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162Y1 - 브레이크 배력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배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162Y1
KR900007162Y1 KR2019870016306U KR870016306U KR900007162Y1 KR 900007162 Y1 KR900007162 Y1 KR 900007162Y1 KR 2019870016306 U KR2019870016306 U KR 2019870016306U KR 870016306 U KR870016306 U KR 870016306U KR 900007162 Y1 KR900007162 Y1 KR 900007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engagement
power piston
valve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6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256U (ko
Inventor
야스오 쯔유기
하루오 스즈끼
히데후미 이노우에
쥰이찌 오오끼
Original Assignee
지도오샤기끼 가부시끼가이샤
도오무라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91148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5222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91138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189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6023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1898Y2/ja
Application filed by 지도오샤기끼 가부시끼가이샤, 도오무라 도시오 filed Critical 지도오샤기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62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2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with two-chamber booste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레이크 배력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며, 또한 제2도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요부의 부분단면평면도.
제4도는 제1도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리테이너(39)의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의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VIII-VIII선에 따른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의 단면도.
본 고안은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키이부재의 빠짐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입력축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밸브기구를 구성하는 밸브 플런저는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된 구멍내에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밸브플런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6)의 축실에 대해 리어파워피스톤(10)의 축심을 제2도의 아래쪽으로 편심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릴리이프부(6d, 10f)를 각기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양 릴리이프부(6d,10f)에 의해 상기 리어피워스톤(10)을 편심시켰을때에는 제2걸어 맞춤돌기(10e)를 제2걸어 맞춤구멍(27b)내에 깊이 삽입시켜 다른쪽의 제1걸어 맞춤돌기(10d)를 밸브몸체(6)의 외주면에서 비교적 크게 격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상태에서 리어파워피스톤(10)을 기울임으로써 상기 제1걸어맞춤돌기(10d)가 상기 중경부(6b)와 소경부(6c)사이에 형성되는 제2끝면(35)을 넘어 그 후방측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릴리이프부(6d,10f)의 크기와 밸브몸체(6)의 중경부(6b)의 축방향 길이와는 상술한 상태에서 제1걸어맞춤돌기(10d)가 제2끝면(35)을 넘을 수 있는 크기로 설정하고 있다.
상기 구멍에 있어서 리어파워피스톤(10)을 밸브통체(6)에 장착할 때에는 먼저 밸브몸체(6)의 소경부(6c)를 리어파워피스톤(10)의 끼워맞춤구멍(10b)에 끼워맞춘다. 밸브몸체(6)의 축선과 리어파워피스톤(10)의 축선을 일치시킨 상태에서는 끼워맞춤구멍(10b)에 형성된 각걸어맞춤돌기(10d,10e)의 선단부의 간격은 밸브몸체(6)의 중경부(6b)의 외경보다도 좁으므로 밸브몸체(6)의 중경부(6b)를 리어파워피스톤(10)의 끼워맞춤구멍(10b)에 끼워 맞출 수는 없다.
그래서 상기 제1걸어맞춤돌기(10d)를 제2끝면(35)의 우측 즉 후방측으로 위치시킨 채, 리어파워피스톤(10)을 제1도의 윗방향으로 편심시키면서 리어파워피스톤(10)을 비스듬하게 하여 제2걸어맞춤돌기(10e)를 제2걸어맞춤구멍(27b)상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그 다음에 리어파워피스톤(10)을 비스듬하게 한 채 제1도의 아래방향으로 편심시켜 제2걸어맞춤돌기(10e)를 제2걸어맞춤구멍(27b)내에 깊이 삽입한다.
이상태에서는 상기 리어파워피스톤(10)과 밸브몸체(6)에 일리이프부(6d,10f)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2걸어맞춤돌기(10e)를 제2걸어맞춤구멍(27b)내에 깊이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제2끝면(35)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던 제1걸어맞춤돌기(10d)를 그 위치에서 제2끝면(35)을 넘을 수 있는위치까지 밸브몸체(6)의 반경바향 바깥쪽에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상태가 되면, 리어파워피스톤(10)의 경사를 원위치로 하는 동시에 밸브몸체(6)의 축선과 리어파워피스톤(10)의 축선을 일치시켜서 제1걸어맞춤돌기(10d)를 제1걸어맞춤구멍(27a)에 걸어맞추어 또한 리어파워피스톤(10)의 외측부분(10c)을 제1끝면(34)에 맞닿게 한다.
또한 상기 리어파워피스톤(10)의 축부에 전방측으로 튀어나오게 한 고리모양의 블록부위(10a)를 형성함으로써 그 고리모양의 블록부위(10a)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고리모양의 오목부(10g)내에 리어다이어프램(12)의 내주부(12a)를 끼워 맞추고 또한 밸브몸체(6)의 중경부(6b)에 그 내주부(12a)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너(36)를 압입 고정시키면, 리어파워피스톤(10)은 리어다이어프램(12)의 내주부(12a)에 의해 밸브몸체(6)의 축선상에 중심이 맞추어진다.
이 상태에서는 공기배출작업 등에 의해 리어파워피스톤(10)이 밸브몸체(6에 대해 후퇴되어도 그 리어파워피스톤(10)의 후퇴력은 각 걸어맞춤돌디(10d,10e)가 맞닿는 밸브몸체(6)의 각 걸어맞춤구멍(27a,27b)의 후방부분에서 수용될 수 있고, 더구나 이 걸어맞춤구멍(27a,27b)는 상기 리어 다이어프램(12)의 내주부(12a)보다도 전방으로 형성되므로, 그 부분의 강도를 확보하기가 용이해진다.
