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040B1 -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 - Google Patents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040B1
KR100380040B1 KR10-2000-0008681A KR20000008681A KR100380040B1 KR 100380040 B1 KR100380040 B1 KR 100380040B1 KR 20000008681 A KR20000008681 A KR 20000008681A KR 100380040 B1 KR100380040 B1 KR 100380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plate
lock
lock mechanism
piston rod
pressur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6676A (ko
Inventor
타카하시히데히토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0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6Lock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6Locking mechanisms
    • F15B15/262Locking mechanisms using friction, e.g. bra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tuator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이나 보수관리 등이 용이한 로크기구를 구비한,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를 제공한다. 실린더(1)의 본체(2)에 조립되는 로크기구(10)를, 로크판(13)을 축방향으로 부동으로 지지하는 지점핀(14)과, 로크판(13)을 지점핀(14)을 중심으로 상기 로크판(13)을 경사시키는 방향으로 미는 탄성수단(15)과, 상기 탄성수단(15)에 의해 로크판(13)이 기울어지는 측에 설치되고, 압력유체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로크판(13)에 탄성수단(15)의 미는 힘에 저항한 유체압을 작용시키는 복귀압력실(16)과, 실린더(1)의 피스톤로드(6)의 외측에서 끼워지고 복귀압력실(16)의 내주벽을 형성하는 슬리브(9)로 구성되고, 상기 로크판(13)에 있어서의 복귀압력실(16)측에, 로크판(13)과 슬리브(9) 외주면 및 복귀압력실(16)의 내주면사이를 기밀하게 밀봉하는, 단일부재로 이루어진 수압(受壓)부재(18)를 부착한다.

Description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FLUID PRESSURE CYLINDER HAVING LOCK MECHANISM}
본 발명은 유체압 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로크기구에 의해 필요한 동작위치에 로크할 수 있는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피스톤로드를 임의의 위치에 로크하기 위한 로크기구를 구비한 유체압 실린더로서, 도 5에 도시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피스톤로드(51)에 끼워져 부착된 로크판(52)을, 스프링(58)의 미는 힘에 의해 지점(59)을 중심으로 경사시킴으로써 상기 로드(51)를 비집는 상태로 로크하고, 로크기구의 압력실(53)에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로크판(52)을 비경사상태로 복귀시켜 그 로크를 해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는, 로크의 해제시에 압력실(53)에 공급한 압축공기압을 로크판(52)에 작용시키도록 하기 위해, 상기 로크판(52)에 피스톤(54)을 함께 설치하고, 이 피스톤(54)과 압력실(53)의 내주벽을 형성하는 슬리브(55)의 외주면사이 및 압력실(53)의 내주벽사이에 각각 수압부재(56, 57)를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유체압 실린더는, 상기 로크판(52)에 피스톤(54)을 함께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구성전체가 복잡하게 되고, 게다가, 상기 피스톤(54)에는 2개의 수압부재(56, 57)를 부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져 로크기구자체의 조립이 번거로워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 소모품인 수압부재(56, 57)의 교환은, 일일이 피스톤(54)을 해체해서 행할 필요가 있어 보수관리등이 번거로운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로크기구를 유체압 실린더 본체(50)에 부착할 때에는, 압력실(53)에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로크판(52) 및 피스톤(54)이 경사진 상태로 되기 쉽고, 이것에 의해, 로드(51)는 로크판(52)에 의해 로크된 상태로 되므로, 로드(51)를 로크판(52)에 끼우는 것이 어렵고, 부착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이나 보수관리 등이 용이한 로크기구를 구비한,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로크기구의 유체압 실린더에의 부착이 용이한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체압 실린더는, 피스톤로드를 소정의 동작위치에 로크하기 위한 로크기구가, 상기 피스톤로드를 로크하는 둥근 환형의 로크판과, 상기 로크판을 경사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점핀과, 상기 로크판을 지점핀을 중심으로 피스톤로드를 로크하는 방향으로 경사시키는 탄성수단과, 경사한 상기 로크판을 로크해제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복귀수단은, 압력유체를 도입하기 위한 압력실과, 유체압에 의해 동작해서 상기 로크판을 복귀시키는 둥근 환형을 하는 1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수압부재를 가지고, 상기 수압부재가, 내주단(內周端)의 밀봉부를 상기 피스톤로드를 유체밀봉상태로 안내하는 슬리브 외주면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외주단(外周端)의 밀봉부를 압력실 내주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로크판에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압력실 한 쪽에 칸막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로크판의 단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유체압 실린더는, 로크기구의 압력실에 압력유체를 공급배출함으로써 피스톤로드의 로크 및 그 해제를 행한다. 압력실로부터 압력유체를 배출한 상태에서는, 상기 로크판이 탄성수단의 미는 힘에 의해 지점핀을 중심으로 경사해서 피스톤로드를 비집는 상태에서 로크하고, 압력실에 압력유체를 공급한 상태에서는, 로크판의 수압부재측에 유체압이 작용하고, 탄성수단에 의한 미는 힘에 저항해서 상기 로크판의 경사를 복귀시킴으로써 피스톤로드의 로크가 해제된다.
