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003B1 - 복사기능을갖춘통신단말장치 - Google Patents

복사기능을갖춘통신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003B1
KR100372003B1 KR10-1998-0010460A KR19980010460A KR100372003B1 KR 100372003 B1 KR100372003 B1 KR 100372003B1 KR 19980010460 A KR19980010460 A KR 19980010460A KR 100372003 B1 KR100372003 B1 KR 100372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ize
copying
manual feed
man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698A (ko
Inventor
히로야수 요시카와
타쿠 소네오카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8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88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to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2Removing sheets from a stack or inputting media
    • H04N1/00623Selectively inputting media from one of a plurality of input sources, e.g. input t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63Indicating relating to handling of med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2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reproducing medium, e.g. type, size or avai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3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user specified instructions, e.g. user selection of reproduction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수동급송용지에 의한 복사종료후에,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재설정하는 번거로운 조작을 생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용지사이즈의 재설정조작을 실시하는 것을 잊어버려, 수신불능에 빠질 염려를 방지할 수 있는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를 제공한다.
용지사이즈 입력키(87c)에 의해,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미리 입력하여, RAM(84)에 기억시켜 둔다. 사이즈가 다른 급송용지를 사용하여 기록부(17)에서 복사를 실시하고, 그 복사가 종료할 때, CPU(82)의 제어에 의해, RAM(84)에 기억된 통신용 수동급송용지 사이즈의 사용상태로 자동복귀시킨다.

Description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
본 발명은 복사기능 및 팩시밀리통신 등의 통신기능을 구비한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내부에 셋트된 용지이외에 수동급송용지에 기록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타입의 것이 있다. 그러나, 수동급송용지는, 장치의 외부에 셋트된 것이므로, 그 사이즈를 검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예를 들면, 엽서사이즈의 용지를 수동급송부에 셋트해서 복사를 할 경우에는, 용지사이즈를 지정해서, 상기 용지사이즈에 따른 복사가 행해지도록 하고, 그 복사종료후에 팩시밀리통신에 대비해서, A4 등의 통신용 수동급송용지로 교환해서 그 사이즈를 재지정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이 종래의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는, 수동급송용지에 의한 복사종료후에,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재지정하는 조작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이 용지사이즈의 재설정조작을 하는 것을 잊어버리면, 수신데이터의 사이즈와 용지의 사이즈가 일치하지 않거나, 수신불능에 빠진다라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수동급송용지에 의한 복사종료후에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재설정한다는 번거로운 조작을 생략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용지사이즈를 재설정조작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복사기능 및 통신기능을 갖고, 수동급송용지를 사용가능한 기록부를 구비한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의해 입력된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및 수동 급송용지를 사용하여 수동급송복사의 종료된 경우, 상기 복사가 완료된 후에 급송용지사이즈의 설정을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사이즈로 자동복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급송복사시에 입력수단으로부터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와 기억수단에 기억된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비교하여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 표시부에 용지의 교환을 표시시키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표시부에 용지의 교환을 표시시킨 뒤 수동급송용지 센서로부터 용지교환종료의 검출신호를 입력한 경우에, 복사동작을 개시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체화한 복사·팩시밀리 복합기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그 화상독해구성을 확대해서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복사·팩시밀리 복합기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수동급송용지에 의한 복사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장치본체
12…원고급송부
13…원고적재부
14…독해부
16…수동급송용지 공급부
17…기록부
21…원고
22…원고대
25…투광판
31…원고적재판
37…광원
43…촬영소자
62…수동급송용지
63…수동급송용지 지지판
65…수동급송용지 센서
82…제어수단을 구성하는 CPU
83…제어수단을 구성하는 ROM
84…제어수단 및 기억수단을 구성하는 RAM
84a…제1메모리
84b…제2메모리
84c…제3메모리
86…표시부
87…조작부
87c…입력수단을 구성하는 용지사이즈 입력키.