그 결과 그 부분보다 후방의 두께를 엷게 하여 축방향 치수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다이어프램(12)의 내주부(12a)를 밸브몸체(6)에 형성된 고리모양의 홈에 걸어맞추어도 되며, 그 경우에는 상기 리테이너(26)를 생략할 수도 있다.
따라서 키이부재(22)가 정지되어서 다음에 밸브몸체(6)가 정지되기 까지의 사이, 키이부재(22)는 밸브몸체(6)에 대하여 전진되고, 키이부재(22)가 밸브몸체(6)에 대하여 전진되면 이것에 연동되어 있는 밸브플런저(16)도 밸브몸체(6)에 대하여 전진되므로, 밸브플런저(16)의 제2밸브 시이트에 착좌되어 있는 밸브체(28)도 밸브몸체(6)에 대하여 전진되어, 그것에 의해서 밸브체(28)와 밸브시이트(28)와의 간극을 미소 또는 실질적으로 0으로 할수가 있다.
그리고 밸브체(28)와 밸브시이트(29)와의 간극을 미소 또는 실질적으로 0으로 할 수가 있으면 다음의 입력축(17)의 전진시에는 그의 근소한 전진으로 곧 밸브기구(15)의 유로를 전환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기의 실(A)은 평상시 부압이 도입되는 경압실로 되어 있고, 프론트셀(1)에 부착된 부압도입관(25)을 통해 도시생략된 인테이크 매니포올드에 통하여 있다.
또 이 정압실(A)은 제1도,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몸체(6)의 상하위치에 형성된 한쌍의 축방향통로(26a,26b) 및 각 축방향 통로에 각기 통하여 있는 반경방향 통로(27a,27b)를 통해 평상시 정압실(C)에 통하게 하고 있다.
또 이들 정압실(A,C)은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비작동시에는 한쪽의 축방향 통로(26b), 상기 밸브 기구(15)의 밸브체(28)와 밸브시이트(29)와의 틈새 및 밸브몸체(6)에 형성된 반경방향 통로(30)를 통해 변압실(D)에 통하여 있고, 다시 밸브몸체(6)에 형성된 축방향 통로(31)를 통해 변압실(B)에 통하여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각 정압실(A,C) 및 변압실(B,D)의 각각에 부압이 도입되어 등압으로 되고, 각 다이어프램(4,5)의 전후에 압력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것은 리턴스프링(21)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비작동위치에 유지되게끔 된다.
그리고, 상기 대체로 통형상의 밸브몸체(6)의 외주면에는 그 작동방향 전방측에서 후방측에 걸쳐서 대경부(6a), 중경부(6b) 및 소경부(6c)를 순차적으로 형성해 놓았으며, 상기 대경부(6a)와 중경부(6b)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끝면(34)에 인접시켜서 그 중경부(6b)에 상기 정압실(A,C)간을 통하게 하는 상기 반경방향 통로(27a,27b)를 개구시켜서, 본 실시예에서는 그 통로를 제1걸어맞춤구멍(27a) 및 제2걸어맞춤구멍(27b)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리어파워피스톤(10)의 축부에는 축방향의 전방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고리모양의 블록부위(10a)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돌출 끝부분을 안쪽으로 만곡시켜 그 축부에 상기 밸브몸체(6)의 중경부(6b)가 관통되는 끼워맞춤구멍(10b)을 형성하며, 또한 그 끼워맞춤구멍(10b)의 외측부분(10c)을 상기 제1끝면(34)에 맞닿게 하고 상기 실(C,D)간에 압력차가 발생했을 때는 리어파워피스톤(10)에 가해지는 전진력을 밸브몸체(6)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끼워맞춤구멍(10b)의 내주면 대향위치에는 상기 중경부(6b)의 외주면보다도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각 걸어맞춤구멍(27a,27b)에 걸어맞추어지는 제1걸어맞춤돌기(10d)와 제2걸어맞춤돌기(10e)를 각기 형성하고 있다.
제1도,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걸어맞춤돌기(10d,10e)는 걸어맞춤구멍(27a,27b)의 윤곽에 따라서 리어파워피스톤(10)의 상기 외측부분(10c)보다도 후방측으로 튀어 나오게 하였으며 그것에 의해 각 걸어맞춤돌기(10d,10e)가 통로로서의 기능을 갖는 각 걸어맞춤구멍(27a,29b)을 막는 일이 없도록 하는 동시에, 리어파워피스톤(10)이 밸브몸체(6)에 대해서 후방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는 각 걸어맞춤돌기(10d,10e)를 각 걸어마춤구멍(27a,27b)의 후끝면에 맞닿게하여 리어파워피스톤(10)의 밸브몸체(6)에 대한 후퇴를 저지시킬 수 있게끔 하고 있다.
또 상기 리어파워피스톤(10)의 끼워맞춤구멍(10b)의 외측부분(10c)과 밸브몸체(6)의 외주면에 제2도에 압력축(17)에 연결하고 있다.
또 밸브플런저(16)의 선단을 푸쉬로드(18)의 우단 대경부내에 설치된 리액션디스크(19)의 끝면에 대향시키고 이 푸쉬로드(18)의 앞끝은 시일부재(20)를 통해 프론트셀(1)의 축부에서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외부로 돌출시켜서 도시생략된 마스터 실리너의 피스톤을 동작시키고 있다.