이 경우, 상기 로크기구는, 로크판에 있어서의 압력실측에, 로크판과 슬리브 외주면 및 압력실 내주면사이를 밀봉하는 단일부재로 이루어진 수압부재를 부착하고, 압력실에 가해진 유체압을 상기 수압부재에 의해 로크판에 작용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것과 같이 피스톤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그 피스톤에 부착하는 복수의 밀봉부재도 불필요하고, 이것에 의해, 로크기구전체가, 부품수가 적은,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되고,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
또, 소모품인 상기 수압부재를 단일부재로 함으로써, 종래의 것에 비해 그 교환작업이나 보수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로크판에 있어서의 압력실측과 수압부재사이에 상호 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되는 요철부를 설치하고, 이들의 끼워맞춤에 의해 수압부재를 로크판에 부착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수압부재의 부착이나 교환을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로크기구본체에, 로크판을 로크해제위치에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핀을 삽입하기 위한 핀구멍을 뚫을 수 있다.
이 경우, 로크기구를 유체압 실린더 본체에 부착할 때에, 상기 핀을 핀구멍에 삽입하면, 로크판을 경사하지 않은 상태로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스톤로드가 로크판에 의해 로크되지 않고, 간단하게 그 로크판에 끼울 수 있어, 부착작업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일부는 도 2의 Ⅰ-Ⅰ선에서의 단면)이다. 단, 로크판이 경사져서 피스톤로드의 이동을 로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로크판의 확대정면도이다.
도 3은 수압부재를 로크판에의 부착면측에서 본 확대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로크판을 핀에 의해 비경사상태로 유지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로크기구가 부착된 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실린더 2…실린더 본체
5…피스톤 6…피스톤 로드
9…슬리브 10…로크기구
13…로크판 15…탄성수단
18…수압부재
도 1은 본 발명의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유체압 실린더(1)는, 일단측(一端側)이 헤드 커버(2b)로 폐쇄된 실린더 구멍(2a)을 내부에 구비하는 실린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타단측(他端側)에 부착된 로드 커버(3)와, 상기 실린더구멍(2a)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 피스톤(5)과, 상기 피스톤(5)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로드 커버(3)를 통해 외부로 연장하는 피스톤로드(6)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본체(2)위의 로드 커버(3)측 및 헤드 커버(2b)측에 설치된 실린더 포트(7, 8)를 통해 피스톤(5)의 양측의 압력실에 압력유체를 공급배출함으로써, 상기 피스톤(5) 및 피스톤로드(6)를 구동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1)의 로드 커버(3)측에는, 상기 로드 커버(3)에서 연장하는 피스톤로드(6)를 로크하기 위한 로크기구(1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로크기구(10)는, 원통형 로크기구본체(11)와, 그 일단측에 부착된 엔드 커버(12)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로크기구본체(11)의 타단측을 상기 로드 커버(3)에 접촉하도록 부착하는 동시에, 엔드 커버(12)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실린더(1)의피스톤로드(6)를 관통시켜 외부로 도출시킴으로써, 상기 실린더(1)와 일체화되어 있다.
