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131B1 - 정보기록매체및정보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정보기록매체및정보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131B1
KR100374131B1 KR1019960700564A KR19960700564A KR100374131B1 KR 100374131 B1 KR100374131 B1 KR 100374131B1 KR 1019960700564 A KR1019960700564 A KR 1019960700564A KR 19960700564 A KR19960700564 A KR 19960700564A KR 100374131 B1 KR100374131 B1 KR 100374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processing
code
cod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찌 이마데
유다카 유노키
히로요시 후지모리
신조오 마쓰이
다께시 모리
히로시 사사끼
Original Assignee
오린파스고가쿠고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480951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7413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린파스고가쿠고교(주) filed Critical 오린파스고가쿠고교(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 G06K1/12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otherwise than by punch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정보기록매체로서의 정보전송매체(30)는, 그것에 인쇄기록된 코드패턴로서의 돗트코드패턴을 읽어내서 원래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복원하는 복원처리과정에 다라서 데이타를 편집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정보를 포함하도록 코드패턴이 인쇄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정보재생장치로서의 MMP 재생장치 (28)는, 이 처리정보에 따라서 데이타의 처리를 행한다.

Description

정보기록매체 및 정보재생장치
제 1A도 및 제 1B도는 돗트코드의 포맷을 표시한 도면
제 2 도는 멀티미디어 페이퍼시스템에 있어서의 정보전송 프로트콜의 계층구분예를 표시한 도면
제 3A 도는 재생축의 계층구조내의 하위층의 구조예를 나타낸 도면
제 3B 도는 상위층의 구조예를 나타낸 도면
제 4 도는 촬상된 돗트코드이미지를 표시한 도면
제 5 도는 레이어 2 및 레이어 3의 일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5B 도는 레이어 3 및 레이어 4 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5C 도는 레이어 4 및 레이어 5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음성, 음악등의 오디오 정보, 카메라, 비디오 기기등에서 얻어지는 영상정보, 및 퍼스날 컴퓨터, 워드프로세스 등에서 얻어지는 디지탈코드 데이타, 등을 포함한 소위 멀티미디어 정보를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코드패턴으로서 기록한 종이등의 정보기록매체 및 그와같은 정보기록 매체에 기록된 코드패턴을 광학적으로 읽어내서 원래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음성이나 음악등을 기록하는 매체로서, 자기테이프나 광 디스크등, 여러가지의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의 매체는, 대량으로 정보를 만들었다고 하여도 단가는 어느정도 고가로되고, 또 그 보관에도 다대한 장소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음성을 기록 매체를 먼곳에 있는 다른 사람에게 넘길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우송하려고 해도, 또 바로 가지고 갈려고해도 수고와 시간이 걸리는 문제도 있었다. 또, 오디오 정보이외의 카메라, 비디오 기기등에서 얻어지는 영상정보, 및 퍼스날컴퓨터, 워드프로세스등에서 얻어지는 디지탈코드 데이타등도 포함한 소위 멀티미디어 정보 전체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였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오디오 정보, 영상정보, 디지탈코드데이타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팩시미리 전송이 가능하고, 또 대량의 복제가 염가로 가능한 화상정보 즉 부호화정보로서의 돗트 코드의 형으로 종이등의 정보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시스템 및 그것을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을 발명하고, 국제 출원 번호 PCT/JP93/01377호 (국제 공개번호 WO 94/08314호)로 국제출원하고 있다.
이 국제출원의 정보재생 시스템에서는, 정보기록 매체위의 돗트코드를 광학적으로 읽어내서 재생하는 정보재생장치를 손으로 보관하고, 기록되어 있는 돗트코드에 따라서 기록매체위를 수동으로 주사하는 것에 의해서 읽어내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돗트코드 패턴자체는, 더욱 기록밀도를 향상 한수 있는 구조가 연구되고 있는 단계이고, 상기 국제출원 정보기록매체 및 정보재생장치는, 그와같은 장래적인 변경에 대한 유연성에 대해서는 더 충분한 고려가 되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된것으로, 코드패턴 자체의 구조가 장래적으로 변하여도 대처 가능한 정보기록 매체 및 정보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정보기록 매체는,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디지탈코드데이타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코드패턴을 기록되어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정보기록매체이고, 상기 코드패턴은, 이 코드패턴을 읽어내서 원래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복원하는 복원처리과정에 따라서 데이타를 편집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정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본 발명에 의한 정보기록매체는,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디지탈코드데이타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코드패턴으로 기록되어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정보기록매체이고, 상기 코드패턴을 읽어내서 원래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복원하는 당해 정보기록 매체에 적용할 복원수단이, 상기 읽어낸 코드패턴을 이미지로서의 코드 데이타로 변환함과 동시에, 이 코드데이타에 상기 읽어내는 것에 관한 정보를 제 1 의 처리정보로서 부가해서 출력하는 제 1 의 계층처리수단과, 상기 제 1 의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제 1 의 처리정보도 인식해서 상기 제 1 의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코드데이타를 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코드데이타를 소정의 단위마다 모은 블록을 생성해서 출력하는 제 2 의 계층처리수단과, 상기 제 2 의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블록을 모아서,보다 큰 소정단위의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서 최소필요한 제 2 의 처리정보를, 상기 블록의 코드데이타에서 추출해서 인식하고, 이 제 2 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하고, 틀린 대책에 관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 3 의 처리정보를 상기 수퍼마크로 블록에서 추출인식하고, 이 제 3 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수퍼마크로 블록의 틀린 대책에 관한 처리를 행하고, 또한 상기 수퍼 마크로 블록을 상기 제 3 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인식해시 생성된 서브세트엘리먼트를 출력하는 제 3 의 계층처리수단과, 상기 제 3 의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서브세트엘리먼트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복원가능한 소정단위의 코드로 되는 서브세트를 생성하기 위해서 최소 필요한 제 4의 처리정보를 상기 서브세트 엘리먼트에서 추출해서, 이 제 4 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생성된 서브세트를 출력하는 제 4 의 계층처리수단에서 적어도 되고, 상기 코드패턴은 상기 제 2 내지 제 4 의 처리정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정보재생장치는, 오디오 정보, 영상정보, 디지탈 코드데이타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코드패턴에서 기록되어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정보기록 매체에서, 상기 코드패턴을 광학적으로 읽어내서 원래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수단을 갖는 정보 재생장치이고, 상기 복원 수단은, 상기 코드패턴에 포함되는 복원처리과정에 따라서 데이타를 편집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정보에 따라서 데이타의 처리를 행하는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본 발명에 의한 정보재생장치는, 오디오 정보, 영상정보, 디지탈 코드데이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코드패턴에서 기록되고 있는 부분을 구비한 정보기록 매체에서, 상기 코드패턴을 광학적으로 읽어내서 원래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수단을 갖는 정보 재생장치이고, 상기 코드패턴은, 이 코드패턴을 읽어내서 원래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복원하는 복원처리과정에 따라서 데이타를 편집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정보를 포함한 코드패턴이고,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처리정보에 따라서, 읽어낸 코드패턴에 따른 제 1 의 소정단위마다의 데이타를 소정수 몰아서 정보화하는 것에 의해, 제 2 의 소정단위의 데이타를 생성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재생장치는,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디지탈코드데이타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정보과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코드패턴에서 기록되어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기록매체에서, 상기 코드패턴을 광학적으로 읽어내서 원래의 멀티미디어정보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수단을 갖는 정보재생장치이고, 상기 복원수단은, 다단계의 처리과정에 따라서 데이타를 편집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정보를 당해 단계에서 이전의 단계에 있어서의 데이타에서 추출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본 발명에 의한 정보재생장치는,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디지탈코드데이타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터미디어 정보가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코드에서 기록되어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기록매체에서, 상기 코드패턴를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수단과, 이 읽어내는 수단에서 읽어낸 코드를 원래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복원하는 복원수단과, 이 복원수단에 의해 복원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출력하는출력수단을 구비하는 정보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이, 상기 읽어내는 수단에서 읽어낸 코드를 이미지로서의 코드데이타로 변환함과 동시에, 이 코드데이타에 상기 읽어내는 것에 관한 정보를 제 1 의 처리정보로서 부가해서 출력하는 제 1 의 계층처리수단과, 상기 제 1 의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제 1 의 처리정보를 인식해서, 상기 제 1 의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코드데이타를 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코드데이타를 소정의 단위마다 모은 블록을 생성해서 출력하는 제 2 의 계층처리수단과 상기 제 2 의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블록을 모아서, 보다 큰 소정단위의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필요한 제 2 의 처리정보를 상기 블록의 코드데이타에서 추출해서 인식하고, 이 제 2 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하고, 틀린 대책에 관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 3 의 처리정보를 상기 수퍼마크로 블록에서 추출인식하고, 이 제 3 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수퍼마크로 블록의 틀린 대책에 관한 처리를 행하고, 다시 상기 수퍼마크로 블록을 상기 제 3 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이산해서 생성된 서브세트엘리먼트를 출력하는 계층처리수단과, 상기 제 3 의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서브세트엘리먼트에서, 상기 멀티미디어정보를 복원가능한 소정단위의 코트로 되는 서브세트를 생성하기 위해서 최소 필요한 제 4 의 처리정보를 상기 서브세트엘리먼트에서 추출해서, 이 제 4 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생성된 서브세트를 출력하는 제 4의 게층처리수단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정보기록매체 및 정보재생장치에 의하면, 기록된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코드패턴이 이 코드패턴을 읽어내서 원래의 멀티미디어정보로 복원하는 복원처리과정에 따라서 데이타를 편집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정보를 포함하도록 코드패턴으로됨과 동시에, 복원수단이, 상기 코드패턴에 포함되는 복원처리과정에 따라서 데이타를 편집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정보에 따라 데이타의 처리를 행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처리방법 또는 처리파라메이타를 복수선택가능케 하는 것이 될 수 있고, 코드패턴차페의 구조가 장래적으로 변해도 대책 가능하게 된다.
흑은, 본 발명의 정보기록매체 및 정보재생장치에 의하면 복원수단의 제 1 의 계층처리수단이, 읽어낸 코드패턴을 코드데이타로 변환해서 제 1 의 처리정보를 부가해서 출력하고, 제 2 의 계층처리 수단이이 제 1 의 처리정보를 인식해서 코드데이타를 처리해서 소정의 단위마다로 모은 볼록을 생성해서 출력하고, 제 3 의 계층처리수단이, 이 블럭의 코드데이타에서 제 2 및 제 3 의 처리정보를 추출해서 처리하고 제 2 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하면, 제 3 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수퍼마크로 블록의 틀린 대책에 관한 처리를 행하고, 다시 이 제 3 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상기 수퍼마크로 블록을 이산해서 서브세트 엘리먼트를 생성 출력하고, 제 4 의 계출처리수단이, 이 서브세트엘리먼트에서 제 4 의 처리정보를 추출해서, 이것에 따라서 서브세트 생성을 출력하도록 하고, 또, 상기 코드패턴이, 상기 제 2 내지 제 4 의 처리정보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에러 처리가 코드패턴에 포함되는 제 2 내지 제 4 의 처리정보에 의해서 임의로 선택될 수 있도록 되고, 코드패턴자체의 구조가 장래적으로 변해도 대책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정보재생장치에 의하면, 코트패턴이 이 코드패턴을 읽어내서원래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복원하는 복원 처리과정에 따라서 데이타를 편집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정보를 포함한 코드 패턴으로 되어, 복원수단이, 이 처리정보에 따라서 읽어낸 코드패턴에 따른 제 1 의 소정단위마다의 데이타를 소정수 모아서 구조화하는 것에 의해, 제 2 의 소정단위마다의 데이타를 생성하므로, 제 1 의 소정단위로서의 블록의 데이타의 취득순서에 의존하지 않고 제 2 의 소정단위로서의 수퍼마크로 블록이 생성되고, 크드패턴으로서의 돗트패턴의 읽어내는 주사방향을 자유로 할수 있고, 따라서 코드패턴자체의 구조가 장래적으로 변해도 대처가능하게 된다.