상기 파워피스톤(9,10)이나 밸브몸체(6)등은 통상은 리턴 스프링(21)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비작동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며, 이 비작동상태에서는 상기 밸브플런저(16)가 밸브몸체(6)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키이부재(22)는 리어셀(2) 내면에 당접하여 밸브몸체(6)에 대한 밸브플런저(16)의 자유로운 우행(右行)을 규제하고 다음에 입력축(17) 및 밸브 플런저(16)가 작동되었을 때 즉시 상기 밸브기구(15)에 의한 유체회로의 전화동작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키이부재(22)는 자유로운 상태에서는 밸브몸체(6)에 대해 크게 후퇴하여 밸브기구(15)의 밸브체(28)와 밸브시이트(29)와의 사이에 커다란 간격을 확보하지만, 상기 비작동상태에서는 리어셀(2) 내면에 맞닿아서 밸브몸체(6)에 대해 전진되며, 그것에 의해 밸브플런저(16)의 자유로운 후퇴를 규제하여 상기 밸브체(28)와 밸브시이트(29)와의 사이의 간격을 미소하게 하거나 실질적으로 0으로 유지하고, 다음에 입력축(17) 및 밸브플런저(16)가 작동되었을 때 즉시 유체회로를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1도에 도시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비작동상태에서는 밸브체(28)와 밸브시이트(29)와의 간극은 미소 또는 실질적으로 0으로 유지되어 있고, 다른쪽 밸브체(28)와 밸브플런저(16)의 오른쪽 끝의 제2밸브시이트는 밀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 넣어져서 입력축(17)이 좌행(전진)되면, 밸브체(28)와 밸브시이트(29)가 완전히 밀착되어 정압실(A,C)과 변압실(B,D)과의 연통을 차단하여, 상기 밸브체(28)와 밸브플런저(16)의 오른쪽 끝의 제2밸브시이트가 격리되므로 대기가 변압실(B,D)내에 도입되어, 브레이크 배력 장치가 작동된다.
이에 따라서 파워피스톤(9,10)이나 밸브몸체(6)가 전진되므로, 키이부재(22)는 리어셀(2)의 내벽으로부터 격리된다.
상기 파워피스톤(9, 10)이나 밸브몸체(6)가 전진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짐이 해제되면 입력축(17)이 우행(후퇴)되어, 그에 따라 밸브 플랜저의 제2밸브시이트가 밸브체(28)에 착좌하여 변압실(B,D)과의 대기와의 연통을 차단하는 동시에, 밸브체(28)를 밸브시이트(28)로부터 격리시켜서, 정압실(A,C)과 변압실(B,D)을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서 변압실(B,D)에 도입되어 있던 대기가 정압실(A,C)로 도피하므로, 파워 피스톤(9,10)이나 밸브몸체(6)는 리턴스프링(21)에 의해 후퇴된다.
이때 상기 키이부재(22)는 밸브몸체(6)에 대하여 소정량 축방향으로 진퇴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밸브플런저(16)가 밸브몸체(6)에 대하여 후퇴되면, 이 밸브플런저(16)는 이것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키이부재(22)도 밸브몸체(6)에 대하여 후퇴시키도록 된다.
그 결과, 밸브 플런저(16)는 키이부재(22)가 밸브몸체(6)에 대하여 후퇴할 수 있는 만큼 크게 밸브몸체에 대하여 후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밸브체(28)를 밸브 시이트(29)로 부터 크게 격리시켜서 양자간에 충분히 큰 유로면적을 확보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파워피스톤(9,10)이나 밸브몸체(6)의 후퇴가 계속되면, 먼저 키이부재(22)가 리어셀(2)의 내벽에 맞닿아서 정지된다.
다른쪽 파워피스톤(9,10)이나 밸브몸체(6)는 여전히 후퇴되어 있으며, 리어셀(2)의 내벽에 맞닿아서 정지되어 있는 키이부재(22)에 밸브몸체(6)가 맞닿으면 그의 후퇴가 정지된다.
걸어맞춘 키이부재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그 키이부재도 빠짐방지장치에 의해 상기 구멍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종래, 상기 키이부재의 빠짐방지장치로서, 상기 키이부재를 밸브몸체에 형성한 상기 구멍내에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부터 삽입되어 밸브플런저에 걸어맞추고, 그 밸브플런저가 밸브몸체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방지부와, 이 빠짐방지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밸브몸체의 외주의 대략 반주를 둘러싸는 키이부재의 원호부로 구성하고, 다시 밸브 몸체의 외주에 상기 키이부재의 원호부의 반대측에서 그 외주의 대략 반주를 둘러싸는 스프링성을 갖는 리테이너를 배설하며, 또한 이 리테이너의 양 끝부분을 상기 원호부의 끝부분에 뚫어서 설치한 구멍내에 걸어맞추어서 키이부재에 연결함으로서, 상기 키이부재가 상기 구멍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실개소 58-164965호).