또, 도 1에 있어서의 엔드 커버(12), 로크판(13) 등은, 도 2의 Ⅰ-Ⅰ선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로크기구(10)는, 로크기구본체(11)의 내부에, 상기 피스톤로드(6)에 경사운동할 수 있게 끼워 부착된 둥근 환형의 로크판(13)과, 상기 로크판(13)을 외주부의 한 점에서 경사운동가능하고 또한 축선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점핀 (14)과, 상기 지점핀(14)을 중심으로 로크판(13)을 경사방향으로 미는 로크용의 2개의 탄성수단(15, 1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로크기구(10)는, 상기 로크판(13)의 로드커버(3)측에 설치된 복귀압력실(16)과, 상기 로크기구본체(11)에 설치되어 상기 복귀압력실(16)에 압력유체를 공급배출하는 포트(17)와, 상기 로크판(13)의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복귀압력실(16)에 압력유체가 공급되었을 때에 작동해서 상기 로크판(13)을 탄성수단(15, 15)의 미는 힘에 저항해서 로크해제방향으로 복귀시키는 수압부재(1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크기구(10)에 있어서, 상기 로크판(13)을 탄성수단(15, 15)으로 지점핀(14)을 중심으로 해서 피스톤(5)측에 경사시키면, 상기 로크판(13)이 상기 피스톤로드(6)를 비집는 상태에서 로크하고, 포트(17)로부터 압력실(16)에 압력유체를 공급하면, 경사한 상기 로크판(13)이 피스톤로드(6)의 축선에 대해서 거의 직각의 위치까지 복귀해서 로크를 해제한다. 또한, 상기 로크기구(10)에 있어서, 피스톤로드 (6)가 로크판(13)으로 로크되어 있을 때 상기 로드(6)에, 그것을 실린더(1)내에 후퇴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상기 로크판(13)의 경사가 조장되기 때문에 제동력이 증대하고, 로드는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로드(6)에 전진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상기 로드(6)와 로크판(13)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로크판(13)이 탄성수단(15, 15)의 미는 힘에 저항해서 로크해제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제동력이 감소하고, 피스톤로드(6)를 움직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긴급시에 실린더(1)의 압력실의 압축공기만 배출되어 있는 상태로 하면, 피스톤로드(6)를 실린더(1)에서 돌출하는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있으므로, 그것에 의해 안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로크판(13)은, 도 2에 나타내듯이, 그 중앙에, 피스톤로드(6)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3a)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삽입구멍(13a)의 내주연 부분이 피스톤로드(6)에 눌려 접촉함으로써, 상기 피스톤로드(6)를 로크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구멍(13a)은, 로크판(13)의 비경사상태에서 피스톤로드(6)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상기 로드(6)의 지름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점핀(14)은, 상기 로크기구본체(11)의 외측에서 삽입해서, 선단측의 나사부분을 상기 로크판(13)의 외주부의 일부에 비틀어 끼운 것으로, 상기 로크판(13)을 피스톤로드(6)의 축방향으로 경사가능하도록 로크기구본체(11)에 부착하고 있다. 이 경우, 지점핀(14)의 로크기구본체(11)에의 부착위치는, 로크판(13)이 엔드커버(12)에 접촉했을 때에 비경사상태로 되는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탄성수단(15)은, 피스톤로드(6)를 끼워 지점핀(14)측과는 반대측의 위치에서의, 엔드커버(12)와 로크판(13)사이의 두 군데에 각각 근접해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수단(15)을, 전체가 신축가능한 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을, 엔드커버(12)와 로크판(13)사이의 두 군데에 서로 대면하도록 형성한 고정구멍(27, 28)안에 고정적으로 설치하고, 경사한 로크판(13)을 복귀시키는 경우에 상기 스프링이 복귀동작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복귀압력실(16)은, 로크기구본체(11)의 내주벽(內周壁), 상기 피스톤로드(6)를 기밀하게 안내하는 로드커버(3), 상기 로드커버(3)로부터 연장해서 설치된 슬리브(9)의 외주면, 및 로크판(13)에 부착한 수압부재(18)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복귀압력실(16)의 일단측에 칸막이를 형성하는 상기 수압부재(18)는, 도 3에 나타내듯이 둥근 환형을 한 단일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로크판(13)의 단면에 부착하기 위한 기부(基部)(19)와, 외주단과 내주단에 각각 형성된 립형 밀봉부(20, 21)를 구비하며, 로크판(13)과 슬리브(9)의 외주면, 및 로크판(13)과 복귀압력실 (16)의 내주면 즉 로크기구본체(11)의 내주벽과의 사이를 기밀하게 밀봉한다.