흑은 본 발명의 정보재생장치에 의하면, 복원수단이, 다단계의 복원처리과정에 따라서 데이타를 편집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정보를, 당해단계보다 이전의 단계에 있어서의 데이타에서 추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데이타중의 필요 최소한의 처리정보를 취득함에 필요한 처리정보의 존재위치등의 구조가 나누어져 있으면 좋고, 코드패턴 자체의 구조가 장래적으로 변해도 대처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국제출원번호 PCT/JP93/01377호(국제공개번호 WO94/08314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바와 같은 돗트코드의 코드패턴을 설명하여 둔다.
제 1A 도 및 제 1B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돗트코드(10)는, 데이타의 내용에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돗트로 구성되는 블록(12)을 복수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소정단위마다의 데이타인 블록(12)이 집합해서 배치되고 있다. 1개의 블록(12)은, 마카(14), 블록어드레스(16), 및 어드레스의 에러검출데이타(18)와,실제의 데이타가 들어가는 데이타에 에어리어(20)로 되어 있다.
돗트코드(10)를 구성하는 각 블록(12)은, 이 차원으로 배열되어 있고, 각각 블록어드레스(16)가 부가되어 있다. 이 블록어드레스(16)는, X어드레스, Y어드레스에 대응한 어드레스가 붙어 있다. 예를들면 제 1A 도에 있어서 첫번째 좌상의 블록을(X어드레스, Y어드레스)=(1,1)로 한다. 그것에 대하여 그 우측의 블록어드레스는 (2,1), 이하 마찬가지로 해서, 우측으로 감에 따라 X어드레스를 인크리멘트한것이, 밑으로 감에 따라서 Y어드레스가 인크리맨트한 것이 부가된다는 형으로, 전 블록(12)에 블록어드레스(15)가 부가된다.
여기서, 최하단의 마카와 최우단의 마카에 대해서는, 다미의 마카(22)로 한다. 결국, 어느 마카(14)에 대한 블록(12)은, 그것을 포함한 4개의 마카(14)로 둘러싸인 그 우측으로 경사진 밑의 데이타이고, 최하단 및 최우단의 마카는 밑에서 2단째 및 우측에서 2단째의 마카에 대해 블록을 정의하기 위해서 배치된 보조적인 마카, 즉 다미마카(22)이다.
다음에, 그 블록912)의 중간부를 설명한다. 제 1B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당해 블록(12)의 마카(14)에 대해 밑의 마카와의 사이에, 블록 어드레스(16)과 그 블록어드레스의 에러검출코드(18)가 부가된다.
또, 당해 마카(14)와 우측의 마카와의 사이에 마찬가지로 블록어드레스(16)와 그 에러검출코드(18)가 부가된다, 이와같이, 블록어드레스(16)를 데이타에어리어(20)의 좌측과 상측에 배치하고, 마카(14)를 그 좌측 모서리에 배치한 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블록 어드레스(16)는, 하나의 블록의 2개소에 배치한 예를 표시하고 일으나, 이것은 1개소라도 된다. 그러나, 2개소에 기록하는 것에 의해서, 한편의 불록 어 드레스 노이즈가 생겨 에러를 일으킨 경우에도, 다른편의 어드레스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확실히 검출할 수 있으므로, 2개소에서 기록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이차원블록분할 방식으로 채용하는 것에 의해, 정보재생장치 측에서, 인접하는 4개의 마카를 검출해서 마카사이를 돗트수분만 등분할 하는 것으로 노머라이즈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확대, 축소, 변형등에 강하고, 또, 손으로 다듬기에도 강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데이타 에어리어(20)에 있어서의 데이타돗트(24)에 대해서는, 예를들면, 1돗트가 수십㎛의 크기이다. 이것은 어프리케이션, 용도에 따라서는 수 ㎛레벨까지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40㎛이나 20㎛, 혹은 80㎛으로 한다. 데이타 에어리어(20)는, 예를들면, 64x64 돗트의 크기이다. 이들은, 상기 등분할에 의한 오차가 흡수될 수 있는 범위까지 자유로히 확대 혹은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마카(14)는, 포지션지표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고, 변조된 데이타에 없는 크기, 예를들면 둥근 형상이고, 데이타 돗트(24)에 대해서 예를들면 7돗트이상이나, 7×7돗트 정도의 지름을 갖는 원형용마카로 하고 있다.
또, 블록 어드레스(16) 및 그 에러검출데이타(18)도, 데이타 돗트(24)와 마찬가지의 돗트에 의해 각각 구성된다.
다음,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2 도는, 상기와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코드패턴의 일례로서 돗트코드패턴을 종이등의 정보기록 매체에 기록재생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페이퍼(MMP)시스템에 있어서의 정보전송 프로토콜의 계층구분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또한 여기서 레이어N(N=1~5) 프로토콜이란, 레이어N이 인접레이어로 부터의 리크에스프에 따르기 위해서 필요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동작규약인 것이다.
기록측 및 재생측, 함께 레이어 1~5의 논리적인 복수의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록측에 있어서는, 먼저, 어프리케이션 프로세스X, 일반적으로는, 컴퓨터상의 어프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생긴 음성, 음악등의 오디오정보, 카메라, 비디오 기기등에서 얻어지는 영상정보, 및 퍼스날 컴퓨터, 워드프로세스등에서 얻어지는 디지탈 코드데이타등을 포함한 소위 멀티미디어 정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상에 구성된 어프리케이션층(레이어5) 및 프로젠테이션층(레이어4)을 거쳐서, 정보기록장치로서의 MMP 기록장치(26)에 넘겨진다. MMP기록장치(26)에서는, 넘겨받은 데이타를, 데이타링층(레이어 3), 불록데이타층(레이어2), 데이타링층(레이어3), 블록데이타층(레이어2), 물리층(레이어1)에 의해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돗트코드패턴으로 해서 종이등의 정보기록(전송)매체 (30)에 인쇄기록한다.
정보기록(전송)매체(30)는, 재생측으로 넘겨진다. 혹은, 이 매체(30)에 기록된 코드패턴에 재생측에 팩시미리 전송되어, 재생측에서 종이등의 정보기록매체(30)에 인쇄기록하는 것도 될수 있다.
MMP재생장치(28)에서는, 이와같은 정보기록매체(30)에 기록된 코드패턴을 촬상해서, 기록시와는 반대로 레이어1에서 레이어3 혹은 레이어 5까지의 복원처리과정에 따라서 데이타의 편집처리를 행하고, 결과의 데이타를 재생측으로 넘긴다. 재생측에서는, 기록측과 반대로 필요에 따라서 레이어 4 및 5의 처리기능을 거쳐서, 어프리케이션 프로세스 Y에 재생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넘긴다.
다음, 재생측의 각 레이어(계층)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기록측에 대해서는, 그 재생측과 반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레이어1(물리층)은, 돗트이미지의 양자화 데이타의 확실한 전송을 보증하는 것을 기본적인 역할로 하고 있다. 이 레이어 1은, 전기, 물리적 조건 및 양자화를 위한 제조건 (즉, 돗트패턴의 안순전송규정, 등화방식, 양자화 방식 등)을 규정한다. 이 레이어 1에 요구되는 층내 규정, 즉 제공되는 서어비스는, 전송매체(종이 종류)의 복수제공, 복수돗트 밀도의 허용, 스캬나 해상도의 복수제공 영상신호의 복수전송수단의 제공, 읽어냄 개시 종료기능의 제공 등이 있고, 필요에 따라서, 돗트의 복수계조표현(2치, 많는치)등을 포함 할 수 있다.
레이어2(블록데이타층)는, 블록 및 블록내 비트열의 확실한 전송을 기본적인 역할로 하고 있다. 이 레이어 2는, 블록전송을 위한 제조건(즉, 블록검출방식, 채널비트검출방식, 부호화변조 · 복조방식 등)을 규정한다. 이 레이어 2에 요구되는 층내기능, 즉 제공되는 서어비스는, 블록추출 및 돗트 표본점의 검출, 복수기록방식의 제공(2치, 많는치, 다중방식등의 제공), 복수블록 패턴의 제공, 복수부호화 변조복조방식의 제공), 블록상대위치의 검출, 블록검출 에러의 통지와 장해극복작업 등이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복수블록패턴의 제공은, 블록사이즈 검출기능,마크정의/검출기능, 다종돗트읽어내는 순서의 대응, 등을 포함한다.
레이어3(데이타링층)은, 소정의 틀린 품질이 보증된 소정데이타괴(서브세트 엘리먼트(제4의 소정단위))를 생성하고 또한 확실한 전송을 보증하는 것을 기본적인 역할로 하고 있다. 이 레이어 3은, 블록데이타(제1의 소정단위)를 링크하기 위한 조건이나 마크로 블록(제3의 소정단위)/수피마크로 블록(제2의 소정단위)을 생성하기 위한 제조건 (즉, 인터리브방식 · 구조), (수퍼)마크로 블록 헷더&유저데이타플린제어(즉, ECO방식 · 구조)등을 규정한다. 이 레이어3에 요구되는 층내기능, 즉 제공되는 서어비스는 블록 어드레스를 읽어낸 서류를 끼우기에 이상이 있는 회복기능의 제공, 소망블록의 읽어낸 상태의 확인(읽어낸 유효블록의 제크), 블록배열 구조의 설정, 중간 데이타괴의 생성, 인터리브방식/범위/구조의 복수제공, ECC방식/범위/구조의 복수제공등이 있다.
레이어4(프레젠테이션층)는, 서브세트의 생성을 보증하는 것을 기본적인 역할로 하고 있다. 이 레이어 4는, 서브세트엘리먼트를 링크하고 서브세트를 생성하기 위한 제조건을 규정한다. 이 레이어4에 요구되는 층내기능 즉 제공되는 서어비스는, 목적 파일에 필요한 서브세트 엘리먼트의 취사선택, 서브세트의 생성과 그 조건결정, DOS등으로의 적합데이타 변환, 등이 있다. 또한, 여기서, 서브세트란, 인지가능 정보단위데이타인 것이다. 즉, 상기 마크로 블록이나 수퍼마크로 블록은 소리나 그림이라고 말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한 것이고, 이것을 소리이면 소리만의 정보, 그림이면 그림만의 정보라고 말하는 것 같이 각각 하나의 정보 단위로서 인식되는 데이타의 괴로 나눈 각각의 데이타의 괴를 서프세트라고 칭한다.
