n) C8H17(n)
45 C2H4COOC6H13 H NHCOCH3 C8H17(n) C8H17(n)
46 (CH2)6CH=CH2 H NHCOCH3 C8H17(n) C8H17(n)
47 CH2CH(C2H5)C4H9 H CH3 C8H17(n) C8H17(n)
48 시클로헥실기 H NHCOCH3 C10H21(n) C10H21(n)
49 C8H17(n) H NHCOCH3 C10H21(n) C10H21(n)
50 C10H21(n) H NHCOCH3 C10H21(n) C10H21(n)
51 CH2CH(C2H5)C4H9 H NHCOCH3 (CH2)8CH=CH2 (CH2)8CH=CH2
52 (CH2)6CH=CH2 H NHCOCH3 (CH2)6CH=CH2 (CH2)6CH=CH2
53 C8H17(n) H NHCOCH3 (CH2)6CH=CH2 (CH2)6CH=CH2
54 CH2COOC4H9(t) H NHCOCH3 (CH2)6CH=CH2 (CH2)6CH=CH2
55 C8H17(n) CF3 NHCOCH3 C8H17(n) C8H17(n)
56 CH2CH(CH3)CH2CF3 H NHCOCH3 C8H17(n) C8H17(n)
57 CH2COOC6F13(i) H NHCOCH3 C8H17(n) C8H17(n)
58 C2H4COOC3F7(i) H NHCOCH3 C8H17(n) C8H17(n)
59 CH2CH(CH3)CH2CF3 H NHCOCH3 C8H17(n) C8H17(n)
60 C2H4C4F9 H NHCOCH3 C8H17(n) C8H17(n)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잉크에 사용되는 일반식(1)로 표시되는 색소는, 상법의 아조커플링법에 의해, 예를 들면, 하기에 개략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아미노이미다졸류(2)와 아닐린류(3)와의 커플링에 의해서 제조된다:
(식중, R1내지 R5는 상기와 마찬가지임)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염산중에서, 아미노이미다졸류(2)에 아질산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여, 디아조화한 후, 해당 디아조화물을 아닐린류(3)에 첨가해서 아조커플링반응을 행하고,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분리함으로써 색소를 얻는다.
본 발명의 색소는, 각종 잉크, 특히, 잉크젯기록방식용의 색소로서 유용하다. 해당 색소는, 그대로 사용가능하나, 특히 잉크젯기록방식에 이용할 경우, 색소중에 함유되는 불순물이나 무기물에 의한 기록장치의 토출노즐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이온교환수지나 한외여과에 의한 탈염처리 또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를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잉크는, 적어도 일반식(1)로 표시되는 색소, 물 및 수지를 주성분, 즉 필수성분으로서, 그리고, 기타 성분, 예를 들면 분산제, 유화제 등의 첨가제나, 보조제를 함유하고, 수성 매체중에 본 발명의 색소로 착색된 수지미립자를 분산시키고, 해당 분산체를 유화시킨 에멀션의 형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잉크는 필요에 따라 유기용매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일반식(1)로 표시되는 색소는 단독으로 혹은 조합해서 사용해도 되고, 또는 그외의 구조가 다른 색소를 혼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잉크에 있어서, 수지미립자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표면에 이온성 기를 지닌 수지면 되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비닐중합체, 폴리우레탄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스티렌-아크릴공중합체 등의 각종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a)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다가카르복시산류와 다가알콜류로 구성되고, 1종이상의 다가카르복시산류와 1종이상의 다가알콜류와의 중합에 의해 얻어진 수지를 들 수 있다.
다가카르복시산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o-프탈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디펜산, 술포테레프탈산, 5-술포이소프탈산, 4-술포프탈산, 4-술포나프탈렌-2,7-디카르복시산, 5[4-술포페녹시]이소프탈산, 술포테레프탈산, p-옥시벤조산, p-(하이드록시에톡시)벤조산, 숙신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도데칸디카르복시산,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헥사하이드로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스산 및 피로멜리트산 등의 방향족 다가카르복시산, 방향족 옥시카르복시산,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및 지환식 디카르복시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또, 금속염이나 암모늄염으로서도 사용가능하다.
다가알콜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2,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스피로글리콜, 트리시클로데칸디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m-크실렌글리콜, o-크실렌글리콜, 1,4-페닐렌글리콜, 비스페놀 A 및 락톤계 폴리에스테르폴리올류 등의 지방족 다가알콜류, 지환식 다가알콜류 및 방향족 다가알콜류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다가카르복시산류 1종이상과 상기 다가알콜류 1종이상을 중합시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관해서는, 통상 알려져 있는 말단을 봉합가능한 화합물로 고분자사슬의 말단의 극성기를 봉합시킨 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b) 비닐중합체, 스티렌계 수지 및 스티렌-아크릴공중합체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이하의 중합성 단량체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중합성 단량체의 예로서는, 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p-tert-부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및 디비닐벤젠 등의 비닐계 방향족 탄화수소;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n-프로필, 아크릴산 이소프로필,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tert-부틸, 아크릴산 n-펜틸, 아크릴산 이소펜틸, 아크릴산 네오펜틸, 아크릴산 3-(메틸)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 시클로헥실, 아크릴산 헥실, 아크릴산 옥틸, 아크릴산 노닐, 아크릴산 데실, 아크릴산 운데실, 아크릴산 도데실, 아크릴산 페닐,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n-프로필, 메타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이소부틸, 메타크릴산 tert-부틸, 메타크릴산 n-펜틸, 메타크릴산 이소펜틸, 메타크릴산 네오펜틸, 메타크릴산 3-(메틸)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크릴산 헥실, 메타크릴산 옥틸, 메타크릴산 노닐, 메타크릴산 데실, 메타크릴산 운데실 및 메타크릴산 도데실 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및 말레산 등의 불포화카르복시산; (메타)아크릴아미드; n-치환 말레이미드; 무수말산;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비닐케톤; 아세트산 비닐; 및 염화비닐리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단량체를 1종이상 중합시켜 얻어진 수지를 들 수 있다.