상기 밀봉부(20, 21)는, 로크판(13)의 단면에서 압력실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외주단의 밀봉(20)은 상기 로크기구본체(11)의 내주벽과 접촉하고, 내주단의 밀봉(21)은 상기 슬리브(9)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상기 수압부재(18)의 로크판(13)에의 부착은, 수압부재(18)의 기부(19)의 부착면측과, 로크판(13)의 단면측과의 사이에 상호 끼워 맞추는 요철부를 설치하고, 이들을 끼워 맞춤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압부재(18)측에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 오목부(22), 로크판(13)측에 오목부(22)에 대응하는 형상의 볼록부(23)를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요철부는, 오목부를 로크판(13)측에, 볼록부를 수압부재(18)측에 각각 설치해도 좋다.
상기 로크기구본체(11)에는, 핀구멍(25)이 뚫어져 있고, 상기 핀구멍(25)안에, 로크판(13)을 로크해제위치에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핀(24)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핀(24) 및 핀구멍(25)은 도 4에 나타내듯이, 로크기구(10)를 실린더(1)에 조립하거나 해체할 때에, 유체압이 작용하지 않는 로크판(13)을 비경사상태로 유지해서, 피스톤로드(6)를, 로크되지 않게 삽입구멍(13a)에 끼우고 빼기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핀구멍(25)은, 로크기구본체(11)에서의 상기 지점핀(14)의 부착위치와 정확히 반대측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핀(24)은, 평두(平頭)나사형으로 형성되고, 그 나사부분을, 로크판(13)의 외주부에서의 상기 핀구멍(25)과 대응한 위치에 뚫어진 결합구멍(26)에 삽입가능하게 하고 있고, 핀구멍(25)에 삽입했을 때에는 나사머리가 상기 핀구멍(25)안에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된다.
상기 핀(24)은, 반드시 나사형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또, 로크판(13)에서의 상기 결합구멍(26)과 탄성수단(15, 15)의 고정구멍 (28,28)과의 위치관계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도 2에 나타내듯이, 고정구멍(28, 28)의 위치를 둘레방향으로 약간 어긋난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는, 로크기구(10)의 복귀압력실(16)에 압력유체를 공급배출함으로써, 피스톤로드(6)의 로크 및 그 해제를 행하는 것이다. 즉, 상기 복귀압력실(16)에서 압력유체를 배기하면, 로크판(13)이, 탄성수단(15)의 미는 힘에 의해 지점핀(14)을 중심으로 경사해서 피스톤로드(6)를 비집는 상태에서 로크하고, 반대로, 복귀압력실(16)에 압력유체를 공급하면, 수압부재를 통해 로크판(13)에 유체압이 작용하고, 탄성수단(15)에 의한 미는 힘에 저항해서 상기 로크판(13)을 경사상태에서 복귀시키기 때문에, 피스톤로드(6)의 로크가 해제된다.
이 경우, 상기 로크기구(10)는, 로크판(13)에서의 복귀압력실(16)측에, 로크판(13)과 슬리브(9)의 외주면 및 복귀압력실(16)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단일부재로 이루어진 수압부재(18)를 부착하고, 복귀압력실에 가해진 유체압을 로크판(13)에 직접 작용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것과 같이 수압용 피스톤을 함께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 그 피스톤에 부착하는 복수의 수압부재도 불필요하고, 그것에 의해, 로크기구(10)전체가 부품수가 적은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되고,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
또, 상기 수압부재(18)를 단일부재로 함으로써, 종래의 것에 비해 그 교환작업이나 보수관리가 용이하다.