레이어5(어프리케이션층)는, 파일관리의 양호한 운영을 확실히 보증하는 것을 기본적인 역할로 하고 있다. 이 레이어5는 파일관리를 행하기 위한 제조건 (즉, 파일생성조건등)을 규정한다. 이 레이어5에 요구되는 층내 기능, 즉 제공되는 서어비스는, 어프리케이션 리크애스트의 파일 또는 서브세트의 리드/라이트처리의 제공이 있다.
어프리케이션 프로세스는, MMP시스템을 이용하는 어프리케이션의 실현을 기본적인 역할로 하고 있다. 이 어프리케이션 프로세스는, 소스샘플데이타의 샤프핑 방식/구조, 암호화를 위한 스크린플 방식/구조, 데이타압축방식/구조, 소리 · 덱스트, 화상의 데이타 구조, 등이 있다. 이 어프리케이션 프로세스에 요구되는 기능, 즉 제공되는 서어비스는, 소스샘플데이타의 샤프링 방식의 제공, 스크린플 방식의 제공, 등이 있고, 필요에 다라서, 데이타 압축방식 · 압축/신장작업의 복수제공, 정보종류의 확인과 그 데이타 구조의 선택, 등을 포함할수가 있다.
제 3A 도 및 제 3B도는, 이와같은 재생측의 복수의 게층구조로, 다단계에 걸친 처리의 과정의 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N-SDUn은 N층 서어비스 데이타유닛n번(Nth Layer Service Data Unit, No.n)을, N-PDUn은 N층 프로토콜 데이타 유닛n번(Nth Layer Protocol Data Unit, No.n)을, N-PCIn은 N층 플로토콜 제어정보 n번(Nth Layer Protocol Control Informalion, No.n)(본 발명에서의 각종처리정보에 상당한다)을, N-UDn은 N층 이용자 데이타 n번(Nth Layer User Data. No.n)을 ADU는 어프리케이션 데이타 유닛(Application Data Unit)을, ACH는 어프리케이션 콘트롤헤더(Application Control Header)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n=1은 데이타, 2는 스테터스(상태)정보, 3은 제어정보를 나타낸다).
레이어 1, 즉 물리층은, 종이등의 정보기록(전송)매치(30)에 기록된 돗트 코드패턴을, 제 4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광학적으로 촬상하고,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기능 모듈(촬상계 모듈(32))과, 화상신호를 전처리(게인콘트롤, 등화처리)하고, 표본화/양자화하는 기능모듈(재생등화모듈(34), 양자화모듈(36))을 갖고, 또한, 양자화치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해서, 화상데이타를 생성하는 기능 모듈과, 화상데이타를 구조화해서, 구조정보(헤더 즉 제 1 의 처리정보)와 데이타 (화상데이타의 실체)로 되는 레이어 2에 출력하는 기능모듈, 처리에 관한 상태정보, 제어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모듈, 등을 갖는다.
이 레이어 1에서 상위의 레이어 2에는, 서어비스 데이타 유닛(1-SDU1)으로서, 촬상 프레임 단위의 구조화(화상)데이타가 넘겨진다.
레이어 2 결국 블록데이타 층은, 인접하위계층 결국 레이어 1에서 입력하는 구조화(화상)데이타(1-SDU1)를 2-PDU1로 해서 입력하고, 구조정보(2-PCI1즉 제 1 의 처리정보)와 데이타 실체(2-UD1)와를 인식분라해서, 데이타 실체를 처리의 적합형태로 변환하는 기능모듈과, 처리의 적합형태로 변환된 데이타 실체를 처리해서, 소정정보코드 단위에서 블록화되어 있는 복수의 블록을 추출하는 기능 모듈(블록단위 돗트 검출점 추출(마카검출, 패턴매칭 등) 모듈(38), 돗트검출(식별/판정)모듈(40))과, 추출된 블록을 처리해서, 블록단위의 정보코드를재생하는 기능모듈(블록 ID데이타 재생모듈(42), 블록내 데이타 재생모듈(44))을 갖고, 여기서, 블록단위의 정보코드는, 블록을 복수연결하기 위한 구조화 정보와 부호화 변조정보와 데이타 실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레이어 2는, 블록단위의 정보에서 상기 부호화 변조 정보를 읽어내서 이 부호화 변조정보에 따라서 데이타 실체를 복조하는 기능모듈(부호화 복조모듈(46))과, 복조된 블록화 정보코드의 구조화정보(블록헤더 즉 제 2 의 처리정보)와 데이타 실제(유저데이타)를 인접상위층 결국 레이어 (3)에 2-SDU1로 해서 출력하는 기능모듈, 처리에 관한 상태정보, 제어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모듈 등을 갖는다. 이 레이어 1에서 상위의 레이어 2에는 서어비스 데이타 유닛(1-SDU1)으로서, 촬상프레임 단위의 구조화(화상)데이타가 넘겨진다.
레이어 2 즉 블록데이타층은, 인접 하위계층 즉 레이어 1에서 입수하는 구조화(화상)데이타(1-SDU1)를 2-PDU1로해서 입력하고, 구조 정보(2-PCI1즉 제 1 의 처리정보)와 데이타 실체(2-UD1)와를 인식분리해서, 데이타 실체를 처리의 적합형태로 변환하는 기능모듈과, 처리의 적합형태로 변환된 데이타 실체를 처리해서, 소정정보코드단로 블록화되어 있는 복수의 블록을 추출하는 기능모듈(블록단위 돗트 검출점 추출(마카검출 패턴 매칭등) 모듈(38), 돗트검출(식별/판정)모듈(40))과, 추출된 불록을 처리해서, 블록단위의 정보코드를 재생하는 기능모듈(블록 ID데이타 재생모듈(42); 블록내 데이타 재생모듈(44))를 갖고, 여기서, 블록단위의 정보코드는, 불록을 복수 연결하기 위한 구조화 정보와 부호화 변조정보와 데이타 실체로된다. 다시 이레이어 2는, 블록단위의 정보에서 상기 부호화 변조 정보를 읽어내서, 이 부호화 변조정보에 따라서 데이타 실체를 복조하는 기능모듈(부호화 변조 모듈(45))과, 복조된 블록화 코드의 구조화 정보(블록헤더 즉 제 2 의 쳐리정보)와 데이타 실체(유저데이타)를 인접상위층 결국 레이어 3 에 2-SDU1로 해서 출력하는 기능모듈처리에 관한 상태정보, 제어정보를 입출하는 기능을; 등을 갖는다.
즉, 이 레이어 2에서는, 제 1 의 소정단위인 블록 데이타마다에, 화상데이타에서 블록단위 돗트검출점 결국 마카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마카에 따라선 블록 단위에 데이타 돗트의 검출을 행하고, 비트열의 데이타로 되돌린다. 이 처리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국제출원 번호 PCT/JP93/01377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블록단위에서의 이 데이타에 대해서, 우선 헤더 즉 블록 ID데이타를 재생하고, 그 후에 유저 데이타로서의 블록내 데이타를 재생하고, 부호화의 복조가 이루어져서, 블록 데이타 단위의 데이타로서 상위의 층, 즉 레이어 3에 넘겨진다.
레이어 3 결국 데이타링 층은, 인접하위층 결국 레이어 2에서 입력하는 블록화 정보코드(2-SDU1)를 3-PDU1로 해서 입력하고, 이것에서 구조화 정보(3-PCI1즉 제 2 의 처리정보)를 인식해서 읽어내서, 이 구조화 정보에 따라서 블록 단위의 데이타 실체(3-UD1)를 복수개 연결하고, 마크로 블록 내지는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구성)하는 기능모듈(불록링크(마크로 블록생성)모듈(48))를 갖는다.
즉, 제 5A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레이어 2에서는, 블록<A>,<B>,<C>, ···와 불록단위로 비트데이타열(도면에서는 시각적으로 걸리기쉽게, 일차원의 열이 아니고 이차원 결국 사각형을 나타내고 있음)을 받고, 각 블록의 선두에서 소정 비트분의 3-PCI1(제 2 의 처리정보)로서의 블록헤더와, 그 후의 3-UD1로서의 유저데이타를 인식분리하고, 그 블록 헤더에 써져 있는 정보에 따라서, 블록을 연결해서, 마크로 블록을 생성한다. 도면에서는, 4개의 블록 <A>~<B>에서 1개의 마크로 블록 <A>를 생성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생성된 마크로 블록은, 당해 마크로블록내에 분산 배치된 부대정보(마크로 블록 헤더 즉 제 2 의 처리정보의 하나)와, 데이타 실체(유저데이타)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는, 이제는 블록헤더의 정보는 사용되지(참조 않됨, 혹은 제거된다) 않으므로, 하얗게 표시하고 있다(제 5B 도 및 제 5C도에 하얗게 표시하고 있는 부분도 마찬가지의 의미), 즉, 처리 정보는, 다음의 단계에서 짜맞추어서 처음 이해될 수 있도록, 헤더의 정식의 형으로서의 유저데이타의 속에 들어가 있다. 예를들면, 마크로 볼록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어느 것이나 그 마크로 블록의 정보를 알 필요는 없다. 불록을 구조화해서 링크하면 된다는 처리정보만을 블록에서 받으면 된다. 따라서, 블록헤더로서는, 블록을 어떻게해서 링크하면 마크로 블록이 된다고 하는 처리정보 밖에 들어 있지않고, 이 후의 처리정보는 유저데이타속에 들어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블록의 링크에 필요한 정보(링크정보)만을 처리정보로 해서 보는 것만으로, 그 후에 이어지는 처리정보는 유저 데이타인 것으로가전해서, 읽을 수 없다. 그리고, 마크로 블록로서 연결되었다고 하면, 처리정보는 잘려버려져서(이것을 도면에서 희게 표시함), 다음의 처리를 위해서 필요한 처리정보는 유저데이타의 선두에서 헤더정보로서 읽어들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각 처리에 필요한 처리정보만을 읽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마크로 블록 헤더는, 마크로 블록을 연결해서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구성)하기 위한 구조화 정보(제 2 의 처리정보의 하나)와, 수퍼마크로 블록내에서 처리범위를 넘지 않는 인터리브처리와 틀린 정정처리에 관한 정보(제 3 의 처리정보)와, 서브세트 엘리먼트의 구성 사양 정보(서브세트 엘리먼트헤더 즉 제 3 의 처리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이중 적어도 인터리브처리와 틀린 정정처리에 관한 정보는, 유저데이타 실체와 독립한 틀림 정정능력을 갖는다.
또, 이 레이어3은, 상기 마크로 블록 헤더에서 인터리브정보를 읽어내고, 그것에 따라서 마크로 블록의 유저 데이타를 데인터리브하고, 그 후 마크로 블록 헤더에 틀린 정정 정보를 읽어내고, 그것에 다라서, 데인터리프 처리후의 유저 데이타를 틀림 정정하는 기능 모듈(마크로 블록 헤더 단위 데인터리브/에러 정정모듈(50))을 갖는다.
또한, 이 레이어 3은, 상기 마크로 볼록 헤더에서 수퍼 마크로 블록을 생성(구성)하기 위한 구조화 정보를 읽어내서, 그것에 따라서 마크로 블록을 복수개 연결하고,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구성)하기위한 구조화 정보를 읽어내서, 그것에 따라서 마크로 블록을 복수개연결하고,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구성)하는 기능모듈(마크로 블록링크(수퍼마크로 블록 생성) 모듈(52))를 갖는다.