(c) 폴리우레탄계 수지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류와 이소시아네이트류와 반응가능한 작용기를 지닌 화합물로 구성되고, 이소시아네이트류 1종이상과 상기 화합물 1종이상을 중합시켜 얻어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서는,
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노나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텐디이소시아네이트, 1,3-부타디엔-1,4-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11-운데카트리이소시아네이트, 1,3,6-헥사메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1,8-디이소시아나토-4-이소시아나토메틸옥탄, 2,5,7-트리메틸-1,8-디이소시아나토-5-이소시아나토메틸옥탄,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카보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에테르, 1,4-부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ω,ω'-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나토메틸에스테르, 리신트리이소시아네이트, 2-이소시아나토에틸-2,6-디이소시아나토에틸-2,6-디이소시아나토헥사노에이트, 2-이소시아나토프로필-2,6-디이소시아나토헥사노에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벤젠, 비스(이소시아나토프로필)벤젠,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부틸)벤젠,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나프탈렌,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디페닐에테르,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프탈레이트, 메시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2,6-디(이소시아나토메틸)푸란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디메틸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4-이소시아나토-n-부틸리덴)펜다에리트리톨, 다이머산디이소시아네이트, 2-이소시아나토메틸-3-(3-이소시아나토프로필)-5-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나토메틸-3-(3-이소시아나토프로필)-6-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나토메틸-2-(3-이소시아나토프로필)-5-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나토메틸-2-(3-이소시아나토프로필)-6-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나토메틸-3-(3-이소시아나토프로필)-6-(2-이소시아나토에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나토메틸-3-(3-이소시아나토프로필)-6-(2-이소시아나토에틸)비시클로[2,1,1]-헵탄, 2-이소시아나토메틸-2-(3-이소시아나토프로필)-5-(2-이소시아나토에틸)비시클로[2,1,1]-헵탄, 2-이소시아나토메틸-2-(3-이소시아나토프로필)-6-(2-이소시아나토에틸)비시클로[2,2,1]-헵탄 및 노르보르난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렌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에닐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프로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벤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벤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비벤질-4,4'-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페닐)에틸렌, 3,3'-디메톡시비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릭MDI, 나프탈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2,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3-메틸디페닐메탄-4,6,4'-트리이소시아네이트, 4-메틸디페닐메탄-3,5,2',4',6'-펜타이소시아네이트, 페닐이소시아나토메틸이소시아네이트, 페닐이소시아나토에틸에틸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하이드로벤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하이드로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렌글리콜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벤조페논디이소시아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디벤조푸란디이소시아네이트, 카르바졸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카르바졸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클로로카르바졸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티오디에틸디이소시아네이트, 티오프로필디이소시아네이트, 티오디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술폰디이소시아네이트, 디티오디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 디티오디에틸디이소시아네이트, 디티오프로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시클로헥실술피드-4,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황함유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술피드-2,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술피드-4,4'-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디이소시아나토디벤질티오에테르, 비스(4-이소시아나토메틸벤젠)술피드 및 4,4'-메톡시벤젠티오에틸렌글리콜-3,3'-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술피드형 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디술피드-4,4'-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디페닐디술피드-5,5'-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디술피드-5,5'-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디술피드-6,6'-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틸디페닐디술피드-5,5'-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디페닐디술피드-4,4'-디이소시아네이트 및 4,4'-디메톡시디페닐디술피드-3,3'-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술피드계 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술폰-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벤지딘술폰-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술폰-4,4'-디이소시아네이트, 4-메틸디페닐메탄술폰-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톡시디페닐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디이소시아나토디벤질술폰, 4,4'-디메틸디페닐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tert-부틸디페닐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톡시벤젠에틸렌디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및 4,4'-디클로로디페닐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술폰계 이소시아네이트;
4-메틸-3-이소시아나토벤젠술포닐-4'-이소시아나토페놀에스테르 및 4-메톡시-3-이소시아나토벤젠술포닐-4'-이소시아나토페놀에스테르 등의 술폰산에스테르계 이소시아네이트;
4-메틸-4'-이소시아네이트, 디벤젠술포닐에틸렌디아민-4,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톡시벤젠술포닐에틸렌디아민-3,3'-디이소시아네이트 및 4-메틸-3-이소시아나토벤젠술포닐아닐리드-4-메틸-3'-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술폰산 아미드; 및