게다가, 수압부재(18)와 로크판(13)사이에, 서로 끼워맞춰지는 요철부(22, 23)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수압부재(18)의 로크판(13)에의 부착을 매우 간단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보수관리를 보다 한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조립이나 보수관리시에, 실린더(1)에 대해서 로크기구(10)를 조립하거나, 해제할 경우에는, 핀(24)을 핀구멍(25)에 로크기구본체의 외측에서 삽입하고, 로크판(13)의 결합구멍(26)에 삽입해서, 로크판(13)을 경사하지 않는 상태로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이 경우, 피스톤로드(6)는 로크판(13)에 의해 로크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피스톤로드(6)를 로크기구(10)를 관통시켜 외부로 돌출하는 경우나, 피스톤로드(6)를 로크기구로부터 빼내는 경우에서도, 이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로크기구(10)의 부착, 해체가 매우 원활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압부재(18)의 로크판(13)에의 부착은, 수압부재(18)와 로크판(13)사이에 설치한 요철부(22, 23)에 의해 행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성으로 할 필요는 없고, 임의의 구성에 의해 부착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로크기구(10)는, 피스톤로드(6)를 로크했을 때, 상기 로드(6)를 실린더(1)안에 후퇴시키는 방향으로는 강한 제동력을 작용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반대로, 로드(6)가 실린더(1)에서 돌출하는 방향으로는 큰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슬리브(9)를 엔드커버(12)측으로부터 연장하는 동시에, 수압부재(18)를 로크판(13)의 엔드커버(12)측에 부착해서, 로크판(13)에 대한 복귀압력실(16)이나 탄성수단(15)의 위치관계를 반전시킴으로써, 로드(6)를 로크했을 때, 상기 로드(6)를 실린더(1)안에 후퇴시키는 방향으로는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고, 반대로, 로드(6)가 실린더(1)에서 돌출하는 방향으로 강한 제동력이 작용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는, 로크기구의 로크판에서의 압력실측에, 로크판과 슬리브 외주면 및 압력실의 내주면의 사이를 밀봉하는 단일부재로 이루어진 수압부재를 부착하고, 압력실에 가해진 유체압을 로크판에 직접 작용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것과 같이 피스톤을 함께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 그 피스톤에 부착하는 복수의 수압부재도 불필요하므로, 로크기구전체가 부품수가 적은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되고,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
또, 상기 수압부재를 단일부재로 함으로써, 종래의 것에 비해 그 교환작업이나 보수관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로크기구를 유체압 실린더의 본체에 부착할 때에, 핀을 핀구멍에 삽입하면, 로크판을 경사하지 않은 상태로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스톤로드가 로크판에 의해 로크되는 일이 없고, 간단하게 그 로크판에 끼우거나 뺄 수 있고,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4)

  1. 실린더본체에, 유체압력의 작용에 의해 동작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서 연장하는 피스톤로드, 및 상기 피스톤로드를 소정의 동작위치에 로크하기 위한 로크기구를 설치한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피스톤로드에 경사운동할 수 있게 끼워져서 경사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를 로크하는 둥근 환형 로크판, 상기 로크판을 외주부의 한 점에서 실린더본체에 경사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점핀, 상기 로크판을 지점핀을 중심으로 피스톤로드를 로크하는 방향으로 경사시키는 탄성수단, 및 경사진 상기 로크판을 유체압의 작용에 의해 로크해제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귀수단은, 압력유체를 도입하기 위한 압력실, 및 상기 압력실안에 도입된 유체압에 의해 동작해서 상기 로크판을 로크해제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둥근 환형을 하는 단일부재로 이루어진 수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압부재는, 내주단과 외주단에 각각 밀봉부를 구비하고 있고, 내주단의 밀봉부를 상기 피스톤로드를 유체밀봉에 안내하는 슬리브 외주면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외주단의 밀봉부를 압력실의 내주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로크판에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압력실의 한 쪽에 칸막이를 형성하도록 설치하고, 또한 상기 로크판의 끝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판과 수압부재에 상호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는 요철부를 설치하고, 이들 요철부의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수압부재가 로크판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본체와 로크판에, 상기 로크판을 로크해제위치에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핀을 삽입하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이 복수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코일스프링이, 상기 로크판의 상기 지점핀의 설치위치와는 피스톤로드를 사이에 두고 실질적으로 반대측 위치에 상호 근접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
KR10-2000-0008681A 1999-02-25 2000-02-23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 KR100380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849899A JP3390144B2 (ja) 1999-02-25 1999-02-25 ロック機構付き流体圧シリンダ
JP99-48498 1999-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676A KR20010006676A (ko) 2001-01-26
KR100380040B1 true KR100380040B1 (ko) 2003-04-14

Family