그런데 그와 같은 구성의 빠짐방지장치에서는 상기 리테이너의 양 끝부분을 각 원호부의 끝부분에 뚫어서 설치한 구멍내에 각기 별도로 걸어맞출 필요가 있으므로 그 조립작업이 번잡스러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상술한 빠짐방지부와 원호부를 갖는 키이부재와, 이 키이부재의 원호부의 반대측에서 밸브몸채의 외주의 대략 반주를 둘러싸는 리테이너를 구비한 빠짐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이부재의 원호부의 양끝부분 내측에 걸어맞춤오목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리테이너의 양 끝부분 외측에 그 리테이너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오목부에 걸어맞춘 키이부재와 리터네어가 밸브몸체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리되는것을 방지하는 걸어맞춤 클릭을 형성하고, 다시 상기 리테이너의 축방향 양 끝부분을 밸브 몸체에 형성된 한쌍의 단차부 끝면에 의해 또는 밸브몸체에 형성된 단차부 끝면과 상기 키이부재에 의해 끼워져서, 상기 걸어맞춤오목부와 걸어맞춤 클릭과의 걸어맞춤이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그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키이부재와 리테이너를 밸브몸체의 외주에 끼워부착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리테이너의 탄성에 의해 이것에 형성된 걸어맞춤 클릭을 키이부재의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서 양자가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조립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키이부재는 상기 빠짐방지부 삽입한 구멍에 의해 축방향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으며, 또 리테이너는 밸브몸체에 형성된 한쌍의 단차부 끝면에 의해 또는 밸브몸체에 형성된 단차부 끝면과 상기 키이부재에 의해 끼워져서 역시 축방향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양자가 필요량 이상의 축방향에 대한 상대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걸어맞춤오목부와 걸어맞춤 클릭과의 걸어맞춤이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키이부재와 리테이너를 밸브 몸체의 외주에 끼워 장착하는 것만으로 극히 용이 하게, 키이부재가 밸브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을 탬던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적용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면 제1도에 있어서 프론트셀(1)과 리어셀(2)로 구성된 밀봉용기내는 그 중앙부에 설치된 센터플레이트(3)에 의해 전후의 프론트실(4)과 리어실(5)과의 2실로 분리되어 있으며, 또한 상리 리어셀(2) 및 센터플레이트(3)의 축부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대체로 통형상의 밸브몸체(6)를 각기 시일부재(7,8)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며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관통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6)에는 상기 프론트실(4)과 리어실(5)에 수납되어 있는 프론트 파워 피스톤(9)과 리어파워 피스톤(10)을 각기 연결하는 동시에 각 파워 피스톤(9,10)의 배면에 프론트 다이어프램(11) 과 리어 다이어프램(12)을 각기 팽팽하게 설치하고, 그 다이어프램(11,12)에 의해 상기 프론트실(4)과 리어실(5)을 각기 2실로 구획하여 합계 4개의 실(A,B,C,D)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밸브몸체(6)내에 수납된 밸브기구(15)는 밸브몸체(6)내에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끼워맞춘 밸브플런저(16)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밸브 플런저(16)의 말단을 도시생략의 브레이크 페달에 연동시킨 그리고 이 경우에도 그 고리모양의 홈보다 후방측의 부분은 실질적으로 리어파워피스톤(10)의 후퇴력을 받지 않으므로 그 고리모양의 홈의 후방부분의 두께를 엷게 하여 축방향 치수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걸어맞춤구멍(27a,27b)을 유체통로로서 이용하고 있지만, 전용의 걸어맞춤구멍을 형성해도 되며, 그 경우에는 걸어맞춤구멍의 축방향 치수를 리어파워 피스톤(10)의 두께에 대체로 일치시킬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각 걸어맞춤돌기(10d,10e)를 외측부분(10c)에서 후방으로 뛰어나오게 하고 있던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이것은 본 구성을 정압실(A,C)사이가 통하여 있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 즉 상기 유체통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싱글브레이트 배력장치에 적용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상기 밸브플런저(16)라 밸브몸체(6)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키이부재(22)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된 반경방향의 구멍(38)내에 바깥쪽으로 부터 삽입되어 상기 프런저(16)에 걸어맞추고, 그 밸브플런저(16)가 밸브몸체(6)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부(22a)와, 이 빠짐방지부(22a)의 외단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밸브몸체(6)의 외주의 대략 반주를 둘러싸고 있는 한쌍의 원호부(22b)와, 또한 각 원호부(22b)의 양 끝부분 내측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22c)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상기 키이부재(22)가 상기 구멍(38)내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너(39)는 제1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이부재(22)의 원호부(22b)와는 반대측에서 상기 밸브몸체(6)의 외주의 대략 반주를 둘러싸고 있는 원호형상본체(39a)와, 이 원호형상본체(39a)의 양 끝부분을 외측을 향해 뒤접어서 형성한 걸어맞춤클릭(39b)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 걸어맞춤클릭(39b)은 자기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오목부(22c)에 걸어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걸어맞춤클릭(39b)의 축방향의 폭은 상기 키이부재(22)가 밸브몸체(6)에 대해 소요량 이동하더라도 양자가 축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 쪽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39)의 원호상 본체(39a)의 양 끝부분에는 상기 걸어맞춤클릭(39b)과 축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한쌍의 접촉부(39c)를 형성하고, 각 접촉부(39c)는 원호상 본체(39a)의 양 끝부분에서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원호형상으로, 상기 걸어맞춤클릭(39b)보다도 더욱 바깥쪽까지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다.