즉, 제 5B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마크로 블록 헤더에 써져 있는 정보에 따라서, 마크로 블록을 연결해서, 수피마크로 블록을 생성한다. 도면에서는, 3개의 마크로 블록 <A>~<B>로 1개의 수회마크로 블록 <A>를 생성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생성된 수퍼마크로 블록은, 당해 수회 마크로 블록내에 중복 분산배치(예를들면, 마크로 블록 헤더로서의 결합후, 복수중복해서 수퍼마크로 블록에 존재하는 것으로 된다. 결국, 역방향으로 말하면 1개의 수퍼마크로 블록 헤더가 그대로 3개의 마크로 블록 각각에 배치되어 (=중첩) , 각 마크로 블록내에서 4개로 나누어져 있은(=분산)것으로 된다)된 부대정보(마포로 불록헤더)와, 데이타 실체(유저 데이타)로부터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퍼마크로 블록의 생성정보(제 2 의 처리정보)나, 수퍼마크로 블록 단위로 처리하지 않으면 않되는 정정, 데인터리브, 서브세트엘리먼트 구성사양이라고 말한 헤더정보(제3의 처리정보)를, 복수개의 마크로 블록에 중첩해서, 또한, 1개의 마크로 블록의 범위에서 인터리브 즉 분산해서 배치하고 있는 이유는, 헤더정보, 특히, 수퍼마크로 블록의 생성정보가, 필히 데이타로서 복원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즉, 코드패턴을 기록하는 정보기록 매체로 해서 통상사용되는 종이는, 자기디스크 등과 같이 매체가 안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나아가서는 종이의 질이나 인쇄의 상태가 변하면 매우 에러의 발생빈도가 높아진다. 그러므로, 유저 데이타의 중신을 다소는 틀렸다고 해도, 링크 정보나 처리를 하는 에러 정정이라고 말한 것은, 데이타로서 복원되지 않으면, 후의 처리가 성립않되므로, 중첩 분산기록 결국 2중, 3중으로 같은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이와같은 의미에서도, 처리정보에는, 독립한 정정도 걸리도록 한 규정으로하고 있다.
또, 이 레이어 3은, 상기 마크로 블록 헤더에서 인터리프정보를 읽어내고, 그것에 따라서 수퍼마크로 블록의 유저 데이타를 데인터리브하는 기능 모듈(수퍼마크로 블록 단위 데인터리브모듈(54))와, 상기 마크로 블록 헤더에서 에러정정정보를 읽어내고, 그것에 따라서, 데인터 리브 처리후의 유저데이타를 에러 정정하는 기능 모듈(수퍼마크로 블록 단위 데인터리프 모듈(56))을 갖는다.
또한, 이 레이어 3은, 마크로 블록 헤더에서 서브세트 엘리먼트의 구성사양정보 즉 서브세트 엘리먼트 헤더를 읽어내서, 그것에 따라서 상기 에러 정정후의 수퍼 마크로 블록의 유저 데이타에서 서브 세트엘리먼트를 분리하는 기능 모듈(서브세트 엘리먼트 단위 출력 처리 모듈(58))과, 이 분리된 서브세트 엘리먼트 단위를 인접상 위치, 즉 레이어 4에 3-SDU1로 해서 출력하는 기능모듈과, 처리에 관한 상태정보, 제어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모듈을 포함한다.
결국, 이 레이어 3은, 먼저 최초로 블록을 링크하고 즉 연결해서 마크로 블록을 생성하고, 또한 그것을 수퍼마크로 불록에 연결한다는 다단계의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생성된 마크로 블록의 마크로 블록 헤드에는, 수퍼마크로 블록내에서의 인터리브의 사양 에러 정정 사양(에러정정을 그 수퍼마크로 블록내에서 어느 사이즈로, 어느 방식으로, 어느 정도 행한다는 것을 표시한 정보), 서브세트 엘리먼트의 구성사양(서브세트 엘리먼트가 어떻게 구성되어서 존재하고 있는가의 정보)가 써져 있다.
그리고, 그와같은 마크로 블록 헤더정가, 하나의 마크로 블록내에 분산배치, 결국 인터리브되어 있다. 또, 마크로 블록헤더와 유저데이타는 별방식의 여러정보가 시행되고 있다. 그리고, 같은 마크로블록헤더정보가, 하나의 수퍼마크로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마크로블록 각각에 써져 있다. 결국, 상기 수퍼마크로 블록을 링크해서 만드는 정보와, 수퍼마크로 블록내에서의 인터리브의 거는 방법 등의 사양, 에러 정정사양, 서브세트 엘리먼트 구성사양등이, 어느 단위로 같은 것이 중복해서 써져, 또한, 이 소영역에서 분산되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마크로 블록 헤더 정보(제 2 의 처리정보)도 읽어내서, 우선 마크로 불록을 연결해서 수퍼마크로 블록을 만들고, 그후, 수퍼마크로 블록속의 중복한 마크로 블록 헤더속의 정보(제 3 의 처리정보)에서, 인터리프 사양을 먼저 읽고, 이 수퍼 마크로 블록 단위에서 데인터리브를 건다. 그후, 에러정정사양(에러 정정의 단위는 자유로 설정해도 된다)을 읽어내서, 그것에 따라서, 에러정정을 이 수퍼마크로 블록의 속에서 건다.
그리고, 에러정정처리후, 마크로 블록 헤드의 속에 써져 있는 서브세트 구성사양(제 3 의 처리정보)을 읽고, 수퍼마크로 블록을 서브세트 엘리먼트라는 개념의 데이타에 나누어서, 그것을 출력한다. 즉, 3-SDU1로 해서, 서브세트 엘리먼트 단위로 데이타가 상위층으로 받아 넘겨진다.
레이어 4 결국 프레젠 테이션 층은, 인접 하위층 즉 레이어 3에서 입력하는 서브세트 엘리먼트 단위의 데이타(3-SDU1)를 4-PDU1로 해서 입력하고, 여기서 구조화 정보(4-PCI1즉 제 4 의 처리정보)를 읽어내는 기능모듈(서브파일 링크 정보 읽어냄 모듈(60))과, 이 읽어낸 구조화 정보에 다라서 서브세트 엘리먼트 단위의 데이타 실체(4-UD1)를 연결하고, 서브세트를 생성(구성)하는 기능 모듈(서브세트엘리먼트 링크(서브세트의 생성)모듈(62))을 갖는다. 여기서, 서브세트 엘리먼트단위의 데이타는, 서브세트 엘리먼트를 연결해서 서브세트를 생성하는(구성한다) 구조화 정보(서브세트 엘리먼트헤더)와 유저 데이타 실체로부터 이루어진다.
또, 이 레이어 4는, 생성된 서브 세트에서, 인접 상위층과으이 기존 또는 신규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부대정보를 읽어내서, 인터페이스 접합을 행하는 기능모듈, 서브세트의 일부 또는 전부대 정보와 데이타 실체들 인접 상위층 측 레이어5에 4-SDU1로 해서 출력하는 기능모듈과, 처리에 관한 상태정보, 제어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모듈을 포함한다.
즉, 이 레이어 4에 있어서는, 레이어 3에서 서브세트 엘리먼트 단위의 데이타(예를들면 , 서브세트 엘리먼트 와 〈A〉와 〈B〉가 끌려 넘겨지므로, 이들 서브세트엘리먼트를 링크해서 하나의 서브세트(예를들면 서브세트〈A〉)를 만든다. 따라서, 서브세트 엘리먼트의 속에는 서브세트 엘리먼트를 링크해서, 어떻게 서브세트를 만드는가의 정보(제 4 의 처리정보0가 서프세트엘리먼트헤더로 해서 들어가 있다.
이렇게 하여 링크된 서브세트의 속에는, 서브세트 그것의 헤더정보와, 유저데이타가 써져 있다. 이 경우, 다시 상위계층에 서브세트가 몇개나 짜맞추어져서파일이라는 것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짜맞출때에 선두가 되는 서브세트(예를들면, 서브세트〈A〉)에는, 특히 그것을 나타내기 위한 특별한 헤더 정보가 써져 있다.
또한, 서브세트라는 것은, 전술한 바와같이, 파일을 형성하지 않아도 그 1개만으로 데이타로서 인간이 인지될 수 있도록 정보에의 변환이 가능한 정보의 괴의 것이다. 즉, 소리에서 소리의 데이타이고, 이 서브세트의 속에서 전부완결하고 있으므로, 이 서브세트 단위에서 소리로 되돌릴수가 있다. 결국, 파일을 형성하지 않아도, 이 단위에서 재생출력된다는 것이다.
또한, 제 5B 도는, 수퍼마크로 블록을 2개 연결해서 처음으로 서브세트가 3개되는 예를 표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서브세트 〈B〉와 같이, 이 2개의 수퍼마크로 블록〈A〉,〈B〉에 데이타가 걸쳐 있어도 된다.
레이어 5 즉 어프리케이션 층은, 인접 하위층 즉 레이어 4에서 입력하는 서브세트의 데이타(4-SDU1)를 5-PDU1로해서 입력하고, 이 서브세트의 부대정보(5-PCI1즉 제 5 의 처리정보) 또는 데이타 실체(5-UD1)에서 파일관리정보를 읽어내서, 그 파일 관리정보에 따라서 파일관리하고, 서브세트 단위 또는 서브세트를 연결해서 파일을 생성하고, 파일단위에서 읽어내는 기능모듈(파일 관리시스템 모듈(64)), 파일 관리에 따라 생성되는 단위 또는 파일 단위의 데이타 단위를 어프리케이션 프로세스에 5-SDU1로 해서 출력하는 기능 모듈과, 처리에 관한 상태정보, 제어정보를 입출려하는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즉, 이 레이어 5에서는, 파일관리가 이루어진다. 파일관리의 기능으로서는, 단지 서브세트를 통과시켜서, 다시 상위의 어프리케이션 프로세스의 편으로 넘기는 것도 될수 있고, 물론, 제 5C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이 레이어 5에서 파일을 형성해도 된다. 결국, 레이어 5는, 파일이나 서브세트단위로, 어프리케이션 프로세스의 편에 데이타를 넘기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실제로 파일에 결합된 형에서는, 서브세트가 결합된 파일이 되므로, 그속에는, 파일 헤더 즉 어프리케이션 콘트롤헤더와, 유저 데이타를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아프리케이션 콘트롤 헤더에는, 유저 데이타가 어떻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 유저 데이타의 신장정보, 등의 여러가지의 정보가 들어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레이어 3에 있어서는, 블록을 링크해서 일단 마크로블록을 작성후, 그들을 링크해서 수퍼마크로 블록을 작성하는 것으로 했으나, 마크로 블록을 만들지 않고, 블록에서 수퍼 마크로 블록을 작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실시예에 다라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요지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디지탈코드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코드패턴에서 기록되어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정보기록매체이고,
상기 코드패턴은, 이 코드패턴을 읽어내서 원래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복원하는 복원처리과정(논리적인 계층 구조에 의해서 실현되는 재생기능)에 다라서 데이타를 편집 처리학 위해서 필요한 처리정보(헤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즉, 복원처리과정에 필요한 처리정보를 코드패턴에 갖는 것으로, 처리방법 또는 처리 파라메타를 복수선택가능케 할 수가 있다.
도, 측정한 처리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미디어에 따른 정정처리방법 또는 장래적으로 발생하는 뛰어난 방법을 추가해서 복원처리를 행하는 것이 극히 용이하게 된다.