ID=1280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681A KR100380040B1 (ko) 1999-02-25 2000-02-23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08613B1 (ko)
JP (1) JP3390144B2 (ko)
KR (1) KR100380040B1 (ko)
CN (1) CN1116525C (ko)
DE (1) DE10007966B4 (ko)
TW (1) TW4453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0144B2 (ja) * 1999-02-25 2003-03-24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き流体圧シリンダ
JP3688592B2 (ja) * 2001-03-08 2005-08-31 Smc株式会社 ロック解除状態保持機構
JP3817197B2 (ja) * 2002-05-17 2006-08-30 Smc株式会社 ロック付エアクッションシリンダ装置
JP3904979B2 (ja) * 2002-06-04 2007-04-11 株式会社コガネイ 流体圧シリンダおよびクランプ装置
DE102004057581B4 (de) 2004-11-30 2008-07-03 Bosch Rexroth Teknik Ab Feststelleinheit, insbesondere für Druckmittelzylinder
DE102005003613A1 (de) * 2005-01-26 2006-07-27 Rexroth Mecman Gmbh Druckmittelzylinder mit einer Klemmvorrichtung
JP5435434B2 (ja) * 2011-06-03 2014-03-05 Smc株式会社 ピストン組立体、流体圧シリンダ及びピストン組立体の製造方法
CN106639725A (zh) * 2017-02-24 2017-05-10 郑澄怀 一种微型单端进气斜板式回程气动开窗器
US20190232464A1 (en) * 2018-01-29 2019-08-01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Lock Rod For Pneumatic Swing Clamp
CN113864286B (zh) * 2021-09-30 2024-02-06 中船重工中南装备有限责任公司 一种滑板油缸的自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2890U (ko) * 1977-11-25 1979-06-12
JPS59124626A (ja) * 1982-12-29 1984-07-18 Matsushita Giken Kk 素材供給装置のリフトシリンダ制御装置
KR100259746B1 (ko) * 1995-01-31 2000-07-01 마츠이 아키오 직선이동체의 브레이크장치
US6308613B1 (en) * 1999-02-25 2001-10-30 Smc Corporation Fluid pressure cylinder having lock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08704A (en) * 1946-02-27 1948-09-20 Messier Aircraft Equipmen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uid-pressure operated jacks
US2759569A (en) * 1953-03-31 1956-08-21 Keehn O Mfg Company Emergency and parking brake system, including mechanical locking means in fluid actuated brakes
US4015698A (en) * 1975-06-16 1977-04-05 William Sousamian Actuating mechanism for pressurized fluid brake system and fail-safe locking device therefor
US4214795A (en) * 1977-11-25 1980-07-29 Shoketsu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Piston braking device for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s
US4700814A (en) * 1984-11-27 1987-10-20 Chalco Engineering Corporation Locking device for reciprocating members
JP3380055B2 (ja) 1994-08-01 2003-02-24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の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2890U (ko) * 1977-11-25 1979-06-12
JPS59124626A (ja) * 1982-12-29 1984-07-18 Matsushita Giken Kk 素材供給装置のリフトシリンダ制御装置
KR100259746B1 (ko) * 1995-01-31 2000-07-01 마츠이 아키오 직선이동체의 브레이크장치
US6308613B1 (en) * 1999-02-25 2001-10-30 Smc Corporation Fluid pressure cylinder having lock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525C (zh) 2003-07-30
JP3390144B2 (ja) 2003-03-24
DE10007966B4 (de) 2004-11-11
CN1266151A (zh) 2000-09-13
KR20010006676A (ko) 2001-01-26
US6308613B1 (en) 2001-10-30
DE10007966A1 (de) 2000-09-07
JP2000240612A (ja) 2000-09-05
TW445351B (en)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0040B1 (ko)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
JP6508542B2 (ja) 流体圧シリンダ
KR920006404B1 (ko) 작은 직경의 파이프 커넥터
US6752037B1 (en) Tool connecting device for robot hand
KR100956589B1 (ko) 유체압실린더
KR20030057393A (ko) 래치트 기구를 구비한 유압식 장력기
KR20030024580A (ko) 보수간이형 2포트 밸브
KR970015988A (ko) 원통형레버도어록의 로크바디파손방지장치
JP5757976B2 (ja) 流体圧シリンダ
KR900007162Y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US7159676B2 (en) Fluid distributor device for down-hole-drills
JPS63291759A (ja) 圧力シリンダ
JPH02501403A (ja) ロック可能な液圧シリンダ
JP5212773B2 (ja) 流体圧シリンダ
CA2552775C (en) Actuator for a brake system and method of making a brake actuator
CN114585818B (zh) 连结装置
JP3860571B2 (ja) 油圧式ホイール構造
JPH07133866A (ja) シリンダ装置
RU198624U1 (ru) Механизм блокировки штока цилиндра
US20180202471A1 (en) Pressure operating device
US7017451B2 (en) Locking structure of unidirectional spanner
JP2001140812A (ja) 流体式アクチュエータの配管接続構造
JP2003021112A (ja) 流体式アクチュエータの配管接続構造
KR200241440Y1 (ko) 가스안전밸브를 구비한 연결관
SU1613718A1 (ru) Че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