각 접촉부(39c)는 밸브몸체(6)에 형성된 축방향 통로(31)의 변압실(D)측 개구부내에 수용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으며, 또한 리테이너(39)를 밸브몸체(6)의 소정위치에 장착했을 때, 상기 걸어맞춤클릭(39b)과 반대측의 끝면이 상기 축방향통로(31)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 끝면(31a)에 인접하는 폭으로 설정하고, 그 단차부 끝면(31a)과 키이부재(22)에 의해 리테이너(39)를 축방향 양측에서 끼원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부 키이부재(22)와 리테이너(39)를 장착하는 데는 먼저 리테이너(39)의 원호형상본체(39a)를 밸브몸체(6)에 형성된 상기 구멍(38)의 개구측과 반대측의 외주에 끼워 만드는 동시에 그 리테이너(39)의 양단접촉부(39c)를 각기 축방향 통로(31)내에 수납하여 단차부 끝면(31a)에 접촉 또는 근접시킨다.
그리고 다음에 반대측에서 키이부재(22)의 빠짐방지부(22a)를 상기 구멍(38)내에 삽입하여 그 선단부를 밸브플런저(16)에 걸어맞추는 동시에 각 원호부(22b)의 양 끝부분 내측에 형성된 걸어맞춤오목부(22c)내에 상기 리테이너(39)의 걸어맞춤클릭(39b)을 각기 걸어맞추면 장착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키이부재(22)와 리테이너(39)는 각각에 형성된 걸어맞춤오목부(22c)와 걸어맞춤클릭(39b)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서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구나 상기 키이부재(22)는 상기 빠짐방지부(22a)를 삽입한구멍(38)에 축방향의 이동이 소요량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또 리테이너(39)의 접촉부(39c)는 밸브몸체(6)에 형성된 단차부 끝면(31a)과 상기 키이부재(22)의 원호부(22b)에 의해 끼워 두어져서 역시 축방향의 이동이 소요량으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양자가 필요량 이상으로 축방향에 대한 상대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걸어맞춤오목부(22c)와 걸어맞춤클릭(39b)과의 걸어맞춤이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6)의 외주에 고리모양이 홈(40)을 형성하고, 그 고리모양의 홈(40) 내에 리테이너(39)의 원호형상본체(39a)를 끼워맞추어 그 양측을 상기 고리모양의 홈의 단차부 끝면(40a)에 의해 끼워두어도 된다.
이경우에는 리테이너(39)에 접촉부(39c)를 형성해두면 상기 접촉부(39c)와 고리모양의 홈(40)에 의해 키이부재(22)가 밸브몸체(6)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했을 때 그것에 수반되어 리테이너(39)가 기우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그 접촉부(39c)를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몸체(6)와 프론트파워피스톤(9)을 삽입형 또는 비틀림 잠김이라고 불리우는 연결구조로 서로 연결하고 있다.
즉, 제1도, 제7도, 제8도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6)의 작동방향 앞끝부에는 그 외부에 플랜지부(6e)를 형성해 두었으며,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플랜지부(6e)의 외주부에, 워주방향 등간격위치에 3개의 제1걸어맞춤오목부(6f)를 각기 형성하는 동시에, 각 제1걸어맞춤오목부(6f)의 중간부분에 제1걸어맞춤블록부(6g)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파워피스톤(9)의 내주부분 작동방향 전방측에 링형상으로 튀어나오게 한 블록부(9a)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볼룩부(9a)에 연속시켜 대략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 형성된 부분을 상기 플랜지부(6e)의 외주부분을 수용하는 고리모양의 오목부(9b)를 형성하기 위한 후방측벽(9c)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또한 이 후방측벽(9c)의 안쪽 끝부분을 작동방향 전방쪽으로 통형상으로 만곡시켜, 상기 밸브 몸체(6)의 외주에 형성된 단차부 끝면(6h)에 작동방향 후방측에서 맞닿게 하는 접촉부(9d)를 형성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추부 끝면(6h)은 상기 플랜지부(6e) 보다도 작동방향 후방측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플랜지부(6e)의 끝면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프론트파워피스톤(9)배면에 설치된 프론트다이어프램(11)의 내주부(11a)는 상기 블록부(9a)의 배면측에 형성되는 오복부내에 수용하며, 또한 리테이너(43)로 빠짐방지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블록부(9a)의 앞끝면에는 링형상의 리테이너(44)를 부착해 놓았으며, 이 리테이너(44)의 안쪽부분을 상기 후방측벽(9c)에 대향하는 전방측벽(9e)으로서, 그후방측벽(9c)과 전방측벽(9e)으로 상기 고리모양의 오목부(9b)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측벽(9e)에 상기 플랜지부(6e)에 형성된 제1걸어맞춤오목부(6f)내를 통과할수 있는 제2걸어맞춤볼록부(9f)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2걸어맞춤볼록부(9f)의 중간부분에 제2걸어맞춤오목부(9g)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환상오목부(9b)내에 시일부재(45)를 수용하고, 이 시일부재(45)를 상기 후방측벽(9c)과 상기 플랜지부(6e)의 후방 끝면과의 사이에 개재시켜 프론트파워피스톤(9)과 밸브몸체(6)와의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측벽(9c)의 안쪽 끝부분을 작동방향 전방측으로 통형상으로 만곡시켜서 형성한 접촉부(9d)는 상기 시일부재(45)보다도 반경방향 내측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6)에 형성된 단차부 끝면(6h)에 맞닿게끔 된다.