(2) 상기 코드 패턴은, 소정단위 마다의 데이타가 집합해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한 정보기록매체,
즉, 소정단위 마다에 구조화된 데이타괴를 취급하므로, 그 데이타 괴단위에서 처리를 완결시키게 되어, 독립한 처리가 가능하므로, 전체를 구조화해서 처리할 필요가 없고, 처리효율이 좋다.
(3) 상기 소정단위가, 데이타의 내용에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돗트로 되는 데이타 돗트패턴과, 상기 데이타 돗트패턴에는 없는 패턴을 갖는 마카로 되는 적어도 구성되는 블록인것을 특징으로 하는(2)에 기재한 정보기록매체.
즉, 데이타 돗트패턴과 마카와의 패턴상의 공통집합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양자의 식별이 극히 용이하다. 이 돗트매체에서 마카기준에 의해, 데이타 돗트의 읽어내는 점의 추출이, 이 돗트에서 추출하는 방법에 비해서 정확도가 좋고 또한 용이하게 행하여진다.
또한, 마카에 의해서, 소정단위의 데이타 영역의 검출이 용이하므로, 소정단위 소속의 데이타의 분리가 용이하다.
또, 데이타의 읽어내는 순서를 마카에 의해서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에 관한 부대정보가 불필요로 된다.
(4) 상기 복원처리과정이 소정수의 계층구조(논리적인 복수의 계층구조)를 가지고 계층화 되어 있고,
상기 코드패턴은, 각계층에 있어서 편집처리에 필요한 처리 정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한 정보기록매제.
즉, 계층화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복원처리과정을 계층마다에 완결한 처리과정과 계층간의 인터페이스 규약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처리과정의 일부변경을 여유없이 된 경우, 이 계층의 인접계층간의 인터페이스 규약을 지키는 것만으로, 이 계층의 변경을 행할 수 있고, 복원처리과정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한으로 된다.
또, 완결한 처리과정에서 필요한 편집처리정보가 코드패턴에서 추출되고, 계층 뇌기능 선택에 유연성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5) 상기 편집처리가, 데이타의 복수회의 구조적집합이산을 반복해서 행하여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항기재의 정보기록 매체.
즉, 면집처리가 소정데이타 단위에서 완결하도록 적의 집합, 이산을 행하는 것으로 처리단의의 독립성이 생겨, 데이타의 분할처리를 가능케하고, 처리의 효율화가 도모된다.
또, 비교적 기록밀도가 작은 매체라도, 적절한 분할 처리단위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용량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6), 상기 복원처리과정이 다단계를 행하여져, 이 각 단계에서의 편집처리에 필요한 처리정보가 상기 코드패턴내에 분산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1)에 기재한 정보기록매체.
즉, 편집처리정보을 읽어냄에 있어, 에러율을 열화시키는 커다란 요인인 퍼스트 에러률 코드패턴으로서의 돗트패넌의 분산배치에 의해서 격감시킬 수 있다.
(7), 상기 복원처리과정이 다단게로 행사여져, 이 다단계에서의 편집처리에 필요한 처리정보가 상기 코드패턴내에, 분산 또한 다중(중복)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1)에 기재한 정보기록매체.
즉, 편집처리에 가장 중요한 처리정보의 읽어냄에 있어 에러율을 열화시키는 커다란 요인인 퍼스트 에러률 코드패턴으로서의 돗트패턴으로의 분산배치에 의해서 격감시켜, 다시 다중화 배치하는 것에 의해, 바른 정보의 확율적 판단을 가능케 해서, 처리정보의 에러가 없는 입수를 실현한다.
(8) 상기 코드 패턴은 소정단위 마다의 데이타가 집합해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각 단계에서의 처리에 필요한 처리정보가 상기 각 단위마다 또는 각 단위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6) 또는(7)에 기재한 정보기록매체.
즉, 처리정보가 소정데이타 단위로 공통으로 규격화된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가능케하고, 각 소정 단위 데이타로부터의 처리정보 추출프로세스를 공통화 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의 결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처리정보를 특정의 처리단위 데이타에 한하는 것을 방지하는것에 의해, 소정 데이타 단위의 복원처리의 에러가, 소정단위 데이타를 집합시켜서 후단에 있어서 이용되는 처리정보의 에러에 파급하는것이 방지된다.
(9) 상기 소정단위가, 데이타의 내용에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돗트로 되는 데이타 돗트 패턴과, 상기 데이타 돗트 패턴에는 없는 패턴을 맞는 마카에서 최소 구성되는 블록인것을 특징으로하는 (8)에 기재한 정보기록매체.
즉, 상기(3) 및 (8)과 마찬가지의 효과에 가해, 처리정보는 용이하고 또한 추출가능한 소정단위 데이타의 소정위치에 분배되어 있으므로, 올바른 처리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돗트 패턴 코드이 검출되고, 결과로서 정확도가 좋게 처리정보가 추출된다.
(10) 상기 편집처리는 인터리브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타와 상기 처리정보와는 인터리브의 하는 방식을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1)에 기재한 정보기록매체.
즉, 데이타란 독립한 인터리브 방식을 처리정보로 적용하는 것에의해, 처리정보에 대해서는 간편하고, 효과적인 인터 리브 방식이 적용되고, 처리정보의 인터리브에 관한 정보 및 처리를 저감할 수 있다.
(11) 상기 편집처리는 에러검출 또는 에러 점점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타와 상기 처리정보와는 에러 검출 또는 에러 정정처리의 하는 방식을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1)에 기재한 정보기록매체.
특, 데이타란 독립한 에러검출/ 정정방식을 치리정보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처리정보에 대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에러검출/정정방식을 적용할 수 있고, 중요한 처리정보의 에러 정정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12)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디지탈코드 데이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코드 패턴에서 기록되어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정보기록매체이고,
상기 코드 패턴을 읽어내서 원래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복원하는 당해 정보기록매체에 적용할 복원수단이,
상기 읽어낸 코드패턴을 이미지(화상)로서의 코드 데이타로 변환함과 동시에, 이 코드 데이타에 상기 읽어내는 것에 관한 정보(해상도, 활상범위, 코드데이타의 표현형식 등)를 제 1의 처리정보(구조화 정보(헤더)/2-PCI1)로 해서 부가해서 출력하는 제 1의 계층처리 수단(레이어1/물리층)과,
상기 제 1의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제 1의 처리정보를 인식해서(읽어내서) 상기 제 1의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코드데이타를 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코드데이타를 소정의 단위마다에 모은 블록을 생성해서 출력하는 제 2의 계층처리수단(레이어 2/블록데이타 층)과,
상기 제 2의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불록을 모아서, 보다 커다란 소정단위의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서 최소 필요한 제2의 처리정보(블록헤더/3-PCI1)를, 상기 블록의 코드 데이타에서 추출해서 인식하고, 이 제 2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하고, 에러 대책에 관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 3의처리정보(마크로 블록헤더의 인터리프처리와 에러 정정처리에 걸리는 정보에 대응)를 상기 수퍼 마크로 블록에서 추출인식하고, 이 제 3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수퍼 마크로 블록의 에러 대책에 관한 처리를 행하고, 다시 상기 수퍼 마크로 블록을 상기 제 3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생성된 서프세트 엘리먼트를 출력한는 제 3의 계층처리 수단(레이어3/ 데이타 링 층)과,
상기 제 3의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서브세트 엘리먼트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봐를 복원가능한 소정단위의 코드로 이루어지는 서브세트를 생성하기 위해서 최소 필요한 처리정보(서브세트 엘리먼트 헤더/4-PCI1)를, 상기 서브세트 엘리먼트에서 추출해서, 이 제 4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생성된 서브세트를 출력하는 제 4의 계층처리 수단(레이어4/프레젠테이션층)에서 최소 되고,
상기 코드 패턴은, 상기 제 2의 처리정보와 제 3의 처리 정보와 제 4의 처리정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기록매체.
즉, 제 1의 계층처리수단은, 광학적으로 읽어낸 코드패턴의 디지탈이미지 데이타를 생성해서, 데이타 구조정보와 포함해서 출력하는 기능을 담담한다. 그리고, 이 출력하는 이미지 데이타의 구조정보인 제 1의 처리정보에 의해, 이미지 데이타의 생성기능의 실현수단은 자재로 구축되고, 범용성이 풍부하다.
또, 제 2의 계층처리수단은, 입력하는 이미지 데이타에서 소정단ㄹ위데이타인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에 관한 처리후의 블록 데이타를 출력하는 것만의 기능으로 완결하고 있으므로, 그 기능의 실현수단은 자재로 구축되고, 범용성이 풍부하다.
또한, 제 3의 계층처리수단은, 블록에서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제 2의 처리정보를 추출 °인식해서 수퍼 마크로 블록을 생성하기 때문에, 블록의 입수순서가 규정되지 않어도 되고, 유연성이 풍부하다.
또, 중복입력된 경우의 블록의 적정한 선택이 가능해지고, 에러율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퍼 마크로 블록의 사이즈, 구조, 에러 대책에 관한 처리는, 제 3의 처리정보에 의해서 임의로 선택된다. 서브세트 엘리먼트의 단위도, 제 3의 처리 정보에 의해서 임의로 선택된다.
또, 제 4의 계층처리수단는, 서브세트 엘리먼트에서 제 4의 처리정보를 추출해서, 그것에 의해 서브세트를 생성하므로, 범용적인 서브세트 생성하므로, 범용적인 서브세트 생성구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복원 도중에만 필요한 중간 데이타 단위(수퍼 마크로 블록)와 최종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구성하는 단위 (서브세트 엘리먼트)와를 독립구조로 해서 취급하는 것을 가능케하고 있으므로, 코드 패턴 기록효율이 효과적으로 제어된다.
또, 각 계층에서의 각 처리는 코드 패턴에 포함되어 있는 처리 정보에 의해서 관리 °제어되므로, 기록시 생성의 코드 패턴구조에 의존하는 일 없이 정보를 읽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다른 구조를 갖는 코드패턴에 대해서도 호환성을 유지하고 유연히 대처된다.
(13) 상기 복원수단이 다시, 상기 서브세트를 소정의 관리정보에 따른 파일로서 생성하기 위해서 최소 필요한 제 5의 처리정보 세트의 부대정보/5-PCI1)를, 상기 서브세트에서 추출해서, 이 제 5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생성된 파일을 출력하는 제 5의 계층처리수단(레이더5/어프리 메이션 층)을 갖고,
상기, 코드패턴은, 상기 제 5의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12)에 기재한 정보기록매체.
즉, 서프세트를 구성해서 파일로 함에 있어, 서브 세트내에 갖는 제 5의 처리정보에서 구성정보를 입수하므로, 유연하게 파일구조가 구축되고, 어프리케이션의 구축또는 활용범위를 극히 넓게 할 수가 있다.
(14)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디지탈코드 데이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정보가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코드패턴에서 기록되어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정보기록매체에서, 상기 코드 패턴을 광학적으로 읽어내서 원래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수단이 있는 정보 재생장치이고,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코드패턴에 포함되는 복원처리과저아에 따라서, 데이타를 편집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처리정보에 따라 데이타의 처리를 행하는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재생장치.
즉, 정보 처리과정에 필요한 처리정보를 코드패턴내에 갖는 것으로, 처리방법 또는 처리 파라미터를 복수선택 가능케 할 수가 있다.