티오펜-2,5-디이소시아네이트, 티오펜-2,5-디이소시아나토메틸, 1,4-디티안-2,5-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4-디티안-2,5-디이소시아나토메틸 등의 황함유 복소고리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가능한 작용기를 지닌 화합물의 예로서는,
폴리올화합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릴콜, 네오펜틸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부탄트리올, 1,2-메틸글리코시드,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트레이톨, 리비톨, 아라비니톨, 크실리톨, 알리톨, 만니톨, 돌루시톨, 이디톨, 글리콜, 이노시톨, 헥산트리올, 트리글리세롤, 디글리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에틸렌에테르글리콜,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시클로부탄디올, 시클로펜탄디올, 시클로헥산디올, 시클로헵탄디올, 시클로옥탄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하이드록시프로필시클로헥산올, 트리시클로[5,2,1,02,6]데칸디메탄올, 비시클로[4,3,0]노난디올, 디시클로헥산디올, 트리시클로[5,3,1,1]도데칸디올, 비시클로[4,3,0]노난디메탄올, 트리시클로[5,3,1,1]도데칸-에탄올,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시클로[5,3,1,1]도데칸올, 스피로[3,4]옥탄디올, 1,1'-비시클로헥실리덴디올, 시클로헥산트리올, 말티톨 및 락티톨 등의 지방족 폴리올;
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 트리하이드록시나프탈렌, 테트라하이드록시나프탈렌, 디하이드록시벤젠, 벤젠트리올, 비페닐테트라올, 피로갈롤, (하이드록시나프틸)피로갈롤, 트리하이드록시페난트렌,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크실릴렌 글리콜, 디(2-하이드록시에톡시)벤젠, 비스페놀 A-비스(2-하이드록시에틸에테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비스(2-하이드록시에틸에테르) 및 비스페놀 S 등의 방향족 폴리올;
디브로모네오펜틸글리콜 등의 할로겐화 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티오에테르폴리올, 폴리아세탈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폴리티오에테르폴리올, 폴리부타디엔폴리올, 푸란디메탄올외에, 옥살산, 글루탐산, 아디프산, 아세트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살리실산 및 피멜산등의 유기산과 상기 폴리올과의 축합반응생성물, 상기 폴리올과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와의 부가반응생성물, 알킬렌폴리아민과 알킬렌옥사이드와의 부가반응생성물, 2,2-디메틸올락트산, 2,2-디메틸올프로피온산, 2,2-디메틸올부탄산, 2,2-디메틸올발레르산, 3,4-디아미노부탄술폰산, 3,6-디아미노-2-톨루엔술폰산 및 이들의 카프로락톤변성물;
2-메르캅토에탄올,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 글리세린디(메르캅토아세테이트), 1-하이드록시-4-메르캅토시클로헥산, 2,4-디메르캅토페놀, 2-메르캅토하이드로퀴논, 4-메르캅토페놀, 1,3-디메르캅토-2-프로판올, 2,3-디메르캅토-1,3-부탄디올,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모노(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티오글리콜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펜타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록시메틸트리스(메르캅토에틸티오메틸)메탄, 1-하이드록시에틸티오-3-메르캅토에틸티오벤젠, 4-하이드록시-4'-메르캅토디페닐술폰, 2-(2-메르캅토에틸티오)에탄올, 디하이드록시에틸술피드 모노(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디메르캅토에탄 모노(살리실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티오메틸트리스(메르캅토에틸티오)메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프로필렌디아민, 부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시클로헥실렌디아민, 피페라진, 2-메틸페페라진, 페닐렌디아민, 톨릴렌디아민, 크실릴렌디아민, α,α'-메틸렌비스(2-클로로아닐린)-3,3'-디클로로-α,α'-비페닐아민, m-크실렌디아민, 이소포론디아민, N-메틸-3,3'-디아미노프로필아민 및 노르보르넨디아민 등의 폴리아미노화합물, 폴리티올화합물, 세린, 리신 및 히스티딘 등의 α-아미노산 및 이들 활성수소화합물의 할로치환체 등도 사용가능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혹은 조합해서 사용해도 되나, 전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면상에 이온성 기를 지닌 수지는 우수한 물분산성을 발휘한다.
이온성 기의 예로서는, 술폰산기, 카르복시산기, 황산기, 인산기, 포스폰산기, 포스핀산기, 또는 이들의 알칼리금속염기 혹은 암모늄염기나, 1급 내지 3급아민기를 들 수 있고, 이들중, 카르복시산알칼리금속염기, 카르복시산암모늄염기, 술폰산알칼리금속염기 또는 술폰산암모늄염기가 바람직하며, 특히 술폰산알칼리금속염기 또는 술폰산암모늄염기가 물분산성의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이온성 기의 도입은, 수지의 형성시에 이온성 기를 지닌 단량체를 첨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이온성 기로서 카르복시산알칼리금속염기 또는 카르복시산암모늄염기를 도입할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의 중합말기에 트리멜리트산 등의 폴리카르복시산을 계내에 도입함으로써, 수지말단에 카르복실기를 부가하고, 이 기를 암모니아나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시킴으로써 카르복시산염기로 교환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미립자에 이온성 기로서 술폰산알칼리금속염기나 술폰산암모늄염기를 도입할 경우에는, 술폰산알칼리금속염기나 술폰산암모늄염기를 지닌 모노 또는 디카르복시산을 계내에 도입함으로써, 이들 이온성 기를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염으로서는, 암모늄이온, Li, Na, K, Mg, Ca, Cu 또는 Fe를 들 수 있고, 이들중, 특히 바람직한 것은 K 또는 Na이다.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색소, 상기 색소로 착색된 수지미립자, 수성 매체중에 상기 수지미립자를 분산시켜 얻어진 분산체 및 상기 분산체의 유화결과 얻어진 에멀션인 잉크젯기록용의 잉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색소로 착색된 수지미립자는, 하기의 각종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1. 상기 중합성 단량체에 색소를 용해 혹은 분산시킨 후, 유화중합을 행하는 방법.
2. 상기 중합성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수지를 얻은 후, 색소를 직접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또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 혹은 분산시켜 염색(즉, 착색)하는 방법.
3. 수용성 유기용매(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디옥산)나 통상의 막형성용 조제(예를 들면, 텍산올 또는 N,N-디메틸피롤리돈 등)에 색소를 용해 혹은 분산시켜 얻어진 물질을, 중합에 의해 얻어진 상기 수지에 첨가하고, 또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첨가하여 이들을 균일하게 용해 혹은 분산시켜 염색하는 방법.
4. 비수용성 유기용매(예를 들면, 톨루엔)에 색소를 용해 혹은 분산시켜 얻어진 물질을, 중합에 의해 얻어진 상기 수지에 첨가하고, 또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첨가하여 이들을 균일하게 용해 혹은 분산시키고, 또한 물을 첨가하여 물분산체를 형성하고 유화를 행하고 나서, 필요에 따라 비수용성 유기용매를 증류제거하여 염색하는 방법.
5. 상기 수지의 물분산체를 얻은 후, 잉크젯기록용 색소를 첨가해서, 해당 혼합물을 고온에서 처리하는 고온건조법에 의해 염색을 행하는 방법.
이들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색소로 착색된 수지미립자에 관해서는, 그 입자직경은 특히 제한은 없고, 다만, 분산제를 사용해서 수성 매체중에 상기 수지미립자를 분산시켜 얻어진 분산체에 있어서, 입자직경은 작을 수록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를 잉크젯기록용 색소의 분산체로서 사용할 경우, 평균입자직경이 0.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8㎛이다. 또, 수성 매체중에 상기 색소로 착색된 수지미립자를 분산시켜 얻어진 분산체의 제조방법은 특히 제한은 없고, 해당 분산체의 용도에 따라 선택된 분산제를 이용해서 소망의 조성을 지닌 분산체를 얻을 수 있다.