상기 구멍에 있어서, 프론트파워피스톤(9)을 밸브몸체(6)에 장착할 때에는 먼저 밸브몸체(6)의 외주에 시일부재(45)를 끼워만들고, 이것을 플랜지부(6e)의 후방끝면과 맞닿게 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다음에 상기 밸브몸체(6)와 프론트파워피스톤(9)로 소요회전각도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양자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밸브몸체(6)에 형성된 제1걸어맞춤오목부(6g)를 프론트파워피스톤(9)의 제2걸어맞춤오목부(9g)에 통과시키는 동시에, 프론트파워피스톤(9)의 제2걸어맞춤볼록부(9f)를 밸브몸체(6)의 제1걸어맞춤오목부(6f)에 통과시키고, 그런 연후에 양자를 상대회전시켜 상기 제1걸어맞춤볼록부(6g)와 제2걸어맞춤볼록(9f)를 서로 걸어맞춘다.
이 상태에서는 프론트파워피스톤(9)의 제2걸어맞춤볼록부(9f)가 밸브몸체(6)의 제1걸어맞춤볼록부(6g)에 그 전방으로부터 맞닿게 하며, 또한 프론트파워피스톤(9)의 접촉부(9d)가 밸브몸체(6)의 단차부 끝면(6h)에 그 후방으로부터 맞닿아 있으므로, 밸브몸체(6)와 프론트파워피스톤(9)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된 밸브몸체(6)와 프론트파워피스톤(9)은 상기 시일부재(45)에 의해 정압실(A)과 변압실(B)과의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며, 또한 프론트파워피스톤(9)의 전후에 발생하는 유체압력차에 의한 전진력은 프론트파워피스톤(9)의 접촉부(9d)를 통해 밸브몸체(6)에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프론트파워피스톤(9)의 전진력을 상기 정합실(A)과 변압실(B)간의 시일부분보다도 반경방향 바깥쪽의 위치에서 밸브몸체(6)에 전달되도록 한 종래장치와 비교하여 상기 밸브몸체(6)에 가해지는 내부응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벨브몸체(6)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축방향치수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에서는 프론트파워피스톤(9)의 접촉부(9d)는 시일부재(45)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된 밸브몸체(6)의 단차부 끝면(6h)에 맞닿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종래에서는 본건의 시일부재(45)보다도 반경방향 바깥쪽의 위치에 프론트파워피스톤(9)의 접촉부(9d)를 맞닿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프론트파워피스톤(9)의 전진력이 그의 접촉부(9d)를 통하여 밸브몸체(6)의 플랜지부(6e)에 작용할 때 본원의 접촉부(9d)가 종래보다도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분만큼 밸브몸체(6)의 플런저(6e)에 걸리는 모우멘트는 작게된다.
따라서 모우멘트를 작게할 수 있는 분만큼, 밸브몸체(6)의 플랜지부(6e)의 두께(축방향치수)를 종래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론트파워피스톤(9)의 앞면측에 리테이너(44)를 부착하여 고리모양의 오목부(9b)를 형성하고 있지만, 제9도와 같이 프론트파워피스톤(9)의 후면측에 리테이너(46)를 부착하여 고리모양의 오목부를 형성해도 되며, 또 프론트파워피스톤(9)의 일부를 융기시켜 고리모양의 오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론트파워피스톤(9)에 본 구성을 적용하고 있지만 리어파워피스톤(10)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또한 싱글브레이크 배력장치의 파워피스톤에 적용할 수도 있다.

Claims (7)

  1. 밸브몸체(6)에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끼워 맞추어진 밸브기구(15)의 밸브플런저(16)와, 상기 밸브몸체(6)에 형성된 구멍(38)안에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밸브플런저(16)에 걸어맞추고, 그 밸브플런저(16)가 밸브몸체(6)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키이부재(22)의 빠짐방지부(22a)와, 이 빠짐방지부(22a)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밸브몸체(6)의 외주의 대략 반주를 둘러싸고 있는 키이부재(22)의 원호부(22b)와, 이 원호부(22b)의 반대측에서 상기 밸브몸체(6)의 외주의 대략 반주를 둘러싸고 또한 양끝부분이 상기 각 원호부(22b)에 연결되어 상기 키이부재(22)가 상기 구멍(38)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너(39)를 구비하고 있는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이부재(22)의 원호부(22b)의 양쪽 끝부분 내측에 걸어맞춤오목부(22c)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리테이너(39)의 양쪽 끝부분 외측에 그 리테이너(39)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오목부(22c)에 걸어맞추어 키이부재(22)와 리테이너(39)가 밸브몸체(6)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어맞춤클릭(39b) 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리테이너(39)의 축방향 양 끝부분을 밸브몸체(6)에 형성된 한쌍의 단차부끝면(40a)에 의해 또는 밸브몸체(6)에 형성된 단차부끝면(31a)과 상기 키이부재(22)에 의해 끼워져서 상기 걸어 맞춤오목부(22c)와 걸어맞춤클릭(39b)과의 걸어맞춤이 축방햐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부재(22)는 밸브몸체(6)의 축방향으로 전진후퇴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비작동시에 상기 밸브몸체(6)를 전진후퇴운동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셀(2)의 내벽면에 그 키이부재(22)를 접촉시키고, 이 접촉에 의해 키이부재(22)의 밸브몸체(6)에 대한 자유로운 후퇴를 규제하여 밸브기구(15)의 밸브플런저(16)를 밸브몸체(6)에 대해 전진위치로 유지하며,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작동되는 입력측(17)에 의해 상기 밸브플런저(16)가 전진되었을때, 상기 밸브기구(15)의 유로가 즉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39)의 원호형상 본체(39a)의 양 끝부분에 상기 걸어맞춤클릭(39b)과 축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며, 또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상기 걸어맞춤클릭(39b)보다도 