이하에, 본 발명을 복사·팩시밀리복합기에 구체화한 한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이 복합기의 장치본체(11)에는 원고급송부(12), 원고적재부(13), 독해부(14), 용지공급부(15), 수동급송용지 공급부(16), 기록부(17) 및 용지배출부(18)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고급송부(12)는 원고(21)를 적재하는 원고대(22), 원고(21)를 1장씩 분리공급하는 분리롤러(23), 분리된 원고(21)를 급송하는 복수의 급송롤러(24), 윗면을 원고(21)가 통과하는 투광판(25) 및 배출된 원고(21)를 보관하는 원고배출대(26)를 갖추고 있다.
원고유무센서(27)는 상기 원고대(22)에 대향배치되며, 원고대(22)상에 원고(21)가 적재되어 있을 때에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원고배출센서(28)는 원고배출대(26)에 대향배치되며, 원고배출대(26)상으로 원고(21)가 배출되었을 때에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원고적재부(13)는, 윗면에 원고(21)를 적재하기 위한 투명한 원고적재판(31) 및 그 원고적재판(31)상에 개폐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된 덮개(32)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원고급송부(12)의 원고대(22) 및 원고배출대(26)는 상기 원고적재부(13)의 덮개(32)위에 배치되며, 덮개(32)와 일체적으로 개폐회전운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독해부(14)는 투광판(25)상을 통과하는 원고(21) 또는 원고적재판(31)상에 적재된 원고(21)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37), 원고(21)로부터의 반사광의 광로를 변경하는 제1∼제3미러(38,39,40) 및 광원(37) 및 제1∼제3미러(38,39,4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기구(41)를 갖추고 있다. 더욱이, 독해부(14)는 제3미러(40)로부터의 빛을 모으는 집광렌즈(42) 및 상기 집광렌즈(42)를 통해서 입사한 빛에 따라 원고(21)상의 화상을 독해하는 촬영소자(CCD)(43)를 갖추고 있다.
상기 이동기구(41)는 좌우 한 쌍의 대경풀리(44,45), 좌우 한 쌍의소경풀리(46,47)와 대경풀리(44,45) 사이에 걸려서 설치된 제1벨트(48) 및 소경풀리(46,47) 사이에 걸려서 설치된 제2벨트(49)를 갖추고 있다. 또, 이동기구(41)는 제1벨트(48)에 연결된 제1캐리지(50), 그 제2벨트(49)에 연결된 제2캐리지(51) 및 스텝모우터(52)를 갖추고 있다.
상기 대경풀리(44, 45)의 지름은 소경풀리(46,47)의 지름의 2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좌측의 대경풀리(44)와 소경풀리(46)는 동일축선상에서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텝모우터(52)에 작동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제1캐리지(50)상에는 광원(37) 및 제1미러(38)가 지지되고, 제2캐리지(51)상에는 제2미러(39) 및 제3미러(40)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텝모우터(52)로 대경풀리(44,45) 및 소경풀리(46,47)가 회전됨으로써, 제1 및 제2벨트(48,49)를 매개로 해서, 제1 및 제2캐리지(50, 51)가 이동된다. 이 때, 제1캐리지(50)는 제2캐리지(51)의 2배의 이동속도로 이동된다. 그것에 의해, 양캐리지(50, 5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의 대기위치(P1), 투광판(25)의 바로 아래에 대향위치하는 제1원고독해위치(P2) 및 원고적재판(31)의 기준단(基準端)(31a)의 바로 아래에 대향위치하는 제2원고독해위치의 개시점(P3)으로 이동배치된다.