착색된 수지미립자에 있어서, 색소는, 해당 수지와의 상용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해당 수지중에 균일하게 용해된 색소 및 해당 수지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해당 수지중에 일부 균일하게 분산된 색소를 포함하지만, 수지중에 균일하게 용해된 색소가 바람직하다. 수지에 대한 색소의 양은 통상 1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이지만,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착색된 수지미립자 또는 그 분산체는, 그 소수성을 최대한 이용해서 각종 착색 및 기록재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잉크젯기록용의 잉크는 상기 착색된 수지미립자 또는 그 분산체를 유화시킨 에멀션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잉크는,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색소, 수지 및 물을 주성분으로서 사용한 에멀션이며,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1. 상기 중합성 단량체에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를 용해 혹은 분산시킨 후, 유화중합을 행하고,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첨가하여, 이들을 균일하게 용해 혹은 분산시키고, 또 물을 첨가하여 물분산체를 형성하고, 유화를 행하는 방법.
2. 중합에 의해 수지를 얻은 후,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를 직접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또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 혹은 분산시키고, 또 물을 첨가하여 물분산체를 형성하고, 유화를 행하는 방법.
3. 수용성 유기용매(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디옥산)나 통상의 막형성용 조제(예를 들면, 텍산올 또는 N,N-디메틸피롤리돈 등)에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를 용해 혹은 분산시켜 얻어진 물질을, 중합에 의해 얻어진 상기 수지에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첨가하여 이들을 균일하게 용해 혹은 분산시키고, 또 물을 첨가하여 물분산체를 형성하고, 유화를 행하고 나서, 필요에 따라 비수용성 유기용매를 증류제거하는 방법.
4. 비수용성 유기용매(예를 들면, 톨루엔)에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를 용해 혹은 분산시켜 얻어진 물질을, 중합에 의해 얻어진 상기 수지에 첨가하고, 또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첨가하여 이들을 균일하게 용해 혹은 분산시키고, 또한 물을 첨가하여 물분산체를 형성하고 유화를 행하고 나서, 필요에 따라 비수용성 유기용매를 증류제거하는 방법.
5. 상기 수지의 물분산체를 얻은 후,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를 첨가해서, 해당 혼합물을 고온에서 처리하는 고온건조법에 의해 염색을 행하고, 해당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물분산체를 유화시키는 방법.
또, 제조에 있어서는, 불용물을 제거하기 위해 멤브레인필터 등의 미소기공성 필터에 의한 여과를 행할 경우도 있다.
유화에 의해 얻어진 물분산체중의 착색된 수지미립자(이 색소로 착색된 수지미립자를 간단히 "착색된 수지미립자"라 칭할 경우도 있음)에 관해서는, 평균입자크기가 0.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8㎛이다. 평균입자직경이 너무 작으면, 화상농도의 저하나 내수성의 저하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고, 너무 크면, 잉크중에 있어서의 분산안정성이 저하되어 침전물이 형성되거나, 보존안정성이 저하하는 문제나, 노즐의 막힘이 발생하는 문제 등이 있다.
착색된 수지미립자중의 색소의 양은, 용도, 목적, 색소의 종류, 잉크조성, 잉크의 인자농도나 막힘성에 의존하나, 수지중의 색소의 양은 1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이다.
색소의 양이 적으면, 충분한 기록화상을 얻고자 할 경우, 다량의 잉크를 필요로 하여, 기록장치의 인자헤드나 기록지에 부하가 걸리며, 또 색소의 양이 많으면, 색소가 수지입자로부터 석출되기 쉬워, 잉크중에 석출물을 형성하여 인자헤드의 막힘 등을 일으킨다.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잉크에는, 잉크의 색조를 조정하기 위해, 기타 색소나, 잉크특성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로 공지의 안료나 염료를 에멀션 혹은 미분산상태로 처리한 것을 함유시켜도 된다.
또, 잉크중의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양은, 1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이다.
본 발명의 잉크에는, 필요에 따라, 잉크의 보습성, 표면장력, 점도 및 건조속도 등을 조정하기 위해, 수용성 유기용매를 함유시켜도 된다.
수용성 유기용매의 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및 티오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다가알콜에테르류; 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에틸포름아미드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2-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N-비닐-2-피롤리돈 및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등의 질소함유화합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및 2-부탄올 등의 알콜류; 및 글리세린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용성 유기용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양은 잉크전체량에 대해서 1 내지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잉크의 보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pH를 7 내지 10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H조정제의 예로서는, NaHCO3, Na2B4O7,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류,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리튬 등의 알칼리금속의 수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에는, 종래 사용되고 있던 각종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서, 첨가할 수 있다. 첨가제의 예로서는,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분산제, 분산안정제, 킬레이트제, 수용성 폴리머, 마스킹제, 방청제, 방부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표면장력조정제, pH조정제, 비저항조정제, 근적외선흡수제 및 침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잉크는, 잉크젯기록방식의 잉크로서 사용하는 이외에, 필기용구 등의 잉크로서도 사용가능하며, 기록특성, 보존안정성, 기록매체에 대한 정착성, 기록화상의 선명성, 내광성 및 내수성 등이 우수하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색소는, 유기용제에 대한 용해력이 높으므로, 날염용 또는 인쇄용의 용제형 젯잉크로서도 사용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이하의 각종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각종 예중의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색소제조예 1
표 1b의 색소번호 31을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물 106부 및 35%염화수소산 15부에 2-아미노-4,5-디시아노이미다졸(5.3부)을 첨가하고, 해당 용액을 10℃이하까지 냉각시켰다. 이어서, 여기에 아질산나트륨 3부와 물 7부로 이루어진 용액을 10℃이하에서 적하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2시간동안 교반하고 나서, 설파민산(2.4부)을 첨가하여 디아조용액을 형성하였다. 이와 별도로, 이하의 식(a)로 표시되는 화합물 17부를 메탄올 45부에 첨가하고, 해당 혼합물을 10℃까지 냉각시켰다. 이 혼합물에 상기 디아조용액을 첨가하고, 얻어진 용액을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종료후, 해당 반응액을 NaOH수용액으로 약산성으로 조정하였다. 석출물을 여과하고, 세정 및 건조시켜 하기 화합물(b) 21.9부를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화합물(b) 20부, 탄산칼륨 5.2부 및 KI 0.6부를 N,N-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DMI"라 약칭함) 60부에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80℃까지 가열하였다. 이것에 2-에틸헥실브로마이드 44부를 적하하고, 해당 혼합물을 120℃까지 가열하고,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빙수 150부에 배출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컬럼정제하여 색소번호 31을 15부 얻었다.