더욱 바깥쪽가지 원호형상을 돌출시켜 접촉부(39c)를 형성하고, 또한 밸브몸체(6)에 형성된 오목부(31)내에 각 접촉부(39c)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6)의 외주면에 작동방향 젼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대경부(6a), 중경부(6b),및 소경부(6c)를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중경부(6b)에, 중경부와 대경부(6a) 사이에 형성되는 제1끝면(34)에 근접한 대향위치에 제1걸어맞춤구멍(27a)과 제2걸어맞춤구멍(27b)을 각기 형성하며, 상기 밸브몸체(6)에 연결되는 파워피스톤(10)의 축부에 상기 밸브몸체(6)의 중경부(6b)가 관통되고, 또한 외측부분이 상기 제1끝면(34)에 맞닿는 끼워맞춤구멍(10b)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끼워맞춤구멍(10b)의 내주면 대향위치에 상기 중경부(6b)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각 걸어맞춤구멍(27a,27b)에 걸어맞추어지는 제1걸어맞춤돌기(10d)와 제2걸어맞춤돌기(10e)를 각기 형성하며, 상기 밸브몸체(6)의 중경부(6b)의 축방향길이를, 상기 파워피스톤(10)을 비스듬하게 하여 제1걸어맞춤돌기(10d)를 상기 중경부(6b)와 소경부(6c)와의 제2끝면(35)의 후방측으로 위치시킨 채, 제2걸어맞춤돌기(10e)를 제2걸어맞춤구멍(27b)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길이로 설정하고, 상기 파워피스톤(10)의 끼워맞춤구멍(10b)의 외측부분과 밸브몸체(6)의 외주면과의 최소한 어느 한쪽에 밸브몸체(6)의 축심에 대하여 파워피스톤(10)으 축심을 일방향으로 편심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릴리이프부(6d,10f)를 형성하며, 이 릴리이프부(6d,10f)에 의해 상기 파워피스톤(10)을 비스듬하게 한 상태로 제2걸어맞춤돌기(10e)를 제2걸어맞춤구멍(27d)안에 깊이 삽입하는 방향으로 상기 파워피스톤(10)을 편심시키며, 또한 그 편심에 의해 제1걸어맞춤돌기(10d)를 상기 제2끝면(35)을 전방쪽으로 넘게 하며 제1걸어맞춤구멍(27a)에 걸어맞추는 것을 허용하며, 또한 상기 각 걸어맞춤돌기(10d,10e)를 각 걸어맞춤구멍(27a,27b)의 후단면에 접촉시켜 파워피스톤(10)의 밸브몸체(6)에 대한 후퇴를 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피스톤(10)이 탠덤형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리어파워피스톤(10)임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6)의 외주에 플랜지부(6e)를 형성하여 이 플랜지부(6e)에 제1걸어맞춤볼록부(6g)와 제1걸어맞춤오목부(6f)를 원주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밸브몸체(6)에 부착되는 파워피스톤(9)의 내주부에 상기 플랜지부(6e)를 수용가능한 고리모양의 오목부(9b)를 형성하며, 이 고리모양의 오목부(9b)를 형성하는 전방측벽에 제2걸어맞춤볼록부(9f)와, 제2걸어맞춤오목부(9g)를 원주방향에 설치하고, 상기 밸브몸체(6)와 파워피스톤(9)을 소요회전각도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양자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걸어맞춤볼록부(6g)를 제2걸어맞춤오목부(9g)에, 제2걸어맞춤볼록부(9f)를 제1걸어맞춤오목부(6f)에 각기 통과시키며, 또한 양자를 상대 회전시켜서 상기 제1걸어맞춤볼록부(6g)와 제2걸어맞춤볼록부(9f)를 서로 걸어맞추어 상기 밸브몸체(6)와 파워피스톤(9)을 연결하고, 다시 상기 고리모양의 오목부(9b)의 후방측벽과 상기 플랜지부(6e)의 후방끝면과의 사이에 시일부재(45)를 개재시켜서 파워피스톤(9)과 밸브몸체(6)와의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시일부재(45)보다도 반경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후방측벽을 상기 밸브몸체(6)에 형성된 단차부 끝면(6h)에 접촉시켜서, 상기 파워피스톤(9)에 가해지는 추력을 그 접촉부(9b)를 통해 밸브몸체(6)에 전달키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피스톤(9)이 탠덤형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프론트파워피스톤(9)임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KR2019870016306U 1986-09-29 1987-09-25 브레이크 배력장치 KR90000716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9114 1986-09-29
JP14911486U JPH0352224Y2 (ko) 1986-09-29 1986-09-29
JP149113 1986-09-29
JP14911386U JPH0411897Y2 (ko) 1986-09-29 1986-09-29
JP1986160231U JPH0411898Y2 (ko) 1986-10-20 1986-10-20
JP160231 1986-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256U KR880006256U (ko) 1988-05-30
KR900007162Y1 true KR900007162Y1 (ko) 1990-08-06

Family

ID=2731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6306U KR900007162Y1 (ko) 1986-09-29 1987-09-25 브레이크 배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87292A (ko)
KR (1) KR900007162Y1 (ko)
AU (1) AU583748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367Y2 (ja) * 1988-04-11 1995-05-24 自動車機器株式会社 ブレーキ倍力装置
US4984507A (en) * 1988-07-26 1991-01-15 Jidosha Kiki Co., Ltd. Three chamber brake booster with variable pressure passages having a minimum channel length
JPH02114056A (ja) * 1988-10-24 1990-04-26 Jidosha Kiki Co Ltd ブレーキ倍力装置
JPH0547019Y2 (ko) * 1989-04-11 1993-12-09
JPH0340278U (ko) * 1989-08-31 1991-04-18
JPH0730442Y2 (ja) * 1989-12-28 1995-07-12 自動車機器株式会社 ブレーキ倍力装置のキー部材の抜止め装置
JPH03271051A (ja) * 1990-03-19 1991-12-03 Tokico Ltd 気圧式倍力装置
US5111734A (en) * 1990-04-05 1992-05-12 Jidosha Kiki Co., Ltd. Booster
JPH0437818Y2 (ko) * 1990-08-22 1992-09-04