또, 상기 원고급송부(12)와 독해부(14)에 의해 복수원고 자동독해부(ADF)가 구성되고, 캐리지(50, 51)가 제1원고독해위치(P2)에 이동배치된 상태에서 투광판(25)상을 통과하는 원고(21)의 화상이 독해된다. 더욱이, 원고적재부(13)와 독해부(14)에 의해 플랫베드독해부(FBS)가 구성되고, 캐리지(50, 51)가 제2원고독해위치의 개시점(P3)에 이동배치된 후에, 종료점(P4)을 향해서 이동되어, 원고적재판(31)상에 적재된 원고(21)의 화상이 독해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해위치센서(53)는 상기 원고적재판(31)의 기준단(31a)의 하부에 설치되고, 캐리지(50,51)가 제2원고독해위치의 개시점(P3)에 이동되었을 때에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도 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지공급부(15)는 소정 사이즈의 용지(56)를 적층상태로 수용한 복수(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급지카셋트(57)와, 각 급지카셋트(57)내의 용지(56)를 1장씩 기록부(17)에 향하여 급송하는 급지로울러(58)와, 용지(56)의 급송을 안내하는 가이드판(59)을 갖추고 있다. 또, 각 급지카셋트(57)내에는 사이즈가 다른 용지(56)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수동급송용지 공급부(16)는 수동급송용지(62)를 지지하기 위해 장치본체(11)의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수동급송용지 지지판(63) 및 그 수동급송용지 지지판(63)상의 수동급송용지(62)를 상기 가이드판(59)을 매개로 해서 1장씩 기록부(17)에 향하여 급송하는 급지로울러(64)를 갖추고 있다. 수동급송용지센서(65)는 수동급송용지 지지판(63)에 대향배치되어, 수동급송용지 지지판(63)상에 수동급송용지(62)가 지지되어 있을 때에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기록부(17)는 감광드럼(68), 그 감광드럼(68)의 표면을 소정 전위에 똑같이 대전시키는 대전기(69), 감광드럼(68)상에 화상의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기(70) 및 감광드럼(68)상의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그 잠상을 현상화하는 현상기(71)를 갖추고 있다. 또, 기록부(17)는 감광드럼(68)에 대해서 용지(56) 또는수동급송용지(62)를 급송하는 급송로울러(72), 토너화상을 감광드럼(68)상에서 용지(56) 또는 수동급송용지(62)상에 전사시키는 전사기(73) 및 용지(56) 또는 수동급송용지(62)상의 토너화상을 가열정착시키는 가열정착기(74)를 갖추고 있다.
상기 용지배출부(18)는 기록이 끝난 용지(56) 또는 수동급송용지(62)를 배출하는 배지로울러(77), 용지(56) 또는 수동급송용지(62)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판(78) 및 배출된 용지(56) 또는 수동급송용지(62)를 보관하는 배지(排紙) 트레이(tray)(79)를 갖추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복사·팩시밀리복합기의 회로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CPU)(82)는 복합기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롬(ROM)(83)은 복합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램(RAM)(84)은 제어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서 얻어진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이 CPU(82), ROM(83) 및 RAM(84)에 의해 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RAM(84)에 의해 기억수단이 구성되고, 그 RAM(84)에는 제1메모리(84a), 제2메모리(84b) 및 제3메모리(84c)가 설치되어 있다. 제1메모리(84a)는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기억한다. 제2메모리(84b)는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기억한다. 제3메모리(34c)는 기록동작을 위한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기억하는 것으로, 그 데이터는 상기한 제1메모리(84a) 및 제2메모리(84b)로부터 전송된다.
상기 수동급송용지센서(65)는 CPU(82)에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독해부(14)는, 투광판(25) 또는 원고적재판(31)을 매개로 해서 원고(21)상의 화상을 독해하여, 흑백 2값의 이미지데이터를 CPU(82)에 출력한다. 화상메모리(85)는 수신화상데이터나 독해부(14)에서 독해된 화상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기록부(17)는 수신화상데이터나 독해부(14)에서 독해된 화상데이터를 용지(56) 등에 기록한다.
표시부(86)는 액정표시패널이나 LED를 구비하여, 예를 들면「복사모드」,「통신모드」,「용지를 바꿔 끼웠습니까」,「대기중」,「기기이상」과 같이, 장치의 동작상태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조작부(87)는, 복사/통신키(87a), 스타트키(87b), 및 용지사이즈 입력키(87c) 등의 각종 조작키를 갖추고 있다.