또, 특정한 처리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미디어에 따른 적정처리 방법 또는 장래적으로 발생하는 뛰어난 방법을 추가해서 복원처리를 행하는 것이 극히 용이하게 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15) 상기 코드패턴은, 소정단위마다의 데이타가 집합해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14)에 기재한 정보재생장치.
즉, 소정단위마다에 구조화된 데이파 괴를 취급하는 것으로, 그 데이타괴 단위에서 처리가 완결되어, 독립한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를 구조화해서, 처리할 필요가 없고, 처리, 효율이 좋은 장치가 제공된다.
또, (16) 상기 소정단위가,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돗트로 되는 돗트패턴과, 상기 데이타 돗트에는 있지 않은 패턴을 갖는 마카로 최소로 구성되는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에 기재한 정보재생장치.
즉, 데이타 돗트 패턴과 마카와의 패턴상의 공통집합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양자의 식별이 극히 용이한 장치가 제공된다.
마카기준에 의해 데이타 돗트의 읽어내는 점의 추출이 이 돗트에서 추출하는 방법에 비해서 정밀도 좋고, 또한 용이하게 행하여지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마카에 의해서 소정단위의 데이타 영역의 검출이 용이하여, 소정단위 소속의 데이타의 분리가 용이한 장치가 제공된다.
또, 데이타의 읽어내는 순서를 마카에 의해서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에 관한 부대정보가 불요로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17) 상기 복원과정이 소정수의 계층구조를 갖이고 계층화되어 있고,
각 계층에 있어서 편집처리에 필요한 처리정보를 상기 코드패턴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하는(14)에 기재한 정보 재생장치.
즉, 계층화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복원처리과정을 계층마다에 완결한 처리과정과 계층간의 인터페이스 규약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처리 과정의 일부변경을 어쩔수 없이 된 경우, 이 계층의 인접계층간의 인터 페이스 규약을 지키는 것 만으로, 이 계층의 변경을 행할 수 있고, 복원처리과정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한으로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 완결한 처리과정에서 필요한 편집처리정보가 코드패턴에서 추출되고, 코드패턴의 읽어내는 호환성 또는 계층내 기능선택에 유연성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한 장지가 제공된다.
(18) 상기 편집처리는, 데이타의 복수개의 구조적 집합 °이산을 반복해서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14)에 기재한 정보재생장치.
즉, 편집처리가 소정데이타 단위에서 완결하도록 적의 집합 °이산을 행하므로 처리단위의 독립성이 생기고, 데이타의 분할처리를 가능케하고, 처리의 효율화가 도모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 비교적 기록밀도가 작은 매체라도, 적절한 분할처리단위가 되기 때문에 기록용량의 이용효율을 높힐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19) 상기 복원 처리과정이 다단계로 행하여져, 이 각단계에서의 편집처리에 필요한 처리정보가 상기 코드패턴내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14)에 기재한 정보재생장치.
즉, 편집처리정보의 읽어냄에 있어, 에러율을 열화시키는 커다란 요인인 퍼스트에러를 코드패턴으로서의 돗트 패턴으로의 분산배치에 의해서 격감시킬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20), 상기 복원처리과정이 다단계로 행하여져,
이 다단계에서의 편집처리에 필요한 처리정보가 상기 코드 패턴내에, 분산 또한 다중(중복)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14)에 기재한 정보재생장치.
즉, 편집처리정보를 읽어냄에 있어, 에러율을 열화시키는 커다란 요인인 퍼스트 에러를 코드패턴으로서의 돗트패턴의 분산배치에 의해서 격감시켜, 다시 다중화 배치하는 것에 의해, 올바른 정보의 확율적 판단을 가능케해서, 처리정보의 에러가 없는 입수를 실현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21) 상기 코드패턴은 소정단위마다의 데이타가 집합해서 배치되어 있어,
상기 각 단계에서의 처리에 필요한 처리정보가 상기 상기 각 단위마다 또는 각 단위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19) 또는(20)에 기재한 정보재생장치.
즉, 처리정보가 소정데이타 단위에서 공통으로 규정된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가능케하고, 각 소정단위 데이타에서의 처리정보 추출 프로세스를 공통화 되기 때문에, 처리의 경감을 실현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 처리정보를 특정의 처리단위데이타에 기우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소정 데이타 단위의 복원처리의 에러가 소정단위 데이타를 집합시켜서 후단에 있어서 이용되는 처리정보의 에러에 파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22) 상기 소정단위가, 데이타의 내용에 따라서 배열된 돗트로 이루어지는데이타 돗트 패턴과, 상기 데이타 돗트 패턴에는 있지 않은 패턴을 갖는 마카로 부터 적더라고 구성되는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하는(21)에 기재한 정보재생장치.
즉, 상기(16) 및 (21)과 마찬가지의 효과에 가해, 처리정보는 용이하고 또한 정밀도 좋게 추출 가능한 소정단위 데이타의 소정위치에 나누어져 있으므로, 올바른 처리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돗트 패턴 코드가 검출되고, 결과로서 정밀도 좋게 처리정보를 추출할 수 잇는 장치가 제공된다.
(23) 상기 편집처리는 인터리브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타와 상기 처리정보와는 인터리브의 하는 방식을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에 기재한 정보재생장치.
즉, 데이타란 독립한 인터리브 방식을 처리정보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처리정보에 대해서는 간편하고 효과적인 인터리브 방식이 적용되고, 처리정보의 인터리브에 관한 정보 및 처리를 저감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24) 상기 편집처리는 에러검출 또는 에러 정정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타와 상기 처리정보는 에러검출 또는 에러 정정처리의 하는 방식을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14)에 기재한 정보재생장치.
즉, 데이타란 독립한 에러검출/정정방식을 처리 정보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처리정보에 대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에러검출/ 정정방식을 적용할 수 있고, 중요한 처리정보의 에러 정정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필수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25)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디지탈코드 데이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코드 패턴에서 기록되어 있는부분을 구비하는 정보기록매체에서, 상기 코드 패턴을 광학적으로 읽어내서 원래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수단이 있는 정보재생장치이고,
상기 코드 패턴은, 이 코드패턴을 읽어내서 원래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복원하는 복원 처리과정에 따라서 데이타를 편집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정보를 포함한 코드패턴이고,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처리정보에 따라서, 읽어낸 코드패턴에 따른 제 1의 소정단의(블록)마다의 데이타를 소정수 놓아서 구조화 하는 것에 의해, 제 2의 소정단위(수퍼 마크로 블록)의 데이타를 생성하는 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재생장치.
즉, 블록의 데이타의 취득순서에 의존하지 않고,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돗트 패턴의 읽어냄 주사방향을 자유로 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동일 블록의 데이타가 중복해서 취득된 경우, 불록이 에러상태에 의해서 적당히 선택 가능하게 하는 것이 되고, 에러의 저감을 도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동일 블록의 데이타가 중복해서 취득된 경우, 블록내 처리의 단위(복조단위)에서 그 에러상태에 따라서 치환등의 보상이 가능해지고, 에러저감이 도모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25)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처리정보에 따라서, 읽어낸 코드 패턴에 따라서 상기 제 1의 소정단위(불록)마다의 데이타를 소정수 놓아서 구조화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의 소정단위(수퍼마크로 블록)의 데이타를 생성함에 있어, 상기 제 1의소정단위(블록)를 구조화하는 것에 의해 제 3의 소정단의(마크로 블록)를 생성하고, 이 제 3의 소정단의(수퍼마크로 블록)의 데이타를 생성하는 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25)에 기재한 정보재생장치.
즉, 마크로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서, 블록에 포함한 마크로 블록구조화 정보는, 단숨에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퍼마크로 블록 구조화 정보보다 작아지므로, 합계한 구조화정보를 작게 할 수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 수퍼마크로 블록의 처리에 필요한 처리정보를 마크로 블록단위마다에 갖게 할 수가 있고, 수퍼마크로 블록용 처리정보의 배치 °구조화가 단순히 구축됨과 동시에, 다중화 구조로 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27) 상기 제 2의 소정단위(수퍼마크로 블록)의 데이타를 1내지 복수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이것을 이산내지 집합시켜서 제 4의 소정단위(서프세트엘리먼트)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완결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재생해서 얻는 데이타를 생성하는 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5) 또는 (26)에 기재한 정보재생장치.
즉, 복원 도중에만 필요한 중간 데이타단위(수퍼 마크로 블록)와 최종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구성하는 단위 (서브세트 엘리먼트)와를 독립구조로 해서 취급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있으므로, 코드패턴 기록 효율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28) 상기 제 2의 소정단위(수퍼 마크로 블록)로 데이타 및/또는 처리정보의 인터리브의 범위에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25) 또는 (26) 또는 (27)에 기재한 정보재생장치.
즉, 인터리브 범위의 가변성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정보기록매체의 상태에 의존하는 코드패턴의 에러발생상태에 맞추어서 인터리브범위를 설정할 수가 있고, 에러율을 저감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29) 상기 제 2의 소정단위(수퍼 마크로 블록)는, 데이타 및/또는 처리정보의 에러 검출 또는 에러정정의 범위보다도 크거나 내지는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25) 또는 (26) 또는 (27)에 기재한 정보 재생장치.
즉, 수퍼 마크로 불록범위를 기준으로 해서 에러 정정범위를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기록 매체의 상태에 의존하는 코드 패턴의 에러 발생상태에 최적한 정정조건이 설정되고, 에러율을 저감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30),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디지탈코드 데이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코드 패턴에서 기록되어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기록매체에서, 상기 코드 패턴을 광학적으로 읽어내서 원래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수단이 있는 정보재생장치고,
상기 복원수단은, 다단계의 복원처리과정에 따라서 데이타를 편집 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정보를, 당해 단계보다 이전의 단계에 있어서의 데이타에서 추출하는 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재생장지.
즉, 당해 처리과정에 필요한 처리정보만을 이전의 데이타에서 추출하면 좋으므로, 데이타속의 필요최소한의 처리정보를 취득함에 필요한 처리정보의 존재위치 등의 구조가 나누어져 있으면 된다. 그 구조정보도 동시에 필요최소한으로 되고, 처리 효율이 뛰어난 장치가 제공된다.
(31) 당해 단계에서의 편집처리에 이용하고, 불필요로된 처리정보를 제거하는 수단을 다시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30)에 기재한 정보재생장치.
즉, 처리후 불필요한 처리정보는 파기되므로, 처리가 진행됨에 다라, 데이타량이 소멸되어 가는 것으로 되고, 따라서, 처리에 필요한 메모리 등의 절약이 가능한 장치가 제공된다.