톨루엔중의 해당 화합물의 분광특성 및 원소분석치를 이하에 표시한다. 또, 해당 화합물을 40%이상의 비율로 톨루엔에 용해시킨 바, 높은 용해성을 보였다.
최대흡수파장(λmax) = 520nm
그램흡광계수 = 8.0×104㎖/g·㎝
원소분석(C41H66N8O)
C H N
계산치(%) 71.68 9.68 16.31
실측치(%) 71.51 9.78 16.34
색소제조예 2
표 1b의 색소번호 41을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화합물(b) 20부, 탄산칼륨 5.2부 및 KI 0.6부를 DMI 60부에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60℃까지 가열하였다. 이것에 tert-부틸클로로아세테이트 30부를 적하하고, 해당 혼합물을 60℃까지 가열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빙수 150부에 배출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컬럼정제하여 색소번호 41를 14부 얻었다.
톨루엔중의 해당 화합물의 분광특성 및 원소분석치를 이하에 표시한다. 또, 해당 화합물을 40%이상의 비율로 톨루엔에 용해시킨 바, 높은 용해성을 보였다.
최대흡수파장(λmax) = 525nm
그램흡광계수 = 7.5×104㎖/g·㎝
원소분석(C39H60N8O3)
C H N
계산치(%) 67.99 8.78 16.26
실측치(%) 67.91 8.71 16.38
실시예 1
착색된 수지미립자 및 그 분산체(A)의 제조예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오토클레이브에,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80부, 펜타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디메틸에스테르 10부, 에틸렌글리콜 130부,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25부 및 테트라부톡시티타네이트 0.1부를 넣고, 180 내지 220℃에서 약 3시간 가열해서 에스테르교환반응을 행하였다. 이어서, 반응혼합물을 240℃까지 가열한 후, 오토클레이브내의 압력을 10mmHg까지 서서히 내리고, 반응을 1시간동안 지속시켰다. 오토클레이브내의 압력을 대기압까지 복원시켜, 공중합폴리에스테르수지를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수지 100부, 메틸에틸케톤 150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0부 및 표 1a중의 색소번호 1로 표시된 잉크젯기록용 색소 10부를 혼합한 후, 탈이온수 600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더욱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0.8㎛멤브레인필터를 통해 여과시키고, 가열하여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냉각후,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고형분농도를 20중량%로 조정하여,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A)를 얻었다. 이 분산체중에 분산되어 있는 수지미립자는 평균입자직경이 0.2㎛인 마젠타색으로 착색된 수지의 미립자였다.
특성평가:
상기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에, 글리세린 및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고형분 15중량%를 함유하는 수성 잉크를 얻었다.
이 수성 잉크를 피에조방식의 잉크젯프린터용의 잉크카트리지에 충전하고,이 프린터로 인자 및 화상기록을 행하여, 하기 항목에 대해서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2a 및 표 2b에 표시한다.
각 시험항목의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A) 에멀션의 평가:
에멀션잉크의 제조시의 에멀션의 상태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평가기준:
에멀션의 상태가 양호함 :◎
부유물이 약간 관찰되었으나, 실제로 문제는 없음 :
겔화가 약간 관찰되어 문제있는 것처럼 여겨짐 :△
에멀션의 상태가 나빠, 잉크로서 문제가 있음 :×
(B) 화상평가:
보통지에 화상을 형성시키고, 얼룩상태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평가기준:
얼룩이 관찰되지 않음 :◎
얼룩이 관찰되나 화상에는 영향없음 :
얼룩이 현저하게 관찰됨 :×
(C) 화상기록농도의 평가:
기록화상을 지닌 보통지에 대해, 반사농도계(맥베드사 제품)를 사용해서 기록농도(OD값)의 측정을 행하여 화상기록농도를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OD값이 1.1이상임 :◎
OD값이 1.0 내지 1.1미만임 :
OD값이 0.8 내지 1.0미만임 :△
OD값이 0.8미만임 :×
(D) 내수성 평가:
시험용의 화상이 기록된 보통지의 인자부분에 대해서, 물에 적시기 전 또는 물에 적셔 공기건조시킨 후의 인자농도(OD값)를 반사농도계로 측정하여, OD1을 비교해서 내수성을 평가하였다.
OD1= (물에 적셔 공기건조한 후의 OD값) / (물에 적시기 전의 OD값) ×100
평가기준:
OD1이 90 내지 100%임 :◎◎
OD1이 80 내지 90%미만임 :◎
OD1이 70 내지 80%미만임 :
OD1이 50 내지 70%미만임 :△
OD1이 50%미만임 :×
(E) 내광성 평가:
제논페이도메터(스가시켄키사 제품)를 사용해서, 조사전 또는 100시간 조사후의 인자농도(OD값)를 측정하여, OD2를 비교해서 내광성을 평가하였다.
OD2= (조사후의 OD값) / (조사전의 OD값)×100
평가기준:
OD2가 90 내지 100%임 :◎◎
OD2가 80 내지 90%미만임 :◎
OD2가 70 내지 80%미만임 :
OD2가 50 내지 70%미만임 :△
OD2가 50%미만임 :×
(F) 잉크의 보존안정성 평가:
수성 잉크의 초기보존안정성(40℃에서 1개월간 보존)과 그의 장기보존안정성(40℃에서 3개월간 보존)을 평가하기 위해, 이들 보존후의 수성 잉크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 상기 프린터로 장시간 연속 기록해서, 막힘을 관찰하였다.