상기 복사/통신키(87a)는 복사모드를 실행시킬지, 팩시밀리통신모드를 실행시킬지를 선택하는 경우에 조작한다. 스타트키(87b)는 복사동작이나 팩시밀리통신동작을 개시시키는 경우에 조작한다. 용지사이즈 입력키(87c)는 입력수단을 구성하여, 수동급송용지(62)를 사용하여 팩스수신을 행하는 경우에,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지정입력함과 동시에, 수동급송용지(62)를 사용하여 수동급송복사를 행하는 경우에,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지정입력한다.
모뎀(88)은 송수신의 변조 및 복조를 행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컨트롤 유닛(NCU)(89)은, 전화회선(L1)의 단락 및 개방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대방의 팩스번호에 대응한 다이얼 펄스의 송출 및 착신을 검출하는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CPU(82)는 수동급송용지(62)의 사용에 의한 팩스수신에 있어서, 용지사이즈 입력키(87c)로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가 입력되었을 때, 그 용지사이즈를 RAM(84)의 제1메모리(84a)에 기억시킨다. 또, CPU(82)는 수동급송용지(62)의 사용에 의한 수동급송복사에 있어서, 용지사이즈 입력키(87c)로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가 입력되었을 때, 그 용지사이즈를 RAM(84)의 제2메모리(84b)에 기억시킨다.
더욱이, 상기한 CPU(82)는 수동급송용지(62)에 의한 수동급송복사에 있어서,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와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비교하여,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는 표시부(86)에 대해서, 「용지를 바꿔 끼웠습니까」와 같은, 수동급송용지(62)의 교환메세지를 표시시킨다. 더욱이, CPU(82)는, 이 표시부(86)의 표시후에, 수동급송용지센서(65)로부터 ON→OFF→ON이라는 용지교환종료를 나타내는 검출신호의 입력을 확인한 경우에, 원고(21)의 복사동작을 개시시킨다.
마찬가지로, 상기 CPU(82)는 수동급송복사의 종료시에도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와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비교하여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는 표시부(86)에 대해서 「용지를 바꿔 끼웠습니까」와 같이 수동급송용지(62)의 교환메세지를 표시시킨다. 또한, CPU(82)는 이 표시부(86)의 표시후에 수동급송용지센서(65)로부터 0N→OFF→ON이라는 용지교환종료를 나타내는 검출신호의 입력을 확인한 경우에, RAM(84)의 제1메모리(84a)에 기억된 통신용 수동급송용지 사이즈의 사용상태를 복귀시킨다.
다음에, 이 실시형태의 복사·팩시밀리복합기에 있어서, 수동급송용지(62)를 사용하여 원고(21)의 복사를 실시하는 경우의 동작에 관해서, 도 4에 도시된 플로우 챠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 이 플로우 챠트는 ROM(83)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CPU(82)의 제어하에서 진행한다.
수동급송용지(62)를 사용하여 팩스수신이 행하여지는 경우에, 조작자에 의해 조작부(87)의 용지사이즈 입력키(87c)로부터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예를 들면A4사이즈)가 지정되어 입력되면, 그 용지사이즈가 RAM(84)의 제l메모리(84a)에 일단 기억된다(S1). 그리고, 이 제1메모리(84a)의 용지사이즈가 동작범위인 제3메모리(84c)에 전송기억된다(S2).
그 후, 복사/통신키(87a)의 조작에 의해, 수동급송 복사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되고(S3), 수동급송 복사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즉, 복사/통신키(87a)에 의해 수신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정된 수동급송용지(62)를 사용하여, 그 수동급송용지(62)의 사이즈에 적응한 기록을 따르는 팩스수신이 실시되어(S4),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상기 S3의 판별에 있어서, 수동급송 복사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용지사이즈 입력키(87c)로부터 복사을 행하고자 하는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가 지정입력되면, 그 용지사이즈의 데이터가 RAM(84)의 제2메모리(84b)에 일단 기억된다(S5). 그 후, 제1메모리(84a)에 기억된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의 데이터와, 제2메모리(84b)에 기억된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의 데이터가 비교된다(S6).