(32),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디지탈코드 데이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코드에서 기록되어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기록매체에서, 상기 코드를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수단과, 이 읽어내는 수단에서 읽어낸 코드를 원해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복원하는 복원수단과, 이 복원수단에 의해 복원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과를 구비한 정보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이,
상기 읽어내는 수단에서 읽어낸 코드를 이미지(화상)로서의 코드데이타로 변환함과 동시에, 이 코드데이타에 상기 읽어내는 것에 관한 정보(해상도, 활상범위, 코드데이타의 표현형식 등)를 제 1의 처리정보로서 부가해서 출력하는 제 1의 계층처리수단과,
상기 제 1의 계층처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 1의 처리정보를 읽어내서, 상기 제 1의 계층처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코드데이타를 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코드데이타와 소정의 단위마디로 놓은 불록을 생성해서 출력하는 제 2의 계층처리 수단과, 상기 제 2의 계층처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블록을 놓아서, 보다 커다란 소정단위의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2의 처리정보를, 상기 불록의 코드데이타에서 추출해서 인식하고, 이 제 2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수퍼 마크로 블록을 생성하고, 에러 대책에 관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 3의 처리정보를 상기 수퍼 마크로 블록에서 추출인식하고, 이 제 3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수퍼 마크로 블록의 에러정보에 관한 처리를 행하고, 다시 상기 수퍼 마크로 블록을 상기 제 3의 처리정보에 따서서, 이산해서 생성된 서브세트 엘리먼트를 출력하는 제 3의 계층처리 수단과,
상기 제 3의 계층처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서브세트 엘리먼트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복원 가능한 소정단위의 코드로 이루어지는 서브세트를 생성하기 위해서 최소 필요한 제 4의 처리정보를, 상기 서브세트 엘리먼트에서 추출해서, 이 제 4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생성된 서브세트를 출력하는 제 4의 계층처리수단으로 이루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즉, 제 1의 계층처리수단은, 광학적으로 읽어낸 코드패턴의 디지탈 이미지 데이타를 생성해서, 데이타 구조정보와 합해서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이 출력하는 이미지 데이타의 구조정보인 제 1의 처리정보에 의해서, 이미지 데이타의 생성기능의 실현수단은 자유로 구축되고, 범용성이 풍부한 장치가 제공된다.
또, 제 2의 계층처리수단은, 입력하는 이미지 데이타에서 소정단위 데이타인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에 관한 처리수의 블록 데이타를 출력하는 것만의 기능으로 완결하고 있으므로, 그 기능의 실현수단은 자재로 구축되고, 범용성이 풍부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제 3의 계층처리수단은, 블록에서 수퍼 마크로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제 2의 처리정보를 추출 °인식해서 수퍼 마크로 블록을 생성하기 때문에, 블록의 장치가 제공된다. 또, 중복 입력된 블록의 적정한 선택이 가능케 되고, 에러율이 저감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퍼 마크로 블록의 사이즈, 구조 °에러대책에 관한 처리는 제 3의 처리정보에 의해서 임의로 선택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그 위에, 서브세트 엘리먼트의 단위 및 수퍼 마크로 블록 내의 배치; 구성도, 제 3의 처리정보에 의해서 임의로 선택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 상기 제 4의 계층처리수단은, 서브세트 엘리먼트에서 제 4의 처리정보를 추출해서, 그것에 의해 서브세트를 생성하므로, 범용적인 서브세트 생성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원 도중에만 필요한 증간 데이타 단위(수퍼 마크로 블록)와 최종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구성하는 단위 (서브세트 엘리먼트)와를 독립구조로 해서 취급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있으므로, 코드패턴 기록효율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 각 계층에서의 각 처리는, 코드 패턴에 포함되어 있는 처리정보에 의해서 관리 °제어 되므로, 기록시 생성의 코드 패턴 구조에 의존하는 일 없이 정보를 읽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다른 구조를 갖는 코드 패턴에 대해서도 호완성을 유지하고, 유면에 대처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33), 상기 복원수단이 다시, 상기 서브세트를 소정의 관리정보에 따른 파일로서 생성하기 위해서 최소 필요한 제 5의 처리정보를, 상기 서프 세트에서 추출해서 이 제 5의 처리정보에 따라서 생성된 파일을 생성하는 제 5의 계층처리수단을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32)에 기재한 정보재생장치.
즉, 서프 세트를 구성해서 파일로 할 때에, 서프 세트내에 갖는 제5의 처리정보에서 구성정보를 입수하므로, 유연하게 파일구조가 구축되고, 어프리케이션의 활용범위를 극히 널게 할 수가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드 패턴자체의 구조가 장래적으로 변해도 대처 가능한 정보기록매체 및 정보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0)

  1.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디지털로드데이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정보가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코드패턴으로 기록되어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정보기록매체이고,
    상기 코드패턴은 이 코드패턴을 판독하여 원래의 멀티미디어정보에 복원하는 복원처리과정에 따라 데이타를 편집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정보로서, 제 1 의 소정단위의 데이터를 어떻게 링크하여 제 2 의 소정단위의 데이터를 구성하는가라는 데이터의 링크방식을 나타내는 구조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패턴은 소정단위마다의 데이타가 집합해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단위가, 데이타의 내용에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돗트로 이루어지는 데이타돗트패턴과, 상기 데이타돗트패턴에는 있을 수 없는 패턴을 가지는 마카로 적어도 구성되는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처리과정이 소정수의 계층구조를 가지고 계층화되어 있고,
    상기 코드패턴은, 각 계층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링크에 필요한 상기 구조화정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처리과정이 다단계로 실시되고,
    이 각 단계에서의 데이터의 링크에 필요한 상기 구조화정보가 상기 코드패턴 내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처리과정이 다단계로 실시되고,
    이 각 단게에서의 데이터의 링크에 필요한 상기 구조화정보가 상기 코드패턴내에 분산 또한 다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도 기록매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패턴은 소정단위마다의 데이타가 집합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각 단계에서의 데이터의 링크에 필요한 상기 구조화정보가 상기 각 단위마다 또는 각 단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단위가 데이타의 내용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돗트로 이루어지는 데이타돗트패턴과, 상기 데이타돗트패턴에는 있을 수 없는 패턴을 가지는 마카로 적어도 구성되는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9.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디지털코드데이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정보가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코드패턴으로 기록되어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정보기록매체로서,
    상기 코드패턴을 판독하여 원래의 멀티미디어정보에 복원하는 해당 정보기록매체에 적용해야 할 복원수단이,
    상기 판독한 코드패턴을 이미지로서의 코드데이타로 변환하는 동시에 이 코드데이타에 상기 판독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제 1 의 처리정보로서 부가하여 출력하는 제 1 계층처리수단과,
    상기 제 1 의 계층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처리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제 1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코드데이타를 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코드데이타를 소정의 단위마다 모은 블록을 생성해서 출력하는 제 2 계층처리수단과,
    상기 제 2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블록을 모아서, 보다 커다란 소정단위의 수퍼마크로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필요한 제 2 의 처리정보를, 상기 블록의 코드데이타로부터 추출해서 인식하고, 이 제 2 의 처리정보에 의거하여 수퍼마크로블록을 생성하고, 에러대책에 관한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제 3 의 처리정보를 상기 수퍼마크로블록에서 추출 인식하고, 이 제 3 의 처리정보에 의거하여 수퍼마크로블록의 에러대책에 관한 처리를 실시하고, 다시 상기 수퍼마크로블록을 상기 제 3 처리정보에 의거하여 이산해서 생성된 서브세트 엘리먼트를 출력하는 제 3 의 계층처리수단과,
    상기 제 3 의 계층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서브세트 엘리먼트에서, 상기멀티미디어 정보를 복원가능한 소정단위의 코드로 이루어지는 서브세트를 생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필요한 제 4 의 처리정보를 상기 서브세트 엘리먼트에서 추출해서 이 제 4 처리정보에 의거하여 생성된 서브세트를 출력하는 제 4 의 계층처리수단으로 적어도 이루어지고,
    상기 코드패턴은 상기 제 2 내지 제 4의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이 다시, 상기 서브세트를 소정의 관리정보에 따른 파일로서 생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필요한 제 5 의 처리정보를 상기 서브세트로부터 추출해서, 이 제 5 의 처리정보에 의거하여 생성된 파일을 출력하는 제 5 의 계층처리수단을 갖고,
    상기 코드패턴은 상기 제 5 의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기록매체.
  11.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디지털코드데이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정보가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코드패턴으로 기록되어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정보기록매체에서, 상기 코드패턴을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원래의 멀티미디어정보에 복원하기 위한 복원수단을 갖는 정보재생장치이며,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코드패턴에 포함되는 복원처리과정에 따라서, 데이타를 편집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처리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타의 처리를 실시하는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패턴은, 소정단위마다의 데이타가 집합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단위가 데이타의 내용에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돗트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돗트패턴과, 상기 데이터 돗트패턴에는있을 수 없는 패턴을 가지는 마커로 적어도 구성되는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과정이 소정수의 계층구조를 가지고 계층화되어 있고,
    각 계층에 있어서 편집처리에 필요한 처리정보를 상기 코드패턴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처리가 데이타의 복수회의 구조적 집합 이산을 반복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처리과정이 다단계로 실시되고, 이 각단계에서의 편집처리에 필요한 처리정보가 상기 코드패턴 내에 분산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처리과정이 다단계로 실시되고,
    이 각 단계에서의 편집처리에 필요한 처리정보가 상기 코드패턴 내에 분산 또한 다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패턴은 소정단위마다의 데이타가 집합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각 단계에서의 처리에 필요한 처리정보가 상기 각 단위마다 또는 각 단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단위가 데이타의 내용에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돗트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돗트패턴과, 상기 데이터 돗트패턴에는 있을 수 없는 패턴을 가지는 마카로 적어도 구성되는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처리는 인터리브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타와 상기 처리정보와는 인터리브의 방식을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처리는 에러검출 또는 에러정정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타와 상기 처리정보는 에러검출 또는 에러정정처리의 방식을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22.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디지털코드데이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정보가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코드패턴으로 기록되어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정보기록매체에서, 상기 코드패턴을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원래의 멀티미디어정보에 복원하기 위한 복원수단을 갖는 정보재생장치로서,
    상기 코드패턴은 해당 코드패턴을 판독하여 원래의 멀티미디어정보로 복원하는 복원처리과정에 따라서 데이타를 편집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정보를 포함하는 코드패턴이고,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처리정보에 의거하여 판독한 코드패턴에 따른 제 1 소정단위마다의 데이타를 소정수 모아 구조화하는 것에 의해, 제 2 의 소정단위의 데이타를 생성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처리정보에 의거하여 판독한 코드패턴에 따라 상기 제 1 의 소정단위마다의 데이타를 소정수 모아서 구조화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의 소정단위의 데이타를 생성함에 있어, 상기 제 1 의 소정단위를 구조화하는 것에 의해 제 3 의 소정단위를 생성하고, 이 제 3 의 소정단위를 구조화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소정단위의 데이타를 생성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소정단위의 데이타를 1개 내지 복수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이것을 이산 내지 집합시켜서 제 4 소정단위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완결한 멀티미디어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데이타를 생성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소정단위는 데이타 및/ 또는 처리정보의 인터리브 범위에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소정단위는 데이타 및/ 또는 처리정보의 에러검출 또는 에러정정의 범위보다도 크거나 내지는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27.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디지털코드데이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정보가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코드패턴으로 기록되어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기록매체에서, 상기 코드패턴을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원래의 멀티미디어정보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수단을 갖는 정보재생장치로서,
    상기 복원수단은, 다단계의 복원처리과정에 따라 데이타를 편집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처리정보를, 당해 단계보다 이전 단계에서의 데이타에서 추출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당해 단계에서의 편집처리에 이용해서 불필요하게 된 처리정보를 제거하는 수단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29.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디지털코드데이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정보가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코드로 기록되어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기록매체에서 상기 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이 판독수단으로 판독한 코드를 원래의 멀티미디어정보로 복원하는 복원수단과, 이 본원수단에 의해 복원된 멀티미디어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정보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이,
    상기 판독수단으로 판독한 코드를 이미지로서의 코드데이타로 변환함과 동시에 이 코드데이타에 상기 판독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제 1 의 처리정보로서 부가하여 출력하는 제 1 의 계층처리수단과,
    상기 제 1 의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제 1 의 처리정보를 인식해서, 상기 제 1 의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코드데이타를 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코드데이타를 소정의 단위마다 모은 블록을 생성해서 출력하는 제 2 의 계층처리수단과,
    상기 제 2 의 계층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블록을 모아서 보다 커다란 소정단위의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필요한 제 2 의 처리정보를 상기 블록의 코드데이타로에서 추출해서 인식하고, 이 제 2 의 처리정보에 의거하여 수퍼마크로 블록을 생성하며, 에러대책에 관한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제 3 의 처리정보를 상기 수퍼마크로 블록에서 추출인식하고, 이 제 3 의 처리정보에 의거하여 수퍼마크로 블록의 에러대책에 관한 처리를 실시하고, 다시 상기 수퍼마크로 블록을 상기 제 3 의 처리정보에 의거하여 이산해서 생성된 서브세트 엘리먼트를 출력하는 제 3 계층처리 수단과,
    상기 제 3 의 계층처리수단에서 출력되는 서브세트 엘리먼트에서, 상기 멀티미디어정보를 복원가능한 소정단위의 코드로 이루어지는 서브세트를 생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필요한 제 4 의 처리정보를, 상기 서브세트 엘리먼트로부터 추출해서, 이 제 4 의 처리정보에 의거하여 생성된 서브세트를 출력하는 제 4 의 계층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이 다시 상기 서브세트를 소정의 관리정의에 따른 파일로서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필요한 제 5 의 처리정보를, 상기 서브세트에서 추출해서 이 제 5 의 처리정보에 의거하여 생성된 파일을 출력하는 제 5 계층처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재생장치.