(F-1) 잉크의 보존후의 상태:
평가기준:
석출물도 부유물도 관찰되지 않아 문제없음 :
부유물이 약간 관찰됨 :△
석출물과 부유물이 관찰되어 문제있음 :×
(F-2) 막힘:
평가기준:
정상임 :
현상태에서는 무시할 수 있는 수준임 :△
이상있음 :×
실시예 2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B)의 제조예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오토클레이브에,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50부,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50부, 펜타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 디메틸에스테르 5부, 에틸렌글리콜 150부, 네오펜틸글리콜 250부 및 테트라부톡시티타네이트 0.1부를 넣고, 180 내지 220℃에서 약 3시간 가열해서 에스테르교환반응을 행하였다. 이어서, 반응혼합물을 240℃까지 가열한 후, 오토클레이브내의 압력을 10mmHg까지 서서히 내리고, 반응을 1시간동안 지속시켰다. 오토클레이브내의 압력을 대기압까지 복원시켜, 공중합폴리에스테르수지를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수지 100부, 메틸에틸케톤 150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0부 및 표 1a중의 색소번호 2로 표시된 잉크젯기록용 색소 10부를 혼합한 후, 탈이온수 600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더욱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0.8㎛멤브레인필터를 통해 여과시키고, 가열하여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냉각후,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고형분농도를 20중량%로 조정하여,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B)를 얻었다. 이 분산체중에 분산되어 있는 수지미립자는 평균입자직경이 0.3㎛인 마젠타색으로 착색된 수지의 미립자였다.
이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에 글리세린 및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15중량% 함유한 수성 잉크를 얻었다. 이 잉크특성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a에 표시한다.
실시예 3 내지 20
표 1a 및 표 1b에 표시한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를 사용해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잉크를 제작하고, 해당 잉크의 특성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2a에 표시하였다. 또한, 표 2a중의 "잉크제조법"은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방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를 이용한 전체의 수성 잉크는, 특히 내수성이 우수하고, 장기보존안정성도 우수하였다. 또한, 기록화상에 있어서도 얼룩없이 양호하였고, 내광성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21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C)의 제조예
온도계, 교반기, 환류응축기, 적하유닛 및 질소도입관을 구비한 반응용기에, 탈이온수 900부를 넣고, 질소로 완전히 퍼지하였다. 반응용기를 70℃까지 가열하고, 과황산칼륨 2부를 넣었다. 이어서, 스티렌 53부, 아크릴산 부틸 59부,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48부 및 tert-도데실메르캅탄 0.16부를 적하유닛의 탈이온수 70부 및 반응용기속의 라우릴황산나트륨 1.0부에 2시간에 걸쳐 서서히 적하하였다. 적하완료후, 해당 혼합물을 2시간 숙성시켰다. 다음에, 이 반응용기에 과황산암모늄 2부 및 탈이온수 20부로 이루어진 수용액을 첨가하고, 적하유닛의 탈이온수 300부, 반응용기속의 라우릴황산나트륨 2부 및 아크릴아미드 16부에, 스티렌 298부, 아크릴산 부틸 297부, 메타크릴산 29부, 디메타크릴산 에틸렌글리콜 10부 및 tert-도데실메르캅탄 0.65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3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완료후, 해당 혼합물을 3시간동안 숙성시켰다. 해당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탈이온수 및 암모니아수용액을 충전하여 수용성 아크릴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수용성 아크릴수지 100부, 메틸에틸케톤 150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0부 및 표 1a에 색소번호 1로 표시된 잉크젯기록용의 색소 10부를 혼합하였다. 다음에, 여기에 탈이온수 600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더욱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0.8㎛멤브레인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가열하여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냉각후,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고형분농도를 20중량%로 조정하여,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C)를 얻었다. 이 분산체중에 분산되어 있는 수지미립자는, 평균입자직경이 0.1㎛인 마젠타색으로 착색된 수지의 미립자였다.
이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에 글리세린 및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15중량% 함유한 수성 잉크를 얻었다. 이 잉크특성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a에 표시한다.
실시예 22 내지 37
표 1a 및 표 1b에 표시한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를 사용해서 실시예 1,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잉크를 제작하여, 해당 잉크의 특성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2a 및 표 2b에 표시하였다. 또한, 표 2a 및 표 2b중의 "잉크제조법"은 실시예 1,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21의 방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를 이용한 전체의 수성 잉크는, 특히 내수성이 우수하고, 장기보존안정성도 우수하였다. 또한, 기록화상에 있어서도 얼룩없이 양호하였고, 내광성이 우수하였다.
다음에, 고농도의 색소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색소의 첨가량을 증량시켜 고농도의 잉크를 제조한 후, 평가를 행하였다.
실시예 38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D)의 제조예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수지 100부, 메틸에틸케톤 150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0부 및 표 1a에 색소번호 1로 표시된 잉크젯기록용의 색소 40부를 혼합하였다. 다음에, 여기에 탈이온수 600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더욱 혼합하였다. 해당 색소는 용매중에의 용해성을 초과하였으므로, 이것은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잔류하였다. 이 혼합물을 0.8㎛멤브레인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가열하여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냉각후,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고형분농도를 20중량%로 조정하여,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D)를 얻었다. 이 분산체중에 분산되어 있는 수지미립자는, 평균입자직경이 0.3㎛인 마젠타색으로 착색된 수지의 미립자였다. 이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에 글리세린 및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15중량% 함유한 수성 잉크를 얻었다. 이 잉크특성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b에 표시한다.
실시예 39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E)의 제조예
실시예 2에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수지 100부, 메틸에틸케톤 150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0부 및 표 1b에 색소번호 31로 표시된 잉크젯기록용의 색소 40부를 혼합하였다. 다음에, 여기에 탈이온수 600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더욱 혼합하였다. 이 색소는 용매중에의 용해성이 높았으므로 완전히 용해되었다. 이 혼합물을 0.8㎛멤브레인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가열하여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냉각후,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고형분농도를 20중량%로 조정하여,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E)를 얻었다. 이 분산체중에 분산되어 있는 수지미립자는, 평균입자직경이 0.1㎛인 마젠타색으로 착색된 수지의 미립자였다.