그리고, 양 용지사이즈의 데이터가 다른 경우에, 예를 들면, 제1메모리(84a)에 기억된 사이즈가 A4사이즈이고, 제2메모리(84b)에 기억된 사이즈가 B5사이즈인 경우에는 복사되는 데이터와 수동급송용지(62)의 사이즈가 부적합하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표시부(86)에 대해서, 「용지를 바꿔 끼웠습니까」와 같이, 수동급송용지(62)의 교환메세지가 표시된다(S7). 이 표시에 따라서, 수동급송용지 지지판(63)상의 통신용 수동급송용지(62)를 지정한 사이즈의 복사용 수동급송용지(62)로 바꾼 후, 확인을 위한 Yes키를 조작하면(S8), 그 교환에 따른 수동급송용지센서(65)로부터 ON→OFF→ON이라는 용지교환종료의 검출신호의 출력의 유무가 판단된다(S9). 즉, 수동급송용지(62)의 교환을 위해서 수동급송용지(62)를 수동급송용지 지지판(63)으로부터 빼면, 수동급송용지센서(65)가 ON에서 OFF로 바뀌여지고, 이어서 새로운 수동급송용지(62)를 삽입지지하면, 수동급송용지센서(65)가 OFF에서 ON으로 바뀌여진다.
그 후, 제2메모리(84b)에 기억되어 있는 용지사이즈의 데이터가 동작범위인 제3메모리(84c)에 전송기억된다(S10). 또한, 상기 S6의 판별에 있어서, 양 용지사이즈가 동일한 경우에는 전술한 S7∼S9를 점프해서 이 S10의 동작이 실행된다. 이 상태에서, 원고급송부(12)의 원고대(22)상 또는 원고적재부(13)의 원고적재판(31)상에 원고(21)을 적재해서, 스타트키(87b)를 조작하면(S11), 기록부(14)에 의해 원고(21)상의 화상이 독해됨과 동시에, 그 화상데이터가 기록부(17)에 의해 지정된 사이즈의 복사용 수동급송용지(62)상에 기록된다(S12).
이와 같이, 수동급송용지(62)를 사용한 복사동작이 종료되면, 팩스용의 제1메모리(84a)에 기억된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데이터와 복사용의 제2메모리 (84b)에 기억된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데이터가 비교된다(S13). 그리고, 예를 들면, 복사종료후에 용지사이즈 입력키(87c)에 의해 제1메모리(84a)의 용지사이즈데이터가 재기록되고, 양 메모리(84a, 84b)에 기억된 용지사이즈가 다른 경우에는 표시부(86)에 대하여, 「용지를 바꿔 끼웠습니까」와 같이, 수동급송용지(62)의 교환메세지가 표시된다(S14). 이 표시에 따라서, 수동급송용지 지지판(63)상의 복사용 수동급송용지(62)를 사이즈가 다른 통신용 수동급송용지(62)로 교환한 후, 확인을 위한 Yes키를 눌러서 조작하면(S15), 수동급송용지센서(65)로부터 ON→OFF→ON의 용지교환종료를 나타내는 검출신호의 유무가 판별된다(S16).
그 후, 팩스용의 제1메모리(84a)에 기억되어 있는 용지사이즈데이터가, 동작용의 제3메모리(84c)에 기억된다(S17). 또, 상기 S13의 판별에 있어서, 양 용지사이즈가 동일한 경우에는 전술한 S14∼S16을 점프해서 이 S17의 동작이 실행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팩스수신의 대기상태로 되어(S18) 처리가 종료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에 의해서 기대할 수 있는 효과에 관해서, 이하에 기재한다.