US5226291A (en) * 1991-12-17 1993-07-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cuum booster diaphragm/support plate retention method
JP2636632B2 (ja) * 1992-04-09 1997-07-30 自動車機器株式会社 倍力装置のパワーピストン組立体
JP2768189B2 (ja) * 1992-12-11 1998-06-25 自動車機器株式会社 ブレーキ倍力装置
JP3024427B2 (ja) * 1993-03-12 2000-03-21 ボッシュ ブレーキ システム株式会社 倍力装置
JP2962341B2 (ja) * 1993-10-08 1999-10-12 自動車機器株式会社 倍力装置のパワーピストン組立体
JP2962342B2 (ja) * 1993-10-29 1999-10-12 自動車機器株式会社 倍力装置
JP3575627B2 (ja) * 1994-06-30 2004-10-13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 倍力装置の弁機構
FR2819769B1 (fr) * 2001-01-23 2003-04-11 Delphi Tech Inc Servomoteur d'assistance avec un mecanisme de valve simplifie et mecanisme de valve correspondant
US9555787B2 (en) * 2014-04-08 2017-01-31 Robert Bosch Gmbh Brake booster with tunable releas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9021A (en) * 1963-10-04 1966-05-03 Gen Motors Corp Power brake booster
US3688647A (en) * 1970-12-21 1972-09-05 Bendix Corp Clip retainer
US3958497A (en) * 1973-07-30 1976-05-25 The Bendix Corporation Wall means for a servomotor
GB1510966A (en) * 1974-08-01 1978-05-17 Lucas Industries Ltd Fuel control system for gas turbine engine
US4283992A (en) * 1978-04-08 1981-08-18 Girling Limited Servo boosters
JPS593006Y2 (ja) * 1979-06-22 1984-01-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ブレ−キブ−スタに於けるプレ−トとピストンの係止機構
JPS5610604A (en) * 1979-07-05 1981-02-03 Morinosuke Yamamoto Condensing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DE3010605A1 (de) * 1980-03-20 1981-09-24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Bremskraftverstaerker fuer kraftfahrzeuge
DE3015187A1 (de) * 1980-04-19 1981-10-22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Bremskraftverstaerker fuer kraftfahrzeuge
JPS5718552A (en) * 1980-07-04 1982-01-30 Toyota Motor Corp Detaining mechanism of diaphragm retaining plate at piston of brake booster
JPS57107945A (en) * 1980-12-26 1982-07-05 Jidosha Kiki Co Ltd Valve mechanism controller of brake force magnifier
US4567812A (en) * 1980-12-31 1986-02-04 Itt Industries, Inc. Brake boosters for automotive vehicles
JPS6233651Y2 (ko) * 1981-03-30 1987-08-28
US4535679A (en) * 1981-10-02 1985-08-20 The Bendix Corporation Control valve for a brake booster
US4512237A (en) * 1982-01-16 1985-04-23 Jidosha Kiki Co., Ltd. Tandem type brake power servo booster
JPS58164965A (ja) * 1982-03-20 1983-09-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吸収式冷凍機
FR2532084A1 (fr) * 1982-08-20 1984-02-24 Dba Cle d'arret pour plongeur de valve de servomoteur d'assistance et servomoteur d'assistance equipe d'une telle cle
JPS60108582U (ja) * 1983-12-28 1985-07-23 自動車機器株式会社 ブレ−キ倍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884687A (en) 1988-03-31
US4787292A (en) 1988-11-29
KR880006256U (ko) 1988-05-30
AU583748B2 (en) 1989-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162Y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US5228377A (en) Brake booster
JPS62210160A (ja) マスタ−シリンダ
US3958497A (en) Wall means for a servomotor
US4862787A (en) Reaction mechanism for brake booster
US4718326A (en) Tandem brake booster
JP3956902B2 (ja) 負圧式倍力装置
KR920005372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KR960000779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JPH0352224Y2 (ko)
JPH0411897Y2 (ko)
US6843160B2 (en) Negative pressure brake booster
KR940003739Y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키 부재의 빠짐방지장치
JP2894373B2 (ja) 液圧倍力装置のシール装置
JP2004175287A (ja) マスタシリンダのプッシュロッド取付け機構
US4245845A (en) Vacuum booster device
US3949846A (en) Plural actuator for disc brakes
JP2549598Y2 (ja) 倍力装置のキー部材の抜止め装置
JP2606909B2 (ja) 負圧倍力装置
US5802951A (en) Brake booster
JPH1035469A (ja) リザーバを備えたマスタシリンダ
KR920001486B1 (ko) 기압 배력 장치
JP3035226B2 (ja) タンデムマスタシリンダ
JP2534386Y2 (ja) バルブケーシング
JPH0324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