이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에 글리세린 및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15중량% 함유한 수성 잉크를 얻었다. 이 잉크특성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b에 표시한다.
실시예 40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F)의 제조예
실시예 21에서 얻어진 아크릴수지 100부, 메틸에틸케톤 150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0부 및 표 1b에 색소번호 31로 표시된 잉크젯기록용의 색소 40부를 혼합하였다. 다음에, 여기에 탈이온수 600부를 첨가하고, 이들을 더욱 혼합하였다. 이 색소는 용매중에의 용해성이 높았으므로 완전히 용해되었다. 이 혼합물을 0.8㎛멤브레인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가열하여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냉각후,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고형분농도를 20중량%로 조정하여,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F)를 얻었다. 이 분산체중에 분산되어 있는 수지미립자는, 평균입자직경이 0.1㎛인 마젠타색으로 착색된 수지의 미립자였다.
이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분산체에 글리세린 및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15중량% 함유한 수성 잉크를 얻었다. 이 잉크특성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b에 표시한다.
실시예 41 내지 50
표 1a 및 표 1b에 표시된 잉크젯기록용 색소를 이용해서 실시예 38, 실시예 39 또는 실시예 40의 방법으로 잉크를 제작하여, 잉크의 특성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2b에 표시하였다. 또, 표 2b중의 "잉크제조법"은 실시예 38, 실시예 39 또는 실시예 40의 방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색소는 수지 및 용매와 높은 상용성을 표시한다. 상용성이 높을 수록, 고농도의 기록화상을 부여하는 잉크를 제작할 수 있다. 잉크중의 색소의 농도의 증가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를 사용한 수용성 잉크, 특히 탄소수가 많은 복수의 치환기를 가진 색소를 이용한 수성 잉크는, 수지나 용매중의 색소의 용해성이 높았다. 따라서, 다량의 색소를 첨가하는 것이 용이하여, 유화단계에서 겔화나 석출물의 형성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해당 잉크는 우수하였다. 또한, 기록화상은 얼룩없이 양호하였고, 내수성 및 내광성이 특히 우수하였다.
비교예 1
C.I.Disperse Red 90(표 2b중의 Z1)을 이용해서,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잉크를 제작하였던 바, 색소의 용해성이 낮았으므로, 불용물이 관찰되었다. 해당 잉크를, 필터를 통과시켜 불용물을 제거한 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그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표 2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해당 색소는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보다도 상당히 나빴다.
비교예 2
이하의 색소 Z2를 이용해서,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잉크를 제작하였던 바, 색소의 용해성이 낮았으므로, 불용물이 관찰되었다. 해당 잉크를, 필터를 통과시켜 불용물을 제거한 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그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표 2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해당 색소는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보다도 상당히 나빴다.
비교예 3
이하의 색소 Z3을 이용해서,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잉크를 제작하였던 바, 색소의 용해성이 낮았으므로, 불용물이 관찰되었다. 해당 잉크를, 필터를 통과시켜 불용물을 제거한 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그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표 2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해당 색소는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보다도 상당히 나빴다.
비교예 4
이하의 색소 Z4를 이용해서,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잉크를 제작하였던 바, 색소의 용해성이 낮았으므로, 불용물이 관찰되었다. 해당 잉크를, 필터를 통과시켜 불용물을 제거한 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그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표 2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해당 색소는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보다도 상당히 나빴다.
실시예 색소번호 잉크제조법 특성평가
A B C D E F-1(1개월후) F-1(3개월후) F-2(1개월후) F-2(3개월후)
1 1 실시예1
2 2 실시예2
3 3 실시예1
4 4 실시예1
5 7 실시예1
6 10 실시예1
7 11 실시예1
8 14 실시예1
9 15 실시예1
10 16 실시예1
11 18 실시예1
12 23 실시예1
13 25 실시예1 ◎◎
14 5 실시예2
15 6 실시예2
16 8 실시예2
17 9 실시예2
18 13 실시예2 × ×
19 19 실시예2
20 30 실시예2
21 1 실시예21
22 25 실시예21 ◎◎
23 26 실시예21
24 31 실시예21 ◎◎ ◎◎
25 35 실시예1 ◎◎
26 37 실시예1 ◎◎ ◎◎
27 41 실시예1 ◎◎ ◎◎
실시예 색소번호 잉크제조법 특성평가
A B C D E F-1(1개월후) F-1(3개월후) F-2(1개월후) F-2(3개월후)
28 43 실시예1 ◎◎ ◎◎
29 44 실시예1 ◎◎
30 46 실시예1 ◎◎
31 47 실시예1
32 52 실시예2
33 54 실시예2
34 56 실시예2 ◎◎ ◎◎
35 58 실시예2 ◎◎ ◎◎
36 20 실시예21 ◎◎
37 32 실시예21 ◎◎ ◎◎
38 1 실시예38 × ×
39 31 실시예39 ◎◎ ◎◎
40 31 실시예40 ◎◎ ◎◎
41 20 실시예40 ◎◎ ◎◎
42 35 실시예40 ◎◎ ◎◎
43 43 실시예38 ◎◎ ◎◎
44 44 실시예38 ◎◎ ◎◎
45 51 실시예40 ◎◎ ◎◎
46 54 실시예40 ◎◎ ◎◎
47 56 실시예40 ◎◎ ◎◎
48 55 실시예39 ◎◎ ◎◎
49 58 실시예39 ◎◎ ◎◎
50 60 실시예39 ◎◎ ◎◎
비교예1 Z1 실시예1 × × ×
비교예2 Z2 실시예1 × × ×
비교예3 Z3 실시예1 × ×
비교예4 Z4 실시에1 ×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색소는, 특히 내수성이 우수하고, 또, 내광성 및 수지와의 상용성도 우수하므로, 잉크젯기록용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색소를 사용해서 얻어진 본 발명의 잉크젯기록용의 수성 잉크는, 내광성 및 보존안정성이 우수하다. 특히, 이 잉크를 잉크젯기록방식용의 잉크로서 사용할 경우, 이러한 잉크조성물을 이용하면, 얼룩없는 고품질의 화상의 형성이 가능해지고, 우수한 내수성을 지닌 기록화상의 형성도 가능한 우수한 수성 잉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주성분으로서 적어도 비수용성 색소, 물 및 수지를 함유하여 에멀션의 형태를 취하는 잉크젯기록용의 수성 잉크에 있어서,
    상기 색소가 하기 일반식(1):
    [식중, R1은 총탄소수가 4이상인 알킬기를 표시하고,
    R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알킬기를 표시하고,
    R3은 알킬기, 알콕시기, -COOR6, -CONR7R8, -NHSO2R9또는 -NHCOR10(식중, R6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R7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단, R7및 R8은 동시에 수소원자가 아니며, R9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R10은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아릴옥시기를 표시함)을 표시하며,
    R4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아랄킬기를 표시하고, 이들 각 기는 유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며,
    상기 R1, R4및 R5의 적어도 2개는, 탄소수 8이상의 알킬기임]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이고,
    상기 수지는, 상기 색소로 착색된 수지미립자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기록용의 수성 잉크.