·이 실시예의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에서는 입력수단으로서의 용지사이즈 입력키(87c)에 의해,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가 미리 지정입력되어, 기억수단으로서의 RAM(84)에 기억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즈가 다른 수동급송용지(62)를 지정하여 기록부(17)에서 복사을 실시하고, 그 복사가 종료되었을 경우, 제어수단으로서의 CPU(82)의 제어에 의해, 상기 S17과 같이, RAM(84)에 기억된 통신용 수동급송용지 사이즈의 데이터에 자동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동급송용지(62)에의한 복사종료후에,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재설정하는 번거로운 조작을 생략할 수 있다. 또, 용지사이즈의 재설정조작을 잊어버려, 수신불능에 빠질 우려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에서는 수동급송복사시에, 용지사이즈 입력키(87c)에 의해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가 입력되었을 때, CPU(82)의 제어에 의해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와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가 비교된다. 그리고,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는 표시부(86)에 용지의 교환메세지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이즈가 다른 수동급송용지(62)에 의한 수동급송복사시에 수동급송용지(62)의 교환을 재촉할 수 있어, 사이즈가 다른 수동급송용지(62)상에 잘못 복사가 행해질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에서는 표시부(86)에 용지의 교환메세지가 표시됨과 동시에 수동급송용지센서(87c)로부터의 용지교환종료의 검출신호가 확인되었을 때, CPU(82)의 제어에 의해 복사동작이 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동급송용지(62)에 의한 수동급송복사시에 수동급송용지(62)의 교환을 확인하여 복사동작을 개시할 수 있어 사이즈의 다른 수동급송용지(62)상에 잘못 복사가 행해질 우려를 한층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구체화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S8, S15의 판단을 생략하고, S9, S16의 판단만에 의해 수동급송용지의 교환을 확인하도록 구성하는 것.
다음에, 상기 실시예로부터 파악되는 기술적 사상을 이하에 기재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급송복사시에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복사용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수동급송복사의 종료시에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와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비교하여사이즈가 다른 경우에, 표시부에 용지의 교환을 표시시키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청구항1내지 청구항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
이 구성에 의하면, 수동급송복사의 종료시에, 통신용 수동급송용지로의 교환을 재촉할 수 있어, 사이즈가 다른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상에 잘못 수신화상데이터가 기록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l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수동급송용지에 의한 복사종료후에 통신용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재설정하는 번거로운 조작을 생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용지사이즈의 재설정조작을 잊어버려 수신불능에 빠질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사이즈가 다른 수동급송용지에 의한 수동급송복사시에 수동급송용지의 교환을 재촉할 수 있어 사이즈가 다른 수동급송용지상에 잘못 복사가 행해질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사이즈가 다른 수동급송용지에 의한 수동급송복사시에 수동급송용지의 교환을 확인하여 복사동작을 개시할 수 있어 사이즈가 다른 수동급송용지상에 잘못 복사가 행해질 우려를 한층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복사기능 및 통신기능을 갖고, 수동급송용지를 사용가능한 기록부를 구비한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및 수동 급송용지를 사용하여 수동급송복사의 종료된 경우, 상기 복사가 완료된 후에 급송용지사이즈의 설정을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사이즈로 자동복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급송복사시 입력수단으로부터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와 기억수단에 기억된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비교하여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 표시부에 용지의 교환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표시부에 용지의 교환을 표시시킨 후 수동급송용지센서로부터 용지교환종료의 검출신호를 입력한 경우에 복사동작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급송복사시에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수동급송복사의 종료시에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와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비교하여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 표시부에 용지의 교환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급송복사시에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수동급송복사의 종료시에,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와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비교하여,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 표시부에 용지의 교환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급송복사시에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수동급송복사의 종료시에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사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와 통신용 수동급송용지의 사이즈를 비교하여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 표시부에 용지의 교환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능을 갖춘 통신단말장치.