KR1019960700564A 1994-06-02 1995-05-31 정보기록매체및정보재생장치 KR100374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1368A JP2916373B2 (ja) 1994-06-02 1994-06-02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JP94-121368 1994-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4131B1 true KR100374131B1 (ko) 2003-05-09

Family

ID=14809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564A KR100374131B1 (ko) 1994-06-02 1995-05-31 정보기록매체및정보재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5898709A (ko)
EP (2) EP0713194A4 (ko)
JP (1) JP2916373B2 (ko)
KR (1) KR100374131B1 (ko)
AU (1) AU703385B2 (ko)
WO (1) WO1995034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6373B2 (ja) * 1994-06-02 1999-07-0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JPH0837567A (ja) * 1994-07-26 1996-02-06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JP3518897B2 (ja) * 1994-09-05 2004-04-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JPH0887577A (ja) * 1994-09-19 1996-04-02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JP2952170B2 (ja) * 1994-12-16 1999-09-2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情報再生システム
GB2314481A (en) * 1996-06-19 1997-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paper as the recording medium in a facsimile system
JP3053576B2 (ja) 1996-08-07 2000-06-1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コードイメージデータ出力装置及び出力方法
JP2942736B2 (ja) * 1996-09-03 1999-08-3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コード記録装置
DE19709305A1 (de) * 1997-03-07 1998-09-17 Fraunhofer Ges Forschung Vorrichtung zur Ausgabe von auf einem Datenträger digital gespeicherten Daten
JPH10256921A (ja) * 1997-03-13 1998-09-25 Olympus Optical Co Ltd ディジタルデータの変調及び復調方法並びにディジタルデータの変調及び復調装置
KR100272493B1 (ko) * 1997-08-30 2000-11-15 윤종용 디지탈비디오디스크및컴팩트디스크공용데이타프로세서장치
US7954056B2 (en) * 1997-12-22 2011-05-31 Ricoh Company, Ltd. Television-based visualization and navigation interface
US7263659B2 (en) * 1998-09-09 2007-08-28 Ricoh Company, Ltd. Paper-based interface for multimedia information
US7596755B2 (en) * 1997-12-22 2009-09-29 Ricoh Company, Ltd. Multimedia visualization and integration environment
JPH11213085A (ja) * 1998-01-30 1999-08-06 Olympus Optical Co Ltd コードイメージ記録装置
JPH11353420A (ja) * 1998-06-08 1999-12-24 Olympus Optical Co Ltd コードイメージ読取装置
US7215436B2 (en) * 1998-09-09 2007-05-08 Ricoh Company, Ltd. Device for generating a multimedia paper document
US7263671B2 (en) * 1998-09-09 2007-08-28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annotating multimedia information
US7266782B2 (en) * 1998-09-09 2007-09-04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generating a coversheet for a paper-based interface for multimedia information
US6715684B1 (en) 1999-09-06 2004-04-06 Olympus Optical Co., Ltd. Code reading apparatus
JP2001076113A (ja) 1999-09-06 2001-03-23 Olympus Optical Co Ltd データ記録媒体及びデータ記録方法
JP2002259902A (ja) 2001-03-05 2002-09-13 Olympus Optical Co Ltd データ記録媒体及びコード読取装置
JP2002342702A (ja) * 2001-05-16 2002-11-29 Cycolor System Co Ltd カラーコード記録方式
JP3695581B2 (ja) * 2001-08-08 2005-09-1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記録媒体、並びに、電子カメラ
US7743347B2 (en) * 2001-11-19 2010-06-22 Ricoh Company, Ltd. Paper-based interface for specifying ranges
US8539344B2 (en) * 2001-11-19 2013-09-17 Ricoh Company, Ltd. Paper-based interface for multimedia information stored by multiple multimedia documents
US7703044B2 (en) * 2001-11-19 2010-04-20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generating a static representation for time-based media information
US8635531B2 (en) * 2002-02-21 2014-01-21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displaying information stored in multiple multimedia documents
US7788080B2 (en) * 2001-11-19 2010-08-31 Ricoh Company, Ltd. Paper interface for simulation environments
US7149957B2 (en) 2001-11-19 2006-12-12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retrieving multimedia information using a paper-based interface
US7747655B2 (en) * 2001-11-19 2010-06-29 Ricoh Co. Ltd. Printable representations for time-based media
US7861169B2 (en) 2001-11-19 2010-12-28 Ricoh Co. Ltd. Multimedia print driver dialog interfaces
US7495795B2 (en) * 2002-02-21 2009-02-24 Ricoh Company, Ltd. Interface for printing multimedia information
US7225991B2 (en) * 2003-04-16 2007-06-05 Digimarc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data storage
KR20060015281A (ko) * 2003-05-21 2006-02-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고밀도 광 저장 장치용 2차원 변조 인코딩
US20060077184A1 (en) * 2004-03-17 2006-04-13 James Marggraff Methods and devices for retrieving and using information stored as a pattern on a surface
US7779355B1 (en) 2004-03-30 2010-08-17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using paper documents as media templat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9068A (ja) * 1991-10-15 1993-04-30 Wacom Co Ltd 録音及び再生方式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3486A (ja) * 1983-11-09 1985-06-07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学的読取装置
AU594995B2 (en) * 1986-01-24 1990-03-22 Sony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method suitable for a disc
JPS63276943A (ja) * 1987-05-08 1988-11-15 Nec Corp 通信制御方式
US4998252A (en) * 1987-08-06 1991-03-05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US4924078A (en) * 1987-11-25 1990-05-08 Sant Anselmo Carl Identification symbol, system and method
US4874936A (en) * 1988-04-08 1989-10-17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Hexagonal, information encoding article, process and system
US4939354A (en) * 1988-05-05 1990-07-03 Datacode International, Inc. Dynamically variable machine readable binary code and method for reading and producing thereof
US5126542A (en) * 1988-05-05 1992-06-30 International Data Matrix, Inc. Dynamically variable machine readable binary code and method for reading and producing thereof
JP2829963B2 (ja) * 1988-05-16 1998-12-0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H02203485A (ja) * 1989-01-31 1990-08-13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媒体演奏装置
JPH0311482A (ja) * 1989-06-09 1991-01-18 Casio Comput Co Ltd 音声記録方法及び装置並びに音声再生方法及び装置
JPH03127341A (ja) * 1989-10-13 1991-05-30 Hitachi Ltd 情報記録体
JP2712656B2 (ja) * 1989-10-25 1998-02-16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Cd―rom記録方法
US5416760A (en) * 1991-12-16 1995-05-16 Advanced Micro Devices, Inc. Recovery of data from optical data disk sectors having missing or defectiv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US5369261A (en) * 1992-02-12 1994-11-29 Shamir; Harry Multi-color information encoding system
JPH05290197A (ja) * 1992-04-06 1993-11-05 Teiriyou Sangyo Kk 二次元コ−ドシンボルマ−クの解読方法
DE69329120T2 (de) 1992-09-28 2001-03-22 Olympus Optical Co Aufzeichnungsmedium für punktcode und informations-aufzeichnungssystem
JP2916373B2 (ja) * 1994-06-02 1999-07-0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JPH0837567A (ja) * 1994-07-26 1996-02-06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JP3518897B2 (ja) * 1994-09-05 2004-04-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JPH0887577A (ja) * 1994-09-19 1996-04-02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JP3639328B2 (ja) * 1994-10-14 2005-04-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2次元コード、情報再生システム、及び情報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9068A (ja) * 1991-10-15 1993-04-30 Wacom Co Ltd 録音及び再生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25897A (ja) 1995-12-12
EP0713194A1 (en) 1996-05-22
AU703385B2 (en) 1999-03-25
JP2916373B2 (ja) 1999-07-05
EP1329842A2 (en) 2003-07-23
US5898709A (en) 1999-04-27
US6543697B1 (en) 2003-04-08
WO1995034049A1 (fr) 1995-12-14
US6216238B1 (en) 2001-04-10
AU2575095A (en) 1996-01-04
EP0713194A4 (en)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4131B1 (ko) 정보기록매체및정보재생장치
USRE38512E1 (en)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for reproducing multimedia information recorded in the form of optically readable code pattern,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storing multimedia information in the same form
US6463185B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CN1577588B (zh) 具有强健差错处理能力的数据记录/再现方法及其设备
US5897669A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multimedia information as optical readable code data thereon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0201416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ing and reproducing images
TW330280B (en) Digital image sign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and media thereof
CN103854022A (zh) 信息处理设备及信息处理方法
JPH08214104A (ja) 情報再生システム
US6222754B1 (en) Digital signal recording/reproducing method
CN101517645A (zh) 具有增益补偿的光全息设备和方法
CN110689100A (zh) 基于突出中央图案的数据点阵编解码方法、系统及介质
JP3999778B2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GB2321759A (en) High-speed data recording on DVD-RAM
US20010055259A1 (en) Digital signal recording/reproducing method
JP3581119B2 (ja)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KR20100092081A (ko) 홀로그래피 광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기록 방법
Plata et al. The ARCHIVATOR–A Solution for Long-Term Archiving of Digital Information
JP3500367B2 (ja) 情報再生装置
JPS6396779A (ja) デ−タ記録方式
JPH11161733A (ja) コードパターン読取装置
JP2002197809A (ja) 情報再生装置
Tuft et al. Human-Readable/Machine-Readable Imagery
JPH0233684A (ja) 2進情報再生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録媒体
DE19803875A1 (de) Beleg für Informatio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