  4. 하기 일반식(1):
    [식중, R1은 총탄소수가 4이상인 알킬기 표시하고,
    R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알킬기를 표시하고,
    R3은 알킬기, 알콕시기, -COOR6, -CONR7R8, -NHSO2R9또는 -NHCOR10(식중, R6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R7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단, R7및 R8은 동시에 수소원자가 아니며, R9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R10은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아릴옥시기를 표시함)을 표시하며,
    R4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아랄킬기를 표시하고, 이들 각 기는 유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며,
    상기 R1, R4및 R5의 적어도 2개는, 탄소수 8이상의 알킬기임]로 표시되는 색소로 착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미립자.
  5. 하기 일반식(1):
    [식중, R1은 총탄소수가 4이상인 알킬기를 표시하고,
    R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알킬기를 표시하고,
    R3은 알킬기, 알콕시기, -COOR6, -CONR7R8, -NHSO2R9또는 -NHCOR10(식중, R6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R7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단, R7및 R8은 동시에 수소원자가 아니며, R9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고, R10은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아릴옥시기를 표시함)을 표시하며,
    R4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아랄킬기를 표시하고, 이들 각 기는 유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며,
    상기 R1, R4및 R5의 적어도 2개는, 탄소수 8이상의 알킬기임]로 표시되는 색소로 착색된 수지미립자를 수성 매체중에 분산시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체.
KR10-2000-0028277A 1999-05-25 2000-05-25 잉크젯기록용의 수성 잉크 KR100384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497099 1999-05-25
JP1999-144970 1999-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425A KR20000077425A (ko) 2000-12-26
KR100384956B1 true KR100384956B1 (ko) 2003-05-22

Family

ID=1537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277A KR100384956B1 (ko) 1999-05-25 2000-05-25 잉크젯기록용의 수성 잉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055712B1 (ko)
KR (1) KR100384956B1 (ko)
CN (1) CN1243803C (ko)
DE (1) DE60018130T2 (ko)
TW (1) TW5540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669B1 (ko) 2005-08-10 2006-08-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일렉트로 가스 용접용 동담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6366B1 (en) 2011-03-15 2019-12-25 OCE-Technologies B.V. Bio-based polyester latex
JP6337636B2 (ja) * 2014-06-17 2018-06-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1784A (ja) * 1989-03-15 1990-09-26 Mitsubishi Kasei Corp 転写印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367A (en) * 1979-11-07 1981-06-06 Mitsubishi Chem Ind Ltd Monoazo dye
US4313731A (en) * 1980-09-12 1982-02-02 Mitsubishi Chemical Industries Limited Mono-azo compound, mono-azo dye and dyeing process for polyester fibers
JPS57109859A (en) * 1980-12-26 1982-07-08 Mitsubishi Chem Ind Ltd Monoazo dye for synthetic fiber
JP2759697B2 (ja) * 1990-02-03 1998-05-28 オリヱント化学工業株式会社 ジシアノイミダゾール系色素誘導体及びその関連技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1784A (ja) * 1989-03-15 1990-09-26 Mitsubishi Kasei Corp 転写印刷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669B1 (ko) 2005-08-10 2006-08-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일렉트로 가스 용접용 동담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425A (ko) 2000-12-26
CN1281015A (zh) 2001-01-24
DE60018130T2 (de) 2006-02-09
TW554013B (en) 2003-09-21
EP1055712B1 (en) 2005-02-16
EP1055712A2 (en) 2000-11-29
EP1055712A3 (en) 2002-01-09
DE60018130D1 (de) 2005-03-24
CN1243803C (zh) 200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1261B1 (en) Yellow hue compound and aqueous ink for ink-jet record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0023958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EP1463781A1 (en) Use of a dyestuff for ink jet printing recording materials
KR100384956B1 (ko) 잉크젯기록용의 수성 잉크
JP3839640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水系インク
EP1174477B1 (en) Anthraquinone compound and water-based ink-jet recording ink containing the compound
JP2004300224A (ja) 水系インク
JP5380098B2 (ja) アゾ化合物、アゾ顔料および該アゾ化合物又は該アゾ顔料を含む分散物、着色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タ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2001146562A (ja) ピリドンアゾ化合物および該化合物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水系インク
JP373674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水系インク
JP4204430B2 (ja) 耐光性着色剤及びそれを含むインク用組成物
JP2004292571A (ja) 水系インク
JP2001131454A (ja) キノフタロン化合物および該化合物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水系インク
JP2005120266A (ja) 黒色インク
JP2005041897A (ja) 黒色インク
JP200029723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水性インク
WO2009110555A1 (ja) アゾ化合物、アゾ顔料および該アゾ化合物又は該アゾ顔料を含む分散物、着色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タ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200202066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JP2004285241A (ja) アゾ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JP2005120267A (ja) 黒色インク
JP2004292715A (ja) アゾ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JP2004269619A (ja) アゾ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JP2001131453A (ja) フタロシアニン化合物含有インク
JP2005120235A (ja) アゾ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JP2004204150A (ja) アゾ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