KR10-1998-0010460A 1997-03-26 1998-03-26 복사기능을갖춘통신단말장치 KR100372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73446 1997-03-26
JP7344697A JP3596223B2 (ja) 1997-03-26 1997-03-26 複写機能付き通信端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698A KR19980080698A (ko) 1998-11-25
KR100372003B1 true KR100372003B1 (ko) 2004-06-04

Family

ID=1351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460A KR100372003B1 (ko) 1997-03-26 1998-03-26 복사기능을갖춘통신단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98548B1 (ko)
EP (1) EP0868067B1 (ko)
JP (1) JP3596223B2 (ko)
KR (1) KR100372003B1 (ko)
DE (1) DE69816896T2 (ko)
TW (1) TW4328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8897B1 (en) 1999-06-28 2007-09-11 Canon Kabushiki Kaisha Pri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3848031B2 (ja) * 1999-11-30 2006-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248831A (ja) 2000-12-22 2002-09-0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151620B2 (en) 2001-10-22 2006-12-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tility document lid for imaging devices
JP3941600B2 (ja) * 2002-06-14 2007-07-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給紙制御方法
JP2004302150A (ja) * 2003-03-31 2004-10-28 Fuji Photo Optical Co Ltd 画像読取装置
JP4635579B2 (ja) * 2004-01-06 2011-02-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76529B2 (ja) * 2005-10-25 2012-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7156832A (ja) * 2016-02-29 2017-09-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9050A (en) 1986-09-11 1989-02-28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opying machine for forming an image of a document at various magnifications
US5125636A (en) 1989-01-30 1992-06-3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opying machine capable of copying two originals on one sheet of paper
DE69006075T2 (de) 1989-04-03 1994-05-05 Sharp Kk Blattfördervorrichtung für Faksimilegerät.
JPH04255872A (ja) 1991-02-08 1992-09-10 Fuji Xerox Co Ltd 画像記録装置の自動用紙選択方式
JP3193487B2 (ja) 1992-11-10 2001-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H07253735A (ja) 1994-03-16 1995-10-0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89096A (ja) 1994-06-17 1996-01-1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給紙システム
JPH08116427A (ja) * 1994-08-22 1996-05-07 Minolta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US5917616A (en) * 1995-09-29 1999-06-2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96223B2 (ja) 2004-12-02
TW432858B (en) 2001-05-01
DE69816896T2 (de) 2004-07-15
DE69816896D1 (de) 2003-09-11
EP0868067A3 (en) 1999-01-13
KR19980080698A (ko) 1998-11-25
JPH10271269A (ja) 1998-10-09
EP0868067B1 (en) 2003-08-06
US6198548B1 (en) 2001-03-06
EP0868067A2 (en) 1998-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003B1 (ko) 복사기능을갖춘통신단말장치
US6057944A (en) Image scanning device
JP2009232354A (ja) 画像読取装置及び複写機
KR100399805B1 (ko) 화상독해장치
JP3684766B2 (ja) 通信機能付き記録装置
JPH09301545A (ja) 画像形成装置
JPH1195504A (ja) 記録装置
JPH10271282A (ja) 画像読取装置
JP3840775B2 (ja) 通信端末装置
JPH10285347A (ja) 通信端末装置
JP2002060089A (ja) 画像形成装置
JP3275815B2 (ja) 画像形成装置
JP3591204B2 (ja) 画像読取装置
JP3562201B2 (ja) 画像読取蓄積装置
JPH10271250A (ja) 画像読取装置
JP3097604B2 (ja) 通信機能付き記録装置
JPH1063147A (ja) 画像記録装置
JP3533840B2 (ja) 画像記録装置
JPH10276307A (ja) 複写装置
JPH1169054A (ja) 複写機能付き通信端末装置
JPH07191420A (ja) 画像処理装置の原稿サイズ検知装置
JPH11112739A (ja) 読取装置
JPH1169030A (ja) 複写機能付き通信端末装置
JPH10285346A (ja) 画像読取記録装置
JPH10282844A (ja) 多段カセット付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